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6827A - Apparstus for walking assistance - Google Patents

Apparstus for walking assist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6827A
KR20220086827A KR1020200176967A KR20200176967A KR20220086827A KR 20220086827 A KR20220086827 A KR 20220086827A KR 1020200176967 A KR1020200176967 A KR 1020200176967A KR 20200176967 A KR20200176967 A KR 20200176967A KR 20220086827 A KR20220086827 A KR 20220086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calf
sole
support
an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9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88744B1 (en
Inventor
문성곤
박병걸
이동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펙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펙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펙트
Priority to KR1020200176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8744B1/en
Priority to PCT/KR2021/018824 priority patent/WO2022131709A1/en
Publication of KR20220086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8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7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66F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2001/0207Nutating movement of a body part around its arti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61H2201/1642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61H2201/1652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 A61H2205/106Leg for the lower le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발바닥이 거치되는 발바닥 거치부; 상기 발바닥 거치부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고, 착용자의 종아리를 지지하는 종아리 지지부; 및 상기 발바닥 거치부와 상기 종아리 지지부를 연결하고, 상기 종아리 지지부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이 발생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le holder on which the sole of the wearer's sole is mounted; a calf support part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ole holder and supporting the calf of the wearer; and an elastic member that connects the sole holder and the calf support, and generates an elastic force for pushing the calf support forward.

Description

보행 보조 기구{APPARSTUS FOR WALKING ASSISTANCE}Walking aids {APPARSTUS FOR WALKING ASSISTANCE}

본 발명은 사용자의 보행을 보조하는 보행 보조 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king assistance device for assisting a user to walk.

통상, 뇌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마비 환자는 신경계의 마비로 인하여 발목관절 주위의 근육활동이 약화되어 보행시 발목의 배굴/저굴 및 내번/외번이 자발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보행 양상을 보인다. 즉, 족저굴근의 경직성마비로 인해 초기 입각기에 발뒤축이 지면에 닿지 않고 발바닥이나 발끝으로 딛게 되는 족하수 현상을 보이게 된다.In general, paralyzed patients due to cerebrovascular disease show a gait pattern in which dorsiflexion/baseflexion and inversion/external rotation of the ankle do not occur spontaneously during walking because the muscle activity around the ankle joint is weakened due to the paralysis of the nervous system. In other words, due to spastic paralysis of the plantar flexor muscle, in the initial stance phase, the heel axle does not touch the ground, but steps on the sole or toe of the foot.

족하수란, 신경계의 마비로 발목주위의 근육활동이 작아지거나 없어짐으로 인해 발을 들어 올리지 못하는 증상을 말한다. 족하수가 발생하는 원인은 중추 및 말초신경계의 마비로 인해 발목 주위에 있는 앞정강이근의 활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지지지 않아서 발생되며 특히, 경련성 마비환자들에게 자주 발생된다. 즉, 이를 보상하기 위해 마비 환자는 회선보행을 하게 되어 보행속도가 느려지고 에너지 소모가 크게 증가되는 등의 비효율적 보행양상을 보이게 된다.Patience refers to the symptoms of inability to lift the foot due to the decrease or loss of muscle activity around the ankle due to paralysis of the nervous system. The cause of foot paw is that the activity of the tibialis anterior muscle around the ankle is not normally achieved due to paralysis of the central and peripheral nervous systems, and it occurs frequently in patients with spastic paralysis. In other words,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the paralyzed patient must walk in a circular motion, resulting in an inefficient gait pattern such as a slow walking speed and a large increase in energy consumption.

이러한 족하수 환자의 보행을 호전시키기 위한 물리적 보조수단으로 발목에 착용되는 보행 보조 기구가 필요하게 된다.As a physical assistance means to improve the gait of such patients with foot paws, a walking assistance device worn on the ankle is required.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67996호는 착용자의 보행시, 착용자의 발목 굽힘에 필요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발목 관절 보조기가 개시되어 있다.As a related prior art, Korean Patent No. 10-1767996 discloses an ankle joint orthosis that provides elastic force necessary for bending the wearer's ankle when the wearer walks.

그러나, 선행기술의 발목 관절 보조기는 보행시 발목 관절의 굽힘각도를 제한하는 것으로서, 보행시 착용자의 무릎 굽힘에 필요한 추진력을 제공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무릎 굽힘을 유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ankle joint orthosis limits the bending angle of the ankle joint during walking, and ha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provide a driving force necessary for bending the wearer's knee while walking, as well as inducing knee bending.

이에 따라, 착용자가 선행기술의 발목 관절 보조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 운동을 할 경우, 무릎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운동 피로감이 증대할 뿐만 아니라 무릎 관절이 손상될 염려가 있다. 또한, 비정상적인 발을 보행 운동을 통해 정상적인 보행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데 제한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ly, when the wearer performs a walking exercise while wearing the ankle joint orthosis of the prior art, exc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knee, thereby increasing exercise fatigue and possibly damaging the knee joint.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a limitation in inducing the abnormal foot to be able to walk normally through the gait exercise.

