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6840A - 인공지능 교육용 코딩 로봇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교육용 코딩 로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6840A
KR20220086840A KR1020200176995A KR20200176995A KR20220086840A KR 20220086840 A KR20220086840 A KR 20220086840A KR 1020200176995 A KR1020200176995 A KR 1020200176995A KR 20200176995 A KR20200176995 A KR 20200176995A KR 20220086840 A KR20220086840 A KR 20220086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device mounting
present
edu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수진
Original Assignee
(주)모메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메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모메드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176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6840A/ko
Publication of KR20220086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8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8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dular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9Constructional details, e.g. manipulator supports, ba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53Computers, e.g. program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ipulator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지능교육에 필요한 다양한 기기가 결합될 수 있는 로봇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중앙제어유닛을 구비하는 로봇 본체와, 상기 로봇 본체의 전면부에 형성된 삽입홈과, 상기 로봇 본체의 전면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삽입홈에 대응되는 본체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결합수단 및 인공지능 교육에 필요한 제 1 기기가 장착되는 기기 장착홈을 구비하는 기기장착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기기 장착홈에 상기 제 1 기기가 장착됨에 따라 상기 제 1 기기가 상기 중앙제어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기기장착용 부재의 결합수단이 상기 삽입홈에 끼움 결합되는 인공지능 교육용 코딩 로봇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공지능 교육용 코딩 로봇{CODING ROBOT FOR EDUC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본 발명은 인공지능 교육이 가능한 인공지능용 코딩 로봇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지능정보사회에서 소프트웨어는 산업적 직업적 중요성뿐만 아니라 일반대중의 사회 문화 경제적 삶에 대한 영향력이 직간접적으로 점차 커지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이 빠른 속도로 진화하면서 등장하는 4차 산업 혁명 시대에 소프트웨어 및 특히 인공지능은 산업의 핵심기반이 되고 있다.
이런 이유로, 이러한 인공지능 인력양성 및 유치를 위해 세계 각국은 치열한 경쟁에 돌입하고 있다.
인공지능교육은 기술로 인한 사회의 변화와 산업구조의 재편 직업변화에 따른 교육체계의 변화 등에 부응하고 있으며, 단순 지식의 습득능력보다 인공지능 컴퓨팅 사고력 기반의 창의적 문제발견 및 해결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면서, 각 교육 과정, 즉 초중고 교육 과정 인공지능을 위한 교육용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인공지능을 이해하고 기초적으로 구현하려면 대학교 수준 이상의 수학적 통계학적 전문지식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하여, 인공 지능을 위한 교육용 플랫폼에서는 초등 과정의 코딩교육을 위해 블록코딩 방식이나 로봇 등의 교구가 사용되고, 중등 과정의 코딩교육을 위해 타이핑 코딩 방식이나 로봇 등의 교구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경우 대부분 너무 쉽고 간단한 수준의 코딩교육이 이루어고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4차산업을 주도할 인공지능 분야에 대한 교육이 가능한 교육 플랫폼이나 교구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개발이 필수적이다.
등록특허 제10-1921742호(2018.11.19.등록.)
본 발명은 센서, 카메라 등과 같은 다양한 기기를 결합 가능한 인공지능 교육용 코딩 로봇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 카메라 등과 같은 다양한 기기를 결합 가능하고, 인공 지능 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코딩에 의해 제어되는 인공지능 교육용 코딩 로봇을 제공한다.
