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7715A - Method for manufacturing hybrid type PVC stabilizer including liquid stabilizer and powder stabilizer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nufacturing hybrid type PVC stabilizer including liquid stabilizer and powder stabiliz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7715A
KR20220087715A KR1020200178034A KR20200178034A KR20220087715A KR 20220087715 A KR20220087715 A KR 20220087715A KR 1020200178034 A KR1020200178034 A KR 1020200178034A KR 20200178034 A KR20200178034 A KR 20200178034A KR 20220087715 A KR20220087715 A KR 20220087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bilizer
powder
liquid
pvc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80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73992B1 (en
Inventor
구장회
Original Assignee
프로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로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프로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8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992B1/en
Publication of KR20220087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7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9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08K7/24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inorganic
    • C08K7/26Silicon- 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12Adsorbed ingredients, e.g. ingredients on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말 타입과 액상 타입의 안정제를 혼합 도입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의 발생을 최소화하면서도, 분산성이 향상되어 외관 품질이 우수한 PVC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타입 PVC용 복합 안정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타입 PVC용 복합 안정제의 제조방법은, (a) 액상 안정제 및 다공성 세라믹 분말을 포함하는 유화 흡착제를 혼합하는 단계; (b) 상기 액상 안정제를 상기 유화 흡착제에 흡착시켜 봉입 안정제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봉입 안정제 10 내지 40 중량부 및 분말 안정제 60 내지 90 중량부를 혼합하여 PVC용 복합 안정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manufactures a hybrid type PVC compound stabilizer that can produce PVC products with improved dispersibility and excellent appearance quality while minimizing the gener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by mixing and introducing a powder type and liquid type stabilizer it's about how to
The method for producing a hybrid-type composite stabilizer for PV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mixing an emulsified adsorbent comprising a liquid stabilizer and a porous ceramic powder; (b) adsorbing the liquid stabilizer to the emulsion adsorbent to prepare an encapsulated stabilizer; and (c) mixing 10 to 40 parts by weight of the encapsulation stabilizer and 60 to 90 parts by weight of the powder stabilizer to prepare a composite stabilizer for PVC.

Description

액상 및 분말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타입 PVC용 복합 안정제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hybrid type PVC stabilizer including liquid stabilizer and powder stabilizer}Method for manufacturing hybrid type PVC stabilizer including liquid stabilizer and powder stabilizer

본 발명은 분말 타입과 액상 타입의 안정제를 혼합 도입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의 발생을 최소화하면서도, 분산성이 향상되어 외관 품질이 우수한 PVC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타입 PVC용 복합 안정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nufactures a hybrid-type PVC compound stabilizer that can produce PVC products with improved dispersibility and excellent appearance quality while minimizing the gener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by mixing and introducing powder-type and liquid-type stabilizers it's about how to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은 가공성이 우수하고 PVC 및 PVC 성형품 제작시 다른 플라스틱 소재를 활용한 제품에 비해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적어 친환경적이다. 또한, 경제성이 있어 산업 전반에 걸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열가소성 수지 중 하나로서, 알루미늄에 비해 값이 싸고 단열효과가 좋을 뿐 아니라 밀폐성, 방음성, 내약품성, 내풍압성, 수밀성, 전기 절연성 등의 특성이 우수하여 건축자재, 자동차 내외장재, 식품 포장재 등과 같은 각종 생활 용품, 전기 및 전자제품, 인조가죽 등 다양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Polyvinyl chloride (PVC) has excellent processability and is eco-friendly because it generates less carbon dioxide compared to products using other plastic materials when manufacturing PVC and PVC molded products. In addition,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thermoplastic resins used throughout the industry due to its economic feasibility, it is inexpensive compared to aluminum and has a good insulation effect as well as airtightness, sound insulation, chemical resistance, wind pressure resistance, watertightness, and electrical insulation. Therefore, it is used as a material for manufacturing various products such as building materials, automobile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food packaging materials,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s, and artificial leather.

PVC는 제품의 용도에서 요구되는 특성을 발휘하기 위해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자외선 안정제, 난연제, 활제, 대전방지제, 발포제, 충격보강제, 충진제 등과 같은 다양한 부재료와 혼합한 PVC 안정제를 첨가하여 각종 PVC 제품을 제조하고 있다. PVC stabilizers mixed with various auxiliary materials such as antioxidants, heat stabilizers, UV stabilizers, flame retardants, lubricants, antistatic agents, foaming agents, impact modifiers, fillers, etc. is manufacturing

상기와 같은 PVC 안정제는 PVC 제품 가공시 열안정성을 부여하여 PVC의 변색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첨가제로서 창틀, 파이프, 벽지, 바닥재, 인조가죽 등 PVC 제품을 생산할 때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The PVC stabilizer as described above is an additive used to prevent discoloration of PVC by providing thermal stability during processing of PVC products.

상기 PVC 열안정제는 화학적 성분, 작용하는 성능, 취급하는 형태 등에 따라서 여러 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형태에 따라 분말과 액상으로 구분되며, 분말은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의 함유량은 적으나 분산성이 낮고 작업환경이 다소 불리하다는 단점이 있고, 액상은 사용성과 안정성은 우수하나 VOC의 함량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The PVC heat stabilizer can b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depending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ction performance, handling form, etc., and is divided into powder and liquid according to the form. Although there are few, there are disadvantages that the dispersibility is low and the working environment is somewhat unfavorable, and the liquid phase has excellent usability and stability, but has a disadvantage that the content of VOC is high.

한편, PVC 안정제는 안정제를 단품 공급하여 수요처에서 배합하여 사용하는 과정을 거쳐 현재는 용도별로 안정제 생산업체의 고유한 Formulation에 의한 복합 안정제 형태로 진화하여 왔다. 복합 안정제는 그 구성 성분을 용도에 맞게 여러 성분의 물질을 배합 하였다는 의미이며 액상은 액상끼리, 분말은 분말끼리 혼합되어 있는 형태이다. 수요처는 용도별로 안정제의 성능을 고려하여 액상 복합 안정제 단독, 분말 복합 안정제 단독, 액상 복합과 분말 복합 2 pack 사용으로 구분되며 현재 까지 국내외 모두 액상과 분말 One-pack hybrid 형태는 전무하다. 액상 복합과 분말 복합 2 pack 사용하는 경우에 한 가지 복합안정제를 사용하게 되면 원하는 물성을 충족시킬 수 없어 부득이 하게 2 pack 형태를 사용하는데 생산성과 작업환경에 불리한 점으로 작용한다.On the other hand, PVC stabilizer has evolved into a complex stabilizer form by the unique formulation of the stabilizer manufacturer for each use, through the process of supplying the stabilizer individually and mixing it with the customer. Composite stabilizer means that the components of various components are blended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the liquid phase is in the form of a mixture of liquids and powders of powders. Consumers are divided into liquid composite stabilizer alone, powder composite stabilizer alone, and liquid composite and powder composite 2 pack in considera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stabilizer for each application. In the case of using a liquid composite and a powder composite 2 pack, if one composite stabilizer is used, the desired physical properties cannot be satisfied, so the use of the 2 pack form is inevitably detrimental to productivity and working environment.

하지만, 기존에는 분말과 액상 안정제를 동시에 활용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발생을 최소화하면서도, 분말 안정제의 분산성 향상, 작업 환경 개선, PVC 제품의 외관 품질 등을 향상시키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여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However, in the past, studies on how to use powder and liquid stabilizers simultaneously to minimize the gener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while improving the dispersibility of the powder stabilizer,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and improving the appearance quality of PVC products were insufficient. Research is needed on how to do this.

