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4002A - Regeneration water sensor and ion remov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Regeneration water sensor and ion remov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4002A
KR20220094002A KR1020200185242A KR20200185242A KR20220094002A KR 20220094002 A KR20220094002 A KR 20220094002A KR 1020200185242 A KR1020200185242 A KR 1020200185242A KR 20200185242 A KR20200185242 A KR 20200185242A KR 20220094002 A KR20220094002 A KR 20220094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ent
regeneration water
housing
detection sensor
b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52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수영
김범섭
이찬우
임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200185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4002A/en
Publication of KR20220094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400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2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detection of dynamic effects of the flow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02F1/469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electrodialysis
    • C02F1/469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electrodialysis electrodeionis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2Devices for measuring pulsing fluid flo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4Casings, e.g. of special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Landscapes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A regeneration water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with an open upper surface and an inner space; an inlet pipe connect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and introducing regeneration water into the inner space; an outlet pipe connected to a lower part of the housing and discharging the regeneration water from the inner space; a sensing bar protruding into the inner space through the housing and detecting the regeneration water; a cover covering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an air vent formed through the cover; a barrier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cover into the inner space and communicating with the air vent; and an opening and closing part at least partially located within the barrier and opening and closing the air vent.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regeneration water detection sensor having high detection reliability of regeneration water and an ion removal device including the same.

Description

재생수 감지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이온 제거장치{REGENERATION WATER SENSOR AND ION REMOVING APPARATUS HAVING THE SAME}REGENERATION WATER SENSOR AND ION REMOV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재생수를 감지하기 위한 재생수 감지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이온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generation water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regeneration water and an ion removal device including the same.

이온 제거장치는, 전기 탈이온 방식의 필터를 사용하여 물 속의 이온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전기 탈이온 방식에는, ED(Electrodialysis), EDI(Electro Deionization), CEDI(Continuous Electro Deionization), CDI(Capacitive Deionization) 등의 방식이 있다.The ion removal device may remove ionic substances in water using an electric deionization filter. The electric deionization method includes methods such as ED (Electrodialysis), EDI (Electro Deionization), CEDI (Continuous Electro Deionization), and CDI (Capacitive Deionization).

이온 제거장치는 설치 위치에 따라 POE(Point of Entry) 타입 또는 POU(Point of Use)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ion removal device may be classified into a Point of Entry (POE) type or a Point of Use (POU) type according to an installation location.

PoE(Point of Entry) 타입의 대표적인 예로서, 원수로부터 연수를 생산해 수요처로 공급하는 연수 시스템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수요처는 집이 될 수 있고, 수요처로 전달된 연수가 다시 물 사용이 필요한 수전, 샤워 헤드 등으로 전달되어 사용될 수 있다.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PoE (Point of Entry) type is a soft water system that produces soft water from raw water and supplies it to a customer. Here, the consumer may be a house, and the soft water delivered to the consumer may be transferred to a faucet, a shower head, etc. that require water use again.

이 경우, 전기 탈이온 방식의 필터는, 연수에 섞일 수 있는 이온 물질들을 제거하여 연수 시스템 내부에 이물질이 퇴적 또는 흡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연수를 생산하는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lectric deionization filter removes ionic substances that may be mixed with the soft water and prevents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deposited or adsorbed in the soft water system, thereby maintaining the performance of producing soft water.

반면, PoU(Point of Use) 타입의 대표적인 예로서, 물을 공급받아 이를 가열함으로써 난방이나 온수를 제공하는 보일러나 온수기 등의 물 가열기를 들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PoU (Point of Use) type, a water heater such as a boiler or a water heater that receives water and heats it to provide heating or hot water may be used.

이 경우, 전기 탈이온 방식의 필터는, 수돗물 등에 포함된 칼슘 이온을 제거하여 칼슘 이온이 석출된 탄산 칼슘이 물 가열기의 파이프나 열교환기 등의 내벽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lectric deionization filter removes calcium ions contained in tap water and the like to prevent calcium carbonate from which calcium ions are deposited from adhering to the inner wall of a pipe of a water heater or a heat exchanger.

상기 필터의 전극에 전압이 인가되면 물 속의 이온성 물질이 전극에 흡착될 수 있다. 그런데 전극의 흡착 용량은 제한적이므로, 주기적으로 전극에 흡착된 이온을 제거하여 전극을 재생시킬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의 전극에 반대 전압을 인가하거나, 전압을 인가하지 않을 수 있고, 전극에 흡착되어 있던 이온이 분리되어 재생수와 함께 배출된다.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de of the filter, the ionic material in the water may be adsorbed to the electrode. However, since the adsorption capacity of the electrode is limited, it is necessary to periodically remove the ions adsorbed on the electrode to regenerate the electrode. In this case, the opposite voltage may or may not be applied to the electrode of the filter, and the ions adsorbed on the electrode are separated and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regeneration water.

따라서, 재생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뤄지는지 또는 재생수의 배출을 막아야 하는 상황에서 밸브 고장으로 재생수가 계속 빠져나가는 상황인지를 시스템적으로 감지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systematically detect whether the regeneration water is smoothly discharged or whether the regeneration water continues to escape due to a valve failure in a situation in which the discharge of the regeneration water is to be prevented.

KR 10-2020-0107785A (연수 시스템, 2020.09.16.)KR 10-2020-0107785A (Training system, 2020.09.16.) KR 10-2020-0105456A (스케일 프리 물 가열기, 2020.09.07)KR 10-2020-0105456A (scale-free water heater, 2020.09.0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재생수의 감지 신뢰성이 높은 재생수 감지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이온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generated water detection sensor with high reliability for detecting regenerated water and an ion removal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에어의 도입이 원활하면서도 재생수가 누수되지 않는 재생수 감지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이온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generation water detection sensor in which air is smoothly introduced and the regeneration water does not leak, and an ion removal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수 감지센서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둘레에 연결되고 상기 재생수를 상기 내부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유입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재생수를 유출시키는 유출관;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고 상기 재생수를 감지하는 센싱바;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는 커버; 상기 커버에 관통 형성된 에어 벤트; 상기 커버에서 상기 내부 공간으로 하방 돌출되며 상기 에어 벤트와 연통된 중공통 형상의 배리어;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배리어 내에 위치하며 상기 에어 벤트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generation water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and an inner space; an inlet pipe connected to the periphery of the housing and introducing the regeneration water into the inner space; an outlet pipe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and for discharging the regeneration water from the inner space; a sensing bar protruding through the housing into the inner space and sensing the regeneration water; a cover covering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an air vent formed through the cover; a hollow-shaped barrier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cover into the inner space and communicating with the air vent; and an opening/closing part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located in the barrier and opens and closes the air vent.

상기 유입관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배리어는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The inlet pipe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and the barrier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상기 유입관은 상기 배리어의 외둘레를 향할 수 있다.The inlet tube may face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arrier.

상기 배리어의 내경은 상기 에어 벤트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An inner diameter of the barrier may be great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air vent.

상기 하우징의 내둘레는, 상기 유입관과 상기 유출관을 연결하고 상기 재생수의 유동을 가이드하며 내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된 가이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바는 상기 가이드면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may include a guide surface that connects the inlet pipe and the outlet pipe, guides the flow of the regeneration water, and is formed obliquely in a direction in which the height decreases toward the inside. The sensing bar may protrude into the inner space through the guide surface.

상기 가이드면은,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surface may be formed to become wider toward the inside.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재생수의 유동 방향으로 상기 센싱바보다 상류에 위치한 어퍼 가이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 가이드면의 적어도 일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surface may include an upper guide surface located upstream of the sensing bar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regeneration water.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guide surface may be formed to become narrower toward the lower side.

상기 개폐부는, 상기 에어 벤트가 폐쇄되는 제1높이와, 상기 제1높이보다 낮으며 상기 에어 벤트가 개방되는 제2높이 사이에서 승강하는 밸브 바디; 및 상기 밸브 바디가 상기 제2높이로 하강하도록 상기 밸브 바디에 탄성력을 작용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unit may include: a valve body elevating between a first height at which the air vent is closed and a second height lower than the first height and at which the air vent is opened; and a spring that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valve body so that the valve body descends to the second height.

상기 개폐부는, 상기 밸브바디가 상기 제1높이이면 상기 커버와 상기 밸브 바디의 사이에서 밀착되며, 상기 커버 또는 밸브 바디에 구비된 실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provided in the cover or the valve body, which is in close contact between the cover and the valve body when the valve body is at the first height.

상기 밸브 바디는, 상기 배리어 내에 위치한 로어 바디; 상기 에어 벤트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밸브 바디가 상기 제1높이이면 상기 에어 벤트의 상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밸브 바디가 상기 제2높이이면 상기 에어 벤트의 상단 주변에 걸리는 어퍼 바디; 및 상기 에어 벤트를 통과하여 상기 로어 바디와 상기 어퍼 바디를 연결하는 연결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 바디가 상기 제2높이이면, 상기 에어 벤트의 내둘레와 상기 연결 바디의 외둘레 사이로 에어가 통과할 수 있다.The valve body may include a lower body located within the barrier; an upper body located above the air vent,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air vent when the valve body is at the first height, and hung around the upper end of the air vent when the valve body is at the second height; and a connection body connecting the lower body and the upper body through the air vent. When the valve body is the second height, air may pass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air vent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body.

상기 로어 바디의 하단부에는 반경 외측으로 확장된 확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로어 바디의 외둘레를 둘러싸며 상기 확장부를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An extension extending outwardly from a radius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lower body, and the spring may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body and press the extension downward.

상기 개폐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배리어 내에 위치하도록 고정된 본체; 및 상기 에어 벤트의 하단 주변에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본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본체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에어 벤트를 개폐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unit may include: a main body,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fixed to be located within the barrier; and a protrusion that protrudes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main body from the periphery of the lower end of the air vent toward the lower side, and selectively contacts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the air vent.