상기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교육용 코딩 로봇은 중앙제어유닛을 구비하는 로봇 본체와, 상기 로봇 본체의 전면부에 형성된 삽입홈과, 상기 로봇 본체의 전면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삽입홈에 대응되는 본체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결합수단 및 인공지능 교육에 필요한 제 1 기기가 장착되는 기기 장착홈을 구비하는 기기장착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기기 장착홈에 상기 제 1 기기가 장착됨에 따라 상기 제 1 기기가 상기 중앙제어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기기장착용 부재의 결합수단이 상기 삽입홈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기장착용 부재는 상기 결합수단에 대응되는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부재용 삽입홉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재용 삽입홈에는 상기 부재용 삽입홈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수단을 구비한 제 2 기기가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부재를 삽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광 구동부 및 감지 센서가 장착될 수 있는 조립용 블록들의 상호 결합을 통해 형성되는 드론 감지형 게이트를 제공함으로써, 휴대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용 블록간의 조립을 통해 드론 감지형 게이트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의 드론 감지형 게이트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솔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 조립용 블록에 장착된 감지 센서와 발광 구동부를 이용하여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드론의 통과 공간 상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교육용 코딩 로봇의 본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교육용 코딩 로봇에 기기를 장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교육용 코딩 로봇에 결합되는 제 1 기기장착용 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교육용 코딩 로봇에 결합되는 제 1 기기장착용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교육용 코딩 로봇에 다른 기기가 부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여서는 안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인공지능 교육용 코딩 로봇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교육용 코딩 로봇의 본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교육용 코딩 로봇에 기기를 장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교육용 코딩 로봇에 결합되는 제 1 기기장착용 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교육용 코딩 로봇에 결합되는 제 1 기기장착용 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교육용 코딩 로봇에 다른 기기가 부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지능 교육용 코딩 로봇(100)은 전면부(112)가 보닛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중앙제어유닛을 구비하는 로봇 본체(110)로 이루어질 수 잇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교육용 코딩 로봇(100)은 도시 생략되었지만, 전반적인 동작을 모터, 회로 전원용 스텝업 레귤레이터, 충전용 단자, 충전회로, 충전 및 전원선택용 스위치, 모터 제어용 모터 드라이버, LED, 카메라 촬영 신호 제어용 포트, 소리 재생용 부저, 아날로그 입력핀, 디지털 입출력핀 및 전원공급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인공지능 교육용 코딩 로봇(100)은 블루투스 통신으로 무선 제어 및 블록코딩이 가능한 회로(미도시됨)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교육용 코딩 로봇(100)은 전면부(112)에 제 1 기기(200)가 장착된 제 1 기기장착용 부재(150)와 결합될 수 있는 삽입홈(120)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삽입홈(120)은 T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기기장착용 부재(150)의 본체는 전면부(11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 즉 로봇 본체(110)의 전면부(112)을 덮을 수 있는 보닛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1 기기장착용 부재(150)는 삽입홈(120)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수단(152) 및 제 1 기기(200)가 장착되어 결합될 수 있는 기기 장착홈(154)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기 장착홈(154)은 보닛 형상의 본체 상면부에 형성되고, 결합수단(152)은 로봇 본체(110)의 전면부(112)에 형성된 삽입홈(120)에 대응되는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제 1 기기(200), 예컨대 카메라가 제 1 기기장착용 부재(150)의 기기 장착홈(154)에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수단(152)을 삽입홈(120)에 끼움 결합함으로써, 전면부(112)를 덮는 구조로 제 1 기기장착용 부재(150)가 로봇 본체(11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따른 제 1 기기장착용 부재(150)의 결합수단(152)에 대응되는 외측면에는 로봇 본체(110)의 전면부(110)에 형성된 삽입홈(120)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부재연결용 홈(156)을 구비할 수 있다.
부재연결용 홈(156)을 통해 다양한 형상을 갖는 제 2 기기(210)가 장착된 제 2 기기장착용 부재(16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 2 기기장착용 부재(160)는 제 2 기기(210), 예컨대 센서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제 1 기기장착용 부재(150)의 부재연결용 홈(156)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수단(162)만 구비할 수 있다.
