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3782A - 스마트 관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관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3782A
KR20220093782A KR1020200184845A KR20200184845A KR20220093782A KR 20220093782 A KR20220093782 A KR 20220093782A KR 1020200184845 A KR1020200184845 A KR 1020200184845A KR 20200184845 A KR20200184845 A KR 20200184845A KR 20220093782 A KR20220093782 A KR 20220093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image
control system
smart control
camer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4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희
오영수
Original Assignee
파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4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3782A/ko
Publication of KR20220093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37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2Automatic approach or landing aids, i.e. systems in which flight data of incoming planes are processed to provide landing data
    • G08G5/025Navigation or guidance ai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4Anti-coll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H04N5/24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관제 시스템은 가시광선 영역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1 카메라; 적외선 영역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2 카메라; 제1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 및 상기 제2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처리하는 처리부; 및 상기 처리부가 처리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관제 시스템{Smart air traffic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복수 개의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파노라마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스마트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관제 센터는 각각 자신의 구축 목적에 맞는 상황을 감시하며, 비상 상황이나 위기 상황을 비롯한 관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즉각적으로 관제자에게 알려 유사시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설비이다.
이러한 관제 센터의 예로는 교통 관제 센터, 항공 관제 센터, 해상 교통 관제 센터, 공항 관제 센터 등이 있으며, 이러한 관제 센터는 각각 다른 목적을 가지고 다른 방식으로 구축된다.
즉, 교통 관제 센터는 교통 관제를 위한 모듈과 교통 관제에 관한 시나리오를 포함하며, 항공 관제 센터는 항공 관제를 위한 모듈과 항공 관제에 관한 시나리오를 포함하게 된다.
특히, 최근에는 활주로 등에 드론 등 미확인 물체들이 침입할 우려가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비행기지 주요 작전지역(활주로 중심 지상, 공중)에 대한 주/야간 실시간 상황 인식 가시화(360도 파노라마 영상)를 통해 비행 안전 저해요소(미식별 비행체, 이동 차량, 동물, 드론 등)와 공중침투 비행체/인원에 대한 자동탐지/식별 및 추적이 가능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56280 B1 (2016.09.05)에서는 드론을 이용한 첨단 항공기 지상유도관제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드론 역시 관리자가 직접 운영을 해야 한다는 점에서 24시간 동안 미확인 물체를 탐지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야간을 포함한 24시간 동안 실시간으로 영상을 획득하여 비행 안전 저해요소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스마트 관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관제 시스템은 가시광선 영역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1 카메라; 적외선 영역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2 카메라; 제1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 및 상기 제2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처리하는 처리부; 및 상기 처리부가 처리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관제 시스템에 의하면, 주/야간을 포함한 24시간 동안 실시간으로 영상을 획득하여 비행 안전 저해요소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관제 시스템의 개략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관제 시스템의 제1 카메라와 제2 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관제 시스템의 제1 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관제 시스템의 제2 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관제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관제 시스템의 처리부의 영상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관제 시스템은 가시광선 영역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1 카메라; 적외선 영역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2 카메라; 제1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 및 상기 제2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처리하는 처리부; 및 상기 처리부가 처리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카메라는 소정의 제1 중심점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카메라는 상기 제1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호 이웃하는 카메라의 중심축이 30도가 이루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 상기 제2 카메라는 소정의 제2 중심점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열화상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제2 카메라는 상기 제2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호 이웃하는 열화상 카메라의 중심축이 30도가 이루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카메라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복수 개의 영상을 오버랩한 후, 하나의 영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2 카메라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열화상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복수 개의 열화상 영상을 오버랩한 후, 하나의 열화상 영상으로 처리할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관제 시스템의 개략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관제 시스템의 제1 카메라와 제2 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관제 시스템의 제1 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관제 시스템의 제2 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관제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관제 시스템의 처리부의 영상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관제 시스템(10)은 활주로에서 미확인 물체를 실시간으로 식별하기 위한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스마트 관제 시스템(10)은 활주로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관제타워(T) 상에 배치되는 제1 카메라(200)와 제2 카메라(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카메라(200)는 가시광선 영역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C1)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카메라(300)는 적외선 영역의 영상을 획득하는 열화상 카메라(C2)일 수 있다.
