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8017A - Rssi 기반 출입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Rssi 기반 출입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8017A
KR20220088017A KR1020200178628A KR20200178628A KR20220088017A KR 20220088017 A KR20220088017 A KR 20220088017A KR 1020200178628 A KR1020200178628 A KR 1020200178628A KR 20200178628 A KR20200178628 A KR 20200178628A KR 20220088017 A KR20220088017 A KR 20220088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time point
distance variable
variable
rss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8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경재현
이종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카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카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178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8017A/ko
Priority to US17/362,229 priority patent/US11430275B2/en
Priority to JP2021126101A priority patent/JP7542828B2/ja
Publication of KR20220088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8017A/ko
Priority to US17/878,855 priority patent/US1185432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7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for locating or positioning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3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3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출입 관리 방법은 출입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RSSI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출입 관리 장치 사이의 거리에 관련된 제1 거리 변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거리 변수를 기초로 하는 제2 거리 변수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거리 변수가 미리 정해진 고정 기준값 이하가 되는 시점을 포함하는 소정 시간 구간 이내 또는 상기 제2 거리 변수가 가변 기준값 - 상기 가변 기준값은 상기 제1 거리 변수의 단위 시간 당 변화율을 기초로 결정됨- 이하가 되는 시점을 포함하는 소정 시간 구간 이내에, 상기 출입 관리 장치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출입여부를 결정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출입 관리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RSSI 기반 출입 관리 방법{ACCESS CONTROL METHOD BASED ON RSSI}
본 발명은 RSSI 기반 출입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이나 특정 지역 등에 대한 출입을 관리하는 기술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에 미리 저장된 정보를 출입 관리 장치가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와 저장된 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출입을 관리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종래에 카드 키 등으로 구현되었으나 최근에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기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란 수신된 신호의 특정 주파수 대역의 에너지 크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와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 사이의 거리를 파악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 미리 획득된 RSSI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출입 관리 장치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출입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출원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일 과제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미리 획득된 RSSI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출입 관리 장치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거리에 관한 정보에서 노이즈(noise)를 제거함으로써, 노이즈에 강건한 출입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출원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출입 관리 방법은 출입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RSSI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출입 관리 장치 사이의 거리에 관련된 제1 거리 변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거리 변수를 기초로 하는 제2 거리 변수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거리 변수가 미리 정해진 고정 기준값 이하가 되는 시점을 포함하는 소정 시간 구간 이내 또는 상기 제2 거리 변수가 가변 기준값 - 상기 가변 기준값은 상기 제1 거리 변수의 단위 시간 당 변화율을 기초로 결정됨- 이하가 되는 시점을 포함하는 소정 시간 구간 이내에, 상기 출입 관리 장치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출입여부를 결정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출입 관리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출입 관리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입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기초로 하는 제 1 거리 변수가 미리 정해진 고정 기준값 이하가 되는 시점을 포함하는 소정 시간 구간 이내 또는 상기 제2 거리 변수가 가변 기준값 - 상기 가변 기준값은 상기 제1 거리 변수의 단위 시간 당 변화율을 기초로 결정됨- 이하가 되는 시점을 포함하는 소정 시간 구간 이내에, 상기 출입 관리 장치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출입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출입 관리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에서 획득된 RSSI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기와 출입 관리 장치 사이의 거리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여, 서로 다른 단말기 간 RSSI 편차를 감소시키는 출입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RSSI를 기초로 획득된 사용자 단말기와 출입 관리 장치 사이의 거리에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노이즈(noise)에 강건한 출입 관리 방법 및 출입 관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RSSI를 기초로 획득된 제1 거리 변수를 기초한 출입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획득된 RSSI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제1 거리 변수를 기초로 획득된 제2 거리 변수에 기초한 출입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및 도 9는 획득된 제1 거리 변수가 고정 기준값 이하가 되거나 또는 제2 거리 변수가 가변 기준값 이하가 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제2 거리변수의 예상시간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리더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특정한 용어를 임의의 의미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용어의 의미에 관하여 별도로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과장되어 표시된 것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대상 영역에 출입을 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는 모바일 기기, 스마트폰, PDA, 웨어러블 디바이스, 태블릿 등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출입 관리 장치는 상기 대상 영역에의 출입을 관리하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단말의 형태일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의 형태일 수도 있고, 서버의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출입 관리 장치는 상기 대상 영역의 주변에 배치될 수도 있고, 상기 대상 영역에서 먼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가 출입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특정 주파수에서의 에너지 크기를 나타내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의 변화를 통해, 출입 관리 장치와 단말기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이하, 거리 변수라 한다)를 획득하고, 획득한 거리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출입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RSSI의 크기는 출입 관리 장치와 단말기 사이의 거리와 음의 상관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획득된 RSSI의 값이 커지는 경우, 출입 관리 장치와 사용자 단말기 사이의 거리는 작아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획득된 RSSI의 값이 커지는 경우, RSSI를 기초로 하는 거리 변수의 크기는 작아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 단말기와 출입 관리 장치 사이의 거리가 기준 거리 이하가 될 때, 출입 인증을 위한 통신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기는 출입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RSSI의 크기 변화를 기초로 하여 획득한 거리 변수가 기준값 이하가 될 때, 출입 인증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거리 변수가 기준값 이하가 될 때, 출입 인증을 위한 통신 신호를 출입 관리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RSSI를 기초로 하는 거리 변수는, 하기 [수학식 1]을 따를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거리 변수는 출입 관리 장치와 사용자 단말기 사이의 거리와 양의 상관 관계를 갖는 지표일 수 있다. 