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9881A - Method of Hand-over in an edge of cell and user equipment suppor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of Hand-over in an edge of cell and user equipment support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9881A
KR20220089881A KR1020200180518A KR20200180518A KR20220089881A KR 20220089881 A KR20220089881 A KR 20220089881A KR 1020200180518 A KR1020200180518 A KR 1020200180518A KR 20200180518 A KR20200180518 A KR 20200180518A KR 20220089881 A KR20220089881 A KR 20220089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over
base station
cell
area
bou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5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현
황용남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0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9881A/en
Publication of KR20220089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88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37Determination of triggering parameters for hand-off
    • H04W36/008375Determination of triggering parameters for hand-off based on historical data
    • H04W36/24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6Reselection control by user or terminal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 경계에서의 핸드 오버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단말이, 핸드 오버 직전에 최종적으로 접속했던 빔 인덱스 값과 핸드 오버 이후 최초 접속한 빔 인덱스 값, 핸드 오버하는 기지국 장치에 대응하는 셀 영역 중 경계 영역 이외의 중심 영역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빔 인덱스 값 또는 상기 핸드 오버 성공 여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데이터베이스화 한 빔 인덱스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제1 기지국 장치가 송출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빔의 제1 무선 특성과, 제2 기지국 장치가 송출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빔의 제2 무선 특성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1 무선 특성이 상기 제2 무선 특성에 비하여 지정된 크기만큼 낮은 경우, 상기 빔 인덱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빔이 상기 인접 셀에서의 경계 영역에 배치된 빔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빔이 상기 인접 셀에서의 경계 영역에 배치된 빔인 경우, 핸드 오버 동작을 보류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빔이 상기 인접 셀에서의 중심 영역에 배치된 빔인 경우, 핸드 오버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핸드 오버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handover at a cell boundary, in which a user terminal has a beam index value last accessed just before handover, a beam index value initially accessed after handover, and a cell area corresponding to a base station device to be handed over. Storing at least one beam index value corresponding to a central area other than the boundary area or beam index information obtained by converting at least part of the information on whether the handover is successful or not, as a database; Comparing a first radio characteristic of one beam and a second radio characteristic of at least one second beam transmitted by a second base station apparatus, when the first radio characteristic is lower than the second radio characteristic by a specified size , determining whether the second beam is a beam disposed in a boundary area of the adjacent cell based on the beam index information; if the second beam is a beam disposed in a boundary area of the adjacent cell, a handover operation Disclosed are a handover method and a user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comprising the steps of suspending , and performing a handover operation when the second beam is a beam disposed in a central region of the adjacent cell.

Figure P1020200180518
Figure P1020200180518

Description

셀 경계에서의 핸드 오버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Method of Hand-over in an edge of cell and user equipment supporting the same} Method of hand-over in an edge of cell and user equipment support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의 핸드 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빔 인덱스들을 기반으로 셀 경계에서 보다 합리적인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셀 경계에서의 핸드 오버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handover of a user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ndover method at a cell boundary that performs more rational handover at the cell boundary based on beam indexes, and a user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모바일 트래픽 사용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현재의 셀룰러 주파수 대역에서의 주파수 부족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다. 셀룰러 용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넓은 대역폭 사용이 가능한 밀리미터파(mmWave, 10GHz~300GHz) 대역이 주목을 받고 있다. 밀리미터 대역은 기존의 셀룰러 주파수 대역에 비해 경로 손실이 크고, 대기, 수증기와 지형, 지물에 의한 감쇠가 크다는 제약이 있지만, 다수의 안테나를 이용한 빔포밍 기술을 적용하면 경로 손실 문제는 일정 부분 극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보다 천 배의 데이터 속도 지원을 목표로 하는 차세대 셀룰러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mmWave 대역이 사용 후보 주파수 대역으로 고려되고 있다.As mobile traffic usage increases exponentially, the problem of frequency shortage in the current cellular frequency band is seriou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cellular capacity, the millimeter wave (mmWave, 10 GHz to 300 GHz) band, which can use a relatively wide bandwidth, is attracting attention. Compared to the existing cellular frequency band, the millimeter band has a larger path loss and larger attenuation due to atmospheric, water vapor, topography, and features. can Accordingly, the mmWave band is being considered as a candidate frequency band to use in order to build a next-generation cellular network that aims to support a data rate 1,000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existing one.

한편, 셀룰러 네트워크 구축에 따라 mmWave 시스템은 핸드 오버를 지원한다. 그런데, mmWave 특성상 일시적인 무선 채널 blocking이 발생하는 등의 이유로 특정 셀의 수신강도가 일시적으로 낮아져 인접 셀로 넘어갔다가 수신강도 복구와 함께 다시 핸드 오버가 재수행 되는 핸드 오버 핑퐁 현상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mmWave 시스템에서는 지형 지물이나 body-blocking 등으로 인해 매우 빠른 시간 안에 링크 단절에 이를 수 있고, 링크 단절 시 상당 시간 데이터 전송이 멈출 수 있다. 예컨대, 동일 위치에서 body blocking 만으로도 10dB이상의 신호세기 저하가 가능하고, RSRP -90dBm이하의 약전계에서는 이 정도의 신호세기 저하로 링크단절 또는 매우 큰 속도 저하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핸드 오버 핑퐁 현상 또는 링크 단절과 같은 문제점은 무선 채널의 상태가 양호하지 않음에도 해당 셀로 핸드 오버 또는 접속을 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Meanwhile, depending on the cellular network construction, the mmWave system supports handover.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mmWave, the reception strength of a specific cell is temporarily lowered for reasons such as temporary radio channel blocking, and the handover ping-pong phenomenon occurs frequently. . In addition, in the mmWave system, link disconnection can occur within a very short time due to topographical features or body-blocking, and data transmission can be stopped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when the link is disconnected.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gnal strength by more than 10 dB only by body blocking at the same location, and in a weak electric field of RSRP -90 dBm or less, link disconnection or a very large speed decrease may occur due to this level of signal strength decrease. Problems such as a handover ping-pong phenomenon or link disconnection may occur by handover or access to a corresponding cell even though the radio channel state is not good.

따라서, 본 발명은 핸드 오버하고자 하는 타겟 셀의 신호세기가 양호한 상태에서 핸드 오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합리적 핸드 오버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핑퐁 현상 또는 링크 단절과 같은 문제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셀 경계에서의 핸드 오버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을 제공함에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rational handover operation so that the handover can be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signal strength of the target cell to be handed over is good, thereby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problems such as ping-pong phenomenon or link disconnection at the cell boundary. It is to provide a handover method and a user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그러나,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object,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핸드 오버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핸드 오버를 수행하면서 획득한, 상기 핸드 오버 직전에 최종적으로 접속했던 빔 인덱스 값과 상기 핸드 오버 이후 최초 접속한 빔 인덱스 값, 핸드 오버하는 기지국 장치에 대응하는 셀 영역 중 경계 영역 이외의 중심 영역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빔 인덱스 값 또는 상기 핸드 오버 성공 여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데이터베이스화 한 빔 인덱스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이, 서빙 셀에 대응하는 제1 기지국 장치가 mmWave 대역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에 송출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빔의 제1 무선 특성과, 인접 셀에 대응하는 제2 기지국 장치가 mmWave 대역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에 송출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빔의 제2 무선 특성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무선 특성이 상기 제2 무선 특성에 비하여 지정된 크기만큼 낮은 경우, 상기 빔 인덱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빔이 상기 인접 셀에서의 경계 영역에 배치된 빔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빔이 상기 인접 셀에서의 경계 영역에 배치된 빔인 경우, 핸드 오버 동작을 보류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빔이 상기 인접 셀에서의 중심 영역에 배치된 빔인 경우, 핸드 오버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handover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a beam index value finally accessed just before the handover and a beam index first accessed after the handover obtained by the user terminal while performing the handover value, at least one beam index value corresponding to a center area other than the boundary area among cell areas corresponding to the base station device to be handed over, or beam index information obtained by converting at least part of information on whether the handover succeeds or not step, when the user terminal transmits the mmWave band signal to the at least one first area by the first base station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erving cell, the first radio of at least one first beam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first area Comparing characteristics and second radio characteristics of at least one second beam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second area when the second base station device corresponding to the adjacent cell transmits the mmWave band signal to the at least one second area step of the user terminal, when the first radio characteristic is lower than the second radio characteristic by a specified size, the second beam is a beam disposed in a boundary area in the neighboring cell based on the beam index information confirming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if the second beam is a beam disposed in a boundary area in the adjacent cell, suspending a handover operation, and placing the second beam in a central area in the adjacent cell In the case of a beam that has been us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the step of performing a handover operation.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빔은 상기 핸드 오버 직전에 최종적으로 접속했던 빔 인덱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빔은 상기 핸드 오버하는 기지국 장치에 대응하는 셀 영역 중 경계 영역 이외의 중심 영역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빔 인덱스 또는 상기 핸드 오버 직후 최초 접속한 빔 인덱스들 중 상기 핸드 오버에 성공한 빔 인덱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t least one first beam corresponds to at least one of the beam indexes that were finally accessed just before the handover, and the at least one second beam corresponds to a cell area other than a boundary area of a cell area corresponding to the handover base station apparatu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rresponds to at least one of the beam indexes in which the handover was successful among at least one beam index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area of , or among the beam indexes first accessed immediately after the handover.

한편,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빔의 제1 무선 특성에 해당하는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값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빔의 제2 무선 특성에 해당하는 RSRP 값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tep of comparing the 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value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dio characteristic of the at least one first beam and the RSRP valu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adio characteristic of the at least one second beam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comparing.

추가로, 상기 보류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빔이 상기 인접 셀에서의 경계 영역에 배치된 빔인 경우, 메모리에 기 저장된 핸드 오버에 대한 양호 특성을 가지는 이력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빔이 상기 핸드 오버에 대한 양호 특성을 가지는 이력 정보에 포함된 경우, 상기 제2 빔을 이용하여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lding step may include: when the at least one second beam is a beam disposed in a boundary region of the adjacent cell, checking history information having a good characteristic for handover pre-stored in a memory; and performing handover using the second beam when one second beam is included in the history information having a good characteristic for the handover.

