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4471A - Inkjet print system - Google Patents

Inkjet pri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4471A
KR20220094471A KR1020200185706A KR20200185706A KR20220094471A KR 20220094471 A KR20220094471 A KR 20220094471A KR 1020200185706 A KR1020200185706 A KR 1020200185706A KR 20200185706 A KR20200185706 A KR 20200185706A KR 20220094471 A KR20220094471 A KR 20220094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nozzle opening
nozzle
printing system
inkj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57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73638B1 (en
Inventor
지준배
Original Assignee
(주)에스티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티아이 filed Critical (주)에스티아이
Priority to KR1020200185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638B1/en
Publication of KR20220094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44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6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21Ink jet for multi-colour printing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inkjet print system. The inkjet print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prise: an inkjet head in which a plurality of nozzles capable of ejecting an ink are spaced apart at random intervals along the first direction; a chuck movable along the secon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and capable of supporting a print medium; and an ink ejection control processor capable of manipulating whether to open or close the nozzles for each location coordinate of the print medium in the second direction.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inkjet print system capable of easily printing design patterns of different resolutions on the print medium.

Description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INKJET PRINT SYSTEM}Inkjet print system {INKJET PRINT SYSTEM}

본 발명은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 매체의 각 영역별 원하는 해상도로 구현 가능한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jet print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kjet printing system capable of realizing a desired resolution for each area of a print medium.

잉크젯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종이에 활자 등을 출력하는 경우는 물론, 잉크 등의 액적을 토출하여 박막 형성이나 패터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공정에 사용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As inkjet technology develops, it is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when printing type on paper, as well a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display device by discharging droplets such as ink to form a thin film or patterning.

잉크젯 기술을 응용한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에서는, 잉크젯 헤드에서 토출된 잉크가 인쇄 매체 상의 원하는 위치에 액적(droplet)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In the inkjet printing system to which the inkjet technology is applied, it is an important task for the ink discharged from the inkjet head to form droplets at a desired position on the print medium.

종래 방식의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에서는 어느 하나의 인쇄 매체에 서로 다른 해상도를 구현하기 위해 단일 비트맵 멀티 스캔(single bitmap multi-scan) 방식과 그레이 스케일(gray scale) 방식을 사용하였다.In the conventional inkjet printing system, a single bitmap multi-scan method and a gray scale method are used to implement different resolutions on any one print medium.

종래의 단일 비트맵 멀티 스캔 방식은, 서로 다른 해상도에 해당하는 이미지로 독립적으로 반복 스캔하며 프린팅하여야 한다. 즉 1비트(bite)로 이루어진 비트맵 이미지가 특정 해상도로 일 방향을 따라 스캔하며 이뤄지는 프린팅을 각각의 해상도별 반복적으로 진행하여야 한다. 이러한 단일 비트맵 멀티 스캔 방식은, 프린팅을 하는 스캔 횟수가 무한정 늘어나고, 프린팅 도중 처리해야할 이미지 데이터가 과도하게 많아 상당한 시간 소요를 필요로 하고 이는 생상선 저하를 불러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single bitmap multi-scan method, images corresponding to different resolutions must be independently repeatedly scanned and printed. That is, the printing in which a bitmap image composed of one bit is scanned in one direction at a specific resolution must be repeatedly performed for each resolution. This single bitmap multi-scan method requir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because the number of scans for printing increases indefinitely and there is too much image data to be processed during printing, which causes a decrease in the production line.

종래의 그레이 스케일 방식은, 4비트 이상의 비트수를 갖는 이미지인 그레이 스케일을 사용해 서로 다른 해상도를 한번에 인쇄하는 방식이다. 다만 그레이 스케일 방식은, 인쇄 이미지가 복잡한 경우 각 영역 별 다른 해상도를 설정하기 어렵고, 오랜 소요 시간을 요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 인쇄 이미지 데이터에 맞는 파형(waveform) 설정을 필요로 하며 이를 위해 테스트 단계에서 적합한 파형을 찾아야 하는 수고로움을 필요로 하였다.The conventional gray scale method is a method of printing different resolutions at once using a gray scale that is an image having a number of bits of 4 or more. However, the gray scale method has problems in that it is difficult to set different resolutions for each area when the printed image is complex, and it takes a long time. In addition, it was necessary to set a waveform suitable for each printed image data, and for this, it was necessary to find a suitable waveform in the test stage.

