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7544A - 부분 상호성을 갖는 유형 ii csi 포트 선택 코드북 향상 - Google Patents

부분 상호성을 갖는 유형 ii csi 포트 선택 코드북 향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7544A
KR20220087544A KR1020227017676A KR20227017676A KR20220087544A KR 20220087544 A KR20220087544 A KR 20220087544A KR 1020227017676 A KR1020227017676 A KR 1020227017676A KR 20227017676 A KR20227017676 A KR 20227017676A KR 20220087544 A KR20220087544 A KR 20220087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si
ports
base station
por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7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춘하이 야오
하이통 순
웨이동 양
위수 장
웨이 정
다웨이 장
유철 김
홍 허
춘수안 여
오그헤네코메 오테리
가이스 엔. 하타브
이스마엘 구티에레즈 곤잘레즈
지에 쿠이
양 탕
영-선 황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ublication of KR20220087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5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17Feedback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Parameters other than those covered in groups H04B7/0623 - H04B7/0634, e.g. channel matrix rank or transmit mode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04B7/0639Using selective indices, e.g. of a codebook, e.g. pre-distortion matrix index [PMI] or for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기지국 및 무선 통신(UE)은 기지국과 UE 사이의 업링크 경로와 다운링크 경로 사이의 부분 상호성에 적어도 기초하여 유형 II CSI-RS 포트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은 업링크 송신들 동안 수행된 측정들에 기초하여 기지국과 UE 사이의 우세 신호 경로들을 식별할 수 있고, 단일 측정 자원 또는 다수의 측정 자원들을 포함할 수 있는 CSI 측정 및 보고 구성을 나타내는 대응하는 정보를 UE에 송신할 수 있다. 각각의 측정 자원은 다중-포트 CSI-RS 포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UE는, 다수의 측정 자원들이 구성될 때, 측정 자원의 선택을 기지국에 표시할 수 있고, 또한 표시된 단일 측정 자원 또는 다수의 측정 자원들에 포함된 CSI-RS 포트들의 서브세트의 계층 독립적 또는 계층 공통 선택을 보고할 수 있다. 추가적인 향상들은 주파수 도메인 압축 향상 및 동적 코드북 파라미터 재구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부분 상호성을 갖는 유형 II CSI 포트 선택 코드북 향상
본 출원은 무선 통신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셀룰러 통신들 동안, 예를 들어, 5G-NR 통신들 동안 채널 상태 정보(CSI) 포트 선택 코드북 향상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스마트폰들 및 태블릿 컴퓨터들과 같은 무선 디바이스들은 점점 더 정교해졌다. 많은 모바일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들 또는 UE들)은, 이제, 전화 통화들을 지원하는 것에 부가하여, 인터넷, 이메일, 텍스트 메시징,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사용한 내비게이션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고, 이러한 기능들을 이용하는 정교한 애플리케이션들을 동작시킬 수 있다. 부가적으로, 다수의 상이한 무선 통신 기술들 및 표준들이 존재한다. 무선 통신 표준들의 일부 예들은 GSM, UMTS(WCDMA, TDS-CDMA), LTE, LTE 어드밴스드(LTE-A), HSPA, 3GPP2 CDMA2000(예를 들어 1xRTT, 1xEV-DO, HRPD, eHRPD), IEEE 802.11(WLAN 또는 Wi-Fi), IEEE 802.16(WiMAX), BLUETOOTHTM 등을 포함한다. 현재 국제 모바일 통신-어드밴스드(IMT-Advanced) 표준들을 넘어서는 다음 원거리 통신 표준들은 5 세대 모바일 네트워크 또는 5 세대 무선 시스템이라고 불리는데, 이는 3GPP NR(그렇지 않으면, 5G 신규 무선(New Radio)에 대해 5G-NR로 알려져 있고, 또한 단순히 NR로 지칭됨)로 지칭된다. NR은, 현재 LTE 표준들보다 더 높은 밀도의 모바일 브로드밴드 사용자들에 대한 더 높은 용량을 제안하여 디바이스-대-디바이스, 초고신뢰성, 및 대량의 기계 통신들을 또한 지원할 뿐만 아니라, 더 낮은 레이턴시 및 더 낮은 배터리 소비를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셀룰러 통신 기술들과 같은 무선 통신 기술들은 무선 디바이스들에 모바일 통신 능력들을 제공하도록 실질적으로 설계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에 도입되는 계속 증가하는 수의 특성들 및 기능은 무선 통신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둘 모두에서 개선에 대한 지속적인 필요성을 창출한다. 특히, 송신된 및 수신된 신호들의 정확성을 보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모바일 전화기들 또는 스마트폰들, 휴대용 게이밍 디바이스들, 운송 차량들(예를 들어, 자동차들, 버스들, 기차들, 트럭들, 오토바이들 등)에 하우징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그들에 의해 운반되는 통신 시스템들/디바이스들, 랩톱들, 웨어러블 디바이스들, PDA들, 태블릿들, 휴대용 인터넷 디바이스들, 음악 플레이어들,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다른 핸드헬드 디바이스들 등일 수 있는 UE들은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력 공급, 예를 들어 배터리에 의해 전력 공급되고, 다양한 무선 통신 표준들(LTE, LTE-A, 5G-NR, Wi-Fi, BLUETOOTH™ 등)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다수의 무선 액세스 기술(RAT)들의 지원을 가능하게 하는 다수의 무선 인터페이스들을 가질 수 있다. 무선 통신 자원들의 효율적인 사용을 달성하고 그에 의해 시스템 및 디바이스 동작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계속되는 노력이 있다.
많은 무선 통신 표준들은 동기화, 측정들, 등화, 제어 등과 같은 다양한 목적들을 위해 알려진 신호들(예를 들어, 파일럿 또는 기준 신호들)의 사용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셀룰러 무선 통신들에서, 기준 신호들(간략히 말해서, RS)은 물리 층에서만 존재하는 특수 신호를 표현하며, 임의의 특정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다운링크 전력을 위한 기준점을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UE)가 다운링크 전력(예를 들어, LTE에 대해서는 eNB 및 NR에 대해서는 gNB와 같은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전력)을 결정하려고 시도할 때, 그것은 기준 신호의 전력을 측정하고 이를 사용하여 다운링크 셀 전력을 결정한다. 기준 신호는 또한 수신기가 수신된 신호들을 복조하는 것을 돕는다. 기준 신호들이 송신기 및 수신기 둘 모두에 알려진 데이터를 포함하므로, 수신기는 통신 채널의 다양한 특성들을 결정/식별하기 위해 기준 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LTE 및 5G-NR 통신들과 같은 많은 하이엔드 무선 통신들의 중요한 부분인 '채널 추정'으로 지칭된다. 무선 통신들에서의 통신 링크의 알려진 채널 속성들은, 예를 들어, 산란, 페이딩, 및 거리에 따른 전력 감쇠의 조합된 효과들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하는 채널 상태 정보(CSI)로 지칭된다. CSI는 현재의 채널 조건들에 대한 송신들을 적응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는 다중-안테나 시스템들에서 높은 데이터 속도들을 갖는 신뢰할 수 있는 통신들을 달성하는 데 중요하다.
종종 다중-안테나 시스템들은 개선된 통신들을 위해 프리코딩(precoding)을 사용한다. 프리코딩은 다중-안테나 무선 통신들을 위해 다중-스트림(또는 다층) 송신들을 지원하기 위한 빔형성의 확장이며, 프리코딩 행렬에 따라 각각의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정함으로써 다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송신된 개개의 신호들 사이의 신호 속성들의 차이들을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하나의 의미에서, 프리코딩은 층들의 복조된 성능을 등화시키기 위해 (폐쇄 루프 동작에서) 송신 전에 신호들을 교차 커플링시키는 프로세스로 고려될 수 있다. 프리코딩 행렬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프리코딩 행렬 후보들을 정의하는 코드북(codebook)으로부터 선택되며, 프리코딩 행렬 후보는 전형적으로, 현재 시스템 구성, 통신 환경, 및/또는 수신기, 예를 들어 송신된 신호(들)를 수신하는 모바일 디바이스(UE)로부터의 피드백 정보와 같은 다수의 상이한 인자들 중 임의의 것에 기초하여 원하는 성능 레벨에 따라 선택된다.
피드백 정보는 송신기(기지국일 수 있음) 및 수신기(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UE일 수 있음) 둘 모두에서 동일한 코드북을 정의하고, 선호되는 프리코딩 행렬의 표시로서 수신기로부터의 피드백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프리코딩 행렬 후보를 선택하는 데 사용된다. 그러한 경우들에서, 피드백 정보는 수신기에서 수신된 신호들의 속성들에 기초할 수 있는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PMI)로 지칭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수신기는 수신된 신호가 비교적 낮은 신호 대 잡음비(SNR)를 갖는다고 결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신호 대 잡음비(SNR)를 증가시키기 위해 현재 프리코딩 행렬을 새로운 프리코딩 행렬로 대체할 PMI를 송신할 수 있다.
프리코딩 행렬들은 가정된 안테나 구성들의 특정 세트에 기초한다. 이러한 안테나 구성들은 교차 극성 안테나 요소들의 행들 및 열들의 수를 정의함으로써 특정된다. 예를 들어, 더 작은 안테나는 총 4개의 송수신기들을 지원하는 교차 극성 안테나 요소들의 1개의 행 및 2개의 열들을 가질 수 있다. 더 큰 안테나는 총 32개의 송수신기들을 지원하는 교차 극성 안테나 요소들의 4개의 행들 및 4개의 열들을 가질 수 있다. 안테나 구성들의 세트는 라이브 네트워크 배치들이 다른 구성들을 사용하는 것을 제한하지 않는다. 최대 안테나 구성은 특정된 총 수(예를 들어, 32개)의 송수신기들을 지원할 수 있고, 따라서 특정된 총 수의 CSI 기준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다. 실제 네트워크 배치는 더 많은 송수신기들을 갖는 활성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지만, CSI 보고의 목적들을 위해, 그것은 자신의 송수신기들의 지정된 총 수까지 사용하여 CSI 기준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다.
PMI 보고를 위한 4개의 솔루션들, 즉, 유형 I 단일 패널, 유형 I 멀티 패널, 유형 II 단일 패널, 및 유형 II 포트 선택이 지금까지 정의되었다. 일반적으로, 유형 II 솔루션들은 다중-사용자 MIMO의 목적들을 위해 더 상세한 CSI를 제공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이들은 UE 당 최대 2개의 계층들에 대응하는 최대 2개의 랭크를 지원한다. 셀당 계층들의 최대 수는 다수의 UE들이 공통 자원 블록(RB) 할당을 공유하면서 동시에 2x2 MIMO를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더 높을 가능성이 있다. 유형 II 보고들은 빔들의 세트를 선택하고 이어서, 송신의 각각의 계층에 대한 빔들의 가중된 조합을 생성하기 위해 상대적인 진폭들 및 위상들을 특정하는 것에 기초한다. 유형 II 포트 선택 솔루션은 CSI-RS 송신들의 빔형성을 허용하기 위해 일부 어드밴스 정보를 갖는 기지국에 의존한다. 이러한 어드밴스 정보는, 채널 상호성이 이용가능한 경우, 업링크(UL) 측정들로부터 유래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그것은 빔 관리 보고들로부터 유래할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PMI 보고 솔루션(때때로, PMI 보고 솔루션들의 조합이 사용될 때 "하이브리드 솔루션"으로 지칭됨)으로부터의 광대역 보고들을 사용할 수 있다. UE에 의한 더 효율적이고 간소화된 보고를 위해, UL과 DL 송신들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심지어 부분적인 상호성을 이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종래 기술과 관련된 다른 대응하는 사안들은 그러한 종래 기술을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바와 같은 개시된 실시예들과 비교한 후에는 당업자에게 자명해질 것이다.
특히, 다양한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에서, 예를 들어 5G-NR 통신들 동안 업링크와 다운링크 송신들 사이의 부분 상호성을 이용하는 개선된 피드백을 갖는 유형 II CSI 포트 선택 코드북을 사용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들 및 절차들의 실시예들이 본원에서 제시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 내에서 서로 통신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UE)들 및/또는 기지국들 및 액세스 포인트(AP)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대한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제시된다.
