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0936A - Smart kiosks that anyone can use without restrictions - Google Patents

Smart kiosks that anyone can use without restrictio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0936A
KR20220090936A KR1020200181948A KR20200181948A KR20220090936A KR 20220090936 A KR20220090936 A KR 20220090936A KR 1020200181948 A KR1020200181948 A KR 1020200181948A KR 20200181948 A KR20200181948 A KR 20200181948A KR 20220090936 A KR20220090936 A KR 20220090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kiosk
user
attach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19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이찬
Original Assignee
손이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이찬 filed Critical 손이찬
Priority to KR1020200181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0936A/en
Publication of KR20220090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093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16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exhibiting advertisements, announcements, pictur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구나 제약없이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 키오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비전인식 카메라에 의하여 키오스크를 사용하는 대상(아이, 성인, 장애인, 외국인 등)을 인식할 수 있게 하고, 립모션에 의하여 사용자가 스크린을 터치하지 않더라도 손동작을 인식하여 간단한 동작으로 키오스크를 조작할 수 있게 하고, 조절부에 의하여 카메라가 대상을 인식 할 경우 대상이 스크린을 더 잘 볼 수 있도록 부착된 스크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고, 스피커에 의하여 시각 장애인이나 음성이 필요한 사용자를 위해 수행하는 동작이 어떤 동작인지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게 함으로써 키오스크린에 부착되어 있는 터치스크린의 높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없으며, 신체가 불편한 장애인이나 아이들, 노인은 키오스크를 제대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키오스크린에 부착되어 있는 터치스크린의 높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없으며, 신체가 불편한 장애인이나 아이들, 노인은 키오스크를 제대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소 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키오스크에 있어서 키오스크를 사용하는 대상(아이, 성인, 장애인, 외국인 등)을 인식할 수 있게 스크린 상단에 위치한 비전인식 카메라, 스크린과 카메라, 립모션을 부착할 수 있게 박스 형태로 제작한 프레임, 화면에 구성되는 아이콘의 크기를 조정하거나 배열을 변경, 또는 안내되는 언어 등을 사용자에 따라 맞춤형으로 키오스크를 활용할 수 있게 키오스크 앞면에 위치한 스크린, 사용자가 스크린을 터치하지 않더라도 손동작을 인식하여 간단한 동작으로 키오스크를 조작할 수 있게 스크린의 하단(사용자의 손 위치)에 위치한 립모션, 카메라가 대상을 인식 할 경우 대상이 스크린을 더 잘 볼 수 있도록 부착된 스크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일반 사용자가 키오스크를 사용할 때에는 스크린의 후면부와 프레임 사이에 숨겨져 있다가 특정 사용자가 인식될 경우 스크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부착한 조절부, 시각 장애인이나 음성이 필요한 사용자를 위해 수행하는 동작이 어떤 동작인지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게 프레임 뒷면에 위치한 스피커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전인식 카메라에 의하여 키오스크를 사용하는 대상(아이, 성인, 장애인, 외국인 등)을 인식할 수 있게 하고, 립모션에 의하여 사용자가 스크린을 터치하지 않더라도 손동작을 인식하여 간단한 동작으로 키오스크를 조작할 수 있게 하고, 조절부에 의하여 카메라가 대상을 인식 할 경우 대상이 스크린을 더 잘 볼 수 있도록 부착된 스크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고, 스피커에 의하여 시각 장애인이나 음성이 필요한 사용자를 위해 수행하는 동작이 어떤 동작인지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게 함으로써 키오스크린에 부착되어 있는 터치스크린의 높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없으며, 신체가 불편한 장애인이나 아이들, 노인은 키오스크를 제대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키오스크린에 부착되어 있는 터치스크린의 높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없으며, 신체가 불편한 장애인이나 아이들, 노인은 키오스크를 제대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kiosk that anyone can use without restrictions, and it enables a target using the kiosk (child, adult, disabled, foreigner, etc.) to be recognized by a vision recognition camera, and the user touches the screen by lip motion. Even if not, it recognizes hand gestures so that the kiosk can be operated with simple gestures, and when the camera recognizes the object by the control unit, the angle of the attached screen can be adjusted so that the object can see the screen better, and the speaker The user cannot adjust the height of the touch screen attached to the Kio screen as desired by allowing the user to output the actions performed for the visually impaired or users who need voice by voice. By solving the problem that the elderly cannot use the kiosk properly, the user cannot adjust the height of the touch screen attached to the existing kiosk as desired. was made to solve it.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ox shape to attach a vision recognition camera, a screen and a camera, and lip motion located at the top of the screen to recognize the target (child, adult, disabled, foreigner, etc.) using the kiosk in the kiosk. Recognizes hand gestures even if the user does not touch the screen on the front of the kiosk so that the user can customize the frame, the size of the icons on the screen, change the arrangement, or customize the guide language to use the kiosk. The lip motion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the user's hand position) allows the user to operate the kiosk with a simple operation, and when the camera recognizes the target, the angle of the attached screen can be adjusted so that the target can see the screen better. When a user uses the kiosk, it is hidden between the rear part of the screen and the frame and attached to adjust the angle of the screen when a specific user is recognized. It is composed of a speaker located on the back of the frame so that audio can be outpu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recognize the target (child, adult, disabled, foreigner, etc.) using the kiosk by the vision recognition camera, and recognizes hand gestures even if the user does not touch the screen by lip motion, so that it is a simple operation. The kiosk can be operated, and when the camera recognizes the object by the control unit, the angle of the attached screen can be adjusted so that the object can see the screen better, and the visually impaired or the user who needs voice by the speaker The user cannot adjust the height of the touch screen attached to the kiosk as desired by allowing the user to output the type of action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the kiosk. This has the effect of solving the problem that the height of the touch screen attached to the existing kiosk cannot be adjusted as desired by the user, and the handicapped, children, and the elderly cannot properly use the kiosk.

