KR20220095287A - Remote Power Control System Using a IoT Terminal - Google Patents

Remote Power Control System Using a IoT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5287A
KR20220095287A KR1020200185605A KR20200185605A KR20220095287A KR 20220095287 A KR20220095287 A KR 20220095287A KR 1020200185605 A KR1020200185605 A KR 1020200185605A KR 20200185605 A KR20200185605 A KR 20200185605A KR 20220095287 A KR20220095287 A KR 20220095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terminal
branch
iot terminal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56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47157B1 (en
Inventor
김주섭
Original Assignee
김주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섭 filed Critical 김주섭
Priority to KR1020200185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7157B1/en
Publication of KR20220095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52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1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59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isolating or reconfiguring faulty entities
    • H04L41/0661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isolating or reconfiguring faulty entities by reconfiguring faulty entities
    • H04L41/067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8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involving the use of Internet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power control system using an IoT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which remotely easily controls power cutoff/supply to a line termination device, a network terminal, a sensor, etc. using an IoT terminal connected to an LTE IoT network even when a communication failure occurs in a main line, and can restore a line. The remote power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trol module (200) connected to an Internet (300) and an LTE IoT network (400), and located at a head office; a branch line termination device (120) connected to the Internet (300), and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module (200); and an IoT terminal (100) located at a branch, connected to the LTE IoT network (400) and the branch line termination device (120), and controlling power provided for the branch line termination device (120), a branch network terminal (130) or a sensor (140). When an Internet communication failure occurs between the control module (200) and the branch line termination device (120), the IoT terminal (100) and the control module (200) establish a recovery line through the LTE IoT network (400).

Description

IoT 단말을 이용한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Remote Power Control System Using a IoT Terminal}Remote Power Control System Using a IoT Terminal

본 발명은 IoT 단말을 이용한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주회선에 통신장애가 발생하더라도 LTE IoT 망과 연결된 IoT 단말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회선종단장비, 네트워크 단말, 센서 등에 전력 차단/공급을 용이하게 제어하며, 회선을 복구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power control system using an IoT terminal, and even if a communication failure occurs on the main line, it is easy to cut off/supply power to line termination equipment, network terminals, sensors, etc. remotely using an IoT terminal connected to the LTE IoT network It relates to a system that can control and restore lines.

통상 중앙서버 또는 관제모듈을 갖는 본사와 원격 지점(brunch)들 사이에서 업무를 수행할 때, 다수 지점에 IT 관리자를 배치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무리이므로 IoT 관리자가 본사에 위치하여 다수 지점을 원격으로 관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When performing work between the headquarters and remote branches, which usually have a central server or control module, it is practically unrealistic to place an IT manager in multiple branches. it is common

또한, 업무 용도 회선과 원격지 시스템 관리 전용 회선을 분리하지 않고 용도 구분 없이 단일 회선을 사용하여 회선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IT 관리자는 TCP/IP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원격접속 프로그램으로 원격 지점을 관리하게 된다. In addition, it is common to reduce line costs by using a single line regardless of purpose without separating the line for business use and the dedicated line for remote system management. will manage

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 전용 회선 보다는 비용이 저렴한 인터넷 회선을 주로 사용하는 바, 서비스 제공 수준이 낮아 고장 발생 확률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is case, a low-cost Internet line is mainly used rather than a dedicated lin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evel of service provision is low and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a failure is high.

도 1을 참조하면, 본사의 관제모듈과 원격 지점의 회선종단장비 사이에 주회선을 통한 통신이 수립되지 않았을 때, 본사 IT 관리자는 지점 측에 원격 접속하여 처리할 수 없으므로 정확한 고장 상태 파악이 어렵고, 고장 처리에 시간이 지연되며, 통신이 수립되지 않은 이유가 회선 문제에 기인한 것인지 아니면 지점에 위치한 장비 문제인지 신속하게 판단하기도 어렵다. Referring to FIG. 1 , when communication through the main line is not established between the control module of the headquarters and the line termination equipment of the remote branch, the IT manager of the headquarters cannot remotely access and process the branch, so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exact failure state. , there is a delay in troubleshooting, and it is difficult to quickly determine whether the reason for not establishing communication is due to a line problem or a problem with equipment located at the branch.

또한, 기술지원센터의 수리기사가 해당 지점에 직접 방문하여 처리해야 하므로 인건비 및 경비 추가 발생은 물론 이동 시간에 따른 고장 처리 시간도 더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repair technician of the technical support center has to visit the relevant branch to deal with i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takes more time to handle the breakdown according to the travel time as well as additional labor costs and expenses.

더 나아가, 원격 접속 프로그램 오동작시, IT 관리자는 지점을 원격으로 관리할 수 없고, 지점의 IP 주소 등 TCP/IP 통신 관련 정보가 변경되면 원격 접속이 단절되며, 시스템 초기화를 할 수 없고, 전력 공급/차단 등 원격 접속을 통한 관리 범위가 현저히 제한되게 된다. Furthermore, when the remote access program malfunctions, the IT manager cannot remotely manage the branch, and if TCP/IP communication-related information such as the branch IP address is changed, remote access is cut off, system initialization cannot be performed, and power is supplied. The scope of management through remote access, such as /block, is significantly limited.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본사 관제모듈과 원격 지점 사이의 주회선을 통한 통신이 수립되지 않은 경우, 보조 회선 및 IoT 단말을 이용하여 지점 회선종단장비, 지점 네트워크 단말 또는 센서 등에 전력 제공/차단을 제어하는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when communication through the main line between the headquarters control module and the remote branch is not established, using an auxiliary line and an IoT terminal, branch line termination equipment, branch network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mote power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power supply/disconnection to a terminal or a sensor.

또한, 본 발명은, 본사 관제모듈과 원격 지점 사이의 주회선을 통한 통신이 수립되지 않은 경우에도 본사와 지점 사이의 복구망을 형성하여 지점 회선종단장비, 지점 네트워크 단말 또는 센서 등으로부터 생성되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recovery network between the headquarters and the branch even when communication through the main line between the headquarters control module and the remote branch is not established, and data generated from branch line termination equipment, branch network terminals or sensors, etc.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mote power control system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인터넷(300) 및 LTE IoT 망(400)과 연결되며 본사에 위치하는 관제모듈(200); 상기 인터넷(300)과 연결되어 상기 관제모듈(200)과 통신하는 지점 회선종단장비(120); 및 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LTE IoT 망(400) 및 지점 회선종단장비(120)에 연결되되, 상기 지점 회선종단장비(120),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 또는 센서(140)에 제공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IoT 단말(100);을 포함하되, 상기 관제모듈(200) 및 상기 지점 회선종단장비(120)간 인터넷 통신 장애 발생시 상기 IoT 단말(100)과 관제모듈(200)은 LTE IoT 망(400)을 통하여 복구 회선을 수립하는 IoT 단말을 이용한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300 and the LTE IoT network 400 and includes a control module 200 located in the head office; a branch line termination device 120 that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300 and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 module 200; And it is located in the branch and is connected to the LTE IoT network 400 and the branch line termination equipment 120, and controls the power provided to the branch circuit termination equipment 120, the branch network terminal 130 or the sensor 140. Including, but, when an Internet communication failure occurs between the control module 200 and the branch line termination equipment 120, the IoT terminal 100 and the control module 200 are connected to the LTE IoT network 400 Provides a remote power control system using an IoT terminal that establishes a recovery line through

본 발명에서 상기 IoT 단말(100)은, 전원 공급 코드의 플러그(Plug)가 결합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플러그 커넥터(107); 상기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 또는 센서(140)와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USB 포트(108); 및 상기 지점 회선종단장비(120)와 시리얼 통신을 연결하는 시리얼 포트(109);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 terminal 100 includes at least two or more plug connectors 107 to which a plug of a power supply cord is coupled; at least two or more USB ports 108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branch network terminal 130 or the sensor 140; and a serial port 109 for connecting the branch line termination device 120 and serial communication.