한국공개공보 제10-2019-0132204호(공개일자: 2019.11.27.)Korean Publication No. 10-2019-0132204 (published date: 2019.11.2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서로 다른 해상도의 설계 패턴을 인쇄 매체 상에 손쉽게 인쇄 가능한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On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kjet printing system capable of easily printing design patterns having different resolutions on a printing medium.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kjet printing syst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은, 잉크를 토출 가능한 복수의 노즐이 제1 방향을 따라 임의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잉크젯 헤드;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인쇄 매체를 지지 가능한 척;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인쇄 매체의 위치 좌표 별 상기 노즐의 개폐 여부를 조작 가능한 잉크 토출 제어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An inkjet prin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kjet head in which a plurality of nozzles capable of discharging ink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rbitrary intervals in a first direction; a chuck movable in a secon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and capable of supporting a printing medium; and an ink ejection control processor capable of manipulating whether the nozzle is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the positional coordinates of the printing medium in the second direc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잉크 토출 제어 프로세스는, 설계 패턴을 그룹 단위의 이미지로 변환 가능한 이미지 변환부; 상기 이미지를 토대로 노즐 개폐 정보를 생성 가능한 노즐 개폐 정보 생성부; 및 상기 노즐 개폐 정보에 따라 상기 노즐의 개폐 구동을 조작 가능한 노즐 개폐 구동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k ejection control process may include: an image conversion unit capable of converting a design pattern into an image of a group unit; a nozzle opening/clos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capable of generating nozzle opening/closing information based on the image; and a nozzle opening/closing driving operation unit capable of operating the opening/closing operation of the nozzle according to the nozzle opening/closing informa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설계 패턴은 각 위치 좌표 별 패턴 형성 두께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sign pattern may be a pattern formation thickness for each position coordinat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변환부의 이미지는 바이너리 이미지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mage of the image converter may be a binary imag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이너리 이미지는 서로 다른 패턴 형성 두께 별로 상기 패턴 형성 두께에 상응하도록 서로 다른 해상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inary image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resolutions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forming thicknesses for different pattern forming thicknesse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변환부에서는, 서로 다른 해상도들 간의 설계 해상도를 산출 가능한 설계 해상도 산출 모듈; 및 상기 설계 해상도에 따라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기준 피치를 획득 가능한 기준 피치 획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mage conversion unit may include: a design resolution calculating module capable of calculating a design resolution between different resolutions; and a reference pitch acquisition module capable of acquiring the reference pitch in the second direction according to the design resolu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설계 해상도는 상기 위치 좌표 별 해상도들 간의 최소공배수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sign resolution may be calculated by a least common multiple between resolutions for each location coordinat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노즐 개폐 정보 생성부는, 상기 기준 피치를 토대로 상기 위치 좌표 별 0과 1로 이루어진 상기 노즐 개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nozzle opening/clos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may generate the nozzle opening/closing information including 0 and 1 for each position coordinate based on the reference pitch.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잉크 토출 제어 프로세서는, 상기 잉크젯 헤드에 형성된 서로 다른 노즐마다 서로 독립적으로 개폐 조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k discharge control processor may independently open and close each nozzle formed in the inkjet hea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잉크젯 토출 제어 프로세서에 의해 각 위치 좌표 별 노즐 개폐 조건을 자동 획득함으로써, 인쇄 매체 상에 서로 다른 해상도의 복잡한 설계 패턴이라도 손쉽게 인쇄 가능한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even complex design patterns with different resolutions can be easily printed on a printing medium by automatically acquiring nozzle opening/closing conditions for each position coordinate by the inkjet discharge control process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잉크젯 토출 제어 프로세서가 각 위치 좌표 별 노즐 별 개폐 여부를 자동으로 설정해, 인쇄 매체 상에 형성되는 박막 또는 패터닝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inkjet discharge control processor can automatically set whether to open or close each nozzle for each position coordinate, thereby increasing the precision of a thin film or patterning formed on a print medium.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잉크젯 토출 제어 프로세서를 구비함으로써, 제1 방향의 임의 영역에서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한번의 스캔만으로도 원하는 설계 패턴을 구현 가능한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desired design pattern can be implemented with only one scan in a second direction orthogonal to an arbitrary area in the first direction by including the inkjet discharge control processo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에 의해 잉크 토출 조건을 자동 획득함으로써, 잉크와 인쇄 매체마다 최적 조건을 단시간에 획득 가능한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utomatically acquiring the ink ejection conditions by the processo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optimum conditions for each ink and printing medium can be acquired in a short tim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에 의해 잉크 토출 조건을 자동 획득함으로써, 제품 수율을 높이고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utomatically acquiring the ink ejection conditions by the processo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increase product yield and increase productivit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잉크젯 헤드 구동 프로세서와 토출 조건 판독 프로세서, 액적 마진 정보 산출 프로세서를 구비함으로써, 잉크 재료 별 관리 항목을 체계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management items for each ink material can be systematized by including the inkjet head driving processor, the ejection condition reading processor, and the droplet margin information calculating processo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잉크젯 헤드 구동 프로세서와 토출 조건 판독 프로세서, 액적 마진 정보 산출 프로세서를 구비함으로써, 하드웨어를 추가로 증설할 필요없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 가능한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kjet head driving processor, the ejection condition reading processor, and the droplet margin information calculating processor are