따라서, 거리 변수가 감소하는 것은 출입 관리 장치와 사용자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수학식 1]에서, TXPWR은 출입 관리 장치와 사용자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1[m]일 때, 사용자 단말기에서 획득된 RSSI의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수학식 1]에서, RSSI는 일 시점에서 사용자 단말기에서 획득된 RSSI의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 단말기의 종류 및/또는 연식에 따라, RSSI의 값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기와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종류 또는 연식이 상이하고, 제1 사용자 단말기와 출입 관리 장치 사이의 거리와 제2 사용자 단말기와 출입 관리 장치 사이의 거리가 동일한 경우에도, 출입 관리 장치가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획득한 RSSI의 크기는 출입 관리 장치가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획득한 RSSI의 크기와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기가 출입 관리 장치에 통신 신호를 전송하는 거리와 제2 사용자 단말기가 출입 관리 장치에 통신 신호를 전송하는 거리가 상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종류 및/또는 연식 차이에 강건한 출입 관리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 관리 장치가 획득된 RSSI에 포함된 노이즈(noise)에 무관하게 출입 관리 장치와의 거리가 기준 거리 이하가 되는 경우 출입 인증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거리 변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2 거리 변수는 제1 거리 변수를 기초로 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 단말기가 RSSI를 획득하고, 획득한 RSSI를 기초로 상기 제1 거리 변수 및 상기 제2 거리 변수를 획득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출입 관리 장치 또는 다른 장치에도 본 명세서에 대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 관리 장치 또는 다른 장치가 RSSI를 획득하고, 획득한 RSSI를 기초로 상기 제1 거리 변수 및 상기 제2 거리 변수를 획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10000)은 사용자 단말기(1000), 출입 관리 장치(2000) 및 인증 서버(30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출입 관리란, 소정의 영역 내에 사용자 단말기(1000)가 위치하게 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0)에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보안 영역 내의 출입을 관리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출입 관리를 수행하는 주체는 사용자 단말기(1000)일 수도 있고, 출입 관리 장치(2000)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출입 관리가 도어 출입 관리를 의미하는 경우, 도어 주변 영역 내에 사용자 단말기(1000)가 위치할 때, 사용자 단말기에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출입 관리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출입 관리가 보안 영역 내의 출입 관리를 의미하는 경우, 보안 영역 내에 사용자 단말기(1000)가 위치할 때, 사용자 단말기(1000)에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보안 영역 내의 보안에 관련된 동작의 수행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0)는 출입 관리 동작에 이용되는 고유의 인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0)는 출입 관리에 이용되는 고유의 인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0)의 인증 정보는 출입 관리 장치(2000) 또는 인증 서버(300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0)는 출입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예를 들어, 출입 인증을 위한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출입 관리 장치(2000)에 전송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0)는 출입 관리 장치(2000) 또는 인증 서버(30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0)에서 획득된 신호의 RSSI의 변화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 단말기(1000)는 상기 출입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출입 관리 장치(2000) 또는 인증 서버(30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0)는 출입 관리 장치(2000)로 통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입 관리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장치간에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통신적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연결은 장치간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예를들어, 다른 객체 또는 장치를 매개로 장치간에 연결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1000)와 출입 관리 장치(2000) 상호간에 통신 연결 절차가 수립될 수 있고, 통신 연결 절차가 수립된 이후에 사용자 단말기(1000)와 출입 관리 장치(2000)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0)는 출입 관리 장치(2000)로 인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0)는 출입 관리 장치(2000)로 출입 관리 동작의 수행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출입 관리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증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0)의 식별 정보, 사용자 단말기(1000)의 사용자의 식별정보, 패스워드, 암호화 정보, 복호화 정보, 상기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출입 권한 정보, 토큰 등 출입 인증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입 관리 장치(2000)는 유효성 판단의 일 예로, 획득한 인증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0)가 대상 영역에 출입할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0)가 대상 영역에 출입할 권한이 있는 경우,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0)에 대하여 대상 영역에 출입을 허여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대상 영역에 도어가 설치된 경우, 출입 관리 장치(2000)는 상기 도어의 개폐를 수행하는 도어 개폐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대상 영역에의 출입을 허여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0)가 대상 영역에 출입할 권한이 있는 경우, 출입 관리 장치(1000)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0)가 대상 영역에 출입할 권한이 있다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0)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0)가 대상 영역에 출입할 권한이 있다는 정보의 획득에 응답하여, 출입 관리 장치(2000)에 출입을 허여해 달라는 요청 정보 또는 도어 개폐 장치의 도어 개방을 요청하는 요청 정보를 출입 관리 장치(20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 서버(3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인증 서버(3000)는 출입 관리 장치(200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 서버(3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 및 출입 관리 장치(2000) 모두와 연결될 수 있다.
인증 서버(3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가 출입 관리 장치(2000)로 출입 관리 동작의 수행을 요청하기 위하여 전송하는 인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서버(3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로 인증 정보의 발급을 요청받을 수 있다.
또한, 인증 서버(3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인증 정보의 발급을 요청받으면서 유효한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1000)임을 판단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판단 결과 유효한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1000)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0)로 인증 정보를 발급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0)는 단말기 통신부(1010),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020), 단말기 입력부(1030), 단말기 저장부(1040) 및 단말기 제어부(105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통신부(1010)는 사용자 단말기(1000)를 외부 전자기기와 연결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기 통신부(1010)는 사용자 단말기(1000)를 출입 관리 장치(2000) 및 인증 서버(3000) 등의 외부 전자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단말기 통신부(1010)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통신부(1010)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BLE(Bluetooth Low Energy) 및 알에프아이디(RFID) 등의 통신 방식으로 출입 관리 장치(2000)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020)는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020)가 터치 스크린으로 제공되는 경우,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020)는 단말기 입력부(103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에 따라 별도의 단말기 입력부(1030)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으며, 볼륨 조절, 전원 버튼 및 홈 버튼 등 제한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 입력부(1030)가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 입력부(1030)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기 입력부(1030)는 예를 들어 키보드, 키 패드, 버튼, 조그셔틀 및 휠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은 예를 들어 버튼의 누름, 터치 및 드래그 등 일 수 있다.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02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020)가 단말기 입력부(103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 저장부(1040)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단말기 저장부(104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RAM, ROM, SSD, SD CARD 및 광학 디스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 저장부(1040)는 사용자 단말기(10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1050)는 사용자 단말기(1000)의 동작을 총괄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제어부(1050)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RSSI를 측정할 수있다. 또한, 단말기 제어부(1050)는 저역 필터 또는 슈미트 트리거(schmitt trigger) 등을 통해 보정된 RSSI를 획득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출입 관리 장치(2000)는 통신부(2010), 디스플레이부(2020), 음성출력부(2030), 센서부(2040), 구동부(2050), 저장부(2060) 및 제어부(207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010)는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010)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BLE(Bluetooth Low Energy) 및 알에프아이디(RFID) 등의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20)는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20)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20)가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020)는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한 입력 장치로 동작할 수 있다.
음성출력부(2030)는 사용자에게 청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출력부(2030)는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Speaker) 및 부져(Buzzer) 등일 수 있다.