양호 특성을 가지는 이력 정보는 상기 서빙 셀의 경계에 위치한 빔 인덱스와 상기 핸드 오버를 성공한 인접 셀의 중심 빔 인덱스의 페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istory information having good characteristics includes pair information of a beam index located at the boundary of the serving cell and a center beam index of a neighboring cell that has succeeded in the handov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 경계에서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은 제1 기지국 장치 또는 제2 기지국 장치와 mmWave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 회로, 상기 제1 기지국 장치가 영역별로 송출하는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들 및 상기 제2 기지국 장치가 영역별로 송출하는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들을 이용하여 구성되며, 핸드 오버를 수행하면서, 상기 핸드 오버 직전에 최종적으로 접속했던 빔 인덱스 값과 상기 핸드 오버 이후 최초 접속한 빔 인덱스 값, 핸드 오버하는 기지국 장치에 대응하는 셀 영역 중 경계 영역 이외의 중심 영역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빔 인덱스 값 또는 상기 핸드 오버 성공 여부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셀의 경계에 해당하는 인덱스 값 중 적어도 일부를 데이터베이스화 한 빔 인덱스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통신 회로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빙 셀 내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빔의 제1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값과 및 상기 인접 셀 내의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빔의 제2 RSRP 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값이 지정된 크기만큼 차이가 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빔이 상기 인접 셀에서의 경계 영역에 배치된 빔인지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빔이 상기 인접 셀에서의 경계 영역에 배치된 빔인 경우, 핸드 오버 동작을 보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빔이 상기 인접 셀에서의 중심 영역에 배치된 빔인 경우, 핸드 오버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user terminal performing handover at a cell bounda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circu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in mmWave band with a first base station or a second base station, and a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by the first base station for each area. It is configured using reference signals and reference signals transmitted by the second base station device for each region, and while performing handover, the beam index value finally accessed just before the handover and the handover Thereafter, based on the first accessed beam index value, at least one beam index value corresponding to a center area other than the boundary area among cell areas corresponding to the base station device to be handed over, or information on whether the handover is successful, A memory for storing beam index information obtained by converting at least a portion of a corresponding index value into a database, the communication circuit, and a processor connected to the memory, wherein the processor includes at least on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first area in the serving cell Compares the first 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value of the first beam and the second RSRP value of at least one second beam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second region in the adjacent cell, and the comparison value is specified When there is a difference in size, it is checked whether the at least one second beam is a beam disposed in a boundary area in the adjacent cell, and when the at least one second beam is a beam disposed in a boundary area in the adjacent cell , the handover operation is suspended, and when the at least one second beam is a beam disposed in a central region of the adjacent cell, the handover operation is configured to be performed.

추가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빔이 상기 인접 셀에서의 경계 영역에 배치된 빔인 경우, 메모리에 기 저장된 핸드 오버에 대한 양호 특성을 가지는 이력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빔이 상기 핸드 오버에 대한 양호 특성을 가지는 이력 정보에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제2 기지국 장치에 의한 셀 영역 중 경계 영역 이외의 중심 영역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빔 인덱스에 포함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빔을 이용하여 핸드 오버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dditionally, when the at least one second beam is a beam disposed in a boundary region of the adjacent cell, the processor checks history information having a good characteristic for handover stored in a memory, and the at least one second beam When two beams are included in the history information having good characteristics for the handover or are included in at least one beam index corresponding to a center region other than a boundary region among cell regions by the second base station device, the at least on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over is controlled to be performed using the second beam of .

양호 특성을 가지는 이력 정보는 상기 서빙 셀의 경계에 위치한 빔 인덱스와 상기 핸드 오버를 성공한 인접 셀의 중심 빔 인덱스의 페어 정보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The history information having good characteristics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pair information of a beam index located at the boundary of the serving cell and a center beam index of a neighboring cell that has succeeded in the handov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제1 기지국 장치 또는 제2 기지국 장치와 mmWave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 회로, 상기 제1 기지국 장치가 영역별로 송출하는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들 및 상기 제2 기지국 장치가 영역별로 송출하는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들을 이용하여 구성되며 핸드 오버를 수행하면서, 상기 핸드 오버 이후 최초 접속한 인접 셀의 빔 인덱스 값 및 상기 핸드 오버 성공 확률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셀의 경계에 해당하는 인덱스 값을 데이터베이스화 한 빔 인덱스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통신 회로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빙 셀 내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빔의 제1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값이 지정된 제1 값 미만이거나 또는 상기 인접 셀 내의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빔의 제2 RSRP 값이 지정된 제2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빔 인덱스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빔에 대한 핸드 오버 성공 확률을 확인하고, 상기 핸드 오버 성공 확률이 지정된 값 미만인 경우, 핸드 오버 동작을 보류하고, 상기 핸드 오버 성공 확률이 지정된 값 이상인 경우, 핸드 오버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circu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of an mmWave band with a first base station device or a second base station device, reference signals transmitted by the first base station device for each area, and the second base station device. 2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beam index value of the neighboring cell first accessed after the handover and the handover success probability while performing handover, it is configured using reference signals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device for each area. A memory for storing beam index information obtained by converting an index value corresponding to a boundary of a cell into a database, the communication circuit, and a processor connected to the memory, wherein the processor corresponds to at least one first area in the serving cell. A first 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value of one first beam is less than a designated first value, or a second RSRP value of at least one second beam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second area in the adjacent cell is designated If th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value, the handover success probability for the at least one second beam is checked based on the beam index information, and when the handover success probability is less than a specified value, the handover operation is suspended, and the handover When the success probability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pecified valu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over operation is perform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이, 핸드 오버를 수행하면서 획득한, 상기 핸드 오버 직전에 최종적으로 접속했던 빔 인덱스 값과 상기 핸드 오버 이후 최초 접속한 빔 인덱스 값 및 상기 핸드 오버 성공 여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데이터베이스화 한 빔 인덱스 정보를 수신하는 기지국 통신 회로, 상기 빔 인덱스 정보를 저장하는 기지국 메모리, 새로운 사용자 단말이 상기 기지국 장치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빔 인덱스 정보를 상기 새로운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기지국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base s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eam index value finally accessed immediately before the handover and a beam index value initially accessed after the handover obtained by the user terminal while performing a handover from a user terminal; A base station communication circuit for receiving beam index information in which at least part of the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handover is successful is converted into a database, a base station memory for storing the beam index information, and the beam index when a new user terminal enters the base station apparatus and a base station processor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new user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핸드 오버 과정에서 보다 양호한 무선 특성을 가지는 빔 인덱스들을 통해 핸드 오버를 수행함으로써, 잦은 링크 단절이나 핸드 오버 핑퐁 현상을 저감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o reduce frequent link disconnection or handover ping-pong phenomenon by performing handover through beam indexes having better radio characteristics in the handover process.

아울러, 상술한 효과 이외의 다양한 효과들이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various effect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effects may be directly or implicitly disclo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장치 구성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사용자 단말 구성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핸드 오버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핸드 오버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base s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handover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handover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In order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and advantages of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However,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omitted. Also, it should be noted that, throughout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for describing his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1st, 2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and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o limit the components. not used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one or th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group",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Also, "a or an", "one", "the" and like related terms are used differently herein in the context of describing the invention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the following claims). Unless indicated or clearly contradicted by context, it may be used in a sense including both the singular and the plural.

상술한 용어들 이외에,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terms, specific term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provide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se of these specific terms may be changed to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구조를 가지거나 전달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의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PROM, CD-ROM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장치, 또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된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거나 전달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와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computer-readable media having or carrying 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 or data structures stored in the computer-readable media. Such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omputer system. By way of example, such computer-readable media may be in the form of RAM, ROM, EPROM, CD-ROM, or other optical disk storage, magnetic disk storage or other magnetic storage, or 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or data structures. I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physical storage medium such as any other medium that can be used to store or convey any program code means in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과, 기지국 장치들(101, 1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 장치들(101, 102)은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통신 서비스와 관련한 신호를 제공하는 서빙 셀(제1 기지국 장치(101)에 의한 통신 커버리지) 및 상기 서빙 셀에 인접되게 배치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200)이 핸드 오버하는 인접 셀(또는 타겟 셀(제2 기지국 장치(102)에 의한 통신 커버리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빙 셀과 상기 타겟 셀은 동일한 기지국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00)의 접속 상태에 따라 기능적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과 2개의 기지국 장치들(101, 102)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기지국 장치들(101, 102)은 2개 이상 복수개가 통신 커버리지가 일정 부분씩 겹치도록 배치(예: 벌집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각 기지국 장치들(101, 102)의 통신 커버리지를 이동하면서 이동형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t least one user terminal 200 and base station devices 101 and 102 . The base station apparatuses 101 and 102 are disposed adjacent to a serving cell (communication coverage by the first base station apparatus 101) and the serving cell providing a communication service-related signal to the user terminal 200, and It may include a neighboring cell (or target cell (communication coverage by the second base station apparatus 102 )) to which the user terminal 200 is handed over. The serving cell and the target cell may be configured with the same base station device, and may be functionally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tate of the user terminal 200 . Although one user terminal 200 and two base station apparatuses 101 and 102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wo or more of the base station devices 101 and 102 may be arranged (eg, arranged in a honeycomb structure) such that communication coverage overlaps a predetermined portion.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configured to use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while moving the communication coverage of each of the base station apparatuses 101 and 102 .

상기 기지국 장치들(101, 102)은 복수개의 안테나와 빔포밍을 이용하여 지정된 영역 또는 방향에 대한 신호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mmWave 대역에서 기지국 장치들(101, 102)과 사용자 단말(200)이 각각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하여 송수신할 경우 송신기와 수신기의 방향성이 맞지 않으면 빔포밍 이득을 얻을 수 없다. 가장 좋은 송수신 빔 방향을 결정하고 해당 채널을 측정하기 위해, 기지국 장치들(101, 102)은 적절한 beamforming용 reference signal(이하, 'RS'라 함)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mWave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랜 표준 규격인 IEEE 802.11ad에서 정의된 대로 기지국 장치들(101, 102)이 각각의 beam 방향 별로 beamformed RS를 순차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 장치들(101, 102)은 3GPP NR과 관련한 Beamformed SSB 및 Beamformed CSI-RS를 순차적으로 송신(이하, RS를 기준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200)은 각각의 기지국 장치들(101, 102)의 적어도 하나의 tx(transmitting) beam에 대해서 수신 안테나 방향을 바꿔가며 측정/보고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상기 기지국 장치들(101, 102)과 사용자 단말(200)은 exhaustive search를 함으로써 최선의 beam alignment를 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 장치들(101, 102)이 각각의 tx beam 방향 별로 beamformed RS를 순차적으로 송신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고정된 rx(receiving) beam에 대해서 적어도 하나의 best tx beam을 기지국 장치들(101, 102)로 보고한다.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best tx beam 보고를 받은 기지국 장치들(101, 102)은 선택된 tx beam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후, 기지국 장치들(101, 102)의 tx beam에 대해서 사용자 단말(200)이 rx beam sweeping을 하여 최적의 rx beam을 찾아서 기지국 장치들(101, 102)과의 신호 송수신에 이용할 수 있다. 기지국 장치들(101, 102)이 전송하는 RS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기지국 장치(101)의 제1 빔 인덱스 맵(100A) 중 핸드오버에 사용되는 일부 및 제2 기지국 장치(102)의 제2 빔 인덱스 맵(100B) 중 핸드오버에 사용되는 일부를 저장 관리할 수 있다. The base station apparatuses 101 and 102 may perform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in a designated area or direction by using a plurality of antennas and beamforming. For example, when the base station apparatuses 101 and 102 and the user terminal 200 each transmit/receive using a directional antenna in the mmWave band, the beamforming gain cannot be obtained if the directions of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do not match. In order to determine the best transmission/reception beam direction and measure a corresponding channel, the base station devices 101 and 102 may transmit an appropriate reference signal for beamform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RS'). For example, as defined in IEEE 802.11ad, which is a wireless LAN standard standard using the mmWave band, the base station devices 101 and 102 may sequentially transmit a beamformed RS for each beam direction. Alternatively, the base station devices 101 and 102 may sequentially transmit the beamformed SSB and beamformed CSI-RS related to 3GPP NR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RS). Correspondingly, the user terminal 200 may measure/report while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reception antenna for at least one transmitting (tx) beam of each of the base station apparatuses 101 and 102 . Through this method, the base station devices 101 and 102 and the user terminal 200 can perform the best beam alignment by performing exhaustive search. Alternatively, when the base station devices 101 and 102 sequentially transmit beamformed RS for each tx beam direction, the user terminal 200 transmits at least one best tx beam to the fixed rx (receiving) beam to the base station devices ( 101, 102). The base station devices 101 and 102 that have received at least one best tx beam report from the user terminal 200 transmit data using the selected tx beam. Thereafter, the user terminal 200 performs rx beam sweeping with respect to the tx beams of the base station devices 101 and 102 to find an optimal rx beam and can be used for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with the base station devices 101 and 102 . Based on the RS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devices 101 and 102, the user terminal 200 includes a portion of the first beam index map 100A of the first base station 101 as shown in the figure used for handover and A part of the second beam index map 100B of the second base station apparatus 102 used for handover may be stored and managed.

