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9511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인증 및 가입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인증 및 가입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9511A
KR20220089511A KR1020200180213A KR20200180213A KR20220089511A KR 20220089511 A KR20220089511 A KR 20220089511A KR 1020200180213 A KR1020200180213 A KR 1020200180213A KR 20200180213 A KR20200180213 A KR 20200180213A KR 20220089511 A KR20220089511 A KR 20220089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ndle
apdu
modem
por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종회
윤강진
이덕기
강수정
임태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0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9511A/ko
Priority to US17/556,813 priority patent/US20220201475A1/en
Priority to PCT/KR2021/019417 priority patent/WO2022139373A1/en
Publication of KR20220089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5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3Processing at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40Security arrangements using identity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40Security arrangements using identity modules
    • H04W12/45Security arrangements using identity modules using multiple identity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스마트 보안 매체를 탑재한 Multi-SIM을 지원하는 단말과 복수 개의 활성화된 텔레콤 번들 간 연결 그리고 Multi-SIM을 지원하는 단말과 단일 텔레콤 번들 내 복수 개 프로파일 간 연결을 관리하는 기술에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인증 및 가입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TO MANAGE AUTHENTICATION AND SUBSCRIPTION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인증 및 가입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5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이후(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매시브 다중 입력 다중출력(massive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전차원 MIMO(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포밍(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evice to device: D2D) 통신,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moving network),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 제거(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hybrid frequency shift keying and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및 SWSC(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억세스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 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것과 이동통신 시스템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이러한 서비스들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무선 통신 세대를 거듭하면서 발전한 과정을 돌아보면 음성, 멀티미디어, 데이터 등 주로 인간 대상의 서비스를 위한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5G(5th-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폭발적인 증가 추세에 있는 커넥티드 기기들이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네트워크에 연결된 사물의 예로는 차량, 로봇, 드론, 가전제품, 디스플레이, 각종 인프라에 설치된 스마트 센서, 건설기계, 공장 장비 등이 있을 수 있다. 모바일 기기는 증강현실 안경, 가상현실 헤드셋, 홀로그램 기기 등 다양한 폼팩터로 진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6G (6th-generation) 시대에는 수천억 개의 기기 및 사물을 연결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선된 6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6G 통신 시스템은 5G 통신 이후 (beyond 5G)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2030년쯤 실현될 것으로 예측되는 6G 통신 시스템에서 최대 전송 속도는 테라 (즉, 1,000기가) bps, 무선 지연시간은 100마이크로초(μsec) 이다. 즉, 5G 통신 시스템대비 6G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 속도는 50배 빨라지고 무선 지연시간은 10분의 1로 줄어든다.
이러한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 및 초저(ultra low) 지연시간을 달성하기 위해, 6G 통신 시스템은 테라헤르츠(terahertz) 대역(예를 들어, 95기가헤르츠(95GHz)에서 3테라헤르츠(3THz)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테라헤르츠 대역에서는 5G에서 도입된 밀리미터파(mmWave) 대역에 비해 더 심각한 경로손실 및 대기흡수 현상으로 인해서 신호 도달거리, 즉 커버리지를 보장할 수 있는 기술의 중요성이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커버리지를 보장하기 위한 주요 기술로서 RF(radio frequency) 소자, 안테나,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보다 커버리지 측면에서 더 우수한 신규 파형(waveform), 빔포밍(beamforming) 및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massive MIMO), 전차원 다중 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다중 안테나 전송 기술 등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 외에도 테라헤르츠 대역 신호의 커버리지를 개선하기 위해 메타물질(metamaterial) 기반 렌즈 및 안테나, OAM(orbital angular momentum)을 이용한 고차원 공간 다중화 기술, RIS(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 등 새로운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주파수 효율 향상 및 시스템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6G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향링크(uplink)와 하향링크(downlink)가 동일 시간에 동일 주파수 자원을 동시에 활용하는 전이중화(full duplex) 기술, 위성(satellite) 및 HAPS(high-altitude platform stations)등을 통합적으로 활용하는 네트워크 기술, 이동 기지국 등을 지원하고 네트워크 운영 최적화 및 자동화 등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구조 혁신 기술, 스펙트럼 사용 예측에 기초한 충돌 회피를 통한 동적 주파수 공유 (dynamic spectrum sharing) 기술, AI (artificial intelligence)를 설계 단계에서부터 활용하고 종단간(end-to-end) AI 지원 기능을 내재화하여 시스템 최적화를 실현하는 AI 기반 통신 기술, 단말 연산 능력의 한계를 넘어서는 복잡도의 서비스를 초고성능 통신과 컴퓨팅 자원(mobile edge computing (MEC), 클라우드 등)을 활용하여 실현하는 차세대 분산 컴퓨팅 기술 등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6G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될 새로운 프로토콜의 설계, 하드웨어 기반의 보안 환경의 구현 및 데이터의 안전 활용을 위한 메커니즘 개발 및 프라이버시 유지 방법에 관한 기술 개발을 통해 디바이스 간의 연결성을 더 강화하고, 네트워크를 더 최적화하고, 네트워크 엔티티의 소프트웨어화를 촉진하며, 무선 통신의 개방성을 높이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6G 통신 시스템의 연구 및 개발로 인해, 사물 간의 연결뿐만 아니라 사람과 사물 간의 연결까지 모두 포함하는 6G 통신 시스템의 초연결성(hyper-connectivity)을 통해 새로운 차원의 초연결 경험(the next hyper-connected experience)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구체적으로 6G 통신 시스템을 통해 초실감 확장 현실(truly immersive extended reality; truly immersive XR), 고정밀 모바일 홀로그램(high-fidelity mobile hologram), 디지털 복제(digital replica) 등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보안 및 신뢰도 증진을 통한 원격 수술(remote surgery), 산업 자동화(industrial automation) 및 비상 응답(emergency response)과 같은 서비스가 6G 통신 시스템을 통해 제공됨으로써 산업, 의료, 자동차, 가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될 것이다.
한편, 복수 개의 네트워크들에 억세스할 수 다중-가입자 식별 모듈(multi-SIM: multi-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단말이 보편화되고 있다. multi-SIM 단말의 모뎀(MODEM)은 복수 개의 SIM들 또는 복수 개의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 (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들을 사용하여 동시에 복수 개의 이동 통신 사업자의 네트워크들에 독립적으로 억세스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에게 향상된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ulti-SIM 단말의 모뎀은 하나의 SIM은 통화 전용으로 사용하고, 다른 하나의 SIM은 데이터 통신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국가/지역 간 이동 시 로밍(roaming) 서비스 대신 복수 개의 SIM들을 사용하여 해당 국가/지역에서 최적화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multi-SIM 단말은 범용 통합 회로 카드(UICC: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또는 내장형 UICC(eUICC: embedded UICC)를 복수 개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스마트 보안 플랫폼(SSP: Smart Secure Platform) 단말의 경우, 복수 개의 텔레콤 번들(Telecom Bundle)을 활성화시킴으로써 multi-SIM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에, 복수 개의 UICC들, 복수 개의 eUICC들, 또는 SSP에 설치된 복수 개의 텔레콤 번들과 multi-SIM 단말, multi-SIM 단말의 모뎀 간에 다양한 기술적 이슈들과 이런 다양한 기술적 이슈들을 고려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일 측면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인증 및 가입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다른 측면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텔레콤 번들을 활성화하여 모뎀에 연결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또 다른 측면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마트 보안 플랫폼(smart secure platform)의 텔레콤 번들(telecom bundle) 및 텔레콤 프로파일(telecom profile)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또 다른 측면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포함된 텔레콤 번들(또는 통신 번들)을 활성화하여 모뎀에 연결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또 다른 측면은 하나의 텔레콤 번들 안에 복수 개의 프로파일들이 설치되어 있고, 복수 개의 프로파일들이 동시에 활성화되어 사용 가능한 단말에서 모뎀과 프로파일 간의 연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마트 보안 매체와 연결되는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스마트 보안 매체의 제1 번들(bundle)을 활성화하는 동작; 상기 활성화된 제1 번들과 상기 단말의 모뎀 간에 상기 활성화된 제1 번들 내의 제1 보안 관련 엔티티로 상기 스마트 보안 매체를 제어하는 커맨드(command)를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 APDU) 파이프(pipe)를 형성하는 동작; 및 상기 활성화된 제1 번들과 상기 단말의 모뎀 간에 상기 스마트 보안 매체와 상기 단말의 모뎀 사이의 인터페이스인 제1 스마트 보안 매체 포트(port)를 통해 APDU를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제2 APDU 파이프를 형성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마트 보안 매체와 연결되는 단말이 제공되고, 상기 단말은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에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보안 매체의 제1 번들(bundle)을 활성화하고, 상기 활성화된 제1 번들과 상기 단말의 모뎀 간에 상기 활성화된 제1 번들 내의 제1 보안 관련 엔티티로 상기 스마트 보안 매체를 제어하는 커맨드(command)를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 APDU) 파이프(pipe)를 형성하고, 및 상기 활성화된 제1 번들과 상기 단말의 모뎀 간에 상기 스마트 보안 매체와 상기 단말의 모뎀 사이의 인터페이스인 제1 스마트 보안 매체 포트(port)를 통해 APDU를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제2 APDU 파이프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본 개시의 방법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SSP에 설치된 텔레콤 번들을 활성화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텔레콤 번들을 활성화 시키는 단계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활성화할 텔레콤 번들과 iSIM 포트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텔레콤 번들 식별자와 iSIM 포트 식별자를 이용하여 텔레콤 번들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된 텔레콤 번들을 모뎀의 특정한 심포트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본 개시의 텔레콤 번들과 모뎀을 연결하는 단계는, 텔레콤 번들과 모뎀 사이 연결된 pipe의 식별자와 모뎀의 iSIM 포트 식별자를 기반으로 텔레콤 번들과 모뎀을 연결하는 단계; 또는 텔레콤 번들과 모뎀 간 pipe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한 gate의 식별자와 모뎀의 iSIM 포트 식별자를 기반으로 텔레콤 번들과 모뎀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본 개시의 텔레콤 번들 내 프로파일과 모뎀을 연결하는 단계는, 모뎀과 텔레콤 번들 사이에 추가적은 pipe를 생성하고 상기 프로파일 용도로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본 개시의 텔레콤 번들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텔레콤 번들을 관리하기 위한 용도로 별도의 pipe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보안 매체를 포함하는 단말의 방법은 상기 스마트 보안 매체의 제1 통신 번들을 활성화하는 동작; 상기 활성화된 제1 통신 번들과 상기 단말의 모뎀 간의 제1 APDU 파이프를 형성하는 동작; 및 상기 형성된 제1 APDU 파이프와 상기 모뎀의 제1 심 포트를 매핑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심 포트는 제1 논리적 베이스밴드와 연관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보안 매체를 포함하는 단말의 방법은 상기 스마트 보안 매체의 제1 통신 번들을 활성화하는 동작; 상기 활성화된 제1 통신 번들과 상기 단말의 모뎀 간의 제2 APDU 파이프를 형성하는 동작; 및 상기 형성된 제2 APDU 파이프와 상기 모뎀의 제2 심 포트를 매핑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심 포트는 제1 통신 번들의 관리 기능과 연관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보안 매체를 포함하는 단말의 방법은 상기 스마트 보안 매체의 제1 통신 번들을 활성화하는 동작; 상기 활성화된 제1 통신 번들과 상기 단말의 모뎀 간의 제3 APDU 파이프를 형성하는 동작; 및 상기 형성된 제3 APDU 파이프와 상기 모뎀의 제3 심 포트를 매핑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심 포트는 제1 통신 번들의 제2 논리적 베이스밴드와 연관될 수 있으며, 제3 심포트는 제1 통신 번들의 제1 eSIM 포트와 연관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SSP 단말의 내부 구성요소와 구성요소 간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SSP 단말이 번들을 다운로드 하기 위한 단말 내, 외부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eUICC 단말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iSSP 단말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뎀과 텔레콤 번들 간 APDU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구성 요소를 나타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iSSP 내에서 호스트들이 게이트를 통하여 파이프를 생성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의 Multi-SIM 모뎀과 iSSP 내 복수 개의 텔레콤 번들이 각 iSIM port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의 Multi-SIM 모뎀과 iSSP 내 복수 개의 텔레콤 번들이 각 iSIM port에 연결된 상태에 대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뎀 호스트와 텔레콤 번들 간 통신을 위한 파이프 형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Multi-SIM 모뎀에 복수 개의 텔레콤 번들이 활성화 되어 iSIM 포트에 연결된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Multi-SIM 모뎀에 복수 개의 텔레콤 번들이 활성화 되어 iSIM 포트에 연결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텔레콤 번들 2개를 활성화하여 모뎀의 심 포트 2개에 각각 할당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텔레콤 번들 2개를 활성화하여 모뎀의 심 포트 2개에 각각 할당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Multi-SIM 모뎀에 복수 개의 프로파일(profile)들을 동시에 활성화할 수 있는 eSIM 번들이 연결된 경우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Multi-SIM 모뎀에 복수 개의 프로파일들을 동시에 활성화할 수 있는 eSIM 번들이 연결된 경우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Multi-SIM 모뎀에 복수 개의 프로파일들을 동시에 활성화할 수 있는 eSIM 번들이 연결된 경우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단말 소프트웨어가 iSSP의 텔레콤 번들을 제어하는 동작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a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텔레콤 패키지를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6b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텔레콤 패키지를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텔레콤 번들 또는 텔레콤 번들에 설치된 프로파일을 활성화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MEP RSP 번들을 활성화하여 iSIM 포트와 연결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MEP RSP 번들을 활성화하여 iSIM 포트와 연결하고, 각 iSIM 포트에 프로파일을 활성화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마트 보안 매체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내부 구조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개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개시는 Multi-SIM 기능을 지원하는 모뎀과 스마트 보안 매체를 포함하는 단말에서 통신 번들을 활성화하고 모뎀과 연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활성화된 통신 번들을 모뎀의 특정한 심 포트에 연결하여, 모뎀 내 특정한 논리적 베이스 밴드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망에 접속하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목적은 예시적인 실시 예를 따른 SSP 단말에 포함된(설치된) 텔레콤 번들(통신 번들)을 활성화하여 모뎀에 연결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본 개시는 모뎀이 Multi-SIM을 지원하는 경우, 복수 개의 포트 중 특정 포트를 지정하여 텔레콤 번들을 활성화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본 개시는 Multi-SIM을 지원하는 모뎀의 복수 개 베이스 밴드가 서로 다른 라디오 엑세스 테크놀로지 (Radio Access Technology, RAT) capability를 가지고 있을 때,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특정 번들을 활성화시켜 특정 라디오 엑세스 테크놀로지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망에 접속하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일 측면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인증 및 가입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다른 측면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텔레콤 번들을 활성화하여 모뎀에 연결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또 다른 측면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마트 보안 플랫폼(smart secure platform)의 텔레콤 번들(telecom bundle) 및 텔레콤 프로파일(telecom profile)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또 다른 측면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포함된 텔레콤 번들(또는 통신 번들)을 활성화하여 모뎀에 연결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또 다른 측면은 하나의 텔레콤 번들 안에 복수 개의 프로파일들이 설치되어 있고, 복수 개의 프로파일들이 동시에 활성화되어 사용 가능한 단말에서 모뎀과 프로파일 간의 연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SP 단말에 설치된 복수 개의 텔레콤 번들을 Multi-SIM 모뎀의 기능을 고려하여 활성화 및 연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SSP 단말에서 Multi-SIM을 지원하기 위해서 개시된 실시 예를 통해서 복수 개의 텔레콤 번들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SSP 단말의 모뎀의 gate와 pipe 및 iSIM (integrated SIM) 포트의 관리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개시는 복수 개의 프로파일을 동시에 활성화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가진 텔레콤 번들을 지원하는 단말에서, 모뎀과 프로파일 간의 통신에 관여하는 gate와 pipe 및 iSIM 포트의 관리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개시는 복수 개의 프로파일을 동시에 활성화시킬 수 있는 텔레콤 번들을 관리하기 위해서 별도의 관리용 iSIM 포트를 생성하고, 관리용 iSIM 포트에 대응하는 pipe를 추가로 생성하여 관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개시는 Multi-SIM 단말 사용자로 하여금, 단말에서 사용가능한 통신 회선들을 그 통신 회선에 대한 정보가 텔레콤 번들의 형태인지 프로파일의 형태인지를 알 필요없이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UI (User Interface)의 예시를 제안한다. 그리고 제안하는 UI를 통해 사용자가 특정 통신 회선을 선택했을 때. 단말 소프트웨어가 적절한 iSIM 포트에 텔레콤 번들 또는 프로파일을 활성화하여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포함한다(include, comprise)"는 용어는 "구비하다(equip)", "탑재하다(mount)", "내장하다(embed)", 등과 같은 용어들 역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할 것이다.
기존의 범용 통합 회로 카드(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UICC), 내장형 UICC(embedded UICC: eUICC) 등을 포함하는 단말의 모뎀(MODEM)은 UICC 또는 eUICC와 ISO 7816-3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하지만, 통합 SSP(iSSP: integrated SSP) 또는 통합 eUICC(integrated eUICC)와 같이 보안 매체(secure medium)가 통신 프로세스(Communication Processor: CP) 시스템 온 칩(System-on-Chip: SoC)에 내장된 경우, ISO 7816-3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모뎀과 보안 매체가 연결될 수 없고, 따라서 단말의 모뎀과 보안 매체를 연결하기 위한 다른 방식이 필요로 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iSSP 또는 integrated eUICC 단말의 모뎀과 보안 매체 간 인터페이스가 될 수 있는 호스트 제어기 인터페이스(HCI: Host Controller Interface) 기반의 모뎀과 보안 매체간 연결 방식을 제시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들의 사용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1) 보안매체 (SE, eSE, UICC, eUICC, SSP)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보안 매체는 예를 들어 보안 엘리먼트(SE: Secure Element), 내장형 SE(eSE: Embedded Secure Element), UICC, eUICC, SS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SE는 보안 정보(예: 이동 통신 네트워크 억세스 키, 신분증/여권 등과 같은 사용자 신원 확인 정보, 신용 카드 정보, 암호화 키, 등)를 저장하고, 저장된 보안 정보를 사용하는 제어 모듈(예: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등의 네트워크 억세스 제어 모듈, 암호화 모듈, 키 생성 모듈 등)을 포함하고 운영할 수 있는 단일 칩으로 구성된 보안 모듈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SE는 다양한 전자 장치들(예: 스마트폰, 태블릿, 웨어러블 장치, 자동차,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장치, 등)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보안 정보와 제어 모듈을 통해 보안 서비스(예: 이통 통신 네트워크 억세스, 결제, 사용자 인증, 등)를 제공할 수 있다. SE는 UICC(, eSE, UICC와 eSE가 통합된 형태인 스마트 보안 플랫폼(SSP: Smart Secure Platform)을 통칭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SE의 형태는 전자 장치에 연결 또는 설치되는 형태에 따라 탈착식(Removable), 내장식(Embedded), 그리고 특정 소자 또는 SoC에 통합되는 통합식(Integrated)으로 세분화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eSE는 전자 장치에 내장되어 사용되는 SE를 의미한다. eSE는 통상적으로 단말 제조사의 요청에 의해 제조사 전용으로 제조되며, 운영 체제(OS: Operating System)와 프레임워크(framework)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eSE는 원격으로 애플릿(Applet) 형태의 서비스 제어 모듈을 다운받아 설치하고, 전자 지갑, 티켓팅, 전자 여권, 디지털 키 등과 같은 다양한 보안 서비스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원격으로 서비스 제어 모듈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는, 전자 장치에 통합된 단일 칩 형태의 SE를 eSE로 칭하기로 한다.
