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6863A - A heavy-duty tires for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belt part - Google Patents

A heavy-duty tires for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belt pa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6863A
KR20220086863A KR1020200177044A KR20200177044A KR20220086863A KR 20220086863 A KR20220086863 A KR 20220086863A KR 1020200177044 A KR1020200177044 A KR 1020200177044A KR 20200177044 A KR20200177044 A KR 20200177044A KR 20220086863 A KR20220086863 A KR 20220086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tread
tire
durability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0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63566B1 (en
Inventor
진용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7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566B1/en
Publication of KR20220086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8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5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18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 B60C9/1835Rubber strips or cushions at the belt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1Shape of the shoulders between tread and sidewall, e.g. rounded, stepped or cantilev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18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 B60C9/1835Rubber strips or cushions at the belt edges
    • B60C2009/1842Width or thickness of the strips or cush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18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 B60C9/20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built-up from rubberised plies each having all cord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 B60C2009/2038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built-up from rubberised plies each having all cord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using lateral belt strips at belt edges, e.g. edge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18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 B60C9/20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built-up from rubberised plies each having all cord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 B60C2009/2061Physical properties or dimensions of the belt coating rub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6Optimisation of rolling resistance, e.g. weight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부, 벨트부의 상부에 적층되는 서브트레드, 벨트부와 서브트레드 사이에 삽입되는 고무층, 서브트레드의 상부에 적층되고 서브트레드와 캡 트레드 사이에 위치하는 화이트러버 및 화이트러버의 상부에 적층되는 캡 트레드를 포함하고, 고무층은 벨트부의 타측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됨에 따라 벨트부 및 타이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중하중용 타이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lt part, a sub-tread lamin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elt part, a rubber layer inserted between the belt part and the sub-tread, a white rubber lamin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b-tread and positioned between the sub-tread and the cap tread, and the upper part of the white rubber. Provided is a heavy-duty tire comprising a stacked cap tread, wherein the rubber layer is form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belt portion,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of the belt portion and the tire.

Description

벨트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중하중용 타이어{A heavy-duty tires for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belt part}{A heavy-duty tires for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belt part}

본 발명은 벨트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중하중용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벨트부의 타측부에 발생할 수 있는 크랙 및 박리현상을 방지하는 벨트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중하중용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vy-duty tire that improves the durability of the belt,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vy-duty tire that improves the durability of the belt, which prevents cracks and peeling that may occur on the other side of the belt.

종래의 중하중용 타이어에 구비된 트레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트래드 및 서브 트레드로 이루어져 있고, 이를 1개의 반제품으로 타이어의 트레드를 제조했다.As shown in FIG. 1, the tread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heavy-duty tire consists of a cap tread and a sub-tread, and the tread of the tire was manufactured by using one semi-finished product.

상기한 구조에 따라 제조된 중하중용 래디얼 타이어는 통상적으로 도 2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4 장의 벨트 중 타이어의 가운데에 있는 2장의 벨트 끝단 부위가 구조적으로 취약하다. As shown in FIGS. 2(a) and 2(b), in a radial tire for heavy load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the ends of the two belts in the middle of the four belts are structurally weak.

만약, 타이어 내압이 있는 상태에서 하중이 작용하면 도 2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벨트의 끝단부의 변형 에너지 밀도(Strain Energy Desity)가 가장 높다. 이로 인해서 2장의 벨트 사이에 있는 고무에서 크랙이 발생하고, 크랙이 벨트 라인을 따라 진전되어 사고가 발생된다.If a load is applied in a state where the tire internal pressure is present, as shown in FIGS. As a result, a crack occurs in the rubber between the two belts, and the crack propagates along the belt line, causing an accident.

또한, 상기한 구조에 따른 타이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현상이 심화됨에 따라 타이어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 the tire 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has a problem in that the durability of the tire is deteriorated as the separation phenomenon is deepened.

상기한 종래기술을 해소하기 위해 제2, 3 벨트 사이에 에지 스트립(Edge Strip)으로 전단 변형(Shear Strain)을 줄여주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으나, 이러한 기술만으로는 3개의 벨트 위에서 시작되는 크랙을 효과적으로 줄여줄 수 없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a technology for reducing shear strain with an edge strip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belts has been disclosed, but only this technology effectively reduces cracks starting on the three belts can't give

한편, 중하중용 타이어를 재생하기 위한 리그루빙 시, 작업자가 트레드의 그루브를 더 깊게 파거나, 트레드를 갈아야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Meanwhile, when regrooving to regenerate heavy-duty tires, it is necessary for the operator to dig deeper into the groove of the tread or to grind the tread.

