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4422A - 배터리 모듈 - Google Patents

배터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4422A
KR20220094422A KR1020200185627A KR20200185627A KR20220094422A KR 20220094422 A KR20220094422 A KR 20220094422A KR 1020200185627 A KR1020200185627 A KR 1020200185627A KR 20200185627 A KR20200185627 A KR 20200185627A KR 20220094422 A KR20220094422 A KR 20220094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piezoelectric element
battery module
surface pressure
cor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5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대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5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4422A/ko
Publication of KR20220094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44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against vibrations, collision impact or swelling
    • H01L41/113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0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3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mechanical input and electr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generators or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은 복수의 이차전지셀, 상기 이차전지셀이 내부에 수용되는 하우징부재 및 상기 이차전지셀에 접하게 구비되고, 압전소자가 구비되며, 전압 공급에 의해 상기 압전소자를 두께 방향으로 팽창시켜 상기 이차전지셀에 면압을 인가하는 면압인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모듈{Battery module}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 전기자동차 등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전지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차전지셀은 화학에너지와 전기에너지 간의 상호변환이 가역적이어서 충전과 방전을 반복할 수 있는 전지이다.
이러한 이차전지셀은 이차전지의 주요 구성물인 양극, 음극, 분리막 및 전해액 등의 전극조립체 및 이를 보호하는 다층 외장재(Laminated Film Case)의 셀바디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차전지셀 복수 개를 장착하여 배터리 모듈로 전기자동차 등에 설치되기도 한다.
그런데 이차전지셀은 충전 및 방전의 과정을 거치면서 부풀어 오르는 스웰링(swelling)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이차전지셀들 사이, 이차전지셀과 하우징부재 사이에 완충패드를 구비시켜, 이차전지셀을 지지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완충패드는 이차전지셀이 받는 면압의 제어가 곤란해지는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의 완충패드는 이차전지셀의 부분 면압을 조정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더하여, 종래에는 이차전지셀을 방전하는 경우, 스웰링 현상과 반대로 이차전지셀의 두께가 감소하면서 이차전지셀들 사이에 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이차전지셀이 지지되지 않으며, 또한 상기 이차전지셀이 받는 면압이 제거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 내지 한계를 개선하기 위해서, 배터리 모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스웰링 현상 후에 이차전지셀의 두께가 감소하여 이차전지셀이 지지되지 않거나, 면압이 제거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이차전지셀에 작용하는 면압을 조정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은 복수의 이차전지셀, 상기 이차전지셀이 내부에 수용되는 하우징부재 및 상기 이차전지셀에 접하게 구비되고, 압전소자가 구비되며, 전압 공급에 의해 상기 압전소자를 두께 방향으로 팽창시켜 상기 이차전지셀에 면압을 인가하는 면압인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상기 면압인가부재는 상기 이차전지셀에 인접하게 구비되고, 복수 개의 상기 압전소자가 부착되는 코어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상기 코어판부는 어느 하나의 일면에만 상기 압전소자가 부착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상기 코어판부는 양면 모두에 상기 압전소자가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코어판부에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코어판부의 중앙보다 가장자리에 더 많이 배치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상기 면압인가부재는 상기 코어판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압전소자를 내부면에 밀착되게 배치하여 상기 압전소자를 상기 이차전지셀에 간접 접촉시키는 패드스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상기 패드스킨부는 상기 코어판부가 삽입되는 장착홀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상기 면압인가부재는 상기 코어판부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패드스킨부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패드스킨부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장착홀의 