본 발명에서 상기 IoT 단말(100)은, Wi-Fi 통신 모듈 및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 또는 센서(140)와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oT terminal 100 includes a Wi-Fi communication module and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to communicate with the branch network terminal 130 or the sensor 140 .

본 발명에서 상기 IoT 단말(100)은, 상기 LTE IoT 망(400)과 연결하는 IoT 인터페이스부(103); 원격 접속 인터페이스부(101); 및 지점 회선종단장비(120)와 시리얼 통신으로 연결되는 시리얼 인터페이스부(104a, 104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 terminal 100 includes an IoT interface unit 103 for connecting to the LTE IoT network 400; remote access interface unit 101; and serial interface units 104a and 104b connected to the branch line termination equipment 120 through serial communication.

본 발명에서 상기 IoT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140)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상기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 또는 센서(140)가 검출하여 형성한 데이터를 LTE IoT 망(400)을 통해 상기 관제모듈(200)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branch network terminal 130 or at least one sensor 14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branch network terminal 130 or sensor 140 detects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formed data to the control module 200 through the LTE IoT network 400 .

본 발명에서 상기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은 CCTV, Wi-Fi 공유기 및 무선 전화기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140)는 온습도센서 및 초음파 거리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nch network terminal 130 includes a CCTV, a Wi-Fi router, and a wireless phone, and the sensor 140 preferably includes a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and an ultrasonic distance sensor.

본 발명에서 상기 IoT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140)에 전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IoT 단말(110)과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상기 슬레이브 IoT 단말(110)을 제어하여 상기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 또는 센서(140)에 전력을 제공하거나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r more branch network terminals 130 or at least one or more slave IoT terminals 110 that provide power to at least one sensor 14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slave IoT terminal 110 to provide or cut power to the branch network terminal 130 or the sensor 140 .

본 발명에서 상기 인터넷 장애 발생시 상기 관제모듈(200)은 상기 LTE IoT 망(400)를 통해 관리 데이터를 IoT 단말(100)에 제공하고, 상기 IoT 단말(100)이 지점 회선종단장비(120)로 상기 관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ternet failure occurs, the control module 200 provides management data to the IoT terminal 100 through the LTE IoT network 400 , and the IoT terminal 100 is transferred to the branch line termination device 120 . Preferably, the management data is transmitted.

본 발명에서 상기 IoT 단말(100)은 상기 지점 회선종단장비와 시리얼 통신으로 연결되되, 상기 시리얼 통신은 RS-232, RS-422, RS-485 및 UART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branch line termination equipment by serial communication, and the serial communication is preferably any one of RS-232, RS-422, RS-485 and UART.

본 발명에서 상기 LTE IoT 망(400)은 LTE CAT.M, LTE NB-IoT 및 LTE-M 망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TE IoT network 400 is preferably any one of LTE CAT.M, LTE NB-IoT, and LTE-M networks.

본 발명의 IoT 단말을 이용한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본사 관제모듈과 원격 지점 사이의 인터넷 장애 등으로 주회선을 통한 통신이 수립되지 않은 경우, 보조 회선 및 IoT 단말을 이용하여 지점 회선종단장비, 지점 네트워크 단말 또는 센서 등에 전력 제공/차단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remote power control system using the IoT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mmunication through the main line is not established due to Internet failure between the headquarters control module and the remote branch, the branch line termination equipment using the auxiliary line and the IoT terminal; There is an effect of controlling power supply/blocking to a branch network terminal or a sensor.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본사 관제모듈과 원격 지점 사이의 주회선을 통한 통신이 수립되지 않은 경우에도 본사와 지점 사이의 복구망을 형성하여 지점 회선종단장비, 지점 네트워크 단말 또는 센서 등으로부터 생성되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communication through the main line between the headquarters control module and the remote branch is not established, a recovery network is formed between the headquarters and the branch to form a branch line termination device, branch network terminal, or sensor. It has the effect of sending and receiving data.

본 발명에 의하면 주회선인 인터넷 회선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지점 네트워크 단말에 장애가 발생하여도 서비스가 단절되지 않고, 비용 효율적인 백업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st-effective backup communication system is provided without interruption of service even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main Internet line or a branch network terminal failure.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해 주 회선 장애 발생시 복구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IoT 단말을 이용한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IoT 단말의 세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IoT 단말의 내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IoT 단말을 이용한 원격 제어 방식 및 IoT 단말의 독자 제어방식의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IoT 단말을 이용한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에 의해 주 회선의 장애시 보조 회선을 통해 회선을 복구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IoT 단말을 이용하여 센서와 통신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IoT 단말 및 슬레이브 IoT 단말을 이용하여 지점 네트워크 단말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IoT 단말을 이용하여 지점 네트워크 단말과 통신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of recovery when a main line failure occurs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block diagram of a remote power control system using an Io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o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o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remote control method using an IoT terminal and an independent control method of the Io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ine is restored through an auxiliary line in case of a failure of a main line by a remote power control system using an Io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communication with a sensor using an Io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power supplied to a branch network terminal is controlled using an IoT terminal and a slave Io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communication with a branch network terminal using an Io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should properly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variou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IoT 단말을 이용한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remote power control system using an Io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인터넷(300) 및 LTE IoT 망(400)과 연결되며 본사에 위치하는 관제모듈(200)과, 상기 인터넷(300)과 연결되어 상기 관제모듈(200)과 통신하는 지점 회선종단장비(120) 및 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LTE IoT 망(400) 및 지점 회선종단장비(120)에 연결되되, 상기 지점 회선종단장비(120),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 또는 센서(140)에 제공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IoT 단말(1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rol module 200 connected to the Internet 300 and LTE IoT network 400 located at the head office, and a branch line termination device connected to the Internet 300 and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module 200 ( 120) and the branch and connected to the LTE IoT network 400 and the branch line termination equipment 120, and the power provided to the branch circuit termination equipment 120, the branch network terminal 130 or the sensor 14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IoT terminal 100 for controlling the.

상기 관제모듈(200) 및 상기 지점 회선종단장비(120) 사이는 인터넷(300)으로 연결되며, 상기 관제모듈(200)은 평상 시에는 지점 회선종단장비(120)를 통해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 및 센서(140)를 관리하고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control module 200 and the branch line termination device 120 are connected to the Internet 300, and the control module 200 is normally connected to the branch network terminal 130 through the branch line termination device 120. and a function of managing and controlling the sensor 140 .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관제모듈(200) 및 상기 지점 회선종단장비(120) 사이에 인터넷 통신 장애 발생 시에는 상기 관제모듈(200)은 LTE IoT 망(400)을 통하여 IoT 단말(100)과 연결되어 복구 회선을 수립하게 된다.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Internet communication failure occurs between the control module 200 and the branch line termination device 120 , the control module 200 is connected to the IoT terminal 100 through the LTE IoT network 400 . This will establish a recovery line.