특히, TBR 타이어의 경우 재생과 리그루빙을 위해서 작업자가 일정기간 사용 후에 트레드 부분의 작업이 필요하다. 재생을 위한 버핑(Buffing)의 경우 남아 있는 트레드 부분을 갈아내는 작업이 필요한데, 보편적으로 최외각 벨트에서 5mm까지 트레드를 제거한 후에 재생 트레드를 접합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BR tires, for regeneration and regrooving, the operator needs to work on the tread after using i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the case of buffing for regeneration, it is necessary to grind the remaining tread, and in general, after removing the tread up to 5mm from the outermost belt, the regeneration tread is joined.

한편, 리그루빙 같은 경우는 작업자가 마모 말기에 2~5mm 정도 더 사용할 용도로 리그루빙 작업을 하여 추가적으로 사용을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re-grooving, the operator additionally uses the re-grooving operation for the purpose of using 2 to 5 mm more at the end of wear.

상기한 버핑 및 리그루빙 모두 타이어의 최외각 벨트가 그 경계를 이루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러한 경계선을 육안으로 확인을 하기는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both buffing and regrooving, the boundary is generally formed by the outermost belt of the tire,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visually confirm the boundary line.

또한, 종래에는 트레드의 추가 작업에 대한 깊이에 대해서만 가이드를 줄 뿐 타이어에 직접적으로 표시가 없어서 사용자가 감으로 파악을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prior ar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user had to grasp by feeling because only a guide was provided for the depth of the additional operation of the tread and there was no direct mark on the tire.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0436494호(2007.08.22.)(Patent Document 1)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436494 (2007.08.22.)