Description

누구나 제약없이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 키오스크{Smart kiosks that anyone can use without restrictions}Smart kiosks that anyone can use without restrictions

본 발명은 누구나 제약없이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 키오스크에 관한 것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kiosk that anyone can use without restrictions,

더욱 상세하게는 키오스크에 있어서,More specifically, in the kiosk,

키오스크를 사용하는 대상(아이, 성인, 장애인, 외국인 등)을 인식할 수 있게 스크린 상단에 위치한 비전인식 카메라, 스크린과 카메라, 립모션을 부착할 수 있게 박스 형태로 제작한 프레임, 화면에 구성되는 아이콘의 크기를 조정하거나 배열을 변경, 또는 안내되는 언어 등을 사용자에 따라 맞춤형으로 키오스크를 활용할 수 있게 키오스크 앞면에 위치한 스크린, 사용자가 스크린을 터치하지 않더라도 손동작을 인식하여 간단한 동작으로 키오스크를 조작할 수 있게 스크린의 하단(사용자의 손 위치)에 위치한 립모션, 카메라가 대상을 인식 할 경우 대상이 스크린을 더 잘 볼 수 있도록 부착된 스크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일반 사용자가 키오스크를 사용할 때에는 스크린의 후면부와 프레임 사이에 숨겨져 있다가 특정 사용자가 인식될 경우 스크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부착한 조절부, 시각 장애인이나 음성이 필요한 사용자를 위해 수행하는 동작이 어떤 동작인지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게 프레임 뒷면에 위치한 스피커로 구성 하여서,A vision recognition camera located at the top of the screen to recognize the target (child, adult, disabled, foreigner, etc.) using the kiosk, a frame made in the form of a box to attach the screen and camera, and lip motion, The screen located on the front of the kiosk allows the user to customize the kiosk by adjusting the icon size, changing the arrangement, or customizing the language to be guided, even if the user does not touch the screen, the kiosk can be operated with simple gestures Leap motion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the position of the user's hand) so that the camera can see the screen better, so that the angle of the attached screen can be adjusted so that the target can see the screen better. A control part that is hidden between the rear part and the frame and attached to adjust the angle of the screen when a specific user is recognized. By configuring the speaker located in

