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5098A - A separato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 separato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5098A
KR20220085098A KR1020200174553A KR20200174553A KR20220085098A KR 20220085098 A KR20220085098 A KR 20220085098A KR 1020200174553 A KR1020200174553 A KR 1020200174553A KR 20200174553 A KR20200174553 A KR 20200174553A KR 20220085098 A KR20220085098 A KR 20220085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ous support
separation membrane
separator
pores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45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09773B1 (en
Inventor
김병현
박대복
공석현
최인환
최광호
Original Assignee
더블유스코프코리아 주식회사
더블유씨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블유스코프코리아 주식회사, 더블유씨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더블유스코프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4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9773B1/en
Publication of KR20220085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098A/en
Priority to KR1020230030385A priority patent/KR10253468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7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H01M50/406Moulding; Embossing; C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6Composite material consisting of a mixture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3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01M50/491Poro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01M50/497Ionic conductiv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다공성 지지체; 및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에 충진된 전해액 팽윤성 고분자 가교체를 포함하고, 이온전도도가 1.0*10-4S/cm 이상이고, 천공강도가 300gf 이상인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ous support; and a cross-linked electrolyte swellable polymer filled in the pores of the porous support, having an ionic conductivity of 1.0 * 10 -4 S/cm or more, and a puncture strength of 300 gf or mor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escription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A SEPARATO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Separat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paration membran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리튬이차전지는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등 소형화, 경량화가 요구되는 각종 전기 제품들의 전원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스마트 그리드, 전기 자동차용 중대형 배터리에 이르기까지 그 적용 분야가 확대됨에 따라, 용량이 크고, 수명이 길며, 안정성이 높은 리튬이차전지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Lithium secondary batteries are widely used as a power source for various electric products that require miniaturization and weight reduction, such as smartphones, laptops, and tablet PCs. The development of large, long-life, and high-stability lithium secondary batteries is requir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양극과 음극을 분리시켜 내부 단락(Internal Short)을 방지하고 충방전 과정에서 리튬이온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미세기공이 형성된 분리막(Separator), 그 중에서도 열유도상분리(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에 의한 기공 형성에 유리하고, 경제적이며 분리막에 필요한 물성을 충족하기 용이한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을 사용한 미세다공성 분리막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하다.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separator with micropores that separates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to prevent an internal short and facilitates the movement of lithium ions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in particular, heat-induced phase separation (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 R&D on microporous membranes using polyolefins such as polyethylene, which is advantageous for pore formation, economical, and easy to meet the physical properties required for membranes, is active.

그러나, 용융점이 135℃ 정도로 낮은 폴리에틸렌을 사용한 분리막은 전지의 발열에 의해 용융점 이상의 고온에서 수축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에 의해 단락이 발생하면, 전지의 열폭주 현상을 일으켜 발화 등의 안전상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However, a separator using polyethylene having a low melting point of about 135° C. may undergo shrinkage deformation at a high temperature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due to heat generation of the battery. When a short circuit occurs due to such deformation, a thermal runaway phenomenon of the battery may occur, resulting in safety problems such as ignition.

한편, 종래에 광범하게 사용되고 있는 폴리올레핀(polyolefin) 계열의 분리막은 내열성과 기계적 강도가 취약하여 150℃의 온도에서 1시간 정도 노출 시 열수축률이 50~90%로 발생하여 분리막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며, 외부 충격 시 내부 단락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분리막의 표면에 세라믹 입자를 포함하는 내열층을 코팅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ly widely used polyolefin-based separator has weak heat resistance and mechanical strength, so when exposed at a temperature of 150° C. for about 1 hour, heat shrinkage occurs at 50 to 90%, and the function of the separator is lost. , there is a problem that an internal short circuit is highly likely to occur in the event of an external impact.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problem, a technique of coating a heat-resistant layer containing ceramic particles on the surface of a separator has been proposed.

그러나 이러한 내열층은 분리막의 성능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통기성 및 전도성(저항)과 관련하여 상당한 기술적 과제를 남겨두고 있다. 즉, 다공성 기재의 표면에 세라믹 입자를 포함하는 내열층을 형성하면, 분리막의 내열성은 향상되지만, 상기 내열층에 포함된 세라믹 입자가 다공성 기재에 형성된 기공을 폐쇄하여 분리막의 통기성이 저하되고, 그에 따라 양극과 음극 사이의 이온이동 통로가 크게 감소하여 결과적으로 이차전지의 충전 및 방전 성능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However, such a heat-resistant layer leaves significant technical challenges with respect to air permeability and conductivity (resistance), which are factors that have a very important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the separator. That is, when a heat-resistant layer containing ceramic particles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orous substrate, the heat resistance of the separator is improved, but the ceramic particles included in the heat-resistant layer close the pores formed in the porous substrate, thereby reducing the air permeability of the separator, and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on movement path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is greatly reduced, and as a result,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performance of the secondary battery is greatly reduced.

또한, 전지 내부에서 상기 내열층이 전해액에 지속적으로 노출됨에 따라 세라믹 입자가 다공성 기재로부터 부분적, 지속적으로 탈리될 수 있고, 이 경우 분리막의 내열성도 점진적으로 저하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heat-resistant layer is continuously exposed to the electrolyte inside the battery, the ceramic particles may be partially and continuously detached from the porous substrate, and in this case, the heat resistance of the separator may also be gradually reduced.