3GPP Rel-15 규격에서, 빔형성된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 reference signal)는 유형 II 포트 선택을 위해 DL(다운링크) 및 UL(업링크) 채널 상호성을 이용한다. "X" CSI-RS 포트들의 총 수, 구체적으로는 수평 편광(HPol)을 위한 X/2 포트들 및 수직 편광(VPol)을 위한 X/2 포트들이 선택될 수 있다. CSI-RS 포트들의 수 "L"은 X/2 CSI-RS 포트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제1 CSI-RS 포트는 매 "d" 포트들마다 선택된다. 이어서 연속적인 L개의 포트들이 랩어라운드로 선택될 수 있다. 3GPP Rel-16 규격은 특정 특징들을 추가하면서 Rel-15와 동일한 포트 선택 설계를 개시한다. 예를 들어, 서브대역 PMI(precoding matrix index)가 구성될 때, 주파수 도메인 DFT 행렬은 선형 조합 계수를 압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유형 II 포트 선택 코드북의 경우, gNB는 채널 상호성에 기초하여 CSI-RS를 프리코딩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예를 들어, DL 채널은 UL 채널에 기초하여 추정될 수 있다. FDD(frequency division duplex)의 경우, 특히 듀플렉싱 거리가 클 때 정확한 채널 상호성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FDD의 경우에도, 부분 상호성이 여전히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착 또는 출발 각도는 DL과 UL 캐리어 사이에서 유사할 수 있고, 채널 지연 프로파일은 DL과 UL 캐리어 사이에서 유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유형 II CSI 포트 선택 코드북은 부분적 채널 상호성을 이용하고, 계층 독립적 CSI-RS 포트 선택, 계층 공통 CSI-RS 포트 선택, 주파수 도메인 압축 향상, 및/또는 동적 코드북 파라미터 재구성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내용에 따라, UE에 의해 기지국에(예를 들어, gNB에) 송신된 업링크(UL) 사운딩 기준 신호(SRS)에 기초하여, 기지국은 UL 채널을 추정하고, 선호되는 빔(들)과 같은 다운링크(DL) 채널 속성들을 도출하기 위해 채널의 특정 상호성을 가정할 수 있다. 이어서, 기지국은 선호되는 빔(들)과 함께 CSI-RS 프리코딩을 송신할 수 있다. CSI-RS는 다수의 CSI-RS 포트들을 가질 수 있고, 각각의 포트는 상이한 빔을 사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될 수 있는데, 즉, 각각의 CSI-RS 포트는 CSI-RS 포트가 송신되는 상이한 빔에 대응할 수 있다. UE는 CSI 보고를 통해 선호되는 CSI-RS 포트(들)를 기지국에 나타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암시적 방식으로 선호되는 빔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는, 기지국으로부터 단일 측정 자원 또는 다수의 측정 자원들을 포함할 수 있는 채널 상태 정보(CSI) 측정 및 보고 구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각각의 측정 자원은 다중-포트 CSI-RS 포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UE는 다수의 측정 자원들이 구성될 때 측정 자원의 선택을 기지국에 나타낼 수 있고, 표시된 단일 측정 자원 또는 다수의 측정 자원들에 포함된 CSI-RS 포트들의 서브세트의 선택을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CSI-RS 포트들의 서브세트의 선택은 다층 송신의 각각의 계층에 대해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그것은 다층 송신의 각각의 계층에 대해 공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지국은 기지국과 디바이스 사이의 업링크 통신들을 사용하여 수행된 채널 추정들에 기초하여, 기지국과 디바이스 사이의 우세 신호 경로들을 식별할 수 있다. 기지국은 우세 신호 경로들에 대응하는 선호되는 CSI-RS 포트들을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고, CSI-RS 포트들은 우세 신호 경로들의 각각의 우세 신호 경로에 대해 기지국에 의해 독립적으로 식별된 대응하는 빔들을 통해 송신된다.
본 발명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주제 중 일부의 간략한 개요를 제공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따라서, 전술된 특징들은 단지 예시일 뿐이고 본 명세서에 기술된 주제의 범주 또는 사상을 어떤 방식으로든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주제의 다른 특징들, 양태들 및 이점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그리고 단순화된) 무선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2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예시적인 기지국을 예시한다.
도 3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UE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예시한다.
도 4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예시한다.
도 5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셀룰러 통신 회로부를 예시하는 예시적인 간소화된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형 II CSI 보고와 연관된 프리코딩 구조를 예시하는 예시적인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지국에 다시 보고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되는 보고 구조를 예시하는 예시적인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8은 유형 II CSI 보고에 대한, 압축된 조합 계수들을 갖는 코드북 구조를 예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을 도시한다.
도 9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계층 독립적 CSI-RS 포트 선택을 예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을 도시한다.
도 10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계층 공통 CSI-RS 포트 선택을 예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을 도시한다.
도 11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CSI-RS 포트 선택을 위한 주파수 도메인 압축을 예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을 도시한다.
도 12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완전 자유 표시를 사용하는 계층 공통 CSI-RS 포트 선택을 예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을 도시한다.
도 13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계층 공통 CSI-RS 포트 선택을 위한 안테나 그룹 선택을 예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을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특징들에 대해 다양한 수정들 및 대안적인 형태들이 가능하지만, 그들의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들에서 예로서 도시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그러나, 도면 및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 아니고, 반대로, 그 의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주제의 사상 및 범주 내에 있는 모든 수정물들, 등가물들, 및 대안물들을 커버하고자 하는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두문자어
다양한 두문자어들이 본 출원 전반에 걸쳐서 사용된다. 본 출원 전반에 걸쳐서 언급될 수 있는 가장 현저하게 사용되는 두문자어들의 정의들이 하기에 제공된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용어
다음은 본 출원에서 나올 수 있는 용어들의 해설이다:
메모리 매체 - 다양한 유형들의 비일시적 메모리 디바이스들 또는 저장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 용어 "메모리 매체"는, 설치 매체, 예를 들어, CD-ROM, 플로피 디스크, 또는 테이프 디바이스; DRAM, DDR RAM, SRAM, EDO RAM, 램버스(Rambus) RAM 등과 같은 컴퓨터 시스템 메모리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자기 매체, 예컨대, 하드 드라이브, 또는 광학 저장소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레지스터들, 또는 다른 유사한 유형들의 메모리 요소들 등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메모리 매체는 또한 다른 유형들의 메모리 또는 이들의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메모리 매체는 프로그램들이 실행되는 제1 컴퓨터 시스템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되는 상이한 제2 컴퓨터 시스템에 위치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제2 컴퓨터 시스템은 실행을 위해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제1 컴퓨터 시스템에 제공할 수 있다. 용어 "메모리 매체"는 상이한 위치들, 예컨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상이한 컴퓨터 시스템들에 상주할 수 있는 2개 이상의 메모리 매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매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들(예컨대, 컴퓨터 프로그램들로서 구현됨)을 저장할 수 있다.
반송 매체 -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메모리 매체뿐만 아니라, 버스, 네트워크와 같은 물리 송신 매체, 및/또는 전기, 전자기, 또는 디지털 신호들과 같은 신호들을 전달하는 다른 물리 송신 매체.
프로그래밍가능 하드웨어 요소 - 프로그래밍가능 상호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는 다수의 프로그래밍가능 기능 블록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디바이스들을 포함함. 예들은 FPGA(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들, PLD(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Programmable Logic Device))들, FPOA(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객체 어레이(Field Programmable Object Array))들, 및 CPLD(복합(Complex) PLD)들을 포함한다. 프로그래밍가능 기능 블록들은 그 범위가 미립형(fine grained)(조합 로직 또는 룩업 테이블들)으로부터 조립형(coarse grained)(산술 로직 유닛들 또는 프로세서 코어들)에까지 이를 수 있다. 프로그래밍가능 하드웨어 요소는 또한 "재구성가능 로직"으로 지칭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또는 컴퓨터) - 개인용 컴퓨터 시스템(PC), 메인프레임 컴퓨터 시스템(mainframe computer system),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네트워크 어플라이언스(network appliance), 인터넷 어플라이언스,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텔레비전 시스템, 그리드 컴퓨팅 시스템, 또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들의 조합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컴퓨팅 또는 프로세싱 시스템들 중 임의의 것. 일반적으로, 용어 "컴퓨터 시스템"은 메모리 매체로부터의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갖는 임의의 디바이스(또는 디바이스들의 조합)를 포괄하는 것으로 광범위하게 정의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UE)(또는 "UE 디바이스") - 무선 통신들을 수행하는 다양한 유형들의 컴퓨터 시스템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 그것은 또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로 지칭되며, 이들 중 대부분은 모바일 및/또는 휴대용일 수 있다. UE 디바이스들의 예들은 모바일 전화기들 또는 스마트폰들(예를 들어, iPhone™, Android™ 기반 폰들) 및 iPad™, 삼성 Galaxy™ 등과 같은 태블릿 컴퓨터들, 게이밍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소니 PlayStation™, 마이크로소프트 XBox™ 등), 휴대용 게이밍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Nintendo DS™, PlayStation Portable™, Gameboy Advance™, iPod™), 랩톱들,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Apple Watch™, Google Glass™), PDA들, 휴대용 인터넷 디바이스들, 음악 플레이어들,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다른 핸드헬드 디바이스들 등을 포함한다. 다양한 다른 유형의 디바이스들은, 그들이, 예를 들어 BLUETOOTH™ 등과 같은 단거리 무선 액세스 기술(SRAT)들을 통해서, Wi-Fi, 또는 셀룰러 및 Wi-Fi 통신 능력들 둘 모두 및/또는 다른 무선 통신 능력들을 포함한다면 이러한 카테고리 내에 속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어 "UE" 또는 "UE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임의의 전자, 컴퓨팅, 및/또는 원격통신 디바이스(또는 디바이스들의 조합)를 포괄하는 것으로 광범위하게 정의될 수 있고, 또한 휴대용/모바일일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 WLAN 통신들, SRAT 통신들, Wi-Fi 통신들 등을 사용하여 무선 통신들을 수행하는 다양한 유형들의 컴퓨터 시스템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무선 디바이스"는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UE 디바이스, 또는 고정 무선 클라이언트 또는 무선 기지국과 같은 고정 디바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AP) 또는 클라이언트 스테이션(UE)과 같은 802.11 시스템의 임의의 유형의 무선 스테이션, 또는 기지국 또는 셀룰러 전화기와 같은, 셀룰러 무선 액세스 기술(예를 들어, LTE, CDMA, GSM)에 따라 통신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임의의 유형의 무선 스테이션일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 - 통신을 수행하는 다양한 유형들의 컴퓨터 시스템들 또는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으로서, 여기서 통신은 유선일 수 있거나 또는 무선일 수 있음. 통신 디바이스는 휴대용(또는 모바일)일 수 있거나 특정 장소에 정지해 있거나 고정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통신 디바이스의 예이다. UE는 통신 디바이스의 다른 예이다.
기지국(BS) - 용어 "기지국"은 자신의 일반적 의미의 전체 범위를 포함하며, 적어도, 고정 위치에 설치되고 무선 전화 시스템 또는 라디오 시스템의 일부로서 통신에 이용되는 무선 통신국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 디바이스에서,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에서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요소들(예를 들어, 회로들) 또는 요소들의 조합들을 지칭한다. 프로세서들은, 예를 들어, 범용 프로세서들 및 연관 메모리, 개별 프로세서 코어들의 일부들 또는 그의 회로들, 전체 프로세서 코어들 또는 프로세싱 회로 코어들, 프로세싱 회로 어레이들 또는 프로세서 어레이들, ASIC(주문형 집적 회로)들과 같은 회로들,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와 같은 프로그래밍가능 하드웨어 요소들뿐만 아니라 위의 것들의 다양한 조합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 - 전송기(송신기)로부터 수신기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매체. 용어 "채널"의 특성들은 상이한 무선 프로토콜들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채널"은 이 용어가 참조로 사용된 디바이스의 유형의 표준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일부 표준들에서, 채널폭들은 (예컨대, 디바이스 능력, 대역 조건들 등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LTE는 1.4 ㎒ 내지 20 ㎒의 스케일러블(scalable) 채널 대역폭들을 지원할 수 있다. 반대로, WLAN 채널들은 22 ㎒ 폭일 수 있는 반면, 블루투스 채널들은 1 ㎒ 폭일 수 있다. 다른 프로토콜들과 표준들이 채널들의 상이한 정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일부 표준들은 다수의 유형들의 채널들, 예컨대,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를 위한 상이한 채널들 및/또는 데이터, 제어 정보 등과 같이 상이한 용도를 위한 상이한 채널들을 정의하고 사용할 수 있다.
대역 - 용어 "대역"은 자신의 일반적 의미의 전체 범위를 가지며,
채널들이 동일한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예비되는 스펙트럼(예를 들어, 무선 주파수 스펙트럼) 영역을 적어도 포함한다. 더욱이, "주파수 대역"은, 하위 주파수 및 상위 주파수에 의해 구분되는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임의의 간격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용어는 무선 대역 또는 일부 다른 스펙트럼의 간격을 지칭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신호는 주파수들의 범위를 점유할 수 있으며, 그 범위를 통해(또는 그곳에서) 신호가 반송된다. 그러한 주파수 범위는 또한 신호의 대역폭으로 지칭된다. 따라서, 대역폭은 주파수들의 연속적인 대역에서 상위 주파수와 하위 주파수 사이의 차이를 지칭한다. 주파수 대역은 하나의 통신 채널을 표현할 수 있거나, 또는 그것은 다수의 통신 채널들로 세분될 수 있다. 상이한 사용들에 대한 무선 주파수 범위들의 할당은 무선 스펙트럼 할당의 주요 함수이다.
Wi-Fi - 용어 "Wi-Fi"는 자신의 일반적인 의미의 전체 범위를 가지며, 적어도, 무선 LAN(WLAN) 액세스 포인트들에 의해 서비스되고 이들 액세스 포인트들을 통한 인터넷에의 연결성을 제공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RAT를 포함한다. 대부분의 최신 Wi-Fi 네트워크들(또는 WLAN 네트워크들)은 IEEE 802.11 표준들에 기초하고, 명칭 "Wi-Fi"로 판매된다. Wi-Fi(WLAN) 네트워크는 셀룰러 네트워크와는 상이하다.