등록특허공보 제10-1767996호(2017.08.08)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767996 (2017.08.08)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자의 보행시 발생하는 회전력을 착용자의 무릎 굽힘에 필요한 추진력으로 제공할 수 있는 보행 보조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lking aid that can provide a rotational force generated when the wearer walks as a driving force necessary for bending the wearer's kne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행 보조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lking assistance device capable of improving wearing comfor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보행 보조 기구는 착용자의 발바닥이 거치되는 발바닥 거치부; 상기 발바닥 거치부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고, 착용자의 종아리를 지지하는 종아리 지지부; 및 상기 발바닥 거치부와 상기 종아리 지지부를 연결하고, 상기 종아리 지지부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이 발생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A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le holder on which the sole of the wearer's sole is mounted; a calf support part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ole holder and supporting the calf of the wearer; and an elastic member that connects the sole holder and the calf support, and generates an elastic force for pushing the calf support forward.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착용자의 종아리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wearer's calf.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발바닥 거치부의 후면과 상기 종아리 지지부의 후면을 연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may connect the rear surface of the sole holder and the rear surface of the calf support part.

또한, 상기 발바닥 거치부는, 일단으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착용자의 발목을 지지하는 발목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antar mounting part may include an ankle support part that is bent and extended from one end to support the ankle of the wearer.

또한, 상기 발목 지지부와 상기 탄성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발바닥 거치부를 착용자의 발바닥의 바깥쪽으로 편향시키는 편향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terposed between the ankle support and the elastic member, it may further include a biasing support for biasing the sole holder to the outside of the sole of the wearer.

또한, 상기 편향 지지부는, 상기 발목 지지부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증가하는 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deflection support portion may have a cross-sectional shape in which a cross-sectional area is gradually increased from one end of the ankle support portion to the other end.

또한, 상기 발목 지지부의 중심축선을 따라 형성되는 관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through hole formed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ankle support.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1회 이상 절곡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bent one or more times.

또한, 상기 발바닥 거치부와 착용자의 발목을 둘러싸는 제1스트랩; 및 상기 종아리 지지부와 착용자의 종아리를 둘러싸는 제2스트랩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trap surrounding the foot rest portion and the ankle of the wearer;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trap surrounding the calf support and the wearer's calf.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기구는 탄성부재가 종아리 지지부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통해 착용자의 종아리를 전방으로 밀어내서, 보행시, 착용자의 무릎 굽힘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nducing bending of the wearer's knee during walking by pushing the wearer's calf forward through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pushing the calf support part forward.

또한, 탄성부가 착용자의 종아리와 이격 배치됨에 따라, 탄성부재 및 착용자의 종아리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착용자의 종아리 근육의 수축과 이완이 이루어지므로, 착용자의 종아리 착용감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elastic part is spaced apart from the wearer's calf, the wearer's calf muscle is contracted and relaxe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elastic member and the wearer's calf, so that the wearer's calf fit can be improved.

또한, 탄성부재가 발바닥 거치부의 후면과 종아리 지지부의 후면을 연결함으로써, 탄성부재와 발바닥 거치부의 연결 부위 및 탄성부재와 종아리 지지부의 연결 부위가 착용자의 종아리로 돌출되어 착용자의 종아리를 국부적으로 가압하지 않으므로, 착용자의 종아리 착용감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lastic member connects the rear surface of the sole holder and the rear surface of the calf support, the connection part of the elastic member and the sole support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of the elastic member and the calf support part protrude to the wearer's calf and do not locally press the wearer's calf. Therefore, the wearer's calf fit may be improved.

또한, 편향 지지부가 발바닥 거치부를 착용자의 발바닥의 바깥쪽으로 편향시킴으로써, 착용자의 발바닥의 족저압 중심(COP : Center of pressure)을 비정상적인 위치인 바깥쪽에서 정상적인 위치인 안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iasing support portion biases the sole holder to the outside of the sole of the wearer's sole, it is possible to move the center of pressure (COP) of the wearer's sole from the outside, which is an abnormal position, to the inside, which is a normal position.

또한, 발목 지지부의 중심축선을 따라 관통홀이 형성됨으로써, 착용시나 보행시, 발목 지지부의 벌어짐을 유도하여, 착용자의 발목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hrough hole is formed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ankle support, the wearer's ankle fit can be improved by inducing the opening of the ankle support during wearing or walking.

또한, 탄성부재가 1회 이상 절곡되는 미앤더 구조를 가짐으로써, 착용자의 보행시에 가해지는 힘보다 상대적으로 큰 탄성 변형이 생겨서 발목이나 무릎 움직임에 대한 탄성 복원력의 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lastic member has a meander structure that is bent one or more times, a relatively larger elastic deformation than the force applied during walking of the wearer occurs, thereby minimizing the resistance of the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movement of the ankle or knee.