상기 지점 회선종단장비(120)는 본사와 원격인 지점(branch)에 위치하여 인터넷(300)을 통하여 본사의 관제모듈(200)과 통신한다. 상기 지점 회선종단장비(120)는 각 지점에 위치한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 또는 센서(14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관제모듈(200)은 지점 회선종단장비(120)를 통해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 또는 센서(140)의 동작, 데이터 수집, 전력 공급/차단 등을 제어할 수 있다. The branch line termination equipment 120 is located in a branch remote from the headquarters and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 module 200 of the headquarters through the Internet 300 . The branch line termination device 120 may be connected to a branch network terminal 130 or a sensor 140 located at each branch, and the control module 200 is configured to operate a branch network terminal 130 through the branch circuit termination device 120 . ) or the operation of the sensor 140 , data collection, power supply/disconnection, etc. can be controlled.

즉, 본 발명에서 상기 지점 회선종단장비(120)는 주 회선인 인터넷(300)을 통하여 본사 관제 모듈(2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본사의 관제모듈(200)을 관리하는 담당자는 평상시 관리 회선인 인터넷(300)을 통하여 복수의 지점들에 위치하는 지점 회선종단장비(120)들의 상태를 검사하고, 정기적인 관리 업무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nch line termination equipment 120 can communicate with the headquarters control module 200 through the main line, the Internet 300 , and the person in charge of managing the control module 200 of the headquarters is usually It will be possible to inspect the state of the branch line termination equipment 120 located in a plurality of branches through the Internet 300 as a management line, and to perform regular management tasks.

상기 지점 회선종단장비(120)는 주회선인 인터넷(300)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으면 인터넷(300)을 통하여 본사 관제모듈(200)과 통신을 수행한다. 다만, 발명의 필요에 따라 지점 회선종단장비(120)과 본사 관제모듈(200)은 가상 사설망(VPN, Virtual Private Network)을 통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branch line termination equipment 120 communicates with the headquarters control module 200 through the Internet 300 if a failure does not occur in the main line Internet 300 . However,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invention, the branch line termination equipment 120 and the headquarters control module 200 may transmit and receive encrypted data through a virtual private network (VPN).

본 발명에서 주 회선인 인터넷(300), 지점 회선종단장비(120)와 상기 지점 회선종단장비(120)와 연결된 슬레이브 회선종단장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애 발생시 지점 회선종단장비(120)는 본사 관제모듈(200)과의 통신 불능을 검출하고, 본사 관제모듈(200)에게 알려 관제모듈(200) 및 IoT 단말(100)간 복구 회선을 설립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failure may occur in any one or more of the main line of the Internet 300 , the branch line termination device 120 , and the slave line termination device connected to the branch line termination device 120 . When such a failure occurs, the branch line termination device 120 detects the inability to communicate with the headquarters control module 200 and notifies the headquarters control module 200 to establish a recovery line between the control module 200 and the IoT terminal 100 do.

상기 IoT 단말(100)은 LTE IoT망(400)을 통하여 본사 관제모듈(200)과 복구 회선을 구축한다. 여기서 LTE IoT망(400)은 최대 1Mbps의 저속 통신망으로 주회선인 인터넷(300)을 통해 수행되는 전체 서비스를 제공할 수는 없으나, 장애가 발생한 장비를 복구하거나, 회선 장애가 복구될 때까지 우회 경로를 제공하기엔 충분한 대역폭을 가질 수 있다. The IoT terminal 100 establishes a recovery line with the headquarters control module 200 through the LTE IoT network 400 . Here, the LTE IoT network 400 is a low-speed communication network of up to 1 Mbps and cannot provide the entire service performed through the main line, the Internet 300, but a detour path until the faulty equipment is restored or the line failure is recovered. It may have enough bandwidth to provide it.

일 실시예로, IoT 단말(100)는 LTE IoT(400)망을 통해 복구된 회선을 상시 연결 상태로 운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인터넷 회선 장애시 신속하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망을 교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서비스 중단을 방지하고, 연속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As an embodiment, the IoT terminal 100 may operate a line restored through the LTE IoT 400 network in a always connected state.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replace a network providing a service in case of an Internet line failure, thereby preventing service interruption and providing a continuous service.

상기 LTE IoT 망(400)은 LTE CAT.M, LTE NB-IoT 및 LTE-M 중 어느 하나의 규격일 수 있으며, 이들 중 각각에 단일 링크, 이중 링크로 접속할 수 있고, LTE Cat-M과 LTE NB-IoT 규격의 망에 이중 링크로 접속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LTE IoT network 400 may be of any one standard of LTE CAT.M, LTE NB-IoT, and LTE-M, and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m through a single link or a dual link, and LTE Cat-M and LTE It may be possible to connect to the NB-IoT standard network through a dual link.

상기 IoT 단말(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 회선종단장비(120)과 시리얼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여기서 시리얼 통신은 RS-232, RS-422, RS-485 및 UART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로 예시된 것과 같이 CCTV, Wi-Fi 공유기, 무선 전화기 등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들은 지점 회선종단장비(120)과 연결될 수 있다.The IoT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r more branch line termination equipment 120 through serial communication, where any one of RS-232, RS-422, RS-485, and UART may be applied to the serial communication. And, as illustrated in FIG. 2 , the branch network terminals 130 such as CCTVs, Wi-Fi routers, and wireless telephones may be connected to the branch line termination equipment 120 .

또한, 지점 회선종단장비(120)는 통신장애 발생이 없는 경우, 주회선인 인터넷 망(300)을 통해 본사 관제모듈(2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발명의 필요에 따라 암호화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상기 본사 관제모듈(200)은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지점 회선종단장비(120)로 암호화된 데이터를 송신하여 일상적인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re is no communication failure, the branch line termination equipment 120 can communicate with the head office control module 200 through the main line Internet network 300, and transmit encrypted data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invention. can transmit and receive. That is, the headquarters control module 200 may receive encrypted data or transmit the encrypted data to the branch line termination device 120 to perform daily management.

한편, 본사 관제모듈(200) 및 지점 회선종단장비(120) 사이의 통신 장애 발생시, 상기 관제모듈(200)은 LTE IoT 망(400)에 연결된 IoT 단말(100)과 연결하되, 지점 회선종단장비(120)과 본사 관제모듈(200)은 LTE IoT 망(400)을 통하여 형성된 우회 터널을 통하여 관리 데이터 및 복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구 회선을 설립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communication failure occurs between the headquarters control module 200 and the branch line termination equipment 120, the control module 200 is connected to the IoT terminal 100 connected to the LTE IoT network 400, but the branch line termination equipment 120 and the headquarters control module 200 may establish a recovery lin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anagement data and recovery data through a detour tunnel formed through the LTE IoT network 400 .

이 경우, CCTV, Wi-Fi 공유기, 무선 전화기 등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과, 온습도 센서(141), 초음파 거리 센서(142)를 포함하는 센서(140)들은 상기 관제모듈(200)로부터 관리데이터를 수신한 IoT 단말(100)의 제어명령에 따라 무선 통신 또는 시리얼 통신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거나 차단되게 된다. In this case, the sensors 140 including the branch network terminal 130 such as CCTV, Wi-Fi router, and wireless phon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141 and ultrasonic distance sensor 142 are managed data from the control module 200 . Power is supplied or cut off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or serial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IoT terminal 100 that has received the .