비전인식 카메라에 의하여 키오스크를 사용하는 대상(아이, 성인, 장애인, 외국인 등)을 인식할 수 있게 하고, 립모션에 의하여 사용자가 스크린을 터치하지 않더라도 손동작을 인식하여 간단한 동작으로 키오스크를 조작할 수 있게 하고, 조절부에 의하여 카메라가 대상을 인식 할 경우 대상이 스크린을 더 잘 볼 수 있도록 부착된 스크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고, 스피커에 의하여 시각 장애인이나 음성이 필요한 사용자를 위해 수행하는 동작이 어떤 동작인지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게 함으로써 키오스크린에 부착되어 있는 터치스크린의 높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없으며, 신체가 불편한 장애인이나 아이들, 노인은 키오스크를 제대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The vision recognition camera makes it possible to recognize the target (child, adult, disabled, foreigner, etc.) When the camera recognizes the object by the control unit, the angle of the attached screen can be adjusted so that the object can see the screen better, and the operation performed by the speaker for the visually impaired or for users who need voice By enabling audio output of the movement, the height of the touch screen attached to the kiosk cannot be adjusted as desired by the user, and the handicapped, children, and the elderly can solve the problem that the kiosk cannot be used properly. it was for the purpose

일반적으로 키오스크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터치하여 용도에 맞게 사용하는 것이다.In general, a kiosk is used by a user by touching a touch screen.

상기한 바와 같이 키오스크는 몸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kiosk is composed of a body and a touch screen.

이상과 같은 키오스크는 스크린에 표시되는 원하는 동작을 터치하는 것이다.In the kiosk as described above, a desired oper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is touched.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키오스크는 키오스크린에 부착되어 있는 터치스크린의 높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없으며, 신체가 불편한 장애인이나 아이들, 노인은 키오스크를 제대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kiosk as described above, the height of the touch screen attached to the kiosk cannot be adjusted as desired by the user, and the handicapped, children, and the elderly cannot properly utilize the kiosk.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 1020130037380 호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30037380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키오스크가 키오스크린에 부착되어 있는 터치스크린의 높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없으며, 신체가 불편한 장애인이나 아이들, 노인은 키오스크를 제대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conventional kiosk cannot adjust the height of the touch screen attached to the kiosk as desired by the user, and the handicapped, children, and the elderly cannot properly use the kiosk.

즉, 본 발명은 키오스크를 사용하는 대상(아이, 성인, 장애인, 외국인 등)을 인식할 수 있게 스크린 상단에 위치한 비전인식 카메라, 스크린과 카메라, 립모션을 부착할 수 있게 박스 형태로 제작한 프레임, 화면에 구성되는 아이콘의 크기를 조정하거나 배열을 변경, 또는 안내되는 언어 등을 사용자에 따라 맞춤형으로 키오스크를 활용할 수 있게 키오스크 앞면에 위치한 스크린, 사용자가 스크린을 터치하지 않더라도 손동작을 인식하여 간단한 동작으로 키오스크를 조작할 수 있게 스크린의 하단(사용자의 손 위치)에 위치한 립모션, 카메라가 대상을 인식 할 경우 대상이 스크린을 더 잘 볼 수 있도록 부착된 스크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일반 사용자가 키오스크를 사용할 때에는 스크린의 후면부와 프레임 사이에 숨겨져 있다가 특정 사용자가 인식될 경우 스크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부착한 조절부, 시각 장애인이나 음성이 필요한 사용자를 위해 수행하는 동작이 어떤 동작인지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게 프레임 뒷면에 위치한 스피커로 구성한 것이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am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box to attach a vision recognition camera located at the top of the screen, a screen and a camera, and a lip motion so that the target (child, adult, disabled, foreigner, etc.) using the kiosk can be recognized. , the screen located on the front of the kiosk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kiosk by adjusting the size or changing the arrangement of icons on the screen, or by customizing the guide language, etc., by recognizing hand gestures even if the user does not touch the screen Leap motion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the user's hand position) to operate the kiosk with When using , it is hidden between the back of the screen and the frame, and when a specific user is recognized, the control unit is attached to adjust the angle of the screen, and the operation performed for the visually impaired or users who need voice is output by voice. It is composed of speakers located on the back of the frame.

