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1042A - System for mobile contents generation - Google Patents

System for mobile contents gener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1042A
KR20220091042A KR1020200182156A KR20200182156A KR20220091042A KR 20220091042 A KR20220091042 A KR 20220091042A KR 1020200182156 A KR1020200182156 A KR 1020200182156A KR 20200182156 A KR20200182156 A KR 20200182156A KR 20220091042 A KR20220091042 A KR 20220091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ag
contents
mobile
tex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21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33515B1 (en
Inventor
정신호
Original Assignee
정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신호 filed Critical 정신호
Priority to KR1020200182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515B1/en
Publication of KR20220091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10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5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17Tagging; Marking up; Designating a block; Setting of attribu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ultimedia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콘텐츠 자동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대면교육 중심의 교육콘텐츠를 비대면 교육의 콘텐츠로 재생성하도록 하는 모바일 콘텐츠 자동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면교육 중심의 교육콘텐츠를 비대면 교육의 콘텐츠로 재생성하도록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혁신적으로 줄이고, 새로운 기술기반의 마이크로러닝 기반의 콘텐츠를 자동 생성함으로써, 학습자가 더 쉽고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mobile content creation system, and to a mobile content automatic creation system that regenerates educational content centered on face-to-face education into non-face-to-face education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novatively reducing the time and cost required to regenerate face-to-face education-centered educational content into non-face-to-face education content, and by automatically generating new technology-based micro-learning-based content, learners can enjoy more easily and fun It has the effect of enabling learning.

Description

모바일 콘텐츠 자동생성 시스템{System for mobile contents generation}Automatic mobile content generation system {System for mobile contents generation}

본 발명은 모바일 콘텐츠 자동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면교육 중심의 교육콘텐츠와 오래된 기술 기반의 지식전달방식인 기존 온라인 교육 콘텐츠를 최신기술과 뇌과학기반의 비대면 교육의 콘텐츠로 재생성하도록 하는 모바일 콘텐츠 자동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mobile content creation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regenerate educational content centered on face-to-face education and existing online education content, which is an old technology-based knowledge transfer method, into non-face-to-face education content based on the latest technology and brain science. It relates to a mobile content automatic creation system that allows

현대는 급변하는 디지털화(4차산업 혁명) 시대에 새로운 기술과 경험기반의 스킬을 언제 어디서나 쉽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느냐에 따라 스스로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디지털 사회이다. 이는 자본이 자원이 아니라 디지털 정보, 즉 데이터가 이 시대의 대표 자원이 되었음을 의미한다. 교육에 있어서도 피교육자들이 필요한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콘텐츠를 빠르게 개인화하여 제공함으로써, 자신의 필요와 요구가 무엇인지 스스로 판단하여 필요한 교육 콘텐츠를 스스로 선택하고 적용하여 습득할 수 있도록 교육 콘텐츠를 다양하게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In the rapidly changing era of digitalizati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modern era is a digital society where new technologies and experience-based skills can be accessed quickly and easily anytime, anywhere, in order to promote self-development. This means that not capital is a resource, but digital information, that is, data has become the representative resource of this era. Educational content should also be provided in a variety of ways so that trainees can quickly personalize and provide a variety of content using necessary digital technology, so that they can determine their own needs and needs and select and apply the necessary educational content for themselves. something to do.

한편, 최근 코로나 19 사태로 인해 세계적으로 비대면 서비스가 급격하게 확대되었다. 이 중 현장에서 그리고 이동 중에도 장소에 관계없이 학습할 수 있는 모바일 온라인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으며, 공개특허 제10-2014-0087777(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과 같이, 최근 홈러닝, 교육 콘텐츠 등을 중심으로 많은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Meanwhile, due to the recent COVID-19 outbreak, non-face-to-face services have been rapidly expanded worldwide. Among them, mobile online services that can learn anywhere in the field and on the go are expanding, and as i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87777 (Multimedia learning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devices), Many services are being developed centered on content.

이러한 시대 흐름에 따라 비대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오래된 기술기반으로 지식전달에 집중되어 만들어지는 비디오 방식의 온라인 교육 콘텐츠를 최신 기술과 뇌과학 기반의 경험과 스킬 습득 위주의 모바일 마이크로러닝 교육 컨텐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기존의 콘텐츠를 모바일 환경의 마이크로러닝 콘텐츠로 재설계하여 개발하는데, 모바일 마이크로러닝 교육 콘텐츠를 제작 및 설계할 경험있는 인재가 부족하여 시장의 요구변화에 대응할 수 없고 더욱이 비용과 시간이 3개월 이상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In order to provide non-face-to-face services in accordance with this trend of the times, video-based online education contents that are created focused on knowledge transfer based on old technology are used as mobile micro-learning educational contents focusing on the acquisition of experiences and skills based on the latest technology and brain science. Although the necessity is emerging, existing contents are redesigned and developed as micro-learning contents in a mobile environment, but there is a shortage of experienced human resources to produce and design mobile micro-learning educational contents, so it is impossible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market demand and, moreover, cost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took more than 3 months.

공개특허 제10-2014-0087777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87777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고안한 것으로, 대면교육 중심의 교육콘텐츠와 오래된 기술기반의 지식전달방식인 기존 온라인 교육 콘텐츠를 최신기술과 뇌과학 기반의 비대면 교육의 콘텐츠로 재생성하도록 하는 모바일 콘텐츠 자동생성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 and it is a mobile device that regenerates face-to-face education-centered education content and existing online education content, which is an old technology-based knowledge transfer method, with the latest technology and non-face-to-face education content based on brain scien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content creation system.