또한, 제1스트랩에 의해 발바닥 거치부와 착용자의 발이 밀착되고, 제2스트랩에 의해 종아리 지지부와 착용자의 종아리가 밀착됨으로써, 발바닥 거치부와 종아리 지지부가 착용자에게 안정적으로 착용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ole holder and the wearer's feet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strap, and the calf support part and the wearer's calf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strap, the sole holder and the calf support part can be stably worn by the wearer.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기구에 착용자의 발이 착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기구에 착용자의 발이 미착용된 상태와 착용자의 발이 착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기구를 착용한 착용자의 발뒤꿈치가 지면에 접촉된 상태와 착용자의 발뒤꿈치가 지면에서 접촉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향 지지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wearer's feet are worn on a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sid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wearer's feet are not worn and a state in which the wearer's feet are worn in th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C are sid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heel of a wearer wearing a walking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a state in which the heel of the wearer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7 are enlarged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deflection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component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will have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specifically defined explicit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기구에 착용자의 발이 착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wearer's feet are worn on a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A and 2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기구는 발바닥 거치부(100), 종아리 지지부(200) 및 탄성부재(3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A , th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le holder 100 , a calf support 200 , and an elastic member 300 .

발바닥 거치부(100)는 착용자의 발바닥에 거치되는 것으로, 착용자의 발바닥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sole holder 100 is mounted on the sole of the wearer's sole, and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ole of the wearer's sole.

예를들면, 발바닥 거치부(100)는 전체적으로 판 형태를 가지고, 선단이 하측으로 휘어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발바닥 거치부(100)는 선단을 통해 신발에 간편하게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ole holder 100 may have a plate shape as a whole, and a tip may have a downwardly curved shape. In this case, the sole holder 100 may be easily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shoe through the tip.

발바닥 거치부(100)는 발바닥 거치부(100)의 일단으로부터 절곡 연장되고 착용자의 발목을 지지하는 발목 지지부(110)를 가질 수 있다. The sole supporting unit 100 may have an ankle support unit 110 that is bent and extended from one end of the sole supporting unit 100 and supports the ankle of the wearer.

발목 지지부(110)는 착용자의 발목 후방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발목 지지부(110)는 전체적으로 착용자의 발목 후방을 감싸는 곡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목 지지부(110)는 발꿈치의 적어도 일부분에서부터 발목을 감싸는 곡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발목 지지부(110)는 착용자의 발꿈치뼈로부터 목말밑 관절을 경유하여 발목 관절을 감싸는 곡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ankle support 11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ar of the wearer's ankle. For example, the ankle support 110 may have a curved shape surrounding the rear of the wearer's ankle as a whole. Specifically, the ankle support 110 may have a curved shape surrounding the ankle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heel. More preferably, the ankle support 110 may have a curved shape surrounding the ankle joint from the wearer's heel bone via the subtalar joint.

발목 지지부(110)는 착용자의 발목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관통홀(111)을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111)은 발목 지지부(110)의 중심축선(110L)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통홀(111)은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관통홀(111)은 착용시나 보행시, 발목 지지부(110)의 벌어짐을 유도하여, 착용자의 발목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ankle support 110 may have a through hole 111 for improving the wearer's ankle fi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B , the through hole 111 may be formed along the central axis 110L of the ankle support 110 . Specifically, the through hole 111 may be formed in an oval shap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through-hole 111 induces the opening of the ankle support 110 during wearing or walking, thereby improving the wearer's ankle fit.

종아리 지지부(200)는 발바닥 거치부(100)의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고 착용자의 종아리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calf support part 200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sole holder 100 and serves to support the calf of the wearer.

일예로, 종아리 지지부(200)는 평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종아리 지지부(200)가 착용자의 종아리를 국부적으로 눌러서 통증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alf support 200 may have a flat plate shape.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alf support unit 200 from locally pressing the wearer's calf and causing pain.

다른 예로, 종아리 지지부(200)는 곡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종아리(200)는 착용자의 종아리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굴곡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alf support part 200 may have a curved plate shape. In this case, the calf 200 may have a curved shape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wearer's calf shape.

한편, 발바닥 거치부(100)는 제1스트랩(510)을 통해 착용자의 발목에 고정될 수 있으며, 종아리 지지부(200)는 제2스트랩(520)을 통해 착용자의 종아리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 참조) 따라서, 제1스트랩(510)에 의해 발바닥 거치부(100)와 착용자의 발이 밀착 될 수 있고, 제2스트랩(520)에 의해 종아리 지지부(200)와 착용자의 종아리가 밀착됨으로써, 발바닥 거치부(100)와 종아리 지지부(200)가 착용자에게 안정적으로 착용될 수 있다.제1스트랩(510)은 발바닥 거치부(100)와 착용자의 발목을 둘러싸는 것으로, 밸크로 스트랩이 사용될 수 있다. 제2스트랩(520)은 종아리 지지부(200)와 착용자의 종아리를 둘러싸는 것으로, 밸크로 스트랩이 사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sole holder 100 may be fixed to the wearer's ankle through the first strap 510 , and the calf support 200 may be fixed to the wearer's calf through the second strap 520 . (See FIG. 1) Therefore, the sole holder 100 and the wearer's foo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strap 510, and the calf support 200 and the wearer's calf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strap 520 by the second strap 520. , the sole supporting unit 100 and the calf supporting unit 200 can be worn stably by the wearer. The first strap 510 surrounds the sole supporting unit 100 and the wearer's ankle, and a Velcro strap may be used. can The second strap 520 surrounds the calf support 200 and the wearer's calf, and a Velcro strap may be used.