provid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implemented in software without additional hardware extens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에 의해 잉크 토출 조건을 획득한 경우 별도 잉크 마진 항목을 추가 획득함으로써,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의 컨디션 관리 포인트를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k ejection condition is obtained by the processor, a separate ink margin item is additionally obtained, thereby securing the condition management point of the inkjet print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토출 제어 프로세서의 각 구성과 각 결과값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노즐을 나타내고 도 4(b)는 노즐에 따라 형성 가능한 잉크 액적의 기준 위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너리 이미지의 획득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d는 도 5c에 따른 인쇄 매체 상에 착탄된 박막을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는 도 5c의 바이너리 이미지에 대응되는 노즐 개폐 정보이고, 도 6(b)는 인쇄 매체 상에 착탄된 잉크 액적을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너리 이미지의 획득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e는 도 7d에 따른 인쇄 매체 상에 착탄된 박막을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a)는 도 7d의 바이너리 이미지에 대응되는 노즐 개폐 정보이고, 도 8(b)는 인쇄 매체 상에 착탄된 잉크 액적을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kjet prin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kjet prin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each configuration and each result value of an ink ejection control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 is a nozz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b)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reference position of an ink droplet that can be formed according to the nozzle.
5A to 5C are diagrams showing a process of acquiring a binary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D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thin film impacted on the printing medium according to FIG. 5C.
FIG. 6(a) is nozzle opening/clo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binary image of FIG. 5c, and FIG. 6(b)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ink droplets that land on a printing medium.
7A to 7D are diagrams showing a process of acquiring a binary im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E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thin film impacted on the printing medium according to FIG. 7D.
FIG. 8(a) is nozzle opening/clo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binary image of FIG. 7d, and FIG. 8(b)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ink droplets that land on a printing medium.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content may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형상 및 크기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be directly formed on the other component or a third compon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shape and size are exaggerated for effective description of technical content.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In addition,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thir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what is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in one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in another embodiment. Each embodiment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s a complementary embodiment thereof.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and/or' is used in the sense of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components listed before and after.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In the specifica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elem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 step, configura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excluding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combinations thereof.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connection" is used in a sense including both indirectly connect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and directly connect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방향은 직교 좌표계의 X축을 지칭하고, 제2 방향은 Y축을 지칭한다. 이때 제1 방향은 제2 방향과 직교한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irst direction refers to the X-axis of the Cartesian coordinate system, and the second direction refers to the Y-axis. In this case, the first direction is orthogonal to the second direc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10)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inkjet print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10)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10)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토출 제어 프로세서(300)의 각 구성과 각 결과값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노즐(110)을 나타내고 도 4(b)는 노즐(110)에 따라 형성 가능한 잉크 액적(D)의 기준 위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모식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너리 이미지의 획득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d는 도 5c에 따른 인쇄 매체(M) 상에 착탄된 박막을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a)는 도 5c의 바이너리 이미지(B)에 대응되는 노즐 개폐 정보이고, 도 6(b)는 인쇄 매체(M) 상에 착탄된 잉크 액적(D)을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너리 이미지(B)의 획득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e는 도 7d에 따른 인쇄 매체(M) 상에 착탄된 박막을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8(a)는 도 7d의 바이너리 이미지(B)에 대응되는 노즐 개폐 정보이고, 도 8(b)는 인쇄 매체(M) 상에 착탄된 잉크 액적(D)을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kjet print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kjet print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each configuration and each result value of the ink ejection control processo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A is a nozzle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b)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reference position of an ink droplet D that can be formed according to the nozzle 110, and FIGS. 5a to 5c are a binary image acquisi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d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thin film that has landed on the printing medium M according to FIG. 5c, and FIG. 6(a) is nozzle opening/clo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binary image (B) of FIG. 5c, 6 (b)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ink droplet (D) that has landed on a printing medium (M), and FIGS. 7A to 7D are a process of obtaining a binary image (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e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thin film that has landed on the print medium M according to FIG. 7d, and FIG. 8(a) is nozzle opening/clo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binary image (B) of FIG. 7d. , FIG. 8(b)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ink droplets D that land on the print medium M. FIG.