한편,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UICC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이다. UICC에는 이동 통신 사업자의 네트워크에 억세스하기 위한 억세스 제어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억세스 제어 모듈은 예를 들어, USIM, 가입자 식별 모듈(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비스 가입 식별 모듈(ISIM: IP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ervice Identity Modul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USIM이 포함된 UICC를 통상 USIM 카드라고 부르기도 한다. 마찬가지로 SIM 모듈이 포함된 UICC를 통상적으로 SIM 카드라고 부르기도 한다.
한편, SIM은 UICC 제조 시 UICC에 포함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사용하고자 하는 이동 통신 서비스의 SIM 모듈이 UICC에 다운로드될 수 도 있다. UICC는 또한 복수 개의 SIM 모듈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고 그 중의 적어도 한 개의 SIM 모듈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UICC는 폼 팩터(form factor)에 따라 단말에 고정되어 사용되거나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칩 형태로 단말에 내장되어 사용되는 UICC가 eUICC이며, 특히 단말의 통신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CP),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또는 CP 및 AP가 통합된 단일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SoC에 내장된 UICC를 통합 UICC(iUICC: Integrated UICC)라고 칭하기도 한다. 통상적으로 eUICC와 iUICC는 단말에 고정으로 내장되어 사용되고, eUICC 또는 iUICC는 원격으로 SIM 모듈을 다운로드하여 이동 통신 사업자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서비스에 억세스할 수 있다. eUICC 또는 iUICC는 제조 시에 특정 SIM 모듈이 포함된 채로 출시되어 단말에 포함될 수 있다. eUICC에 다운로드된 후 사용되는 SIM 정보 및 USIM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정보와 네트워크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인증 정보가 소프트웨어 형태로 패키징된 것이 eUICC 프로파일 (eUICC profile)일 수 있다. eUICC 프로파일은 eSIM 프로파일 (eSIM profile) 또는 iUICC 프로파일 (iUICC profile) 또는 USIM 프로파일 (USIM profile)이라 칭해질 수 있고, 또는 더 간단히 프로파일(profile) 이라 칭해질 수 불릴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스마트 보안 매체, 예를 들어 스마트 보안 플랫폼(SSP: Smart Secure Platform)은 UICC와 eSE의 기능을 단일 칩에서 지원할 수 있는 보안 모듈이다. SSP는 탈착 가능 SSP(rSSP: Removable SSP), 내장 SSP(eSSP: Embedded SSP) 그리고 단말의 SoC에 내장된 iSSP로 구분될 수 있다. SSP는 하나의 프라이머리 플랫폼(PP: Primary Platform)과 프라이머리 플랫폼 상에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SPB: Secondary Platform Bundle)을 포함할 수 있으며, PP는 하드웨어 플랫폼과 하위 레벨 운영 체제(Low Level Operating System: LLO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SPB는 상위 레벨 운영 체제 (High-level Operating System: HLOS) 및 HLOS 상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SPB는 SSP의 PP 상에서 PP의 자원을 사용하여 구동되며, 예를 들면 UICC 번들은 기존 UICC 내에 저장되는 어플리케이션, 파일 시스템, 인증키 값 등과 이들이 동작하는 운영 체체, 예를 들어 HLOS를 소프트웨어 형태로 패키징 한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SPB'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간략하게 '번들'이라고 칭해질 수도 있음에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번들은 프라이머리 플랫폼 인터페이스 (Primary Platform Interface: PPI)를 통해 프라이머리 플랫폼의 중앙 프로세싱 유닛(CPU: Central Processing Unit), 메모리 등을 자원에 접근하고 이를 통해 PP 상에서 구동될 수 있다. 번들에는 SIM, USIM, ISIM 등과 같은 통신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될 수 있으며, 또한 전자 지갑, 티켓팅, 전자 여권, 디지털 키 등과 같은 다양한 응용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될 수 있다.
SSP는 원격에서 다운로드되어 설치되는 번들에 따라서 UICC 또는 eSE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번들들을 단일 SSP에 설치하고, 복수개의 번들들을 동시에 운영하여 UICC와 eSE 둘 다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번들이 동작하는 경우 SSP는 이동 통신 사업자의 네트워크에 억세스하기 위한 UICC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해당 UICC 번들은 eUICC 또는 iUICC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을 원격에서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한 프로파일을 선택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SP상에서 전자 지갑, 티켓팅, 전자 여권 또는 디지털 키 등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응용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번들이 동작하는 경우, SSP는 eSE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서비스 제어 모듈들은 하나의 번들에 통합되어 설치되고 동작하거나, 각기 독립적인 번들로 설치되고 동작할 수 있다. SSP는 OTA(Over The Air)기술을 이용하여 SSP 상에서 구동될 번들을 외부의 번들 관리 서버, 예를 들어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 관리자(Secondary Platform Bundle Manager: SPB Manager)로부터 다운받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SSP가 OTA 기술을 사용하여 번들을 다운받아 설치하는 방법은 단말에 삽입 및 제거가 가능한 rSSP, 단말에 내장되는 eSSP, 단말에 설치되는 SoC 내부에 포함되는 iSSP 모두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텔레콤 번들(Telecom Bundle)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억세스 어플리케이션(NAA: Network Access Application)을 포함하거나, 원격에서 적어도 하나의 NAA를 다운로드하고 설치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번들일 수 있다. 여기서, NAA는 UICC에 저장되어 네트워크에 억세스하기 위한 모듈로서, USIM 또는 ISIM 일 수 있다. 텔레콤 번들은 텔레콤 패밀리(Telecom Family)를 지시하는 텔레콤 패밀리 식별자(Telecom Family ident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eSIM 번들 (eSIM Bundle)은 내부에서 eUICC OS가 구동되어 eUICC와 같은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단말에 프로파일을 설치하여 네트워크 서비스를 구동할 수 있는 번들일 수 있다. eSIM 번들은 eSIM의 주요 기능인 원격 SIM 프로비져닝(Remote SIM Provisioning: RSP)의 명칭을 고려하여 RSP 번들이라고도 칭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eSIM 번들은 eSIM 번들을 지시하는 텔레콤 패밀리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APDU: 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은 단말 또는 디바이스 내의 제어기가 eUICC와 연동하기 위한 메시지일 수 있다. APDU는 커맨드(Command)와 응답(Response)의 한 페어(pair)이며, APDU Command와 APDU Response는 ISO 7816을 참조하여 ETSI 102.221에 정의되어 있다. ETSI 102.221에 정의된 바와 같이 APDU Command는 APDU의 헤더(Header)로 CLA(Class of Instruction), INS(Instruction), P1(Instruction Parameter 1), P2(Instruction Parameter 2)를 포함하고, 바디(Body)로 Lc(Number of bytes in the command data field), Data, Le(Number of bytes expected in response of the command)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며, APDU Response는 Optional Data field와, SW1(Status byte 1), SW2 (Status byte 2)를 포함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ETSI 102.221 규격을 참조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프로파일 패키지(Profile Package)는 프로파일과 혼용되거나, 특정 프로파일의 데이터 객체(data object)를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으며, 프로파일 TLV (Tag, Length, Value) 또는 프로파일 패키지 TLV로 칭해질 수 있다. 프로파일 식별자는 프로파일의 고유 식별 번호로서 통합 회로 카드 식별자(ICCID: 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로 지시될 수 있다. 프로파일 패키지가 암호화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암호화된 경우 보호된 프로파일 패키지(Protected Profile Package: PPP) 또는 보호된 프로파일 패키지 TLV (PPP TLV)로 칭해질 수 있다. 프로파일 패키지가 특정 eUICC에 의해서만 복호 가능한 암호화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암호화된 경우 바운드 프로파일 패키지(Bound Profile Package: BPP) 또는 바운드 프로파일 패키지 TLV (BPP TLV)로 칭해질 수 있다. 프로파일 패키지 TLV는 TLV 형식으로 프로파일에 포함되는 정보를 표현하는 데이터 세트(set)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인증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인증 및 키 합의 (Authentication and Key agreement)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AKA는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및 3GPP2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 네트워크에 억세스하기 위한 인증 알고리즘을 나타낼 수 있다. K는 AKA 인증 알고리즘에 사용되는, eUICC에 저장되는 암호키 값이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OPc는 AKA 인증 알고리즘에 사용되는, eUICC에 저장될 수 있는 파라미터 값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NAA는 UICC에 저장되며, 네트워크에 억세스하기 위한 USIM 또는 ISIM과 같은 응용 프로그램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NAA는 네트워크 억세스 모듈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eSIM 포트(port)는 eUICC과 모뎀 사이에 연결된 물리 인터페이스(Physical Interface)를 멀티플렉싱(Multiplexing)하여 사용하는 가상 논리 인터페이스(Virtual Logical Interface)를 나타내며, eSIM 포트, eSIM 포트, eSIM 포트, 포트, SIM 포트, 논리 인터페이스(Logical Interface), 가상 인터페이스(Virtual Interface)와 혼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단일 eUICC 에 존재하는 복수 개의 프로파일들을 활성화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MEP(Multiple Enabled Profile) 기능이라 칭하기로 한다. 기존의 eUICC는 최대 1개의 프로파일만 활성화할 수 있고, 따라서 1개의 eUICC가 사용될 경우 Multi-SIM 기능을 지원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단일 eUICC로 Multi-SIM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단일 eUICC에서 복수 개의 프로파일들이 활성화되고 활성화된 복수 개의 프로파일들을 관리하는 기능이 필요하며, 이런 기능이 MEP 기능인 것이다. MEP 기능이 구현된 eUICC를 MEP 지원 eUICC라 칭할 수 있다. MEP 기능이 구현된 모뎀과, 이를 지원할 수 있는 단말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단말을 MEP 지원 단말이라 칭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MEP eSIM 번들 또는 MEP RSP 번들은, 텔레콤 번들들 중 MEP 기능을 지원하는 eSIM 번들을 나타낼 수 있다. MEP eSIM 번들은 MEP RSP 번들이라 칭해질 수 있다. MEP eSIM 번들은 Multi-SIM 단말에서는 복수 개의 프로파일들을 동시에 활성화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텔레콤 패키지(telecom package)는 하나의 프로파일 또는 하나의 텔레콤 번들을 나타내는 용어일 수 있다. 텔레콤 패키지는 하나의 프로파일 또는 하나의 텔레콤 번들을 통해서 사용자가 가입한 통신 회선을 나타내는 용어일 수 있다. 하나의 텔레콤 패키지는 모뎀 내 하나의 논리 베이스 밴드(logical base band)를 통해 네트워크에 억세스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는 사용자의 통신 서비스 가입에 대해서 하나의 텔레콤 패키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 로더(Secondary Platform Bundle Loader: SPBL)는 SSP에서 다른 번들을 설치하고, 활성화하고, 비활성화하고, 삭제하는 등과 같은 관리 동작을 수행하는 관리 번들을 나타내는 용어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설명의 편의상 SPBL는 로더로 약칭될 수 있다. 단말의 로컬 번들 어시스턴트(LBA: Local Bundle Assistant) 또는 원격의 서버는 로더를 통해 특정 번들을 설치하거나,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거나, 또는 삭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로더는 SSP로도 칭해질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2) 단말 및 LBA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사용자 터미널(User Terminal: UT), 무선 단말, 억세스 단말(Access Terminal), 디바이스,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무선 디바이스(wireless device), 무선 통신 디바이스,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 이동 노드, 모바일 또는 다른 용어들로 칭해질 수 있다. 단말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셀룰러 전화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컴퓨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촬영 디바이스,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게이밍 디바이스(gaming device),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음악 저장 및 재생 가전 제품, 무선 인터넷 접속 및 브라우징이 가능한 인터넷 가전 제품 뿐만 아니라 그러한 기능들의 조합들을 통합하고 있는 휴대형 유닛 또는 단말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머신 대 머신(M2M: Machine to Machine) 단말, 머신 타입 통신(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 단말/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단말은 전자 장치라 칭해질 수도 있음에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단말에는 번들을 다운로드 하여 설치할 수 있는 SSP가 내장될 수 있다. 또한, 물리적으로 단말과 분리된 SSP는 단말 내 SSP를 포함할 수 있는 슬롯에 삽입되어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SP는 카드 형태로 단말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SSP를 포함하는 단말에는 별도의 SSP가 내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SSP를 포함하는 단말을 SSP 단말이라 칭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LBA는 단말에서 SSP를 제어할 수 있는, 단말 내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LBA는 SSP에 번들을 다운로드하거나 SSP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번들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거나, 또는 삭제하기 위한 커맨드(Command) 등과 같은 관리 커맨드를 SSP에 전달할 수 있다. 단말은 eUICC를 제어하도록 단말 내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인 로컬 프로파일 어시스턴트(Local Profile Assistant: LPA)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LPA는 LBA의 하위 컴포넌트(component)로 포함될 수도 있고, LBA와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단말에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LPA는 단말 내 SSP에 설치된 번들들 중 eUICC와 기능적으로 유사한 eSIM 번들을 제어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3) 번들 관리(Bundle Management)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번들 관리 (Bundle Management)는 SSP 내에 설치된 번들들의 상태(예를 들어 활성화, 비활성화, 삭제) 변경, SSP 내에 설치된 번들들의 메타데이타(metadata) 업데이트, SSP 내에 설치된 번들의 리스트 획득, SSP로의 번들 설치 등을 포함하는 용어일 수 있다.
번들 관리는 로컬 번들 관리(Local Bundle Management: LBM)와 원격 번들 관리(Remote Bundle Management)로 분류될 수 있다.
로컬 번들 관리는 SSP 단말의 직접적인 사용을 통해 수행되며, SSP 단말 내의 소프트웨어를 통해서 SSP에 설치된 번들 및 SSP를 관리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LBM은 번들 로컬 관리(Bundle Local Management), 로컬 관리(Local Management)라 칭해질 수도 있다. SSP 단말의 단말 소프트웨어인 LBA는 SSP로 로컬 번들 관리의 대상이 될 번들과 수행될 구체적인 동작에 관련된 정보를 담은 로컬 번들 관리 커맨드(Local Bundle Management command)를 전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로컬 번들 관리 커맨드는 로컬 관리 명령(Local management command), 로컬 명령(Local command) 이라 칭해질 수 있다.
로컬 번들 관리 패키지(Local Bundle Management Package: LBM Package)는 단말 소프트웨어인 LBA로부터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 로더(Secondary Platform Bundle Loader: SPBL)로 전달되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로컬 번들 관리 커맨드(Local Bundle Management command)를 포함할 수 있다. 로컬 번들 관리 패키지는 번들 로컬 관리 패키지(Bundle Local Management Package), 로컬 관리 패키지(Local Management Package), 로컬 관리 명령 패키지(Local Management Command Package), 로컬 명령 패키지(Local Command Package)이라고도 칭해질 수 있다.
SSP 단말의 사용자는 단말에 설치된 LBA 또는 SSP에 억세스 권한이 있는 소프트웨어 등을 통해 로컬 번들 관리(Local Bundle Management)를 수행할 수 있다. 로컬 번들 관리를 통해서 수행할 수 있는 동작에는 타겟 번들(target Bundle)의 상태(예를 들어, 활성화(Enabled), 비활성화(Disabled), 삭제(Deleted), 등)를 변경하는 동작, 또는 타겟 번들의 일부 정보 또는 값을 업데이트(update)하는 동작,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번들의 일부 정보 또는 값을 업데이트 하는 동작은 번들의 메타데이타 내의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동작일 수 있다. 상기 타겟 번들은 로컬 번들 관리의 대상이 되는 번들을 지시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원격 번들 관리(Remote Bundle Management: RBM)는 외부 서버,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 원격 관리 서버(Remote Management Server), 번들 관리 서버(Secondary Platform Bundle Manager, SPB Manager) 등에 의해 전달되는 커맨드에 의해 수행되며, SSP 단말 내의 소프트웨어를 통해서 SSP에 설치된 번들 및 SSP를 관리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원격 번들 관리는 번들 원격 관리(Bundle Remote Management), 원격 관리(Remote Management)라고도 칭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서비스 제공자 또는 단말 소유자 (Device Owner)는 원격 번들 관리의 대상이 될 번들과 수행되는 구체적인 동작에 관한 정보를 담은 원격 번들 관리 커맨드(Remote Bundle Management command)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원격 번들 관리 커맨드는 원격 관리 명령(Remote management command), 원격 명령(Local command)이라고도 칭해질 수 있다. 원격 번들 관리 커맨드는 번들 관리 서버, 예를 들어 SPB 관리자(SPB Manager)로부터 원격 번들 관리 커맨드가 수행되어야 할 SSP 단말의 단말 소프트웨어인 LBA로 전달될 수 있다. 원격 번들 관리 커맨드는 SSP 단말의 단말 소프트웨어인 LBA에 의해서 SPBL에 전달되고, SPBL에서 커맨드의 내용에 따라서 번들 관리가 수행될 수 있다.
원격 번들 관리 패키지(Remote Bundle Management Package: RBM Package)는 외부 서버에 의해 생성되어, 외부 서버에서 SSP 단말 소프트웨어인 LBA로 전달되고, 단말 소프트웨어인 LBA로부터 SPBL로 전달되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원격 번들 관리 커맨드(Remote Bundle Management command)들을 포함할 수 있다. 원격 번들 관리 패키지는 번들 원격 관리 패키지(Bundle Remote Management Package), 원격 관리 패키지(Remote Management Package), 원격 관리 명령 패키지(Remote Management Command Package), 원격 명령 패키지(Remote Command Package)라고도 칭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단말 또는 외부 서버가 번들을 활성화하는 동작은, 해당 프로파일의 상태를 활성화(enabled) 상태로 변경하여 단말이 해당 번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예를 들어, 통신사업자를 통한 통신 서비스, 신용 카드 결제 서비스, 사용자 인증 서비스, 등)를 수신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활성화 상태의 번들은 "활성화된 번들(enabled Bundle)"로도 표현될 수 있다. 활성화 상태의 번들은 SSP 내부 또는 외부의 저장 공간에 암호화된 상태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활성화된 번들, 예를 들어, 활성화된 SPB은 번들 외부 입력(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푸쉬, 단말 내 어플리케이션의 요청, 통신 사업자의 인증 요청, PP 관리 메시지 등) 또는 번들 내부의 동작(예를 들어, 타이머, 폴링(Polling))에 따라 액티브(Active)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액티브 상태의 번들은 SSP 내부 또는 외부의 저장 공간으로부터 SSP 내부의 액티브 메모리에 로딩되고, SSP 내부의 보안 제어 장치, 예를 들어 보안 CPU를 사용하여 보안 정보를 프로세싱하고 단말에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단말 또는 외부 서버가 번들을 비활성화하는 동작은, 해당 번들의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하여 단말이 해당 번들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수신할 수 없도록 설정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비활성화 상태의 프로파일은 "비활성화된 번들(disabled Bundle)", 예를 들어 "비활성화된 SPB""로 표현될 수 있다. 비활성화 상태의 번들은 SSP 내부 또는 외부의 저장공간에 암호화된 상태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4) Si2 인터페이스, Si3 인터페이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LBA가 호출하는 함수(function)는 LBA와 SPB 관리자 간의 인터페이스인 Si2 인터페이스와 LBA와 SPBL과의 인터페이스인 Si3 인터페이스에서 수행되는 함수일 수 있다. LBA는 특정 함수를 통해 SPB 관리자나 SPBL에게 파라미터를 전달할 수 있다. 특정 함수에 대한 호출을 통해 LBA에서 전달되는 파라미터들을 특정 함수의 함수 커맨드 (function command), 또는 커맨드(command)라고 칭해질 수 있다. 함수 커맨드를 수신한 SPB 관리자나 SPBL은 함수 커맨드에 따라 특정 동작 (operation)을 수행 후, 함수 커맨드에 대해 응답(response)을 송신할 수 있다. 응답는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Si2 인터페이스를 통한 함수 커맨드 전달은 하이퍼텍스트 트랜스퍼 프로토콜(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Si2 인터페이스를 통한 함수 커맨드 전달은 HTTP의 HTTP POST 요청 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HTTP POST 요청 메시지의 바디 (body) 부분에 커맨드가 포함될 수 있다.