폭보다 큰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상기 플랜지부는 밸로우즈(bellows)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상기 면압인가부재는 상기 패드스킨부의 외부면에 인접한 상기 플랜지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패드스킨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걸림탭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은 상기 하우징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압전소자에 연결되며, 상기 압전소자에 전압을 공급하거나, 상기 압전소자의 수축에 의해 발생한 전압을 저장하는 보조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은 스웰링 현상 후에 이차전지셀의 두께가 감소하여 이차전지셀이 지지되지 않거나, 면압이 제거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은 이차전지셀에 작용하는 면압을 조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에서 압전소자가 부착된 코어판부의 넓은 면이 보이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에서 압전소자와 코어판부를 포함하는 면압인가부재의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에서 패드스킨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에서 패드스킨부를 더 포함하는 면압인가부재의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에서 플랜지부, 걸림탭부를 더 포함하는 면압인가부재의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에서 플랜지부가 밸로우즈 형태로 구비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부여된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은 복수의 이차전지셀(10), 하우징부재(20), 면압인가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부재(20)는 상기 이차전지셀(10)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면압인가부재(30)는 상기 이차전지셀(10)에 접하게 구비되고, 압전소자(31)가 구비되며, 전압 공급에 의해 상기 압전소자(31)를 두께 방향(x)으로 팽창시켜 상기 이차전지셀(10)에 면압을 인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차전지셀(10)은 전극조립체 및 상기 전극조립체를 감싸는 셀바디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조립체는 실질적으로 전해액을 포함하여 함께 상기 셀바디부재에 수납되어 사용된다. 상기 전해액은 EC(ethylene carbonate), PC(propylene carbonate), DEC(diethyl carbonate), EMC(ethyl methyl carbonate), DMC(dimethyl carbonate) 등과 같은 유기 용매에 LiPF6, LiBF4 등과 같은 리튬염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전해액은 액체, 고체 또는 겔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셀바디부재는 상기 전극조립체를 보호하며, 상기 전해액을 수용하는 구성이다. 일례로, 상기 셀바디부재는 파우치형 부재 또는 캔형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파우치형 부재는 상기 전극조립체를 3면에서 실링하여 수용하는 형태로서, 주로 하면부인 일면부를 제외한 상면부 및 양측면부의 3면을 포개어 내부에 상기 전극조립체가 수용된 상태에서 실링하게 구성되는 부재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캔형 부재는 상기 전극조립체를 1면에서 실링하여 수용하는 형태이다. 상기 캔형 부재는 주로 하면부 및 양측면부인 세개 면을 제외한 상면부의 1면이 개구된 형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캔형 부재는 개구된 상기 상면부를 통하여 내부에 상기 전극조립체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상면부를 포개어 실링하게 구성된다.
다만, 이러한 파우치형 이차전지셀(10), 캔형 이차전지셀(10)은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에 수용되는 이차전지셀(10)의 일례일 뿐이고,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에 수용되는 이차전지셀(10)이 이러한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우징부재(20)는, 복수의 상기 이차전지셀(10)이 수용되는 배터리 모듈의 바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하우징부재(20)는 상기 이차전지를 보호하면서도 상기 이차전지가 발생한 전기 에너지를 외부로 전달하거나, 외부에서 전기 에너지를 상기 이차전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하우징부재(20)는 복수의 상기 이차전지셀(10)을 수용하는 바닥부재(21), 측벽부재(22)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부재(20)는 상기 이차전지셀(10)이 안착되는 바닥부재(21) 및 상기 바닥부재(21)의 모서리에 구비되는 측벽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재(21)는 복수의 상기 이차전지셀(10)이 안착되며, 이렇게 안착된 복수의 상기 이차전지셀(1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바닥부재(21)는 상기 이차전지셀(10)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의 히트싱크로 전달하여 냉각시키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바닥부재(21)와 상기 이차전지셀(10) 사이에는 열전달물질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재(20)의 측부를 형성하는 측벽부재(22)도 상기 이차전지셀(10)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배출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부재(20)는 