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4958A - Display Apparatus and cutting method of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and cutting method of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4958A
KR20220094958A KR1020200186714A KR20200186714A KR20220094958A KR 20220094958 A KR20220094958 A KR 20220094958A KR 1020200186714 A KR1020200186714 A KR 1020200186714A KR 20200186714 A KR20200186714 A KR 20200186714A KR 20220094958 A KR20220094958 A KR 20220094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cut
display module
cover glass
edg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67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은실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6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4958A/en
Publication of KR20220094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495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01L51/5237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851Division of substrate
    • H01L2251/56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cutout unit (230) formed along a location where stress unevenness occurs in a display module (200), when the cover glass (100) and the display module (200) are bonded.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이의 커팅 방법{Display Apparatus and cutting method of Display Apparatus}Display device and cutting method thereof {Display Apparatus and cutting method of Display Apparatus}

본 실시 예는 커버 글라스와 디스플레이 모듈이 서로 간에 본딩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발생되는 응력(Stress) 불균일 현상을 개선한 표시 장치 및 이의 커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 display device having improved stress non-uniformity generated in the display module when a cover glass and a display module are bonded to each other, and a method for cutting the same.

표시 장치는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표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The importance of the display device is increasing with the development of multimedia. In response to this, various types of display device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are being used.

이러한 표시 장치는 TV나 모바일 기기뿐만 아니라 스마트 워치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까지 그 영역을 넓혀 나가고 있다. Such a display device is expanding its scope not only to TVs and mobile devices, but also to wearable devices such as smart watches.

특히, 스마트 워치에 적용되는 표시 장치의 커버 글라스는 통상의 이동 단말기에 적용되는 직사각형 모양에서 벗어나 다양한 형태를 갖고 있다.In particular, the cover glass of a display device applied to a smart watch has various shape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rectangular shape applied to a typical mobile terminal.

일 예로 종래의 표시 장치는 스마트 워치에 적용되어 이동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동되어 여러가지 부가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For example,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is applied to a smart watch and wirelessly interlocked with a mobile terminal to provide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to the user.

상기 표시 장치는 소정의 형태로 형성된 케이스의 내측에 안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면에 밀착되는 커버 글라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module seated inside a case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and a cover glass in close contact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면이 평편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 글라스와 본딩(Bonding)을 통해 서로 간에 결합된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시각적인 시인성 향상을 위해 상기 커버 글라스가 상측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돔 형태(Dome type)로 제작되고 있다.The display module has a flat top surface and is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bonding with the cover glass. Recently, in order to improve the user's visual visibility, the cover glass has been manufactured in a dome type convexly protruding upward.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돔 형태의 커버 글라스와 본딩될 때 상기 커버 글라스의 상측으로 라운드 지게 연장된 테두리 위치에서 본딩에 따른 응력이 불균일 하게 분포하게 되고, 특정 위치에서는 응력(Stress)이 집중되면서 응력 불균형으로 인한 강도 저하의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When the display module is bonded to the dome-shaped cover glass, the stress according to the bonding is unevenly distributed at the edge position that extends roundly to the upper side of the cover glass. There was a problem with the decrease in strength.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본딩된 이후에 응력이 불균일 하게 분포된 위치 주변으로 기포가 발생되거나 주름으로 인한 불량 발생 빈도가 증가되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게 되었다.In addition, after bonding the display module, bubbles are generated around the location where the stress is non-uniformly distributed, or the frequency of defects due to wrinkles increases, so countermeasures are required.

본 실시 예들은 커버 글라스와 본딩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응력 균일도가 향상된 표시 장치 및 이의 커팅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provide a display device having improved stress uniformity of a display module bonded to a cover glass and a cutting method thereof.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돔 형태(Dome type)로 형성된 커버 글라스(100); 커버 글라스(100)의 하면에 결합되며, 활성화된 데이터가 표시되는 액티브 영역(Active area)(AA)(210)과,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뷰 영역(View area)(VA)(220) 및 뷰 영역(220)과 외측으로 이격되어 외측 테두리를 이루는 엣지 라인(231)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00); 및 커버 글라스(100)의 하면에 결합되고,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수용하는 케이스(300)를 포함하되,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커버 글라스(100)와 본딩(Bonding)될 때 디스플레이 모듈(200)에서 응력 불균일이 발생되는 위치를 따라 절단된 절단부(230)가 형성된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over glass 100 formed in a dome type; It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glass 100 and includes an active area (AA) 210 in which activated data is displayed, a view area (VA) 220 and a view area that are visible to the user. a display module 200 including an edge line 231 spaced apart from the 220 and forming an outer rim; and a case 300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glass 100 and accommodating the display module 200 , wherein the display module 200 is bonded to the cover glass 100 when the display module 200 is bonded. ), the cut portion 230 cut along the position where the stress non-uniformity occurs is formed.

커버 글라스(100)는 제1 곡률 반경을 갖는 제1 영역(110); 제1 영역(110)의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며 제2 곡률 반경을 갖는 제2 영역(120)을 포함하고, 절단부(230)는 상기 제2 영역(120)을 구성하는 구간이내에서 절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ver glass 100 includes a first region 110 having a first radius of curvature; It extends outward along the edge of the first region 110 and includes a second region 120 having a second radius of curvature, and the cut portion 230 is cut within a section constituting the second region 120 . characterized in that

절단부(230)는 엣지 라인(231)의 하측 가장 자리의 상단부에서 상측 가장 자리 하단부를 향해 라운드 진 형태로 절단된 제1 절단부(232); 엣지 라인(231)의 좌측 상단 가장 자리에서 우측 상단 가장 자리를 향해 라운드 진 형태로 절단된 제2 절단부(234); 엣지 라인(231)의 우측 가장 자리의 하단부에서 우측 하단 가장 자리의 상단부를 향해 라운드 진 형태로 절단된 제3 절단부(236)를 포함한다.The cut portion 230 includes a first cut portion 232 cut in a round shape from the upper end of the lower edge of the edge line 231 toward the lower end of the upper edge; a second cut portion 234 cut in a round shape from the upper left edge of the edge line 231 toward the upper right edge; It includes a third cut portion 236 cut in a rounded shape from the lower end of the right edge of the edge line 231 toward the upper end of the lower right edge.

제1 내지 제3 절단부(232, 234, 236)는 엣지 라인(231)의 외측에서 뷰 영역(220)의 내측을 향해 라운드 지게 절단된다.The first to third cut portions 232 , 234 , and 236 are roundly cut from the outside of the edge line 231 toward the inside of the viewing area 220 .

제1,3 절단부(232, 236)는 기 엣지 라인(231)의 길이 방향 하측 가장 자리에서 중앙 위치로 갈수록 뷰 영역(View area)(VA)을 향해 만곡 되게 연장되었다가 중앙 위치에서 기 엣지 라인(231)의 상측 가장자리로 갈수록 만곡된 정도가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and third cut portions 232 and 236 are curved from the lower longitudinal edge of the edge line 231 toward the central position toward the view area VA, and then extend from the central position to the edge edge lin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gree of curvature decreases toward the upper edge of (231).