상기 제1 빔 인덱스 맵(100A)은 무선 통신과 관련하여 상대적으로 양호한 특성을 가지는 제1 중심 빔 인덱스들(1-6, 9-14, 17-22로 구성된 100A_1) 및 무선 통신과 관련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특성을 가지는 제1 경계 빔 인덱스들(0, 7, 8, 15, 16, 23, 24-31 로 구성된 100A_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중심 빔 인덱스들(100A_1) 및 제1 경계 빔 인덱스들(100A_2)은 사용자 단말(200)이 제1 기지국 장치(101)가 전송하는 RS에 대한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를 측정하여 추정된 값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경계 빔 인덱스들(100A_2)은 제1 기지국 장치(101)에 의해 형성된 셀의 경계에서의 빔 영역들(또는 빔포밍 영역들)에 해당할 수 있다. The first beam index map 100A includes first central beam indexes 100A_1 consisting of 1-6, 9-14, and 17-22 having relatively good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lative in relation to wireless communication. The first boundary beam indexes (100A_2 consisting of 0, 7, 8, 15, 16, 23, 24-31) having a low characteristic may be included. The first center beam indexes 100A_1 and the first boundary beam indexes 100A_2 are obtained by the user terminal 200 measuring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for the RS transmitted by the first base station apparatus 101. It may be composed of estimated values. The first boundary beam indices 100A_2 may correspond to beam regions (or beamforming regions) at a cell boundary formed by the first base station apparatus 101 .

상기 제2 빔 인덱스 맵(100B)은 제1 빔 인덱스 맵(100A)과 유사하게, 무선 통신과 관련하여 상대적으로 양호한 특성을 가지는 제2 중심 빔 인덱스들(1-6, 9-14, 17-22 로 구성된 100B_1) 및 무선 통신과 관련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특성을 가지는 제2 경계 빔 인덱스들(0, 7, 8, 15, 16, 23, 24-31 로 구성된 100B_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중심 빔 인덱스들(100B_1) 및 제2 경계 빔 인덱스들(100B_2)은 사용자 단말(200)이 제2 기지국 장치(102)가 전송하는 RS에 대한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를 측정하여 추정된 값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경계 빔 인덱스들(100B_2)은 제2 기지국 장치(102)에 의해 형성된 셀의 경계에서의 빔 영역들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제1 기지국 장치(101) 및 제2 기지국 장치(102)가 동일한 제조사에 의해 제조된 장치인 경우, 빔 조사 방식과 특성이 동일하게 구성됨으로, 제1 빔 인덱스 맵(100A)과 제2 빔 인덱스 맵(100B)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1 기지국 장치(101) 및 제2 기지국 장치(102)가 서로 다른 제조사에 의해 제조된 장치여서, 빔 조사 방식과 특성이 서로 다르게 구성될 경우, 상기 제1 빔 인덱스 맵(100A)과 제2 빔 인덱스 맵(100B)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The second beam index map 100B is similar to the first beam index map 100A, the second central beam indexes 1-6, 9-14, 17- having relatively good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wireless communication. 22) and second boundary beam indexes 0, 7, 8, 15, 16, 23, 24-31, 100B_2, having relatively low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wireless communication. The second center beam indexes 100B_1 and second boundary beam indexes 100B_2 are obtained by the user terminal 200 measuring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for RS transmitted by the second base station apparatus 102, It may be composed of estimated values. The second boundary beam indices 100B_2 may correspond to beam regions at a cell boundary formed by the second base station apparatus 102 .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base station device 101 and the second base station device 102 are devices manufactured by the same manufacturer, the beam irradiation method and characteristics are the same, so that the first beam index map 100A and the second The beam index map 100B may be configured in the same way. Since the first base station apparatus 101 and the second base station apparatus 102 are devices manufactured by different manufacturers, when the beam irradiation method and characteristics are configur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the first beam index map 100A and the second The beam index map 100B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1 빔 인덱스 맵(100A) 및 제2 빔 인덱스 맵(100B)이 동일한 개수의 빔 영역들에 대응하는 인덱스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현재 서빙 셀 역할을 하는 제1 기지국 장치(101)에 대응하는 제1 빔 인덱스 맵(100A)의 인덱스 개수가 핸드 오버 하는 타겟 셀 역할을 하는 제2 기지국 장치(102)에 대응하는 제2 빔 인덱스 맵(100B)의 인덱스 개수보다 더 많은 인덱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it is illustrated that the first beam index map 100A and the second beam index map 100B include indices corresponding to the same number of beam region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For example, the number of indices of the first beam index map 100A corresponding to the first base station device 101 serving as the current serving cell is the secon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ase station device 102 serving as the target cell to which the handover is performed. It may include more indexes than the number of indexes of the beam index map 100B.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제1 빔 인덱스 맵(100A)을 지원하는 제1 기지국 장치(101) 및 상기 제2 빔 인덱스 맵(100B)을 지원하는 제2 기지국 장치(102) 사이에서 이동에 따라 핸드 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제1 빔 인덱스 맵(100A)의 특정 빔 영역에서, 제2 빔 인덱스 맵(100B) 중 제2 중심 빔 인덱스(예: 100B_1의 9)에 대응하는 빔 영역으로의 핸드 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200)은 현재 빔 영역에서의 신호 세기가 지정된 값 이하인 경우(예: 제1 빔 인덱스 맵(100A)에서 경계에 있는 빔 영역이거나 또는 경계에 가까운 빔 영역이어서 해당 빔 영역의 신호 특성이 좋지 않은 경우), 주변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검색된 제2 기지국 장치(102)의 빔 영역이 지정된 값 이상의 신호 세기를 나타내는 경우(예: 제2 빔 인덱스 맵(100B)에서 중심에 있는 빔 영역이거나 그에 가까운 빔 영역이어서, 검색된 빔 영역의 신호 특성이 양호한 경우), 사용자 단말(102)은 해당 빔 영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102)은 베스트 빔을 모니터링하며, 상기 베스트 빔이 핸드 오버하는 셀 중심에 해당하는 빔인 경우, 핸드 오버를 수행하고, 상기 베스트 빔이 핸드 오버하는 셀 영역의 중심 이외의 영역(예: 셀 경계 영역)에 해당하는 빔인 경우, 핸드 오버를 보류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102)은 핸드 오버 과정에서 물리적으로 또는 지리적으로 셀의 중심 영역에 대응하는 빔을 통한 핸드 오버를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상대적으로 낮은 무선 특성을 가지는 제2 빔 인덱스 맵(100B) 중 제2 경계 빔 인덱스(예: 100B_1의 8)에 대응하는 빔 영역(또는 방향)에 대한 핸드 오버를 스킵하고, 제2 중심 빔 인덱스(100B_1의 9)에 대응하는 빔 영역으로의 핸드 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핸드 오버 핑퐁 현상을 방지하고, 잦은 링크 단절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핸드 오버 과정을 수행하면서,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핸드오버 직전 빔 인덱스 값과, 핸드 오버 이후 빔 인덱스 값을 저장하고, 핸드오버 이후 통신 상태에 대한 정보를 기록 저장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200)은 핸드오버 직전에 최종적으로 접속했던 빔 인덱스 값과 핸드오버 이후 최초 접속한 빔 인덱스 값 및 핸드오버 성공여부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셀의 경계에 해당하는 인덱스 값을 DB(database)화하여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200)은 핸드오버 시 최종적으로 머물렀던 beam index, 그리고 핸드 오버 시 신호 세기가 낮았을 때의 beam index를 통해 beam별 edge/center여부를 DB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0 is moved between the first base station apparatus 101 supporting the first beam index map 100A and the second base station apparatus 102 supporting the second beam index map 100B. A handover can be performed accordingly.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200 moves from a specific beam area of the first beam index map 100A to a beam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entral beam index (eg, 9 of 100B_1) in the second beam index map 100B. of handover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when the signal strength in the current beam region is less than or equal to a specified value (eg, in the first beam index map 100A), the user terminal 200 is a beam region at the boundary or a beam region close to the boundary, so the signal of the corresponding beam region If the characteristic is not good), a neighbor search may be performed. In this case, when the beam area of the found second base station device 102 shows a signal strength greater than or equal to a specified value (eg, the center in the second beam index map 100B) If the signal characteristic of the searched beam region is good because it is a beam region located in or close to the beam region in , the user terminal 102 may perform handover to the corresponding beam region. In this process, the user terminal 102 monitors the best beam, and if the best beam corresponds to the center of the cell to which the best beam is handed over, performs handover, and performs handover other than the center of the cell area to which the best beam is handed over. In the case of a beam corresponding to an area (eg, a cell boundary area) of , handover may be withheld. Based on this, the user terminal 102 may support to perform handover through a beam corresponding to the center area of the cell physically or geographically in the handover process. Alternatively, the user terminal 200 performs handover for a beam region (or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second boundary beam index (eg, 8 of 100B_1) among the second beam index maps 100B having relatively low radio characteristics. may be skipped, and handover to the beam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entral beam index (9 of 100B_1) may be performed. Through this, the user terminal 200 can prevent a handover ping-pong phenomenon and suppress frequent link disconnection. Also, while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handover process, the user terminal 200 may store a beam index value immediately before handover and a beam index value after handover, and record and store information on a communication state after handover. That is, the user terminal 200 calculates the index value corresponding to the cell boundary based on the beam index value last accessed immediately before handover, the beam index value first accessed after handover, and information on whether the handover was successful. (database) can be stored and managed.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200 may store the  DB for each beam and whether edge/center through  beam index,  , which last stayed during handover, and  beam index when the signal strength is low during handover.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장치 구성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base s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기지국 장치(101 또는 102, 이하 101 기준으로 설명)는 mmWave 대역의 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에서 빔포밍을 형성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안테나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지국 장치(101)는,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또는 gNB(next Generation Node-B), 섹터(Sector), 사이트(Site),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small cell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 장치(101) 또는 셀(cell)은 일부 영역 또는 기능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및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 RU, small cell 통신범위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상기 나열된 다양한 셀은 각 셀을 제어하는 기지국 장치들이 존재하므로 기지국 장치는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컨대, 기지국 장치(101)는 무선 영역과 관련하여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스몰 셀을 제공하는 장치 그 자체이거나, 상기 무선영역 그 자체를 지시할 수 있다. 무선 영역의 구성 방식에 따라 eNB, RRH, 안테나, RU, LPN, 포인트,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등은 기지국 장치의 일 실시예가 된다. 상술한 기지국 장치(101)는 기지국 통신 회로(110), 기지국 프로세서(150), 기지국 메모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a plurality of antennas may be connected to a base station apparatus 101 or 102 (hereinaft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101) to form beamforming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 signal of an mmWave band. The base station apparatus 101 includes a Node-B (Node-B), an evolved Node-B (eNB) (or a next generation Node-B (gNB), a sector, a site, and a base transceiver system (BTS). ), an access point, a relay node, a remote radio head (RRH), a radio unit (RU), a small cell, etc. In this specification, the base station device 101 or cell ( cell) should be interpreted as a comprehensive meaning representing some area or function, and various coverage areas such as megacell, macrocell, microcell, picocell, femtocell and relay node, RRH, RU, small cell communication range, etc. Since there are base station devices that control each cell in the various cells listed above, the base station device can be interpreted in two meanings: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device 101 is a megacell in relation to a radio area; It may be the device itself providing the macrocell, microcell, picocell, femtocell, or small cell, or it may indicate the radio area itself.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method of the radio area, eNB, RRH, antenna, RU, LPN, point , a transmission/reception point, a transmission point, a reception point, etc. become an embodiment of a base station apparatus The above-described base station apparatus 101 may include a base station communication circuit 110 , a base station processor 150 , and a base station memory 130 . .