(특허문헌 2)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78993호(2013.07.10.)(Patent Document 2)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78993 (2013.07.10.)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캡 트래드와 서브 트래드 사이에 화이트러버를 삽입하고 서브트레드, 고무층 및 화이트러버로 이루어져 멀티 레이어를 갖는 멀티 트레드를 사용하며 고무층이 벨트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사도록 형성되어 벨트부의 타측부부에서 스틸코드와 고무의 박리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벨트부의 타측부의 초기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크랙이 발생하더라도 크랙 성장을 방지함에 따라 벨트부 및 타이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벨트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중하중용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insert a white rubber between the cap tread and the sub-tread, use a multi-tread having a multi-layer consisting of a sub-tread, a rubber layer, and a white rubber, and the rubber layer to at least a part of the belt part It is formed in such a way that it prevents the peeling of steel cord and rubber from the other side of the belt, and at the same time prevents the occurrence of initial cracks on the other side of the belt. It is to provide a tire for heavy load that improves the durability of the belt portion that improves the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화이트러버와 상기 캡 트레드 사이에 버핑 가이드라인이 형성되고, 다수의 그루브의 하부와 인접한 부분에 다수의 트레드블록 중 이웃하는 트레드블록의 측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과 버핑 가이드라인이 이루는 리그루빙 가이드라인이 형성됨에 따라 버핑 및 리그루빙 시 작업자가 육안으로 버핑 가이드라인이나 리그루빙 가이드라인을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함에 따라 타이어의 재생성능을 향상시키는 벨트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중하중용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 is that a buffing guide line is formed between the white rubber and the cap tread,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grooves and the adjacent portion of the adjacent tread block of the plurality of tread blocks are formed. As the regrooving guideline formed by the imaginary lin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side and the buffing guideline is formed, tire regeneration performance by supporting the operator to visually check the buffing guideline or regrooving guideline during buffing and regrooving It is to provide a tire for heavy load that improves the durability of the belt portion that improves th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벨트부; 상기 벨트부의 상부에 적층되는 서브트레드; 상기 벨트부와 상기 서브트레드 사이에 삽입되는 고무층; 상기 서브트레드의 상부에 적층되고 상기 서브트레드와 상기 캡 트레드 사이에 위치하는 화이트러버; 및 상기 화이트러버의 상부에 적층되는 캡 트레드;를 포함하고, 상기 고무층은 상기 벨트부의 타측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기 벨트부 및 타이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중하중용 타이어를 제공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elt unit; a sub-tread stacked on the belt part; a rubber layer inserted between the belt part and the sub-tread; a white rubber laminated on the sub-tread and positioned between the sub-tread and the cap tread; and a cap tread lamin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hite rubber, wherein the rubber layer is form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belt portion,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belt portion and the tire. It provides a tire for heavy duty that improv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는, 제1 벨트; 상기 제1 벨트의 상부에 적층되고, 타측부가 상기 제1 벨트의 타측부보다 길게 형성되는 제2 벨트; 상기 제2 벨트의 상부에 적층되고, 타측부가 상기 제2 벨트의 타측부보다 짧게 형성되는 제3 벨트; 및 상기 제3 벨트의 상부에 적층되고 상기 서브트레드와 밀착되며 타측부가 상기 제1 벨트의 타측부보다 짧게 형성되는 는 제4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고무층은 상기 제2, 3 벨트의 타측부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면서 상기 제4 벨트의 타단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lt portion, a first belt; a second belt lamin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belt and having a second side portion longer than the other side portion of the first belt; a third belt lamin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elt and having a second side portion shorter than the other side portion of the second belt; and a fourth belt lamin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third belt, in close contact with the sub-tread, and having the other side shorter tha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elt, wherein the rubber layer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and third belts.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fourth belt while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ide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무층은 밀폐제(Sealant) 및 코발트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ubber layer may include a sealant and a cobalt sal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발트염의 함량은 1 PHR내지 5 PHR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the cobalt sal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1 PHR to 5 PH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밀폐제의 폭은 5mm 내지 30mm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the sealan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5mm to 30mm.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무층의 측면은 직사각형 또는 사다리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surface of the rubber layer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rectangular or trapezoidal shap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무층의 폭은 50mm 내지 80mm이고, 상기 고무층의 두께는 1mm 내지 2mm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the rubber layer may be 50 mm to 80 mm, and the thickness of the rubber layer may be 1 mm to 2 mm.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이트러버와 상기 캡 트레드 사이에는 타이어를 재생하기 위한 버핑(buffing) 시 필요한 버핑 가이드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uffing guideline necessary for buffing for tire regeneration may be formed between the white rubber and the cap trea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캡 트레드는, 다수의 트레드블록; 및 상기 다수의 트레드블록 사이에 함입 형성되는 다수의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그루브의 하부와 인접한 부분에는 다수의 트레드블록 중 이웃하는 트레드블록의 측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과 상기 버핑 가이드라인이 이루는 리그루빙 가이드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 tread includes: a plurality of tread blocks; and a plurality of grooves recessed between the plurality of tread blocks, wherein a portion adjacent to a low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grooves includes an imaginary lin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side of a neighboring tread block among the plurality of tread blocks and the buffing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 regrooving guideline formed by the guideline is 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이트러버의 폭은 상기 제2 벨트의 폭과 5mm 내지 10mm를 합한 것이고, 상기 화이트러버의 두께는 0.5mm 내지 1mm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the white rubber may be the sum of the width of the second belt and 5 mm to 10 mm, and the thickness of the white rubber may be 0.5 mm to 1 mm.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브트레드의 두께는 2mm 내지 6mm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sub-tread may be 2 mm to 6 mm.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캡 트래드와 서브 트래드 사이에 화이트러버를 삽입하고 서브트레드, 고무층 및 화이트러버로 이루어져 멀티 레이어를 갖는 멀티 트레드를 사용하며 고무층이 벨트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사도록 형성되어 벨트부의 타측부부에서 스틸코드와 고무의 박리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벨트부의 타측부의 초기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크랙이 발생하더라도 크랙 성장을 방지함에 따라 벨트부 및 타이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s that a white rubber is inserted between the cap tread and the sub-tread, and a multi-tread having a multi-layer consisting of a sub-tread, a rubber layer and a white rubber is used, and the rubber layer inspects at least a part of the belt part. It is formed to prevent the peeling of the steel cord and rubber from the other side of the belt, and at the same time prevents the occurrence of initial cracks on the other side of the belt.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화이트러버와 상기 캡 트레드 사이에 버핑 가이드라인이 형성되고, 다수의 그루브의 하부와 인접한 부분에 다수의 트레드블록 중 이웃하는 트레드블록의 측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과 버핑 가이드라인이 이루는 리그루빙 가이드라인이 형성됨에 따라 버핑 및 리그루빙 시 작업자가 육안으로 버핑 가이드라인이나 리그루빙 가이드라인을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함에 따라 타이어의 재생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s that a buffing guide line is formed between the white rubber and the cap tread, and the side surface of the adjacent tread block among the plurality of tread blocks is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and adjacent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grooves. As the re-grooving guideline formed by the virtual lin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ine and the buffing guideline is formed, tire regeneration performance is improved by supporting the operator to visually check the buffing guideline or regrooving guideline during buffing and regrooving.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중하중용 타이어에 구비된 서브트레드와 캡 트레드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의 (a), (b)는 종래기술에 따른 중하중용 타이어를 레이아웃에서 본 일 방향에서의 단면도 및 SED전산해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중하중용 타이어에서 벨트 끝단에 발생한 분리현상을 나타낸 실제 타이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중하중용 타이어를 레이아웃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중하중용 타이어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중하중용 타이어에서 멀티 서브트레드의 치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중하중용 타이어에 구비된 고무층을 나타낸 부분상세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중하중용 타이어의 FEA해석 결과 및 실내시험 결과표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in one direction showing a sub-tread and a cap tread provided in a heavy-duty tir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2 (a) and (b) are views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 tire for heavy load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one direction as viewed from the layout and the results of SED computational analysis.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ctual tire showing a separation phenomenon occurring at the end of a belt in a tire for heavy load according to the prior art.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ire for a heavy load that improves the durability of the belt port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layout.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tire for heavy load that improves durability of a belt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dimensions of a multi-sub-tread in a tire for heavy load that improves durability of a belt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artial detailed view illustrating a rubber layer provided in a tire for heavy load to improve durability of a belt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FEA analysis result and an indoor test result table of a tire for heavy load that improves the durability of the belt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thus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중하중용 타이어를 레이아웃에서 본 개략도이다.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ire for a heavy load that improves the durability of the belt port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layout.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중하중용 타이어(100)는 벨트부(110), 서브트레드(120), 고무층(130), 화이트러버(140) 및 캡 트레드(1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 the heavy-duty tire 100 for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belt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elt part 110 , a sub-tread 120 , a rubber layer 130 , a white rubber 140 and and a cap tread 150 .