제2 절단부(234)는 엣지 라인(231)의 좌측 상단의 가장 자리에서 폭 방향 중앙 위치로 갈수록 뷰 영역(View area)(VA)(220)을 향해 만곡 되게 연장되었다가 기 중앙 위치에서 우측 상단 가장 자리로 갈수록 만곡된 정도가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cut portion 234 is curved from the upper left edge of the edge line 231 toward the central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toward the view area (VA) 220, and then extends from the upper left edge of the edge line 231 to the upper right corner at the center pos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gree of curvature decreases toward the edge.

제1 절단부(232)와 제3 절단부(236)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상면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 형태로 절단된다.The first cut portion 232 and the third cut portion 236 are cut in a left-right symmetrical form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200 .

절단부(230)는 뷰 영역(220)의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 또는 폭 방향의 중간 위치 에서 엣지 라인(231)의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 또는 폭 방향의 중간 위치까지 이격된 제1 절단 거리(L)까지 절단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ut portion 230 is a first cutting distance (L) spaced apart from an intermediate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an intermediate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iew area 220 to an intermediate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an intermediate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dge line 231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cut up to.

제1 절단 거리(L)는 50um ~ 450um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절단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cutting distance (L) i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cutting distance selected from 50um ~ 450um.

제1 절단 거리(L)는 450u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cutting distance (L) is characterized in that 450um.

표시 장치의 커팅방법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광학 장비가 이동하여 경계면을 인식하는 제1 단계(ST100); 디스플레이 모듈이 조립될 때 응력 불균일이 발생되는 위치를 따라 커팅이 이루어지는 제2 단계(ST200); 및 커팅된 커팅편이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분리되는 제3 단계(ST300)를 포함한다.The cutting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first step (ST100) of recognizing the boundary surface by moving the optical equipment along the outer edge of the display module; a second step (ST200) of cutting along a position where the stress non-uniformity occurs when the display module is assembled; and a third step (ST300) in which the cut pieces are separated from the display module.

본 실시 예들은 커버 글라스와 디스플레이 모듈이 본딩될 때 응력이 불균일 하게 결합되거나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본딩이 이루어진 테두리를 따라 응력의 균일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s, when the cover glass and the display module are bonded, a phenomenon in which the stress is non-uniformly combined or concentrated does not occur, so that the uniformity of the stress is constantly maintained along the bonding edge.

본 실시 예들은 커버 글라스의 두께가 최소화된 상태로 디스플레이 모듈과 안정적인 합착이 가능해지므로 표시 장치의 전제적인 두께를 감소시키고, 변형 및 응력 집중으로 인한 기포 발생 및 주름 발생을 예방할 수 있어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s, since it is possible to stably adhere to the display module with the thickness of the cover glass minimized,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reduced, and the occurrence of bubbles and wrinkles due to deformation and stress concentration can be prevented,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can do.

본 실시 예들은 대량 생산에 따른 표시 장치의 품질 안전성이 향상되고, 불량 발생률이 감소되어 수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s, quality safety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mass production may be improved, and a defect rate may be reduced, thereby contributing to a yield improvement.

도 1은 일 실시 예에 의한 표시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주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글라스와 본딩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모듈의 평면도.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종 단면도.
도 6 내지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내지 3 절단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8은 표시 장치의 커팅 방법에 의한 디스플레이 모듈의 커팅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9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커팅기가 커팅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 내지 도 12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커팅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panel and a peripheral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display module bonded to a cover gla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plan view of a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to 7 are enlarged views showing second to third cut-ou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utting a display module by a method of cutting a display device;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module is cut by the cutter;
10 to 12 are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cutting process of the display module;

본 개시물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물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개시물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개시물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물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물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disclosure, and the present disclosure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When one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nnected to” or “coupled to” with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it is directly connected or coupled to another component or intervening another component. including all cases. On the other hand, when one compon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to” or “directly coupled to” with another component, it indicates that another component is not interposed therebetween.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물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disclosure.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a recited element, step, operation and/or element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steps, operation and/or element.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1은 일 실시 예에 의한 표시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주변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며,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글라스와 본딩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도시한 평면도 이고, 도 4는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모듈의 평면도 이며,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종 단면도 이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reference,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view showing a display panel and a peripheral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3 is a cover glass and bon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a plan view showing a used display module, FIG. 4 is a plan view of the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표시 장치(1)는 돔 형태의 커버 글라스(100)와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직접적으로 본딩될 때 상기 커버 글라스(100)의 라운드 진 곡률로 인해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테두리 위치에서 응력 불균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절단부(230)를 형성하여 응력 균일도가 향상된 본딩을 통해 품질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1 to 4 , in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dome-shaped cover glass 100 and the display module 200 are directly bonded to each other, the round shape of the cover glass 100 is The cut portion 230 is formed so that a stress imbalance does not occur at the edge position of the display module 200 due to true curvature,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through bonding with improved stress uniformity.

이하의 실시 예 들에서 표시 장치(1)는 스마트 워치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설명된 실시 예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표시 장치(1)는 글라스형 단말기(smart glass) 및 HMD(head mounted display)와 같은 다양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에 적용될 수 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display device 1 is described as being applied to a smart watch, but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That is, in various embodiments, the display device 1 may be applied to various wearable devices, such as a glass-type terminal (smart glass) and a head mounted display (HMD).

또한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표시 장치(1)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various embodiments, the display device 1 i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avigation system, a slate PC It may be applied to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slate PC, a tablet PC, an ultrabook,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and a digital signage.

표시 장치(1)는 디스플레이 모듈(200), 데이터 구동 회로(122), 게이트 구동 회로(130), 및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4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 may include a display module 200 , a data driving circuit 122 , a gate driving circuit 130 , and a display controller 140 .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복수의 픽셀 및 픽셀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픽셀은 서브 픽셀 전극(SPE)과 서브 픽셀 전극(SPE)을 구동하는 구동 트랜지스터(DRT)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공통전극(CE)과 발광층(EL)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module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ixels and a plurality of sub-pixels constituting the pixels. The sub-pixel may include a sub-pixel electrode SPE and a driving transistor DRT for driving the sub-pixel electrode SPE, and may further include a common electrode CE and an emission layer EL.

서브 픽셀에서 발광하는 빛이 출사되는 영역은 서브 발광영역으로, 서브 픽셀 전극 보다 더 넓은 크기를 가진다. 3개 이상의 서브 픽셀에서 발광 되는 빛을 혼합하여 원하는 색상의 빛을 구현할 수 있으며, 3개 이상의 서브 발광영역을 포함하여 발광영역으로 구성할 수 있다. 발광영역은 픽셀 전극에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area from which the light emitted from the sub-pixel is emitted is the sub-emission area and has a larger size than the sub-pixel electrode. Light of a desired color can be realized by mixing light emitted from three or more sub-pixels, and a light-emitting region including three or more sub-emission regions can be configured. The light emitting region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pixel electrode.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복수의 서브 픽셀을 구동하기 위한 여러 종류의 신호 배선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픽셀 각각은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 및 하나 이상의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픽셀 각각은 스스로 빛을 내는 발광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소자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마이크로 LED 또는 퀀텀닷(Quantum Dot)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200 may further include various types of signal wires for driving the plurality of sub-pixels. Each of the plurality of sub-pixels may include one or more transistors and one or more capacitors. Each of the plurality of sub-pixels may further include a light emitting device that emits light by itself. For example, the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formed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 micro LED, or a quantum dot.

