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5815A -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 전자기기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 전자기기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5815A
KR20220085815A KR1020227017131A KR20227017131A KR20220085815A KR 20220085815 A KR20220085815 A KR 20220085815A KR 1020227017131 A KR1020227017131 A KR 1020227017131A KR 20227017131 A KR20227017131 A KR 20227017131A KR 20220085815 A KR20220085815 A KR 20220085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power
electronic device
button
hidd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7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더순 민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85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8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71Special purpose buttons or auxiliary keyboards, e.g. retractable mini keypads, keypads or buttons that remain accessible at closed lapt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71Power saving in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06Continuously compensating for, or preventing, undesired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 H03M1/0617Continuously compensating for, or preventing, undesired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thods or mean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detrimental influence
    • H03M1/0634Continuously compensating for, or preventing, undesired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thods or mean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detrimental influence by averaging out the errors, e.g. using sliding scale
    • H03M1/0656Continuously compensating for, or preventing, undesired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thods or mean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detrimental influence by averaging out the errors, e.g. using sliding scale in the time domain, e.g. using intended jitter as a dither signal
    • H03M1/0658Continuously compensating for, or preventing, undesired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thods or mean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detrimental influence by averaging out the errors, e.g. using sliding scale in the time domain, e.g. using intended jitter as a dither signal by calculating a running average of a number of subsequent sampl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03M1/124Sampling or signal 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A/D converters
    • H03M1/1245Details of sampling arrangements or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switching on or off only a part of the equipment circuit blo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Sour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 실시예는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 전자기기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전자기기의 현재상태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현재상태에 따라 ADC 샘플링 회로의 목표 적분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을 목표 적분시간으로 조정하고, 조정된 적분시간을 기반으로 숨겨진 기능 버튼의 파워 온 시간을 조정하여 전자기기의 실제 전력소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적분시간은 파워 온 시간과 양의 상관 관계가 있다.

Description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 전자기기 및 저장 매체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10월 30일 중국에 제출된 출원 명칭이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 전자기기"인, 중국 특허 출원 제201911046267.3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전자기기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 전자기기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부 전자기기는 물리적 버튼을 숨겨진 기능 버튼으로 대체하고 있다. 즉 스마트폰에 센서를 내장하고, 이 센서를 통해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수신된 여기 신호를 검출하며, 더 나아가 상기 미리 설정된 위치에 대응되는 숨겨진 기능 버튼의 기능을 트리거한다.
그러나, 현재 숨겨진 기능 버튼 회로의 전력소비는 비교적 크고 무리한 소비가 있어 사용시간이 단축되고 배터리 과방전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숨겨진 기능 버튼의 센서 스캔 빈도를 줄임으로써 전자기기의 실제 전력소비를 절감할 수 있지만 동시에 숨겨진 기능 버튼의 응답 속도에도 영향을 미쳐 숨겨진 기능 버튼의 응답 속도와 전자기기의 실제 전력소비를 동시에 고려할 수 없었다.
본 발명 실시예는 종래의 전자기기에서 숨겨진 기능 버튼의 응답 속도와 전자기기의 실제 전력소비를 동시에 고려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 전자기기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 측면에 따른 본 발명 실시예는 숨겨진 기능 버튼을 갖는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바, 이 방법은,
전자기기의 셧다운 상태, 대기상태, 사용상태를 포함하는 현재상태를 획득하는 단계;
현재상태에 따라 전자기기 중 ADC 샘플링 회로의 목표 적분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을 목표 적분시간으로 조정하고, 조정된 적분시간을 기반으로 숨겨진 기능 버튼의 파워 온 시간을 조정하여 전자기기의 실제 전력소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 중, 적분시간은 파워 온 시간과 양의 상관 관계가 있다.
제2 측면에 따른 본 발명 실시예는 숨겨진 기능 버튼 회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바,
숨겨진 기능 버튼 회로는 서브 제어회로 및 서브 제어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버튼 센서, 증폭 필터 회로, ADC 샘플링 회로를 포함하며,
서브 제어회로는,
프로세서에 의해 전송된 전자기기의 현재상태를 획득하되, 현재상태는 셧다운 상태, 대기상태 및 사용상태를 포함하며;
현재상태에 따라 ADC 샘플링 회로의 목표 적분시간을 결정하고;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을 목표 적분시간으로 조정하고, 조정된 적분시간을 기반으로 숨겨진 기능 버튼의 파워 온 시간을 조정하여 전자기기의 실제 전력소비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며, 그 중, 적분시간은 파워 온 시간과 양의 상관 관계가 있다.
제3 측면에 따른 본 발명 실시예는 메모리,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바,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측면과 같은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의 단계를 실현한다.
제4 측면에 따른 본 발명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측면과 같은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의 단계를 실현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 및 전자기기는, 전자기기의 현재상태를 획득하고; 획득된 현재상태에 따라 ADC 샘플링 회로의 목표 적분시간을 결정하며;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을 목표 적분시간으로 조정하고, 조정된 적분시간을 기반으로 숨겨진 기능 버튼의 파워 온 시간을 조정하여 전자기기의 실제 전력소비를 제어하며, 상기 적분시간은 파워 온 시간과 양의 상관 관계가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전자기기의 현재상태와 결부하여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숨겨진 기능 버튼 회로에서 전력소모 모듈의 파워 온-오프 시간을 조정하여 전자기기의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삭감한다. 따라서 숨겨진 기능 버튼의 센서 스캔 빈도를 변경할 필요가 없으므로 스캔 빈도가 변하지 않도록 확보할 수 있는 경우 숨겨진 기능 버튼의 응답 감도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기기의 실제 전력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전자기기의 대기시간과 사용수명도 연장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의 기술적 수단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의 설명에 이용할 필요가 있는 도면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또한, 다음의 설명에서 도면은 본 발명에 기재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창조적인 노력 없이도 이들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 분명하다.
도1은 본 발명 제1 측면에 따른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의 제1 실시예의 흐름 모식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을 구현 가능한 예시적인 전자기기의 회로의 구조 모식도이고;
도3은 본 발명 제1 측면에 따른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의 제2 실시예의 흐름 모식도이고;
도4는 도3에 도시된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을 구현 가능한 예시적인 전자기기의 회로의 구조 모식도이고;
도5는 본 발명 제1 측면에 따른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의 제3 실시예의 흐름 모식도이고;
도6은 본 발명 제1 측면에 따른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의 제4 실시예의 흐름 모식도이고;
도7은 본 발명 제2 측면에 따른 전자기기의 실시예의 회로모듈의 구성 모식도이고;
도8은 본 발명 제2 측면에 따른 전자기기의 다른 실시예의 회로모듈의 구성 모식도이고;
도9는 본 발명 제3 측면에 따른 전자기기의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 실시예의 도면에 결부하여 본 발명 실시예를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지만,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모든 실시예가 아닌 것은 명확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창조적인 노력 없이 획득한 다른 모든 실시예도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는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 및 전자기기를 제공하고 있으며, 전자기기의 현재상태와 결부하여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숨겨진 기능 버튼 회로에서 전력소모 모듈의 파워 온-오프 시간을 조정하여 전자기기의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삭감한다. 따라서 숨겨진 기능 버튼의 센서 스캔 빈도를 변경할 필요가 없으므로 스캔 빈도가 변하지 않도록 확보할 수 있는 경우 숨겨진 기능 버튼의 응답 감도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기기의 실제 전력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전자기기의 대기시간과 사용수명도 연장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 제1 측면에 따른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의 제1 실시예의 흐름 모식도이며, 도1의 방법은 전자기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특히 전자기기에 배치된 프로그램 모듈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숨겨진 기능 버튼 회로의 서브 제어회로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전자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서브 제어회로는 상기 프로세서와 독립적일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적어도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101)에서 전자기기의 현재상태를 획득한다. 상기 현재상태는 셧다운 상태, 대기상태 또는 사용상태를 포함한다.
