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5265A - Autonomous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 Google Patents

Autonomous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5265A
KR20220085265A KR1020200175190A KR20200175190A KR20220085265A KR 20220085265 A KR20220085265 A KR 20220085265A KR 1020200175190 A KR1020200175190 A KR 1020200175190A KR 20200175190 A KR20200175190 A KR 20200175190A KR 20220085265 A KR20220085265 A KR 20220085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vehicle
path
autonomous
gene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1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64974B1 (en
Inventor
김재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세계아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세계아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세계아이앤씨
Priority to KR1020200175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974B1/en
Publication of KR20220085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2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9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88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characterized by the autonomous decision making process, e.g. artificial intelligence, predefined behaviou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3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 G05D1/0246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a video camera in combination with image process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50Depth or shape recovery
    • G06T7/55Depth or shape recovery from multiple images
    • G06T7/593Depth or shape recovery from multiple images from stereo imag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은 주차장에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제공되며, 상기 주차장 및 상기 주차장 내의 자율주행차량의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이미지 획득 모듈; 기 설정된 방식으로 구획이 나뉘어진 주차 지도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주차 지도 생성 모듈; 주차장 내의 자율주행차량의 위치를 추적하여 차량 위치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위치 추적 모듈; 주차 경로 및 출차 경로를 포함하는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이동 경로를 생성하여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자율주행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경로 생성 모듈; 및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소유자 단말 및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자율주행서버와 자율주행차량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The autonomous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a parking lot at preset intervals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 image acquisition module, configured to acquire an image; a parking map generating module configured to generate a divided parking map in a preset manner; a location tracking module configured to track the loc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in the parking lot to generate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a path generating module configured to generate a movement path of the autonomous vehicle including a parking path and an exit path and transmit it to an autonomous driving server that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autonomous vehicle; and a communication module configured to transmit/receive information on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to and from an owner terminal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and an autonomous driving serve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Description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AUTONOMOUS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Autonomous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AUTONOMOUS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nomous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최근 개발되고 있는 자율주차시스템은 운전자가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스스로 주차장 내 주차공간을 찾아 해당 주차공간에 자율주차를 수행하며, 주차가 완료되면 자동으로 차량의 시동을 오프 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autonomous parking system, which is being developed recently, finds a parking space in the parking lot by itself and performs autonomous parking in the corresponding parking space without the driver being on board.

아울러, 자율주차시스템은 운전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차량의 시동을 켠 후 주차장을 빠져나와 운전자가 하차한 곳까지 자율주행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autonomous parking system performs autonomous driving until the driver exits the parking lot after turning on the engine according to a request from the driver.

예를 들어, 운전자가 주차장 입구에서 하차한 후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주차를 요청하면, 자율주차시스템은 자율주행을 통해 주차장 안으로 진입한 후 스스로 주차공간을 찾아 주차하고, 이후 운전자가 주차장 입구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출차를 요청하면, 자율주차시스템은 주차장 내 주차위치에서 상기 주차장 입구까지 자율주행을 수행한다.For example, if the driver requests parking using a smartphone after getting out of the parking lot, the autonomous parking system enters the parking lot through autonomous driving, finds a parking space by itself, and parks the vehicle. When an exit is requested using a phone, the autonomous parking system performs autonomous driving from a parking position in the parking lot to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따라서 운전자는 주차장까지 들어갈 필요가 없고 주차공간을 찾아 주차를 수행해야 하는 시간도 줄일 수 있다.Therefore, the driver does not have to go to the parking lot, and the time required to find a parking space and perform parking can be reduced.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자율주차 시스템은 차량에 제공된 센서를 통해 주차를 수행하기에 주차장에서 운행중인 복수의 차량을 한꺼번에 감지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높은 사고 위험을 수반할 수밖에 없다.However, since such an existing autonomous parking system performs parking through a sensor provided to the vehicle, it cannot detect a plurality of vehicles running in the parking lot at once, and accordingly, it inevitably entails a high risk of an accident.

또한, 한번 주차를 하고 나면 동작을 멈추기에 이중주차를 해야만 하는 주차장에서는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중주차를 해야 하는 곳의 앞쪽에 주차한 경우 뒤에 주차되어 있던 차량의 출차 경로를 막게 되기에, 뒤에 주차되어 있던 챠량이 빠져나오기 위해선 앞에 주차되어 있던 차량의 소유자에게 출차 요청을 보내야 하는 번거로움을 수반할 수밖에 없다.In addition, several problems may occur in a parking lot where double parking is required to stop the operation once it is parked. For example, if you park in front of a place where double parking is required, the exit path of the vehicle parked behind is blocked. It inevitably entails hass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주차장을 구획화하여 주차 지도를 생성하고, 생성된 주차 지도를 기반으로 주차 및 출차 경로를 제공하며, 출차를 요청받은 차량이 지정된 장소에 미리 대기할 수 있도록 하는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a parking lot to generate a parking map, provides a parking and exit route based on the generated parking map, and allows a vehicle requested to exit the vehicle to wait in advance at a designated pla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rking control system.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re clearly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can be understood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주차장에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제공되며, 상기 주차장 및 상기 주차장 내의 자율주행차량의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이미지 획득 모듈; 기 설정된 방식으로 구획이 나뉘어진 주차 지도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주차 지도 생성 모듈; 주차장 내의 자율주행차량의 위치를 추적하여 차량 위치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위치 추적 모듈; 주차 경로 및 출차 경로를 포함하는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이동 경로를 생성하여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자율주행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경로 생성 모듈; 및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소유자 단말 및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자율주행서버와 자율주행차량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is provided in a parking lot at preset intervals along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configured to acquire images of the parking lot and an autonomous vehicle in the parking lot acquisition module; a parking map generating module configured to generate a divided parking map in a preset manner; a location tracking module configured to track the loc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in the parking lot to generate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a path generating module configured to generate a movement path of the autonomous vehicle including a parking path and an exit path and transmit it to an autonomous driving server that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autonomous vehicle; and a communication module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to and from an autonomous driving serve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owner terminal and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can be provided. .

또한, 상기 이미지 획득 모듈은: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는 깊이 카메라와 2차원 이미지를 생성하는 일반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acquisition module may include: an autonomous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of a depth camera for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image and a general camera for generating a two-dimensional image.

