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0157A - Table-top 3d display using dihedral corner reflector array and reflective polarizer film - Google Patents

Table-top 3d display using dihedral corner reflector array and reflective polarizer fil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0157A
KR20220090157A KR1020200181099A KR20200181099A KR20220090157A KR 20220090157 A KR20220090157 A KR 20220090157A KR 1020200181099 A KR1020200181099 A KR 1020200181099A KR 20200181099 A KR20200181099 A KR 20200181099A KR 20220090157 A KR20220090157 A KR 20220090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display
dihedral
input display
table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10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66283B1 (en
Inventor
박민철
안대환
김대연
최성원
고결
고현우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81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6283B1/en
Publication of KR20220090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01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2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5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the image being built up from image elements distributed over a 3D volume, e.g. voxels
    • G02B30/5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the image being built up from image elements distributed over a 3D volume, e.g. voxels by projecting aerial or floating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종래 3D 디스플레이에 비해 크기가 줄어든 테이블형 3D 디스플레이를 개시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는, 이면각 반사체; 상기 이면각 반사체의 하부면에 부착된 반사편광필름; 입력 디스플레이;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에서 나온 출력된 광을 상기 이면각 반사체의 하부면을 향해 반사시키도록 배치된 제1 반사체;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1 반사체 사이에 배치된 선형편광필름; 상기 이면각 반사체의 아래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 제2 반사체; 및 상기 제2 반사체의 상부면에 부착된 1/4파장판;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specification discloses a table-type 3D display having a reduced size compared to a conventional 3D display. Tabletop 3D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a dihedral reflector;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attached to a lower surface of the dihedral reflector; input display; a first reflector disposed to reflect the light output from the input display toward a lower surface of the dihedral reflector; a linear polarizing film disposed between the input display and the first reflector; a second reflector disposed to be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downward direction of the dihedral reflector; and a quarter wave plat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reflector.

Description

이면각 반사체와 반사 편광 필름을 이용한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TABLE-TOP 3D DISPLAY USING DIHEDRAL CORNER REFLECTOR ARRAY AND REFLECTIVE POLARIZER FILM}TABLE-TOP 3D DISPLAY USING DIHEDRAL CORNER REFLECTOR ARRAY AND REFLECTIVE POLARIZER FILM using a dihedral reflector and reflective polarizing film

본 발명은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이면각 반사체와 반사 편광 필름을 이용하여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top 3D display, and more particularly, to a tabletop 3D display capable of reducing the overall size by using a dihedral reflector and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반드시 종래 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for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does not necessarily constitute prior art.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Table-Top 3D Display)는 다수의 사용자에게 3차원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로, 테이블 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회의와 같은 협업을 필요로 하는 곳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의미한다. 종래 대형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프로젝터를 사용하여 대화면 테이블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2차원 영상만을 제공하는 것과 달리,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에게 보다 현실감 있는 3차원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A table-top 3D display is a display that can provide a 3D image to a large number of users, and it has a table shape and refers to a display device used in places that require collaboration, such as a meeting. Unlike the conventional large-screen table-type display system using a large display panel or projector to provide only a two-dimensional image, the tabletop 3D display can provide a more realistic three-dimensional image to the user.

이러한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에게 보다 현실감 있는 3차원 영상을 제공해주기 위해서 1) 시점에 따른 다른 영상 제공 (3차원 영상), 2) 고품질의 영상 제공, 3) 대화면 영상 제공 및 4) 일정 높이 이상의 부양 영상 제공이 필요하다. 특히, 영상의 부양 높이를 높이기 위해서는 장치 크기가 함께 커지는 공간 비효율성의 문제가 함께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for this tabletop 3D display to provide a more realistic 3D image to the user, 1) different images according to the viewpoint (3D image), 2) high quality images, 3) large screen images, and 4) above a certain height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flotation video. In particular, in order to increase the levitation height of the image, there is a problem of spatial inefficiency as the device size increases together.

따라서, 영상의 부양 높이를 높이면서도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가 필요하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abletop 3D display that can efficiently use space while increasing the levitation height of the image.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07501호 (2009.10.13)Patent Publication No. 10-2009-0107501 (2009.10.13)

본 명세서는 종래 3D 디스플레이에 비해 크기가 줄어든 테이블형 3D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provide a table-type 3D display having a reduced size compared to a conventional 3D display.

