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9427A - Battery module with improved coupling and connection structure - Google Patents

Battery module with improved coupling and connection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9427A
KR20220089427A KR1020200180039A KR20200180039A KR20220089427A KR 20220089427 A KR20220089427 A KR 20220089427A KR 1020200180039 A KR1020200180039 A KR 1020200180039A KR 20200180039 A KR20200180039 A KR 20200180039A KR 20220089427 A KR20220089427 A KR 20220089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electrically connected
battery module
battery
upp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0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51634B1 (en
Inventor
정승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to KR1020200180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634B1/en
Publication of KR20220089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4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6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7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n arrangement of two or more busbars within a container structure, e.g. busbar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되고, 제1전극과 제2전극을 갖는 다수의 배터리 셀, 상기 다수의 배터리 셀들이 각각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는 셀 고정홈들이 각각 형성된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이 대응결합하고, 측벽은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브라켓이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체결홈과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상기 전극 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버스바 및 상기 복수의 버스바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복수의 버스바와 절연되고, 상기 복수의 버스바와 와이어 본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패턴이 인쇄되어 있으며, 일측에 커넥터가 형성된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ranged to be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and having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respectively inserted thereinto.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each having cell fixing grooves that can be installed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side wall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and steps to which a fixing bracket for fixing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can be coupled. A cell frame, a plurality of bus bars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tabs, and a plurality of bus bars disposed on the plurality of bus bars, insulated from the plurality of bus bars, and wire bonding with the plurality of bus bars It relates to a battery module comprising a; a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a circuit pattern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is printed, and a connector is formed on one side.

Description

결합 및 접속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모듈 {Battery module with improved coupling and connection structure}Battery module with improved coupling and conne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개별 배터리 셀들의 전압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별도의 센싱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는 배터리 모듈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module structure that does not use a separate sensing wire for collecting voltage information of individual battery cells.

최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모바일 기기, 친환경 발전기술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등의 동력원으로 주목받고 있다.Recently, rechargeable batteries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are being used in various ways in mobile devices, eco-friendly power generation technologies, and the like. In addition, secondary batterie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 power source for electric vehicles (EVs) and 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which have been proposed as a way to solve air pollution from existing gasoline and diesel vehicles that use fossil fuels. .

이와 같이 자동차와 발전 시스템과 같이 상당히 높은 출력 대용량의 필요성으로 인해, 다수의 배터리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중대형 배터리 모듈이 사용된다.As described above, due to the need for a fairly high output and large capacity, such as in automobiles and power generation systems, medium-to-large battery modules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are used.

또한, 중대형 배터리 모듈이 소정의 장치 내지 디바이스에서 요구되는 출력 및 용량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배터리 셀들을 직렬, 병렬, 또는 직렬과 병렬이 혼합된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야 하고 외력에 대해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일부 배터리 셀들이 과전압, 과전류 또는 과발열 되는 경우를 재빨리 검출하여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따라서, 전압 센서 등을 배터리 셀들에 연결하여 실시간 또는 일정한 간격으로 작동 상태를 확인하여야 한다. In addition, in order for the medium and large-sized battery module to provide the output and capacity required in a given device or device,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must be electrically connected in series, parallel, or a mixture of series and parallel, and have a stable structure against external force. should be able to maintain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eans for quickly detecting and controlling a case in which some battery cells are overvoltage, overcurrent, or overheated.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onnect a voltage sensor or the like to the battery cells to check the operating state in real time or at regular intervals.

하지만, 이러한 검출수단의 장착 내지 연결은 배터리 모듈의 조립과정을 매우 어렵게 하여 복잡한 공정을 도입해야 하며, 이를 위한 다수의 배선으로 인해 단락의 위험성도 존재한다.However, the mounting or connection of the detection means makes the assembly process of the battery module very difficult, so a complicated process must be introduced, and there is also a risk of a short circuit due to a large number of wirings for this purpose.

