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7057A - Motorcycle helmet with enhanced ventilation - Google Patents

Motorcycle helmet with enhanced ventil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7057A
KR20220087057A KR1020200177394A KR20200177394A KR20220087057A KR 20220087057 A KR20220087057 A KR 20220087057A KR 1020200177394 A KR1020200177394 A KR 1020200177394A KR 20200177394 A KR20200177394 A KR 20200177394A KR 20220087057 A KR20220087057 A KR 20220087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air
ventilation groove
helmet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3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95320B1 (en
Inventor
손두락
Original Assignee
손두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두락 filed Critical 손두락
Priority to KR1020200177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320B1/en
Publication of KR20220087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0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3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42B3/06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specially adapted for cycling helmets, e.g. for soft shelled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2Cushioning devices
    • A42B3/124Cushioning devices with at least one corrugated or ribbed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1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여름철 내부 온도 상승을 방지하도록 통기성이 강화된 오토바이용 헬멧이 제공된다. 이 오토바이용 헬멧은, 메인 유입부, 가속 유입부, 상부 배출부 및 하부 배출부를 구비한 외피; 및 이들을 유기적으로 연통시키는 제1 내지 제3 통풍홈을 구비한 완충부를 포함한다.A motorcycle helmet with enhanced ventilation is provided to prevent internal temperature rise in summer. This motorcycle helmet comprises: a shell having a main inlet, an acceleration inlet, an upper outlet and a lower outlet; and a buffer unit having first to third ventilation grooves for organically communicating them.

Description

통기성이 강화된 오토바이용 헬멧{Motorcycle helmet with enhanced ventilation}Motorcycle helmet with enhanced ventilation

본 발명은 오토바이용 헬멧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피에 형성된 다양한 공기 유입부/배출부 및 헬멧 내부에서 이들을 연결하여 다양한 통풍홈을 이용하여 통기성이 강화된 오토바이용 헬멧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orcycle helm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torcycle helmet with enhanced ventilation by using various air inlet/outlet parts formed on the outer skin and various ventilation grooves by connecting them inside the helmet.

오토바이용 헬멧은 탑승자가 착용하는 헤드기어로서, 사고 발생 시 탑승자의 머리를 보호할 수 있는 유일한 도구이다. 따라서 여러 나라에서는 오토바이 탑승자 및 동승자가 헬멧을 필수적으로 착용할 것을 의무로 규정하고 있다.A motorcycle helmet is the headgear worn by an occupant and is the only tool that can protect the occupant's head in the event of an accident. Therefore, in many countries, it is compulsory for motorcycle riders and passengers to wear helmets.

이와 같은 안전성을 위해 헬멧이 필수적이기는 하나, 혹서기에 헬멧을 착용하고 오토바이를 운행하는 것이 매우 힘든 일이다. 혹서기에 헬멧 속 온도는 약 60도까지 상승하기 때문에, 고온의 헬멧을 장시가 착용할 경우 졸음, 현기증 등 일사병 증상이 발현되어 여름철 오토바이 안전사고의 주요원인이 되고 있다. 현재까지 국내외 오토바이용 헬멧 제작사 중 통기성에 중점을 두고 여름용 헬멧을 제공하는 곳은 전무하다.Although a helmet is essential for such safety, it is very difficult to ride a motorcycle while wearing a helmet in hot weather. Since the temperature inside the helmet rises to about 60 degrees in the heat of the year, if you wear a high-temperature helmet for a long time, symptoms of heat stroke such as drowsiness and dizziness appear, which is a major cause of motorcycle safety accidents in summer. To date, none of the domestic and foreign motorcycle helmet manufacturers provide summer helmets with an emphasis on breathability.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름철 내부 온도 상승을 방지하도록 통기성이 강화된 오토바이용 헬멧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torcycle helmet with enhanced ventilation to prevent the internal temperature rise in summ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헬멧은, 통기성이 강화된 오토바이용 헬멧으로서, 외피(10); 및 상기 외피(10) 내에서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피(10)는, 전면에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메인 유입부(12); 전면에 상기 메인 유입부(12)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메인 유입부(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가속시키도록 외부 공기가 추가로 유입되는 가속 유입부(14); 후면에 형성되어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상부 배출부(16); 및 후면에 상기 상부 배출부(16)의 하부에 형성되어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하부 배출부(1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유입부(12), 상기 가속 유입부(14), 상기 상부 배출부(16) 및 상기 하부 배출부(18)는 공기 유입 및 배출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외피(10)의 외주면을 따라 동일 선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3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1 통풍홈(32a) 및 제2 통풍홈(32b)은 상기 완충부(30)와 착용자의 머리 사이에 공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통풍홈(32a)은 상기 메인 유입부(12), 상기 가속 유입부(14) 및 상기 상부 배출부(16)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2 통풍홈(32b)은 상기 메인 유입부(12)와 상기 상부 배출부(16)를 직접 연결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A motorcycle helm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s a motorcycle helmet with enhanced breathability, the outer shell (10); And it may include a buffer part 30 that is disposed to cover the wearer's head within the outer shell 10 and absorbs shock. Here, the outer shell 10, the main inlet 12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is introduced into the outside air; an acceleration inlet 14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inlet 12 and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additionally introduced to accelerate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main inlet 12; an upper discharge unit 16 formed on the rear surface to discharge the introduced air; And it may include a lower discharge unit 18 formed under the upper discharge unit 16 on the rear surface to discharge the introduced air. In addition, the main inlet 12 , the acceleration inlet 14 , the upper outlet 16 and the lower outlet 18 cov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ell 10 to increase air inlet and outlet efficiency. Accordingly, they may be sequentially arranged on the same line. The first ventilation groove (32a) and the second ventilation groove (32b)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uffer part 30 may form an air flow path between the buffer part 30 and the wearer's head. In addition, the first ventilation groove (32a) forms an air flow path that sequentially connects the main inlet (12), the acceleration inlet (14) and the upper outlet (16); The second ventilation groove 32b may form an air passage directly connecting the main inlet 12 and the upper outlet 16 .