본 명세서는 상기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따른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는, 이면각 반사체; 상기 이면각 반사체의 하부면에 부착된 반사편광필름; 입력 디스플레이;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에서 나온 출력된 광을 상기 이면각 반사체의 하부면을 향해 반사시키도록 배치된 제1 반사체;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1 반사체 사이에 배치된 선형편광필름; 상기 이면각 반사체의 아래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 제2 반사체; 및 상기 제2 반사체의 상부면에 부착된 1/4파장판;을 포함할 수 있다.Tabletop 3D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 dihedral reflector;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attached to a lower surface of the dihedral reflector; input display; a first reflector disposed to reflect the light output from the input display toward a lower surface of the dihedral reflector; a linear polarizing film disposed between the input display and the first reflector; a second reflector disposed to be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downward direction of the dihedral reflector; and a quarter wave plat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reflector.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2 반사체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input display may be disposed under the second reflector.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사편광필름은 상기 선형편광필름을 통해 편광된 빛은 반사시키는 광학특성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may have an optical property of reflecting light polarized through the linear polarizing film.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면각 반사체의 중심과 상기 제2 반사체의 중심은 높이 기준으로 수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enter of the dihedral reflector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reflector may be located on a vertical line based on the heigh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반사체의 너비는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반사체 사이의 광 경로와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의 시야각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에서 출사된 광을 모두 반사시킬 수 있는 너비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width of the second reflector may reflect all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input display in correspondence to the optical path between the input display and the second reflector and the viewing angle of the input display. It can be width.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명세서에 따르면, 종래 3D 디스플레이에 비해 크기가 줄어들어 테이블형 3D 디스플레이 제작에 적합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since the size is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3D display, it is suitable for manufacturing a table-type 3D display.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명세서에 따른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따른 테이블탑 디스플레이의 광 경로에 대한 참고도이다.
도 3은 이면각 반사체의 구조에 대한 참고도이다.
도 4는 이면각 반사체의 부양 영상의 원리에 대한 참고도이다.
도 5는 이면각 반사체와 입력 이미지의 배치 각도에 대한 참고도이다.
도 6은 이면각 반사체의 고스트 영상에 대한 참고도이다.
도 7은 입력 디스플레이의 배치 위치에 따라 고스트 영상이 보이는 현상에 대한 참고도이다.
도 8은 입력 디스플레이의 배치 위치에 따라 고스트 영상이 보이지 않는 현상에 대한 참고도이다.
도 9는 종래 이면각 반사체를 이용한 3D 디스플레이의 참고도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 따른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의 제1 반사체, 제2 반사체 및 입력 디스플레이의 배치 위치를 설정하는 참고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명세서에 따른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의 제1 반사체, 제2 반사체 및 입력 디스플레이의 배치 위치를 계산하는 참고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tabletop 3D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2 is a reference diagram for a light path of the tabletop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3 is a reference diagram for a structure of a dihedral reflector.
4 is a reference diagram for the principle of a levitation image of a dihedral reflector.
5 is a reference diagram for the angle of arrangement of the dihedral reflector and the input image.
6 is a reference diagram for a ghost image of a dihedral reflector.
7 is a reference diagram for a phenomenon in which a ghost image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arrangement position of an input display.
8 is a reference diagram for a phenomenon in which a ghost image is not seen according to an arrangement position of an input display.
9 is a reference view of a conventional 3D display using a dihedral reflector.
10 is a reference diagram for setting the arrangement positions of the first reflector, the second reflector, and the input display of the tabletop 3D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11 to 14 are reference views for calculating the arrangement positions of the first reflector, the second reflector, and the input display of the tabletop 3D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이하 '당업자')에게 본 명세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invention disclosed herei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o be complet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specifica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hereinafter,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components.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will have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specifica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specifically defined explicitly.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between a component and othe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terms including different directions of components during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directions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when a component shown in a drawing is turned over, a component described as "beneath" or "beneath" of another component may be placed "above" of the other component. can Accordingly, the exemplary term “below” may include both directions below and above. Components may also be oriented in other orientations, and thus spatially relative terms may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명세서에 따른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tabletop 3D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따른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100)는 이면각 반사체(110), 반사편광필름(111), 입력 디스플레이(120), 제1 반사체(130), 선형편광필름(121), 제2 반사체(140) 및 1/4파장판(141)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따른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100)의 각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지칭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tabletop 3D displa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dihedral reflector 110 ,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111 , an input display 120 , a first reflector 130 , and a linearly polarizing film 121 . ), the second reflector 140 and the quarter wave plate 141 may be included. Meanwhile, in describing each configuration of the tabletop 3D displa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irec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referred to as up, down, left and right.