도 1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10)은, 각 위치 좌표별 선택적으로 노즐(110)의 개폐 여부를 조작해 인쇄 매체(M) 상에 서로 다른 두께의 박막을 형성할 수 있다.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10)은, 잉크젯 헤드(100)와 척(200), 잉크젯 토출 제어 프로세서(3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4 , the inkjet print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ively manipulates whether the nozzle 110 is opened or closed for each position coordinate to have different thicknesses on the printing medium M. can form a thin film of The inkjet print system 10 may include an inkjet head 100 , a chuck 200 , and an inkjet discharge control processor 300 .

다시 도 1과 도2, 도 4를 참조하면 잉크젯 헤드(100)에는, 복수개의 노즐(110)이 형성될 수 있다. 잉크젯 헤드(100)는, 노즐(110)과 잉크 토출 경로상 잉크 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S. 1, 2, and 4 , a plurality of nozzles 110 may be formed in the inkjet head 100 . The inkjet head 100 may include a nozzle 110 and an ink supply unit (not shown) on an ink ejection path.

노즐(110)은, 잉크를 토출할 수 있다. 노즐(110)은, 미세 크기의 잉크를 액적 형태로 토출할 수 있다. 수백 내지 수천여 개의 노즐(110)이 잉크젯 헤드(100)에 형성될 수 있다.The nozzle 110 may discharge ink. The nozzle 110 may discharge the ink of a fine size in the form of droplets. Hundreds to thousands of nozzles 110 may be formed in the inkjet head 100 .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노즐(110)은, 제1 방향을 따라 임의 간격으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노즐(110) 간 피치는 고정적이므로, 잉크젯 헤드(100)가 제1 방향의 특정 위치에 위치해 있을 경우, 제1 방향으로 인쇄 매체(M) 상에 형성되는 액적 간 피치는 노즐(110) 간 피치에 상응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4 , the plurality of nozzles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rbitrary intervals along the first direction. Since the pitch between the nozzles 110 is fixed, when the inkjet head 100 is located at a specific position in the first direction, the pitch between the droplets formed on the print medium M in the first direction is the pitch between the nozzles 110 . can correspond to

잉크젯 헤드(100)는, 갠트리(400) 상에서 헤드 구동부(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인쇄 매체(M) 상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임의 위치 좌표 상에 위치 이동할 수 있다.The inkjet head 100 may move along the first direction on the print medium M by driving a head driver (not shown) on the gantry 400 and may be positioned on arbitrary coordinates.