또한, 상기 주차 지도 생성 모듈은: 상기 주차장에 대한 이미지 상에 기 설정된 방식으로 주차 구획선을 생성하여 상기 주차장을 구획화 한 주차 지도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주차 지도 생성부; 및 상기 주차 지도와 주차된 차량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주차 가능 공간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주차 가능 공간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king map generation module may include: a parking map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parking map dividing the parking lot by generating a parking dividing line in a preset manner on the image for the parking lot; and a parking available space information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parking available space information based on the parking map and the parked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the autonomous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주차 지도 생성부는: 상기 주차장의 제1 구역에 제1 차종을 주차하기 위하여 상기 제1 구역에 대한 이미지 상에 제1 주차 구획선을 생성함으로써 제1 주차 지도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1 주차 지도 생성 유닛; 및 상기 주차장의 제2 구역에 상기 제1 차종보다 크기가 큰 제2 차종을 주차하기 위하여 상기 제2 구역에 대한 이미지 상에 제2 주차 구획선을 생성함으로써 제2 주차 지도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2 주차 지도 생성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주차 구획선은 상기 제1 구역에 대한 이미지 상에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제1 간격으로 생성된 주차 구획선과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제2 간격으로 생성된 주차 구획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주차 구획선은 상기 제2 구역에 대한 이미지 상에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제1 간격보다 넓은 제3 간격으로 생성된 주차 구획선과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간격보다 넓은 제4 간격으로 생성된 주차 구획선을 포함하는,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king map generating unit: a first parking, configured to generate a first parking map by generating a first parking dividing line on the image for the first area to park the first car type in the first area of the parking lot map generation unit; and a second configured to generate a second parking map by creating a second parking dividing line on the image for the second zone to park a second vehicle type larger in size than the first vehicle type in a second zone of the parking lot a parking map generating unit, wherein the first parking dividing line is generated on the image for the first zone at a first interval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at a second interval along the second direction a parking divider, wherein the second parking divider is a parking divider generated at a third interval wider than the first interval along the first direction on the image for the second area and the second parking divider along the second direction An autonomous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including a parking dividing line generated at a fourth interval wider than the interval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주차 지도 생성부는: 상기 주차장의 제3 구역에 대한 이미지 상에 제3 주차 구획선을 생성함으로써 제3 주차 지도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3 주차 지도 생성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주차 구획선은 상기 제3 구역에 대한 이미지 상에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의 사이 방향인 제3 방향을 따라 제5 간격으로 생성된 주차 구획선과 상기 제3 방향에 수직한 제4 방향을 따라 제6 간격으로 생성된 주차 구획선을 포함하는,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king map generating unit further includes: a third parking map generat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third parking map by generating a third parking dividing line on the image for a third area of the parking lot, wherein the third parking The dividing line is a parking dividing line generated at a fifth interval along a third direction that is a direction betwee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on the image for the third area and a four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ird direction. An autonomous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including a parking dividing line generated at a sixth interval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위치 추적 모듈은: 상기 주차장 내의 각 자율주행차량에 고유번호를 부여하도록 구성되는 고유번호 부여부; 상기 고유번호가 부여된 차량에 대하여, 주차장의 출입구에서 획득한 차량의 이미지와 상기 주차장 내에서 획득한 차량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고유번호가 부여된 차량의 위치를 추적하도록 구성되는 위치 추적부를 포함하는,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ation tracking module includes: a unique number granting unit configured to assign a unique number to each autonomous vehicle in the parking lot; Based on the image of the vehicle acquired from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parking lot and the image of the vehicle acquired in the parking lot with respect to the vehicle to which the unique number is assigned, a location tracking unit configured to track the location of the vehicle to which the unique number is assigned Including, an autonomous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경로 생성 모듈은: 주차 요청 정보를 송신한 제1 차량에 대한 차량 위치 정보, 상기 주차 가능 공간 정보 및 다른 차량의 이동 경로를 기반으로 주차 경로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주차 경로 생성부; 출차 요청 정보를 송신한 제2 차량에 대한 차량 위치 정보, 주차장 출입구의 위치 정보 및 다른 차량의 이동 경로를 기반으로, 출차 경로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출차 경로 생성부; 및 상기 주차 경로 및 상기 출차 경로를 포함하여 자율주행차량의 이동을 위해 생성한 경로를 자율주행차량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자율주행서버로 전송하기 위해 해당 데이터를 상기 통신 모듈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경로 전송부를 포함하는,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ute generating module may include: a parking route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parking route based on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first vehicle that has transmitted the parking request information, the available parking space information, and a movement route of another vehicle; an un-parking path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n un-parking route based on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vehicle that has transmitted the un-parking request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a parking lot entrance, and a movement route of another vehicle; and a path transmission configured to transmit corresponding data to the communication module in order to transmit a path generated for movement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including the parking path and the exit path, to an autonomous driving server that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An autonomous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comprising a unit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주차 경로 생성부는 상기 제1 차량의 이미지를 통해 상기 제1 차량의 차종을 파악한 후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제2 구역 중 어느 구역에 주차할지를 결정하여 주차 구역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주차 구역 정보를 더 고려하여 상기 주차 경로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king path generation unit determines the vehicle type of the first vehicle through the image of the first vehicle and determines which zone to park in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to generate parking zone information, There may be provided an autonomous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configured to generate the parking route by further considering area information.

또한, 상기 경로 생성 모듈은: 상기 제1 차량이 상기 주차 경로를 이탈하거나 상기 제2 차량이 상기 출차 경로를 이탈한 경우, 상기 주차 경로 또는 상기 출차 경로를 수정하도록 구성되는 경로 수정부를 더 포함하는,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ute generating module further comprises: a route modifying unit configured to correct the parking route or the un-parking route when the first vehicle deviates from the parking route or the second vehicle deviates from the un-parking route , an autonomous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경로 생성 모듈은: 상기 제2 차량의 출차 경로 상에 제3 차량이 주차된 것으로 파악된 경우, 상기 제3 차량의 현재 위치와 상기 주차 가능 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3 차량의 이동 거리를 최소화하여 상기 제3 차량을 다른 주차 가능 공간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경로인 주차 위치 조정 경로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주차 위치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ute generating module is configured to: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hird vehicle is parked on the exit path of the second vehicle,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hird vehicle and the available parking space information, The autonomous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may be provided, further comprising a parking position adjustment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parking position adjustment path that is a path for moving the third vehicle to another available parking space by minimizing the moving distance.

또한, 상기 경로 생성 모듈은: 자율주행차량의 소유자 단말로부터 출차 요청 정보를 수신한 경우, 소유자의 차량을 출차 대기 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한 출차 대기 경로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출차 대기 경로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ute generating module further comprises: an un-parking path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n un-parking route for moving the owner's vehicle to an un-parking place when un-parking reques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owner terminal of the autonomous vehicle. , an autonomous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출차 대기 경로 생성부는: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소유자 단말로부터 제4 차량에 대한 출차 요청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4 차량에 대한 차량 위치로부터 제1 출차 대기 장소까지의 경로인 제1 출차 대기 경로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1 출차 대기 경로 생성 유닛; 및 제1 출차 대기 장소에 대기 중인 제4 차량의 소유자가 제1 시간 내에 상기 제4 차량에 탑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4 차량에 대한 차량 위치로부터 제2 출차 대기 장소까지의 경로인 제2 출차 대기 경로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2 출차 대기 경로 생성 유닛을 포함하는,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n-parking path generation unit: When receiving un-parking request information for a fourth vehicle from the autonomous vehicle owner terminal, a first path from the vehicle location for the fourth vehicle to a first un-parking place a first un-parking path generat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n un-parking route;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wner of the fourth vehicle waiting at the first un-parking place does not board the fourth vehicle within the first time, the path from the vehicle location for the fourth vehicle to the second un-parking place is An autonomous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may be provided, including a second un-parking path generat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second un-parking path.

또한, 상기 출차 대기 경로 생성부는: 제2 출차 대기 장소에 대기 중엔 제4 차량의 소유자가 제2 시간 내에 상기 제4 차량에 탑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소유자 단말로부터 제4 차량에 대한 출차 취소 요청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4 차량에 대한 차량 위치로부터 주차 가능 공간까지의 경로인 제3 출차 대기 경로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3 출차 대기 경로 생성 유닛을 더 포함하는,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n-parking waiting path generation unit: While waiting at the second un-parking loca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owner of the fourth vehicle does not board the fourth vehicle within a second time period, or the autonomous vehicle owner terminal sends the fourth vehicle to the fourth vehicle. and a third waiting-for-parking path generat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third waiting-for-parking path that is a path from the vehicle location to the available parking space for the fourth vehicle when receiving un-parking cancellation request information for the fourth vehicle A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may be provided.

또한, 자율주행차량의 소유자 단말로부터 출차 요청 정보를 수신한 경우, 출차 하고자 하는 차량의 위치에서부터 상기 출차 대기 장소까지의 거리와 상기 출차 대기 장소의 출차 혼잡도를 기반으로 출차 예정시간을 산출하여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소유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출차 예정시간 산출 모듈을 더 포함하는,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upon receiving the exit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of the owner of the autonomous vehicle, the scheduled departure time is calculated based on the distance from the location of the vehicle to be exited to the exit waiting area and the level of congestion of the exit waiting area. The autonomous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may be provided, further comprising a scheduled departure time calculation module configured to be transmitted to the owner terminal of the driving vehicle.