한국등록특허 제10-2152066호 (공고일 : 2020.09.04.)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152066 (Announcement Date: 2020.09.04.)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27199호 (공개일 : 2009.12.10.)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127199 (published date: 2009.12.10.) 한국등록특허 제10-0974995호 (공고일 : 2010.08.09.)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74995 (Announcement Date: 2010.08.09.)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분말 타입과 액상 타입의 안정제를 혼합 도입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의 발생을 최소화하면서도, 액상 안정제와 분말 안정제가 갖는 장점을 모두 포함하여 외관 품질이 우수한 PVC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타입 PVC용 복합 안정제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 관한 기술 내용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while minimizing the gener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by mixing and introducing a powder-type and liquid-type stabilizer, the advantages of a liquid stabilizer and a powder stabilizer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technical details 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hybrid-type PVC composite stabilizer that can produce PVC products with excellent appearance quality, including all of them.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r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it could be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a) 액상 안정제 및 다공성 세라믹 분말을 포함하는 유화 흡착제를 혼합하는 단계; (b) 상기 액상 안정제를 상기 유화 흡착제에 흡착시켜 봉입 안정제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봉입 안정제 10 내지 40 중량부 및 분말 안정제 60 내지 90 중량부를 혼합하여 PVC용 복합 안정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타입 PVC용 복합 안정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technic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mixing an emulsified adsorbent comprising a liquid stabilizer and a porous ceramic powder; (b) adsorbing the liquid stabilizer to the emulsion adsorbent to prepare an encapsulated stabilizer; and (c) mixing 10 to 40 parts by weight of the encapsulation stabilizer and 60 to 90 parts by weight of the powder stabilizer to prepare a composite stabilizer for PVC.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단계(a)에서는, 압축 공기를 이용해 액적을 토출하는 액적 토출 장치에 상기 액상 안정제를 공급하고, 상기 액상 안정제 액적을 상기 유화 흡착제에 토출하여 상기 액상 안정제 및 유화 흡착제를 혼합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a), the liquid stabilizer is supplied to a droplet ejection device that ejects droplets using compressed air, and the liquid stabilizer droplets are discharged to the emulsion adsorbent to thereby discharge the liquid stabilizer. and emulsified adsorbent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단계(a)에서는, 상기 액상 안정제 15 내지 35 중량부 및 상기 유화 흡착제 65 내지 85 중량부를 혼합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a), 15 to 35 parts by weight of the liquid stabilizer and 65 to 85 parts by weight of the emulsion adsorbent may be mix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다공성 세라믹 분말은, 실리카,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제올라이트, 일라이트, 규조토, 탈사이트 및 탈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ous ceramic powder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a, aluminosilicate, zeolite, illite, diatomaceous earth, talcite, and talc.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다공성 세라믹 분말은 개질 실리카 분말을 포함하며, 상기 개질 실리카 분말은, (1) 실리카 분말 30 내지 70 중량부를 물 100 중량부와 혼합하여 현탁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현탁액을 전기분해하여 실리카 분말을 전처리하는 단계; (3) 상기 단계(2)에서 전처리한 실리카 분말을 포함하는 현탁액에 표면개질제를 혼합하여 반응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열처리하여 개질 실리카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질 세라믹 분말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표면개질제는, 프로필 갈레이트(propyl gallate), 부틸 갈레이트(butyl gallate), 옥틸 갈레이트(octyl gallate), 헥실 레조르시놀(hexyl resorcinol) 및 펜타데실페놀(pentadecylphen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ous ceramic powder includes modified silica powder, and the modified silica powder is prepared by (1) mixing 30 to 70 parts by weight of silica powder with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to prepare a suspension. ; (2) electrolyzing the suspension to pretreat silica powder; (3) preparing a reaction mixture by mixing a surface modifier with the suspension containing the silica powder pretreated in step (2); And (4) heat-treating the reaction mixture to prepare a modified silica powder; characterized in that it was prepared by a method for producing a modified ceramic powder comprising a, wherein the surface modifier is propyl gallate, butyl gallat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utyl gallate, octyl gallate, hexyl resorcinol, and pentadecylphenol.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액상 안정제는 칼슘/아연계 액상 안정제, 바륨/아연계 액상 안정제, 인산계 액상 안정제, 에폭시 아연계 액상 안정제, 메르캅타이드(Mercaptide)계 안정제, 말레이트 (Maleate)계 안정제, 카복실레이트(Carboxylate)계 안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quid stabilizer is a calcium/zinc-based liquid stabilizer, a barium/zinc-based liquid stabilizer, a phosphoric acid-based liquid stabilizer, an epoxy zinc-based liquid stabilizer, a mercaptide-based liquid stabilizer, and malat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leate)-based stabilizers and carboxylate-based stabilizer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분말 안정제는 칼슘/아연계 분말 안정제, 바륨/아연계 분말 안정제, 마그네슘/아연계 분말 안정제, 하이드로탈사이트, 칼슘/마그네슘/아연계 분말 안정제, 마그네슘알루미늄카보네이트계 분말 안정제 및 아연계 분말 안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der stabilizer is a calcium/zinc-based powder stabilizer, a barium/zinc-based powder stabilizer, a magnesium/zinc-based powder stabilizer, hydrotalcite, a calcium/magnesium/zinc-based powder stabilizer, and aluminum magnesium.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arbonate-based powder stabilizer and a zinc-based powder stabiliz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PVC용 복합 안정제는 가소제, 가공조제, 착색 개선제, 산화방지제, 자외선안정제, 난연제, 활제, 대전방지제, 발포제, 충전제, 항균제, 착색제, 무적제, 핵제, 블로킹방지제 및 슬립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e stabilizer for PVC is a plasticizer, processing aid, color improver, antioxidant, UV stabilizer, flame retardant, lubricant, antistatic agent, foaming agent, filler, antibacterial agent, colorant, anti-fouling agent, nucleating agent, blocking agent It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additiv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inhibitor and a slip agent.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타입 PVC용 복합 안정제의 제조방법은 유화 흡착제를 이용해 액상 안정제를 흡수시켜 액상 안정제가 캡슐화 된 봉입 안정제를 제조한 다음 제조한 봉입 안정제를 분말 안정제와 함께 혼합하는 방법을 통해 액상 안정제 및 분말 안정제를 혼합할 경우 발생되는 분말 안정제의 응집을 최소화하여 균일한 분산성과 안정성을 갖는 하이브리드 타입 PVC용 복합 안정제를 제조할 수 있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mposite stabilizer for hybrid type PV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n emulsion adsorbent to absorb a liquid stabilizer to prepare an encapsulated stabilizer with a liquid stabilizer, and then mixes the prepared encapsulated stabilizer with a powder stabilizer. And it is possible to prepare a hybrid type PVC composite stabilizer having uniform dispersibility and stability by minimizing the aggregation of the powder stabilizer generated when mixing the powder stabilizer.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하이브리드 타입 PVC용 복합 안정제는 액상 안정제의 단점인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등과 같은 인체 유해성분의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어 친환경적인 PVC 제품을 제조할 수 있고, 분말 안정제의 단점인 분산성과 작업 환경을 개선할 수 있어 PVC 제품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벽지, 바닥재, 창틀, 파이프, 인조가죽 등의 PVC 제품 생산시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다.The composite stabilizer for hybrid type PVC prepared in the above way can minimize the emission of harmful components to the human body, such as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which is a disadvantage of liquid stabilizers, so that eco-friendly PVC products can be manufactured. It can contribute to the productivity improvement of PVC products by improving dispersibility and working environment, which are disadvantages, and can be easily used in the production of PVC products such as wallpaper, flooring, window frames, pipes, and artificial leath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타입 PVC용 복합 안정제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1 is a process diagram show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stabilizer for hybrid type PV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is capable of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by.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ter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termed a first component.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Meanwhi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not intended to refer to the specified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any of them.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타입 PVC용 복합 안정제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1 is a process diagram show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stabilizer for hybrid type PV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타입 PVC용 복합 안정제의 제조방법은, (a) 액상 안정제 및 다공성 세라믹 분말을 포함하는 유화 흡착제를 혼합하는 단계, (b) 상기 액상 안정제를 상기 유화 흡착제에 흡착시켜 봉입 안정제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봉입 안정제 10 내지 40 중량부 및 분말 안정제 60 내지 90 중량부를 혼합하여 PVC용 복합 안정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stabilizer for hybrid type PV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mixing an emulsion adsorbent comprising a liquid stabilizer and a porous ceramic powder, (b) adding the liquid stabilizer to the emulsion adsorbent and (c) mixing 10 to 40 parts by weight of the encapsulation stabilizer and 60 to 90 parts by weight of the powder stabilizer to prepare a composite stabilizer for PVC.

상기 단계 (a)는, 액상 안정제 및 다공성 세라믹 분말을 포함하는 유화 흡착제를 혼합하는 단계이다.The step (a) is a step of mixing the emulsified adsorbent containing the liquid stabilizer and the porous ceramic powder.

상기 액상 안정제는 상기 액상 안정제는 칼슘/아연계 액상 안정제, 바륨/아연계 액상 안정제, 인산계 액상 안정제, 에폭시 아연계 액상 안정제, 메르캅타이드(Mercaptide)계 안정제, 말레이트 (Maleate)계 안정제, 카복실레이트(Carboxylate)계 안정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The liquid stabilizer is a calcium/zinc-based liquid stabilizer, a barium/zinc-based liquid stabilizer, a phosphoric acid-based liquid stabilizer, an epoxy zinc-based liquid stabilizer, a mercaptide-based stabilizer, a maleate-based stabilizer, A carboxylate-based stabilizer or a mixture thereof may be included.

특히, 상기 액상 안정제는 각각 유화 흡착제로의 하이브리드화가 원활하게 유도될 수 있도록 물리적 구조를 조절하여 액상 안정제에 포함된 입자의 평균 입자크기가 1 내지 100 Å이 되도록 조절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liquid stabilizer may be adjusted so that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particles included in the liquid stabilizer is 1 to 100 Å by adjusting the physical structure so that hybridization to the emulsion adsorbent can be smoothly induc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상 안정제는 칼슘/아연계 액상 안정제 및 바륨/아연계 액상 안정제를 포함하는 혼합 액상 안정제를 활용할 수 있으며, 혼합 액상 안정제는 Ca/Zn 액상 안정제 60 내지 90 중량부, Ba/Zn 액상 안정제 10 내지 4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liquid stabilizer may utilize a mixed liquid stabilizer including a calcium/zinc-based liquid stabilizer and a barium/zinc-based liquid stabilizer, and the mixed liquid stabilizer includes 60 to 90 parts by weight of a Ca/Zn liquid stabilizer, Ba/Zn A liquid stabilizer prepared by mixing 10 to 40 parts by weight may be used.

구체적으로, 칼슘/아연계 액상 안정제는 칼슘 스테아레이트(zinc stearate) 3 내지 20 중량부, 아연 스테아레이트(zinc stearate) 3 내지 20 중량부, 사이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디알킬에스테르 20 내지 80 중량부, 스테아릴벤조일메탄(ttearyl benzoyl methane) 3 내지 8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받는 것은 아니다.Specifically, the calcium/zinc liquid stabilizer is 3 to 20 parts by weight of calcium stearate, 3 to 20 parts by weight of zinc stearate, 20 to 80 parts by weight of cyclohexane dicarboxylic acid dialkyl ester , can be used prepared by mixing 3 to 8 parts by weight of stearyl benzoyl metha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바륨/아연계 액상 안정제는 바륨 스테아레이트(Barium stearate) 3 내지 20 중량부, 아연 스테아레이트(zinc stearate) 3 내지 20 중량부, 사이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디알킬에스테르 20 내지 80 중량부, 스테아릴벤조일메탄(ttearyl benzoyl methane) 3 내지 8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받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barium / zinc-based liquid stabilizer is barium stearate (Barium stearate) 3 to 20 parts by weight, zinc stearate (zinc stearate) 3 to 20 parts by weight, cyclohexane dicarboxylic acid dialkyl ester 20 to 80 parts by weight, What is prepared by mixing 3 to 8 parts by weight of stearyl benzoyl methane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유화 흡착제는 표면에 기공이 다수 형성되어 상기 액상 안정제를 흡수하여 담지할 수 있는 다공성 세라믹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The emulsion adsorbent may include a porous ceramic powder having a plurality of pores formed on its surface to absorb and support the liquid stabilizer.

상기 다공성 세라믹 분말은, 실리카(silica), 알루미노 실리케이트(alumino silicate), 제올라이트(zeolite), 일라이트(illite), 규조토(diatomite), 탈사이트(talcite), 탈크(talc)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다공성 세라믹 분말은 평균입자 크기가 0.01 내지 1,000 ㎛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표면에 50 내지 10,000 Å 크기의 기공이 다수 형성되어 액상 안정제를 흡착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공성 세라믹 분말은 실리카 분말을 활용할 수 있다.The porous ceramic powder is made of silica, alumino silicate, zeolite, illite, diatomite, talcite, talc, or a mixture thereof. The porous ceramic powder may have an average particle size of 0.01 to 1,000 μm, and a plurality of pores having a size of 50 to 10,000 Å formed on the surface may be used to adsorb the liquid stabilizer. Preferably, the porous ceramic powder may utilize silica powder.

