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6208A - Washbasin Having Collection Tank - Google Patents

Washbasin Having Collection Tan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6208A
KR20220086208A KR1020200176444A KR20200176444A KR20220086208A KR 20220086208 A KR20220086208 A KR 20220086208A KR 1020200176444 A KR1020200176444 A KR 1020200176444A KR 20200176444 A KR20200176444 A KR 20200176444A KR 20220086208 A KR20220086208 A KR 20220086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tap water
washbasin
faucet
clo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4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79941B1 (en
Inventor
최경호
Original Assignee
최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호 filed Critical 최경호
Priority to KR1020200176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941B1/en
Publication of KR20220086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2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9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1/042Details thereof, e.g. valves or p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2001/045Greywater supply systems using household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수돗물을 공급하는 수전이 구비되며, 수돗물을 받을 수 있도록 함몰된 저수부가 형성되고, 상기 저수부에는 수돗물이 배수되는 제1배수구 및 제2배수구가 형성된 세면대 본체, 상기 세면대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수돗물을 저장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회수탱크, 상기 제1배수구와 연결되어, 상기 저수부의 수돗물을 하수도로 배출시키는 제1배수관 및 상기 제2배수구와 연결되어, 상기 저수부의 수돗물을 상기 회수탱크 측으로 배출시키는 제2배수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배수구 및 상기 제2배수구는 기 설정된 개폐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됨에 따라 상기 저수부의 수돗물을 배수하도록 형성되는 회수탱크를 포함하는 세면대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shbasin body having a faucet for supplying tap water, a water reservoir recessed to receive tap water, and a first drain hole and a second drain hole through which tap water is drained are formed in the reservoir body, the above A recovery tank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washbasin body and having a storage space for storing tap water therein, is connected to the first drain port,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drain pipe and the second drain port for discharging the tap water of the reservoir into the sewage system and a second drain pipe for discharging the tap water from the reservoir to the recovery tank, wherein the first drain and the second drain ar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preset opening/closing conditions to drain the tap water from the reservoir A washbasin comprising a recovery tank is provided.

Description

회수탱크를 포함하는 세면대{Washbasin Having Collection Tank}Washbasin Having Collection Tank

본 발명은 세면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수탱크를 포함하여 낭비되는 수돗물을 회수하여 다양한 용도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세면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basin,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shbasin that recovers wasted tap water, including a recovery tank, so that it can be reused for various purposes.

세면대는 사용자의 신장을 고려하여 적합한 높이로 벽면 등에 설치되어 세면 등의 위생 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물로서, 현대에는 욕실, 공중화장실 등에 필수적으로 구비되고 있다.The washbasin is a structure that is installed on a wall or the like at an appropriate height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height to enable sanitary activities such as washing face, and is essential in modern bathrooms and public toilets.

다만, 일반적으로 세면대에서 차가운 물을 기피하고 일정 이상의 온도를 가지는 물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특성 상, 저온의 물은 배수되기를 기다린 후 물이 열원에 의해 어느 정도 데워진 이후부터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Howev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users who generally avoid cold water in the washbasin and want to use water with a temperature higher than a certain level, it is most often used after the water is warmed to some extent by a heat source after waiting for it to be drained. .