상기 이면각 반사체(Dihedral Corner Reflector Array, 110)는 양면 대칭 결상 소자를 사용하여, 그 소자의 하면 측에 놓인 물체의 상을 소자의 상면 측의 면 대칭이 되는 위치에 결상시키는 광학 소자이다.The dihedral corner reflector array (110) is an optical element that uses a double-sided symmetric imaging element to form an image of an object placed on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element at a plane-symmetric position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element.

도 3은 이면각 반사체의 구조에 대한 참고도이다.3 is a reference diagram for a structure of a dihedral reflector.

도 3을 참조하면, 이면각 반사체는 반사 기판이 일 방향으로 배열된 전면과 반사 기판이 일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후면이 결합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면각 반사체의 구조는 <"Design of ghost-free floating 3D display with narrow thickness using offset lens and dihedral corner reflector arrays," Opt. Express 28, 15691-15705 (2020)>에 보다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를 참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dihedral reflector has a structure in which a front surface in which a reflective substrate is arranged in one direction and a rear surface in which a reflective substrate is arrang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one direction are combined. The structure of the dihedral reflector is described in <"Design of ghost-free floating 3D display with narrow thickness using offset lens and dihedral corner reflector arrays," Opt. It is described in more detail in Express 28, 15691-15705 (2020)>, so you can refer to it.

도 4는 이면각 반사체의 부양 영상의 원리에 대한 참고도이다.4 is a reference diagram for the principle of a levitation image of a dihedral reflector.

도 4를 참조하면, 물체로부터 발산된 빛이 이면각 반세체를 통과할 때, 빛은 이면각 반사체를 구성하는 2개의 반사 기판에서 각각 1회씩 반사된다. 그리고 그 반사광이 이면각 반사체의 면 대칭인 위치에서 결상된다. 따라서, 관찰자에게는 결상된 상(실상)이 이면각 반사체의 상부 공간 중에 떠서 보이게 된다. 상기 이면각 반사체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광학소자이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07501호에 그 원리가 기재되어 있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4 , when light emitted from an object passes through a dihedral half-body, the light is reflected once each by two reflective substrates constituting the dihedral reflector. Then, the reflected light is imaged at a position symmetrical to the plane of the dihedral reflector. Accordingly, an image formed (real image) appears floating in the upper space of the dihedral reflector to the observer. The dihedral reflector is an optical devic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inciple thereof is describ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09-0107501,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반사편광필름(Reflective Polarizer Film, 111)은 상기 이면각 반사체(110)의 하부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반사편광필름(111)은 서로 직교하는 두 개의 편광 중 하나의 편광은 통과시키고 나머지 편광은 반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reflective polarizer film 111 may be attached to a lower surface of the dihedral reflector 110 .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111 may serve to pass one of the two polarized light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reflect the other polarized light.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120)는 부양 시키고자 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120)는 2차원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라이트 필드 디스플레이로서 다시점 3차원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120)의 종류는 당업자 수준에서 다양하게 선택 가능하며, 특정 종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120)는 상기 제2 반사체(14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The input display 120 may output an image to be lifted. The input display 120 may provide a 2D image, and may provide a multi-view 3D image as a light field display. The type of the input display 120 can be various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type of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input display 120 may be disposed under the second reflector 140 .

