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3481A - 이동체 번호 인식 및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체 번호 인식 및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3481A
KR20220093481A KR1020200184220A KR20200184220A KR20220093481A KR 20220093481 A KR20220093481 A KR 20220093481A KR 1020200184220 A KR1020200184220 A KR 1020200184220A KR 20200184220 A KR20200184220 A KR 20200184220A KR 20220093481 A KR20220093481 A KR 20220093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guide
route number
rout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4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3678B1 (ko
Inventor
정진하
라문수
Original Assignee
라이트비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트비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라이트비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4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678B1/ko
Priority to PCT/KR2021/019837 priority patent/WO2022145894A1/ko
Publication of KR20220093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3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06Q50/4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4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by the use of histogram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4Aligning, centring, orientation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3Scene text, e.g. street nam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Abstract

저시력인을 위한 운송 수단 번호(노선 번호)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정보 안내 시스템에 사용되는 휴대 장치는 컴퓨팅 장치로부터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실행시켜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프로그램부 및 저장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체를 촬영함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통하여 노선 번호 또는 노선 정보를 가지는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안내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획득된 영상 내의 이동체에 복수의 번호가 표시된 경우 기존 학습된 알고리즘에 의해 노선 번호가 결정되며, 상기 안내 정보는 저시력인을 위한 정보로서 상기 노선 번호 또는 상기 노선 정보가 차지하는 영역이 상기 안내 정보를 보여주는 전체 영역의 25% 이상을 차지며, 상기 저장부는 상기 프로그램, 상기 영상 또는 상기 안내 정보를 저장한다.

Description

이동체 번호 인식 및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Moving vehicle's number recognition and information guide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저시력인들이 정확한 운송수단을 탈 수 있도록 이동하는 운송수단의 번호를 인식하기 위한 이동체 번호 인식 및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저시력인은 시력이 약하게 살아 있지만 뚜렷하게 사물을 보지 못하고 대부분 사물의 형상만 볼 수 있는 사람을 지칭하며, 정거장에서 버스를 보더라도 노선 번호는 알기가 어렵고 버스 형상만을 흐릿하게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저시력인은 노선 번호 등을 파악할 수가 없어서 버스 등을 이용하기가 어렵고, 실제로 대다수의 저시력인은 버스를 이용하지 않고 택시 등을 이용한다. 결과적으로, 일상 생활이 어렵고 이동하는데 있어서 많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KR 10-2062847 B
본 발명은 저시력인을 위한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 서버는 영상 획득 장치와의 통신 연결 통로인 통신부; 상기 영상 획득 장치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부; 및 상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노선 번호 또는 노선 정보를 가지는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안내 정보를 상기 영상 획득 장치로 제공하는 안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은 상기 영상 획득 장치에 의해 촬영된 하나 이상의 이동체의 영상이고, 상기 안내 정보는 저시력인을 위한 정보로서 상기 노선 번호 또는 상기 노선 정보가 차지하는 영역이 상기 안내 정보를 보여주는 전체 영역의 25% 이상을 차지하며, 상기 영상에서 하나의 이동체에서 복수의 번호가 파악되는 경우 기존 학습된 알고리즘에 의해 노선 번호가 결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장치는 컴퓨팅 장치 또는 상기 컴퓨팅 장치와 연결된 중계 장치와의 통신 연결 통로인 통신부; 및 적어도 하나의 이동체를 촬영함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상기 컴퓨팅 장치로 전송하는 안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전송된 영상을 분석함에 의해 획득된 노선 번호 또는 노선 정보를 가지는 안내 정보를 상기 컴퓨팅 장치 또는 상기 컴퓨팅 장치와 연결된 중계 장치를 통하여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안내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안내 정보는 저시력인을 위한 정보로서 상기 노선 번호 또는 상기 경로 정보가 차지하는 영역이 상기 안내 정보를 보여주는 전체 영역의 25% 이상을 차지하고, 상기 영상에서 하나의 이동체에서 복수의 번호가 파악되는 경우 기존 학습된 알고리즘에 의해 노선 번호가 결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장치는 컴퓨팅 장치로부터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실행시켜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프로그램부; 및 저장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체를 촬영함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통하여 노선 번호 또는 노선 정보를 가지는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안내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획득된 영상 내의 이동체에 복수의 번호가 