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2025A - Evaporating unit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Evaporating unit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2025A
KR20220092025A KR1020200183366A KR20200183366A KR20220092025A KR 20220092025 A KR20220092025 A KR 20220092025A KR 1020200183366 A KR1020200183366 A KR 1020200183366A KR 20200183366 A KR20200183366 A KR 20200183366A KR 20220092025 A KR20220092025 A KR 20220092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defrost water
drain hole
defros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3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형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3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2025A/en
Publication of KR20220092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202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6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the pipes or pip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vaporator unit comprises: an evaporator having an evaporation pipe and having a plurality of heat exchanging pins penetrated by the evaporation pipe; a defrost heater mounted on a lower side of the evaporator; and a defrost water discharge unit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evaporator to collect water or ice fallen from a surface of the evaporator. The defrost water discharge unit can comprise: a drain hole; a defrost water collection unit tilted downward toward the drain hole; and a defrost water pipe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drain hole.

Description

증발기 유닛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Evaporating unit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Evaporating unit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증발기 유닛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vaporator unit and a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냉장고는 음식물을 냉장 또는 냉동 온도로 저장하는 가전 기기이다. BACKGROUND ART A refrigerator is a home appliance that stores food at a refrigerated or frozen temperature.

냉장고에는 고내 공기를 저온으로 냉각시키기 위한 증발실이 구비되고, 상기 증발실에는 냉동 사이클의 한 구성 요소인 증발기가 장착된다. 그리고, 증발기의 하측에는 제상수 받이가 배치되어, 제상 운전 과정에서 상기 증발기 표면에서 분리되는 성에 또는 얼음이 포집되도록 한다. The refrigerator is provided with an evaporation chamber for cooling the air in the refrigerator to a low temperature, and an evaporator, which is a component of the refrigerating cycle, is mounted in the evaporation chamber. In addition, a defrost water receiver is disposed below the evaporator to collect frost or ice separated from the evaporator surface during a defrosting operation.

한편, 상기 증발기의 저면에는 씨즈 히터(sheath heater)와 같은 제상 히터가 장착되는데, 종래에는 평평한 내주면 및 외주면을 가지는 파이프 형태의 씨즈 히터가 적용되었다.On the other hand, a defrosting heater such as a sheath heater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vaporator. Conventionally, a sheath heater in the form of a pipe having a fla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as been applied.

선행문헌인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36032호에는, 김치냉장고용 상부 저장실의 바닥면에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배수를 포함하는 김치 냉장고가 개시된다.A prior document,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36032, discloses a kimchi refrigerator including drainag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n the bottom surface of an upper storage room for a kimchi refrigerator.

이러한 선행문헌의 경우, 바닥면에 고인 물을 상기 배수구로부터 연장 형성된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데 제상수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배수구를 따라 제상수가 천천히 내려가면서 원활한 배수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se prior documents, the water accumulated on the floo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pipe extending from the drain hole, but when the amount of defrost water is small, the defrost water slowly goes down along the drain hol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does not drain smoothly. can occur

특히, 이러한 상태에서 냉각이 진행될 경우 배수구 안에서 다시 결빙이 일어나 얼음이 점점 쌓여 배수구가 막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particular, if cooling proceeds in such a state, ice builds up again in the drain hole, which may cause a problem that the drain hole is clogged.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제상수의 양이 적을 경우에도 빠른 속도로 제상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제상수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결빙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of freezing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defrosting water by allowing the defrosting water to be discharged at a high speed even when the amount of defrosting water in the refrigerator is small.

또한, 냉장고 구조에 관계없이 다양한 제상수 배수구에 적용 가능하고, 배수구의 중심을 통해 공기가 빠져나가 배수구의 시작부분과 끝부분의 공기압 차이가 줄어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defrost water drains regardless of the structure of the refrigerator, and the purpose is to reduce the air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drain as air escapes through the center of the drai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 유닛은, 나선형 구조를 가지는 제상수 배관을 통해 제상수의 양이 적은 경우에도 빠르게 배출되도록 하여 제상수가 배출되지 못하고 다시 결빙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The evaporat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rough a defrost water pipe having a spiral structure, allows the defrost water to be discharged quickly even when the amount of defrost water is small, so that the defrost water is not discharged and freezes again can prevent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 유닛은, 증발 배관과, 상기 증발 배관이 관통하는 다수의 열교환 핀을 포함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의 하측에 장착되는 제상 히터; 및 상기 증발기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증발기 표면에서 낙하하는 물 또는 얼음을 포집하는 제상수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evaporat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vaporator including an evaporating pipe and a plurality of heat exchange fins through which the evaporating pipe passes; a defrost heater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evaporator; and a defrost water discharge unit disposed below the evaporator to collect water or ice falling from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상기 제상수 배출부는, 배수홀과, 상기 배수홀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제상수 포집부와, 상기 배수홀의 하측에 연결되는 제상수 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The defrost water discharge unit may include a drain hole, a defrost water collection unit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drain hole, and a defrost water pipe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drain hole.