한편, 일반적으로, 액상 안정제는 지방산에스테르(fatty acid ester)와 이를 용해시킬 수 있는 유기 용제로 구성되어 소수성을 나타내며, 유화 흡착제가 친수성을 나타낼 경우 액상 안정제가 유화 흡착제로 쉽게 흡수되지 못해 흡수량이 낮고, 흡수 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general, the liquid stabilizer is composed of fatty acid ester and an organic solvent capable of dissolving it and exhibits hydrophobicity. ,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bsorption time becomes long.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여 액상 안정제의 흡수를 촉진시킬 수 있도록 표면 개질한 개질 실리카 분말을 유화 흡착제로 활용할 수 있으며, 개질 실리카 분말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modified silica powder can be used as an emulsion adsorbent to compensate for the above disadvantages to promote absorption of the liquid stabilizer, and the modified silica powder can be prepared by the following method.

구체적으로, 개질 실리카 분말은, (1) 실리카 분말 30 내지 70 중량부를 물 100 중량부와 혼합하여 현탁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현탁액을 전기분해하여 실리카 분말을 전처리하는 단계; (3) 상기 단계(2)에서 전처리한 실리카 분말을 포함하는 현탁액에 표면개질제를 혼합하여 반응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열처리하여 개질 실리카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질 세라믹 분말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odified silica powder may be prepared by: (1) mixing 30 to 70 parts by weight of silica powder with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to prepare a suspension; (2) electrolyzing the suspension to pretreat silica powder; (3) preparing a reaction mixture by mixing a surface modifier with the suspension containing the silica powder pretreated in step (2); and (4) heat-treating the reaction mixture to prepare a modified silica powder.

상기 개질 실리카 분말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단계(1)에서는, 실리카 분말을 물과 혼합하여 현탁액을 제조하며, 실리카 분말과 물을 혼합한 다음 교반하여 실리카 분말에 물이 충분히 흡수되도록 할 수 있으며, 물 100 중량부 대비 실리카 분말 30 내지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현탁액을 제조할 수 있다.Looking a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odified silica powder in detail, in step (1), the silica powder is mixed with water to prepare a suspension, and the silica powder and water are mixed and then stirred so that the silica powder can sufficiently absorb water. and 30 to 100 parts by weight of silica powder to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to prepare a suspension.

상기 단계(2)에서는, 현탁액을 전기분해하여 실리카 분말을 전처리하는 단계로서, 전기 분해장치에 현탁을 공급한 다음 전압을 인가하여 현탁액에 포함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 기체 및 산소 기체를 형성시켜 과량의 기포를 생성시킬 수 있으며, 실리카 분말에 흡수된 물에도 기포가 과량 형성되어, 실리카 분말에 기포를 공급해 실리카 분말의 표면에 다량의 기공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전처리된 실리카 분말 입자는 표면적이 크게 증가하여 후술할 표면개질제가 실리카 분말 입자에 접촉할 수 있는 반응 표면적을 넓힐 수 있고, 이와 같은 전처리 실리카 분말 입자를 활용하여 손쉽게 개질할 수 있도록 한다.In step (2), the suspension is electrolyzed to pretreat the silica powder. After supplying the suspension to the electrolysis device, a voltage is applied to electrolyze the water contained in the suspension to form hydrogen gas and oxygen gas. Excessive bubbles can be generated, and excessive bubbles are formed even in the water absorbed by the silica powder, so that a large amount of pores can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ilica powder by supplying the bubbles to the silica powder. The surface area of the particles is greatly increased, so that the surface modifi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increase the reaction surface area that can contact the silica powder particles, and can be easily modified by using such pre-treated silica powder particles.

상기 단계(3)에서는 전처리한 실리카 분말을 포함하는 현탁액에 표면개질제를 혼합하여 반응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표면개질제를 현탁액에 도입하여 반응 혼합물을 제조한 다음 반응 혼합물을 일정동안 반응시켜, 전처리 실리카 분말 입자의 기공 및 표면에 표면개질제가 도입되도록 하고, 양친매성 성분을 실리카 분말 입자에 도입하여 실리카 입자의 기공으로 액상 안정제가 쉽게 흡수될 수 있도록 양친매성 성분을 도입할 수 있다.In step (3), a reaction mixture is prepared by mixing a surface modifier with the suspension containing the pretreated silica powder. The surface modifier is introduced into the suspension to prepare a reaction mixture, and then the reaction mixture is reac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followed by pretreatment. The amphipathic component can be introduced so that the surface modifier is introduced into the pores and surfaces of the silica powder particles, and the amphipathic component is introduced into the silica powder particles so that the liquid stabilizer can be easily absorbed into the pores of the silica particles.

이를 위해, 상기 표면개질제는 양친매성 성분이라면 제한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양친매성 표면개질제는 프로필 갈레이트(propyl gallate), 부틸 갈레이트(butyl gallate), 옥틸 갈레이트(octyl gallate), 헥실 레조르시놀(hexyl resorcinol), 펜타데실페놀(pentadecylphenol)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surface modifier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an amphiphilic component, and the amphiphilic surface modifier is propyl gallate, butyl gallate, octyl gallate, hexyl resorsi Nol (hexyl resorcinol), pentadecylphenol (pentadecylphenol) or a mixture thereof may be used.

상기 표면개질제는 현탁액 100 중량부 대비 0.01 내지 3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으며, 상기 표면개질제의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실리카 분말을 충분히 개질하기 어렵고, 3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추가적인 물성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다.The surface modifier may be mixed in a ratio of 0.01 to 3 parts by weight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suspension. When the content of the surface modifier is less than 0.01 parts by weight, it is difficult to sufficiently modify the silica powder, and when it exceeds 3 parts by weight, additional physical property improvement is obtained. hard to expect

또한, 본 단계에서는, 반응 혼합물을 제조한 다음 제조한 반응 혼합물을 60 내지 200 ℃의 온도로 가열하고 1 내지 24시간 동안 반응시켜 전처리 실리카 분말 입자의 표면에 표면개질제가 도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step, after preparing the reaction mixture, the prepared reaction mixture is heated to a temperature of 60 to 200° C. and reacted for 1 to 24 hours to introduce a surface modifier to the surface of the pre-treated silica powder particles.

상기 단계(4)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열처리하여 개질 실리카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표면개질제가 표면에 도입된 실리카 분말을 열처리하여 실리카 분말의 표면에 표면개질제를 고정하여 개질 실리카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The step (4) is a step of heat-treating the reaction mixture to prepare a modified silica powder, heat-treating the silica powder introduced to the surface of the surface modifier to fix the surface modifier on the surface of the silica powder to prepare a modified silica powder. .

이를 위해, 본 단계에서는, 표면개질제가 표면에 도입된 실리카 분말을 수득하고, 건조한 다음 건조시킨 개질 실리카 분말을 200 내지 1,000 ℃의 온도로 0.5 내지 12시간 동안 가열해 열처리하여 개질 실리카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To this end, in this step, a silica powder having a surface modifier introduced into the surface is obtained, dried, and then the dried modified silica powder is heated at a temperature of 200 to 1,000 ° C. for 0.5 to 12 hours to prepare a modified silica powder. can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개질 실리카 분말은 전기분해에 의해 기공이 다수 형성되어 표면적이 넓고, 양친매성 성분이 표면에 고정되어 액상 안정제를 쉽게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고 VOCs 등과 같은 인체 유해성분의 배출을 최소화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The modified silica powder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has a large surface area due to the formation of a large number of pores by electrolysis, and the amphiphilic component is fixed on the surface to form a structure that can easily absorb the liquid stabilizer, and harmful components such as VOCs It has a structure that minimizes the emission of

본 단계에서는, 액상 안정제 15 내지 35 중량부 및 유화 흡착제 65 내지 85 중량부를 혼합할 수 있으며, 액상 안정제의 함량이 15 중량부 미만일 경우 액상 성분의 함량이 낮아 PVC용 복합 안정제가 쉽게 비산하여 작업 환경이 나빠지고, 열안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3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후술할 PVC용 복합 안정제 제조시 봉입 안정제에서 액상 안정제의 배출량이 많아 분말 안정제와의 혼합이 까다롭고, 분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In this step, 15 to 35 parts by weight of the liquid stabilizer and 65 to 85 parts by weight of the emulsified adsorbent can be mixed, and when the content of the liquid stabilizer is less than 15 parts by weight, the content of the liquid component is low, so the composite stabilizer for PVC is easily scattered, so that the working environment This worsens, there is a risk that thermal stability may be lowered, and when it exceeds 35 parts by weight, the amount of liquid stabilizer discharged from the encapsulated stabilizer is high during the manufacture of the composite stabilizer for PVC,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o mixing with the powder stabilizer is difficult, and the dispersibility may be lowered. There are concerns.

또한, 본 단계에서는, 액상 안정제를 균일하게 유화 흡착제에 흡착시키도록 하기 위해서, 압축 공기를 이용해 액적을 토출하는 액적 토출 장치에 액상 안정제를 공급하고, 액상 안정제 액적을 유화 흡착제에 토출하여 상기 액상 안정제 및 유화 흡착제를 혼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step, in order to uniformly adsorb the liquid stabilizer to the emulsion adsorbent, a liquid stabilizer is supplied to a droplet ejection device that ejects droplets using compressed air, and the liquid stabilizer droplets are discharged to the emulsion adsorbent to discharge the liquid stabilizer. and a method of mixing an emulsified adsorbent may be used.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유화 흡착제에 액상을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조대한 액상 안정제 입자가 생성되지 않게 미세한 액적으로 분사하여 단시간에 액상 안정제를 유화 흡착제에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다.Through the above method, the liquid phase can be uniformly supplied to the emulsified adsorbent, and the liquid stabilizer can be uniformly supplied to the emulsified adsorbent in a short time by spraying fine droplets so as not to generate coarse liquid stabilizer particles.

액적 토출 장치는, 액상 안정제를 균일하게 유화 흡착제로 공급할 수 있도록 액상 안정제를 저장하는 저장 챔버, 저장 챔버와 연결되고, 저장 챔버로 압축 공기를 제공하여 저장 챔버의 액상 안정제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탱크 및 배관을 통해 저장 챔버와 연결되고, 저장 챔버로부터 배출되는 액상 안정제를 제공받아 액적을 토출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The droplet discharging device includes a storage chamber for storing the liquid stabilizer so as to uniformly supply the liquid stabilizer to the emulsion adsorbent, and an air tank connected to the storage chamber and discharging the liquid stabilizer of the storage chamber to the outside by providing compressed air to the storage chamber and a nozzle connected to the storage chamber through a pipe and receiving a liquid stabilizer discharged from the storage chamber to discharge droplets.