저면 유입부(34)가 상기 완충부(30)의 전방 하단 내측면에 착용자의 얼굴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저면 배출부(36)가 상기 완충부(30)의 후방 하단 내측면에 착용자의 뒷목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3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3 통풍홈(32c)은 상기 메인 유입부(12), 상기 저면 유입부(34), 상기 저면 배출부(36) 및 상기 하부 배출부(18)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The bottom inlet 34 may be formed around the wearer's face on the front lower inner surface of the buffer 30 . The bottom discharge part 36 may be formed around the back neck of the wearer on the rear bottom inner surface of the buffer part 30 . The third ventilation groove 32c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uffer part 30 is the main inlet 12 , the bottom inlet 34 , the bottom outlet 36 and the lower outlet 18 . It is possible to form an air flow path that sequentially connects the.

상기 메인 유입부(12) 하부에 형성된 바이저(20); 및 상기 바이저(20) 하부에 형성된 바이저 공기 유입부(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저 공기 유입부(22)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저면 유입부(34)를 통해 상기 제3 통풍홈(32c)으로 이동할 수 있다.a visor 20 formed under the main inlet 12; and a visor air inlet 22 formed under the visor 20 . The air passing through the visor air inlet 22 may move to the third ventilation groove 32c through the bottom inlet 34 .

상기 완충부(30)의 내측에는 배치된 내피(40)는 착용자의 머리카락이 상기 제1 통풍홈(32a) 및 상기 제2 통풍홈(32b)을 막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상기 내피(40) 상에 형성된 공기 전송 튜브(42)는 상기 제1 통풍홈(32a) 및 상기 제2 통풍홈(32b)에 삽입되어 헬멧으로 유입된 공기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내피(40)에 형성된 개구부(44)는 상기 공기 전송 튜브(42)와 연통되어 유입된 공기 일부를 착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endothelium 40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buffer part 30 may prevent the wearer's hair from blocking the first ventilation groove 32a and the second ventilation groove 32b. The air transmission tube 42 formed on the endothelium 4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ventilation groove 32a and the second ventilation groove 32b to transmi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helmet. The opening 44 formed in the endothelium 40 communicates with the air transmission tube 42 to provide a portion of the introduced air to the wearer.

소정의 개구 패턴을 남기고 상기 메인 유입부(12)를 차단하는 메인 차단부(13a); 소정의 개구 패턴을 가지며 상기 메인 차단부(13a)의 전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딩 차단부(13b); 및 상기 슬라이딩 차단부(13b)에 결합된 조작부(13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3d)의 좌우 이동으로 상기 메인 유입부(12)가 개폐될 수 있다.a main blocking portion 13a that blocks the main inlet 12 while leaving a predetermined opening pattern; a sliding blocking portion (13b) having a predetermined opening pattern and slidably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locking portion (13a); and a manipulation unit 13d coupled to the sliding blocking unit 13b. The main inlet 12 may be opened and closed by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manipulation unit 13d.