상기 기지국 통신 회로(110)는 기지국 장치(101)의 통신 채널 형성을 지원하고, 사용자 단말(200)의 통신 서비스 운용에 필요한 신호를 생성 및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기지국 통신 회로(110)는 mmWave 대역의 신호를 생성하고 송출하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기지국 프로세서(150)에 전달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기지국 통신 회로(110)는 사용자 단말(200)과 업링크 채널 및 다운링크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 통신 회로(110)는 복수의 빔 인덱스들에 대응하는 빔 영역들(또는 빔포밍 영역들)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지국 프로세서(150)의 제어에 대응하여 기지국 통신 회로(110)는 RS 신호 (또는 BEAMFORMED SSB/CSI-RS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지국 통신 회로(11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빔 인덱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빔 인덱스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핸드 오버를 수행하면서 획득한, 상기 핸드 오버 직전에 최종적으로 접속했던 빔 인덱스 값과 상기 핸드 오버 이후 최초 접속한 빔 인덱스 값 및 상기 핸드 오버 성공 여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데이터베이스화 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상기 기지국 메모리(130)는 기지국 장치(101)의 운용에 필요한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한 예로서, 상기 기지국 메모리(130)는 기지국 장치(101)의 정책 또는 데이터 송수신에 필요한 설정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지국 메모리(130)는 자신의 통신 커버리지 영역 내에 진입한 사용자 단말(200)의 정보를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 메모리(130)는 빔 인덱스 맵을 구성하는 구성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구성 정보는 빔포밍 방향과 각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 프로세서(150)는 상기 구성 정보를 토대로 상기 기지국 통신 회로(110)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들의 방향과 전력 송출 세기를 조절하여 복수의 빔 영역들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지국 메모리(130)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빔 인덱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base station communication circuit 110 may support the formation of a communication channel of the base station apparatus 101 , and may generate and transmit a signal necessary for the communication servic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communication circuit 110 may generate and transmit a signal in the mmWave band, and may receive a response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transmit it to the base station processor 150 . In this process, the base station communication circuit 110 may form an uplink channel and a downlink channel with the user terminal 200 . The base station communication circuit 110 may configure beam areas (or beamforming area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beam indices. In this regard, as described above, the base station communication circuit 110 may transmit an RS signal (or a BEAMFORMED SSB/CSI-RS signal)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the base station processor 150 . Meanwhile, the base station communication circuit 110 may receive beam index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 . The beam index information includes a beam index value obtained by the user terminal while performing the handover, a beam index value last accessed just before the handover, a beam index value first accessed after the handover, and whether the handover succeeds. It may include information obtained by converting at least some of the information into a database. The base station memory 130 may store data or programs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base station apparatus 101 . As an example, the base station memory 130 may store a policy of the base station apparatus 101 or setting information required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addition, the base station memory 130 may store and manag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that has entered its communication coverage area. The base station memory 130 may store configuration information constituting the beam index map.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beamforming direction and an angle. The base station processor 150 may implement a plurality of beam regions by adjusting the direction and power transmission intensity of at least one antenna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communication circuit 110 based on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Meanwhile, the base station memory 130 may store beam index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

상기 기지국 프로세서(150)는 기지국 장치(101)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신호의 처리, 프로그램의 활성화, 신호의 전달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기지국 장치(101)는 mmWave 대역의 신호의 송출과, 사용자 단말(200)로부터의 응답 신호 수신을 처리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기지국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단말(200)의 핸드 오버에 필요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빙 셀의 기지국 프로세서(예: 제1 기지국 장치(101)의 기지국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200)의 타겟 셀로의 이동에 따른 정보 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타겟 셀의 기지국 프로세서(예: 제2 기지국 장치(102)의 기지국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200)의 진입에 따른 정보 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지국 프로세서(150)는 새로운 사용자 단말이 상기 기지국 장치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빔 인덱스 정보를 상기 새로운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The base station processor 150 may process various signals required for operation of the base station apparatus 101 , activation of a program, transmission of signals,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apparatus 101 may process transmission of a signal in the mmWave band and reception of a response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200 . In particular, the base station processor 150 may perform signal processing necessary for handover of the user terminal 200 .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processor of the serving cell (eg, the base station processor of the first base station apparatus 101) may upd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 terminal 200 to the target cell. The base station processor of the target cell (eg, the base station processor of the second base station device 102 ) may upd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ntry of the user terminal 200 . Meanwhile, when a new user terminal enters the base station apparatus, the base station processor 150 may provide the beam index information to the new user terminal.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구성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은 통신 회로(210), 메모리(230), 디스플레이(240), 프로세서(250)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통신 회로(210)에 연결되고 기지국 장치(101 또는 102)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mmWave 용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200)의 구성은 실시 예 또는 사업자의 의도에 따라 보다 세부적인 구성으로 분할되거나 하나의 구성으로 통합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user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circuit 210 , a memory 230 , a display 240 , and a processor 250 . Additionally, the user terminal 20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mmWave antenna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ircuit 210 and capable of forming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base station apparatus 101 or 102 . The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divided into more detailed configurations or integrated into on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r the intention of the operator.

상기 통신 회로(210)는 상기 제1 기지국 장치(101) 또는 제2 기지국 장치(102)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하드웨어 회로 구조물을 포함하며, 프로세서(250) 제어에 따라 제1 기지국 장치(101) 및 제2 기지국 장치(102)와 신호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통신 회로(210)는 mmWave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통신 회로(210)는 프로세서(250) 제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기지국 장치(101)에서 제2 기지국 장치(102)로 핸드 오버하는 동안, 제1 기지국 장치(101)와 제2 기지국 장치(102)로부터 핸드 오버에 필요한 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circuit 210 inclu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or hardware circuit structure for forming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first base station apparatus 101 or the second base station apparatus 102 , and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250 , the first base station apparatus 101 and the second base station apparatus 102 may perform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circuit 210 may receive and process a signal in the mmWave band. In particular, the communication circuit 210 performs handover from the first base station apparatus 101 to the second base station apparatus 102 in response to the processor 250 control, while the first base station apparatus 101 and the second base station apparatus 102 are handed over. Information necessary for handover may be received from the device 102 .

상기 메모리(230)는 사용자 단말(200) 운용과 관련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메모리(2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핸드 오버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즉, 상기 메모리(230)는 빔 인덱스 정보(231)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빔 인덱스 정보(231)는 앞서 설명한 제1 기지국 장치(101)가 전송한 RS 정보 (또는 BEAMFORMED SSB/CSI-RS 정보)를 기반으로 추정한 제1 빔 인덱스 맵(100A) 중 적어도 일부 및 제2 기지국 장치(102)가 전송한 RS 정보를 기반으로 추정한 제2 빔 인덱스 맵(100B) 중 정보 일부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빔 인덱스 정보(231)는 사용자 단말(200)이 핸드오버 시 최종적으로 머물렀던 제1 기지국 장치(101) 관련 빔 인덱스, 핸드오버 이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내는 제2 기지국 장치(102) 관련 빔 인덱스, 또는, 핸드 오버 이후 신호 세기가 기준 값보다 낮았을 때의 빔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빔 인덱스 정보(231)는 핸드오버 직전 빔 인덱스와 핸드 오버 이후 빔 별 기지국 장치들의 통신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의 에지 또는 중심에 대한 여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저장된 빔 인덱스 정보(231)를 활용하여 핸드오버 동작 시, 핸드오버 하는 제2 기지국 장치(102)의 빔 영역이 해당 기지국 장치에서의 중심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The memory 230 may store various programs and data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 For example, the memory 230 may store and manage information required for hand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memory 230 may store the beam index information 231 . The beam index information 231 includes at least a portion and a second beam index map 100A estimated based on RS information (or BEAMFORMED SSB/CSI-RS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first base station apparatus 101 described above. Some information of the second beam index map 100B estimated based on RS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second base station device 102 may be included. For example, the beam index information 231 includes a beam index related to the first base station apparatus 101 that the user terminal 200 finally stayed at during handover, a beam index related to the second base station apparatus 102 indicating good characteristics after handover, Alternatively, the   beam index when the signal strength after handover is lower than the reference value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he beam index information 231 may include a beam index immediately before handover and information about an edge or a center within a communication coverage area of base station devices for each beam after handover. The user terminal 200 uses the stored beam index information 231 to determine whether the beam area of the second base station device 102 to be handed over is centered in the base station device during the handover operation, and performs the handover. can be done

또한, 상기 메모리(230)는 양호 특성의 핸드 오버 빔 페어(pair)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양호 특성의 핸드 오버 빔 페어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이 이전 핸드 오버 동작 과정에서 성공적으로 핸드 오버를 수행한 이력이 있는 빔 인덱스들의 페어(예: 제1 기지국 장치(101)의 특정 빔 인덱스 및 제2 기지국 장치(102)의 특정 빔 인덱스 페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양호 특성의 핸드 오버 빔 페어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의 핸드 오버 수행 이후 양호한 무선 특성(예: 핸드 오버 핑퐁 현상 및 링크 단절이 없거나 발생 확률이 지정된 확률 이하인 특성)을 가지는 빔 인덱스 페어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호 특성의 핸드 오버 빔 페어는 핸드 오버 동작에서 빔 인덱스가 통신 커버리지의 에지가 아닌 빔 인덱스들의 페어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memory 230 may store handover beam pair information of good characteristics. The handover beam pair information of the good characteristic includes a pair of beam indexes in which the user terminal 200 has a history of successfully performing handover in a previous handover operation process (eg, a specific beam of the first base station apparatus 101 ). index and a specific beam index pair of the second base station device 102). Alternatively, the handover beam pair information of the good characteristic is a beam index pair having good radio characteristics (eg, there is no handover ping-pong phenomenon and link disconnection or the occurrence probability is less than or equal to a specified probability) after the user terminal 200 performs handover.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m. The handover beam pair having good characteristics may include at least some of pairs of beam indices whose beam index is not an edge of communication coverage in a handover operation.