잉크 공급부(미도시)는, 갠트리(400) 상에 설치되거나 잉크젯 헤드(10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The ink supply unit (not shown) may be installed on the gantry 400 or provided inside the inkjet head 100 .

다시 도1과 도 2를 참조하면 척(200)은, 제2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척 척(200)은, 위치 이동하며 제2 방향으로 잉크젯 헤드 척(100)와의 거리가 조정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S. 1 and 2 , the chuck 200 may be moved in a second direction. Chuck The chuck 200 may be moved and a distance from the inkjet head chuck 100 may be adjusted in the second direction.

척(200)은, 인쇄 매체(M)를 지지할 수 있다. 척(200)은, 정전기력에 의해 인쇄 매체를 지지하는 정전 척이거나 진공 감압에 의해 인쇄 매체를 지지하는 진공 척일 수 있다.The chuck 200 may support the printing medium M. The chuck 200 may be an electrostatic chuck that supports a print medium by electrostatic force or a vacuum chuck that supports a print medium by vacuum decompression.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잉크 토출 제어 프로세서(300)는, 개별 노즐(110)마다 개폐 여부를 조작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S. 1 to 4 , the ink ejection control processor 300 may operate whether to open or close for each individual nozzle 110 .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토출 제어 프로세서(300)는, 잉크젯 헤드(100) 상에 형성된 복수개 노즐(110)에서 개별 노즐(110)마다 특정 위치 좌표에서의 서로 독립적으로 노즐 개폐 여부를 조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토출 제어 프로세서(300)는, 제2 방향으로 인쇄 매체(M)의 위치 좌표 별 노즐(110)의 개폐 여부를 조작할 수 있다.The ink discharge control processo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operate whether to open or close the nozzles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t specific position coordinates for each individual nozzle 110 in the plurality of nozzles 110 formed on the inkjet head 100 . . The ink discharge control processo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operate whether to open or close the nozzle 110 for each position coordinate of the print medium M in the second direction.

잉크 토출 제어 프로세서(300)는, 이미지 변환부(310)와 노즐 개폐 정보 생성부(320), 노즐 개폐 구동 조작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k discharge control processor 300 may include an image conversion unit 310 , a nozzle opening/clos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320 , and a nozzle opening/closing driving operation unit 330 .

다시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이미지 변환부(310)는, 설계 패턴을 그룹 단위의 이미지로 변환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S. 1 and 3 , the image converter 310 may convert a design pattern into an image in a group unit.

설계 패턴은, 각 위치 좌표 별 패턴 형성 두께를 의미한다.The design pattern means a pattern formation thickness for each position coordinate.

그룹 단위는, 설계 패턴 상에 동일한 패턴 형성 두께를 가지는 영역에 따라 결정지어질 수 있다.The group uni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regions having the same pattern formation thickness on the design pattern.

일 실시예에 따라 인쇄 매체 상에 4㎛와 12㎛의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영역이 있는 경우 2개 그룹 단위(G1, G2)로 이뤄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when there are region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of 4 μm and 12 μm on the printing medium, it may be formed of two group units (G1, G2).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인쇄 매체 상에 4㎛와 8㎛, 12㎛의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영역이 있는 경우 3개 그룹 단위(G1, G2, G3)로 이뤄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there are region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of 4 μm, 8 μm, and 12 μm on the print medium, it may consist of three group units (G1, G2, G3).

각각의 그룹 단위마다 설계 패턴을 이미지(B)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는, 0과 1로 이루어진 바이너리(binary) 이미지(B)일 수 있다. 0은 노즐의 비토출, 1은 노즐의 토출을 의미한다.A design pattern can be converted into an image (B) for each group unit. In this case, the image may be a binary image (B) composed of 0 and 1. 0 means no nozzle discharge, and 1 means nozzle discharge.