또한, 제1스트랩(510) 및 제2스트랩(520)은 별도의 기구에 고정되도록, 발바닥 거치부(100) 및 종아리 지지부(2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trap 510 and the second strap 520 may be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sole holder 100 and the calf support 200 so as to be fixed to a separate mechanism.

탄성부재(300)는 발바닥 거치부(100)와 종아리 지지부(200)를 연결하며, 종아리 지지부(200)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형성한다.The elastic member 300 connects the sole holder 100 and the calf support 200 to form an elastic force that pushes the calf support 200 forward.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기구에 착용자의 발이 미착용된 상태와 착용자의 발이 착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기구를 착용한 착용자의 발뒤꿈치가 지면에 접촉된 상태와 착용자의 발뒤꿈치가 지면에서 접촉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3A and 3B are sid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wearer's feet are not worn and a state in which the wearer's feet are worn in th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A to 4C are view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el of a wearer wearing a walking aid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a state in which the heel of the wearer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이하에서는 도 3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보행 보조 기구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oot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4C .

본 발명의 보행 보조 기구에 대한 착용자의 발의 착용 여부에 따라, 탄성부재(300)의 탄성력에 의해 종아리 지지부(200)와 발바닥 거치부(100)가 이루는 각도가 특정 각도로 유지되거나, 또는 탄성부재(300)가 종아리 지지부(200)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형성할 수 있다.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wearer's feet for the walking ai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worn, the angle between the calf support 200 and the sole holder 100 is maintained at a specific angl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00, or the elastic member 300 may form an elastic force that pushes the calf support 200 forward.

구체적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행 보조 기구에 착용자의 발이 미착용된 상태에서, 탄성부재(300)가 종아리 지지부(200)와 발바닥 거치부(100)가 이루는 각도를 특정 각도로 유지시킨다. 이때, 탄성부재(300)에 의해 종아리 지지부(200)와 발바닥 거치부(100)가 이루는 각도는 예각으로 유지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ure 3a, in a state in which the wearer's feet are not worn in the walking ai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member 300 sets the angle between the calf support part 200 and the sole support part 100 to a specific angle. keep it as At this time, the angle between the calf support part 200 and the sole support part 100 by the elastic member 300 may be maintained at an acute angle.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행 보조 기구에 착용자의 발이 착용된 상태에서, 종아리 지지부(200)와 발바닥 거치부(100)의 이격에 의해 탄성부재(300)가 탄성 변형된다. 다시 말해, 종아리 지지부(200)와 발바닥 거치부(100)가 이루는 각도 증가에 의해 탄성부재(300)가 탄성 변형된다 이후, 탄성부재(300)는 종아리 지지부(200)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형성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3b, in a state in which the wearer's feet are worn in the walking ai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member 300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spacing between the calf support 200 and the sole holder 100. . In other words, the elastic member 300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increase in the angle between the calf support 200 and the sole holder 100 , and then, the elastic member 300 exerts an elastic force that pushes the calf support 200 forward. to form

본 발명의 보행 보조 기구를 착용한 착용자의 보행시, 착용자의 발뒤꿈치의 지면 접촉 여부에 따라, 탄성부재(300)가 종아리 지지부(200)와 발바닥 거치부(100)의 이격에 의해 탄성 변형되거나, 또는 탄성부재(300)가 종아리 지지부(200)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통해 착용자의 종아리를 전방으로 밀어내서, 보행시, 착용자의 무릎 굽힘을 유도할 수 있다.When a wearer wearing the walking aid of the present invention walks, the elastic member 300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separation between the calf support 200 and the sole holder 100 depending on whether the wearer's heel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or not. , or the elastic member 300 pushes the wearer's calf forward through the elastic force that pushes the calf support part 200 forward, thereby inducing bending of the wearer's knee when walking.

구체적으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행 보조 기구를 착용한 착용자의 발뒤꿈치가 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종아리 지지부(200)와 발바닥 거치부(100)의 이격에 의해 탄성부재(300)가 탄성 변형된다. 이후, 탄성부재(300)는 종아리 지지부(200)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형성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A, the elastic member ( 300) is elastically deformed. Thereafter, the elastic member 300 forms an elastic force for pushing the calf support part 200 forward.

이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행 보조 기구를 착용한 착용자의 보행시 착용자의 발뒤꿈치가 지면에서 접촉 해제된 상태에서 탄성부재(300)가 종아리 지지부(200)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형성하여, 착용자의 종아리를 전방으로 밀어내서 착용자의 무릅 굽힘을 유도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보행 보조 기구는 착용자의 보행시 발생하는 회전력을 착용자의 무릎 굽힘에 필요한 추진력으로 제공할 수 있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4B , the elastic member 300 pushes the calf support 200 forward in a state in which the wearer's heel is released from contact with the ground during walking of the wearer wearing the walking ai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reates an elastic force, which pushes the wearer's calf forward and induces the wearer's knee to bend. As a result, the walking assist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when the wearer walks as a driving force necessary for bending the wearer's knee.