또한, 상기 출차 혼잡도는 상기 출차 대기 장소의 총 대기 가능 차량 수에서 상기 출차 요청 정보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대기 가능 차량수의 비율을 기반으로 산출되는,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utonomous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may be provided in which the level of un-parking congestion is calculated based on the ratio of the number of waiting vehicles at the time of receiving the un-parking request information to the total number of waiting vehicles in the waiting area for un-parking.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은 주차장을 구획화하여 주차 지도를 생성하고, 생성된 주차 지도를 기반으로 주차 및 출차 경로를 제공하며, 출차를 요청받은 차량이 지정된 장소에 미리 대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autonomous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a parking lot to generate a parking map, provides parking and exit routes based on the generated parking map, and provides a vehicle requesting exit to a designated place in advance. You can make it wait.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a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10)의 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주차 지도 생성 모듈(200)의 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주차 지도 생성부(210)를 통해 주차 지도를 생성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위치 추적 모듈(300)의 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경로 생성 모듈(400)의 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a는 주차 위치 조정부(450)에 의해 주차 위치가 조정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주차 위치 조정부(450)에 의해 주차 위치가 조정된 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each configuration of an autonomous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each configuration of the parking map generating module 200 .
3A to 3C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arking map is generated through the parking map generating unit 210 .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each configuration of the location tracking module 300 .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each configuration of the path generation module 400 .
6A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parking position is adjusted by the parking position adjusting unit 450 .
6B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after the parking position is adjusted by the parking position adjusting unit 450 .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인 사전들에 의해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된 기술 그리고/혹은 본 출원의 본문에 의미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고, 그리고 여기서 명확하게 정의된 표현이 아니더라도 개념화되거나 혹은 과도하게 형식적으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Other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is embodiment serves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obtain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Even if not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accepted by common technology in the prior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defined by general dictionaries may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same meaning as in the related description and/or in the tex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shall not be conceptualized or overly formally construed even if the expression is not explicitly defined herein. won'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이 동사의 다양한 활용형들 예를 들어, '포함', '포함하는', '포함하고', '포함하며' 등은 언급된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 and/or the various conjugations of this verb, eg, 'comprising', 'comprising', 'comprising', 'comprising', etc., refer to the stated composition, ingredient, component, A step, operation and/or element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sitions, components,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나열된 구성들 각각 또는 이들의 다양한 조합을 가리킨다.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부', '~기', '~블록',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부', '~기', '~블록', '~모듈' 등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기', '~블록',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명세서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and/or' refers to each of the listed components or various combinations thereof. Meanwhile, terms such as '~ unit', '~ group', '~ block', and '~ module' u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may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For example, it can mean software,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an FPGA or an ASIC. However, '~ part', '~ group', '~ block', and '~ module' are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 unit', '~ group', '~ block', and '~ module' may be configured to resid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to regenerate one or more processor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10)의 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each configuration of an autonomous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10)은 이미지 획득 모듈(100), 주차 지도 생성 모듈(200), 위치 추적 모듈(300), 경로 생성 모듈(400) 및 통신 모듈(50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autonomous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10 includes an image acquisition module 100 , a parking map generation module 200 , a location tracking module 300 , a route generation module 400 , and a communication module 500 . includes

이미지 획득 모듈(100)은 주차장에 제1 방향 및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제공되며, 주차장 및 상기 주차장 내의 자율주행차량의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The image acquisition module 100 is provided to the parking lot at preset intervals along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is configured to acquire images of the parking lot and the autonomous vehicle in the parking lot.

예를 들어, 주차장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제공되는 경우 제1 방향은 주차장의 보다 긴 변 방향일 수 있으며, 따라서 제2 방향은 주차장의 보다 짧은 변 방향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parking lot is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the first direction may be a longer side direction of the parking lot, and thus the second direction may be a shorter side direction of the parking lot.

이미지 획득 모듈(100)은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는 깊이 카메라(110)와 2차원 이미지를 생성하는 일반 디지털 카메라(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acquisition module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epth camera 110 for generating a 3D image and a general digital camera 120 for generating a 2D image.

깊이 카메라(110)의 경우 2차원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센서를 결합하여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는 스테레오 방식을 차용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depth camera 110, a stereo method for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image by combining an image sensor for generating a two-dimensional image may be employed.

주차 지도 생성 모듈(200)은 기 설정된 방식으로 구획이 나뉘어진 주차 지도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The parking map generating module 200 is configured to generate a divided parking map in a preset manner.

위치 추적 모듈(300)은 주차장 내의 자율주행차량의 위치를 추적하여 차량 위치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The location tracking module 300 is configured to track the loc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in the parking lot to generate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경로 생성 모듈(400)은 주차 경로 및 출차 경로를 포함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이동 경로를 생성하여 자율주행차량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자율주행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The path generation module 400 is configured to generate a movement path of the autonomous vehicle including a parking path and an exit path and transmit it to an autonomous driving server that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autonomous vehicle.

통신 모듈(500)은 자율주행차량의 소유자 단말 및 자율주행차량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자율주행서버와 자율주행차량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다.The communication module 500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to the autonomous driving server that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owner terminal and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도 2는 주차 지도 생성 모듈(200)의 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each configuration of the parking map generating module 200 .

도 2를 참조하면, 주차 지도 생성 모듈(200)은 주차 지도 생성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parking map generating module 200 may include a parking map generating unit 210 .

주차 지도 생성부(210)는 이미지 획득 모듈(100)을 통해 획득한 주차장에 대한 이미지 상에 기 설정된 방식으로 주차 구획선을 생성하여 주차장을 구획화 한 주차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The parking map generator 210 may generate a parking map in which the parking lot is divided by generating a parking dividing line in a preset manner on the image of the parking lot acquired through the image acquisition module 100 .

도 3a 내지 도 3c는 주차 지도 생성부(210)를 통해 주차 지도를 생성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3A to 3C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arking map is generated through the parking map generating unit 210 .

도 2,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주차 지도 생성부(210)는 제1 주차 지도 생성 유닛(211), 제2 주차 지도 생성 유닛(212) 및 제3 주차 지도 생성 유닛(213)을 포함할 수 있다.2 and 3A to 3C , the parking map generating unit 210 includes a first parking map generating unit 211 , a second parking map generating unit 212 , and a third parking map generating unit 213 . may include

제1 주차 지도 생성 유닛(211)은 주차장의 제1 구역에 제1 차종을 주차하기 위하여 제1 구역에 대한 이미지 상에 제1 주차 구획선을 생성함으로써 제1 주차 지도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parking map generating unit 211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the first parking map by generating a first parking dividing line on the image for the first area to park the first car type in the first area of the parking lot.

이때 제1 주차 구획선은 제1 구역에 대한 이미지 상에 제1 방향을 따라 제1 간격으로 생성된 주차 구획선과 제2 방향을 따라 제2 간격으로 생성된 주차 구획선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parking dividing line may include a parking dividing line generated at a first interval along a first direction and a parking dividing line generated at a second interval along a second direction on the image of the first zone.

예를 들어, 도 3a를 참조하면, 제1 주차 지도 생성 유닛(211)은 지하 1층 주차장인 제1 구역에 승용차인 제1 차종을 주차하기 위하여 지하 1층 주차장에 대한 이미지 상에 제1 주차 구획선을 생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말하면, 제1 주차 지도 생성 유닛(211)은 제1 주차 구획선을 생성하는데, 제1 주차 구획선은 지하 1층 주차장의 제1 방향을 따라 제1 간격으로 생성된 주차 구획선과 지하 1층 주차장의 제2 방향을 따라 제2 간격으로 생성된 주차 구획선을 포함한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3A , the first parking map generating unit 211 is configured to park the first vehicle type, which is a passenger car, in the first area that is the first underground parking lot on the image for the first underground parking lot. Partition lines can be created. More specifically, the first parking map generating unit 211 generates a first parking dividing line, wherein the first parking dividing line is a parking dividing line generated at first intervals along a first direction of the first underground parking lot and the first underground parking lot. and a parking dividing line generated at second intervals along a second direction of

제2 주차 지도 생성 유닛(212)은 주차장의 제2 구역에 제1 차종보다 크기가 큰 제2 차종을 주차하기 위하여 제2 구역에 대한 이미지 상에 제2 주차 구획선을 생성함으로써 제2 주차 지도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parking map generating unit 212 generates a second parking map by generating a second parking dividing line on the image for the second area to park a second vehicle type larger in size than the first vehicle type in the second area of the parking lot. can be configured to create

이때 제2 주차 귀획선은 제2 구역에 대한 이미지 상에 제1 방향을 따라 제1 간격보다 넓은 제3 간격으로 생성된 주차 구획선과 제2 방향을 따라 제2 간격보다 넓은 제4 간격으로 생성된 주차 구획선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parking stray line is a parking dividing line generated at a third interval wider than the first interval along the first direction on the image for the second zone and a fourth interval wider than the second interval along the second direction. May include parking dividers.