표시된 경우 기존 학습된 알고리즘에 의해 노선 번호가 결정되며, 상기 안내 정보는 저시력인을 위한 정보로서 상기 노선 번호 또는 상기 노선 정보가 차지하는 영역이 상기 안내 정보를 보여주는 전체 영역의 25% 이상을 차지하며, 상기 저장부는 상기 프로그램, 상기 영상 또는 상기 안내 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안내 방법은 하나 이상의 이동체가 촬영된 영상을 통하여 노선 번호 또는 노선 정보를 가지는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안내 정보를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안내 정보는 저시력인을 위한 정보로서 상기 노선 번호 또는 상기 노선 정보가 차지하는 영역이 상기 안내 정보를 보여주는 전체 영역의 25% 이상을 차지하며, 상기 영상 내의 이동체에 복수의 번호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 기존 학습된 알고리즘에 의해 노선 번호가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시력인을 위한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은 진입하는 이동체를 촬영하여 획득된 영상을 분석하여 노선 번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노선 번호를 모바일 단말 등을 통하여 상기 저시력인에 제공하므로, 상기 저시력인은 상기 노선 번호를 파악하여 용이하게 이동체에 탑승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시력인이 정안인과 유사하게 일상 생활을 누릴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저시력인을 위한 노선 번호 안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은 저시력인의 버스 인식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노선 번호 인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플릭커 현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시간에 따라 변하는 번호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노선 번호 안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노선 번호 안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노선 번호 안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저시력인을 위한 정보(특히, 노선 번호) 안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기(핸드폰, 전자 장비를 구비한 안경 등)를 이용하여 이동체, 예를 들어 버스의 노선 번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노선 번호를 상기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저시력인에게 제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이동체를 보더라도 상기 이동체의 노선 번호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저시력인일지라도 상기 단말기를 통하여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체의 노선 번호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저시력인도 일반 사람과 유사하게 버스 등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고 일상 생활이 가능하여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저시력인을 위한 노선 번호 안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들이고, 도 3은 저시력인의 버스 인식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노선 번호 인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플릭커 현상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시간에 따라 변하는 번호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저시력인을 위한 노선 번호 안내 시스템은 이동체를 인식하는 단말기(100) 및 안내 서버(컴퓨팅 장치, 10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저시력인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물이 뚜렷하게 보이지 않고 흐릿하게 보이는 사람을 의미하며 시각 장애인뿐만 아니라 시력이 좋지 않은 일반 사람도 해당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영상 획득 가능하는 한 제한되지 않으며, 모바일 단말 또는 휴대 단말기일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이동체는 번호가 표시된 이동 수단(운송 수단)을 의미하며, 대표적으로는 버스이다.
단말기(100)는 프로그램을 설치 및 삭제할 수 있으며, 노선 번호 안내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서버(102)로부터 노선 번호 안내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실행시켜 노선 번호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영상 획득부, 예를 들어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영상을 획득한다는 측면에서 영상 획득 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킴에 의해 활성화되지만, 상기 노선 번호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켰을 때도 활성화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저시력인)가 정거장 등에 진입하는 이동체(버스)를 단말기(100)로 촬영하면, 단말기(100)의 노선 번호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촬영된 영상을 서버(102)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은 하나의 정지 이미지, 연속적으로 촬영된 복수의 정지 이미지들 또는 동영상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저시력인은 사물을 제대로 인지할 수 없으므로, 단말기(100)를 눈 앞에 두고 진입하는 이동체를 촬영하고 노선 번호 안내를 받는 것이 편리하고, 여러 대의 이동체들이 한번에 진입하는 경우 한번 촬영으로 원하는 차량의 노선 번호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단말기(100)가 복수의 정지 이미지들 또는 동영상을 획득하여 서버(102)로 전송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상기 노선 번호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이 가고자 하는 노선 번호를 등록할 수 있고, 상기 노선 번호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교통 서버(미도시)로부터 공공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이동체가 상기 사용자가 있는 정거장에 언제 도착하는 지를 안내하여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A 정거장에 있고 노선 번호 '331' 버스를 기다리는 경우, 상기 노선 번호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331' 버스 관련 정보를 상기 교통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1분 