상기 측벽부재(22)의 상단에 구비되는 커버부재(23)를 포함하여 상기 이차전지의 상단부를 보호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재(20)는 상기 측벽부재(22)와 이웃한 전방부재(25), 후방부재(2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의 상기 이차전지셀(10)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밖에 상기 하우징부재(20)에는 상기 이차전지를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부재(24) 등의 부가 구성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면압인가부재(30)는 상기 압전소자(31)의 역압전 효과(inverse piezoelectric effect)를 이용하여 상기 이차전지셀(10)에 면압을 인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압전소자(31)는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이차전지셀(10)의 두께 방향(x)으로 팽창한다. 이러한 상기 압전소자(31)의 팽창 압력이 상기 이차전지셀(10)에 가해짐으로서, 상기 이차전지셀(10)에 면압을 작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은 스웰링 현상 후에 이차전지셀(10)의 두께가 감소하여 이차전지셀(10)이 지지되지 않거나, 면압이 제거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은 이차전지셀(10)에 작용하는 면압을 조정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면압인가부재(30)는 상기 압전소자(31)를 일정 패턴으로 분산 배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면압인가부재(30)는 상기 압전소자(31)가 부착되는 코어판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면압이 인가되는 부분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상기 면압인가부재(30)는 상기 압전소자(31)가 면압을 가하는 부분이 압전소자(31)의 배치에 대응되는 부분에만 집중되지 않도록 상기 압전소자(31)를 내부면(33b)에 밀착 배치시키는 패드스킨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면압을 균일하게 분산하여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은 보조전지(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전지(40)는 상기 하우징부재(20)에 구비되고, 상기 압전소자(31)에 연결되며, 상기 압전소자(31)에 전압을 공급하거나, 상기 압전소자(31)의 수축에 의해 발생한 전압을 저장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전지(40)는 상기 압전소자(31)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압전소자(31)가 상기 이차전지셀(10)의 두께 방향(x)으로 팽창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더하여, 충전 및 방전의 과정을 거치면서 상기 이차전지셀(10)이 부풀어 오르는 스웰링(swelling)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보조전지(40)는 상기 압전소자(31)에서 발생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전지(40)는 상기 이차전지셀(10)의 부풀어오름에 의해 상기 압전소자(31)가 눌러짐으로서 압전 효과로 발생하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것이다.
상기 보조전지(40)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는 상기 이차전지셀(10)에 저장된 전기에너지와는 별도로 관리된다.
상기 보조전지(40)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는 상기 압전소자(31)에 역압전 효과를 유발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보조전지(40)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는 상기 이차전지셀(10)을 가열 또는 냉각하는 등의 배터리 모듈에 필요한 에너지를 소요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에서 압전소자(31)가 부착된 코어판부(32)의 넓은 면이 보이게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에서 압전소자(31)와 코어판부(32)를 포함하는 면압인가부재(30)의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상기 면압인가부재(30)는 코어판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판부(32)는 상기 이차전지셀(10)에 인접하게 구비되고, 복수 개의 상기 압전소자(31)가 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코어판부(32)는 상기 압전소자(31)를 일정 패턴으로 분산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면압이 인가되는 부분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일례로 상기 코어판부(32)는 어느 하나의 일면에만 상기 압전소자(31)가 부착될 수 있다. 이는 도 4의 (b) 등을 참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압전소자(31)가 상기 코어판부(32)의 일면에만 배치되는 경우에, 어느 하나의 압전소자(31)의 팽창 압력은 상기 면압인가부재(30)와 접하는 양측의 이차전지셀(10) 모두에 작용하게 된다. 다만 일측의 이차전지셀(10)은 상기 코어판부(32)를 통해서 팽창 압력을 전달받으므로, 양측의 이차전지셀(10)이 받는 면압이 다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압전소자(31)가 상기 코어판부(32)의 양면 모두에 부착되는 경우에 비하여, 상기 코어판부(32)에 부착되는 압전소자(31)의 개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코어판부(32)는 양면 모두에 상기 압전소자(31)가 부착될 수 있다. 