예를 들어, 도 3b를 참조하면, 제2 주차 지도 생성 유닛(212)은 지하 2층 주차장인 제2 구역에 SUV인 제2 차종을 주차하기 위하여 지하 2층 주차장에 대한 이미지 상에 제2 주차 구획선을 생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말하면, 제2 주차 지도 생성 유닛(212)은 제2 주차 구획선을 생성하는데, 제2 주차 구획선은 지하 2층 주차장의 제1 방향을 따라 제3 간격으로 생성된 주차 구획선과 지하 2층 주차장의 제2 방향을 따라 제4 간격으로 생성된 주차 구획선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3B , the second parking map generating unit 212 is configured to park the second vehicle type, which is an SUV, in the second area, which is the second underground parking lot, on the image for the second underground parking lot. Partition lines can be created.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parking map generating unit 212 generates a second parking dividing line, the second parking dividing line being the parking dividing line created at third intervals along the first direction of the second underground parking lot and the second underground parking lot. may include a parking dividing line generated at fourth intervals along the second direction of the .

제3 주차 지도 생성 유닛(213)은 주차장의 제3 구역에 대한 이미지 상에 제3 방식으로 제3 주차 구획선을 생성함으로써 제3 주차 지도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hird parking map generating unit 213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the third parking map by generating the third parking dividing line in the third manner on the image for the third area of the parking lot.

이때 제3 주차 구획선은 제3 구역에 대한 이미지 상에 제1 방향과 제2 방향의 사이 방향인 제3 방향을 따라 제5 간격으로 생성된 주차 구획선과 제3 방향에 수직한 제4 방향을 따라 제6 간격으로 생성된 주차 구획선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hird parking dividing line is generated at a fifth interval along the third direction, which is a dir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on the image for the third zone, and along the four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ird direction. It may include a parking dividing line generated at the sixth interval.

예를 들어, 도 3c를 참조하면, 제3 주차 지도 생성 유닛(213)은 지하 3층 주차장인 제3 구역에 오토바이인 제3 차종을 주차하기 위하여 지하 3층 주차장에 대한 이미지 상에 제3 주차 구획선을 생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말하면, 제3 주차 지도 생성 유닛(213)은 제3 주차 구획선을 생성하는데, 제3 주차 구획선은 지하 3층 주차장의 제3 방향을 따라 제5 간격으로 생성된 주차 구획선과 지하 3층 주차장의 제4 방향을 따라 제6 간격으로 생성된 주차 구획선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3C , the third parking map generating unit 213 is configured to park the third vehicle type, which is a motorcycle, in the third area, which is the third underground parking lot, on the image for the third underground parking lot. Partition lines can be created. To be more specific, the third parking map generating unit 213 generates a third parking dividing line, the third parking dividing line being the parking dividing line created at fifth intervals along the third direction of the third underground parking lot and the third underground parking lot. may include a parking dividing line generated at sixth intervals along the fourth direction of the .

제5 간격 및 제6 간격의 경우, 제3 구역이 오토바이 주차를 위한 구역인 경우에는 제1 내지 제4 간격보다 가깝게 제공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제3 구역이 버스 주차를 위한 구역인 경우에는 제1 내지 제4 간격보다 멀게 제공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fifth and sixth intervals, when the third zone is an area for motorcycle parking, it may be provided closer than the first to fourth intervals, and in contrast, when the third zone is an area for bus parking, the third It may be provided further than the first to fourth intervals.

정리하면, 제3 주차 지도 생성 유닛(213)을 통해 생성된 제3 주차 구획선의 경우, 주차장이 직사각형 형상이 아닌 다른 형상으로 제공된 경우 제3 방향을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10) 운영자의 선택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제5 간격 및 제6 간격 역시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10) 운영자의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제3 구역에 보다 많은 주차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In summary, in the case of the third parking dividing line generated through the third parking map generating unit 213, when the parking lot is provided in a shape other than a rectangular shape, the third direction is selected by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10 operator The fifth and sixth intervals can also be fre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10 operator, thereby enabling more parking in the third zone.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주차 지도 생성 모듈(200)은 주차 가능 공간 정보 생성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2 , the parking map generating module 200 may include a parking available spac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20 .

주차 가능 공간 정보 생성부(220)는 주차 지도와 주차된 차량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주차 가능 공간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available parking spac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20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vailable parking space information based on the parking map and the parked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보다 상세히 말하면, 주차 가능 공간 정보 생성부(220)는 주차 지도 생성부(210)에서 생성된 주차 지도 상에 위치 추적 모듈(300)에 의해 파악된 자율주행차량의 위치를 표시한다. 이후 주차 지도 상의 주차 구역 상에 자율주행차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멈춰 있는 경우 주차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즉, 주차 가능 공간 정보 생성부(220)는 주차 구역 상에 자율주행차량이 주차하지 않은 구역을 주차 가능 공간으로 간주하며 이를 기반으로 주차 가능 공간 정보를 생성한다.In more detail, the available parking spac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20 displays the loc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identified by the location tracking module 300 on the parking map generated by the parking map generating unit 210 . Thereafter, if the autonomous vehicle is stopped for a preset time in a parking area on the parking map,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a parked state. That is, the available parking spac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20 considers an area in which the autonomous vehicle is not parked on the parking area as a parking available space, and generates parking space information based on this.

도 4는 위치 추적 모듈(300)의 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each configuration of the location tracking module 300 .

도 4를 참조하면, 위치 추적 모듈(300)은 고유번호 부여부(310) 및 위치 추적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location tracking module 300 may include a unique number granting unit 310 and a location tracking unit 320 .

고유번호 부여부(310)는 주차장 내의 각 자율주행차량에 고유번호를 부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unique number assignment unit 310 may be configured to assign a unique number to each autonomous vehicle in the parking lot.

위치 추적부(320)는 고유번호가 부여된 차량에 대하여, 주차장의 출입구에서 획득한 차량의 이미지와 주차장 내에서 획득한 차량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고유번호가 부여된 차량의 위치를 추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location tracking unit 320 is configured to track the location of the vehicle to which the unique number is assigned, based on the image of the vehicle acquired at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parking lot and the image of the vehicle acquired in the parking lot with respect to the vehicle to which the unique number is assigned. can be

보다 상세히 말하면, 고유번호 부여부(310)는 각 자율주행차량이 주차장의 출입구를 통해 주차장 내로 진입 시 각 자율주행차량에 고유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이후, 위치 추적부(320)는 주차장 출입구에서 획득한 차량의 이미지와 주차장 내에서 획득한 차량의 이미지를 비교하여 동일 차량을 식별하고, 고유번호가 부여된 각 자율주행차량의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unique number assigning unit 310 may assign a unique number to each autonomous vehicle when each autonomous vehicle enters the parking lot through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Thereafter, the location tracking unit 320 identifies the same vehicle by comparing the image of the vehicle acquired at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parking lot with the image of the vehicle acquired in the parking lot, and continuously tracks the movement of each autonomous vehicle to which a unique number is assigned. can do.

도 5는 경로 생성 모듈(400)의 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each configuration of the path generation module 400 .

도 5를 참조하면, 경로 생성 모듈(400)은 주차 경로 생성부(410), 출차 경로 생성부(420) 및 경로 전송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path generation module 400 may include a parking path generation unit 410 , an exit path generation unit 420 , and a path transmission unit 430 .

주차 경로 생성부(410)는 주차 요청 정보를 송신한 제1 차량에 대한 차량 위치 정보, 주차 가능 공간 정보 및 다른 차량의 이동 경로를 기반으로 주차 경로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arking route generator 410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 parking route based on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first vehicle that has transmitted the parking request information, information about a parking space available, and a movement route of another vehicle.