후에 331번 버스가 도착할 예정입니다' 또는 '곧 331번 버스가 도착할 예정이니 촬영 준비해주세요' 등의 정보를 단말기(100)를 통하여 출력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동체의 노선 번호를 인지하지 못하는 사용자(저시력인)도 원하는 이동체가 곧 도착할 것이라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이동체가 도착할 때에 맞춰서 단말기(100)로 이동체를 촬영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체의 도착을 파악하도록 화면 디스플레이/진동/사운드를 통하여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면 카메라를 항상 켜둘 필요가 없으므로, 배터리 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노선 번호를 모르고 가고자 하는 목적지만 입력한 경우, 단말기(100)는 상기 목적지로 가는 이동체의 노선 번호에 대한 정보를 상기 교통 서버, 정거장에서의 안내 방송 또는 촬영된 노선 안내도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노선 번호에 대한 정보 및/또는 상기 노선 번호를 가지는 이동체의 도착 예정 시간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가 노선 번호를 모르더라도 원하는 목적지로 가는 이동체의 노선 번호 및/또는 도착 예정 시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서버(102)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며,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분석하여 이동체의 노선 번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 결과를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단말기(100)는 상기 노선 번호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100)를 통하여 저시력인에게 안내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된 영상 분석 결과 노선 번호가 '331'인 경우, 서버(102)는 '331'이라는 정보를 단말기(100)로 전송하고, 단말기(100)는 '331'이라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음성으로 출력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저시력인이 진입하는 이동체의 노선 번호를 직접적으로 파악하지는 못하지만, 촬영하는 동작만으로 단말기(100)를 통하여 이동체의 노선 번호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이동체로 용이하게 승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선 번호뿐만 아니라 상기 이동체의 경로 정보도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러한 경로 정보는 상기 이동체에 표시된 노선 정보로부터 파악될 수 있다.
다만, 저시력인을 위한 노선 번호 안내이므로, 단말기(100)를 통하여 많은 정보를 제공하기 보다는 간단한 정보를 크고 신속하게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촬영되는 영상이 이미지이고 노선 번호를 크게 디스플레이해주는 것이 저시력인을 위해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선 번호 또는 상기 경로 정보가 차지하는 영역이 안내 정보를 보여주는 전체 영역(화면)의 25% 이상을 차지할 수 있으며, 글씨 크기가 클 수록 더 좋다.
바람직하게는, 저시력인이 단말기(100)를 들어서 진입하는 차량을 촬영하면, 저시력인이 단말기(100)를 들고 있는 상태에서 노선 번호를 신속하게 디스플레이해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저시력인은 어떤 노선 번호의 이동체가 진입하였는 지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고, 정상인과 동일하게 원하는 이동체를 용이하게 탑승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에는 2개 이상의 번호가 다양한 위치에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서버(102)는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하나의 이동체에 표시되어 있는 번호를 모두 파악하고, 동일한 번호가 가장 많은 번호를 노선 번호로 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버스 등의 이동체에 표시된 대다수의 번호가 노선 번호이므로, 가장 많은 수의 번호가 노선 번호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서버(102)는 가장 많은 수의 번호를 노선 번호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노선 번호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노선 번호는 이동체의 전면 상단, 노선 경로가 표시된 영역 또는 그 인근에 표시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서버(102)는 상기 이동체의 전면 상단, 노선 경로 또는 인접 영역에 표시되는 번호를 노선 번호로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서버(102)는 지정된 영역에 표시된 번호를 노선 번호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체에 많은 번호가 표시된 경우, 기존에 학습된 AI 알고리즘에 의해 정규 노선 번호가 인식되어 결정될 수 있으며, 다른 번호가 오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미리 정규 노선 번호를 학습시켜 알고리즘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알고리즘으로 올바른 노선 번호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선 번호 표시 영역에 빛이 반사되고 다른 이미지가 투영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에 따라 번호판이 변화될 수도 있어서 노선 번호를 파악하기가 어려울 수 때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2)는 히스트로그램 평활화 기법을 사용하여 노선 번호를 파악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2)는 여러 프레임에 걸친 인식 결과를 통합하여 인식률을 높여서 노선 번호를 파악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2)는 상기 이동체에 노선 번호가 많이 표시되어 있으므로 파악하기 어려운 번호 대신 다른 번호를 인식하여 노선 번호를 파악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2)는 변화하는 번호판 정보를 모두 주석화하고 학습하여 노선 번호를 파악할 수도 있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노선 번호 안내 시스템은 저시력인이 단말기(100)를 통하여 이동체를 촬영하면 노선 번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노선 번호를 단말기(100)를 통하여 안내해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이동체가 제대로 인식되지 않는 저시력인도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노선 번호를 파악하여 용이하게 상기 이동체에 탑승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노선 번호 안내 시스템은 노선 정보도 파악하여 저시력인에게 제공할 수 있다.