이에 따라 온도가 올라가기 이전의 상당량의 물은 폐수가 되어 사라지게 되며, 이는 수돗물의 정화비용, 폐수비용 등의 상승 원인이 된다.Accordingly, a significant amount of water before the temperature rises becomes wastewater and disappears, which causes an increase in the purification cost of tap water and wastewater cost.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경우 수돗물의 사용량이 증가하게 되어 물의 낭비가 심해지게 되며, 다양한 환경적인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In addition, in such a case, the amount of tap water used is increased, resulting in severe water wastage and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for solving these problem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수돗물을 회수하여 다양한 용도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수돗물의 사용 비용을 절감하고, 수돗물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세면대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hbasin capable of reducing the use cost of tap water and minimizing waste of tap water by recovering unnecessary wasted tap water so that it can be reused for various purpose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수돗물을 공급하는 수전이 구비되며, 수돗물을 받을 수 있도록 함몰된 저수부가 형성되고, 상기 저수부에는 수돗물이 배수되는 제1배수구 및 제2배수구가 형성된 세면대 본체, 상기 세면대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수돗물을 저장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회수탱크, 상기 제1배수구와 연결되어, 상기 저수부의 수돗물을 하수도로 배출시키는 제1배수관 및 상기 제2배수구와 연결되어, 상기 저수부의 수돗물을 상기 회수탱크 측으로 배출시키는 제2배수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배수구 및 상기 제2배수구는 기 설정된 개폐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됨에 따라 상기 저수부의 수돗물을 배수하도록 형성되는 회수탱크를 포함하는 세면대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obje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aucet for supplying tap water, a reservoir recessed to receive tap water is formed, and the reservoir has a first drain hole and a second drain through which tap water is drained. A sink body having a drain port, a recovery tank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ink body and having a storage space for storing tap water therein, a first drain pipe connected to the first drain port to discharge the tap water from the water reservoir into the sewage; and a second drain pipe connected to the second drain port for discharging the tap water of the water reservoir toward the recovery tank, wherein the first drain port and the second drain port ar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preset opening/closing conditions. Provided is a washbasin comprising a recovery tank configured to drain tap water from the water part.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배수구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배수구를 개폐하는 제1개폐유닛 및 상기 제2배수구에 구비되어 상기 제2배수구를 개폐하는 제2개폐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opening/closing unit provided in the first drain port to open and close the first drain port and a second opening/closing unit provided in the second drain port to open and close the second drain port. ca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개폐유닛 및 상기 제2개폐유닛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and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may be further included.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전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센서값을 전달하는 수전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power faucet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whether the power faucet is in operation and transmits a sensor value to the control unit.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전감지센서의 센서값을 통해 상기 수전이 작동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현재 수전의 작동 시각 이전에 이루어진 가장 최근의 수전 작동 시각과의 시간차를 산출하고, 산출된 시간차가 기 설정된 기준시간차보다 클 경우, 상기 수전의 작동 직후 기 설정된 회수시간 동안 상기 제2개폐유닛이 개방되고, 상기 제1개폐유닛이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 faucet has been operated through the sensor value of the power reception sensor, the control unit calculates a time difference from the most recent power reception operation time made before the current operation time of the power faucet, and the calculated time difference is If it is greater than the set reference time difference,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 may be opened for a preset recovery time immediately after the operation of the power faucet, and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may be controlled to be closed.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전감지센서의 센서값을 통해 상기 수전이 작동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현재 수전의 작동 시각 이전에 이루어진 가장 최근의 수전 작동 시각과의 시간차를 산출하고, 산출된 시간차가 기 설정된 기준시간차보다 작을 경우, 상기 제2개폐유닛이 폐쇄되고, 상기 제1개폐유닛이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 faucet has been operated through the sensor value of the power reception sensor, the control unit calculates a time difference from the most recent power reception operation time made before the current operation time of the power faucet, and the calculated time difference is When it is smaller than the set reference time difference,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may be closed and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may be controlled to be open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전으로부터 배출되는 수돗물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센서값을 전달하는 온도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ap water discharged from the faucet and transmitting the sensor value to the control unit may be further included.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센서값을 통해 상기 수전으로부터 배출되는 수돗물의 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온도 미만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2개폐유닛이 개방되고, 상기 제1개폐유닛이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tap water discharged from the faucet is determined to be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temperature through the sensor value of the temperature sensor,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 is opened and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is closed. can be controlled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센서값을 통해 상기 수전으로부터 배출되는 수돗물의 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온도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2개폐유닛이 폐쇄되고, 상기 제1개폐유닛이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emperature of the tap water discharged from the faucet is determined to be above a preset reference temperature through the sensor value of the temperature sensor,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 is closed and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is opened. can be controll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세면대 본체에는 제1배수구 및 제2배수구가 형성되며, 제2배수구를 통해 배수되는 수돗물을 센서 값을 저장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회수탱크를 포함하므로,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수돗물을 회수하여 다양한 용도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을 가진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drain hole and a second drain hole are formed in the washbasin body, and the tap water drained through the second drain hole includes a recovery tank having a storage space for storing sensor values, so that unnecessary waste It has the advantage of recovering tap water so that it can be reused for various purposes.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수돗물의 사용 비용을 절감하고, 수돗물의 낭비를 최소화하여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cost of using tap water and improving the environment by minimizing the waste of tap water.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면대를 통해 수돗물을 회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washbasi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recovering tap water through a washbasi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washbasi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washbasi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washbasin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6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washbasin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thus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면대를 통해 수돗물을 회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washbasi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recovering tap water through the washbasi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면대는 세면대 본체(10)와, 회수탱크(100)와, 제1배수관(30)과, 제2배수관(40)을 포함한다.1 and 2 , the washbasi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shbasin body 10 , a recovery tank 100 , a first drain pipe 30 , and a second drain pipe 40 . includes