한편, 상기 단계 (b)는, 상기 액상 안정제를 상기 유화 흡착제에 흡착시켜 봉입 안정제를 제조하는 단계이다.On the other hand, the step (b) is a step of preparing the encapsulated stabilizer by adsorbing the liquid stabilizer to the emulsion adsorbent.

본 단계에서는, 액상 안정제 및 유화 흡착제를 반응시켜 봉입 안정제를 제조할 수 있으며, 교반 장치 등의 수단을 이용해 반응시간을 단축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this step, the encapsulated stabilizer can be prepared by reacting the liquid stabilizer and the emulsified adsorbent, and the reaction time can be shortened by using a means such as a stirring device.

상기와 같이 액상 안정제를 유화 흡착제에 흡착시켜 봉입 안정제를 제조하고, 제조한 봉입 안정제를 분말 안정제와 혼합하면 액상 안정제가 캡슐화되어 분말 안정제와 혼합됨에 따라 응집이 발생되지 않아 분말 안정제의 단점인 낮은 분산성, 점도 상승, 분진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액상 안정제의 수성화로 휘발성유기화합물, 페놀, 포름알데히드 등과 같은 인체 유해성분의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liquid stabilizer is adsorbed to the emulsion adsorbent to prepare an encapsulation stabilizer, and the prepared encapsulation stabilizer is mixed with the powder stabilizer, the liquid stabilizer is encapsulated and agglomeration does not occur as it is mixed with the powder stabilizer. Acidity, viscosity increase, and dust generation can be minimized, and the discharge of harmful components to the human body such as volatile organic compounds, phenol, and formaldehyde can be minimized by making the liquid stabilizer aqueous.

그리고, 기존의 액상과 분말 안정제를 혼합하는 경우 응집 발생으로 인해 분말 안정제의 분산성이 저하되어 PVC 제품의 표면 평활도가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고품질 PVC 제품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mixing the existing liquid and powder stabilizers, the dispersibility of the powder stabilizer is lowered due to the occurrence of agglomeration,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surface smoothness of the PVC product, so that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high-quality PVC product.

또한, 본 단계에서는, 상기 액상 안정제 및 유화 흡착제의 혼합물을 50 내지 120 ℃의 온도로 가열하여 온도를 상승시킴에 따라 확산속도를 높여 흡착을 촉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step, the mixture of the liquid stabilizer and the emulsion adsorbent is heated to a temperature of 50 to 120 °C to increase the diffusion rate as the temperature is increased to promote adsorption.

상기 단계 (c)는, 상기 봉입 안정제 및 분말 안정제를 혼합하여 PVC용 복합 안정제를 제조하는 단계로서, 액상 안정제를 흡착시킨 봉입 안정제 및 분말 안정제를 혼합하는 방법을 통해 액상 안정제 및 분말 안정제를 혼합하는 경우 발생하는 응집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step (c) is a step of preparing a composite stabilizer for PVC by mixing the encapsulation stabilizer and the powder stabilizer. Mixing the liquid stabilizer and the powder stabilizer through a method of mixing the encapsulation stabilizer and the powder stabilizer in which the liquid stabilizer is adsorb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agglomeration that occurs when the

상기와 같은 PVC용 복합 안정제는 PVC 가공시 조성물의 열안정성을 높이는 열안정제로서의 역할을 하고, 비납계 열안정제로서 납, 카드뮴 등과 같은 중금속 유해 성분을 함유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다. The composite stabilizer for PVC as described above serves as a heat stabilizer to increase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composition during PVC processing, and as a lead-free heat stabilizer, i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because it does not contain harmful heavy metal components such as lead and cadmium.

또한, 액상 안정제를 유화 흡착제에 흡수시키도록 하여 봉입 안정제를 제조한 다음, 제조한 봉입 안정제를 분말 안정제와 혼합함에 따라 분말 안정제가 과량의 액상 안정제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분말 안정제와 액상 안정제가 혼합 또는 혼련 합성시 대두되는 분말 안정제의 응집 현상을 해소하고 불충분한 분산성과 미립자화에 대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으며, 시너지 효과가 유도되어 액상 안정제 및 분말 안정제를 단독으로 첨가한 PVC용 열안정제가 갖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llowing the liquid stabilizer to be absorbed into the emulsion adsorbent to prepare the encapsulation stabilizer, and then mixing the prepared encapsulation stabilizer with the powder stabilizer, the powder stabilizer and the liquid stabilizer are mixed by blocking exposure of the powder stabilizer to an excess of the liquid stabilizer. It is possible to solve the aggregation phenomenon of powder stabilizers that arise during mixing or kneading synthesis, overcome difficulties in insufficient dispersibility and fine particles, and synergistic effects are induced. shortcomings can be compensated for.

상기와 같은 분말 안정제는 칼슘/아연계 분말 안정제, 바륨/아연계 분말 안정제, 마그네슘/아연계 분말 안정제, 하이드로탈사이트, 칼슘/마그네슘/아연계 분말 안정제, 마그네슘알루미늄카보네이트계 분말 안정제, 아연계 분말 안정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owder stabilizer as described above is a calcium/zinc-based powder stabilizer, a barium/zinc-based powder stabilizer, a magnesium/zinc-based powder stabilizer, hydrotalcite, a calcium/magnesium/zinc-based powder stabilizer, a magnesium aluminum carbonate-based powder stabilizer, and a zinc-based powder. stabilizers or mixtures thereof.

보다 바람직하게는, 분말 안정제는, 하이드로탈사이트(hydrotalcite) 30 내지 50 중량부, 아연 스테아레이트(zinc stearate) 10 내지 20 중량부, 칼슘 스테아레이트(calcium stearate) 15 내지 30 중량부, 디벤조일메탄(dibenzoyl methane) 3 내지 8 중량부, 스테아릴벤조일메탄(ttearyl benzoyl methane) 3 내지 8 중량부, 항산화제(anti-oxidant) 1 내지 3 중량부 및 필러(filler) 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이용해 제조한 Ca/Zn 혼합 분말 안정제를 사용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powder stabilizer, 30 to 50 parts by weight of hydrotalcite, 10 to 20 parts by weight of zinc stearate, 15 to 30 parts by weight of calcium stearate, dibenzoylmethane (dibenzoyl methane) 3 to 8 parts by weight, stearyl benzoyl methane 3 to 8 parts by weight, antioxidant (anti-oxidant) 1 to 3 parts by weight, and filler (filler) 5 to 20 parts by weight of a mixture comprising A Ca/Zn mixed powder stabilizer prepared using

본 단계에서는, 봉입 안정제 및 분말 안정제를 혼합하여 PVC용 복합 안정제를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하기 위한 PVC 제품의 용도에 따라 봉입 안정제 및 분말 안정제의 중량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this step, a composite stabilizer for PVC may be prepared by mixing the encapsulation stabilizer and the powder stabilizer, and the weight ratio of the encapsulation stabilizer and the powder stabilizer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PVC product for manufacturing.

봉입 안정제는 액상 안정제를 함유함에 따라 PVC 수지 제품의 초기착색, 투명성, 내후성, 발포성 등을 향상시키고, 인체 유해성분을 배출하지 않는 특성을 나타내는 반면에 활성, 내열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고, 분말 안정제는 활성, 내후성, 발포성을 향상시키는 반면에, 초기착색, 투명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어 본원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봉입 안정제 및 분말 안정제를 혼합 도입하여 각각의 안정제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Encapsulation stabilizer improves the initial coloration, transparency, weather resistance, foamability, etc. of PVC resin products as it contains a liquid stabilizer, and while exhibiting the characteristic of not emitting harmful components to the human body, there is a problem of lowering activity and heat resistance, and powder stabilizer While improving activity, weather resistance, and foamability, there is a problem of lowering initial coloration and transparency, 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encapsulation stabilizer and powder stabilizer are mixed and introduced to solve the problems of each stabilizer.

또한, PVC용 복합 안정제는 분말 안정제와 액상 안정제가 혼합 또는 혼련 합성시 대두되는 분말 안정제의 응집 현상, 불충분한 분산성과 미립자화에 대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osite stabilizer for PVC can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powder stabilizer agglomeration, insufficient dispersibility and fine particles, which arise when the powder stabilizer and the liquid stabilizer are mixed or kneaded.

이를 위해, PVC용 복합 안정제는 봉입 안정제 10 내지 40 중량부 및 분말 안정제 60 내지 9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봉입 안정제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일 경우 액상 성분의 함량이 작아 작업 환경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4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분말 안정제의 균일한 분산이 어려워 PVC 수지 제품의 외관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To this end, the composite stabilizer for PVC can be prepared by mixing 10 to 40 parts by weight of the encapsulation stabilizer and 60 to 90 parts by weight of the powder stabilizer. If it exceeds 40 parts by weight, it is difficult to uniformly disperse the powder stabilizer, so that the appearance quality of the PVC resin product may be deteriorated.

또한, 본 단계에서는 PVC 제품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첨가제를 추가로 혼합하여 PVC용 복합 안정제를 제조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step, an additive may be additionally mixed to improve the physical properties of PVC products to prepare a composite stabilizer for PVC.

첨가제는, 가소제, 가공조제, 착색 개선제, 산화방지제, 자외선안정제, 난연제, 활제, 대전방지제, 발포제, 충전제, 항균제, 착색제, 무적제, 핵제, 블로킹방지제, 슬립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ves may include plasticizers, processing aids, color improvers, antioxidants, UV stabilizers, flame retardants, lubricants, antistatic agents, foaming agents, fillers, antibacterial agents, colorants, antifouling agents, nucleating agents, antiblocking agents, slip agents, or mixtures thereof. .

가소제(plasticizers)는 PVC 수지의 유연성, 가공의 작업성, 팽창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며, 연질 PVC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혼합할 수 있으며, 연질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첨가량을 조절할 수 있다.Plasticizers play a role in increasing the flexibility, workability, and expansibility of PVC resin, and can be mixed to produce soft PVC products, and the amount added can be adjusted to impart soft properties.