폴리올레핀 분리막을 가교시켜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제시된 바 있다. 일본 특개평11-144700호, 11-172036호는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을 사용하여 가교 분리막을 제조함으로써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발명을 개시하나, 이러한 가교 분리막 또한 일정 크기의 미세 기공을 가지므로 분리막의 표면에 수직으로 인가되는 외력에 취약한 문제가 있고, 이는 상기와 같은 코팅을 통해서도 개선하기 어렵다.A method of improving heat resistance by crosslinking a polyolefin separator has been propose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s. Hei 11-144700 and 11-172036 disclose the invention of improving heat resistance by manufacturing a cross-linked separator using silane-modified polyolefin. There is a problem of being vulnerable to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it, which is difficult to improve even through the coating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분리막의 기계적 물성, 특히, 분리막의 표면에 수직으로 인가되는 외력에 대한 저항성을 개선할 수 있고, 내열성 및 이온전도도를 균형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eparator, in particular, the resistance to external force applied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separator, and to improve heat resistance and ionic conductivit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paration membrane that can be implemented in a balanced manne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다공성 지지체; 및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에 충진된 전해액 팽윤성 고분자 가교체를 포함하고, 이온전도도가 1.0*10-4S/cm 이상이고, 천공강도가 300gf 이상인 분리막을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ous support; and a crosslinked electrolyte swellable polymer filled in the pores of the porous support, having an ionic conductivity of 1.0 * 10 -4 S/cm or more, and a puncture strength of 300 gf or mor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팽윤성 고분자 가교체의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에 대한 충진율은 90% 이상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lling ratio of the pores of the porous support of the electrolyte swellable polymer crosslinked body may be 90% or mor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의 기공률은 10% 이하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orosity of the separation membrane may be 10% or les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 또는 공중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orous support may includ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polypropylene, ethylene vinyl acetate, ethylene butyl acrylate, ethylene ethyl acrylate, and combinations or copolymers of two or more thereof.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률은 30~90%이고, 평균 기공크기는 20~100nm이고, 두께는 5㎛ 이상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orosity of the porous support is 30 ~ 90%, the average pore size is 20 ~ 100nm, the thickness may be 5㎛ or mor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무기 필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orous support may further include an inorganic fill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팽윤성 고분자 가교체는 개시제에 의해 활성화된 다관능성 모노머의 가교 반응에 의해 생성된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lectrolyte swellable polymer crosslinked product may be produced by a crosslinking reaction of a polyfunctional monomer activated by an initiato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하기 (i) 내지 (iii)의 조건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paration membrane may satisfy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conditions (i) to (iii).

(i) 멜트다운온도 200℃ 이상; (ii) 150℃에서 세로방향 열수축률 60% 이하; (iii) 막 저항 150mΩ 이하.(i) a meltdown temperature of 200°C or higher; (ii) 60% or less of longitudinal heat shrinkage at 150°C; (iii) Membrane resistance 150 mΩ or less.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a) 제1 이형 필름의 일 면에 다관능성 모노머, 개시제 및 끓는점이 150℃ 이하인 용매를 포함하는 모노머 용액을 도포하여 제1 층을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제1 층 상에 다공성 지지체를 적층하는 단계; (c) 상기 다공성 지지체 상에 상기 모노머 용액을 도포하여 제2 층을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제2 층 상에 제2 이형 필름을 적층한 다음, 상기 제1 및 제2 이형 필름이 상기 다공성 지지체와 접촉하도록 가압하여 상기 제1 및 제2 층을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 내부로 침투시키고 일체화시키는 단계; (e) 일체화된 상기 제1 및 제2 층에 에너지를 인가하여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를 가교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제1 및 제2 이형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리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applying a monomer solution containing a polyfunctional monomer, an initiator, and a solvent having a boiling point of 150° C. or less to one surface of the first release film to generate a first layer; (b) laminating a porous support on the first layer; (c) forming a second layer by applying the monomer solution on the porous support; (d) laminating a second release film on the second layer, and then pressing the first and second release films to contact the porous support to move the first and second layers into the pores of the porous support penetrating and integrating; (e) applying energy to the integrated first and second layers to crosslink the polyfunctional monomer; and (f) removing the first and second release film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노머 용액 중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의 함량은 10~30중량%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ent of the polyfunctional monomer in the monomer solution may be 10 to 30% by weigh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분리막은, 다공성 지지체; 및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에 충진된 전해액 팽윤성 고분자 가교체를 포함함으로써 기계적 물성 및 내열성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고, 상기 고분자 가교체의 팽윤 거동에 따른 전해액 투과성에 기반하여 필요한 수준의 이온전도도를 확보할 수 있다.Separation membran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ous support; And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improve mechanical properties and heat resistance by including the cross-linked electrolyte swellable polymer filled in the pores of the porous support, and to secure the required level of ionic conductivity based on the electrolyte permeability according to the swelling behavior of the cross-linked polymer. can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액 팽윤성 고분자 가교체의 팽윤 특성 및 그에 따른 전해액 투과 원리를 도식화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막의 제조방법을 도식화한 것이다.
1 and 2 are schematic diagrams of the swelling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lyte swellable polymer crosslinked pro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lectrolyte permeation principle thereof.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thus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다공성 지지체; 및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에 충진된 전해액 팽윤성 고분자 가교체를 포함하고, 이온전도도가 1.0*10-4S/cm 이상이고, 천공강도가 300gf 이상인 분리막을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ous support; and a crosslinked electrolyte swellable polymer filled in the pores of the porous support, having an ionic conductivity of 1.0 * 10 -4 S/cm or more, and a puncture strength of 300 gf or more.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상기 분리막에서 상기 전해액 팽윤성 고분자 가교체를 고정 및 지지하여 상기 전해액 팽윤성 고분자 가교체의 취약한 기계적 물성, 안정성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해액 팽윤성 고분자 가교체는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의 내부에서 가교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상기 기공의 내벽에 포함된 고분자 사슬,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사슬 중 인접한 것들을 상호 가교시킴으로써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계적 물성과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orous support may supplement the weak mechanical properties and stability of the electrolyte swellable polymer crosslinked body by fixing and supporting the electrolyte swellable polymer crosslinked body in the separation membrane. In addition, the electrolyte swellable polymer crosslinked product may exist in a crosslinked state inside the pores of the porous support, and in some cases, polymer chains included in the inner wall of the pores, for example, adjacent ones of polyolefin chains are crosslinked By doing so,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heat resistance of the porous support can be improved.