또한 기존의 콘텐츠를 모바일 환경의 마이크로러닝 콘텐츠로 재설계하여 개발하는데 모바일 마이크로러닝 교육 콘텐츠를 제작 및 설계할 경험있는 인재가 부족한 것을 해결하고,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혁신적으로 줄이고, 새로운 기술과 뇌과학 기반의 마이크로러닝 교육 콘텐츠를 자동 생성함으로써, 학습자가 학습하는데 더 쉽게 모바일로 접근이 가능하고 짧은 시간에 마이크로화된 핵심콘텐츠를 집중학습함으로써 학습효과를 극대화하며 뇌과학 방법을 통해 오래 기억하고 경험하게 하여 자신감 기반의 성과를 향상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n redesigning and developing existing content as microlearning content in a mobile environment, it solves the shortage of experienced talents to create and design mobile microlearning educational content, innovatively reduce the time and cost required, and develop new technologies and brain By automatically creating science-based microlearning educational contents, learners can access them more easily through mobile devices, and by intensive learning of micronized core contents in a short time, the learning effect is maximized and long-term memory and experience through brain science methods. It aims to improve self-confidence-based performance.

본 발명은 모바일 콘텐츠 자동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교육 콘텐츠의 음성 또는 이미지를 인식하여 텍스트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교육 콘텐츠의 핵심내용 기반으로 재설계할 수 있도록 상기 교육 콘텐츠의 특정 주제와 관련된 키워드와 핵심내용을 TAG로 입력하는 TAG 관리부; 상기 TAG별로 상기 변환부의 텍스트를 분석하여 상기 키워드와 TAG별 단어 및 문장을 출력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부의 결과를 토대로 키워드별 TAG로 산출된 내용으로 일정 분량의 교육 콘텐츠를 재생성하는 모바일 학습설계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mobile content creation system, comprising: a converter for recognizing voice or image of educational content and converting it into text; a TAG management unit for inputting keywords and core contents related to a specific topic of the educational contents as a TAG so as to be redesigned based on the core contents of the educational contents; an analysis unit for analyzing the text of the conversion unit for each TAG and outputting the keyword and words and sentences for each TAG; and a mobile learning design unit that regenerates a certain amount of educational content with the content calculated as a TAG for each keywor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unit.

바람직하게 변환부는 비디오, 영상, 음성, 문서, 웹사이트를 포함하는 다양한 콘텐츠의 음성 또는 텍스트를 인식하여 텍스트를 추출하는 추출모듈; 및 상기 추출모듈을 통해 추출한 텍스트를 클라우드 기반의 테이블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converter comprises: an extraction module for extracting text by recognizing audio or text of various contents including video, video, audio, document, and website; and a database for storing the text extracted through the extraction module as a cloud-based table.

바람직하게 TAG 관리부는 상기 교육 콘텐츠의 특정 주제와 관련된 주요 키워드를 입력하는 키워드 입력모듈; 상기 키워드의 중요도를 설정하는 중요도 설정모듈; 및 상기 중요도에 따라 설정되는 각 키워드를 TAG로 처리하고 핵심 내용을 입력하여 콘텐츠 텍스트 화일로 저장하는 TAG 설정모듈;을 포함한다.Preferably, the TAG management unit includes: a keyword input module for inputting main keywords related to a specific topic of the educational content; an importance setting module for setting the importance of the keyword; and a TAG setting module for processing each keyword set according to the importance as a TAG, inputting key contents and storing the keyword as a content text file.

바람직하게 분석부는 키워드의 중요도로 설정되는 레벨에 따라 교육 콘텐츠의 텍스트에서 동일한 단어를 찾는 검색모듈; 상기 동일한 단어의 횟수, 문장, 찾은 위치를 출력하는 소스 출력모듈; 상기 찾은 위치를 링크 위치로 텍스트 원본을 기록하는 링크 입력모듈; 및 상기 키워드 중요도 레벨에 따라 순차적으로 반복실행하여 출력하되, 각 중요도 레벨이 바뀔때마다 중간 합계와 가장 많이 나온 문장을 출력하고 모든 출력을 텍스트 화일에 TAG로 저장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Preferably, the analysis unit includes: a search module for finding the same word in the text of the educational content according to the level set as the importance of the keyword; a source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the number of times, sentences, and found positions of the same word; a link input module for recording an original text using the found location as a link location; and a control module that sequentially and repeatedly executes the output according to the keyword importance level, outputs the middle sum and most sentences whenever each importance level changes, and stores all outputs as TAGs in a text file.