상기 디스플레이(240)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의 운용과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디스플레이(240)는 제1 기지국 장치(101) 또는 제2 기지국 장치(102)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 제1 기지국 장치(101)와의 무선 환경에 관한 지시자, 핸드 오버 이후, 제2 기지국 장치(102)와의 무선 환경에 관한 지시자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40)는 핸드오버 직전 빔 인덱스 값, 핸드오버 이후 빔 인덱스 값, 핸드오버 이후 신호 상태, 핸드오버 하려고 하는 빔 인덱스가 빔 인덱스 정보(231)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디스플레이(2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무선 환경에 관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환경에 관한 화면은 양호 특성의 빔 페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240 may output at least one scree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 For example, the display 240 is a screen show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base station apparatus 101 or the second base station apparatus 102 , an indicator regarding the wireless environment with the first base station apparatus 101 , after handover, the second base station An indicator or the like regarding the wireless environment with the device 102 may be output. The display 240 may output a beam index value just before handover, a beam index value after handover, a signal state after handover, whether a beam index to be handed over is included in the beam index information 231 , etc. . Additionally, the display 240 may output a screen related to a wireless environment according to a user input. The screen about the wireless environment may include beam pair information of good characteristics.

상기 프로세서(250)는 사용자 단말(200)의 운용과 관련한 신호의 전달과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로세서(250)는 통신 회로(210)와 메모리(230)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1 기지국 장치(101)를 서빙 셀로 하여 통신 서비스 운용에 필요한 신호 송수신을 처리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프로세서(250)는 mmWave 대역의 신호를 제1 기지국 장치(101)와 송수신하되, 베스트 빔을 제1 기지국 장치(101)가 전송하는 RS(또는 BEAMFORMED SSB/CSI-RS)를 기준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베스트 빔을 통해 통신 서비스와 관련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50)는 일정 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무선 환경이 변경되면, 변경된 무선 환경이 핸드 오버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고, 핸드 오버 조건을 만족하는 무선 환경에 진입하면, 핸드 오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보다 양호한 특성의 빔 영역으로의 핸드 오버를 위하여,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빔들에 대한 무선 특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추정을 통해 상술한 제1 빔 인덱스 맵(100A)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250)는 핸드 오버 조건이 만족되면, 제2 기지국 장치(102)가 제공하는 RS 신호를 기반으로 제2 빔 인덱스 맵(100B)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1 빔 인덱스 맵(100A)의 적어도 일부와 제2 빔 인덱스 맵(100B)의 적어도 일부를 기반으로 보다 양호한 빔 영역으로의 핸드 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빔 인덱스 맵(100A)은 상대적으로 양호한 무선 특성을 가지는 제1 중심 빔 인덱스들과 상기 제1 중심 빔 인덱스들의 외곽 경계에 배치된 제1 경계 빔 인덱스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빔 인덱스 맵(100B)은 상대적으로 양호한 무선 특성을 가지는 제2 중심 빔 인덱스들과 상기 제2 중심 빔 인덱스들의 외곽 경계에 배치된 제2 경계 빔 인덱스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50)는 제1 경계 빔 인덱스에 대응하는 빔 영역에서 제2 중심 빔 인덱스에 대응하는 빔 영역으로의 핸드 오버 또는 제2 경계 빔 인덱스에 대응하는 빔 영역에서 제1 중심 빔 인덱스에 대응하는 빔 영역으로의 핸드 오버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프로세서(250)는 제2 기지국 장치(102)가 송출하는 신호에 대한 RSRP 또는 RSRQ 등 무선 환경의 품질을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대적으로 양호한 빔 영역으로의 핸드 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The processor 250 may transmit and process signal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 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processor 250 is functional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ircuit 210 and the memory 230 , the first base station apparatus 101 may be used as a serving cell to process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required for communication service operation. In this operation, the processor 250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of the mmWave band to and from the first base station device 101, but based on the RS (or BEAMFORMED SSB/CSI-RS) that the first base station device 101 transmits the best beam , and control to transmit/receive data related to a communication service through the detected best beam. When the wireless environment is changed in a certain period or in real time, the processor 250 checks whether the changed wireless environment satisfies the handover condition, and when entering the wireless environment that satisfies the handover condition, the processor 250 may perform a handover operation. . In this process, for handover to a beam region with better characteristics, information on radio characteristics of at least one beam is collected in the process of using a communication service, and the above-described method is obtained through estimation based on the collected information. At least a part of the 1-beam index map 100A may be configured. In addition, when the handover condition is satisfied, the processor 250 configures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beam index map 100B based on the RS signal provided by the second base station device 102, and the first beam index Handover to a better beam region may be performed based on at least a part of the map 100A and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beam index map 100B. For example, the first beam index map 100A may include information on first center beam indexes having relatively good radio characteristics and first boundary beam indexes disposed at an outer boundary of the first center beam indexes. can In addition, the second beam index map 100B may include information on second center beam indexes having relatively good radio characteristics and second boundary beam indexes disposed at an outer boundary of the second center beam indexes. can In this case, the processor 250 performs handover from the beam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boundary beam index to the beam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entral beam index or the first central beam index in the beam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oundary beam index. It is possible to control handover to a beam region corresponding to . In this process, the processor 250 collects information capable of determining the quality of the wireless environment, such as RSRP or RSRQ for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second base station device 102, and based on this, a relatively good beam area of handover can be performed.

또는, 프로세서(260)는 별도의 제1 빔 인덱스 맵(100A) 및 제2 빔 인덱스 맵(100B)에 대한 DB화를 수행하지 않고, 핸드 오버 직전 최종적으로 머물렀던 beam index, 그리고 핸드 오버 이후 신호 세기가 낮았을 때(또는 지정된 값 이하의 신호 세기일 때)의 beam index들의 에지 또는 중심(또는 통신 커버리지 내에서의 에지/중심)에 대한 정보를 DB화하여 저장 관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핸드 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빔 인덱스 정보(231)는 제1 빔 인덱스 맵(100A) 및 제2 빔 인덱스 맵(100B)을 포함하지 않고, 핸드 오버 직전 빔 인덱스와 핸드 오버 직후 지정된 값 이하의 신호 세기로 판단된 불량 빔 인덱스 또는 핸드 오버 직후 지정된 값 초과의 신호 세기로 판단된 양호 빔 인덱스들을 포함하는 셀 경계에 해당하는 빔 인덱스 값들만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1 기지국 장치(101)와 관련한 제1 빔 인덱스 맵(100A) 및 제2 기지국 장치(102)와 관련한 제2 빔 인덱스 맵(100B)을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동일 제조사의 빔 인덱스들인 경우 하나의 빔 인덱스 맵으로 통합되어 관리될 수 있다. 또는, 기지국 마다 제조사가 다를 경우, 셀 별로 통계에 따른 빔 인덱스 맵이 구분되어 저장 관리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processor 260 does not perform DB formation for the separate first beam index map 100A and the second beam index map 100B, and finally stayed just before handover  beam index,  , and signal strength after handover When is low (or when the signal strength is less than the specified value), information about the edge or center of the beam indices (or edge/center within the communication coverage) is stored and managed in a DB, and handover is performed based on this. can be done Accordingly, the beam index information 231 does not include the first beam index map 100A and the second beam index map 100B, and the beam index just before handover and signal strength immediately after handover is determined to be less than or equal to a specified value. Only the beam index values corresponding to the cell boundary including the bad beam index or good beam indices determined as the signal strength exceeding the specified value immediately after handover may be included. 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first beam index map 100A related to the first base station device 101 and the second beam index map 100B related to the second base station device 102 have been separately described. In case of beam indices, they may be integrated into one beam index map and managed. Alternatively, when a manufacturer is different for each base station, a beam index map according to statistics may be divided and stored and managed for each cell.

예컨대, 상기 프로세서(260)는 서빙 셀에 대응하는 제1 기지국 장치(101)가 송출한 mmWave 대역 신호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빔의 제1 무선 특성과, 인접 셀에 대응하는 제2 기지국 장치(102)가 송출한 mmWave 대역 신호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빔의 제2 무선 특성을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과정에서, 상기 프로세서(260)는 제1 기지국 장치(101)가 송출하는 복수개의 빔 신호들 또는 빔 신호들의 대표 값(예: 복수개의 빔 신호들의 신호 세기들의 평균 값)과 제2 기지국 장치9102)가 송출하는 복수개의 빔 신호들 또는 빔 신호들의 대표 값을 비교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260)는 상기 제1 무선 특성이 기 설정된 제1 지정 값(threshold_1) 미만인 경우 또는 상기 제2 무선 특성이 기 설정된 제2 지정 값(threshold_2) 이상인 경우인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60)는 상기 제1 무선 특성이 상기 제2 무선 특성에 비하여 지정된 크기만큼 낮은 경우, 상기 제1 무선 특성이 상기 제1 지정 값 미만인 경우, 또는 상기 제2 무선 특성이 상기 제2 지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빔 인덱스 정보를 기반으로 핸드 오버 수행을 위한 MR 보고 여부를 결정하고, MR 보고 결정에 따라 기지국 제어에 따른 핸드 오버를 수행하거나 또는 핸드 오버를 보류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cessor 260 may include a first radio characteristic of at least one first beam corresponding to an mmWave band signal transmitted by the first base station apparatus 101 corresponding to a serving cell, and a second base station corresponding to a neighboring cell. The second radio characteristic of the at least one second beam corresponding to the mmWave band signal transmitted by the device 102 may be compared. In the comparison process, the processor 260 compares the plurality of beam signals transmitted by the first base station apparatus 101 or a representative value of the beam signals (eg, an average value of signal strengths of the plurality of beam signals) and the second base station apparatus. 9102) may compare a plurality of beam signals or representative values of the beam signals. Alternatively, the processor 260 may determine whether the first wireless characteristic is less than a preset first preset value (threshold_1) or when the second wireless characteristic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second preset value (threshold_2). The processor 260 is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first radio characteristic is lower than the second radio characteristic by a specified amount, when the first radio characteristic is less than the first predetermined value, or when the second wireless characteristic is the second specified value. If th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valu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o report MR for performing handover based on the beam index information, and perform handover according to base station control or suspend handover according to the MR report determina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빔 인덱스 정보(231)를 통해 상대적으로 양호한 빔 영역으로의 핸드 오버를 수행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프로세서(250)는 제1 기지국 장치(101)의 셀 경계의 빔 영역에서 무선 환경이 좋지 않은 제2 기지국 장치(102)의 셀 경계의 빔 영역으로 핸드 오버를 억제하여 보다 양호한 무선 환경으로의 핸드 오버를 지원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by controlling the handover to a relatively good beam region through the beam index information 231 , the processor 250 determines that the radio environment is changed in the beam region of the cell boundary of the first base station apparatus 101 . By suppressing handover to the beam region of the cell boundary of the second base station apparatus 102 that is not good, it is possible to support handover to a better radio environment.