바이너리 이미지(B)는, 서로 다른 패턴 형성 두께 별로 패턴 형성 두께에 상응하도록 서로 다른 해상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패턴 형성 두께에 따라 그룹 단위가 정해지고, 각 그룹 단위 별로 서로 다른 해상도를 가지도록 구획될 수 있다.The binary image B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resolutions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forming thickness for each different pattern forming thickness. That is, a group uni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pattern formation, and each group unit may be divided to have different resolutions.

이미지 변환부(310)는, 설계 해상도 산출 모듈(311)과 기준 피치 획득 모듈(312)을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converter 310 may include a design resolution calculation module 311 and a reference pitch acquisition module 312 .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설계 해상도 산출 모듈(311)은, 서로 다른 해상도들 간의 설계 해상도를 산출 할 수 있다. 각 그룹 단위마다 서로 다른 해상도를 가지고. 각각의 해상도에 따라 인쇄 매체(M) 상 특정 영역에 착탄되는 잉크 액적(D)의 수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해상도에 따른 제2 방향으로의 노즐 토출 피치가 달라질 수 있어, 각각의 그룹 단위를 고려해 설계 해상도를 산출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3 , the design resolution calculation module 311 may calculate design resolutions between different resolutions. Each group unit has a different resolution. The number of ink droplets D that land on a specific area on the printing medium M may vary according to each resolution. In addition, the nozzle discharge pitch in the second direction according to different resolutions may vary, so that the design resolution may be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each group unit.

설계 해상도는, 위치 좌표 별 복수개의 해상도들 간의 최소공배수의 값일 수 있다.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1 그룹 단위(G1)는 360dpi이고, 2 그룹 단위(G2)는 1080dpi일 수 있다. 이때 360와 1080의 최소공배수는 1080이므로, 설계 해상도는 1080dpi가 될 수 있다.The design resolution may be a value of a least common multiple between a plurality of resolutions for each location coordinate. 5A and 5B ,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ne group unit G1 may be 360 dpi, and the second group unit G2 may be 1080 dpi. At this time, since the least common multiple of 360 and 1080 is 1080, the design resolution may be 1080 dpi.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라 1 그룹 단위(G1)는 360dpi이고, 2 그룹 단위(G2)는 720dpi, 3 그룹 단위(G3)는 1080dpi일 수 있다. 이때 360와 720, 1080의 최소공배수는 2160으로, 설계 해상도는 2160dpi이 될 수 있다.7A to 7C ,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ne group unit G1 may be 360 dpi, the second group unit G2 may be 720 dpi, and the third group unit G3 may be 1080 dpi. In this case, the least common multiple of 360, 720, and 1080 may be 2160, and the design resolution may be 2160 dpi.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기준 피치 획득 모듈(312)은, 설계 해상도에 따라 제2 방향으로의 기준 피치를 획득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3 , the reference pitch acquisition module 312 may acquire the reference pitch in the second direction according to the design resolution.

기준 피치(Py)는, 제2 방향으로의 토출 가능한 피치를 의미할 수 있다. 기준 피치(Py)는, 제2 방향의 이동량에 따른 노즐 위치 가능 피치이다. 노즐(110)이 0의 값을 가지는 경우에도, 기준 피치(Py) 상에 노즐(110)이 위치될 수 있다.The reference pitch Py may mean a pitch capable of being discharged in the second direction. The reference pitch Py is a nozzle positionable pitch according to the movement amount in the second direction. Even when the nozzle 110 has a value of 0, the nozzle 110 may be positioned on the reference pitch Py.

다시 도 5c를 참조하면 설계 해상도 1080dpi를 기준으로 한 제2 방향으로의 기준 피치(Py)가 정해질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5C , a reference pitch Py in the second direction based on a design resolution of 1080 dpi may be determined.