세면대 본체(10)는 수돗물을 공급하는 수전(20)이 구비되며, 수돗물을 받을 수 있도록 함몰된 저수부(1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세면대 본체(10)의 형상은 그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washbas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faucet 20 for supplying tap water, and a recessed water reservoir 11 is formed to receive tap water. Of course, the shape of the washbasin body 10 may be variously made according to the type thereof.

그리고 저수부(11)의 바닥면에는, 수돗물이 배수되는 제1배수구(12) 및 제2배수구(13)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first drain port 12 and a second drain hole 13 through which tap water is drained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unit 11 .

이때 제1배수구(12)의 하부로는 제1배수구(12)와 연결되어, 저수부(11)의 수돗물을 하수도로 배출시키는 제1배수관(30)이 구비되며, 제2배수구(13)의 하부로는 제2배수구(13)와 연결되어, 저수부(11)의 수돗물을 회수탱크(100) 측으로 배출시키는 제2배수관(40)이 구비된다.At this time, a first drain pipe 30 connected to the first drain port 12 to discharge the tap water of the water storage unit 11 into the sewer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drain port 12, and the second drain port 13 A second drain pipe 40 that is connected to the second drain port 13 and discharges tap water from the water reservoir 11 to the recovery tank 100 side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그리고 회수탱크(100)는 세면대 본체(10)의 하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수돗물(W)을 저장하는 저장공간(11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회수탱크(100)의 형태 및 용량 등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nd the recovery tank 100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washbasin body 10, the storage space 110 for storing the tap water (W) is formed therein. The shape and capacity of the recovery tank 100 may be variously formed.

또한 본 실시예는, 제1배수구(12)에 구비되어 제1배수구(12)를 개폐하는 제1개폐유닛(50)과, 제2배수구(13)에 구비되어 제2배수구(13)를 개폐하는 제2개폐유닛(60)이 구비된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50 provided in the first drain port 12 to open and close the first drain port 12, and the second drain port 13 provided in the second drain port 13 to open and close A second opening/closing unit 60 is provided.

본 실시예에서 제1개폐유닛(50) 및 제2개폐유닛(60)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1배수구(12) 또는 제2배수구(13)를 개폐하는 방식을 가지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제1개폐유닛(50) 및 제2개폐유닛(60)을 통한 제1배수구(12) 또는 제2배수구(13)를 개폐 방식은 공지의 다양한 방식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50 and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 60 have been exemplified as having a method of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drain port 12 or the second drain port 13 as they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Of course, various well-known methods may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as to the method of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drain 12 or the second drain 13 through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50 and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 60 .

기본적으로 제1개폐유닛(50) 및 제2개폐유닛(60)은 수동으로 개폐 동작을 수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황에 따라 제1개폐유닛(50) 및 제2개폐유닛(60)을 개폐하여 저수부(11)의 수돗물을 제1배수구(12) 및 제2배수구(13) 중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 배수할 수 있다.Basically,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50 and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 60 may be formed to manually open/close operation, and the user may use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50 and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 60 depending on the situation. can be opened and closed to drain the tap water of the water storage unit 11 to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drain 12 and the second drain 13 .