상기 제상수 배관은,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배관 본체와, 상기 배관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돌출되는 나선형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frost water pipe may include a pipe body forming an inner space, and a helical protrusion helically protruding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body.

상기 나선형 돌출부의 내부공간을 따라 상기 제상수가 나선형으로 유동될 수 있다.The defrosting water may flow spirally along the inner space of the spiral protrusion.

상기 제상수의 흐름의 중심을 따라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Air may flow along the center of the flow of the defrost water.

상기 제상수 포집부는, 상기 배수홀을 향해 경사지는 전면부, 배면부, 우측면부 및 좌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frost water collecting part may include a front part, a rear part, a right side part, and a left side part inclined toward the drain hole.

상기 우측면부와 좌측면부는 상기 배수홀에서 만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right side portion and the left side portion may be inclined to meet at the drain hole.

상기 전면부와 배면부는 상기 배수홀에서 만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may be inclined to meet at the drain hole.

상기 제상히터의 최하단부는 상기 배수홀의 직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The lowermost end of the defrost heater may be located directly above the drain hol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음식물 저장을 위한 저장실과, 냉기 생성을 위한 증발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증발실에 수용되는 증발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 유닛은, 증발 배관과, 상기 증발 배관이 관통하는 다수의 열교환 핀을 포함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의 하측에 장착되는 제상 히터; 및 상기 증발기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증발기 표면에서 낙하하는 물 또는 얼음을 포집하는 제상수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상수 배출부는, 배수홀과, 상기 배수홀을 따라 하향 경사지는 제상수 포집부와, 상기 배수홀의 하측에 연결되는 제상수 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having a storage chamber for storing food and an evaporation chamber for generating cold air; a door coupled to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nd an evaporator unit accommodated in the evaporating chamber, wherein the evaporator unit includes: an evaporator including an evaporating pipe and a plurality of heat exchange fins through which the evaporating pipe passes; a defrost heater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evaporator; and a defrost water discharge unit disposed below the evaporator to collect water or ice falling from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wherein the defrost water discharge unit includes a drainage hole and a defrost water collection unit inclined downward along the drainage hole. and a defrost water pipe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drain hole.

상기 제상수 배관은,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배관 본체와, 상기 배관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돌출되는 나선형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frost water pipe may include a pipe body forming an inner space, and a helical protrusion helically protruding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body.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 유닛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vaporator unit and the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냉장고의 제상수의 양이 적을 경우에도 배수구의 나선형 구조에 따라 빠른 속도로 제상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제상수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결빙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Even when the amount of defrost water in the refrigerator is small,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freezing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defrost water by allowing the defrost water to be discharged at a high speed according to the spiral structure of the drain hole.

또한, 냉장고 구조에 관계없이 다양한 제상수 배수구에 적용 가능하고, 배수구의 중심을 통해 공기가 빠져나가 배수구의 시작부분과 끝부분의 공기압 차이가 줄어들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defrost water drains regardless of the structure of the refrigerator, and air escapes through the center of the drain, so that the air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drain can be reduced.

또한, 제상수가 배수구 내부에서 결빙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소비전력이 개선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defrost water is prevented from freezing inside the drain hole, power consumption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배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 유닛 및 기계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 유닛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상수 배수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상수 배수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상수 배수구에서 제상수가 배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1 is a rear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evaporator unit and a machine 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of an evaporat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a defrost water drain 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efrost water drain 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defrost water is discharged from a defrost water drain 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is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배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 유닛 및 기계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rear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n evaporator unit and a machine 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내부에 저장실(12)이 구비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13)와, 상기 저장실(12)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 사이클을 포함할 수 있다. 1 and 2 , a refriger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10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12 therein,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of the cabinet 10 . It may include a door 1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and a cooling cycle for cooling the storage compartment 12 .