상기 본체는, 상기 배리어 내에 위치한 로어 바디; 상기 에어 벤트의 상측에 고정된 어퍼 바디; 및 상기 에어 벤트 및 돌출부를 통과하여 상기 로어 바디와 상기 어퍼 바디를 연결하는 연결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가 상기 본체와 이격되면, 상기 에어 벤트의 내둘레와 상기 연결 바디의 외둘레 사이로 에어가 통과할 수 있다.The body may include a lower body located within the barrier; an upper body fixed to an upper side of the air vent; and a connection body connecting the lower body and the upper body through the air vent and the protrusion. When the protrusion is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air may pass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air vent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body.

상기 로어 바디는, 상기 연결 바디에 연결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에서 하방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경사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The lower body may include: an inclined portion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ody and having a larger diameter toward the lower side; and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inclined portion. The protrusion may protrude toward the inclined portion.

상기 로어 바디에는, 하단부에서부터 상방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의 입구는 상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A depression may be formed in the lower body by a predetermined depth upward from the lower body, and an inner diameter of the inlet of the depression may be formed to decrease toward the upper side.

상기 커버에는, 상기 어퍼 바디가 안착되고 상기 에어 벤트와 연통된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A seating groove in which the upper body is seated and communicated with the air vent may be formed in the cover.

상기 개폐부는, 상기 에어 벤트의 하단 주변에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는 경사 방향으로 돌출되며, 서로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탄성 변형되어 상기 에어 벤트를 개폐하는 복수개의 돌출편을 포함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part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ding pieces that protrude in an inclined direction that are closer to each other from the periphery of the lower end of the air vent and are elastically deformed to selectively contact each other to open and close the air ven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온 제거장치는, 이온이 흡착되는 제1모드 또는 흡착되어 있던 이온이 제거되는 제2모드로 동작하는 전기 탈이온 방식의 필터; 상기 제1모드 시 상기 필터에 의해 이온이 제거된 연수가 유동되는 메인 유로; 상기 제2모드 시 상기 필터에 흡착되어 있던 이온이 포함된 재생수가 배출되는 드레인 유로; 및 상기 드레인 유로에 구비된 재생수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An ion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electric deionization filter operating in a first mode in which ions are adsorbed or a second mode in which adsorbed ions are removed; a main flow path through which soft water from which ions have been removed by the filter flows in the first mode; a drain passage through which regeneration water containing ions adsorbed to the filter is discharged in the second mode; and a regeneration water detection sensor provided in the drain passage.

상기 재생수 감지 센서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둘레에 연결되고 상기 재생수를 상기 내부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유입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재생수를 유출시키는 유출관;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고 상기 재생수를 감지하는 센싱바;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는 커버; 상기 커버에 관통 형성된 에어 벤트; 상기 커버에서 상기 내부 공간으로 하방 돌출되며 상기 에어 벤트와 연통된 중공통 형상의 배리어;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배리어 내에 위치하며 상기 에어 벤트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generation water detection sensor may include: a housing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and an inner space; an inlet pipe connected to the periphery of the housing and introducing the regeneration water into the inner space; an outlet pipe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and for discharging the regeneration water from the inner space; a sensing bar protruding through the housing into the inner space and sensing the regeneration water; a cover covering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an air vent formed through the cover; a hollow-shaped barrier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cover into the inner space and communicating with the air vent; and an opening/closing part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located in the barrier and opens and closes the air ven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싱바가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므로, 상기 내부 공간으로 유동되는 재생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로써, 재생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뤄지는지 또는 재생수의 배출을 막아야 하는 상황에서 밸브 고장으로 재생수가 계속 빠져나가는 상황인지를 시스템적으로 감지 가능한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nsing bar protrude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it is possible to sense the regeneration water flowing into the inner space.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systematically detect whether the regeneration water is smoothly discharged or whether the regeneration water continues to escape due to a valve failure in a situation where the discharge of the regeneration water needs to be blocked.

또한, 커버에 에어 벤트가 형성되어 별도의 복잡한 구성 없이도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에어를 도입할 수 있다. 이로써 재생수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n air vent is formed in the cover,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without a separate complicated configuration. Accordingly, the flow of the regeneration water may be smoothly achieved.

또한, 중공통 형상의 배리어에 의해 재생수가 에어 벤트로 누수되는 것을 일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imarily prevent the regeneration water from leaking into the air vent by the hollow cylinder-shaped barrier.

또한, 유입관은 하우징의 일측에 연결되고 배리어는 하우징의 타측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로써, 재생수의 유동이 배리어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재생수가 배리어 내로 침입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let pipe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and the barrier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Thereby, the flow of the regeneration water is not obstructed by the barrier, an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enetration of the regeneration water into the barrier.

또한, 유입관은 배리어의 외둘레를 향할 수 있다. 이로써, 재생수가 배리어 내로 침입할 우려를 더욱 줄일 수 있다.Also, the inlet tube may face the outer perimeter of the barrier. Thereby, it is possible to further reduce the possibility that the regeneration water enters into the barrier.

또한, 센싱바에 의해 관통되는 가이드면은, 내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유입관으로 유입된 재생수가 가이드면에 대해 유동 박리가 일어나지 않으므로 센싱바의 감지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surface penetrated by the sensing bar may be formed obliquely in a direction in which the height decreases toward the inside. Accordingly, the regenerated water introduced into the inlet pipe does not cause flow separation with respect to the guide surface, so that the sensing reliability of the sensing bar can be improved.

또한, 가이드면은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면 중 센싱바에 의해 관통된 부분에 가까워질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다. 또한, 가이드면 중 센싱바보다 상류에 위치한 어퍼 가이드면의 적어도 일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센싱바 쪽으로 재생수가 모아지므로 센싱바는 소량의 재생수도 신뢰성있게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surface may be formed to become wider toward the inside. That is, as the guide surface approaches the portion penetrated by the sensing bar, the width may become narrower. 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guide surface located upstream of the sensing bar among the guide surfaces may be formed to have a narrower width toward the lower side. As a result, since the regenerated water is collected toward the sensing bar, the sensing bar can reliably detect a small amount of regenerated water.

또한, 개폐부는 평상시에 에어 벤트를 개방하여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에어를 도입할 수 있고, 배리어 내로 재생수가 침입하면 에어 벤트를 폐쇄하여 재생수가 에어 벤트로 누수되는 것을 이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ning/closing unit may normally open the air vent to introduce air into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if the regeneration water enters the barrier, it closes the air vent to prevent secondary leakage of the regeneration water into the air v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 제거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수 감지센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수 감지센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에 대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B-B'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C-C'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의 단면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ion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generation water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generation water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2 .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7A and 7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n opening/clo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pening/clos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pening/clos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 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는,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or related known technologie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omitted, an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reference signs are added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n this case,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In addition,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appropriately defines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on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 제거장치의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ion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이온 제거장치가 POE(Point of Entry) 타입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POU(Point of Use) 타입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ion removal device is a POE (Point of Entry) typ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of course also possible to be implemented as a POU (Point of Use) type.

본 실시예에 따른 이온 제거장치는, 필터(11)(12)와, 공급 유로(21)(22)와, 배출 유로(23)(24)와, 메인 유로(25)(26)와, 드레인 유로(27)(28)와, 재생수 감지센서(이하, '센서')(1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ion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filters 11 and 12, supply passages 21 and 22, discharge passages 23 and 24, main passages 25 and 26, and drains. It may include flow paths 27 and 28 and a regeneration water detection sensor (hereinafter, 'sensor') 100 .

필터(11)(12)는 전기 탈이온 방식으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방식 중에 전기 탈이온 방식이 있다. 전해질 중의 하전입자에 직류전압이 작용하면, 양의 하전입자는 음극으로 이동하고, 음의 하전입자는 양극으로 이동한다. 이를 전기영동(electrophoresis)이라 한다. 전기 탈이온 방식은 전기적인 힘(전기영동)의 원리를 바탕으로 전극이나 이온교환막 등을 통해서 물 속의 이온(이온성 물질)을 선택적으로 흡착하거나 이동시켜 제거하는 방식을 말한다.The filters 11 and 12 may remove ionic substances in an electric deionization method. More specifically, there is an electric deionization method among the methods of removing the ionic material. When a DC voltage is applied to the charged particles in the electrolyte, the positively charged particles move to the cathode, and the negatively charged particles move to the anode. This is called electrophoresis. Electrodeionization refers to a method of selectively adsorbing or moving ions (ionic substances) in water through electrodes or ion exchange membranes based on the principle of electric force (electrophoresis) to remove them.

필터(11)(12)는 양극 및 음극을 포함하는 전극을 가질 수 있다. 필터(11)(12)의 전극에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이온을 포함하는 물이 전극의 사이를 통과하면, 음이온은 양극에 흡착되고, 양이온은 음극에 흡착될 수 있다. 따라서, 물 속에서 이온이 제거될 수 있고, 이처럼 필터(11)(12)가 물 속의 이온(이온성 물질)을 전극을 통해 제거하는 모드를 제거 모드 또는 제1모드로 명명할 수 있다.The filters 11 and 12 may have electrodes including an anode and a cathode. In a state in which a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des of the filters 11 and 12 , when water containing ions passes between the electrodes, anions may be adsorbed to the anode, and cations may be adsorbed to the cathode. Therefore, ions can be removed from the water, and a mode in which the filters 11 and 12 remove ions (ionic substances) in the water through the electrode may be referred to as a removal mode or a first mode.

그런데 필터(11)(12)의 전극의 흡착 용량은 제한적이므로 이온의 흡착이 계속되면 전극은 더 이상 이온을 흡착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를 수 있다. 이를 막기 위해, 필터(11)(12)의 전극에 제거 모드 시와 반대 전압을 인가하거나 전압을 미인가함으로써, 전극에서 이온을 분리시키고 전극을 재생시킬 수 있다. 이처럼 필터(11)(12)가 전극을 재생하는 모드를 재생 모드 또는 제2모드로 명명할 수 있으며, 상기 재생 모드는 제거 모드의 전후에 수행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adsorption capacity of the electrodes of the filters 11 and 12 is limited, if the adsorption of ions continues, the electrode may reach a state in which it can no longer adsorb ions. In order to prevent this, by applying a voltage opposite to that in the removal mode or not applying a voltage to the electrodes of the filters 11 and 12, ions can be separated from the electrodes and the electrodes can be regenerated. As such, the mode in which the filters 11 and 12 regenerate the electrodes may be called a regeneration mode or a second mode, and the regeneration mode may be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removal mode.