바람직하게 모바일 학습설계부는 상기 TAG로 산출된 내용 중, TAG의 학습할 핵심내용과 의미를 설정하는 문장을 선택입력하는 제1 플랫폼; 상기 TAG로 산출된 내용 중, 교육 컨텐츠에 적용되는 학습할 핵심내용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질문에 해당하는 문장을 선택입력하는 제2 플랫폼; 상기 TAG로 산출된 내용 중, 학습자의 자신감 향상을 위한 학습할 핵심내용에 대한 적용사례, 방법, 기간, 결과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문장을 선택입력하는 제3 플랫폼; 상기 TAG로 산출된 내용 중, 상기 TAG로 생성되는 핵심내용에 대한 적용사례를 공유하여 사회학습을 통한 동기부여를 할 문장을 선택입력하는 제4 플랫폼; 및 상기 제1 내지 제4 플랫폼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선택입력되는 문장으로 교육 콘텐츠를 재생성하는 콘텐츠 재생성 모듈;을 포함한다.Preferably, the mobile learning design unit includes: a first platform for selecting and inputting sentences that set the core content and meaning of the TAG to be learned from among the contents calculated by the TAG; a second platform for selecting and inputting a sentence corresponding to a question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core content to be learned applied to educational content from among the content calculated by the TAG; a third platform for selecting and inputting a sentence corresponding to any one of an application case, method, period, and result for core content to be learned for improving learners' self-confidence among the content calculated by the TAG; a fourth platform for selecting and inputting sentences to motivate through social learning by sharing application examples of the core contents generated by the TAG among the contents calculated by the TAG; and a content regeneration module that regenerates educational content using sentences that are selectively input to any one or more of the first to fourth platform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콘텐츠 자동생성 시스템에 의하면, 대면교육 중심의 교육콘텐츠를 비대면 교육의 콘텐츠로 재생성하도록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혁신적으로 줄이고, 새로운 기술기반의 모바일 마이크로러닝 기반의 콘텐츠를 자동 생성함으로써, 더 쉽게 모바일로 접근이 가능하고 짧은 시간에 마이크로화된 핵심 콘텐츠를 집중 학습함으로써 학습효과를 극대화하며 뇌과학 방법을 통해 오래 기억하고 경험하게 하여 자신감 기반의 성과를 향상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mobile content automatic cre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me and cost required to regenerate the face-to-face education-oriented educational content into non-face-to-face education content is innovatively reduced, and a new technology-based mobile micro-learning-based By automatically generating contents of It work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콘텐츠 자동생성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콘텐츠 자동생성 시스템의 변환부(1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콘텐츠 자동생성 시스템의 TAG 관리부(1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콘텐츠 자동생성 시스템의 분석부(13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콘텐츠 자동생성 시스템의 모바일 학습설계부(14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mobile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version unit 110 of the mobile content automatic cre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AG management unit 120 of the mobile content automatic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nalysis unit 130 of the mobile content automatic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mobile learning design unit 140 of the mobile content automatic cre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present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addi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and/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righ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s the second component,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설명을 생략하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콘텐츠 자동생성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콘텐츠 자동생성 시스템(10)은 변환부(110), TAG 관리부(120), 분석부(130), 모바일 학습설계부(140)를 포함한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mobile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 the mobile content automatic cre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version unit 110 , a TAG management unit 120 , an analysis unit 130 , and a mobile learning design unit 140 . include

변환부(110)는 교육 콘텐츠의 음성 또는 이미지를 인식하여 텍스트 변환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변환부(110)는 추출모듈(111)과 데이터베이스(112)를 포함한다.The conversion unit 110 is configured to recognize the voice or image of the educational content and convert the text. The conversion unit 110 for performing this function includes an extraction module 111 and a database 112 .

추출모듈(111)은 비디오, 영상, 음성, 문서, 웹사이트를 포함하는 다양한 콘텐츠의 음성 또는 텍스트를 인식하여 텍스트를 추출한다.The extraction module 111 extracts text by recognizing audio or text of various contents including video, video, audio, document, and website.

데이터베이스(112)는 추출모듈을 통해 추출한 텍스트를 클라우드 기반의 테이블로 저장한다.The database 112 stores the text extracted through the extraction module as a cloud-based tabl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콘텐츠 자동생성 시스템의 변환부(1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version unit 110 of the mobile content automatic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변환부는 다양한 콘텐츠를 기존의 오픈형 솔루션을 사용하여 텍스트를 추출한다. MP3, MP4는 "다글로"솔루션을 이용하여 텍스트를 추출하고, PPT, 워드, 아래한글, HTML 등의 웹사이트는 "Text publishing"을 이용하여 텍스트를 추출한다. 추출한 텍스트를 클라우드 기반의 table에 저장한다. 단, "다글로"솔루션이나 "Text publishing"솔루션에 국한하지 않고 최신기술 기반의 더 나은 오픈 솔루션을 활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convers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xtracts text from various contents using an existing open solution. For MP3 and MP4, text is extracted using "Daglo" solution, and for websites such as PPT, Word, Hangul, and HTML, text is extracted using "Text publishing". The extracted text is stored in a cloud-based table.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Multiglo" solution or "Text publishing" solution, and better open solutions based on the latest technology can be utilized.

TAG 관리부(120)는 교육 콘텐츠의 핵심내용 기반 마이크로러닝으로 재설계할 수 있도록 상기 교육 콘텐츠의 특정 주제와 관련된 키워드와 핵심내용을 TAG로 입력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TAG 관리부(120)는 키워드 입력모듈(121), 중요도 설정모듈(122), TAG 설정모듈(123)을 포함한다.The TAG management unit 120 inputs keywords and core contents related to a specific topic of the educational content as a TAG so as to be redesigned by micro-learning based on the core content of the educational content. The TAG management unit 120 for performing these functions includes a keyword input module 121 , an importance setting module 122 , and a TAG setting module 123 .

키워드 입력모듈(121)은 교육 콘텐츠의 특정 주제와 관련된 주요 키워드를 입력하는 구성이다.The keyword input module 121 is configured to input main keywords related to a specific topic of educational content.