여기서, 서브트레드(120), 고무층(130) 및 화이트러버(140)는 3개의 층을 가진 복합 재료로 구성된 멀티트레드이다. 이때, 서브트레드(120), 고무층(130) 및 화이트러버(140)는 각각의 용도와 치수가 정교하게 조합이 되어야 하며,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인 내구성과 리그루빙 및 재생성 향상을 동시에 향상시키기 위함이다.Here, the sub-tread 120 , the rubber layer 130 , and the white rubber 140 are multi-treads made of a composite material having three layers. At this time, the sub-tread 120, the rubber layer 130, and the white rubber 140 must be precisely combined in their respective uses and dimensions, and this is to simultaneously improve durability, re-grooving and reproducibility, which i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

벨트부(110)는 제1 벨트(111), 제2 벨트(112), 제3 벨트(113) 및 제4 벨트(114)를 포함한다.The belt unit 110 includes a first belt 111 , a second belt 112 , a third belt 113 , and a fourth belt 114 .

제1 벨트(111)는 카카스의 상부에 적층된다.The first belt 111 is stacked on top of the carcass.

제2 벨트(112)는 제1 벨트(111)의 상부에 적층되고, 타측부가 제1 벨트(111)의 타측부보다 길게 형성된다.The second belt 112 is stack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belt 111 , and the other side portion is longer than the other side portion of the first belt 111 .

제3 벨트(113)는 제2 벨트(112)의 상부에 적층되고, 타측부가 제2 벨트(112)의 타측부보다 짧게 형성된다. 또한, 제3 벨트(113)의 타측부는 제1 벨트(111)의 타측부보다 길게 형성된다.The third belt 113 is stacked on top of the second belt 112 , and the other side portion is shorter than the other side portion of the second belt 112 . In addition, the other side of the third belt 113 is formed longer tha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elt (111).