상기 메인 유입부(12) 하부에 형성된 바이저(20); 및 상기 바이저(20) 하부에 형성된 바이저 공기 유입부(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저면 유입부(34)가 상기 완충부(30)의 전방 하단 내측면에 착용자의 얼굴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이저 공기 유입부(22)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저면 유입부(34)를 통해 상기 헬멧 내로 유입될 수 있다.a visor 20 formed under the main inlet 12; and a visor air inlet 22 formed under the visor 20 . And the bottom inlet 34 may be formed around the wearer's fac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lower end of the buffer part (30). Accordingly, the air passing through the visor air inlet 22 may be introduced into the helmet through the bottom inlet 34 .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구체적인 내용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토바이용 헬멧에 의하면, 외피 전면에 형성된 메인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완충부에 형성된 제1 통풍홈, 제2 통풍홈 및 제3 통풍홈을 통해 상부 배출부 또는 하부 배출부로 이동하며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여름철 헬멧 내의 온도를 낮추게 된다. 특히 메인 유입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 중 제1 통풍홈을 통해 이동하는 공기는 가속 유입부를 통해 추가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빠르게 가속되어 상부 배출부를 통해 배출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otorcycle helm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main inlet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skin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ventilation groove, the second ventilation groove, and the third ventilation groove formed in the buffer portion, the upper exhaust portion or It moves to the lower discharge part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reby lower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helmet in summer. In particular, the air moving through the first ventilation groove among the external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inlet is rapidly accelerated by the additional air introduced through the acceleration inlet and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outlet.

또한 외부 공기는 외피에 형성된 메인 유입부 및 가속 유입부 외에 착용자의 얼굴 주변에 완충부에 형성된 저면 유입부를 통해서도 헬멧 내부로 유입된다. 또한 유입된 공기는 상부 배출부 및 하부 배출부 외에 착용자의 뒷목 주변에 완충부에 형성된 저면 배출부를 통해서도 헬멧 외부로 배출된다.In addition,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helmet through the bottom inlet formed in the buffer part around the wearer's face in addition to the main inlet and the acceleration inlet formed in the outer skin. In addition, the introduc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elmet through the bottom discharge unit formed in the buffer unit around the wearer's back neck in addition to the upper discharge unit and the lower discharge unit.

또한 메인 유입부 하부에 햇빛 차단을 위해 바이저가 설치되고, 바이저 하부에 형성된 바이저 공기 유입부가 저면 유입부와 연통하게 배치됨으로써 외부 공기가 바이저 공기 유입부 및 저면 유입부를 통해 제3 통풍홈으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In addition, a visor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main inlet to block sunlight, and the visor air inlet formed under the visor is arranged in communication with the bottom inlet, so that outside air flows smoothly into the third ventilation groove through the visor air inlet and the bottom inlet. can be impor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헬멧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오토바이용 헬멧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오토바이용 헬멧의 부분 절개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오토바이용 헬멧의 부분 절개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오토바이용 헬멧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오토바이용 헬멧에서 내부 공기 흐름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헬멧의 완충부 및 내피를 절개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완충부 및 내피를 결합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헬멧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헬멧의 절개 저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오토바이용 헬멧의 단면도이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helmet for a motorcy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helmet for a motorcycle of Figure 1;
3 is a partially cut-away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motorcycle helmet of FIG. 1 .
4 is a partially cut-away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motorcycle helmet of FIG. 1 .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torcycle helmet of FIG. 1 .
6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n internal air flow in the motorcycle helmet of FIG. 1 .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uffer part and the endothelium of the helmet for a motorcyc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buffer unit and the endothelium of FIG. 7 are combined.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torcycle helme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ut-away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motorcycle helme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torcycle helmet of FIG. 10 .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헬멧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헬멧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오토바이용 헬멧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오토바이용 헬멧의 부분 절개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오토바이용 헬멧의 부분 절개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오토바이용 헬멧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오토바이용 헬멧에서 내부 공기 흐름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Hereinafter, a helmet for a motorcy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helmet for a motorcy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helmet for a motorcycle of Figure 1; 3 is a partially cut-away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motorcycle helmet of FIG. 1 . 4 is a partially cut-away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motorcycle helmet of FIG. 1 .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torcycle helmet of FIG. 1 . 6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n internal air flow in the motorcycle helmet of FIG. 1 .

본 실시예의 오토바이용 헬멧(100)은 통기성이 강화된 헬멧으로서, 외피(10) 및 완충부(30)를 포함한다.The helmet 100 for a motorcycle of this embodiment is a helmet with enhanced ventilation, and includes an outer shell 10 and a buffer part 30 .

외피(10)는 경지 재질로 이루어져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외피(10)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C(Polycarbonate),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GRP,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카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헬멧(100)의 공기 유입 및 배출 효율을 높이기 위해 외피(10)의 외주면을 따라 전방에서 후방에 이르는 동일 선 상에 메인 유입부(12), 가속 유입부(14), 상부 배출부(16) 및 하부 배출부(18)가 순차적으로 형성된다.The outer shell 10 is made of hardwood material to form the overall appearance. For example, the outer shell 10 may be made of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polycarbonate (PC),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FGRP,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carbon, or the like. The main inlet 12, the acceleration inlet 14, and the upper outlet 16 on the same line from the front to the rear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kin 10 in order to increase the air inlet and outlet efficiency of the helmet 100 And the lower discharge portion 18 is sequentially formed.