예컨대, 사용자는 수전(20)을 작동시킨 직후 보일러 등과 같은 열원에 의해 가열되기 전의 저온의 수돗물은 제2개폐유닛(60)을 개방하여 깨끗한 상태 그대로 제2배수구(13) 측으로 배수되도록 함에 따라 회수탱크(100)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수돗물이 보일러 등과 같은 열원에 의해 가열되어 어느 정도의 온도 이상으로 데워질 경우에는 이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제1개폐유닛(50)을 개방하여 제1배수구(12) 측으로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after the user operates the faucet 20, the low-temperature tap water before being heated by a heat source such as a boiler is recovered by opening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 60 and draining it to the second drain port 13 as it is in a clean state. It can be stored in the tank 100, and when tap water is heated by a heat source such as a boiler and heated to a certain temperature,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50 is opened in the process of using it to open the first drain port ( 12) It can be drained to the side.

이와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제1배수구(12) 및 상기 제2배수구(13)는 기 설정된 개폐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자동 개폐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drain 12 and the second drain 13 may be selectively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preset opening/closing conditions. Hereinafter,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washbasi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면대는 제1개폐유닛(50) 및 제2개폐유닛(60)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00)와, 제1개폐유닛(50)의 개폐 동작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모터(220)와, 제2개폐유닛(60)의 개폐 동작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모터(230)를 포함한다.3, the washbasi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200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50 and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 60, and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It includes a first driving motor 220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the opening/closing operation of the 50 , and a second driving motor 230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the opening/closing operation of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 60 .

또한 본원발명은 수전(20)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210)에 센서값을 전달하는 수전감지센서(미도시)와, 수전(20)으로부터 배출되는 수돗물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210)에 센서값을 전달하는 온도감지센서(24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power faucet detection sensor (not shown) that detects whether the faucet 20 is operating and transmits a sensor value to the control unit 210, and the control unit 210 by sensing the temperature of tap water discharged from the faucet 20 It may further include any one or more of the temperature sensor 240 for transmitting the sensor value to the.

먼저, 온도감지센서(210)를 통한 제어 방식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First, a control method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210 will be described.

제어부(200)는, 온도감지센서(210)의 센서값을 통해 수전(20)으로부터 배출되는 수돗물의 온도에 따라 제1개폐유닛(50) 및 제2개폐유닛(6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0 may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50 and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 60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tap water discharged from the faucet 20 through the sensor value of the temperature sensor 210. have.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온도감지센서(210)의 센서값을 통해 수전(20)으로부터 배출되는 수돗물의 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온도 미만으로 판단된 경우, 제2개폐유닛(60)이 개방되고, 제1개폐유닛(50)이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controller 200 determines that the temperature of the tap water discharged from the faucet 20 is less than the preset reference temperature through the sensor value of the temperature sensor 210,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 60 is opened and ,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50 may be controlled to be closed.

또한 제어부(200)는 온도감지센서(210)의 센서값을 통해 수전(20)으로부터 배출되는 수돗물의 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온도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제2개폐유닛(60)이 폐쇄되고, 상기 제1개폐유닛(50)이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troller 200 determines that the temperature of the tap water discharged from the faucet 20 is higher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temperature through the sensor value of the temperature sensor 210,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 60 is closed, and the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50 may be controlled to be opened.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수전(20)을 작동시킨 직후 보일러 등과 같은 열원에 의해 가열되기 전의 기준온도 미만의 수돗물은 제2개폐유닛(60)을 개방하여 깨끗한 상태 그대로 제2배수구(13) 측으로 배수되도록 함에 따라 회수탱크(100)에 저장되도록 하고, 수돗물이 보일러 등과 같은 열원에 의해 가열되어 기준온도 이상으로 데워질 경우에는 이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제1개폐유닛(50)을 개방하여 제1배수구(12) 측으로 배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reason for doing this is that immediately after the faucet 20 is operated, tap water below the reference temperature before being heated by a heat source such as a boiler is drained to the second drain port 13 as it is in a clean state by opening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 60 As much as possible, it is stored in the recovery tank 100, and when tap water is heated by a heat source such as a boiler and warmed to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50 is opened in the process of using it and the first drain port ( 12) This is to allow drainage to the side.

다음으로, 수전감지센서를 통한 제어 방식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Next, a control method through the power detection sensor will be described.