상기 제1 반사체(130)는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120)에서 나온 출력된 광(영상)을 상기 이면각 반사체(110)의 하부면을 향해 반사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반사체(130)의 배치 위치에 대해서는 이후에 보다 자세히 설명하겠다.The first reflector 130 may be disposed to reflect the light (image) output from the input display 120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dihedral reflector 110 .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first reflector 130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상기 선형편광필름(Linear Polarizer Film, 121)은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120)와 상기 제1 반사체(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형편광필름(121)은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120)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선형편광필름(121)은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120)에서 출력된 광(영상)을 어느 한 특정 방향으로만 진동하도록 변조할 수 있다.The linear polarizer film 12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put display 120 and the first reflector 130 . Preferably, the linear polarization film 121 may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input display 120 . The linear polarization film 121 may modulate the light (image) output from the input display 120 to vibrate in only one specific direction.

상기 제2 반사체(140)는 상기 이면각 반사체(110)의 아래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반사체(140)의 배치 위치에 대해서는 이후에 보다 자세히 설명하겠다.The second reflector 14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dihedral reflector 110 .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second reflector 140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상기 1/4파장판(Quarter Wave Plate, 141)은 입사된 광을 1/4파장 지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1/4파장판(141)은 상기 제2 반사체(140)의 상부면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반사체(140)를 향하여 입사된 빛은 상기 1/4파장판(141)을 먼저 통과하면서 1/4파장이 지연되고, 상기 제2 반사체(140)에 반사되어 나갈 때 다시 상기 1/4파장판(141)을 다시 통과하면서 1/4파장이 지연되어, 총 반파장(Half-Wave)이 지연된다.The quarter wave plate (Quarter Wave Plate, 141) serves to delay the incident light by a quarter wavelength. The quarter wave plate 141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reflector 140 . Accordingly, when the light incident toward the second reflector 140 passes through the quarter wave plate 141 first, the quarter wave is delayed, and when reflected by the second reflector 140 , the light returns to the second reflector 140 . As it passes through the quarter-wave plate 141 again, the quarter-wave is delayed, so that the total half-wave is delayed.

도 2는 본 명세서에 따른 테이블탑 디스플레이의 광 경로에 대한 참고도이다.2 is a reference diagram for a light path of the tabletop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120)에서 출사된 광(영상)은 상기 선형편광필름(121)을 통과하면서 편광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선형편광필름(121)을 통과한 빛은 수직 편광된 예시로 설명하겠다. 상기 수직 편광된 빛은 상기 제1 반사체(130)에서 반사되어 상기 이면각 반사체(110)의 하부면을 향해 입사한다. 이때, 상기 반사편광필름(111)은 상기 선형편광필름(121)을 통해 편광된 빛은 반사시키는 광학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예시에서, 상기 반사편광필름(111)은 수직광은 반사시키고, 수평광은 통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반사체(130)에서 반사된 수직광은 상기 제2 반사체(140)를 향하여 반사된다. 상기 수직광은 상기 제2 반사체(140)의 상부면에 부착된 1/4파장판(141)에 의해 반파장 지연된다. 이 과정에서 수직광은 수평광으로 바뀔 수 있다. 상기 제2 반사체(140)에서 반사된 수평광은 상기 이면각 반사체(110)의 하부면을 향해 입사된다. 이때, 상기 반사편광필름(111)은 수평광을 통과시켜, 최종적으로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120)에서 출사된 광(영상)이 상기 이면각 반사체(110)의 상부면에 결상된다.Referring to FIG. 2 , light (image) emitted from the input display 120 may be polarized while passing through the linear polarization film 121 . In FIG. 2 ,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light passing through the linearly polarized film 121 will be described as a vertically polarized example. The vertically polarized light is reflected from the first reflector 130 and is incident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dihedral reflector 110 . In this case,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111 may have an optical characteristic of reflecting light polarized through the linear polarizing film 121 .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 ,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111 may reflect vertical light and transmit horizontal light. Accordingly, the vertical light reflected from the first reflector 130 is reflected toward the second reflector 140 . The vertical light is delayed by half a wavelength by the quarter-wave plate 141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reflector 140 . In this process, vertical light can be converted into horizontal light. The horizontal light reflected from the second reflector 140 is incident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dihedral reflector 110 . In this case,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111 passes horizontal light, and finally the light (image) emitted from the input display 12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hedral reflector 110 .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따른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100)에 포함된 각 구성 특히, 제1 반사체(130) 및 제2 반사체(140)의 배치 위치 및 반사각 설정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이를 위해서 먼저, 종래 이면각 반사체를 이용한 3D 디스플레이의 문제점을 먼저 설명하겠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included in the tabletop 3D displa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particular, the arrangement position and setting of the reflection angle of the first reflector 130 and the second reflector 140 will be described. To this end,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3D display using the dihedral reflector will be described first.