예를 들면, 자율주행차량 중 제1 차량의 소유자가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10)을 통해 자신의 차량을 주차하고자 할 경우, 제1 차량의 소유자는 자신이 소유한 자율주행차량의 소유자 단말을 통해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10)으로 주차 요청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500)은 이러한 주차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경로 생성 모듈(400)로 전달하고, 경로 생성 모듈(400)에 포함된 주차 경로 생성부(410)는 주차 요청 정보를 전달받아 주차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주차 경로 생성부(410)는 위치 추적부(320)를 통해 파악된 제1 차량의 차량 위치와 주차 가능 공간 정보 생성부(220)를 통해 파악된 주차 가능 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차량의 현재 위치와 가장 인접한 주차 가능 공간 까지의 경로인 주차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주차 경로 생성부(410)는 다른 차량의 이동 경로를 함께 고려하여 주차 경로를 생성함으로써 다른 차량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owner of the first vehicle among the autonomous vehicles intends to park his/her vehicle through the autonomous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10 , the owner of the first vehicle owns the autonomous vehicle owner terminal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parking request information to the autonomous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10 through . The communication module 500 receives this parking request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path generating module 400 , and the parking path generating unit 410 included in the path generating module 400 receives the parking request information and generates a parking path. can do. At this time, the parking path generating unit 410 based on the vehicle location of the first vehicle identified through the location tracking unit 320 and the available parking space information identified through the available parking spac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20, the first vehicle You can create a parking path that is a path to the nearest available parking space from your current location. In this case, the parking path generating unit 410 may prevent a collision with another vehicle by generating a parking path in consideration of the movement paths of other vehicles.

또한, 주차 경로 생성부(410)는 제1 차량의 이미지를 통해 제1 차량의 차종을 파악한 후 제1 구역과 제2 구역 중 어느 구역에 주차할지를 결정하여 주차 구역 정보를 생성하고, 주차 구역 정보를 더 고려하여 주차 경로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king path generation unit 410 determines the vehicle type of the first vehicle through the image of the first vehicle, determines which zone to park in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generates parking zone information, and provides parking zone information. It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 parking route by further considering.

예를 들어, 주차 경로 생성부(410)는 제1 차량의 이미지를 통해 제1 차량이 승용차인 것으로 파악된 경우, 승용차를 주차하기 위한 공간인 제1 구역에 해당하는 지하 1층 주차장을 주차 구역으로 결정하여 주차 구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주차 경로 생성부(410)는 주차 가능 공간 정보 생성부(220)를 통해 파악된 주차 가능 공간 정보 중 제1 구역에서의 주차 가능 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차량의 현재 위치와 가장 인접한 주차 가능 공간 까지의 경로인 주차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vehicle is a passenger car through the image of the first vehicle, the parking path generation unit 410 sets the first basement parking lot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ea, which is a space for parking the passenger car, into the parking area. can be determined to generate parking area information. Therefore, in this case, the parking path generating unit 410 is based on the available parking space information in the first area among the available parking space information identified through the available parking spac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20, the current location of the first vehicle and You can create a parking path that is a path to the nearest available parking space.

출차 경로 생성부(420)는 출차 요청 정보를 송신한 제2 차량에 대한 차량 위치 정보, 주차장 출입구의 위치 정보 및 다른 차량의 이동 경로를 기반으로, 출차 경로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un-parking path generation unit 420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n un-parking route based on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vehicle that has transmitted the un-parking request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a parking lot entrance, and a movement path of another vehicle.

예를 들면, 자율주행차량 중 제2 차량의 소유자가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10)을 통해 자신의 차량을 출차하고자 할 경우, 제2 차량의 소유자는 자신이 소유한 자율주행차량의 소유자 단말을 통해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10)으로 출차 요청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500)은 이러한 출차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경로 생성 모듈(400)로 전달하고, 경로 생성 모듈(400)에 포함된 출차 경로 생성부(420)는 출차 요청 정보를 전달받아 출차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출차 경로 생성부(420)는 위치 추적부(320)를 통해 파악된 제2 차량의 차량 위치와 주차장 출입구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제2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주차장 출입구 까지의 경로인 출차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출차 경로 생성부(420)는 다른 차량의 이동 경로를 함께 고려하여 출차 경로를 생성함으로써 다른 차량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owner of the second vehicle among the autonomous vehicles intends to take out his/her vehicle through the autonomous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10 , the owner of the second vehicle owns the autonomous vehicle owner terminal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exit request information to the autonomous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10 . The communication module 500 receives the un-parking request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route generating module 400, and the un-parking path generator 420 included in the route generating module 400 receives the un-parking request information and generates an un-parking route. can do. At this time, the exit path generation unit 420 is based on the vehicle location of the second vehicle identified through the location tracking unit 32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arking lot entrance, the exit path that is the path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second vehicle to the parking lot entrance can create In this case, the un-parking path generating unit 420 may prevent a collision with another vehicle by generating an un-parking path in consideration of the movement paths of other vehicles.

경로 전송부(430)는 주차 경로 생성부(410)에 의해 생성된 주차 경로 및 출차 경로 생성부(420)에 의해 생성된 출차 경로를 포함하여 자율주행차량의 이동을 위해 생성한 경로를 자율주행차량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자율주행서버로 전송하기 위해 해당 데이터를 통신 모듈(5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route transmitter 430 autonomously drives the route generated for the movement of the autonomous vehicle, including the parking route generated by the parking route generator 410 and the un-parking route generated by the parking route generator 420 . 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communication module 500 in order to transmit it to the autonomous driving server that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vehicle.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경로 생성 모듈(400)은 경로 수정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5 , the path generating module 400 may further include a path modifying unit 440 .

경로 수정부(440)는 제1 차량이 주차 경로를 이탈하거나 제2 차량이 출차 경로를 이탈한 경우, 주차 경로 또는 출차 경로를 수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ath correction unit 440 may be configured to correct the parking path or the un-parking path when the first vehicle deviates from the parking path or the second vehicle deviates from the un-parking path.

이를 위해 경로 수정부(440)는 위치 추적부(320)를 통해 각 자율주행차량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설정된 경로를 벗어나는 경우 기존 경로로 재진입 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경로 수정부(440)는 각 자율주행차량에 부착된 센서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함께 고려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안전한 차량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route correction unit 440 continuously monitors the location of each autonomous vehicle through the location tracking unit 320 to re-enter the existing route when deviating from the set route. In this process, the route correction unit 440 may also consider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a sensor attached to each autonomous vehicle, thereby enabling safer vehicle control.

도 6a는 주차 위치 조정부(450)에 의해 주차 위치가 조정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6A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parking position is adjusted by the parking position adjusting unit 450 .

도 6b는 주차 위치 조정부(450)에 의해 주차 위치가 조정된 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6B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after the parking position is adjusted by the parking position adjusting unit 450 .

도 5,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경로 생성 모듈(400)은 주차 위치 조정부(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5, 6A, and 6B , the path generating module 400 may further include a parking position adjusting unit 450 .

주차 위치 조정부(450)는 제2 차량(32)의 출차 경로 상에 제3 차량(33)이 주차된 것으로 파악된 경우, 제3 차량(33)의 현재 위치와 주차 가능 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제3 차량(33)의 이동 거리를 최소화하여 제3 차량(33)을 다른 주차 가능 공간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경로인 주차 위치 조정 경로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hird vehicle 33 is parked on the exit path of the second vehicle 32, the parking position adjusting unit 450 is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hird vehicle 33 and the available parking space information, It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 parking position adjustment path that is a path for moving the third vehicle 33 to another available parking space by minimiz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third vehicle 33 .

예를 들면, 도 6a를 살펴보면 제2 차량(32)의 출차 경로 상에 제3 차량(33)이 주차되어 있으며, 제2 차량(32)의 후면은 주차장의 벽면으로 막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제2 차량(32)이 출차하기 위해서는 제3 차량(33)의 주차 위치를 조정하여야 하는데, 이 때 주차 위치 조정부(450)는 제3 차량(33)의 이동 거리를 최소화하여 제3 차량(33)을 다른 주차 공간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주차 위치 조정 경로를 생성한다. 도 6b를 살펴보면 위 과정을 통해 생성된 주차 위치 조정 경로를 통해 제3 차량(33)이 좌측으로 이동하였음을 알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6A , it can be seen that the third vehicle 33 is parked on the exit path of the second vehicle 32 , and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vehicle 32 is blocked by the wall of the parking lot. In order for the second vehicle 32 to take out, the parking position of the third vehicle 33 needs to be adjusted. At this time, the parking position adjusting unit 450 minimizes the moving distance of the third vehicle 33 to the third vehicle 33 . ) to create a parking position adjustment path to move to another parking space. Referring to FIG. 6B , it can be seen that the third vehicle 33 has moved to the left through the parking position adjustment path generated through the above process.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경로 생성 모듈(400)은 출차 대기 경로 생성부(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5 , the path generating module 400 may further include a waiting for taking out path generating unit 460 .