따라서 본 발명은 키오스크를 사용하는 대상(아이, 성인, 장애인, 외국인 등)을 인식할 수 있게 스크린 상단에 위치한 비전인식 카메라, 스크린과 카메라, 립모션을 부착할 수 있게 박스 형태로 제작한 프레임, 화면에 구성되는 아이콘의 크기를 조정하거나 배열을 변경, 또는 안내되는 언어 등을 사용자에 따라 맞춤형으로 키오스크를 활용할 수 있게 키오스크 앞면에 위치한 스크린, 사용자가 스크린을 터치하지 않더라도 손동작을 인식하여 간단한 동작으로 키오스크를 조작할 수 있게 스크린의 하단(사용자의 손 위치)에 위치한 립모션, 카메라가 대상을 인식 할 경우 대상이 스크린을 더 잘 볼 수 있도록 부착된 스크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일반 사용자가 키오스크를 사용할 때에는 스크린의 후면부와 프레임 사이에 숨겨져 있다가 특정 사용자가 인식될 경우 스크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부착한 조절부, 시각 장애인이나 음성이 필요한 사용자를 위해 수행하는 동작이 어떤 동작인지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게 프레임 뒷면에 위치한 스피커로 구성 함으로써, 비전인식 카메라에 의하여 키오스크를 사용하는 대상(아이, 성인, 장애인, 외국인 등)을 인식할 수 있게 하고, 립모션에 의하여 사용자가 스크린을 터치하지 않더라도 손동작을 인식하여 간단한 동작으로 키오스크를 조작할 수 있게 하고, 조절부에 의하여 카메라가 대상을 인식 할 경우 대상이 스크린을 더 잘 볼 수 있도록 부착된 스크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고, 스피커에 의하여 시각 장애인이나 음성이 필요한 사용자를 위해 수행하는 동작이 어떤 동작인지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게 함으로써 키오스크린에 부착되어 있는 터치스크린의 높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없으며, 신체가 불편한 장애인이나 아이들, 노인은 키오스크를 제대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am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box to attach a vision recognition camera located at the top of the screen, a screen and a camera, and a lip motion to recognize the target (child, adult, disabled, foreigner, etc.) using the kiosk, The screen located on the front of the kiosk allows the user to customize the kiosk by adjusting the size or changing the arrangement of icons on the screen, or by changing the language to be guided. Leap motion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the position of the user's hand) to operate the kiosk. When the camera recognizes the target, the user can adjust the angle of the attached screen so that the target can see the screen better. When in use, it is hidden between the rear part of the screen and the frame, and when a specific user is recognized, the control part attached to adjust the angle of the screen, or for the visually impaired or users who need voice, what kind of action is output by voice. By configuring the speaker located on the back of the frame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target (child, adult, disabled, foreigner, etc.) The kiosk can be operated with a simple operation by recognizing the The height of the touch screen attached to the kiosk cannot be adjusted as desired by the user by allowing the user to output the type of action performed for users who need voice or voice. It has the effect of solving the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use it properly.

도 1: 발명에 대한 그림Figure 1: Illustration of the invention

즉, 본 발명은 키오스크를 사용하는 대상(아이, 성인, 장애인, 외국인 등)을 인식할 수 있게 스크린 상단에 위치한 (101)비전인식 카메라, 스크린과 카메라, 립모션을 부착할 수 있게 박스 형태로 제작한 (102)프레임, 화면에 구성되는 아이콘의 크기를 조정하거나 배열을 변경, 또는 안내되는 언어 등을 사용자에 따라 맞춤형으로 키오스크를 활용할 수 있게 키오스크 앞면에 위치한 (103)스크린, 사용자가 스크린을 터치하지 않더라도 손동작을 인식하여 간단한 동작으로 키오스크를 조작할 수 있게 스크린의 하단(사용자의 손 위치)에 위치한 (104)립모션, 카메라가 대상을 인식 할 경우 대상이 스크린을 더 잘 볼 수 있도록 부착된 스크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일반 사용자가 키오스크를 사용할 때에는 스크린의 후면부와 프레임 사이에 숨겨져 있다가 특정 사용자가 인식될 경우 스크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부착한 (105)조절부, 시각 장애인이나 음성이 필요한 사용자를 위해 수행하는 동작이 어떤 동작인지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게 프레임 뒷면에 위치한 (106)스피커로 구성 된 것이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form of a box to attach a (101) vision recognition camera, a screen and a camera, and lip motion located at the top of the screen to recognize an object (child, adult, disabled, foreigner, etc.) using the kiosk. (103) screen located on the front of the kiosk, so that the user can customize the (102) frame, the size of the icons on the screen, change the arrangement, or customize the guide language to use the kiosk. (104) Leap motion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the user's hand position) so that the kiosk can be operated with simple gestures by recognizing hand gestures even without touching. When a general user uses the kiosk so that the angle of the screen can be adjusted, the (105) control unit that is hidden between the back of the screen and the frame and attached to adjust the angle of the screen when a specific user is recognized; It is composed of (106) speakers located on the back of the frame so that the user can output what kind of operation is performed for the user who needs it.