다시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노즐 개폐 정보 생성부(320)는, 이미지를 노즐 개폐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노즐 개폐 정보 생성부(320)는, 기준 피치(Py)를 토대로 위치 좌표 별 0과 1로 이루어진 노즐 개폐 정보(I)를 생성할 수 있다. 기준 피치(Py)를 기준으로 특정 위치에서 노즐 개폐 정보가 0인 경우 노즐(110)의 미토출, 특정 위치에서 노즐 개폐 정보(I)가 1인 경우 노즐(110)의 토출을 의미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S. 1 and 3 , the nozzle opening/clos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320 may convert an image into nozzle opening/closing information. The nozzle opening/clos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320 may generate nozzle opening/closing information I composed of 0 and 1 for each position coordinate based on the reference pitch Py. When the nozzle opening/closing information at a specific position is 0 based on the reference pitch Py, it may mean non-discharge of the nozzle 110, and when the nozzle opening/closing information I at a specific position is 1, it may mean discharging of the nozzle 110. .

다시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노즐 개폐 구동 조작부(330)는, 노즐 개폐 정보(I)에 따라 노즐(110)의 개폐 구동을 조작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S. 1 and 3 , the nozzle opening/closing driving operation unit 330 may operate opening/closing driving of the nozzle 110 according to the nozzle opening/closing information I.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using preferred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
100 : 잉크젯 헤드 110 : 노즐
200 : 척
300 : 잉크 토출 제어 프로세서 310 : 이미지 변환부
311 : 최소공배수 해상도 산출 모듈 312 : 기준 피치 산출 모듈
320 : 노즐 개폐 정보 셍성부 330 : 노즐 개폐 구동 조작부
400 : 갠트리
M : 인쇄 매체 D : 잉크 액적
B : 바이너리 이미지 I : 노즐 개폐 정보
Py : 기준 피치
10: inkjet printing system
100: inkjet head 110: nozzle
200 : chuck
300: ink ejection control processor 310: image conversion unit
311: Least common multiple resolution calculation module 312: Reference pitch calculation module
320: nozzle opening/closing information setting unit 330: nozzle opening/closing driving operation unit
400: gantry
M : print medium D : ink drop
B: Binary image I: Nozzle opening/closing information
Py: reference pitch

Claims (9)

잉크를 토출 가능한 복수의 노즐이 제1 방향을 따라 임의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잉크젯 헤드;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인쇄 매체를 지지 가능한 척;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인쇄 매체의 위치 좌표 별 상기 노즐의 개폐 여부를 조작 가능한 잉크 토출 제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
an inkjet head in which a plurality of nozzles capable of discharging ink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rbitrary intervals in a first direction;
a chuck movable in a secon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and capable of supporting a printing medium; and
and an ink discharge control processor capable of manipulating whether the nozzle is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positional coordinates of the printing medium in the second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토출 제어 프로세스는,
설계 패턴을 그룹 단위의 이미지로 변환 가능한 이미지 변환부;
상기 이미지를 토대로 노즐 개폐 정보를 생성 가능한 노즐 개폐 정보 생성부; 및
상기 노즐 개폐 정보에 따라 상기 노즐의 개폐 구동을 조작 가능한 노즐 개폐 구동 조작부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ink ejection control process comprises:
an image conversion unit capable of converting a design pattern into an image of a group unit;
a nozzle opening/clos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capable of generating nozzle opening/closing information based on the image; and
and a nozzle opening/closing driving operation unit capable of operating the opening/closing operation of the nozzle according to the nozzle opening/closing informa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 패턴은 각 위치 좌표 별 패턴 형성 두께인,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esign pattern is the thickness of the pattern formation for each position coordinate, the inkjet printing system.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변환부의 이미지는 바이너리 이미지인,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image of the image conversion unit is a binary image, inkjet printing system.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너리 이미지는 서로 다른 패턴 형성 두께 별로 상기 패턴 형성 두께에 상응하도록 서로 다른 해상도를 가지도록 형성된,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binary image is formed to have different resolutions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forming thickness for each different pattern forming thickness, the inkjet printing system.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변환부에서는,
서로 다른 해상도들 간의 설계 해상도를 산출 가능한 설계 해상도 산출 모듈; 및
상기 설계 해상도에 따라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기준 피치를 획득 가능한 기준 피치 획득 모듈을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image conversion unit,
a design resolution calculation module capable of calculating a design resolution between different resolutions; and
and a reference pitch acquisition module capable of acquiring the reference pitch in the second direction according to the design resolu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 해상도는 상기 위치 좌표 별 해상도들 간의 최소공배수에 의해 산출 가능한,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The design resolution can be calculated by a least common multiple between the resolutions for each location coordinate, an inkjet printing system.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개폐 정보 생성부는,
상기 기준 피치를 토대로 상기 위치 좌표 별 0과 1로 이루어진 상기 노즐 개폐 정보를 생성 가능한,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The nozzle opening/clos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An inkjet printing system capable of generating the nozzle opening/closing information consisting of 0 and 1 for each position coordinate based on the reference pitch.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토출 제어 프로세서는,
상기 잉크젯 헤드에 형성된 서로 다른 노즐마다 서로 독립적으로 개폐 조작 가능한,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ink ejection control processor,
Each of the different nozzles formed in the inkjet head can be opened and clos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n inkjet printing system.
KR1020200185706A 2020-12-29 2020-12-29 Inkjet print system KR1024736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706A KR102473638B1 (en) 2020-12-29 2020-12-29 Inkjet pri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706A KR102473638B1 (en) 2020-12-29 2020-12-29 Inkjet prin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4471A true KR20220094471A (en) 2022-07-06
KR102473638B1 KR102473638B1 (en) 2022-12-02