그리고, 전원이 공급되는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과 센서(140)로부터 획득되는 데이터들은 IoT 단말(100)로 취합되게 되고, 상기 IoT 단말이 관제모듈(200)로 전달하여 본사의 관제모듈 담당자가 지점의 각종 장비들의 원격 제어가 가능해 진다. And, the data obtained from the branch network terminal 130 and the sensor 140 to which power is supplied are collected by the IoT terminal 100, and the IoT terminal transmits it to the control module 200, and the control module manager of the head office Remote control of various equipment in the branch becomes possible.

즉, 상기 IoT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140)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상기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 또는 센서(140)가 검출하여 형성한 데이터를 LTE IoT 망(400)을 통해 상기 관제모듈(200)에 제공할 수 있다. That is, the IoT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branch network terminal 130 or at least one sensor 14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is formed by detecting the branch network terminal 130 or the sensor 140 . One data may be provided to the control module 200 through the LTE IoT network 400 .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주회선의 통신 장애시 회선 비용이 저렴한 LET IoT 망을 이용하여 복구 회선을 수립함으로써, 원격 전원제어 및 스마트 허브 기능을 수행하는 IoT 단말(100)로 하여금 지점에 위치한 각종 장치의 원격 전원 제어를 가능하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establishes a recovery line using an LET IoT network with low line cost in case of communication failure of the main line, thereby allowing the IoT terminal 100 to perform remote power control and smart hub functions to various devices located at the branch. to enable remote power control of

즉, 상기 IoT 단말(100)은 콘솔서버 기능을 수행하여 원격으로 지점의 각종 장치에 접속 할 수 있도록 하고,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 또는 센서(140)의 고장 또는 장애시, IoT 단말(100)에서 전원 공급을 리셋시켜 재구동시킴으로써,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 또는 센서(140)의 기능을 복구할 수 있다. That is, the IoT terminal 100 performs a console server function to remotely access various devices of the branch, and when the branch network terminal 130 or the sensor 140 fails or fails, the IoT terminal 100 The function of the branch network terminal 130 or the sensor 140 may be restored by resetting the power supply and then re-driving.

또한, 상기 IoT 단말(100)은 다수의 슬레이브 IoT 단말(110)과 연결되어 전원 제어 명령을 전달함으로써, 다수 지점, 다수 장소에 대한 통합 관제를 위한 관제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oT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lave IoT terminals 110 and transmits a power control command, thereby constructing a control system for integrated control of multiple points and multiple place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IoT 단말의 세부 구성도이다. 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o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상기 IoT 단말(100)은, 전원 공급 코드의 플러그(Plug)가 결합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플러그 커넥터(107)와, 상기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 또는 센서(140)와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USB 포트(108)와, 상기 지점 회선종단장비(120)와 시리얼 통신을 연결하는 시리얼 포트(10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 terminal 100 includes at least two or more plug connectors 107 to which a plug of a power supply cord is coupled, and at least two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branch network terminal 130 or the sensor 140 .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above USB port 108 and a serial port 109 for connecting serial communication with the branch line termination device 120 .

상기 플러그 커넥터(107)는 전원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되는 전원 공급 코드의 플러그가 결합되며, 상기 IoT 단말(100)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IoT 단말(100)은 전원을 공급받아 관제모듈(20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지점 회선종단장비(120),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 또는 센서(140)에 전력을 공급 또는 차단하게 된다. The plug connector 107 is coupled to a plug of a power supply cord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and supplies power to the IoT terminal 100 . The IoT terminal 100 receives power and supplies or cuts power to the branch line termination equipment 120 , the branch network terminal 130 or the sensor 140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 module 200 .

상기 IoT 단말(100)의 플러그 커넥터(107)에 전원 공급 코드의 플러그가 결합되면, 활성(active) 상태가 LED 표시등을 통해 표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AC 220V(60Hz)의 전원이 입력될 수 있다. When the plug of the power supply cord is coupled to the plug connector 107 of the IoT terminal 100, an active state may be displayed through an LED indicator, preferably AC 220V (60Hz) power is input. can

상기 IoT 단말(100)의 USB 포트(108)는 지점 회선종단장비(120),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 센서(140)의 USB 코드와 결합되어 이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게 되며, 관제모듈(200)의 복구데이터 또는 제어명령에 따라 각 장비에 전원을 공급/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The USB port 108 of the IoT terminal 100 is coupled with the USB cord of the branch line termination device 120, the branch network terminal 130, and the sensor 140 to supply or cut off power thereto, and a control module ( 200), it will be possible to supply/disconnect power to each equipment according to the recovery data or control command.

전술한 바대로, 상기 IoT 단말(100)은 지점 회선종단장비(120)와 시리얼 통신을 통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시리얼 통신은 RS-232, RS-422, RS-485 및 UART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IoT terminal 100 may be interconnected with the branch line termination device 120 through serial communication, and the serial communication may be any one of RS-232, RS-422, RS-485, and UART. can

본 발명에서 IoT 단말(100) 및 지점 회선종단장비(120)는 시리얼 통신을 통하여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 및 센서(14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IoT 단말(1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관제모듈(200)은 물론 지점 회선종단장비(120)에 제공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 terminal 100 and the branch line termination device 120 can control the branch network terminal 130 and the sensor 140 through serial communication, and the IoT terminal 100 is collected by wire or wirelessly. One data may be provided to the control module 200 as well as the branch line termination equipment 120 .

상기 IoT 단말(100)는 본사 관제모듈(200)과 복구 회선(우회 터널)을 통하여 지점 회선종단장비(120),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 및 센서(140)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The IoT terminal 10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ransmitted from the branch line termination device 120, the branch network terminal 130, and the sensor 140 through the headquarters control module 200 and the recovery line (bypass tunnel). can

한편, 상기 IoT 단말(100)는 Wi-Fi 모듈(106b)와 블루투스 모듈(106c)를 구비할 수 있는데, 무선으로 연동되는 센서(140)와 교신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Meanwhile, the IoT terminal 100 may include a Wi-Fi module 106b and a Bluetooth module 106c, and may communicate with the wirelessly linked sensor 140 .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그리고, 상기 IoT 단말(100)은 시리얼 포트(109)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는 원격으로 제어하는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 및 센서(140)와 필요에 따라 유선으로도 연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시리얼 포트(109)는 시리얼 콘솔 포트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oT terminal 100 may be provided with a serial port 109, which is to be able to work with the remotely controlled branch network terminal 130 and the sensor 140 by wire if necessary. . The serial port 109 may function as a serial console port.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IoT 단말의 내부 구성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IoT 단말을 이용하여 지점 네트워크 단말과 통신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4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o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communication with a branch network terminal using the Io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상기 IoT 단말(100)은 , 상기 LTE IoT 망(400)과 연결하는 IoT 인터페이스부(103)와, 원격 접속 인터페이스부(101) 및 지점 회선종단장비(120)와 시리얼 통신으로 연결되는 시리얼 인터페이스부(104a, 104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IoT interface unit 103 connected to the LTE IoT network 400, the remote access interface unit 101, and the branch line termination equipment 120 through serial communicatio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serial interface units 104a and 104b.

즉, 상기 IoT 단말(100)는 LTE IoT 망(400)과 연결되는 IoT 인터페이스부(103), 원격 접속 인터페이스부(10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 회선종단장비(120)과 연결되는 시리얼 인터페이스부(104a, 104b), TCP/IP 스택(102), VPN 인터페이스부(106a), Wi-Fi 모듈(106b) 및 블루투스 모듈(106c)을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IoT terminal 100 includes an IoT interface unit 103 connected to the LTE IoT network 400, a remote access interface unit 101, and a serial interface unit connected to at least one branch line termination device 120 ( 104a, 104b), a TCP/IP stack 102, a VPN interface unit 106a, a Wi-Fi module 106b and a Bluetooth module 106c may be provided.

