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4873A - Cleaner - Google Patents
Clea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94873A KR20220094873A KR1020200186533A KR20200186533A KR20220094873A KR 20220094873 A KR20220094873 A KR 20220094873A KR 1020200186533 A KR1020200186533 A KR 1020200186533A KR 20200186533 A KR20200186533 A KR 20200186533A KR 20220094873 A KR20220094873 A KR 202200948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ction
- pipe
- suction pipe
- path
- blow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8—Pneumatically dislodging or taking-up undesirable matter or small objects; Drying by heat only or by streams of gas; Cleaning by projecting abrasive particles
- E01H1/0827—Dislodging by suction; Mechanical dislodging-cleaning apparatus with independent or dependent exhaust, e.g. dislodging-sweeping machines with independent suction nozzles ; Mechanical loosening devices working under vacuum
- E01H1/0836—Apparatus dislodging all of the dirt by suction ; Suction nozz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08B5/043—Cleaning travell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청소기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깥 공간에서 흡입 압력을 이용하여 낙엽 등을 빨아들이거나 또는 바람을 불어 청소시키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낙엽 청소기는 바깥 공간(주로 길거리 등)에 마구잡이로 늘어져 있는 낙엽 등의 이물질(이하 이물질)을 청소하기 위한 장치로서, 주로 이물질들에 대하여 바람을 불어서 이물질 등을 한 자리에 모아 넣고, 모여진 이물질들에 대하여 사람이 직접 포대자루 등에 퍼 담아서 청소하는 등의 과정을 통해 바깥 공간을 청소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낙엽 청소기는, 바람을 부는 한 가지 기능밖에 제공하지 못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단순하게 제작되며, 또한 모아놓은 이물질에 대해서는 사람이 퍼담아 청소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이에 대한 불편함을 호소하여 개선의 필요성이 있어왔다.A leaf vacuum cleaner is a device for cleaning foreign substances (hereinafter, foreign substances) such as fallen leaves that are randomly hanging in an outside space (mainly on the street). It is a device for cleaning the outside space through a process such as cleaning by putting it in a sack and cleaning it. The general leaf cleaner as described above is manufactured simply because it has a configuration that can provide only one function of blowing, and since people collect and clean the collected foreign substances, users complain about the inconvenience and improve it. there has been a ne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흡입식 낙엽 청소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등록특허 10-0979057호나 공개특허 10-2020-0090479호, 공개특허 10-2011-0082963호 등은 흡입식 낙엽 청소장치에 대한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의 등록특허 및 공개특허들은 낙엽을 빨아들이는 구성요소와, 빨아들인 낙엽을 분쇄시키는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데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흡입식 낙엽 청소기의 일반적인 구성요소들을 보여주고 있으며, 본 발명의 청소기와는 그 동작 및 기능, 구조 등이 완전히 다른 발명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suction type leaf vacuum cleaner has been developed and used. For example, Patent No. 10-0979057,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90479,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82963, etc. disclose the contents of the suction-type leaf cleaning device. The above registered patents and published patents include a component that sucks fallen leaves and a component that crushes the sucked leaves, and shows the general components of a suction type leaf vacuum cleaner currently on the market, and the vacuum cleaner and is a completely different invention in its operation, function, structure, etc.