센서부(2040)는 출입 관리 상태에 대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의 개방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보안 영역내의 보안 시스템 동작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센서부(2040)는 출입 관리 장치(2000)에 필요한 외부 환경에 대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2040)는 사용자 및 사물 등과의 거리에 대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센서부(2040)는 문짝의 위치 판단에 필요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구동부(2050)는 출입 관리 동작 수행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2050)는 도어에 제공되는 문짝의 잠근 또는 잠금 해제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구동부(2050)는 도어가 자동문으로 구현되는 경우 문짝의 개방 또는 폐쇄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2060)는 제어부(2070)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및 제어부(2070)로부터 생성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070)는 출입 관리 장치(2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인증 서버(3000)는 서버 통신부(3010), 서버 디스플레이부(3020), 서버 입력부(3030), 서버 저장부(3040) 및 서버 제어부(305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3010)는 인증 서버(3000)와 외부 전자기기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서버 통신부(3010)는 외부 전자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버 통신부(3010)는 사용자 단말기(1000)와 필요에 따라 통신 연결을 유지 또는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서버 통신부(3010)는 실시 형태에 따라 상시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000)와 연결을 유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서버 통신부(3010)는 유선 통신 방식 및 무선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서버 디스플레이부(3020)는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디스플레이부(3020)는 LCD, OLED, 아몰레드 디스플레이 등일 수 있다.
서버 입력부(303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회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입력부(3030)는 키패드, 키보드, 스위치, 버튼 및 터치 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 저장부(3040)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저장부(3040)는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서버 저장부(3040)는 인증 서버(30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3050)는 인증 서버(3000)의 동작을 총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증 서버(3000)가 반드시 상술한 구성을 모두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선택에 따라 일부 구성이 제외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서버(3000)가 직접적인 시각적 정보의 제공을 하지 않는 경우 인증 서버(3000)는 서버 디스플레이부(3020)가 제외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인증 서버(3000)는 선택에 따라 추가적인 기능 및 동작 등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 부가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RSSI를 기초로 획득된 제1 거리 변수에 기초한 출입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출입 관리 방법은 RSSI를 획득하는 단계(S1001), RSSI를 기초로 제1 거리 변수를 획득하는 단계(S1002), 제1 거리 변수를 기초로 인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1003)를 포함할 수 있다.
RSSI를 획득하는 단계(S1001)에서 사용자 단말기(1000)는 출입 관리 장치(200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대한 RSSI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0)는 소정의 시간동안 획득된 RSSI 가운데 최댓값을 갖는 RSSI를 MAX_RSSI로서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0)는 MAX_RSSI값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00)가 제1 시점에 획득한 MAX_RSSI가 -26(dBm)이고 제1 시점 이후 제2 시점에 획득한 RSSI가 -20(dBm)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0)는 MAX_RSSI를 -20(dBm)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MAX_RSSI는 제1 거리 변수를 획득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RSSI를 기초로 제1 거리 변수를 획득하는 단계(S1002)에서 상세히 후술한다.
RSSI를 기초로 제1 거리 변수를 획득하는 단계(S1002)에서, 사용자 단말기(1000)는 획득된 RSSI를 기초로 하여 출입 관리 장치(2000)와 사용자 단말기(1000)사이의 거리에 관한 제1 거리 변수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0)는 소정의 시간 동안 획득된 RSSI를 기초로 하여 제1 거리 변수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0)는 획득된 RSSI 및 저장된 MAX_RSSI를 기초로 하여 제1 거리 변수를 획득할 수 있다.
RSSI 및 MAX_RSSI 와 제1 거리 변수 사이의 관계는,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2
이 때, 위 수학식 2에서, 10+DEFAULT_RSSI-MAX_RSSI는 0보다 클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고하여 [수학식 2]에 따르는 제1 거리 변수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획득된 RSSI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의 그래프의 x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y축은 RSSI 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MAX_RSSI는 사용자 단말기(1000)가 획득한 RSSI 가운데 최댓값을 의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0)는 MAX_RSSI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DEFAULT_RSSI는, 획득된 RSSI의 소정의 수치 범위 내에서 거리 변수가 획득되도록, 하나의 기준으로 설정된 RSSI를 의미할 수 있다. DEFAULT_RSSI는 출입 관리 장치(2000)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기 이전에 미리 저장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00)와 출입 관리 장치(200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0)에서 획득된 RSSI값의 크기가 시간에 따라 -35(dBm), -30(dBm), -25(dBm), -20(dBm)으로 변경되고, DEFAULT_RSSI = -30(dBm)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0)는 RSSI가 -30(dBm)인 때부터 거리 변수 획득을 개시할 수 있다.
OFFSET은 제1 거리변수 계산의 민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변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획득된 RSSI와 MAX_RSSI가 동일한 경우, 제1 거리변수를 나타내는 수학식 2에서 OFFSET이 없다면, 수학식 2의 지수의 분모의 MAX_RSSI-RSSI는 0이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거리 변수는 최대값인 1이 될 수 있다. 그러나, OFFSET이 있을 경우 제1 거리변수는 1보다 작은 수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거리변수 계산의 민감도가 높아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0)는 [수학식 2]에서 지수부분인 MAX_RSSI + OFFSET이 0이하가 되도록 하는 RSSI를 기초로 하여 획득된 거리 변수를 통하여, 출입 관리 장치(2000)와 사용자 단말기(1000) 사이의 거리 변화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 사용자 단말기마다 MAX_RSSI는 상이할 수 있고, OFFSET은 각 사용자 단말기 마다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MAX_RSSI가 상이한 것은 동일한 거리에서도 각 사용자 단말기에서 측정되는 RSSI가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수학식 2]의 지수의 분자에서 MAX_RSSI와 측정된 RSSI와의 차이를 이용함으로써 동일한 거리에서도 각 사용자 단말기에서 측정되는 RSSI의 편차가 발생되는 것이 보정될 수 있다.
또한, OFFSET이 각 사용자 단말기마다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은 각 사용자 단말기마다 거리변수 계산의 민감도를 동일하게 설정하기 위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OFFSET이 20인 경우 제1 거리변수에 대한 민감도를 20단계로 가질 수 있고, OFFSET이 8인 경우보다 제1 거리변수에 대한 민감도를 8단계로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OFFSET이 높을수록 제1 거리변수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수학식 2]에서, 지수의 분모에 해당하는 {10+DEFAULT_RSSI-MAX_RSSI}를 통해 출입 관리 장치(2000)의 RSSI변화에 대한 감도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에 대한 제1 거리 변수의 완성된 식이
Figure pat00003
이고, 제2 단말기에 대한 제1 거리 변수의 완성된 식이
Figure pat00004
(여기서, C1 및 C2는 MAX_RSSI+OFFSET-RSSI))일 수 있다.