그리고, 여러 종류의 신호 배선들은 데이터 신호(데이터 전압 또는 영상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신호(스캔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데이터 라인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복수의 게이트 라인은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교차할 수 있다. In addition, various types of signal wirings may include a plurality of data lines transmitting a data signal (data voltage or image signal) and a plurality of gate lines transmitting a gate signal (scan signal). A plurality of data lines may extend in a firs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gate lines may extend in a second direction to cross each other.

여기서, 제1 방향은 수직(vertical, 세로) 방향이고, 제2 방향은 수평(horizontal, 가로) 방향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은 상대적인 것이다. 예를 들어, 수직 방향이 가로 방향이면, 수평 방향은 세로 방향으로 될 수 있다.Here, the first direction may be a vertical (vertical)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may be a horizontal (horizontal, horizontal) direc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relative. For example, if the vertical direction is a horizontal direction,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a vertical direction.

데이터 구동 회로(122)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로서, 복수의 데이터 라인으로 데이터 신호들을 출력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 회로(130)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로서, 복수의 게이트 라인으로 게이트 신호들을 출력할 수 있다. The data driving circuit 122 is a circuit for driving a plurality of data lines, and may output data signals to the plurality of data lines. The gate driving circuit 130 is a circuit for driving a plurality of gate lines, and may output gate signals to the plurality of gate lines.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데이터 구동 회로(122) 및 게이트 구동 회로(130)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서, 복수의 데이터 라인에 대한 구동 타이밍과 복수의 게이트 라인에 대한 구동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The timing controller 140 is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data driving circuit 122 and the gate driving circuit 130 , and may control driving timings for the plurality of data lines and driving timings for the plurality of gate lines.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데이터 구동 회로(122)를 제어하기 위하여 데이터 구동 제어 신호를 데이터 구동 회로(122)에 공급하고, 게이트 구동 회로(130)를 제어하기 위하여 게이트 구동 제어 신호를 게이트 구동 회로(130)에 공급할 수 있다.The timing controller 140 supplies a data driving control signal to the data driving circuit 122 to control the data driving circuit 122 , and applies a gate driving control signal to the gate driving circuit 130 to control the gate driving circuit 130 . 130) can be supplied.

데이터 구동 회로(122)는 타이밍 컨트롤러(140)의 구동 타이밍 제어에 따라 복수의 데이터 라인으로 데이터 신호들을 공급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 회로(130)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40)의 타이밍 제어에 따라 복수의 게이트 라인으로 게이트 신호들을 공급할 수 있다. The data driving circuit 122 may supply data signals to a plurality of data lines according to the driving timing control of the timing controller 140 . The gate driving circuit 130 may supply gate signals to a plurality of gate lines according to timing control of the display controller 140 .

데이터 구동 회로(122)는 COF(Chip On Film) 타입, COG(Chip On Glass) 타입 또는 COP(Chip On Panel) 타입 등일 수 있다. 게이트 구동 회로(130)는 GIP (Gate In Panel) 타입, COF 타입, COG 타입 또는 COP(Chip On Panel) 타입 등일 수 있다. 게이트 구동 회로(130)가 GIP 타입인 경우, 표시패널(100)의 비표시영역(NA)에 게이트 구동 회로(130)가 직접 형성될 수 있다.The data driving circuit 122 may be a chip on film (COF) type, a chip on glass (COG) type, or a chip on panel (COP) type. The gate driving circuit 130 may be a gate in panel (GIP) type, a COF type, a COG type, or a chip on panel (COP) type. When the gate driving circuit 130 is of the GIP type, the gate driving circuit 130 may be directly formed in the non-display area NA of the display panel 100 .

본 실시 예에 의한 표시 장치(1)는 커버 글라스(100)와, 전술한 디스플레이 모듈(200) 및 케이스(30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300)에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밴드(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the cover glass 100 , the display module 200 and the case 300 described above, and the case 300 includes a band (not shown) to be worn on the user's wrist. ) can be combined.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커버 글라스(100)의 하면에 밀착된다.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도 4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화된 데이터가 표시되는 액티브 영역(Active area)(AA)(210)과,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뷰 영역(View area)(VA)(220) 및 상기 뷰 영역(220)과 외측으로 이격되어 외측 테두리를 이루는 엣지 라인(231)을 포함한다. 참고로 논-뷰 영역(NV)(도 5 참조)은 뷰 영역(VA)(220)의 외곽 테두리를 둘러싸는 영역일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2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glass 100 . The display module 200 includes an active area (AA) 210 in which activated data is displayed and a view area (VA) 220 shown to the user, as shown by a dotted line in FIG. 4 . ) and an edge line 231 spaced apart from the view area 220 to form an outer edge. For reference, the non-view area NV (refer to FIG. 5 ) may be an area surrounding the outer edge of the view area VA 220 .

상기 엣지 라인(231)은 실선으로 도시된 부분이 기존에 연장된 경로에 해당되고, 점선으로 도시된 부분(도 4 참조)이 레이저 커팅기를 통해 커팅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해당된다. 상기 엣지 라인(231)은 점선으로 도시된 제1 내지 제3 절단부(232, 234, 236)의 각 모서리 위치에 실선으로 라운드 지며 연장된 부분을 포함한다.In the edge line 231 , a portion indicated by a solid line corresponds to a previously extended path, and a portion indicated by a dotted line (refer to FIG. 4 ) corresponds to a portion cut by a laser cutter. The edge line 231 includes portions that are rounded and extended by a solid line at respective corner positions of the first to third cut portions 232 , 234 , and 236 shown by dotted lines.

상기 액티브 영역(AA)(210)은 화소들이 배치되며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이고, 상기 뷰 영역(VA)(220)은 상기 액티브 영역(AA)(210)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뷰 영역(VA)(220)은 액티브 영역(AA)(210)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The active area AA 210 may be an area in which pixels are disposed and an image is displayed, and the view area VA 220 may be disposed around the active area AA 210 . For example, the view area VA 220 may be disposed along the edge of the active area AA 210 .

상기 뷰 영역(220)에는 화소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로써, 예를 들어 게이트 구동부, 데이터 구동부 등이 배치될 수 있다.As a driver for driving pixels, for example, a gate driver and a data driver may be disposed in the view region 220 .