상기 전해액 팽윤성 고분자 가교체는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표면부에 위치한 기공 뿐만 아니라 중심부에 위치한 기공에도 실질적으로 완전히 충진되어 상기 분리막의 기공률을 현저히 낮출 수 있으므로, 상기 분리막의 표면에 수직으로 인가되는 외력에 대한 저항성을 개선할 수 있다.The electrolyte swellable polymer crosslinked body is substantially completely filled in the pores of the porous support, preferably not only the pores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porous support, but also the pore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porous support to significantly lower the porosity of the separation membrane, so the separation membran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esistance to the external force applied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의 총 부피 중 90% 이상,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99% 이상이 상기 전해액 팽윤성 고분자 가교체에 의해 완전히 함침,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전해액 팽윤성 고분자 가교체의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에 대한 충진율이 90% 미만이면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일 면으로부터 타 면까지 상기 전해액 팽윤성 고분자 가교체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없고, 이 경우 상기 분리막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상기 전해액 팽윤성 고분자 가교체에 의한 전해액의 이동 경로가 차단되어 필요한 수준의 이온전도도를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90% or more, preferably, 95% or more, more preferably, 99% or more of the total volume of the pores of the porous support may be completely impregnated and filled with the electrolyte swellable polymer crosslinked product. If the filling ratio of the electrolyte swellable polymer crosslinked body to the pores of the porous support is less than 90%, the electrolyte swellable polymer crosslinked body cannot be continuously formed from one side of the porous support to the other surface. In this case, at least a portion of the separation membran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a required level of ionic conductivity because the movement path of the electrolyte is blocked by the crosslinked electrolyte swellable polymer in the region.

또한,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에 상기 전해액 팽윤성 고분자 가교체가 충진된 상태에서 상기 분리막의 기공률은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분리막의 기공률이 10% 초과이면 종래 미세 기공을 포함하는 분리막과 같이 분리막의 표면에 수직으로 인가되는 외력에 대한 저항성이 저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electrolyte swellable polymer crosslinked body is filled in the pores of the porous support, the porosity of the separator may be 10% or less, preferably 5% or less, more preferably 1% or less. When the porosity of the separator is more than 10%, resistance to external force applied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separator may be lowered like a conventional separator including micropore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액 팽윤성 고분자 가교체의 팽윤 특성 및 그에 따른 전해액 투과 원리를 도식화한 것이다.1 and 2 are schematic diagrams of the swelling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lyte swellable polymer crosslinked pro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lectrolyte permeation principle according thereto.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전해액 팽윤성 고분자 가교체는 기설정된 농도의 전해액과의 접촉 여부에 따라 팽윤(swelling) 및 탈팽윤(deswelling) 상태로 가역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해액 팽윤성 고분자 가교체가 기설정된 전해액과 접촉하면 상기 고분자 가교체 중 일부 영역, 예를 들어, 측쇄가 전하를 띨 수 있고, 그와 인접한 측쇄도 동일한 전하를 띠게 되어 인접한 측쇄 간에 반발력이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반발력은 상기 고분자 가교체를 구성하는 고분자 사슬을 상호 이격시켜 상기 고분자 가교체를 팽윤시킬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전해액 팽윤성 고분자 가교체로부터 전해액을 제거하면 상기 고분자 가교체 중 일부 영역에 부여된 전하 및 그에 따른 반발력이 소멸되어 상기 고분자 가교체가 탈팽윤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electrolyte swellable polymer crosslinked product may be reversibly converted into a swelling and deswelling state depending on whether or not it is in contact with an electrolyte having a predetermined concentration. Specifically, when the electrolytic solution swellable polymer crosslinked body comes into contact with a predetermined electrolyte solution, some regions of the polymer crosslinked body, for example, a side chain, may be charged, and the adjacent side chain also has the same charge, so that the repulsive force between the adjacent side chains is increased. can work This repulsive force may swell the polymer crosslinked body by separating the polymer chains constituting the polymer crosslinked body from each other. Conversely, when the electrolyte solution is removed from the electrolytic solution swellable polymer crosslinked body, the charge imparted to some regions of the polymer crosslinked body and the resulting repulsive force disappear, and the polymer crosslinked body may be de-swelled.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에 충진된 상기 전해액 팽윤성 고분자 가교체는 액상의 전해질, 즉, 전해액과 접촉 시 상기와 같은 팽윤-탈팽윤 거동에 따라 상기 전해액을 투과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기설정된 농도의 전해액과 접촉한 상기 전해액 팽윤성 고분자 가교체는 시간에 따라 허용된 최대 팽윤도까지 점진적으로 팽윤될 수 있고, 최대 팽윤도(s1)까지 팽윤된 후에는(t0) 정상 상태(steady state)에 도달하여 더 이상 팽윤되지 않고 팽윤된 상태에서 상기 분리막의 양 측에 존재하는 전해액에 포함된 물질, 예를 들어, 각종 이온의 농도 구배에 따라 이러한 이온이 상기 분리막을 투과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해액 팽윤성 고분자 가교체의 최대 팽윤도, 즉, 용해되지 않을 정도로 팽윤될 수 있는 임계값은 상기 전해액의 농도에 의존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전해액의 농도를 상기 전해액 팽윤성 고분자 가교체가 용해되지 않도록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다.The electrolyte swellable polymer crosslinked product filled in the pores of the porous support may permeate the electrolyte according to the swelling-deswelling behavior as described above when in contact with a liquid electrolyte, that is, the electrolyte. Referring to Figure 2, the electrolyte swellable polymer crosslinked product in contact with the electrolyte of a predetermined concentration can be gradually swollen up to the maximum degree of swelling allowed over time, and after swelling to the maximum degree of swelling (s 1 ) (t 0 ) reaches a steady state and no longer swells, and in the swollen state, the substances contained in the electrolyte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separation membrane, for example,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gradient of various ions, these ions are formed in the separation membrane. can be permeable. The maximum swelling degree of the electrolyte swellable polymer crosslinked product, that is, the critical value that can swell to the extent that it does not dissolve may depend on the concentration of the electrolyte solution, so it is necessary to appropriately adjust the concentration of the electrolyte solution so that the electrolyte solution swellable polymer crosslinked product does not dissolve there is

이와 같이, 상기 분리막은 상기 전해액 팽윤성 고분자 가교체가 상기 다공성 지지체를 기공을 충진 및 관통하여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팽윤-탈팽윤 거동에 따라 상기 전해액에 포함된 각종 이온을 투과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분리막의 이온전도도가 개선될 수 있고, 상기 분리막의 전(全) 영역에서 균일한 이온전도도를 구현할 수 있다.In this way, in the separation membrane, the electrolyte swellable polymer crosslinked body is continuously formed by filling and penetrating the pores of the porous support, so that various ions contained in the electrolyte solution can permeate according to the swelling-deswelling behavior, so the ions of the separation membrane Conductivity may be improved, and uniform ionic conductivity may be implemented in the entire region of the separation membrane.