상술한 현재상태는 전자기기의 현재 사용상태를 나타내며, 상기 현재 사용상태는 셧다운 상태일 수 있고, 대기상태일 수도 있으며, 사용상태(즉 정상 작동 상태)일 수도 있다. 실행 주체가 서브 제어회로인 경우, 상술한 현재상태는 전자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서브 제어회로로 전송될 수 있다. 서브 제어회로는 IO 인터페이스 또는 미리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인터랙션하며, 구체적으로 프로세서는 전자기기의 사용상태가 변화되었음을 검출한 경우, 현재상태를 서브 제어회로에 자동적으로 보고할 수 있다. 즉 서브 제어회로는 IO 인터페이스 또는 미리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프로세서에 의해 전송된 전자기기의 현재상태를 수신하므로 서브 제어회로는 사용상태가 변화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검출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서브 제어회로의 정보 처리량을 감소시킨다.
도1에 도시된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S102)에서 획득한 현재상태에 따라 전자기기 중 ADC 샘플링 회로의 목표 적분시간을 결정한다.
상술한 ADC 샘플링 회로는 적분형 ADC 샘플링 회로이며, 적분형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이 길수록 신호 처리 정밀도가 높아진다. 전자기기는 사용상태에 따라 ADC 샘플링 회로가 처리한 아날로그 신호의 정밀도에 대한 요구 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전자기기의 상이한 사용상태에서 정밀도의 높낮이에 대한 요구 사항에 따라 상이한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을 설정한다. 현재 사용상태에 대응되는 정밀도의 요구 사항이 상대적으로 높으면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을 늘리고, 현재 사용상태에 대응되는 정밀도의 요구 사항이 상대적으로 낮으면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을 줄인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가 셧다운 상태에 있는 경우, 외부 여기 신호를 검출하여 트리거하기만 하면 되며, 외부 여기 신호 변환 후의 아날로그 신호의 정밀도에 대한 요구 사항 높지 않기 때문에 셧다운 상태에 대응되는 목표 적분시간은 사용상태에 대응되는 목표 적분시간보다 작다.
구체적으로 실시하는 경우, 전자기기의 사용상태와 목표 적분시간 사이의 제1 대응 관계를 미리 확립하고 저장하며, 후속적으로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단계에서 미리 저장된 제1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전자기기의 현재상태와 대응되는 목표 적분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S103)에서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을 목표 적분시간으로 조정하고, 조정된 적분시간을 기반으로 숨겨진 기능 버튼의 파워 온 시간을 조정하여 전자기기의 실제 전력소비를 제어한다. 그 중, 적분시간은 파워 온 시간과 양의 상관 관계가 있다.
여기에서,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이 길수록 신호 처리 정밀도가 높아지지만 전력소모 모듈(예를 들어, 버튼 센서, 신호처리회로)의 파워 온 시간이 길수록 전자기기의 전력소비가 높아진다. 이 점을 고려하여 셧다운 상태 및 대기상태에서 정밀도에 대한 요구 사항이 높지 않기 때문에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을 적절하게 단축할 수 있으며, 셧다운 상태 또는 대기상태에 대응되는 목표 적분시간이 모두 사용상태에 대응되는 목표 적분시간보다 작다. 즉 셧다운 상태 또는 대기상태의 경우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을 줄이므로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이 짧을수록 전력소모 모듈의 파워 온 시간이 짧아지며, 이에 따라, 스캔 주기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전력소모 모듈의 파워 오프 시간이 길어진다. 따라서 스캔 빈도가 변하지 않도록 확보하면서 전자기기의 실제 전력소비를 절감한다.
이것으로부터 전자기기의 현재상태와 자동적으로 결부하여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을 조정함으로써,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을 현재상태에 대응되는 목표 적분시간으로 조정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숨겨진 기능 버튼의 응답 감도를 확보할 수 있고, 사용상태에서 신호 처리 정밀도를 확보함과 동시에 전자기기의 셧다운 또는 대기 전력소비를 절감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전자기기의 현재상태와 결부하여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숨겨진 기능 버튼 회로에서 전력소모 모듈의 파워 온-오프 시간을 조정하여 전자기기의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삭감한다. 따라서 숨겨진 기능 버튼의 센서 스캔 빈도를 변경할 필요가 없으므로 스캔 빈도가 변하지 않도록 확보할 수 있는 경우 숨겨진 기능 버튼의 응답 감도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기기의 실제 전력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전자기기의 대기시간과 사용수명도 연장할 수 있다.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1에 도시된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을 실현할 수 있는 예시적인 전자기기의 회로 구조 모식도를 제공하고 있다. 전자기기는 숨겨진 기능 버튼 회로, 프로세서 및 배터리를 포함하고, 숨겨진 기능 버튼 회로는 서브 제어회로, 신호처리회로, 버튼 센서 및 제어전원을 포함하며, 신호처리회로는 증폭 필터 회로 및 ADC 샘플링 회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버튼 센서는 압력 센서일 수 있고, 용량형 센서 또는 인덕턴스형 센서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는 전자기기의 사용상태가 변화되었음을 검출하면 검출된 전자기기의 현재상태를 서브 제어회로에 업로드하며; 서브 제어회로는 IO 인터페이스 또는 미리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현재상태를 수신한다.
서브 제어회로는 수신한 전자기기의 현재상태에 따라 ADC 샘플링 회로의 목표 적분시간을 결정하고;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을 목표 적분시간으로 조정하여 버튼 센서, 증폭 필터 회로, ADC 샘플링 회로 중 적어도 하나의 전력소모 모듈의 파워 온 시간을 제어한다. 여기에서, 적분시간은 파워 온 시간과 양의 상관 관계가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파워 오프 시간도 숨겨진 기능 버튼 회로의 스캔 빈도가 변경되지 않고 유지되도록 따라서 변화한다. 따라서 숨겨진 기능 버튼의 응답 감도를 확보하는 전제하에서 셧다운 또는 대기상태의 전자기기의 전력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하는 경우, 서브 제어회로에 숨겨진 기능 버튼 회로의 스캔 주기에 대해 타이밍 제어하기 위한 타이머를 배치한다. 스캔 주기는 파워 온 시간 및 파워 오프 시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서브 제어회로는 타이머 및 제어전원을 통해 버튼 센서, 증폭 필터 회로, ADC 샘플링 회로 중 적어도 하나의 전력소모 모듈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각 스캔 주기에서 버튼 센서, 증폭 필터 회로, ADC 샘플링 회로 중 적어도 하나의 전력소모 모듈의 파워 온 시간 또는 파워 오프 시간을 조정하며; 각 스캔 주기의 파워 온 시간이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 파워 온 안정시간과 미리 설정된 신호처리시간의 합과 같고, 적분시간은 현재상태와 관련이 있으며, 파워 온 안정 시간 및 미리 설정된 신호처리시간은 모두 고정 값이고; 각 스캔 주기에서 파워 오프 시간은 스캔 주기에서 파워 온 시간을 뺀 값과 같으며, 스캔 주기는 그대로 유지된다. 즉 스캔 빈도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적분시간이 짧을수록 파워 온 시간이 짧아 지고 파워 오프 시간이 길어진다.
구체적으로, 각 스캔 주기에서 파워 온 시간 동안 버튼 센서는 외부 여기 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외부 여기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데 사용되며; 신호처리회로는 그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 필터링, 적분처리하고, 처리하여 얻은 디지털 신호를 서브 제어회로에 업로드한다. 이때 버튼 센서, 증폭 필터 회로, ADC 샘플링 회로는 파워 온되어야 한다.
이에 대응하여, 각 스캔 주기에서 파워 오프 시간 동안 주로 서브 제어회로에 의해 신호처리 및 데이터 보고가 수행되며, 이 때 버튼 센서, 증폭 필터 회로, ADC 샘플링 회로는 파워 온되지 않아도 된다. 구체적으로, 서브 제어회로가 디지털 신호형식의 버튼 트리거 신호를 프로세서에 전송하여 프로세서가 상기 버튼 트리거 신호에 근거하여 터치용 숨겨진 기능 버튼을 결정하고 해당 버튼 기능을 실행하도록 한다.