상기 시리얼 인터페이스부(104a, 104b)는 하나 이상의 지점 회선종단장비(12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주 회선인 인터넷(300) 장애시 관제모듈(200)로부터 복구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점 회선종단장비(12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시리얼 인터페이스부(104a, 104b)는 RS-232, RS-422, RS-485 및 UART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The serial interface units 104a and 104b may be connected to one or more branch line termination equipment 120, and receive recovery data from the control module 200 in case of a failure of the main line Internet 300 to receive the branch line termination equipment 120. ) can be provided. In an embodiment, the serial interface units 104a and 104b may apply any one of RS-232, RS-422, RS-485, and UART.

본 발명에서 상기 암호화부(105)는 관제모듈(200) 및 IoT 단말(100)간 우회 터널로 전송될 관리 데이터 및/또는 복구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발명의 필요에 따라 상기 VPN 인터페이스부(106a)는 LTE IoT 망(400)과의 통신을 수행하여 VPN 프로토콜에 따라 암호화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ncryption unit 105 may perform a function of encrypting management data and/or recovery data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bypass tunnel between the control module 200 and the IoT terminal 100 .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invention, the VPN interface unit 106a may perform a function of transmitting data encrypted according to a VPN protocol by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LTE IoT network 400 .

전술한 바대로 상기 지점 회선종단장비(120) 및 인터넷(300) 중 어느 하나에 장애가 발생하면, 상기 IoT 단말(100)는 LTE IoT(400) 망을 통해 복구 회선(우회 터널)을 설립한다. 일 실시예로, IoT 단말(100)는 LTE IoT 인터페이스부(103)를 통해 LTE IoT 망(400)과 연결되고, LTE IoT 망(400)을 통해 본사 관제모듈(200)과 연결된다. 본사 관제모듈(200)은 이와 같은 복구 회선을 통해 복구 데이터 또는 관리 데이터를 송신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any one of the branch line termination equipment 120 and the Internet 300 fails, the IoT terminal 100 establishes a recovery line (bypass tunnel) through the LTE IoT 400 network. In one embodiment, the IoT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LTE IoT network 400 through the LTE IoT interface unit 103 , and is connected to the headquarters control module 200 through the LTE IoT network 400 . The headquarters control module 200 transmits recovery data or management data through such a recovery line.

발명의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서 상기 암호화부(105)는 제공된 데이터를 암호화할 수 있다. 상기 암호화부(105)는 IPsec, MS-CHAP, RC4 기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복구 데이터 및/또는 관리 데이터를 암호화할 수 있다. 암호화된 데이터는 규약된 프로토콜에 따라 전송하는 VPN 인터페이스부(106a)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발명의 필요에 따라 상기 VPN 인터페이스부(106a)는 PPTP, L2TP, OpenVPN, SSTP, IKEv2 중 어느 하나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우회 터널을 수립하고, 암호화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cryption unit 105 may encrypt the provided data. The encryption unit 105 may encrypt recovery data and/or management data using any one or more of IPsec, MS-CHAP, and RC4 technology. The encrypted data may be provided to the VPN interface unit 106a that transmits according to a stipulated protocol. Also, according to the necessit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PN interface unit 106a may establish a bypass tunnel using any one protocol among PPTP, L2TP, OpenVPN, SSTP, and IKEv2, and transmit encrypted data.

본사의 상기 관제모듈(200)은 HTTP, HTTPS, 텔넷(telnet) 및 SSH(secure shell) 등 원격 접속 인터페이스(101)로 IoT 단말(100)에 연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상기 관제모듈(200)은 SN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및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을 통해 IoT 단말(100)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발명의 필요에 따라 본사 관제모듈(200)은 SN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을 통해 IoT 단말(100)에 에러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control module 200 of the headquarters may be connected to the IoT terminal 100 through a remote access interface 101 such as HTTP, HTTPS, telnet, and secure shell (SSH).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module 200 may transmit or receive with the IoT terminal 100 through SNMP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and ICMP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Further,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invention The headquarters control module 200 may transmit or receive an error message to the IoT terminal 100 through SNMP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IoT 단말(100)의 동작은 아래와 같다. 상기 관제모듈(200)은 HTTP, HTTPS, 텔넷, SSH, ICMP, SNMP 등의 프로토콜로 IoT 단말(100)에 연결하며, 상기 관제모듈(200)은 IoT 단말(100)에 연결된 지점 회선종단장비(120) 및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연결할 수 있다. The operation of the IoT terminal 10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as follows. The control module 200 is connected to the IoT terminal 100 with a protocol such as HTTP, HTTPS, Telnet, SSH, ICMP, SNMP, etc., and the control module 200 is a branch line termination device connected to the IoT terminal 100 ( 120) and branch network terminals 130 may be selected and connect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IoT 단말(100)은 IoT 서버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Web-UI(user interface)를 통한 관리자 접속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관제모듈(200)의 관리자는 IoT 단말(100)에 접속하여 구성(configuration) 조회 및 설정을 수행하고, 로그(log) 및 이벤트를 조회하며, SNMP를 통한 망 관리기능, 연결성 체크를 위해 관제모듈의 원격접속 장비에서 보내는 ICMP 요청(request)에 대한 응답(response)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 terminal 100 may perform an IoT server function, and may provide an administrator access function through a Web-UI (user interface). The manager of the control module 200 accesses the IoT terminal 100 to perform configuration inquiry and settings, inquires logs and events, and checks the network management function and connectivity through SNMP. It may be possible to provide a response to the ICMP request sent from the remote access device of the

한편, 상기 IoT 단말(100)는 무선 통신 모듈로 와이파이(Wi-Fi) 모듈(106b) 및 블루투스 모듈(106c)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IoT 단말(100)는 와이파이(Wi-Fi) 또는 블루투스(Bluetooth)를 통하여 복수의 센서(140)들과 무선으로 연결하여, 각종 센싱 데이터를 획득한 후, 상기 관제모듈(200)로 송신할 수 있다. Meanwhile, the IoT terminal 100 may further include a Wi-Fi module 106b and a Bluetooth module 106c a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e IoT terminal 100 wirelessly connects with a plurality of sensors 140 through Wi-Fi or Bluetooth, acquires various sensing data, and then transmits to the control module 200. ca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IoT 단말을 이용한 원격 제어 방식 및 IoT 단말의 독자 제어방식의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remote control method using an IoT terminal and an independent control method of the Io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의 (a)는 관제모듈(200)에 의한 원격 제어 방식을 도시하고 있는데,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 또는 센서(140) 등 장치의 이상을 감지하면 본사의 관제모듈(200)에서 전원 리셋 명령 송출하고, IoT 단말(100)에서 해당 장치의 전원 공급을 차단 후에 일정 시간 후 다시 전원을 공급하여 해당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 또는 센서(140)를 다시 구동시키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Figure 5 (a) shows a remote control method by the control module 200, when an abnormality is detected in a device such as the branch network terminal 130 or the sensor 140, power is reset in the control module 200 of the headquarters It is possible to take a method of sending a command, and then supplying power again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fter the IoT terminal 100 cuts off the power supply of the corresponding device to drive the corresponding branch network terminal 130 or the sensor 140 again.