제4 벨트(114)는 제3 벨트(113)의 상부에 적층되고 서브트레드(120)와 밀착되며 타측부가 제1 벨트(111)의 타측부보다 짧게 형성된다.The fourth belt 114 is stacked on top of the third belt 113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b-tread 120 , and the other side is shorter tha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elt 111 .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하중용 타이어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하중용 타이어에서 멀티 서브트레드의 치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tire for heavy lo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dimensions of a multi-sub-tread in a tire for heavy lo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서브트레드(120)는 벨트부(110)의 상부에 적층된다. 구체적으로 서브트레드(120)는 벨트부(110)와 캡 트레드(150) 사이에 위치한다.4 to 6 , the sub-tread 120 is stacked on the belt unit 110 . Specifically, the sub-tread 120 is positioned between the belt part 110 and the cap tread 150 .

상기한 서브트레드(120)는 캡 트레드(15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다.The sub-tread 120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cap tread 150 .

상기한 서브트레드(120)의 두께(t2)는 2mm 내지 6mm일 수 있다.The thickness t2 of the sub-tread 120 may be 2 mm to 6 mm.

고무층(130)은 벨트부(110)와 서브트레드(120) 사이에 삽입된다. 또한, 고무층(130)의 측면은 직사각형 또는 사다리꼴로 형성된다.The rubber layer 130 is inserted between the belt part 110 and the sub-tread 120 . In addition, the side surface of the rubber layer 130 is formed in a rectangular or trapezoidal shape.

도 4를 참조하면, 고무층(130)은 벨트부(110)의 타측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됨에 따라 벨트부(110) 및 타이어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Referring to FIG. 4 , the rubber layer 130 is form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belt unit 110 ,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of the belt unit 110 and the tire.

구체적으로 고무층(130)은 제2, 3 벨트(112, 113)의 타측부(도 3에서 제2, 3 벨트의 우측)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면서 제4 벨트(114)의 타단과 접한다.Specifically, the rubber layer 130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fourth belt 114 while wrap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other side portions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and third belts in FIG. 3 ) of the second and third belts 112 and 113 .

도 4를 참조하면, 고무층(130)의 상부에 위치한 해칭영역은 밀폐제 테이프(Sealant tape)층이고, 밀폐제 테이프층의 하부층은 코발트염 함량이 높은 고무층이다. 밀폐제(Sealant)는 박리가 진전될 때에 균열 사이로 밀폐제(Sealant) 가 투입되어 크랙 진전을 막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Referring to FIG. 4 , the hatched region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ubber layer 130 is a sealant tape layer, and the lower layer of the sealant tape layer is a rubber layer having a high cobalt salt content. Sealant is used to prevent crack growth by injecting sealant between cracks when peeling progresses.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하중용 타이어에 구비된 고무층을 나타낸 부분상세도이다.7 is a partial detailed view showing a rubber layer provided in a tire for heavy lo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고무층(130)의 폭(L)은 50mm 내지 80mm이고, 고무층(130)의 두께(t3)는 1mm 내지 2mm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6 , the width L of the rubber layer 130 is 50 mm to 80 mm, and the thickness t3 of the rubber layer 130 is preferably 1 mm to 2 mm.

상기한 고무층(130)은 밀폐제(131)(Sealant) 및 코발트염(132)을 포함할 수 있다.The rubber layer 130 may include a sealant 131 (Sealant) and a cobalt salt 132 .

또한, 밀폐제(131)의 폭(K)은 5mm 내지 30mm이고, 밀폐제(131)의 두께(t4)는 0.5mm 내지 1mm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idth (K) of the sealant 131 is 5mm to 30mm, the thickness (t4) of the sealant 131 is preferably 0.5mm to 1mm.

이때, 코발트염(132)의 함량은 1 PHR내지 5 PHR이다.At this time, the content of the cobalt salt 132 is 1 PHR to 5 PHR.

화이트러버(140)는 서브트레드(120)의 상부에 적층되고 서브트레드와(120) 캡 트레드(150) 사이에 위치한다. The white rubber 140 is stacked on the sub-tread 120 and positioned between the sub-tread 120 and the cap tread 150 .

이때, 화이트러버(140)의 폭(M)은 상기 화이트러버의 폭은 상기 제2 벨트의 폭과 5mm 내지 10mm를 합한 것이고, 화이트러버(140)의 두께(t1)는 0.5mm 내지 1mm이다.In this case, the width M of the white rubber 140 is the sum of the width of the second belt and the width of the second belt by 5 mm to 10 mm, and the thickness t1 of the white rubber 140 is 0.5 mm to 1 mm.