즉, 전자기기의 다양한 사용상태에 따라 스캔 빈도가 변하지 않도록 확보하는 경우, 즉 스캔 주기가 변하지 않도록 확보하는 경우, 서브 제어회로는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을 조정함으로써, 버튼 센서, 증폭 필터 회로, ADC 샘플링 회로의 파워 온 시간 및 파워 오프 시간을 제어한다. 그 중 셧다운 또는 대기상태에서는 적분시간을 줄이고 파워 온 시간을 감소하며, 이에 대응하여, 파워 오프 시간은 증가되고, 사용상태에서는 적분시간을 증가하고 파워 온 시간을 증가하며, 이에 대응하여, 파워 오프 시간은 감소된다.
구체적으로, 전자기기가 파워 온 상태에서 셧다운 상태로 변경될 때, 셧다운 상태가 ADC 샘플링 회로에 의해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의 정밀도에 대한 요구 사항이 낮아지기 때문에 서브 제어회로는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을 단축하여 버튼 센서, 증폭 필터 회로, ADC 샘플링 회로의 파워 온 시간을 감소하고, 버튼 센서, 증폭 필터 회로, ADC 샘플링 회로의 파워 오프 시간을 증가하며, 셧다운 또는 대기상태에서 숨겨진 기능 버튼 회로의 실제 전력소비의 효과적인 절감을 실현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각 스캔 주기에 대하여, 파워 온 시간이 t1~t2이고, 파워 오프 시간이 t2~t3인 경우, 즉 스캔 주기가 t1~t3인 경우; 전자기기의 현재상태가 파워 온 상태에서 셧다운 상태로 전환되면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을 단축하며, 이에 대응하여, 버튼 센서, 증폭 필터 회로, ADC 샘플링 회로의 파워 온 시간(t1~t2)을 감소하고, 버튼 센서, 증폭 필터 회로, ADC 샘플링 회로의 파워 오프 시간(t2~t3)을 증가하며, 숨겨진 기능 버튼 회로의 스캔 주기(t1~t3)는 변경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즉 숨겨진 기능 버튼 회로의 스캔 빈도가 변하지 않지만, 파워 온 시간(t1~t2)이 감소되기 때문에 셧다운 또는 대기상태에서 숨겨진 기능 버튼 회로의 실제 전력소비를 효과적으로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의 상이한 사용상태에 대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는 숨겨진 기능 버튼의 종류가 다르기 때문에 각 숨겨진 기능 버튼에 하나의 제어 스위치를 배치함으로써, 각 숨겨진 기능 버튼의 독립적인 파워 온-오프 제어를 실현할 수 있으며, 현재 사용상태에서 사용할 가능성이 있는 숨겨진 기능 버튼에만 전력을 공급하고, 현재 사용상태에서 사용할 필요가 없는 숨겨진 기능 버튼에는 전력을 공급하지 않으므로 전자기기의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한층 더 삭감한다. 이에 기초하여,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단계(S101)에서 전자기기의 현재상태를 획득한 다음,
단계(S104)에서 획득한 현재상태에 따라 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 및 비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실시하는 경우, 전자기기 중 복수의 숨겨진 기능 버튼에서 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만 결정하고, 나머지 숨겨진 기능 버튼을 비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비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만 결정하고, 나머지 숨겨진 기능 버튼을 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으로 결정할 수도 있으며, 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 및 비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을 동시에 결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술한 숨겨진 기능 버튼은 숨겨진 볼륨 업 버튼, 숨겨진 볼륨 다운 버튼, 숨겨진 전원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은 현재 사용상태에서 사용할 필요가 있을 수 있는 숨겨진 기능 버튼을 의미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술한 비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은 현재 사용상태에서 사용할 필요가 없는 숨겨진 기능 버튼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실시하는 경우, 전자기기의 사용상태와 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 사이의 제2 대응 관계를 미리 확립하고 저장하며, 후속적으로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단계에서 미리 저장된 제2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전자기기의 현재상태와 대응되는 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다른 숨겨진 기능 버튼은 비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단계(S101)에서 전자기기의 현재상태를 획득한 후,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은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S105): 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의 스위치가 온하도록 제어하고, 비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의 스위치가 오프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숨겨진 기능 버튼의 스위치는 기계식 스위치일 수 있고, 인에이블 제어 전원일 수도 있으며, 스위치를 통해 각 숨겨진 기능 버튼에 대응하는 센서가 통전 또는 파워 오프되도록 개별적으로 제어하며; 어느 숨겨진 기능 버튼을 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으로 결정하는 경우, 그 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에 대응하는 센서의 스위치가 온하도록 제어하여 센서를 파워 온시키며, 센서가 여기 신호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한다. 동시에, 비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의 경우, 즉 현재 사용상태에서 트리거할 필요가 없는 숨겨진 기능 버튼에 관하여, 비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에 대응하는 센서의 스위치가 오프되도록 제어하여 그 비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 회로의 전력소비에 대한 제어를 실현한다.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3에 도시된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을 실현할 수 있는 예시적인 전자기기의 회로 구조 모식도를 제공하고 있다. 상술한 도2의 기초하여, 상기 전자기기는 버튼 센서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는 숨겨진 기능 버튼과 일대일로 대응된다.
도4에서, 복수의 버튼 센서는 숨겨진 전원 버튼에 대응되는 버튼 센서(1), 숨겨진 볼륨 업 버튼에 대응되는 버튼 센서(2), 또는 숨겨진 볼륨 다운 버튼에 대응되는 버튼 센서(3)를 포함한다. 상술한 버튼 센서는 하나의 센서 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버튼 감도를 향상하기 위해, 상술한 버튼 센서는 복수의 센서 요소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구체적으로 실시하는 경우, 각 숨겨진 기능 버튼의 감도에 대한 실제 요구 사항을 결부할 수 있으며, 대응하는 버튼 센서는 서로 다른 수의 센서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숨겨진 전원 버튼의 감도에 대한 요구 사항이 숨겨진 볼륨 업 버튼 및 숨겨진 볼륨 다운 버튼보다 높은 경우, 숨겨진 전원 버튼에 대응하는 버튼 센서를 3개의 센서 요소로 구성되도록 설정하고, 숨겨진 볼륨 업 버튼 및 숨겨진 볼륨 다운 버튼에 대응하는 버튼 센서를 모두 2개의 센서 요소로 구성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튼 센서(1)는 스위치(1)에 대응되고, 버튼 센서(2)는 스위치(2)에 대응되며, 버튼 센서(3)는 스위치(3)에 대응된다. 숨겨진 전원 버튼이 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이고 숨겨진 볼륨 업 버튼 및 숨겨진 볼륨 다운 버튼이 비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이면 스위치(1)를 온 상태에 설정하여 버튼 센서(1)를 파워 온시키고 스위치(2) 및 스위치(3)를 오프 상태에 설정하여 버튼 센서(2) 및 버튼 센서(3)를 파워 오프시켜 전자기기의 불필요 전력소비를 절감한다.
또한,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을 조정하여 전자기기의 실제 전력소비를 절감하는 실현 형태에 있어서, 현재상태에 대응하는 목표 적분시간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단계(S102)에서 획득한 현재상태에 따라 전자기기 중 ADC 샘플링 회로의 목표 적분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전자기기의 현재상태가 사용상태이면 제1 적분시간을 전자기기 중 ADC 샘플링 회로의 목표 적분시간으로 결정한다.
전자기기의 현재상태가 대기상태이면 제2 적분시간을 전자기기 중 ADC 샘플링 회로의 목표 적분시간으로 결정한다.
전자기기의 현재상태가 셧다운 상태이면 제3 적분시간을 전자기기 중 ADC 샘플링 회로의 목표 적분시간으로 결정한다.
그 중, 제1 적분시간은 제2 적분시간보다 길고, 제2 적분시간은 제3 적분시간보다 길다.
구체적으로, 전자기기의 상이한 사용상태에서 ADC 샘플링 회로에 의해 처리된 아날로그 신호의 정밀도에 대한 요구 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을 상응하게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정밀도 요구 사항이 높을수록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이 길어 진다. 사용상태, 대기상태 및 셧다운 상태의 세 가지 사용상태가 정밀도에 대한 요구 사항이 순차적으로 낮아지기 때문에 사용상태에 대응하는 제1 적분시간은 대기상태에 대응하는 제2 적분시간보다 길고, 대기상태에 대응하는 제2 적분시간은 셧다운 상태에 대응하는 제3 적분시간보다 길다.