도 5는 이면각 반사체와 입력 이미지의 배치 각도에 대한 참고도이다.5 is a reference diagram for the angle of arrangement of the dihedral reflector and the input image.

도 5의 (a)를 참조하면, 이면각 반사체(image plate)를 중심으로 입력 이미지(input image)를 수직으로 배치할 경우, 관찰자는 입력 이미지(input image)와 반사 이미지(Floating image)가 겹쳐 보이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이미지 중첩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 이면각 반사체를 이용한 3D 디스플레이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찰자를 시선 방향에서 이면각 반사체의 반대편에 존재하는 입력 이미지(input image)가 보이지 않도록 기울여서 배치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고스트 영상(Ghost image)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Referring to (a) of FIG. 5 , when an input image is vertically arranged around a dihedral reflector (image plate), the observer observes that the input image and the floating image overlap visible phenomena occur. In order to solve this image overlap, a conventional 3D display using a dihedral reflector is shown in FIG. tilt and place However, even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ghost image is generated.

도 6은 이면각 반사체의 고스트 영상에 대한 참고도이다.6 is a reference diagram for a ghost image of a dihedral reflector.

도 6의 (a)를 참조하면, 입력 이미지(input image)가 이면각 반사체(image plate)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반사되는 횟수가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입력 이미지(input image)는 이면각 반사체(image plate)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홀수번 반사되어 반사 이미지(Floating image) 생성되는 것이 좋고, 가장 바람직하게 단 한번만 반사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입력 이미지(input image), 이면각 반사체(image plate) 및 관찰자 사이의 거리, 각도에 따라서 짝수번 반사가 일어나거나 그냥 통과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 이미지(Floating image)외 고스트 영상(Ghost image)이 함께 관찰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A , the number of times an input image is reflected while passing through a dihedral reflector (image plate) is illustrated. Preferably, the input image is reflected an odd number of times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dihedral reflector (image plate) to generate a floating image, and most preferably, it is reflected only once. However, depending on the distance and angle between the input image, the dihedral reflector, and the observer, even-numbered reflections may occur or may simply pass through. In this case, as shown in (b) of FIG. 6 , a problem in which a ghost image is observed in addition to a floating image may occur.

도 7은 입력 디스플레이의 배치 위치에 따라 고스트 영상이 보이는 현상에 대한 참고도이다.7 is a reference diagram for a phenomenon in which a ghost image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arrangement position of an input display.

도 7을 참조하면, 이면각 반사체(image plate)의 중심 영역 내에 입력 이미지(input image)가 존재할 경우(도 7의 (a) 및 (c)를 참조), 관찰자의 시야각 내에 고스트 영상(Ghost image)이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7의 (b) 및 (d) 참조).Referring to FIG. 7 , when an input image is present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dihedral reflector (refer to FIGS. 7 (a) and (c)), a ghost image is within the viewer's viewing angle. ) can be seen (see FIGS. 7 (b) and (d)).

도 8은 입력 디스플레이의 배치 위치에 따라 고스트 영상이 보이지 않는 현상에 대한 참고도이다.8 is a reference diagram for a phenomenon in which a ghost image is not seen according to an arrangement position of an input display.

도 7을 참조하면, 이면각 반사체(image plate)의 중심 영역에서 벗어난 위치에 입력 이미지(input image)가 존재할 경우(도 8의 (a) 및 (c)를 참조), 관찰자의 시야각 내에 고스트 영상(Ghost image)이 보이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8의 (b) 및 (d) 참조).Referring to FIG. 7 , when an input image is present at a position deviating from the central region of the dihedral reflector (refer to FIGS. 8 (a) and (c)), the ghost image is within the viewer's viewing angle. It can be seen that (Ghost image) is not visible (see (b) and (d) of FIG. 8).