Family

ID=82399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5706A KR102473638B1 (en) 2020-12-29 2020-12-29 Inkjet prin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3638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6152A (en) * 2004-08-17 2006-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setting resolution of each image types and methods thereof
JP2007134887A (en) * 2005-11-09 2007-05-31 Fuji Xerox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10012741A (en) * 2009-07-31 2011-02-09 세메스 주식회사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10122387A (en) * 2010-05-04 2011-11-1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Vector printing method used in ink drop discharge apparatus
KR20190132204A (en) 2018-05-17 2019-11-27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Ink appl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ink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6152A (en) * 2004-08-17 2006-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setting resolution of each image types and methods thereof
JP2007134887A (en) * 2005-11-09 2007-05-31 Fuji Xerox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10012741A (en) * 2009-07-31 2011-02-09 세메스 주식회사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10122387A (en) * 2010-05-04 2011-11-1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Vector printing method used in ink drop discharge apparatus
KR20190132204A (en) 2018-05-17 2019-11-27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Ink appl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i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3638B1 (en) 2022-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7647B2 (en) Method of accommodating printing faults in a dot printing operation
US6575549B1 (en) Ink jet fault tolerance using adjacent nozzles
AU2000253742A1 (en) Ink jet fault tolerance using adjacent nozzles
CA2370674A1 (en) Ink jet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with suppressed bleeding of inks
US6428139B1 (en) Ink jet fault tolerance using extra ink dots
KR102473638B1 (en) Inkjet print system
EP1518694B1 (en) Printing by switching sub-scanning feed between monochromatic areas and color areas
JP4345046B2 (en) Inkjet printer and image recording method
JP2000025207A (en) Ink jet recorder and recording method
JP4604343B2 (en) Inkjet recording device
AU2000253741B2 (en) Ink jet fault tolerance using extra ink dots
US6464335B2 (en) Ink jet printer for reducing dot shift
US11548281B2 (en) Printing method and printing apparatus
AU2004233532B2 (en) A printing method including compensation for faulty printing devices
JPS592855A (en) Inkjet printer
AU2004203508B2 (en) Ink jet fault tolerance method
US20130076815A1 (en) Inkjet printer and printing method
KR100799389B1 (en) Ink jet fault tolerance using adjacent nozzles
AU2004203506B2 (en) Method for ink jet fault compensation using extra ink dots
AU2005202029B2 (en) A printing method with nozzle-fault compensation
AU2005202028B2 (en) Method for fault tolerance printing
JPH0497851A (en) Pri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