케이스(300)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하부면에 결합되며,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수용하는 삽입 홈(310)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 홈(310)은 도시된 형태와 크기로 한정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The case 300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200 , and an insertion groove 310 for accommodating the display module 200 is formed. The insertion groove 310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shape and size,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커버 글라스(100)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상부면을 커버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커버 글라스(100)는 평판 형태가 아닌 직사각형의 곡면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커버 글라스(100)의 형태는 이로써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커버 글라스(100)는 정사각형,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의 곡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ver glass 100 is provid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200 . The cover glass 100 is formed in a rectangular curved surface rather than a flat plate shape. However, the shape of the cover glass 100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 various embodiments, the cover glass 100 may have a curved surface such as a square, a circle, an oval, or a polygon.

또한 상기 커버 글라스(100)는 모서리가 곡면 또는 직각으로 처리되거나, 적어도 일 영역에서 두께가 변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ver glass 100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edge is processed to be curved or a right angle, or the thickness of the cover glass 100 changes in at least one region.

본 실시 예에서, 커버 글라스(100)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액티브 영역(AA)(210)과 제1 영역(110)(도 3 참조) 및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뷰 영역(220)과 대응하는 제2 영역(120)(도 3 참조)을 포함한다. 제1 영역(110)은 커버 글라스(100)의 중앙 영역으로,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액티브 영역(210)과 중첩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액티브 영역(210)에서 출력되는 영상은 커버 글라스(100)의 제1 영역(110)을 투과하여 사용자에게 시인 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cover glass 100 includes an active area (AA) 210 and a first area 110 (refer to FIG. 3 ) of the display module 200 and a viewing area 220 of the display module 200 and and a corresponding second region 120 (see FIG. 3 ). The first area 110 is a central area of the cover glass 100 and is disposed to overlap the active area 210 of the display module 200 . An image output from the active area 210 of the display module 200 may be viewed by a user through the first area 110 of the cover glass 100 .

상기 제2 영역(120)은 커버 글라스(100)의 중앙 영역을 둘러싸는 가장자리 영역(테두리 영역)으로, 적어도 일부가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뷰 영역(220)에 중첩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커버 글라스(100)의 제2 영역(120)은 제1 영역(110)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영역(120)은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비활성 영역보다 넓게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뷰 영역(220)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second area 120 is an edge area (a border area) surrounding the central area of the cover glass 100 , and at least a portion thereof is disposed to overlap the view area 220 of the display module 200 . The second region 120 of the cover glass 100 may be disposed along the edge of the first region 110 . The second area 120 may be formed wider than the non-active area of the display module 200 to cover the outside of the display module 200 from the view area 220 of the display module 200 .

본 실시 예에서 제1 영역(110)은 대체로 평면에 가까운 형태를 가지며, 제1 곡률 반경(R1, Radius of Curvature)을 가질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region 110 may have a substantially planar shape, and may have a first radius of curvature R1 (Radius of Curvature).

상기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제1 영역(110)이 평면에 가까운 형태를 가지므로, 디스플레이 모듈(200)에서 출력되어 커버 글라스(100)를 통과하는 영상이 왜곡 없이 사용자에게 시인 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region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hape close to a plane, an image output from the display module 200 and passing through the cover glass 100 can be recognized by the user without distortion.

커버 글라스(100)의 제2 영역(120)은 제1 곡률 반경(R1)과 상이한 제2 곡률 반경(R2)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곡률 반경(R2)은 제1 곡률 반경(R1)보다 크게 형성된다. The second region 120 of the cover glass 100 is formed with a second radius of curvature R2 different from 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R1, and the second radius of curvature R2 is greater than 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R1. formed large.

본 실시 예는 커버 글라스(100)의 하면에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밀착된 상태로 본딩되며, 이 경우 커버 글라스(100)의 두께가 최소화되어 표시 장치(1)의 전체적인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display module 200 is bon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glass 100 in a state in which it is in close contact, and 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cover glass 100 is minimized, so that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1 can be reduced. .

상기 커버 글라스(100)는 돔 형태의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00)과 직접적으로 본딩될 경우 상기 커버 글라스(100)의 휘어진 곡률로 인해 응력이 불 균일 해지지 않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길이 방향 좌측과 우측 및 폭 방향 상측 위치에서 절단부(230)가 형성된다.The cover glass 100 has a dome-shaped curve, so that when it is directly bonded to the display module 200, stress is not non-uniform due to the curved curvature of the cover glass 100. The cut portion 230 is formed at left and right posi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upper positions in the width direction.

상기 절단부(23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사각 형태의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좌측과 우측 길이 방향과 상측 폭 방향을 라운드 지게 절단한 것으로 일 예로 레이저 커팅기(미도시)를 통해 절단된다. 상기 레이저 커팅기는 레이저를 이용한 커팅기로 커팅되는 폭이 좁고 일정하며 정확도가 우수하여 정밀한 폭으로 정확하게 절단이 필요할 경우 사용된다.The cutting part 230 is cut in a round shape in the left and right longitudinal directions and the upper width direction of the rectangular display module 200 in the form shown in the drawing. For example, it is cut through a laser cutter (not shown). . The laser cutting machine is used when it is necessary to precisely cut with a precise width due to a narrow, constant, and excellent accuracy of cutting with a cutting machine using a laser.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커버 글라스(100)와 본딩될 때 합착기(미도시)에 의해 순간적으로 가해지는 응력에 의해 전술한 위치에서 불균일하게 늘어나거나 압축되지 않도록 절단부(230)가 형성되어 있어 응력 불균형이 해소되고 위치에 따른 응력 균일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결합 안정성 또한 향상되어 공정 불량률이 감소되어 수율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200 has a cut portion 230 formed so that it is not unevenly stretched or compressed at the above-described position by the stress instantaneously applied by a bonding machine (not shown) when it is bonded to the cover glass 100 . The stress imbalance is resolved and the uniformity of stress according to the position can be kept constant, so the bonding stability is also improved, thereby reducing the process defect rate and improving the yield.

본 실시 예에 의한 절단부(230)는 일 예로 상기 엣지 라인(231)의 하측 가장 자리의 상단부(P1)에서 상측 가장 자리 하단부(P2)를 향해 라운드 진 형태로 절단된 제1 절단부(232)와, 상기 엣지 라인(231)의 좌측 상단 가장 자리(P3)에서 우측 상단 가장 자리(P4)를 향해 라운드 진 형태로 절단된 제2 절단부(234)와, 상기 엣지 라인(231)의 우측 가장 자리의 하단부(P5)에서 우측 하단 가장 자리의 상단부(P6)를 향해 라운드 진 형태로 절단된 제3 절단부(236)를 포함한다. 참고로 A는 기존의 엣지 라인을 나타낸다.The cut portion 23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for example, a first cut portion 232 cut in a round shape from the upper end portion P1 of the lower edge of the edge line 231 toward the lower edge portion P2 of the upper edge. , the second cut portion 234 cut in a round shape from the upper left edge (P3) to the upper right edge (P4) of the edge line (231), and the right edge of the edge line (231) It includes a third cutout 236 cut in a rounded shape from the lower end P5 toward the upper end P6 of the lower right edge. For reference, A indicates an existing edge line.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커버 글라스(100)와 본딩되는 위치가 응력이 주로 집중되는 위치를 피해 상기 제1 내지 제3 절단부(232, 234, 236)가 형성된 위치에서 본딩이 이루어짐으로써 균일하게 응력이 분산된 상태로 커버 글라스(100)와 직접적인 본딩에 의한 결합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The display module 200 avoids the position where the stress is mainly concentrated in the position where the cover glass 100 is bonded and the bonding is performed at the positions where the first to third cut parts 232 , 234 , 236 are formed, so that the stress is uniformly applied. In this dispersed state, the bonding force by direct bonding with the cover glass 100 is stably maintained.