상세히, 상기 저장실(12)은, 냉장실과 냉동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캐비닛(10)의 배면 하측에는 상기 냉각 사이클을 구성하는 부품들이 수용되는 기계실(2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은 기계실 커버(14)에 의하여 차폐되며, 상기 기계실 커버(14)에는 외부 공기 흡입 그릴과 토출 그릴이 형성될 수 있다. In detail, the storage compartment 12 may include a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a freezing compartment, and a machine compartment 20 in which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ooling cycle are accommodated may be formed at a lower rear surface of the cabinet 10 . In addition, the machine room is shielded by the machine room cover 14 , and an external air intake grill and a discharge grill may be formed in the machine room cover 14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구비되는 냉동 사이클은,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로 압축하는 압축기(21)와, 상기 압축기(21)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고온 고압의 액상 냉매로 응축하는 응축기(22)와, 상기 응축기(22)와 실내 공기가 열교환하도록 실내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응축팬(23)과, 상기 응축기(22)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저온 저압의 2상 냉매로 팽창시키는 팽창변과, 상기 팽창변을 통과하는 2상 냉매를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로 증발시키는 증발기(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frigeration cycle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pressor 21 for compressing a refrigerant into a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gaseous refrigerant, and a condenser for condensing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21 into a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liquid refrigerant. (22), a condensing fan (23) for forcibly flowing indoor air so that heat exchange between the condenser (22) and the indoor air, and an expansion valve for expanding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ndenser (22) into a low-temperature and low-pressure two-phase refrigerant; , may include an evaporator 30 for evaporating the two-phas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expansion valve into a low-temperature, low-pressure gaseous refrigerant.

상세히, 상기 압축기(21), 응축기(22) 및 상기 응축팬(23)은 상기 기계실(20)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증발기(30)는, 상기 캐비닛(10)의 배면에 위치할 수 있다.In detail, the compressor 21 , the condenser 22 and the condensing fan 23 may be disposed inside the machine room 20 , and the evaporator 30 may be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binet 10 . have.

또한, 상기 응축팬(23)은, 상기 압축기(21)와 상기 응축기(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densing fan 2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ompressor 21 and the condenser 22 .

이하에서는, 증발기 유닛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vaporator un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 유닛의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상수 배출부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상수 배출부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상수 배출부에서 제상수가 배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3 is a view of an evaporat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lan view of a defrost water dischar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efrost water dischar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defrost water is discharged from a defrost water dischar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 유닛은, 냉기와 냉매가 열교환하는 증발기(30)와, 상기 증발기(3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상히터(40)와, 상기 제상히터(4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증발기(30)의 표면에 형성된 성에 또는 얼음이 낙하하여 포집되는 제상수 배출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3, the evaporat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vaporator 30 for exchanging heat with cold air and refrigerant, a defrost heater 40 disposed below the evaporator 30, and the defrost heater ( 40), it may include a defrost water discharge unit 100 that is collected by falling frost or ic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30 .

상세히, 상기 증발기(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변을 통과한 냉매가 흐르는 증발 배관(31)과, 상기 증발 배관(31)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증발 배관(31)이 관통하는 다수의 열교환 핀(32)을 포함할 수 있다. In detail, as shown in the figure, the evaporator 30 is disposed parallel to the evaporation pipe 31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expansion valve flows, and the evaporation pipe 3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evaporation pipe 31 passes through.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heat exchange fins (32).

더욱 상세히, 상기 증발 배관(31)은 구불구불하게 휘어져서 미앤더 라인(meander line)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열교환 핀(32)은 일렬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증발 배관(31)이 상기 다수의 열교환 핀(32)을 차례로 관통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증발 배관(31)과 열교환 핀(32)은 열전도 현상에 의하여 열교환하고, 상기 증발 배관(31)과 열교환 핀(32)은 증발실 냉기와 열교환한다. In more detail, the evaporation pipe 31 may be curved to form a meander line.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heat exchange fins 32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a line, and the evaporation pipe 31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heat exchange fins 32 in sequence. Accordingly, the evaporation pipe 31 and the heat exchange fins 32 exchange heat by a heat conduction phenomenon, and the evaporation pipe 31 and the heat exchange fins 32 exchange heat with the cold air of the evaporation chamber.