중요도 설정모듈(122)은 교육 콘텐츠의 특정 주제와 관련된 주요 키워드의 중요도를 설정한다.The importance setting module 122 sets the importance of major keywords related to a specific topic of educational content.

TAG 설정모듈(123)은 중요도에 따라 설정되는 각 키워드를 TAG로 처리하고 핵심 내용을 입력하여 콘텐츠 텍스트 화일로 저장한다.The TAG setting module 123 processes each keyword set according to the degree of importance as a TAG, inputs key contents, and stores it as a content text fil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콘텐츠 자동생성 시스템의 TAG 관리부(1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AG management unit 120 of the mobile content automatic cre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TAG 관리부(120)는 콘텐츠의 주요키워드를 입력한다. 다음으로 키워드의 중요도를 L1, ...Ln으로 입력한다. 다음으로 각 키워드는 #TAG로 처리하고 핵심내용을 입력하여 저장한다.As shown in FIG. 3 , the TAG management unit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puts a main keyword of the content. Next, input the keyword's importance as L1, ...Ln. Next, each keyword is treated as #TAG, and the key content is entered and saved.

분석부(130)는 TAG별로 상기 변환부의 텍스트를 분석하여 상기 키워드와 TAG별 단어 및 문장을 출력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분석부(130)는 검색모듈(131), 소스 출력모듈(132), 링크 입력모듈(133), 제어모듈(134)을 포함한다.The analysis unit 130 analyzes the text of the conversion unit for each TAG and outputs the keyword and words and sentences for each TAG. The analysis unit 130 for performing this function includes a search module 131 , a source output module 132 , a link input module 133 , and a control module 134 .

검색모듈(131)은 키워드의 중요도로 레벨에 따라 교육 콘텐츠의 텍스트에서 동일한 단어를 찾는 구성이다. The search module 131 is configured to find the same word in the text of the educational cont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importance of the keyword.

소스 출력모듈(132)은 검색모듈을 통해 검색되는 동일한 단어의 횟수, 문장, 찾은 위치를 출력한다.The source output module 132 outputs the number of times, sentences, and found positions of the same word searched through the search module.

링크 입력모듈(133)은 소스 출력모듈을 통해 찾은 문장 위치를 링크 위치로 텍스트 원본을 기록하는 구성이다.The link input module 133 is configured to record the text original as the link location using the text location found through the source output module.

제어모듈(134)은 키워드 중요도 레벨에 따라 순차적으로 반복실행하여 출력하되, 각 중요도 레벨이 바뀔때마다 중간 합계와 가장 많이 나온 문장을 출력하고 모든 출력을 텍스트 화일에 TAG로 저장하도록 한다.The control module 134 sequentially and repeatedly executes the output according to the keyword importance level, but outputs the intermediate sum and the most frequent sentences whenever each importance level changes, and stores all outputs as TAGs in a text fil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콘텐츠 자동생성 시스템의 분석부(13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nalysis unit 130 of the mobile content automatic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분석부(130)는 콘텐츠 텍스트 화일(A)을 오픈한다. 다음으로 #TAG와 키워드화일(B)를 오픈한다. B화일의 #TAG중 L1부터 읽어 A화일의 텍스트에서 동일한 단어를 찾는다. 동일한 단어의 COUNT와 문장, 그리고 그 위치를 OUTPUT으로 출력한다. 찾은 위치를 기록하여 텍스트 화일의 원본을 참고할 수 있게 한다. 각 L1 #TAG부터 Ln 까지 순차적으로 실행하여 출력한다. L1에서 Ln까지 각 레벨이 바뀔때마다 중간 합계를 출력한다. 여기서 중간 합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탈 카운트와 가장 많이 나온 문장 등을 출력한다. 그리고 모든 출력을 텍스트 화일에 #TAG로 저장한다.As shown in FIG. 4 , the analysis unit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pens the content text file (A). Next, open the #TAG and keyword file (B). Among the #TAGs of file B, read from L1 to find the same word in the text of file A. The COUNT and sentence of the same word and their position are output as OUTPUT. Note the location found so that you can refer to the original text file. Each L1 #TAG to Ln are sequentially executed and output. At each level change from L1 to Ln, the intermediate sum is output. Here, the intermediate sum outputs the total count and the most frequent sentences, as shown in FIG. 4 . And save all output as #TAG to a text file.

모바일 학습설계부(140)는 분석부의 결과를 토대로 키워드별 TAG로 산출된 내용으로 핵심내용기반 일정 분량의 모바일 마이크로러닝 교육 콘텐츠를 재생성하는 구성이다.The mobile learning design unit 140 is configured to regenerate a certain amount of mobile microlearning educational contents based on the core contents with the contents calculated by the TAG for each keywor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unit.

모바일 학습설계부(140)는 학습효과가 입증된 잭메지로우의 전환학습방식인 KTAS(Know-Think-Apply-Share)와 뇌과학 방식인 STC(반복효과-테스트효과-자신감 기반 성과 효과)를 적용한 모바일 학습 설계 플랫폼 구조로 산출된 내용 중, TAG의 학습할 핵심내용과 정확한 의미를 설정하는 문장을 각 플랫폼 별로 선택입력한다. 이러한 모바일 학습설계부의 세부 구성으로 제1 내지 제4 플랫폼(141,142,143,144)과 콘텐츠 재생성 모듈(145)을 포함한다. The mobile learning design unit 140 applies KTAS (Know-Think-Apply-Share), a conversion learning method of Jack Mejilow with proven learning effect, and STC (repetition effect-test effect-confidence-based performance effect), a brain science method. Among the contents calculated by the mobile learning design platform structure, the text that sets the core contents to be learned and the exact meaning of the TAG is selectively input for each platform. A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such a mobile learning design unit, it includes the first to fourth platforms 141 , 142 , 143 , 144 and a content regeneration module 145 .