위에서는, 정거장으로 진입하는 이동체를 예로 하였으나, 지하철을 타러 갈 때 등과 같이 호선이나 경로 또는 종점 등을 파악하기 위해서도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노선 번호뿐만 아니라 목적지까지의 요금 등에 대한 안내도 단말기(100)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노선 번호 안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노선 번호 안내 시스템은 단말기(100) 및 서버(102)를 포함하되,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노선 번호를 검출하는 장치가 서버(102)가 아닌 단말기(100)일 수 있다.
서버(102)는 노선 번호 안내 프로그램을 단말기(100)로만 제공하는 역할만 하며, 그 외의 기능은 단말기(1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노선 번호 안내 프로그램이 서버(102)로부터 다운로드되지 않고 단말기(100) 자체에 설치되어 있거나 메모리를 통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말기(100)가 노선 번호 안내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노선 번호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면, 상기 노선 번호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노선 번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노선 번호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및/또는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시킬 수 있다.
다만, 빅데이터 형성을 위하여, 노선 번호 안내가 이루어지면 관련 정보를 서버(102)로 전송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100)는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노선 번호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때에는 직접 노선 번호를 검출하지만, 용이하게 인식할 수 없는 때에는 상기 영상을 서버(102)로 전송하고 서버(102)로부터 노선 번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플릭커 현상, 빛의 반사 등으로 인하여 노선 번호를 파악하기 쉽지 않은 경우에는, 서버(102)가 추가적인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노선 번호를 검출하여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노선 번호 안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노선 번호 안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노선 번호 안내 시스템은 안경 장치(800), 단말기(100) 및 서버(102)를 포함할 수 있다.
안경 장치(800)는 영상 촬영이 가능한 장치이며, 바람직하게는 노선 번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안경 장치(800)를 이용하면 저시력인이 단말기(100)를 눈 앞으로 들어서 이동체를 촬영할 필요가 없이, 시선을 진입하는 이동체로 두기만 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저시력인이 안경 장치(800)를 이용하여 이동체의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영상을 단말기(100)로 전송하면, 단말기(100)는 상기 전송된 영상을 서버(102)로 제공하여 노선 번호를 파악할 수 있으며 파악된 노선 번호를 안경 장치(800)로 제공하여 저시력인에게 노선 번호를 안내해줄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100)는 중계 장치로 기능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안경 장치(800)에 의해 획득된 영상이 단말기(100)로 제공되면, 단말기(100)가 노선 번호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노선 번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노선 번호에 대한 정보를 안경 장치(8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안경 장치(800)에 의해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단말기(100) 또는 서버(102)가 노선 번호를 검출하고, 안경 장치(800)가 아닌 단말기(100)를 통하여 저시력인에게 노선 번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 없이 안경 장치(800)와 서버(102) 사이에서 노선 번호 안내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안경 장치(800)가 촬영된 영상을 서버(102)로 제공하면, 서버(102)는 상기 영상으로부터 노선 번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노선 번호에 대한 정보를 안경 장치(8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100) 및 서버(102) 없이 안경 장치(800)가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영상을 분석하여 노선 번호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노선 번호에 대한 정보를 자체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노선 번호 안내 프로그램이 단말기(100) 또는 서버(102)로부터 다운되어 설치될 수도 있고 안경 장치(800) 자체에 설치되어 있거나 메모리를 통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위에서는 노선 번호를 안내하는 동작에 대하여만 설명하였지만, 필요할 때 연락할 수 있는 연락처나 연락 방법 등에 대한 부가 정보 또는 저시력인들에게 도움이 되는 최신 보조 공학기기들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광고도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도움이 필요하나 단말기(100)를 조작하기 어려운 경우, 저시력인이 음성으로 말하면 단말기(100)가 이를 인식하여 해당 연락처로 연락을 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저시력인은 노선 안내를 받으면서도 필요할 때 도움을 신속하게 받을 수 있어서 혼자서도 정상인처럼 돌아다니고 생활할 수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서버(102)는 제어부(1000), 통신부(1002), 영상부(1004), 안내부(1006), 부가 정보부(1008), 프로그램부(1010) 및 저장부(1012)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002)는 단말기(100) 또는 안경 장치(800)와의 통신 연결 통로이다.