따라서, 본 발명은, 배선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module capable of minimizing wir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배터리 모듈은,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되고, 제1전극과 제2전극을 갖는 다수의 배터리 셀, 상기 다수의 배터리 셀들이 각각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는 셀 고정홈들이 각각 형성된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이 대응결합하고, 측벽은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브라켓이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체결홈과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상기 전극 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버스바 및 상기 복수의 버스바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복수의 버스바와 절연되고, 상기 복수의 버스바와 와이어 본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패턴이 인쇄되어 있으며, 일측에 커넥터가 형성된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한다.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to be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having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can be inserted and installed, respectively. A cell frame in which an upper frame and a lower frame each having cell fixing grooves ar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a side wall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and steps to which a fixing bracket for fixing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can be coupled; A plurality of bus bar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tabs, and disposed on the plurality of bus bars, insulated from the plurality of bus bars, and wire-bonded with the plurality of bus bars to electrically A circuit pattern to be connected is printed, and a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 connector formed on one side thereof is included.

상기 버스바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 셀들 각각에 구비된 제1전극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셀들을 제 1 방향으로 병렬연결하는 제 1 버스바를 포함한다.The bus bar includes a first bus bar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first electrodes provided in each of the battery cells to connect the battery cells in parallel in a first direction.

상기 버스바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면의 측부에 배치되어 제 1 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에서 제 2 방향으로 연장된 단부를 가지는 제 2 버스바를 포함한다.The bus bar includes a second bus bar disposed on th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having an end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from one end.

상기 버스바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면의 중심영역 상에 배치되어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으로 연장된 단부를 가지는 제 3 버스바를 포함한다.The bus bar includes a third bus bar disposed on a central reg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and having ends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상기 버스바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면의 측부에 배치되되, 상기 셀 프레임의 모서리에 형성된 고정부의 일측에 체결되는 두 개의 제 4 버스바를 포함한다.The bus bar includes two fourth bus bar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and fastened to one side of a fixing part formed at a corner of the cell frame.

상기 제 1 버스바 및 상기 제 3 버스바는 상기 배터리 셀의 제1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버스바는 상기 배터리 셀의 제2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first bus bar and the third bus bar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of the battery cell, and the second bus ba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of the battery cell.

상기 제 4 버스바는, 상기 제 1 버스바 및 상기 제 3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극성 제 4 버스바와 상기 제 2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극성 제 4 버스바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같은 극성끼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독립적인 회로패턴이 형성된다.The fourth bus bar includes a first polarity fourth bus ba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bus bar and the third bus bar, and a second polarity fourth bus ba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bus bar, and In the circuit board, independent circuit patterns are formed so that the same polarities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제 1 버스바, 제 2 버스바 및 제 3 버스바는 모두 독립적으로 상기 회로패턴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커넥터와 연결되는 회로패턴이 형성된다.In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first bus bar, the second bus bar, and the third bus bar are all independently connected to the circuit pattern to form a circuit pattern connected to the connector.

상기 제 1 버스바 및 상기 제 3 버스바와 상기 제1극성 제 4 버스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로패턴과 상기 제 2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2극성 제 4 버스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로패턴이 독립적으로 추가된다.a circuit pattern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bus bar and the third bus bar and the first polarity fourth bus bar, and a circuit pattern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econd polarity fourth bus ba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bus bar; added independently.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배터리 모듈과 동일한 사양의 타 배터리 모듈의 고정부와 대응결합된다.The fixing part is coupled to the fixing part of the other battery module having the same specification as the battery module.

상기 배터리 모듈은, 상기 배터리 모듈의 제 4 버스바와, 상기 배터리 모듈과 동일한 사양의 타 배터리 모듈의 제 4 버스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고전류 연결부를 포함한다.The battery module includes a high current connection part electrically connecting a fourth bus bar of the battery module and a fourth bus bar of another battery module having the same specification as the battery module.

상기 배터리 모듈은, 상기 배터리 모듈의 셀 프레임의 측부와, 상기 배터리 모듈과 동일한 사양의 타 배터리 모듈의 셀 프레임의 측부를 고정하는 결합 브라켓을 포함한다.The battery module includes a coupling bracket for fixing a side of a cell frame of the battery module and a side of a cell frame of another battery module having the same specification as the battery module.