필터(11)(12)는 병렬로 연결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복수개의 필터(11)(12)가 서로 병렬 연결된 제1필터(11) 및 제2필터(12)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A plurality of filters 11 and 12 connected in parallel may be provided. 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plurality of filters 11 and 12 includes the first filter 11 and the second filter 12 connected to each other in parallel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제1필터(11) 및 제2필터(12) 중 어느 하나는 제거 모드를 수행하여, 원수 중의 이온성 물질을 적어도 일부 제거하여 연수를 생성 및 배출할 수 있다. 제1필터(11) 및 제2필터(12) 중 다른 하나는 재생 모드를 수행하여 전극에 흡착되어 있던 이온성 물질을 원수에 제공하여 이온성 물질의 함량이 증가한 재생수를 배출할 수 있다. Any one of the first filter 11 and the second filter 12 may perform a removal mode to remove at least a portion of ionic substances in raw water to generate and discharge soft water. The other one of the first filter 11 and the second filter 12 may perform a regeneration mode to provide the ionic material adsorbed on the electrode to the raw water to discharge the regenerated water having an increased content of the ionic material.

제1필터(11)와 제2필터(12)는 일정 주기에 따라 제거 모드와 재생 모드를 번갈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할 수요처(P)에 연수를 끊김없이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The first filter 11 and the second filter 12 may alternately perform the removal mode and the regeneration mod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erio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supply soft water to the demand (P),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out interruption.

공급 유로(21)(22)는 필터(11)(12)의 입구에 연결되고, 필터(11)(12)에 원수를 공급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공급 유로(21)(22)는 제1필터(11)에 연결된 제1공급 유로(21)와, 제2필터(12)에 연결된 제2공급 유로(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공급 유로(21)와 제2공급 유로(22)는 수원(S)에 연결된 단일의 유로에서 분지될 수 있다. 따라서, 수원(S)의 원수는 제1공급 유로(21)와 제2공급 유로(22)에 의해 제1필터(11) 및 제2필터(12)로 나뉘어 공급될 수 있다.The supply passages 21 and 22 are connected to the inlets of the filters 11 and 12 , and may supply raw water to the filters 11 and 12 . In more detail, the supply passages 21 and 22 may include a first supply passage 21 connected to the first filter 11 and a second supply passage 22 connected to the second filter 12 . . The first supply passage 21 and the second supply passage 22 may be branched from a single passage connected to the water source (S). Accordingly, the raw water of the water source S may be divided into the first filter 11 and the second filter 12 by the first supply passage 21 and the second supply passage 22 and supplied.

배출 유로(23)(24)는 필터(11)(12)의 출구에 연결되고, 필터(11)(12)의 연수 또는 재생수가 배출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배출 유로(23)(24)는 제1필터(11)에 연결된 제1배출 유로(23)와, 제2필터(12)에 연결된 제2배출 유로(2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charge passages 23 and 24 are connected to the outlets of the filters 11 and 12 , and soft water or regenerated water of the filters 11 and 12 may be discharged. In more detail, the discharge passages 23 and 24 may include a first discharge passage 23 connected to the first filter 11 and a second discharge passage 24 connected to the second filter 12 . .

제1배출 유로(23)는 후술할 제1메인 유로(25) 및 제1드레인 유로(27)로 분지될 수 있고, 제2배출 유로(24)는 후술할 제2메인 유로(26) 및 제2드레인 유로(28)로 분지될 수 있다.The first discharge flow path 23 may be branched into a first main flow path 25 and a first drain flow path 27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second discharge flow path 24 includes a second main flow path 26 and a second flow path 26 to be described later. It may be branched into the 2 drain flow path 28 .

메인 유로(25)(26)는 제거 모드인 필터(11)(12)에 의해 이온이 제거된 연수가 유동될 수 있고, 상기 연수를 수요처(P)에 공급할 수 있다.Soft water from which ions have been removed by the filters 11 and 12 in the removal mode may flow through the main flow paths 25 and 26 , and the soft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consumer P.

좀 더 상세히, 메인 유로(25)(26)는 제1배출 유로(23)에서 분지된 제1메인 유로(25)와, 제2배출 유로(24)에서 분지된 제2메인 유로(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메인 유로(25) 및 제2메인 유로(26)는 합지되어 수요처(P)에 연결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main flow paths 25 and 26 include a first main flow path 25 branched from the first discharge flow path 23 and a second main flow path 26 branched from the second discharge flow path 24 . may include The first main flow path 25 and the second main flow path 26 may be laminated and connected to the consumer P.

제1메인 유로(25)에는 제1메인 밸브(31)가 구비될 수 있고, 제2메인 유로(26)에는 제2메인 밸브(32)가 구비될 수 있다. 각 메인 밸브(31)(32)는 각 메인 유로(25)(26)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제1메인 밸브(31) 및 제2메인 밸브(32)는 택일적으로 오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메인 밸브(31)(32)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 first main valve 31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main flow path 25 , and a second main valve 32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main flow path 26 . Each of the main valves 31 and 32 may selectively open and close each of the main flow paths 25 and 26 . The first main valve 31 and the second main valve 32 may alternatively be opened. For example, each of the main valves 31 and 32 may be a solenoid valv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드레인 유로(27)(28)는 재생 모드인 필터(11)(12)에 흡착되어 있던 이온이 포함된 재생수가 유동될 수 있고, 상기 재생수를 드레인 시킬 수 있다.In the drain passages 27 and 28, the regeneration water containing ions adsorbed to the filters 11 and 12 in the regeneration mode may flow, and the regeneration water may be drained.

좀 더 상세히, 드레인 유로(27)(28)는 제1배출 유로(23)에서 분지된 제1드레인 유로(27)와, 제2배출 유로(24)에서 분지된 제2드레인 유로(28)를 포함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drain passages 27 and 28 include a first drain passage 27 branched from the first discharge passage 23 and a second drain passage 28 branched from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24 . may include

제1드레인 유로(27)에는 제1드레인 밸브(33)가 구비될 수 있고, 제2드레인 유로(28)에는 제2드레인 밸브(34)가 구비될 수 있다. 각 드레인 밸브(33)(34)는 각 드레인 유로(27)(28)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제1드레인 밸브(33) 및 제2드레인 밸브(34)는 택일적으로 오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메인 밸브(31)(32)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 first drain valve 33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drain passage 27 , and a second drain valve 34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drain passage 28 . Each of the drain valves 33 and 34 can selectively open and close each drain passage 27 and 28 . The first drain valve 33 and the second drain valve 34 may alternatively be opened. For example, each of the main valves 31 and 32 may be a solenoid valv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센서(100)는 이온을 포함하는 재생수를 감지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센서(100)는 드레인 유로(27)(28)에 구비되고, 드레인 유로(27)(28)로 유동되는 재생수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100)는 드레인 밸브(33)(34)보다 하류에 구비될 수 있다.The sensor 100 may detect regeneration water containing ions. In more detail, the sensor 100 is provided in the drain passages 27 and 28 , and can sense the regeneration water flowing into the drain passages 27 and 28 . The sensor 100 may be provided downstream of the drain valves 33 and 34 .

바람직하게는, 센서(10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센서(100)는 제1드레인 유로(27)에 구비된 제1센서(100a)와, 제2드레인 유로(28)에 구비된 제2센서(100b)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a plurality of sensors 100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sensors 100 are provided in the first sensor 100a provided in the first drain flow path 27 and the second drain flow path 28 . and a second sensor 100b.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드레인 유로(27) 및 제2드레인 유로(28)가 합류된 드레인 유로에 단일의 센서(100)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of course possible that a single sensor 100 is provided in the drain passage where the first drain passage 27 and the second drain passage 28 are joined.

이하, 이온 제거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ion removal device will be described.

제1필터(11)가 제거 모드이고 제2필터(12)가 재생 모드이면, 제1메인 밸브(31)는 오픈되고, 제2메인 밸브(32)는 클로즈되고, 제1드레인 밸브(33)는 클로즈되고, 제2드레인 밸브(34)는 오픈될 수 있다.When the first filter 11 is in the removal mode and the second filter 12 is in the regeneration mode, the first main valve 31 is opened, the second main valve 32 is closed, and the first drain valve 33 is closed. may be closed, and the second drain valve 34 may be opened.

이 경우, 제1필터(11)는 제1공급 유로(21)를 통해 공급된 원수에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여 제1배출 유로(23)로 연수를 배출할 수 있고, 상기 연수는 제1메인 유로(25)를 통해 수요처(P)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제2필터(12)는, 전극에 흡착되어 있던 이온성 물질을, 제2공급 유로(22)를 통해 공급된 원수에 포함시켜 제2배출 유로(24)로 재생수를 배출할 수 있고, 상기 재생수는 제2드레인 유로(28)를 통해 드레인 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filter 11 may remove the ionic material from the raw water supplied through the first supply passage 21 to discharge the soft water to the first discharge passage 23, and the soft water is the first main It may be supplied to the consumer P through the flow path 25 . In addition, the second filter 12 includes the ionic material adsorbed on the electrode in the raw water supplied through the second supply passage 22 to discharge the regenerated water to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24, The regeneration water may be drained through the second drain passage 28 .

즉, 제1센서(100a)에서는 재생수가 감지되지 않고, 제2센서(100b)에서는 재생수가 감지되어야 정상 상태이다. 따라서, 제1센서(100a)에서 재생수가 감지되거나 제2센서(100b)에서 재생수가 감지되지 않으면, 이온 제거장치에 연결된 출력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나 스피커)에는 에러 알람이 출력될 수 있다. 이로써, 작업자는 상기 에러 알람을 보고 신속하게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sensor 100a does not detect the regeneration water, and the second sensor 100b detects the regeneration water in order to be in a normal state. Accordingly, when the number of regeneration is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100a or the number of regeneration is not detected by the second sensor 100b, an error alarm may be output to an output interface (eg, a display or a speaker) connected to the ion removal device. .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see the error alarm and quickly perform maintenance work.