상기 분리막의 이온전도도는 1.0*10-4S/cm 이상, 바람직하게는, 2.0*10-4S/cm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4.0*10-4S/cm 이상일 수 있고, 상기 분리막의 천공강도는 300gf 이상, 바람직하게는, 500gf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680gf 이상일 수 있다.The ionic conductivity of the separator may be 1.0*10 -4 S/cm or more, preferably, 2.0*10 -4 S/cm or more, more preferably, 4.0*10 -4 S/cm or more, and the The puncture strength may be 300 gf or more, preferably 500 gf or more, and more preferably, 680 gf or more.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평균 크기가 실질적으로 균일한 다수의 기공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기공은 상기 분리막의 저항 특성 및 이온전도도의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기공률이 높으면서도 기계적 강도가 높아 필요한 두께로 상기 분리막을 박막화할 수 있다.The porous support may include a plurality of pore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average size, and these pores may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resistance properties and ionic conductivity of the separation membrane. In addition, the separation membrane can be thinned to a required thickness due to high porosity and high mechanical strength.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률은 30~90%, 바람직하게는, 30~80%, 더 바람직하게는, 30~70%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기공률"은 임의의 다공성 물품에서 전체 부피에 대해 기공이 차지하는 부피의 비율을 의미한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률이 50% 미만이면 통기도, 이온전도도가 저하될 수 있고, 90% 초과이면 인장강도, 천공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The porosity of the porous support may be 30 to 90%, preferably, 30 to 80%, more preferably, 30 to 70%. As used herein, the term “porosity” refers to the ratio of the volume occupied by pores to the total volume in any porous article. If the porosity of the porous support is less than 50%, air permeability and ionic conductivity may be reduced, and if it exceeds 90%,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tensile strength and puncture strength may be reduced.

상기 다공성 지지체에 포함된 기공의 평균 크기는 20~100nm, 바람직하게는, 20~80nm, 더 바람직하게는, 30~60nm일 수 있다. 상기 기공의 평균 크기가 20nm 미만이면 통기도, 이온전도도가 저하될 수 있고, 100nm 초과이면 인장강도, 천공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The average size of the pores included in the porous support may be 20 ~ 100nm, preferably, 20 ~ 80nm, more preferably, 30 ~ 60nm. If the average size of the pores is less than 20 nm, air permeability and ionic conductivity may be reduced, and if it exceeds 100 nm,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tensile strength and puncture strength may be reduced.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두께는, 상기 분리막의 이온전도도, 내열성, 기계적 물성의 균형적인 개선, 상기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의 박막화 및 고에너지 밀도화의 측면에서, 5㎛ 이상, 바람직하게는, 5~20㎛, 더 바람직하게는, 8~15㎛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두께가 5㎛ 미만이면 기계적 물성, 특히, 천공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porous support is 5 μm or more, preferably, 5 μm or more, in terms of ion conductivity, heat resistanc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eparation membrane, in terms of thinning and high energy density of the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ing the separation membrane It may be ~20㎛, more preferably, 8 ~ 15㎛. If the thickness of the porous support is less than 5㎛, mechanical properties, in particular, the puncture strength may be reduced.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전기 절연성을 갖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분자 수지는 셧다운 특성을 고려하여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셧다운 특성"은 전지가 과열되어 그 온도가 높아진 경우, 고분자 수지가 녹아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을 폐쇄함으로써 이온의 이동을 차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고분자 수지 또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은 200℃ 이하일 수 있다.The porous support may include a polymer resin having electrical insulation, and the polymer resin may include a thermoplastic resin in consideration of shutdown characteristics. As used herein, the term "shutdown characteristic" means that when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is increased due to overheating, the polymer resin melts and closes the pores of the porous support to block the movement of ions. From this point of view, the melting point of the polymer resin or the thermoplastic resin may be 200° C. or less.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펜텐,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 또는 공중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을 포함할 수 있다.The thermoplastic resin may include, for exampl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pentene, ethylene vinyl acetate, ethylene butyl acrylate, ethylene ethyl acrylate, and combinations or copolymers of two or more thereof. , preferably, at least one of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and more preferably, polyethylene.

상기 폴리에틸렌은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Mw: 1,000,000~7,000,000g/mol), 고분자량 폴리에틸렌(HMWPE, Mw: 100,000~1,000,000g/mol),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Mw: 100,000~1,000,000g/mol),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Mw: 10,000~100,000g/mol), 균질 선형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The polyethylene is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UHMWPE, Mw: 1,000,000 ~ 7,000,000 g / mol),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HMWPE, Mw: 100,000 ~ 1,000,000 g / mol),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Mw: 100,000 ~ 1,000,000 g / mol), It may b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ow-density polyethylene (LDPE, Mw: 10,000 to 100,000 g/mol), homogeneous linear and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LLDPE), and combinations of two or more thereof.