한편, 도 7 및 도 8의 내용은 <"Design of ghost-free floating 3D display with narrow thickness using offset lens and dihedral corner reflector arrays," Opt. Express 28, 15691-15705 (2020)>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ents of FIGS. 7 and 8 are <"Design of ghost-free floating 3D display with narrow thickness using offset lens and dihedral corner reflector arrays," Opt. Express 28, 15691-15705 (2020)> is cited and can be referred to.

도 9는 종래 이면각 반사체를 이용한 3D 디스플레이의 참고도이다.9 is a reference view of a conventional 3D display using a dihedral reflector.

도 9의 (a)는 앞서 설명한 고스트 영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이면각 반사체(11)를 이용한 3D 디스플레이(10)에서 입력 디스플레이(12)의 상대적 위치에 대한 참고도이다. 도 9의 (a)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입력 디스플레이(12)가 이면각 반사체(11)의 중심영역에서 벗어나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당한 거리가 이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것은 입력 디스플레이(12)가 이면각 반사체(11)의 중심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도 동시에, 이면각 반사체(11)의 수평 영역 밖에 존재하기 위함이다. 이 때문에 종래 이면각 반사체를 이용한 3D 디스플레이(10)는 최소한의 수직 길이가 반드시 필요하며 전체 장치의 크기를 키우는 단점으로 지적되었다.FIG. 9A is a reference diagram for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input display 12 in the 3D display 10 using the conventional dihedral reflector 11 for solving the ghost image problem described above. As can be seen from (a) of FIG. 9 , it can be seen that the input display 12 is disposed away from the central region of the dihedral reflector 11 and is spaced apart by a considerable distance. This is so that the input display 12 forms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center of the dihedral reflector 11 and at the same time exists outside the horizontal region of the dihedral reflector 11 . For this reason, the conventional 3D display 10 using a dihedral reflector necessarily requires a minimum vertical length and has been pointed out as a disadvantage in increasing the size of the entire device.

한편, 도 9의 (b)는 본 명세서에 따른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100)로서 종래 3D 디스플레이(10) 대비 수직 길이가 현저하게 감소된 것을 나타내기 위해 도시되었다.On the other hand, (b) of FIG. 9 is a tabletop 3D displa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which is shown to show that the vertical length i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3D display 10 .

다음으로, 제1 반사체(130), 제2 반사체(140) 및 입력 디스플레이(120)의 배치 위치 및 반사각 설정에 대해서 설명하겠다.Next, an arrangement position and setting of a reflection angle of the first reflector 130 , the second reflector 140 , and the input display 120 will be described.

도 10은 본 명세서에 따른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의 제1 반사체, 제2 반사체 및 입력 디스플레이의 배치 위치를 설정하는 참고도이다.10 is a reference view for setting the arrangement positions of the first reflector, the second reflector, and the input display of the tabletop 3D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0의 (a)를 참조하면, 먼저 이면각 반사체(110)와 입력 디스플레이(120)를 배치한다. 이때, 상기 이면각 반사체(110)와 입력 디스플레이(120)의 배치 위치는 앞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고스트 영상이 발생되지 않는 위치이다. 그리고, 상기 이면각 반사체(110)와 입력 디스플레이(120) 사이에 제2 반사체(140)를 배치한다. 이때, 상기 이면각 반사체(110)의 중심과 상기 제2 반사체(140)의 중심은 높이 기준으로 수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반사체(140)의 너비는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120)와 상기 제2 반사체(140) 사이의 떨어진 거리(광 경로)와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120)의 시야각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120)에서 출사된 광을 모두 반사시킬 수 있는 너비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A , first, the dihedral reflector 110 and the input display 120 are disposed. In this case,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dihedral reflector 110 and the input display 120 is a position where the ghost imag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is not generated. A second reflector 140 is disposed between the dihedral reflector 110 and the input display 120 . In this case, the center of the dihedral reflector 110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reflector 140 may be located on a vertical line based on the height. In addition, the width of the second reflector 140 corresponds to the distance (light path) between the input display 120 and the second reflector 140 and the viewing angle of the input display 120 to the input display ( 120) may have a width that can reflect all of the light emitted therefrom.