이러한 모바일 학습설계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such a mobile learning design unit is described as follows.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학습설계부는 전환학습기반으로 학습효과가 입증된 잭메지로우 방식의 KTAS와, 뇌과학 방식인 STC를 적용한 MID 스토리보드를 생성하는데, KTAS의 K(Know)에 해당하는 TAG의 학습할 핵심내용과 정확한 의미를 설정하는 문장을 선택입력하는 제1 플랫폼(141), TAG로 산출된 내용 중, 학습할 핵심내용 콘텐츠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질문을 반복 및 테스트로 학습의 반복 효과와 테스트 효과가 적용되는 문장을 선택입력하는 제2 플랫폼(142), TAG로 산출된 내용 중, 학습자가 직접 적용하여 자신감 향상이 되도록 하기 위한 적용사례, 방법, 기간, 결과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문장을 선택입력하는 제3 플랫폼(143), TAG로 산출된 내용 중, TAG로 생성되는 핵심내용에 대한 적용사례를 공유하여 사회학습을 통한 동기부여를 할 문장을 선택입력하는 제4 플랫폼(144), 제1 내지 제4 플랫폼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선택입력되는 문장으로 뇌과학 방식인 STC를 적용한 MID 스토리보드의 교육 콘텐츠를 재생성하는 콘텐츠 재생성 모듈(145)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5, the mobile learning design unit creates a MID storyboard to which KTAS of the Jack Mejirow method, which has proven learning effects based on conversion learning, and STC, a brain science method, is applied. The first platform 141 for selecting and inputting sentences that set the core content to be learned and the exact meaning of the corresponding TAG, repeating and testing questions to help understand the core content to be learned among the content calculated by the TAG The second platform 142 for selecting and inputting sentences to which the repetition effect of learning and the test effect are applied, among the contents calculated by the TAG, any of the application cases, methods, period, and results for the learner to apply directly to improve self-confidence A third platform 143 for selectively inputting a sentence corresponding to one, a system for selecting and inputting sentences to motivate through social learning by sharing application examples for core contents generated by TAG among contents calculated with TAG 4 platforms 144 and a content regeneration module 145 for regenerating educational content of the MID storyboard to which STC, which is a brain science method, is applied as a sentence selectively input through any one or more of the first to fourth platforms.

이러한 모바일 학습설계부 구성에서는 지식전달에 집중되어 만들어진 기존 비디오, 영상, ppt, 음성 등의 교육콘텐츠를 최신기술기반의 경험과 스킬 습득 위주의 교육 콘텐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므로, 기존의 콘텐츠를 모바일 환경의 마이크로러닝 콘텐츠로 재설계하도록 한다. 이에 키워드 & TAG별 단어 및 문장분석출력시스템을 개발한 후, 입증된 STC 기반의 뇌과학 방식과 잭메지로우의 전환학습을 통한 모바일 학습설계 기반의 KTAS 및 STC의 MID 스토리보드의 모바일 학습 설계구조(MID)를 생성하여 한입 크기의 핵심적인 교육콘텐츠를 5분에서 10분씩 반복적으로 지속 학습하여 자신감 향상으로 인한 학습효과 향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KTAS와 뇌과학 기반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교육 경험을 통해 획득한 지식, 기술, 태도 등이 현실적 삶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잭메지로우의 전환학습을 통해 학습자가 세상을 이해하는 시각, 즉 관점의 전환에 따라 경험을 개인의 기대, 가치, 신념 등에 따라 해석하는 플랫폼으로 교육 콘텐츠를 재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is mobile learning design department, the need for education content focused on acquiring skills and experience based on the latest technology is emerging in the existing educational content such as video, video, ppt, and voice, which are focused on knowledge transfer. of microlearning content. Therefore, after developing the word and sentence analysis output system for each keyword & TAG, the mobile learning design structure of KTAS and STC's MID storyboard based on the proven STC-based brain science method and mobile learning design through the conversion learning of Jack Mejirow (MID) can be created to continuously learn bite-sized core educational contents for 5 to 10 minutes repeatedly, so that the learning effect can be improved due to the improvement of self-confidence. Through this KTAS and brain science-based platform, the knowledge, skills, attitudes, etc. acquired through various educational experiences are transformed so that they can be applied in real life. According to the transition of education, it has the effect of regenerating educational content as a platform that interprets experiences according to individual expectations, values, and belief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콘텐츠 자동생성 시스템의 모바일 학습설계부(14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mobile learning design unit 140 of the mobile content automatic cre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학습설계부(140)는 화일(A)를 오픈한다. 다음으로 마이크로러닝 모바일 학습설계(MID)의 KTAS구조에 맞는 문장을 생성하는 플랫폼으로 생성한다. 이러한 KTAS는 Know, Think, Apply, Share의 플랫폼으로서, 이를 설명하면, Know - {L1 TAG} 산출된 내용의 제1 플랫폼과, Think - {L1 TAG}의 산출된 내용의 제2 플랫폼과, Appy - {L1 TAG}의 산출된 내용의 제3 플랫폼, Share - {L1 #TAG}의 산출된 내용의 제4 플랫폼으로 문장에 넣어서 출력한다. 그리고 각 레벨마다 동일하게 KTAS를 작성하여 출력하여 교육 콘텐츠를 재생성한다.5, the mobile learning design unit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pens the file (A). Next, it is created as a platform that generates sentences that fit the KTAS structure of micro-learning mobile learning design (MID). This KTAS is a platform of Know, Think, Apply, and Share, and to explain it, the first platform of Know - {L1 TAG} calculated contents, the second platform of the calculated contents of Think - {L1 TAG}, and Appy - The third platform of the calculated content of {L1 TAG}, Share - The fourth platform of the calculated content of {L1 #TAG}, put it in the sentence and output it. And the same KTAS for each level is written and output to reproduce educational contents.