(5) APDU 파이프(pipe) 형성
APDU pipe는 두 호스트(host)들 간 APDU 통신을 위해 형성되는 pipe이다. APDU pipe는 하나의 호스트의 UICC APDU 어플리케이션 게이트(Application Gate)와 다른 하나의 호스트의 UICC APDU 서비스 게이트(Service Gate) 간에 형성된다. 두 호스트들 간의 APDU pipe의 형성 과정은 호스트 제어기 인터페이스(HCI: Host Controller Interface) 표준인 ETSI TS 102 622와 SSP/iSSP 표준인 ETSI TS103 666-1, ETSI TS 103 666-2를 참고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APDU pipe는 UICC pipe, UICC APDU pipe 등으로 칭해질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UICC APDU Application Gate는 UICC Application Gate로 칭해질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UICC APDU Service Gate는 UICC Service Gate로 칭해질 수도 있다.
(6) HCI 구성
HCI는 호스트들 간의 인터페이스를 정의한다. HCI는 ETSI TS 102 622 (Smart Card, UICC - Contactless Front-end (CLF) Interface); Host Controller Interface) (HCI) 표준의 정의를 따를 수 있다.
HCI는 커맨드, 응답, 이벤트(event)를 교환하는 게이트와 호스트 제어기 프로토콜(HCP: Host Controller Protocol) 메시지를 전달하는 메커니즘, HCP 라우팅 매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호스트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비스들이 동작되는 논리 엔티티(logical entity)일 수 있다. 서비스는 atomic function의 집합체로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일련의 함수들의 집합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게이트는 호스트 내에서 동작하는 한 서비스의 통신 입구인 엔트리 포인트(entry point)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호스트 네트워크(Host network)의 관리를 위한 게이트를 관리 Gate (management Gate)라 칭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iSSP 내의 모든 호스트들과 네트워크 제어기 호스트(Network Controller Host)는 administration 게이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iSSP 내의 모든 호스트들과 네트워크 제어기 호스트는 하나의 링크 관리 게이트(link management Gate)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iSSP 내의 모든 호스트들과 네트워크 제어기 호스트는 하나의 식별자 관리 게이트(identity management Gate)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iSSP 내의 모든 호스트들과 네트워크 제어기 호스트는 하나의 루프 백 게이트(loop back Gate)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iSSP 내의 모든 호스트들과 네트워크 제어기 호스트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일반 게이트(generic Gate)들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pipe는 서로 다른 호스트들의 두 개의 게이트들 사이에 형성된 논리 통신 채널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호스트, 게이트, pipe는 각각 식별자를 가질 수 있으며, 호스트, 게이트, pipe의 식별자들은 각각 호스트 식별자(host Identifier: host ID), 게이트 식별자(gate identifier: gate ID), pipe 식별자(pipe identifier: pipe ID)라 칭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호스트 식별자는 고정된 식별자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Host controller 식별자: '00', terminal host 식별자: '01', UICC host 식별자: '02' 일 수 있다.
식별자값 '80' 부터 'BF' 까지는 iSSP 내 호스트 식별자를 관리하는 주체 또는 네트워크 호스트 제어기에 의해서 호스트들에 다이나믹하게 부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게이트 식별자는 Gate의 타입(Type)을 식별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pipe 식별자는 7 비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pipe 식별자는 HCP 패킷의 헤더로 사용되어 iSSP 내 패킷 라우팅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SSP 내에 텔레콤 번들 내 호스트 식별자는 UICC 호스트 식별자인 '02'를 가질 수도 있으나, 다른 값을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iSSP 내 기타 호스트들의 식별자들은 호스트 제어기 또는 네트워크 제어기 호스트에 의해 부여될 수 있다.
(7) Multi-SIM 모뎀
Multi-SIM 모뎀은 복수 개의 논리 베이스밴드(logical baseband)들을 지원하며, Multi-SIM 멀티-스탠바이(Multi-Standby)(Multi-SIM Multi-Standby: MSMS) 또는 Multi-SIM 멀티-액티브(Multi-Active)(Multi-SIM Multi-Active: MSMA) 단말을 지원할 수 있다. MSMS의 일 예는 두 개의 SIM 카드들로 듀얼심(Dual-SIM) 기능을 지원하는 Dual-SIM 듀얼 스탠바이(Dual-Standby)(Dual-SIM Dual-Standby: DSDS)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MSMS와 MSMA의 공통점은 모뎀이 복수 개의 논리 베이스 밴드들을 지원한다는 점이다. MSMS와 MSMA의 차이점은 MSMA의 케이스에서는 복수 개의 송수신기(transceiver)가 완전히 분리된 복수 개의 네트워크들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고, MSMS의 케이스에서는 하나의 송수신기가 복수 개의 논리 베이스 밴드들을 시분할 멀티플렉싱(time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공유하여 복수 개의 네트워크들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한다는 점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하나의 논리 베이스 밴드는 하나의 통신 가입자 식별자 (subscriber identifier) 정보(예를 들어, SIM의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예를 들어, 3GPP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억세스를 수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을 의미할 수 있다. 논리 베이스 밴드를 통한 디지털 정보는 변조 후 송수신기를 통해서 아날로그 신호 형태로 송신되고, 송수신기를 통해서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 및 변조된 후 논리 베이스 밴드를 통해 복호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논리 베이스밴드는 모뎀의 성능에 따라, 예컨대, GSM, 3G, 4G LTE, 5G를 지원할 수 있으며, Multi-SIM 모뎀의 복수 개의 논리 베이스 밴드들은 서로 동일한 레벨의 셀룰러 통신을 지원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논리 베이스 밴드들이 모두 4G LTE까지만 지원하거나, 또는 복수 개의 논리 베이스 밴드들이 모두 5G 지원한다), 또는 서로 다른 레벨의 셀룰러 네트워크를 지원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논리 베이스 밴드들 중 하나의 논리 베이스밴드는 5G를 지원하고, 다른 하나의 논리 베이스 밴드는 4G LTE까지만 지원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Multi-SIM 모뎀은 복수 개의 물리 SIM들, eUICC, 텔레콤 번들과 연결될 수 있다. Multi-SIM 모뎀은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SIM들의 개수 이상의 SIM 포트들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Multi-SIM 모뎀에서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SIM들의 개수는 Multi-SIM 모뎀에서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논리 베이스 밴드들의 개수와 관련될 수 있다. Multi-SIM 모뎀이 MEP RSP 번들을 지원하는 경우, MEP RSP 번들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용 SIM 포트를 별도로 가질 수 있다. 이 관리용 SIM 포트는 MEP RSP 번들을 관리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단말 소프트웨어만 억세스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특히, iSSP에서의 Multi-SIM 모뎀이 가지고 있는 SIM 포트를 iSIM 포트 (iSSP SIM Port)라 칭할 수 있다.
Multi-SIM 모뎀이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논리 베이스 밴드들의 개수는 Multi-SIM 모뎀이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텔레콤 패키지들의 개수와 관련될 수 있다.
또한, iSIM 포트는 단말의 운영 체제/프레임워크와 같은 상위 계층에서는 독립적인 SIM 슬롯(slot)으로 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Global Platform Open Mobile API 표준에 따르면, iSIM 포트는 하나의 카드 리더 클래스(Card Reader class)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iSIM 포트는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에서 사용자가 특정 번들을 특정 베이스 밴드에 연결시켜 활성화시키도록 하는 매개체로써 사용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두 개의 독립적인 논리 베이스 밴드들을 가지는 Multi-SIM 모뎀은 두 개 이상의 iSIM 포트들을 가질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n개의 독립적인 논리 베이스 밴드를 가지는 Multi-SIM 모뎀은 n개 이상의 iSIM 포트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MEP RSP 번들을 지원하는 Multi-SIM 모뎀은 MEP RSP 번들 관리용 iSIM 포트를 포함하여 총 3개의 iSIM 포트를 지원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n개의 독립적인 논리 베이스 밴드를 가지는 Multi-SIM 모뎀은 MEP RSP 번들 관리용 iSIM 포트를 포함하여 총 n+1개의 iSIM 포트를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두 개의 iSIM 포트를 가지는 Multi-SIM 모뎀은 두 개의 서로 다른 UICC, eUICC, 텔레콤 번들들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n개의 iSIM 포트를 가지는 Multi-SIM 모뎀은 n 개의 서로 다른 UICC, eUICC, 텔레콤 번들들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지원할 수 있다는 것은 UICC, eUICC, 텔레콤 번들 내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억세스를 수행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함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SSP 단말의 내부 구성요소와 구성요소 간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SSP 단말(101)은 단말 소프트웨어인 Local Bundle Assistant(LBA, 111)와 SSP(131)를 포함한다. 또한, SSP 단말(101)은 다른 단말, 기지국, 서버 등과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 및 상기 SSP 단말(10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SSP 단말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LBA(111)를 통하여 SSP(131)을 제어할 수 있다.
SSP(131)은 프라이머리 플랫폼 (Primary Platform, 135), 프라이머리 플랫폼 인터페이스(Primary Platform Interface, 134),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Secondary Platform Bundle, 133) 및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 로더(Secondary Platform Bundle Loader, 132)를 포함한다. Primary Platform(135)는 하드웨어 플랫폼과 Low Level Operating System을 포함한다. Secondary Platform Bundle(133)은 번들(Bundle)이라 간단히 지칭될 수 있으며, 번들은 Primary Platform(135) 상에서 구동되는 High Level Operating System (HLOS)와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 로더(Secondary Platform Bundle Loader, 132)는 SPB Loader 또는 로더(Loader)로 간단히 지칭될 수 있다. 로더(132)는 번들(133)의 일종으로, SSP 내 설치된 번들(133)을 관리할 수 있는 특수한 권한을 가지는 시스템 번들이라 할 수 있다. 단말 소프트웨어 LBA(111)과 로더(132)는 제1 인터페이스(122)을 통해서 명령어 및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 (122)는 Si3 인터페이스라 불릴 수 있다. LBA(111)는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다음을 수행할 수 있다.
- 로더(132)로부터 제1 SSP 정보 획득, SSP Credential 획득
- 서버 Credential 전송
- SSP에 설치할 번들 데이터를 로더(132)에 전송
- SSP에 설치된 번들의 관리(활성화, 비활성화, 삭제, 번들의 메타데이터 업데이트, 설치된 번들의 리스트 관리 등)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SSP 단말이 번들을 다운로드 하기 위한 단말 내, 외부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단말(203)은 도 1의 SSP 단말(101)에 대응될 수 있다. LBA(204)는 도 1의 LBA(111)에 대응될 수 있다. SPB Loader(206)은 도 1의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 로더(132) 에 대응될 수 있다. Bundle(207)은 도 1의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133)일 수 있다. 단말(203), LBA(204), SPB loader(206)에 대한 설명은 도 1의 실시 예를 참고한다.
도 2에 따르면 사용자(User)(200)는 서비스 가입 과정(210)에서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201)가 제공하는 서비스(예: 이동통신망을 통한 통화 및 데이터 서비스 등)를 선택하고 가입할 수 있다. 서비스 가입 과정(210)에서 사용자(200)는 서비스 제공자(201)에 서비스에 대한 일정의 금액 또는 구독료를 지불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자(201)는 사용자(200)에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번들(207)을 사용자의 단말(203)에 설치할 수 있는 소정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가입 과정(210)에서 사용자(200)는 서비스 제공자(201)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번들(207)을 설치할 단말(203) 내 SSP(205)의 SSP 식별자(SSP Identifier)를 서비스 제공자(201)에게 선택적으로 전달 할 수 있다. 서비스 가입 과정(210)에서 서비스 제공자(201)에 전달된 SSP 식별자는 사용자(200)가 구매한 번들(207)이 해당 SSP 식별자를 가진 SSP(205)에만 설치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도 2의 서비스 가입 과정(210)에서 사용자(200)가 서비스 제공자(201)로부터 단말(203)에 번들(207)을 설치하기 위해 필요한 소정의 정보로써 SSP 활성화 코드 (SSP Activation Code) 발급받을 수 있다. 상기 SSP 활성화 코드는 QR code 형태로 제공받거나 이메일, 텍스트 또는 서비스 제공자와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문자열 또는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 포맷의 링크로 발급받을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200)가 텔레콤 서비스에 가입한 후 제공받는 SSP 활성화 코드는 텔레콤 번들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정보와 함께 텔레콤 번들 대신 eSIM profile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eSIM 활성화 코드가 같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번들 제작 요구사항 전달 과정(211)에서 서비스 제공자(201)와 SPB Manager(202)는 번들 다운로드 준비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Bundle제작 요구사항 전달 과정(211)에서 서비스 제공자(201)는 SPB Manager(202)에 번들이 설치될 SSP(205)의 식별자(SSP ID)를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가입자가 선택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특정 번들 식별자(SPB ID), 번들 패밀리 식별자(SPB Family ID) 중 적어도 하나를 SPB Manager(202)에 전달할 수 있다. Bundle제작 요구사항 전달 과정(211)에서 SPB Manager(202)는 전달된 특정 번들 식별자를 가지는 번들 또는 번들 패밀리 식별자를 가지는 번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번들의 식별자를 서비스 제공자(201)에게 전달 할 수 있다. Bundle제작 요구사항 전달 과정(211)에서 서비스 제공자(201) 또는 SPB Manager(202)는 선택된 번들을 구분할 수 있는 번들 Matching ID를 신규로 생성할 수 있다. 번들을 구분할 수 있는 번들 Matching ID는 CODE_M 이라 불릴 수 있다. 또한 SPB Manager(202)는 전달된 SSP 식별자(SSP ID)와 선택된 번들을 연결하여 관리할 수 도 있다. Bundle제작 요구사항 전달 과정(211)에서 SPB Manager(202)는 선택된 번들을 다운로드 할 수 있는 번들 관리 서버 주소 (SPB Manager Address)를 서비스 제공자(201)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번들 관리 서버 주소는 준비된 번들이 저장된 특정 또는 임의의 번들 관리 서버의 주소 일 수 있으며, 준비된 번들의 다운로드 정보(예컨대, 서버 주소 등)를 저장하고 획득할 수 있는 다른 번들 관리 서버의 주소일 수 있다. Bundle제작 요구사항 전달 과정(211)에서 서비스 제공자(201)가 텔레콤 번들에 대한 준비를 SPB Manager(202)에 요청할 때, 해당 텔레콤 번들과 매칭되는 eSIM profile에 대한 정보를 같이 제공할 수 있다.
Bundle 제작 요구사항 전달 과정(211) 중 일부가 서비스 가입 과정(210)보다 선행되었을 경우, 서비스 가입 과정(210)에서 서비스 제공자(201)는 사용자(200)에게 준비된 번들 다운로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번들 다운로드 정보는 번들이 준비된 번들 관리 서버 주소(SPB Manager Address), 준비된 번들의 번들 Matching ID, 준비된 번들의 번들 패밀리 식별자(family identifier)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운로드할 번들 정보 입력 과정(231) 에서 단말(203)의 LBA(204)로 번들 다운로드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번들 다운로드 정보는 LBA(204)가 접속할 번들 관리 서버의 주소(SPB Manager Address), 상기 Bundle제작 요구사항 전달 과정(211)에서 준비된 번들의 번들 구분자, 준비된 번들의 번들 패밀리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 일 수 있다. 번들 구분자는 Bundle제작 요구사항 전달 과정(211)에서 생성된 번들 Matching ID, 또는 번들 Event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번들 구분자는 준비된 번들의 번들 패밀리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번들 Event ID는 Bundle제작 요구사항 전달 과정(211)에서 준비된 번들의 번들 Matching ID와 번들 관리 서버의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번들 다운로드 정보는 사용자(200)가 LBA(204)로 SSP Activation Code를 입력(예: QR코드 스캐닝, 직접 문자 입력 등)하거나, 정보 제공서버(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푸쉬입력을 이용하여 LBA(204)에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미리 단말(203)에 설정된 정보 제공서버(도시되지 않음)로 LBA(204)가 접속하여 번들 다운로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PB Manager(202)에서 SSP(205)로의 번들 다운로드는 SPB Manager(202)와 LBA(204) 사이의 인터페이스(221)와 LBA(204)와 SPB Loader(206) 사이의 인터페이스(222)에서 이루어지는 함수와 동작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LBA(204)와 SPB Loader(206) 사이의 인터페이스(222)는 도 1의 제1 인터페이스(122) 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LBA(204)와 SPB Loader(206) 사이의 인터페이스(222)는 Si3 인터페이스라 불릴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eUICC 단말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LPA(301)는 eUICC(303)에 APDU 커맨드를 전송하고 APDU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APDU 커맨드와 응답은 ISO 7816-4에 기반한 ETSI TS 102 221 및 SGP.22 표준을 따르는 데이터이다. APDU 커맨드와 응답은 LPA(301)와 eUICC(303) 간 통신, 그리고 모뎀(302)과 eUICC(303)간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LPA(301)와 eUICC(303)의 APDU 송수신을 위해 모뎀(302)을 거칠 수 있다. LPA(301)는 eUICC(303)에 전송할 APDU를 모뎀(302)이 제공하는 제1 인터페이스(304)를 통해 모뎀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304)는 단말의 운영체제, 단말의 프레임워크를 통해 모뎀으로 APDU를 전달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는 LPA(301)이 전달하고자 하는 APDU를 AT command에 담아 모뎀(302)으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모뎀(302)은 제2 인터페이스(305)를 통해 eUICC(303)에 APDU를 주고받을 수 있다. 제2 인터페이스는 ISO 7816-3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iSSP 단말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iSSP 단말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Communication Processor, CP)(407) 내 모뎀(405)과 iSSP(406)가 내장된 단말일 수 있다.
iSSP(406)은 iSSP 내 관리 번들인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 로더 (Secondary Platform Bundle Loader, SPBL) 및 iSSP 내 설치된 세컨더리 번들들을 통칭할 수 있다.