메인 유입부(12)는 외피(10) 전면에 형성된 공기 유입 통로이다. 가속 유입부(14)는 외피(10) 전면에 메인 유입부(12) 상부에 형성된 공기 유입 통로이며, 메인 유입부(12)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를 헬멧(100) 내에서 가속시키기 위해 외부 공기가 가속 유입부(14)를 통해 추가로 유입된다. 가속 유입부(14)는 메인 유입부(12)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in inlet 12 is an air inlet passag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hell 10 . The acceleration inlet 14 is an air inlet passage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main inlet 12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hell 10 , and is external to accelerate the external air introduced through the main inlet 12 in the helmet 100 . Air is additionally introduced via the acceleration inlet 14 . The acceleration inlet 14 is preferably formed in a smaller size than the main inlet 12 .

메인 유입부(12) 및 가속 유입부(14)를 통해 헬멧(100) 내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상부 배출부(16) 및 하부 배출부(1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부 배출부(16)는 외피(10) 후면에 형성된 공기 배출 통로이다. 하부 배출부(18)는 외피(10) 후면에 상부 배출부(16) 하부에 형성된 공기 배출 통로이다.External air introduced into the helmet 100 through the main inlet 12 and the acceleration inlet 14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upper outlet 16 and the lower outlet 18 . The upper exhaust portion 16 is an air exhaust passag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hell 10 . The lower discharge unit 18 is an air discharge passage formed under the upper discharge unit 16 on the rear surface of the shell 10 .

완충부(30)는 외피(10) 내에서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외부 충격을 흡수한다. 예를 들어 완충부(30)는 EPS(Expanded PolyStyrene, 발포 폴리스티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uffer unit 30 is disposed to cover the wearer's head within the outer shell 10 and absorbs external shocks. For example, the buffer unit 30 may be made of expanded polystyrene (EPS) or the like.

완충부(30)의 내측면에는 유입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1 통풍홈(32a), 제2 통풍홈(32b) 및 제3 통풍홈(32c)이 형성된다. 제1 통풍홈(32a), 제2 통풍홈(32b) 및 제3 통풍홈(32c)은 완충부(30)와 착용자의 머리 사이에 공기 유로를 형성하여, 메인 유입부(12) 및 가속 유입부(14)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제1 통풍홈(32a), 제2 통풍홈(32b) 및 제3 통풍홈(32c)를 경유하여 상부 배출부(16) 및 하부 배출부(1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 동안 유입 공기에 의해 헬멧(100) 내부의 온도가 떨어지게 된다. 헬멧(100) 내부에서 유입 공기의 흐름 또는 유속이 빠를수록 헬멧(100) 내 온도를 더욱 낮게 유지할 수 있다.A first ventilation groove (32a), a second ventilation groove (32b) and a third ventilation groove (32c) for discharging the inlet air to the outside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uffer unit 30 . The first ventilation groove (32a), the second ventilation groove (32b), and the third ventilation groove (32c) form an air flow path between the buffer unit 30 and the wearer's head, the main inlet 12 and the accelerated inflow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part 14 passes through the first ventilation groove 32a, the second ventilation groove 32b, and the third ventilation groove 32c through the upper exhaust part 16 and the lower exhaust part 18.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In the meantime, the temperature inside the helmet 100 is lowered by the inlet air. The higher the flow or velocity of the inflow air inside the helmet 100 , the lower the temperature in the helmet 100 may be maintained.

착용자의 얼굴 주변, 즉 완충부(30)의 전방 하단 내측면에는 저면 유입부(34)가 형성된다. 따라서 착용자의 얼굴에 부딪는 외부 공기를 저면 유입부(34)를 통해 헬멧(100) 내부로 자연스럽게 유입된다.A bottom inlet 34 is formed around the wearer's face, that is, on the front lower inner surface of the buffer unit 30 . Therefore, the external air hitting the wearer's face is naturally introduced into the helmet 100 through the bottom inlet 34 .

착용자의 뒷목 주변, 즉 완충부(30)의 후방 하단 내측면에는 저면 배출부(36)가 형성된다. 헬멧(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부 배출부(16) 및 하부 배출부(18) 외에 저면 배출부(36)를 통해서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 bottom discharge part 36 is formed around the wearer's back neck, that is, on the rear lower inner surface of the buffer part 30 . The air introduced into the helmet 10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ottom discharge unit 36 in addition to the upper discharge unit 16 and the lower discharge unit 18 .

본 발명은 헬멧(100) 내 유입 공기의 유속을 높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특별한 구조를 채택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adopts the following special structure in order to increase the flow rate of the inlet air in the helmet 100 .