상기 배터리 모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배터리 셀을 감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 형상의 링 서미스터를 포함한다.The battery module includes at least one ring-shaped ring thermistor surrounding at least one or more of the battery cells.

상기 링 서미스터는 제 1 방향 혹은 제 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상기 배터리 셀에 설치된다.The ring thermistor is installed in the battery cel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or the second direction.

복수의 배터리 셀들을 연결하기 위한 기계적 체결 및 전기적 접속을 위한 배선이나 연결부재들을 최소화할 수 있다.Wires or connecting members for mechanical fastening and electrical connection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can be minimiz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배터리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셀 프레임 중 하부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하부 프레임에 배터리 셀이 삽입되어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상부 프레임과 복수의 버스바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결합과 인쇄 회로 기판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배터리 모듈과 동일한 다른 배터리 모듈과의 결합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배터리 모듈과 동일한 다른 배터리 모듈과의 결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wer frame among cell fra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ttery cell inserted and installed in a lower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upper frame and a plurality of bus ba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mbination of an upper frame and a lower frame and a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n upper frame and a lower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bination of the battery module and the same other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combination of the battery module and the same other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various aspect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도록 하며,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examples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these examples will b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with respect to on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scopes equivalent to those claimed by the claims, if properly described.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배터리 모듈(100)은 배터리 셀(C), 셀 프레임(110), 복수의 버스바(120), 및 인쇄 회로 기판(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9 , the battery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cell C, a cell frame 110, a plurality of bus bars 120, and a printed circuit board ( 130) is included.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배터리 셀(C)은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설치되되,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2)에 형성된 셀 고정홈(CH)에 끼워져 고정된다. 즉,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2) 각각의 면상에 셀 고정홈(CH)이 형성되고, 셀 고정홈(CH)은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으로 배열을 이룬다. 배터리 셀(C)드은 전기자동차 혹은 ESS 시스템 등에서 사용되는 96개 혹은 128개 등의 배터리 셀로 이루어진 중대형 배터리 모듈이 이용될 수 있으며, 다수의 배터리 셀을 이루는 7s12p 블록, 8s12p 블록, 8s16p 블록 등과 대응하는 배열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의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배터리 셀(C)의 전극 탭(CE) 제1전극(CE+)과 제2전극(CE-)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제1전극(CE+)은 양극이고, 제2전극(CE-)을 음극이며, 제1전극(CE+)은 배터리 셀(C)의 상부면 부분에 해당하고, 제2전극(CE-)은 배터리 셀(C)의 측면에 해당한다. 이하에서는 제1극성을 양극(Positive, +), 그리고 제2극성은 음극(Negative, -)인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 1 방향은 배터리 모듈(100)의 길이 방향을 의미하고, 제 1 방향은 너비 방향을 의미한다.1 to 3 , the battery cells C are installed to be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nd are disposed in the cell fixing grooves CH formed in the upper frame 111 and the lower frame 112 . plugged in and fixed That is, the cell fixing groove CH is formed on each surface of the upper frame 111 and the lower frame 112 , and the cell fixing grooves CH are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For the battery cell (C), a medium-to-large battery module consisting of 96 or 128 battery cells used in electric vehicles or ESS systems can be used. It can be arranged in an array. An embodiment of such an arrangement is shown in FIG. 3 . The electrode tab CE of the battery cell C includes a first electrode CE+ and a second electrode 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CE+ is a positive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CE- is a negative electrode, and the first electrode CE+ corresponds to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C, and the second electrode CE- The electrode CE- corresponds to the side surface of the battery cell C. Hereinafter, the first polarity will be described as positive (+) and the second polarity as negative (-). And, the first direction means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ttery module 100, and the first direction means a width direction.

한편, 배터리 셀(C)에는 현재 배터리 셀(C)의 동작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링 서미스터(140)가 마련될 수 있다. 링 서미스터(140)는 배터리 셀(C)을 감싸는 형상을 가진다. Meanwhile, the ring thermistor 140 for measuring the current operating temperature of the battery cell C may be provided in the battery cell C. The ring thermistor 140 has a shape surrounding the battery cell (C).

