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5477A - 스마트 헬스케어를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헬스케어를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5477A
KR20220085477A KR1020200175570A KR20200175570A KR20220085477A KR 20220085477 A KR20220085477 A KR 20220085477A KR 1020200175570 A KR1020200175570 A KR 1020200175570A KR 20200175570 A KR20200175570 A KR 20200175570A KR 20220085477 A KR20220085477 A KR 20220085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metric information
information
server
healthcare
gatew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창성
김정민
서예인
김성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씨티
Priority to KR1020200175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5477A/ko
Publication of KR20220085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4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60Healthcare; Welf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6Special purpose or proprietary protocols or archite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eth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헬스케어를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헬스케어 기기와 통신하는 제1 통신부, 설치된 위치 주변의 환경을 측정하고 환경정보를 생성하는 환경센서, 상기 생체정보와 환경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고 전송하는 제어부, 맵피스 서버가 상기 생체정보와 환경정보를 저장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생체정보와 환경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받은 후 기 탑재된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로직을 수행하고 가공된 생체정보와 환경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오픈통합보드 및 상기 맵피스 서버와 와이파이(Wi-Fi) 형식으로 무선 통신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오픈통합보드로부터 가공된 생체정보와 환경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맵피스 서버에 전송하는 제2 통신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헬스케어를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헬스케어를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 {Gateway Device for Smart Healthcare}
본 발명은 스마트 헬스케어를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헬스케어 기기부터 생체정보를 입력받은 후 헬스케어 특화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제공하는 맵피스 서버에 전송하는 스마트 헬스케어를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환경의 향상과 의료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수명 연장은 인구 고령화라는 사회문제를 대두시켰으며, 인구 고령화로 인해 헬스케어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IT 분야의 발전에 따라 각종 전자통신기술들을 헬스케어에 접목시켜 언제 어디서나 건강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사물인터넷(IoT) 기술기반 의료 측정기기 및 원격의료서비스인 U-Healthcare 개념을 탄생시켰다. 사물인터넷(IoT) 기술기반 의료 측정기기는 체온, 맥박, 혈압, 혈당 등 인간의 다양한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의료 측정기기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통신 및 제어모듈을 탑재한 기기이고, U-Healthcare는 원격진료라고 일컬으며 일반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정보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원거리에 의료정보와 의료 서비스를 전달하는 모든 활동을 총칭한다.
다만, 사물인터넷(IoT) 기술기반 의료 측정기기는 각 제조사별로 독자적인 프로토콜과 포맷을 사용하여 타 제조사의 시스템 및 플랫폼과의 상호 운영성이 보장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Continua Health Alliance 등과 같은 단체의 주도하에 의료기기간 상호 운용성 문제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표준화 작업이 진행되고 있지만 이러한 표준화 작업에도 불구하고 표준에 채택되지 못한 의료측정기기는 여전히 상호 운용성이 문제가 되어 통합적으로 데이터를 관리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관련문헌 1은 지그비 기반 헬스케어 게이트웨이에 관한 것으로, 지그비 코디네이터와 연결되어 USB 방식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어 다양한 통신방식을 갖는 헬스케어 기기를 모두 수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문헌 2는 스마트 홈 구현을 위한 통합 게이트웨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 서버와 디바이스의 연결을 중계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연동하는 TV로 전송할 수 있으나, 와이파이, 블루투스 및 지그비 무선통신 방식에 한정되어 다양한 통신 방식을 갖는 기기를 모두 수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685310 KR 10-178629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다른 통신규약을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헬스케어 기기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통합하여 저장하고 요양보호사 및 의료진이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전송받은 후 오픈통합보드에 기 탑재된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로직을 수행하고 가공된 생체정보를 맵피스 서버에 전송하는 스마트 헬스케어를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를 얻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게이트웨이 장치가 설치된 주변 환경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설치된 위치 주변의 환경을 측정하고 환경정보를 생성한 후 오픈통합보드에 기 탑재된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로직을 수행하고 가공된 환경정보를 맵피스 서버에 전송하는 스마트 헬스케어를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 헬스케어를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헬스케어 기기와 통신하는 제1 통신부; 설치된 위치 주변의 환경을 측정하고 환경정보를 생성하는 환경센서; 상기 생체정보와 환경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고 전송하는 제어부; 맵피스 서버가 상기 생체정보와 환경정보를 저장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생체정보와 환경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받은 후 기 탑재된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로직을 수행하고 가공된 생체정보와 환경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오픈통합보드; 및 상기 맵피스 서버와 와이파이(Wi-Fi) 형식으로 무선 통신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오픈통합보드로부터 가공된 생체정보와 환경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맵피스 서버에 전송하는 제2 통신부;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생체정보를 전송받은 후 오픈통합보드에 기 탑재된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로직을 수행하고 가공된 생체정보를 맵피스 서버에 전송하도록 구비함으로써, 서로 다른 통신규약을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헬스케어 기기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맵피스 서버에 통합하여 저장할 수 있고, 요양보호사 및 의료진은 맵피스 서버에 접근하여 저장된 사용자별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게이트웨이 장치가 설치된 위치 주변의 환경을 측정하고 환경정보를 생성한 후 오픈통합보드에 기 탑재된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로직을 수행하고 가공된 환경정보를 맵피스 서버에 전송하도록 구비함으로써, 원내 관리자는 요양원 및 요양병원을 관리하는데 참고자료로 사용할 수 있고 요양보호사 및 의료진은 사용자의 상태를 확인하는데 참고자료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 헬스케어를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헬스케어를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하여 생체정보를 맵피스 서버에 저장하는 것을 표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 헬스케어를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헬스케어를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1)를 이용하여 생체정보를 맵피스 서버(3)에 저장하는 것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1을 보면, 본 발명의 스마트 헬스케어를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는 제1 통신부(100), 환경센서(200), 제어부(300), 오픈통합보드(400) 및 제2 통신부(500)를 포함한다.