상기 제1 내지 제3 절단부(232, 234, 236)는 상기 엣지 라인(231)의 각 모서리 위치에서 상기 뷰 영역(220)의 내측을 향해 라운드 지게 절단되는 경로를 갖고 연장된다.The first to third cut portions 232 , 234 , and 236 extend along a path that is cut roundly toward the inside of the viewing area 220 at each corner position of the edge line 231 .

제1 내지 제3 절단부(232, 234, 236)가 이와 같이 연장되는 이유는 기존에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A위치)에서 커버 글라스(100)와 본딩될 경우 응력이 불 균일하게 분포하게 됨으로써 응력 균일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않아 위와 같이 라운드 지게 연장된 경로를 갖는다.The reason that the first to third cut portions 232 , 234 , and 236 are extended in this way is that when bonding to the cover glass 100 at the position (position A) shown by the solid line, the stress is unevenly distributed, so that the stress The uniformity is not maintained stably, so it has a round and extended path as above.

일 실시 예에 의한 제1,3 절단부(232, 236)는 상기 엣지 라인(231)의 길이 방향 하측 가장 자리에서 중앙 위치로 갈수록 상기 뷰 영역(View area)(VA)(220)을 향해 만곡되게 연장되었다가 상기 중앙 위치에서 상기 엣지 라인(231)의 상측 가장자리로 갈수록 만곡된 정도가 감소될 수 있다.The first and third cut portions 232 and 236 according to an embodiment are curved toward the view area (VA) 220 from the lower ed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dge line 231 to the central position. After extending, the degree of curvature may decrease from the central position toward the upper edge of the edge line 231 .

상기 제1,3 절단부(232, 236)가 이와 같이 연장되는 이유는 상기 엣지 라인(231)의 좌측과 우측 길이 방향에서 연장된 구간에서 주로 응력이 불 균일 해지므로 상기 위치에서의 응력을 균일하게 유지 하기 위해서이다. 본 실시 예의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제1,3 절단부(232, 236)가 연장될 경우 커버 글라스(100)와 본딩될 때 응력 불 균일로 인한 문제점이 해소되고 균일한 응력 분포가 유지되어 결합 안정성이 향상된다.The reason that the first and third cut portions 232 and 236 are extended in this way is that stress is mainly non-uniform in the section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longitudinal directions of the edge line 231, so that the stress at the position is uniformly is to keep When the first and third cut portions 232 and 236 are extended to the positions shown by the dotted lines in this embodiment, the problem due to the stress non-uniformity when bonding with the cover glass 100 is solved, and the uniform stress distribution is maintained to ensure bonding stability This is improved.

상기 제1,3 절단부(232, 236)는 상기 엣지 라인(231)의 길이 방향 하측 가장 자리(P1)에서 중앙 위치로 갈수록 상기 뷰 영역(View area)(VA)(220)을 향해 만곡 되게 연장되었다가 상기 중앙 위치에서 상기 엣지 라인(231)의 상측 가장자리(P2)로 갈수록 만곡된 정도가 감소되는 타원 형태로 절단된다.The first and third cut portions 232 and 236 extend to be curved toward the view area (VA) 220 from the lower longitudinal edge P1 of the edge line 231 toward the central position. Then, it is cut in an elliptical shape in which the degree of curvature decreases from the central position toward the upper edge P2 of the edge line 231 .

이와 같이 절단되는 이유는 기존의 사각 평면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경우 엣지 라인을 따라 응력이 균일하게 유지되지 못하는데, 특히 엣지 라인(231)의 좌측과 우측 길이 방향에서 응력이 불균일하게 분포되는 경우가 있어 상기 응력 불균일 위치가 주로 절단 된다.The reason for this cut is that,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rectangular flat display panel, the stress is not uniformly maintained along the edge line. In particular, there are cases where the stress is unevenly distributed in the left and right longitudinal directions of the edge line 231. The stress non-uniform position is mainly cut.

상기 위치는 상대적으로 응력이 낮게 유지되는 이웃한 영역과 상당한 응력 차이를 유발하게 되면서 주된 변형이 발생되는 위치에 해당되므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엣지 라인(231)의 좌측과 우측 길이 방향에서 응력이 집중되지 않도록 상기 뷰 영역(220)의 중간 위치를 향해 만곡 되게 절단된다.Since the position corresponds to the position where the main deformation occurs while causing a significant stress difference with the neighboring region where the stress is maintained relatively low, in this embodiment, the stress in the left and right longitudinal directions of the edge line 231 is The cut is curved toward the middle position of the viewing area 220 so as not to be concentrated.

상기 엣지 영역(230)의 각 모서리 위치는 좌우측 길이 방향 중간 위치와 상측 폭 방향의 중간 위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응력이 집중되거나 불균일해지는 현상이 적어 상기 위치에는 뷰 영역(220)을 향해 만곡 되게 절단되지 않고 기존의 레이 아웃이 그대로 유지된다.Each corner position of the edge region 230 has relatively less stress concentration or non-uniformity compared to the middle position in the left and right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middle position in the upper width direction, so it is curved toward the view region 220 at the position. and the existing layout is maintained as it is.

상기 제2 절단부(234)는 상기 엣지 라인(231)의 좌측 상단의 가장 자리(P3)에서 폭 방향 중앙 위치로 갈수록 상기 뷰 영역(View area)(VA)을 향해 만곡 되게 연장되었다가 상기 중앙 위치에서 우측 상단 가장 자리(P4)로 갈수록 만곡된 정도가 감소되는 타원 형태로 절단된다.The second cut portion 234 is curved from the upper left edge P3 of the edge line 231 toward the central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toward the view area VA, and then extends toward the central position. It is cut in the shape of an ellipse in which the degree of curvature decreases as it goes to the upper right edge (P4).

상기 제2 절단부(234)의 위치는 전술한 엣지 라인(231)의 좌우측과 유사하게 응력이 집중되거나 불균일 해 질 수 있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 되게 연장된다.The position of the second cut portion 234 is similar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bove-described edge line 231, the stress may be concentrated or non-uniform, so as to extend to be curved as shown in the drawing.