출차 대기 경로 생성부(460)는 자율주행차량의 소유자 단말로부터 출차 요청 정보를 수신한 경우, 소유자의 차량을 출차 대기 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한 출차 대기 경로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un-parking path generation unit 460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n un-parking route for moving the owner's vehicle to the un-parking place when receiving un-parking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owner terminal of the autonomous vehicle.

예를 들어, 출차 대기 장소는 자율주행차량의 소유자가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공간과 인접한 곳에 해당할 수 있으며, 주로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또는 계단과 인접한 곳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출차 대기 장소는 주차를 위한 장소가 아닌 자율주행차량에 탑승하기 위해 잠시 대기하는 장소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parking waiting place may correspond to a space adjacent to a space where the owner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enters a parking lot, and may be mainly provided in an area adjacent to an elevator, an escalator, or a staircase. Such a parking waiting place may not be a place for parking, but a place for waiting for a while to board the autonomous vehicle.

출차 대기 경로 생성부(460)는 제1 출차 대기 경로 생성 유닛(461) 및 제2 출차 대기 경로 생성 유닛(462)을 포함할 수 있다.The unpacking standby path generating unit 460 may include a first unpacking standby path generating unit 461 and a second unpacking standby path generating unit 462 .

제1 출차 대기 경로 생성 유닛(461)은 자율주행차량의 소유자 단말로부터 제4 차량에 대한 출차 요청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4 차량에 대한 차량 위치로부터 제1 출차 대기 장소까지의 경로인 제1 출차 대기 경로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receiving the un-parking request information for the fourth vehicle from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owner terminal 461 , the first un-parking path generating unit 461 is a first, which is a path from the vehicle location for the fourth vehicle to the first un-parking place. It may be configured to create an exit waiting route.

예를 들어, 제1 출차 대기 장소는 엘리베이터와 가장 인접한 영역에 제공되는 출차 대기 장소일 수 있다. 즉, 자율주행차량의 소유자가 차량에 탑승하여 주차장을 곧장 빠져나오기에 가장 용이한 장소일 수 있다. 정리하면, 제1 출차 대기 경로는 제4 차량을 주차 중인 위치에서 제1 출차 대기 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한 경로를 말한다.For example, the first un-parking waiting area may be an un-parking waiting area provided in an area closest to the elevator. That is, it may be the easiest place for the owner of the autonomous vehicle to get on the vehicle and directly exit the parking lot. In summary, the first un-parking path refers to a path for moving the fourth vehicle from a parking position to the first un-parking waiting location.

제2 출차 대기 경로 생성 유닛(462)은 제1 출차 대기 장소에 대기 중인 제4 차량의 소유자가 제1 시간 내에 제4 차량에 탑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4 차량에 대한 차량 위치로부터 제2 출차 대기 장소까지의 경로인 제2 출차 대기 경로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wner of the fourth vehicle waiting at the first un-parking waiting location has not boarded the fourth vehicle within the first time, the second un-parking path generating unit 462 is configured to generate the second vehicle from the vehicle location for the fourth vehicle. 2 It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 second un-parking path that is a path to the un-parking place.

예를 들어, 제2 출차 대기 장소는 제1 출차 대기 장소에 비해 엘리베이터와 조금 더 떨어진 곳에 별도로 마련된 출차 대기 장소일 수 있다. 즉, 자율주행차량의 소유자가 출차 요청 정보를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10)에 송신하여 제4 차량이 제1 출차 대기 장소에 5분 동안 머물렀으나 차량 소유자가 그 시간 내에 제4 차량에 탑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 출차 대기 장소가 혼잡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4 차량을 제2 출차 대기 장소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정리하면, 제2 출차 대기 경로는 제4 차량을 제1 출차 대기 장소에서 제2 출차 대기 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한 경로를 말한다.For example, the second un-parking waiting area may be a separately provided un-parking waiting area at a slightly further distance from the elevator than the first un-parking waiting area. That is, the owner of the autonomous vehicle transmits the un-parking request information to the autonomous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10 and the fourth vehicle stays in the first un-parking place for 5 minutes, but the vehicle owner does not board the fourth vehicle within that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vehicle, it is necessary to move the fourth vehicle to the second un-parking waiting area in order to prevent the first un-parking waiting area from being congested. In summary, the second un-parking path refers to a path for moving the fourth vehicle from the first un-parking waiting area to the second un-parking waiting area.

출차 대기 경로 생성부(460)는 제3 출차 대기 경로 생성 유닛(463)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iting-for-parking path generating unit 46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waiting-for-parking path generating unit 463 .

제3 출차 대기 경로 생성 유닛(463)은 제2 출차 대기 장소에 대기 중엔 제4 차량의 소유자가 제2 시간 내에 제4 차량에 탑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거나 자율주행차량의 소유자 단말로부터 제4 차량에 대한 출차 취소 요청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4 차량에 대한 차량 위치로부터 주차 가능 공간까지의 경로인 제3 출차 대기 경로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hird un-parking route generating unit 463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at the owner of the fourth vehicle has not boarded the fourth vehicle within the second time while waiting at the second un-parking location, or sends the autonomous vehicle owner terminal to the fourth vehicle. When the un-parking cancellation request information for the vehicle is received, it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 third waiting-for-parking path that is a path from the vehicle location for the fourth vehicle to the available parking space.

예를 들어, 자율주행차량의 소유자가 제2 출차 대기 장소에 대기 중인 차량에 10분 이내에 탑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거나 출차 취소를 요청한 경우, 제2 출차 대기 장소가 혼잡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4 차량을 다시 주차 가능 공간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정리하면, 제3 출차 대기 경로는 제4 차량을 제2 출차 대기 장소에서 또다시 추가 가능 공간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경로를 말한다. Fo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wner of the autonomous vehicle has not boarded the vehicle waiting in the second waiting area for 10 minutes or requests to cancel the vehicle, in order to prevent the second waiting area from being congested, the fourth vehicle needs to be moved back to the available parking space. In summary, the third un-parking waiting path refers to a path for moving the fourth vehicle from the second un-parking waiting place to the additional space again.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10)은 출차 예정시간 산출 모듈(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 the autonomous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10 may further include a scheduled departure time calculation module 600 .

출차 예정시간 산출 모듈(600)은 자율주행차량의 소유자 단말로부터 출차 요청 정보를 수신한 경우, 출차 하고자 하는 차량의 위치에서부터 출차 대기 장소까지의 거리와 출차 대기 장소의 출차 혼잡도를 기반으로 출차 예정시간을 산출하여 자율주행차량의 소유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exit reques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elf-driving vehicle owner terminal, the expected departure time calculation module 600 is the scheduled departure time based on the distance from the location of the vehicle to be exited to the exiting waiting area and the level of congestion of the exiting waiting area. It may be configured to calculate and transmit to the terminal of the owner of the autonomous vehicle.

이때 출차 혼잡도는 출차 대기 장소의 총 대기 가능 차량 수에서 출차 요청 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출차 대기 장소에 대기 중인 차량수의 비율을 기반으로 산출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evel of un-parking congestion may be calculated based on a ratio of the number of vehicles waiting in the un-parking place at the time when the un-parking reques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total number of waiting vehicles in the un-parking place.

예를 들어, 제4 차량의 소유자가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10)에 제4 차량에 대한 출차 요청 정보를 송신한 경우, 출차 예정시간 산출 모듈(600)은 제4 차량이 주차중인 위치에서부터 제1 출차 대기 장소까지의 거리를 계산하여 출차 대기 장소로의 예정 도착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출차 예정시간 산출 모듈(600)은 출차 대기 장소의 혼잡도가 높을 경우 혼잡도에 비례하여 예정 도착 시간을 뒤로 미룰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owner of the fourth vehicle transmits the un-parking request information for the fourth vehicle to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10 , the scheduled departure time calculation module 600 starts from the location where the fourth vehicle is parked. By calculating the distance to the first un-parking waiting place, the estimated arrival time to the un-parking waiting place may be calculated. Also, when the level of congestion in the waiting area for taking out is high, the expected departure time calculation module 600 may delay the scheduled arrival time in proportion to the congestion level.