여기서, (101)비전인식 카메라는 키오스크를 사용하는 대상(아이, 성인, 장애인, 외국인 등)을 인식할 수 있게 스크린 상단에 위치한 것이다.Here, the (101) vision recognition camera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screen to recognize the target (child, adult, disabled, foreigner, etc.) using the kiosk.

여기서, (104)립모션은 사용자가 스크린을 터치하지 않더라도 손동작을 인식하여 간단한 동작으로 키오스크를 조작할 수 있게 스크린의 하단(사용자의 손 위치)에 위치한 것이다.Here, the (104) lip motion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the user's hand position) so that the kiosk can be operated with a simple operation by recognizing a hand gesture even if the user does not touch the screen.

여기서, (105)조절부는 카메라가 대상을 인식 할 경우 대상이 스크린을 더 잘 볼 수 있도록 부착된 스크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일반 사용자가 키오스크를 사용할 때에는 스크린의 후면부와 프레임 사이에 숨겨져 있다가 특정 사용자가 인식될 경우 스크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부착한 것이다.Here, (105) the control unit is hidden between the rear part of the screen and the frame when the general user uses the kiosk so that the angle of the attached screen can be adjusted so that the target can see the screen better when the camera recognizes the target. It is attached so that the angle of the screen can be adjusted when the user is recognized.

여기서, (106)스피커는 시각 장애인이나 음성이 필요한 사용자를 위해 수행하는 동작이 어떤 동작인지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게 프레임 뒷면에 위치한 것이다.Here, the (106) speaker is located on the back side of the frame so that the operation performed for the visually impaired or a user who needs voice can be output by voice.

이하, 본 발명의 사용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ocess of us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키오스크에 있어서 키오스크를 사용하는 대상(아이, 성인, 장애인, 외국인 등)을 인식할 수 있게 스크린 상단에 위치한 (101)비전인식 카메라, 스크린과 카메라, 립모션을 부착할 수 있게 박스 형태로 제작한 (102)프레임, 화면에 구성되는 아이콘의 크기를 조정하거나 배열을 변경, 또는 안내되는 언어 등을 사용자에 따라 맞춤형으로 키오스크를 활용할 수 있게 키오스크 앞면에 위치한 (103)스크린, 사용자가 스크린을 터치하지 않더라도 손동작을 인식하여 간단한 동작으로 키오스크를 조작할 수 있게 스크린의 하단(사용자의 손 위치)에 위치한 (104)립모션, 카메라가 대상을 인식 할 경우 대상이 스크린을 더 잘 볼 수 있도록 부착된 스크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일반 사용자가 키오스크를 사용할 때에는 스크린의 후면부와 프레임 사이에 숨겨져 있다가 특정 사용자가 인식될 경우 스크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부착한 (105)조절부, 시각 장애인이나 음성이 필요한 사용자를 위해 수행하는 동작이 어떤 동작인지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게 프레임 뒷면에 위치한 (106)스피커로 구성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키오스크린에 부착되어 있는 터치스크린의 높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없으며, 신체가 불편한 장애인이나 아이들, 노인은 키오스크를 제대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kiosk, a (101) vision recognition camera, a screen and a camera, and a lip motion located at the top of the screen can be attached so that the target (child, adult, disabled, foreigner, etc.) using the kiosk can be recognized. (102) frame made in the form of a box to help users , (104) Leap motion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the user's hand position) so that the kiosk can be operated with simple gestures by recognizing hand gestures even if the user does not touch the screen. (105) control unit that is hidden between the back of the screen and the frame when a general user uses the kiosk so that the angle of the attached screen can be adjusted for better viewing. , when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ing of (106) speakers located on the back side of the frame can be output to output by voice what kind of operation is performed for the visually impaired or a user who needs voice, the touch screen attached to the Kio screen is applied. The height of the kiosk cannot be adjusted as desired by the user, and the handicapped, children, and the elderly cannot use the kiosk properl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스크린 상단에 위치한 (101)비전인식 카메라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키오스크를 사용하는 대상(아이, 성인, 장애인, 외국인 등)을 인식할 수 있게 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present invention composed of a (101) vision recognition camera located at the top of the screen is applied and implemented, it will be possible to recognize the target (child, adult, disabled, foreigner, etc.) using the kiosk. will b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스크린의 하단(사용자의 손 위치)에 위치한 (104)립모션으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사용자가 스크린을 터치하지 않더라도 손동작을 인식하여 간단한 동작으로 키오스크를 조작할 수 있게 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ing of (104) lip motion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the user's hand position) is applied and implemented, the kiosk can recognize hand gestures even if the user does not touch the screen and use a simple operation. will be able to manipulat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일반 사용자가 키오스크를 사용할 때에는 스크린의 후면부와 프레임 사이에 숨겨져 있다가 특정 사용자가 인식될 경우 스크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부착한 (105)조절부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카메라가 대상을 인식 할 경우 대상이 스크린을 더 잘 볼 수 있도록 부착된 스크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general user uses the kiosk, it is hidden between the rear part of the screen and the frame, and when a specific user is recognized,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ing of a (105) adjustment part attached to adjust the angle of the screen is applied. If the camera recognizes the object, it will be possible to adjust the angle of the attached screen so that the object can see the screen bett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프레임 뒷면에 위치한 (106)스피커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시각 장애인이나 음성이 필요한 사용자를 위해 수행하는 동작이 어떤 동작인지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게 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present invention composed of a (106) speaker located on the back of the frame is applied and implemented, it will be possible to output by voice what kind of operation is performed for the visually impaired or a user who needs voice. will be.