이후,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행 보조 기구를 착용한 착용자의 발뒤꿈치가 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종아리 지지부(200)와 발바닥 거치부(100)의 이격에 의해 탄성부재(300)가 다시 탄성 변형된다. 이후, 탄성부재(300)는 종아리 지지부(200)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다시 형성한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4C , the elastic member 300 is spaced apart from the calf support 200 and the sole holder 100 in a state in which the heel of the wearer wearing the walking ai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 is elastically deformed again. Thereafter, the elastic member 300 again forms an elastic force for pushing the calf support 200 forwar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보행 보조 기구를 착용한 착용자의 보행시, 종아리 지지부(200)와 발바닥 거치부(100)의 이격에 의해 탄성부재(300)가 탄성 변형되는 제1과정(도 4a 참조)과, 탄성부재(300)가 종아리 지지부(200)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형성하여 착용자의 종아리를 전방으로 밀어내서 착용자의 무릎 굽힘을 유도하는 제2과정(도 4b 참조)을 하나의 사이클로 반복함으로써, 착용자의 보행시 발생하는 회전력을 착용자의 무릎 굽힘에 필요한 추진력으로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process in which the elastic member 300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spacing between the calf support part 200 and the sole support part 100 when a wearer wearing the walking ai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alks (see FIG. 4a ). And, the second process of inducing bending of the wearer's knee by pushing the wearer's calf forward by forming an elastic force in which the elastic member 300 pushes the calf support part 200 forward (refer to FIG. 4b) is repeated in one cycle By doing so,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when the wearer walks can be provided as a driving force necessary for bending the wearer's knee.

한편, 탄성부재(300)는 착용자의 종아리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300)가 착용자의 종아리와 이격 배치됨에 따라, 탄성부재(300) 및 착용자의 종아리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그 결과, 탄성부재(300) 및 착용자의 종아리 사이 공간에서 착용자의 종아리 근육의 수축과 이완이 이루어지므로, 착용자의 종아리 착용감이 향상될 수 있다.또한, 탄성부재(300)는 발바닥 거치부(100)의 후면과 종아리 지지부(200)의 후면을 연결할 수 있다.이로 인해, 탄성부재(300)와 발바닥 거치부(100)의 연결 부위 및 탄성부재(300)와 종아리 지지부(200)의 연결 부위가 착용자의 종아리로 돌출되어 착용자의 종아리를 국부적으로 가압하지 않으므로, 착용자의 종아리 착용감이 향상될 수 있다.Meanwhile, the elastic member 30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wearer's calf. As such, as the elastic member 300 is spaced apart from the wearer's calf,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elastic member 300 and the wearer's calf. As a result, since contraction and relaxation of the wearer's calf muscles are made in the space between the elastic member 300 and the wearer's calf, the wearer's calf fit can be improved. ) can be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alf support part 200. Due to this, the connection part of the elastic member 300 and the sole holder 100 and the connection part of the elastic member 300 and the calf support part 200 are separated. Since it protrudes from the wearer's calf and does not locally press the wearer's calf, the wearer's calf fit can be improv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향 지지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 to 7 are enlarged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deflection suppor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기구는 편향 지지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5 to 7 , th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ias support unit 400 .

편향 지지부(400)는 발목 지지부(110)와 탄성부재(300) 사이에 개재되어, 발바닥 거치부(100)를 착용자의 발바닥의 바깥쪽으로 편향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deflection support part 400 is interposed between the ankle support part 110 and the elastic member 300, and serves to deflect the sole support part 100 to the outside of the sole of the wearer's sole.

이러한 편향 지지부(400)에 의해 발바닥 거치부(100)의 각도가 착용자의 발바닥의 바깥쪽으로 틀어지게 배치됨으로써, 발바닥 거치부(100)는 착용자의 보행시, 착용자의 발바닥의 족저압 중심(COP : Center of pressure)을 비정상적인 위치인 바깥쪽에서 정상적인 위치인 안쪽으로 이동시킨다.The angle of the plantar support part 100 is arranged so that the angle of the sole holder 100 is twisted to the outside of the sole of the wearer by this deflection support part 400, so that the plantar pressure center of the sole of the wearer (COP) when the wearer walks. Center of pressure) is moved from the outside, which is an abnormal position, to the inside, which is a normal position.

그 결과, 발바닥 거치부(100)는 착용자의 발바닥의 중심축선을 보행에 편리하게 지지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가 정상적인 보행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고, 착용자의 발바닥에 대한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a result, the sole holder 100 can conveniently support the central axis of the sole of the wearer for walking, and thus can help the wearer to walk normally, and improve the fit of the wearer's sole. have.