반대로, 제1필터(11)가 재생 모드이고 제2필터(12)가 제거 모드이면, 제1메인 밸브(31)는 클로즈되고, 제2메인 밸브(32)는 오픈되고, 제1드레인 밸브(33)는 오픈되고, 제2드레인 밸브(34)는 클로즈될 수 있다.Conversely, when the first filter 11 is in the regeneration mode and the second filter 12 is in the removal mode, the first main valve 31 is closed, the second main valve 32 is open, and the first drain valve ( 33 may be opened, and the second drain valve 34 may be closed.

이 경우, 제1필터(11)는, 전극에 흡착되어 있던 이온성 물질을, 제1공급 유로(21)를 통해 공급된 원수에 포함시켜 제1배출 유로(23)로 재생수를 배출할 수 있고, 상기 재생수는 제1드레인 유로(27)를 통해 드레인 될 수 있다. 또한, 제2필터(12)는 제2공급 유로(22)를 통해 공급된 원수에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여 제2배출 유로(24)로 연수를 배출할 수 있고, 상기 연수는 제2메인 유로(26)를 통해 수요처(P)로 공급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filter 11 may include the ionic material adsorbed on the electrode in the raw water supplied through the first supply passage 21 to discharge the regenerated water to the first discharge passage 23 , , the regeneration water may be drained through the first drain passage 27 . In addition, the second filter 12 may remove ionic substances from the raw water supplied through the second supply passage 22 to discharge the soft water to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24 , and the soft water is the second main passage. It can be supplied to the demand (P) through (26).

즉, 제1센서(100a)에서는 재생수가 감지되고, 제2센서(100b)에서는 재생수가 감지되지 않아야 정상 상태이다. 따라서, 제1센서(100a)에서 재생수가 감지되지 않거나 제2센서(100b)에서 재생수가 감지되면, 이온 제거장치에 연결된 출력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나 스피커)에는 에러 알람이 출력될 수 있다. 이로써, 작업자는 상기 에러 알람을 보고 신속하게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sensor 100a detects the regeneration water and the second sensor 100b does not detect the regeneration water, in order to be in a normal state. Therefore, when the number of regeneration is not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100a or the number of regeneration is detected by the second sensor 100b, an error alarm may be output to an output interface (eg, a display or a speaker) connected to the ion removal device. .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see the error alarm and quickly perform maintenance work.

이하, 센서(100)의 구성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sensor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수 감지센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수 감지센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에 대한 절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B-B'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C-C'에 대한 단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generation water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generation water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utaway taken along line A-A' in FIG. It is a perspective view,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2,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100)는, 상면이 개방된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는 커버(120)와, 상기 하우징(110)에 연결된 유입관(130) 및 유출관(140)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로 돌출된 센싱바(16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110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a cover 120 covering an ope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 and an inlet pipe 130 connected to the housing 110 . ) and an outlet pipe 140 , and a sensing bar 160 protruding into the housing 110 .

하우징(110)은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 공간(S1)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110)은 대략 중공통 형상일 수 있다. 즉, 하우징(110)은 내부 공간(S1)을 정의하는 내둘레를 가질 수 있다.The housing 110 may have an open upper surface and an internal space S1 . The housing 110 may have a substantially hollow shape. That is, the housing 110 may have an inner circumference defining the inner space S1 .

하우징(110)에는 센서(100)를 상대물(미도시)에 장착시키기 위한 마운터(150)가 연결될 수 있다. 마운터(150)는 하우징(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 mounter 150 for mounting the sensor 100 to a counterpart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the housing 110 . The mounter 15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110 , but is not limited thereto.

마운터(150)는 대략 수직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고, 하우징(11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유입관(130)은 마운터(150)를 관통하여 하우징(110)에 연결될 수 있다.The mounter 150 may have a substantially vertical plate shape and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110 . The inlet pipe 130 may pass through the mounter 150 and be connected to the housing 110 .

마운터(150)에는 상대물(미도시)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151)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체결부(151)는 마운터(150)에서 하우징(110)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체결 보스일 수 있다.The mounter 15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fastening part 151 fastened to a counterpart (not shown). For example, the fastening part 151 may be a fastening bos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mounter 15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housing 110 .

커버(120)는 하우징(110)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할 수 있다. 커버(120)는 하우징(110)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커버(120)에는 후술할 에어 벤트(121) 및 배리어(122)가 형성될 수 있다.The cover 120 may cover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 The cover 120 may be detachably fastened to the housing 110 . An air vent 121 and a barrier 122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formed in the cover 120 .

유입관(130) 및 유출관(140)은 하우징(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입관(130) 및 유출관(140)은 앞서 설명한 드레인 유로(27)(28)(도 1 참조)에 연통될 수 있다.The inlet pipe 130 and the outlet pipe 14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110 ,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 inlet pipe 130 and the outlet pipe 140 may communicate with the drain passages 27 and 28 (refer to FIG. 1 ) described above.

유입관(130)은 하우징(110)의 둘레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유입관(130)은 하우징(110)의 상부 둘레에 연결될 수 있으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유입관(130)은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S1)과 연통되어, 재생수를 상기 내부 공간(S1)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The inlet pipe 130 may be connected to the periphery of the housing 110 . In more detail, the inlet pipe 130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periphery of the housing 110 and may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inlet pipe 130 may communicate with the inner space S1 of the housing 110 to introduce regeneration water into the inner space S1 .

유출관(140)은 하우징(11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유출관(140)은 하우징(110)의 하단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유출관(140)은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S1)과 연통되어, 상기 내부 공간(S1)으로부터 재생수를 유출시킬 수 있다.The outlet pipe 140 may be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10 . In more detail, the outlet pipe 14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110 and may extend in a vertical direction. The outlet pipe 140 may communicate with the inner space S1 of the housing 110 to discharge the regenerated water from the inner space S1 .

센싱바(160)는 하우징(110)을 관통하여 내부 공간(S1)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센싱바(160)의 일부는 내부 공간(S1)에 위치하여 내부 공간(S1)을 통과하는 재생수를 감지할 수 있다.The sensing bar 160 may protrude into the inner space S1 through the housing 110 . That is, a part of the sensing bar 160 may be located in the inner space S1 to sense the regeneration water passing through the inner space S1 .

센싱바(160)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센싱바(160)는 재생수의 유동 방향에 대해 유입관(130)과 유출관(14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센싱바(160)는 유입관(13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고, 유출관(140)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sensing bar 160 may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sensing bar 16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inlet pipe 130 and the outlet pipe 140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regeneration water. Accordingly, the sensing bar 160 may be located below the inlet pipe 130 , and may be located above the outlet pipe 140 .

센싱바(160)는 기판(161)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센싱바(160)의 일 단은 기판(161)에 연결되어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S1)의 외부에 위치하고, 타 단은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S1) 내에 위치할 수 있다.The sensing bar 160 may be connected to the substrate 161 . In more detail, one end of the sensing bar 160 is connected to the substrate 161 and located outside the inner space S1 of the housing 110 , and the other end is located within the inner space S1 of the housing 110 . can do.

상기 기판(161)은 센싱바(160)에 미세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따라서, 센싱바(160)에 재생수가 닿으면 상기 미세 전류의 파장이 변화하고 기판(161)은 이를 감지하여 재생수의 흐름을 감지할 수 있다.The substrate 161 may apply a minute current to the sensing bar 160 . Accordingly, when the regenerated water touches the sensing bar 160 , the wavelength of the minute current changes, and the substrate 161 detects this to sense the flow of the regenerated water.

상기 기판(161)은 마운터(150)에 형성된 기판 수용부(152)에 수용될 수 있다. 기판 수용부(152)는 마운터(150)에서 하우징(110)을 향해 함몰될 수 있고, 기판(161)은 기판 수용부(152) 내에 수직한 상태로 수용될 수 있다. The substrate 161 may be accommodated in a substrate receiving part 152 formed in the mounter 150 . The substrate accommodating part 152 may be recessed from the mounter 150 toward the housing 110 , and the substrate 161 may be accommodated in the substrate accommodating part 152 in a vertical state.

한편, 하우징(110)의 내둘레는 유입관(130)과 유출관(140)을 연결하며 재생수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면(111)을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110 may include a guide surface 111 that connects the inlet pipe 130 and the outlet pipe 140 and guides the flow of the regeneration water.

좀 더 상세히, 유입관(130)은 하우징(11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고, 가이드면(111)은 하우징(110)의 내둘레 중 상기 일측 일부일 수 있다. 또한, 센싱바(160)는 하우징(110)의 일측에서 가이드면(111)을 관통하여 내부 공간(S1)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면(111)을 따라 흐르는 재생수는 센싱바(16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inlet pipe 130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110 , and the guide surface 111 may be a part of the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110 . In addition, the sensing bar 160 may pass through the guide surface 111 from one side of the housing 110 to protrude into the inner space S1. Accordingly, the regeneration water flowing along the guide surface 111 may be sensed by the sensing bar 160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면(111)은 내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관(130)으로 유입된 재생수가 가이드면(111)을 따라 흐르게 되고, 가이드면(111)에 대한 유동 박리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센싱바(160)의 감지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guide surface 111 may be formed obliquely in a direction in which the height decreases toward the inside. Accordingly, the regenerated water introduced into the inlet pipe 130 flows along the guide surface 111 ,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ow separation of the guide surface 111 from occurring. Accordingly, the sensing reliability of the sensing bar 160 may be improved.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면(111)은, 재생수의 유동 방향으로 센싱바(160)보다 상류에 위치한 어퍼 가이드면(112)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면(111)은, 재생수의 유동 방향으로 센싱바(160)보다 하류에 위치한 로어 가이드면(1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5 , the guide surface 111 may include an upper guide surface 112 positioned upstream of the sensing bar 160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regeneration water. The guide surface 111 may further include a lower guide surface 113 located downstream of the sensing bar 160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regeneration water.