101: 비전인식 카메라, 102: 프레임, 103: 스크린, 104: 립모션, 105: 조절부, 106: 스피커101: vision recognition camera, 102: frame, 103: screen, 104: lip motion, 105: control unit, 106: speaker

Claims (5)

키오스크에 있어서,
키오스크를 사용하는 대상(아이, 성인, 장애인, 외국인 등)을 인식할 수 있게 스크린 상단에 위치한 (101)비전인식 카메라, 스크린과 카메라, 립모션을 부착할 수 있게 박스 형태로 제작한 (102)프레임, 화면에 구성되는 아이콘의 크기를 조정하거나 배열을 변경, 또는 안내되는 언어 등을 사용자에 따라 맞춤형으로 키오스크를 활용할 수 있게 키오스크 앞면에 위치한 (103)스크린, 사용자가 스크린을 터치하지 않더라도 손동작을 인식하여 간단한 동작으로 키오스크를 조작할 수 있게 스크린의 하단(사용자의 손 위치)에 위치한 (104)립모션, 카메라가 대상을 인식 할 경우 대상이 스크린을 더 잘 볼 수 있도록 부착된 스크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일반 사용자가 키오스크를 사용할 때에는 스크린의 후면부와 프레임 사이에 숨겨져 있다가 특정 사용자가 인식될 경우 스크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부착한 (105)조절부, 시각 장애인이나 음성이 필요한 사용자를 위해 수행하는 동작이 어떤 동작인지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게 프레임 뒷면에 위치한 (106)스피커로 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구나 제약없이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 키오스크.
In the kiosk,
(101)Vision recognition camera located at the top of the screen to recognize the object using the kiosk (child, adult, disabled, foreigner, etc.) The (103) screen located on the front of the kiosk allows the user to adjust the size or arrangement of the frame and icons on the screen, change the arrangement, or customize the kiosk for each user, even if the user does not touch the screen. (104) Leap motion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the user's hand position) so that the kiosk can be recognized and operated with simple gestures. When a general user uses the kiosk so that it can be adjusted, it is hidden between the rear part of the screen and the frame and attached to adjust the angle of the screen when a specific user is recognized. A smart kiosk that anyone can use without any restriction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106) speakers located on the back of the frame so that the action to be performed can be output by voice.
제 1항에 있어서,
(101)비전인식 카메라를 통하여 키오스크를 사용하는 대상(아이, 성인, 장애인, 외국인 등)을 인식할 수 있게 스크린 상단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누구나 제약없이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 키오스크.
The method of claim 1,
(101) A smart kiosk that anyone can use without restriction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screen so that the target (child, adult, disabled, foreigner, etc.) using the kiosk can be recognized through the vision recognition camera.
제 1항에 있어서,
(104)립모션을 통하여 사용자가 스크린을 터치하지 않더라도 손동작을 인식하여 간단한 동작으로 키오스크를 조작할 수 있게 스크린의 하단(사용자의 손 위치)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누구나 제약없이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 키오스크.
The method of claim 1,
(104) Smart that anyone can use without restriction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the user's hand position) so that the kiosk can be operated with a simple operation by recognizing hand gestures even if the user does not touch the screen through lip motion kiosk.
제 1항에 있어서,
(105)조절부를 통하여 카메라가 대상을 인식 할 경우 대상이 스크린을 더 잘 볼 수 있도록 부착된 스크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일반 사용자가 키오스크를 사용할 때에는 스크린의 후면부와 프레임 사이에 숨겨져 있다가 특정 사용자가 인식될 경우 스크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부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누구나 제약없이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 키오스크.
The method of claim 1,
(105) When the camera recognizes an object through the control unit, the angle of the attached screen can be adjusted so that the object can see the screen better. When a general user uses the kiosk, it is hidden between the back of the screen and the frame and A smart kiosk that anyone can use without restriction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ttached so that the angle of the screen can be adjusted when the is recognized.
제 1항에 있어서,
(106)스피커를 통하여 시각 장애인이나 음성이 필요한 사용자를 위해 수행하는 동작이 어떤 동작인지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게 프레임 뒷면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누구나 제약없이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 키오스크.
The method of claim 1,
(106) A smart kiosk that anyone can use without restriction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on the back of the frame so that it can output as a voice what kind of action is performed for the visually impaired or a user who needs voice through a speaker.
KR1020200181948A 2020-12-23 2020-12-23 Smart kiosks that anyone can use without restrictions KR2022009093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948A KR20220090936A (en) 2020-12-23 2020-12-23 Smart kiosks that anyone can use without restric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948A KR20220090936A (en) 2020-12-23 2020-12-23 Smart kiosks that anyone can use without restric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936A true KR20220090936A (en) 2022-06-30