자동으로 - 액션 또는 동작을 직접적으로 특정하거나 수행시키는 사용자 입력 없이 컴퓨터 시스템(예를 들어,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디바이스(예를 들어, 회로부, 프로그래밍가능 하드웨어 요소들, ASIC들 등)에 의해 수행되는 액션 또는 동작을 지칭함. 따라서, 용어 "자동으로"는 사용자가 동작을 직접적으로 수행시키는 입력을 제공하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수행되거나 특정되는 동작과 대비된다. 자동 절차는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입력에 의해 개시될 수 있지만, "자동으로" 수행되는 후속 액션들은 사용자에 의해 특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수행할 각각의 액션을 특정하는 "수동으로" 수행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각각의 필드를 선택하고 (예컨대, 정보를 타이핑하는 것, 체크 박스들을 선택하는 것, 무선통신장치 선택 등에 의해) 정보를 특정하는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전자 양식을 기입하는 것은, 컴퓨터 시스템이 사용자 액션들에 응답하여 그 양식을 업데이트해야 한다 하더라도, 그 양식을 수동으로 기입하는 것이다. 양식은 컴퓨터 시스템(예컨대, 컴퓨터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이 양식의 필드들을 분석하고 필드들에 대한 응답을 특정하는 어떠한 사용자 입력 없이도 그 양식에 기입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기입될 수 있다. 위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양식의 자동 기입을 호출할 수 있지만, 양식의 실제 기입에 참여하지는 않는다(예컨대, 사용자가 필드들에 대한 응답들을 수동으로 특정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것들은 자동으로 완성되고 있다). 본 명세서는 사용자가 취한 액션들에 응답하여 자동으로 수행되고 있는 동작들의 다양한 예들을 제공한다.
대략적으로 - 거의 올바른 또는 정확한 값을 지칭함. 예를 들어, "대략적으로"는 정확한(또는 원하는) 값의 1 내지 10 퍼센트 내에 있는 값을 지칭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임계 값(또는 허용오차)은 애플리케이션 의존적일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대략적으로"는 일부 지정된 또는 원하는 값의 0.1% 내에 있음을 의미할 수 있는 반면,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임계치는 예를 들어, 원하는 대로 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요구되는 대로, 2%, 3%, 5% 등일 수 있다.
동시적 - 태스크들, 프로세스들, 또는 프로그램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는 방식으로 수행되는 병행 실행 또는 수행을 지칭함. 예를 들어, 동시성은, 태스크들이 개개의 계산 요소들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병행하여 수행되는 "강한" 또는 엄격한 병행성을 사용하여, 또는 태스크들이 인터리빙 방식으로, 예컨대, 실행 스레드들의 시간 멀티플렉싱에 의해 수행되는 "약한 병행성"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스테이션(STA) - 본 명세서의 용어 "스테이션"은 무선으로, 예컨대 802.11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능력을 갖는 임의의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스테이션은 랩톱, 데스크톱 PC, PDA, 액세스 포인트 또는 Wi-Fi 폰 또는 UE와 유사한 임의의 유형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STA는 고정형, 모바일, 휴대용 또는 웨어러블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네트워킹 용어에서, 스테이션(STA)은 무선 통신 능력들을 갖는 임의의 디바이스를 광범위하게 포괄하며, 따라서 용어들 스테이션(STA), 무선 클라이언트(UE) 및 노드(BS)는 상호교환가능하게 흔히 사용된다.
~하도록 구성된(configured to) - 다양한 컴포넌트들이 태스크 또는 태스크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그러한 맥락에서, "~하도록 구성된"은 동작 동안에 태스크 또는 태스크들을 수행"하는 구조를 갖는"을 일반적으로 의미하는 광의의 설명이다. 이와 같이, 컴포넌트는 컴포넌트가 현재 태스크를 수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그 태스크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컨대, 전기 전도체들의 세트는 하나의 모듈과 다른 모듈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그 두 모듈들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맥락에서, "~하도록 구성된"은 동작 동안에 태스크 또는 태스크들을 수행"하는 회로부를 갖는"을 일반적으로 의미하는 구조의 광의의 설명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컴포넌트는 컴포넌트가 현재 온(on) 상태가 아닌 경우에도 태스크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도록 구성된"에 대응하는 구조를 형성하는 회로부는 하드웨어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스케줄링 - 무선 송신들과 같은 송신들의 스케줄링을 지칭한다. 셀룰러 무선 통신들에서, 신호 및 데이터 송신들은 송신들이 발생하는 특정 지속기간의 지정된 시간 단위들에 따라 조직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에서, 송신들은 무선 프레임들로 분할되며, 각각의 무선 프레임은 동일한(시간) 지속기간이다(예를 들어, 각각의 무선 프레임은 10 ms일 수 있음). LTE 내의 무선 프레임은 10 개의 서브프레임들로 추가로 분할될 수 있으며,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동일한 지속기간이고, 서브프레임들은 가장 작은(최소) 스케줄링 단위 또는 송신에 대해 지정된 시간 단위로 지정된다. 유사하게, 5G NR(또는 간략히 말해서, NR) 송신들에 대한 가장 작은(또는 최소) 스케줄링 단위는 슬롯으로 지칭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슬롯"은 NR 통신들에 대해 설명되는 무선 통신들에 대한 가장 작은(또는 최소) 스케줄링 시간 단위를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들에서, 그러한 스케줄링 시간 단위는 상이하게 명명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LTE에서는 "서브프레임" 등으로 명명될 수 있다.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태스크 또는 태스크들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될 수 있다. 그러한 설명은 "~하도록 구성된"이라는 문구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하나 이상의 태스크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컴포넌트를 언급하는 것은 해당 컴포넌트에 대해 35 U.S.C. § 112, 6항의 해석을 적용하지 않는 것으로 명백히 의도되어 있다.
도 1 및 도 2 -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들
도 1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그리고 단순화된) 무선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1의 시스템이 단지 가능한 시스템의 단지 일례이고, 실시예들은 원하는 대로 다양한 시스템들 중 임의의 것에서 구현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은, 총괄하여 기지국(들)(102) 또는 기지국(102)으로 또한 지칭되는 기지국들(102A 내지 102N)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102A)은 송신 매체를 통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들(106A, 106B 등 내지 106N)과 통신한다.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장비(UE)" 또는 UE 디바이스로 지칭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디바이스들(106A 내지 106N)은 UE들 또는 UE 디바이스들로 지칭되고, 또한 총괄하여 UE(들)(106) 또는 UE(106)로 지칭된다. UE 디바이스들 중 다양한 디바이스들은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적어도 부분 상호성에 기초하여 향상된 유형 II CSI 포트 선택 코드북을 사용할 수 있다.
기지국(102A)은 송수신기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또는 셀 사이트(cell site)일 수 있으며, UE들(106A 내지 106N)과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02A)은 또한 네트워크(100), 예를 들어 다양한 가능성들 중에서도, 셀룰러 서비스 제공자의 코어 네트워크, PSTN(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과 같은 원격통신 네트워크, 및/또는 인터넷, 중립 호스트 또는 다양한 CBRS(민간 브로드밴드 무선 서비스) 배치들과 통신하도록 설비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102A)은 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 그리고/또는 사용자 디바이스들과 네트워크(100)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기지국의 통신 영역(또는 커버리지 영역)은 "셀"로 지칭될 수 있다. "셀"은 또한 주어진 주파수에서 주어진 커버리지 영역에 대해 로직 아이덴티티(logical identity)를 지칭할 수 있음을 또한 유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독립적인 셀룰러 무선 커버리지 영역이 "셀"로 지칭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들에서, 기지국은 3 개의 셀들의 특정 합류 지점들에 위치될 수 있다. 기지국은, 이러한 균일 토폴로지에서, 셀들로 언급되는 3 개의 120도 빔폭 영역들을 서빙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 집성의 경우에서, 소형 셀들, 릴레이들 등이 각각 셀을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캐리어 집성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커버리지 영역들을, 그러나 상이한 개개의 주파수들로 서비스할 수 있는 1차 셀들 및 2차 셀들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임의의 수의 셀들을 서빙할 수 있고,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셀들은 함께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함께 위치되지 않을 수 있다(예를 들어, 원격 무선 헤드들). 본 명세서에서 또한 사용되는 바와 같이, UE들의 관점으로부터, 기지국은, 때때로, UE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통신이 관련되는 한, 네트워크를 표현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 통신하는 UE는 또한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UE로서 해석될 수 있고, 또한 네트워크 상에서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UE의 적어도 일부로 추가로 고려될 수 있다.
기지국(들)(102)과 사용자 디바이스들은 GSM, UMTS(WCDMA), LTE, LTE-어드밴스드(LTE-A), LAA/LTE-U, 5G-NR(간략히 말해서, NR), 3GPP2 CDMA2000(예를 들어 1xRTT, 1xEV-DO, HRPD, eHRPD), Wi-Fi, WiMAX 등과 같이 무선 통신 기술들 또는 원격통신 표준들로 또한 지칭되는 다양한 무선 액세스 기술(RAT)들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송신 매체를 통해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지국(102A)이 LTE의 맥락에서 구현되면, 그것은 대안적으로 'eNodeB' 또는 'eNB'로 지칭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기지국(102A)이 5G NR의 맥락에서 구현되면, 그것은 대안적으로 'gNodeB' 또는 'gNB'로 지칭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지국(102)은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적어도 부분 상호성에 기초하여 향상된 유형 II CSI 포트 선택 코드북을 사용하는 UE들과 통신할 수 있다. 주어진 애플리케이션 또는 특정 고려사항들에 의존하여, 편의상, 다양한 상이한 RAT들 중 일부는 전체 정의 특성에 따라 기능적으로 그룹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든 셀룰러 RAT들은 총괄하여 제1 (형태/유형의) RAT를 표현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는 반면, Wi-Fi 통신들은 제2 RAT를 표현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개별 셀룰러 RAT들은 상이한 RAT들로서 개별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들과 Wi-Fi 통신들 사이를 구별할 때, "제1 RAT"는 고려중인 모든 셀룰러 RAT들을 총괄하여 지칭할 수 있는 반면, "제2 RAT"는 Wi-Fi를 지칭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적용가능한 경우, 상이한 형태들의 Wi-Fi 통신들(예컨대, 2.4 ㎓ 초과 대 5 ㎓ 초과)은 상이한 RAT들에 대응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더욱이, 주어진 RAT(예를 들어, LTE 또는 NR)에 따라 수행되는 셀룰러 통신들은, 이들 통신들이 수행되는 주파수 스펙트럼에 기초하여 서로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또는 NR 통신들은 1차 면허 스펙트럼 뿐만 아니라 비면허 스펙트럼과 같은 2차 스펙트럼에 걸쳐 수행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다양한 용어들 및 표현들의 사용은 고려중인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실시예들에 대해 그리고 그 맥락 내에서 항상 명확하게 표시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102A)은 또한 네트워크(100)(예컨대, 다양한 가능성들 중에서도, 셀룰러 서비스 제공자의 코어 네트워크,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PSTN)와 같은 원격통신 네트워크, 및/또는 인터넷)와 통신하도록 설비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102A)은 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 그리고/또는 사용자 디바이스들과 네트워크(100)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셀룰러 기지국(102A)은 UE들(106)에게 음성, SMS 및/또는 데이터 서비스들과 같은 다양한 원격통신 능력들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102A), 및 동일하거나 상이한 셀룰러 통신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다른 유사한 기지국들(예컨대, 기지국들(102B...102N))이 셀들의 네트워크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들은 하나 이상의 셀룰러 통신 표준들을 통해 지리학적 영역에 걸쳐 UE들(106A 내지 106N) 및 유사한 디바이스들에게 계속적이거나 거의 계속적인 중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102A)이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UE들(106A 내지 106N)에 대한 "서빙 셀(serving cell)"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한편, 각각의 UE(106)는 또한 "이웃 셀들"로 지칭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다른 셀들로부터 (그리고 가능하게는 이들의 통신 범위 내에서) 신호들(기지국들(102B 내지 102N) 및/또는 임의의 다른 기지국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음)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셀들은 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 그리고/또는 사용자 디바이스들과 네트워크(100)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셀들은 "매크로" 셀들, "마이크로" 셀들, "피코" 셀들, 및/또는 서비스 영역 크기의 다양한 다른 입도(granularity)들 중 임의의 것을 제공하는 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예시된 기지국들(102A, 102B)은 매크로 셀들일 수 있는 한편, 기지국(102N)은 마이크로 셀일 수 있다. 다른 구성들이 또한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지국(102A)은 차세대 기지국, 예컨대, 5G 뉴 라디오(5G NR) 기지국 또는 "gNB"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gNB는 레거시 이볼브드 패킷 코어(evolved packet core, EPC) 네트워크에 그리고/또는 NR 코어(NRC) 네트워크에 접속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gNB 셀은 하나 이상의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들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5G NR에 따라 동작할 수 있는 UE는 하나 이상의 gNB들 내의 하나 이상의 TRP들에 접속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UE(106)는 다수의 무선 통신 표준들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06)는 (LTE 또는 NR과 같은) 3GPP 셀룰러 통신 표준 또는 (셀룰러 통신 표준들의 CDMA2000 계열의 셀룰러 통신 표준과 같은) 3GPP2 셀룰러 통신 표준 중 임의의 표준 또는 전부를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102A), 및 동일하거나 상이한 셀룰러 통신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다른 유사한 기지국들이 셀들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들은 하나 이상의 셀룰러 통신 표준을 통해서 광범위한 지리학적 영역에 걸쳐 UE(106) 및 유사한 디바이스들에게 계속적이거나 거의 계속적인 중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또는 대안적으로, UE(106)는 WLAN, BLUETOOTHTM, BLUETOOTH™ Low-Energy, 하나 이상의 GNSS(global navigational satellite system)들(예를 들어, GPS 또는 GLONASS), 하나 이상의 모바일 텔레비전 브로드캐스팅 표준들(예를 들어, ATSC-M/H 또는 DVB-H)들 등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2개 초과의 무선 통신 표준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표준들의 다른 조합들이 또한 가능하다. 더욱이, UE(106)는 또한,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을 통해,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 스테이션들, 또는 명시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네트워크(100)의 일부인 것으로 고려되는 임의의 기기들을 통해 네트워크(100)와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UE(106)는, 네트워크의 일부인 것으로 고려되며 UE(106)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UE(106)와 상호작용할 수 있고 일부 경우들에서 UE(106)의 통신 파라미터들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통신 자원들의 사용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들과 통신하는 UE들(106)로서 해석될 수 있다.
