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3667A - 디지털 변조 신호 수신기 및 이의 신호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변조 신호 수신기 및 이의 신호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3667A
KR20220093667A KR1020200184631A KR20200184631A KR20220093667A KR 20220093667 A KR20220093667 A KR 20220093667A KR 1020200184631 A KR1020200184631 A KR 1020200184631A KR 20200184631 A KR20200184631 A KR 20200184631A KR 20220093667 A KR20220093667 A KR 20220093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bol
received
signal
symbols
state tran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4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일흥
양완승
고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이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이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이칩스
Priority to KR1020200184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3667A/ko
Publication of KR20220093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36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2Symbol synchronisation
    • H04L27/2663Coarse synchronisation, e.g. by corre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 H04B5/0056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for use in interrogation, identification or read/write systems
    • H04B5/006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for use in interrogation, identification or read/write systems i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s
    • H04B5/7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89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 H04L27/2692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with preamble design, i.e. with negotiation of the synchronisation sequence with transmitter or sequence linked to the algorithm used at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4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 H04L7/041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using special codes as synchronising signal
    • H04L7/042Detectors therefor, e.g. correlators, state mach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변조 신호 수신기 및 이의 신호 처리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디지털 변조 신호 수신기는 수신 신호로부터 검출된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심볼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심볼 동기신호 생성부; 상기 생성된 심볼 동기 신호를 기초로 프리앰블 검출 시점에서, 수신한 심볼과 미리 정해진 심볼의 상태 천이도에 따라 제한된 경우의 수에 해당하는 수신할 심볼의 조합으로 다수의 비교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상기 수신 신호와 상기 다수의 비교 신호를 각각 상관 연산하고, 상기 연산한 결과를 기초로 다수의 수신 심볼을 결정하는 상관 연산부; 및 상기 결정된 다수의 수신 심볼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복조하는 데이터 복조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변조 신호 수신기 및 이의 신호 처리 방법{DIGITAL MODULATED SIGNAL RECEIVER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OF THE SAME}
실시예는 수신 감도가 개선된 디지털 변조 신호 수신기 및 이의 신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은 전자상거래, 신용카드, 휴대폰, ID 태그, 교통카드, 그리고 물류 시스템을 비롯한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이러한 RFID는 물건 또는 사람 등을 식별하기 위해 전자기 스펙트럼 부분의 무선 주파수 내에 전자기 또는 정전기 커플링 사용을 통합시킨 기술이다. RFID는 바코드를 대체할 기술로서 산업계에서의 사용이 점차 늘고 있는 추세이다.
RFID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식별 대상에 부착되는 태그와 상기 태그의 정보를 읽는 리더기로 구성된다. 리더기와 태그는 각각 안테나를 통해 RF 신호에 자신의 정보를 실어서 상대방에게 전송함으로써 상호 데이터를 주고 받게 된다.
RFID 시스템에서 리더기는 태그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복조하는데, 여러 개의 비교 신호를 이용하여 수신 심볼을 결정하고 수신 심볼을 이용하여 수신 신호를 복조한다.
비교 신호의 길이는 수신 감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비교 신호의 선택은 중요하다.
실시예는, 수신 감도가 개선된 디지털 변조 신호 수신기 및 이의 신호 처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변조 신호 수신기는 수신 신호로부터 검출된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심볼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심볼 동기신호 생성부; 상기 생성된 심볼 동기 신호를 기초로 프리앰블 검출 시점에서, 수신한 심볼과 미리 정해진 심볼의 상태 천이도에 따라 제한된 경우의 수에 해당하는 수신할 심볼의 조합으로 다수의 비교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상기 수신 신호와 상기 다수의 비교 신호를 각각 상관 연산하고, 상기 연산한 결과를 기초로 다수의 수신 심볼을 결정하는 상관 연산부; 및 상기 결정된 다수의 수신 심볼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복조하는 데이터 복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생성부는 상기 수신한 심볼과 상기 미리 정해진 심볼의 상태 천이도에 따라 제한된 경우의 수에 해당하는 수신할 심볼의 조합으로 (2n)-심볼의 비교 신호를 생성하되, n은 양의 정수일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심볼의 상태 천이도에 따라 제한된 경우의 수는 2n일 수 있다.