도 2를 보면, 본 발명의 스마트 헬스케어를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1)는 하나 이상의 헬스케어 기기(2)와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맵피스 서버(3)와 와이파이(Wi-Fi) 무선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자 단말(4)은 인터넷상으로 상기 스마트 헬스케어를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1)의 드라이버와 상기 맵피스 서버(3)에 접근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통신부(100)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헬스케어 기기(2)와 통신한다. 이때, 통신방법은 유무선 모두 가능하며, 가장 바람직하게 블루투스(Bluetooth, BLE) 모듈, RS-232 포트, RS-422 포트, RS-485 포트, 와이파이(Wi-Fi) 모듈, LAN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블루투스(Bluetooth, BLE) 모듈 및 와이파이(Wi-Fi) 모듈은 상기 헬스케어 기기(2)와 무선통신하기 위해서 구비될 수 있고, RS-232 포트, RS-422 포트, RS-485 포트, LAN 포트는 상기 헬스케어 기기(2)와 유선통신하기 위해서 구비될 수 있다.
RS-232 (Recommended Standard 232)는 1960년에 도입된 표준의 하나로, PC와 음향 커플러, 모뎀 등을 접속하는 직렬 방식의 인터페이스의 하나이다. 인터페이스는 포트라고도 하여 일반적으로 직렬 포트라고 불리기도 한다.
RS-422 (Recommended Standard 422)는 컴퓨터와 단말 장치 사이에 직렬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도록 하는 방법을 표준화한 통신 규격의 하나이다. 직렬 통신 규격으로 이미 채택하여 사용 중이던 RS-232의 제약을 극복하여 보다 고속 전송을 할 수 있고 전송 거리도 늘리기 위하여 1976년 미국 EIA(미국 전자공업회)에서 규정한 표준이다.
RS-485 (Recommended Standard 485)는 RS-232, RS-422의 확장 버전으로, 홈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일종의 직렬 통신 프로토콜 표준이다. 전송 속도가 낮고 전송 거리가 짧은 RS-232를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RS-422는 한 개의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으로 통신한다. 반면, RS-485는 모든 장치들이 같은 라인에서 데이터 전송 및 수신을 할 수 있다. 통상 2개의 선을 사용하여 반이중(half duplex) 통신 방식으로 사용하나 2개의 RS-485 통신망을 사용하면 전이중(full duplex) 통신도 가능하다.
LAN(Local Area Network)은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소수의 장치들을 서로 연결한 네트워크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사무실, 하나 또는 몇 개의 인접한 건물을 연결한 네트워크이다.