더욱이, 예를 들어, 도 1에 또한 예시된 바와 같이, UE들 중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UE들(106D 및 106E)은, 예를 들어 3GPP LTE 및/또는 5G-NR 통신들과 같은 셀룰러 통신들을 통해, 서로 그리고 기지국(102)과 통신하는 차량들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UE(106F)는 UE들(106D, 106E)에 의해 표현되는 차량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통신하고 그리고/또는 상호작용하는 보행자를 표현할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는 차량들의 추가적인 양태들은, 예를 들어, 다른 것들 중에서도, 3GPP TS 22.185 V.14.3.0에 규정된 통신들과 같은 차량-사물(vehicle-to-everything, V2X) 통신의 맥락으로 아래에서 논의될 것이다.
도 2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102) 및 액세스 포인트(112)와 통신하는 예시적인 사용자 장비(106)(예를 들어, 디바이스들(106A 내지 106N) 중 하나)를 예시한다. UE(106)는 모바일 폰, 핸드헬드 디바이스, 컴퓨터 또는 태블릿, 또는 사실상 임의의 유형의 무선 디바이스와 같은, 셀룰러 통신 능력 및 비-셀룰러 통신 능력(예를 들어, BLUETOOTH™, Wi-Fi 등) 둘 모두를 갖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UE(106)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UE(106)는 그러한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을 수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UE(106)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 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의 임의의 부분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FPGA(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와 같은 프로그래밍가능 하드웨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UE(106)는 다수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06)는 CDMA2000, LTE, LTE-A, NR, WLAN, 또는 GNSS 중 2 개 이상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표준들의 다른 조합들이 또한 가능하다.
UE(106)는 하나 이상의 RAT 표준들에 따라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106)는 다수의 무선 통신 표준들 사이에서 수신 체인 및/또는 송신 체인의 하나 이상의 부분들을 공유할 수 있다. 공유된 라디오는 무선 통신들을 수행하기 위해, 단일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MIMO용) 다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UE(106)는 자신이 통신하도록 구성된 각각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해 별개의 송신 및/또는 수신 체인들(예컨대, 별개의 안테나들 및 다른 무선 컴포넌트들을 포함함)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UE(106)는 다수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 사이에서 공유되는 하나 이상의 무선기기들, 및 단일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독점적으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무선기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06)는 LTE 또는 CDMA2000 1xRTT 또는 NR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공유된 무선통신장치, 및 Wi-Fi 및 BLUETOOTHTM 각각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별개의 무선통신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성들이 또한 가능하다.
도 3 - 예시적인 UE
도 3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UE(106)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UE(106)는 다양한 목적들을 위한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 온 칩(SOC)(30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SOC(300)는 UE(106)에 대한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들)(302), 및 그래픽 프로세싱을 수행하고 디스플레이 신호들을 디스플레이(360)에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회로부(30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302)는, 또한, 프로세서(들)(302)로부터 어드레스들을 수신하고 그러한 어드레스들을 메모리(예를 들어, 메모리(306), 판독 전용 메모리(ROM)(350), NAND 플래시 메모리(310)) 내의 위치들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메모리 관리 유닛(memory management unit, MMU)(340)에 그리고/또는 디스플레이 회로부(304), 무선 회로부(330), 커넥터 I/F(320), 및/또는 디스플레이(360)와 같은 다른 회로들 또는 디바이스들에 커플링될 수 있다. MMU(340)는 메모리 보호 및 페이지 테이블 변환 또는 셋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MMU(340)는 프로세서(들)(302)의 일부분으로서 포함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SOC(300)는 UE(106)의 다양한 다른 회로들에 커플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06)는 다양한 유형들의 메모리(예를 들어, NAND 플래시(310)를 포함함), (예를 들어, 컴퓨터 시스템에 커플링하기 위한) 커넥터 인터페이스(320), 디스플레이(360), 및 (예를 들어, LTE, LTE-A, NR, CDMA2000, BLUETOOTHTM, Wi-Fi, GPS 등에 대한) 무선 통신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UE 디바이스(106)는 기지국들 및/또는 다른 디바이스들과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예를 들어, 335a) 및 가능하게는 다수의 안테나들(예를 들어, 안테나들(335a 및 335b)로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들(335a 및 335b)은 예로서 도시되고, UE 디바이스(106)는 더 적거나 또는 더 많은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안테나는 총괄하여 안테나(들)(335)로 지칭된다. 예를 들어, UE 디바이스(106)는 무선 회로부(330)의 도움으로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안테나(들)(335)를 사용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UE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수의 무선 통신 표준들을 사용하여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원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UE(106)(및/또는 기지국(102))는, 무선 통신들 동안, 예를 들어, 본원에서 추가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5G-NR 통신들 동안, 적어도 UE(106)가 부분 상호성에 적어도 기초하여 향상된 유형 II CSI 포트 선택 코드북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들을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UE 디바이스(106)의 프로세서(들)(302)는, 예컨대, 메모리 매체(예컨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 매체) 상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방법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들)(302)는 FPGA(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와 같은 프로그래밍가능 하드웨어 요소로서 또는 ASIC(주문형 집적 회로)로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들)(302)는, UE(106) 상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다른 애플리케이션들 및/또는 최종-사용자 애플리케이션들을 구현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무선 통신들 동안, 예를 들어, 5G-NR 통신들 동안, 부분 상호성에 적어도 기초하여 향상된 유형 II CSI 포트 선택 코드북을 사용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컴포넌트들에 커플링될 수 있고/있거나 이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회로부(330)는 다양한 각자의 RAT 표준들에 대한 통신들을 제어하는 것에 전용되는 별개의 제어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회로부(330)는 Wi-Fi 제어기(356), 셀룰러 제어기(예를 들어, LTE 및/또는 NR 제어기)(352), 및 BLUETOOTH™ 제어기(354)를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들 제어기들 중 하나 이상 또는 전부는 서로 그리고 SOC(300)와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 프로세서(들)(302)와) 통신하는 개개의 집적 회로들(간략히 말해서, IC들 또는 칩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Wi-Fi 제어기(356)는 셀-ISM 링크 또는 WCI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셀룰러 제어기(352)와 통신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BLUETOOTH™ 제어기(354)는 셀-ISM 링크를 통해서 셀룰러 제어기(352)와 통신할 수 있는 등이다. 3개의 별개의 제어기들이 무선 회로부(330) 내에 예시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들은 UE 디바이스(106)에서 구현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상이한 RAT들에 대해 더 적은 또는 더 많은 유사한 제어기들을 갖는다. 예를 들어, 셀룰러 제어기(352)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 아래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4 - 예시적인 기지국
도 4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기지국(102)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의 기지국은 가능한 기지국의 일례일 뿐임에 유의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102)은 기지국(102)에 대한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들)(40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404)는 또한 프로세서(들)(404)로부터 어드레스들을 수신하도록 그리고 이들 어드레스들을 메모리(예컨대, 메모리(460) 및 판독 전용 메모리(ROM)(450)) 내의 위치들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메모리 관리 유닛(MMU)(440)에, 또는 다른 회로들 또는 디바이스들에 커플링될 수 있다.
기지국(102)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포트(47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포트(470)는 전화 네트워크에 커플링되고 UE 디바이스들(106)과 같은 복수의 디바이스들에게 도 1 및 도 2에서 전술된 바와 같은 전화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또는 대안적으로, 네트워크 포트(470)(또는 부가적인 네트워크 포트)는 셀룰러 네트워크, 예컨대 셀룰러 서비스 제공자의 코어 네트워크에 커플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는 UE 디바이스들(106)과 같은 복수의 디바이스들에게 이동성 관련 서비스들 및/또는 다른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네트워크 포트(470)는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전화 네트워크에 커플링될 수 있고/있거나, 코어 네트워크는 (예컨대, 셀룰러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서비스되는 다른 UE 디바이스들 사이에) 전화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102)은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434), 그리고 가능하게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434)는 무선 송수신기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무선통신장치(430)를 통해 UE 디바이스들(106)과 통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안테나(434)는 통신 체인(432)을 통해 무선통신장치(430)와 통신한다. 통신 체인(432)은 수신 체인, 송신 체인, 또는 그 둘 모두일 수 있다. 무선 기기(430)는 LTE, LTE-A, 5G-NR (또는 간략히 말해서 NR), WCDMA, CDMA2000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무선 원격통신 표준들을 통해 통신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기지국(102)의 프로세서(들)(404)는, 예를 들어 메모리 매체(예를 들어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 매체) 상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기지국(102)이, 무선 통신들 동안, 예를 들어 5G-NR 통신들 동안, 부분 상호성에 적어도 기초하여 향상된 유형 II CSI 포트 선택 코드북을 사용할 수 있는 UE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방법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들)(404)는 FPGA(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와 같은 프로그래밍가능 하드웨어 요소로서, 또는 ASIC(주문형 집적 회로)로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소정의 RAT들, 예를 들어 Wi-Fi의 경우에서, 기지국(102)은 액세스 포인트(AP)로서 설계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네트워크 포트(470)는 광역 네트워크 및/또는 로컬 영역 네트워크(들)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그것은 적어도 하나의 이더넷 포트를 포함할 수 있고, 라디오(430)는 Wi-Fi 표준에 따라 통신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기지국(102)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무선 통신들 동안, 예를 들어 5G-NR 통신들 동안, 향상된 채널 상태 정보 보고를 위해 부분 상호성에 적어도 기초하여 향상된 유형 II CSI 포트 선택 코드북을 사용하는 UE 디바이스들과 통신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바와 같은 다양한 방법들 및 실시예들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도 5 - 예시적인 셀룰러 통신 회로부
도 5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셀룰러 제어기(352)를 예시하는 예시적인 단순화된 블록도를 예시한다. 도 5의 셀룰러 통신 회로부의 블록도는 단지 가능한 셀룰러 통신 회로의 일례일 뿐이며; 별개의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업링크 활동들을 수행하기 위해 상이한 RAT들을 위한 충분한 안테나들을 포함하거나 그에 커플링된 회로들, 또는 예컨대, 다수의 RAT들 사이에서 공유될 수 있는 더 적은 안테나들을 포함하거나 그에 커플링된 회로들과 같은 다른 회로들이 또한 가능함을 유의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셀룰러 통신 회로부(352)는 전술된 통신 디바이스(106)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106)는, 다른 디바이스들 중에서도,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모바일 스테이션, 무선 디바이스 또는 무선 스테이션, 데스크톱 컴퓨터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예컨대, 랩톱, 노트북, 또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태블릿 및/또는 디바이스들의 조합일 수 있다.