이 때, C1-RSSI가 0에서 -6으로 변화하는 경우, 제1 단말기에 대한 제1 거리 변수는 1,00에서 0.10으로 감소할 수 있다. 또한, C2-RSSI가 각각 0에서 -6으로 변화하는 경우, 제2 단말기에 대한 제1 거리 변수는 1,00에서 0.25로 감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거리 변수를 기초로 인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S1003)에서 제1 거리 변수가 소정 기준값 이하가 되거나, 제1 거리 변수가 소정 기준값 이하가 되는 시점을 포함하는 소정 시간 구간 내에 사용자 단말기(1000)는 인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를 출입 관리 장치(20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예에서, 0.18이 제1 거리 변수에 대한 상기 소정 기준값인 경우, 제1 사용자 단말기의 경우 제1 거리변수가 0.1임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인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를 출입 관리 장치(2000)에 전송할 수 있다. 반면, 제2 사용자 단말기의 경우 제1 거리변수가 0.25임에 따라 제2 사용자 단말기는 인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를 출입 관리 장치(2000)에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출입 관리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획득한 인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를 이용하여 출입 관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출입 관리 동작이란 사용자 단말기(1000)에 대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000)의 소정 영역으로의 출입을 제어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출입 관리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에 관한 인증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저장된 인증 정보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획득하고, 비교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기(1000)의 소정 영역으로의 출입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 관리 장치(2000)는 상기 비교 결과를 기초로 하여 소정 영역에 진입하기 위한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출입 관리 장치(2000)는 상기 비교 결과를 기초로 하여 보안 영역 내의 보안 시스템이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출입 관리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에 인증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출입 관리 장치(200)가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인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기(1000)에 인증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0)는 인증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출입 관리 장치(20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출입 관리 장치(2000)는 인증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거나, 사용자 단말기(1000)에 인증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0)는 인증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 신호에 따라 인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를 출입 관리 장치(20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인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에 인증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고, 인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에 인증 정보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인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에 인증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0)는 인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를 출입 관리 장치(2000)에 전송한 이후, 인증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추가적으로 출입 관리 장치(200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0)는 인증 정보를 인증 서버(3000)에 제공할 수 있고, 출입 관리 장치(2000)는 인증 서버(3000)로부터 상기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출입 관리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인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를 획득한 후, 인증 서버(3000)에 상기 인증 정보를 요청함으로써, 인증 서버(3000)로부터 상기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 기준값은 사용자 단말기(100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0)에 미리 저장된 상기 소정 기준값은 사용자 단말기(1000)의 사용자 또는 출입 관리장치(2000)의 요청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1000)에서 획득된 RSSI는 노이즈(noise)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0)가 이러한 노이즈를 포함하는 RSSI를 기초로 거리 변수를 획득하고, 획득된 거리 변수에서 필터를 이용하여 노이즈를 제거한다면, 노이즈가 제거된 거리 변수는 출입 관리 장치와 사용자 단말기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더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게 된다.
도 7에 대한 설명에서는, 전술한 제1 거리 변수로부터 노이즈가 제거된 제2 거리 변수를 획득하고, 획득된 제2 거리 변수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기에 관한 인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제1 거리 변수를 기초로 획득된 제2 거리 변수에 기초한 출입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출입 관리 방법 방법은 RSSI를 획득하는 단계(S2001), RSSI를 기초로 제1 거리 변수를 획득하는 단계(S2002), 제1 거리 변수를 기초로 제2 거리 변수를 획득하는 단계(S2003) 및 제1 거리 변수 및/또는 제2 거리 변수를 기초로 인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200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RSSI를 획득하는 단계(S1001)에 관한 설명은 도 2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S2001)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RSSI를 기초로 제1 거리 변수를 획득하는 단계(S1002)에 관한 설명은 RSSI를 기초로 제1 거리 변수를 획득하는 단계(S2002)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RSSI를 획득하는 단계(S2001) 및 RSSI를 기초로 제1 거리 변수를 획득하는 단계(S2002)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거리 변수를 기초로 제2 거리 변수를 획득하는 단계(S2003)에서, 사용자 단말기(1000)는 획득된 제1 거리 변수를 기초로 하여 제2 거리 변수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0)는 소정의 시간 구간 동안 획득된 RSSI를 기초로 하는 제1 거리 변수에 대하여 이동 평균 필터를 이용하여 제2 거리 변수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00[msec]동안 획득된 10개의 RSSI에 대하여, 1000/5 = 200[msec]의 윈도우 사이즈를 갖는 이동 평균 필터를 이용하여 제2 거리 변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1000[msec]동안 획득된 10개의 RSSI에 대하여, 1000/8 = 125[msec]의 윈도우 사이즈를 갖는 이동 평균 필터를 이용하여 제2 거리 변수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이동 평균 필터의 윈도우 사이즈는 전술한 출입 관리 장치의 민감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이동 평균 필터로서 재귀식 이동 평균 필터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이동 평균 필터(Moving Average Filter)는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모든 이동 평균 필터 및 재귀식 이동 평균 필터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종류 및 수치에 따르는 이동 평균 필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기(1000)는 소정의 시간 구간 동안 획득된 RSSI를 기초로 하는 제1 거리 변수에 대하여 이동 평균 필터를 이용하여 소정의 시간 구간 동안 제1 거리 변수의 평균 변화율(예를 들어, 그래프의 기울기 또는 단위 시간 당 변화율)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거리 변수의 평균 변화율의 부호는 출입 관리 장치(2000)와 사용자 단말기(1000)사이의 거리와 양의 상관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거리 변수의 평균 변화율이 음수인 경우, 출입 관리 장치(2000)와 사용자 단말기(1000)사이의 거리가 감소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거리 변수의 평균 변화율의 크기는 출입 관리 장치(2000)와 사용자 단말기(1000)사이의 거리 변화율과 양의 상관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거리 변수의 평균 변화율의 절댓값이 증가하는 경우, 출입 관리 장치(2000)와 사용자 단말기(1000)의 사이의 거리의 감소 속도는 증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0)는 제1 시간 구간 동안 획득된 RSSI를 기초로 하는 제1 거리 변수에 대하여 이동식 평균 필터를 이용하여 제1 시간 구간 동안 제1 거리 변수의 제1 평균 기울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0)는 제1 시간 구간 이후 제2 시간 구간동안 획득된 RSSI를 기초로 하는 제2 거리 변수에 대하여 이동식 평균 필터를 이용하여 제2 시간 구간 동안 제2 거리 변수의 제2 평균 기울기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0)는 획득된 제1 평균 기울기, 제2 평균 기울기 및 제1 거리 변수를 기초로 하여 제2 거리 변수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1000)는 하기 [수학식 3]에 따라 획득된 제1 평균 기울기, 제2 평균 기울기 및 제1 거리 변수를 기초로 하여 제2 시간 구간 이후 시점에 대한 제2 거리 변수를 획득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pat00005