이상에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위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상의 기술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해석을 통해서만 정해진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rough examples, but the above examples are merely for explain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limited there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only through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10: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
32: 제2 차량
33: 제3 차량
100: 이미지 획득 모듈
110: 깊이 카메라
120: 일반 디지털 카메라
200: 주차 지도 생성 모듈
210: 주차 지도 생성부
211: 제1 주차 지도 생성 유닛
212: 제2 주차 지도 생성 유닛
213: 제3 주차 지도 생성 유닛
220: 주차 가능 공간 정보 생성부
300: 위치 추적 모듈
310: 고유번호 부여부
320: 위치 추적부
400: 경로 생성 모듈
410: 주차 경로 생성부
420: 출차 경로 생성부
430: 경로 전송부
440: 경로 수정부
450: 주차 위치 조정부
460: 출차 대기 경로 생성부
461: 제1 출차 대기 경로 생성 유닛
462: 제2 출차 대기 경로 생성 유닛
463: 제3 출차 대기 경로 생성 유닛
500: 통신 모듈
600: 출차 예정시간 산출 모듈
10: Autonomous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32: second vehicle
33: third vehicle
100: image acquisition module
110: depth camera
120: general digital camera
200: parking map generation module
210: parking map generator
211: first parking map generating unit
212: second parking map generating unit
213: third parking map generating unit
220: parking spac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300: location tracking module
310: unique number granting unit
320: location tracking unit
400: path generation module
410: parking path generator
420: exit path generation unit
430: route transmission unit
440: path correction unit
450: parking position adjustment unit
460: exit waiting path generation unit
461: first exit standby path generating unit
462: second exit standby path generating unit
463: Third vehicle exit standby path generating unit
500: communication module
600: Estimated departure time calculation module

Claims (15)

주차장에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제공되며, 상기 주차장 및 상기 주차장 내의 자율주행차량의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이미지 획득 모듈;
기 설정된 방식으로 구획이 나뉘어진 주차 지도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주차 지도 생성 모듈;
상기 주차장 내의 자율주행차량의 위치를 추적하여 차량 위치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위치 추적 모듈;
주차 경로 및 출차 경로를 포함하는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이동 경로를 생성하여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자율주행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경로 생성 모듈; 및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소유자 단말 및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자율주행서버와 상기 자율주행차량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
an image acquisition module provided at preset intervals along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in the parking lot, and configured to acquire images of the parking lot and the autonomous vehicle in the parking lot;
a parking map generating module configured to generate a divided parking map in a preset manner;
a location tracking module configured to track the loc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in the parking lot to generate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a path generating module configured to generate a movement path of the autonomous vehicle including a parking path and an exit path and transmit it to an autonomous driving server that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autonomous vehicle; and
and a communication module configured to transmit/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to and from an autonomous driving serve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and an owner terminal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획득 모듈은: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는 깊이 카메라와 2차원 이미지를 생성하는 일반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image acquisition module includes:
An autonomous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depth camera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image and a general camera generating a two-dimensional im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지도 생성 모듈은:
상기 주차장에 대한 이미지 상에 기 설정된 방식으로 주차 구획선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주차장을 구획화 한 주차 지도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주차 지도 생성부; 및
상기 주차 지도와 주차된 차량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주차 가능 공간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주차 가능 공간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arking map generation module includes:
a parking map generat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parking map dividing the parking lot by generating a parking dividing line in a preset manner on the image for the parking lot; and
and a parking available space information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parking available space information based on the parking map and the parked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지도 생성부는:
상기 주차장의 제1 구역에 제1 차종을 주차하기 위하여 상기 제1 구역에 대한 이미지 상에 제1 주차 구획선을 생성함으로써 제1 주차 지도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1 주차 지도 생성 유닛; 및
상기 주차장의 제2 구역에 상기 제1 차종보다 크기가 큰 제2 차종을 주차하기 위하여 상기 제2 구역에 대한 이미지 상에 제2 주차 구획선을 생성함으로써 제2 주차 지도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2 주차 지도 생성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주차 구획선은 상기 제1 구역에 대한 이미지 상에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제1 간격으로 생성된 주차 구획선과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제2 간격으로 생성된 주차 구획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주차 구획선은 상기 제2 구역에 대한 이미지 상에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제1 간격보다 넓은 제3 간격으로 생성된 주차 구획선과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간격보다 넓은 제4 간격으로 생성된 주차 구획선을 포함하는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parking map generator includes:
a first parking map generat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first parking map by generating a first parking dividing line on the image for the first area to park a first vehicle type in the first area of the parking lot; and
a second parking, configured to generate a second parking map by creating a second parking divider on the image for the second zone to park a second vehicle type larger in size than the first vehicle type in a second zone of the parking lot a map generating unit;
The first parking dividing line includes a parking dividing line generated at a first interval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a parking dividing line generated at a second interval along the second direction on the image for the first zone,
The second parking dividing line is a parking dividing line generated at a third interval wider than the first interval along the first direction on the image for the second zone and a fourth interval wider than the second interval along the second direction An autonomous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including a parking dividing line created b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지도 생성부는:
상기 주차장의 제3 구역에 대한 이미지 상에 제3 주차 구획선을 생성함으로써 제3 주차 지도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3 주차 지도 생성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주차 구획선은 상기 제3 구역에 대한 이미지 상에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의 사이 방향인 제3 방향을 따라 제5 간격으로 생성된 주차 구획선과 상기 제3 방향에 수직한 제4 방향을 따라 제6 간격으로 생성된 주차 구획선을 포함하는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arking map generator includes:
a third parking map generat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third parking map by generating a third parking dividing line on the image for a third area of the parking lot;
The third parking dividing line is a parking dividing line generated at fifth intervals along a third direction, which is a direction betwee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on the image for the third zone, and a third perpendicular to the third direction. An autonomous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including a parking dividing line generated at 6th intervals along 4 dire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적 모듈은:
상기 주차장 내의 각 자율주행차량에 고유번호를 부여하도록 구성되는 고유번호 부여부; 및
상기 고유번호가 부여된 차량에 대하여, 주차장의 출입구에서 획득한 차량의 이미지와 상기 주차장 내에서 획득한 차량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고유번호가 부여된 차량의 위치를 추적하도록 구성되는 위치 추적부를 포함하는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location tracking module includes:
a unique number granting unit configured to assign a unique number to each autonomous vehicle in the parking lot; and
A location tracking unit configured to track the location of the vehicle to which the unique number is assigned, based on the image of the vehicle acquired at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and the image of the vehicle acquired in the parking lot with respect to the vehicle to which the unique number is assigned Self-driving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includ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생성 모듈은:
주차 요청 정보를 송신한 제1 차량에 대한 차량 위치 정보, 상기 주차 가능 공간 정보 및 다른 차량의 이동 경로를 기반으로 주차 경로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주차 경로 생성부;
출차 요청 정보를 송신한 제2 차량에 대한 차량 위치 정보, 주차장 출입구의 위치 정보 및 다른 차량의 이동 경로를 기반으로, 출차 경로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출차 경로 생성부; 및
상기 주차 경로 및 상기 출차 경로를 포함하여 자율주행차량의 이동을 위해 생성한 경로를 자율주행차량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자율주행서버로 전송하기 위해 해당 데이터를 상기 통신 모듈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경로 전송부를 포함하는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ath creation module includes:
a parking path generat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parking path based on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first vehicle that has transmitted the parking request information, the available parking space information, and a movement path of another vehicle;
an un-parking path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n un-parking route based on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vehicle that has transmitted the un-parking request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a parking lot entrance, and a movement route of another vehicle; and
A path transmission unit configured to transmit corresponding data to the communication module in order to transmit a path generated for movement of the autonomous vehicle, including the parking path and the exit path, to the autonomous driving server that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autonomous vehicle Self-driving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includ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경로 생성부는 상기 제1 차량의 이미지를 통해 상기 제1 차량의 차종을 파악한 후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제2 구역 중 어느 구역에 주차할지를 결정하여 주차 구역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주차 구역 정보를 더 고려하여 상기 주차 경로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arking path generation unit determines the vehicle type of the first vehicle through the image of the first vehicle, determines which zone to park in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generates parking zone information, and the parking zone information An autonomous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configured to generate the parking path by further consider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생성 모듈은:
상기 제1 차량이 상기 주차 경로를 이탈하거나 상기 제2 차량이 상기 출차 경로를 이탈한 경우, 상기 주차 경로 또는 상기 출차 경로를 수정하도록 구성되는 경로 수정부를 더 포함하는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ath creation module includes:
and a path correction unit configured to correct the parking path or the un-parking path when the first vehicle deviates from the parking path or the second vehicle deviates from the un-parking path.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생성 모듈은:
상기 제2 차량의 출차 경로 상에 제3 차량이 주차된 것으로 파악된 경우, 상기 제3 차량의 현재 위치와 상기 주차 가능 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3 차량의 이동 거리를 최소화하여 상기 제3 차량을 다른 주차 가능 공간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경로인 주차 위치 조정 경로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주차 위치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ath creation module include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hird vehicle is parked on the un-parking path of the second vehicle,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hird vehicle and the available parking space information,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third vehicle is minimized based on the third vehicle. The autonomous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further comprising a parking position adjustment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parking position adjustment path that is a path for moving the vehicle to another available parking spa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생성 모듈은:
자율주행차량의 소유자 단말로부터 출차 요청 정보를 수신한 경우, 소유자의 차량을 출차 대기 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한 출차 대기 경로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출차 대기 경로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ath creation module includes:
The self-driving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further comprising: an un-parking path generat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n un-parking route for moving the owner's vehicle to an un-parking location when receiving un-parking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owner terminal of the autonomous vehicl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출차 대기 경로 생성부는: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소유자 단말로부터 제4 차량에 대한 출차 요청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4 차량에 대한 차량 위치로부터 제1 출차 대기 장소까지의 경로인 제1 출차 대기 경로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1 출차 대기 경로 생성 유닛; 및
제1 출차 대기 장소에 대기 중인 제4 차량의 소유자가 제1 시간 내에 상기 제4 차량에 탑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4 차량에 대한 차량 위치로부터 제2 출차 대기 장소까지의 경로인 제2 출차 대기 경로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2 출차 대기 경로 생성 유닛을 포함하는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exit waiting route generating unit includes:
When receiving the un-parking request information for the fourth vehicle from the owner terminal of the autonomous vehicle, the first un-parking path is configured to generate a first un-parking path that is a path from the vehicle location for the fourth vehicle to the first un-parking place. 1 an exit standby path generating unit;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wner of the fourth vehicle waiting at the first un-parking place does not board the fourth vehicle within the first time, the second, which is a path from the vehicle location for the fourth vehicle to the second un-parking place 2 The autonomous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including a second waiting-for-parking path generat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waiting-for-parking path.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출차 대기 경로 생성부는:
제2 출차 대기 장소에 대기 중엔 제4 차량의 소유자가 제2 시간 내에 상기 제4 차량에 탑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소유자 단말로부터 제4 차량에 대한 출차 취소 요청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4 차량에 대한 차량 위치로부터 주차 가능 공간까지의 경로인 제3 출차 대기 경로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3 출차 대기 경로 생성 유닛을 더 포함하는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exit waiting route generating unit include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wner of the fourth vehicle has not boarded the fourth vehicle within the second time while waiting at the second waiting area for un-parking, or when un-parking request information for the fourth vehicle is received from the owner terminal of the autonomous vehicle , a third waiting-to-take-out path generat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third waiting-for-parking path that is a path from the vehicle location for the fourth vehicle to the available parking space.
제11항에 있어서,
자율주행차량의 소유자 단말로부터 출차 요청 정보를 수신한 경우, 출차 하고자 하는 차량의 위치에서부터 상기 출차 대기 장소까지의 거리와 상기 출차 대기 장소의 출차 혼잡도를 기반으로 출차 예정시간을 산출하여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소유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출차 예정시간 산출 모듈을 더 포함하는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n the self-driving vehicle owner terminal receives the un-parking request information,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calculates the scheduled departure time based on the distance from the location of the vehicle to be pulled out to the un-parking location and the level of congestion of the un-parking location. Self-driving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further comprising a module for calculating expected departure time configured to be transmitted to the owner terminal of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출차 혼잡도는 상기 출차 대기 장소의 총 대기 가능 차량 수에서 상기 출차 요청 정보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대기 가능 차량수의 비율을 기반으로 산출되는 자율주행차량 주차 관제 시스템.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elf-driving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is calculated based on a ratio of the number of waiting vehicles at the time of receiving the exit request information to the total number of waiting vehicles in the waiting area for exiting the vehicle.
KR1020200175190A 2020-12-15 2020-12-15 Autonomous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KR1025649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190A KR102564974B1 (en) 2020-12-15 2020-12-15 Autonomous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190A KR102564974B1 (en) 2020-12-15 2020-12-15 Autonomous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265A true KR20220085265A (en) 2022-06-22
KR102564974B1 KR102564974B1 (en) 2023-08-07