셀룰러 통신 회로부(352)는 도시된 바와 같은 안테나들(335a, 335b, 336)과 같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에 (예를 들어, 통신가능하게;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셀룰러 통신 회로부(352)는 다수의 RAT들을 위한 (전용 프로세서들 및/또는 무선통신장치들을 포함하고/하거나, 예컨대, 그들에 통신가능하게;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커플링되는) 전용 수신 체인들(예컨대, LTE를 위한 제1 수신 체인 및 5G NR을 위한 제2 수신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룰러 통신 회로부(352)는 제1 모뎀(510) 및 제2 모뎀(5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뎀(510)은, 예컨대, LTE 또는 LTE-A와 같은 제1 RAT에 따른 통신을 위해 구성될 수 있고, 제2 모뎀(520)은, 예컨대, 5G NR과 같은 제2 RAT에 따른 통신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뎀(510)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512) 및 프로세서들(512)과 통신하는 메모리(516)를 포함할 수 있다. 모뎀(510)은 무선 주파수(RF) 프론트엔드(530)와 통신할 수 있다. RF 프론트엔드(530)는 무선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 프론트엔드(530)는 수신 회로부(RX)(532) 및 송신 회로부(TX)(53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신 회로부(532)는, 안테나(335a)를 통해 무선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는 다운링크(DL) 프론트엔드(550)와 통신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모뎀(520)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522) 및 프로세서들(522)과 통신하는 메모리(526)를 포함할 수 있다. 모뎀(520)은 RF 프론트엔드(540)와 통신할 수 있다. RF 프론트엔드(540)는 무선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 프론트엔드(540)는 수신 회로부(542) 및 송신 회로부(54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신 회로부(542)는, 안테나(335b)를 통해 무선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는 DL 프론트엔드(560)와 통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위치(570)는 송신 회로부(534)를 업링크(UL) 프론트엔드(572)에 커플링시킬 수 있다. 부가적으로, 스위치(570)는 송신 회로부(544)를 UL 프론트엔드(572)에 커플링시킬 수 있다. UL 프론트엔드(572)는 안테나(336)를 통해 무선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셀룰러 통신 회로부(352)가 (예컨대, 제1 모뎀(510)을 통해 지원되는 바와 같은) 제1 RAT에 따라 송신하라는 명령어들을 수신할 때, 스위치(570)는 제1 모뎀(510)이 제1 RAT에 따라 (예컨대, 송신 회로부(534) 및 UL 프론트엔드(572)를 포함하는 송신 체인을 통해) 신호들을 송신하게 허용하는 제1 상태로 스위칭될 수 있다. 유사하게, 셀룰러 통신 회로부(352)가 (예컨대, 제2 모뎀(520)을 통해 지원되는 바와 같은) 제2 RAT에 따라 송신하라는 명령어들을 수신할 때, 스위치(570)는 제2 모뎀(520)이 제2 RAT에 따라 (예컨대, 송신 회로부(544) 및 UL 프론트엔드(572)를 포함하는 송신 체인을 통해) 신호들을 송신하게 허용하는 제2 상태로 스위칭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1 모뎀(510) 및/또는 제2 모뎀(520)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특징들 및 기법들 중 임의의 것을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512, 522)은, 예컨대, 메모리 매체(예컨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 매체) 상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특징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또는 부가적으로), 프로세서들(512, 522)은 FPGA(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와 같은 프로그래밍가능 하드웨어 요소로서, 또는 ASIC(주문형 집적 회로)로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또는 부가적으로), 프로세서들(512, 522)은 다른 컴포넌트들(530, 532, 534, 540, 542, 544, 550, 570, 572, 335, 336) 중 하나 이상과 함께,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특징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들(512, 522)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들(512, 522)은 프로세서들(512, 522)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IC)들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각각의 집적 회로는 프로세서들(512, 522)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회로부(예컨대, 제1 회로부, 제2 회로부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셀룰러 통신 회로부(352)는 단지 하나의 송신/수신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 회로부(352)는 모뎀(520), RF 프론트엔드(540), DL 프론트엔드(560), 및/또는 안테나(335b)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셀룰러 통신 회로부(352)는 모뎀(510), RF 프론트엔드(530), DL 프론트엔드(550), 및/또는 안테나(335a)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셀룰러 통신 회로부(352)는 또한 스위치(57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RF 프론트엔드(530) 또는 RF 프론트엔드(540)는 UL 프론트엔드(572)와 예컨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유형 II 채널 상태 정보(CSI) 보고
3GPP NR(new radio) 또는 5G-NR 시스템들에서, 2개의 유형들의 코드북, 즉 유형 I 코드북 및 유형 II 코드북은 진보된 MIMO 동작들의 지원 시에 CSI 피드백에 대해 표준화되어 왔다. 2개의 유형들의 코드북은 빔들의 2차원(2D) 이산 푸리에 변환(DFT) 기반 그리드로부터 구성되어, 2개의 편광들 사이의 빔 선택 및 공통-위상 조합(co-phase combining)의 CSI 피드백을 가능하게 한다. 유형 II 코드북 기반 CSI 피드백은 또한 선택된 빔들의 광대역 및 서브대역 진폭 정보를 보고하여, 더 정확한 CSI가 획득되게 허용한다. 이는 결국 네트워크를 통한 개선된 프리코딩된 MIMO 송신들을 제공한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형 II CSI 보고와 연관된 프리코딩 구조를 예시하는 예시적인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CSI는 어느 프리코딩이 UE에 의해 선호되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기지국(gNB)으로 보고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CSI 보고를 위한 2개의 유형들의 코드북들, 또는 달리 말하면, 2개의 유형들의 CSI 보고, 즉 유형 I 및 유형 II가 존재한다. 유형 II 보고에서, 프리코딩 행렬은 각각의 PMI 서브대역에 대해 보고되며, 각각의 열을 표현하는 특정된 수(L)의 DFT 벡터들의 세트의 선형 조합에 의해 표현된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특정된 수(N3개)의 서브대역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각각의 서브대역에 대한 대응하는 프리코딩 행렬 W가 있다. 각각의 프리코딩 행렬은 2개의 열들 w 1w 2를 포함한다. 각각의 열은 하나의 층에 대한 프리코딩 벡터에 대응한다. 각각의 층에 대해, 프리코딩 벡터는 2개의 부분들, 즉 제1 편광 및 제2 편광으로 추가로 분할될 수 있다. L개의 DFT 벡터들은 모든 서브대역들에 대해 일반적이며, 서브대역-특정 조합들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열 벡터는 특정된 수(L개)의 벡터들의 가중 합이다. 조합/조합된 가중치에 대한 가중(또는 조합) 계수들은 c0, c1, 및 c2에 의해 도 6에서 표시된다. 도 6의 예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v0, v1, 및 v2는 3개의 DFT 벡터들을 표현한다. UE는 3개의 DFT 벡터들 중 어느 것이 선호되는지를 gNB에게 보고한다.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지국에(예를 들어, gNB에) 다시 보고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되는 보고 구조를 예시하는 예시적인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각각의 서브대역은 조합 계수들의 그 자신의 대응하는 세트를 가지며, 결국 UE는 모든 조합 계수들을 보고할 필요가 있다. UE에 의한 보고를 고려할 때, 유형 II 오버헤드는 서브대역 조합 계수에 의해 좌우된다. 도 7에 도시된 정보에 따르면, 엔트리들의 총 수는 2L x N3이며, 진폭에 대해 하나(1개)의 비트가 있고, 위상에 대해 세개(3개)의 비트들이 있다. 최악의 경우의 시나리오에서, 19개의 서브대역들, 32개의 송신(TX) 포트들, 및 1000 초과의 비트들의 CSI 페이로드 크기가 있을 수 있다.
채널 상태 정보(CSI) 포트 선택을 위한 향상된 코드북
이전에 표시된 바와 같이, 3GPP Rel-15 규격에서, 빔형성된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 reference signal)는 유형 II 포트 선택을 위해 DL(다운링크) 및 UL(업링크) 채널 상호성을 이용한다. "X" CSI-RS 포트들의 총 수, 구체적으로는 수평 편광(HPol)을 위한 X/2 포트들 및 수직 편광(VPol)을 위한 X/2 포트들이 선택될 수 있다. CSI-RS 포트들의 수 "L"은 X/2 CSI-RS 포트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제1 CSI-RS 포트는 매 "d" 포트들마다 선택된다. 이어서 연속적인 L개의 포트들이 랩어라운드로 선택될 수 있다. 3GPP Rel-16 규격은 특정 특징들을 추가하면서 Rel-15와 동일한 포트 선택 설계를 개시한다. 예를 들어, 서브대역 PMI(precoding matrix index)가 구성될 때, 주파수 도메인 DFT 행렬은 선형 조합 계수를 압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유형 II 포트 선택 코드북의 경우, gNB는 채널 상호성에 기초하여 CSI-RS를 프리코딩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예를 들어, DL 채널은 UL 채널에 기초하여 추정될 수 있다. FDD(frequency division duplex)의 경우, 특히 듀플렉싱 거리가 클 때 정확한 채널 상호성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채널 상호성의 사용은 유형 II CSI-RS 포트 선택 설계를 단순화하는 것을 돕는다. UL 및 DL 채널은 매우 유사한 채널 특성들을 나타낼 수 있고, 따라서 UL 또는 DL에 대해 수행된 채널 추정들이 상보적 방향(DL 또는 UL)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단지 프리코딩되지 않은 CSI-RS들을 송신하고 선호되는 빔형성 벡터가 무엇인지를 보고하도록 UE에 질의하는 대신에, CSI-RS들을 빔형성하고 UE가 어느 CSI-RS들을 선호하는지를 나타내도록 UE에 질의할 수 있도록 포트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UE는 "L"개의 CSI-RS 포트들, 예를 들어 2개 또는 4개의 포트들을 나타내도록 허용된다. 시그널링을 관리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해 L개의 연속적인 포트들만이 표시될 수 있다. 표시 "윈도우"는 L개의 연속적인 CSI-RS 포트들을 포함한다. 윈도우의 시작 포인트는 유연할 수 있지만, 시작 포인트들이 CSI-RS 포트들의 수 "d"에 의해 분리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다른 파라미터 "d"를 따른다. "d"는 자체 구성가능할 수 있다(예를 들어, 1, 2, 3 또는 4). 최악의 경우, 매 4번째 CSI-RS 포트만이 윈도우의 시작 포인트를 표현할 수 있다. 윈도우의 시작 포인트가 표시되면, 다음 L개의 CSI-RS 포트들이 보고될 수 있다.
CSI 포트들이 보고되는 방법에 대한 명확한 제한들이 있다. 3GPP Rel-16에서의 향상들은, 예를 들어 도 8에 표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도메인 DFT 행렬의 선형 조합 계수를 압축하는 것으로 상당히 제한된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호성에 관한 가정은, UL 채널 및 DL 채널이 유사할 수 있고, 오직 하나의 방향(UL 또는 DL) 채널만이 추정될 필요가 있고, 동일한 추정이 다른 상보적 채널에 대해 사용된다는 것이다. FDD의 경우, UL과 DL 채널들 사이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도입된 듀플렉싱 거리를 갖는 페어링된 UL/DL 캐리어가 존재할 수 있다. 그 결과, 특히 듀플렉싱 거리가 클 때, UL과 DL 사이에 채널 상호성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이것에도 불구하고, 채널들은 여전히 완전히 상관되지는 않을 수 있고, 일부 상호성이 존재할 수 있다. 즉, FDD의 경우에도, 부분 상호성이 존재할 수 있다. 2개의 속성들, 즉 도착 또는 출발 각도 및 채널 지연 프로파일이 UL과 DL 사이에서 고도로 상관되는 것으로서 식별되었다. 전자는 신호 반사의 각도에 관한 것이고, 후자는 유사하게 반사된 신호들이 유사한 지연들을 경험할 것이라는 점에서 신호 반사와 관련된다. 잠재적으로, 지연 전력 프로파일조차도 유사할 수 있다. 유형 II 포트 선택은 FDD 설계들에 대해 이러한 부분 상호성을 수용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은, 특히, UE에 대해 더 간단한 압축을 구성할 수 있는 기지국(예를 들어, gNB)의 관점으로부터 채널 지연 및 전력 프로파일의 지식을 사용함으로써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반적인 유형 II CSI 포트 선택은 부분적 채널 상호성을 이용하고, 계층 독립적 CSI-RS 포트 선택, 계층 공통 CSI-RS 포트 선택, 주파수 도메인 압축 향상, 및/또는 동적 코드북 파라미터 재구성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개선된 CSI-RS 송신 및 CSI 피드백 또는 보고를 위해, 일부 실시예들에서, UE에 의해 기지국에(예를 들어, gNB에) 송신된 UL SRS에 기초하여, gNB는 UL 채널을 추정하고, 선호되는 빔(들)과 같은 다운링크(DL) 채널 속성들을 도출하기 위해 채널의 특정 상호성을 가정할 수 있다. 이어서, 기지국은 선호되는 빔(들)과 함께 CSI-RS 프리코딩을 송신할 수 있다. CSI-RS는 다수의 CSI-RS 포트들을 가질 수 있고, 각각의 포트는 상이한 빔을 사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될 수 있는데, 즉, 각각의 CSI-RS 포트는 상이한 빔에 대응할 수 있고 이를 사용하여 CSI-RS 포트가 송신된다. UE는 CSI 보고를 통해 선호되는 CSI-RS 포트(들)를 기지국에 나타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암시적 방식으로 선호되는 빔을 나타낼 수 있다.