제1 거리 변수 및/또는 제2 거리 변수를 기초로 인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2004)에서, 사용자 단말기(1000)는 제1 거리 변수가 미리 정해진 고정 기준값 이하가 되는 시점을 포함하는 소정 시간 구간 이내, 또는 제2 거리 변수가 가변 기준값 이하가 되는 시점을 포함하는 소정 시간 구간 이내에, 인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거리 변수가 가변 기준값 이하가 되는 시점이란, 제1 시점에서 제2 거리 변수가 가변 기준값 이상이고, 제1 시점 이후인 제2 시점에 제2 거리 변수가 가변 기준값과 동일하거나 작게 되는 시점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가변 기준값은 출입 관리 장치(200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0)에 미리 저장된 가변 기준값은 변경될 수 있다. 출입 관리 장치(2000)에 미리 저장된 가변 기준값은 제1 거리 변수로부터 획득된 제1 평균 기울기 및 제2 평균 기울기를 기초로 하여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00)는 제1 시간 구간에 대한 제1 거리 변수의 제1 평균 기울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0)는 제1 시간 구간 이후의 제2 시간 구간에 대한 제1 거리 변수의 제2 평균 기울기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0)는 제1 평균 기울기 및 제2 평균 기울기를 기초로 하여 제2 시간 구간 이후 제3 시간 구간에서의 가변 기준값을 변경시킬 수 있다. 제1 시간 구간과 제2 시간 구간은 적어도 일부의 구간이 오버랩(overlapped)될 수 있다. 또한, 제2 시간 구간과 제3 시간 구간의 적어도 일부의 구간이 오버랩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제1 평균 기울기 및 제2 평균 기울기의 평균 값이 음수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0)는 제1 평균 기울기 및 제2 평균 기울기를 기초로 하여 가변 기준값의 크기가 0.15에서 0.2로 증가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 단말기(1000)는 출입 관리 장치(2000)로부터 비교적 더 먼 지점에서부터 가까워지는 경우에도, 인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획득된 제1 거리 변수가 고정 기준값 이하가 되거나 또는 제2 거리 변수가 가변 기준값 이하가 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 및 도 9의 그래프에서, x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y축은 거리변수의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동일한 출입 관리 장치(2000)에 대하여 t가 t1 일 때, 사용자 단말기(1000)가 획득한 제1 거리 변수가 고정 기준값 이하가 되고, t가 t1 이후 시점인 t2 일 때, 사용자 단말기(1000)가 획득한 제2 거리 변수가 가변 기준값 이하가 된다. 출입 관리 장치(2000)는 t가 t1 일 때, 인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동일한 사용자 단말기에 대하여 t가 t2 일 때, 사용자 단말기(1000)가 획득한 제2 거리 변수가 가변 기준값 이하가 되고, t가 t2 이후 시점인 t1 일 때, 사용자 단말기(1000)가 획득한 제1 거리 변수가 고정 기준값 이하가 된다. 사용자 단말기(1000)는 t가 t2 일 때, 인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0)는 제1 거리 변수가 미리 정해진 고정 기준값 이하가 되는 되거나, 제2 거리 변수가 가변 기준값 이하가 되는 경우에, 인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를 출입 관리 장치(20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에 인증 정보가 포함된 경우, 출입 관리 장치(2000)는 상기 인증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기(1000)에 대한 출입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에 인증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출입 관리 장치(2000)는 상기 인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기(1000)에 인증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0)는 인증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출입 관리 장치(2000)에 전송할 수 있고, 출입 관리 장치(2000)는 상기 인증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기(1000)에 대한 출입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출입 관리 장치(2000)는 인증 서버(3000)에 상기 인증 정보를 요청함으로써, 인증 서버(3000)로부터 상기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0은 제2 거리변수의 예상시간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의 그래프에서, x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y축은 거리변수의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t1은 현재 시점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1000)는 전술한 수학식 3을 이용하여 제2 거리변수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0의 그래프를 참고할 때, 현재 시점을 나타내는 시점 t1에서는 아직 제2 거리변수가 가변 기준값보다 큼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0)는 시점 t1에서 인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제2 거리변수를 고려할 때, 사용자 단말기(1000)는 출입 관리 장치(2000)에 가까워지는 경향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1000)가 출입 관리 장치(2000)에 가까워지는 경향성을 갖고, 소정 시간 이내에 사용자 단말기(1000)와 출입 관리 장치(2000) 사이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내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 현재 시점에서 사용자 단말기(1000)가 인증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면, 사용자 단말기(1000)에 대한 출입 관리 장치(2000)의 인증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서, 제2 거리변수가 가변 기준값 이상일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1000)가 출입 관리 장치(2000)에 가까워지는 경향성을 보이고, 제2 거리변수가 가변 기준값에 도달하는 예상 시점과 현재 시점 사이의 시간 차이가 소정 시간차 이내일 때, 사용자 단말기(1000)는 현재 시점에서 인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000)는 현재 시점 t1까지 계산된 제2 거리 변수를 이용하여 현재 시점 t1 이후의 예상 제2 거리변수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00)는 현재 시점 t1 가지의 제2 거리변수의 기울기를 획득하고, 상기 제2 거리 변수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예상 제2 거리변수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0)는 예상 제2 거리변수의 크기가 가변 기준값에 도달하는 시점인 시점 t2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0)는 시점 t1 및 시점 t2 사이의 시간차이인 △t를 획득하고, △t가 소정 시간값 이하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t가 소정 시간값 이하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0)는 현재시점 t1에서 제2 거리 변수가 가변 기준값보다 클 경우에도, 인증 정보 제공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출입 관리 장치(2000)는 보다 빠른 시점에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인증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1000)을 보다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는 제2 거리변수 및 가변 경계선에 한정되지 않고, 제1 거리변수와 고정 경계선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즉, 현재 시점에서, 제1 거리변수가 고정 경계선 보다 클 경우에도, 사용자 단말기(1000)는 제1 거리변수의 기울기를 기초로 현재 시점 이후의 예상 제1 거리변수를 획득하고, 예상 제1 거리변수가 고정 경계선에 도달하는 시점을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예상 제1 거리변수가 고정 경계선에 도달하는 시점과 현재 시점 차이의 시간 차이가 소정 시간값 이하일 때, 사용자 단말기(1000)는 현재 시점에서 인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20000)은 사용자 단말기(1100), 출입 관리 장치(2100) 및 인증 서버(3100)를 포함할 수 있다. 출입 관리 장치(2100)는 리더기(2300) 및 서브 리더기(25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0)의 블록도는 전술한 도 2의 사용자 단말기(1000)의 블록도와 동일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출입 관리 장치(2100)의 블록도는 전술한 도 3의 출입 관리 장치(2000)의 블록도와 동일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서, 리더기(2300)는 출입 관리 장치(2100)에서 지원하는 통신 방식으로 출입 관리 장치(2100)와 통신할 수 있다. 리더기(2300)는 출입 관리 장치(2000)의 제어부(207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더기(2300)는 제어부(2070)를 통해 센서부(2040)의 센서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리더기(2300)는 제어부(2070)를 통해 구동부(205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리더기(2300)는 출입 인증 장치(2100)와 동일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리더기(2300)과 리더기(2300) 또는 출입 관리 장치(2100)에서 지원하는 통신 방식으로 서브 리더기(2500)와 연결될 수 있다.