또한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흡입식 낙엽 청소기들은 대부분 자사에서 판매하는 전용 낙엽봉투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되어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의 사용 실정에 맞지 않아 공동주택 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쓰레기봉투나 포대자루 등에서도 유효하게 동작할 수 있는 실외용 청소기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In addition, since most suction-type leaf vacuum cleaners on the market are designed to be used by attaching only the fallen leaf bags sold by the company, they do not fit the usage situation in Korea. It became necessary to develop an outdoor vacuum cleaner that can also operate effectivel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개발 수요에 맞추기 위하여, 실외용 이물질 청소기로서 흡입을 통한 낙엽 수거와 바람을 불게 하여 낙엽을 모으는 기능을 둘 다 수행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포대자루나 쓰레기봉투도 모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청소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meet the development dem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utdoor foreign material cleaner that can perform both functions of collecting leaves through suction and collecting leaves by blowing in the wi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in a form that can be used effectively with all bag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외부 이물질용 청소기로서, 외부의 이물질을 흡입하거나 또는 바람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흡입/송풍부;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경로와 공기가 배출되는 송풍경로를 포함하여, 상기 흡입경로 내에 공기압을 발생시키는 임펠러와, 임펠러를 동작시키는 회전부가 설치되어 동작하고, 그리고 상기 회전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동력원를 포함하는 몸체인 본체; 그리고 상기 흡입/송풍부가 빨아들이는 이물질을 수거할 수 있는 수거부를 포함하는 청소를 제공한다.A vacuum cleaner for foreign substances, comprising: a suction/blower for sucking in foreign substances or discharging wind to the outside; An impeller for generating air pressure in the suction path, including a suction path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nto the interior and a blowing path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nd a rotating unit for operating the impeller are installed and operated, and a power source for supplying power to the rotating unit a body including a body; And it provides a cleaning including a collecting unit that can collect the foreign substances sucked by the suction / blower.
상기에서, 흡입/송풍부는 상기 흡입경로와 연결되어 흡입 압력을 받아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흡입관과, 상기 송풍경로와 연결되어 송풍경로를 통해 전송되는 바람을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관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관과 송풍관은, 상기 흡입관은 상기 송풍관 내측으로 이격된 상태로 삽입된 이중관 구조를 가지며, 상기 흡입관과 송풍관의 벌어진 간격 사이에는 간격 유지를 위한 하나 이상의 프레임이 설치된다.In the above, the suction/blowing unit includes a suction pipe connected to the suction path to suck foreign substances by receiving suction pressure, and a blowing pipe connected to the blowing path and discharging the wind transmitted through the blowing path to the outside, and the suction pipe and The blower pipe has a double pipe structure in which the suction pipe is inserted in a spaced state inside the blower pipe, and one or more frames are installed between the suction pipe and the blower pipe to maintain a gap.
상기에서, 흡입경로 상에는 하나 이상의 제2흡입관이 연장되어 상기 제2흡입관을 통해 외부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In the above, one or more second suction pipes may extend on the suction path to suck external foreign substances through the second suction pipe.
상기에서의 제2흡입관에는, 상기 제2흡입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econd suction pipe in the above, it is preferable that a length adjusting unit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econd suction pipe is installed.
상기에서, 본체 바닥면에는 하나 이상의 바퀴가 설치된다.In the above, one or more wheels ar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상기에서, 수거부는 상기 흡입경로 및 송풍경로와 연결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며 이물질을 거치할 수 있는 수거통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llecting unit includes a receiving unit connected to the suction path and the blowing path, and a collecting box connected to the receiving unit and capable of holding foreign substances.
상기에서, 본체의 흡입경로와 송풍경로의 맞닿는 부분에 개폐부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흡입경로와 송풍경로 사이에 형성되어 서로 통할 수 있는 개폐구와, 상기 개폐구 상에서 회전하여 상기 개폐구 또는 상기 흡입경로와 송풍경로 일측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기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an opening/closing part may be further installed at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uction path and the blowing path of the main body, and the opening/closing part includes an opening/closing opening formed between the suction path and the blowing path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opening/closing opening rotating on the opening/closing opening Alternatively,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witch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one side of the suction path and the blowing path.
상기에서, 흡입관 및 송풍관의 단부에는, 상기 흡입관과 송풍관 간에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가 더 설치될 수 있다.In the above, at the ends of the suction pipe and the blower pipe, a length adjusting unit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between the suction pipe and the blower pipe may be further installed.