상기한 화이트러버(140)는 리그루빙과 재생타이어를 위한 타이어 버핑(Buffing) 진행시 사용자에게 하한 경계층을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The white rubber 140 serves to inform the user of the lower boundary layer during regrooving and tire buffing for retreading tires.

캡 트레드(150)는 화이트러버(140)의 상부에 적층된다. 이러한 캡 트레드(150)는 다수의 트레드블록 및 다수의 트레드블록 사이에 함입 형성되는 다수의 그루브를 포함한다.The cap tread 150 is stacked on the white rubber 140 . The cap tread 150 includes a plurality of tread blocks and a plurality of grooves recessed between the plurality of tread blocks.

도 4를 참조하면, 화이트러버(140)와 캡 트레드(150) 사이에는 타이어를 재생하기 위한 버핑(buffing) 시 필요한 버핑 가이드라인(B)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4 , between the white rubber 140 and the cap tread 150 , a buffing guideline B necessary for buffing to regenerate a tire is formed.

통상적으로 버핑 시 벨트부(110)으로부터 5mm 이상 확보되어야 타이어의 재생 후에도 타이어의 성능이 유지된다. 이에 본 발명은 버핑 가이드라인(B)이 형성됨에 따라 화이트러버(140)를 적용 시 사용자가 육안으로 쉽게 버핑 가이드라인(B)을 확인하면서 버핑할 수 있어 타이어의 원하는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In general, at the time of buffing, 5 mm or more must be secured from the belt part 110 to maintain the performance of the tire even after the tire is regenerated.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buffing guideline B is formed, when the white rubber 140 is applied,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buffing guideline B with the naked eye and perform buffing, thereby realizing the desired performance of the tire.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다수의 그루브의 하부와 인접한 부분에는 다수의 트레드블록 중 이웃하는 트레드블록의 측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과 버핑 가이드라인(B)이 이루는 리그루빙 가이드라인(R)이 형성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4 ,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grooves, a regrooving guideline (R) formed by an imaginary lin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side of the adjacent tread block among the plurality of tread blocks and the buffing guideline (B) ) is formed.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하중용 타이어의 FEA해석 결과 및 실내시험 결과표이다.8 is a table of FEA analysis results and indoor test results of a tire for heavy lo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소비자가 해당 타이어의 재생을 위해 버핑(Buffing)할 경우 스틸코드(Steel Cord) 노출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으므로, 재생 성능이 향상되고 벨트 에지(Belt Edge)부의 접착성이 증가됨에 따라 내구성도 향상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sumer buffs the tire to regenerate the tire, the risk of exposure of the steel cord can be reduced, so the regeneration performance is improved and the adhesiveness of the belt edge portion is increased. As a result, durability is improved.

도 8을 참조하면, 코발트염이 포함된 고무층(130)을 적용시 FEA 해석결과와 벨트 고속 내구 평가 A, 벨트 내구 평가 B 등 내구 결과와 상관성이 있으며, 내구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벨트에지(Belt Edge)부의 분리현상 감소). 이때, 고무층(130)의 조성은 코발트염 적용된 컴파운드이며, 이는 벨트 코드(Belt Cord)의 접착성을 증가시키며, 코드 에지(Cord edge)의 노출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Referring to FIG. 8 , when the rubber layer 130 containing cobalt salt is applied, there is a correlation with the FEA analysis results and the durability results such as belt high-speed durability evaluation A and belt durability evaluation B, and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n effect in improving durability. (Reduced separation of belt edge). At this time, the composition of the rubber layer 130 is a cobalt salt applied compound, which increases the adhesiveness of the belt cord and has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exposure of the cord edge.