가소제는 프탈레이트(phthalate)계 가소제, 지방산(aliphate)계 가소제, 트리멜리테이트(trimellitate)계 가소제, 폴리에스테르(polyester)계 가소제, 에폭시(epoxy)계 가소제, 포스페이트(phosphate)계 가소제, 글리콜(glycol)계 가소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Plasticizers include phthalate-based plasticizers, fatty acid (aliphate)-based plasticizers, trimellitate-based plasticizers, polyester-based plasticizers, epoxy-based plasticizers, phosphate-based plasticizers, and glycols. )-based plasticizers or mixtures thereof may be used.

가공조제는 PVC 수지의 가공성을 향상시키고, 용융파괴(melt fracture)를 방지하며, 플로우마크(flow mark) 및 피쉬 아이(fish eye)의 발생을 감소시키고, 광택을 개선시키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아크릴계 가공조제, 스티렌계 가공조제 또는 유기아린산 에스테르계 복합 가공조제를 사용할 수 있다.The processing aid is added to improve the processability of PVC resin, prevent melt fracture, reduce the occurrence of flow marks and fish eyes, and improve gloss. A processing aid, a styrene-based processing aid, or an organic phosphite-based composite processing aid may be used.

보조 안정제는 액상 안정제 및 분말 안정제와 함께 PVC 수지의 물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하며, 주석 말레이트, 주석 라우레이트, 분말주석 말레이트 에스테르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유기주석계 안정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auxiliary stabilizer serves to supplemen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VC resin together with the liquid stabilizer and powder stabilizer, and an organotin stabilizer including tin malate, tin laurate, powdered tin malate ester, or mixtures thereof can be mixed and used. .

산화방지제(antioxidants)는 PVC 수지와 산소의 반응을 억제 또는 차단시켜 분해를 방지해 물성을 유지시켜주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며, 알킬티오메틸페놀 등과 같은 페놀성 산화방지제 또는 티오디프로피온산 에스테르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Antioxidants inhibit or block the reaction between PVC resin and oxygen to prevent decomposition and help maintain physical properties, and phenolic antioxidants such as alkylthiomethylphenol or thiodipropionic acid ester for example.

자외선 차단제(UV stabilizer)는 PVC 수지가 자외선에 의한 열적 분해를 억제 또는 차단시켜 주는 역할을 하며, 아조디페닐아닐린 등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A UV stabilizer serves to inhibit or block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PVC resin due to UV rays, and azodiphenylaniline and the like are representative examples.

난연제는 화염에 의해 PVC 수지의 연소성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며, 활제는 카렌다 가공, 성형, 압출 중에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접촉하는 금속 표면을 윤활시켜 유동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며, 내부 윤활제와 외부 윤활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lame retardant serves to reduce the combustibility of PVC resin by flame, and the lubricant lubricates the metal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olyvinyl chloride resin during calendar processing, molding, and extrusion to increase fluidity. may include

내부 윤활제는 성형 가공 시 용해된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조성물의 유동 점도를 낮추어 마찰 발열의 발생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하며, 부틸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린산, bis-아미드, 라우릴알코올, 에폭시화 대두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The internal lubricant lowers the flow viscosity of the polyvinyl chloride-based resin composition dissolved during molding process to reduce frictional heat generation, and includes butyl stearate, stearyl stearate, glycerin monostearate, stearic acid, bis-amide, Lauryl alcohol, epoxidized soybean oil, or a mixture thereof may be used.

외부 윤활제는 성형 가공 시 용해된 수지와 가공장치와의 마찰을 감소시키고 가공장치 표면에서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조성물의 이형성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며, 몬탄산 왁스, 파라핀 왁스, 폴리올레핀 왁스, 에스테르 왁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The external lubricant reduces the friction between the dissolved resin and the processing equipment during molding and serves to enhance the releasability of the polyvinyl chloride-based resin composition on the surface of the processing equipment, and contains montanic acid wax, paraffin wax, polyolefin wax, ester wax, or Mixtures thereof may be used.

대전 방지제는 PVC 수지에서 정전기 발생을 억제 또는 제거하는 기능을 하며, 발포제(blowing agent)는 다공성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첨가할 수 있다.The antistatic agent functions to suppress or remove static electricity generation in the PVC resin, and a blowing agent may be added to produce a porous product.

보강제는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는 충격보강제(impact modifier)와 원가절감을 목적으로 대량으로 첨가하는 증량제(extender filler) 역할을 하고, 가공성을 개선하는 충진제(filler)를 포함한다.The reinforcing agent includes an impact modifier that improves impact resistance, an extender filler added in large quantities for the purpose of cost reduction, and a filler that improves processability.

PVC 수지조성물의 기계적, 열적, 전기적 성질 또는 가공성을 개선하기 위해 첨가되는 보강제(reinforcing filler)로서의 역할을 하며, 무기질, 유기질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도입할 수 있고, 분말상, 평판상, 침상, 구상, 섬유, 섬유직물상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를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충전제는 유리섬유, 탄산칼슘, 탈크, 운모, 규석, 목분 등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으며, 탄산칼슘을 단일로 사용하거나, 탄산칼슘에 유리섬유, 탈크, 운모, 규석, 목분 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t serves as a reinforcing filler added to improve the mechanical, thermal, electrical properties or processability of the PVC resin composition, and inorganic, organic, or mixtures thereof can be introduced. Powder, flat, needle, spherical, Those having various shapes such as fibers, fibrous fabrics, and the like can be used. As a filler, glass fiber, calcium carbonate, talc, mica, silica stone, wood powder, etc. are representative examples. Calcium carbonate can be used alone, or glass fiber, talc, mica, silica stone, wood powder, etc. can be mixed with calcium carbonate. and is not limited thereto.

충격보강제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에 탄성을 부여하여 내충격성을 보강하는 물질로서, 분열, 인장, 압축, 휨, 충격 강도를 증가시키고 치수 안정성과 열 변형에 대한 저항력의 증진시킬 수 있고, 충격보강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염소화 폴리에틸렌계, 아크릴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The impact modifier is a material for reinforcing impact resistance by giving elasticity to the polyvinyl chloride-based resin composition. It can increase fracture, tensile, compression, bending, and impact strength, and enhance dimensional stability and resistance to thermal deformation. The reinforcing agent may be methyl methacrylate-butadiene-styrene, chlorinated polyethylene, acrylic, or a mixture thereof.

항균제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의 항균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은(Ag), 구리(Cu), 망간(Mn), 아연(Zn), 이산화티탄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과 같은 항균성 금속을 제올라이트, 실리카, 알루미나 등의 무기 담체에 치환시켜서 제조한 다공성 복합 항균제를 도입할 수 있다.The antibacterial agent serves to improve the antibacterial properties of polyvinyl chloride resin, and includes antimicrobial metals such as silver (Ag), copper (Cu), manganese (Mn), zinc (Zn), titanium dioxide or mixtures thereof such as zeolite, silica, A porous composite antibacterial agent prepared by substituting an inorganic carrier such as alumina may be introduced.

안료(colorant)는 PVC 제품에 색상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며, 티타늄, 니켈을 포함하는 안료를 사용할 수 있고, 무적제(antifogging agent)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내부에 발생하는 기포의 생성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The pigment (colorant) serves to impart color to PVC products, and pigments including titanium and nickel can be used, and the antifogging agent serves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air bubbles generated inside the poly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do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타입 PVC용 복합 안정제는 중합도가 1700 내지 2200이고, K값이 74 내지 80인 고분자량의 PVC 수지에 도입될 수 있다.The composite stabilizer for hybrid type PVC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troduced into a high molecular weight PVC resin having a polymerization degree of 1700 to 2200 and a K value of 74 to 80.

본 발명에 따른 PVC용 복합 안정제는 혼합기, 카렌더, 반죽기, 압출기, 밀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다양한 형태의 장치를 사용하여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혼합하여 PVC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카렌더링, 압출, 사출성형, 소결 또는 스피닝, 압출 취입 성형 또는 플라스티졸 공정과 같은 통상적인 다양한 방법을 이용해 가공하여 PVC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The composite stabilizer for PV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prepare PVC products by mixing with polyvinyl chloride resin using conventional various types of equipment such as mixers, calendars, kneaders, extruders, mills, etc., calendaring, extrusion PVC products may be manufactured by processing using a variety of conventional methods such as injection molding, sintering or spinning, extrusion blow molding or plastisol processes.

본 발명에 따른 PVC용 복합 안정제는 장식용 필름, 폼, 시트, 튜브, 오피스 필름, 압출 프로파일 또는 플레이트, 바닥재 필름 또는 패널 코팅재, 인조 피혁, 자동차용 내장재 등의 제조를 위한 반강성 PVC 제품, 용기, 포장 필름, 열형성 필름, 취입 필름, 파이프 관체, 폼, 프레임 등과 같은 강성 사출 성형 제품 또는 압출 성형 제품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The composite stabilizer for PV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mi-rigid PVC product, container, It can be used to manufacture rigid injection molded products or extruded products such as packaging films, thermoformable films, blown films, pipe bodies, foams, frames, and the lik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타입 PVC용 복합 안정제의 제조방법은 유화 흡착제를 이용해 액상 안정제를 흡수시켜 액상 안정제가 캡슐화 된 봉입 안정제를 제조한 다음 제조한 봉입 안정제를 분말 안정제와 함께 혼합하는 방법을 통해 액상 안정제 및 분말 안정제를 혼합할 경우 발생되는 분말 안정제의 응집을 최소화하고, 균일한 분산성과 안정성을 갖는 하이브리드 타입 PVC용 복합 안정제를 제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mposite stabilizer for hybrid type PV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absorbing a liquid stabilizer using an emulsifying adsorbent to prepare an encapsulated stabilizer in which the liquid stabilizer is encapsulated, and then mixing the prepared encapsulating stabilizer with a powder stabilizer.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aggregation of the powder stabilizer that occurs when mixing the liquid stabilizer and the powder stabilizer, and to manufacture a hybrid-type composite stabilizer for PVC with uniform dispersibility and stability.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하이브리드 타입 PVC용 복합 안정제는 액상 안정제의 단점인 인체 유해성분의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어 친환경적인 PVC 제품을 제조할 수 있고, 분말 안정제의 단점인 분산성과 작업 환경을 개선할 수 있어 PVC 제품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The composite stabilizer for hybrid type PVC prepared in the above way can minimize the discharge of harmful components to the human body, which is a disadvantage of the liquid stabilizer, so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eco-friendly PVC products, and it improves the dispersibility and the working environment, which are the disadvantages of the powder stabilizer It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productivity of PVC products.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하이브리드 타입 PVC용 복합 안정제를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e stabilizer for hybrid type PVC prepared by the method as described above.