상기에서, 길이조절부는 길이조절홈과 조절핀을 포함하고, 상기 길이조절홈이 상기 흡입관과 송풍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조절핀은 상기 흡입관과 송풍관 중 길이조절홈이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핀이 상기 길이조절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흡입관 또는 송풍관을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the length adjustment unit includes a length adjustment groove and an adjustment pin, the length adjustment groove is formed in any one of the suction pipe and the blower pipe, and the adjustment pin is any other length adjustment groove of the suction pipe and the air blower pipe in which the length adjustment groove is not formed. It is preferable that one is installed so that the adjusting pin slides along the length adjusting groove to elevate the suction pipe or the blower pipe.
상기에서, 길이조절홈은 꺾인 고정홈이 하나 이상 형성된 직선형태가 될 수 있다.In the above, the length adjustment groove may have a straight shape in which one or more bent fixing grooves are formed.
상기에서, 길이조절홈은 나사산 형태가 될 수 있다.In the above, the length adjustment groove may be in the form of a screw thread.
상기에서, 흡입관에는 하나 이상의 개폐 가능한 흡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above, one or more openable and openable suction grooves may be formed in the suction pipe.
본 발명에 의하면, 흡입기능과 송풍기능을 동시에 수행하여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두 가지 모드를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고, 전용 봉투가 아닌 일반적인 규격 쓰레기봉투나 마대자루 등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ction function and the blowing function are performe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two modes can be us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and a general standard garbage bag or a sack bag can be conveniently used instead of a dedicated bag.
도 1은 본 발명의 청소기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개폐부의 확대 구조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길이조절부의 예시적 구조도.
도 5는 도 1의 A부분의 상단 확대 구조도.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structural view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exemplary structural diagrams of the length adjus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nlarged structural view of the upper part of part A of Fig. 1;
이하에서는 첨부하는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와 실시를 돕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들은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provided to help the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re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청소기(10)의 구조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의 청소기(10)의 구성요소 및 개략적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clean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components and schematic operation of the clean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설명에 앞서,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청소기(10)에서 화살표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Prior to the description, the arrow in the clean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indicates the direction of air flow.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청소기(10)는 크게 외부의 이물질을 흡입하거나 또는 바람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흡입/송풍부(100), 내부로 동력원와 회전부, 임펠러 등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몸체인 본체(200), 그리고 상기 흡입/송풍부(100)가 빨아들인 이물질을 보관할 수 있으며, 또한 이물질의 보관을 위해 내부로 규격화된 쓰레기봉투나 마대자루, 포대자루 등을 펼친 채로 걸어놓거나 끼울 수 있는 수거부(3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clean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uction/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흡입/송풍부(100)는 외부의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압력을 제공하거나 또는 바람을 불어 이물질을 밀게 되는 역활을 하는데, 이를 위하여 흡입 압력을 제공하는 관과 송풍을 위한 관을 별개로 두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흡입관(110)과 송풍관(120)을 이중관으로 하고, 흡입관(110)이 송풍관(120) 내측으로 이격된 상태로 삽입되도록 하여, 송풍관(120)이 배출시키는 바람은 송풍관(120)과 흡입관(110) 사이의 틈으로 불어나오도록 구성한다.When all the components are described in detail, the suction/