한편, 도 5의 (b)는 IoT 단말에 의한 독자 제어 방식을 도시하고 있는데, IoT 단말(100)에서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 또는 센서(140) 등 의 상태 확인을 위해 주기적으로 고장장애 체크를 하고, 해당 장비에서 고장장애 체크 무응답시, 해당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 또는 센서(140)로 전원 공급을 차단 후 일정시간 경과 후 다시 전원을 인가하여 재구동 시키게 되며, 이와 같은 전원 차단/공급 동작 결과를 관제모듈(200)로 보고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FIG. 5 (b) shows an independent control method by an IoT terminal. Periodically, a failure and failure check is performed to check the status of the branch network terminal 130 or the sensor 140 in the IoT terminal 100. When the device does not respond to the fault failure check, the power supply to the branch network terminal 130 or sensor 140 is cut off and power is applied agai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to restart, such a power cut/supply operation A method of reporting the result to the control module 200 may be taken.

본 발명에서 상기 IoT 단말(100)의 고장장애 체크는 시리얼 포트(109)와 연결된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 또는 센서(140)에 대하여 고장장애 체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ailure failure check of the IoT terminal 100 is performed on the branch network terminal 130 or the sensor 140 connected to the serial port 109 .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IoT 단말을 이용하여 센서와 통신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communication with a sensor using an Io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상기 IoT 단말(100)은, Wi-Fi 통신 모듈 및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 또는 센서(140)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 terminal 100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branch network terminal 130 or the sensor 140 by having a Wi-Fi communication module and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즉, 상기 IoT 단말(100)는 무선 통신 모듈, 일례로 Wi-Fi 모듈(106b) 및 블루투스 모듈(106c)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복수의 센서(140)들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That is, the IoT terminal 10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example, a Wi-Fi module 106b and a Bluetooth module 106c, and is wireless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ensors 140 using the data can send and receive

본 발명에서 상기 Wi-Fi 모듈(106b)는 802.11 계열의 표준 WiFi 통신 기능 탑재할 수 있고, 상기 블루투스 모듈(106c)은 저전력 BlueTooth(BLE)를 내장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Fi module 106b may be equipped with an 802.11 series standard WiFi communication function, and the Bluetooth module 106c may have a built-in low-power BlueTooth (BLE).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IoT 단말(100)는 온습도 센서(310)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다. 상기 온습도 센서(141)는 설치된 장소의 온도와 습도를 검출하고 이를 무선으로 IoT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IoT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a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31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temperature/humidity sensor 141 may detect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n installed place and wirelessly provide it to the IoT terminal 100 .

일 실시예로, 발명의 필요에 따라 상기 온습도 센서(141)는 IoT 단말(100), 지점 회선종단장비(120) 또는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이 설치된 위치로부터 10~50cm의 범위에서 이격되어 설치되거나 또는 부착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지점 내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inventio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141 is installed at a distance of 10 to 50 cm from the location where the IoT terminal 100, the branch line termination device 120, or the branch network terminal 130 is installed. It may be installed or attached to, and may be installed at another location within the branch.

상기 IoT 단말(100)은 시리얼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검출한 온습도 데이터를 IoT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으며, IoT 단말(100)는 온습도 데이터를 복구 회선(우회 터널)을 통하여 본사 관제모듈(2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IoT 단말(100)은 시리얼 통신을 통하여 온습도 데이터를 지점 회선종단장비(12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지점 회선종단장비(120)는 이를 저장하고 있다고 주회선인 인터넷(300)이 다시 개통되면 인터넷을 통하여 온습도 데이터를 본사 관제모듈(200)에 제공할 수 있다.The IoT terminal 100 may provid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data detected through serial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to the IoT terminal 100, and the IoT terminal 100 restore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data through a recovery line (bypass tunnel) to the headquarters control module (200) can be provided. In addition, the IoT terminal 100 can provid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data to the branch line termination device 120 through serial communication, and the branch line termination device 120 stores it. The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data can be provided to the head office control module 200 through the Internet.

도시된 실시예로, IoT 단말(100)은 초음파 거리 센서(142)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다. 상기 초음파 거리 센서(142)는 동작 센서의 일종으로 설치된 장소에서 인체 및/또는 물체의 동작을 검출하고 이를 무선으로 IoT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초음파 거리 센서(142)는 IoT 단말(100), 지점 회선종단장비(120) 또는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이 설치된 위치로부터 10~50cm의 범위에서 이격되어 설치되거나 또는 부착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출입구 등 지점 내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IoT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ultrasonic distance sensor 142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ultrasonic distance sensor 142 is a type of motion sensor, and may detect a motion of a human body and/or an object at an installed place and wirelessly provide it to the IoT terminal 100 . For example, the ultrasonic distance sensor 142 may be installed or installed spaced apart in a range of 10 to 50 cm from the location where the IoT terminal 100, the branch line termination equipment 120, or the branch network terminal 130 are installed. and may be installed at other locations within the branch, such as an entrance.

상기 IoT 단말(100)은 동작 데이터를 복구 회선을 통하여 본사 관제모듈(20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IoT 단말(100)은 시리얼 통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하여 동작 데이터를 지점 회선종단장비(12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지점 회선종단장비(120)는 인터넷 통신 장애 제거 시 주회선인 인터넷(300)을 통하여 동작 데이터를 본사 관제모듈(200)에 제공할 수 있다. The IoT terminal 100 may provide operation data to the headquarters control module 200 through a recovery line. In addition, the IoT terminal 100 may provide operation data to the branch line termination device 120 through serial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branch line termination device 120 provides the main line Internet 300 when removing an Internet communication failure. ), the operation data may be provided to the head office control module 200 .

상기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IoT 단말(100)은 온습도 센서(141) 및 초음파 거리 센서(142) 이외의 미세먼지 센서, 공기질 측정 센서, 적외선 센서 등 다른 센서와 무선 또는 시리얼 포트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검출한 각 센서의 데이터를 본사 관제모듈(200)에 제공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s, the IoT terminal 100 can be connected to other sensors such as a fine dust sensor, an air quality measurement sensor, and an infrared sensor other tha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141 and the ultrasonic distance sensor 142 through a wireless or serial port. In addition, data of each detected sensor may be provided to the control module 200 of the headquarter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IoT 단말(100)은 IoT 라우터 기능을 제공하며, 다양한 센서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취합하여 본사 관제모듈(200)로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관제모듈(200)을 통한 무인 지점 화재 감시 등 지점 환경 감시를 통한 즉각적 조치 기반 마련할 수 있고, 다양한 IoT 센서 출현에 대비한 인프라 구축도 가능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IoT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oT router function,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llect information collected from various sensors and easily transmit it to the control module 200 of the headquarters. In addition, it will be possible to prepare a basis for immediate action through branch environment monitoring, such as unmanned branch fire monitoring through the control module 200, and it will also be possible to build an infrastructure in preparation for the emergence of various IoT sensors.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IoT 단말 및 슬레이브 IoT 단말을 이용하여 지점 네트워크 단말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8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power supplied to a branch network terminal is controlled using an IoT terminal and a slave Io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상기 IoT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140)에 전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IoT 단말(110)과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상기 슬레이브 IoT 단말(110)을 제어하여 상기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 또는 센서(140)에 전력을 제공하거나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r more branch network terminals 130 or at least one or more slave IoT terminals 110 that provide power to at least one sensor 14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lave IoT terminal 110 to provide or cut power to the branch network terminal 130 or the sensor 140 .