LBA(401)과 iSSP(406) 내 SPBL 간 통신은 제3 인터페이스(403)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제3 인터페이스(403)는 Si3 인터페이스라 불릴 수 있다. 제3 인터페이스(403)를 통해서 전달되는 명령어와 응답을 각각 Si3 커맨드와 Si3 응답이라고 칭할 수 있다.
LBA(401)는 iSSP(406) 내 SPBL에 Si3 커맨드를 전달하고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LBA(401)은 모뎀(405)와 제4 인터페이스(404)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모뎀(405)와 iSSP(406)는 제5 인터페이스(405)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제5 인터페이스는 ETSI TS 103 666-1에 정의된 SSP Common Layer (SCL)을 따르는 인터페이스 일 수 있다. SCL의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는 ETSI TS 102 622 Host Controller Interface (HCI)일 수 있다. 제5 인터페이스는 모뎀(405)의 UICC APDU Application Gate와 iSSP(406) 내 특정 번들의 UICC APDU Service Gate 간 형성된 APDU pipe일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뎀과 텔레콤 번들 간 APDU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구성 요소를 나타나는 도면이다.
도 5의 모뎀(501)과 텔레콤 번들(503) 간 형성된 APDU pipe(506)은 도 4의 제5 인터페이스 (405)의 예시 일 수 있다.
모뎀(501)은 iSSP(502) 내 설치된 텔레콤 번들(503)과 APDU pipe(506)을 형성하여 APDU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APDU pipe(506)은 모뎀(501)의 UICC APDU Application Gate(504)와 UICC APDU Service Gate(505)를 엔트리(엔트리 포인트)로 하여 생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iSSP 내에서 호스트들이 게이트를 통하여 파이프를 생성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iSSP의 Network Controller Host(601)는 Administration gate(602)를 포함할 수 있다. Administration gate(602)는 다른 호스트들인 Host A(611), Host B(621) 내의 Administration gate(612, 622)와 파이프를 각각 형성하여 (631, 632) 호스트 간의 관리 기능 (administration function)을 수행할 수 있다.
Network Controller Host(601)의 Link management gate(603)는 다른 호스트들인 Host A(611), Host B(622) 내의 link management gate(613, 623)와 파이프를 형성하여 (633, 634) 호스트 간의 링크 연결을 관리(link management)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Host A(611)와 Host B(621)는 특정 서비스에 해당하는 gate들을 통해서 파이프를 형성하고 커맨드와 응답을 교환하거나 이벤트를 교환하면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동일한 서비스에 상응하는 Host A(611) 내 Gate1(614)와 Host B(621) 내의 Gate2(624)는 파이프(635)를 형성하여 해당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Host A(611)가 모뎀, Host B(621)가 텔레콤 번들이라면, Host A(611)의 UICC Application Gate(615)와 Host B(621)의 UICC Service Gate(625)간 APDU pipe(636)을 형성하여, APDU 통신을 하여 UICC에서 수행되는 각종 서비스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의 Multi-SIM 모뎀과 iSSP 내 복수 개의 텔레콤 번들이 각 iSIM port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Multi-SIM 모뎀(700)은 복수 개의 논리 베이스밴드(701, 702, 703)를 지원한다. 도 7a의 Multi-SIM 모뎀(700)은 3개의 논리 베이스 밴드를 지원하며 3개의 iSIM port를 지원하는 트리플심 모뎀(triple-SIM modem)의 한 예일 수 있다.
제1 논리 베이스 밴드(701), 제2 논리 베이스 밴드(702), 제3 논리 베이스 밴드(703)가 지원하는 Radio Access Capability는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 논리 베이스 밴드 모두가 5G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논리 베이스 밴드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3개 논리 베이스 밴드 중 2 개의 논리 베이스밴드가 5G 네트워크를 지원하고, 다른 1 개의 논리 베이스 밴드가 4G 네트워크를 지원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3개 논리 베이스 밴드가 각각 4G, 5G, 6G 네트워크를 지원할 수 있다.
도 7a의 모뎀(700)은 3개의 iSIM port를 보유하고 있다. 3개의 iSIM port는 각각 제1 iSIM port(741), 제2 iSIM port(742), 제3 iSIM port(743)에 해당한다.
도 7a에서 제1 iSIM port(741)는 제1 베이스 밴드(701)를 사용하는 iSIM port이며, 제2 iSIM port(742)는 제2 베이스 밴드(702)를 사용하는 iSIM port이며, 제3 iSIM port(743)는 제3 베이스 밴드를 사용하는 iSIM port이다.
도 7a에서 제1 번들(711)은 제1 베이스 밴드(701)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망 접속을 하고, 제2 번들(712)은 제2 베이스 밴드(702)를 통하여 네트워크 망 접속을 하고, 제3 번들(713)은 제3 베이스 밴드(703)을 통하여 네트워크 망 접속을 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7a에서 제1 번들(711)은 제1 iSIM port(741)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2 번들(712)은 제2 iSIM port(742)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3 번들(713)은 제3 iSIM port(743)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따르면, 제1 iSIM port(741)이 제1 베이스 밴드(701)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1 번들(711)은 활성화되어 제1 베이스 밴드(701)와 연결된 gate와 제1 파이프(721)을 형성함으로써, 제1 iSIM port(741)에 연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면에 따르면, 제2 iSIM port(742)이 제2 베이스 밴드(702)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2 번들(712)은 활성화되어 제2 베이스 밴드(702)와 연결된 gate와 제2 파이프(722)을 형성함으로써, 제2 iSIM port(742)에 연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면에 따르면, 제3 iSIM port(743)이 제3 베이스 밴드(703)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3 번들(713)은 활성화되어 제3 베이스 밴드(703)와 연결된 gate와 제3 파이프(723)을 형성함으로써, 제3 iSIM port(742)에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iSIM port(741, 742, 743)와 논리 베이스 밴드(701, 702, 703) 간의 연결 관계 (731, 732, 733)은 모뎀 설정에 따라서 바뀔 수 있다. 상기 모뎀 설정은 시스템 단말 소프트웨어 (750)에 의해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단말 소프트웨어(750)는 모뎀(700)이 운영체제 및 프레임워크(760)를 통해서 제공하는 API를 이용하여 모뎀(700)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일 수 있다. 시스템 단말 소프트웨어(750)는, 예를 들어, 안드로이드 단말의 심 카드 매니저 (SIM card manager)와 같은 시스템 접근 권한을 가진 단말 소프트웨어 일 수 있다. 상기 시스템 단말 소프트웨어(75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iSIM port(741, 742, 743)과 베이스 밴드(701, 702, 703)간 연결 관계 (731, 732, 733)을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설정에 의해 제1 iSIM port(741)은 제2 베이스 밴드(702)와 연결될 수 있고, 제2 iSIM port(742)는 제3 베이스 밴드(703)과 연결될 수 있고, 제3 iSIM port(743)은 제1 베이스 밴드(701)와 연결될 수 있다. 이 외에, iSIM port들과 논리 베이스 밴드들은 1대1 대응 (전단사)을 만족하는 어떠한 조합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7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의 Multi-SIM 모뎀과 iSSP 내 복수 개의 텔레콤 번들이 각 iSIM port에 연결된 상태에 대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도 7b의 실시예는, 모뎀(700b)이 multiplexer(770b)를 포함하고 UICC Application Gate를 하나 가진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 경우, 모뎀(700b)의 하나의 게이트(UICC Application Gate)에 복수 개의 번들(711, 712, 713)의 게이트들(UICC Service Gate)이 연결(맵핑)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것처럼, 모뎀(700b)에 제1 번들(711), 제2 번들(712), 제3 번들(713)이 활성화되어, 각각 제1 UICC pipe(721b), 제2 UICC pipe(722b), 제3 UICC pipe(723c)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번들(711), 제2 번들(712), 제3 번들(713)이 활성화되어, 모뎀(700b)의 게이트(하나의 UICC Application Gate)와 제1 번들(711)의 게이트, 제2(712)의 게이트 및 제3 번들(713)의 게이트(3개의 UICC Service Gate) 간에, 각각 제1 UICC pipe(721b), 제2 UICC pipe(722b), 제3 UICC pipe(723c)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Multiplexer(770b)는 하나의 UICC Application Gate가 생성한 3 개의 UICC pipe (721b, 722b, 723c)의 pipe ID를 통해서 제1 번들(711), 제2 번들(712), 제3 번들(713)과의 통신을 multiplexing 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7b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동작들이, 도 7b에서와 같이 모뎀이 하나의 UICC Application Gate를 포함하는 경우만 아니라, 하나의 UICC Application Gate에 복수 개의 번들의 UICC Service Gate들이 연결(맵핑)되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모뎀이 2개의 UICC Application Gate를 포함하고, 그 중 한 UICC Application Gate에 복수 개의 번들의 UICC Service Gate들이 연결(맵핑)되는 경우에도, 도 7b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이 적용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뎀 호스트와 텔레콤 번들 간 통신을 위한 파이프 형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모뎀 호스트(801)는 하나의 논리 베이스 밴드(804)를 포함할 수 있다. 논리 베이스 밴드(804)는 예컨대, SIM의 인증 정보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망 접속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을 의미할 수 있다.
모뎀 호스트(801)는 UICC Application Gate(822)를 포함할 수 있다. UICC Application Gate(822)는 텔레콤 번들(811)의 UICC Service Gate(812)와 UICC pipe(822)를 형성하여 UICC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모뎀 호스트(801)는 CAT (Card Application Toolkit) Service Gate(803)를 포함할 수 있다. CAT Service Gate(803)는 텔레콤 번들(811)의 CAT Application Gate(813)와 CAT pipe(823)을 형성하여, CAT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Card Application Toolkit은 ETSI TS 102 223 Smart Cards; Card Application Toolkit (CAT) 표준을 참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텔레콤 번들(811)의 CAT Application Gate(813)는 proactive UICC command를 CAT pipe(823)을 통해서 CAT Service Gate(803)에 전달함으로써 모뎀으로 proactive UICC command를 전송할 수 있다.
도 9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Multi-SIM 모뎀에 복수 개의 텔레콤 번들이 활성화 되어 iSIM 포트에 연결된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Multi-SIM 모뎀은 모뎀 호스트 도메인(900)이라 불릴 수 있다. 모뎀 호스트 도메인(900)은 복수 개의 모뎀 호스트를 가질 수 있다. 도 9a는 듀얼심 모뎀의 예시를 나타내며, 듀얼심 모뎀의 모뎀 호스트 도메인(900)은 두 개의 모뎀 호스트(예컨대, 제1 모뎀 호스트(911)와 제2 모뎀 호스트(921))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모뎀 호스트(911)와 제2 모뎀 호스트(921)는 도 8의 모뎀 호스트(801)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모뎀 호스트(911)가 제1 iSIM 포트(901)와 연결되어 있고, 제2 모뎀 호스트(921)가 제2 iSIM 포트(902)와 연결되어 있는 예시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따르면, 제1 텔레콤 번들(931)이 활성화되어 제1 모뎀 호스트(911)와 UICC pipe(952)와 CAT pipe(953)을 형성하여 제1 베이스밴드(914)를 통해 네트워크 망 접속을 할 수 있다.
도면에 따르면, 제1 모뎀 호스트(911)는 제1 iSIM 포트(901)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 텔레콤 번들(931)은 제1 iSIM 포트(901)에 연결되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따르면, 제2 텔레콤 번들(941)이 활성화되어 제2 모뎀 호스트(921)와 UICC pipe(962)와 CAT pipe(963)을 형성하여 제2 베이스밴드(954)를 통해 네트워크 망 접속을 할 수 있다.
도면에 따르면, 제2 모뎀 호스트(921)는 제2 iSIM 포트(902)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2 텔레콤 번들(941)은 제2 iSIM 포트(902)에 연결되었다고 볼 수 있다.
도 9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Multi-SIM 모뎀에 복수 개의 텔레콤 번들이 활성화 되어 iSIM 포트에 연결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와 도 9b의 차이점은 도 9b의 모뎀 호스트 도메인(900)에는 모뎀 호스트가 하나 (예컨대, 제1 모뎀 호스트 (911)) 가 있다는 점이다. 제1 모뎀 호스트(911)는 복수 개의 베이스밴드를 가지고 있으며 (914, 924), 텔레콤 번들과 통신할 UICC Application Gate(922)와 CAT Service Gate(913)도 하나씩 가질 수 있다.
도 9b에 따르면, 제1 텔레콤 번들(931)과 제2 텔레콤 번들(941)이 활성화되어 제1 모뎀 호스트(911)와 파이프를 형성할 때, 제1 텔레콤 번들(931)의 UICC Service Gate(932)와 제2 텔레콤 번들(941)의 UICC Service Gate(942) 모두 제1 모뎀 호스트(911)의 UICC Application Gate(922)와 파이프를 형성 (952, 962)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모뎀 호스트(911)는 어떤 번들과 통신을 하는지를 파이프의 식별자를 통해서 구분할 수 있다.
UICC Application Gate(922)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모뎀 호스트(911)의 multiplexer가 파이프의 식별자를 통해서, 어느 번들에 대해 형성된 파이프(예컨대, 952인지 962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제1 텔레콤 번들(931)과 제2 텔레콤 번들(941)이 활성화되어 제1 모뎀 호스트(911)와 파이프를 형성할 때, 제1 텔레콤 번들(931)의 CAT Application Gate(933)와 제2 텔레콤 번들(941)의 CAT Application Service Gate(943) 모두 제1 모뎀 호스트(911)의 CAT Service Gate(913)와 파이프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CAT Service Gate(913)은 전달된 패킷의 파이프 식별자가 953의 식별자인지 963의 식별자인지에 따라, 어떤 번들과 통신하는지를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다.
만약 제1 텔레콤 번들(931)이 제1 iSIM 포트(901)에 연결되어 있고, 제1 베이스밴드(914)를 사용한다고 가정했을 때, 제1 모뎀 호스트(911)의 multiplexer는 CAT Service Gate에서 953 파이프를 통해 수신된 패킷을 제1 베이스 밴드(914)로 포워딩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UICC Application Gate는 단말이 제1 텔레콤 번들(931)에게 보내기 위해서 제1 iSIM 포트(901)를 통해서 전달한 패킷을 952 파이프로 전달하여 제1 텔레콤 번들(932)의 UICC Service Gate(932)로 패킷을 전달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텔레콤 번들 2개를 활성화하여 모뎀의 심 포트 2개에 각각 할당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 1011부터 1019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 1번들(1005)을 활성화하여 모뎀의 iSIM port 1에 연결하는 일련의 실시 예이다.
단계 1021부터 1029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 2번들(1006)을 활성화하여 모뎀의 iSIM port 2에 연결하는 일련의 실시 예이다.
1011 단계에서, 사용자(1001)는 LBA(1002)(또는, LPA)에 제1 번들 활성화를 요청한다. 단계 1011는 단말의 심카드 설정 UI에서 사용자가 특정 SIM slot에 제1 번들의 통신사를 활성화 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iSIMport1에 제1 번들을 활성화시키려 할 수 있다.
1012 단계에서, LBA(1002)는 제1 번들 활성화 명령(command)을 SPBL(1003)에 전달한다. 1012 단계에서, 제1 번들 활성화 명령은 예컨대, 제1 번들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Si3.EnableSpb 명령어 일 수 있다.
1013 단계에서, SPBL(1003)은 iSSP의 프라이머리 플랫폼(PP)을 통해 제1 번들 (1005)을 활성화 시킨다. 제1 번들을 활성화 시키는 동작은 예컨대, 암호화되어 있는 제1 번들(1005)을 복호화하여 활성화 상태로 만든 다음 RAM에 올리는 동작일 수 있다. 제 1번들(1005)은 활성화가 된 후, iSSP 내 다른 엔티티에게 자신이 활성화되었음을 브로드캐스트 할 수 있다. 해당 브로드캐스트는 예컨대, iSSP 내의 network controller host 라는 엔티티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제1 번들(1005)이 활성화가 되면, 1014 단계에서 모뎀(1004)과 제1 번들(1005)은 제1 APDU pipe를 형성한다.
단계 1015에서, 모뎀(1004)는 SPBL(1003)에 제1 APDU pipe의 식별자 (Identifier)를 전달한다. 단계 1015는 iSSP 내 엔티티인 Network Controller Host (NCH), Router와 연동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 1016에서, SPBL(1003)은 단계 1012의 제1 번들 활성화 명령에 대한 응답(response)을 LBA(1002)에 전달할 수 있다. 제1 번들이 성공적으로 활성화되고 모뎀과 제1 APDU pipe를 형성하였다면, 단계 1016의 응답은 제 1 APDU pipe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SPBL(1003)로부터 수신된 제1 APDU pipe 식별자를 통해, LBA(1002)는 단계 1012를 통해 활성화된 제1 번들이 모뎀과 통신하기 위해 형성한 제1 APDU pipe의 식별자를 알 수 있다.
단계 1017에서, LBA(1002)는 모뎀에서 제 1번들을 iSIMport1과 매핑시키기 위해, APDU pipe와 iSIMport 매핑 요청을 모뎀(1004)에 보낸다. 해당 APDU pipe와 iSIMport 매핑 요청은 매핑시킬 iSIMport의 식별자와 APDU pipe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LBA(1002)와 모뎀 (1004) 사이 직접적인 데이터 전달 루트가 없는 경우, 단계 1017은 SPBL(1003)를 경유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LBA(1002)는 APDU pipe와 iSIMport 매핑 요청을 SPBL(1003)에 전달하고, SPBL(1003)이 모뎀(1004)에 전달함으로써 매핑할 iSIMport 식별자와 APDU pipe 식별자가 모뎀(1004)에 전달될 수 있다.
단계 1018에서, 모뎀(1004)은 단계 1017에서 전달받은 iSIMport 식별자와 APDU pipe 식별자를 매핑한다. 이는 모뎀이 형성한 APDU pipe 중 전달받은 APDU pipe 식별자를 가진 APDU pipe(제1 APDU pipe)로 연결된 번들 (제 1 번들)을 전달받은 iSIMport 식별자와 연관된 논리 베이스 밴드와 연결하는 동작일 수 있다. 이는 예컨대, 상기 제 1번들의 IMSI와 K값을 활용하여 iSIMport 식별자와 연관된 논리 베이스 밴드를 통해 네트워크 망에 접속하도록 하는 모뎀 내부의 동작일 수 있다. 단계 1018을 통해, 활성화된 텔레콤 번들을 모뎀 내 특정 논리 베이스 밴드와 연결하여 망 접속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1019에서, 모뎀(1004)은 단계 1018의 수행 결과를 회신한다. 단계 1019를 통해서 LBA(1002)는 제 1번들이 iSIMport1ID에 해당하는 iSIMport에 성공적으로 매핑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단계 1021부터 단계 1029까지는 제2 번들(1006)을 활성화시켜, iSIMport2에 매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절차이다. 단계 1021, 1022, 1023, 1024, 1025, 1026, 1027, 1028, 1029는 각각 단계 1011, 1012, 1013, 1014, 1015, 1016, 1017, 1018, 1019를 참조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텔레콤 번들 2개를 활성화하여 모뎀의 심 포트 2개에 각각 할당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는 도 10와 달리, LBA(1102)가 SPBL(1103)에 보내는 번들 활성화 명령에 iSIM port의 식별자가 포함되는 일부 실시 예를 나타낸다.