이는 도 4의 (a) 등을 참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압전소자(31)가 상기 코어판부(32)의 양면 모두에 배치되는 경우에, 어느 하나의 압전소자(31)의 팽창 압력은 상기 면압인가부재(30)와 접하는 양측의 이차전지셀(1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이차전지셀(10)에 작용하게 된다. 즉 상기 코어판부(32)의 양측에 각각 부착된 압전소자(31)는 각각 양측의 이차전지셀(10)에 면압을 인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면압인가부재(30) 양측의 이차전지셀(10)에 동일한 면압을 인가할 수도 있게 된다. 다만 이러한 경우는 상기 압전소자(31)가 상기 코어판부(32)의 일면에만 부착되는 경우에 비하여, 상기 코어판부(32)에 부착되는 압전소자(31)의 개수를 늘어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상기 압전소자(31)는 상기 코어판부(32)에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코어판부(32)의 중앙보다 가장자리에 더 많이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도 3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이차전지셀(10)은 스웰링 현상에 의해서 부풀어 오르는 부분이 상기 이차전지셀(10)의 중앙 부분에 집중되고, 가장자리 부분으로 갈수록 덜 부풀어 오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면압인가부재(30)는 상기 이차전지셀(10)의 중앙보다는 상기 이차전지셀(10)의 가장자리에 면압이 부족할 가능성이 높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압전소자(31)는 상기 코어판부(32)의 중앙보다 가장자리에 더 많이 배치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에서 패드스킨부(33)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에서 패드스킨부(33)를 더 포함하는 면압인가부재(30)의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상기 면압인가부재(30)는 패드스킨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드스킨부(33)는 상기 코어판부(32)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압전소자(31)를 내부면(33b)에 밀착되게 배치하여 상기 압전소자(31)를 상기 이차전지셀(10)에 간접 접촉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패드스킨부(33)는 상기 압전소자(31)가 면압을 가하는 부분이 압전소자(31)의 배치에 대응되는 부분에만 집중되지 않도록 상기 압전소자(31)를 상기 이차전지셀(10)에 간접 접촉시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압전소자(31)의 팽창 압력은 상기 패드스킨부(33)를 매개로 상기 이차전지셀(10)에 전달되는 것이다.
일례로 상기 패드스킨부(33)는 일단부에 제1압전소자가 배치되고, 타단부 제2압전소자가 배치된 경우에, 상기 패드스킨부(33)의 중앙부에 제3압전소자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고 하더라도 상기 패드스킨부(33)의 중앙부도 상기 제1압전소자나 제2압전소자가 배치된 양단부에 의한 영향으로 면압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이차전지셀(10)과 접하는 상기 패드스킨부(33)의 일벽부가 딱딱한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패드스킨부(33)의 중앙부도 상기 제1압전소자나 제2압전소자가 배치된 양단부와 같은 면압을 인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차전지셀(10)과 접하는 상기 패드스킨부(33)의 일벽부가 유연한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패드스킨부(33)의 양단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점차로 작아지는 면압이 인가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상기 패드스킨부(33)는 상기 코어판부(32)가 삽입되는 장착홀(33a)이 길이 방향(y)으로 형성되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코어판부(32)는 상기 장착홀(33a)을 통해서 상기 패드스킨부(33)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코어판부(32)에 부착된 상기 압전소자(31)도 상기 패드스킨부(33)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에서 플랜지부(34), 걸림탭부(35)를 더 포함하는 면압인가부재(30)의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즉 도 7은 상기 코어판부(32)의 양면에 상기 압전소자(31)가 배치된 실시예이고, 도 8은 상기 코어판부(32)의 일면만에 상기 압전소자(31)가 배치된 실시예이다. 또한 도 7의 (a), 도 8의 (a)는 플랜지부(34)가 상기 코어판부(32)의 양측으로 연장된 실시예이고, 도 7의 (b), 도 8의 (b)는 플랜지부(34)가 상기 코어판부(32)의 일측으로만 연장된 실시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에서 플랜지부(34)가 밸로우즈 형태로 구비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상기 면압인가부재(30)는 플랜지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34)는 상기 코어판부(32)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패드스킨부(33)의 두께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면압인가부재(30)는 상기 플랜지부(34)가 구비됨에 의해서, 상기 코어판부(32)를 상기 패드스킨부(33)의 내부에 배치할 때, 상기 코어판부(32)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지 않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상기 플랜지부(34)는 상기 패드스킨부(33)의 두께 방향(x)으로 상기 장착홀(33a)의 폭보다 큰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플랜지부(34)는 상기 장착홀(33a)보다 폭이 크기 때문에, 상기 장착홀(33a)로 진입되지 않고, 상기 패드스킨부(33)의 일단부에 걸리게 된다.