영상부(1004)는 단말기(100) 또는 안경 장치(800)로부터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안내부(1006)는 상기 획득된 영상을 분석하여 이동체의 노선 번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노선 번호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100) 또는 안경 장치(8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안내부(1006)는 노선 번호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노선 경로에 대한 정보도 단말기(100) 또는 안경 장치(800)로 제공할 수 있다.
부가 정보부(1008)는 교통 정보, 최신 보조 공학기기들에 대한 정보, 도움을 청할 수 있는연락 정보 등을 단말기(100) 또는 안경 장치(800)로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프로그램부(1010)는 노선 번호 안내 프로그램을 단말기(100) 또는 안경 장치(800)로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1012)는 영상, 노선 번호에 대한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000)는 서버(102)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단말기(100)는 제어부(1100), 통신부(1102), 영상 획득부(1104), 안내부(1106), 디스플레이(1108), 스피커(1110) 및 저장부(11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프로그램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부(1102)는 서버(102) 또는 안경 장치(800)와의 통신 연결 통로이다.
영상 획득부(1104)는 예를 들어 카메라이며, 진입하는 이동체를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영상을 서버(102)로 전송할 수 있다.
안내부(1106)는 서버(102)로부터 노선 번호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거나, 자체적으로 영상을 분석하여 노선 번호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안내부(1106)는 노선 번호 등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1108) 및/또는 스피커(111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안내부(1106)는 노선 번호 등에 대한 정보를 안경 장치(8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저장부(1112)는 노선 번호 안내 프로그램, 영상, 노선 번호 등에 대한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부는 서버(102)로부터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실행시켜 노선 번호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제어부(1110)는 단말기(100)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안경 장치(800)는 제어부(1200), 통신부(1202), 영상 획득부(1204), 안내부(1206), 디스플레이(1208), 스피커(1210) 및 저장부(1212)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02)는 단말기(100) 또는 서버(102)와의 통신 연결 통로이다.
영상 획득부(1204)는 진입하는 이동체를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획득부(1204)는 안경 테의 전면에 장착되어 전면을 촬영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영상 획득부(1204)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으로 촬영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안내부(1206)는 단말기(100) 또는 서버(102)로부터 제공되는 노선 번호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디스플레이(1208) 및/또는 스피커(1210)를 통하여 출력시킬 수 있다. 즉, 안내부(1206)는 단말기(100) 또는 서버(102) 등의 노선 번호 안내 장치로부터 노선 번호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안내부(1206)는 저시력인에게 도움이 되는 최선 보조 공학기기들에 대한 정보, 응급 연락처 정보 등의 부가 정보도 디스플레이(1208)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8)는 안경 알 상에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안경 알 위에 배열되거나 안경 알 자체일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208)가 안경 알 자체인 경우에는 안경 알로 노선 번호 등에 대한 정보를 투영시킬 수 있는 투사 장치가 별도로 존재할 수도 있다.