단계 1111부터 1119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 1번들(1105)을 활성화하여 모뎀의 iSIM port 1에 연결하는 일련의 실시 예이다.
단계 1121부터 1129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 2번들(1106)을 활성화하여 모뎀의 iSIM port 2에 연결하는 일련의 실시 예이다.
1111 단계에서, 사용자(1101)는 LBA(1102)에 제1 번들 활성화를 요청한다. 단계 1111는 단말의 심카드 설정 UI에서 사용자가 특정 SIM slot에 제1 번들의 통신사를 활성화 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iSIMport1에 제1 번들을 활성화시키려 할 수 있다.
1112 단계에서, LBA(1102)는 제 1번들 활성화 명령을 SPBL(1103)에 전달한다. 1112 단계에서, 제1 번들 활성화 명령(command)는 예컨대, 제 1번들의 식별자와 iSIMport1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Si3.EnableSpb 명령어 일 수 있다.
1113 단계에서, SPBL(1103)을 통해서 제 1번들(1105)이 활성화된다. 도 11의 1113 단계는 도 10의 1013 단계에 대응하는 단계일 수 있다.
1114 단계에서, 모뎀(1104)과 제1 번들(1105)는 APDU pipe를 형성한다. 형성된 APDU pipe를 제1 APDU pipe라 부른다. 도 11의 1114 단계는 도 10의 1014 단계에 대응하는 단계일 수 있다.
단계 1115에서, 모뎀(1104)은 SPBL(1103)에 제1 APDU pipe의 식별자를 전달할 수 있다. 단계 1115는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생략될 수 도 있다.
단계 1116에서, SPBL(1103)은 모뎀(1104)에 APDU pipe와 iSIMport 매핑 요청을 할 수 있다. 상기 매핑 요청은 iSIMport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핑 요청은 APDU pipe 식별자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핑 요청에 포함되는 APDU pipe 식별자는 단계 1115에서 전달받은 APDU pipe 식별자일 수 있다.
단계 1117에서, 모뎀(1104)은 iSIM port와 APDU pipe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도면의 예에 따라, 단계 1117은 단계 1113에 의해 활성화된 제1 번들이 모뎀과 형성한 제1 APDU pipe를 단계 1116에서 전달받은 iSIMport 식별자에 상응하는 iSIM port와 매핑하는 과정일 수 있다. 단계 1117에 따라 단계 1111의 사용자의 요청대로 제1 번들이 모뎀의 iSIMport1에 해당하는 논리 베이스 밴드 (logical baseband)를 이용해서 네트워크 망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단계 1118에서, 모뎀(1104)은 SPBL(1103)에 단계 1117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결과를 알릴 수 있다.
단계 1119에서, SPBL(1103)은 LBA(1102)에 번들 활성화 (단계 1113의 성공적 수행 여부) 및 활성화된 번들의 모뎀 내 iSIM port와의 매핑 여부 (단계 1117의 성공적 수행 여부)를 전달할 수 있다.
단계 1119에서 성공적인 번들 활성화 및 iSIM port와의 성공적 매핑을 회신받은 LBA(1102)는 사용자(1101)에게 iSIMport1에 제1 번들이 활성화되어 사용중임을 UI를 통해 화면에 나타나게 할 수 있다.
단계 1121부터 단계 1129까지는 제2 번들(1106)을 활성화 시켜, iSIM port2에 매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절차이다. 단계 1121, 1122, 1123, 1124, 1125, 1126, 1127, 1128, 1129는 각각 단계 1111, 1112, 1113, 1114, 1115, 1116, 1117, 1118, 1119를 참조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Multi-SIM 모뎀에 복수 개의 프로파일(profile)들을 동시에 활성화할 수 있는 eSIM 번들이 연결된 경우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먼저Multi-SIM 모뎀(1220))은 두 개의 논리(logical) 베이스 밴드를 가지고 있고, 따라서 동시에 두 개의 통신 회선(communication line)들을 지원할 수 있다.
먼저, Multi-SIM 모뎀(1220)은 모뎀 호스트 도메인(MODEM host domain)(1220)이라고도 칭해질 수 있다. 모뎀 호스트 도메인(1220)은 복수 개의 모뎀 호스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Multi-SIM 모뎀(1220)은 예를 들어 듀얼 SIM(dual SIM) 모뎀일 수 있으며, 두 개의 베이스 밴드들, 예를 들어 제1 베이스 밴드(1223) 및 제2 베이스밴드(122)를 포함한다. 여기서, 베이스 밴드는 논리 베이스 밴드일 수 있다.
Multi-SIM 모뎀(1220)은 eSIM 제어부(1221)를 포함할 수 있다. eSIM 제어부(1221)는 단말의 iSSP 제어 소프트웨어인 LBA와 eSIM 번들 제어 소프트웨어인 LPA로부터 커맨드가 입력되면, iSSP의 MEP RSP 번들 (1240)를 제어하도록 커맨드를 전달할 수 있다.
단말 내 통신사 앱(App)과 같은 서드 파티 앱 (third party app) 또는 통신 프로파일 설정을 관리하는 단말 소프트웨어인 SIM 카드 관리자(SIM Card Manager) 앱, 또는 LBA/LPA와 같은 iSSP, 번들 관리 소프트웨어들은 Multi-SIM 모뎀(1220)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iSSP에 억세스하거나 iSSP 내 텔레콤 번들, eSIM 번들에 억세스 및 제어를 시도할 수 있다.
Multi-SIM 모뎀(1220)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는 SIM 슬롯이라고 칭해질 수 있으며,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케이스에서는, 단말 소프트웨어 또는 OS(1210)는 SIM slot #1(1213), SIM slot#2(1212), SIM slot#3(1211)를 통해서 Multi-SIM 모뎀(1220)에 억세스하거나, 또는 iSSP(1230) 또는 iSSP(1230) 내 MEP RSP 번들(1240)에 억세스할 수 있다. MEP RSP 번들(1240)은 GSMA(GSM Association)의 eSIM 규격에 정의된 eUICC 기능을 가지는 텔레콤 번들로서, 복수 개의 통신 프로파일들, 예를 들어 프로파일 1(1242), 프로파일 2(1243)를 포함할 수 있으며, LPA(1201)로부터 eUICC를 제어하는 커맨드를 처리하는 발행자 보안 도메인 루트(Issuer Security Domain Root: ISD-R)(1241)를 포함할 수 있다. MEP RSP 번들(1240)은 복수 개의 통신 프로파일들(1242,1243) 중 Multi-SIM 모뎀(1220)이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통신 프로파일들의 개수에 해당하는 통신 프로파일들을 동시에 활성화할 수 있다.
도 12에 따르면 Multi-SIM 모뎀(1220)은 MEP RSP 번들(1240) 간 UICC APDU pipe(1254)와 CAT APDU pipe(1255)를 생성할 수 있다. UICC APDU pipe(1254)는 Multi-SIM 모뎀(1220)의 모뎀 호스트 도메인의 UICC APDU Application Gate(1224)와 MEP RSP 번들(1240)의 UICC APDU Service Gate(1244) 간에 형성될 수 있다. CAT APDU pipe(1255)는 Multi-SIM 모뎀(1220)의 모뎀 호스트 도메인의 CAT Service Gate(1225)와 CAT Application Gate(1245)간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실시 예에 따르면, Multi-SIM 모뎀(1220)과 MEP RSP 번들(1240) 간 UICC APDU pipe(1254)은 하나이므로, Multi-SIM 모뎀(1220)과 MEP RSP 번들(1240) 사이에 멀티플렉싱(multiplexing) 기능이 필요로 된다. 예를 들어, 프로파일 1(1243)이 제1 베이스 밴드(1223)에 연결되어 활성화되어 있을 경우, 프로파일 1(1243)은 SIM slot #1(1213)을 통해서 억세스가 가능하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또한, 프로파일 2(1242)는 제2 베이스 밴드(1222)에 연결되어 활성화되어 있으며, 프로파일 2(1242)는 SIM slot #2(1212)를 통해서 억세스가 가능하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또한, LBA/LPA(1201)는 ISD-R(1241)로 MEP RSP 번들(1240) 내 프로파일의 상태 변환 커맨드를 전달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그러면 SIM slot#1(1213), SIM slot#2(1212), SIM slot#3(1211) 중 어떤 SIM slot을 통해 커맨드가 전달되었는지에 따라서, UICC APDU Service Gate(1244)는 프로파일 1(1243) 또는 프로파일 2(1242) 또는 ISD-R(1241) 중 하나로 커맨드를 전달할 것이다. 이와 같은 멀티플렉싱 기능은 단일 ISO 7816-3 인터페이스에서 복수 개의 통신 프로파일들을 지원하는 eUICC와 모뎀 사이의 멀티플렉싱 기능을 차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베이스 밴드(1223)와 프로파일 1(1243)간의 연결을 eSIM port#1, 제2 베이스 밴드(1222)와 프로파일 2(1242)간의 연결을 eSIM port#2, eSIM 제어부(1221)와 ISD-R(1241)간의 연결을 eSIM port#3이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그리고 SIM slot #1(1213)은 eSIM port #1로 커맨드를 전달하는 인터페이스, SIM slot #2(1212)는 eSIM port #2로 커맨드를 전달하는 인터페이스, SIM slot #3(1211)은 eSIM port #3으로 커맨드를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그러면 SIM slot#1(1213)을 통해서 전달되는 커맨드가 존재할 경우, Multi-SIM 모뎀(1220)은 eSIM Port#1로 커맨드를 전달한다는 의미를 가지는 APDU를 UICC APDU pipe(1254)로 먼저 전달하여 추후 전달되는 커맨드는 eSIM port#1과 관련된 프로파일 1(1243)으로 전달됨을 알린 후, SIM slot #1(1213)을 통해서 전달된 커맨드를 UICC APDU pipe(1254)로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커맨드에 헤더(header)를 첨부하고, 헤더에는 어떤 eSIM port에 관련되는 커맨드인지를 인지할 수 있는 데이터를 포함시켜 커맨드를 전달함으로써, MEP RSP 번들(1240)이 헤더를 통해서 프로파일 1(1243), 프로파일 2(1242), ISD-R(1241) 중 어디로 커맨드를 전달해야 하는 지 판단할 수도 있다.
도 13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Multi-SIM 모뎀에 복수 개의 프로파일들을 동시에 활성화할 수 있는 eSIM 번들이 연결된 경우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먼저 Multi-SIM 모뎀(1320)은 두 개의 논리 베이스 밴드들을 가지고 있어 동시에 두 개의 통신 회선들을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서, Multi-SIM 모뎀(1320)은 Multi-SIM 모뎀(1320) 자신이 지원하는 논리 베이스 밴드들의 개수보다 1개 더 많은 개수의 SIM slot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이 추가적인 1개의 SIM slot은 MEP RSP 번들(1340)로 커맨드를 전달하여 MEP RSP 번들(1340)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iSSP(1330) 또는 MEP RSP 번들(1340)에 억세스 권한이 있는 LBA/LPA (1301)가 사용할 수 있는 SIM slot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서, Multi-SIM 모뎀(1320)은 Multi-SIM 모뎀(1320)과 MEP RSP 번들(1340) 사이에 Multi-SIM 모뎀이 지원하는 SIM slot들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UICC APDU pipe들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3에는 Multi-SIM 모뎀(1320)과 MEP RSP 번들(1340) 사이에 3개의 UICC APDU pipe들(1351, 1352, 1353)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3에는 Multi-SIM 모뎀(1320)과 MEP RSP 번들(1340) 사이에 3개의 CAT APDU pipe들(1354, 1355,1356)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Multi-SIM 모뎀(1320)은 모뎀 호스트 도메인이라 칭해질 수도 있다. 모뎀 호스트 도메인(1320)은 복수 개의 모뎀 호스트들, 예를 들어 제1 모뎀 호스트(1321), 제2 모뎀 호스트(1322), 제3 모뎀 호스트(1323)를 가질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모뎀 호스트(1321)는 제1 베이스 밴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UICC APDU Application Gate(1331)와 CAT APDU Service Gate(133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모뎀 호스트(1322)는 제2 베이스 밴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UICC APDU Application Gate(1332)와 CAT APDU Service Gate(133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3 모뎀 호스트(1323)는 eSIM 제어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UICC APDU Application Gate(1335)와 CAT APDU Service Gate(1336)을 포함할 수 있다. eSIM 제어부는 단말의 iSSP 제어 소프트웨어인 LBA와 eSIM 번들 제어 소프트웨어인 LPA로부터 커맨드를 수신하여 iSSP의 MEP RSP 번들(1340)을 제어하도록 커맨드를 전달할 수 있다.
단말 내 통신사 앱과 같은 서드 파티 앱 또는 통신 프로파일 설정을 관리하는 단말 소프트웨어인 SIM Card Manager 앱, 또는 LBA/LPA와 같은 iSSP, 번들 관리 소프트웨어들은 Multi-SIM 모뎀(1320)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iSSP에 억세스하거나 iSSP 내 텔레콤 번들, eSIM 번들에 억세스 및 제어를 시도할 수 있다.
Multi-SIM 모뎀(1320)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는 SIM slot이라고 칭해질 수 있으며, 도 13에서는 단말 소프트웨어 또는 OS(1310)는 SIM slot #1(1311), SIM slot #2(1312), SIM slot #3(1313)을 통해서 Multi-SIM 모뎀(1320)에 억세스하거나 iSSP(1330) 또는 iSSP(1330) 내 MEP RSP 번들(1340)에 억세스할 수 있다. 상기 MEP RSP 번들(1340)은 GSMA의 eSIM 규격에 정의된 eUICC 기능을 가지는 텔레콤 번들로서 복수 개의 통신 프로파일들, 예를 들어 프로파일 1(1343), 프로파일 2(1342)를 가질 수 있으며, LPA(1301)로부터 eUICC를 제어하는 커맨드를 프로세싱하는 ISD-R(1341)을 포함할 수 있다. MEP RSP 번들(1340)은 복수 개의 통신 프로파일들(1342,1343) 중 Multi-SIM 모뎀(1320)이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통신 프로파일들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통신 프로파일들을 동시에 활성화할 수 있다.
도 13에서, Multi-SIM 모뎀(1320)은 Multi-SIM 모뎀(1320)와 MEP RSP 번들(1340) 사이에 복수 개의 UICC APDU pipe들(1351, 1352, 1353)과 복수 개의 CAT APDU pipe들(1354, 1355, 1356)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UICC APDU pipe(1351)는 Multi-SIM 모뎀(1320)의 제1 모뎀 호스트(1321)와 MEP RSP 번들(134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UICC APDU pipe(1351)은 제1 모뎀 호스트(1321)의 UICC APDU Application gate(1331)와 MEP RSP 번들(1340)의 UICC APDU Service Gate(134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UICC APDU pipe(1352)는 Multi-SIM 모뎀(1220)의 제2 모뎀 호스트(1322)와 MEP RSP 번들(134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UICC APDU pipe(1352)은 제2 모뎀 호스트(1322)의 UICC APDU Application gate(1332)와 MEP RSP 번들(1340)의 UICC APDU Service Gate(134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UICC APDU pipe(1353)는 Multi-SIM 모뎀(1220)의 제3 모뎀 호스트(1323)와 MEP RSP 번들(134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UICC APDU pipe(1353)은 제3 모뎀 호스트(1323)의 UICC APDU Application gate(1333)와 MEP RSP 번들(1340)의 UICC APDU Service Gate(134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3에서는, 프로파일 1(1343)이 제1 모뎀 호스트의 베이스 밴드(1321)에 연결되어 활성화되어 있으며, 프로파일 1(1341)은 SIM slot #1(1311)을 통해서 억세스가 가능하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또한, 프로파일 2(1342)는 제2 베이스 밴드(1322)에 연결되어 활성화되어 있으며 프로파일 2(1342)는 SIM slot#2(1312)를 통해서 억세스가 가능하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또한, LBA/LPA(1301)는 ISD-R(1341)에 MEP RSP 번들(1340) 내 프로파일의 상태 변환 커맨드를 전달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그러면 SIM slot #1(1311), SIM slot #2(1312), SIM slot #3(1313) 중 어떤 SIM slot에서 커맨드가 전달되었는지에 따라서 제1 UICC APDU pipe(1351) 또는 제2 UICC APDU pipe(1352) 또는 제3 UICC APDU pipe(1353)을 통해서 커맨드가 MEP RSP 번들(1340)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예는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예와 다르게, 하나의 UICC APUD pipe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도 1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멀티플렉싱 기능이 필요로 되지 않을 수 있다. 대신에, Multi-SIM 모뎀(1320)은 SIM slot #1(1311)을 통해서 전달되는 커맨드는 제1 UICC APDU pipe(1351)로 전달되고, SIM slot #2(1312)을 통해서 전달되는 커맨드는 제2 UICC APDU pipe(1352)로 전달되고, SIM slot #3(1313)을 통해서 전달되는 커맨드는 제3 UICC APDU pipe(1353)로 전달하는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서, MEP RS 번들(1340)은 제1 UICC APDU pipe(1351)로 전달된 커맨드는 프로파일 1(1343)로 전달하고, 제2 UICC APDU pipe(1352)로 전달된 커맨드는 프로파일 2(1342)로 전달하고, 제3 UICC APDU pipe(1353)로 전달된 커맨드는 ISD-R (1341)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Multi-SIM 모뎀에 복수 개의 프로파일들을 동시에 활성화할 수 있는 eSIM 번들이 연결된 경우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Multi-SIM 모뎀(1420))은 두 개의 논리 베이스 밴드들을 가지고 있어 동시에 두 개의 통신 회선들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4에서, Multi-SIM 모뎀(1420)은 Multi-SIM 모뎀(1420) 자신이 지원하는 논리 베이스 밴드들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SIM slot들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4에서는, Multi-SIM 모뎀(1420)이 두 개의 논리 베이스 밴드들을 지원하므로 SIM slot 역시 2개 존재하며, Multi-SIM 모뎀(1420)과 MEP RSP 번들(1440) 사이에는 두 개의 UICC APDU pipe들(1451, 1452)과 두 개의 CAT APDU pipe들(1454, 1455)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4에 따르면, Multi-SIM 모뎀(1420)은 MEP RSP 번들(1440) 사이에 Multi-SIM 모뎀이 지원하는 SIM slot 개수만큼 UICC APDU pipe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4는 Multi-SIM 모뎀(1420)과 MEP RSP 번들(1440) 사이 2개의 UICC APDU pipe(1451, 1452)을 형성한 실시 예이다. 또한, 2개의 CAT APDU pipe(1454, 1455)를 형성한 실시 예이다.