상기 어퍼 가이드면(112)의 적어도 일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폭(W)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어퍼 가이드면(112)을 따라 흐르는 재생수는 센싱바(160)를 향해 모아질 수 있고, 센싱바(160)는 소량의 재생수도 신뢰성있게 감지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guide surface 112 may be formed to be narrower in width W toward the lower side. Accordingly, the regenerated water flowing along the upper guide surface 112 may be collected toward the sensing bar 160 , and the sensing bar 160 may reliably detect a small amount of regenerated water.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좀 더 상세히, 가이드면(111)은 내측으로 갈수록 폭(W)이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하우징(11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가이드면(111)의 폭(W)이 넓어질 수 있고, 가이드면(111) 중 센싱바(160)에 의해 관통된 부분에 가까워질수록 가이드면(111)의 폭(W)이 좁아질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면(111)을 따라 흐르는 재생수는 센싱바(160)를 향해 모아질 수 있고, 센싱바(160)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Also, as shown in FIG. 6 , in more detail, the guide surface 111 may be formed to have a wider width W toward the inside. That is, the width W of the guide surface 111 may be widened from one side of the housing 110 to the other side, and as the guide surface 111 approaches the portion penetrated by the sensing bar 160, the guide surface The width W of (111) may be narrowed. Accordingly, the regeneration water flowing along the guide surface 111 may be collected toward the sensing bar 160 , and the reliability of the sensing bar 160 may be further improved.

한편, 센서(100)는, 커버(120)에 형성된 에어 벤트(121)와, 에어 벤트(121)로 재생수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배리어(122)와, 에어 벤트(121)를 개폐하는 개폐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nsor 100 includes an air vent 121 formed on the cover 120 , a barrier 122 that prevents the reclaimed water from entering the air vent 121 , and an opening/closing par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ir vent 121 ( 170) may be further included.

에어 벤트(121)는 커버(120)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외기는 에어 벤트(121)를 통해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S1)으로 유입될 수 있고, 이로써 유입관(130) 및 유출관(140)을 통한 재생수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다.The air vent 121 may be formed through the cover 120 . Outside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S1 of the housing 110 through the air vent 121 , thereby smoothly flowing the regeneration water through the inlet pipe 130 and the outlet pipe 140 .

배리어(122)는 커버(120)에서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S1)으로 하방 돌출될 수 있다. 배리어(122)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배리어(122)는 유입관(130)을 통해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S1)으로 유입된 재생수가 에어 벤트(121)로 누수되는 것을 일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 barrier 122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cover 120 to the inner space S1 of the housing 110 . The barrier 122 may extend in a vertical direction. The barrier 122 may primarily prevent the regeneration water flowing into the inner space S1 of the housing 110 from leaking into the air vent 121 through the inlet pipe 130 .

배리어(122)는 커버(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배리어(122)는 에어 벤트(121)와 연통되고 저면이 개방된 중공통 형상일 수 있다. 배리어(122)의 내경은 에어 벤트(121)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 The barrier 12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ver 120 . The barrier 122 may have a hollow shape that communicates with the air vent 121 and has an open bottom. The inner diameter of the barrier 122 may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air vent 121 .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입관(130)은 하우징(11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배리어(122)는 하우징(110)의 타측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배리어(122)는 하우징(110)의 내둘레 중 가이드면(111)의 반대편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let pipe 130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110 . In this case, the barrier 122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10 . In more detail, the barrier 122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opposite side of the guide surface 111 am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110 .

이로써 유입관(130)과 배리어(122) 간 거리가 충분히 확보되어, 배리어(122)가 재생수의 유동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고 재생수가 배리어(122) 내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istance between the inlet pipe 130 and the barrier 122 is sufficiently secured, preventing the barrier 122 from interfering with the flow of the regeneration water and minimizing the inflow of the regeneration water into the barrier 122 .

또한, 유입관(130)은 배리어(122)의 외둘레를 향할 수 있다. 즉, 배리어(122)는 유입관(130)보다 하측까지 수직하게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관(130)을 통해 유입된 재생수가 배리어(122) 내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let pipe 130 may face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arrier 122 . That is, the barrier 122 may protrude vertically to a lower side than the inlet pipe 13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flow of the regeneration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ipe 130 into the barrier 122 .

개폐부(170)는 에어 벤트(121)를 개폐할 수 있다. 개폐부(170)의 적어도 일부는 배리어(122) 내에 위치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unit 170 may open and close the air vent 121 . At least a portion of the opening/closing unit 170 may be located within the barrier 122 .

개폐부(170)는, 유입관(130)을 통해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S1)으로 유입된 재생수가 에어 벤트(121)로 누수되는 것을 이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개폐부(170)는 에어 벤트(121)를 개방하여 외기를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S1)으로 도입하거나, 에어 벤트(121)를 폐쇄하여 내부 공간(S1)의 재생수가 에어 벤트(121)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unit 170 may secondarily prevent the regeneration water flowing into the inner space S1 of the housing 110 from leaking into the air vent 121 through the inlet pipe 130 . In more detail, the opening/closing unit 170 opens the air vent 121 to introduce outside air into the inner space S1 of the housing 110, or closes the air vent 121 so that the regenerated water in the inner space S1 is air It is possible to prevent water leakage through the vent 121 .

이하, 개폐부(170)의 구성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17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의 단면도이다.7A and 7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n opening/clo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좀 더 상세히, 도 7a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170)가 에어 벤트(121)를 폐쇄한 상태가 도시되고, 도 7b에는 상기 개폐부(170)가 에어 벤트(121)를 개방한 상태가 도시된다.In more detail, FIG. 7A shows a state in which the opening/closing unit 170 closes the air vent 12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7B shows a state in which the opening/closing unit 170 opens the air vent 121 do.

본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170)는, 밸브 바디(180) 및 스프링(19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170)는 실링(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unit 17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valve body 180 and a spring 190 . The opening/closing part 170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200 .

밸브 바디(180)는, 에어 벤트(121)가 폐쇄되는 제1높이(H1)와, 제1높이(H1)보다 낮으며 에어 벤트(121)가 개방되는 제2높이(H2) 사이에서 승강할 수 있다. 상기 제1높이(H1) 및 제2높이(H2)는 배리어(122)의 하단을 기준으로 밸브 바디(180)의 하단의 높이를 의미할 수 있다.The valve body 180 is lower than the first height H1 and the first height H1 at which the air vent 121 is closed, and the second height H2 at which the air vent 121 is opened. can The first height H1 and the second height H2 may mean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valve body 180 with respect to the lower end of the barrier 122 .

좀 더 상세히, 밸브 바디(180)는, 배리어(122) 내에 위치한 로어 바디(181)와, 에어 벤트(121)의 상측에 위치한 어퍼 바디(182)와, 에어 벤트(121)를 통과하여 로어 바디(181) 및 어퍼 바디(182)를 연결하는 연결 바디(183)를 포함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valve body 180 includes the lower body 181 located in the barrier 122 , the upper body 182 located above the air vent 121 , and the lower body passing through the air vent 121 . It may include a connection body 183 connecting the 181 and the upper body 182 .

로어 바디(181), 어퍼 바디(182) 및 연결 바디(18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lower body 181 , the upper body 182 , and the connection body 183 may be integrally form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밸브 바디(180)가 제1높이(H1)이면, 로어 바디(181)는 에어 벤트(121) 및 실링(200)의 하측으로 이격될 수 있고, 후술할 제1에어 유로(P1)와 제2에어 유로(P2)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이로써, 에어 벤트(121)가 개방될 수 있다.When the valve body 180 is the first height H1, the lower body 181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air vent 121 and the sealing 200, and a first air passage P1 and a second air passage P1 to be described later. The air passages P2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ccordingly, the air vent 121 may be opened.

반면 밸브 바디(180)가 제2높이(H2)이면, 로어 바디(181)는 에어 벤트(121)의 하단 주변에 걸리거나 실링(200)에 밀착될 수 있고, 상기 제1에어 유로(P1)와 제2에어 유로(P2)가 서로 연통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에어 벤트(121)가 폐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valve body 180 is the second height H2, the lower body 181 may be caught around the lower end of the air vent 121 or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ealing 200, and the first air passage P1. and the second air passage P2 may no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ccordingly, the air vent 121 may be closed.

로어 바디(181)는 저면이 개방된 중공통 형상일 수 있다. 즉, 로어 바디(181)에는, 하단부에서부터 상방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함몰된 함몰부(185)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배리어(122) 내로 침입한 재생수는 함몰부(185)로 유입되어 로어 바디(181)를 상측으로 가압할 수 있고, 이로써 밸브 바디(180)가 상승하여 에어 벤트(121)가 폐쇄될 수 있다.The lower body 181 may have a hollow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bottom. That is, the lower body 181 may have a depression 185 that is depressed by a predetermined depth upward from the lower end. Accordingly, the regenerated water that has penetrated into the barrier 122 may flow into the depression 185 and press the lower body 181 upward, thereby raising the valve body 180 and closing the air vent 121. have.

배리어(122)의 내둘레와 로어 바디(181)의 외둘레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즉, 로어 바디(181)의 외경은 배리어(122)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배리어(122)의 내둘레와 로어 바디(181)의 외둘레 사이에는 에어가 통과하는 제2에어 유로(P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에어 유로(P2)는 후술할 제1에어 유로(P1)와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arrier 122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body 18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at is,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body 181 may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barrier 122 . Accordingly, a second air passage P2 through which air passes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arrier 122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body 181 . The second air passage P2 may selectively communicate with a first air passage P1 to be described later.

로어 바디(181)의 하단부에는 반경 외측으로 확장된 확장부(184)가 형성될 수 있다. 배리어(122)의 내둘레와 확장부(184)의 외둘레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즉, 확장부(184)의 외경은 배리어(122)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배리어(122)의 내둘레와 확장부(184)의 외둘레 사이에는 상기 제2에어 유로(P2)와 연통된 갭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확장부(184)에 의해, 함몰부(185)의 입구는 상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An extension portion 184 extending outward of a radius may b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lower body 181 .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arrier 122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xtension 184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at is, the outer diameter of the extension 184 may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barrier 122 . Accordingly, a gap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air flow path P2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arrier 122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xtension part 184 . In addition, by the extension 184, the inlet of the depression 185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inner diameter toward the upper side.