상기한 바에 따른 본 발명은 벨트부의 타단부에 고무층을 적용함으로 제2, 3 벨트의 타측부에 코드와 고무의 접착력을 향상 시켜 벨트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에 따라 타이어의 내구성과 케이스(Case) 재생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applying a rubber layer to the other end of the belt portion, the adhesion between the cord and rubber is improv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and third belts,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belt portion,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tire and regenerating the case. performance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밀폐제(Sealant) 테이프를 포함하고 있는 코발트염의 고무층이 벨트부의 타측부의 초기 크랙을 막아주며, 크랙이 발생하더라도 크랙 성장을 막아주어 내구성 향상에 큰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ubber layer of cobalt salt containing a sealant tape prevents initial cracking of the other side of the belt part, and even when cracks occur, crack growth is prevented,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아울러, 본 발명은 화이트러버를 사용하여, 타이어 재생 및 리그루빙(Regrooving) 시 사용자에게 버핑(Buffing) 한계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on the limit of buffing can be provided to the user during tire regeneration and regrooving by using the white rubber.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벨트층
100: 벨트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중하중용 타이어
110: 벨트부
111: 제1 벨트
112: 제2 벨트
113: 제3 벨트
114: 제4 벨트
120: 서브트레드
130: 고무층
131: 밀폐제
132: 코발트염
140: 화이트러버
150: 캡 트레드
B: buffing 가이드라인
R: Regrooving 가이드라인
K: 밀폐제의 폭
L: 고무층의 폭
M: 화이트러버의 폭
t1: 화이트러버의 두께
t2: 서브트레드의 두께
t3: 고무층의 두께
t4: 밀폐제의 두께
10: belt layer
100: Heavy-duty tire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belt part
110: belt part
111: first belt
112: second belt
113: third belt
114: fourth belt
120: sub-tread
130: rubber layer
131: sealant
132: cobalt salt
140: white rubber
150: cap tread
B: buffing guidelines
R: Regrooving guidelines
K: width of sealant
L: width of rubber layer
M: Width of white rubber
t1: thickness of white rubber
t2: thickness of sub-tread
t3: thickness of rubber layer
t4: thickness of sealant

Claims (11)

벨트부;
상기 벨트부의 상부에 적층되는 서브트레드;
상기 벨트부와 상기 서브트레드 사이에 삽입되는 고무층;
상기 서브트레드의 상부에 적층되고 상기 서브트레드와 상기 캡 트레드 사이에 위치하는 화이트러버; 및
상기 화이트러버의 상부에 적층되는 캡 트레드;를 포함하고,
상기 고무층은 상기 벨트부의 타측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기 벨트부 및 타이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중하중용 타이어.
belt unit;
a sub-tread stacked on the belt part;
a rubber layer inserted between the belt part and the sub-tread;
a white rubber laminated on the sub-tread and positioned between the sub-tread and the cap tread; and
Including; a cap tread lamin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hite rubber;
The rubber layer is formed to surround at least a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belt part, so that durability of the belt part and the tire is improv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는,
제1 벨트;
상기 제1 벨트의 상부에 적층되고, 타측부가 상기 제1 벨트의 타측부보다 길게 형성되는 제2 벨트;
상기 제2 벨트의 상부에 적층되고, 타측부가 상기 제2 벨트의 타측부보다 짧게 형성되는 제3 벨트; 및
상기 제3 벨트의 상부에 적층되고 상기 서브트레드와 밀착되며 타측부가 상기 제1 벨트의 타측부보다 짧게 형성되는 는 제4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고무층은 상기 제2, 3 벨트의 타측부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면서 상기 제4 벨트의 타단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중하중용 타이어.
According to claim 1,
The belt part,
a first belt;
a second belt lamin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belt and having a second side portion longer than the other side portion of the first belt;
a third belt lamin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elt and having a second side portion shorter than the other side portion of the second belt; and
a fourth belt laminated on the third belt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sub-tread, the other side of which is shorter tha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elt;
wherein the rubber layer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fourth belt while wrap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and third belt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층은 밀폐제(Sealant) 및 코발트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중하중용 타이어.
According to claim 1,
The rubber layer comprises a sealant and a cobalt salt.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코발트염의 함량은 1 PHR내지 5 PHR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중하중용 타이어.
4. The method of claim 3,
The tire for heavy load for improving durability of the belt par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nt of the cobalt salt is 1 PHR to 5 PHR.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제의 폭은 5mm 내지 30mm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중하중용 타이어.
4. The method of claim 3,
The tire for heavy load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belt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at the width of the sealant is 5mm to 30mm.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층의 측면은 직사각형 또는 사다리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중하중용 타이어.
According to claim 1,
Heavy-duty tire for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belt part,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surface of the rubber layer is formed in a rectangular or trapezoidal shape.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층의 폭은 50mm 내지 80mm이고,
상기 고무층의 두께는 1mm 내지 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중하중용 타이어.
7. The method of claim 6,
The width of the rubber layer is 50mm to 80mm,
Heavy-duty tire for improving durability of the belt part, characterized in that the rubber layer has a thickness of 1 mm to 2 mm.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이트러버와 상기 캡 트레드 사이에는 타이어를 재생하기 위한 버핑(buffing) 시 필요한 버핑 가이드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중하중용 타이어.
According to claim 1,
A heavy-duty tire for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belt part, characterized in that between the white rubber and the cap tread, a buffing guideline necessary for buffing to regenerate the tire is formed.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캡 트레드는,
다수의 트레드블록; 및
상기 다수의 트레드블록 사이에 함입 형성되는 다수의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그루브의 하부와 인접한 부분에는 다수의 트레드블록 중 이웃하는 트레드블록의 측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과 상기 버핑 가이드라인이 이루는 리그루빙 가이드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중하중용 타이어.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ap tread is
multiple tread blocks;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grooves that are recessed between the plurality of tread blocks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grooves, an imaginary lin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side of a neighboring tread block among the plurality of tread blocks and a regrooving guideline formed by the buffing guideline are formed. Heavy duty tires to improv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이트러버의 폭은 상기 제2 벨트의 폭과 5mm 내지 10mm를 합한 것이고,
상기 화이트러버의 두께는 0.5mm 내지 1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중하중용 타이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width of the white rubber is the sum of the width of the second belt and 5 mm to 10 mm,
The heavy-duty tire for improving durability of the belt part,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white rubber is 0.5 mm to 1 mm.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트레드의 두께는 2mm 내지 6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중하중용 타이어.
According to claim 1,
The thickness of the sub-tread is a heavy-duty tire for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belt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2mm to 6mm.
KR1020200177044A 2020-12-17 2020-12-17 A heavy-duty tires for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belt part KR1024635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044A KR102463566B1 (en) 2020-12-17 2020-12-17 A heavy-duty tires for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belt p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044A KR102463566B1 (en) 2020-12-17 2020-12-17 A heavy-duty tires for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belt pa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863A true KR20220086863A (en) 2022-06-24
KR102463566B1 KR102463566B1 (en) 2022-11-07