즉, 상기 제1 통신부(100)는 서로 상이한 통신방식을 갖는 상기 헬스케어 기기(2)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식의 통신모듈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헬스케어 기기(2)는 혈당 측정기, 심박수 측정기, 체지방 측정기, 혈압 측정기 등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생체정보는 사용자의 혈당, 심박수, 체지방, 혈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헬스케어 기기(2)는 특정 장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내외적인 상태를 측정하는 기기를 총칭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환경센서(200)는 설치된 위치 주변의 환경을 측정하고 환경정보를 생성한다. 가장 바람직하게, 상기 환경센서(200)를 구비한 게이트웨이 장치(1)는 고령자를 수용하기 위한 요양원 및 요양병원 내 다수 개의 병실에 각각 설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헬스케어 기기(2)로부터 측정된 상기 생체정보를 상기 맵피스 서버(3)에 전달하는 중계기 역할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을 감지하는 감지기 역할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환경센서(200)는 CO2 센서,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센서, 미세먼지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환경정보는 상기 환경센서(200)를 구비한 게이트웨이 장치(1)가 설치된 공간 내 CO2 농도, VOCs 농도, 미세먼지 농도, 온도, 습도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생체정보와 환경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고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300)는 소형 컨트롤러 유닛(Micro Controller Unit, MCU)이고,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1)의 다양한 특성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비메모리 반도체일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00)는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1) 전체를 꺼짐 모드에서 대기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환경센서(200)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환경정보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1)에 유무선으로 연결된 상기 헬스케어 기기(2)가 있다면 상기 생체정보 및 환경정보를 함께 상기 오픈통합보드(400)에 전송할 수 있고, 반면에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1)에 유무선으로 연결된 상기 헬스케어 기기(2)가 없다면 상기 환경정보만 상기 오픈통합보드(4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300)와 오픈통합보드(400)는 RS-232 통신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오픈통합보드(400)는 상기 맵피스 서버(3)가 상기 생체정보와 환경정보를 저장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상기 생체정보와 환경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받은 후 기 탑재된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로직을 수행하고 가공된 생체정보와 환경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오픈통합보드(400)는 아두이노(Arduino), 라즈베리 파이(Raspberry Pi), 갈릴레오(Galileo) 및 비글본 블랙(BeagleBone Black) 중에 하나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 라즈베리 파이(Raspberry Pi)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라즈베리 파이(Raspberry Pi)는 컴퓨터를 사용한 과학 교육의 증진을 위해 만든 싱글 보드 컴퓨터로, 일반 컴퓨터의 최소 구성요소와 부품을 갖고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기능을 확장하거나 용도를 변경하는데 용이하다.
즉, 상기 오픈통합보드(400)의 기 탑재된 응용프로그램을 통해서 상기 생체정보가 갖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상기 맵피스 서버(3)에서 사용되는 ISO 11073 DIM와 HL7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로 변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ISO 11073은 건강 기기들과 외부 컴퓨터 시스템 간의 통신을 가능케 하는 의료 장치 통신 표준 규격이다. HL7은 다양한 의료 제공자가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간의 임상 및 관리 데이터 전송에 대한 일련의 국제 표준이다. 이러한 데이터 표준은 국내외 의료기관이 임상정보를 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2 통신부(500)는 상기 맵피스 서버(3)와 와이파이(Wi-Fi) 형식으로 무선 통신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오픈통합보드(400)로부터 가공된 생체정보와 환경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맵피스 서버(3)에 전송한다.
상기 맵피스 서버(3)는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 형식의 헬스케어 특화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요양원 및 요양병원 원내 관리자, 요양보호사 및 의료진을 포함하는 관리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서버로, 51개의 표준화된 생체정보를 사용자별로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맵피스 서버(3)는 상기 오픈통합보드(400)로부터 가공된 생체정보를 상기 제2 통신부(500)로부터 전송받은 후 사용자별로 이름, 성별 및 생년월일을 포함하는 개인식별항목, 혈압, 혈당, 체성분, 신장, 허리둘레, 흡연, 음주, 영양, 활동량, 운동 및 혈중지질을 포함하는 기본항목, 수면, 투약 및 지방을 포함하는 확장항목으로 체계적으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오픈통합보드(400)의 기 탑재된 응용프로그램을 통해서 상기 환경정보가 갖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상기 맵피스 서버(3)에서 사용되는 환경 관련 프로토콜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상기 맵피스 서버(3)는 상기 오픈통합보드(400)로부터 가공된 환경정보를 요양원 또는 요양병원 내 병실별로 기관이름, 기관번호, 병실이름, 병실번호를 포함하는 병실식별항목, CO2 농도, VOCs 농도, 미세먼지 농도, 온도, 습도을 포함하는 기본항목으로 체계적으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맵피스 서버(3)에 접근한 요양원 또는 요양병원 원내 관리자는 상기 맵피스 서버(3)에 체계적으로 저장된 환경정보를 확인한 후 원내 관리를 위한 참고자료로 사용할 수 있고, 요양보호사 및 의료진은 해당 병실에서 지내는 고령자 또는 환자를 관리하기 위한 참고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픈통합보드(400)는 관리자에 의하여 관리될 수 있도록 연동 드라이브를 구비하고, 관리자 단말(4)이 상기 연동 드라이브를 설치한 후 활성화시키면 상기 관리자 단말(4)과 연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픈통합보드(400)는 상기 관리자 단말(4)로부터 생성된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즉, 관리자는 상기 오픈통합보드(400)를 포함하는 게이트웨이 장치(1)를 관리하기 위해 별도의 디스크 형식의 설치 드라이브를 구매하지 않고, 상기 관리자 단말(4)을 이용하여 인터넷상에서 접속한 후 드라이브를 다운받고 설치하면 상기 오픈통합보드(400) 및 오픈통합보드(400)를 포함하는 게이트웨이 장치(1)를 전반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게이트웨이 장치
2. 헬스케어 기기
3. 맵피스 서버
4. 관리자 단말
100.. 제1 통신부
200.. 환경센서
300.. 제어부
400.. 오픈통합보드
500.. 제2 통신부

Claims (5)