상기 제상히터(40)는 상기 증발기(30)의 저면과 측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The defrost heater 40 may extend along the bottom and side surfaces of the evaporator 30 .

상세히, 상기 제상히터(40)는, 리드와이어(미도시)에 연결되는 제 1 단부(41)와 제 2 단부(42) 및 상기 제 1 단부(41)와 상기 제 2 단부(42)를 연결하고, 상기 증발기(30)의 저면에 배치되는 바디(43)를 포함할 수 있다.In detail, the defrost heater 40 connects the first end 41 and the second end 42 connected to a lead wire (not shown) and the first end 41 and the second end 42 . and a body 43 dispos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evaporator 30 .

상기 바디(43)는, 한 차례 이상 절곡될 수 있고, 상기 바디(43)를 따라 열이 생성되어 상기 증발기(30)의 제상이 진행될 수 있다.The body 43 may be bent one or more times, and heat may be generated along the body 43 to defrost the evaporator 30 .

상세히, 상기 제상히터(40)는, 제 1 바디(43a)와 상기 제 1 바디(43a)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 1 바디(43a)의 하측에서 상기 제 1 바디(43a)가 연장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바디(43b) 및 상기 제 2 바디(43b)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 2 바디(43b)의 하측에서 상기 제 2 바디(43b)가 연장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바디(43c)를 포함할 수 있다.In detail, the defrost heater 40 is bent from the first body 43a and the first body 43a and is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body 43a extends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body 43a. a second body 43b extending in the direction and a third bent from the second body 43b exten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43b from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body 43b It may include a body 43c.

또한, 상기 제상히터(40)는, 상기 제 3 바디(43c)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 4 바디(43d)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frost heater 40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body 43d that is bent and extended from the third body 43c.

상세히, 상기 제 3 바디(43c)와 상기 제 4 바디(43d)가 만나는 지점이 상기 제상히터(40)의 가장 낮은 부분일 수 있다.In detail, a point where the third body 43c and the fourth body 43d meet may be the lowest portion of the defrost heater 40 .

상기 제상히터(40)의 형상은 일 예이고,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The shape of the defrost heater 40 is an example, and various shapes are possible.

제상 운전이 시작되면, 상기 증발 배관(31)을 통한 냉매의 흐름이 정지하고, 상기 제상히터(40)에 전원이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제상히터(40)가 가열되면서 열을 방출하여 상기 증발기(30)의 표면에 형성된 얼음이 녹기 시작한다. When the defrosting operation starts, the flow of refrigerant through the evaporation pipe 31 is stopped, and power is applied to the defrost heater 40 . Then, as the defrost heater 40 is heated, heat is emitted, and the ic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30 begins to melt.

상세히, 상기 증발기(30) 표면에 형성된 얼음이 녹으면, 중력에 의하여 미끄러져서 상기 제상수 배출부(100)로 낙하한다. 그리고, 상기 제상수 배출부(100)로 낙하하는 얼음은 물로 상변화되어 상기 기계실 바닥에 형성된 또다른 제상수 받이에 모이거나 냉장고 외부로 배출된다. In detail, when the ic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30 melts, it slides due to gravity and falls to the defrost water discharge unit 100 . Then, the ice falling to the defrost water discharge unit 100 is changed into water and collected in another defrost water receiver formed on the floor of the machine room or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이하에서는, 상기 제상수 배출부(1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efrost water discharge unit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상수 배출부(100)는 증발기(30)의 하측에 장착되어, 제상 운전 동안 상기 증발기(30)로부터 낙하하는 제상수를 포집하여 냉장고 외부로 배출시킨다.3 to 6 , the defrost water discharge unit 100 is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evaporator 30 , collects the defrost water falling from the evaporator 30 during the defrosting operation, and discharges it to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상세히, 상기 제상수 배출부(100)는, 상기 제상히터(40)의 가장 하단의 모양에 대응될 수 있다.In detail, the defrost water discharge unit 100 may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defrost heater 40 .