도 14에서, Multi-SIM 모뎀(1420)은 모뎀 호스트 도메인이라 칭해질 수 있다. 모뎀 호스트 도메인(1420)은 복수 개의 모뎀 호스트들, 예를 들어 제1 모뎀 호스트(1421) 및 제2 모뎀 호스트(1422)를 가질 수 있다. 도 14에서, 제1 모뎀 호스트(1421)는 제1 베이스 밴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UICC APDU Application Gate(1431)와 CAT APDU Service Gate(143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에서, 제2 모뎀 호스트(1422)는 제2 베이스 밴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UICC APDU Application Gate(1432)와 CAT APDU Service Gate(143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의 Multi-SIM 모뎀(1220) 및 도 13의 Multi-SIM 모뎀(1320)과는 달리 Multi-SIM 모뎀(1420)은 eSIM 제어부를 포함하지 않으며, 따라서 Multi-SIM 모뎀(1420)에 포함되는 모뎀 호스트들(1421, 1422)에 eSIM 제어부의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단말 내 통신사 앱과 같은 서드 파티 앱 또는 통신 프로파일 설정을 관리하는 단말 소프트웨어인 SIM Card Manager 앱, 또는 LBA/LPA와 같은 iSSP, 번들 관리 소프트웨어들은 Multi-SIM 모뎀(1420)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iSSP에 억세스하거나 iSSP 내 텔레콤 번들, eSIM 번들에 억세스 및 제어를 시도할 수 있다.
Multi-SIM 모뎀(1420)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는 SIM slot이라고 칭해질 수 있으며, 도 14에서 단말 소프트웨어 또는 OS(1410)는 SIM slot #1(1411), SIM slot #2(1412)을 통해서 Multi-SIM 모뎀(1320)에 억세스하거나 iSSP(1330) 또는 iSSP(1330) 내 MEP RSP 번들(1340)에 억세스할 수 있다. MEP RSP 번들(1440)은 GSMA의 eSIM 규격에 정의된 eUICC 기능을 가지는 텔레콤 번들로서 복수 개 통신 프로파일들, 예를 들어 프로파일 1(1441), 프로파일 2(144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MEP RSP 번들(1440)은 MEP RSP 번들(1440)을 제어하는 LBA 또는 LPA(도 14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이 전달하는 커맨드를 프로세싱하는 ISD-R(1443)을 포함할 수 있다. MEP RSP 번들(1440)은 복수 개의 통신 프로파일(1441,1442)을 Multi-SIM 모뎀(1420)이 동시 지원 가능한 수 만큼 동시에 활성화 할 수 있다.
도 14에 따르면 Multi-SIM 모뎀(1420)은 Multi-SIM 모뎀(1420)과 MEP RSP 번들(1440) 사이에 복수 개 UICC APDU pipe들(1451, 1452)과 복수 개의 CAT APDU pipe(1454, 1455)들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생성 가능한 UICC APDU pipe들(1451,1452)의 최대 개수는 Multi-SIM 모뎀(1420)에 포함되어 있는모뎀 호스트들(1421, 1422)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생성 가능한 CAT APDU pipe들(1454, 1455)의 최대 개수는 Multi-SIM 모뎀(1420) 내 모뎀 호스트(1421, 1422)의 개수만큼 생성할 수 있다.
제1 UICC APDU pipe(1451)는 Multi-SIM 모뎀(1220)의 제1 모뎀 호스트(1421)와 MEP RSP 번들(1440)간에 생성될 수 있다. 제1 UICC APDU pipe(1451)은 제1 모뎀 호스트(1421)의 UICC APDU Application gate(1431)와 MEP RSP 번들(1440)의 UICC APDU Service Gate(1444)간에 생성될 수 있다.
제2 UICC APDU pipe(1452)는 Multi-SIM 모뎀(1420)의 제2 모뎀 호스트(1422)와 MEP RSP 번들(1440)간에 생성될 수 있다. 제2 UICC APDU pipe(1452)은 제2 모뎀 호스트(1422)의 UICC APDU Application gate(1432)와 MEP RSP 번들(1440)의 UICC APDU Service Gate(1444)간에 생성될 수 있다.
도 14에서는, 프로파일 1(1441)이 제1 모뎀 호스트(1421)의 베이스 밴드에 연결되어 활성화되어 있으며, 프로파일 1(1441)은 SIM slot #1(1411)을 통해서 억세스 가능하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또한, 프로파일 2(1442)는 제2 베이스 밴드(1422)에 연결되어 활성화되어 있으며, 프로파일 2(1442)는 SIM slot #2(1412)를 통해 억세스 가능하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이 경우, 프로파일 1(1441)을 제어하기 위한 LBA 또는 LPA의 커맨드는 SIM slot #1(1411)을 통해 전달되어, UICC APDU pipe(1451)를 통해 ISD-R(1443)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프로파일 2(1442)를 제어하기 위한 LBA 또는 LPA의 커맨드는 SIM slot#2(1412)을 통해 전달되어, UICC APDU pipe(1452)를 통해 ISD-R(1443)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단말 소프트웨어가 iSSP의 텔레콤 번들을 제어하는 동작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단말 소프트웨어가 iSSP의 텔레콤 번들을 제어하는 동작은 단말의 UI를 통해서 사용자 요청이 검출되고, 사용자 요청을 기반으로 단말 소프트웨어가 iSSP의 텔레콤 번들을 제어하는 동작일 수 있다.
도 15에는 Dual-SIM 단말(1500)의 SIM Card manager(1511)의 UI, 즉 SIM Card Manager UI(1501)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에서는 단말이 Dual-SIM 단말(1500)이므로 제1 SIM slot을 프라이머리 슬롯(Primary slot)(1502)이라 하고 제2 SIM slot을 세컨더리 슬롯(secondary slot)(1503)이라 칭하기로 한다. 여기서, Primary slot(1502)은 5G까지 지원 가능한 베이스 밴드에 연결되어 있고, Primary slot은 제1 통신 사업자의 통신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SIM Card Manager UI(1501)의 스냅샷(snapshot)은 Secondary slot(1503)에서 iSSP에 설치된 텔레콤 번들 또는 RSP 번들 내 프로파일 중 어떤 것을 활성화할 지를 설치된 가입자 리스트(1505)를 오픈하고, 이 중 제2 통신 사업자의 통신 서비스가 선택될 경우의 스냅샷이다.
도 15에서는 크게 네 가지 동작들을 통해서 사용자 설정을 기반으로 하는 텔레콤 번들 제어 동작이 수행된다.
먼저, 동작 1531에서, SIM Card Manager UI(1501)를 통해서 Primary slot(1502)과 Secondary slot(1503)에서 사용될 통신 사업자가 선택된다. 특히, 도 15에서 SIM Card Manager UI(1501)의 스냅샷은 동작 1531에서 Secondary slot(1503)에 활성화될 통신 사업자가 가입자 리스트(1505)에서 제2 통신 사업자로 선택되는 경우의 스냅샷이다.
동작 1532에 따라 SIM Card Manager(1511)는 선택된 통신 사업자의 통신 서비스 사용하기 위해서 스탠드얼론(standalone) 텔레콤 번들을 활성화해야 하는지, RSP 번들에 설치된 프로파일을 활성화해야 하는지, MEP RSP 번들에 설치된 프로파일을 활성화해야 하는지 결정한다. 또한, SIM Card Manager(1511)는 Secondary slot에서 SIM Card Manager UI(1501)를 통해 선택된 통신 사업자가 아닌 다른 통신 사업자의 번들 또는 프로파일이 활성화되어 있었던 경우, 활성화되어 있던 해당 번들 또는 프로파일을 비활성화해야 하는지 결정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는, SIM Card Manager UI(1501)를 통해 선택된 제2 통신 사업자의 통신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MEP RSP 번들(1516)의 제2 통신 사업자 프로파일 (1517)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SIM Card Manager(1511)는 MEP RSP 번들(1516)을 활성화한 후 제2 통신 사업자 프로파일(1517)을 활성화하는 동작을 순차적으로 수행하기로 결정한다.
동작 1533에서, SIM Card Manager(1511)는 LBA를 통해 MEP RSP 번들(1516)을 활성화한다. 그 다음, LPA를 통해 MEP RSP 번들의 ISD-R에 억세스하여 ES10c.EnableProfile 커맨드를 전달하여 제2 통신 사업자 프로파일(1517)을 활성화 한다.
동작 1534에서, 활성화된 제2 사업자 프로파일(1517)을 Secondary slot에 상응하는 제2 베이스 밴드(1513)에 연결된다. 여기서, 동작 1534에서, MEP RSP 번들을 활성화시킬 시 Secondary slot 또는 제2 베이스 밴드(1513)와 연동하여 MEP RSP 번들을 활성화함으로써 추후에 활성화될 제2 통신 사업자 프로파일(1517)을 제2 베이스 밴드(1513)에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동작 1534에서, MEP RSP 번들(1516)은 특정 베이스 밴드와의 연결없이 활성화된 후, 제2 통신 사업자 프로파일(1517)을 활성화 하는 커맨드에 Secondary slot의 SIM port 식별자 또는 제2 베이스 밴드(1513)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시켜서 제2 통신 사업자 프로파일(1517)을 활성화할 수도 있다. 또는, 동작 1534에서, MEP RSP 번들(1516)과 제2 베이스 밴드(1513) 간 UICC APDU pipe가 생성되어 제2 통신 사업자 프로파일(1517)에 할당될 수도 있다.
도 16a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텔레콤 패키지를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6a를 참조하면, 먼저 단말의 소프트웨어는 LBA 또는 LPA의 기능을 포함하고, 모뎀에 억세스하여 iSSP 내 텔레콤 패키지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기 위해 커맨드를 전달할 수 있는 SIM Card Manager일 수 있다.
또한, 도 16a에 도시되어 있는 텔레콤 패키지를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은 도 15의 동작 1532의 구체적인 동작이 될 수 있다.
동작 1601에서, 단말은 활성화될 통신 사업자의 텔레콤 패키지와, 해당 텔레콤 패키지를 활성화해야 하는 iSIM 포트에 대한 정보가 입력됨을 검출한다. 여기서, 활성화될 통신 사업자의 텔레콤 패키지와, 해당 텔레콤 패키지를 활성화해야 하는 iSIM 포트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UI를 통해 입력될 수 있으며, 활성화될 통신 사업자의 텔레콤 패키지는 타겟 텔레콤 패키지라 칭해질 수 있고, 텔레콤 패키지가 활성화될 iSIM 포트는 타겟 iSIM 포트라 칭해질 수 있다.
동작 1603에서, 단말은 동작 1601에서 검출된 타겟 iSIM 포트에 기 활성화되어 있는 다른 텔레콤 패키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타겟 iSIM 포트에 기 활성화되어 있는 다른 텔레콤 패키지 존재할 경우 단말은 동작 1605에서 타겟 iSIM 포트에 기 활성화되어 있는 다른 텔레콤 패키지에 상응하는 텔레콤 번들을 비활성화한다. 즉, 동작 1605에서 단말은 타겟 iSIM 포트에 기 활성화되어 있는 텔레콤 패키지가 활성화할 텔레콤 패키지와 다른 텔레콤 번들에 속해 있는지, 또는 타겟 iSIM 포트에 기 활성화되어 있는 텔레콤 패키지가 활성화할 텔레콤 패키지와 같은 텔레콤 번들에 속해 있는 지와 상관없이, 타겟 iSIM 포트에 기 활성화되어 있는 텔레콤 패키지에 상응하는 프로파일을 비활성화한다.
이와는 달리, 타겟 iSIM 포트에 기 활성화되어 있는 다른 텔레콤 패키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단말은, 동작 1607에서, 타겟 텔레콤 패키지를 타켓 iSIM 포트에 활성화한다. 만약 타겟 텔레콤 패키지가 텔레콤 번들인 경우, 단말은 해당 텔레콤 번들을 타겟 iSIM 포트에 활성화하는 Si3 커맨드를 iSSP에 전달한다. 만약 타겟 텔레콤 패키지가 프로파일인 경우, 단말은 타겟 텔레콤 패키지가 포함된 eSIM 번들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타겟 텔레콤 패키지가 포함된 eSIM 번들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다면 eSIM 번들을 활성화한 후 타겟 텔레콤 패키지를 활성화한다.
도 16b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텔레콤 패키지를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6b를 참조하면, 먼저 단말의 소프트웨어는 LBA 또는 LPA의 기능을 포함하고, 모뎀에 억세스하여 iSSP 내 텔레콤 패키지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기 위해 커맨드를 전달할 수 있는 SIM Card Manager일 수 있다. 동작 1611에서, 단말은 활성화될 텔레콤 패키지와 해당 텔레콤 패키지를 활성화해야 할 iSIM 포트에 대한 정보가 입력됨을 검출한다. 여기서, 활성화될 텔레콤 패키지와, 해당 텔레콤 패키지를 활성화해야 하는 iSIM 포트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UI를 통해 입력될 수 있으며, 활성화될 텔레콤 패키지를 타겟 텔레콤 패키지라 칭해질 수 있고, 타겟 텔레콤 패키지가 활성화될 iSIM 포트를 타겟 iSIM 포트라 칭해질 수 있다.
동작 1612에서, 단말은 타겟 텔레콤 패키지가 standalone 텔레콤 번들인지를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standalone 텔레콤 번들은 eSIM 번들이 아닌, 그 자체로 하나의 텔레콤 패키지일 수 있는 텔레콤 번들일 수 있다.
타겟 텔레콤 패키지가 standalone 텔레콤 번들일 경우, 동작 1613에서 타겟 iSIM 포트에 타겟 텔레콤 패키지에 상응하는 텔레콤 번들을 활성화시킨다. 여기서, 동작 1613에서, 단말은 타겟 iSIM 포트에 기 활성화되어 있는 다른 텔레콤 번들이 존재할 경우, 기 활성화되어 있는 텔레콤 번들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즉, 동작 1613에서, 단말은 타겟 iSIM 포트에 기 활성화되어 있는 다른 텔레콤 번들이 존재할 경우, 기 활성화되어 있는 다른 텔레콤 번들을 비활성화시킨 후 타겟 iSIM 포트에 타겟 텔레콤 패키지에 상응하는 텔레콤 번들을 활성화시킨다.
타겟 텔레콤 패키지가 standalone 텔레콤 번들이 아닐 경우, 동작 1614에서, 단말은 타겟 텔레콤 패키지가 iSSP에 설치된 SEP (Single Enabled Profile) eSIM 번들에 포함된 프로파일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SEP eSIM 번들은 MEP 기능이 없는 eSIM 번들일 수 있다.
타겟 텔레콤 패키지가 SEP eSIM 번들에 포함된 프로파일일 경우, 동작 1615에서 단말은 타겟 iSIM 포트에 해당 SEP eSIM 번들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타겟 iSIM 포트에 해당 SEP eSIM 번들이 활성화되어 있을 경우, 동작 1616에서 단말은 SEP eSIM 번들에 타겟 텔레콤 패키지에 해당하는 프로파일을 활성화시키는 ES10c.EnableProfile 커맨드를 전달하여, 해당 프로파일을 활성화시킨다.
이와는 달리, 타겟 iSIM 포트에 해당 SEP eSIM 번들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을 경우, 동작 1617에서 단말은 SEP eSIM 번들을 타겟 iSIM 포트에 활성화시킨다. 동작 1617에서 단말은 타겟 iSIM 포트에 기활성화된 다른 텔레콤 번들이 존재할 경우 기활성화된 텔레콤 번들을 비활성화할 수도 있다. 즉, 동작 1617에서, 단말은 타겟 iSIM 포트에 기 활성화되어 있는 다른 텔레콤 번들이 존재할 경우, 기 활성화되어 있는 다른 텔레콤 번들을 비활성화시킨 후 타겟 iSIM 포트에 SEP eSIM 번들을 활성화시킨다. 그리고 나서 단말은 다시 동작 1616에서 타겟 텔레콤 패키지를 활성화시킨다.
또는, 타겟 텔레콤 패키지가 standalone 텔레콤 번들도 아니고, SEP eSIM 번들에 포함된 프로파일도 아닐 경우, 동작 1618에서 단말은 타겟 텔레콤 번들이 iSSP에 설치된 MEP eSIM 번들에 포함된 프로파일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타겟 텔레콤 번들이 iSSP에 설치된 MEP eSIM 번들에 포함된 프로파일일 경우, 동작 1619에서 단말은 타겟 iSIM 포트에 타겟 텔레콤 패키지가 포함된 MEP eSIM 번들이 기 활성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동작 1619에서, 단말은 MEP eSIM 번들이 생성한 eSIM 포트들 중 하나가 타겟 iSIM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타겟 iSIM 포트에 타겟 텔레콤 패키지가 포함된 MEP eSIM 번들이 기 활성화되어 있거나, 또는 MEP eSIM 번들이 생성한 eSIM 포트들 중 하나가 타겟 iSIM 포트에 연결되어 있을 경우, 동작 1620에서 단말은 타겟 iSIM 포트와 연관되어 있는 타겟 MEP eSIM 번들의 eSIM 포트에 타겟 텔레콤 패키지를 활성화시킨다. 여기서, 타겟 iSIM 포트와 연관되어 있는 타겟 MEP eSIM 번들의 eSIM 포트에 타겟 텔레콤 패키지를 활성화시키는데 사용되는 커맨드는 ES10c.EnableProfile (타겟 텔레콤에 해당하는 프로파일 식별자, 타겟 iSIM 포트와 연관된 eSIM 포트 식별자)일 수 있다.
또는, 타겟 iSIM 포트에 타겟 텔레콤 패키지가 포함된 MEP eSIM 번들이 비활성화되어 있거나, 또는 MEP eSIM 번들이 생성한 eSIM 포트가 타겟 iSIM 포트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동작 1621에서 단말은 타겟 iSIM 포트에 타겟 MEP eSIM 번들의 eSIM 포트를 활성화시킨다. 동작 1621에서, 단말은 타겟 MEP eSIM 번들이 비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타겟 MEP eSIM 번들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타겟 텔레콤 번들이 iSSP에 설치된 MEP eSIM 번들에 포함된 프로파일이 아닐 경우, 동작 1622에서 단말은 타겟 텔레콤 패키지를 iSSP에 설치된 어떠한 텔레콤 번들이나 프로파일에도 대응할 수 없으므로 에러 처리를 한다.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텔레콤 번들 또는 텔레콤 번들에 설치된 프로파일을 활성화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LBA/LPA(1702)는 LBA와 LPA의 기능을 포함한 단말 소프트웨어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7에서 SPBL/PP(1703)은 iSSP 내 설치된 텔레콤 번들을 관리할 수 있는 iSSP 내 SPBL와 PP를 통칭하는 엔티티일 수 있다. 도 17에서 Modem(1704)은 Multi-SIM 모뎀일 수 있고, 제1 번들(1705)은 복수 개 프로파일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MEP RSP 번들일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1 iSIM 포트와 제2 iSIM 포트는 각각 Multi-SIM 모뎀(1704)의 제1 논리 베이스밴드와 제2 논리 베이스 밴드와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동작은 제1 번들에 포함된 제1 프로파일과 제2 프로파일을 각각 제1 iSIM 포트와 제2 iSIM 포트에 활성화하는 동작일 수 있다. 도 17에서는 제1 번들의 제1 eSIM 포트와 제2 eSIM 포트는 각각 제1 iSIM 포트와 제2 iSIM 포트에 연결되는 경우를 가정하고, 제1 번들의 ISD-R APDU pipe와 연결되는 iSIM 포트는 제3 iSIM 포트인 경우를 가정하기로 한다.