첫째, 외피(10)의 외주면 상에 메인 유입부(12), 가속 유입부(14), 상부 배출부(16) 및 하부 배출부(18)가 일렬로 형성된다.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메인 유입부(12) 및 가속 유입부(14)는 외피(10)의 전방에 형성되고, 유입 공기가 배출되는 상부 배출부(16) 및 하부 배출부(18)는 외피(10)의 후방에 형성된다.First, the main inlet 12 , the accelerated inlet 14 , the upper outlet 16 and the lower outlet 18 are formed in a lin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ell 10 . The main inlet 12 and the acceleration inlet 14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are formed in front of the outer shell 10, and the upper outlet 16 and the lower outlet 18 through which the inlet air is discharged are formed in the outer shell ( 10) is formed in the rear.

둘째, 헬멧(100) 내에서 유입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도록 제1 통풍홈(32a), 제2 통풍홈(32b) 및 제3 통풍홈(32c)을 통해 메인 유입부(12), 가속 유입부(14), 상부 배출부(16) 및 하부 배출부(18)가 서로 유기적으로 연통되어 있다.Second, the main inlet 12, accelerated inflow through the first ventilation groove 32a, the second ventilation groove 32b, and the third ventilation groove 32c to facilitate the flow of the inflow air within the helmet 100. The portion 14, the upper discharge portion 16, and the lower discharge portion 18 are in organic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구체적으로, 제1 통풍홈(32a)은 메인 유입부(12), 가속 유입부(14) 및 상부 배출부(16)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한다. 제1 통풍홈(32a)은 완충부(3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유입부(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제1 통풍홈(32a)을 따라 흐르다가 가속 유입부(14)를 통해 추가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가속되어 최종적으로 상부 배출부(1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Specifically, the first ventilation groove 32a forms an air flow path that sequentially connects the main inlet 12 , the acceleration inlet 14 , and the upper outlet 16 . The first ventilation groove (32a)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uffer (30). Therefore,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main inlet 12 flows along the first ventilation groove 32a, and is accelerated by the additional air introduced through the acceleration inlet 14 to finally remove the upper outlet 16.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제2 통풍홈(32b)은 메인 유입부(12)와 상부 배출부(16)를 직접 연결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한다. 제2 통풍홈(32b)은 가속 유입부(14)와 연통되지 않기 때문에 제1 통풍홈(32a)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통풍홈(32b)은 완충부(30)의 양 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유입부(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제2 통풍홈(32b)을 따라 흐르다가 바로 상부 배출부(1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The second ventilation groove 32b forms an air passage directly connecting the main inlet 12 and the upper outlet 16 . Since the second ventilation groove 32b does not communicate with the acceleration inlet 14, it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ventilation groove 32a. That is, the second ventilation grooves 32b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uffer unit 30 . Accordingly,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main inlet 12 flows along the second ventilation groove 32b, and is immediate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upper outlet 16 .

제3 통풍홈(32c)은 메인 유입부(12), 저면 유입부(34), 저면 배출부(36) 및 하부 배출부(18)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한다. 제3 통풍홈(32c)은 제2 통풍홈(32b)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통풍홈(32c)은 완충부(30)의 양 측부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제3 통풍홈(32c)을 따라 흐르다가 저면 유입부(34)를 통해 추가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가속되어 최종적으로 저면 배출부(36) 및 하부 배출부(1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The third ventilation groove 32c forms an air flow path sequentially connecting the main inlet 12 , the bottom inlet 34 , the bottom outlet 36 and the lower outlet 18 . The third ventilation groove 32c may be formed under the second ventilation groove 32b. That is, the third ventilation groove (32c)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both sides of the buffer unit (30). Therefore,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main inlet flows along the third ventilation groove 32c, and is accelerated by the air additionally introduced through the bottom inlet 34, and finally the bottom outlet 36 and the lower outlet ( 18)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헬멧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헬멧의 완충부 및 내피를 절개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완충부 및 내피를 결합한 저면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제1 실시예의 도면(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각 부재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재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구성은 내피 관련 구성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다.Hereinafter, a helmet for a motorcy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uffer part and the endothelium of the helmet for a motorcyc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buffer unit and the endothelium of FIG. 7 are combin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 as each member shown in the drawings ( FIGS. 1 to 6 ) of the first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and differences will be mainly described below.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except for the endothelial-related configuration.

통풍홈에 착용자의 머리카락이 들어가면 헬멧(100) 내 유입 공기의 유속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완충부(30)의 내측에는 내피(40)가 배치되어 착용자의 머리카락이 제1 통풍홈(32a), 제2 통풍홈(32b) 및 제3 통풍홈(32c)을 막는 것을 저지한다. If the wearer's hair enters the ventilation groove, it causes the flow rate of the inflow air in the helmet 100 to drop. ), to block the second ventilation groove (32b) and the third ventilation groove (32c).