상기와 같이 흡입관(110)을 송풍관(120) 내측으로 하는 이유는, 상기 흡입관(110)의 경우에는 다양한 형태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어야 하므로 내측으로 빨아들이는 데 있어서 일정 이상의 직경을 확보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이며, 별개의 관이 아닌 내경과 외경을 가진 이중관 형태로 하는 이유는 상기 송풍관(120)이 송풍시키는 바람을 다시 흡입관(110)으로 빨아들이도록 함으로서 본 발명의 청소기(10) 내에서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for moving the
또한, 상기 송풍관(120)과 흡입관(110) 사이에는, 양자간의 이격 공간을 벌린 채 고정시키기 위한 프레임(111)이 하나 이상 포함되어 상기 흡입관(110)과 송풍관(120) 사이에 설치된다.In addition, between the
그리고 본체(200)는 흡입경로(210)와 송풍경로(220)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경로(210)에는 회전부(211)와 상기 회전부(211)의 동작에 의해 돌아가는 팬인 임펠러(212)가 설치되며, 또한 상기 본체(200)는 상기 회전부(211)에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한 동력원(213)이 설치된다.And the
여기서 상기 회전부(211)는 예를 들어 모터나 소형 엔진 등을 사용하여 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동력원(213)은 예를 들어 전기 배터리나 엔진용 연료공급통 및 공급장치 등이 될 수 있다.Here, the
따라서, 상기 임펠러(212)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흡입경로(210)에 빨아들이는 음압이 발생하고, 상기 흡입경로(210)에 발생한 음압에 의해 연결된 상기 흡입관(110)이 이물질을 빨아들일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흡입관(110)을 통해 빨려들어간 이물질은 상기 흡입경로(210)를 통해 상기 수거부(300)로 이송되도록 한다.Therefore, a negative pressure sucked in the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임펠러(212)를 상기 흡입경로(210)상에 위치시켜서 상기 흡입경로(210)를 통해 이동하는 이물질이 돌아가는 상기 임펠러(212)날과 충돌하여 파쇄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때는 상기 임펠러(212)의 날이 이물질을 충분히 파쇄시킬 수 있으면서도 충격에 의해 손상되지 않을 정도의 경도를 가지고 있어야 하므로, 상기 임펠러(212)의 날은 일정 경도 이상의 금속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 the
또한 상기 흡입경로(210) 상에는 상기 흡입관(110)외에도, 외부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2흡입관(130)이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on the
상기 제2흡입관(130)의 바람직한 설치 형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0)와 붙은 채로 바닥 부분에 수직이 되거나 또는 수직에 가까운 형태로 아랫 쪽으로 흡입 압력을 제공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하여, 상기 본체(200)를 이동시키면서 자연스럽게 상기 본체(200)아래의 이물질을 흡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referred installation form of the
또한, 상기 제2흡입관(130)은 상기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형태로 설치될 경우, 지면 높이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부(131)가 설치되어, 상기 제2흡입관(130) 전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이때 상기 길이조절부(131)가 상기 제2흡입관(130)상에서 길이조절을 할 수 있는 수단은, 통상적인 슬라이딩 걸림부를 사용하거나 또는 나사산 형태 등을 이용한다.At this time, the means by which the
또한 상기 본체(200)는 편리한 이송을 위하여 하단부에 하나 이상의 바퀴(230)가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적으로 지면에 위치하기 위하여 상기 바퀴(230)는 셋 이상 설치하고, 그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한다.In addition, one or
그리고 상기 수거부(300)는 상기 흡입경로(210) 및 송풍경로(220)와 연결되는, 마름모꼴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수용부(310)와, 인입되는 외부의 이물질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수거통(320)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여기에서 상기 수거통(320)은, 일반적인 쓰레기봉투나 마대자루 등을 펼쳐서 거치하거나 장착할 수 있는 별도의 걸이수단이 포함되어 장착 또는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함으로서, 상기 흡입경로(210)를 통해 인입된 낙엽 등의 이물질은 수거통(320)으로 떨어져 보관되고, 공기는 다시 송풍경로(22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어 수거통(320)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됨과 동시에 송풍경로(220) 및 송풍관(120)을 통하여 바람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By configuring as described ab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fallen leaves introduced through the