제어부(200)는, 수전감지센서의 센서값을 통해 수전(20)이 작동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현재 수전(20)의 작동 시각 이전에 이루어진 가장 최근의 수전(20) 작동 시각과의 시간차를 산출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 faucet 20 is operated through the sensor value of the power faucet detection sensor, the control unit 200 determines a time difference from the most recent power faucet 20 operation time made before the operation time of the current faucet 20 can be operated to calculate.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일정 시간 내에 수전(20)이 재작동되는 상황일 경우, 수전(20)으로부터 온수가 바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doing this is that, when the faucet 20 is restar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hot water can be directly discharged from the faucet 20 .

즉 제어부(200)는 산출된 시간차가 기 설정된 기준시간차보다 클 경우, 수전(20)의 작동 직후 기 설정된 회수시간 동안 제2개폐유닛(60)이 개방되고, 제1개폐유닛(50)이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calculated time difference is greater than the preset reference time difference, the control unit 200 opens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 60 for a preset number of times immediately after the operation of the power faucet 20, and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50 is closed. can be controlled as much as possible.

또한 제어부(200)는, 산출된 시간차가 기 설정된 기준시간차보다 작을 경우, 제2개폐유닛(60)이 폐쇄되고, 제1개폐유닛(50)이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lso, when the calculated time difference is smaller than a preset reference time difference, the control unit 200 may control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 60 to be closed and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50 to be opened.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washbasi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2실시예의 구성요소들을 그대로 포함하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세면대 본체(10)에 소정 각도의 기울임을 제공하여 배수를 보조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한다.In the case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 the components of the above-described second embodiment are included as they are, and additionally, components for assisting drainage by providing an inclination of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washbasin body 10 are provided. include more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세면대 본체(10)는 중앙부 후면에 구비된 회전축(14)에 의해 기울기를 소정 각도 범위에서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며, 세면대 본체(10)의 양측 하부에는 제1실린더유닛(300a) 및 제2실린더유닛(300b)이 각각 구비된다.Specifically, in this embodiment, the sink body 10 is formed so that the inclination can be adjusted 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by the rotation shaft 14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enter part, and the first cylinder unit 300a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ink body 10 in the lower part. ) and a second cylinder unit 300b are provided, respectively.

그리고 제1실린더유닛(300a)은 제1실린더(310a) 및 제1실린더(310a)에 의해 상하 방향의 행정을 수행하는 제1피스톤(320a)을 포함하며, 제2실린더유닛(300b)은 제2실린더(310b) 및 제2실린더(310b)에 의해 상하 방향의 행정을 수행하는 제2피스톤(320b)을 포함한다.And the first cylinder unit (300a) includes a first cylinder (310a) and a first piston (320a) performing a vertical stroke by the first cylinder (310a), the second cylinder unit (300b) 2 cylinders 310b and a second piston 320b performing a vertical stroke by the second cylinder 310b.

또한 제1실린더유닛(300a)은 제어부(200)에 의해 제어되는 제3구동모터(240)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제2실린더유닛(300b)은 제어부(200)에 의해 제어되는 제4구동모터(25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Also, the first cylinder unit 300a may be driven by a third driving motor 240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200 , and the second cylinder unit 300b may be driven by a fourth driving unit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200 . It may be driven by a motor 250 .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200)는 온도감지센서(210)의 센서값을 통해 수전(20)으로부터 배출되는 수돗물의 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온도 미만으로 판단된 경우, 제2개폐유닛(60)이 개방되고, 제1개폐유닛(50)이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동시에, 제1피스톤(320a)을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제2피스톤(320b)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세면대 본체(10)를 제2배수구(13) 측으로 기울여 수돗물이 제2배수구(13) 측으로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mperature of the tap water discharged from the faucet 20 is less than the preset reference temperature through the sensor value of the temperature sensor 210, the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 60 ) is opened and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50 is controlled to be closed, while moving the first piston 320a upward and moving the second piston 320b downward to move the sink body 10 to the second It can be tilted toward the drain 13 so that tap water can be smoothly drained toward the second drain 13 .