구체적으로, 신호처리회로와 버튼 센서의 파워 온 시간은 주로 숨겨진 기능 버튼 회로의 파워 온 안정 시간, ADC 적분시간 및 신호전송시간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파워 오프 시간은 스캔 주기에서 파워 온 시간을 뺀 값과 같으며, 스캔 주기는 변함없이 유지된다. 전자기기의 상태정보에 변화가 발생할 때, 숨겨진 기능 버튼 회로가 ADC 샘플링 회로에 의해 처리된 아날로그 신호의 정밀도에 대한 요구 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을 상응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신호처리회로 및 버튼 센서의 파워 온 시간을 조정하고, 또한 신호처리회로 및 버튼 센서의 파워 오프 시간을 조정하여 숨겨진 기능 버튼 회로의 셧다운 또는 대기상태에서의 전력소비를 절감시킨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의 현재상태가 사용상태인 경우, 신호처리회로 및 버튼 센서의 파워 온 안정 시간은 5ms이고,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은 10ms이며, 신호전송시간은 5ms이고, 각 스캔 주기에서 파워 온 시간은 20ms이다.
이에 대응하여, 전자기기의 현재상태가 대기상태일 때, 신호처리회로 및 버튼 센서의 파워 온 안정 시간은 5ms이고,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은 5ms이며, 신호전송시간은 5ms이고, 각 스캔 주기에서 파워 온 시간은 15ms이다.
이에 대응하여, 전자기기의 현재상태가 셧다운 상태일 때, 신호처리회로 및 버튼 센서의 파워 온 안정 시간은 5ms이고,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은 1ms이며, 신호전송시간은 5ms이고, 각 스캔 주기에서 파워 온 시간은 11ms이다.
따라서 전자기기의 상이한 사용상태에서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을 조정하여 신호처리회로 및 버튼 센서의 파워 온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숨겨진 기능 버튼 회로의 셧다운 또는 대기상태에서의 전력소비를 절감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각 숨겨진 기능 버튼에 하나의 제어 스위치를 배치하여 각 숨겨진 기능 버튼의 개별적인 파워 온-오프 제어를 실현하는 실현 형태에 있어서, 현재상태에 대응하는 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 및 비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을 결정할 필요가 있는 바, 구체적으로 상술한 단계(S104)에서 획득한 현재상태에 따라 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 및 비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을 결정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전자기기의 현재상태가 사용상태이면 숨겨진 전원 버튼, 숨겨진 볼륨 업 버튼 및 숨겨진 볼륨 다운 버튼을 모두 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으로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전자기기가 사용상태에 있는 경우, 사용자는 숨겨진 전원 버튼을 터치하여 전원 끄기 기능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숨겨진 볼륨 업 버튼, 숨겨진 볼륨 다운 버튼을 터치하여 재생 볼륨을 높이거나 재생 볼륨을 낮추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숨겨진 전원 버튼, 숨겨진 볼륨 업 버튼, 숨겨진 볼륨 다운 버튼의 스위치는 외부 여기 신호를 제 시간에 수집될 수 있도록 모두 온 상태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전자기기의 현재상태가 대기상태 또는 셧다운 상태이면 숨겨진 전원 버튼을 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으로 결정하고, 숨겨진 볼륨 업 버튼 및 숨겨진 볼륨 다운 버튼을 비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으로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전자기기가 대기 또는 셧다운 상태에 있는 경우, 사용자는 숨겨진 전원 버튼을 터치하는 것으로만 전원을 켜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숨겨진 전원 버튼의 스위치는 외부 여기 신호를 제 시간에 수집될 수 있도록 모두 온 상태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하는 경우, 전자기기의 현재상태가 사용상태일 때, 숨겨진 볼륨 업 버튼, 숨겨진 볼륨 다운 버튼 및 숨겨진 전원 버튼이 사용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숨겨진 볼륨 업 버튼, 숨겨진 볼륨 다운 버튼 및 숨겨진 전원 버튼에 각각 대응되는 스위치가 온하여 대응하는 버튼 센서가 외부 여기 신호를 수집하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다. 전자기기의 현재상태가 대기상태 또는 셧다운 상태일 때, 숨겨진 전원 버튼만 사용되는 것을 고려하면, 숨겨진 전원 버튼에 대응하는 스위치가 온하여 대응하는 버튼 센서가 외부 여기 신호를 수집하도록 제어하는 동시에 다른 숨겨진 기능 버튼의 스위치 상태를 오프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숨겨진 기능 버튼 회로의 셧다운 또는 대기상태에서의 전력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각 스캔 주기의 제어가 정확하지 않을 수 있는 상황을 고려하여, 각 스캔 주기에서 파워 온 시간과 파워 오프 시간의 합계가 변하지 않도록 확보하고 스캔 빈도도 변하지 않도록 확보하기 위해, 스캔 주기의 검출 메커니즘을 추가하여 각 스캔 주기가 변경되지 않고 유지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이를 기반으로 상술한 단계(S103) 후에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각 스캔 주기에서 숨겨진 기능 버튼의 버튼 센서의 파워 온 시간 및 파워 오프 시간을 획득한다.
파워 온 시간과 파워 오프 시간의 합이 미리 설정된 시간 임계값과 같지 않으면 프로세서를 트리거하여 비정상임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실시하는 경우, 스캔 주기의 검출 과정은 서브 제어회로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에 의한 처리 프로그램의 편차를 줄이기 위해, 서브 제어회로를 통해 스캔 주기를 검출하는 것을 예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단계(S103)에서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을 목표 적분시간으로 조정하며, 조정된 적분시간을 기반으로 숨겨진 기능 버튼의 파워 온 시간을 조정하여 전자기기의 실제 전력소비를 제어한 후,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은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S106): 각 스캔 주기에서 숨겨진 기능 버튼의 버튼 센서의 파워 온 시간 및 파워 오프 시간을 획득하고;
단계(S107): 파워 온 시간과 파워 오프 시간의 합이 미리 설정된 시간 임계값과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 단계(S108)를 실행하여 스캔 주기가 비정상적임을 나타내기 위한 제1 제시정보를 생성하고, 프로세서를 트리거하여 비정상적임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제1 제시정보를 프로세서에 전송하여 프로세서가 비정상 원인을 결정하고 비정상 제시를 수행하도록 하며, 비정상 원인에 기초하여 서브 제어회로의 파라메터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브 제어회로는 타이머 및 제어전원을 통해 버튼 센서, 증폭 필터 회로, ADC 샘플링 회로 중 적어도 하나의 전력소모 모듈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각 스캔 주기에서 버튼 센서, 증폭 필터 회로, ADC 샘플링 회로 중 적어도 하나의 전력소모 모듈의 파워 온 시간 및 파워 오프 시간을 조정한다. 여기서, 파워 온 시간과 파워 오프 시간의 합이 숨겨진 기능 버튼 회로의 스캔 주기이고, 스캔 주기는 변경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파워 온 시간과 파워 오프 시간의 합에 변화가 발생하고 미리 설정된 스캔 주기가 일치하지 않으면, 스캔 주기의 제어에 비정상이 발생하였음을 의미하며, 이 때 타이머에 이상이 있을 수 있으므로 자동적으로 해당 비정상 제시정보를 생성하고 프로세서에 전송하여 프로세서가 자동적으로 특정 비정상 원인을 결부하여 타이머의 관련 파라메터를 조정하도록 한다. 또한, 스캔 주기의 비정상 제어 횟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면, 프로세서가 자동적으로 관련 파라메터를 수정할 수 없음을 설명하며, 사용자가 유지 보수 지점으로 가 유지 보수할 것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각 스캔 주기에서 파워 온 시간 제어가 장확하지 않을 수 있는 상황을 고려하여, 각 스캔 주기에서 파워 온 시간이 전자기기의 현재 사용상태와 일치하도록 확보하기 위해, 상이한 사용상태에 대한 파워 온 시간 검출 메커니즘을 추가하여 파워 온 시간의 제어가 정확한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도록 한다. 이에 기초하여, 상술한 단계(S103) 후에,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은,
셧다운 상태에서 각 스캔 주기의 제1 파워 온 시간을 획득하고, 사용상태에서 각 스캔 주기의 제2 파워 온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및
제1 파워 온 시간이 제2 파워 온 시간보다 길거나 같으면 프로세서를 트리거하여 비정상임을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실시하는 경우, 상이한 사용상태에 대한 파워 온 시간의 검출 과정은 서브 제어회로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에 의한 처리 프로그램의 편차를 줄이기 위해, 서브 제어회로를 통해 상이한 사용상태에 대한 파워 온 시간을 검출하는 것을 예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단계(S103)에서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을 목표 적분시간으로 조정하며, 조정된 적분시간을 기반으로 숨겨진 기능 버튼의 파워 온 시간을 조정하여 전자기기의 실제 전력소비를 제어한 후,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S109): 셧다운 상태에서 각 스캔 주기의 제1 파워 온 시간을 획득하고, 사용상태에서 각 스캔 주기의 제2 파워 온 시간을 획득한다.