그리고 상기 흡입경로(210) 및 송풍경로(220)상에는 중간에 개폐부(230)가 더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n opening/
도 2는 상기 개폐부(230)의 확대 구조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통하여 상기 개폐부(23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2 is an enlarged structural diagram of the opening/
상기 개폐부(230)는 상기 흡입경로(210) 및 송풍경로(220)가 맞닿아 있는 부분에 설치되며, 맞닿은 부분에 설치되어 회전함으로서 상기 흡입경로(210) 및 송풍경로(220)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기(231)와, 상기 개폐기(231)를 수용할 수 있으며 상기 흡입경로(210) 및 송풍경로(220)가 맞닿아 있는 부분에 형성되는 개폐구(232)를 포함한다.The opening/
상기 개폐구(232) 상에 상기 개폐기(231)가 회전하여 흡입경로(210) 및 송풍경로(220)를 개폐하게 되는데, 평시에는 도 2의 (a)에서와 같이 개폐기(231)가 흡입경로(210) 및 송풍경로(220)의 경로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위치하여 양 경로(210, 220)를 막지 않는다.The
그러다가 사용자의 필요에 의하여 상기 개폐기(231)가 회전하여 도 2의 (b)와 같이 양 경로(210, 220)에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위치하면 양 경로(210, 220)와 수거부(300)간의 경로가 폐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개폐기(231)의 동작으로 인한 경로 폐쇄로 인하여, 흡입경로(210)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개폐기(231)에 막히고, 열려 있는 개폐구(232)를 통해 다시 송풍경로(220)로 이송되어 송풍관(120)을 통해 배출된다. 결론적으로, 상기 개폐부(230)의 동작은 본 발명의 청소기를 흡입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송풍기능만을 사용하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다.Then, when the
또한 상기 개폐부(230)는, 상기 개폐기(231)의 동작을 위한 자동 또는 수동의 회전동작장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개폐기(231)의 회전동작장치는 상기 동력원(213)로부터 전력을 얻는 회전부 등을 이용하여 전자동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회전시키도록 하는 일련의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회전동작장치의 구성 및 동작은 종래의 기술들을 활용하면 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opening/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흡입관(110) 및 송풍관(120)의 단부 확대 구조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통하여 본 발명의 흡입관(110) 및 송풍관(120)의 단부쪽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3 and 4 are enlarged structural diagrams of the ends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청소기는 흡입관(110)이 송풍관(120) 내측으로 이격된 채 삽입되어 있는 이중관 구조로 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서 흡입관(110)을 통한 이물질 흡입과 송풍관(120)을 통한 송풍을 하나의 관으로 모두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 중 하나인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ouble pipe structure in which the
그런데 상술한 구성요소들을 통한 설명에서와 같이, 흡입관(110)을 통한 흡입동작과 송풍관(120)을 통한 송풍동작은 별도로 동작하지 않고 동시에 동작한다. 상기 개폐부(230)는 수거부(300)로 가는 경로만을 차단하기 때문에 상기 관(110, 120)이 둘 다 동작하는 것임에는 변함이 없다. 이는 상기 임펠러(212)를 통해 빨아들이는 공기의 배출경로가 송풍관(120)이기 때문에 구성 상 자연스러운 것이다.However, as in the description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the suction operation through the
그러나 본 발명의 청소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본 발명의 청소기를 이용하여 이물질의 흡입기능 또는 송풍기능 둘 중 하나만을 선택하여 사용할 것이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본 발명을 이용하여 흡입기능 또는 송풍기능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야 한다. 왜냐하면 흡입기능을 이용하고자 할 때에는 바람이 반대방향으로 배출되는 송풍관(120)의 동작은 방해만 될 뿐이며, 마찬가지로 송풍기능만을 이용하고자 할 때에는 바람을 방대방향으로 흡입시키는 흡입관(110)의 기능은 방해요소로 동작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흡입관(110) 또는 송풍관(120) 중 사용하고자 하는 어느 한 관을 돌출시키는 방법으로 둘을 구분하여 사용하도록 한다.However, since the user who wants to use th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select and use either the suction function or the blowing function of foreign substances using th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use only the suction function or the blowing function using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able to make Because when you want to use the suction function, the operation of the