상기 신호 생성부는 상기 수신한 심볼, 상기 미리 정해진 심볼의 상태 천이도에 따라 제한된 경우의 수에 해당하는 수신할 심볼, 상기 수신한 심볼과 상기 수신할 심볼 전후의 각 반 심볼의 조합으로 (2n+1)-심볼의 비교 신호를 생성하되, n은 양의 정수일 수 있다.
상기 신호 생성부는 상기 수신한 심볼과 상기 수신할 심볼 전후에 각 반 심볼 길이의 위상이 반전된 패턴을 추가하여 (2n+1)-심볼의 비교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심볼의 상태 천이도에 따라 제한된 경우의 수는 2n+1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변조 신호 수신기의 신호 처리 방법은 수신 신호로부터 검출된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심볼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심볼 동기 신호를 기초로 프리앰블 검출 시점에서, 수신한 심볼과 미리 정해진 심볼의 상태 천이도에 따라 제한된 경우의 수에 해당하는 수신할 심볼의 조합으로 다수의 비교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수신 신호와 상기 다수의 비교 신호를 각각 상관 연산하고, 상기 연산한 결과를 기초로 다수의 수신 심볼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다수의 수신 심볼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복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수신한 심볼과 상기 미리 정해진 심볼의 상태 천이도에 따라 제한된 경우의 수에 해당하는 수신할 심볼의 조합으로 (2n)-심볼의 비교 신호를 생성하되, n은 양의 정수일 수 있다.
상기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수신한 심볼, 상기 미리 정해진 심볼의 상태 천이도에 따라 제한된 경우의 수에 해당하는 수신할 심볼, 상기 수신한 심볼과 상기 수신할 심볼 전후의 각 반 심볼의 조합으로 (2n+1)-심볼의 비교 신호를 생성하되, n은 양의 정수일 수 있다.
상기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수신한 심볼과 상기 수신할 심볼 전후에 각 반 심볼 길이의 위상이 반전된 패턴을 추가하여 (2n+1)-심볼의 비교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여러 개의 비교 신호를 이용하여 수신 심볼을 결정하되, 수신한 심볼과 미리 정해진 심볼의 상태 천이도에 따라 제한된 경우의 수에 해당하는 수신할 심볼의 조합으로 다수의 비교 신호를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비교 신호의 길이만큼 상관 시간을 늘릴 수 있고 이로 인해 수신 감도를 개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비교 신호의 길이만큼 상관 시간을 늘리면서 상관기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변조 신호 수신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수신부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FM0 신호의 기저 함수 및 상태 천이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Miller 신호의 기저 함수 및 상태 천이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f는 실시예에 따른 비교 신호 생성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비교 신호 길이에 따른 수신 감도를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여러 개의 비교 신호를 이용하여 수신 심볼을 결정하되, 수신한 심볼과 미리 정해진 심볼의 상태 천이도에 따라 제한된 경우의 수에 해당하는 수신할 심볼의 조합으로 다수의 비교 신호를 생성하도록 한, 새로운 방안을 제안한다.
부연 설명하면, RFID 태그에서 FM0 또는 Miller 2, 4, 8 신호를 사용하는데, 미리 정해진 상태 천이도에 따라 데이터를 인코딩하기 때문에, 수신부에서는 현재 상태 즉, 수신한 심볼을 안다면 다음 상태를 제한된 경우의 수로 예상할 수 있어, 이를 기초로 수신한 심볼과 수신할 심볼의 조합으로 비교 신호를 생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변조 신호 수신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변조 신호 수신기는 안테나(antenna, 100), 수신부(200), 프로세서(processor, 300), 메모리(memory, 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RFID 리더 수신기를 예로 설명한다.