또한 제어부(200)는 온도감지센서(210)의 센서값을 통해 수전(20)으로부터 배출되는 수돗물의 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온도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제2개폐유닛(60)이 폐쇄되고, 상기 제1개폐유닛(50)이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동시에, 제1피스톤(320a)을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제2피스톤(320b)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세면대 본체(10)를 제1배수구(12) 측으로 기울여 수돗물이 제1배수구(12) 측으로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troller 200 determines that the temperature of the tap water discharged from the faucet 20 is higher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temperature through the sensor value of the temperature sensor 210,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 60 is closed, and the While controlling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50 to be opened, the first piston 320a is moved downward and the second piston 320b is moved upward to move the washbasin body 10 toward the first drain port 12. It can be tilted so that the tap water can be smoothly drained toward the first drain 12 .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washbasin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회수탱크(100)와 제1배수관(30)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관(120)이 더 구비된다.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 a connection pipe 120 connecting the recovery tank 100 and the first drain pipe 30 to each other is further provided.

이와 같은 연결관(120)은 일측이 회수탱크(100)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1배수관(30)에 연결됨에 따라 회수탱크(100) 내부의 저장공간(110)에 저장된 수돗물의 수위가 일정 이상으로 상승하게 될 경우, 이를 제1배수관(30) 측으로 유동되도록 유도함에 따라 회수탱크(100)의 용량을 초과하여 수돗물이 저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As such a connection pipe 120 has one side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recovery tank 100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first drain pipe 30 , the level of tap water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10 inside the recovery tank 100 . When is rising above a certain level, by guiding it to flow toward the first drain pipe 30 , it is possible to prevent tap water from being stored in excess of the capacity of the recovery tank 100 .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washbasin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는, 제2배수구(13)가 수전(20)의 배수공 직하부에 위치된다는 특징을 가진다.In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 the second drain port 13 is positioned directly below the drain hole of the faucet 20 .

또한 이와 같은 경우 제2개폐유닛(60)은 힌지 방식으로 제2배수구(13)를 개폐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전(20)의 배수공으로부터 낙하하는 수돗물은 제2배수구(13)로 직접 유입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case,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 60 may have a structur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drain hole 13 in a hinge manner, and accordingly, tap water falling from the drain hole of the faucet 20 is directed to the second drain hole 13 . can be introduced directly.

따라서 본 실시예는 수돗물이 세면대 본체(10)의 표면에 닿지 않은 상태로 회수탱크(100)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회수탱크(100)에 저장되는 수돗물의 수질을 보다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ap water can be stored in the recovery tank 100 without touching the surface of the washbasin body 10 , and the water quality of the tap water stored in the recovery tank 100 can be maintained more clearly. .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세면대 본체
11: 저수부
12: 제1배수구
13: 제2배수구
20: 수전
30: 제1배수관
40: 제2배수관
50: 제1개폐유닛
60: 제2개폐유닛
100: 회수탱크
110: 저장공간
200: 제어부
210: 온도감지센서
220: 제1구동모터
230: 제2구동모터
240: 제3구동모터
250: 제4구동모터
300a: 제1실린더유닛
310a: 제1실린더
320a: 제1피스톤
300b: 제2실린더유닛
310b: 제2실린더
320b: 제2피스톤
10: washbasin body
11: Reservoir
12: first drain port
13: 2nd drain hole
20: faucet
30: first drain pipe
40: second drain pipe
50: first opening/closing unit
60: second opening/closing unit
100: recovery tank
110: storage space
200: control unit
210: temperature sensor
220: first driving motor
230: second driving motor
240: third driving motor
250: fourth driving motor
300a: first cylinder unit
310a: first cylinder
320a: first piston
300b: second cylinder unit
310b: second cylinder
320b: second piston

Claims (9)