상기 제1 내지 제3 절단부(232, 234, 236)는 액티브 영역(210)의 외측에서 절단되므로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안정적인 구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으로 절단될 수 있다.Since the first to third cut portions 232 , 234 , and 236 are cut outside the active region 210 , they may be stably cut without affecting the stable driving of the display module 200 .

또한 상기 제1 절단부(232)와 상기 제3 절단부(236)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상면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 형태로 절단되므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좌측 또는 우측 어느 위치에 응력이 불균일 해지거나 집중되지 않고 제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cut part 232 and the third cut part 236 are cut in a left-right 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200 , the stress is applied to any position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display module 200 . Fabrication can be achieved without being non-uniform or non-concentrated.

도 5에 도시된 단면도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외곽 영역에 대한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The cross-sectional view shown in FIG. 5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outer region of the display module 200 .

첨부된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외곽 영역은 액티브 영역(AA)(210)의 일부분과 비표시영역(NA)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표시 영역(NA)은 전술한 뷰 영역(VA)(220)의 외곽 테두리를 둘러싸는 영역에 해당된다.4 to 5 , the outer area of the display module 200 may include a portion of the active area AA 210 and the non-display area NA. Here, the non-display area NA corresponds to an area surrounding the outer edge of the aforementioned view area VA 220 .

액티브 영역(AA)(210) 내의 각 서브 픽셀(SP)에서의 구동 트랜지스터(DRT)는 기판(2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기판(2110)은 투명 기판일 수 있다.The driving transistor DRT in each sub-pixel SP in the active area AA 210 may be disposed on the substrate 2110 . Here, the substrate 2110 may be a transparent substrate.

구동 트랜지스터(DRT)는 게이트 전극(G), 소스 전극(S), 및 드레인 전극(D)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DRT)는 반도체층(SEMI)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ing transistor DRT may include a gate electrode G, a source electrode S, and a drain electrode D. The driving transistor DRT may further include a semiconductor layer SEMI or the like.

게이트(G)와 반도체층(SEMI) 사이에는 게이트 절연막(GI)이 위치한다. 소스 전극(S)은 절연층(INS) 상에 형성되어 반도체층(SEMI)의 일측과 홀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드레인 전극(D)은 절연층(INS) 상에 형성되어 반도체층(SEMI)의 타측과 홀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A gate insulating layer GI is positioned between the gate G and the semiconductor layer SEMI. The source electrode S may be 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 INS a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miconductor layer SEMI through a hole. The drain electrode D may be 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 INS and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miconductor layer SEMI through a hole.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인 발광소자(ED)는 애노드 전극에 해당하는 서브 픽셀 전극(SPE)과, 서브 픽셀 전극(SPE) 상에 형성되는 발광층(EL)과, 발광층(EL) 상에 형성되며 캐소드 전극에 해당하는 공통전극(CE)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서브 픽셀 전극(SPE)은 애노드 전극이고, 공통전극(CE)은 캐소드 전극일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device ED, which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s formed on a sub pixel electrode SPE corresponding to an anode electrode, a light emitting layer EL formed on the sub pixel electrode SPE, and a light emitting layer EL, A common electrode CE corresponding to the cathode electrode may be included. As another example, the sub-pixel electrode SPE may be an anode electrode, and the common electrode CE may be a cathode electrode.

서브 픽셀 전극(SPE)은 제1 평탄화 층(PLN1)에 있는 평탄화 층 홀(PLN_CH)을 통해 노출된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드레인 전극(D)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sub-pixel electrode SP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D of the driving transistor DRT exposed through the planarization layer hole PLN_CH in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PLN1 .

발광층(EL)은 뱅크(BANK)에 의해 마련된(노출된) 발광영역(PA)의 서브 픽셀 전극(SPE) 상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발광층(EL)은 정공 관련층, 발광층 및 전자 관련층 등을 포함하는 스택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공통전극(CE)은 발광층(EL)을 사이에 두고 서브 픽셀 전극(SPE)과 대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emission layer EL is formed on the sub-pixel electrode SPE of the emission area PA provided (exposed) by the bank BANK. For example, the emission layer EL may have a stack structure including a hole-related layer, an emission layer, and an electron-related layer. The common electrode CE may be formed to face the sub-pixel electrode SPE with the emission layer EL interposed therebetween.

발광소자(ED)는 수분이나 산소에 취약할 수 있어, 수분이나 산소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봉지층(2120)을 형성한다. 봉지층(2120)은 하나의 층으로 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복수의 층(PAS1, PCL, PAS2)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ince the light emitting device ED may be vulnerable to moisture or oxygen, an encapsulation layer 2120 is formed to prevent exposure to moisture or oxygen. The encapsulation layer 2120 may be formed of one layer, but may also include a plurality of layers PAS1, PCL, and PAS2, but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봉지층(2120)이 복수의 층(PAS1, PCL, PAS2)으로 이루어진 경우 봉지층(2120)은 하나 이상의 무기 봉지층(PAS1, PAS2)과 하나 이상의 유기 봉지층(PCL)을 포함할 수 있다. 봉지층(2120)은 제1 무기 봉지층(PAS1)과, 유기 봉지층(PCL) 및 제2 무기 봉지층(PAS2)이 순서대로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encapsulation layer 2120 includes a plurality of layers PAS1, PCL, and PAS2, the encapsulation layer 2120 includes one or more inorganic encapsulation layers PAS1 and PAS2 and at least one organic encapsulation layer PCL. can do. The encapsulation layer 212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inorganic encapsulation layer PAS1, the organic encapsulation layer PCL, and the second inorganic encapsulation layer PAS2 are sequentially stacked.

제1 무기 봉지층(PAS1)은 공통전극(CE) 상에 배치되고, 발광 소자(ED)와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1 무기 봉지층(PAS1)은 저온 증착이 가능한 무기 절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inorganic encapsulation layer PAS1 is disposed on the common electrode CE and is disposed closest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ED. The first inorganic encapsulation layer PAS1 may be formed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capable of low-temperature deposition.

예를 들어, 제1 무기 봉지층(PAS1)은 질화 실리콘(SiNx), 산화 실리콘(SiOx), 산화질화실리콘(SiON) 또는 산화 알루미늄(Al2O3) 등일 수 있다. 제1 무기 봉지층(PAS1)이 저온 분위기에서 증착되기 때문에, 증착 공정 시, 제1 무기 봉지층(PAS1)은 고온 분위기에 취약한 유기물을 포함하는 발광층(EL)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inorganic encapsulation layer PAS1 may be made of silicon nitride (SiNx), silicon oxide (SiOx), silicon oxynitride (SiON), or aluminum oxide (Al2O3). Since the first inorganic encapsulation layer PAS1 is deposited in a low temperature atmosphere, during the deposition process, the first inorganic encapsulation layer PAS1 may prevent the light emitting layer EL including an organic material vulnerable to a high temperature atmosphere from being damaged.