안테나(100)는 RFID 태그로부터 아날로그의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안테나(100)는 하나의 안테나일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중 안테나일 수 있다.
수신부(200)는 안테나(100)를 통해 수신된 아날로그의 수신 신호를 디지털의 수신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수신 신호와 미리 생성된 비교 신호를 이용하여 수신 심볼을 결정하고 결정된 수신 심볼을 이용하여 디지털의 수신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비교 신호는 수신한 심볼과 미리 정해진 심볼의 상태 천이도에 따라 제한된 경우의 수에 해당하는 수신할 심볼의 조합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수신부(200)로부터 복조된 데이터를 제공받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00)는 수신부(200)에 포함된 다수의 구성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400)는 복조된 데이터, 데이터 처리를 위해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수신부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부(200)는 IQ 복조기(210), A/D 변환부(220), 상관 연산부(230), 심볼 동기신호 생성부(240), 비교신호 생성부(250), 데이터 복조기(260)를 포함할 수 있다.
IQ 복조기(210)는 RFID 태그로부터 전송되어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서브 캐리어 신호의 I 채널의 아날로그 신호와 Q 채널의 아날로그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A/D 변환부(220)는 I 채널의 아날로그 신호와 Q 채널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I 채널의 디지털 신호와 Q 채널의 디지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A/D 변환부(220)는 I 채널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1 A/D 변환부와 Q 채널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2 A/D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관 연산부(230)는 I/Q 채널의 디지털 신호와 미리 생성된 다수의 비교 신호를 각각 상관 연산하고, 상관 연산한 결과를 기초로 수신 심볼을 결정할 수 있다. 상관 연산부(230)는 비교 신호가 끝나는 시점에서 상관 연산한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도 2b와 같이 상관 연산부(230)는 수신 신호(i(k), q(k))와 여러 개의 비교 신호(r(k)를 상관하고, 상관한 결과 최대 상관값을 갖는 비교 신호를 수신 신호와 가장 닮은 신호로 판정하고, 최대 상관값을 갖는 비교 신호의 생성에 사용된 심볼들을 수신 심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비교 신호는 수신한 심볼과 수신할 심볼의 조합을 통해 생성되는데, 상관 연산부(230)는 수신할 심볼의 경우의 수만큼 구비되어, 각각 상관 연산할 수 있다.
심볼 동기신호 생성부(240)는 I/Q 채널의 디지털 신호로부터 검출된 프리앰블 구간을 기초로 심볼 동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비교신호 생성부(250)는 생선된 심볼 동기 신호를 기초로 프리앰블 검출 시점에서, 수신한 심볼과 미리 정해진 심볼의 상태 천이도에 따라 제한된 경우의 수에 해당하는 수신할 심볼의 조합으로 다수의 비교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프리앰블은 6개의 심볼들로 구성되는데, 프리앰블 검출 시점에서 수신한 심볼은 프리앰블을 구성하는 6-심볼일 수 있다.
그 일예로, 비교신호 생성부(250)는 수신한 심볼과 미리 정해진 심볼의 상태 천이도에 따라 제한된 경우의 수에 해당하는 수신할 심볼의 조합으로 다수의 (2n)-심볼의 비교 신호를 생성하되, n은 양의 정수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비교신호 생성부(250)는 수신한 심볼, 미리 정해진 심볼의 상태 천이도에 따라 제한된 경우의 수에 해당하는 수신할 심볼, 수신한 심볼과 수신할 심볼 전후의 각 반 심볼의 조합으로 다수의 (2n+1)-심볼의 비교 신호를 생성하되, n은 양의 정수일 수 있다.
데이터 복조기(260)는 결정된 수신 심볼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복조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b는 FM0 신호의 기저 함수 및 상태 천이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역방향 링크의 데이터 인코딩 방식으로는 FM0 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데, FM0 인코팅 방법의 기저함수와 상태 천이도를 보여주고 있다.