상기 제상수 배출부(100)는, 상면이 개구되는 제상수 포집부(110)와, 상기 제상수 포집부(110)의 하단에 배치되는 제상수 배관(1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defrost water discharge unit 100 may include a defrost water collecting unit 110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and a defrosting water pipe 120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defrosting water collecting unit 110 .

더욱 상세히, 상기 제상수 포집부(110)는, 전면부(113)와, 배면부(114)와, 우측면부(111)와, 좌측면부(112) 및 배수홀(1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홀(115)은 상기 제상수 포집부(110)의 좌우 폭을 이등분하는 지점의 바닥에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이등분하는 지점으로부터 좌측 가장자리 또는 우측 가장자리에 더 가까운 어느 지점에 치우쳐서 형성될 수도 있다. In more detail, the defrost water collecting part 110 may include a front part 113 , a rear part 114 , a right side part 111 , a left side part 112 , and a drain hole 115 . The drain hole 115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a point that bisects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defrost water collecting unit 110, or may be formed biased to a point closer to the left or right edge from the bisecting point. have.

또한, 상기 우측면부(111)와 좌측면부(112)는 상기 배수홀(115)에서 만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전면부(113)와 배면부(114)도 상기 배수홀(115)에서 만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right side part 111 and the left side part 112 are inclined to meet at the drain hole 115 . In addition, the front portion 113 and the rear portion 114 are also inclined to meet at the drain hole 115 .

상기 배수홀(115)을 지나는 수직면에 의하여 절개되는 상기 제상수 포집부(110)의 측단면도 및 정단면도는 모두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서 상기 배수홀(115)에 집중하는 깔때기 또는 역삼각형 형상을 이룬다고 할 수 있다. The side sectional view and the front sectional view of the defrost water collecting unit 110 cut by the vertical plane passing through the drain hole 115 are both narrower in width toward the lower side, so that the funnel or inverted triangle shape is concentrated on the drain hole 115 . can be said to achieve

특히, 상기 배수홀(115)을 지나는 수직면에 의하여 절개되는 상기 제상수 포집부(110)의 정단면도는, 상기 제상히터(40)의 절곡부 형상과 유사하게 경사진다.In particular, the front sectional view of the defrost water collecting unit 110 cut by the vertical plane passing through the drain hole 115 is inclined similarly to the shape of the bent portion of the defrost heater 40 .

즉, 상기 제상히터(40)의 제 3 바디(43c)와 제 4 바디(43d)는, 상기 배수홀(115)을 지나는 상기 제상수 포집부(110)의 바닥부 경사를 따라 절곡된다. That is, the third body 43c and the fourth body 43d of the defrost heater 40 are bent along the slope of the bottom of the defrost water collecting unit 110 passing through the drain hole 115 .

따라서, 상기 제상히터(40)의 제 3 바디(43c)와 제 4 바디(43d)가 만나는 부분은 상기 제상수 포집부(110)의 배수홀(115) 직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ortion where the third body 43c and the fourth body 43d of the defrost heater 40 meet may be located directly above the drain hole 115 of the defrost water collecting unit 110 .

즉, 상기 제상히터(40)의 최하단부가 상기 제상수 포집부(110)의 배수홀(115)의 직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That is, the lowermost end of the defrost heater 40 may be located directly above the drain hole 115 of the defrost water collecting unit 110 .

이에 따라, 제상수가 상기 제상히터(40) 또는 상기 제상수 포집부(110)의 경사를 따라 안정적으로 상기 배수홀(115)로 유입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defrost water may be stably introduced into the drain hole 115 along the slope of the defrost heater 40 or the defrost water collecting unit 110 .

또한, 상기 제상수 포집부(110)의 바닥부가 상기 배수홀(115)에 집중되도록 경사지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제상수 포집부(110)로 낙하하는 제상수는 상기 배수홀(115)로 집중되어, 상기 제상수 배관(120)을 따라 기계실의 바닥에 설치된 제상수 트레이로 안내되거나 냉장고 외부로 배출된다.In addition, since the bottom of the defrost water collecting unit 110 is inclined so as to be concentrated in the drain hole 115 , the defrost water falling into the defrost water collecting unit 110 goes to the drain hole 115 . Concentrated, the defrost water is guided to the defrost water tray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machine room along the defrost water pipe 120 or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한편, 상기 배수홀(115)은 상기 제상수 배관(120)으로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the drain hole 115 may be connected to the defrost water pipe 120 .