따라서, 주간에는 상기 제1 카메라(200)를 통해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야간 또는 시야가 좋지 않은 주간에는 상기 제2 카메라(300)를 통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카메라(200) 및 상기 제2 카메라(300)는 24시간 동안 실시간으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스마트 관제 시스템(10)은 제1 카메라(200)로부터 획득한 영상 및 상기 제2 카메라(300)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처리하는 처리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처리부(100)는 상기 제1 카메라(200)가 생성한 영상 및 상기 제2 카메라(300)가 생성한 영상을 획득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디스플레이부(500)를 통해 관리자가 미확인 물체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영상을 처리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스마트 관제 시스템(10)은 관리자에게 상기 처리부(100)가 처리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는 관제실(S)에 배치될 수 있으며, 파노라마 형식으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 스마트 관제 시스템(10)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 상기 제1 카메라(200)는 소정의 제1 중심점(X1)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카메라(C1)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카메라(200)는 하나의 카메라(C1)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 개의 카메라(C1)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C1)는 상기 제1 중심점(X1)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어느 한 방향의 영상만을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방향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1 카메라(200)는 상기 제1 중심점(X1)을 기준으로 상호 이웃하는 카메라(C1)의 중심축이 30도가 이루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카메라(20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카메라(C1) 중, 상호 이웃하는 카메라(C1)는 상기 제1 중심점(X1)을 기준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을 각각 가질 수 있으며, 상호 이웃하는 카메라(C1)의 중심축 간의 각도는 30도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카메라(20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카메라(C1)는 이웃하는 카메라(C1)와 30도를 이루며, 360도 방향으로 모든 방향에 대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1 카메라(200)는 360도 전 방향에 대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 상기 제2 카메라(300)는 소정의 제2 중심점(X2)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열화상 카메라(C2)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카메라(300)는 하나의 열화상 카메라(C2)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 개의 열화상 카메라(C2)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열화상 카메라(C2)는 상기 제2 중심점(X2)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어느 한 방향의 열화상 영상만을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방향에 대한 열화상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2 카메라(300)는 상기 제2 중심점(X2)을 기준으로 상호 이웃하는 열화상 카메라(C2)의 중심축이 30도가 이루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카메라(30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열화상 카메라(C2) 중, 상호 이웃하는 열화상 카메라(C2)는 상기 제2 중심점(X2)을 기준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을 각각 가질 수 있으며, 상호 이웃하는 열화상 카메라(C2)의 중심축 간의 각도는 30도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카메라(30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열화상 카메라(C2)는 이웃하는 카메라(C1)와 30도를 이루며, 180도 방향에 대해 열화상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2 카메라(300)는 180도 전방 방향에 대해 열화상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카메라(300)는 180도 전방 방향으로만 열화상 영상을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1 카메라(200)와 같이 360도 전 방향에 대한 열화상 영상을 획득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처리부(100)의 기능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처리부(100)는 상기 제1 카메라(20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카메라(C1)로부터 획득한 복수 개의 영상을 오버랩한 후, 하나의 영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6에서, 상기 제1 카메라(200)를 구성하는 이웃하는 복수 개의 카메라(C1) 중 어느 카메라(C1)는 상대적으로 좌측 영상을 생성할 수 있고, 다른 어느 하나의 카메라(C1)는 상대적으로 우측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2 개의 카메라(C1)가 생성하는 영상은 K1과 K2 사이에 오버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처리부(100)는 K1과 K2 사이에 오버랩되는 영상을 하나의 영상으로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를 통해 하나의 영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용이하게 미확인 물체를 식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처리부(100)는 상기 제2 카메라(30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열화상 카메라(C2)로부터 획득한 복수 개의 열화상 영상을 오버랩한 후, 하나의 열화상 영상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즉, 제2 카메라(300)를 구성하는 2 개의 열화상 카메라(C2)가 생성하는 열화상 영상은 K1과 K2 사이에 오버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처리부(100)는 K1과 K2 사이에 오버랩되는 열화상 영상을 하나의 열화상 영상으로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를 통해 하나의 열화상 영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용이하게 미확인 물체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관제 시스템(10)은 앞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연산식, 데이터,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앞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연산식,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5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관제 시스템(10)은 주/야간을 포함한 24시간 동안 실시간으로 영상을 획득하여 비행 안전 저해요소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처리부