기지국은 CSI-RS 자원에 대한 다수의 주파수 및 시간 자원들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SI-RS 자원은 최대 4개의 OFDM 심볼들에 걸쳐 있을 수 있고,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이한 자원 요소(RE)들을 점유할 수 있다. CSI-RS 자원은 최대 32개의 포트들을 가질 수 있는데, 즉, 동일한 CSI-RS 자원 내에 최대 32개의 포트들을 생성하기 위한 패턴들이 있을 수 있다. 패턴들은, UE가 별개의 포트들을 적절하게 식별할 수 있게, 예를 들어 각각의 포트를 분리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서로 직교할 수 있다. gNB가 CSI-RS 포트(들)를 송신할 때, gNB는 최대 32개의 CSI-RS 포트들을 송신할 수 있고, 각각의 CSI-RS 포트는 상이한 빔(프리코더)과 함께(또는 사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어떤 의미에서, gNB가 CSI-RS 자원을 송신할 때, gNB는 최대 32개의 포트들을 송신하고 있을 수 있으며, 각각의 포트는 잠재적으로 별개로 빔형성된다. UE는 특정된 직교 패턴들에 따라 상이한 CSI-RS 포트들을 분리하여, UE가 각각의 CSI-RS 포트의 품질을 측정하고 어느 CSI-RS 포트(들)가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품질을 갖는지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포트는 3GPP 규격에서 확립된 바와 같은 로직 개념인 것으로 이해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각각의 포트는 특정 신호들을 송신하는 방법, 예를 들어 CSI-RS들을 송신하는 방법에 대한 특정 패턴들 및 특정 자원 할당들로 구성되거나 연관된다. 자원(들)은 CSI-RS 포트, 예를 들어, 주파수 도메인에서 각각의 6개의 RE들에 대한 처음 2개의 RE들에 대해 구성 또는 할당될 수 있다(RE는 OFDM에서 서브캐리어 또는 톤의 단위이고, 시간 도메인에서 연속적인 4개의 심볼들임). 이어서, 패턴 및 그 특정 포트에 대한 시퀀스를 생성하는 방법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직교 패턴들이 특정될 수 있다. 따라서, CSI-RS 포트의 송신은 특정 주파수 도메인 및 시간 도메인 자원 구성 및 직교 패턴에 따른 CSI-RS의 송신으로서 해석될 수 있다. UE는 또한 주파수 및 시간 자원들 및 직교 패턴의 동일한 구성의 표시를 가져서, UE가 대응하는 신호(들)를 추출하고 각각의 CSI-RS 포트의 품질을 측정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 도메인에서 4개의 RE들마다, gNB는 제1 RE 상에서 CSI-RS 포트 0을 송신하고, 제2 RE 상에서 CSI-RS 포트 1을 송신하고, 제3 RE 상에서 CSI-RS 포트 2를 송신하고, 제4 RE 상에서 CSI-RS 포트 3을 송신할 수 있다. 각각의 CSI-RS 포트는 상이한 대응하는 빔, 즉 상이한 대응하는 프리코딩으로 송신될 수 있다. 간단히 말해서, "CSI-RS 포트를 송신하는 것"은 주파수 자원들, 시간 자원들, 및 부가적인 가능한 자원 구성(들), 예를 들어, 직교 패턴에 대응하는 직교 커버 코드들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는 특정 자원 구성에 따라 CSI-RS를 송신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계층 독립적 CSI-RS 포트 선택
도 9는 계층 독립적 CSI-RS 포트 선택을 예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을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송신기(908)와 수신기(902) 사이의 신호는 3개의 상이한 신호 경로들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시선 신호 경로(920), 및 2개의 반사된 신호 경로들(각각 922 및 924). 3개의 신호 경로들을 통한 각자의 신호들은 동시에 또는 상이한 시간들에 수신기에 도달할 수 있다. 반사기들(904 및 906)은 전형적으로 UL 및 DL(예를 들어, 고정 요소/구조를 표현함)에 대해 동일할 수 있다. 기지국(908)은 UL 동안 3개의 경로들을 검출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가장 강한 신호들이 경로들(920, 922 및 924)을 통해 수신된 것을 검출할 수 있고, 또한 그러한 동일한 3개의 경로들에 걸쳐/따라 송신(DL)을 진행할 수 있다. 가장 강한 빔들의 각도(들)는 UL 및 DL에 대해 동일한 것으로 가정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방향과 연관된 다수의 빔들(CSI-RS 포트들)을 갖는 3개의 채널 방향들이 존재할 수 있다. CSI-RS 0 및 CSI-RS 1은 신호 경로(922)에 대응하고, CSI-RS 2 및 CSI-RS 3은 신호 경로(920)에 대응하고, CSI-RS 4 및 CSI-RS 5는 신호 경로(924)에 대응한다. 도 9에 도시된 예에서, 기지국(예를 들어, gNB)(908)은 2개의 별개의(후보) 빔들(CSI-RS 포트들)을 식별할 수 있고, 2개의 빔들 중 선호되는 빔을 선택할 수 있다.
공간적 기반을 고려하면, 빔은 계층에 대해 공통적일 수 있다. 즉, 다층(예를 들어, 4-계층) 송신을 보고할 때, 모든 계층은 동일한 공간적 기반을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SI-RS 0이 계층 0에 대해 선택될 때, 이는 또한 계층 1, 2 및 3에 적용(또는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신호 경로의 방향이 명확하게 알려져 있을 때, 어느 특정 CSI 포트(들)가 계층(들)과 독립적으로 선호되는지를 나타내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 및 gNB가 3-계층 송신을 지원할 때, 우세 경로가 존재할 수 있고, 경로(922)는 계층 1에 의해(대해) 선택될 수 있고, 경로(924)는 계층 2에 대해 선택될 수 있다. 간단히 말해서, CSI-RS 포트 선택은 각각의 계층에 대해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하나의 제안에 따르면, 각각의 계층에 대해, 오직 하나의 CSI-RS 포트만이 선택될 수 있다. CSI-RS 포트는 하나의 편광에 대해 표시될 수 있고, 동일한 인덱스가 다른 편광에 대해 자동으로 사용될 수 있다. CSI-RS 포트들의 제1 수 "X/2"는 수평 편광(HPol)에 대응할 수 있고, CSI-RS 포트들의 제2 수 "X/2"는 수직 편광(VPol)에 대응할 수 있다. 동일한 상대적 인덱스를 갖는 CSI-RS 포트가 HPol 및 VPol에 대해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제안에 따르면, 각각의 계층에 대해 그리고 각각의 PMI 서브대역에 대해, 압축 전에, 오직 하나의 선형 조합 계수만이 필요하다. HPol에 대해, 계수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특정 값을 갖는 것으로 가정될 수 있다. VPol의 경우, 위상 및 진폭이 필요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2개의 CSI-RS 포트들이 각각의 계층에 대해 선택될 수 있는데, 제1 포트는 HPol을 위한 것이고, 제2 포트는 VPol을 위한 것이다. 다수의 포트들이 UE 측에서 코히어런트하게 조합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포트뿐만 아니라 gNB가 사용하려고 의도하는 위상 보상이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제안에 따르면, X/2 CSI-RS 포트들 중에서 선택된 CSI-RS 포트는 여전히 계층 독립적 방식으로 다수의 옵션들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제1 옵션에 따르면, UE는 어느 포트를 선택할지를 자유롭게 나타낼 수 있다. 도 9의 예에서, 6개의 포트들이 있으며, 이들 6개의 포트들 중 임의의 포트가 표시될 수 있다. 6개의 가능한 포트들 중 하나를 나타내기 위해 3개의 비트들이 요구된다. 이는 가장 유연한 설계, 본질적으로 계층 당 -[og2(X/2)] 비트들이 필요할 수 있는 완전히 자유로운 표시를 표현한다.
제2 옵션에 따르면, X/2 CSI-RS 포트들은 e개의 그룹들로 분할될 수 있고, 각각의 그룹은 d개의 CSI-RS 포트들을 갖는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6개의 포트들은 3개의 그룹들로 분할되며, 여기서 각각의 그룹은 표시된(그리고 전술된) 바와 같은 신호 경로들 중 하나에 대응한다. 빔 개선(최종 선택)은 각각의 각자의 그룹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대응하는 경로는 UL에서 식별된다. 따라서, 그룹이 표시될 수 있고, 이어서, 그룹 내의 특정 빔이 선택될 수 있다. 즉, 선호되는 그룹 및 그 그룹 내의 오프셋은 포트를 식별하기 위해 표시될 수 있다. 오프셋들은 모든 층들에 대해 동일할 수 있고, 그룹들만이 층마다 독립적으로 표시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오버헤드(오버헤드가 감소됨에 따라 더 적은 유연성)와 유연성(오버헤드가 증가됨에 따라 증가된 유연성) 사이에 절충이 있다. 그룹 내의 오프셋은 [log2(d)] 비트들을 사용하여 표시된 모든 계층들 사이에서 공통일 수 있다. 그룹이 계층마다 독립적으로 시그널링되는 인덱스는 [log2 (e)] 비트들을 사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e1 및 e2가 계층 1 및 2에 대해 각각 시그널링되고 d_c가 모든 계층에 대한 것이면, e1*d + d_c CSI-RS 포트가 계층 1에 대해 선택되고, e2*d + d_c CSI-RS 포트가 계층 2에 대해 선택된다. 그룹 인덱스는, [log2(C e RI )] 비트들을 사용하여 오버헤드를 절약하기 위해 상이한 계층들에 걸쳐 공동으로 코딩될 수 있으며, 여기서, C e RI 는 e 중 가능한 RI 선택들의 수이고, 여기서 RI는 계층들의 수이다.
계층 공통 CSI-RS 포트 선택
도 10는 계층 공통 CSI-RS 포트 선택을 예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을 도시한다. 단순화를 위해, 2개의 신호 경로들(1022 및 1024)만이 도시된다(시선 신호 경로는 고려되지 않음). 신호 경로(1022)는 기지국(1008)과 UE(1002) 사이에서 반사기(1004)로부터 반사되는 반면, 신호 경로(1024)는 기지국(1008)과 UE(1002) 사이에서 반사기(1006)로부터 반사된다. 이 경우, 2개의 상이한(반사된) 신호 경로들(1022 및 1024)에 각각 대응하는 4개의 가능한 포트들 각각의 2개의 그룹들이 존재한다. 이 경우, 포트 선택은 각각의 계층에 대해 공통일 수 있다. 각자의 빔은 각각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제1 그룹은 CSI-RS 0, CSI-RS 1, CSI-RS 2 및 CSI-RS 3을 포함하고, 제2 그룹은 CSI-RS 4, CSI-RS 5, CSI-RS 6 및 CSI-RS 7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2개의 CSI-RS 포트들이 2개의 그룹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빔(들)은 임의의 단일 계층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모든 단일 계층은 선택된 빔들 중 임의의 빔을 사용하여 또는 선택된 빔들의 선형 조합을 사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연속적인 포트들이 선택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예에서, CSI-RS 포트들 1 및 5가 선택될 수 있다. 이는 포트들의 순서화에 의해, 예를 들어 포트들이 gNB에 의해 송신되는 순서에 의해 제한되는 대신에 UE가 빔들을 페어링하기 위한 유연성을 제공한다. CSI-RS 포트 선택은 공동으로 수행될 수 있고, 각각의 계층에 대해 공통일 수 있다. X/2개의 CSI-RS 포트들 중 L개가 HPol 및 VPol에 대해 선택될 수 있고, 동일한 상대적 인덱스를 갖는 CSI-RS 포트들이 HPol 및 VPol에 대해 선택될 수 있다.
CSI-RS 포트들은 다수의 옵션들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제1 옵션 1에 따르면, 포트들은 그룹들로 분할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2개의 그룹들이 선택될 수 있다. 그룹들 내에서, 하나의 CSI-RS 포트가 선택될 수 있고, 오프셋이 또한 표시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예에서, 오프셋은 1이고, 따라서 CSI-RS(포트) 1은 (신호 경로(1022)에 대응하는) 최상부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CSI-RS(포트) 5는 (신호 경로(1024)에 대응하는) 최하부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더 일반적으로, CSI-RS 포트들의 수 "X/2"는 그룹들의 수 "e"로 분할될 수 있고, 각각의 그룹은 CSI-RS 포트들의 수 "d"를 갖는다. 그룹 내의 오프셋은 모든 계층들 사이에서 공통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e = 2 및 d = 4일 수 있다. "e" 그룹들 중 수 "L"은 [log2 ( C e L )] 비트들을 사용하여 선택될 수 있다. 각각의 선택된 그룹에 대해, 하나의 CSI-RS가 선택될 수 있다. CSI-RS 그룹과의 상대적인 인덱스는 동일하여, 예를 들어 모든 그룹들에 대해 [log2(d)]일 수 있거나, 또는 독립적이어서, 예를 들어, 각각의 그룹에 대해 [log2(d)]일 수 있다.
제2 옵션에 따르면, [log2(C L X /2 )] 비트들을 사용하여 완전 자유 표시가 제공될 수 있다.
제3 옵션에 따르면, 그룹 내에 다수의 포트들이 보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으로부터 하나의 포트(이전 예에서와 같이 최상위 그룹의 CSI-RS 1)를 보고하는 대신에, 그룹으로부터의 다수의 포트들이 보고될 수 있다. 따라서, X/2 CSI-RS는 그룹들의 수 "e"로 분할될 수 있고, 각각의 그룹은 수 "d"의 CSI-RS 포트들을 갖는다. 그룹 내의 오프셋은 모든 계층들 사이에서 공통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e = 2 및 d = 4일 수 있다. 그룹들의 서브세트가 선택될 수 있으며, X/2 CSI-RS 포트들 중 총 수 "L"이 선택된다. 각각의 그룹에 대해 하나 또는 하나 초과의 CSI-RS 포트가 선택될 수 있고, 그룹당 선택되는 CSI-RS 포트들의 수는 동일하도록 제한될 수 있다.