상기 하이브리드 타입 PVC용 복합 안정제는 분말 안정제의 단점인 낮은 분산성, 점도 상승, 분진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유화 흡착제를 사용하여 액상 안정제를 캡슐화(encapsulation) 시켜 분말 안정제와 액상 안정제를 혼합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촉촉한 느낌의 안정제를 제조할 수 있다.The hybrid-type composite stabilizer for PVC is a measure to minimize the disadvantages of powder stabilizer, such as low dispersibility, increase in viscosity, and generation of dust, and encapsulate the liquid stabilizer using an emulsifying adsorbent to mix the powder stabilizer and the liquid stabilizer. and finally, a stabilizer with a moist feeling can be prepared.

하지만, 기존에는 액상과 분말 안정제를 혼합할 경우 응집이 발생하여 분산성이 크게 저하되고, PVC 제품의 표면 평활도를 크게 저하시킨다는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유화 흡착제를 사용하여 액상 안정제를 캡슐화(encapsulation) 시켜 분말 안정제와 액상 안정제를 혼합하도록 하여 해당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when a liquid and powder stabilizer are mixed, agglomeration occurs and dispersibility is greatly reduc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rface smoothness of PVC products is greatly reduced. ) to mix the powder stabilizer and the liquid stabilizer to solve the problem.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타입 PVC용 복합 안정제는 안정제에 함유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함량을 획기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고, 페놀과 포름알데히드 프리 안정제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벽지, 바닥재, 창틀, 벽재, 건재, 전선 피복재, 자동차용 내외장재, 인조가죽, 농업용 자재, 식품 포장재, 파이프, 도료, 호스, 시트, 완구, 일용품, 위생 재료 등과 같은 PVC 제품 생산시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다.The composite stabilizer for hybrid type PV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dramatically reduce the content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contained in the stabilizer, and can be used as a phenol and formaldehyde-free stabilizer, and can be used as a wallpaper, flooring, window frame, It can be easily used in the production of PVC products such as wall materials, building materials, electric wire covering materials, automotive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artificial leather, agricultural materials, food packaging materials, pipes, paints, hoses, sheets, toys, daily necessities, and sanitary materials.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way of examples.

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The presented examples are only specific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 <Example>

(1) 캡슐화 평가(1) encapsulation evaluation

액상 안정제를 캡슐화 시키기 위한 유화 흡착제 소재별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비표면적이 크고 복수 개의 기공이 표면에 형성된 세라믹 소재를 탐색하였으며, 세라믹 소재는 평균입자 크기가 100 내지 1000 ㎛인 것을 사용하였으며, 실리카(silica), 합성 제올라이트(synthetic zeolite), 천연 제올라이트(natural zeolite), 규조토(diatomite), 탈사이트(talcite), 탈크(talc) 및 개질 실리카를 후보 물질로 선정하였다.In order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mulsified adsorbent material for encapsulating the liquid stabilizer, a ceramic material having a large specific surface area and a plurality of pores formed on the surface was searched. (silica), synthetic zeolite, natural zeolite, diatomite, talcite, talc and modified silica were selected as candidates.

개질 실리카는 물 100 중량부, 실리카 분말 50 중량부 및 염화나트륨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현탁액을 제조하고, 제조한 현탁액을 전기분해 장치에 공급한 다음 전압을 이용해 현탁액에 포함된 물과 전해질인 염화나트륨을 전기분해 하여 기포를 형성시켰으며, 생성된 기포로 실리카 분말을 전처리하였으며, 전처리한 실리카 분말을 포함하는 현탁액에 표면개질제를 혼합하고 90 ℃의 온도로 2시간 동안 가열하여 실리카 분말 및 표면개질제를 반응시켰다. 표면개질제와 반응시킨 실리카 분말을 수득한 다음 건조하고, 건조한 실리카 분말을 가열 챔버에 공급한 다음 350 ℃의 온도로 3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개질 실리카 분말을 제조하였다. 표면개질제는, 현탁액 100 중량부 대비 0.5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였으며, 옥틸 갈레이트를 표면개질제로 현탁액에 공급하였다.Modified silica is prepared by mixing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50 parts by weight of silica powder, and 0.5 parts by weight of sodium chloride to prepare a suspension, supplying the prepared suspension to an electrolysis device, and then using a voltage to electrolyze water and electrolyte, sodium chloride, in the suspension It was decomposed to form bubbles, and the silica powder was pretreated with the generated bubbles, and the surface modifier was mixed with the suspension containing the pretreated silica powder and heated at 90 ° C. for 2 hours to react the silica powder and the surface modifier. . A silica powder reacted with a surface modifier was obtained and dried, and the dried silica powder was supplied to a heating chamber and then heat-treated at a temperature of 350° C. for 3 hours to prepare a modified silica powder. The surface modifier was mixed in a ratio of 0.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uspension, and octyl gallate was supplied to the suspension as a surface modifier.

선정한 후보 물질을 이용해 액상 안정제를 흡수시키도록 하여 소재별 흡착특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흡착 특성 평가는 유화 흡착제 분말 70 중량부 대비 액상 안정제 30 중량부를 혼합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고, 압축 공기를 사용하여 노즐을 통해 유화 흡착제로 액상 안정제를 분사하는 방법으로 액상 안정제 및 유화 흡착제를 혼합해 유화 흡착제에 액상 안정제를 흡착시켜 봉입 안정제를 제조할 수 있도록 설비를 고안하여 수행하였다. 액상 안정제는 Ca/Zn 액상 안정제 80 중량부, Ba/Zn 액상 안정제 2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 액상 안정제를 활용하였다.The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each material were evaluated by allowing the liquid stabilizer to be absorbed using the selected candidate material,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The adsorption property evaluation was performed by mixing 30 parts by weight of a liquid stabilizer with respect to 70 parts by weight of the emulsified adsorbent powder. By spraying the liquid stabilizer into the emulsion adsorbent through a nozzle using compressed air, the liquid stabilizer and the emulsified adsorbent were mixed and emulsified. A facility was devised and carried out to adsorb the liquid stabilizer to the adsorbent to prepare the encapsulated stabilizer. As the liquid stabilizer, a mixed liquid stabilizer in which 80 parts by weight of a Ca/Zn liquid stabilizer and 20 parts by weight of a Ba/Zn liquid stabilizer were mixed was used.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후보 물질들은 모두 다공성 물질이나 기공의 크기에 따라 액상을 흡착할 수 있거나 흡착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고, 액상 안정제는 실제 예상되는 비율보다 높은 3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 테스트를 하였는데 안정적인 흡착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제품원가를 고려하여 고가부터 저가 물질들을 검토하였으며 실리카가 목적에 가장 부합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캡슐화를 위한 유화 흡착제로 실리카 및 개질 실리카를 선택하였다.As shown in Table 1, all of the candidate materials were judged to be capable of adsorbing the liquid phase or impossible to adsorb depending on the porous material or the size of the pores, and the liquid stabilizer was subjected to a mixing test at a ratio of 30 parts by weight higher than the actual expected ratio. However, th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stable adsorption capacity. Considering the product cost, high to low cost materials were reviewed, and silica was found to be the most suitable for the purpose, so silica and modified silica were selected as emulsified adsorbents for encapsulation.

(2) 혼합 비율 평가(2) Evaluation of mixing ratio

유화 흡착제 및 액상 안정제의 최적 혼합비율을 확인하기 위해서 액상 안정제를 유화 흡착제에 흡착시킨 봉입 안정제의 혼합 비율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In order to confirm the optimal mixing ratio of the emulsion adsorbent and the liquid stabilizer, the mixing ratio of the encapsulated stabilizer in which the liquid stabilizer is adsorbed to the emulsion adsorbent was evaluat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혼합 비율 평가는 lab scale에서 비율별 간이 방법으로 혼합하여 외관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고, 현장 생산설비를 이용해 실리카 분말 및 액상 안정제를 혼합하여 봉입 안정제 시료 1 내지 5를 제조하였고, 혼합 비율 평가를 위한 봉입 안정제 시료 1 내지 5의 조성은 아래에 나타낸 바와 같다. 또한, 개질 실리카 분말을 유화 흡착제 분말로 이용하여 봉입 안정제 시료 6 내지 8을 제조하였다.Mixing ratio evaluation was performed by mixing in a simple method by ratio on lab scale to check the appearance, and silica powder and liquid stabilizer were mixed using on-site production equipment to prepare sealed stabilizer samples 1 to 5, and mixing ratio evaluation was performed. For the encapsulation stabilizer samples 1 to 5, the composition is as shown below. In addition, by using the modified silica powder as an emulsion adsorbent powder, encapsulation stabilizer samples 6 to 8 were prepared.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상 안정제 및 유화 흡착제 분말의 혼합 비율을 확인한 결과 봉입 안정제 시료 제조를 위한 최적 혼합 비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액상 안정제 20 내지 30 중량부와 실리카 분말 70 내지 8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 또는 액상 안정제 20 내지 35 중량부와 실리카 분말 65 내지 8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외관 특성이 가장 양호하여 유화 흡착제 분말의 적합 흡착능을 파악할 수 있었다. As shown in Table 3, as a result of checking the mixing ratio of the liquid stabilizer and the emulsified adsorbent powder,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optimal mixing ratio for the preparation of the encapsulated stabilizer sample, and 20 to 30 parts by weight of the liquid stabilizer and 70 to 80 parts by weight of the silica powder were mixed. Or a mixture of 20 to 35 parts by weight of a liquid stabilizer and 65 to 80 parts by weight of silica powder had the best appearance characteristics, so it was possible to grasp the suitable adsorption capacity of the emulsified adsorbent powder.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서, 개질 실리카 분말은 친수성을 나타내는 기본 실리카 분말 입자에 비해 표면에 기공이 다수 형성되어 액상 안정제를 흡수할 수 있는 표면적이 증가하였고, 양친매성 성분이 표면에 고정형성되어 소수성을 나타내는 액상 안정제에 대한 흡수량이 크게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 외관 및 캡슐화 성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Through the above results, the modified silica powder has a large number of pores on the surface compared to the basic silica powder particles showing hydrophilicity, so that the surface area that can absorb the liquid stabilizer is increased, and the amphiphilic component is fixed on the surface to make hydrophobicity. It was confirmed that the absorption amount for the liquid stabilize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accordingly, it was confirmed that the appearance and encapsulation performance were improved.