편향 지지부(400)는 발목 지지부(110)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증가하는 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deflection support unit 400 may have a cross-sectional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ankle support unit 110 is gradually increase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일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 지지부(400)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증가하는 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편향 지지부(400)가 발바닥 지지부(110)와 탄성부재(300) 사이에 개재된 경우, 발바닥 거치부(100)의 각도가 우측으로 틀어지도록 배치됨으로써, 착용자의 오른발 발바닥의 족저압 중심을 비정상적인 위치인 바깥쪽에서 정상적인 위치인 안쪽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발바닥 거치부(100)가 틀어지는 각도는 5도 내지 15도일 수 있다. 그 결과, 발바닥 거치부(100)는 착용자의 오른발 발바닥의 중심축선을 정확하게 지지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의 오른발에 대한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 the deflection support unit 400 may have a cross-sectional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increases from right to left. When the deflection support part 400 is interposed between the sole support part 110 and the elastic member 300, the angle of the sole support part 100 is arranged to be twisted to the right, so that the center of plantar pressure of the sole of the wearer's right foot is abnormally It moves from the outside, which is the position, to the inside, which is the normal position. At this time, the angle at which the sole holder 100 is twisted may be 5 degrees to 15 degrees. As a result, since the sole holder 100 can accurately support the central axis of the sole of the wearer's right foo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fit of the wearer's right foot.

다른 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 지지부(400)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증가하는 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편향 지지부(400)가 발바닥 지지부(110)와 탄성부재(300) 사이에 개재된 경우, 발바닥 거치부(100)의 각도가 좌측으로 틀어지도록 배치됨으로써, 착용자의 왼발 발바닥의 족저압 중심을 비정상적인 위치인 바깥쪽에서 정상적인 위치인 안쪽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발바닥 거치부(100)가 틀어지는 각도는 5도 내지 15도일 수 있다. 그 결과, 발바닥 거치부(100)는 착용자의 왼발 발바닥의 중심축선을 보행에 편리하게 지지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의 왼발에 대한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7 , the deflection support 400 may have a cross-sectional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is gradually increased from left to right. When the deflection support part 400 is interposed between the sole support part 110 and the elastic member 300, the angle of the sole support part 100 is arranged to be twisted to the left, so that the center of plantar pressure of the sole of the wearer's left foot is abnormally It moves from the outside, which is the position, to the inside, which is the normal position. At this time, the angle at which the sole holder 100 is twisted may be 5 degrees to 15 degrees. As a result, the sole holder 100 can conveniently support the central axis of the sole of the wearer's left foot for walking, thereby improving the fit of the wearer's left foot.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발목 지지부(110)는 제1연장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종아리 지지부(200)는 제2연장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연장부(120) 및 제2연장부(210)는 탄성부재(3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탄성부재(300)는 탄성패드(310) 및 커버패드(32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5 , the ankle support 110 may include a first extension 120 . The calf support 200 may include a second extension 210 . The extension 120 and the second extension 210 may be connected by an elastic member 300 . The elastic member 300 may include an elastic pad 310 and a cover pad 320 .

제1연장부(120)는 발목 지지부(110)의 후방으로 연장된다. 예를들면, 제1연장부(120)는 타원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한다.The first extension 120 extends to the rear of the ankle support 110 . For example, the first extension part 120 may have an elliptical sha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제2연장부(210)는 종아리 지지부(200)의 후방으로 연장된다. 예를들면, 제2연장부(210)는 타원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한다.The second extension 210 extends to the rear of the calf support 200 . For example, the second extension 210 may have an elliptical sha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탄성패드(310)는 제1연장부(120)와 제2연장부(210)를 연결하며, 후술할 커버패드(320)보다 상대적으로 큰 탄성 계수를 갖는다. 이러한 탄성패드(310)는 종아리 지지부(200)가 발바닥 거치부(100)와 접근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탄성패드(310)는 착용자의 발 상태에 따라 다양한 탄성계수를 갖는 탄성패드(310)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elastic pad 310 connects the first extension 120 and the second extension 210 , and has a relatively larger elastic modulus than the cover pad 320 ,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elastic pad 310 serves to provide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calf support part 200 approaches the sole holder 100 . In addition, the elastic pad 310 can be used by selectively mounting the elastic pad 310 having various elastic modulus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wearer's feet.

커버패드(320)는 탄성패드(310)를 둘러쌀 수 있다. 이러한 커버패드(320)는 탄성패드(310)를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The cover pad 320 may surround the elastic pad 310 . The cover pad 320 serves to cover the elastic pad 310 .

일예로, 탄성패드(310)는 제1연장부(120) 및 제2연장부(210)에 장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elastic pad 310 may be mounted on the first extension 120 and the second extension 210 .