이를 위하여,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관(110) 또는 송풍관(120)에는 길이조절부(130)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길이조절부(130)는 길이조절홈(131) 및 조절핀(132)이 포함되는데, 상기 흡입관(110) 또는 송풍관(120)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길이조절홈(131)이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의 관에 상기 조절핀(132)이 형성되거나 또는 설치되어, 상기 조절핀(132)이 상기 길이조절홈(13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조절핀(132)이 상기 길이조절홈(131)을 따라 승강됨으로서 상기 흡입관(110)과 송풍관(120)사이의 거리가 벌어질 수 있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3 , the
상기와 같이함으로서, 흡입기능 또는 송풍기능 중 어느 하나만을 사용하려는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만약 흡입관(110)이 송풍관(120)의 앞으로 돌출된다면, 송풍관(120)이 바람을 배출하는 송풍기능은 관의 측면에서 발생하는 것과 마찬가지가 되어 상기 흡입관(110)의 이물질 흡입기능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마찬가지로, 만약 송풍관(120)이 흡입관(110)의 앞으로 돌출된다면, 관의 단부는 바람을 배출하는 송풍기능만 발생하고 바람의 흡입은 관 내부에서만 발생하게 되므로 상기 송풍관(120)의 송풍기능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By doing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using only one of the suction function and the blowing function. If the
여기서 상기 길이조절홈(13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꺾인 고정홈이 1개 이상 형성된 직선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관(110, 120)의 회전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관의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Here, the
도 5는 도 1의 A부분의 상단면 확대 구조도이다.5 is an enlarged structural view of the top surface of part A of FIG. 1 .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청소기에서 흡입홈(110)의 외부로 드러난 부분 표면에는 하나 이상의 개폐 가능한 흡입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 one or more openable and
상기 흡입홈(112)은 사용자가 개방하면 상기 흡입홈(112)을 통해서 바람이 인입되도록 하는 것인데, 이는 상기 송풍관(120)을 통해서 송풍동작만 실시할 때 상기 흡입홈(112)을 개방하여 상기 흡입홈(112)을 통하여 바람을 인입시킴으로서, 상대적으로 상기 송풍관(120)의 송풍동작에 방해가 되는 흡입관(110)의 동작을 최소화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니면 별도의 뚜껑 등의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여, 상기 흡입관(110)을 막고 상기 흡입홈(112)만을 개방하여 송풍동작만 사용할 시 사용할 수도 있다.The
도 6은 상기 흡입관(110) 내에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는 흡입관 파쇄기(112)의 측면 구조도이며, 도 7은 상기 흡입관 파쇄기(112)의 정면 구조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통하여 상기 흡입관 파쇄기(112)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6 is a side structural diagram of the
상기 흡입관 파쇄기(112)는 상기 흡입관(110) 내측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흡입관(110)을 통해 빨려들어오는 낙엽 등의 이물질을 파쇄하고, 흡입 압력을 강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One or more
상기 흡입관 파쇄기(112)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회전하면서 빨려들어오는 낙엽 등의 이물질을 잘게 파쇄하고, 흡입 압력을 일으키는 흡입관 파쇄날개(1121)와, 상기 흡입관 파쇄날개(1121)를 회전시키는 흡입관 회전체(1122), 그리고 상기 흡입관 회전체(1122)를 흡입관(110) 내측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흡입관 고정프레임(1123)을 포함한다.The
여기서 상기 흡입관 파쇄날개(1121)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파쇄하면서도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금속재질 등 단단한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uction
또한 상기 흡입관 회전체(1122)는 전기력으로 움직이는 모터 등으로 구성하여, 상기 동력원(213)으로부터 제공되는 전기에너지 등을 통하여 구동되거나, 상기 동력원(213)이 연료를 사용하는 구성일 경우 상기 회전체(1122)를 동작시키기 위한 배터리 등의 별도 구성이 상기 동력원(213)에 더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ction
상기와 같은 흡입관 파쇄기(112)는 흡입관(110) 내측으로 빨려들어오는 낙엽 등이 흡입관(110) 안에서 뭉쳐서 흡입관(110)을 막는 것을 방지하고 흡입효율을 더 좋게 하며, 또한 흡입관(110) 내로 빨아들이는 흡입 압력을 보다 강화시킬 수 있다.The
10 : 청소기.
100 : 흡입/송풍부.
110 : 흡입관.
111 : 프레임.
112 : 흡입관 파쇄기.
1121 : 흡입관 파쇄날개.
1122 : 흡입관 회전체.
1123 : 흡입관 고정프레임.
120 : 송풍관.
130 : 제2흡입관.
131 : 길이조절부.
200 : 본체.