도 10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120)를 상기 제2 반사체(140)의 반사면을 기준으로 대칭 이동 시킨다. 대칭 이동된 입력 디스플레이(120)와 상기 제2 반사체(140) 사이의 광 경로 사이에는 상기 이면각 반사체(110)가 위치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10B , the input display 120 is symmetrically moved with respect to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second reflector 140 . The dihedral reflector 110 is positioned between the optical path between the symmetrically moved input display 120 and the second reflector 140 .

도 10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반사체(140)를 기준으로 대칭 이동된 입력 디스플레이(120)를 다시 상기 이면각 반사체(110)의 하부면을 기준으로 대칭 이동 시킨다.Referring to FIG. 10C , the input display 120 symmetrically mov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reflector 140 is symmetrically moved again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dihedral reflector 110 .

도 10의 (d)를 참조하면, 2번 대칭 이동된 입력 디스플레이(120)와 상기 이면각 반사체(110) 사이의 광 경로 상에 제1 반사체(130)를 배치시킨다. 그리고 2번 대칭 이동된 입력 디스플레이(120)를 상기 제1 반사체(130)의 반사면을 기준으로 또 다시 대칭 이동 시킨다. 3번 대칭 이동된 입력 디스플레이(120)의 위치가 본 명세서에 따른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100) 내 최종 위치에 해당한다.Referring to FIG. 10D , the first reflector 130 is disposed on the optical path between the input display 120 symmetrically moved twice and the dihedral reflector 110 . Then, the input display 120 symmetrically moved twice is symmetrically moved again with respect to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first reflector 130 . The position of the input display 120 flipped three times corresponds to the final position in the tabletop 3D displa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명세서에 따른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의 제1 반사체, 제2 반사체 및 입력 디스플레이의 배치 위치를 계산하는 참고도이다.11 to 14 are reference views for calculating the arrangement positions of the first reflector, the second reflector, and the input display of the tabletop 3D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1 내지 도 14는 ZX 평면상에서 각 구성의 중심점, 너비, 좌우측 위치 및 거리 등이 좌표값으로 설정되어 각각의 최종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는 임의의 너비를 가진 이면각 반사체와 임의의 너비를 가진 입력 디스플레이를 기준으로 산출되는바, 다양한 크기의 광학 소자를 이용하여 본 명세서에 따른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100)를 설계할 수 있다.11 to 14, the center point, width, left and right positions and distances of each component on the ZX plane are set as coordinate values, so that each final position can be calculated. 11 to 14 are calculated based on a dihedral reflector having an arbitrary width and an input display having an arbitrary width, and the tabletop 3D displa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designed using optical elements of various sizes. can do.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specification belongs can real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
110 : 이면각 반사체
111 : 반사편광필름
120 : 입력 디스플레이
121 : 선형편광필름
130 : 제1 반사체
140 : 제2 반사체
141 : 1/4파장판
100 : Tabletop 3D Display
110: dihedral reflector
111: reflective polarizing film
120: input display
121: linear polarizing film
130: first reflector
140: second reflector
141: 1/4 wave plate

Claims (5)

이면각 반사체;
상기 이면각 반사체의 하부면에 부착된 반사편광필름;
입력 디스플레이;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에서 나온 출력된 광을 상기 이면각 반사체의 하부면을 향해 반사시키도록 배치된 제1 반사체;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1 반사체 사이에 배치된 선형편광필름;
상기 이면각 반사체의 아래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 제2 반사체; 및
상기 제2 반사체의 상부면에 부착된 1/4파장판;을 포함하는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
dihedral reflector;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dihedral reflector;
input display;
a first reflector disposed to reflect the light output from the input display toward a lower surface of the dihedral reflector;
a linear polarizing film disposed between the input display and the first reflector;
a second reflector disposed to be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downward direction of the dihedral reflector; and
Tabletop 3D display comprising a; 1/4 wave plat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reflect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2 반사체의 아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put display is a tabletop 3D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under the second reflect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사편광필름은 상기 선형편광필름을 통해 편광된 빛은 반사시키는 광학특성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is a tabletop 3D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optical property of reflecting the light polarized through the linear polarizing fil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면각 반사체의 중심과 상기 제2 반사체의 중심은 높이 기준으로 수직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abletop 3D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er of the dihedral reflector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reflector are positioned on a vertical line based on the height.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체의 너비는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반사체 사이의 광 경로와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의 시야각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에서 출사된 광을 모두 반사시킬 수 있는 너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width of the second reflector is a width capable of reflecting all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input display in correspondence to the optical path between the input display and the second reflector and the viewing angle of the input display. display.
KR1020200181099A 2020-12-22 2020-12-22 Table-top 3d display using dihedral corner reflector array and reflective polarizer film KR1024662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099A KR102466283B1 (en) 2020-12-22 2020-12-22 Table-top 3d display using dihedral corner reflector array and reflective polarizer fil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099A KR102466283B1 (en) 2020-12-22 2020-12-22 Table-top 3d display using dihedral corner reflector array and reflective polarizer fil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157A true KR20220090157A (en) 2022-06-29
KR102466283B1 KR102466283B1 (en) 2022-11-14