예를 들어, 상기 폴리에틸렌은 중량평균분자량(Mw)이 250,000~450,000인 고밀도 폴리에틸렌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의 중량평균분자량이 450,000 초과이면 점도가 높아져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고, 250,000 미만이면 점도가 과도하게 낮아져 다공성 지지체를 제조할 때 사용되는 기공형성제, 산화방지제 등과의 분산성이 극도로 저하되며, 경우에 따라, 상분리 또는 층분리가 발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olyethylene may be a high-density polyethylene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 w ) of 250,000 to 450,000. If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ethylene is more than 450,000, the viscosity may increase and processability may be deteriorated. If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ethylene is less than 250,000, the viscosity is excessively low and the dispersibility with pore formers and antioxidants used to prepare the porous support is extremely low. and, in some cases, phase separation or layer separation may occur.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폴리에틸렌 중 적어도 일부가 가교성 화합물에 의해 가교된 구조를 가지는, 이른바 가교 다공성 지지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교 다공성 지지체는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연속상 매트릭스 및 상기 연속상 매트릭스 중에서 가교되어 상기 연속상 매트릭스를 지지하는 실란 변성 폴리에틸렌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rous support may be a so-called crosslinked porous support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polyethylene is crosslinked by a crosslinkable compound. For example, the crosslinked porous support may include a continuous phase matrix including polyethylene and a silane-modified polyethylene crosslinked in the continuous phase matrix to support the continuous phase matrix.

상기 실란 변성 폴리에틸렌은 폴리에틸렌 사슬 중에 알콕시비닐실란이 그라프트된 것을 의미할 수 있고, 상기 폴리에틸렌 사슬 중에 그라프트된 알콕시비닐실란은 기설정된 조건에서 수분에 의해 반응하여 상기 폴리에틸렌 사슬을 상호 가교시킬 수 있다.The silane-modified polyethylene may mean that alkoxyvinylsilane is grafted in a polyethylene chain, and the alkoxyvinylsilane grafted in the polyethylene chain may react with moisture under a predetermined condition to cross-link the polyethylene chain. .

상기 가교 다공성 지지체는 미가교 다공성 지지체에 비해 멜트다운온도가 높으므로 상기 분리막의 내열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으나, 가교에 의해 상기 분리막의 인장물성이 열화될 수 있으므로 상기 분리막 중 상기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의 함량을 0.1~50중량%, 바람직하게는, 0.1~30중량%로 조절할 수 있다.Since the crosslinked porous support has a higher meltdown temperature than the uncrosslinked porous support, the heat resistance of the separator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but tensile properties of the separator may be deteriorated by crosslinking, so the content of the silane-modified polyolefin in the separator may be adjusted to 0.1 to 50% by weight, preferably 0.1 to 30% by weight.

상기 전해액 팽윤성 고분자 가교체는 개시제에 의해 활성화된 다관능성 모노머의 가교 반응에 의해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개시제는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에 라디칼을 부여하고, 상기 라디칼에 의한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 간의 가교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electrolyte swellable polymer crosslinked product may be produced by a crosslinking reaction of a polyfunctional monomer activated by an initiator. The type of the initia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initiator is capable of imparting a radical to the polyfunctional monomer and inducing a crosslinking reaction between the polyfunctional monomers by the radical.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는, 개시제의 존재하에서 열, 광,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에너지에 의해 활성화 및 가교될 수 있는 것이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는 분자 당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2~6개의 작용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의 분자 당 작용기의 수가 2개 미만이면 가교가 지연될 수 있고, 6개 초과이면 가교를 제어하기 어렵다.The type of the polyfunctional mono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be activated and crosslinked by energy such as heat, light, or a combination thereof in the presence of an initiator. The polyfunctional monomer may have 2 or more, preferably 2 to 6 functional groups per molecule. If the number of functional groups per molecule of the polyfunctional monomer is less than two, crosslinking may be delayed, and if more than six, it is difficult to control crosslinking.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는, 예를 들어, 트리메틸올프로판에톡시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ethocylate triacrylate), 아크릴산(acrylic acid), 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carboxyethyl acrylate), 폴리아크릴산(poly acrylic acid),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알지네이트(alginat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아가로즈(agarose),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트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triethylene glycol diacrylate), 트리메틸올프로판에톡시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ethocylate triacrylate), 비스페놀에이에톡시레이트 디메타아크릴레이트(bisphenol-A ethocylate dimethaacrylate), 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carboxyethyl acrylate), 메틸 시아노아크릴레이트(methyl cyanoacrylate), 에틸 시아노아크릴레이트(ethyl cyanoacrylate), 에틸 시아노 에톡시아크릴레이트(ethyl cyano ethoxyacrylate), 시아노 아크릴산(cyano acrylic acid),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hydroxyethyl metacrylate), 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hydroxypropyl acrylate), 이들의 유도체,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olyfunctional monomer is, for example, trimethylolpropane-ethoxylate triacrylate, acrylic acid (acrylic acid), carboxyethyl acrylate (carboxyethyl acrylate), polyacrylic acid (poly acrylic acid), carboxy Methyl cellulose, alginate, polyvinyl alcohol, agarose,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triethylene glycol diacrylate, trimethyl Allpropane ethoxylate triacrylate, bisphenol-A ethoxylate dimethaacrylate, carboxyethyl acrylate, methyl cyanoacrylate , ethyl cyanoacrylate, ethyl cyano ethoxyacrylate, cyano acrylic acid, hydroxyethyl methacrylate, hydroxypropyl acrylate ( hydroxypropyl acrylate), derivatives thereof, and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무기 필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는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률이 증가함에 따라 열화되는 기계적 물성을 보완, 개선할 수 있다.The porous support may further include an inorganic filler. The inorganic filler may supplement or improve mechanical properties deteriorated as the porosity of the porous support increases.

상기 무기 필러는, 예를 들어, 실리카(SiO2), TiO2, Al2O3, 제올라이트(Zeolite), AlOOH, BaTiO2, 탈크(Talk), Al(OH)3, CaCO3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1,000nm의 평균 입도를 가지는 구형의 나노입자, 더 바람직하게는, 그 표면이 소수화 또는 친수화 처리된 나노입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카(SiO2)는 그 표면에 소수성인 직쇄 탄화수소(linear hydrocarbon) 분자로 이루어진 탄화수소층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실리카 자체는 친수성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소수성인 폴리에틸렌과 상용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직쇄 탄화수소 분자,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이 코팅된 구형 실리카 나노입자가 적합하다.The inorganic filler is, for example, silica (SiO 2 ), TiO 2 , Al 2 O 3 , zeolite, AlOOH, BaTiO 2 , talc (Talk), Al(OH) 3 , CaCO 3 and 2 of these It may b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above combinations, preferably, spherical nano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of 10 to 1,000 nm, more preferably, nanoparticles whose surface is hydrophobized or hydrophilized. For example, silica (SiO 2 ) may have a hydrocarbon layer formed of hydrophobic linear hydrocarbon molecules on its surface. Since silica itself has hydrophilic properties, in order to improve compatibility with hydrophobic polyethylene, spherical silica nanoparticles coated with linear hydrocarbon molecules, for example, (poly)ethylene, are suitable.