링 서미스터(140)는 모든 배터리 셀(C)에 구비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배터리 셀(C)의 배치나 버스바(120)의 연결이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경우, 배터리 셀(C)은 인쇄 회로 기판(130)이 놓여지는 중심영역과, 상기한 중심영역을 제외한 외측영역으로 나누어져 배치되고 있다. 이때, 링 서미스터(140)는 각 영역 별로 배치하되, 모든 영역에 고르게 분포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The ring thermistor 140 may be provided in all the battery cells C, but preferably, the arrangement of the battery cells C or the connection of the bus bar 120 should be consider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cell C is divided into a central region in which the printed circuit board 130 is placed and an outer region excluding the central region. At this time, the ring thermistor 140 is arranged for each region, but it is preferable to distribute it evenly in all regions.

물론 전극의 위치나, 극성, 방향은 앞서 설명한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배터리 셀(C)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Of course, the position, polarity, and direction of the electrode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battery cell (C).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셀 프레임(110)은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2)이 서로 대양되도록 결합된다.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2) 사이의 내부 공간에는 내부의 공간에 배터리 셀(C)이 안착된다. 배터리 셀(C)을 고정시키기 위한 셀 고정홈(CH)이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2)의 각각 형성되고, 배터리 셀(C)은 각각의 셀 고정홈(CH)에 삽입되어 고정된다.2 to 4 , the cell frame 110 is coupled such that the upper frame 111 and the lower frame 112 are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inner space between the upper frame 111 and the lower frame 112 , the battery cell C is seated in the inner space. A cell fixing groove CH for fixing the battery cell C is formed in the upper frame 111 and the lower frame 112, respectively, and the battery cell C is inserted into each cell fixing groove CH to be fixed do.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셀 프레임(110)의 측벽은,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2)의 측벽을 의미한다. 각각의 측벽에는 복수의 체결홈(110H)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브라켓(113)은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2)이 맞닿는 측면 부위 중 일부를 감싸는 형상을 가지고, 체결홈(110H)에 체결됨으로써 고정된다. 그리고,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2)의 측벽에는 고정 브라켓(113)의 일부가 설치될 수 있는 단차(L)가 존재한다. 단차(L)의 깊이는 고정 브라켓(113)의 두께에 유사한 깊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4 to 6 , the sidewalls of the cell frame 110 mean sidewalls of the upper frame 111 and the lower frame 112 . A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110H are formed in each sidewall. The fixing bracket 113 has a shape surrounding a portion of the side portion where the upper frame 111 and the lower frame 112 come into contact, and is fixed by being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110H. In addition, there is a step L in which a part of the fixing bracket 113 can be installed on the sidewalls of the upper frame 111 and the lower frame 112 . The depth of the step (L) is preferably provided to a depth similar to the thickness of the fixing bracket (113).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복수의 버스바(120)는 배터리 셀(C)의 전극탭(CE)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요소로써, 상부 프레임(111)의 상부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부 프레임(111)의 상부면은 각각의 버스바(120)들이 안착될 수 있음과 동시에 절연될 수 있도록, 리브와 단턱이 형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plurality of bus bars 120 are component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tabs CE of the battery cells C and ar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111 .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111 is formed with ribs and steps so that each of the bus bars 120 can be seated and insulated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버스바(120)는 네 종류로 구비된다. 네 종류의 버스바(121, 122, 123, 124)는 모두 상부 프레임(111)의 상면에 배치되고 있으며 각각의 버스바들은 모두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s bar 120 is provided in four types. The four types of bus bars 121 , 122 , 123 , and 124 are all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111 , and the respective bus bars are disposed not to overlap and are not electrically connected.