수돗물을 공급하는 수전이 구비되며, 수돗물을 받을 수 있도록 함몰된 저수부가 형성되고, 상기 저수부에는 수돗물이 배수되는 제1배수구 및 제2배수구가 형성된 세면대 본체;
상기 세면대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수돗물을 저장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회수탱크;
상기 제1배수구와 연결되어, 상기 저수부의 수돗물을 하수도로 배출시키는 제1배수관; 및
상기 제2배수구와 연결되어, 상기 저수부의 수돗물을 상기 회수탱크 측으로 배출시키는 제2배수관;
을 포함하며,
상기 제1배수구 및 상기 제2배수구는 기 설정된 개폐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됨에 따라 상기 저수부의 수돗물을 배수하도록 형성되는,
회수탱크를 포함하는 세면대.
a washbasin body provided with a faucet for supplying tap water, a water reservoir recessed to receive tap water, and a first drain hole and a second drain hole through which tap water is drained in the reservoir body;
a recovery tank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washbasin body and having a storage space for storing tap water therein;
a first drain pipe connected to the first drain port to discharge the tap water from the reservoir into a sewer; and
a second drain pipe connected to the second drain port for discharging the tap water from the reservoir to the recovery tank side;
includes,
The first drain hole and the second drain hole are formed to drain the tap water from the reservoir as the first drain hole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a preset opening/closing condition,
A washbasin comprising a recovery ta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수구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배수구를 개폐하는 제1개폐유닛; 및
상기 제2배수구에 구비되어 상기 제2배수구를 개폐하는 제2개폐유닛;
을 더 포함하는,
회수탱크를 포함하는 세면대.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opening/closing unit provided in the first drain port to open and close the first drain port; and
a second opening/closing unit provided in the second drain port to open and close the second drain port;
further comprising,
A washbasin comprising a recovery tank.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유닛 및 상기 제2개폐유닛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회수탱크를 포함하는 세면대.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and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A washbasin comprising a recovery tank.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센서값을 전달하는 수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회수탱크를 포함하는 세면대.
4.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power faucet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whether the power faucet is operated and transmits a sensor value to the control unit,
A washbasin comprising a recovery tank.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전감지센서의 센서값을 통해 상기 수전이 작동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현재 수전의 작동 시각 이전에 이루어진 가장 최근의 수전 작동 시각과의 시간차를 산출하고, 산출된 시간차가 기 설정된 기준시간차보다 클 경우, 상기 수전의 작동 직후 기 설정된 회수시간 동안 상기 제2개폐유닛이 개방되고, 상기 제1개폐유닛이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회수탱크를 포함하는 세면대.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uni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 faucet has been operated through the sensor value of the power faucet sensor, a time difference with the most recent power faucet operation time made before the current power faucet operation time is calculated, and the calculated time difference is greater than the preset reference time difference In this case, controlling so that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 is opened and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is closed for a preset recovery time immediately after the operation of the faucet,
A washbasin comprising a recovery tank.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전감지센서의 센서값을 통해 상기 수전이 작동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현재 수전의 작동 시각 이전에 이루어진 가장 최근의 수전 작동 시각과의 시간차를 산출하고, 산출된 시간차가 기 설정된 기준시간차보다 작을 경우, 상기 제2개폐유닛이 폐쇄되고, 상기 제1개폐유닛이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회수탱크를 포함하는 세면대.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uni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 faucet has been operated through the sensor value of the power faucet sensor, a time difference with the most recent power faucet operation time made before the current faucet operation time is calculated, and the calculated time difference is smaller than the preset reference time difference In this case,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 is closed and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is controlled to be opened,
A washbasin comprising a recovery tank.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으로부터 배출되는 수돗물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센서값을 전달하는 온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회수탱크를 포함하는 세면대.
4.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tap water discharged from the faucet and transmitting the sensor value to the control unit,
A washbasin comprising a recovery tank.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센서값을 통해 상기 수전으로부터 배출되는 수돗물의 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온도 미만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2개폐유닛이 개방되고, 상기 제1개폐유닛이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회수탱크를 포함하는 세면대.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rol unit is
When the temperature of the tap water discharged from the faucet is determined to be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temperature through the sensor value of the temperature sensor,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 is opened and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is controlled to close,
A washbasin comprising a recovery tank.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센서값을 통해 상기 수전으로부터 배출되는 수돗물의 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온도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2개폐유닛이 폐쇄되고, 상기 제1개폐유닛이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회수탱크를 포함하는 세면대.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rol unit is
When the temperature of the tap water discharged from the faucet is determined to be higher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temperature through the sensor value of the temperature sensor,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 is closed and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is controlled to be opened,
A washbasin comprising a recovery tank.
KR1020200176444A 2020-12-16 2020-12-16 Washbasin Having Collection Tank KR1024799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444A KR102479941B1 (en) 2020-12-16 2020-12-16 Washbasin Having Collection Ta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444A KR102479941B1 (en) 2020-12-16 2020-12-16 Washbasin Having Collection Tan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208A true KR20220086208A (en) 2022-06-23
KR102479941B1 KR102479941B1 (en) 2022-12-21