상기 다공성 지지체 중 상기 무기 필러의 함량 10~70중량%, 바람직하게는, 10~60중량%일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이면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계적 강도, 내산성, 내화학성, 난연성이 저하될 수 있고, 70중량% 초과이면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유연성,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inorganic filler in the porous support may be 10 to 70% by weight, preferably, 10 to 60% by weight. If the content of the inorganic filler is less than 10% by weight, mechanical strength, acid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and flame retardancy of the porous support may be reduced, and if it is more than 70% by weight, flexibility and workability of the porous support may be reduced.

상기 분리막은 하기 (i) 내지 (iii)의 조건 중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i) 내지 (iii)의 조건을 모두 만족할 수 있다. (i) 멜트다운온도 200℃ 이상, 바람직하게는, 21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210~350℃; (ii) 150℃에서 세로방향 열수축률 60%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iii) 막 저항 150mΩ 이하, 바람직하게는, 120mΩ 이하.The separation membrane may satisfy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conditions (i) to (iii), preferably, all of the conditions (i) to (iii). (i) a meltdown temperature of 200°C or higher, preferably, 210°C or higher, more preferably, 210 to 350°C; (ii) 60% or less of longitudinal heat shrinkage at 150°C, preferably 50% or less; (iii) Film resistance 150 mΩ or less, preferably 120 mΩ or les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막의 제조방법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분리막의 제조방법은, (a) 제1 이형 필름(11)의 일 면에 다관능성 모노머, 개시제 및 끓는점이 150℃ 이하인 용매를 포함하는 모노머 용액을 도포하여 제1 층(21)을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제1 층 상(21)에 다공성 지지체(30)를 적층하는 단계; (c) 상기 다공성 지지체(30) 상에 상기 모노머 용액을 도포하여 제2 층(22)을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제2 층(22) 상에 제2 이형 필름(12)을 적층한 다음, 상기 제1 및 제2 이형 필름(11, 12)이 상기 다공성 지지체(30)와 접촉하도록 가압하여 상기 제1 및 제2 층(21, 22)을 상기 다공성 지지체(30)의 기공(31) 내부로 침투시키고 일체화시키는 단계; (e) 일체화된 상기 제1 및 제2 층(21, 22)에 에너지를 인가하여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를 가교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제1 및 제2 이형 필름(11, 12)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eparato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a monomer comprising a polyfunctional monomer, an initiator, and a solvent having a boiling point of 150° C. or less on one surface of the first release film 11 applying the solution to create a first layer (21); (b) laminating a porous support 30 on the first layer 21; (c) forming a second layer 22 by applying the monomer solution on the porous support 30; (d) laminating a second release film 12 on the second layer 22 and then pressing the first and second release films 11 and 12 to contact the porous support 30 to Infiltrating and integrating the first and second layers (21, 22) into the pores (31) of the porous support (30); (e) applying energy to the integrated first and second layers (21, 22) to crosslink the polyfunctional monomer; and (f) removing the first and second release films 11 and 12 .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제1 이형 필름(11)의 일 면에 다관능성 모노머, 개시제 및 끓는점이 150℃ 이하인 용매를 포함하는 모노머 용액을 도포하여 제1 층(21)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형 필름(11)은 상기 (e) 단계에서 인가되는 에너지가 투과될 수 있는 수지제 필름일 수 있고, 상기 (f) 단계에서 용이하게 박리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층(21)과 대향하는 표면이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으로 처리된 것일 수 있다.In step (a), a monomer solution containing a polyfunctional monomer, an initiator, and a solvent having a boiling point of 150° C. or less is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release film 11 to produce the first layer 21. . The first release film 11 may be a resin film through which the energy applied in step (e) can be transmitted, and the first layer 21 and The opposing surface may be physically and/or chemically treated.

상기 용매는 끓는점이 15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0~100℃인 용매일 수 있다. 이러한 용매는, 예를 들어, 물, 알코올, 에톡시에탄올, 메톡시에탄올, 락톤, 아세토니트릴,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메틸포름알데히드, 사이클로헥산, n-메틸-2-피롤리돈(NMP), 포름산, 니트로메탄, 아세트산, 디메틸술폭시드, 물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olvent may be a solvent having a boiling point of 150° C. or less, preferably 100° C. or less, and more preferably, 30-100° C. Such solvents are, for example, water, alcohols, ethoxyethanol, methoxyethanol, lactone, acetonitrile, acetone, methylethylketone, tetrahydrofuran, dimethylformaldehyde, cyclohexane, n-methyl-2-pyrroly. Don (NMP), formic acid, nitromethane, acetic acid, dimethyl sulfoxide, water, and may b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용매는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에 충진된 상기 모노머 용액 중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를 가교시킨 이후에 100℃ 이하의 온도에서 쉽게 제거될 수 있어, 상기 분리막 중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 내부에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의 가교에 의해 형성된 상기 전해액 팽윤성 고분자 가교체가 도입될 수 있다.The solvent can be easily removed at a temperature of 100° C. or less after crosslinking the polyfunctional monomer in the monomer solution filled in the pores of the porous support, and the polyfunctional monomer inside the pores of the porous support in the separation membrane The electrolytic solution swellable polymer crosslinked product formed by crosslinking may be introduced.