본 실시예에 따르면, Cloud Computing기반으로, 모바일 솔루션용 마이크로러닝 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해, JavaScript, HTML/CSS와 SQL을 주로 활용하며, 빅데이터를 위한 Python을 사용하여 솔루션을 개발한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 영상, 음성, HTML또는 텍스트와 같은 교육콘텐츠를 기존의 STT (Sounds to Texts)툴을 이용하여 TexT를 생성할 수 있도록 (1) 인터페이스를 개발하고, 콘텐츠의 핵심내용기반으로 재설계할 수 있도록 (2)주요키워드와 주요핵심내용을 TAG로 관리할 수 있도록 입력하는 시스템개발하고, TAG별로 텍스트를 분석하는 (3)키워드 & TAG별 단어 및 문장분석출력시스템을 개발한후, 입증된 뇌과학 기반과 잭메지로우의 전환학습, 모바일학습설계 기반의 (4) KTAS의 모바일학습설계구조와 STC 기반을 생성하는 솔루션을 개발한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based on Cloud Computing, JavaScript, HTML/CSS, and SQL are mainly used to develop microlearning educational contents for mobile solutions, and a solution is developed using Python for big data. In addition, (1) interface is developed so that educational contents such as various types of contents, video, audio, HTML, or text can be created using the existing STT (Sounds to Texts) tool, and based on the core contents of the contents. (2) After developing a system for inputting key keywords and key content to be managed as a TAG for redesign, and (3) developing an output system for analyzing text by keyword & TAG (4) Based on proven brain science, transformational learning of Jack Mejirow, and mobile learning design, we develop solutions that create KTAS' mobile learning design structure and STC basis.

또한 대면교육중심의 교육이 코로나환경으로 인해 비대면으로 변경되는데 이 솔루션을 통해 대면강의 또는 대면교육 중심의 콘텐츠를 마이크로러닝 콘텐츠 또는 모바일 콘텐츠를 자동생성하게 함으로써 비대면교육을 할 수 있도록 새로운 기회창출을 하는 것을 도와줄 수 있다.In addition, face-to-face education-centered education is changed to non-face-to-face education due to the corona environment. This solution creates new opportunities for non-face-to-face education by automatically generating micro-learning content or mobile content for face-to-face lectures or face-to-face education-oriented content. can help you do

본 실시예에 따른 해결문제는 (1) 오랜 기술기반의 지식 전달 목적인 이러닝시스템의 교육콘텐츠의 저조한 학습완료율 (평균10%미만)을 개선하기 위해, (2) 이러닝기반의 콘텐츠개발기간은 적어도 3개월이상, 평균 6개월정도 소요되는데 이 개발기간을 혁신적으로 1개월이내로 단축하기 위해, (3) 이러닝기반의 지식전달목적의 장시간의 영상콘텐츠로 인해 학습자의 학습시간에 대한 부담을 줄이기 위해, (4) 다양한 콘텐츠를 빠르고 쉽게 재 생산 또는 재활용함으로써 더 많은 콘텐츠를 개인화 방식으로 저렴하게 보급하기 위함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1) to improve the low learning completion rate (average less than 10%) of the educational content of the e-learning system, which is the purpose of transferring knowledge based on long-term technology, (2) the e-learning-based content development period is at least 3 In order to innovatively shorten the development period to less than one month, (3) to reduce the burden on learners' learning time due to long video content for the purpose of e-learning-based knowledge transfer, ( 4) This is to disseminate more contents inexpensively in a personalized way by quickly and easily reproducing or recycling various contents.