(4) 하이브리드 타입 PVC용 복합 안정제의 물성 평가(4) Evaluation of properties of composite stabilizers for hybrid type PVC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으로 봉입 안정제 시료 4 및 분말 안정제를 혼합하여 하이브리드 타입 PVC용 복합 안정제 시료 1 내지 4를 제조하였으며, 제조한 하이브리드 타입 PVC용 복합 안정제의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봉입 안정제는 액상안정제 20 중량부 및 유화 흡착제 분말 8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다.Composite stabilizer samples 1 to 4 for hybrid-type PVC were prepared by mixing the encapsulation stabilizer sample 4 and the powder stabilizer with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4 below,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epared hybrid-type PVC composite stabilizer were evaluat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able 5 shows. The encapsulation stabilizer was prepared by mixing 20 parts by weight of the liquid stabilizer and 80 parts by weight of the emulsified adsorbent powder.

또한, 봉입 안정제 시료 7 및 분말 안정제를 혼합하여 하이브리드 타입 PVC용 복합 안정제 시료 5 내지 7을 제조하였으며, 제조한 하이브리드 타입 PVC용 복합 안정제의 물성을 평가하였다. In addition, by mixing the encapsulated stabilizer sample 7 and the powder stabilizer, composite stabilizer samples 5 to 7 for hybrid-type PVC were prepared,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epared composite stabilizer for hybrid-type PVC were evaluated.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1) 열안정성1) Thermal stability

제조한 PVC용 복합 안정제 시료의 물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열안정성, 외관은 제조한 PVC용 복합 안정제를 PVC 수지와 혼합하여 제조한 시편을 이용해 test mill 및 오븐에서 평가하였다(단, 하기 표 5에서, NA는 미적용, ◎는 매우 우수, ○는 우수, △는 보통, X는 열세를 나타내는 것임).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epared PVC composite stabilizer sample were evaluat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5 below. Thermal stability and appearance were evaluated in a test mill and oven using a specimen prepared by mixing the prepared PVC composite stabilizer with PVC resin (however, in Table 5 below, NA is not applied, ◎ is very good, ○ is excellent, △ indicates normal, X indicates inferior).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한 복합 안정제 시료를 이용해 제조한 PVC 제품의 열안정성은 봉입 안정제 20 중량부 및 분말 안정제 80 중량부를 혼합해 제조한 시료 2가 가장 우수하고, 시료 1 및 3의 경우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As shown in Table 5,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PVC product prepared using the prepared composite stabilizer sample is the best in Sample 2 prepared by mixing 20 parts by weight of the encapsulation stabilizer and 80 parts by weight of the powder stabilizer, and in the case of Samples 1 and 3 was judged to be good.

복합 안정제 시료의 외관을 평가한 결과, 봉입 안정제 시료 4를 사용하는 경우, 혼합 비율이 봉입 안정제 20 내지 30 중량부 및 분말 안정제 70 내지 80 중량부인 경우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appearance of the composite stabilizer sample, it was confirmed that when using the sealed stabilizer sample 4, the mixing ratio was 20 to 30 parts by weight of the sealed stabilizer and 70 to 80 parts by weight of the powder stabilizer.

제조한 복합 안정제 시료를 이용해 제조한 PVC 제품의 열안정성과 외관은 봉입안정제 시료 8을 이용해 제조한 복합 안정제 6을 이용한 경우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The thermal stability and appearance of the PVC product manufactured using the prepared composite stabilizer sample was confirmed to be the best when the composite stabilizer 6 prepared using the encapsulated stabilizer sample 8 was used.

<실험예 3><Experimental Example 3>

(1) 총휘발성유기화합물 함량 평가(1)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 content evaluation

복합 안정제 시료 1 내지 7을 이용해 제조한 PVC 제품에서 방출되는 총휘발성유기화합물(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TVOCs)의 방출량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6에 나타내었다. TVOCs는 친환경 건축자재(SPS-KACA008-138)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수행하였으며, PVC용 복합 안정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PVC 시편(크기 : 165 × 165 mm)을 25 ℃에서 7일간 밀폐된 공간에서 방치하며 방출되는 TVOC를 포집하여 GC 분석장비로 분석하는 챔버 방법으로 수행하였고, 단위는 1m2에서 1시간당 방출되는 mg TVOC의 량(mg/m2h)으로 나타내었다.The amount of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TVOCs) emitted from PVC products manufactured using complex stabilizer samples 1 to 7 was evaluat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6 below. TVOC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test method for eco-friendly building materials (SPS-KACA008-138), and PVC specimens (size: 165 × 165 mm) prepared by adding a composite stabilizer for PVC were left in an enclosed space at 25 °C for 7 days. The chamber method was used to collect the released TVOC and analyze it with GC analysis equipment, and the unit was expressed as the amount of mg TVOC released per hour at 1 m 2 (mg/m 2 h).

단, PVC 제품은 PVC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조한 복합 안정제 시료 10 중량부, 메타크릴산 메틸 에스테르 1.5 중량부,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 7 중량부,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2 중량부,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혼합물(중량비 1:2) 5 중량부, 탄산칼슘 10 중량부, 자외선차단제 2 중량부 및 이산화티탄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 PVC 조성물을 이용해 사출 성형방법으로 성형하여 제조하였다.However, for PVC products, 10 parts by weight of a composite stabilizer sample prepare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PVC resin, 1.5 parts by weight of methyl methacrylate, 7 parts by weight of chlorosulfonated polyethylene, 2 parts by weight of stearyl stearate, butyl methacrylate And a PVC composition prepared by mixing 5 parts by weight of a methyl methacrylate mixture (weight ratio 1:2), 10 parts by weight of calcium carbonate, 2 parts by weight of a sunscreen, and 5 parts by weight of titanium dioxide was molded by injection molding.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PVC용 복합 안정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PVC 시편의 총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방출량을 평가한 결과 복합 안정제 시료 4를 제외하면 모두 0.01 mg/m2h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와 같은 방출량은 벽지의 총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방출량이 환경마크 인증기준(20 mg/m2h 미만), 실내용 바닥장식재 인증기준(0.4 mg/m2h 미만)에 적합하여 친환경적인 PVC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shown in Table 6,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release amount of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the PVC specimen prepared by adding the composite stabilizer for PVC, it was confirmed that all but less than 0.01 mg/m 2 h of the composite stabilizer sample 4 were As for the emission amount, the emission of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from the wallpaper meets the environmental mark certification standards (less than 20 mg/m 2 h) and indoor flooring materials certification standards (less than 0.4 mg/m 2 h), so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eco-friendly PVC products. I was able to confirm that it was possible.

특히, 개질 실리카 분말을 도입한 시료 5 내지 7로 제조한 PVC 제품 시편의 경우 액상 안정제를 시료 1 내지 4에 비해 과량 포함하나 총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방출량이 함량에 비해 낮아 친환경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PVC product specimens prepared with samples 5 to 7 in which the modified silica powder was introduced, the liquid stabilizer was included in excess compared to samples 1 to 4, but the emission amount of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was low compared to the content, so eco-friendliness could be improved. was judged to be

(2) 페놀 함량 평가(2) Phenol content evaluation

복합 안정제 시료 1 내지 7을 이용해 제조한 PVC 제품에 함유된 페놀(phenol)의 함량(단위 : ppm)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상기 표 6에 나타내었다.The content (unit: ppm) of phenol contained in PVC products prepared using the composite stabilizer samples 1 to 7 was evaluat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6 above.

페놀의 함량 평가는 GC-MSD 분석 방법에 의거하여 PVC용 복합 안정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PVC 시편(크기 : 165 × 165 mm)을 25 ℃에서 7일간 밀폐된 공간에서 방치하며 방출되는 페놀을 포집하여 GC 분석장비로 분석하는 챔버 방법으로 수행하였고, 단위는 1m2에서 1시간당 방출되는 mg TVOC의 량(mg/m2h)으로 나타내었다.To evaluate the phenol content, based on the GC-MSD analysis method, a PVC specimen (size: 165 × 165 mm) prepared by adding a composite stabilizer for PVC was left in a closed space at 25°C for 7 days, and released phenol was collected. The chamber method was analyzed by GC analysis equipment, and the unit was expressed as the amount of mg TVOC released per hour at 1 m 2 (mg/m 2 h).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PVC용 복합 안정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PVC 시편의 페놀 함량을 평가한 결과 모두 페놀 성분이 검출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shown in Table 6,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phenol content of the PVC specimens prepared by adding the composite stabilizer for PVC, it was confirmed that all phenol components were not detected.

(3) 포름알데히드 함량 평가(3) Formaldehyde content evaluation

복합 안정제 시료 1 내지 7을 이용해 제조한 PVC 제품에 함유된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HCHO)의 함량(단위 : ppm)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상기 표 6에 나타내었다.The content (unit: ppm) of formaldehyde (HCHO) contained in PVC products prepared using the complex stabilizer samples 1 to 7 was evaluat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6 above.

포름알데히드의 함량 평가는 GC-MSD 분석 방법에 의거하여 PVC용 복합 안정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PVC 시편(크기 : 165 × 165 mm)을 25 ℃에서 7일간 밀폐된 공간에서 방치하며 방출되는 포름알데히드를 포집하여 GC 분석장비로 분석하는 챔버 방법으로 수행하였고, 단위는 1m2에서 1시간당 방출되는 mg TVOC의 량(mg/m2h)으로 나타내었다.To evaluate the formaldehyde content, the PVC specimen (size: 165 × 165 mm) prepared by adding a composite stabilizer for PVC was left in a closed space at 25 °C for 7 days according to the GC-MSD analysis method, and the formaldehyde released It was carried out by the chamber method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with GC analysis equipment, and the unit was expressed as the amount of mg TVOC released per hour at 1 m 2 (mg/m 2 h).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PVC용 복합 안정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PVC 시편의 포름알데히드놀 함량을 평가한 결과 모두 포름알데히드 성분이 검출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shown in Table 6,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formaldehydenol content of the PVC specimens prepared by adding the composite stabilizer for PVC, it was confirmed that no formaldehyde component was detected.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and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use each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a way that is combined with each other.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but as exemplar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In addition, claims that are not explicitly cited in the claims may be combined to form an embodiment, or may be included as new claims by amendment after filing.