이로써, 배리어(122) 내로 침입한 재생수가 함몰부(185)로 유입되기 쉬워지고, 상기 재생수가 배리어(122)의 내둘레와 확장부(184)의 외둘레 사이의 갭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regenerated water that has penetrated into the barrier 122 is easily introduced into the recessed portion 185, and the inflow of the regenerated water into the gap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arrier 122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xtended portion 184 is minimized. can

어퍼 바디(182)는 에어 벤트(121)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커버(120)에는 하방으로 함몰되고 어퍼 바디(182)가 안착되는 안착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123)은 에어 벤트(121)와 연통될 수 있다. 즉, 에어 벤트(121)는 안착홈(123)의 저면에서부터 커버(120)의 저면까지 관통될 수 있다.The upper body 182 may be located above the air vent 121 . In more detail, a seating groove 123 that is depressed downwardly and the upper body 182 is seated may be formed in the cover 120 . The seating groove 123 may communicate with the air vent 121 . That is, the air vent 121 may penetrat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123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120 .

어퍼 바디(182)는 에어 벤트(121)를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 또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안착홈(123)의 내경은 에어 벤트(121)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 The upper body 182 may have a size or shape that does not pass through the air vent 121 . That is, the inner diameter of the seating groove 123 may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air vent 121 .

밸브 바디(180)가 제1높이(H1)이면, 어퍼 바디(182)는 에어 벤트(121)의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반면 밸브 바디(180)가 제2높이(H2)이면, 어퍼 바디(182)는 에어 벤트(121)의 상단 주변에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어퍼 바디(182)는 밸브 바디(180)가 제2높이보다 하측으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stopper)로 작용할 수 있다.When the valve body 180 is the first height H1 , the upper body 18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air vent 121 . On the other hand, when the valve body 180 is the second height H2 , the upper body 182 may be caught around the upper end of the air vent 121 . Accordingly, the upper body 182 may act as a stopper that prevents the valve body 180 from descending below the second height.

어퍼 바디(182)에는 후술할 제1에어 유로(P1)와 연통되는 유로(18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182a)는 어퍼 바디(182)의 둘레에 형성된 홈(groove)이거나, 어퍼 바디(182)를 관통하는 홀(hole)일 수 있다. 따라서, 밸브 바디(180)가 제2높이(H2)이고 어퍼 바디(182)는 에어 벤트(121)의 상단 주변에 걸린 상태에서, 외기는 상기 유로(182a)를 통해 제1에어 유로(P1)로 유입될 수 있다.A flow path 182a communicating with a first air flow path P1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formed in the upper body 182 . The flow path 182a may be a groove formed around the upper body 182 or a hole penetrating the upper body 182 . Accordingly, in a state where the valve body 180 is the second height H2 and the upper body 182 is hung around the upper end of the air vent 121 , the outside air passes through the flow passage 182a to the first air passage P1 . can be introduced into

연결 바디(183)은 에어 벤트(121)를 통과하여 로어 바디(181)와 어퍼 바디(182)를 연결할 수 있다.The connection body 183 may connect the lower body 181 and the upper body 182 through the air vent 121 .

에어 벤트(121)의 내둘레와 연결 바디(183)의 외둘레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즉, 연결 바디(183)의 외경은 에어 벤트(121)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에어 벤트(121)의 내둘레와 연결 바디(183)의 외둘레 사이에는 에어가 통과하는 제1에어 유로(P1)가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air vent 121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body 183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at is,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nection body 183 may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air vent (121). Accordingly, a first air flow path P1 through which air passes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air vent 121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body 183 .

한편, 스프링(190)은, 밸브 바디(180)가 제2높이(H2)로 하강하도록 밸브 바디(180)에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pring 190 may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valve body 180 so that the valve body 180 descends to the second height H2 .

좀 더 상세히, 스프링(190)은 로어 바디(181)의 외둘레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스프링(190)은 반경 방향으로 로어 바디(181)의 외둘레와 배리어(122)의 내둘레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spring 190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body 181 . That is, the spring 19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body 181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arrier 122 in the radial direction.

또한, 스프링(190)은 수직 방향으로 커버(120)의 저면과 확장부(184)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스프링(190)은 커버(120)의 저면과 확장부(184)의 사이에 압축 바이어스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pring 19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120 and the extension 184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more detail, the spring 190 may be installed in a compression biased stat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120 and the extension 184 .

스프링(190)은 확장부(184)를 하방으로 지속적으로 가압할 수 있고, 밸브 바디(180)는 평상 시 제2높이(H2)로 유지되어 에어 벤트(121)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외기는 어퍼 바디(182)에 형성된 유로(182a)와, 제1에어 유로(P1)와, 제2에어 유로(P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S1)으로 유입될 수 있다.The spring 190 may continuously press the extension 184 downward, and the valve body 180 may normally be maintained at the second height H2 to maintain the air vent 121 in an open state. . Therefore, the outside air flows through the flow path 182a formed in the upper body 182, the first air flow path P1, and the second air flow path P2 sequentially into the inner space S1 of the housing 110. can be

반면, 재생수가 배리어(122)의 내부로 침입하면 상기 재생수 중 적어도 일부는 로어 바디(181)의 함몰부(185)로 유입되어 밸브 바디(180)에 상방으로 수압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수압이 스프링(190)의 탄성력보다 커지면, 밸브 바디(180)는 제1높이(H1)까지 상승하여 에어 벤트(121)를 폐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재생수의 일부가 제2에어 유로(P2)로 침입하더라도, 에어 벤트(121)로의 누수가 발생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egenerated water penetrates into the barrier 122 , at least a portion of the regenerated water flows into the depression 185 of the lower body 181 to apply water pressure upward to the valve body 180 . When the water pressure is great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90 , the valve body 180 may rise to the first height H1 to close the air vent 121 . Accordingly, even if a part of the regenerated water enters the second air passage P2 , leakage into the air vent 121 does not occur.

한편, 실링(200)은 밸브 바디(180)가 제1높이(H1)이면 밸브 바디(180)와 커버(120)의 사이에서 밀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실링(200)은 밸브 바디(180)의 상면과 커버(120)의 저면 사이에서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밸브 바디(180)가 제1높이(H1)이면 실링(200)은 에어 벤트(121)를 신뢰성 있게 폐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aling 200 may be in close contact between the valve body 180 and the cover 120 when the valve body 180 is the first height (H1). In more detail, the sealing 200 may be in close contact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valve body 18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120 . Accordingly, when the valve body 180 is the first height H1 , the sealing 200 may reliably close the air vent 121 .

실링(200)은 커버(120) 또는 밸브 바디(180)에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실링(200)은 커버(120)의 저면 또는 로어 바디(181)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The sealing 200 may be provided on the cover 120 or the valve body 180 . In more detail, the sealing 20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120 or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81 .

실링(200)은 고무나 실리콘, 우레탄 등의 탄성 재질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실링(200)은 오 링(O-ring)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ealing 200 preferably has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silicone, or urethane. For example, the seal 200 may be an O-r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의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pening/clos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앞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content overlapping with the previously described content will be omitted, and differences will be mainly described.

본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170)는, 본체(210) 및 돌출부(2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unit 17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body 210 and a protrusion 220 .

본체(210)의 적어도 일부는 배리어(122) 내에 위치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body 210 may be fixed to be positioned within the barrier 122 .

좀 더 상세히, 본체(210)는, 배리어(122) 내에 위치한 로어 바디(211)와, 에어 벤트(121)의 상측에 위치한 어퍼 바디(215)와, 에어 벤트(121)를 통과하여 로어 바디(211) 및 어퍼 바디(215)를 연결하는 연결 바디(216)를 포함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main body 210 includes a lower body 211 located in the barrier 122, an upper body 215 located above the air vent 121, and a lower body (121) passing through the air vent 121. It may include a connection body 216 connecting the 211 and the upper body 215 .

로어 바디(211), 어퍼 바디(215) 및 연결 바디(216)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lower body 211 , the upper body 215 , and the connection body 216 may be integrally form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로어 바디(211)는, 연결 바디(216)에 연결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경사부(212)와, 상기 경사부(212)에서 하방 연장된 연장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body 211 may include an inclined portion 212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ody 216 and having a diameter increasing downwardly, and an extension portion 213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inclined portion 212 .

경사부(212)는 에어 벤트(121)의 하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The inclined portion 21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air vent 121 .

연장부(213)는 저면이 개방된 중공통 형상일 수 있다. 즉, 연장부(213)에는, 하단부에서부터 상방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함몰된 함몰부(21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217)는 경사부(212)의 내부까지 함몰될 수 있다.The extension part 213 may have a hollow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bottom. That is, the extended portion 213 may have a depressed portion 217 that is depressed by a predetermined depth upward from the lower end. The recessed part 217 may be recessed to the inside of the inclined part 212 .

따라서, 배리어(122) 내로 침입한 재생수는 함몰부(217)로 유입되어 로어 바디(211)를 상측으로 가압할 수 있고, 이로써 후술할 복수개의 돌출편(220)에 경사부(212)가 밀착되어 에어 벤트(121)가 폐쇄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regenerated water that has penetrated into the barrier 122 may flow into the recessed portion 217 and press the lower body 211 upward, whereby the inclined portion 21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protruding pieces 220 to be described later. The air vent 121 may be closed.

배리어(122)의 내둘레와 로어 바디(211)의 외둘레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즉, 로어 바디(211)의 외경은 배리어(122)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배리어(122)의 내둘레와 로어 바디(211)의 외둘레 사이에는 에어가 통과하는 제2에어 유로(P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에어 유로(P2)는 제1에어 유로(P1)와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arrier 122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body 21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at is,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body 211 may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barrier 122 . Accordingly, a second air flow path P2 through which air passes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arrier 122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body 211 . The second air flow path P2 may selectively communicate with the first air flow path P1 .