"data-1"의 파형은 상태 S1이고, 상태 S4는 상태 S1의 위상 반전된 파형이다. "data-0"의 파형은 상태 S2이고, 상태 S3은 상태 S2의 위상 반전된 파형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Miller 신호의 기저 함수 및 상태 천이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역방향 링크의 데이터 인코딩 방식으로는 Miller 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데, Miller 인코팅 방법의 기저함수와 상태 천이도를 보여주고 있다.
"data-0"의 파형은 상태 S1이고, 상태 S4는 상태 S1의 위상 반전된 파형이다. "data-1"의 파형은 상태 S2이고, 상태 S3은 상태 S2의 위상 반전된 파형이다.
도 5a 내지 도 5f는 실시예에 따른 비교 신호 생성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FM0 2-심볼의 비교 신호를 생성하는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FM0 2-심볼의 비교 신호는 R1 시점에서 수신한 하나의 심볼과 수신할 하나의 심볼의 조합으로 생성될 수 있다.
R1 시점에서 수신한 하나의 심볼이 S1이고, 도 3b의 상태 천이도에 따르면 다음 상태로의 제한된 경우의 수는 S3, S4의 2개이기 때문에 심볼 조합의 경우의 수는 2가 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FM0 3-심볼의 비교 신호를 생성하는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FM0 3-심볼의 비교 신호는 R1 시점에서 수신한 하나의 심볼과 수신할 하나의 심볼 그리고 각 심볼 전후의 반 심볼의 조합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FM0에서는 심볼 간 경계면에서 항상 반전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R1 시점에서 수신한 하나의 심볼이 S1이고, 도 3b의 상태 천이도에 따르면 다음 상태로의 제한된 경우의 수는 S3, S4의 2개이기 때문에 심볼 조합의 경우의 수는 2가 된다.
도 5c를 참조하면, FM0 4-심볼의 비교 신호를 생성하는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FM0 4-심볼의 비교 신호는 R1 시점에서 수신한 두 개의 심볼과 수신할 두 개의 심볼이 조합으로 생성될 수 있다.
R1 시점에서 수신한 하나의 심볼이 S1이고, 도 3b의 상태 천이도에 따르면 다음 상태로의 경우의 수는 S3, S4으로 2개이고 그 다음으로 올 수 있는 상태로의 경우의 수는 S3, S4 및 S1, S2으로 2개씩이기 때문에 심볼 조합의 제한된 경우의 수는 4가 된다.
도 5d를 참조하면, FM0 5-심볼의 비교 신호를 생성하는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FM0 5-심볼의 비교 신호는 R1 시점에서 수신한 두 개의 심볼과 수신할 두 개의 심볼 그리고 각 심볼 전후의 반 심볼의 조합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FM0에서는 심볼 간 경계면에서 항상 반전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R1 시점에서 수신한 하나의 심볼이 S1이고, 도 3b의 상태 천이도에 따르면 다음 상태로의 경우의 수는 S3, S4으로 2개이고 그 다음으로 올 수 있는 상태로의 경우의 수는 S3, S4 및 S1, S2으로 2개씩이기 때문에 심볼 조합의 제한된 경우의 수는 4가 된다.
FM0의 경우 (2n)-심볼의 비교 신호와 (2n+1)-심볼의 비교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e를 참조하면, Miller 2-심볼의 비교 신호를 생성하는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Miller 2-심볼의 비교 신호는 R1 시점에서 수신한 하나의 심볼과 수신할 하나의 심볼의 조합으로 생성될 수 있다.
R1 시점에서 수신한 하나의 심볼이 S3이고, 도 4b의 상태 천이도에 따르면 다음 상태로의 제한된 경우의 수는 S1, S2의 2개이기 때문에 심볼 조합의 경우의 수는 2가 된다.