내피(40) 상부에는 형성된 공기 전송 튜브(42)는 전체적으로 튜브 형상을 가지며 제1 통풍홈(32a), 제2 통풍홈(32b) 및 제3 통풍홈(32c)에 삽입되어 헬멧으로 유입된 공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The air transmission tube 42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endothelium 40 has an overall tube shape and is inserted into the first ventilation groove 32a, the second ventilation groove 32b and the third ventilation groove 32c,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helmet serves to convey

또한 내피(40)에는 형성된 개구부(44)는 공기 전송 튜브(42)와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통풍홈 또는 공기 전송 튜브(42)를 통해 흐르는 유입 공기 중 일부가 착용자의 머리로 공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ning 44 formed in the endothelium 4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transmission tube (42). Accordingly, some of the inflow air flowing through the ventilation groove or air transmission tube 42 may be supplied to the wearer's head.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헬멧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헬멧의 분해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제1 실시예의 도면(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각 부재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재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helmet for a motorcyc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9 .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torcycle helme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 as each member shown in the drawings ( FIGS. 1 to 6 ) of the first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and differences will be mainly described below.

헬멧(100) 내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기 위해, 메인 차단부(13a), 슬라이딩 차단부(13b), 유입부 그릴(13c) 및 조작부(13d)가 메인 유입부(12)에 설치된다.In order to control the amount of air flowing into the helmet 100 , a main blocking part 13a , a sliding blocking part 13b , an inlet grill 13c and an operation part 13d are installed in the main inlet 12 .

메인 차단부(13a)는 소정의 개구 패턴(opening pattern)을 남기고 메인 유입부(12)를 차단한다. 슬라이딩 차단부(13b)는 소정의 개구 패턴을 가지며 메인 차단부(13a)의 전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유입부 그릴(13c)은 가로 방향의 그릴로 이루어져 슬라이딩 차단부(13b)의 전면에 배치된다. 조작부(13d)는 유입부 그릴(13c) 전방에 배치되어 유입부 그릴(13c)을 관통하여 슬라이딩 차단부(13b)에 결합된다. 따라서 착용자가 유입부 그릴(13c)을 따라 조작부(13d)를 좌우로 이동시키면 슬라이딩 차단부(13b)가 좌우로 이동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메인 유입부(12)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The main blocking part 13a blocks the main inlet part 12 while leaving a predetermined opening pattern. The sliding blocking portion 13b has a predetermined opening pattern and is slidably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locking portion 13a. The inlet grill 13c is formed of a horizontal grill and is disposed in front of the sliding blocking part 13b. The manipulation unit 13d is disposed in front of the inlet grill 13c, passes through the inlet grill 13c, and is coupled to the sliding blocking part 13b. Accordingly, when the wearer moves the operation unit 13d from side to side along the inlet grill 13c, the sliding blocking unit 13b moves to the left and right, thereb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main inlet 12 as a whole.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헬멧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헬멧의 절개 저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오토바이용 헬멧의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제1 실시예의 도면(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각 부재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재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motorcycle helme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 10 is a cut-away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motorcycle helme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torcycle helmet of FIG. 10 .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 as each member shown in the drawings ( FIGS. 1 to 6 ) of the first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and differences will be mainly described below.

본 실시예에서는 헬멧(100)의 전방 하단에 바이저(20)가 설치되어 착용자 시야를 방해하는 햇빛을 차단한다. 바이저(20)는 메인 유입부(12) 하부에 형성된다. 바이저(20) 하부에는 바이저 공기 유입부(22)가 형성된다. 바이저 공기 유입부(22)를 통과한 공기는 완충부(30)의 저면 유입부(34)를 통해 헬멧(100) 내부로, 구체적으로 제3 통풍홈(32c)으로 이동하게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visor 20 is installed at the lower front of the helmet 100 to block sunlight that obstructs the wearer's view. The visor 20 is formed under the main inlet 12 . A visor air inlet 22 is formed below the visor 20 .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visor air inlet 22 moves into the helmet 100 through the bottom inlet 34 of the buffer 30, specifically, into the third ventilation groove 32c.