상기 슬레이브 IoT 단말(110)는 IoT 단말(100)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제어 명령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어 명령을 제공받은 슬레이브 IoT 단말(110)는 제어 명령에 따라 무선 통신 또는 시리얼 통신을 통해 슬레이브 IoT 단말(110)에 연동되는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 또는 센서(140)에 전력을 제공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The slave IoT terminal 110 may receive a control command from the IoT terminal 1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slave IoT terminal 110 receiving the control command may provide or block power to the branch network terminal 130 or the sensor 140 that is linked to the slave IoT terminal 11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or serial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have.

즉, 상기 IoT 단말(100)에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IoT 단말(110)을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게 구동할 수 있는데, 여기서 무선 통신은 Wi-Fi 통신 또는 블루투스 통신을 적용할 수 있다. That is, at least one or more slave IoT terminals 110 that can perform the same function to the IoT terminal 100 may be driven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wireless communication, whe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is to apply Wi-Fi communication or Bluetooth communication. can

이 때, LTE IoT 망(400)에 직접 연결되는 IoT 단말(100)가 마스터(Master)의 역할을 수행하고, 그 외에 IoT 단말은 슬레이브(slave)로 동작하게 되며, 이는 넓은 범위에 걸쳐 설치되어 있는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 또는 센서(140)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더 나아가 물리적인 콘센트 수량 제한을 극복하기 위함이다. At this time, the IoT terminal 100 directly connected to the LTE IoT network 400 performs the role of a master, and other IoT terminals operate as a slave, which is installed over a wide range. This is to efficiently manage the branch network terminal 130 or the sensor 140 located there, and furthermore, to overcome the limitation on the number of physical outlets.

즉, 본 발명에서 IoT 단말의 USB 포트(108)와 연결된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 또는 센서(140)의 전력 공급/차단을 제어하게 되는데, IoT 단말에 구비된 USB 포트(108) 및 시리얼 포트(109)의 물리적 수량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더 많은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 또는 센서(140)의 전력 공급/차단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disconnection of the branch network terminal 130 or the sensor 140 connected to the USB port 108 of the IoT terminal is controlled, and the USB port 108 and the serial port ( 109), and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control power supply/disconnection of more branch network terminals 130 or sensors 140 .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IoT 단말을 이용한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에 의해 주 회선의 장애시 보조 회선을 통해 회선을 복구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ine is restored through an auxiliary line in case of a failure of the main line by the remote power control system using the Io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주 회선 및/또는 본사 관제모듈(200)과 지점 회선종단장비(120) 사이의 통신 장애가 발생하여도 LTE IoT 망(400)을 IoT 단말(100)와 본사 관제모듈(200) 사이에 복구 회선(우회 터널; 긴급 복구 장비 관리 통신 경로)이 수립되므로, 안정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communication failure occurs between the main line and/or the headquarters control module 200 and the branch line termination equipment 120, the LTE IoT network 400 is connected to the IoT terminal 100 and the headquarters control module 200. Since a recovery line (bypass tunnel; emergency recovery equipment management communication path) is established between them, stable management is possible.

이와 같이 상기 IoT 단말(100)은 그 내부에 전용 Emulator S/W를 내장하여 원격 콘솔 서버 기능 수행할 수 있으며, 관제 대상 지점 장비의 콘솔 포트에 시리얼 포트를 연결하여 콘솔 접속할 수 있다. As such, the IoT terminal 100 can perform a remote console server function by embedding a dedicated emulator S/W therein, and can access the console by connecting a serial port to the console port of the control target point device.

즉, 위 원격 콘솔 기능으로, i) 본 발명의 원격 전원제어시스템은, 주회선 및 장비 장애를 구분할 수 있어 즉각적인 조치가 가능하고, ii) 주회선 장애시에도 LET IoT 망을 통한 원격지 장비의 관리 가능하며, iii) 원격접속 프로그램 오동작 및 IP 주소 변경 등 TCP/IP 통신 관련 정보 오류시에도 원격 접속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고, iv) 시스템 초기화 및 IP 변경 등 콘솔 모드에서만 수행 되는 관리 업무도 원격으로 수행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at is, with the above remote console function, i) the remote power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tinguish between main line and equipment failure, enabling immediate action, ii) managing remote equipment through LET IoT network even in case of main line failure iii) Remote access is possible even in the event of an error in TCP/IP communication-related information such as remote access program malfunction and IP address change, and iv) management tasks performed only in console mode, such as system initialization and IP change, are also remote. There are advantages to being able to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긴급 복구 체계를 제공하는데, 평상시 주회선을 통해 관제모듈에서 지점 장비 원격 관리를 수행하되, 원격 콘솔 접속 기능으로 비용효율적 LET IoT 회선을 이용한 응급복구 체계 구축하고, 지점의 각종 장비와 통신 불가시, LET IoT 망을 통한 원격 콘솔 접속으로 회선 문제인지 장비 문제인지 여부의 정확한 원인의 파악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mergency recovery system is provided, which performs remote management of branch equipment from the control module through the usual main line, but establishes an emergency recovery system using a cost-effective LET IoT line with a remote console connection function, and When communication with various devices is not possible, remote console access through the LET IoT network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etermine the exact cause of whether it is a line problem or a device problem.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실시형태를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in relation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change or modify the 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quivalent scop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10: 기술지원센터
100: IoT 단말
101: 원격 접속 인터페이스부
102: TCP/IP 스택
103: LTE IoT 인터페이스부
104a, 104b: 시리얼 인터페이스부
105: 암호화부
106a: VPN 인터페이스부
106b: Wi-Fi 모듈
106c: 블루투스 모듈
107: 플러그 커넥터
108: USB 포트
109: 시리얼 포트
110: 슬레이브 IoT 단말
120: 지점 회선종단장비
121: 본사 회선종단장비
130: 지점 네트워크 단말
140: 센서
141: 온습도 센서
142: 초음파 거리 센서
200: 관제모듈
300: 인터넷
400: LTE IoT 망
10: Technical Support Center
100: IoT terminal
101: remote access interface unit
102: TCP/IP stack
103: LTE IoT interface unit
104a, 104b: serial interface unit
105: encryption unit
106a: VPN interface unit
106b: Wi-Fi module
106c: Bluetooth module
107: plug connector
108: USB port
109: serial port
110: slave IoT terminal
120: branch line termination equipment
121: HQ line termination equipment
130: branch network terminal
140: sensor
141: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142: ultrasonic distance sensor
200: control module
300: Internet
400: LTE IoT network

Claims (10)