단계(S110): 제1 파워 온 시간이 제2 파워 온 시간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 단계(S111)를 실행하여 파워 온 시간의 제어가 비정상적임을 나타내기 위한 제2 제시정보를 생성하고, 프로세서를 트리거하여 비정상임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제2 제시정보를 프로세서에 전송하여 프로세서가 비정상 원인을 결정하고 비정상 제시를 수행하도록 하며, 비정상 원인에 기초하여 서브 제어회로의 파라메터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브 제어회로는 타이머 밀 제어전원을 통해 버튼 센서, 증폭 필터 회로, ADC 샘플링 회로 중 적어도 하나의 전력소모 모듈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각 스캔 주기에서 버튼 센서, 증폭 필터 회로, ADC 샘플링 회로 중 적어도 하나의 전력소모 모듈의 파워 온 시간을 조정한다. 여기서, 전자기기가 셧다운 상태에 있는 경우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이 짧고, 전자기기가 사용상태에 있는 경우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이 길기 때문에 셧다운 상태에서 대응되는 제1 파워 온 시간은 사용상태에서 대응되는 제2 파워 온 시간보다 짧아야 한다. 제1 파워 온 시간이 제2 파워 온 시간보다 길거나 같으면 파워 온 시간의 제어에 비정상이 발생하였음을 의미하며, 이 때 서브 제어회로에 이상이 있을 수 있으므로 자동적으로 해당 비정상 제시정보를 생성하고 프로세서에 전송하여 프로세서가 자동적으로 특정 비정상 원인을 결부하여 서브 제어회로의 관련 파라메터를 조정하도록 한다. 또한, 파워 온 시간의 비정상 제어 횟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면, 프로세서가 자동적으로 관련 파라메터를 수정할 수 없음을 설명하며, 사용자가 유지 보수 지점으로 가 유지 보수할 것을 제시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은 전자기기의 현재상태를 획득하고; 획득된 현재상태에 따라 ADC 샘플링 회로의 목표 적분시간을 결정하며;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을 목표 적분시간으로 조정하고, 조정된 적분시간을 기반으로 숨겨진 기능 버튼의 파워 온 시간을 조정하여 전자기기의 실제 전력소비를 제어하며, 상기 적분시간은 파워 온 시간과 양의 상관 관계가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전자기기의 현재상태와 결부하여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숨겨진 기능 버튼 회로에서 전력소모 모듈의 파워 온-오프 시간을 조정하여 전자기기의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삭감한다. 따라서 숨겨진 기능 버튼의 센서 스캔 빈도를 변경할 필요가 없으므로 스캔 빈도가 변하지 않도록 확보할 수 있는 경우 숨겨진 기능 버튼의 응답 감도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기기의 실제 전력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전자기기의 대기시간과 사용수명도 연장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에 대응하여, 동일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본 발명 실시예는 전자기기도 제공한다. 도7은 본 발명 제2 측면에 따른 전자기기의 실시예의 회로모듈의 구성 모식도이며, 이 전자기기는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을 실행하는 데 사용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기기는 숨겨진 기능 버튼 회로와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술한 숨겨진 기능 버튼 회로는 서브 제어회로 및 서브 제어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버튼 센서, 증폭 필터 회로, ADC 샘플링 회로를 포함한다.
상술한 서브 제어회로는,
프로세서에 의해 전송된 전자기기의 현재상태를 획득하되, 현재상태는 셧다운 상태, 대기상태 및 사용상태를 포함하며;
현재상태에 따라 상술한 ADC 샘플링 회로의 목표 적분시간을 결정하고;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을 목표 적분시간으로 조정하고, 조정된 적분시간을 기반으로 숨겨진 기능 버튼의 파워 온 시간을 조정하여 전자기기의 실제 전력소비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며, 그 중, 적분시간은 파워 온 시간과 양의 상관 관계가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전자기기의 현재상태와 결부하여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숨겨진 기능 버튼 회로에서 전력소모 모듈의 파워 온-오프 시간을 조정하여 전자기기의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삭감한다. 따라서 숨겨진 기능 버튼의 센서 스캔 빈도를 변경할 필요가 없으므로 스캔 빈도가 변하지 않도록 확보할 수 있는 경우 숨겨진 기능 버튼의 응답 감도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기기의 실제 전력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전자기기의 대기시간과 사용수명도 연장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전자기기는 버튼 센서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스위치는 숨겨진 기능 버튼과 일대일로 대응되고, 서브 제어회로는,
현재상태에 따라 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 및 비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을 결정하며;
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의 상술한 스위치가 온하도록 제어하고, 비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의 상술한 스위치가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상술한 서브 제어회로는, 구체적으로,
현재상태가 사용상태이면 제1 적분시간을 상술한 전자기기 중 ADC 샘플링 회로의 목표 적분시간으로 결정하고;
현재상태가 대기상태이면 제2 적분시간을 상술한 전자기기 중 ADC 샘플링 회로의 목표 적분시간으로 결정하며;
현재상태가 셧다운 상태이면 제3 적분시간을 상술한 전자기기 중 ADC 샘플링 회로의 목표 적분시간으로 결정하는 데 사용되고,
그 중, 제1 적분시간은 상술한 제2 적분시간보다 길고, 제2 적분시간은 제3 적분시간보다 길다.