제 1 버스바(121)는 배터리 셀들(C) 각각에 구비된 제1전극들(CE+)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 버스비(121)는 배터리 셀들(C)을 제 1 방향으로 병렬연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모두 10개의 제 1 버스비(121)로 마련되어 있다. 하나의 제 1 버스바(121)는 제 1 방향(열)으로 9개의 배터리 셀(C)의 제1전극(CE+)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2 방향(행 방향)으로 5개씩 배치된다. The first bus bar 12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s CE+ provided in each of the battery cells C. As shown in FIG. The first bus ratio 121 connects the battery cells C in parallel in the first direc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10 first bus ratios 121 are provided. One first bus bar 12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s CE+ of the nine battery cells C in the first direction (column), and is arranged five each in the second direction (row direction).

제 2 버스바(122)는 상부 프레임(111)의 상면의 측부에 위치하고 제 1 방향(열)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일단부에서 제 2 방향(행)으로 연장된 단부를 가지는 ‘「’ 형상이다. 제 2 버스바(122)는 가장 외측행에 위치한 배터리 셀들(C)의 제2전극들(CE-)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2 버스바(122)의 단부는 3행에 위치한 배터리 셀(C)까지 연장되고 있다. 제 2 버스바(122)는 중심을 기준으로 대향되는 위치에 동일한 제 2 버스바(122)가 더 마련된다.The second bus bar 122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111 and extends in the first direction (column), and has a ''' shape having an end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row) from one extended end. to be. The second bus bar 12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s CE- of the battery cells C located in the outermost row. The end of the second bus bar 122 extends to the battery cell C located in the third row. The second bus bar 122 is further provided with the same second bus bar 122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center thereof.

제 3 버스바(123)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면의 중심영역 상에 배치되고, 제 1 방향(열)과 제 2 방향(행)으로 연장된 단부를 가지는 ‘土’ 형상을 가진다. 제 3 버스바(123)의 아래에 위치한 배터리 셀들(C)의 제1전극들(CE+)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third bus bar 123 is disposed on the central reg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and has a '土' shape having ends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column) and the second direction (row).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s CE+ of the battery cells C positioned below the third bus bar 123 .

상기 제 1 버스바 및 상기 제 3 버스바는 상기 배터리 셀의 제1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버스바는 상기 배터리 셀의 제2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The first bus bar and the third bus bar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of the battery cell, and the second bus ba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of the battery cell.

제 4 버스바(124)는 상부 프레임(111)의 상면의 측부에 배치되되, 제 2 버스바(122)와는 좌우대칭되는 위치에 위치한다. 제 4 버스바(124)는 셀 프레임(110)의 모서리에 형성된 각각의 고정부(FF)의 일측에 체결되고, 제 4 버스바(124)는 배터리 셀들(C)과 제 1 버스바 내지 제 3 버스바(121, 122, 123)의 모든 전기적 연결을 양극과, 음극을 구분하여 같은 극성끼리 취합하기 위한 제1극성 제 4 버스바(124+)와 제2극성 제 4 버스바(124-)이 마련되고 극성이 다른 각각의 제 4 버스바(124+, 124-)는 중심을 기준으로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각각의 제 4 버스바(124-, 124+)는 외부와 연결시키기 위한 양극, 그리고 음극 출력단(O)을 가진다The fourth bus bar 124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111 , and is located at a position symmetrical to the left and right with the second bus bar 122 . The fourth bus bar 124 is fastened to one side of each fixing part FF formed at the edge of the cell frame 110 , and the fourth bus bar 124 is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s C and the first bus bar to the second bus bar 124 . 3 The first polarity fourth bus bar 124+ and the second polarity fourth bus bar 124- for assembling all electrical connections of the 3 bus bars 121, 122, and 123 with the same polarity by separating the positive and negative poles ) is provided and each of the fourth bus bars 124+ and 124 - having different polarities are respectively disposed at opposite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er. Each of the fourth bus bars 124- and 124+ has an anode and a cathode output terminal O for connecting to the outside.