더하여 상기 면압인가부재(30)는 걸림탭부(35)를 더 포함함으로서, 더욱 안정적으로 상기 코어판부(32)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지 않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상기 면압인가부재(30)는 상기 패드스킨부(33)의 외부면(33c)에 인접한 상기 플랜지부(34)의 일단부에서 상기 패드스킨부(33)의 길이 방향(y)으로 연장된 걸림탭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플랜지부(34)와 상기 걸림탭는 서로 협력하여 갈고리 형태의 "ㄱ" 형상을 하게 되고, 이에 의해서 상기 패드스킨부(33)의 일단부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상기 플랜지부(34)는 밸로우즈(bellows)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플랜지부(34)가 밸로우즈 형태로 구비됨으로서, 상기 플랜지부(34)는 신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압전소자(31)가 팽창함에 따라 상기 패드스킨부(33)의 외부면(33c)도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외부면(33c)에 걸려진 상기 걸림탭도 외측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이동을 위해서 상기 플랜지부(34)는 신축하게 구성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서 상기 플랜지부(34)를 밸로우즈 형태로 구비시키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이차전지셀 20: 하우징부재
21: 바닥부재 22: 측벽부재
23: 커버부재 24: 버스바부재
25: 전방부재 26: 후방부재
30: 면압인가부재 31: 압전소자
32: 코어판부 33: 패드스킨부
34: 플랜지부 35: 걸림탭부
40: 보조전지

Claims (12)

  1. 복수의 이차전지셀;
    상기 이차전지셀이 내부에 수용되는 하우징부재; 및
    상기 이차전지셀에 접하게 구비되고, 압전소자가 구비되며, 전압 공급에 의해 상기 압전소자를 두께 방향으로 팽창시켜 상기 이차전지셀에 면압을 인가하는 면압인가부재;
    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압인가부재는,
    상기 이차전지셀에 인접하게 구비되고, 복수 개의 상기 압전소자가 부착되는 코어판부;
    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판부는, 어느 하나의 일면에만 상기 압전소자가 부착되는 배터리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판부는, 양면 모두에 상기 압전소자가 부착되는 배터리 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코어판부에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코어판부의 중앙보다 가장자리에 더 많이 배치되는 배터리 모듈.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면압인가부재는,
    상기 코어판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압전소자를 내부면에 밀착되게 배치하여 상기 압전소자를 상기 이차전지셀에 간접 접촉시키는 패드스킨부;
    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스킨부는, 상기 코어판부가 삽입되는 장착홀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배터리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면압인가부재는,
    상기 코어판부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패드스킨부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부;
    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패드스킨부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장착홀의 폭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는 배터리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밸로우즈(bellows) 형태로 형성되는 배터리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면압인가부재는,
    상기 패드스킨부의 외부면에 인접한 상기 플랜지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패드스킨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걸림탭부;
    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압전소자에 연결되며, 상기 압전소자에 전압을 공급하거나, 상기 압전소자의 수축에 의해 발생한 전압을 저장하는 보조전지;
    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20200185627A 2020-12-29 2020-12-29 배터리 모듈 KR202200944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627A KR20220094422A (ko) 2020-12-29 2020-12-29 배터리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627A KR20220094422A (ko) 2020-12-29 2020-12-29 배터리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4422A true KR20220094422A (ko) 2022-07-06

Family

ID=82400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5627A KR20220094422A (ko) 2020-12-29 2020-12-29 배터리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442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6847B2 (en) Rechargable battery pack
KR100949333B1 (ko) 전지 모듈
US11094978B2 (en) Battery system
KR20200030967A (ko) 절연 구조가 향상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10077415A (ko) 배터리 모듈
CN112397835B (zh) 二次电池及包括该二次电池的电池模块
KR20180106421A (ko) 배터리 모듈
CN112787013A (zh) 电池单元容纳部及包括该电池单元容纳部的电池模块
JP6507321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
KR102532699B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CN113748564A (zh) 电池模块以及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
KR20210042710A (ko) 배터리 모듈
KR20220023224A (ko) 배터리 모듈
KR20210011640A (ko) 배터리 모듈
KR20220094422A (ko) 배터리 모듈
KR20210066527A (ko)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US20220158284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CN112838305A (zh) 电池模块
KR20210063245A (ko) 배터리 모듈
US11211658B2 (en) Battery housing comprising absorbent layer and insulation film
KR20220014575A (ko) 전지 팩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75298B1 (ko) 배터리 모듈
KR20200109147A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20210133566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10153431A (ko) 배터리 모듈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