Family

ID=82214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948A KR20220090936A (en) 2020-12-23 2020-12-23 Smart kiosks that anyone can use without restrictio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093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6883B1 (en) * 2022-12-12 2023-05-02 주식회사 차세대아이씨티융합센터 Barrier-free unmanned guidanc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7380A (en) 2011-10-06 2013-04-16 박기홍 A plant cultivation unit for slope constru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7380A (en) 2011-10-06 2013-04-16 박기홍 A plant cultivation unit for slope constru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6883B1 (en) * 2022-12-12 2023-05-02 주식회사 차세대아이씨티융합센터 Barrier-free unmanned guidanc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7880B2 (en) Haptic device incorporating stretch characteristics
US20230020542A1 (en) System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Using Spatialized Audio During Communication Sessions
JP2010536076A (en) Virtual keypad system and method
JP6188522B2 (en) Method, user interfa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managing user input in a user interface
US20150177843A1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of virtual input device based on motion recognition
CN104767846A (en) Touch type mobile terminal
JP2014095766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EP4217838A1 (en)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three-dimensional environments
US11500452B2 (en) Displaying physical input devices as virtual objects
CN103778808A (en) Multimedia platform for artistic designing majors
US20180321750A1 (en) Data Entry Device for Entering Characters by a Finger with Haptic Feedback
Feng et al. Hgaze typing: Head-gesture assisted gaze typing
KR20220090936A (en) Smart kiosks that anyone can use without restrictions
CN102156538A (en) Method for finishing man-machine interaction through controlling mouse operations by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WO201214971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uman-machine interaction
CN110069101B (en) Wearable computing device and man-machine interaction method
US20130257753A1 (en) Modeling Actions Based on Speech and Touch Inputs
Ronzhin et al. Assistive multimodal system based on speech recognition and head tracking
TW201504935A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defining function thereof
JP6081338B2 (en) Input device including pointing stick, portable computer, and operation method
WO2022170650A1 (en) Contactless human-machine interaction system and method
Caltenco et al. Enhancing multisensory environments with design artifacts for tangible interaction
JP2017181651A (en) Electronic keyboard musical instrument
Deepateep et al. Facial movement interface for mobile devices using depth-sensing camera
Misra et al. Novel user interface for text entry on touch screen mobile device for visually impaired us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