로어 바디(211), 좀 더 상세히는 연장부(213)의 하단부에는 반경 외측으로 확장된 확장부(214)가 형성될 수 있다. 배리어(122)의 내둘레와 확장부(214)의 외둘레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즉, 확장부(214)의 외경은 배리어(122)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배리어(122)의 내둘레와 확장부(214)의 외둘레 사이에는 상기 제2에어 유로(P2)와 연통된 갭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확장부(214)에 의해, 함몰부(217)의 입구는 상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body 211 , more specifically, the extension 213 , an extension 214 extending radially outward may be forme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arrier 122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xtension 214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at is, the outer diameter of the extension 214 may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barrier 122 . Accordingly, a gap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air flow path P2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arrier 122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xtension part 214 . In addition, by the expansion 214, the inlet of the depression 217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inner diameter toward the upper side.

이로써, 배리어(122) 내로 침입한 재생수가 함몰부(217)로 유입되기 쉬워지고, 상기 재생수가 배리어(122)의 내둘레와 확장부(214)의 외둘레 사이의 갭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regenerated water that has penetrated into the barrier 122 is easily introduced into the recessed portion 217 , and the inflow of the regenerated water into the gap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arrier 122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xtended portion 214 is minimized. can

어퍼 바디(215)는 에어 벤트(121)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어퍼 바디(215)는 커버(120)에 형성된 안착홈(123)에 안착될 수 있다. The upper body 215 may be located above the air vent 121 . In more detail, the upper body 215 may be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123 formed in the cover 120 .

어퍼 바디(215)는 에어 벤트(121)를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 또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어퍼 바디(215)는 에어 벤트(121)의 상단 주변에 걸릴 수 있고, 본체(210)를 지지하는 지지부로 작용할 수 있다.The upper body 215 may have a size or shape that does not pass through the air vent 121 . Accordingly, the upper body 215 may be caught around the upper end of the air vent 121 , and may act a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main body 210 .

어퍼 바디(215)에는 제1에어 유로(P1)와 연통되는 유로(215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215a)는 어퍼 바디(215)의 둘레에 형성된 홈(groove)이거나, 어퍼 바디(215)를 관통하는 홀(hole)일 수 있다. 따라서, 외기는 상기 유로(215a)를 통해 제1에어 유로(P1)로 유입될 수 있다.A flow path 215a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ir flow path P1 may be formed in the upper body 215 . The flow path 215a may be a groove formed around the upper body 215 or a hole penetrating the upper body 215 . Accordingly, outside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air passage P1 through the passage 215a.

연결 바디(216)은 에어 벤트(121) 및 후술할 돌출부(220)를 통과하여 로어 바디(211)와 어퍼 바디(215)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 바디(216)는 에어 벤트(121)보다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connection body 216 may connect the lower body 211 and the upper body 215 through the air vent 121 and the protrusion 220 to be described later. The connection body 216 may protrude downward than the air vent 121 .

에어 벤트(121)의 내둘레와 연결 바디(216)의 외둘레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즉, 연결 바디(216)의 외경은 에어 벤트(121)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에어 벤트(121)의 내둘레와 연결 바디(216)의 외둘레 사이에는 에어가 통과하는 제1에어 유로(P1)가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air vent 121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body 216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at is,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nection body 216 may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air vent (121). Accordingly, a first air flow path P1 through which air passes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air vent 121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body 216 .

한편, 돌출부(220)는, 본체(210)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에어 벤트(121)를 개폐할 수 있다. 돌출부(220)는 커버(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protrusion 220 may selectively contact the body 210 to open and close the air vent 121 . The protrusion 22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ver 120 .

돌출부(220)는 에어 벤트(121)의 하단 주변에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본체(210)에 가까워지는 경사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돌출부(220)는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protrusion 220 may protrude in an oblique direction toward the main body 210 from the periphery of the lower end of the air vent 121 to the lower side. That is, the protrusion 220 may have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diameter decreases toward the bottom.

좀 더 상세히, 돌출부(220)는 로어 바디(211)의 경사부(212)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220)는 반경 방향으로 연결 바디(216)를 향하고 하방으로 경사부(212)를 향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protrusion 220 may protrude toward the inclined portion 212 of the lower body 211 . Accordingly, the protrusion 220 may face the connection body 216 in the radial direction and face the inclined portion 212 downward.

돌출부(220)의 내둘레와 연결 바디(216)의 외둘레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protrusion 220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body 216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또한, 본체(210)는 평상시 중력에 의해 어퍼 바디(215)가 에어 벤트(121)의 상단 주변에 걸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돌출부(220)와 경사부(212)는 서로 이격되어 소정의 갭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에어 유로(P1)와 제2에어 유로(P2)는 상기 갭에 의해 서로 연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210 may mainta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body 215 is hung around the upper end of the air vent 121 by normal gravity. In this state, the protrusion 220 and the inclined portion 21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predetermined gap. Accordingly, the first air passage P1 and the second air passage P2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the gap.

이로써, 에어 벤트(121)는 개방될 수 있다. 외기는 어퍼 바디(215)에 형성된 유로(215a)와, 제1에어 유로(P1)와, 제2에어 유로(P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S1)으로 유입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air vent 121 may be opened. Outside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S1 of the housing 110 by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215a formed in the upper body 215 , the first air flow path P1 , and the second air flow path P2 . have.

반면, 재생수가 배리어(122)의 내부로 침입하면 상기 재생수 중 적어도 일부는 로어 바디(211)의 함몰부(217)로 유입되어 본체(210)에 상방으로 수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210)가 상승하여 경사부(212)와 돌출부(220)가 접할 수 있고, 제1에어 유로(P1)와 제2에어 유로(P2)가 연통되지 않도록 막힐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egenerated water penetrates into the barrier 122 , at least a portion of the regenerated water flows into the depression 217 of the lower body 211 to apply water pressure upward to the main body 210 . Accordingly, the main body 210 may rise so that the inclined portion 212 and the protrusion 220 may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air passage P1 and the second air passage P2 may be blocked from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이로써, 에어 벤트(121)가 폐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재생수의 일부가 제2에어 유로(P2)로 침입하더라도, 에어 벤트(121)로의 누수가 발생하지 않는다.Accordingly, the air vent 121 may be closed. Accordingly, even if a part of the regenerated water enters the second air passage P2 , leakage into the air vent 121 does not occur.

돌출부(220)와 경사부(212) 중 어느 하나에 탄성 재질을 갖는 실링(미도시)이 구비되고, 상기 실링이 돌출부(220)와 경사부(212) 사이에서 밀착되는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A seal (not shown) having an elastic material is provided on either one of the protrusion 220 and the inclined portion 212 , and it is of course also possible for the seal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rotrusion 220 and the inclined portion 212 . .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의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pening/clos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앞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content overlapping with the previously described content will be omitted, and differences will be mainly described.

본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170)는, 서로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탄성 변형되는 복수개의 돌출편(171)을 포함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unit 17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 pieces 171 elastically deformed to selectively contact each other.

복수개의 돌출편(171)은, 에어 벤트(121)의 하단 주변에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는 경사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복수개의 돌출편(171)은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서로 벌어지거나 접촉하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rotruding pieces 171 may protrude in an oblique direction toward each other toward the lower side from the periphery of the lower end of the air vent 121 . The plurality of protrusion pieces 171 may b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may be elastically deformed to spread apart or contact each other.

복수개의 돌출편(171)은 배리어(122)의 내부에 위치하며, 서로 접촉한 상태일 때 대략 원뿔 형상을 이룰 수 있다.The plurality of protrusion pieces 171 are positioned inside the barrier 122 and may have a substantially conical shape when in contact with each other.

하우징(110)의 내압이 낮아져 하우징(110)의 외부와 내부 사이에 압력차가 발생하면, 복수개의 돌출편(171)은 상기 압력차에 의해 서로 벌어져 상호간에 틈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기는 에어 벤트(121) 및 상기 틈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S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에어 벤트(121)가 개방될 수 있다.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housing 110 is lowered and a pressure difference occurs between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 the plurality of protruding pieces 171 may be spread apart by the pressure difference to form a gap. Therefore, the outside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S1 of the housing 110 by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air vent 121 and the gap. That is, the air vent 121 may be opened.

반면, 재생수가 배리어(122)의 내부로 침입하면 상기 재생수는 복수개의 돌출편(171)이 서로 밀착되도록 복수개의 돌출편(171)에 수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 벤트(121)가 폐쇄되고 재생수가 에어 벤트(121)로 누수되지 않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egenerated water penetrates into the barrier 122 , the regenerated water may apply hydraulic pressure to the plurality of protruding pieces 171 so that the plurality of protruding pieces 171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ccordingly, the air vent 121 may be closed and the regeneration water may not leak into the air vent 121 .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재생수 감지 센서 110: 하우징
111: 가이드면 120: 커버
121: 에어 벤트 122: 배리어
130: 유입관 140: 유출관
150: 마운터 160: 센싱바
170: 개폐부 171; 돌출편
180: 밸브 바디 190: 스프링
200: 실링 210: 본체
220: 돌출부
100: regeneration water detection sensor 110: housing
111: guide surface 120: cover
121: air vent 122: barrier
130: inlet pipe 140: outlet pipe
150: mounter 160: sensing bar
170: opening and closing part 171; protrusion
180: valve body 190: spring
200: sealing 210: body
220: protrusion

Claims (18)