도 5f를 참조하면, Miller 4-심볼의 비교 신호를 생성하는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Miller 4-심볼의 비교 신호는 R1 시점에서 수신한 두 개의 심볼과 수신할 두 개의 심볼이 조합으로 생성될 수 있다.
R1 시점에서 수신한 하나의 심볼이 S3이고, 도 4b의 상태 천이도에 따르면 다음 상태로의 경우의 수는 S1, S2으로 2개이고 그 다음으로 올 수 있는 상태로의 경우의 수는 S4, S2 및 S4, S3으로 2개씩이기 때문에 심볼 조합의 제한된 경우의 수는 4가 된다.
FM0의 경우와 다르게 Miller의 경우 (2n)-심볼의 비교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비교 신호 길이에 따른 수신 감도를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비교 신호의 길이에 따른 수신 감도를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는 길이가 다른 비교 신호로 2-심볼의 비교 신호, 3-심볼의 비교 신호, 5-심볼의 비교 신호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하였다.
이러한 비교 신호의 길이에 따른 수신 감도는 다음의 [표 1]과 같이 나타났다.
비교 신호 길이
[symbols]
1/100 PER 수신 감도[dB] 개선치
[dB]
기대치
[dB]
2-symbols 8.5 0(기준) 0(기준)
3-symbols 6.4 -2.1 -1.8
5-symbols 5.3 -3.2 -4.0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교 신호를 2-심볼, 3-심볼, 4-심볼, 5-심볼 등으로 계속 확장할 수 있다.하지만 비교 신호의 경우의 수만큼 상관기의 개수 또한 증가하고, 심볼 동기 성능, 1/f 잡음, RF 필터 대역폭 제한 등의 영향으로 비교 신호의 길이가 늘어남에도 수신 감도 개선이 기대에 못 미칠 수 있어 적당한 비교 신호의 길이 선택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안테나
200: 수신부
300: 프로세서
400: 메모리

Claims (10)

  1. 수신 신호로부터 검출된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심볼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심볼 동기신호 생성부;
    상기 생성된 심볼 동기 신호를 기초로 프리앰블 검출 시점에서, 수신한 심볼과 미리 정해진 심볼의 상태 천이도에 따라 제한된 경우의 수에 해당하는 수신할 심볼의 조합으로 다수의 비교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상기 수신 신호와 상기 다수의 비교 신호를 각각 상관 연산하고, 상기 연산한 결과를 기초로 다수의 수신 심볼을 결정하는 상관 연산부; 및
    상기 결정된 다수의 수신 심볼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복조하는 데이터 복조기를 포함하는, 디지털 변조 신호 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생성부는,
    상기 수신한 심볼과 상기 미리 정해진 심볼의 상태 천이도에 따라 제한된 경우의 수에 해당하는 수신할 심볼의 조합으로 다수의 (2n)-심볼의 비교 신호를 생성하되, n은 양의 정수인, 디지털 변조 신호 수신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심볼의 상태 천이도에 따라 제한된 경우의 수는 2n인, 디지털 변조 신호 수신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생성부는,
    상기 수신한 심볼, 상기 미리 정해진 심볼의 상태 천이도에 따라 제한된 경우의 수에 해당하는 수신할 심볼, 상기 수신한 심볼과 상기 수신할 심볼의 전후 각 반 심볼의 조합으로 다수의 (2n+1)-심볼의 비교 신호를 생성하되, n은 양의 정수인, 디지털 변조 신호 수신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생성부는,
    상기 수신한 심볼과 상기 수신할 심볼 전후에 각 반 심볼 길이의 위상이 반전된 패턴을 추가하여 다수의 (2n+1)-심볼의 비교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 변조 신호 수신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심볼의 상태 천이도에 따라 제한된 경우의 수는 2n+1인, 디지털 변조 신호 수신기.