인쇄 회로 기판(130)은 복수의 버스바(120)의 상부에 배치되되 서로 절연되어 있으며, 복수의 버스바(120)와 와이어 본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패턴(130P)이 인쇄되어 있다. 이때, 회로 패턴(130P)은 제 1 버스바 내지 제 3 버스바(121, 122, 123)와는 모두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 1 버스비 내지 제 3 버스비(121, 122, 123)와 연결된 회로 패턴(130P)은 인쇄 회로 기판(130)의 일측에 위치한 커넥터(130C)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커넥터(130C)는 제 1 버스비 내지 제 3 버스비(121, 122, 123)를 통해서 모든 배터리 셀(C)들이 소정의 군(그룹, group)을 이루며 모두 연결되어 있다. 커넥터(130C)는 별도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회로와 연결된다. 따라서,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은 배터리 셀(C)들의 전압과 전류, 전력 상태를 소정의 그룹 단위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하기에 따라, 인쇄 회로 기판(130)은 동일한 극성을 가지는 제 1 버스바 내지 제 3 버스바(121, 122, 123)들의 전기적 신호를 취합하여 각각의 극성에 대응하는 제 4 버스바(124+, 124-)와 연결시키기 위한 별도의 신호취합 회로 패턴이 더 생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제 1 버스바(121) 및 제 3 버스바(123)은 배터리 셀(C)의 제1극성(+)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극성 제 4 버스바(12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로패턴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2 버스바(122)의 경우, 배터리 셀(C)의 제2극성(-)과 연결되므로, 제 2 버스바(122)와 제2극성 제 4 버스바(12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회로패턴이 마련될 수 있다. 물론, 두 회로패턴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구성되어야 한다.The printed circuit board 130 is disposed on the plurality of bus bars 120 and insulated from each other, and a circuit pattern 130P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bus bars 120 by wire bonding is printed thereon. In this case, the circuit pattern 130P is independently connected to all of the first bus bars to the third bus bars 121 , 122 , and 123 . The circuit pattern 130P connected to the first to third bus ratios 121 , 122 , and 123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130C located on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30 . Accordingly, in the connector 130C, all of the battery cells C form a predetermined group and are all connected through the first to third bus ratios 121 , 122 , and 123 . The connector 130C is connected to a separate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circuit. Accordingly,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can manage the voltage, current, and power state of the battery cells (C) in a predetermined group unit. In addition, according to implementati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30 collects electrical signals of the first to third bus bars 121 , 122 , and 123 having the same polarity, and a fourth bus bar corresponding to each polarity. A separate signal combining circuit pattern for connecting with (124+, 124-) may be further generated. That is, since the first bus bar 121 and the third bus bar 123 are connected to the first polarity (+) of the battery cell C, the first polarity fourth bus bar 12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 circuit pattern may be provided.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bus bar 122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larity (-) of the battery cell C, the second bus bar 122 and the second polarity fourth bus bar 124 -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 separate circuit pattern for connection may be provided. Of course, it should be configured so that the two circuit patterns are not electrically connected.

도 7과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100)은 두 개를 상호 결합하여 하나의 배터리 팩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부 프레임(111)의 네 모서리에 마련되어 있는 고정부(FF)는 제 4 버스바(124)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동일한 배터리 모듈(100`)을 뒤집은 후 각각의 고정부(FF, FF`)이 대응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두 배터리 모듈(100, 100`)을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 브라켓(114)이 마련될 수 있다. 즉, 배터리 모듈(100)의 셀 프레임(110)의 측부와, 동일한 배터리 모듈(100`)의 셀 프레임(110`)의 측부를 고정하는 결합 브라켓(114)이 마련될 수 있다. ?철? 브라켓(114)의 고정은 각각의 셀 프레임(110, 110`) 상에 형성된 체결홈(110H, 110H`)과 나사들의 체결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7 and 9, the battery modul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as one battery pack by combining two with each other. The fixing parts FF provided at the four corners of the upper frame 111 fix the fourth bus bar 124 and, at the same time, turn over the same battery module 100' and then the fixing parts FF and FF' respectively. This can be correspondingly coupled. In addition, a coupling bracket 114 for fixing the two battery modules 100 and 100 ′ may be provided. That is, the coupling bracket 114 for fixing the side of the cell frame 110 of the battery module 100 and the side of the cell frame 110 ′ of the same battery module 100 ′ may be provided. ?steel? The bracket 114 may be fixed by fastening grooves 110H and 110H ′ formed on each cell frame 110 , 110 ′ and screws.