Family

ID=82216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190A KR102564974B1 (en) 2020-12-15 2020-12-15 Autonomous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497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62330A (en) * 2022-11-29 2023-03-28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Vehicle control method and device, vehicl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8763A1 (en) * 2018-01-11 2019-07-18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and parking lot management method
JP2019128659A (en) * 2018-01-22 2019-08-01 株式会社Subaru Vehicle call system
JP2019138763A (en) * 2018-02-09 2019-08-22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Determination device, determination method, tablet printing device and tablet printing method
KR20190132793A (en) * 2018-05-21 2019-11-2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arking guide
KR20200057819A (en) * 2018-11-13 2020-05-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arking control system for autonomous vehicle
KR20200125367A (en) * 2019-04-25 2020-11-0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autonomous driving in parking lo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8763A1 (en) * 2018-01-11 2019-07-18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and parking lot management method
JP2019128659A (en) * 2018-01-22 2019-08-01 株式会社Subaru Vehicle call system
JP2019138763A (en) * 2018-02-09 2019-08-22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Determination device, determination method, tablet printing device and tablet printing method
KR20190132793A (en) * 2018-05-21 2019-11-2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arking guide
KR20200057819A (en) * 2018-11-13 2020-05-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arking control system for autonomous vehicle
KR20200125367A (en) * 2019-04-25 2020-11-0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autonomous driving in parking lo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62330A (en) * 2022-11-29 2023-03-28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Vehicle control method and device, vehicl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4974B1 (en) 202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4382B2 (en) Method, apparatus and apparatus for planning vehicle speed
CN108693878B (en) Course setting device and course setting method
US20170337810A1 (en) Traffic condition estimation apparatus, vehicle control system, route guidance apparatus, traffic condition estimation method, and traffic condition estimation program
JP7096191B2 (en) Parking lot management equipment, parking lot management methods, and programs
KR102367662B1 (en) Vehicle remote instruction system and remote instruction device
JP6907285B2 (en) Vehicle control devices, vehicle control methods, and programs
WO2018116461A1 (en) Vehicle control system, vehicle control method, and vehicle control program
JP7065765B2 (en) Vehicle control systems, vehicle control methods, and programs
JP7163729B2 (en) vehicle controller
JP7238670B2 (en) image display device
WO2019123587A1 (en) Parking control method and parking control device
JP2017071370A (en) Vehicular passenger posture control apparatus
JP7114912B2 (en) parking device
CN113223326A (en) Multi-vehicle multi-control multi-source low-speed auxiliary parking system based on road side
JP2020166632A (en) Parking management device, control method of parking management device, and program
DE112019006302T5 (en)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CONTROL METHOD, VEHICL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90344795A1 (en) Vehicle control system, vehicle control method, and vehicle control program
WO2019142544A1 (en) Vehicle control device
JP2020166719A (en) Parking lot management device, parking lot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JP2018077761A (en) Row running support device
KR20220085265A (en) Autonomous vehicle parking control system
KR102251502B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nomous driving in parking lot
JP7471783B2 (en) Vehicle rental system and vehicle rental method
JP7355045B2 (en) Automatic parking system, automatic parking system control method, and automatic driving vehicle
US10955849B2 (en) Automatic driv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