다른 예로, 탄성패드(310)는 제1연장부(120) 및 제2연장부(210)에 나사 체결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연장부(120)와 탄성패드(310)는 다수의 제1볼트(330)에 의해 나사 결합될 수 있고, 제2연장부(210)와 탄성패드(310)는 다수의 제2볼트(340)에 의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탄성패드(310)의 수명이 다한 경우, 탄성패드(310)의 교체가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마다 서로 다른 고유 탄성 계수가 요구될 수 있는데, 탄성패드(310)를 사용자의 고유 탄성 계수에 맞춰서 교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맞춤형 보행 보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elastic pad 310 may be screwed to the first extension 120 and the second extension 210 . Specifically,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20 and the elastic pad 310 may be screwed by a plurality of first bolts 330 ,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10 and the elastic pad 310 may b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first bolts 330 . It may be screwed by two bolts (340). Accordingly, when the life of the elastic pad 310 is over, the replacement of the elastic pad 310 can be facilitated. In addition, different intrinsic modulus of elasticity may be required for each user, and since the elastic pad 310 can be replaced according to the user's intrinsic modulus of elasticity, a customized walking assistance function can be provided to the user.

또 다른 예로, 탄성패드(310)는 제1연장부(120) 및 제2연장부(21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연장부(120)의 상면에는 하측으로 함몰된 제1장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연장부(210)의 하면에는 상측으로 함몰된 제2장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장착홈 및 제2장착홈에는 각각 탄성패드(310)의 양측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elastic pad 310 may be mounted on the first extension part 120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210 in a sliding manner. Specifically, a first mounting groove (not shown) recessed downward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art 120 . In addition, a second mounting groove (not shown) recessed upward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210 . Both sides of the elastic pad 310 may be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grooves, respectively.

또한, 편향 지지부(400)는 제1연장부(120)와 탄성패드(310) 사이 및 제2연장부(210)와 탄성패드(310)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개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flection support part 400 may be interposed between at least one of between the first extension part 120 and the elastic pad 310 and between the second extension part 210 and the elastic pad 310 .

일예로, 편향 지지부(400)는 제1연장부(120)와 탄성패드(310) 사이에 개재될 수 있으며, 다수의 제1볼트(330)에 의해 나사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eflection support part 40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extension part 120 and the elastic pad 310 , and may be screwed by a plurality of first bolts 330 .

또한, 편향 지지부(400)는 제1연장부(120)를 향하여 연장되는 다수의 끼움돌기(410)를 가질 수 있으며, 제1연장부(120)는 다수의 끼움돌기(410)가 결합되는 끼움홈(121)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deflection support unit 400 may have a plurality of fitting projections 410 extending toward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20,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20 is fitted to which the plurality of fitting projections 410 are coupled. It may have a groove 121 .

따라서, 편향 지지부(400)는 끼움돌기(410)를 통해 끼움홈(121)에 고정된 상태로, 다수의 제1볼트(330)에 의해 나사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deflection support part 400 may be screwed by a plurality of first bolts 330 while being fixed to the fitting groove 121 through the fitting protrusion 410 .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기구의 탄성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n elastic member of a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기구는 발목 운동이나 무릎 운동이 자유롭지 못한 착용자가 착용한다. 따라서, 발목 운동이나 무릎 운동에 힘을 크게 가하기 어려운 착용자가 발목이나 무릎을 구부릴 경우 저항력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중요하다.A walking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by a wearer who is not free to exercise ankle or kne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sign to minimize the resistance when the wearer who has difficulty applying a large force to the ankle or knee exercise bends the ankle or knee.

이를 감안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300`)의 탄성패드(310`)는 1회 이상 절곡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In consideration of this, as shown in FIG. 8 ,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elastic pad 310 ′ of the elastic member 300 ′ has a structure that is bent one or more times.

이 경우, 탄성부재(300`)의 탄성패드(310`)는 착용자의 보행시에 가해지는 힘보다 상대적으로 큰 탄성 변형이 생겨서 발목이나 무릎 움직임에 대한 탄성 복원력의 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lastic pad 310 ′ of the elastic member 300 ′ has relatively greater elastic deformation than the force applied when the wearer walks, thereby minimizing the resistance of the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movement of the ankle or knee.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기구는 착용자의 보행시 발생하는 회전력을 착용자의 무릎 굽힘에 필요한 추진력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when the wearer walks as a driving force necessary for bending the wearer's kne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기구는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wearing comfort.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In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real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 발바닥 거치부
110 : 발목 지지부
111 : 관통홀
120 : 제1연장부
121 : 끼움홈
200 : 종아리 지지부
210 : 제2연장부
300, 300` : 탄성부재
310, 310` : 탄성패드
320 : 커버패드
330 : 제1볼트
340 : 제2볼트
400 : 편향 지지부
410 : 끼움돌기
510 : 제1스트랩
520 : 제2스트랩
100: sole support part
110: ankle support
111: through hole
120: first extension
121: fitting groove
200: calf support
210: second extension
300, 300`: elastic member
310, 310`: elastic pad
320: cover pad
330: first volt
340: second volt
400: bias support
410: fitting projection
510: first strap
520: second strap

Claims (9)