그리고, 배터리 모듈(110)의 제 4 버스바(124)와, 타 배터리 모듈(110`)의 제 4 버스바(12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고전류 연결부(HC)가 더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a high current connection unit HC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ourth bus bar 124 of the battery module 110 and the fourth bus bar 124 ′ of the other battery module 110 ′ may be further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의하면, 두 배터리 모듈(110, 11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출력시키기 위한 배선과 버스바들을 최소화가 가능하여, 배터리 모듈의 경량화를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단선에 의한 문제를 상당부분 줄일 수 있으며, 배터리 모듈의 제조 시에도 공정의 수와 복잡성을 낮출 수 있으므로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According to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wiring and bus bars for outputting electrical signals from the two battery modules 110 and 110 ′, so that the battery module can be reduced in weight and disconnected.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problems caused by the battery module, and since the number and complexity of the process can be reduced even during the manufacturing of the battery module, there is an effect of lowering the production cos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se are only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No,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se descriptions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all those with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o the claims will be said to belong to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배터리 모듈
C : 배터리 셀
CE : 전극
CE+ : 제1전극 CE- : 제2전극
110 : 셀 프레임
110H : 체결홈
111 : 상부 프레임
112 : 하부 프레임
113 : 고정 브라켓
114 : 결합 브라켓
FF : 고정부 CH : 셀 고정홈
120 : 복수의 버스바
121 : 제 1 버스바 122 : 제 2 버스바
123 : 제 3 버스바 124 : 제 4 버스바
124+ : 제1극성 제 4 버스바
124- : 제2극성 제 4 버스바
130 : 인쇄 회로 기판
130P : 회로패턴 130C : 커넥터
140 : 링 서미스터
HC : 고전류 연결부
O : 출력부
100: battery module
C: battery cell
CE: electrode
CE+: first electrode CE-: second electrode
110: cell frame
110H: Fastening groove
111: upper frame
112: lower frame
113: fixed bracket
114: coupling bracket
FF : Fixing part CH : Cell fixing groove
120: plurality of bus bars
121: first bus bar 122: second bus bar
123: third bus bar 124: fourth bus bar
124+: 1st polarity 4th bus bar
124-: 2nd polarity 4th bus bar
130: printed circuit board
130P: Circuit pattern 130C: Connector
140: ring thermistor
HC : high current connection
O: output