200: 제1 카메라
300: 제2 카메라

Claims (7)

  1. 스마트 관제 시스템에 있어서,
    가시광선 영역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1 카메라;
    적외선 영역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2 카메라;
    제1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 및 상기 제2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처리하는 처리부; 및
    상기 처리부가 처리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관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는,
    소정의 제1 중심점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성되는,
    스마트 관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는,
    상기 제1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호 이웃하는 카메라의 중심축이 30도가 이루어지도록 배치되는,
    스마트 관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카메라는,
    소정의 제2 중심점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열화상 카메라로 구성되는,
    스마트 관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카메라는,
    상기 제2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호 이웃하는 열화상 카메라의 중심축이 30도가 이루어지도록 배치되는,
    스마트 관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카메라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복수 개의 영상을 오버랩한 후, 하나의 영상으로 처리하는,
    스마트 관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2 카메라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열화상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복수 개의 열화상 영상을 오버랩한 후, 하나의 열화상 영상으로 처리하는,
    스마트 관제 시스템.
KR1020200184845A 2020-12-28 2020-12-28 스마트 관제 시스템 KR202200937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845A KR20220093782A (ko) 2020-12-28 2020-12-28 스마트 관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845A KR20220093782A (ko) 2020-12-28 2020-12-28 스마트 관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782A true KR20220093782A (ko) 2022-07-05

Family

ID=82401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4845A KR20220093782A (ko) 2020-12-28 2020-12-28 스마트 관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378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4960B2 (en) Panoramic view imaging system with drone integration
US8494760B2 (en) Airborne widefield airspace imaging and monitoring
US20210258471A1 (en) Human-Automation Collaborative Tracker of Fused Object
US20080074494A1 (en) Video Surveillance System Providing Tracking of a Moving Object in a Geospatial Model and Related Methods
US11827352B2 (en) Visual observer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CN107408350A (zh) 用于控制自动飞行器飞行路径的系统和方法
EP1288888B1 (en) A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situational awareness of command and control units
SA517390547B1 (ar) طرق وأجهزة لمعالجة جدار فيديو مع مؤشرات للتغذية
CN102654940A (zh) 基于无人驾驶飞机的交通信息采集系统及其处理方法
DE102013019488A1 (de) Bilderfassung mit schutz der privatsphäre
WO2013110190A1 (en) Personal electronic target vision system, device and method
CN110751081B (zh) 基于机器视觉的施工安全监控方法及装置
RU2755603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обнаружения и противодействия беспилотным летательным аппаратам
CN113286081B (zh) 机场全景视频的目标识别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2969977A (zh) 抓捕辅助方法、地面指挥平台、无人机、系统及存储介质
Schumann et al. An image processing pipeline for long range UAV detection
KR20180017335A (ko)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고속도로 순찰 운용 방법
Fürstenau et al. Remote tower experimental system with augmented vision videopanorama
CN107045805B (zh) 一种用于小型航空器和空飘物的监测方法及系统
KR20220093782A (ko) 스마트 관제 시스템
CN112802100A (zh) 一种入侵检测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Minwalla et al. Experimental evaluation of PICAS: An electro-optical array for non-cooperative collision sensing on unmanned aircraft systems
KR102479959B1 (ko) 인공지능 기반 통합 경계 방법 및 객체 모니터링 장치
US10455199B1 (en) Image management system for reducing effects of laser beams
KR102222165B1 (ko)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드론탐지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