Family

ID=82221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444A KR102479941B1 (en) 2020-12-16 2020-12-16 Washbasin Having Collection Tan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9941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0025A (en) * 2001-07-09 2001-10-18 황인철 Water saving device of washing die
KR20040082659A (en) * 2003-03-19 2004-09-30 임명구 Recycled sewerage supply device for washing toilet bowl for supplying recycled sewerage by pump to wash toilet bowl
KR20060110513A (en) * 2005-04-20 2006-10-25 강인미 System for saving water
KR200450265Y1 (en) * 2010-05-12 2010-09-20 이동규 Shower head for instantaneous water heaters with water storage
KR20130076184A (en) * 2011-12-28 2013-07-08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A water saving system
KR101930537B1 (en) * 2017-11-09 2018-12-19 서종용 Washbasin water recycling system
KR20180138229A (en) * 2017-06-19 2018-12-31 홍병기 Apparatus for a warm water saving
JP2020045623A (en) * 2018-09-14 2020-03-26 株式会社Lixil Water supply device and washstand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0025A (en) * 2001-07-09 2001-10-18 황인철 Water saving device of washing die
KR20040082659A (en) * 2003-03-19 2004-09-30 임명구 Recycled sewerage supply device for washing toilet bowl for supplying recycled sewerage by pump to wash toilet bowl
KR20060110513A (en) * 2005-04-20 2006-10-25 강인미 System for saving water
KR200450265Y1 (en) * 2010-05-12 2010-09-20 이동규 Shower head for instantaneous water heaters with water storage
KR20130076184A (en) * 2011-12-28 2013-07-08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A water saving system
KR20180138229A (en) * 2017-06-19 2018-12-31 홍병기 Apparatus for a warm water saving
KR101930537B1 (en) * 2017-11-09 2018-12-19 서종용 Washbasin water recycling system
JP2020045623A (en) * 2018-09-14 2020-03-26 株式会社Lixil Water supply device and washst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9941B1 (en) 2022-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7852B1 (en) Commode of saving washing water
KR20220086208A (en) Washbasin Having Collection Tank
US8430118B2 (en) Automatic flush device
KR100690335B1 (en) Auto type toilet bowl using water economically
JP2010236201A (en) Flush toilet bowl
WO2007129864A1 (en) Chamberpot with auto controlling fill-valve for water saving
KR102085963B1 (en) Cooled water in hot water pipe reuse system utilizing water saving faucet having drain function
KR102070294B1 (en) Cooled water in hot water pipe reuse system utilizing water saving faucet having drain function
KR100815206B1 (en) Toilet stool washing apparatus for man of a rotate type
JP3148654U (en) Sis tank for flush toilet
KR100332634B1 (en) Water suppling apparatus for a stool
JP3853825B1 (en) Circulating flush toilet for men
KR20190133346A (en) Draninage control device
JP2539757Y2 (en) Flush toilet
JP7317289B2 (en) Cleaning water tank device
CN109098236A (en) A kind of drain control unit
KR20020022906A (en) A living sewage recycler for a chamber pot
JPH11140939A (en) Toilet cleaning system using recycled water
JP4613792B2 (en) Flush toilet
JPH079303B2 (en) Water heater
KR20180098860A (en) Mid water reusing system
JP4857693B2 (en) Toilet equipment
JP2002256614A (en) Water closet
JP2576391Y2 (en) Wheelchair bathing device with hot water supply / discharge port on bottom wall
KR20010012054A (en) Water saving device for a toilet bow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