Claims (9)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되고, 제1전극과 제2전극을 갖는 다수의 배터리 셀;
상기 다수의 배터리 셀들이 각각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는 셀 고정홈들이 각각 형성된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이 대응결합하고, 측벽은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브라켓이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체결홈과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상기 전극 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버스바; 및
상기 복수의 버스바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복수의 버스바와 절연되고, 상기 복수의 버스바와 와이어 본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패턴이 인쇄되어 있으며, 일측에 커넥터가 형성된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ranged to be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and having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An upper frame and a lower frame each having cell fixing grooves in which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can be respectively inserted and installed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a side wall is a plurality of fixing brackets to which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can be coupled. a cell frame in which a step is formed with the fastening groove of the;
a plurality of bus bar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tabs; and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on the plurality of bus bars, insulated from the plurality of bus bars, printed circuit pattern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bus bars by wire bonding, and a connector formed on one side; Characterized by the battery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 셀들 각각에 구비된 제1전극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셀들을 제 1 방향으로 병렬연결하는 제 1 버스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bus bar is
and a first bus bar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first electrodes provided in each of the battery cells to connect the battery cells in parallel in a first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면의 측부에 배치되어 제 1 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에서 제 2 방향으로 연장된 단부를 가지는 제 2 버스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bus bar is
The battery module comprising a second bus bar disposed on th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and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having an end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from one en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면의 중심영역 상에 배치되어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으로 연장된 단부를 가지는 제 3 버스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bus bar is
and a third bus bar disposed on a central reg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and having ends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면의 측부에 배치되되, 상기 셀 프레임의 모서리에 형성된 고정부의 일측에 체결되는 두 개의 제 4 버스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bus bar is
and two fourth bus bar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and fastened to one side of a fixing part formed at a corner of the cell frame.
제 2 항 내지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버스바 및 상기 제 3 버스바는 상기 배터리 셀의 제1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버스바는 상기 배터리 셀의 제2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o 5,
The first bus bar and the third bus bar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of the battery cell, and the second bus ba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of the battery cel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버스바는,
상기 제 1 버스바 및 상기 제 3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극성 제 4 버스바와 상기 제 2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극성 제 4 버스바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같은 극성끼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독립적인 회로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7. The method of claim 6,
The fourth bus bar,
a fourth bus bar of a first polarit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bus bar and the third bus bar, and a fourth bus bar of a second polarit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bus bar;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a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dependent circuit pattern is formed so that the same polarity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제 1 버스바, 제 2 버스바 및 제 3 버스바는 모두 독립적으로 상기 회로패턴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커넥터와 연결되는 회로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The first bus bar, the second bus bar and the third bus bar are all independently connected to the circuit pattern to form a circuit pattern connected to the connecto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제 1 버스바 및 상기 제 3 버스바와 상기 제1극성 제 4 버스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로패턴과 상기 제 2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2극성 제 4 버스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로패턴이 독립적으로 추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a circuit pattern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bus bar and the third bus bar and the first polarity fourth bus bar, and a circuit pattern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econd polarity fourth bus ba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bus bar;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ndependently added.
KR1020200180039A 2020-12-21 2020-12-21 Battery module with improved coupling and connection structure KR1025516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039A KR102551634B1 (en) 2020-12-21 2020-12-21 Battery module with improved coupling and connection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039A KR102551634B1 (en) 2020-12-21 2020-12-21 Battery module with improved coupling and connection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427A true KR20220089427A (en) 2022-06-28
KR102551634B1 KR102551634B1 (en) 2023-07-05

Family

ID=82268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039A KR102551634B1 (en) 2020-12-21 2020-12-21 Battery module with improved coupling and connection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163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5255A (en) * 2013-11-13 2015-05-21 에스케이배터리시스템즈 주식회사 Battery Module and Manufacturing the Same
KR20170011349A (en) * 2015-07-22 2017-02-02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module assembly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5255A (en) * 2013-11-13 2015-05-21 에스케이배터리시스템즈 주식회사 Battery Module and Manufacturing the Same
KR20170011349A (en) * 2015-07-22 2017-02-02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module assembly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1634B1 (en) 202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3508B2 (en) Bus bar assembly of novel structure
KR101137365B1 (en) Battery pack
US9198292B2 (en) Battery pack including circuit board assembly having first circuit board connected to terminals and second circuit board connected to first circuit board
KR100358618B1 (en) Battery power supply apparatus
US10553909B2 (en) Battery pack
US20110104521A1 (en) Battery system and electric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20110027634A1 (en) Battery system and electric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20110159336A1 (en) Battery system and electric vehicle including the same
WO2011126216A2 (en) Battery module and a method for assembling battery modules
US20130234511A1 (en) Bus bar module, vehicle power source apparatus, and vehicle
CN111952490A (en) Battery connection module and battery device
US20130252045A1 (en) Battery module
JP2013525945A (en) Battery module voltage detection assembly and battery module employing the same
US20210313657A1 (en) Battery Module with ICB Assembly in Space-Saving Structure
US20130252047A1 (en) Battery module
CN113013540B (en) Sub-battery pack,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nd vehicle
KR20120054807A (en) Battery pack having novel structure
KR20170007996A (en) Bus-bar Structure
EP3226342B1 (en) Cell connection unit
JP4529202B2 (en) Assembled battery
KR101822879B1 (en) Secondary battery module
KR102551634B1 (en) Battery module with improved coupling and connection structure
JP2021136053A (en) Battery pack
JP2006073362A (en) Power supply device for vehicle
JP2022544974A (en) Battery packs, electronic devices and automobi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