바람직하게, 숨겨진 기능 버튼은 숨겨진 전원 버튼, 숨겨진 볼륨 업 버튼 및 숨겨진 볼륨 다운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술한 서브 제어회로는, 구체적으로,
현재상태가 사용상태이면 숨겨진 전원 버튼, 숨겨진 볼륨 업 버튼 및 상술한 숨겨진 볼륨 다운 버튼을 모두 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으로 결정하고;
현재상태가 대기상태 또는 셧다운 상태이면 숨겨진 전원 버튼을 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으로 결정하며, 숨겨진 볼륨 업 버튼 및 숨겨진 볼륨 다운 버튼을 비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으로 결정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상술한 서브 제어회로는,
각 스캔 주기에서 숨겨진 기능 버튼의 버튼 센서의 파워 온 시간 및 파워 오프 시간을 획득하고;
파워 온 시간과 파워 오프 시간의 합이 미리 설정된 시간 임계값과 같지 않으면 비정상임을 제시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상술한 서브 제어회로는,
셧다운 상태에서 각 스캔 주기의 제1 파워 온 시간을 획득하고, 사용상태에서 각 스캔 주기의 제2 파워 온 시간을 획득하며;
제1 파워 온 시간이 제2 파워 온 시간보다 길거나 같으면 비정상임을 제시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전자기기는 전자기기의 현재상태를 획득하고; 획득된 현재상태에 따라 ADC 샘플링 회로의 목표 적분시간을 결정하며;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을 목표 적분시간으로 조정하고, 조정된 적분시간을 기반으로 숨겨진 기능 버튼의 파워 온 시간을 조정하여 전자기기의 실제 전력소비를 제어하며, 상기 적분시간은 파워 온 시간과 양의 상관 관계가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전자기기의 현재상태와 결부하여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숨겨진 기능 버튼 회로에서 전력소모 모듈의 파워 온-오프 시간을 조정하여 전자기기의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삭감한다. 따라서 숨겨진 기능 버튼의 센서 스캔 빈도를 변경할 필요가 없으므로 스캔 빈도가 변하지 않도록 확보할 수 있는 경우 숨겨진 기능 버튼의 응답 감도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기기의 실제 전력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전자기기의 대기시간과 사용수명도 연장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자기기는 상술한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에 대응되는 실시예 중 각 과정을 실현할 수 있으며,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자기기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은 동일한 발명 개념에 기초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실시예의 구체적인 실시는 상술한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의 실시를 참조하여도 되는 점에 유의하여야 하며, 반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에 대응하여, 동일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상술한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전자기기도 제공하는 바, 전자기기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제1 측면의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의 각 실시예의 단계를 실현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9는 본 발명 제3 측면에 따른 전자기기의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9에 도시된 전자기기(100)는 무선 주파수 유닛(101), 네트워크 모듈(102), 오디오 출력 유닛(103), 입력 유닛(104), 센서(105), 표시 유닛(106), 사용자 입력 유닛(107), 인터페이스 유닛(108), 메모리(109), 프로세서(110) 및 전원(111) 등 구성 요소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9에 도시된 전자기기의 구조가 전자기기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으며, 전자기기는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 구성 요소를 조합하거나, 또는 상이하게 구성 요소를 배치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전자기기는 모바일 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터, 차량 탑재 단말기, 웨어러블 장치 및 보수계 등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510)는 전자기기의 제어 센터로서,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선로를 이용하여 전체 전자기기의 각 부분을 연결하며, 메모리(509) 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작동 또는 실행시키고, 메모리(509) 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함으로써, 전자기기의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며, 전자기기를 전체적으로 모니터링한다. 프로세서(51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510)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모뎀 프로세서를 통합할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또한, 상술한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510)에 통합하지 않아도 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상술한 전자기기의 현재상태를 획득하되, 상술한 현재상태는 셧다운 상태, 대기상태 및 사용상태를 포함하며;
상술한 현재상태에 따라 상술한 전자기기 중 ADC 샘플링 회로의 목표 적분시간을 결정하고;
상술한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을 상술한 목표 적분시간으로 조정하고, 조정된 적분시간을 기반으로 숨겨진 기능 버튼의 파워 온 시간을 조정하여 전자기기의 실제 전력소비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며, 그 중, 적분시간은 파워 온 시간과 양의 상관 관계가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전자기기의 현재상태와 결부하여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숨겨진 기능 버튼 회로에서 전력소모 모듈의 파워 온-오프 시간을 조정하여 전자기기의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삭감한다. 따라서 숨겨진 기능 버튼의 센서 스캔 빈도를 변경할 필요가 없으므로 스캔 빈도가 변하지 않도록 확보할 수 있는 경우 숨겨진 기능 버튼의 응답 감도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기기의 실제 전력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전자기기의 대기시간과 사용수명도 연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0)는,
전자기기의 현재상태를 획득한 후에,
현재상태에 따라 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 및 비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을 결정하며;
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의 스위치가 온하도록 제어하고, 비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의 스위치가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여기서, 프로세서(110)는,
현재상태에 따라 전자기기 중 ADC 샘플링 회로의 목표 적분시간을 결정하며,
현재상태가 사용상태이면 제1 적분시간을 상술한 전자기기 중 ADC 샘플링 회로의 목표 적분시간으로 결정하고;
현재상태가 대기상태이면 제2 적분시간을 상술한 전자기기 중 ADC 샘플링 회로의 목표 적분시간으로 결정하며;
현재상태가 셧다운 상태이면 제3 적분시간을 상술한 전자기기 중 ADC 샘플링 회로의 목표 적분시간으로 결정하는 데에도 사용되고,
그 중, 제1 적분시간은 제2 적분시간보다 길고, 제2 적분시간은 제3 적분시간보다 길다.
여기서, 프로세서(110)는,
복수의 숨겨진 기능 버튼은 숨겨진 전원 버튼, 숨겨진 볼륨 업 버튼 및 숨겨진 볼륨 다운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현재상태에 따라 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 및 비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을 결정하며;
현재상태가 사용상태이면 숨겨진 전원 버튼, 숨겨진 볼륨 업 버튼 및 숨겨진 볼륨 다운 버튼을 모두 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으로 결정하고;
현재상태가 대기상태 또는 셧다운 상태이면 숨겨진 전원 버튼을 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으로 결정하며, 숨겨진 볼륨 업 버튼 및 숨겨진 볼륨 다운 버튼을 비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으로 결정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여기서, 프로세서(110)는,
각 스캔 주기에서 숨겨진 기능 버튼의 버튼 센서의 파워 온 시간 및 파워 오프 시간을 획득하고;
파워 온 시간과 파워 오프 시간의 합이 미리 설정된 시간 임계값과 같지 않으면 비정상임을 제시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여기서, 프로세서(110)는,
셧다운 상태에서 각 스캔 주기의 제1 파워 온 시간을 획득하고, 사용상태에서 각 스캔 주기의 제2 파워 온 시간을 획득하며;
제1 파워 온 시간이 제2 파워 온 시간보다 길거나 같으면 비정상임을 제시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전자기기(100)는 전자기기의 현재상태를 획득하고; 획득된 현재상태에 따라 ADC 샘플링 회로의 목표 적분시간을 결정하며;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을 목표 적분시간으로 조정하고, 조정된 적분시간을 기반으로 숨겨진 기능 버튼의 파워 온 시간을 조정하여 전자기기의 실제 전력소비를 제어하며, 상기 적분시간은 파워 온 시간과 양의 상관 관계가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전자기기의 현재상태와 결부하여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숨겨진 기능 버튼 회로에서 전력소모 모듈의 파워 온-오프 시간을 조정하여 전자기기의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삭감한다. 따라서 숨겨진 기능 버튼의 센서 스캔 빈도를 변경할 필요가 없으므로 스캔 빈도가 변하지 않도록 확보할 수 있는 경우 숨겨진 기능 버튼의 응답 감도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기기의 실제 전력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전자기기의 대기시간과 사용수명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자기기(100)는 상술한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 실시예에서 전자기기가 실현하는 각 과정을 실현할 수 있으며,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유닛(101)은 정보의 송수신 또는 통화 과정에서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의 다운 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프로세서(110)가 처리하도록 하며; 또한, 업 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 유닛(101)은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트랜시버, 커플러, 저잡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무선 주파수 유닛(10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및 다른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전자기기는 사용자가 이메일을 송수신하고, 웹 페이지를 탐색하고, 스트리밍 미디어에 액세스하는 것을 돕는 것과 같이 네트워크 모듈(102)을 통해 무선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오디오 출력 유닛(103)은 무선 주파수 유닛(101) 또는 네트워크 모듈(102)이 수신하였거나 메모리(10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유닛(103)은 전자기기(100)가 실행하는 특정 기능과 관련된 오디오 출력(예를 들어, 호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 유닛(103)은 스피커, 버저, 리시버 등을 포함한다.
입력 유닛(104)은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는데 사용된다. 입력 유닛(104)은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s Processing Unit, GPU)(1041)와 마이크(104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1041)는 비디오 캡처 모드 또는 이미지 캡처 모드에서 이미지 캡처 장치(예: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정지 사진 또는 비디오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표시 유닛(106)에 표시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1041)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109) (또는 다른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무선 주파수 유닛(101) 또는 네트워크 모듈(102)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마이크(1042)는 음성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음성을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의 경우 무선 주파수 유닛(101)을 통해 이동 통신 기지국에 송신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하여 출력될 수 있다.