상기 용매의 끓는점이 150℃ 초과이면 이를 제거하는데 과량의 에너지가 소모될 수 있고, 이를 회피하기 위해 건조 온도를 하강시키는 경우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 내부에 전도성을 가지지 않는 용매가 잔류하게 되어 분리막의 이온전도도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 내부에 잔류하는 용매는 상기 기공의 내벽과 상기 전해액 팽윤성 고분자 가교체 간 결합력을 저하시켜 상기 분리막의 천공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If the boiling point of the solvent is greater than 150° C., excess energy may be consumed to remove it, and when the drying temperature is lowered to avoid this, a solvent having no conductivity inside the pores of the porous support remains, so that the ions of the separator Conductivity may be reduced. In addition, the solvent remaining inside the pores of the porous support may lower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pores and the electrolyte swellable polymer crosslinked body, thereby reducing the puncture strength of the separator.

또한, 상기 제1 이형 필름(11)은, 상기 (e) 단계에서 인가되는 상기 에너지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물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너지가 광, 바람직하게는, UV인 경우 이러한 UV를 투과시킬 수 있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에너지가 열인 경우 이러한 열을 충분히 전도할 수 있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에너지가 광 및 열의 조합인 경우 광을 투과시킴과 동시에 열을 전도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release film 11 may have various physical properties according to the type of energy applied in step (e). For example, when the energy is light, preferably UV, it may transmit such UV, and when the energy is heat, it may be capable of sufficiently conducting such heat, and the energy is light and heat. In the case of a combination, it may be one that transmits light and conducts heat at the same time.

상기 모노머 용액 중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의 함량은 10~30중량%일 수 있다. 상기 모노머 용액 중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이면 기공에 충진된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가 충분히 가교되지 않거나, 가교되더라도 기공 내부에 생성된 상기 전해액 팽윤성 고분자 가교체의 양이 극히 미량이므로 상기 분리막의 천공강도 및 내열성이 저하될 수 있고 이온전도도가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노머 용액 중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의 함량이 30중량% 초과이면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에 충진된 상기 전해액 팽윤성 고분자 가교체의 가교 밀도가 과도하게 높아져 팽윤-탈팽윤 거동이 저해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분리막의 이온전도도가 저하될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polyfunctional monomer in the monomer solution may be 10 to 30% by weight. If the content of the polyfunctional monomer in the monomer solution is less than 10% by weight, the polyfunctional monomer filled in the pores is not sufficiently crosslinked, or even if crosslinked, the amount of the electrolyte swellable polymer crosslinked product generated inside the pores is very small. The puncture strength and heat resistance of the separator may be lowered, and the ionic conductivity may be significantly lowered. In addition, if the content of the polyfunctional monomer in the monomer solution is more than 30% by weight, the crosslinking density of the electrolyte swellable polymer crosslinked product filled in the pores of the porous support is excessively increased, so that swelling-de-swelling behavior may be inhibited, Accordingly, the ionic conductivity of the separation membrane may be reduced.

상기 모노머 용액은 다관능성 모노머, 개시제 및 끓는점이 150℃ 이하인 용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 개시제 및 용매의 작용효과, 비율, 종류 등에 대해서는 전술한 것과 같다.The monomer solution may include a polyfunctional monomer, an initiator, and a solvent having a boiling point of 150° C. or less, and the functional effects, ratios, types, etc. of the polyfunctional monomer, initiator and solvent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1 층(21) 상에 다공성 지지체(30)를 적층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30)는 상기 제1 층(21)이 건조 및/또는 겔화되지 않은 상태, 즉, 일정 수준의 유동성, 흐름성을 가지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층(21)의 상부에 적층되고, 이 때, 상기 제1 층(21) 중 일부는 모세관 효과에 의해 상기 다공성 지지체(30)와 접촉 시 접촉면에 위치한 기공(31)의 내부로 일정 깊이로 침투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30)의 작용효과, 소재, 성질, 규격 등에 대해서는 전술한 것과 같다.In step (b), the porous support 30 may be laminated on the first layer 21 . The porous support 30 is laminated on top of the first layer 21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layer 21 is not dried and/or gelled, that is, in a state having a certain level of fluidity and flowability, At this time, a portion of the first layer 21 may penetrate to a predetermined depth into the pores 31 located on the contact surface when in contact with the porous support 30 due to the capillary effect. The operational effects, materials, properties, specifications, etc. of the porous support 30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30) 상에 상기 모노머 용액을 도포하여 제2 층(22)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층(22)을 생성하기 위한 상기 모노머 용액은 상기 제1 층(21)의 형성 시 사용된 것과 동일한 것일 수 있으며, 그 성분, 작용효과, 비율, 종류 등에 대해서는 전술한 것과 같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30) 상에 도포된 상기 제2 층(22) 또한 건조 및/또는 겔화되지 않은 상태, 즉, 일정 수준의 유동성, 흐름성을 가지므로, 상기 제2 층(22) 중 일부는 모세관 효과에 의해 상기 다공성 지지체(30)와 접촉 시 접촉면에 위치한 기공(31)의 내부로 일정 깊이로 침투할 수 있다.In step (c), the second layer 22 may be formed by applying the monomer solution on the porous support 30 . The monomer solution for forming the second layer 22 may be the same as that used for forming the first layer 21, and its components, effects, ratios, types, etc.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Since the second layer 22 applied on the porous support 30 also has a non-dried and/or gelled state, that is, a certain level of fluidity and flowability, some of the second layer 22 is When in contact with the porous support 30 due to the capillary effect, it can penetrate to a predetermined depth into the pores 31 located on the contact surface.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제2 층(22) 상에 제2 이형 필름(12)을 적층한 다음, 상기 제1 및 제2 이형 필름(11, 12)이 상기 다공성 지지체(30)와 접촉하도록 가압하여 상기 제1 및 제2 층(21, 22)을 상기 다공성 지지체(30)의 기공(31) 내부로 침투시키고 일체화시킬 수 있다.In step (d), a second release film 12 is laminated on the second layer 22 , and then the first and second release films 11 and 12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orous support 30 . The first and second layers 21 and 22 may be penetrated into the pores 31 of the porous support 30 and integrated therein.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a) 내지 (c) 단계에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30)의 양 면에 도포된 상기 제1 및 제2 층(21, 22)은 모세관 효과에 의해 상기 다공성 지지체(30)의 양 표면에 위치한 기공(31)으로 일정 깊이로 침투할 수 있는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모세관 효과만으로는 상기 제1 및 제2 층(21, 22)이 상기 다공성 지지체(30)의 내부, 바람직하게는, 중심부에 위치한 기공까지 침투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first and second layers 21 and 22 applied to both sides of the porous support 30 in steps (a) to (c) are formed by the capillary effect of the porous support 30 ) can only penetrate to a certain depth into the pores 31 located on both surfaces of the surface, and the first and second layers 21 and 22 are the inside of the porous support 30 only by this capillary effect, preferably ,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not penetrate to the pores located in the center.