또한 (1) 최신기술과 뇌과학기반의 마이크로러닝 시스템으로 한입 크기의 핵심적인 교육콘텐츠를 5분에서 10분씩 반복적으로 지속 학습 가능하게 함으로써 완료율 70%이상 향상하게 한다. (2) 모바일 콘텐츠 자동생성 시스템으로 콘텐츠 개발기간을 혁신적으로 줄인다. (3) 학습자가 모바일기술을 활용하여 게임하듯이 학습하고, 참여 및 토론을 통해 학습 참여도와 주도적 학습을 하도록 한다. (4) "모바일 콘텐츠 자동생성 시스템"을 통해 콘텐츠 개발을 빠르고 쉽게 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1) the latest technology and the brain science-based microlearning system enable continuous learning of bite-sized core educational contents for 5 to 10 minutes, thereby improving the completion rate by more than 70%. (2) Innovatively reduce the content development period with an automatic mobile content creation system. (3) Let learners learn as if they were playing games using mobile technology, and engage in learning and lead learning through participation and discussion. (4) Enables rapid and easy content development through the "automatic mobile content creation syst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콘텐츠 자동생성 시스템에 의하면,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 영상, 음성, HTML 또는 텍스트와 같은 교육콘텐츠를 기존의 STT (Sounds to Texts)툴을 이용하여 TexT를 생성할 수 있도록 (1) 인터페이스를 개발하고, 콘텐츠의 핵심내용기반으로 재설계할 수 있도록 (2) 주요키워드와 주요핵심내용을 TAG로 관리할 수 있도록 입력하는 시스템 개발하고, TAG별로 텍스트를 분석하는 (3)키워드 & TAG별 단어 및 문장분석 출력시스템을 개발한 후, 입증된 뇌과학 방식과 잭메지로우의 전환학습, 모바일 학습설계 기반의 (4) KTAS와 STC의 모바일학습설계구조를 생성하는 시스템을 개발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대면교육 중심의 교육콘텐츠를 비대면 교육의 콘텐츠로 재생성하도록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혁신적으로 줄이고, 새로운 기술기반의 마이크로러닝 기반의 모바일 콘텐츠를 자동 생성함으로써, 학습자가 더 쉽고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mobile content automatic cre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generate TexT using the existing STT (Sounds to Texts) tool for educational content such as various types of content, video, audio, HTML, or text. In order to (1) develop an interface and redesign based on the core contents of the contents, (2) develop a system to input key keywords and key contents to manage them as TAGs, and analyze texts for each TAG (3) ) After developing a word and sentence analysis output system for each keyword & TAG, the proven brain science method, conversion learning of Jack Mejirow, and mobile learning design-based (4) KTAS and STC mobile learning design structures were developed. develop With these features, the time and cost required to regenerate face-to-face education-centered educational content into non-face-to-face education content is innovatively reduced, and new technology-based micro-learning-based mobile content is automatically created, making learning easier and more fun for learners. It has the effect of making it possibl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 변환부
120 : TAG 관리부
130 : 분석부
140 : 모바일 학습설계부
110: conversion unit
120: TAG management department
130: analysis unit
140: mobile learning design department

Claims (5)

교육 콘텐츠의 음성 또는 이미지를 인식하여 텍스트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교육 콘텐츠의 핵심내용 기반으로 재설계할 수 있도록 상기 교육 콘텐츠의 특정 주제와 관련된 키워드와 핵심내용을 TAG로 입력하는 TAG 관리부;
상기 TAG별로 상기 변환부의 텍스트를 분석하여 상기 키워드와 TAG별 단어 및 문장을 출력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부의 결과를 토대로 키워드별 TAG로 산출된 내용으로 일정 분량의 교육 콘텐츠를 재생성하는 모바일 학습설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콘텐츠 자동생성 시스템.
a conversion unit that recognizes voice or image of educational content and converts it into text;
a TAG management unit for inputting keywords and core contents related to a specific subject of the educational contents as a TAG so as to be redesigned based on the core contents of the educational contents;
an analysis unit for analyzing the text of the conversion unit for each TAG and outputting the keyword and words and sentences for each TAG; and
A mobile learning design unit that regenerates a certain amount of educational content with the content calculated as a TAG for each keywor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unit;
Mobile content automatic cre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비디오, 영상, 음성, 문서, 웹사이트를 포함하는 다양한 콘텐츠의 음성 또는 텍스트를 인식하여 텍스트를 추출하는 추출모듈; 및
상기 추출모듈을 통해 추출한 텍스트를 클라우드 기반의 테이블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콘텐츠 자동생성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nversion unit,
an extraction module for extracting text by recognizing audio or text of various contents including video, video, audio, document, and website; and
A database for storing the text extracted through the extraction module as a cloud-based tab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bile content automatic cre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AG 관리부는,
상기 교육 콘텐츠의 특정 주제와 관련된 주요 키워드를 입력하는 키워드 입력모듈;
상기 키워드의 중요도를 설정하는 중요도 설정모듈; 및
상기 중요도에 따라 설정되는 각 키워드를 TAG로 처리하고 핵심 내용을 입력하여 콘텐츠 텍스트 화일로 저장하는 TAG 설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콘텐츠 자동생성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TAG management unit,
a keyword input module for inputting main keywords related to a specific topic of the educational content;
an importance setting module for setting the importance of the keyword; and
A TAG setting module for processing each keyword set according to the importance as a TAG, inputting the core content and storing it as a content text fi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bile content automatic cre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키워드의 중요도로 설정되는 레벨에 따라 교육 콘텐츠의 텍스트에서 동일한 단어를 찾는 검색모듈;
상기 동일한 단어의 횟수, 문장, 찾은 위치를 출력하는 소스 출력모듈;
상기 찾은 위치를 링크 위치로 텍스트 원본을 기록하는 링크 입력모듈; 및
상기 키워드 중요도 레벨에 따라 순차적으로 반복실행하여 출력하되, 각 중요도 레벨이 바뀔때마다 중간 합계와 가장 많이 나온 문장을 출력하고 모든 출력을 텍스트 화일에 TAG로 저장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콘텐츠 자동생성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analysis unit,
a search module for finding the same word in the text of educational content according to the level set as the importance of the keyword;
a source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the number of times, sentences, and found positions of the same word;
a link input module for recording an original text using the found location as a link location; and
A control module that sequentially and repeatedly executes and outputs according to the keyword importance level, but outputs the middle sum and the most sentences whenever each importance level changes, and stores all outputs as TAGs in a text fil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doing
Mobile content automatic cre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학습설계부는,
상기 TAG로 산출된 내용 중, TAG의 학습할 핵심내용과 의미를 설정하는 문장을 선택입력하는 제1 플랫폼;
상기 TAG로 산출된 내용 중, 교육 컨텐츠에 적용되는 학습할 핵심내용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질문에 해당하는 문장을 선택입력하는 제2 플랫폼;
상기 TAG로 산출된 내용 중, 학습자의 자신감 향상을 위한 학습할 핵심내용에 대한 적용사례, 방법, 기간, 결과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문장을 선택입력하는 제3 플랫폼;
상기 TAG로 산출된 내용 중, 상기 TAG로 생성되는 핵심내용에 대한 적용사례를 공유하여 사회학습을 통한 동기부여를 할 문장을 선택입력하는 제4 플랫폼; 및
상기 제1 내지 제4 플랫폼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선택입력되는 문장으로 교육 콘텐츠를 재생성하는 콘텐츠 재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콘텐츠 자동생성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mobile learning design unit,
a first platform for selecting and inputting sentences for setting the core content and meaning of the TAG to be learned from among the contents calculated by the TAG;
a second platform for selecting and inputting a sentence corresponding to a question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core content to be learned applied to educational content from among the content calculated by the TAG;
a third platform for selecting and inputting sentences corresponding to any one of application cases, methods, periods, and results for core content to be learned for improving learners' confidence among the content calculated by the TAG;
a fourth platform for selecting and inputting sentences to motivate through social learning by sharing application examples of the core contents generated by the TAG among the contents calculated by the TAG; and
A content regeneration module that regenerates educational content with sentences selectively inputted to one or more of the first to fourth platforms;
Mobile content automatic creation system.
KR1020200182156A 2020-12-23 2020-12-23 System for mobile contents generation KR1026335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156A KR102633515B1 (en) 2020-12-23 2020-12-23 System for mobile contents gene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156A KR102633515B1 (en) 2020-12-23 2020-12-23 System for mobile contents gene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042A true KR20220091042A (en) 2022-06-30
KR102633515B1 KR102633515B1 (en) 2024-02-06