제4 옵션에 따르면, 하나의 그룹 또는 하나 초과의 그룹일 수 있는 그룹들의 서브세트가 선택될 수 있다. 그룹이 선택될 때, 그룹 내의 모든 CSI-RS 포트들이 선택될 수 있다.
주파수 도메인 압축 향상
3GPP Rel-16에서, N3은 PMI 보고를 위한 서브대역들의 수를 지칭한다. DFT 압축은 주파수 도메인 계수들을 압축하는 데 사용된다. DFT 베이스들의 수 "N3" 중 수 "M"만이 사용된다. N3 <= 19일 때, M은 N3 DFT 베이스들 중에서 자유롭게 선택된다. N3> 19 일 때, M은 2M 윈도우 내에서 선택된다. 2M 윈도우의 위치는 DC 컴포넌트 주위로 2M까지 시프트될 수 있다.
도 11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CSI-RS 포트 선택을 위한 주파수 도메인 압축을 예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을 도시한다. 행렬(1100)의 행들의 수는 공간 베이스들을 표현한다. 예를 들어, L개의 공간 베이스들에 대해, 2L개의 행들(각각의 편광에 대해 L)이 존재한다. 열들의 수는, 보고될 서브대역, 예를 들어 최대 19개 또는 38개의 서브대역들을 표현한다. 이 예는 8 x 19 행렬(1100)을 예시한다. 이 특정 서브대역에 대한 모든 열은 8개의 공간 베이스들 중에서 선호되는 선형 조합이다. 행렬은 공간 베이스들과 함께 gNB에 다시 보고될 것이다. 이어서, gNB는 행렬을 공간 베이스들과 곱하여, gNB가 DL 송신을 위해 사용할 빔을 재구성한다.
발생할 수 있는 하나의 문제는 평탄한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채널이다. 채널이 훨씬 더 짧은 시간 스팬을 갖는다면, 주파수에서 상당히 평탄할 수 있다. 시간 도메인에 다중 경로가 없는 경우, 채널 지연 프로파일은 매우 짧을 수 있고, 많은 주파수 선택성이 없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모든 단일 주파수 도메인은 동일한/유사한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시간 도메인에서 더 많은 다중 경로들이 존재하면, 주파수 도메인에서 더 많은 선택성이 있을 수 있다.
UL 채널이 얼마나 많은 다중 경로들을 갖고 UL 채널의 지연 프로파일이 무엇인지를 고려함으로써 지연 상호성이 레버리지될 수 있다. 지연 프로파일은 UL 및 DL에 대해 매우 유사할 수 있다. 기지국은 UL 지연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DL 상에서 주파수 선택성을 결정할 수 있다. 주파수 도메인으로부터 시간 도메인으로의 (행렬의) DFT는 압축을 허용한다. 도 11의 예에서, 열 1, 3, 4, 및 6만이 높은 에너지(예를 들어, 송신들을 위해 고려할 가치가 있음)를 갖는 주파수 베이스들에 대응하며, 따라서 다른 주파수 베이스들은 고려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추가적인 개선을 제공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지국은 전체 시간 도메인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지 않을 수 있다. 기지국이 채널의 시간 도메인 패턴에 대한 지식을 가지면, 이는 DFT를 겪은 후에 상이한 시간 도메인 탭들을 표현하는 주파수 베이스들의 서브세트를 보고하도록 UE에 지시함으로써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지국은 다수의 옵션들에 따라 계수 압축을 위해 DFT 베이스들의 서브세트를 미리 구성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자신이 선호하는 탭들(행렬(1150)에서 열에 의해 표현되는 각각의 탭)을 나타낼 수 있다.
제1 옵션에 따르면, 기지국은 압축에 사용될 수 있는 DFT 기반(또는 베이스들)을 나타내기 위한 비트맵을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인에이블된 DFT 기반으로, 기지국은 사용될 수 있는 진폭에 대한 제한을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동일한 진폭 제한이 모든 공간 베이스들 및 계층들에 적용될 수 있다. 진폭 제한은 동일한 계층 내의 모든 공간 베이스들에 걸쳐 그리고/또는 모든 계층들에 걸친 모든 공간 베이스들에 걸쳐 진폭 평균에 적용될 수 있다. 각각의 계수는 공간 기반에 대응할 수 있다. 기지국은, UE가 주어진 탭에 대응하는 표시를 제공할지 여부를 비트맵에서 나타낼 수 있다. 기지국은 예를 들어, 특정 임계치 내에서 제한되는 에너지와 같은 주어진 탭들에 대한 제한들에 관한 표시를 UE에 제공할 수 있다. 비트맵은 어느 탭들이 턴 온 및 오프될지를 표현할 수 있다. "온"에 대해, 부가적인 제한들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어진(선택된/활성) 열에 대응하는 총 에너지는 특정된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옵션에 따르면, 기지국은 DFT 기반(또는 베이스들)에 대한 윈도우 크기, 예를 들어 최대 지연 확산을 제공할 수 있다. 윈도우들은 DC 컴포넌트에 대해 초기 오프셋을 가질 수 있다. 기지국은 윈도우 내에서 기반 선택을 추가로 제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지국이 채널의 지연 프로파일 및 열을 선택하는 방법(주파수 기반을 선택함)을 결정/획득하면, 이는 UE가 오버헤드를 추가로 감소시키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동적 코드북 파라미터 재구성
코드북 해상도 및 오버헤드는 유형 II CSI 보고에 대한 많은 인자들에 의존한다. 구성은 현재의 3GPP Rel-15 및 Rel-16 표준에 따라 RRC에서 대부분 반-정적으로 구성된다. 사운딩 기준 신호(SRS)가 부분 상호성을 제공할 수 있을 때, 파라미터는 추가적인 베이스 CSI 보고 향상을 위해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SRS는 업링크 방향으로 UE에 의해 송신되는 기준 신호이고, 보다 넓은 대역폭에 걸쳐 업링크 채널 품질을 추정하기 위해 기지국에 의해 사용된다. 기지국은 업링크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을 위해 이러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SRS가 부분 상호성 기반 CSI 보고 향상을 제공할 때, 파라미터들의 동적 구성은 부가적인 이점들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RRC를 통해 반-정적으로 파라미터들을 구성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이들은 기지국으로부터 UE에 의해 수신된 표시(들)에 응답하여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채널이 매우 지향성이 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고, 가능한 이용가능한 공간 베이스들에 대해 감소된 수의 공간 베이스들을 보고하도록 UE에게 지시할 수 있다. 동적 구성은 MAC-CE 또는 L1 DCI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구성된 파라미터들은 각도 관련 파라미터들, 예를 들어 선택된 공간 베이스들의 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지연 관련 파라미터들, 예를 들어 선택된 주파수 베이스들의 수, 0이 아닌 계수들의 수, 및/또는 PMI 오버샘플링 인자(예를 들어, 1 또는 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계층 공통 CSI- RS 포트 선택 예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운링크 CSI는, 예를 들어 FDD 시스템들에 대한 SRS를 이용하여 업링크 송신들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FDD 시스템의 경우, DL과 UL 사이의 듀플렉스 분리로 인해, 전파 채널들(DL 및 UL)에 대한 많은 파라미터들이 독립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지만, 일부 다른 파라미터들, 예를 들어 기지국(예를 들어, gNB)에서의 출발 각도 및 지연 프로파일이 상관된 것으로 취급될 수 있고, 이는 gNB가 수신된 UL 신호, 예를 들어 PUSCH/PUCCH 또는 PRACH 또는 심지어 PUSCH 또는 PUCCH와 같은 UL 채널들의 SRS 또는 DMRS로부터 DL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유도하기 위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TDD에 대한 상황과 유사하게, 다양한 이유들, 예를 들어, 전력 소비, 폼 팩터 등으로 인해, UE는 UL 안테나들보다 더 많은 DL 안테나들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FDD 시스템의 경우, 듀플렉스 분리 외에도, DL과 UL 안테나 수들 사이의 불균일성은 UL 송신(들)으로부터 DL CSI를 유도하는데 있어서 추가적인 장애물들로 이어질 수 있다.
하나의 실현가능한 접근법은, gNB가 UL 신호들에 대한 UL 관측들로부터 출발 각도 및 지연 프로파일을 유도하는 것, 예를 들어 상당한 전력으로 UL 주파수에서 직교 DFT 빔들을 식별하고, 이어서, DL 주파수에서 직교 DFT 빔들에 필요한 캐리어 주파수 조정을 적용하는 것이다. gNB가 CSI-RS에 대한 DL 프리코딩 벡터들을 획득하기 위해 UL 관측들에 적용될 수 있는 독점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것이 또한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CSI-RS에 대한 프리코더의 임의의 특수한 구조에 의존하지 않는 솔루션이 이용가능하다면, 이는 광범위한 시나리오들에 적용가능할 수 있다. 3GPP Rel-15 및 3GPP Rel-16에서, 유형 II 포트 선택 코드북 설계의 경우, 포트 선택은 다수의 이웃 CSI-RS 포트들을 통해 이루어지며, 광대역이다. 상기 내용을 고려하고, 광대역 시그널링으로 인한 오버헤드가 CSI 피드백에서의 서브대역 시그널링으로 인한 오버헤드보다 덜 심각한 문제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추가로 고려하면, 자유 안테나 포트 선택이 사용될 수 있다.
포트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을 선택하기 위해 i 1,1을 사용하는 대신에 - 여기서 d는 gNB에 의해 구성된 파라미터이고, P CSI-RS 는 포트 선택 코드북에 대해 구성된 CSI-RS 포트들의 수임 -, 아마도 편광 0을 위해
Figure pct00006
포트들로부터 L 포트들이 선택될 수 있다. 선택된 포트 인덱스는
Figure pct00007
, 및
Figure pct00008
로 주어지고, 동일한 포트 선택이 (아마도) 편광 1에 적용된다: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
CSI-RS에 적용된 프리코더들에 따라, gNB는 상이한 편광들에 대해 상이한 수들의 CSI-RS 포트들, 예를 들어 +45° 편광에 대한 3개의 포트들 및 -45° 편광에 대한 5개의 포트들을 선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포트들은 또한, 모든 CSI-RS 포트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포트 선택은 모든 PCSI-RS 포트들에 걸쳐 자유롭게 수행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PCSI-RS 포트들 중 2L이 선택될 수 있다. (3GPP Rel-15 및 3GPP Rel-16에서 또한 정의된 바와 같은) 조합 인덱싱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PCSI - RS 비트 비트맵 또는 P CSI - RS /2 비트 비트맵은 포트들의 선택을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P CSI - RS = 8인 경우, 8 비트 비트맵 [0011 10 01]은 포트들 2, 3, 4, 7이 선택되는 것을 의미하고, 4 비트 비트맵 [01 01]은 포트 1, 3, 5, 7이 선택되는 것을 의미한다.
UL 및 DL 채널 전파에서의 차이로 인해, UL 채널로부터 유도된 DL 채널 정보가 실제 DL 채널 정보와 매칭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gNB는 UL 채널로부터 유도된 빔 그룹의 이웃에 있는 하나 이상의 빔 그룹들을 사용하도록 선택하고, UE가 테스트하도록 이들 모두를 프리코딩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UE는 빔 그룹 인덱스 및 선택된 빔 그룹을 갖는 포트 선택 둘 모두를 피드백할 수 있다. 빔 그룹이 Q개의 CSI-RS 포트들에 맵핑되고, 총 G개의 빔 그룹들(예를 들어, 빔 그룹 1에 대한 제1 Q개의 CSI-RS 포트들 및 빔 그룹 2에 대한 제2 Q개의 CSI-RS 포트들)이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UE는 빔 그룹 인덱스(예에서 1 또는 2) 및 선택된 빔 그룹 내의 선택된 포트들에 대한 비트맵을 피드백할 수 있다. 도 13에서, 2개의 빔 그룹들(1302 및 1304)이 도시되므로, G = 2, Q = 4이다. 각각의 빔 그룹 내에, Q개의 빔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UE가 1302 빔을 선택하면, 비트맵 [1001]은 1302 빔 그룹으로부터 빔 1 및 4를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CSI-RS 포트 선택은 공동으로 수행될 수 있고, 각각의 계층에 대해 공통일 수 있다. X/2 CSI-RS 포트들 중 수 "L"이 HPol 및 VPol에 대해 선택될 수 있다. 동일한 상대적 인덱스를 갖는 CSI-RS 포트들이 HPol 및 V-Pol에 대해 선택될 수 있다. 시그널링 오버헤드는 [log2(CL X /2)] 비트들일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예에서, X = 8이고, 최상부 그룹으로부터 포트 0의 선택은 최하부 그룹으로부터 포트 5의 선택과 커플링될 수 있고, 최상부 그룹으로부터 포트 1의 선택은 최하부 그룹으로부터 포트 6의 선택과 커플링될 수 있다.