저장부(1212)는 영상 또는 노선 번호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200)는 안경 장치(800)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위에서는, 노선 번호 안내 시스템, 노선 번호 안내 어플리케이션, 노선 번호 안내 장치 등으로 언급하였으나, 정보를 안내한다는 측면에서 정보 안내 시스템, 안내 어플리케이션 및 안내 장치로 통칭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 및 안경 장치(800)는 휴대가 가능한 장치라는 점에서 휴대 장치로 명명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프로세스적인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구성 요소는 각각의 프로세스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의 프로세스는 장치의 구성 요소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기술적 내용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들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단말기 102 : 안내 서버
800 : 안경 장치

Claims (11)

  1. 영상 획득 장치와의 통신 연결 통로인 통신부;
    상기 영상 획득 장치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부; 및
    상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노선 번호 또는 노선 정보를 가지는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안내 정보를 상기 영상 획득 장치로 제공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은 상기 영상 획득 장치에 의해 촬영된 하나 이상의 이동체의 영상이고, 상기 안내 정보는 저시력인을 위한 정보로서 상기 노선 번호 또는 상기 노선 정보가 차지하는 영역이 상기 안내 정보를 보여주는 전체 영역의 25% 이상을 차지하며, 상기 영상에서 하나의 이동체에서 복수의 번호가 파악되는 경우 기존 학습된 알고리즘에 의해 노선 번호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 장치는 통화 기능을 가지는 단말기 또는 안경 장치이되,
    상기 안내부는 빛의 반사, 다른 이미지의 투영, 플리커 현상 또는 시간에 따른 번호판의 변화로 인하여 상기 노선 번호를 직접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 히스트로그램 평활화 기법을 사용하는 방법, 여러 프레임에 걸친 인식 결과를 통합하여 인식률을 높이는 방법, 다른 영역에 표시된 번호를 인식하는 방법 및 변화하는 번호판 정보를 모두 주석화하고 학습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노선 번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시력인의 도움 요청시 도움을 줄 수 있는 연락처 정보 또는 상기 저시력인에게 도움이 되는 부가 정보를 상기 영상 획득 장치로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부가 정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서버.
  4. 컴퓨팅 장치 또는 상기 컴퓨팅 장치와 연결된 중계 장치와의 통신 연결 통로인 통신부; 및
    적어도 하나의 이동체를 촬영함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상기 컴퓨팅 장치로 전송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되,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전송된 영상을 분석함에 의해 획득된 노선 번호 또는 노선 정보를 가지는 안내 정보를 상기 컴퓨팅 장치 또는 상기 컴퓨팅 장치와 연결된중계 장치를 통하여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안내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안내 정보는 저시력인을 위한 정보로서 상기 노선 번호 또는 상기 경로 정보가 차지하는 영역이 상기 안내 정보를 보여주는 전체 영역의 25% 이상을 차지하고, 상기 영상에서 하나의 이동체에서 복수의 번호가 파악되는 경우 기존 학습된 알고리즘에 의해 노선 번호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장치는 모바일 단말이고 상기 컴퓨팅 장치는 안내 서버이되,
    상기 노선 정보가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면서 음성으로도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장치는 카메라를 가지는 안경 장치이고 상기 컴퓨팅 장치는 안내 서버 또는 모바일 단말이되,
    상기 안내부는 상기 안경 장치의 안경 알로 상기 안내 정보를 투영하거나 상기 안경 알 위에 배열된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상기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7. 컴퓨팅 장치로부터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실행시켜 안내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프로그램부; 및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체를 촬영함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통하여 노선 번호 또는 노선 정보를 가지는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안내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획득된 영상 내의 이동체에 복수의 번호가 표시된 경우 기존 학습된 알고리즘에 의해 노선 번호가 결정되며,
    상기 안내 정보는 저시력인을 위한 정보로서 상기 노선 번호 또는 상기 노선 정보가 차지하는 영역이 상기 안내 정보를 보여주는 전체 영역의 25% 이상을 차지며,
    상기 저장부는 상기 프로그램, 상기 영상 또는 상기 안내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부는 안경 장치로부터 상기 영상을 제공받고, 상기 안내 정보를 상기 안경 장치를 통하여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교통 서버 또는 정거장에서 송출되는 안내 방송으로부터 상기 이동체의 도착 예정을 인지하였을 때 상기 휴대 장치가 상기 이동체의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어플리케이션은 빛의 반사, 다른 이미지의 투영, 플리커 현상 또는 시간에 따른 번호판의 변경으로 인하여 상기 노선 번호를 직접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 히스트로그램 평활화 기법을 사용하는 방법, 여러 프레임에 걸친 인식 결과를 통합하여 인식률을 높이는 방법, 다른 영역에 표시된 번호를 인식하는 방법 및 변화하는 번호판 정보를 모두 주석화하고 학습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노선 번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11. 하나 이상의 이동체가 촬영된 영상을 통하여 노선 번호 또는 노선 정보를 가지는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안내 정보를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안내 정보는 저시력인을 위한 정보로서 상기 노선 번호 또는 상기 노선 정보가 차지하는 영역이 상기 안내 정보를 보여주는 전체 영역의 25% 이상을 차지하며, 상기 영상 내의 이동체에 복수의 번호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 기존 학습된 알고리즘에 의해 노선 번호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안내 방법.