착용자의 발바닥이 거치되는 발바닥 거치부;
상기 발바닥 거치부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고, 착용자의 종아리를 지지하는 종아리 지지부; 및
상기 발바닥 거치부와 상기 종아리 지지부를 연결하고, 상기 종아리 지지부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이 발생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기구.
a sole holder on which the wearer's sole is mounted;
a calf support part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ole holder and supporting the wearer's calf; and
and an elastic member that connects the sole holder and the calf support, and generates an elastic force for pushing the calf support forw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착용자의 종아리와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기구.
According to claim 1,
The elastic member,
A walking ai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paced apart from the wearer's calf.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발바닥 거치부의 후면과 상기 종아리 지지부의 후면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기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lastic member,
A walking assist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surface of the sole support part and the rear surface of the calf support part are conn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 거치부는,
일단으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착용자의 발목을 지지하는 발목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기구.
According to claim 1,
The foot rest part,
A walking aid comprising an ankle support that is bent from one end and supports the wearer's ank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 지지부와 상기 탄성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발바닥 거치부를 착용자의 발바닥의 바깥쪽으로 편향시키는 편향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기구.
5. The method of claim 4,
The walking assistance device further comprising: a biasing support part interposed between the ankle support part and the elastic member to bias the sole support part outwardly of the sole of the wear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지지부는,
상기 발목 지지부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증가하는 단면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기구.
6. The method of claim 5,
The deflection support portion,
A walking aid,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ross-sectional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is gradually increased from one end of the ankle support to the oth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 지지부의 중심축선을 따라 형성되는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기구.
5. The method of claim 4,
A walking ai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hrough hole formed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ankle sup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1회 이상 절곡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기구.
According to claim 1,
The elastic member,
A walking aid,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ructure that is bent more than o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 거치부와 착용자의 발목을 둘러싸는 제1스트랩; 및
상기 종아리 지지부와 착용자의 종아리를 둘러싸는 제2스트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기구.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strap surrounding the sole holder and the wearer's ankle; and
The walking aid further comprises a second strap surrounding the calf support and the wearer's calf.

KR1020200176967A 2020-12-17 2020-12-17 Apparstus for walking assistance KR1025887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967A KR102588744B1 (en) 2020-12-17 2020-12-17 Apparstus for walking assistance
PCT/KR2021/018824 WO2022131709A1 (en) 2020-12-17 2021-12-13 Walking aid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967A KR102588744B1 (en) 2020-12-17 2020-12-17 Apparstus for walking assista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827A true KR20220086827A (en) 2022-06-24
KR102588744B1 KR102588744B1 (en) 2023-10-13

Family

ID=82059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967A KR102588744B1 (en) 2020-12-17 2020-12-17 Apparstus for walking assistan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88744B1 (en)
WO (1) WO2022131709A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685B1 (en) * 2011-03-04 2011-07-08 김웅범 Below-knee orthosis
KR101767996B1 (en) 2016-11-21 2017-08-14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Ankle joint orthosis
WO2020089642A1 (en) * 2018-11-02 2020-05-07 University Of Derby Joint orthosis with resiliently deformable hing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374B1 (en) * 2013-02-18 2014-11-07 박인식 ankle foot orthoses
KR101682450B1 (en) * 2015-07-14 2016-12-05 (주)세아메카닉스 Ankle joint orthosis
JP6749016B2 (en) * 2016-09-28 2020-09-02 国立大学法人 大分大学 Lower limb orthosis
KR20190099921A (en) * 2018-02-20 2019-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Power assisting apparatus comprising shoes holding unit for supportingsho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685B1 (en) * 2011-03-04 2011-07-08 김웅범 Below-knee orthosis
KR101767996B1 (en) 2016-11-21 2017-08-14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Ankle joint orthosis
WO2020089642A1 (en) * 2018-11-02 2020-05-07 University Of Derby Joint orthosis with resiliently deformable hin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8744B1 (en) 2023-10-13
WO2022131709A1 (en)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23685B1 (en) Walking assist device
US9456918B2 (en) Orthosis and method of use for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of dropfoot
US6349487B1 (en) Foot leverage system and method
US7819832B2 (en) Ankle foot orthotic
KR101682450B1 (en) Ankle joint orthosis
US5921009A (en) Foot leverage system and method
US10945871B2 (en) Orthotic leg support apparatus
US11278439B2 (en) Ankle-foot orthosis
KR101767996B1 (en) Ankle joint orthosis
KR102139235B1 (en) Active type ankle join
KR20190136346A (en) Auxiliary apparatus for assisting muscular strength of ankle
JP6598246B2 (en) Short leg orthosis
KR20220086827A (en) Apparstus for walking assistance
KR20200000690A (en) Food drop holder
EP1038459A1 (en) Foot leverage assembly and method of improving motion using the assembly
JP2022526598A (en) Variable friction shoes
KR101957213B1 (en) Functional insole using elastic force
US20220000703A1 (en) Optimized ankle exoskeleton foot plate function and geometry
KR102637140B1 (en) Tools for lower foot correction
JP5395841B2 (en) Upper structure of shoes
KR102534387B1 (en) Auxiliary correction device for flatfoot
KR102534388B1 (en) Auxiliary correction device for flatfoot that can be used with both feet
JP6512711B2 (en) Short leg brace
JP7078993B2 (en) Ankle foot orthotic device
Oshimoto et al. Burden-Reducing Shoes with Elastomer-Embedded Flexible Jo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