유기 봉지층(PCL)은 제1 무기 봉지층(PAS1)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유기 봉지층(PCL)은 제1 무기 봉지층(PAS1)의 양 끝단 또는 양측을 노출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기 봉지층(PCL)은 유기발광표시장치인 표시장치(100)의 휘어짐에 따른 각 층들 간의 응력을 완화시키는 완충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유기 봉지층(PCL)은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 또는 실리콘옥시카본(SiOC) 등일 수 있으며, 유기 절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유기 봉지층(PLC)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organic encapsulation layer PCL may have a smaller area than the first inorganic encapsulation layer PAS1 . In this case, the organic encapsulation layer PCL may be formed to expose both ends or both sides of the first inorganic encapsulation layer PAS1 . The organic encapsulation layer PCL may serve as a buffer for relieving stress between layers due to bending of the display device 100, which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For example, the organic encapsulation layer (PCL) may be an acrylic resin, an epoxy resin, polyimide, polyethylene, or silicon oxycarbon (SiOC), and may be formed of an organic insulating material. The material of the organic encapsulation layer PLC is not limited thereto.

편광층(POL)(도 5 참조)은 빛을 편광 시켜 반사시키는 역활을 하면 이 경우 사용자의 눈부심 또는 빛 번짐이 감소될 수 있다.If the polarization layer (POL) (refer to FIG. 5) polarizes and reflects light, in this case, the user's glare or light blur may be reduced.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제조공정 중 액상의 봉지층(2120)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봉지층(2120)의 외곽 영역에 하나 이상의 댐(DAM1, DAM2)을 배치 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liquid encapsulation layer 2120 from collapsing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display module 200 may arrange one or more dams DAM1 and DAM2 in the outer region of the encapsulation layer 2120 .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복수의 발광영역(PA)과 투과영역에 배치되고 공통 전극(CE) 상에 위치하는 봉지층(2120)과, 봉지층(2120)의 외곽에 위치하는 댐(DAM)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봉지층(2120)은 외곽에서 경사면(2300)을 포함한다. The display module 200 includes an encapsulation layer 2120 disposed on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areas PA and the transmissive area and positioned on the common electrode CE, and a dam DAM positioned outside the encapsulation layer 2120 . may include The encapsulation layer 2120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2300 at the outside.

이와 같이 구성된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절단부(230)가 상기 뷰 영역(VA)(210)의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 또는 폭 방향의 중간 위치 에서 상기 엣지 라인(231)의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 또는 폭 방향의 중간 위치까지 이격된 제1 절단 거리(L)까지 절단될 수 있다.In the display module 2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cutting portion 230 is positioned at an intermediate position or wid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dge line 231 at an intermediate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iew area VA 210 or at an intermediate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It can be cut up to a first cutting distance L spaced apart to an intermediate position in the direction.

상기 제1 절단 거리(L)는 50um ~ 450um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절단 거리일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 제1 절단 거리(L)는 450um로 절단될 수 있다.The first cutting distance L may be any one cutting distance selected from 50um to 450um, and for example, the first cutting distance L may be cut to 450um.

이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200)에서 발생되는 응력은 최소 0.062이고, 최대 2.233으로 유지되므로 기존 보다 상당히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다.In this case, it can be seen that the stress generated in the display module 200 is maintained at a minimum of 0.062 and a maximum of 2.233, which is significantly improved than before.

첨부된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2 절단부(234)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상측 폭 방향에서 발생 가능한 응력 불균일이 감소되도록 P3 위치에서 P4 위치를 향해 뷰 영역(220)을 바라보며 타원 형태로 절단되는 궤적이 유지된다.6 to 7 , the second cut portion 234 is an ellipse while looking at the view area 220 from the P3 position toward the P4 position so that the stress non-uniformity that may occur in the upper width direction of the display panel 200 is reduced. The trajectory to be cut in the shape is maintained.

참고로 가는 선으로 도시된 엣지 라인은 본 실시 예와 비교하기 위해 도시된 기존의 엣지 라인을 나타낸 것이다.For reference, an edge line shown as a thin line represents an existing edge line shown for comparison with the present embodiment.

본 실시 예에 의한 제3 절단부(236)는 제2 절단부(234)와 같이 P5 위치에서 P6 위치를 향해 뷰 영역(220)을 바라보며 타원 형태로 절단되는 궤적이 유지된다.The third cut portion 236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intains a trajectory cut in an elliptical shape while looking at the view area 220 from the P5 position toward the P6 position like the second cut portion 234 .

이와 같이 절단이 가능한 이유는 레이저 커팅기를 이용하여 정확히 절단하고자 하는 형태로 최소한의 폭으로 절단이 가능해진다.The reason that the cutting is possible in this way is that it is possible to cut with a minimum width in the shape to be cut accurately using a laser cutter.

첨부된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실시 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커팅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참고로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도면은 레이저 커팅이 실시되는 단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임을 밝혀둔다. 또한 켓팅은 레이저 커팅기를 이용한 커팅 방식이 사용되다.A method of cutting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S. 8 to 12 . For referenc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rawings shown in FIGS. 10 to 11 are diagrams conceptually illustrating a step in which laser cutting is performed. In addition, a cutting method using a laser cutter is used for ketting.

이를 위해 본 실시 예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광학 장비가 이동하여 경계면을 인식하는 제1 단계(ST100)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조립될 때 응력 불균일이 발생되는 위치를 따라 커팅이 이루어지는 제2 단계(ST200) 및 상기 커팅된 커팅편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분리되는 제3 단계(ST300)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first step (ST100) of recognizing an interface by moving the optical equipment along the outer edge of the display module, and a second step in which cutting is performed along the position where the stress non-uniformity occurs when the display module is assembled. and a third step (ST300) in which the cut pieces are separated from the display module (ST200).

상기 제1 단계(ST100)는 카메라와 같은 인식 장비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상면 가장 자리를 따라 이동하면서 유리 기판과 POL(편광층)의 경계면을 인식한다.In the first step ST100, a recognition device such as a camera recognizes the interface between the glass substrate and the POL (polarization layer) while moving along the upper edge of the display module 200 .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대한 카메라 인식이 모두 종료된 이후에는 레이저 절단기가 전술한 절단부의 경로를 따라 절단이 실시된다. 상기 레이저 절단기는 이산화 탄소 레이저 커팅기가 사용되거나 다른 레이저 커팅기가 사용될 수 있다.And, after the camera recognition of the display panel 200 is finished, the laser cutting machine is cut along the path of the above-described cutting part. As the laser cutter, a carbon dioxide laser cutter may be used or other laser cutters may be used.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레이저 커팅이 종료된 이후에 별도로 구비된 그리퍼(G)가 기 절단된 커팅편(2)을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좌우측 양단에서 파지한 후에 점선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된 후에 별도의 위치로 이동시키면 작업이 종료된다.The display panel 200 is moved along the movement path of the dotted line after the laser cutting is finished, after the gripper G, which is provided separately, grips the pre-cut cutting pieces 2 at both ends of the display module 200 on the left and right. If you move it to a separate location afterward, the job is finished.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It will be possi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by, etc., which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커버 글라스
200: 디스플레이 모듈
210 : 액티브 영역
220 : 뷰 영역
230 : 절단부
231 : 엣지 라인
232, 234, 236 : 제1, 2, 3 절단부
300 : 케이스
100: cover glass
200: display module
210: active area
220 : view area
230: cut part
231: edge line
232, 234, 236: first, second, third cut
300: case