따라서 본 실시예의 바이저(20)는 햇빛 차단 목적 이외에도 바이저 공기 유입부(22)와 함께 헬멧(100) 내로 공기 유입을 강화하여 헬멧(100) 내부 온도를 낮출 수 있다.Therefore, the visor 2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lower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helmet 100 by strengthening the inflow of air into the helmet 100 together with the visor air inlet 22 in addition to the purpose of blocking sunlight.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real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 외피
12: 메인 유입부
13a: 메인 차단부
13b: 슬라이딩 차단부
13c: 유입부 그릴
13d: 조작부
14: 가속 유입부
16: 상부 배출부
18: 하부 배출부
20: 바이저
22: 바이저 공기 유입부
30: 완충부
32a: 제1 통풍홈
32b: 제2 통풍홈
32c: 제3 통풍홈
34: 저면 유입부
36: 저면 배출부
40: 내피
42: 공기 전송 튜브
44: 개구부
100: 헬멧
10: integument
12: main inlet
13a: main block
13b: sliding block
13c: inlet grill
13d: control panel
14: acceleration inlet
16: upper discharge part
18: lower outlet
20: visor
22: visor air inlet
30: buffer
32a: first ventilation groove
32b: second ventilation groove
32c: third ventilation groove
34: bottom inlet
36: bottom discharge part
40: endothelium
42: air transmission tube
44: opening
100: helmet

Claims (5)

통기성이 강화된 오토바이용 헬멧으로서,
외피(10); 및 상기 외피(10) 내에서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30)를 포함하되,
상기 외피(10)는, 전면에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메인 유입부(12); 전면에 상기 메인 유입부(12)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메인 유입부(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가속시키도록 외부 공기가 추가로 유입되는 가속 유입부(14); 후면에 형성되어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상부 배출부(16); 및 후면에 상기 상부 배출부(16)의 하부에 형성되어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하부 배출부(18)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유입부(12), 상기 가속 유입부(14), 상기 상부 배출부(16) 및 상기 하부 배출부(18)는 공기 유입 및 배출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외피(10)의 외주면을 따라 동일 선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완충부(3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1 통풍홈(32a) 및 제2 통풍홈(32b)은 상기 완충부(30)와 착용자의 머리 사이에 공기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1 통풍홈(32a)은 상기 메인 유입부(12), 상기 가속 유입부(14) 및 상기 상부 배출부(16)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2 통풍홈(32b)은 상기 메인 유입부(12)와 상기 상부 배출부(16)를 직접 연결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오토바이용 헬멧.
As a motorcycle helmet with enhanced breathability,
sheath (10); and a buffer part 30 disposed to cover the wearer's head within the outer shell 10 to absorb shock,
The outer shell 1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the main inlet 12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an acceleration inlet 14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inlet 12 and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additionally introduced to accelerate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main inlet 12; an upper discharge unit 16 formed on the rear surface to discharge the introduced air; and a lower discharge unit 18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discharge unit 16 on the rear side and through which the introduced air is discharged,
The main inlet 12 , the acceleration inlet 14 , the upper outlet 16 and the lower outlet 18 are the same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ell 10 to increase air inlet and outlet efficiency. placed sequentially on the line,
The first ventilation groove (32a) and the second ventilation groove (32b)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uffer part 30 form an air flow path between the buffer part 30 and the wearer's head,
the first ventilation groove (32a) forms an air flow path that sequentially connects the main inlet (12), the acceleration inlet (14) and the upper outlet (16); The second ventilation groove (32b) forms an air flow path that directly connects the main inlet (12) and the upper outlet (16).
제1항에 있어서,
저면 유입부(34)가 상기 완충부(30)의 전방 하단 내측면에 착용자의 얼굴 주변에 형성되고,
저면 배출부(36)가 상기 완충부(30)의 후방 하단 내측면에 착용자의 뒷목 주변에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3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3 통풍홈(32c)은 상기 메인 유입부(12), 상기 저면 유입부(34), 상기 저면 배출부(36) 및 상기 하부 배출부(18)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헬멧.
According to claim 1,
A bottom inlet 34 is formed around the wearer's face on the front lower inner surface of the buffer 30,
A bottom discharge part 36 is formed around the wearer's back neck on the rear lower inner surface of the buffer part 30,
The third ventilation groove 32c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uffer part 30 is the main inlet 12 , the bottom inlet 34 , the bottom outlet 36 and the lower outlet 18 . A helmet for a motorcycle, characterized in that it forms an air flow path that sequentially connects th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30)의 내측에는 배치된 내피(40)는 착용자의 머리카락이 상기 제1 통풍홈(32a) 및 상기 제2 통풍홈(32b)을 막는 것을 저지하고,
상기 내피(40) 상에 형성된 공기 전송 튜브(42)는 상기 제1 통풍홈(32a) 및 상기 제2 통풍홈(32b)에 삽입되어 헬멧으로 유입된 공기를 전달하고,
상기 내피(40)에 형성된 개구부(44)는 상기 공기 전송 튜브(42)와 연통되어 유입된 공기 일부를 착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헬멧.
According to claim 1,
The endothelium 40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buffer unit 30 prevents the wearer's hair from blocking the first ventilation groove 32a and the second ventilation groove 32b,
The air transmission tube 42 formed on the endothelium 40 is inserted into the first ventilation groove 32a and the second ventilation groove 32b to deliver the air introduced into the helmet,
The opening 44 formed in the endothelium 40 communicates with the air transmission tube 42 to provide a part of the introduced air to the wearer.
제1항에 있어서,
소정의 개구 패턴을 남기고 상기 메인 유입부(12)를 차단하는 메인 차단부(13a); 소정의 개구 패턴을 가지며 상기 메인 차단부(13a)의 전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딩 차단부(13b); 및 상기 슬라이딩 차단부(13b)에 결합된 조작부(13d)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13d)의 좌우 이동으로 상기 메인 유입부(12)가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헬멧.
According to claim 1,
a main blocking portion 13a that blocks the main inlet 12 while leaving a predetermined opening pattern; a sliding blocking portion (13b) having a predetermined opening pattern and slidably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locking portion (13a); And further comprising a manipulation unit (13d) coupled to the sliding blocking unit (13b),
The helmet for a motorcy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inlet (12) is opened and closed by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operation unit (13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입부(12) 하부에 형성된 바이저(20); 및 상기 바이저(20) 하부에 형성된 바이저 공기 유입부(22)를 더 포함하고,
저면 유입부(34)가 상기 완충부(30)의 전방 하단 내측면에 착용자의 얼굴 주변에 형성되고,
상기 바이저 공기 유입부(22)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저면 유입부(34)를 통해 상기 헬멧 내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헬멧.
According to claim 1,
a visor 20 formed under the main inlet 12; and a visor air inlet 22 formed under the visor 20,
A bottom inlet 34 is formed around the wearer's face on the front lower inner surface of the buffer 30,
The motorcycle helmet,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visor air inlet (22) is introduced into the helmet through the bottom inlet (34).
KR1020200177394A 2020-12-17 2020-12-17 Motorcycle helmet with enhanced ventilation KR1024953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394A KR102495320B1 (en) 2020-12-17 2020-12-17 Motorcycle helmet with enhanced ventil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394A KR102495320B1 (en) 2020-12-17 2020-12-17 Motorcycle helmet with enhanced ventil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057A true KR20220087057A (en) 2022-06-24
KR102495320B1 KR102495320B1 (en) 2023-02-06