도 12는 완전 자유 표시를 사용하는 계층 공통 CSI-RS 포트 선택을 예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을 도시한다. 단순화를 위해, 2개의 신호 경로들(1222 및 1224)만이 도시된다(시선 신호 경로는 고려되지 않음). 신호 경로(1222)는 기지국(1208)과 UE(1202) 사이에서 반사기(1204)로부터 반사되는 반면, 신호 경로(1224)는 기지국(1208)과 UE(1202) 사이에서 반사기(1206)로부터 반사된다. 이 경우, 2개의 상이한(반사된) 신호 경로들(1222 및 1224)에 각각 대응하는 4개의 가능한 포트들 각각의 2개의 그룹들이 존재한다. 이 경우, 포트 선택은 각각의 계층에 대해 공통일 수 있다. 각자의 빔은 각각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제1 그룹은 CSI-RS 0, CSI-RS 1, CSI-RS 2 및 CSI-RS 3을 포함하고, 제2 그룹은 CSI-RS 4, CSI-RS 5, CSI-RS 6 및 CSI-RS 7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2개의 CSI-RS 포트들이 2개의 그룹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빔(들)은 임의의 단일 계층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모든 단일 계층은 선택된 빔들 중 임의의 빔을 사용하여 또는 선택된 빔들의 선형 조합을 사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예에서, CSI-RS 1은 최상부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한편, CSI-RS 7은 최하부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는 CSI-RS 포트들의 선택이 완전히 자유롭다는 것을 시사하고, 포트들은 [log2 ( C L X )] 비트들을 사용하여 UE에 표시될 수 있다.
안테나 그룹 선택은 위에서 설명된 어느 접근법과 조합될 수 있다. 도 13은 상기 참조된 바와 같이 계층 공통 CSI-RS 포트 선택을 위한 안테나 그룹 선택을 예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을 도시한다. 도 13에 예시된 예에서, X = 32, X'= 8, e = 4이다. CSI-RS들의 수 "X"는 그룹들의 수 "e"로 분할될 수 있고, 각각의 그룹은 X' CSI-RS 포트들을 갖는다. 그룹들 중 하나가 선택될 수 있으며, X' CSI-RS 포트들 중 총 수 "L"이 선택된다. 각각의 그룹에 대해 하나의 CSI-RS 포트 또는 하나 초과의 CSI-RS 포트가 선택될 수 있다. 그룹당 선택된 CSI-RS 포트들의 수는 위에서 논의된 어느 접근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gNB가 관측된 빔들(1304-DL)에 기초하여 결정을 내리면, 특정 조건들 하에서 UL과 DL 사이에 미스매치가 존재할 수 있다. 안전 조치로서, gNB가 2개의 빔 그룹들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빔 그룹(1302) 및 제2 빔 그룹(1304). UE는 빔 그룹, 예를 들어 1302를 선택할 수 있고, 포트들을 선택하기 위해 필요한 단계들을 취할 수 있다. 도 13의 예에서, X가 안테나 포트들의 총 수이고, e가 빔 그룹들의 수이고, X'가 빔 그룹당 CSI 포트들의 수이면, e = 2이고 X'= 4이다.
개인 식별가능 정보의 사용은 사용자들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하기 위한 산업 또는 정부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거나 초과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프라이버시 정책들 및 관례들을 따라야 하는 것이 잘 이해된다. 특히, 개인 식별가능 정보 데이터는 의도하지 않은 또는 인가되지 않은 액세스 또는 사용의 위험성들을 최소화하도록 관리되고 처리되어야 하며, 인가된 사용의 성질은 사용자들에게 명확히 표시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들 중 임의의 것으로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은 컴퓨터 구현 방법,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 매체, 또는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실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은 ASIC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주문 설계형 하드웨어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은 FPGA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가능 하드웨어 요소를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 매체(예를 들어, 비일시적 메모리 요소)는 그것이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면, 컴퓨터 시스템으로 하여금, 방법,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실시예들의 임의의 조합,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의 임의의 서브세트, 또는 그러한 서브세트들의 임의의 조합을 수행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예를 들어, UE)는 프로세서(또는 프로세서들의 세트) 및 메모리 매체(또는, 메모리 요소)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메모리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 매체로부터의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판독 및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방법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실시예들의 임의의 조합,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의 임의의 서브세트, 또는 그러한 서브세트들의 임의의 조합)을 구현하도록 실행가능하다. 디바이스는 다양한 형태들 중 임의의 것으로 실현될 수 있다.
위의 실시예들이 상당히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일단 위의 개시내용이 충분히 인식되면, 많은 변형들 및 수정들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될 것이다. 다음의 청구범위는 모든 그러한 변형들 및 수정들을 망라하는 것으로 해석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20)

  1. 방법으로서,
    기지국에 의해, 상기 기지국과 디바이스 사이의 업링크 통신들을 사용하여 수행된 채널 추정들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과 상기 디바이스 사이의 우세 신호 경로들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디바이스에, 상기 우세 신호 경로들에 대응하는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 포트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SI-RS 포트들은 상기 우세 신호 경로들의 각각의 우세 신호 경로에 대해 상기 기지국에 의해 독립적으로 식별된 대응하는 빔들을 통해 송신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기지국에, 상기 CSI-RS 포트들의 서브세트의 선택을 나타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은 다층 송신의 각각의 계층에 대해 독립적이거나 또는 상기 다층 송신의 각각의 계층에 대해 공통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은 상기 다층 송신의 각각의 계층에 대한 단일의 각자의 CSI-RS 포트를 선택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의 각자의 CSI-RS 포트는 제1 편광에 대한 것이고, 상기 단일 CSI-RS 포트에 대응하는 동일한 인덱스가 제2 편광에 대해 자동으로 사용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은 상기 다층 송신의 각각의 계층에 대한 2개의 각자의 CSI-RS 포트들을 선택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각자의 CSI-RS 포트들 중 제1 포트는 제1 편광에 대한 것이고, 상기 2개의 각자의 CSI-RS 포트들 중 제2 포트는 제2 편광에 대한 것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세 신호 경로들의 각각의 우세 신호 경로에 대한 각자의 복수의 후보 CSI-RS 포트들을 식별하는 단계;
    각각의 우세 신호 경로에 대해 상기 각자의 복수의 후보 CSI-RS 포트들 중 각자의 선호되는 CSI-RS 포트들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각자의 선호되는 CSI-RS 포트들을 상기 CSI-RS 포트들로서 상기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장치로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디바이스로 하여금,
    기지국과 상기 디바이스 사이의 우세 신호 경로들에 대응하는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 포트들을 수신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우세 신호 경로들은 상기 기지국과 상기 디바이스 사이의 업링크 통신들을 사용하여 수행된 채널 추정들에 기초하여 식별되고, 상기 CSI-RS 포트들은 상기 우세 신호 경로들의 각각의 우세 신호 경로에 대해 상기 기지국에 의해 독립적으로 식별된 대응하는 빔들을 통해 송신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기지국에, 상기 CSI-RS 포트들의 서브세트의 선택을 나타내게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선택은 다층 송신의 각각의 계층에 대해 독립적이거나 또는 상기 다층 송신의 각각의 계층에 대해 공통인,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은 상기 다층 송신의 각각의 계층에 대한 단일의 각자의 CSI-RS 포트를 선택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의 각자의 CSI-RS 포트는 제1 편광에 대한 것이고, 상기 단일 CSI-RS 포트에 대응하는 동일한 인덱스가 제2 편광에 대해 자동으로 사용되는,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은 상기 다층 송신의 각각의 계층에 대한 2개의 각자의 CSI-RS 포트들을 선택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각자의 CSI-RS 포트들 중 제1 포트는 제1 편광에 대한 것이고, 상기 2개의 각자의 CSI-RS 포트들 중 제2 포트는 제2 편광에 대한 것인, 장치.
  14. 장치로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지국으로 하여금,
    상기 기지국과 디바이스 사이의 업링크 통신들을 사용하여 수행된 채널 추정들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과 상기 디바이스 사이의 우세 신호 경로들을 식별하게 하고;
    상기 디바이스에, 상기 우세 신호 경로들에 대응하는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 포트들을 송신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CSI-RS 포트들은 상기 우세 신호 경로들의 각각의 우세 신호 경로에 대해 상기 기지국에 의해 독립적으로 식별된 대응하는 빔들을 통해 송신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으로 하여금,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CSI-RS 포트들의 서브세트의 선택의 표시를 수신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선택은 다층 송신의 각각의 계층에 대해 독립적이거나 또는 상기 다층 송신의 각각의 계층에 대해 공통인,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은 상기 다층 송신의 각각의 계층에 대한 단일의 각자의 CSI-RS 포트를 선택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의 각자의 CSI-RS 포트는 제1 편광에 대한 것이고, 상기 단일 CSI-RS 포트에 대응하는 동일한 인덱스가 제2 편광에 대해 자동으로 사용되는,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은 상기 다층 송신의 각각의 계층에 대한 2개의 각자의 CSI-RS 포트들을 선택하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각자의 CSI-RS 포트들 중 제1 포트는 제1 편광에 대한 것이고, 상기 2개의 각자의 CSI-RS 포트들 중 제2 포트는 제2 편광에 대한 것인, 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으로 하여금,
    상기 우세 신호 경로들의 각각의 우세 신호 경로에 대한 각자의 복수의 후보 CSI-RS 포트들을 식별하게 하고;
    각각의 우세 신호 경로에 대해 상기 각자의 복수의 후보 CSI-RS 포트들 중 각자의 선호되는 CSI-RS 포트들을 선택하게 하고;
    상기 각자의 선호되는 CSI-RS 포트들을 상기 CSI-RS 포트들로서 상기 디바이스에 송신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KR1020227017676A 2020-02-12 2020-02-12 부분 상호성을 갖는 유형 ii csi 포트 선택 코드북 향상 KR202200875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0/074901 WO2021159316A1 (en) 2020-02-12 2020-02-12 Type II CSI Port Selection Codebook Enhancement with Partial Reciproc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544A true KR20220087544A (ko) 2022-06-24

Family

ID=77291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7676A KR20220087544A (ko) 2020-02-12 2020-02-12 부분 상호성을 갖는 유형 ii csi 포트 선택 코드북 향상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166486A1 (ko)
EP (1) EP4046440A4 (ko)
KR (1) KR20220087544A (ko)
CN (1) CN114747275A (ko)
WO (1) WO20211593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7687A1 (en) * 2018-08-24 2020-02-27 Nec Corporation Sdm iab transmission
WO2020118549A1 (en) * 2018-12-12 2020-06-18 Qualcomm Incorporated Coefficients report for compressed csi feedback
US20220278715A1 (en) * 2021-03-01 2022-09-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t power
CN117678163A (zh) * 2021-08-05 2024-03-08 苹果公司 用于端口选择码本增强的方法和装置
US20230113496A1 (en) * 2021-10-11 2023-04-13 Nokia Technologies Oy Co-polarized transmission and port selectio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78583B2 (en) * 2013-01-08 2015-1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design in advanc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O2017025768A1 (en) * 2015-08-11 2017-02-16 Intel IP Corporation Codebook design for beamformed csi-rs for fd-mimo
US10340989B2 (en) * 2016-12-09 2019-07-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debook for CSI reporting in advanc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8288989B (zh) * 2017-01-09 2020-12-08 华为技术有限公司 信道状态信息反馈方法、用户设备及基站
US10506576B2 (en) * 2017-01-27 2019-12-10 Qualcomm Incorporated Multi-link new radio (NR)-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design
US10536205B2 (en) * 2017-04-26 2020-0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to CSI reporting using multiple antenna panels in advanc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O2018201284A1 (en) * 2017-05-02 2018-11-08 Qualcomm Incorporated Port group indication and port subsets in a csi-rs resource for new radio (n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46440A1 (en) 2022-08-24
EP4046440A4 (en) 2022-11-02
CN114747275A (zh) 2022-07-12
WO2021159316A1 (en) 2021-08-19
US20220166486A1 (en) 2022-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9803B1 (ko) 향상된 유형 ii 채널 상태 정보 보고를 위한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
US11888665B2 (en)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design for cellular time division duplex (TDD) mmWave systems
CN110999103B (zh) 用于无线通信的电子设备、方法和介质
CN109997313B (zh) 用于上行链路发送的方法
US11432176B2 (en) Techniques for non-zero-power beams in wireless systems
KR20220087544A (ko) 부분 상호성을 갖는 유형 ii csi 포트 선택 코드북 향상
US11742917B2 (en) Encoding of enhanced type II channel state information
WO2016164073A1 (en) Codebook subset restriction for a full dimensional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system
WO2022067846A1 (en) Pucch repetition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pucch transmission
KR20220146649A (ko) 무선 통신들을 위한 사운딩 기준 신호 리소스 용량 향상
WO2022067844A1 (en) Accumulation of pucch repetitions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pucch reception
WO2021159324A1 (en)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ing
CN116724521A (zh) 利用信道互易性的端口选择码本的csi-rs增强
WO2023206232A1 (en) Uplink control information omission for coherent joint transmission multi-transmission-reception-point operation
US20230361946A1 (en) Small gap during uplink switch in multi-trp
WO2022060825A1 (e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beamforming in angle-delay domai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