동작 1711에서, UI(1701)는 단말의 SIM Card Manager UI일 수 있으며, 제1 번들 활성화 요청을 검출함에 따라 LBA/LPA(1702)로 제1 번들 활성화 커맨드를 전달한다. 여기서, UI(1701)에서 검출된 입력은 예를 들어 SIM Card Manager UI에서 선택된 통신 사업자 회선이 제1 번들과 연관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또는 동작 1711은 검출된 제1 번들 활성화 요청에 상응하게 도 16a 또는 도 16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SIM Card Manager에 의해 대신 수행될 수도 있음에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동작 1712에서, UI(1701)로부터 제1 번들 활성화 커맨드를 수신한 LBA/LPA(1702)는 SPBL/PP(1703)에 제1 번들 활성화 커맨드를 전달한다. 제1 번들 활성화 커맨드는 Si3.EnableSpb 일 수 있다. 또는, 제1 번들 활성화 커맨드는 제1 번들의 번들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713에서, LBA/LPA(1702)로부터 제1 번들 활성화 커맨드를 수신한 SPBL/PP(1703)는 제1 번들(1705)을 활성화한다. 해당 활성화 동작은 암호화되어 있는 제1 번들(1705)이 iSSP 내에서 복호되어 사용 가능한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일 수 있다.
동작 1714에서 Multi-SIM 모뎀(1704)과 제1 번들(1705)은 ISD-R APDU pipe를 생성한다. ISD-R APDU pipe는 제1 번들(1705) 내 ISD-R로 커맨드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UICC APDU pipe일 수 있다.
동작 1715에서 Multi-SIM 모뎀(1704)은 SPBL/PP(1703)에 동작 1713과 동작 1714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었음을 알리는 응답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1715에서 Multi-SIM 모뎀(1704)은 제1 번들(1705)이 활성화되고, ISD-R APDU pipe가 생성됨을 알리는 응답을 SPBL/PP(1703)로 전달할 수 있다.
동작 1716에서, SPBL/PP(1703)은 LBA/LPA(1702)에 동작 1713과 동작 1714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SPBL/PP(1703)은 동작 1716에서 제1 번들(1705)이 활성화되고, ISD-R APDU pipe가 생성됨을 알리는 응답을 LBA/LPA(1702)로 전달할 수 있다. 동작 1716에서 LBA/LPA(1702)는 ISD-R APDU pipe에 연결되는 iSIM 포트의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LBA/LPA(1702)가 수신하는 정보는 iSIM 포트를 식별할 수 있는 어떤 정보라도 가능하다.
동작 1721에서 UI(1701)는 프로파일 활성화 요청을 검출할 수 있고, 이에 상응하게 LBA/LPA(1702)로 프로파일 활성화 커맨드를 전달한다. 일 예로, 동작 1721은 제1 iSIM 포트에 프로파일을 활성화하는 동작일 수 있다. 또한, 동작 1721은 검출된 프로파일 활성화 요청에 상응하게 도 16a 또는 도 16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SIM Card Manager에 의해 대신 수행될 수도 있음에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또는 동작 1711에서 검출된 입력에 상응하게 어떠한 프로파일을 활성화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LBA/LPA(1702)에 전달한 경우, 동작 1721은 생략될 수 도 있다.
동작 1722에서, LBA/LPA(1702)는 프로파일 활성화 커맨드를 제1 번들(1705)에 전달할 수 있다. 프로파일 활성화 커맨드는 ES10c.EnableProfile 일 수 있다. 프로파일 활성화 커맨드는 활성화할 프로파일의 식별자와 프로파일을 활성화할 eSIM 포트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파일 활성화 커맨드는 Multi-SIM 모뎀(1704)을 통해 전달될 수도 있다.
동작 1723에서, Multi-SIM 모뎀(1704)과 제1 번들(1705) 간에는 프로파일 APDU pipe (제1 프로파일 APDU pipe)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프로파일 APDU pipe는 프로파일로 APDU를 전달할 수 있는 UICC APDU pipe일 수 있다. 제1 프로파일 APDU pipe는 동작 1722에서 포함된 eSIM 포트 식별자로 식별되는 eSIM 포트와 연결되는 UICC APDU pipe일 수 있다. 도 17에서 제1 프로파일 APDU pipe는 제1 번들의 제1 eSIM 포트와 연결될 수 있다.
단계 1724에 따라 단계 1722에서 활성화한 프로파일을 타겟 iSIM 포트에 매칭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1724에서 LBA/LPA(1702)는 Multi-SIM 모뎀(1704)으로 단계 1722에서 활성화한 프로파일을 연결할 iSIM 포트의 식별자를 전달할 수 있다.
동작 1725에서 제1 iSIM 포트(iSIMport1)와 제1 프로파일 APDU pipe가 연결될 수 있다. 동작 1725는 Multi-SIM 모뎀(1704) 내부에서 동작 1723에서 생성한 제1 프로파일 APDU pipe의 식별자를 제1 iSIM 포트 식별자와 연결하여 관리하는 동작일 수 있다.
동작 1731, 동작 1732, 동작 1733, 동작 1734, 동작 1735는 제1 번들(1705)에 포함된 또 다른 프로파일을 제2 iSIM 포트(iSIMport1)에 활성화시키는 동작이 될 수 있다.
동작 1731에서, UI(1701)는 제2 iSIM 포트에 제2 프로파일을 활성화하도록 하는 프로파일 활성화 요청을 검출하고, 이에 상응하게 LBA/LPA(1702)로 프로파일 활성화 커맨드를 전달한. 여기서, 동작 1731에서 검출되는 프로파일 활성화 요청은 iSIM 포트 2에 해당하는 위치에 프로파일 2에 해당하는 통신 사업자 회선을 사용하도록 하는 요청일 수 있다.
동작 1732에서, LBA/LPA(1702)는 프로파일 2를 eSIM 포트 2에 활성화시키는 커맨드를 제1 번들(1705)로 전달할 수 있다. 해당 커맨드는 ES10c.EnableProfile일 수 있다. 해당 커맨드는 활성화할 프로파일의 식별자와 프로파일을 활성화할 eSIM 포트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733에서, Multi-SIM 모뎀(1704)과 제1 번들(1705)간에는 제2 프로파일 APDU pipe가 생성될 수 있다. 제2 프로파일 APDU pipe는 동작 1732에 포함된 eSIM 포트 식별자로 식별되는 eSIM 포트와 연결되는 UICC APDU pipe일 수 있다. 도 17에서 제2 프로파일 APDU pipe는 제1 번들의 제2 eSIM 포트와 연결될 수 있다.
동작 1734에서, 제2 프로파일과 제2 iSIM 포트가 매칭될 수 있다. 1734 동작은 제2 프로파일이 활성화된 제2 eSIM 포트와 제2 iSIM 포트를 매칭하는 동작일 수 있다. 1734 동작은 LBA/LPA(1702)가 제2 프로파일 또는 제2 eSIM 포트 또는 제2 프로파일 APDU pipe의 식별자를 Multi-SIM 모뎀(1704)에 전달하는 동작일 수 있다.
동작 1735에서, Multi-SIM 모뎀(1704)은 제2 iSIM 포트와 제2 프로파일 APDU pipe를 연결할 수 있다. 1735 동작은 Multi-SIM 모뎀(1704) 내부에서 동작 1733에서 생성한 제2 프로파일 APDU pipe의 식별자를 제2 iSIM 포트 식별자와 연결하여 관리하는 동작일 수 있다.
도 18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MEP RSP 번들을 활성화하여 iSIM 포트와 연결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먼저 UI(1801), LBA/LPA(1802), SPBL/PP(1803), Multi-SIM 모뎀(1804), 제1 번들(1805)은 각각 도 17의 UI(1701), LBA/LPA(1702), SPBL/PP(1703), Multi-SIM 모뎀(1704), 제1 번들(1705)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동작은 UI(1801)를 통해 검출된 입력에 의해서 제1 번들(1805)이 활성화되는 동작일 수 있다. 도 18에서, 제1 번들(1805)은 MEP RSP 번들일 수 있으며, 이미 활성화된 2개의 프로파일들(예를 들어, 제1 프로파일, 제2 프로파일이)이 각각 제1 eSIM 포트와 제2 eSIM 포트에서 활성화되어 있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따라서,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번들(1805)이 활성화됨으로써, 제1 번들(1805)에 포함된 제1 프로파일과 제2 프로파일이 자동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도 18에서, 제1 번들(1805)이 활성화됨에 따라, 제1 번들(1805)에 포함된 제1 프로파일과 제2 프로파일이 각각 제1 iSIM 포트와 제2 iSIM 포트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8에서는, 제1 번들(1805)은 Multi-SIM 모뎀(1804)과 복수 개의 eSIM 포트들을 활성화할 수 있으며, 제1 eSIM 포트와 제2 eSIM 포트는 각각 제1 iSIM 포트와 제2 iSIM 포트에 연결되는 경우를 가정하기로 한다. 도 18에서는, 제1 번들의 ISD-R APDU pipe와 연결되는 iSIM 포트는 제3 iSIM 포트인 경우를 가정하기로 한다.
동작 1811에서, UI(1801)는 단말의 SIM Card Manager UI일 수 있으며, 제1 번들 활성화 요청을 검출함에 따라 LBA/LPA(1802)로 제1 번들 활성화 커맨드를 전달한다. 여기서, UI(1801)에서 검출된 제1 번들 활성화 요청은 예를 들어 단말의 SIM Card Manager UI에서 선택된 통신 사업자 회선이 제1 번들과 연관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또는 동작 1811은 검출된 제1 번들 활성화 요청에 상응하게 도 16a 또는 도 16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SIM Card Manager에 의해 대신 수행될 수도 있음에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동작 1812에서, UI(1801)로부터 제1 번들 활성화 커맨드를 수신한 LBA/LPA(1802)는 SPBL/PP(1803)에 제1 번들 활성화 커맨드를 전달한다. 제1 번들 활성화 커맨드는 Si3.EnableSpb 일 수 있다. 제1 번들 활성화 커맨드는 제1 번들의 번들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번들 활성화 커맨드는 iSIM 포트의 식별자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812에서는 iSIM 포트의 식별자를 제1 번들 활성화 커맨드에 포함시킬 경우를 가정하기로 한다.
동작 1813에서, SPBL/PP(1803)는 제1 번들(1805)을 활성화한다. 동작 1813의 활성화 동작은 암호화되어 있는 제1 번들(1805)이 iSSP 내에서 복호화되어 사용 가능한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일 수 있다.
동작 1814에서 Multi-SIM 모뎀(1804)과 제1 번들(1805)에는 ISD-R APDU pipe가 형성된다. ISD-R APDU pipe는 제1 번들(1805) 내 ISD-R로 커맨드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UICC APDU pipe일 수 있다.
동작 1815에서, Multi-SIM 모뎀(1804)과 제1 번들(1805) 간에는 프로파일 APDU pipe(제1 프로파일 APDU pipe)가 생성될 수 있다. 제1 프로파일 APDU pipe는 제1 eSIM 포트를 통해 APDU를 전달할 수 있는 UICC APDU pipe일 수 있다. 제1 프로파일 APDU pipe는 제1 번들의 제1 eSIM 포트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1815는 제1 eSIM 포트를 형성하는 동작의 일부일 수 있다.
동작 1816에서, Multi-SIM 모뎀(1804)은 동작 1815에서 생성된 제1 프로파일 APDU pipe의 식별자를 SPBL/PP(1803)로 전달할 수 있다.
동작 1817에서, SPBL/PP(1803)는 동작 1812에서 수신한 iSIM 포트 식별자와 동작 1815에서 수신한 APDU pipe 식별자를 Multi-SIM 모뎀(1804)에 전달하여 iSIM 포트와 APDU pipe의 매핑을 요청할 수 있다.
동작 1818에서 Multi-SIM 모뎀(1804)은 동작 1817에서 수신한 iSIM 포트 식별자와 APDU pipe 식별자의 매핑을 형성할 수 있다. 동작 1818은 수신한 식별자로 식별되는 iSIM 포트와 동작 1815에서 형성한 eSIM 포트 및 APDU pipe를 매핑하는 동작일 수 있다.
제1 번들(1805)에 기 활성화된 프로파일들이 두 개일 경우 동작 1819, 동작 1820, 동작 1821, 동작 1822가 더 수행될 수 있다. 동작 1819, 동작 1820, 동작 1821, 동작 1822는 제2 프로파일 APDU pipe를 제2 eSIM 포트에 연결하고, 제2 프로파일을 제2 eSIM 포트에 활성화 시키는 동작일 수 있다.
여기서, 동작 1819, 동작 1820, 동작 1821, 동작 1822는 각각 동작 1815, 동작 1816, 동작 1817, 동작 1818에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동작 1819에서, Multi-SIM 모뎀(1804)와 제1 번들(1805) 간에는 프로파일 APDU pipe(제2 프로파일 APDU pipe)가 생성될 수 있다. 제2 프로파일 APDU pipe는 제2 eSIM 포트를 통해 APDU를 전달할 수 있는 UICC APDU pipe일 수 있다. 제2 프로파일 APDU pipe는 제1 번들의 제2 eSIM 포트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1819는 제2 eSIM 포트를 형성하는 동작의 일부일 수 있다.
동작 1820에서, Multi-SIM 모뎀(1804)은 동작 1819에서 생성된 제2 프로파일 APDU pipe의 식별자를 SPBL/PP(1803)로 전달할 수 있다.
동작 1821에서, SPBL/PP(1803)는 동작 1812에서 수신한 iSIM 포트 식별자와 동작 1819에서 수신한 APDU pipe 식별자를 Multi-SIM 모뎀(1804)에 전달하여 iSIM 포트와 APDU pipe의 매핑을 요청할 수 있다.
동작 1822에서 Multi-SIM 모뎀(1804)은 동작 1821에서 수신한 iSIM 포트 식별자와 APDU pipe 식별자의 매핑을 형성할 수 있다. 동작 1822는 수신한 식별자로 식별되는 iSIM 포트와 동작 1819에서 형성한 eSIM 포트 및 APDU pipe를 매핑하는 동작일 수 있다.
도 19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MEP RSP 번들을 활성화하여 iSIM 포트와 연결하고, 각 iSIM 포트에 프로파일을 활성화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에서 UI(1901), LBA/LPA(1902), SPBL/PP(1903), Multi-SIM 모뎀(1904), 제1 번들(1905)은 각각 도 17의 UI(1701), LBA/LPA(1702), SPBL/PP(1703), Multi-SIM 모뎀(1704), 제1 번들(1705)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되어 있는 동작은 MEP RSP 번들인 제1 번들(1905)이 활성화되면서, ISD-R APDU pipe가 생성되고, 추가적으로 두 개의 프로파일 APDU pipe들이 생성하는 동작일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되어 있는 동작은 Multi-SIM 모뎀(1904)이 두 개의 논리 베이스 밴드들을 포함하고 있어 제1 번들(1905)과 최대 두 개의 프로파일 APDU pipe들을 형성하는 동작일 수 있다.
도 19에서, 제1 번들(1905)은 제1 eSIM 포트와 제2 eSIM 포트는 각각 제1 iSIM 포트와 제2 iSIM 포트에 연결되는 경우를 가정하기로 한다. 또는, 도 19에서 제1 번들의 ISD-R APDU pipe와 연결되는 iSIM 포트는 제3 iSIM 포트인 경우를 가정하기로 한다.
먼저, 동작 1911에서, UI(1901)는 제1 번들 LBA/LPA(1902)에 제1 번들 활성화 커맨드를 전달한다. 여기서, UI(1901)에서 검출된 제1 번들 활성화 요청은 예를 들어 단말의 SIM Card Manager UI에서 선택된 통신 사업자 회선이 제1 번들과 연관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또는 동작 1911은 검출된 제1 번들 활성화 요청에 상응하게 도 16a 또는 도 16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SIM Card Manager에 의해 대신 수행될 수도 있음에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동작 1912에서 UI(1901)로부터 제1 번들 활성화 커맨드를 수신한 LBA/LPA(1902)는 SPBL/PP(1903)에 제1 번들 활성화 커맨드를 전달한다. 제1 번들 활성화 커맨드는 Si3.EnableSpb 일 수 있다.
동작 1913에서, SPBL/PP(1903)는 제1 번들(1905)을 활성화한다. 동작 1913의 활성화 동작은 암호화되어 있는 제1 번들(1905)이 iSSP 내에서 복호화되어 사용 가능한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일 수 있다.
1914에서 Multi-SIM 모뎀(1904)과 제1 번들(1905)은 ISD-R APDU pipe를 형성한다. ISD-R APDU pipe는 제1 번들(1905) 내 ISD-R로 커맨드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UICC APDU pipe일 수 있다.
동작 1915에서, Multi-SIM 모뎀(1904)와 제1 번들(1905) 간에는 제1 프로파일 APDU pipe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프로파일 APDU pipe는 제1 eSIM 포트를 통해 APDU를 전달할 수 있는 UICC APDU pipe일 수 있다. 제1 프로파일 APDU pipe는 제1 번들의 제1 eSIM 포트와 연결될 수 있다. 동작 1915는 제1 번들(1905)이 Multi-SIM 모뎀(1904)과 제1 eSIM 포트를 활성화하는 동작의 일부일 수 있다.
동작 1916에서 Multi-SIM 모뎀(1904)은 동작 1915에서 생성한 제1 프로파일 APDU pipe와 제1 iSIM 포트를 매핑할 수 있다.
동작 1917에서, Multi-SIM 모뎀(1904)과 제1 번들(1905) 간에는 제2 프로파일 APDU pipe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프로파일 APDU pipe는 제2 eSIM 포트를 통해 APDU를 전달할 수 있는 UICC APDU pipe일 수 있다. 제2 프로파일 APDU pipe는 제1 번들의 제2 eSIM 포트와 연결될 수 있다. 동작 1917은 제1 번들(1905)이 Multi-SIM 모뎀(1904)과 제2 eSIM 포트를 활성화하는 동작의 일부일 수 있다.
동작 1915와 동작 1916을 포함하는 동작을 제1 eSIM 포트를 활성화하는 동작으로 칭할 수 있으며, 동작 1917와 동작 1918을 포함하는 동작을 제2 eSIM 포트를 활성화하는 동작으로 칭할 수 있다.
도 19는 두 개의 eSIM 포트 (제1 eSIM 포트와 제2 eSIM 포트)를 활성화하는 예시를 나타낸 실시 예이지만, n개의 eSIM 포트를 형성할 수 있는 Multi-SIM 모뎀과 MEP RSP 번들의 경우, 최대 n개의 eSIM 포트를 활성화 할 수 있다. 각각의 eSIM 포트 활성화 절차는 단계 1915와 1916과 유사한 동작을 반복하여 UICC APDU pipe를 형성하고 iSIM 포트와 연결한다.