Family

ID=82215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394A KR102495320B1 (en) 2020-12-17 2020-12-17 Motorcycle helmet with enhanced ventil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532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9099A (en) * 1982-09-03 1985-05-28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Helmet
JPH07243115A (en) * 1994-02-28 1995-09-19 Yamaha Motor Co Ltd Ventilation structure of helmet
KR20010002654A (en) * 1999-06-16 2001-01-15 박수안 The ventilation open/close device of helmet
KR20130016060A (en) * 2011-08-03 2013-02-14 옵티코스 에스.알.엘. Safety helmet with ventilation mea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9099A (en) * 1982-09-03 1985-05-28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Helmet
JPH07243115A (en) * 1994-02-28 1995-09-19 Yamaha Motor Co Ltd Ventilation structure of helmet
KR20010002654A (en) * 1999-06-16 2001-01-15 박수안 The ventilation open/close device of helmet
KR20130016060A (en) * 2011-08-03 2013-02-14 옵티코스 에스.알.엘. Safety helmet with ventilation mea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5320B1 (en) 202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6520A (en) Ventilating device for helmet
CA2336548C (en) Helmet with ventilation for fog management and respiration
US5412810A (en) Helmet for riding vehicle
EP0261299B1 (en) Safety helmet
US20060031978A1 (en) Ventilated helmet system
US20070094769A1 (en) Helmet having temple intake ports
CN110381763A (en) The helmet with sectionalized casing
ITBG20110046U1 (en) HELMET WITH REMOVABLE CHIN
TWD207408S (en) Helmet for motorcyclists
CN201563687U (en) Impact-proof ventilating safety helmet
KR20220087057A (en) Motorcycle helmet with enhanced ventilation
US20230180880A1 (en) Helmet with ventilation control
CN209965347U (en) Safety communication helmet for aviation
KR20200052179A (en) Motorcycle helmet with ventilation control function
US20220346485A1 (en) Head safety device
CN205547526U (en) Novel safety protection motorcycle helmet
CN213154298U (en) Polymer injection molding technology helmet with heat dissipation function
CN208160143U (en) A kind of off-road motorcycle helmet
CN205611875U (en) Integral type ventilation helmet
JPH0116746Y2 (en)
CN213720227U (en) Ventilation gear adjustable full helmet type helmet
KR100672807B1 (en) Full face type helmet
CN207678911U (en) Safety helmet for bicycle
EP1346654B1 (en) Helmet
JPH0987919A (en) Helmet provided with venti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