서브 리더기(2500)는 사용자 단말기(1100)에서 지원하는 통신 방식과 리더기(2300)에서 지원하는 통신 방식이 상이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1100)에서 지원하는 통신 방식과 리더기(2300)에서 지원하는 통신 방식 모두를 가지고 사용자 단말기(1100)와 리더기(2300)의 연결을 돕는 중간 매개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서브 리더기(2500)는 사용자 단말기(1100)에서 지원하는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기(1100)와 통신할 수 있다.
서브 리더기(2500)는 리더기(2300)에서 지원하는 통신 방식으로 리더기(2300)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서브 리더기(2500)는 리더기(2300)에서 지원하는 통신 방식으로 출입 관리 장치(2100)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100)와 출입 관리 장치(2100)의 연결은 사용자 단말기(1100)와 서브 리더기(2500)의 연결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서브 리더기(2500)는 미리 설치되어 있는 출입 관리 장치(2100)에 제공되는 리더기(2300)에서 지원하는 통신 방식 이외의 통신 방식을 부가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서브 리더기(2500)는 리더기(230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들어, 서브 리더기(2500)는 리더기(2300)와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다만, 도 11의 예에서, 서브 리더기(2500)는 출입 관리 장치(2100)와 별개의 장치로 표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브리더기(2500)는 출입 관리 장치(210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출입 관리 장치(2000, 2100)에서 설명된 내용은 서브 리더기(2500)에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내지 도 11에서 설명된 출입 관리 장치(2000)의 구성은 서브 리더기(2500)에 포함될 수도 있고, 출입 관리 장치(2000)의 동작을 서브 리더기(2500)가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서브 리더기(2500)의 구성 역시 출입 관리 장치(2000)에 포함될 수도 있고, 서브 리더기(2500)의 동작을 출입 관리 장치(2000)가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 서버(3100)는 사용자 단말기(1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인증 서버(3100)는 서브 리더기(2500)와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서 도면부호 3100을 인증서버(3100)라고 표현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도면부호 3100은 사용자 단말기 및 리더기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라고도 이해될 수 있다.
인증 서버(3100)는 사용자 단말기(1100)가 출입 관리 장치(2100)로 출입 관리 동작의 수행을 요청하기 위하여 전송하는 인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이라는 것은 사용자 단말기(1100)의 사용자가 유효한(또는 권한있는)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1100)가 유효한(또는 권한있는) 사용자 단말기(1100)임을 확인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인증이라는 것은 사용자 단말기(1100)가 서브 리더기(2500)가 상호간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서버(3000)는 1회,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예를 들어, 서브 리더기(2500)를 포함한 다양한 장치로부터 요청을 받을 때 마다), 인증 정보로서, 사용자 단말기(1100) 및/또는 서브 리더기(2500)에 암호화 정보(예를 들어, 암호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기(1100)와 서브 리더기(2500)는 인증 서버(3000)로부터 제공받은 암호화 정보(또는. 인증 서버(3000)에서 제공되는 암호화 정보와 대응되거나 관련있는 암호화 정보)를 기초로 암호화를 수행하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상호간에 생성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0)와 서브 리더기(2500) 각각은 인증 서버(3000)로부터 제공받은 암호화 정보(또는, 인증 서버(3000)에서 제공되는 암호화 정보와 대응되거나 관련있는 암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고, 복호화가 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1100)와 서브 리더기(2500)간에 정상적으로 인증이 수행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인증이라는 것은 상호간을 확인하기 위한 다양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100)가 서브 리더기(2500)로 출입 관리 동작의 수행을 요청하기 위하여 전송하는 인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인증 서버(3100)는 사용자 단말기(1100)로 인증 정보의 발급을 요청 받을 수 있다.
또한, 인증 서버(3100)는 사용자 단말기(1100)로부터 인증 정보의 발급을 요청 받으면서 유효한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1100)임을 판단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판단 결과 유효한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1100)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1100)로 인증 정보를 발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서브 리더기(2500)는 사용자 단말기(1100)로부터 제1 요청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브 리더기(2500)는 제1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기(1100)로부터 제1 요청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서브 리더기(2500)는 제1 요청 정보 또는 제1 요청 정보와 관련된 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리더기(2500)는 인증 서버(3100)로부터 제1 요청 정보 또는 제1 요청 정보와 관련된 정보에 대한 인증을 위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리더기(2500)는 상기 인증을 위한 정보를 인증 서버(3100)로부터 1회,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인증을 위한 정보는 서브 리더기(250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서브 리더기(2500)는 상기 인증을 위한 정보를 기초로 제1 요청 정보 또는 제1 요청 정보와 관련된 정보에 대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리더기(2500)는 상기 인증을 위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기(1100)의 사용자가 리더기(2300)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인증을 위한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100)의 사용자가 리더기(2300)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1 요청 정보 또는 제1 요청 정보와 관련된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100)에서 미리 저장된 암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미리 저장된 암호화 정보는 인증 서버(3100)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고, 인증 서버(3100)에서 제공되는 암호화 정보와 대응되거나 관련있는 암호화 정보일 수 있다. 서브 리더기(2500)는 인증 서버(3100)에서 제공되는 암호화 정보 또는 인증 서버(3100)에서 제공되는 암호화 정보와 대응되거나 관련있는 암호화 정보를 인증 서버(310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서브 리더기(2500)는 인증 서버(3100)에서 제공되는 암호화 정보와 대응되거나 관련있는 암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요청 정보 또는 제1 요청 정보와 관련된 정보의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고, 복호화가 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 정상적으로 인증이 수행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요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서브 리더기(2500)는 제1 통신 방식을 위한 제1 데이터 포맷으로 획득한 제1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제2 통신 방식을 위한 제2 데이터 포맷의 제2 요청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요청 정보 및 제2 요청 정보는 데이터 포맷은 상이하나 포함하는 세부 정보를 동일할 수 있다.