상기 제상수 배관(120)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제상수가 배출되는 내부공간(122)과 상기 내부공간(122)을 형성하는 배관 본체(121) 및 상기 배관 본체(121)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 돌출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frost water pipe 120 has an inner space 122 in which the defrost water is discharged by forming a space therein, and a pipe body 121 forming the inner space 122 a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body 121 . It may include a helical protrusion 123 along the .

상세히, 상기 나선형 돌출부(123)는 상기 배관 본체(121)의 외주면에 따라 형성되는 나선형 형태와 대응되어 내부공간(122)에도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spiral protrusion 123 may correspond to a spiral shap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body 121 to be formed in the inner space 122 in the same manner.

즉, 도 5의 단면과 같이, 상기 내부공간(122)도 외측을 향해 돌출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내부공간(122) 역시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as in the cross section of FIG. 5 , the inner space 122 may also include a shape protruding outward, and the inner space 122 may also be formed in a spiral shape.

상세히, 상기 내부공간(122)은, 원통형의 공간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을 향해 돌출된 나선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detail, the inner space 122 may include a spiral shape protruding outwar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space.

또한, 상기 제상수 배관(120)은 전체에 걸쳐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나선형 돌출부(123)의 내부는 비어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defrost water pipe 120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thickness throughout, and the inside of the spiral protrusion 123 may be empty.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상수 배관(120)이 나선형 돌출부(123)를 포함함에 따른 공기과 제상수의 흐름을 볼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6 , the flow of air and defrost water as the defrost water pipe 120 includes the spiral protrusion 123 can be seen.

상세히, 상기 나선형 돌출부(123)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상수 포집부(110)를 따라 상기 배수홀(115)로 유동된 제상수는 상기 나선형 돌출부(123)가 형성된 길을 따라 나선형으로 하강할 수 있다.In detail, as the spiral protrusion 123 is formed, the defrost water flowing to the drain hole 115 along the defrost water collecting unit 110 descends spirally along the road where the spiral protrusion 123 is formed. can

상기 제상수가 나선형으로 하강함에 따라, 원심력이 생겨 상기 제상수가 빠르게 하강할 수 있고, 상기 제상수의 흐름의 중심을 따라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As the defrost water descends spirally, a centrifugal force may be generated so that the defrost water may fall rapidly, and air may flow along the center of the flow of the defrost water.

또한, 단순하게 제상수 배관이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수직으로 자유 낙하하면서 떨어지는 제상수는 많은 공기압을 발생시켜 배관의 하단에서 강한 공기압을 일으키게 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상수 배관(120)의 경우, 공기가 제상수 흐름의 중심으로 유동됨에 따라 상기 제상수 배관(120)의 시작부분 즉, 배수홀(115)과 상기 제상수 배관(120)의 하단의 공기압 차이가 줄어들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efrost water pipe is simpl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defrost water that falls while freely falling vertically generates a lot of air pressure to cause strong air pressure at the lower end of the pipe. The defrost water pipe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 as the air flows to the center of the defrost water flow, the air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start of the defrost water pipe 120 , that is, the drain hole 115 and the lower end of the defrost water pipe 120 may be reduced.

Claims (10)