210 : 흡입경로.
211 : 회전부.
212 : 임펠러.
213 : 동력원.
220 : 송풍경로.
230 : 개폐부.
231 : 개폐기.
232 : 개폐구.
300 : 수거부.
310 : 수용부.
320 : 수거통.10: Cleaner. 100: suction/blowing part.
110: suction pipe. 111: frame.
112: suction pipe crusher. 1121: suction pipe crushing wing.
1122: suction pipe rotating body. 1123: suction pipe fixed frame.
120: blower pipe. 130: a second suction pipe.
131: length adjustment unit. 200: body.
210: intake path. 211: rotating part.
212: impeller. 213: power source.
220: blowing path. 230: opening and closing part.
231: switchgear. 232: opening and closing.
300: collection unit. 310: receptacle.
320: container.
Claims (14)
외부의 이물질을 흡입하거나 또는 바람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흡입/송풍부;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경로와 공기가 배출되는 송풍경로를 포함하여, 상기 흡입경로 내에 공기압을 발생시키는 임펠러와, 임펠러를 동작시키는 회전부가 설치되어 동작하고, 그리고 상기 회전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동력원를 포함하는 몸체인 본체;
그리고 상기 흡입/송풍부가 빨아들이는 이물질을 수거할 수 있는 수거부를 포함하는 청소기.As a cleaner for foreign substances,
Suction / blower for sucking in foreign substances or discharging the wind to the outside;
An impeller for generating air pressure in the suction path, including a suction path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nto the interior and a blowing path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nd a rotating unit for operating the impeller are installed and operated, and a power source for supplying power to the rotating unit a body including a body;
and a collection unit capable of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sucked by the suction/blower unit.
상기 흡입/송풍부는 상기 흡입경로와 연결되어 흡입 압력을 받아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흡입관과, 상기 송풍경로와 연결되어 송풍경로를 통해 전송되는 바람을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관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관과 송풍관은, 상기 흡입관은 상기 송풍관 내측으로 이격된 상태로 삽입된 이중관 구조를 가지며, 상기 흡입관과 송풍관의 벌어진 간격 사이에는 간격 유지를 위한 하나 이상의 프레임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The method of claim 1,
The suction/blower unit includes a suction pipe that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ath to suck in foreign substances by receiving suction pressure, and a blow pipe that is connected to the blow path and discharges the wind transmitted through the blowing path to the outside, and the suction pipe and the blower pipe include , the suction pipe has a double pipe structure inserted in a spaced state inside the blower pipe, and at least one frame for maintaining the gap between the suction pipe and the blower pipe is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흡입경로 상에는 하나 이상의 제2흡입관이 연장되어 상기 제2흡입관을 통해 외부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The method of claim 1,
One or more second suction pipes are extended on the suction path to suck external foreign substances through the second suction pipe.
상기 제2흡입관에는, 상기 제2흡입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4.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suction pipe, the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econd suction pipe is installed.
상기 본체 바닥면에는 하나 이상의 바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The method of claim 1,
One or more wheels ar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상기 수거부는 상기 흡입경로 및 송풍경로와 연결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며 이물질을 거치할 수 있는 수거통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The method of claim 1,
The collection unit includes a receiving unit connected to the suction path and the air blowing path, and a collection box connected to the receiving unit and capable of holding foreign substances.
상기 본체의 흡입경로와 송풍경로의 맞닿는 부분에 개폐부가 더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흡입경로와 송풍경로 사이에 형성되어 서로 통할 수 있는 개폐구와, 상기 개폐구 상에서 회전하여 상기 개폐구 또는 상기 흡입경로와 송풍경로 일측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The method of claim 1,
An opening/closing part may be further installed in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uction path and the blowing path of the main body,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comprises an opening and closing port formed between the suction path and the blowing path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n opening and closing unit rotating on the opening and closing port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nd closing port or one side of the suction path and the blowing path vacuum cleaner.