Claims (8)

(a) 액상 안정제 및 다공성 세라믹 분말을 포함하는 유화 흡착제를 혼합하는 단계;
(b) 상기 액상 안정제를 상기 유화 흡착제에 흡착시켜 봉입 안정제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봉입 안정제 10 내지 40 중량부 및 분말 안정제 60 내지 90 중량부를 혼합하여 PVC용 복합 안정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타입 PVC용 복합 안정제의 제조방법.
(a) mixing an emulsified adsorbent comprising a liquid stabilizer and a porous ceramic powder;
(b) adsorbing the liquid stabilizer to the emulsion adsorbent to prepare an encapsulated stabilizer; and
(c) mixing 10 to 40 parts by weight of the encapsulation stabilizer and 60 to 90 parts by weight of the powder stabilizer to prepare a composite stabilizer for PV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에서는, 압축 공기를 이용해 액적을 토출하는 액적 토출 장치에 상기 액상 안정제를 공급하고, 상기 액상 안정제 액적을 상기 유화 흡착제에 토출하여 상기 액상 안정제 및 유화 흡착제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타입 PVC용 복합 안정제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a), the liquid stabilizer is supplied to a droplet discharge device that discharges droplets using compressed air, and the liquid stabilizer droplets are discharged to the emulsion adsorbent to mix the liquid stabilizer and the emulsion adsorbent.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stabilizer for hybrid type PV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에서는, 상기 액상 안정제 15 내지 35 중량부 및 상기 유화 흡착제 65 내지 85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타입 PVC용 복합 안정제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a), 15 to 35 parts by weight of the liquid stabilizer and 65 to 85 parts by weight of the emulsion adsorbent are mix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세라믹 분말은, 실리카,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제올라이트, 일라이트, 규조토, 탈사이트 및 탈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타입 PVC용 복합 안정제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porous ceramic powder, silica, aluminosilicate, zeolite, illite, diatomaceous earth, a method for producing a hybrid type PVC composite stabiliz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alcite and tal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세라믹 분말은 개질 실리카 분말을 포함하며,
상기 개질 실리카 분말은,
(1) 실리카 분말 30 내지 70 중량부를 물 100 중량부와 혼합하여 현탁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현탁액을 전기분해하여 실리카 분말을 전처리하는 단계;
(3) 상기 단계(2)에서 전처리한 실리카 분말을 포함하는 현탁액에 표면개질제를 혼합하여 반응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열처리하여 개질 실리카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질 세라믹 분말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표면개질제는,
프로필 갈레이트(propyl gallate), 부틸 갈레이트(butyl gallate), 옥틸 갈레이트(octyl gallate), 헥실 레조르시놀(hexyl resorcinol) 및 펜타데실페놀(pentadecylphen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타입 PVC용 복합 안정제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porous ceramic powder comprises a modified silica powder,
The modified silica powder is
(1) mixing 30 to 70 parts by weight of silica powder with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to prepare a suspension;
(2) electrolyzing the suspension to pretreat silica powder;
(3) preparing a reaction mixture by mixing a surface modifier with the suspension containing the silica powder pretreated in step (2); and
(4) preparing a modified silica powder by heat-treating the reaction mixture;
The surface modifier,
Contain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opyl gallate, butyl gallate, octyl gallate, hexyl resorcinol and pentadecylphenol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stabilizer for hybrid type PVC,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안정제는 칼슘/아연계 액상 안정제, 바륨/아연계 액상 안정제, 인산계 액상 안정제, 에폭시 아연계 액상 안정제, 메르캅타이드(Mercaptide)계 안정제, 말레이트(Maleate)계 안정제, 카복실레이트(Carboxylate)계 안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타입 PVC용 복합 안정제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liquid stabilizer is a calcium/zinc-based liquid stabilizer, a barium/zinc-based liquid stabilizer, a phosphoric acid-based liquid stabilizer, an epoxy zinc-based liquid stabilizer, a mercaptide-based stabilizer, a maleate-based stabilizer, and a carboxylate-based liquid stabilizer. )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stabilizer for hybrid type PVC,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abiliz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안정제는 칼슘/아연계 분말 안정제, 바륨/아연계 분말 안정제, 마그네슘/아연계 분말 안정제, 하이드로탈사이트, 칼슘/마그네슘/아연계 분말 안정제, 마그네슘알루미늄카보네이트계 분말 안정제 및 아연계 분말 안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타입 PVC용 복합 안정제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powder stabilizer is a calcium/zinc-based powder stabilizer, a barium/zinc-based powder stabilizer, a magnesium/zinc-based powder stabilizer, hydrotalcite, a calcium/magnesium/zinc-based powder stabilizer, a magnesium aluminum carbonate-based powder stabilizer, and a zinc-based powder stabilizer.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stabilizer for hybrid type PVC,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VC용 복합 안정제는 가소제, 가공조제, 착색 개선제, 산화방지제, 자외선안정제, 난연제, 활제, 대전방지제, 발포제, 충전제, 항균제, 착색제, 무적제, 핵제, 블로킹방지제 및 슬립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타입 PVC용 복합 안정제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composite stabilizer for PVC is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lasticizers, processing aids, color improvers, antioxidants, UV stabilizers, flame retardants, lubricants, antistatic agents, foaming agents, fillers, antibacterial agents, colorants, anti-fouling agents, nucleating agents, anti-blocking agents and slip agents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stabilizer for hybrid-type PVC,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more than one kind of additive.
KR1020200178034A 2020-12-18 2020-12-18 Method for manufacturing hybrid type PVC stabilizer including liquid stabilizer and powder stabilizer KR1024739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034A KR102473992B1 (en) 2020-12-18 2020-12-18 Method for manufacturing hybrid type PVC stabilizer including liquid stabilizer and powder stabiliz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034A KR102473992B1 (en) 2020-12-18 2020-12-18 Method for manufacturing hybrid type PVC stabilizer including liquid stabilizer and powder stabiliz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715A true KR20220087715A (en) 2022-06-27
KR102473992B1 KR102473992B1 (en) 2022-12-05

Family

ID=82247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034A KR102473992B1 (en) 2020-12-18 2020-12-18 Method for manufacturing hybrid type PVC stabilizer including liquid stabilizer and powder stabiliz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3992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0282A (en) * 1993-01-22 1994-08-09 Okamoto Ind Inc Agricultural vinyl film
KR20090127199A (en) 2008-05-28 2009-12-10 신원화학 주식회사 Stibilizer and pvc composition including the stibilizer
KR100974995B1 (en) 2010-03-04 2010-08-09 류동균 Ecofriendly pvc composition,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aterial made from the same
KR20150042159A (en) * 2012-07-17 2015-04-20 이탈마치 케미칼스 에스피에이 Pvc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KR20170079394A (en) * 2015-12-30 2017-07-10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manufacturing porous composite ceramics and porous composite ceramics manufactured by the same
KR101930708B1 (en) * 2015-01-28 2018-12-20 (주)엘지하우시스 Transparent film for floor material,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floor material comprising the same
KR20190052392A (en) * 2017-11-08 2019-05-1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Rapid Dye Adsorpting based on Inertial Impacting of Aerosol Droplets and Method for Fabricating of Dye Sensitized Solar Cells Using the Same
KR102152066B1 (en) 2019-03-04 2020-09-04 프로켐 주식회사 Hybrid type PVC stabilizer comprising liquid and powder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0282A (en) * 1993-01-22 1994-08-09 Okamoto Ind Inc Agricultural vinyl film
KR20090127199A (en) 2008-05-28 2009-12-10 신원화학 주식회사 Stibilizer and pvc composition including the stibilizer
KR100974995B1 (en) 2010-03-04 2010-08-09 류동균 Ecofriendly pvc composition,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aterial made from the same
KR20150042159A (en) * 2012-07-17 2015-04-20 이탈마치 케미칼스 에스피에이 Pvc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KR101930708B1 (en) * 2015-01-28 2018-12-20 (주)엘지하우시스 Transparent film for floor material,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floor material comprising the same
KR20170079394A (en) * 2015-12-30 2017-07-10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manufacturing porous composite ceramics and porous composite ceramics manufactured by the same
KR20190052392A (en) * 2017-11-08 2019-05-1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Rapid Dye Adsorpting based on Inertial Impacting of Aerosol Droplets and Method for Fabricating of Dye Sensitized Solar Cells Using the Same
KR102152066B1 (en) 2019-03-04 2020-09-04 프로켐 주식회사 Hybrid type PVC stabilizer comprising liquid and pow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3992B1 (en) 202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20875B2 (en)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vinyl chloride resin molded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laminate
JP5803921B2 (en)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for powder molding, vinyl chloride resin molded body and laminate
JP6614132B2 (en)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for powder molding, vinyl chloride resin molded body and laminate
JP2012197394A (en)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for powder molding, vinyl chloride resin molded article, and laminate
WO2015087522A1 (en)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vinyl chloride resin molded article, and laminate
JP6471744B2 (en)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vinyl chloride resin molded body and laminate
WO2017170220A1 (en)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vinyl chloride resin molded article, and laminate
EP3214127B1 (en) Powder moldable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for real-stitched surface ski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vinyl chloride resin molded product for real-stitched surface ski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laminate
JP6724787B2 (en)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for powder molding,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vinyl chloride resin molding,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laminate
KR102152066B1 (en) Hybrid type PVC stabilizer comprising liquid and powder
JP2018035304A (en)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vinyl chloride resin molding, and laminate
JP6708205B2 (en)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for powder molding, vinyl chloride resin molding, and laminate
JP6468281B2 (en)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vinyl chloride resin molded body and laminate
KR102473992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ybrid type PVC stabilizer including liquid stabilizer and powder stabilizer
WO2016139959A1 (en)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for powder molding, vinyl chloride resin molded body and laminate
JP5263545B2 (en)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for powder molding, vinyl chloride resin molded body and laminate
WO2017170037A1 (en)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vinyl chloride resin molded article, and laminate
JP6708201B2 (en)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for powder molding, vinyl chloride resin molding and laminate
EP3048135B1 (en)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for powder molding, and vinyl chloride resin molded body and laminate
JP5354203B2 (en)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for powder molding, vinyl chloride resin molded body and laminate
JPWO2018061859A1 (en)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vinyl chloride resin molded article, and lamin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