  1.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헬스케어 기기와 통신하는 제1 통신부;
    설치된 위치 주변의 환경을 측정하고 환경정보를 생성하는 환경센서;
    상기 생체정보와 환경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고 전송하는 제어부;
    맵피스 서버가 상기 생체정보와 환경정보를 저장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생체정보와 환경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받은 후 기 탑재된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로직을 수행하고 가공된 생체정보와 환경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오픈통합보드; 및
    상기 맵피스 서버와 와이파이(Wi-Fi) 형식으로 무선 통신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오픈통합보드로부터 가공된 생체정보와 환경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맵피스 서버에 전송하는 제2 통신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헬스케어를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는,
    블루투스(Bluetooth, BLE) 모듈, RS-232 포트, RS-422 포트, RS-485 포트, 와이파이(Wi-Fi) 모듈, LAN 포트를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헬스케어를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센서는,
    CO2 센서,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센서, 미세먼지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헬스케어를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통합보드는,
    상기 생체정보가 갖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상기 맵피스 서버에서 사용되는 ISO 11073 DIM와 HL7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헬스케어를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통합보드는,
    관리자에 의하여 관리될 수 있도록 연동 드라이브를 구비하고,
    관리자 단말이 상기 연동 드라이브를 설치한 후 활성화시키면 상기 관리자 단말과 연동되고,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생성된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헬스케어를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
KR1020200175570A 2020-12-15 2020-12-15 스마트 헬스케어를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 KR202200854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570A KR20220085477A (ko) 2020-12-15 2020-12-15 스마트 헬스케어를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570A KR20220085477A (ko) 2020-12-15 2020-12-15 스마트 헬스케어를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477A true KR20220085477A (ko) 2022-06-22

Family

ID=82216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570A KR20220085477A (ko) 2020-12-15 2020-12-15 스마트 헬스케어를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547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310B1 (ko) 2015-11-30 2016-12-1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지그비 기반 헬스케어 게이트웨이
KR101786290B1 (ko) 2016-01-08 2017-10-18 디노플러스 (주) 스마트 홈 구현을 위한 통합 게이트웨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310B1 (ko) 2015-11-30 2016-12-1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지그비 기반 헬스케어 게이트웨이
KR101786290B1 (ko) 2016-01-08 2017-10-18 디노플러스 (주) 스마트 홈 구현을 위한 통합 게이트웨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23080B2 (en) Medical monitoring system
US11816973B2 (en) Health care sanitation monitoring system
Alwan et al. Dedicated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health care using ZigBee
Martíez et al. Seamless integration of ISO/IEEE11073 personal health devices and ISO/EN13606 electronic health records into an end-to-end interoperable solution
CN107256345A (zh) 用于将有线和无线医疗设备与网关进行简单配对的系统和方法
KR20100073027A (ko) Iptv 기반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Zeb et al.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and transforming monitored data into real time clinical feedback based on IoT using Raspberry Pi
CN102090930B (zh) 住所健康照护服务管理装置
Miranda et al. Eye on patient care: Continuous health monitoring: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ireless platform for healthcare applications
KR20060032440A (ko) 스마트홈 제어를 위한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US7996186B2 (en) Measurement data communication device, information acquiring device, and system
Galarraga et al. Telemonitoring systems interoperability challenge: an updated review of the applicability of ISO/IEEE 11073 standards for interoperability in telemonitoring
KR100883744B1 (ko) Wpan을 기반으로 하는 홈 헬스 케어 시스템
KR20220085477A (ko) 스마트 헬스케어를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
Macis et al. Home telemonitoring of vital signs through a TV-based application for elderly patients
KR20160103571A (ko) 신체정보 측정 단말기와 홈 네트워크를 결합한 통합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11772A (ko) 생체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Martínez-Espronceda et al. Standard-based homecare challenge: Advances of ISO/IEEE11073 for u-health
Novak et al. Diabetes management in OLDES project
US9137312B2 (en) System and method for simple pairing of wired and wireless healthcare devices to a gateway
Norgall et al. Personalized use of ICT–from telemonitoring to ambient assisted living
CN103607394A (zh) 生理参数监护仪的ieee11073 phd协议自动转换方法和装置
Ramya et al. IOT and Cloud Based Remote Patient Health Monitoring System
Jung et al. Interoperability and control systems for medical cyber physical systems
Martinez et al. Implementation experiences of ISO/IEEE11073 standard applied to new use cases for e-health environ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