KR1020200184220A 2020-12-28 2020-12-28 이동체 번호 인식 및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2593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220A KR102593678B1 (ko) 2020-12-28 2020-12-28 이동체 번호 인식 및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PCT/KR2021/019837 WO2022145894A1 (ko) 2020-12-28 2021-12-24 이동체 번호 인식 및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220A KR102593678B1 (ko) 2020-12-28 2020-12-28 이동체 번호 인식 및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481A true KR20220093481A (ko) 2022-07-05
KR102593678B1 KR102593678B1 (ko) 2023-10-25

Family

ID=82259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4220A KR102593678B1 (ko) 2020-12-28 2020-12-28 이동체 번호 인식 및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93678B1 (ko)
WO (1) WO2022145894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7163A (ja) * 1998-08-26 2000-03-03 Nagoya Denki Kogyo Kk 特定路線バス検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90105531A (ko) * 2008-04-03 2009-10-07 슬림디스크 주식회사 카메라센서로 찍은 문서 이미지를 시각장애인에게 음성으로알려주는 방법 및 장치
KR20160007341A (ko) * 2014-07-10 2016-01-20 넥시스 주식회사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버스도착 알림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프로그램
KR20190077639A (ko) * 2017-12-14 2019-07-04 주식회사 코이노 시력 취약계층을 위한 시력 보조장치와 원격관리장치 및 시력 보조방법
KR102062847B1 (ko) 2019-08-19 2020-01-06 주식회사 강한손 저시력자를 위한 영상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7163A (ja) * 1998-08-26 2000-03-03 Nagoya Denki Kogyo Kk 特定路線バス検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90105531A (ko) * 2008-04-03 2009-10-07 슬림디스크 주식회사 카메라센서로 찍은 문서 이미지를 시각장애인에게 음성으로알려주는 방법 및 장치
KR20160007341A (ko) * 2014-07-10 2016-01-20 넥시스 주식회사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버스도착 알림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프로그램
KR20190077639A (ko) * 2017-12-14 2019-07-04 주식회사 코이노 시력 취약계층을 위한 시력 보조장치와 원격관리장치 및 시력 보조방법
KR102062847B1 (ko) 2019-08-19 2020-01-06 주식회사 강한손 저시력자를 위한 영상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3678B1 (ko) 2023-10-25
WO2022145894A1 (ko)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48294B (zh) 路况状态确定方法及装置
JP4633043B2 (ja) 画像処理装置
WO2020224479A1 (zh) 目标的位置获取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7853051B2 (en) Recognizing apparatus and method, recording media, and program
US20230224179A1 (en) Mobile information terminal
US20120212593A1 (en) User wearable visual assistance system
CN108463840B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以及记录介质
US20150104069A1 (en) Method for Discovering Augmented Reality Object, and Terminal
US11120707B2 (en) Cognitive snapshots for visually-impaired users
JP2010061265A (ja) 人物検索登録システム
KR20140125183A (ko) 프로젝터 장착 안경 및 그 제어 방법
CN110196914B (zh) 一种将人脸信息录入数据库的方法和装置
WO2020036821A1 (en) Iden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20190118965A (ko) 시선 추적 시스템 및 방법
WO2019190076A1 (ko) 시선 추적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
AU2020309094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14088125A1 (ko)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07341A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버스도착 알림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프로그램
CN115471662A (zh) 语义分割模型的训练方法、识别方法、装置和存储介质
WO2019021973A1 (ja) 端末装置、危険予測方法、記録媒体
KR20220093481A (ko) 이동체 번호 인식 및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CN115206305B (zh) 语义文本的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0971924B (zh) 一种直播过程中美颜的方法、设备、存储介质及系统
CN107832726B (zh) 使用者识别和确认装置及车用中央控制系统
CN112307966B (zh) 事件展示方法及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