전자기기(100)는 적어도 한 가지 센서(105), 예를 들어 광 센서, 모션 센서 및 기타 센서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광 센서는 주변 광 센서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주변 광 센서는 주변 광의 밝기에 따라 표시 패널(1061)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근접 센서는 전자기기(100)가 귀에 닿았을 때 표시 패널(1061) 및/또는 백라이트를 끌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모션 센서의 일종으로서 각 방향(일반적으로 3축)의 가속도 크기를 검출할 수 있으며, 정지 상태일 때 중력의 크기 및 방향을 검출할 수 있어 전자기기 자세 식별(예를 들어 수평 및 수직 화면 전환, 관련 게임, 자력계 자세 보정), 진동 인식 관련 기능(예를 들어 보수계, 탭핑)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센서(105)는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더 반복하지 않는다.
표시 유닛(106)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한 정보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표시 유닛(106)은 표시 패널(10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 형태를 채용하여 표시 패널(1061)에 배치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107)은 입력된 디지털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전자기기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에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유닛(107)은 터치 패널(1071) 및 다른 입력기기(1072)를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으로도 알려진 터치 패널(1071)은 그 위 또는 부근의 사용자의 터치 조작(예를 들어 손가락, 스타일러스 등 임의의 적절한 물체 또는 액세서리를 사용하여 터치 패널(1071) 또는 터치 패널(1071) 부근에서 사용자의 조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1071)은 터치 검출 장치와 터치 컨트롤러의 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검출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방향을 검출하고 터치 조작에 의한 신호도 검출하며, 신호를 터치 컨트롤러로 전송한다. 터치 컨트롤러는 터치 검출 장치에서 터치 정보를 수신하며 접촉 좌표로 변환하여 프로세서(110)로 전송하고, 프로세서(110)가 발송한 명령을 수신하여 실행한다. 또한, 터치 패널(1071)은 저항식, 정전 용량식, 적외선 및 표면 탄성파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107)은 터치 패널(1071) 외에도 다른 입력기기(107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른 입력기기(1072)는 물리적 키보드, 기능 키(예를 들어, 볼륨 제어 버튼, 스위치 버튼 등), 트랙 볼, 마우스 및 조이스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터치 패널(1071)은 표시 패널(1061) 위에 덮일 수 있으며, 터치 패널(1071)이 그 위 또는 부근의 터치 조작을 검출한 후, 프로세서(110)에 전송하여 터치 이벤트의 종류를 결정한 다음, 프로세서(110)는 터치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표시 패널(1061)에 대응하는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도9에서 터치 패널(1071)과 표시 패널(1061)은 두 개의 독립적인 구성 요소로서 전자기기의 입출력 기능을 실현하지만, 일부 실시예에서는 터치 패널(1071)과 표시 패널(1061)을 통합하여 전자기기의 입출력 기능을 실현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인터페이스 유닛(108)은 외부 장치와 전자기기(100)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에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식별 모듈을 갖는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포트, 오디오 입력/출력(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헤드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108)은 외부 장치로부터의 입력(예를 들어, 데이터 정보, 전력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을 전자기기(100) 내의 하나 또는 복수의 소자로 전송하거나, 또는 전자기기(100)와 외부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1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109)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과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하며,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운영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예를 들어 음성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등을 저장할 수 있고; 데이터 저장 영역은 모바일 폰의 사용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예를 들어 오디오 데이터, 전화 번호부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09)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다른 휘발성 고체 상태 저장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메모리(509)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510)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제1 측면의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의 각 실시예의 단계를 실현하며,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전자기기(100)는 각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111)(예: 배터리)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원(111)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110)에 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충전, 방전 관리 및 전력소비 관리 등 기능을 실현한다.
또한, 전자기기(100)는 일부 도시되지 않은 기능 모듈을 포함하며,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에 대응하여, 본 발명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도 제공하는 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110)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의 각 실시예와 같은 단계를 실현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의 예로서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으로 지칭),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으로 지칭),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과 같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방법, 시스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체 하드웨어 실시예, 전체 소프트웨어 실시예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측면을 결합한 실시예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사용 가능 프로그램 코드가 포함된 컴퓨터 사용 가능 저장 매체(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CD-ROM, 광학 저장 장치 등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서 실시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전형적인 구성에서 컴퓨팅 기기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CPU), 입력/출력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중 비영구 메모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등 형태, 예를 들어 읽기 전용 메모리(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flash RAM)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시이다.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에 대해, 본 발명 실시예의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예를 들어 과정, 함수 등)에 의해 본 발명 실시예의 기술을 실현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부에서 구현되거나 프로세서 외부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포함한다", "가진다" 또는 이들의 임의의 다른 변형은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함하도록 의도되어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제품 또는 장치는 이러한 요소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명시적으로 나열되지 않은 다른 요소를 포함하거나 이러한 과정, 방법, 제품 또는 장치에 고유된 요소도 포함된다. 추가 제한이 없는 한, "하나의 ……을 포함한다"는 문구에 의해 한정되는 요소는 이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제품 또는 장치에서 다른 동일한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방법, 장치(시스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각 측면을 설명하였다. 또한,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 중 각 블록 및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 중 각 블록의 조합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범용 컴퓨터,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에 제공되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를 통한 명령의 실행이 가능하도록 기계를 생성하여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블록에 지정된 기능/동작의 실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특수 목적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특정 프로세서 또는 필드 프로그램 가능 논리 어레이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블록도 및/또는 흐름도 중 각 블록 및 블록도 및/또는 흐름도 중 블록의 조합도 지정된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하는 전용 하드웨어 기반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거나 전용 하드웨어와 컴퓨터 명령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특정 실시예는 한정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에 불과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시사에 따라 본 발명의 구상 및 특허청구범위의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본 발명에 다양한 수정 및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 및 원칙 내에서 이루어진 모든 수정, 균등 대체, 개선 등은 모두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4)

  1. 숨겨진 기능 버튼을 갖는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의 셧다운 상태, 대기상태, 사용상태를 포함하는 현재상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상태에 따라 상기 전자기기 중 ADC 샘플링 회로의 목표 적분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을 상기 목표 적분시간으로 조정하고, 조정된 상기 적분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숨겨진 기능 버튼의 파워 온 시간을 조정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실제 전력소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적분시간은 상기 파워 온 시간과 양의 상관 관계가 있는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의 현재상태를 획득한 후,