즉. 제 2 기기장착용 부재(160)는 제 2 기기(210)와 결합수단(162)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통해 인공지능 교육용 코딩 로봇(100)에는 로봇 본체(110)의 전면부(112)에 다양한 형태의 제 1 및 제 2 기기(200, 210)를 결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 교육용 코딩 로봇(100)에는 인공 지능 교육에 필요한 카메라와 센서 등의 기기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공지능, 자율 주행 등과 같은 교육에 필요한 카메라와 센서 등을 인공지능 교육용 코딩 로봇(100)에 장착할 수 있는 부재를 제공함으로써, 기 출시된 교육용 코딩 로봇을 다양한 형태로 진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중앙제어유닛(130)와 제 1 및 제 2 기기장착용 부재(150, 160)간의 연결을 위해 기기 장착홈(154) 및 부재연결용 홈(156)의 내부에는 중앙제어유닛(130)과 연결라인(미도시됨)을 통해 연결되는 연결포트(미도시됨)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 1 기기(200) 및 결합수단(162)에는 연결단자(미도시됨)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단자가 연결포트에 결합됨으로써, 제 1 및 제 2 기기(200, 210)와 중앙제어유닛(130)이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와 센서 등이 인공지능 교육용 코딩 로봇(100)에 연결됨에 따라 인공 지능 교육, 자율 주행 등과 같은 블록 코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카메라와 센서 등에 의해 생성된 정보를 기반으로 인공지능 교육용 코딩 로봇(10))의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인공지능 교육용 코딩 로봇
110 : 로봇 본체
112 : 전면부
120 : 삽입홈
130 : 중앙 처리 유닛
150, 160 : 제 1, 2 기기장착용 부재

Claims (3)

  1. 중앙제어유닛을 구비하는 로봇 본체와,
    상기 로봇 본체의 전면부에 형성된 삽입홈과,
    상기 로봇 본체의 전면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삽입홈에 대응되는 본체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결합수단 및 인공지능 교육에 필요한 제 1 기기가 장착되는 기기 장착홈을 구비하는 기기장착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기기 장착홈에 상기 제 1 기기가 장착됨에 따라 상기 제 1 기기가 상기 중앙제어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기기장착용 부재의 결합수단이 상기 삽입홈에 끼움결합되는 인공지능 교육용 코딩 로봇.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장착용 부재는,
    상기 결합수단에 대응되는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부재용 삽입홉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교육용 코딩 로봇.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용 삽입홈에는,
    상기 부재용 삽입홈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수단을 구비한 제 2 기기가 결합되는 인공지능 교육용 코딩 로봇.
KR1020200176995A 2020-12-17 2020-12-17 인공지능 교육용 코딩 로봇 KR202200868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995A KR20220086840A (ko) 2020-12-17 2020-12-17 인공지능 교육용 코딩 로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995A KR20220086840A (ko) 2020-12-17 2020-12-17 인공지능 교육용 코딩 로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840A true KR20220086840A (ko) 2022-06-24

Family

ID=82215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995A KR20220086840A (ko) 2020-12-17 2020-12-17 인공지능 교육용 코딩 로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684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1742B1 (ko) 2016-02-15 2018-11-23 충청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 운전 연습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1742B1 (ko) 2016-02-15 2018-11-23 충청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 운전 연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ndada et al. The e-puck, a robot designed for education in engineering
US20220176264A1 (en) Connecting structures in a modular construction kit
Rubenstein et al. AERobot: An affordable one-robot-per-student system for early robotics education
US10456910B2 (en) Educational systems comprising programmable controllers and methods of teaching therewith
Ibrahim et al. An undergraduate fuzzy logic control lab using a line following robot
US11450326B2 (en) Device for recognizing voice content, server connected thereto, and method for recognizing voice content
JP2005313303A (ja) ロボット遠隔制御システム
KR20220086840A (ko) 인공지능 교육용 코딩 로봇
Seth et al. 1/10th scale autonomous vehicle based 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KR101285222B1 (ko) 교육용 과학키트장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Rahaman et al. Educational robot for learning programming through Blockly based mobile application
Edlinger et al. Marc-modular autonomous adaptable robot concept
CN108961979B (zh) 一种教学机器人系统和组装方法
CN116483977A (zh) 一种利用大语言模型实现移动机器人人机交互巡检的方法
KR102261437B1 (ko) IoT 기능을 수행하는 코딩 로봇 장치
KR101631547B1 (ko) 다중 센싱 기능을 가진 교구용 로봇
Vaish Python robotics projects: build smart and collaborative robots using python
Noordin et al. UMP STEM Bot as educational kit for robotics and computer programming
Bhat et al. Embedded System based waiter and military robot path planning
He et al. Multi-sensors for robot teaming using Raspberry PI and VEX robotics construction kit
Grosclaude et al. Designing a myro-compatible robot for education as copyleft hardware
US11738470B2 (en) Tool changer and tool change system having the same
Hur et al. Open-source Embedded Linux Mobile Robot Platform for Mechatronics Engineering and IoT Education
Kobyzev et al. Embedded control system for tracked robot
Venchova et al. Next generation service models of mobile autonomous assist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