Claims (11)

돔 형태(Dome type)로 형성된 커버 글라스(100);
상기 커버 글라스(100)의 하면에 결합되며, 활성화된 데이터가 표시되는 액티브 영역(Active area)(AA)(210)과,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뷰 영역(View area)(VA)(220) 및 상기 뷰 영역(220)과 외측으로 이격되어 외측 테두리를 이루는 엣지 라인(231)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00); 및
상기 커버 글라스(100)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수용하는 케이스(300)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상기 커버 글라스(100)와 본딩(Bonding)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00)에서 응력 불균일이 발생되는 위치를 따라 절단부(230)가 형성된 표시 장치.
a cover glass 100 formed in a dome type;
An active area (AA) 210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glass 100 in which activated data is displayed, a view area (VA) 220 visible to the user, and the a display module 200 including an edge line 231 spaced apart from the view area 220 to form an outer edge; and
A case 300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glass 100 and accommodating the display module 200,
When the display module 200 is bonded to the cover glass 100 , a cutout 230 is formed along a position where the stress non-uniformity occurs in the display module 2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글라스(100)는 제1 곡률 반경을 갖는 제1 영역(110);
상기 제1 영역(110)의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며 제2 곡률 반경을 갖는 제2 영역(120)을 포함하고,
상기 절단부(230)는 상기 제2 영역(120)을 구성하는 구간이내에서 절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ver glass 100 may include a first region 110 having a first radius of curvature;
and a second region 120 extending outwardly along the edge of the first region 110 and having a second radius of curvature,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ut portion (230) is cut within a section constituting the second region (1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230)는 상기 엣지 라인(231)의 하측 가장 자리의 상단부에서 상측 가장 자리 하단부를 향해 라운드 진 형태로 절단된 제1 절단부(232);
상기 엣지 라인(231)의 좌측 상단 가장 자리에서 우측 상단 가장 자리를 향해 라운드 진 형태로 절단된 제2 절단부(234);
상기 엣지 라인(231)의 우측 가장 자리의 하단부에서 우측 하단 가장 자리의 상단부를 향해 라운드 진 형태로 절단된 제3 절단부(236)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ut portion 230 includes a first cut portion 232 cut in a rounded shape from the upper end of the lower edge of the edge line 231 toward the lower end of the upper edge;
a second cut portion 234 cut in a round shape from the upper left edge of the edge line 231 toward the upper right edge;
and a third cutout 236 cut in a rounded shape from a lower end of a right edge of the edge line 231 toward an upper end of the lower right edg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절단부(232, 234, 236)는 상기 엣지 라인(231)의 외측에서 상기 뷰 영역(220)의 내측을 향해 라운드 지게 절단된 표시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to third cut portions 232 , 234 , and 236 are roundly cut from the outside of the edge line 231 toward the inside of the view area 22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3 절단부(232, 236)는 상기 엣지 라인(231)의 길이 방향 하측 가장 자리에서 중앙 위치로 갈수록 상기 뷰 영역(View area)(VA)을 향해 만곡되게 연장되었다가 상기 중앙 위치에서 상기 엣지 라인(231)의 상측 가장자리로 갈수록 만곡된 정도가 감소되는 표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d third cut portions 232 and 236 are curved from the lower edge of the edge line 23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central position and curved toward the view area VA, and then at the central position. A display device in which a degree of curvature decreases toward an upper edge of the edge line 231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단부(234)는 상기 엣지 라인(231)의 좌측 상단의 가장 자리에서 폭 방향 중앙 위치로 갈수록 상기 뷰 영역(View area)(VA)(220)을 향해 만곡되게 연장되었다가 상기 중앙 위치에서 우측 상단 가장 자리로 갈수록 만곡된 정도가 감소되는 표시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cut part 234 is curvedly extended toward the view area (VA) 220 from the upper left edge of the edge line 231 toward the central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n extends to the central position. A display device in which the degree of curvature decreases toward the upper right edge of the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단부(232)와 상기 제3 절단부(236)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상면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 형태로 절단된 표시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cut portion 232 and the third cut portion 236 are cut in a left-right symmetrical form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200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230)는 상기 뷰 영역(220)의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 또는 폭 방향의 중간 위치 에서 상기 엣지 라인(231)의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 또는 폭 방향의 중간 위치까지 이격된 제1 절단 거리(L)까지 절단 가능한 표시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cut portion 230 is a first cutting distance spaced apart from the intermediate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intermediate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iewing area 220 to the intermediate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intermediate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dge line 231 (L) Cuttable display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단 거리(L)는 50um ~ 450um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절단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cutting distance L is any one cutting distance selected from 50um to 450um.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단 거리(L)는 450u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cutting distance L is 450um.
디스플레이 모듈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광학 장비가 이동하여 경계면을 인식하는 제1 단계(ST100);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조립될 때 응력 불균일이 발생되는 위치를 따라 커팅이 이루어지는 제2 단계(ST200); 및
상기 커팅된 커팅편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분리되는 제3 단계(ST300)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커팅방법.
A first step of recognizing the boundary surface by moving the optical equipment along the outer edge of the display module (ST100);
a second step (ST200) of cutting along a position where the stress non-uniformity occurs when the display module is assembled; and
and a third step (ST300) of separating the cut cutting pieces from the display module.
KR1020200186714A 2020-12-29 2020-12-29 Display Apparatus and cutting method of Display Apparatus KR2022009495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714A KR20220094958A (en) 2020-12-29 2020-12-29 Display Apparatus and cutting method of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714A KR20220094958A (en) 2020-12-29 2020-12-29 Display Apparatus and cutting method of Display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4958A true KR20220094958A (en) 2022-07-06

Family

ID=82400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6714A KR20220094958A (en) 2020-12-29 2020-12-29 Display Apparatus and cutting method of 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495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7427B2 (en) Display panel with dam structure
US11038151B2 (en) Display device
CN110660322B (en) Display device
CN108987437B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758799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200027940A1 (en) Display panel,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US11532797B2 (en) Display apparatus including glass substrates
US10483330B2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N111863901B (en) Stretcha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10332940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20180117770A (e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JP2018138966A (en) Display
CN113328054B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20230329065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102408469B1 (en)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reof,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display panel
US10845639B2 (en) Display device
KR20220094958A (en) Display Apparatus and cutting method of Display Apparatus
JP2017146374A (en) Electro-optic device, manufacturing method for electro-optic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160001857A (en)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and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CN114008790A (en) Display device
US11475804B2 (en) Display panel having an auxiliary layer overlapped with a bendable region
KR102434387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220209198A1 (en)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20230038990A1 (en) Display device
US20230044218A1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