    상기 현재상태에 따라 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 및 비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의 스위치가 온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비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의 스위치가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상태에 따라 상기 전자기기 중 ADC 샘플링 회로의 목표 적분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상태가 사용상태이면 제1 적분시간을 상기 전자기기 중 ADC 샘플링 회로의 목표 적분시간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상태가 대기상태이면 제2 적분시간을 상기 전자기기 중 ADC 샘플링 회로의 목표 적분시간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상태가 셧다운 상태이면 제3 적분시간을 상기 전자기기 중 ADC 샘플링 회로의 목표 적분시간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적분시간은 상기 제2 적분시간보다 길고, 상기 제2 적분시간은 상기 제3 적분시간보다 긴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숨겨진 기능 버튼은 숨겨진 전원 버튼, 숨겨진 볼륨 업 버튼 및 숨겨진 볼륨 다운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현재상태에 따라 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 및 비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상태가 사용상태이면 상기 숨겨진 전원 버튼, 상기 숨겨진 볼륨 업 버튼 및 상기 숨겨진 볼륨 다운 버튼을 모두 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상태가 대기상태 또는 셧다운 상태이면 상기 숨겨진 전원 버튼을 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으로 결정하고, 상기 숨겨진 볼륨 업 버튼 및 상기 숨겨진 볼륨 다운 버튼을 비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각 스캔 주기에서 숨겨진 기능 버튼의 버튼 센서의 파워 온 시간 및 파워 오프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파워 온 시간과 상기 파워 오프 시간의 합이 미리 설정된 시간 임계값과 같지 않으면 비정상임을 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셧다운 상태에서 각 스캔 주기의 제1 파워 온 시간을 획득하고, 사용상태에서 각 스캔 주기의 제2 파워 온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파워 온 시간이 상기 제2 파워 온 시간보다 길거나 같으면 비정상임을 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
  7. 숨겨진 기능 버튼 회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숨겨진 기능 버튼 회로는 서브 제어회로 및 상기 서브 제어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버튼 센서, 증폭 필터 회로, ADC 샘플링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제어회로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전송된 상기 전자기기의 현재상태를 획득하되, 상기 현재상태는 셧다운 상태, 대기상태 및 사용상태를 포함하며;
    상기 현재상태에 따라 상기 ADC 샘플링 회로의 목표 적분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ADC 샘플링 회로의 적분시간을 상기 목표 적분시간으로 조정하고, 조정된 상기 적분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숨겨진 기능 버튼의 파워 온 시간을 조정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실제 전력소비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적분시간은 상기 파워 온 시간과 양의 상관 관계가 있는 전자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센서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는 상기 숨겨진 기능 버튼과 일대일로 대응되고,
    상기 서브 제어회로는,
    상기 현재상태에 따라 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 및 비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을 결정하며;
    상기 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의 스위치가 온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비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의 스위치가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데에도 사용되는 전자기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제어회로는, 구체적으로,
    상기 현재상태가 사용상태이면 제1 적분시간을 상기 전자기기 중 ADC 샘플링 회로의 목표 적분시간으로 결정하고;
    상기 현재상태가 대기상태이면 제2 적분시간을 상기 전자기기 중 ADC 샘플링 회로의 목표 적분시간으로 결정하며;
    상기 현재상태가 셧다운 상태이면 제3 적분시간을 상기 전자기기 중 ADC 샘플링 회로의 목표 적분시간으로 결정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적분시간은 상기 제2 적분시간보다 길고, 상기 제2 적분시간은 상기 제3 적분시간보다 긴 전자기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숨겨진 기능 버튼은 숨겨진 전원 버튼, 숨겨진 볼륨 업 버튼 및 숨겨진 볼륨 다운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제어회로는, 구체적으로,
    상기 현재상태가 사용상태이면 상기 숨겨진 전원 버튼, 상기 숨겨진 볼륨 업 버튼 및 상기 숨겨진 볼륨 다운 버튼을 모두 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으로 결정하고;
    상기 현재상태가 대기상태 또는 셧다운 상태이면 상기 숨겨진 전원 버튼을 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으로 결정하고, 상기 숨겨진 볼륨 업 버튼 및 상기 숨겨진 볼륨 다운 버튼을 비목표 숨겨진 기능 버튼으로 결정하는 데에도 사용되는 전자기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제어회로는,
    각 스캔 주기에서 숨겨진 기능 버튼의 버튼 센서의 파워 온 시간 및 파워 오프 시간을 획득하고;
    상기 파워 온 시간과 상기 파워 오프 시간의 합이 미리 설정된 시간 임계값과 같지 않으면 비정상임을 제시하는 데에도 사용되는 전자기기.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제어회로는,
    셧다운 상태에서 각 스캔 주기의 제1 파워 온 시간을 획득하고, 사용상태에서 각 스캔 주기의 제2 파워 온 시간을 획득하며;
    상기 제1 파워 온 시간이 상기 제2 파워 온 시간보다 길거나 같으면 비정상임을 제시하는 데에도 사용되는 전자기기.
  13.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의 단계를 실현하는 전자기기.
  14.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의 단계를 실현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KR1020227017131A 2019-10-30 2020-10-23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 전자기기 및 저장 매체 KR202200858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046267.3A CN110784915B (zh) 2019-10-30 2019-10-30 电子设备的功耗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201911046267.3 2019-10-30
PCT/CN2020/123323 WO2021083053A1 (zh) 2019-10-30 2020-10-23 电子设备的功耗控制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815A true KR20220085815A (ko) 2022-06-22

Family

ID=69388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7131A KR20220085815A (ko) 2019-10-30 2020-10-23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 전자기기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860705B2 (ko)
EP (1) EP4053676A4 (ko)
KR (1) KR20220085815A (ko)
CN (1) CN110784915B (ko)
WO (1) WO20210830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84915B (zh) * 2019-10-30 2021-08-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的功耗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12102796B (zh) * 2020-05-15 2022-03-08 华为技术有限公司 使用摄像头获取环境光信息的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12969221B (zh) * 2021-05-18 2021-08-03 成都爱旗科技有限公司 一种功耗控制装置、方法和电子设备
CN114323113A (zh) * 2021-10-21 2022-04-12 国网山东省电力公司电力科学研究院 高压电缆智能传感终端、系统及低功耗管理监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8629B2 (ja) * 1999-03-26 2003-07-22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装置及びその電力制御方法
TWI230328B (en) * 2003-07-17 2005-04-01 High Tech Comp Corp Method and computer system for reducing occurrence of cold reset
US20060090090A1 (en) * 2004-10-21 2006-04-27 Chiy-Ferng Perng Multifunction computer power button
DE102007010043A1 (de) * 2007-02-20 2008-08-21 Fujitsu Siemens Computers Gmbh Pocket-PC mit Gerätesperre
US8024013B2 (en) * 2008-07-09 2011-09-2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Regulating power duty cycle of an RF transmitter/receiver responsive to distance moved
TWI474160B (zh) * 2011-03-07 2015-02-21 Quanta Comp Inc 電腦系統與其操作方法
CN202854702U (zh) * 2012-08-03 2013-04-03 青岛海信信芯科技有限公司 移动式电子设备
CN103853309B (zh) * 2012-12-06 2016-10-0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电子设备的方法及电子设备
JP2015011652A (ja) * 2013-07-02 2015-01-19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187043B2 (ja) * 2013-08-29 2017-08-30 富士通株式会社 タッチ検出装置
CN104461327B (zh) * 2013-09-17 2018-10-12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4615415B (zh) * 2013-11-04 2019-02-0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3955322A (zh) * 2014-04-28 2014-07-30 南京九洲云拓电子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分布式结构的低功耗电容触摸屏控制芯片
US20160187955A1 (en) * 2014-12-25 2016-06-30 Ricoh Company, Limite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06506821B (zh) * 2016-10-24 2019-10-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读取的方法及移动终端
CN110347236A (zh) * 2019-07-15 2019-10-18 苏州国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低功耗触摸按键控制器
CN110784915B (zh) * 2019-10-30 2021-08-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的功耗控制方法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61058A1 (en) 2022-08-18
EP4053676A1 (en) 2022-09-07
US11860705B2 (en) 2024-01-02
WO2021083053A1 (zh) 2021-05-06
EP4053676A4 (en) 2022-12-28
CN110784915B (zh) 2021-08-17
CN110784915A (zh) 2020-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85815A (ko) 전자기기의 전력소비 제어방법, 전자기기 및 저장 매체
US11601838B2 (en) Non-connection state measurement metho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WO2019120087A1 (zh) 降低功耗的处理方法及移动终端
US20150310637A1 (en) Interface adjustment method, apparatus, and terminal
US11316967B2 (en) Screen on and off state control method and mobile terminal
CN108322599B (zh) 一种网络访问方法和移动终端
CN108681413B (zh) 一种显示模组的控制方法及移动终端
KR20220088464A (ko) 측정 처리 방법 및 단말
CN113163460A (zh) 业务处理方法、终端及网络设备
KR20220145383A (ko) 회로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554159B1 (ko) 이동 단말 및 제어 방법
CN108170310B (zh) 一种触屏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10012512B (zh) 一种状态处理方法及相关设备
CN110673761B (zh) 一种触摸按键的检测方法及其终端设备
CN107770811B (zh) 一种数据处理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10022657A (ko) 랜덤 액세스 자원의 선택 방법 및 단말 기기
CN114582264A (zh) 一种显示亮度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08632468B (zh) 一种调整cabc级别的方法及移动终端
CN111355991A (zh) 视频播放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CN111308303A (zh) 一种移动终端射频功率放大器检测方法及装置
CN111176606A (zh) 电子设备及其音量调节方法
CN108958599B (zh) 产线模式的终端亮屏控制方法及相关产品
CN109743120B (zh) 时序控制电路、时序控制方法和终端
CN111263008A (zh) 一种来电提醒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CN116112907A (zh) 网络注册控制方法、装置及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