  7. 수신 신호로부터 검출된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심볼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심볼 동기 신호를 기초로 프리앰블 검출 시점에서, 수신한 심볼과 미리 정해진 심볼의 상태 천이도에 따라 제한된 경우의 수에 해당하는 수신할 심볼의 조합으로 다수의 비교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수신 신호와 상기 다수의 비교 신호를 각각 상관 연산하고, 상기 연산한 결과를 기초로 다수의 수신 심볼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다수의 수신 심볼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복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변조 신호 수신기의 신호 처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수신한 심볼과 상기 미리 정해진 심볼의 상태 천이도에 따라 제한된 경우의 수에 해당하는 수신할 심볼의 조합으로 다수의 (2n)-심볼의 비교 신호를 생성하되, n은 양의 정수인, 디지털 변조 신호 수신기의 신호 처리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수신한 심볼, 상기 미리 정해진 심볼의 상태 천이도에 따라 제한된 경우의 수에 해당하는 수신할 심볼, 상기 수신한 심볼과 상기 수신할 심볼 전후의 각 반 심볼의 조합으로 다수의 (2n+1)-심볼의 비교 신호를 생성하되, n은 양의 정수인, 디지털 변조 신호 수신기의 신호 처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수신한 심볼과 상기 수신할 심볼의 전후 각 반 심볼 길이의 위상이 반전된 패턴을 추가하여 다수의 (2n+1)-심볼의 비교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 변조 신호 수신기의 신호 처리 방법.
KR1020200184631A 2020-12-28 2020-12-28 디지털 변조 신호 수신기 및 이의 신호 처리 방법 KR202200936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631A KR20220093667A (ko) 2020-12-28 2020-12-28 디지털 변조 신호 수신기 및 이의 신호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631A KR20220093667A (ko) 2020-12-28 2020-12-28 디지털 변조 신호 수신기 및 이의 신호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667A true KR20220093667A (ko) 2022-07-05

Family

ID=82402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4631A KR20220093667A (ko) 2020-12-28 2020-12-28 디지털 변조 신호 수신기 및 이의 신호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36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3107079A1 (de) 2022-07-28 2024-02-08 Hl Mando Corporation Vorrichtung, verfahren, speicher und programm zur steuerung eines fahrzeug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3107079A1 (de) 2022-07-28 2024-02-08 Hl Mando Corporation Vorrichtung, verfahren, speicher und programm zur steuerung eines fahrzeug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12465A1 (en) Collision prevention method for RFID system and RFID system
US8044773B2 (en) Parallel RFID system using CDMA
Chen et al. An efficient tag search protocol in large-scale RFID systems with noisy channel
US7917088B2 (en) Adaptable detection threshold for RFID tags and chips
US200700254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signal processing in wireless RFID systems
US20070297534A1 (en) High bit rate RFID system
US9514402B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ag having multiple antennas
US8023579B2 (en) Quadrature demodulation device, quadrature demodulation method, and quadrature demodulation program
US8616456B2 (en) Passive RFID transponder and RFID reader
US20080266103A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devices
Choi et al. Bi-slotted tree based anti-collision protocols for fast tag identification in RFID systems
US11651180B1 (en) Item identification via RFID tag secret
US10037444B1 (en) Weak RFID tag signal recovery from collisions
US200701776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 processing in RFID receivers
CN101305383B (zh) 在信号流中检测定界符模式的方法和rfid阅读器
Kim et al. An efficient tree-based tag anti-collision protocol for RFID systems
KR20220093667A (ko) 디지털 변조 신호 수신기 및 이의 신호 처리 방법
US826433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modulating subcarrier tag signal in RFID reader
Jameel et al. Multi-tone carrier backscatter communications for massive IoT networks
US7791478B2 (en) Dual bit encoding / decoding of RFID signal
US20200235968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data via a radio signal
CN104753835A (zh) 一种阅读器多接收天线的分片调整的信道参数估计实现方法
US8111781B2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terrogators
KR101237974B1 (ko) Rfid 태그, rfid 리더, 및 이들을 구비하는rfid 시스템
US20080267279A1 (en) RFID receiver for miller-encoded sign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