재생수를 감지하기 위한 재생수 감지센서로서,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둘레에 연결되고 상기 재생수를 상기 내부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유입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재생수를 유출시키는 유출관;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고 상기 재생수를 감지하는 센싱바;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는 커버;
상기 커버에 관통 형성된 에어 벤트;
상기 커버에서 상기 내부 공간으로 하방 돌출되며 상기 에어 벤트와 연통된 중공통 형상의 배리어;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배리어 내에 위치하며 상기 에어 벤트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재생수 감지센서.
As a regeneration water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regeneration water,
a housing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and an inner space;
an inlet pipe connected to the periphery of the housing and introducing the regeneration water into the inner space;
an outlet pipe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and for discharging the regeneration water from the inner space;
a sensing bar protruding through the housing into the inner space and sensing the regeneration water;
a cover covering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an air vent formed through the cover;
a hollow-shaped barrier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cover into the inner space and communicating with the air vent; and
Regeneration water detection sensor including an opening and closing part at least a part of which is located in the barrier and opens and closes the air v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배리어는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인접하게 위치한 재생수 감지센서.
The method of claim 1,
The inlet pipe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The barrier is a regeneration water detection sensor located adjacent to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은 상기 배리어의 외둘레를 향하는 재생수 감지센서.
The method of claim 1,
The inlet pipe is a regeneration water detection sensor fac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barri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의 내경은 상기 에어 벤트의 내경보다 큰 재생수 감지센서.
The method of claim 1,
The inner diameter of the barrier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air vent detection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둘레는,
상기 유입관과 상기 유출관을 연결하고 상기 재생수의 유동을 가이드하며 내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된 가이드면을 포함하고,
상기 센싱바는 상기 가이드면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으로 돌출된 재생수 감지센서.
The method of claim 1,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is
It connects the inlet pipe and the outlet pipe, guides the flow of the regeneration water, and includes a guide surface formed obliquely in a direction in which the height is lowered toward the inside,
The sensing bar is a regeneration water detection sensor that protrudes into the inner space through the guide surfa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면은,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게 형성된 재생수 감지센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guide surface is formed to be wider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regeneration water detection senso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재생수의 유동 방향으로 상기 센싱바보다 상류에 위치한 어퍼 가이드면을 포함하고,
상기 어퍼 가이드면의 적어도 일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 재생수 감지센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guide surface includes an upper guide surface located upstream of the sensing bar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regeneration water,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guide surface, the regeneration water detection sensor is formed to become narrower toward the lower 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에어 벤트가 폐쇄되는 제1높이와, 상기 제1높이보다 낮으며 상기 에어 벤트가 개방되는 제2높이 사이에서 승강하는 밸브 바디; 및
상기 밸브 바디가 상기 제2높이로 하강하도록 상기 밸브 바디에 탄성력을 작용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재생수 감지센서.
The method of claim 1,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 valve body elevating between a first height at which the air vent is closed and a second height lower than the first height and at which the air vent is opened; and
and a spring that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valve body so that the valve body descends to the second heigh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밸브 바디가 상기 제1높이이면 상기 커버와 상기 밸브 바디의 사이에서 밀착되며, 상기 커버 또는 밸브 바디에 구비된 실링을 더 포함하는 재생수 감지센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When the valve body is at the first height, the regeneration water detection sensor is closely attached between the cover and the valve body, and further includes a sealing provided on the cover or the valve body.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바디는,
상기 배리어 내에 위치한 로어 바디;
상기 에어 벤트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밸브 바디가 상기 제1높이이면 상기 에어 벤트의 상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밸브 바디가 상기 제2높이이면 상기 에어 벤트의 상단 주변에 걸리는 어퍼 바디; 및
상기 에어 벤트를 통과하여 상기 로어 바디와 상기 어퍼 바디를 연결하는 연결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바디가 상기 제2높이이면, 상기 에어 벤트의 내둘레와 상기 연결 바디의 외둘레 사이로 에어가 통과하는 재생수 감지센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valve body is
a lower body located within the barrier;
an upper body located above the air vent,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air vent if the valve body is at the first height, and hung around the upper end of the air vent if the valve body is at the second height; and
and a connection body connecting the lower body and the upper body through the air vent,
When the valve body is the second height, the regeneration water detection sensor through which air passes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air vent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body.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바디의 하단부에는 반경 외측으로 확장된 확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로어 바디의 외둘레를 둘러싸며 상기 확장부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재생수 감지센서.
11. The method of claim 10,
An extended portion extending outward of the radius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body,
The spring surrounds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body and the regeneration water detection sensor for pressing the extension downward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배리어 내에 위치하도록 고정된 본체; 및
상기 에어 벤트의 하단 주변에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본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본체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에어 벤트를 개폐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재생수 감지센서.
The method of claim 1,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 body fix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thereof is positioned within the barrier; and
and a protrusion that protrudes from the periphery of the lower end of the air vent toward the lower side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main body, and selectively contacts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the air vent.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배리어 내에 위치한 로어 바디;
상기 에어 벤트의 상측에 고정된 어퍼 바디; 및
상기 에어 벤트 및 돌출부를 통과하여 상기 로어 바디와 상기 어퍼 바디를 연결하는 연결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본체와 이격되면, 상기 에어 벤트의 내둘레와 상기 연결 바디의 외둘레 사이로 에어가 통과하는 재생수 감지센서.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body is
a lower body located within the barrier;
an upper body fixed to an upper side of the air vent; and
and a connection body connecting the lower body and the upper body through the air vent and the protrusion,
When the protrusion is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the regeneration water detection sensor through which air passes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air vent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body.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바디는,
상기 연결 바디에 연결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에서 하방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경사부를 향해 돌출된 재생수 감지센서.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lower body,
an inclined portion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ody and having a diameter increasing toward the lower side; and
Including an extens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inclined portion,
The protrusion is a regeneration water detection sensor that protrudes toward the inclined portion.
제 10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바디에는, 하단부에서부터 상방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의 입구는 상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게 형성된 재생수 감지센서.
1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3,
A depression is formed in the lower body by a predetermined depth upward from the lower end,
The inlet of the recessed portion is formed to have an inner diameter that becomes smaller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regeneration water detection sensor.
제 10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어퍼 바디가 안착되고 상기 에어 벤트와 연통된 안착홈이 형성된 재생수 감지센서.
1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3,
A regeneration water detection sensor in which the upper body is seated and a seating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air vent is formed in the co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에어 벤트의 하단 주변에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는 경사 방향으로 돌출되며, 서로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탄성 변형되어 상기 에어 벤트를 개폐하는 복수개의 돌출편을 포함하는 재생수 감지센서.
The method of claim 1,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nd a plurality of protruding pieces protruding from the periphery of the lower end of the air vent in an inclined direction that are closer to each other and elastically deformed to selectively contact each other to open and close the air vent.
이온이 흡착되는 제1모드 또는 흡착되어 있던 이온이 제거되는 제2모드로 동작하는 전기 탈이온 방식의 필터;
상기 제1모드 시 상기 필터에 의해 이온이 제거된 연수가 유동되는 메인 유로;
상기 제2모드 시 상기 필터에 흡착되어 있던 이온이 포함된 재생수가 배출되는 드레인 유로; 및
상기 드레인 유로에 구비된 재생수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수 감지 센서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둘레에 연결되고 상기 재생수를 상기 내부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유입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재생수를 유출시키는 유출관;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고 상기 재생수를 감지하는 센싱바;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는 커버;
상기 커버에 관통 형성된 에어 벤트;
상기 커버에서 상기 내부 공간으로 하방 돌출되며 상기 에어 벤트와 연통된 중공통 형상의 배리어;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배리어 내에 위치하며 상기 에어 벤트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이온 제거장치.
an electric deionization filter operating in a first mode in which ions are adsorbed or a second mode in which adsorbed ions are removed;
a main flow path through which soft water from which ions have been removed by the filter flows in the first mode;
a drain passage through which regeneration water containing ions adsorbed to the filter is discharged in the second mode; and
and a regeneration water detection sensor provided in the drain passage,
The regeneration water detection sensor,
a housing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and an inner space;
an inlet pipe connected to the periphery of the housing and introducing the regeneration water into the inner space;
an outlet pipe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and for discharging the regeneration water from the inner space;
a sensing bar protruding through the housing into the inner space and sensing the regeneration water;
a cover covering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an air vent formed through the cover;
a hollow-shaped barrier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cover into the inner space and communicating with the air vent; and
An ion removal device including an opening/closing part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located in the barrier and opens and closes the air vent.
KR1020200185242A 2020-12-28 2020-12-28 Regeneration water sensor and ion remov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22009400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242A KR20220094002A (en) 2020-12-28 2020-12-28 Regeneration water sensor and ion remov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242A KR20220094002A (en) 2020-12-28 2020-12-28 Regeneration water sensor and ion remov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4002A true KR20220094002A (en) 2022-07-05

Family

ID=82401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5242A KR20220094002A (en) 2020-12-28 2020-12-28 Regeneration water sensor and ion remov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4002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5456A (en) 2017-09-27 2020-09-07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Scale-free water heating device
KR20200107785A (en) 2019-03-07 2020-09-16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Water softening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5456A (en) 2017-09-27 2020-09-07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Scale-free water heating device
KR20200107785A (en) 2019-03-07 2020-09-16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Water soften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4313B2 (en) Automatic drain for fuel processor
KR101512788B1 (en) Steam trap system
US6423223B1 (en) Multi-element, reverse osmosis, liquid filter system with flushing and filtering circuits
JP2006519102A5 (en)
EP0148598B1 (en) Centrifugal separator
KR100871170B1 (en) Automatic pressure reducing valve
KR102189170B1 (en) cover member interworking security water treatment apparatus
KR20220094002A (en) Regeneration water sensor and ion remov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6755947B2 (en) Apparatus for generating ozone, oxygen, hydrogen, and/or other products of the electrolysis of water
KR102621163B1 (en) Softening system
JP6633131B2 (en) Flow control valve for negative pressure wet pre-actuated sprinkler equipment
CN216812983U (en) Valve body, waste water valve and water purification equipment
KR101286273B1 (en) Method for controlling flowpath system in water electrolysis apparatus
KR101211390B1 (en) An apparatus for producing ozone by electrolysis for beverage supply device
US6027647A (en) Multi-element liquid filter system with flushing and filtering circuits
US20130334126A1 (en) In Line Top Opening Filter Housing Unit
JPH0985011A (en) Liquid leakage detector for deaeration module
US6663771B1 (en) Liquid treatment apparatus
CN215445203U (en) Combination valve and purifier
CN110869139A (en) Method for cleaning fluid circulation device and fluid circulation device
JP2001027393A (en) Orifice type steam trap
KR0168277B1 (en) Drain system of water purifier
CN215487812U (en) Double-channel mechanical valve
JPH06281075A (en) Bypass unit
KR101995252B1 (en) Faucet for hot and cool w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