Family

ID=82215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2156A KR102633515B1 (en) 2020-12-23 2020-12-23 System for mobile contents gener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51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955A (en) * 2000-03-31 2001-11-03 포만 제프리 엘 Aggregation of content as a personalized document
KR100828166B1 (en) * 2007-06-12 2008-05-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of extracting metadata from result of speech recognition and character recognition in video, method of searching video using metadta and record medium thereof
KR20100133084A (en) * 2009-06-11 2010-12-2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Contents management system based on web service
KR20140087777A (en) 2012-12-31 2014-07-09 (주)씨제이포유 Multimedia learning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termin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955A (en) * 2000-03-31 2001-11-03 포만 제프리 엘 Aggregation of content as a personalized document
KR100828166B1 (en) * 2007-06-12 2008-05-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of extracting metadata from result of speech recognition and character recognition in video, method of searching video using metadta and record medium thereof
KR20100133084A (en) * 2009-06-11 2010-12-2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Contents management system based on web service
KR20140087777A (en) 2012-12-31 2014-07-09 (주)씨제이포유 Multimedia learning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3515B1 (en) 202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vanova Translation and ICT competence in the globalized world
Rehm et al. Strategic research agenda for multilingual Europe 2020
Bonner et al. Large Language Model-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Language Classroom: Practical Ideas for Teaching.
Gregori Evaluation of modern tools for an omscs advisor chatbot
Alston et al. Uncovering “threshold concepts” in Web development: an instructor perspective
Pack et al. Us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for Language Education Research: Insights from Using OpenAI's ChatGPT
Konecki et al.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Higher Education.
Bachiri et al. Applicable strategy to choose and deploy a MOOC platform with multilingual AQG feature
Shields Research partners, teaching partners: A collaboration between FYC faculty and librarians to study students’ research and writing habits
Nyayu et al. The Use of Technology Integration SAMR Model in Teaching English
Pereira et al. HTML5 Authoring Tool to Support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a case study with H5P framework
Kloos et al. From software engineering to courseware engineering
KR102633515B1 (en) System for mobile contents generation
Vlasenko et al. Features of designing and implementing an information system for studying and determining the level of foreign language proficiency
Nodira et al. Teaching Currently Using Interactive Methods in Problem" Probability Theory and Mathematical Statistics"
O’Keeffe et al. A linguistic analysis of the sample numeracy skills test items for pre-service teachers issued by the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ACER)
Falloon An exploration of online technoliteracy capability teaching and learning in early years classrooms
CN114297353A (en) Data processing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and equipment
Yunina ARTIFICIAL INTELLIGENCE TOOLS IN FOREIGN LANGUAGE TEACHING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US10453354B2 (en) Automatically generated flash cards
Desale et al. Virtual Personal Assistant and Improve Education System
Gong Research on interactive English grammar learning system based on Android platform
Essenfelder et al. Automated News in Brazilian television: a case study on the AIDA system (Globo-Brazil).
KR102566696B1 (en)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english study
Coccoli et al. A Tool for the Semantic Analysis and Recommendation of videos in e-lear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