Family

ID=82270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099A KR102466283B1 (en) 2020-12-22 2020-12-22 Table-top 3d display using dihedral corner reflector array and reflective polarizer fil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628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7068A (en) * 2021-02-16 2022-08-2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Table-top 3d display using dihedral corner reflector array and freeform mirro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7501A (en) 2006-12-21 2009-10-13 도쿠리츠 교세이 호진 죠호 츠신 켄큐 키코 Optical system
JP5392613B2 (en) * 2009-09-28 2014-01-22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Head-up display
KR20170129022A (en) * 2016-05-16 2017-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3-dimensional imag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001653B2 (en) * 2014-03-27 2018-06-19 Sony Corporation Spatial image display apparatus
JP2020177200A (en) * 2019-04-23 2020-10-29 株式会社大真空 Two-sided corner reflector arr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838226B2 (en) * 2015-07-27 2020-11-17 Sony Corporation Optical device and display uni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7501A (en) 2006-12-21 2009-10-13 도쿠리츠 교세이 호진 죠호 츠신 켄큐 키코 Optical system
JP5392613B2 (en) * 2009-09-28 2014-01-22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Head-up display
US10001653B2 (en) * 2014-03-27 2018-06-19 Sony Corporation Spatial image display apparatus
US10838226B2 (en) * 2015-07-27 2020-11-17 Sony Corporation Optical device and display unit
KR20170129022A (en) * 2016-05-16 2017-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3-dimensional imag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20177200A (en) * 2019-04-23 2020-10-29 株式会社大真空 Two-sided corner reflector arr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7068A (en) * 2021-02-16 2022-08-2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Table-top 3d display using dihedral corner reflector array and freeform mirr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6283B1 (en) 202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4370B2 (en) Holographic object relay for light field display
TWI497116B (en) 3d image display device and 3d image display method
US7699472B2 (en) Multi-view autostereoscopic projection system using single projection lens unit
US6703988B1 (en) Monitor for showing high-resolution and three-dimensional images and method
US8328362B2 (en) Waveplate compensation in projection polarization conversion system
JP7240242B2 (en) Display device
CN109856808B (en) Suspension display device
CN105700282A (en) Rear projection device
TW201741725A (en) Head mounted display
KR20220090157A (en) Table-top 3d display using dihedral corner reflector array and reflective polarizer film
CN114296226A (en) Optical module, optical system and head-mounted display equipment
US8888292B2 (en) Projection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viewing angle images
JP2007264448A (en) Display device
CN111458963A (en) Front projection type 2D/3D mixed projection display device
TWI796671B (en) Autostereoscopic 3d head-up display device using two directional backlit type displays
CN108828774A (en) Virtual reality shows equipment
US9628765B2 (en) Spatial image projection apparatus
JP4503484B2 (en) Space floating image display device
KR20220117068A (en) Table-top 3d display using dihedral corner reflector array and freeform mirror
US20240111159A1 (en) Display device
WO2023068021A1 (en) Aerial floating video display system
US2013001021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WO2019184322A1 (en) Optical component and virtual reality (vr) device
CN115951497A (en) 2D/3D/light field full-compatible virtual imaging display system
TWI607244B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