상기 흡입관 및 송풍관의 단부에는, 상기 흡입관과 송풍관 간에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3. The method of claim 2,
The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adjusting part for adjusting the length between the suction pipe and the blower pipe is installed at the ends of the suction pipe and the blower pipe.
상기 길이조절부는 길이조절홈과 조절핀을 포함하고,
상기 길이조절홈이 상기 흡입관과 송풍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조절핀은 상기 흡입관과 송풍관 중 길이조절홈이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핀이 상기 길이조절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흡입관 또는 송풍관을 승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9. The method of claim 8,
The length adjustment unit includes a length adjustment groove and an adjustment pin,
The length adjusting groove is formed in any one of the suction pipe and the blower pipe, and the adjusting pin is installed in any one of the suction pipe and the blower pipe in which the length adjusting groove is not formed, so that the adjusting pin slides along the length adjusting groove.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move up and down the suction pipe or the blower pipe.
상기 길이조절홈은 꺾인 고정홈이 하나 이상 형성된 직선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10. The method of claim 9,
The length adjustment groove is a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aight shape in which one or more bent fixing grooves are formed.
상기 길이조절홈은 나사산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10. The method of claim 9,
The length adjustment groove is a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w thread shape.
상기 흡입관에는 하나 이상의 개폐 가능한 흡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3. The method of claim 2,
One or more openable and openable suction grooves are formed in the suction pipe.
상기 흡입관에는 흡입관 파쇄기가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3. The method of claim 2,
The suction pipe is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uction pipe crusher is installed.
상기 흡입관 파쇄기는 각각 흡입관 파쇄날개; 상기 흡입관 파쇄날개를 회전시키는 흡입관 회전체; 그리고 상기 흡입관 회전체를 흡입관 내측에 고정 설치시키는 흡입관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uction pipe crusher each includes a suction pipe crushing blade; a suction pipe rotating body for rotating the suction pipe crushing blades; and a suction pipe fixing frame for fixing and installing the suction pipe rotating body inside the suction pip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6533A KR20220094873A (en) | 2020-12-29 | 2020-12-29 | Clea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6533A KR20220094873A (en) | 2020-12-29 | 2020-12-29 | Clean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94873A true KR20220094873A (en) | 2022-07-06 |
Family
ID=82400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86533A KR20220094873A (en) | 2020-12-29 | 2020-12-29 | Clea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94873A (en) |
-
2020
- 2020-12-29 KR KR1020200186533A patent/KR20220094873A/en active IP Right Gr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328961C1 (en) | Vacuum cleaner (option) | |
KR101248722B1 (en) |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 |
JP4205466B2 (en) | Electric vacuum cleaner | |
US6746500B1 (en) | Cyclone dust collector | |
US8522395B2 (en) | Vacuum cleaner having shredder | |
EP1023864A3 (en) | Dust-collect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and upright type vacuum cleaner | |
US7743461B2 (en) | Vacuum cleaner with large debris receptacle | |
GB2420072A (en) | Cyclonic vacuum cleaner | |
EP1733671B1 (en) | Vacuum cleaner | |
CN110123202B (en) | Dustbin type dust collector | |
CN101991389A (en) | Dust bag bracket structure for dust collector | |
KR20220094873A (en) | Cleaner | |
CN214208244U (en) | Intelligent cleaning system | |
CN209618065U (en) | Dustbin | |
CN209153418U (en) | A kind of hand-held cleaning device | |
CN216226095U (en) |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device based on brushless motor | |
CN105173466B (en) | Dustbin | |
WO2020011238A1 (en) | Dust collecting device | |
US20140130327A1 (en) | Wet/Dry Vacuum Cleaner Leaf Mulcher | |
CN218651617U (en) | Dust collecting system of dust collector base station | |
CN102038461A (en) | Dust dumping structure for dust-collecting bucket | |
JP3199163U (en) | Desk cleaner | |
CN209127396U (en) | The dustbin of rubbish in a kind of easy recycling bin | |
CN219898454U (en) | Rubbing crusher convenient to get material | |
CN215743895U (en) | Device for screening kitchen waste and with drying effec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