이 때, 실시예에 따라, 서브 리더기(2500)는 제1 요청 정보 또는 제1 요청 정보와 관련된 정보에 대한 인증이 정상적으로 수행될 경우에 제2 요청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서브 리더기(2500)는 제2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서브 리더기(2500)는 리더기 제2 통신부(2120)를 통하여 제2 요청 정보를 리더기(2300)로 제공할 수 있다.
서브 리더기(2500)가 제2 요청 정보를 리더기(2300)를 통하여 제2 요청 정보 제공하여 리더기(2300)가 서브 리더기(2500)로부터 제2 요청 정보를 획득하게 되면 제2 정보를 기초로 도어의 개방 여부에 대해서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리더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서브 리더기(2500)는 서브 리더기 통신부(2510), 서브 리더기 디스플레이부(2530), 서브 리더기 센서부(2550), 서브 리더기 저장부(2570) 및 서브 리더기 제어부(259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리더기 통신부(2510)는 서브 리더기 제1 통신부(2511) 및 서브 리더기 제2 통신부(2513)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리더기 통신부(2510)는 사용자 단말기(1100) 및 출입 관리 장치(210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리더기 통신부(2510)는 사용자 단말기(1100)와 연결 시 사용자 단말기(1100)의 단말기 통신부(101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서브 리더기 통신부(2510)는 출입 관리 장치(2100)와 연결 시 출입 관리 장치(2100)에 포함된 리더기(23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서브 리더기 통신부(2510)는 리더기(2300)에서 지원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서브 리더기 통신부(2510)는 사용자 단말기(1100)와 연결되는 서브 리더기 제1 통신부(2511) 및 리더기(2300)와 연결되는 서브 리더기 제2 통신부(251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리더기 제1 통신부(2511)는 사용자 단말기(1100)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서브 리더기 제2 통신부(2513)는 리더기(2300)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리더기 제1 통신부(2511)가 사용자 단말기(1100)와 연결되는 통신 방식과 서브 리더기 제2 통신부(2513)가 리더기(2300)와 연결되는 통신 방식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리더기 제1 통신부(2511)는 사용자 단말기(1100)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서브 리더기 제2 통신부(2513)는 마그네틱 통신 방식으로 리더기(23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리더기 제1 통신부(2511)는 서브 리더기 제2 통신부(2513)가 지원하는 통신 방식과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리더기 제1 통신부(2511)는 사용자 단말기(1100)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서브 리더기 제2 통신부(2513)는 마그네틱 통신 방식으로 리더기(2300)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서브 리더기 디스플레이부(2530)는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서브 리더기 디스플레이부(2530)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서브 리더기 디스플레이부(2530)가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서브 리더기 디스플레이부(2530)는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한 입력 장치로 동작할 수 있다.
서브 리더기 센서부(2550)는 외부로부터 출입 관리 동작 요청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리더기 센서부(2550)는 이미지 센서, 생체 신호 획득 센서 및 바코드 리더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외부 이미지에 대응되는 신호를 획득하는 센서 모듈일 수 있다.
생체 신호 획득 센서는 지문, 정맥, 홍채 및 안면 등의 생체 정보에 대한 신호를 획득하는 센서 모듈일 수 있다.
바코드 리더기는 1차원 바코드 및 2차원 바코드 등의 코드 데이터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 모듈일 수 있다.
1차원 바코드는 선형 바코드일 수 있다. 또한 2차원 바코드는 QR 코드, Aztec, MaxiCode 및 Data Matrix 등의 2차원 형태의 바코드일 수 있다.
서브 리더기 저장부(2570)는 서브 리더기 제어부(2590)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및 서브 리더기 제어부(2590)로부터 생성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서브 리더기 제어부(2590)는 서브 리더기(2500)에 포함된 몇몇 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서브 리더기 제어부(2590)는 서브 리더기(2500)에 포함된 몇몇 구성으로부터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5)

  1. 사용자 단말기의 출입 관리 방법으로,
    출입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RSSI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출입 관리 장치 사이의 거리에 관련된 제1 거리 변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거리 변수를 기초로 하는 제2 거리 변수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거리 변수가 미리 정해진 고정 기준값 이하가 되는 시점을 포함하는 소정 시간 구간 이내 또는 상기 제2 거리 변수가 가변 기준값 - 상기 가변 기준값은 상기 제1 거리 변수의 단위 시간 당 변화율을 기초로 결정됨- 이하가 되는 시점을 포함하는 소정 시간 구간 이내에, 상기 출입 관리 장치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출입여부를 결정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출입 관리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출입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리 변수는 하기 수학식 1을 기초로 획득되고,

    [수학식 1]
    제1 거리변수 = 10{(A-RSSI)/B}

    여기서, 상기 A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획득된 최대 RSSI 값의 보정된 값을 나타내고,
    상기 B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출입 관리 장치 사이의 거리 측정에 대한 민감도를 결정하는 민감도 결정 값을 나타내고,
    상기 RSSI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획득된 RSSI 값을 나타내는,
    출입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는 미리 설정된 오프셋값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획득된 RSSI의 최댓값을 합한 값으로 결정되고, 상기 B는 미리 설정된 기준값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획득된 RSSI의 최댓값을 뺀 값으로 결정되고, 상기 A는 기준값보다 크고 상기 최댓값보다 작은
    출입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거리 변수는 제1 시점과 상기 제1 시점 이후인 제2 시점 사이에 획득된 상기 제1 거리 변수의 제1 평균 기울기, 상기 제1 시점 이후인 제3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이후인 제4 시점 사이에 획득된 상기 제1 거리 변수의 제2 평균 기울기를 기초로 하여 획득된 거리 변수인
    출입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기준값은 제1 시점과 상기 제1 시점 이후인 제2 시점 사이에 획득된 상기 제1 거리 변수의 제1 평균 기울기, 상기 제1 시점 이후인 제3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이후인 제4 시점 사이에 획득된 상기 제1 거리 변수의 제2 평균 기울기를 기초로 하여 획득된 기준값인
    출입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리 변수가 미리 정해진 고정 기준값 이하가 되는 시점 또는 상기 제2 거리 변수가 가변 기준값 이하가 되는 시점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출입 관리 장치에 전송하는,
    출입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거리 변수가 상기 가변 기준값 이하가 되는 시점보다 이전 시점인 제1 시점에서 상기 제2 거리변수를 획득하고,
    상기 제2 거리변수의 기울기를 기초로 예상 제2 거리변수를 획득하고,
    상기 예상 거리변수가 상기 가변 기준값 이하가 되는 시점인 제2 시점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의 시간 차이가 소정 시간차이 이내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출입 관리 장치에 전송하는,
    출입 관리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9. 사용자 단말기로서,