증발 배관과, 상기 증발 배관이 관통하는 다수의 열교환 핀을 포함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의 하측에 장착되는 제상 히터; 및
상기 증발기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증발기 표면에서 낙하하는 물 또는 얼음을 포집하는 제상수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상수 배출부는,
배수홀과, 상기 배수홀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제상수 포집부와, 상기 배수홀의 하측에 연결되는 제상수 배관을 포함하는 증발기 유닛.
an evaporator comprising an evaporating pipe and a plurality of heat exchange fins through which the evaporating pipe passes;
a defrost heater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evaporator; and
and a defrost water discharge unit disposed below the evaporator to collect water or ice falling from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The defrost water discharge unit,
An evaporator unit comprising a drain hole, a defrost water collecting part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drain hole, and a defrost water pipe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drain ho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수 배관은,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배관 본체와,
상기 배관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돌출되는 나선형 돌출부를 포함하는 증발기 유닛.
The method of claim 1,
The defrost water pipe,
A pipe body forming an internal space, and
The evaporator unit including a helical protrusion protruding helically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bod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돌출부의 내부공간을 따라 상기 제상수가 나선형으로 유동되는 증발기 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An evaporator unit in which the defrost water flows in a spiral manner along the inner space of the spiral protrus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수의 흐름의 중심을 따라 공기가 유동되는 증발기 유닛.
4. The method of claim 3,
An evaporator unit in which air flows along the center of the flow of the defrost wa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수 포집부는,
상기 배수홀을 향해 경사지는 전면부, 배면부, 우측면부 및 좌측면부를 포함하는 증발기 유닛.
The method of claim 1,
The defrost water collecting unit,
The evaporator unit including a front portion, a rear portion, a right side portion and a left side portion inclined toward the drain hol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면부와 좌측면부는 상기 배수홀에서 만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증발기 유닛.
6. The method of claim 5,
The evaporator unit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right side portion and the left side portion meet in the drain hol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와 배면부는 상기 배수홀에서 만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증발기 유닛.
6. The method of claim 5,
The evaporator unit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meet in the drain ho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히터의 최하단부는 상기 배수홀의 직상방에 위치하는 증발기 유닛.
The method of claim 1,
The lowermost end of the defrost heater is an evaporator unit located directly above the drain hole.
음식물 저장을 위한 저장실과, 냉기 생성을 위한 증발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증발실에 수용되는 증발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 유닛은,
증발 배관과, 상기 증발 배관이 관통하는 다수의 열교환 핀을 포함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의 하측에 장착되는 제상 히터; 및
상기 증발기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증발기 표면에서 낙하하는 물 또는 얼음을 포집하는 제상수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상수 배출부는,
배수홀과, 상기 배수홀을 따라 하향 경사지는 제상수 포집부와, 상기 배수홀의 하측에 연결되는 제상수 배관을 포함하는 냉장고.
a cabinet having a storage chamber for storing food and an evaporation chamber for generating cold air;
a door coupled to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nd
Including an evaporator unit accommodated in the evaporating chamber,
The evaporator unit is
an evaporator comprising an evaporating pipe and a plurality of heat exchange fins through which the evaporating pipe passes;
a defrost heater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evaporator; and
and a defrost water discharge unit disposed below the evaporator to collect water or ice falling from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The defrost water discharge unit,
A refrigerator comprising: a drain hole; a defrost water collecting part inclined downward along the drain hole; and a defrost water pipe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drain hol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수 배관은,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배관 본체와,
상기 배관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돌출되는 나선형 돌출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defrost water pipe,
A pipe body forming an internal space,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a spiral protrusion protruding spirally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body.
KR1020200183366A 2020-12-24 2020-12-24 Evaporating unit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22009202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366A KR20220092025A (en) 2020-12-24 2020-12-24 Evaporating unit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366A KR20220092025A (en) 2020-12-24 2020-12-24 Evaporating unit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2025A true KR20220092025A (en) 2022-07-01

Family

ID=82397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366A KR20220092025A (en) 2020-12-24 2020-12-24 Evaporating unit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202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1407B2 (en) Apparatus for storing 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10036586B2 (en) Refrigerator
KR100499025B1 (en) Refrigerator
US20110011106A1 (en) Refrigerator
CN107621114A (en) A kind of wind cooling refrigerator
KR20180103533A (en) Refrigerator
US200801559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ice
JP2000018800A (en) Structure of evaporation pan of refrigerator
US10480845B2 (en)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KR100519305B1 (en) Refrigerator with bottom freezer
KR20220092025A (en) Evaporating unit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CN110375504B (en) Refrigerator with drainage mechanism
CN100383479C (en) Cooling device and refrigerator using the same
JP6028216B2 (en) refrigerator
US20050126197A1 (en) Refrigeration apparatus and refrigerator with the refrigeration apparatus
KR101696893B1 (en) Refrigerator and ice making method thereof
KR20180103532A (en) Refrigerator
US10132544B2 (en)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CN111609633A (en) Air-cooled refrigerator
CN212930618U (en) Refrigerator with a door
CN214223494U (en) Refrigerator with a door
KR200250590Y1 (en) Defrost water drainer for built-in type grocery refrigerator
US20220146155A1 (en) Refrigerator
JPH11201622A (en) Refrigerator
WO2019151512A1 (en) Storage refriger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