상기 프로세서(250)는 핸드 오버 이후 상대적으로 양호한 무선 특성을 나타내는 빔 페어들(예: 제1 기지국 장치(101)의 특정 빔 인덱스에 대응하는 빔 영역과, 핸드 오버 이후 제2 기지국 장치(102)의 특정 빔 인덱스에 대응하는 빔 영역의 페어)을 누적하여 저장하고, 이를 기반으로, 핸드 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250)는 셀 경계에 위치한 빔이라 하더라도, 상기 핸드 오버 이력이 있는 빔 페어들에 포함된 경우, 해당 경계 위치 빔을 배제하지 않고, 핸드 오버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양호한 무선 특성을 나타내는 빔 페어들은 기지국 장치들의 통신 커버리지 내에서 중심 빔 인덱스들 간의 페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or 250 determines the beam pairs exhibiting relatively good radio characteristics after handover (eg, a beam area corresponding to a specific beam index of the first base station apparatus 101 and the second base station apparatus 102 after handover). (a pair of beam regions corresponding to a specific beam index of ) is accumulated and stored, and a handover may be performed based on this. Alternatively, even if the beam located at the cell boundary is included in the beam pairs having the handover history, the processor 250 may control the handover to be performed without excluding the beam located at the boundary position. Alternatively, the beam pairs exhibiting the good radio characteristic may include pairs between center beam indices within the communication coverage of base station device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200)은 독립적으로 셀 경계에 해당되는 빔 인덱스(beam index)를 추정하고, 셀 경계 beam으로 판단되는 beam들은 핸드 오버 동작 시 별도 관리함으로써 핸드 오버를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기지국 장치의 빔 인덱스가 기지국 장치로부터 어느 송신방향을 가리키는지, 셀 중심 혹은 경계를 가리키는지를 알지 못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빔 인덱스들의 정보를 누적하여 수집하여, 일정 통계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통계 결과를 토대로, 사용자 단말(200)은 제1 기지국 장치(101)의 셀 경계의 빔 인덱스들 또는 셀 경계에 인접된 빔 인덱스들에서 제2 기지국 장치(102)의 셀 경계 또는 셀 경계에 가까운 빔 인덱스, 또는 중심 빔 인덱스들 또는 중심에 인접된 빔 인덱스들로 핸드 오버됨을 확인할 수 있다. 추가로, 사용자 단말(200)은 양호한 핸드 오버 특성(핸드 오버 이후 양호한 통신 특성)과 관련한 통계는 제2 기지국 장치(102)의 셀 중심 빔 인덱스들 또는 셀 중심에 가까움 빔 인덱스들로의 핸드 오버임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이러한 통계를 통해, 양호한 핸드 오버 특성을 가지는 빔 인덱스로의 핸드 오버를 지원할 수 있다. 한 예로서,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200)은 핸드 오버 이벤트 발생 시 이벤트 발생 직전 최종적으로 선택했던 몇 개의 빔 인덱스들을 메모리(230)에 저장하고 통계 결과(예: 양호한 무선 특성을 나타낼 확률)를 확보함으로써 셀 경계에 해당되는 beam index들을 추정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빔 인덱스 별 신호세기(RSRP, RSRQ 등), CQI, Throughput 등을 자체적으로 구한 후 통계 값을 기반으로 셀 경계 빔을 추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핸드 오버는 edge beam 상황(기지국 장치의 셀 경계 영역의 빔)에서 발생할 수 밖에 없고, 핸드 오버 이벤트는 신호세기가 약할 때 발생하게 되므로 빔 별 핸드 오버 여부 및 신호세기를 저장함으로써 셀 경계 빔을 추정할 수가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핸드 오버 동작과 관련하여, 셀 경계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빔 인덱스와 핸드 오버 이후 인접 빔 인덱스들에 대한 핸드 오버 성공률을 통계로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성공율은 핸드 오버 이후 양호한(예: 신호 세기가 기준 값 이상인) 통신 특성을 나타내는 인접 빔 인덱스들이 불량한(예: 신호 세기가 기준 값 미만인) 통신 특성을 나타내는 인접 빔 인덱스들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user terminal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dependently estimates a beam index corresponding to a cell boundary, and manages beams determined to be cell boundary beams separately during handover operation to prevent handover. can be performed stably. In general, the user terminal 200 does not know which transmission direction the beam index of the base station device points to from the base station device, the cell center or the boundary. 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the user terminal 200 may accumulate and collect information on beam indices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handover, and store certain statistical results. Based on the above-described statistical result, the user terminal 200 determines the cell boundary or cell boundary of the second base station device 102 in beam indices of the cell boundary of the first base station apparatus 101 or beam indices adjacent to the cell boundar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handover is performed with a beam index close to , or center beam indexes or beam indexes adjacent to the center.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0 provides statistics related to good handover characteristics (good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after handover) for handover to cell center beam indexes or near cell center beam indexes of the second base station apparatus 102 .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user terminal 200 may support handover to a beam index having good handover characteristics through these statistics. As an example, when a handover event occurs, the user terminal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several beam indexes that were finally selected just before the event in the memory 230 and stores the statistical result (eg, the probability of exhibiting good radio characteristics). By securing it, beam indices corresponding to the cell boundary can be estimated.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0 can estimate the cell edge beam based on the statistical value after independently obtaining the signal strength (RSRP, RSRQ, etc.), CQI, throughput, etc. for each beam index. In general, handover has no choice but to occur in an edge beam situation (beam in the cell boundary region of the base station device), and the handover event occurs when the signal strength is weak. can be estimated. In relation to the handover operation, the user terminal 200 may store and manage at least one beam index at a cell boundary and a handover success rate for adjacent beam indexes after handover as statistics. The success rate may be set higher than adjacent beam indices indicating good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eg, signal strength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after handover than neighboring beam indices indicating poor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eg, signal strength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상술한 통계를 바탕으로 인접 셀(또는 타겟 셀)의 edge beam이 best beam으로 판단될 경우 핸드 오버(Hand-over)를 위한 measurement report를 유보하거나, 타겟 셀의 신호세기 조절, filtering시 filtering coefficient 조절 등을 통해 edge beam에서 인접 셀의 신호세기를 구하는 동안 에지 빔 특성이 반영되지 않거나 적은 비율로 반영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은 인접 셀의 셀 경계 beam에서 핸드 오버를 하지 않고, 보다 안정적인 인접 셀 영역 안 예컨대, 셀 중심 빔에 핸드 오버를 수행하게 된다. When the user terminal 200 determines that the edge beam of the adjacent cell (or target cell) is the best beam based on the above-mentioned statistics, the user terminal 200 reserves the measurement report for hand-over or the signal strength of the target cell. It is possible to control so that edge beam characteristics are not reflected or reflected at a small rate while obtaining the signal strength of an adjacent cell in the edge beam by adjusting the filtering coefficient during adjustment and filtering. Through this process, the user terminal 200 does not perform handover in a cell boundary beam of an adjacent cell, but performs handover in a more stable adjacent cell area, for example, a cell center beam.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핸드 오버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handover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핸드 오버 방법과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프로세서(250)는 401 단계에서 서빙 셀 및 인접(또는 타겟) 셀의 RSRP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프로세서(250)는 서빙 셀에 해당하는 제1 기지국 장치(101) 및 인접(또는 타겟) 셀에 해당하는 제2 기지국 장치(102)로부터 각각 시스템 정보 또는 RS(Reference Signal) (또는 BEAMFORMED SSB/CSI-RS)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서빙 셀의 RSRP 및 인접(또는 타겟) 셀의 RSRP를 측정할 수 있다.4, in relation to the handover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250 of the user terminal 200 may measure the RSRP of the serving cell and the adjacent (or target) cell in step 401. . In this regard, the processor 250 receives system information or RS (Reference Signal) from the first base station device 101 corresponding to the serving cell and the second base station device 102 corresponding to the adjacent (or target) cell, respectively. Alternatively, BEAMFORMED SSB/CSI-RS) may be received, and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the RSRP of the serving cell and the RSRP of the adjacent (or target) cell may be measured.

405 단계에서, 프로세서(250)는 A3 이벤트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A3 이벤트는 38331 5.5.4 MR 트리거링 관련 이벤트 타입에 대한 정의에 따른다. 상기 A3 이벤트는 인접 셀이 서빙 셀보다 오프셋이 되는 조건에 따라 발생하는 이벤트일 수 있다. 또는, 상기 A3 이벤트는 서빙 셀의 RSRP와 인접(또는 타겟) 셀의 RSRP 값의 차이가 기 설정된 오프셋만큼이 되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3 이벤트 조건은 예컨대, 인접(또는 타겟) 셀(예: 제2 기지국 장치(102))의 무선 환경 측정 값(예: RSRP 값)이 서빙 셀(예: 제1 기지국 장치(101))의 무선 환경 측정 값(예: RSRP 값))보다 지정된 크기만큼 큰 조건으로 대체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프로세서(250)는 A2 이벤트 조건 만족을 확인할 수 있다. A2 이벤트는 기존 셀/시스템을 해제(release)한 후, 다음 셀/시스템으로 핸드 오버하는데 이용되는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50)는 A2 이벤트 조건 만족과 관련하여, 현재 위치에서의 신호 세기가 지정된 값(threshold_1) 미만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250)는 B1 이벤트 조건 만족을 확인할 수도 있다. 상기 B1 이벤트는 핸드 오버할 영역의 신호 세기간 지정된 값(threshold_2) 이상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In step 405 , the processor 250 may determine whether the A3 event condition is satisfied. The A3 event follows the definition of 38331 5.5.4 MR triggering related event type. The A3 event may be an event that occurs according to a condition that an adjacent cell is offset from a serving cell. Alternatively, the A3 event may include a condition in which the difference between the RSRP of the serving cell and the RSRP of the adjacent (or target) cell is equal to a preset offset. The A3 event condition is, for example, a radio environment measurement value (eg, RSRP value) of a neighboring (or target) cell (eg, the second base station device 102) of the serving cell (eg, the first base station device 101). It can be replaced by a condition larger than the radio environment measurement value (eg RSRP value) by a specified size. As another example, the processor 250 may confirm that the A2 event condition is satisfied. The A2 event may include an event used for handover to the next cell/system after releasing the existing cell/system. The processor 250 may include a case in which the signal strength at the current location is less than a specified value (threshold_1) in relation to the satisfaction of the A2 event condition. As another example, the processor 250 may confirm that the B1 event condition is satisfied. The B1 event may include a case where the signal strength of the region to be handed ove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pecified value (threshold_2).

상기 A3 이벤트 조건이 만족되면, 사용자 단말(200)의 프로세서(250)는 407 단계에서 인접 베스트 빔이 에지 빔에 속하지 않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프로세서(250)는 인접 셀(예: 제2 기지국 장치(102))이 제공한 RS 신호를 기반으로 인접 셀에서의 빔 인덱스 맵을 추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200)의 프로세서(250)는 핸드 오버 직전에 최종적으로 접속했던 빔 인덱스 값과 핸드 오버 이후에 최초 접속한 빔 인덱스 값 및 핸드오버 성공 여부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셀의 경계에 해당하는 인덱스 값을 DB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현재 핸드 오버 할 빔 인덱스가 셀 경계에서의 에지에 해당하는지 또는 중심에 해당하는지 추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인접 셀에 대한 빔 인덱스 맵 (또는 핸드 오버 하는 셀 경계에서의 빔 인덱스들 값 및 핸드 오버 성공 여부를 포함하는 빔 인덱스 정보, 또는 핸드 오버에 성공한 인접 빔 인덱스들 값 및 핸드 오버 성공 여부를 포함하는 빔 인덱스 정보)을 메모리(230)에 사전 저장하고, A3 이벤트 조건 만족 시, 메모리(230)에 저장된 인접 셀과 관련한 빔 인덱스 맵을 확인하여, A3 이벤트 조건이 발생한 인접 베스트 빔이 해당 빔 인덱스 맵에서의 에지 빔에 속하지 않는지 확인할 수 있다. If the A3 event condition is satisfied, the processor 250 of the user terminal 200 may check whether the adjacent best beam does not belong to the edge beam in step 407 . In this regard, the processor 250 may estimate the beam index map in the neighboring cell based on the RS signal provided by the neighboring cell (eg, the second base station apparatus 102 ). For example, the processor 250 of the user terminal 200 is located at the boundary of the cell based on the beam index value last accessed immediately before the handover, the beam index value initially accessed after the handover, and information on whether the handover was successful. The corresponding index value is converted into a DB, and based on this, it can be estimated whether the beam index to be handed over currently corresponds to the edge or the center of the cell boundary. In this regard, the user terminal 200 provides a beam index map for a neighboring cell (or beam index information including beam index values at the cell boundary to be handed over and whether or not the handover is successful, or a neighboring beam that has succeeded in handover). Pre-stored in the memory 230 (beam index information including index values and handover success), and when the A3 event condition is satisfied, the beam index map related to the adjacent cell stored in the memory 230 is checked, and the A3 event It can be checked whether the adjacent best beam in which the condition has occurred does not belong to the edge beam in the corresponding beam index map.