    출입 관리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입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기초로 하는 제1 거리 변수가 미리 정해진 고정 기준값 이하가 되는 시점을 포함하는 소정 시간 구간 이내 또는 상기 제2 거리 변수가 가변 기준값 - 상기 가변 기준값은 상기 제1 거리 변수의 단위 시간 당 변화율을 기초로 결정됨- 이하가 되는 시점을 포함하는 소정 시간 구간 이내에, 상기 출입 관리 장치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출입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출입 관리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리 변수는 하기 수학식 1을 기초로 획득되고,
    [수학식 2]
    제1 거리변수 = 10{(A-RSSI)/B}
    상기 A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획득된 최대 RSSI 값의 보정된 값을 나타내고,
    상기 B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출입 관리 장치 사이의 거리 측정에 대한 민감도를 결정하는 민감도 결정 값을 나타내고,
    상기 RSSI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획득된 RSSI 값을 나타내는,
    사용자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는 미리 설정된 오프셋값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획득된 RSSI의 최댓값에서 합한 값으로 결정되고, 상기 B는 미리 설정된 디폴트에서 사용자 단말기에서 획득된 RSSI의 최댓값을 뺀 값으로 결정되고, 상기 A는 상기 디폴트보다 크고 상기 최댓값보다 작은
    사용자 단말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거리 변수는 상기 제2 거리 변수는 제1 시점과 상기 제1 시점 이후인 제2 시점 사이에 획득된 상기 제1 거리 변수의 제1 평균 기울기, 상기 제1 시점 이후인 제3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이후인 제4 시점 사이에 획득된 상기 제1 거리 변수의 제2 평균 기울기를 기초로 하여 획득된 거리 변수인
    사용자 단말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기준값은 제1 시점과 상기 제1 시점 이후인 제2 시점 사이에 획득된 상기 제1 거리 변수의 제1 평균 기울기, 상기 제1 시점 이후인 제3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이후인 제4 시점 사이에 획득된 상기 제1 거리 변수의 제2 평균 기울기를 기초로 하여 획득된 기준값인
    사용자 단말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거리 변수가 미리 정해진 고정 기준값 이하가 되는 시점 또는 상기 제2 거리 변수가 가변 기준값 이하가 되는 시점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출입 관리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거리 변수가 상기 가변 기준값 이하가 되는 시점보다 이전 시점인 제1 시점에서 상기 제2 거리변수를 획득하고,
    상기 제2 거리변수의 기울기를 기초로 예상 제2 거리변수를 획득하고,
    상기 예상 거리변수가 상기 가변 기준값 이하가 되는 시점인 제2 시점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의 시간 차이가 소정 시간차이 이내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출입 관리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
KR1020200178628A 2020-12-18 2020-12-18 Rssi 기반 출입 관리 방법 KR2022008801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628A KR20220088017A (ko) 2020-12-18 2020-12-18 Rssi 기반 출입 관리 방법
US17/362,229 US11430275B2 (en) 2020-12-18 2021-06-29 Access control method based on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JP2021126101A JP7542828B2 (ja) 2020-12-18 2021-07-30 受信信号強度インジケータに基づくアクセス制御方法
US17/878,855 US11854323B2 (en) 2020-12-18 2022-08-01 Access control method based on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628A KR20220088017A (ko) 2020-12-18 2020-12-18 Rssi 기반 출입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8017A true KR20220088017A (ko) 2022-06-27

Family

ID=82021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628A KR20220088017A (ko) 2020-12-18 2020-12-18 Rssi 기반 출입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1430275B2 (ko)
JP (1) JP7542828B2 (ko)
KR (1) KR20220088017A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58411A (ja) * 2010-02-03 2011-08-18 Hitachi Ulsi Systems Co Ltd 無線位置検出システムと無線位置検出方法
US20140077929A1 (en) * 2012-03-08 2014-03-20 Unikey Technologies, Inc. Wireless access control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20160102964A1 (en) 2014-10-09 2016-04-14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s and Systems for Estimating Distance of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US9483887B1 (en) * 2015-12-31 2016-11-01 Kastle Systems International Llc Hands-free access control
JP2017146732A (ja) * 2016-02-16 2017-08-24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携帯端末、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063141B2 (ja) * 2018-06-21 2022-05-09 株式会社Soken 携帯機位置推定システム
US11983973B2 (en) * 2018-08-23 2024-05-14 Mrinq Technologies Llp System and scanning device for granting user access using a bluetooth low energy (BLE) Mesh
US10887026B1 (en) * 2020-02-18 2021-01-05 Amazon Technologies, Inc. Antenna disconnection detection of distributed radio frequency ports in a wireless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54323B2 (en) 2023-12-26
US20220198848A1 (en) 2022-06-23
JP2022097362A (ja) 2022-06-30
JP7542828B2 (ja) 2024-09-02
US11430275B2 (en) 2022-08-30
US20220383679A1 (en)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3002B1 (ko)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CN107005845B (zh) 提供连续和离散用户认证的移动装置
CA2924381C (en) Access control us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EP32610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virtual card
US8402509B2 (en) User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2441758B1 (ko) 전자 장치, 인증 대행 서버 및 결제 시스템
KR20150080736A (ko) 전자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EP3239913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smart terminal
KR102151843B1 (ko) 서브 리더기 및 서브 리더기 제어 방법
CN110856165A (zh) 用于基于路径位置验证用户的系统和方法
KR20170058258A (ko) 사용 정책 조절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20088017A (ko) Rssi 기반 출입 관리 방법
KR20070065410A (ko) 근접도 평가 방법 및 시스템
CN112242015A (zh) 用于访问系统的方法和系统
CN114008478A (zh) 控制装置以及程序
CN112446984A (zh) 智能门锁控制方法及装置
KR101874503B1 (ko) 비콘 신호를 이용한 환경 정보 관리 시스템, 사용자 단말 및 환경 정보 제공 방법
KR20220026513A (ko) 감지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기반의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20220057301A (ko) 카드키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제어 방법
KR101652398B1 (ko) 사용자 인증 장치 및 사용자 인증 방법
KR102473189B1 (ko) 출입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장치
EP3962022B1 (en) Control method based on user authentication using detection sensor and device using the same
KR102469412B1 (ko) 서브 리더기 및 서브 리더기 제어 방법
KR101536595B1 (ko) 음파 데이터 통신과 otp를 이용한 출입자 인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출입자 인증 시스템
CN115471939B (zh) Ic卡自动加密添加方法、门禁设备及可读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