인터넷(300) 및 LTE IoT 망(400)과 연결되며 본사에 위치하는 관제모듈(200);
상기 인터넷(300)과 연결되어 상기 관제모듈(200)과 통신하는 지점 회선종단장비(120); 및
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LTE IoT 망(400) 및 지점 회선종단장비(120)에 연결되되, 상기 지점 회선종단장비(120),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 또는 센서(140)에 제공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IoT 단말(100);을 포함하되,
상기 관제모듈(200) 및 상기 지점 회선종단장비(120)간 인터넷 통신 장애 발생시 상기 IoT 단말(100)과 관제모듈(200)은 LTE IoT 망(400)을 통하여 복구 회선을 수립하는 IoT 단말을 이용한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a control module 200 connected to the Internet 300 and LTE IoT network 400 and located in the head office;
a branch line termination device 120 that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300 and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 module 200; and
It is located in a branch and is connected to the LTE IoT network 400 and the branch line termination equipment 120, and controls the power provided to the branch circuit termination equipment 120, the branch network terminal 130 or the sensor 140. IoT terminal 100; including,
When an Internet communication failure occurs between the control module 200 and the branch line termination device 120, the IoT terminal 100 and the control module 200 establish a recovery line through the LTE IoT network 400. Using an IoT terminal Remote power control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단말(100)은,
전원 공급 코드의 플러그(Plug)가 결합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플러그 커넥터(107);
상기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 또는 센서(140)와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USB 포트(108); 및
상기 지점 회선종단장비(120)와 시리얼 통신을 연결하는 시리얼 포트(109);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단말을 이용한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oT terminal 100,
At least two or more plug connectors 107 to which the plug (Plug) of the power supply cord is coupled;
at least two or more USB ports 108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branch network terminal 130 or the sensor 140; and
a serial port 109 for connecting the branch line termination device 120 and serial communication;
A remote power control system using an Io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단말(100)은,
Wi-Fi 통신 모듈 및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 또는 센서(140)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단말을 이용한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oT terminal 100,
A remote power control system using an IoT terminal, comprising a Wi-Fi communication module and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to communicate with the branch network terminal 130 or the sensor 14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단말(100)은 ,
상기 LTE IoT 망(400)과 연결하는 IoT 인터페이스부(103);
원격 접속 인터페이스부(101); 및
지점 회선종단장비(120)와 시리얼 통신으로 연결되는 시리얼 인터페이스부(104a, 104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단말을 이용한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oT terminal 100,
an IoT interface unit 103 for connecting to the LTE IoT network 400;
remote access interface unit 101; and
A remote power control system using an IoT terminal, comprising: a serial interface unit (104a, 104b) connected to the branch line termination device 120 through serial commun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140)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상기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 또는 센서(140)가 검출하여 형성한 데이터를 LTE IoT 망(400)을 통해 상기 관제모듈(200)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단말을 이용한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oT terminal 100,
It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r more branch network terminals 130 or at least one or more sensors 14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 remote power control system using an Io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nch network terminal 130 or the sensor 140 detects and provides the formed data to the control module 200 through the LTE IoT network 400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은 CCTV, Wi-Fi 공유기 및 무선 전화기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140)는 온습도센서 및 초음파 거리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단말을 이용한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branch network terminal 130 includes a CCTV, a Wi-Fi router, and a wireless phone, and the sensor 140 includes a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and an ultrasonic distance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140)에 전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IoT 단말(110)과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상기 슬레이브 IoT 단말(110)을 제어하여 상기 지점 네트워크 단말(130) 또는 센서(140)에 전력을 제공하거나 차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단말을 이용한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oT terminal 100,
At least one or more branch network terminals 130 or at least one or more sensors 140 are connected to at least one slave IoT terminal 110 for providing pow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ntrol the slave IoT terminal 110 to control the branch point. A remote power control system using an Io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or cuts power to the network terminal 130 or the sensor 14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장애 발생시 상기 관제모듈(200)은 상기 LTE IoT 망(400)를 통해 관리 데이터를 IoT 단말(100)에 제공하고,
상기 IoT 단말(100)이 지점 회선종단장비(120)로 상기 관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단말을 이용한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Internet failure occurs, the control module 200 provides management data to the IoT terminal 100 through the LTE IoT network 400,
A remote power control system using an Io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IoT terminal (100) transmits the management data to the branch line termination device (1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단말(100)은 상기 지점 회선종단장비와 시리얼 통신으로 연결되되, 상기 시리얼 통신은 RS-232, RS-422, RS-485 및 UART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단말을 이용한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oT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branch line termination equipment through serial communication, wherein the serial communication is any one of RS-232, RS-422, RS-485, and UART. Remote power control system using IoT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TE IoT 망(400)은 LTE CAT.M, LTE NB-IoT 및 LTE-M 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단말을 이용한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LTE IoT network 400 is a remote power control system using an Io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LTE CAT.M, LTE NB-IoT and LTE-M networks.
KR1020200185605A 2020-12-29 2020-12-29 Remote Power Control System Using a IoT Terminal KR1025471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605A KR102547157B1 (en) 2020-12-29 2020-12-29 Remote Power Control System Using a IoT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605A KR102547157B1 (en) 2020-12-29 2020-12-29 Remote Power Control System Using a IoT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5287A true KR20220095287A (en) 2022-07-07
KR102547157B1 KR102547157B1 (en) 2023-06-23

Family

ID=82398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5605A KR102547157B1 (en) 2020-12-29 2020-12-29 Remote Power Control System Using a IoT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7157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5898A (en) * 2014-05-26 2015-12-0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Socket outlet shaped control apparatus and electric appliance control system using the appararus
KR101770347B1 (en) * 2017-05-10 2017-08-23 주식회사 크로마아이티 Remote management and monitoring and control technology system based on IoT LTE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20180082883A (en) * 2017-01-11 2018-07-19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smart device utilizing sensor
KR20190130469A (en) * 2018-04-19 2019-11-22 주식회사 티앤에이치시스템 Wireles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ultra low power and low power wide area network
KR102063910B1 (en) * 2019-08-23 2020-01-09 김주섭 IoT Terminal and IoT Trandsaction System using IoT Network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5898A (en) * 2014-05-26 2015-12-0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Socket outlet shaped control apparatus and electric appliance control system using the appararus
KR20180082883A (en) * 2017-01-11 2018-07-19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smart device utilizing sensor
KR101770347B1 (en) * 2017-05-10 2017-08-23 주식회사 크로마아이티 Remote management and monitoring and control technology system based on IoT LTE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20190130469A (en) * 2018-04-19 2019-11-22 주식회사 티앤에이치시스템 Wireles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ultra low power and low power wide area network
KR102063910B1 (en) * 2019-08-23 2020-01-09 김주섭 IoT Terminal and IoT Trandsaction System using IoT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7157B1 (en) 2023-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82462B (en) Network system, and network redundant configuration method
CN107079035B (en) Compact and integrated key controller device for monitoring a network
CN104780070B (en) Network system and network management
US20070276548A1 (en) Power Switch
CN110426971B (en) Rail transit control network data acquisition and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9680663B2 (en) Tunnel endpoint device,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CN103957138B (en) A kind of method for monitoring network, device and its system
CN103259685A (en) Method for detecting link failures and network equipment
CA26920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protocol access to remote computers
CN102597986A (en) Serial port forwarding over secure shell for secure remote management of networked devices
CN210093254U (en) Data acquisition system and device with network isolation function
KR102547157B1 (en) Remote Power Control System Using a IoT Terminal
KR20240021553A (en) Remote power control method and system using IOT technology
KR20240041459A (en) How to provide remote power control service using IoT device
KR102358789B1 (en) MANAGEMENT SYSTEM USING IoT NETWORK AND BRANCH IoT SERVER
CN104102213B (en) A kind of tele-control system for material separation device and method
KR101387626B1 (en) System for controlling ethernet network remotely
KR10162539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cp connection in software defined network
Cisco Advanced Configurations
KR101465991B1 (en) network control device having security function
CN109510725B (en) Communication equipment faul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Cisco Advanced Configurations
KR10139611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ting sensor network by hybrid ring topology
Cisco Advanced Configurations
CN115202244A (en) Dynamic ring monitoring equipment,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