상기 인접 베스트 빔이 빔 인덱스 맵에서 에지 빔에 속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의 프로세서(250)는 409 단계에서 A3 이벤트에 대한 MR 리포트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50)는 A3 이벤트에 대한 MR 리포트 이후, 기지국 제어에 따라 핸드 오버 동작을 수행하여, 인접 베스트 빔으로 핸드 오버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50)는 핸드 오버 완료 이후, 401 단계로 분기하여 이하 동작을 재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adjacent best beam does not belong to an edge beam in the beam index map, the processor 250 of the user terminal 200 may perform an MR report for the A3 event in step 409 . Then, after the MR report for the A3 event, the processor 250 may perform a handover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base station to handover to the adjacent best beam. After completion of the handover, the processor 250 may branch to step 401 and control the following operations to be performed again.

상기 405 단계에서 측정된 RSRP 값들(예: 제1 기지국 장치(101)의 RSRP 값 및 제2 기지국 장치(102)의 RSRP 값)이 A3 이벤트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또는, 407 단계에서 인접 베스트 빔이 에지 빔에 속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이 프로세서(250)는 411 단계에서 A3 이벤트 리포트를 스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프로세서(250)는 별도의 핸드 오버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특정 상태 예컨대, 401 상태로 리턴할 수 있다. If the RSRP values (eg, the RSRP value of the first base station device 101 and the RSRP value of the second base station device 102) measured in step 405 do not satisfy the A3 event condition, or, in step 407, the neighbor best When the beam belongs to the edge beam,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processor 250 may skip the A3 event report in step 411 . In this regard, the processor 250 may return to a specific state, for example, state 401 without performing a separate handover opera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망 최적화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optimiz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핸드 오버 방법과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프로세서(250)는 501 단계에서, 현재 사용자 단말(200)이 핸드 오버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로세서(250)는 현재 위치에서 복수의 기지국 장치들로부터 신호(예; RS 신호, 또는 Beamformed SSB/CSI-RS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들 중 현재 서비스를 받고 있는 서빙 셀의 빔 신호의 특성(예: RSRP, RSRQ 등)이 다른 기지국 장치가 제공한 빔 신호의 특성(예: RSRP, RSRQ 등)보다 지정된 크기만큼 나쁜지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의 프로세서(250)는 503 단계에서 현재 상태를 유지하면서, 501 단계를 주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in relation to the handover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250 of the user terminal 200 may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user terminal 200 satisfies the handover condition in step 501 . have. For example, the processor 250 receives a signal (eg, an RS signal, or a beamformed SSB/CSI-RS signal) from a plurality of base station devices at a current location, and among the received signals, It can be checked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am signal (eg, RSRP, RSRQ, etc.) are worse tha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am signal (eg, RSRP, RSRQ, etc.) provided by other base station devices by a specified size. If the corresponding condition is not satisfied, the processor 250 of the user terminal 200 may periodically perform step 501 while maintaining the current state in step 503 .

한편, 501 단계에서, 핸드 오버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예: 서빙 셀(예: 제1 기지국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제1 빔 영역의 신호 특성이, 타겟 셀(예: 제2 기지국 장치(102))의 적어도 하나의 제2 빔 영역의 신호 특성보다 지정된 크기만큼 나쁜 경우), 프로세서(250)는 505 단계에서, 핸드 오버 빔 페어(예: 적어도 하나의 제1 빔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빔 페어)가 양호한 특성을 나타내는 페어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이전 핸드 오버 수행 시마다,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빔 페어들(예: 핸드 오버 이후 양호한 무선 특성을 나타낸 제1 기지국 장치(101)와 관련한 제1 빔 영역 또는 제1 빔 인덱스와, 제2 기지국 장치(102)와 관련한 제2 빔 영역 또는 제2 빔 인덱스)에 대한 이력을 메모리(230)에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양호한 무선 특성은 예컨대, 핸드 오버 이전 및 이후 링크 단절이나 핑퐁 현상이 지정된 시간 동안 또는 해당 빔 영역을 벗어나기 이전까지 발생하지 않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in step 501 , when a handover condition is satisfied (eg, a signal characteristic of at least one first beam region of a serving cell (eg, the first base station apparatus 101)), a signal characteristic of a target cell (eg, a second base station) is If the signal characteristics of the at least one second beam region of the device 102 are worse than the signal characteristics of the at least one second beam region by a specified amount), the processor 250 performs a handover beam pair (eg, at least one first beam and at least one beam in step 505 ). It may be confirmed whether the second beam pair) is a pair exhibiting good characteristics. In this regard, whenever the user terminal 200 performs a previous handover, beam pairs that satisfy a specified condition (eg, a first beam area associated with the first base station apparatus 101 exhibiting good radio characteristics after handover or The history of the first beam index and the second beam area or second beam index related to the second base station apparatus 102 may be stored and managed in the memory 230 . The good radio characteristic may include, for example, a condition in which a link disconnection or ping-pong phenomenon does not occur before and after handover for a specified time or before leaving a corresponding beam area.

상기 핸드 오버 빔 페어가 양호한 특성으로 지정된 이력에 속하는 경우, 프로세서(250)는 507 단계에서, 해당 빔 페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빔(또는 빔 인덱스)이 셀의 경계에 있는 빔이라 하더라도, 핸드 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250)는 셀 중심에 있는 빔들로만 구성된 양호한 특성의 빔 페어들을 기준으로 핸드 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If the handover beam pair belongs to a history designated as a good characteristic, in step 507, the processor 250 performs handover even if at least one beam (or beam index) of the corresponding beam pairs is a beam at the cell boundary. can be performed. Alternatively, the processor 250 may perform handover based on beam pairs having good characteristics composed only of beams located at the cell center.

상기 핸드 오버 빔 페어가 양호한 특성으로 지정된 이력에 속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250)는 509 단계에서, 비 경계 빔으로 핸드 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도 4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200)의 프로세서(250)는 지정된 기간 동안 지정된 횟수만큼(또는 랜덤하게) 셀 경계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빔으로의 핸드 오버를 수행하고, 해당 핸드 오버 수행 결과에 대한 빔 페어들의 무선 특성(예: 핸드 오버 이전 및 이후 링크 단절이나 핑퐁 현상이 발생할 확률)을 메모리(230)에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빔 페어들의 무선 특성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도 5에서 설명한 핸드 오버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f the handover beam pair does not belong to a history designated as a good characteristic, the processor 250 may perform the procedure of FIG. 4 for performing a handover with a non-boundary beam in step 509 .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or 250 of the user terminal 200 performs handover to at least one beam located at the cell boundary a specified number of times (or randomly) during a specified period, and provides a beam pair for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handover. The wireless characteristics (eg, the probability that a link disconnection or a ping-pong phenomenon occurs before and after handover) may be stored and managed in the memory 230 . The processor 250 may control to perform the handover opera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radio characteristics of the beam pair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은 셀 경계 beam을 무조건 회피하기보다, 상대적으로 핸드 오버 후 무선 특성이 양호한 특정 경계 beam에 대해 통계나 학습을 기반으로 핸드 오버에 이용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200)은 도 4에서 설명한 edge beam을 회피하기 위한 구조 외에도 에지 빔을 이용한 핸드 오버 동작을 사전 정책에 따라 수행하는 구조를 동시에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에지 빔을 이용한 핸드 오버 동작의 성공 여부를 바탕으로 {Source셀 beam, Target셀 beam} 조합들에 대해 핸드 오버 성공률의 통계를 축적하거나 Hand-over결과를 학습하고, 학습을 바탕으로, 단순히 셀 경계가 아닌 성공률이 높은 {Source셀 beam, Target셀 beam} 조합에 대해서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user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unconditionally avoiding the cell boundary beam, performs handover based on statistics or learning for a specific boundary beam having relatively good radio characteristics after handover. can support you to use it. In this regard, the user terminal 200 may simultaneously have a structure for performing a handover operation using an edge beam according to a prior policy in addition to the structure for avoiding the edge beam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200 accumulates the statistics of the handover success rate for the {Source cell beam, Target cell beam} combinations based on the success of the handover operation using the edge beam or learns the handover result, , based on learning, it can be supported to perform handover for a combination of {Source cell beam, Target cell beam} having a high success rate, not simply a cell boundar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while this specification contains numerous specific implementation details, these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as to the scope of any invention or claim, but rather may be specific to particular embodiments of a particular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as a description of features.

또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Also, although acts are depicted in the drawings in a particular order, it should not be construed that all acts shown must be performed or that such acts must be performed in the specific order or sequential order shown to obtain desirable results. In certain case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may be advantageous. Further, the separation of various system component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quiring such separation in all embodiments, and the program components and systems described may generally be integrated together into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packaged into multiple software products. You have to understand that you can.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The present description sets forth the best mode of the invention, and provides examples to illustrate the invention, an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invention. The specification thus prepare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terms presented. Accordingly,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modifications,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exampl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셀 경계에서의 합리적인 핸드 오버를 수행함으로써, 양호한 빔 영역으로 핸드 오버를 수행하여 개선된 무선 환경에서의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erforming a reasonable handover at a cell boundary, it is possible to perform handover to a good beam area to support use of a communication service in an improved wireless environment.