Family

ID=82215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044A KR102463566B1 (en) 2020-12-17 2020-12-17 A heavy-duty tires for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belt pa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356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9390A (en) * 2004-06-16 2005-12-21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Wear indicating structure of tire
JP2012140095A (en) * 2010-12-29 2012-07-26 Sumitomo Rubber Ind Ltd Pneumatic tire for heavy load
JP2012240506A (en) * 2011-05-18 2012-12-10 Yokohama Rubber Co Ltd:The Retreaded ti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9390A (en) * 2004-06-16 2005-12-21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Wear indicating structure of tire
JP2012140095A (en) * 2010-12-29 2012-07-26 Sumitomo Rubber Ind Ltd Pneumatic tire for heavy load
JP2012240506A (en) * 2011-05-18 2012-12-10 Yokohama Rubber Co Ltd:The Retreaded ti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3566B1 (en) 202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30892B1 (en) Tire treads with reduced undertread thickness
JP5833139B2 (en) Custom precure type recycled tire
EP2448753B1 (en) Retreaded tire having the tread band matched to a prepared base tread and method of retreading such a tire
RU2489261C1 (en) Reconditioned tire
US20090205762A1 (en) Method for improved retread endurance
WO2007145150A1 (en) Precured tread and retreaded tire
JP2009040179A (en) Precured tread for retreaded tire and retreaded tire
US8714219B2 (en) Integrated tire section repair
JP2012531349A (en) Lightweight precure tread band for retread tires
KR102463566B1 (en) A heavy-duty tires for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belt part
JP4513232B2 (en) Pneumatic radial tire
WO2014145894A1 (en) Groove bottom design to allow undertread reduction
JPH06115308A (en) Pneumatic radial tire for heavy load
EP1468844A1 (en) Pneumatic radial tire for construction vehicle, belt layer of the radial ti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radial tire
AU201138251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hot recapping of a retreaded tire
JPH05294108A (en) Pneumatic radial tire for construction vehicle
JPH0310906A (en) Radial tire for heavy load
JP2007050728A (en) Pneumatic radial tire
JPS61238502A (en) Tread used for recap
JP5884317B2 (en) Pre-cured tread, retreaded ti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1030709A (en) Radial tire for heavy load
JP3686203B2 (en) Heavy duty radial tires
US20110023669A1 (en) Saw blade for removing a section from a tire
CN107253341A (en) A kind of high compactness tight type arc bar tread segments block of tyre rebuilding
JP2007261402A (en) Pneumatic radial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