동작 1919에서 Multi-SIM 모뎀(1904)은 LBA/LPA(1902)에 제1 번들(1905)에서 활성화된 eSIM 포트의 정보를 전달한다. 해당 정보는 활성화한 eSIM 포트들의 개수, 활성화된 eSIM 포트들 각각과 연결된 iSIM 포트들의 식별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정보를 바탕으로 LBA/LPA(1902)는 특정 iSIM 포트에 프로파일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어떤 eSIM 포트를 사용해야 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동작 1919에서는 동작 1914에서 생성한 ISD-R APDU pipe와 연관된 iSIM 포트의 식별자를 전달할 수 있다. LBA/LPA(1902)는 ISD-R APDU pipe와 연관된 iSIM 포트의 식별자를 통해서 제1 번들(1905)의 ISD-R에 억세스하기 위해서는 어떤 iSIM 포트를 사용해야 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동작 1920, 동작 1921, 동작 1922는 제1 번들(1905)의 제1 eSIM 포트에 제1 프로파일을 활성화하는 동작일 수 있다. 도 19에서, 제1 eSIM 포트는 제1 iSIM 포트와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
동작 1920에서, UI(1901)를 통해 제1 프로파일을 제1 eSIM 포트에 활성화하는 것에 대한 요청이 검출된다. 여기서, 해당 요청은 제1 프로파일을 제1 iSIM 포트에 활성화하는 요청과 동일할 수 있다.
동작 1921에서 LBA/LPA(1902)는 제1 프로파일을 제1 eSIM 포트에 활성화하는 커맨드를 제1 번들(1905)에 전달한다. 동작 1921은 동작 1914에서 형성한 ISD-R APDU pipe와 연관된 iSIM 포트를 사용하여 제1 번들(1905)에 전달될 수 있다. 해당 커맨드는 활성화할 프로파일의 식별자와 프로파일을 활성화할 eSIM 포트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922에서, 제1 번들(1905)의 eSIM 포트에 프로파일이 정상적으로 활성화되었으면, 제1 번들(1905)은 해당 요청, 즉 제1 프로파일을 제1 eSIM 포트에 활성화하는 것에 대한 요청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동작 1922를 통해서 LBA/LPA(1902)는 동작 1921에서 요청된 커맨드에 포함된 프로파일이 해당 커맨드에 포함된 eSIM 포트에 정상적으로 활성화되었으며, 해당 eSIM 포트는 어떤 iSIM 포트와 연결되어 있는지 식별할 수 있다.
동작 1930, 동작 1931, 동작 1932는 제1 번들(1905)의 제2 eSIM 포트에 제2 프로파일을 활성화하는 동작일 수 있다. 도 19에서, 제2 eSIM 포트는 제2 iSIM 포트와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
동작 1930에서, UI(1901)는 제2 프로파일을 제2 eSIM 포트에 활성화하는 것에 대한 요청을 검출한다. 해당 요청은 제2 프로파일을 제2 iSIM 포트에 활성화하는 요청과 동일할 수 있다.
동작 1931에서 LBA/LPA(1902)는 제2 프로파일을 제2 eSIM 포트에 활성화하는 커맨드를 제1 번들(1905)에 전달한다. 동작 1931은 동작 1914에서 형성한 ISD-R APDU pipe와 연관된 iSIM 포트를 사용하여 제1 번들(1905)에 전달될 수 있다. 해당 커맨드는 활성화할 프로파일의 식별자와 프로파일을 활성화할 eSIM 포트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932에서, 제1 번들(1905)의 eSIM 포트에 프로파일이 정상적으로 활성화되었으면, 제1 번들(1905)은 제2 프로파일을 제2 eSIM 포트에 활성화하는 것에 대한 요청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동작 1932를 통해서 LBA/LPA(1902)는 동작 1931에서 요청된 커맨드에 포함된 프로파일이 해당 커맨드에 포함된 eSIM 포트에 정상적으로 활성화되었으며, 해당 eSIM 포트는 어떤 iSIM 포트와 연결되어 있는지 식별할 수 있다.
도 2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고하면, 단말은 송수신부(2010), 제어부(2020), 저장부(20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2020)는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텔레콤 번들 및 텔레콤 프로파일을 관리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을 제어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텔레콤 번들 및 텔레콤 프로파일을 관리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19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송수신부(2010)는 제어부(2020)의 제어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이 포함하는 다른 디바이스들로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을 송신한다. 여기서, 송수신부(2010)가 송신하는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은 도 1 내지 도 19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송수신부(2010)는 제어부(2020)의 제어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이 포함하는 다른 디바이스들로부터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을 수신한다. 여기서, 송수신부(2010)가 수신하는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은 도 1 내지 도 19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저장부(2030)는 제어부(2020)의 제어에 따라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텔레콤 번들 및 텔레콤 프로파일을 관리하는 동작에 관련된 프로그램과 각종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2030)는 송수신부(2010)가 다른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한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을 저장한다.
한편, 도 20에는 단말이 송수신부(2010), 제어부(2020), 저장부(2030)와 같이 별도의 유닛들로 구현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단말은 송수신부(2010), 제어부(2020), 저장부(2030) 중 적어도 두 개가 통합된 형태로 구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마트 보안 매체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고하면, 스마트 보안 매체는 송수신부(2110), 제어부(2120), 저장부(21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2120)는 스마트 보안 매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텔레콤 번들 및 텔레콤 프로파일을 관리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을 제어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텔레콤 번들 및 텔레콤 프로파일을 관리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19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송수신부(2110)는 제어부(2120)의 제어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이 포함하는 다른 디바이스들로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을 송신한다. 여기서, 송수신부(2110)가 송신하는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은 도 1 내지 도 19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송수신부(2110)는 제어부(2120)의 제어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이 포함하는 다른 디바이스들로부터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을 수신한다. 여기서, 송수신부(2110)가 수신하는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은 도 1 내지 도 19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저장부(2130)는 제어부(2120)의 제어에 따라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텔레콤 번들 및 텔레콤 프로파일을 관리하는 동작에 관련된 프로그램과 각종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2130)는 송수신부(2110)가 다른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한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을 저장한다.
한편, 도 21에는 스마트 보안 매체가 송수신부(2110), 제어부(2120), 저장부(2130)와 같이 별도의 유닛들로 구현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스마트 보안 매체는 송수신부(2110), 제어부(2120), 저장부(2130) 중 적어도 두 개가 통합된 형태로 구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스마트 보안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내부 구조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22에 도시되어 있는 단말의 실시 예는 오직 예시만을 위한 것이며, 따라서 도 22은 본 개시의 범위를 단말의 임의의 특정한 구현으로 제한하지는 않는다.
도 2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말은 안테나(2205),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송수신기(2210), TX 프로세싱 회로(2215), 마이크로폰(microphone)(2220) 및 수신(receive: RX) 프로세싱 회로(2225)를 포함한다. 단말은 또한 스피커(2230), 프로세서(2240), 입/출력(input/output: I/O) 인터페이스(interface: IF)(2245), 터치 스크린(2250), 디스플레이(display)(2255) 및 메모리(2260)를 포함한다. 메모리(2260)는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 OS)(2261) 및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들(2262)을 포함한다.
RF 송수신기(2210)는 안테나(2205)로부터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입력되는 RF 신호를 수신한다. RF 송수신기(2210)는 입력되는 RF 신호를 다운 컨버팅하여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IF) 혹은 기저대역 신호로 생성한다. IF 혹은 기저 대역 신호는 RX 프로세싱 회로(2225)로 송신되고, RX 프로세싱 회로(2225)는 기저대역 혹은 IF 신호를 필터링, 디코딩, 및/혹은 디지털화하여 프로세싱된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한다. RX 프로세싱 회로(2225)는 추가적인 프로세싱을 위해 프로세싱된 기저대역 신호를 스피커(2230)로(음성 데이터를 위해서와 같이) 혹은 프로세서(2240)(웹 브라우징 데이터(web browsing data)를 위해서와 같이)로 송신한다.
TX 프로세싱 회로(2215)는 마이크로폰(2220)으로부터 아날로그 혹은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혹은 프로세서(2240)로부터 다른 출력 기저 대역 데이터(웹 데이터, 이메일, 혹은 양방향 비디오 게임 데이터(interactive video game data)와 같은)를 수신한다. TX 프로세싱 회로(2215)는 출력 기저 대역 데이터를 인코딩, 다중화 및/혹은 디지털화하여 프로세싱된 기저대역 혹은 IF 신호로 생성한다. RF 송수신기(2210)는 TX 프로세싱 회로(2215)로부터 출력되는 프로세싱된 기저대역 혹은 IF 신호를 수신하고, 기저대역 혹은 IF 신호를 안테나(2205)를 통해 송신되는 RF 신호로 업 컨버트(up-convert)한다.
프로세서(2240)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 혹은 다른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메모리(2260)에 저장되어 있는 OS(2261)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2240)는 공지의 원칙들에 따라 RF 송수신기(2210), RX 프로세싱 회로(2225) 및 TX 프로세싱 회로(2215)에 의한 다운링크 채널 신호들의 수신 및 업링크 채널 신호들의 송신을 제어할 수 있다. 몇몇 실시 예들에서, 프로세서(2240)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혹은 마이크로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프로세서(2240)는 텔레콤 번들 및 텔레콤 프로파일을 관리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에 관련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즉, 프로세서(2240)는 일 예로 도 1 내지 도 1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텔레콤 번들 및 텔레콤 프로파일을 관리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에 관련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2240)는 데이터를 실행중인 프로세스에 의해 요구될 경우 메모리(2260) 내로 혹은 메모리(2260)로부터 이동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 예들에서, 프로세서(2240)는 OS 프로그램(2261)을 기반으로 혹은 기지국들 혹은 운영자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에 응답하여 어플리케이션들(2262)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프로세서(2240)는 I/O 인터페이스(2245)에 연결되고, I/O 인터페이스(2245)는 단말에게 랩탑 컴퓨터들 및 핸드헬드(handheld) 컴퓨터들과 같은 다른 디바이스들에 대한 연결 능력을 제공한다. I/O 인터페이스(2245)는 이런 악세사리들과 프로세서(2240)간의 통신 경로이다.
프로세서(2240)는 또한 터치 스크린(2250) 및 디스플레이 유닛(2255)에 연결된다. 단말의 운영자는 터치 스크린(2250)을 사용하여 단말에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255)는 웹 사이트(web site)들로부터와 같은 텍스트 및/혹은 적어도 제한된 그래픽들을 렌더링(rendering)할 수 있는 액정 크리스탈 디스플레이,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혹은 다른 디스플레이가 될 수 있다.
메모리(2260)는 프로세서(2240)에 연결된다. 메모리(2260)의 일부는 랜덤 억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2260)의 나머지 부분은 플래시 메모리 혹은 다른 리드 온니 메모리(read-only memory: ROM)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2이 단말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고 할지라도, 다양한 변경들이 도 22에 대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도 22에서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조합되거나, 더 추가 분할 되거나, 혹은 생략될 수 있으며, 다른 컴포넌트들이 특별한 필요들에 따라서 추가될 수 있다. 또한, 특별한 예로서, 프로세서(2240)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중앙 프로세싱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들 및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graphics processing unit: GPU)들과 같은 다수의 프로세서들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도 22에서는 단말이 이동 전화기 혹은 스마트 폰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고 할지라도, 단말은 다른 타입들의 이동 혹은 고정 디바이스들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단말은 멀티심 모뎀의 특정 iSIM 포트에 텔레콤 번들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멀티심 모뎀의 복수 개 논리적 베이스밴드가 서로 다른 Radio Access Capability를 가지더라도, 활성화한 텔레콤 번들을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는 논리적 베이스 밴드에 연결하여 사용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단일 텔레콤 번들에서 복수 개 프로파일을 활성화 할 수 있는 텔레콤 번들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에 따르면 복수 개 프로파일을 활성화 시키고 각각의 활성화된 프로파일을 멀티심 모뎀의 특정 iSIM 포트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복수 개 프로파일을 활성화할 수 있는 텔레콤 번들을 관리하기 위한 용도의 별도 iSIM 포트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예: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 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개시를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 중 특정 실시 예의 일부 또는 전부가 다른 하나 이상 실시예의 일부 또는 전부와 결합되어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20)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마트 보안 매체와 연결되는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보안 매체의 제1 번들(bundle)을 활성화하는 동작;
    상기 활성화된 제1 번들과 상기 단말의 모뎀 간에 상기 활성화된 제1 번들 내의 제1 보안 관련 엔티티로 상기 스마트 보안 매체를 제어하는 커맨드(command)를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 APDU) 파이프(pipe)를 형성하는 동작; 및
    상기 활성화된 제1 번들과 상기 단말의 모뎀 간에 상기 스마트 보안 매체와 상기 단말의 모뎀 사이의 인터페이스인 제1 스마트 보안 매체 포트(port)를 통해 APDU를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제2 APDU 파이프를 형성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마트 보안 매체와 연결되는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보안 매체의 제1 번들을 활성화하는 동작은:
    제1 번들 활성화 요청을 검출하는 동작;
    상기 제1 번들 활성화 요청에 상응하는 제1 번들 활성화 커맨드를 상기 스마트 보안 매체로 전달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마트 보안 매체와 연결되는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번들 활성화 커맨드는 상기 제1 번들의 식별자(identifier: ID), 상기 제1 스마트 보안 매체 포트의 ID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마트 보안 매체와 연결되는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APDU 파이프는 발행자 보안 도메인 루트(Issuer Security Domain Root: ISD-R) APDU 파이프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마트 보안 매체와 연결되는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APDU 파이프는 프로파일(profile)로 APDU를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마트 보안 매체와 연결되는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APDU 파이프와 제1 스마트 보안 매체 포트 간의 매핑을 형성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마트 보안 매체와 연결되는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APDU 파이프와 제1 스마트 보안 매체 포트 간의 매핑을 형성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마트 보안 매체와 연결되는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제1 번들과 상기 단말의 모뎀 간에 상기 스마트 보안 매체와 상기 단말의 모뎀 사이의 인터페이스인 제2 스마트 보안 매체 포트를 통해 APDU를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제3 APDU 파이프를 형성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마트 보안 매체와 연결되는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APDU 파이프는 프로파일(profile)로 APDU를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마트 보안 매체와 연결되는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APDU 파이프와 제3 스마트 보안 매체 포트 간의 매핑을 형성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마트 보안 매체와 연결되는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마트 보안 매체와 연결되는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에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보안 매체의 제1 번들(bundle)을 활성화하고,
    상기 활성화된 제1 번들과 상기 단말의 모뎀 간에 상기 활성화된 제1 번들 내의 제1 보안 관련 엔티티로 상기 스마트 보안 매체를 제어하는 커맨드(command)를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제1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 APDU) 파이프(pipe)를 형성하고, 및
    상기 활성화된 제1 번들과 상기 단말의 모뎀 간에 상기 스마트 보안 매체와 상기 단말의 모뎀 사이의 인터페이스인 제1 스마트 보안 매체 포트(port)를 통해 APDU를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제2 APDU 파이프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마트 보안 매체와 연결되는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번들 활성화 요청을 검출하고,
    상기 제1 번들 활성화 요청에 상응하는 제1 번들 활성화 커맨드를 상기 스마트 보안 매체로 전달하여 상기 스마트 보안 매체의 제1 번들을 활성화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마트 보안 매체와 연결되는 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번들 활성화 커맨드는 상기 제1 번들의 식별자(identifier: ID), 상기 제1 스마트 보안 매체 포트의 ID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마트 보안 매체와 연결되는 단말.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APDU 파이프는 발행자 보안 도메인 루트(Issuer Security Domain Root: ISD-R) APDU 파이프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마트 보안 매체와 연결되는 단말.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APDU 파이프는 프로파일(profile)로 APDU를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마트 보안 매체와 연결되는 단말.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APDU 파이프와 제1 스마트 보안 매체 포트 간의 매핑을 형성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마트 보안 매체와 연결되는 단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APDU 파이프와 제1 스마트 보안 매체 포트 간의 매핑을 형성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마트 보안 매체와 연결되는 단말.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활성화된 제1 번들과 상기 단말의 모뎀 간에 상기 스마트 보안 매체와 상기 단말의 모뎀 사이의 인터페이스인 제2 스마트 보안 매체 포트를 통해 APDU를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제3 APDU 파이프를 형성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마트 보안 매체와 연결되는 단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APDU 파이프는 프로파일(profile)로 APDU를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마트 보안 매체와 연결되는 단말.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APDU 파이프와 제3 스마트 보안 매체 포트 간의 매핑을 형성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마트 보안 매체와 연결되는 단말.
KR1020200180213A 2020-12-21 2020-12-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인증 및 가입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2008951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213A KR20220089511A (ko) 2020-12-21 2020-12-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인증 및 가입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US17/556,813 US20220201475A1 (en) 2020-12-21 2021-12-20 Method and apparatus to manage authentication and subscription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21/019417 WO2022139373A1 (en) 2020-12-21 2021-12-20 Method and apparatus to manage authentication and subscription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213A KR20220089511A (ko) 2020-12-21 2020-12-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인증 및 가입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511A true KR20220089511A (ko) 2022-06-28

Family

ID=82022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213A KR20220089511A (ko) 2020-12-21 2020-12-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인증 및 가입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201475A1 (ko)
KR (1) KR20220089511A (ko)
WO (1) WO20221393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15017B (zh) * 2017-03-25 2021-05-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双卡双待双通的通信方法及终端
US11968083B2 (en) * 2021-06-29 2024-04-23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Configuration of an access point including an internet-of-things (IoT) radi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817B1 (ko) * 2008-05-21 2011-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Uicc 운용 장치 및 방법
KR101531068B1 (ko) * 2010-03-16 2015-06-23 주식회사 케이티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과 통합 인증칩간 인터페이스방법
US9665414B2 (en) * 2015-01-21 2017-05-30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Communication protocol bridge for card computing devices
CN105873021B (zh) * 2015-01-22 2019-06-21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为sim卡提供可靠时间源的方法、装置和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39373A1 (en) 2022-06-30
US20220201475A1 (en)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26959A1 (en) Method and device for efficiently providing profile for communication service
EP3228104B1 (e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implementing a trusted subscription management platform
US2020024512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and managing esim profiles
KR102490497B1 (ko) 통신 시스템에서 프로파일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0078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사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20201475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manage authentication and subscription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00049632A (ko) 복수의 별도의 링크들을 이용한 euicc 카드에서의 동시에 활성인 가입자 프로파일들의 관리
US202201594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PROFILES BY CONSIDERING REMOVABLE eUICC SUPPORTING MULTIPLE ENABLED PROFILES
RU2771140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одновременной активацией пакета, установленного в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ой платформе безопасности
US119030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nd managing multiple eSIM profiles
US20220141645A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communication bundle of smart secure platform
KR2022005073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및 범용 통합 회로 카드 간 초기화 방법 및 장치
CN116018830A (zh) 用于管理通信系统中的事件的装置和方法
US20220124481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itialization between user equipment and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20018882A (ko) 복수 개의 eSIM 프로파일을 설치,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86205A (ko) eSIM Profile을 iSSP 장치에 핸들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202642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processing profile management message for multiple enabled profiles between terminal and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KR20220118291A (ko) 단말 및 범용 통합 회로 카드 간 복수 개의 활성화된 프로파일을 위한 프로파일 관리 메시지 전송하고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135483A (ko) 닫힌 포트에 활성화된 프로파일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302475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event for device change
JP7383693B2 (ja) プロファイル遠隔管理権限設定方法、その装置及びそのシステム
US20230054892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ev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136288A1 (en) Method and device for online moving of bundles or profiles between devices
KR20220068886A (ko) 복수 프로파일 활성화를 지원하는 탈착식 eUICC를 고려한 프로파일 핸들링 방법 및 장치
KR20220068895A (ko) 복수 프로파일 활성화를 지원하는 탈착식 eUICC를 고려한 프로파일 핸들링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