10: 무선통신 시스템
101, 102: 기지국 장치
110: 기지국 통신 회로
130: 기지국 메모리
150: 기지국 프로세서
200: 사용자 단말
210: 통신 회로
230: 메모리
240: 디스플레이
250: 프로세서
10: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1, 102: base station device
110: base station communication circuit
130: base station memory
150: base station processor
200: user terminal
210: communication circuit
230: memory
240: display
250: processor

Claims (10)

사용자 단말이, 핸드 오버를 수행하면서 획득한, 상기 핸드 오버 직전에 최종적으로 접속했던 빔 인덱스 값과 상기 핸드 오버 이후 최초 접속한 빔 인덱스 값, 핸드 오버하는 기지국 장치에 대응하는 셀 영역 중 경계 영역 이외의 중심 영역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빔 인덱스 값 또는 상기 핸드 오버 성공 여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데이터베이스화 한 빔 인덱스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서빙 셀에 대응하는 제1 기지국 장치가 mmWave 대역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에 송출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빔의 제1 무선 특성과, 인접 셀에 대응하는 제2 기지국 장치가 mmWave 대역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에 송출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빔의 제2 무선 특성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무선 특성이 상기 제2 무선 특성에 비하여 지정된 크기만큼 낮은 경우, 상기 빔 인덱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빔이 상기 인접 셀에서의 경계 영역에 배치된 빔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빔이 인접셀의 경계 영역에 배치된 빔으로 판단되는 경우, 핸드 오버 동작을 보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경계에서의 핸드 오버 방법.
The user terminal acquired while performing the handover, the beam index value last accessed immediately before the handover, the beam index value initially accessed after the handover, and a cell area other than the boundary area among the cell areas corresponding to the base station device to be handed over storing at least one beam index value corresponding to a central region of , or beam index information obtained by converting at least a portion of information on whether the handover succeeds or not;
When the user terminal transmits the mmWave band signal to the at least one first area by the first base station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erving cell, the first radio characteristic of at least one first beam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first area And, when a second base station device corresponding to an adjacent cell transmits an mmWave band signal to at least one second area, comparing second radio characteristics of at least one second beam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second area step;
When the first radio characteristic is lower than the second radio characteristic by a specified size, the user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beam is a beam disposed in a boundary area in the neighboring cell based on the beam index information and suspending the handover oper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beam is a beam disposed in a boundary region of an adjacent ce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빔은 상기 핸드 오버 직전에 최종적으로 접속했던 빔 인덱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빔은 상기 핸드 오버하는 기지국 장치에 대응하는 셀 영역 중 경계 영역 이외의 중심 영역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빔 인덱스 또는 상기 핸드 오버에 성공한 빔 인덱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경계에서의 핸드 오버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at least one first beam corresponds to at least one of beam indexes that were finally accessed just before the handover, and the at least one second beam corresponds to a cell area other than a boundary area of a cell area corresponding to the base station to which the handover is performed. A handover method at a cell boundary, characterized in that it corresponds to at least one of at least one beam index corresponding to a central region of , or at least one of beam indexes that have succeeded in the hando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빔의 제1 무선 특성에 해당하는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값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빔의 제2 무선 특성에 해당하는 RSRP 값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경계에서의 핸드 오버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comparing step
Comparing a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value corresponding to a first radio characteristic of the at least one first beam and an RSRP value corresponding to a second radio characteristic of the at least one second beam; Containing A handover method at a cell boundary,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류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빔이 상기 인접 셀에서의 경계 영역에 배치된 빔인 경우, 메모리에 기 저장된 핸드 오버에 대한 양호 특성을 가지는 이력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빔이 상기 핸드 오버에 대한 양호 특성을 가지는 이력 정보에 포함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빔을 이용하여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경계에서의 핸드 오버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holding step is
when the at least one second beam is a beam disposed in a boundary region of the adjacent cell, checking history information having a good characteristic for handover pre-stored in a memory;
and performing a handover using the at least one second beam when the at least one second beam is included in the history information having a good characteristic for the handover. handover method in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양호 특성을 가지는 이력 정보는 상기 서빙 셀의 경계에 위치한 빔 인덱스와 상기 핸드 오버를 성공한 인접 셀의 중심 빔 인덱스의 페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경계에서의 핸드 오버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handover method at the cell boundary, characterized in that the history information having the good characteristic includes pair information of a beam index located at a boundary of the serving cell and a center beam index of a neighboring cell that has succeeded in the handover.
제1 기지국 장치 또는 제2 기지국 장치와 mmWave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 회로;
상기 제1 기지국 장치가 영역별로 송출하는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들 및 상기 제2 기지국 장치가 영역별로 송출하는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들을 이용하여 구성되며 핸드 오버를 수행하면서, 상기 핸드 오버 직전에 최종적으로 접속했던 빔 인덱스 값과, 상기 핸드 오버 이후 최초 접속한 빔 인덱스 값, 핸드 오버하는 기지국 장치에 대응하는 셀 영역 중 경계 영역 이외의 중심 영역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빔 인덱스 값 또는 상기 핸드 오버 성공 여부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셀의 경계에 해당하는 인덱스 값 중 적어도 일부를 데이터베이스화 한 빔 인덱스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통신 회로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빙 셀 내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빔의 제1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값과 및 상기 인접 셀 내의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빔의 제2 RSRP 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값이 지정된 크기만큼 차이가 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빔이 상기 인접 셀에서의 경계 영역에 배치된 빔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빔이 인접셀의 경계 영역에 배치된 빔으로 판단되는 경우, 핸드 오버 동작을 보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경계에서의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a communication circu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in an mmWave band to and from the first base station device or the second base station device;
It is configured using reference signals transmitted by the first base station apparatus for each area and reference signals transmitted by the second base station apparatus for each area, and while performing handover, immediately before the handover. The last accessed beam index value, the first accessed beam index value after the handover, and at least one beam index value corresponding to a center area other than the boundary area among cell areas corresponding to the base station to be handed over or the handover a memory for storing beam index information in which at least some of the index values corresponding to the cell boundary are converted into a database based on the success or failure information;
a processor coupled to the communication circuitry and the memory;
the processor is
A first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value of at least one first beam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first area in the serving cell and at least one second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second area in the adjacent cell Compare the second RSRP value of the beam,
When the comparison value differs by a specified siz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t least one second beam is a beam disposed in a boundary area of the adjacent cell, and the second beam is disposed in a boundary area of the adjacent cell. A user terminal performing handover at a cell boundary,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over operation is suspended when it is determined as a bea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빔이 상기 인접 셀에서의 경계 영역에 배치된 빔인 경우, 메모리에 기 저장된 핸드 오버에 대한 양호 특성을 가지는 이력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빔이 상기 핸드 오버에 대한 양호 특성을 가지는 이력 정보에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제2 기지국 장치에 의한 셀 영역 중 경계 영역 이외의 중심 영역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빔 인덱스에 포함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빔을 이용하여 핸드 오버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경계에서의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7. The method of claim 6,
the processor is
If the at least one second beam is a beam disposed in a boundary region of the adjacent cell, check history information having a good characteristic for handover pre-stored in a memory;
The at least one second beam is included in the history information having a good characteristic for the handover or is included in at least one beam index corresponding to a center area other than the boundary area among the cell areas by the second base station apparatus case, the user terminal performing handover at a cell boundary, characterized in that controlling to perform handover using the at least one second bea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양호 특성을 가지는 이력 정보는 상기 서빙 셀의 경계에 위치한 빔 인덱스와 상기 핸드 오버를 성공한 인접 셀의 중심 빔 인덱스의 페어 정보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셀 경계에서의 사용자 단말.
8. The method of claim 7,
The history information having the good characteristic includes pair information of a beam index located at a boundary of the serving cell and a center beam index of a neighboring cell that has succeeded in the handover.
제1 기지국 장치 또는 제2 기지국 장치와 mmWave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 회로;
상기 제1 기지국 장치가 영역별로 송출하는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들 및 상기 제2 기지국 장치가 영역별로 송출하는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들을 이용하여 구성되며 핸드 오버를 수행하면서, 상기 핸드 오버 이후 최초 접속한 인접 셀의 빔 인덱스 값 및 상기 핸드 오버 성공 확률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셀의 경계에 해당하는 인덱스 값을 데이터베이스화 한 빔 인덱스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통신 회로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빙 셀 내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빔의 제1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값이 지정된 제1 값 미만이거나 또는 상기 인접 셀 내의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빔의 제2 RSRP 값이 지정된 제2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빔 인덱스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빔에 대한 핸드 오버 성공 확률을 확인하고,
상기 핸드 오버 성공 확률이 지정된 값 미만인 경우, 핸드 오버 동작을 보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경계에서의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a communication circu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in an mmWave band to and from the first base station device or the second base station device;
It is configured using reference signals transmitted by the first base station apparatus for each area and reference signals transmitted by the second base station apparatus for each area, and while performing handover, the first time after the handover a memory for storing beam index information obtained by databaseizing an index value corresponding to a boundary of a cell based on a beam index value of an accessed neighboring cell and information on the handover success probability;
a processor coupled to the communication circuitry and the memory;
the processor is
A first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value of at least one first beam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first area in the serving cell is less than a specified first value or corresponds to at least one second area in the adjacent cell If the second RSRP value of the at least one second beam to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pecified second value,
check a handover success probability for the at least one second beam based on the beam index information;
A user terminal performing handover at a cell boundary,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over operation is suspended when the handover success probability is less than a specified value.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이, 핸드 오버를 수행하면서 획득한, 상기 핸드 오버 직전에 최종적으로 접속했던 빔 인덱스 값과 상기 핸드 오버 이후 최초 접속한 빔 인덱스 값 및 상기 핸드 오버 성공 여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데이터베이스화 한 빔 인덱스 정보를 수신하는 기지국 통신 회로;
상기 빔 인덱스 정보를 저장하는 기지국 메모리;
새로운 사용자 단말이 상기 기지국 장치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빔 인덱스 정보를 상기 새로운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기지국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At least one of a beam index value obtained by the user terminal while performing a handover from a user terminal, a beam index value last accessed immediately before the handover, a beam index value first accessed after the handover, and information on whether the handover is successful a base station communication circuit for receiving beam index information in which a part is databased;
a base station memory for storing the beam index information;
and a base station processor providing the beam index information to the new user terminal when a new user terminal enters the base station apparatus.
KR1020200180518A 2020-12-22 2020-12-22 Method of Hand-over in an edge of cell and user equipment supporting the same KR2022008988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518A KR20220089881A (en) 2020-12-22 2020-12-22 Method of Hand-over in an edge of cell and user equipment suppor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518A KR20220089881A (en) 2020-12-22 2020-12-22 Method of Hand-over in an edge of cell and user equipment support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881A true KR20220089881A (en) 2022-06-29

Family

ID=82270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518A KR20220089881A (en) 2020-12-22 2020-12-22 Method of Hand-over in an edge of cell and user equipment support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988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91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radio link
US11483720B2 (en)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US10993134B2 (en) Radio resource measurement method, radio resource sel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116119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beam management in high frequency multi-carrier operations with spatial quasi co-location
US10454551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measurement parameters using beamforming
CN107836086B (en) Method for supporting mobility and user equipment
US10425875B2 (en) Network-side device, user equipment, and blind area management method
EP3788724B1 (en) Beam management and participation in a beam management procedure
KR10198009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operativ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980093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rvice in a next generation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10701621B2 (en) Small cell discovery in a communication network
EP31676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 point selection
CN109155955A (en) For controlling mobility method and device in wireless network
KR20140090030A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change reference signal
KR20220083030A (en) Method of Handover, Base-station device and user equipment supporting the same
CN102474791A (en) Method of managing handover in a cellular wireless system
US20200044716A1 (en) Channel Tracking in Beam Based Mobility, a Radio Receiver, and a Radio Transmitter
KR20220089881A (en) Method of Hand-over in an edge of cell and user equipment supporting the same
KR10161675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frequency allo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40056924A1 (en) Method and apparauts for handling transmission-reception points in communication system
US12003993B2 (en) Radio resource measurement method, radio resource sel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230170970A1 (en)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recoding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