즉, 모세관 효과에 의한 침투만으로는 상기 제1 및 제2 층(21, 22)이 상기 다공성 지지체(30)의 일 면으로부터 타 면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없고, 이 경우 상기 분리막 중 적어도 일부, 구체적으로 중심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층(21, 22)에 의한 전도성 경로가 차단되어 필요한 수준의 이온전도도를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That is, the first and second layers 21 and 22 cannot be continuously formed from one surface to the other surface of the porous support 30 only by penetration by the capillary effect, and in this case, at least a portion of the separation membrane, specifically As a result, the conductive path by the first and second layers 21 and 22 is blocked at the center,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a required level of ionic conductivity.

따라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제1 및 제2 이형 필름(11, 12)을 상기 다공성 지지체(30)의 중심부를 향해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층(21, 22)이 상기 다공성 지지체(30)의 중심부에 위치한 기공(31)까지 완전히 침투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층(21, 22)은 상기 다공성 지지체(30)의 중심부에 위치한 기공(31)에서 상호 접촉하여 일체화될 수 있다.Therefore, by pressing the first and second release films 11 and 12 toward the center of the porous support 30 in step (d), the first and second layers 21 and 22 are the porous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penetrate up to the pores 31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30 , and the first and second layers 21 and 2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pores 31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porous support 30 . can be integrated.

이러한 가압은 상기 제1 및 제2 이형 필름(11, 12)이 각각 상기 다공성 지지체(30)의 양 면과 접촉할 때까지 이루어질 수 있다.This pressurization may be made until the first and second release films 11 and 12 come into contact with both surfaces of the porous support 30, respectively.

상기 가압이 상기 제1 및 제2 이형 필름(11, 12)이 각각 상기 다공성 지지체(30)의 양 면과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종료되는 경우, 즉, 상기 제1 및 제2 이형 필름(11, 12)과 상기 다공성 지지체(30)의 양 면 간에 일정 량의 제1 및 제2 층(21, 22)이 잔류하는 경우, 후속되는 (e) 및 (f) 단계에 의해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양 면에도 일정 두께로 상기 전해액 팽윤성 고분자 가교체를 포함하는 층이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pressing is terminat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release films 11 and 12 are not in contact with both surfaces of the porous support 30, respectively,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release films 11, When a certain amount of the first and second layers 21 and 22 remain between 12) and both sides of the porous support 30, both sides of the porous support 30 by subsequent steps (e) and (f). Also, a layer including the electrolyte swellable polymer crosslinked product may be form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이러한 층 또한 전해액과 접촉 시 팽윤-탈팽윤 거동을 나타낼 수 있고, 그 단면적이 상기 다공성 지지체(30)의 기공(31)의 단면적에 비해 크기 때문에 상기 층과 상기 기공의 계면에 상기 분리막을 투과하려는 물질, 예를 들어, 이온이 집중, 과밀화되는, 이른바, "병목 현상"에 의해 상기 분리막을 통한 이온의 이동이 저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제1 및 제2 이형 필름(11, 12)이 상기 다공성 지지체(30)와 접촉하도록 가압함으로써, 상기 다공성 지지체(30)의 양 면에 이러한 층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uch a layer may also exhibit swelling-deswelling behavior when in contact with the electrolyte, and since its cross-sectional area is large compared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ores 31 of the porous support 30, trying to penetrate the separation membrane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layer and the pores The movement of ions through the separation membrane may be inhibited by a substance, for example, a so-called “bottleneck” in which ions are concentrated and overcrowded. Therefore, by pressing the first and second release films 11 and 12 to contact the porous support 30 in step (d), these layers are generated on both sides of the porous support 30 can be prevented

상기 제2 이형 필름(12) 또한 상기 (e) 단계에서 인가되는 에너지가 투과될 수 있는 수지제 필름일 수 있고, 상기 (f) 단계에서 용이하게 박리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층(22)과 대향하는 표면이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으로 처리된 것일 수 있다.The second release film 12 may also be a resin film through which the energy applied in step (e) can be transmitted, and the second layer 22 and The opposing surface may be physically and/or chemically treated.

또한, 상기 제2 이형 필름(12)은, 상기 (e) 단계에서 인가되는 상기 에너지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물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너지가 광, 바람직하게는, UV인 경우 이러한 UV를 투과시킬 수 있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에너지가 열인 경우 이러한 열을 충분히 전도할 수 있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에너지가 광 및 열의 조합인 경우 광을 투과시킴과 동시에 열을 전도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release film 12 may have various physical properties depending on the type of energy applied in step (e). For example, when the energy is light, preferably UV, it may be one capable of transmitting such UV, and when the energy is heat, it may be one capable of sufficiently conducting such heat, and the energy is light and heat. In the case of a combination, it may be one that transmits light and conducts heat at the same time.

상기 (e) 단계에서, 일체화된 상기 제1 및 제2 층(21, 22)에 에너지를 인가하여 상기 다공성 지지체(30)의 기공(310)에 충진된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를 가교시킴으로써 상기 전해액 팽윤성 고분자 가교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는 열, 광, 전자선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열 또는 광, 더 바람직하게는, UV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e) 단계를 통해 상기 모노머 용액에 포함된 다관능성 모노머를 가교시켜 일체화된 상기 제1 및 제2 층(21, 22)을 겔화(경화)시킬 수 있다.In step (e), by applying energy to the integrated first and second layers 21 and 22 to crosslink the polyfunctional monomer filled in the pores 310 of the porous support 30, the electrolyte swellability A polymer crosslinked body can be formed. The energy may b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eat, light, electron beam, and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preferably, heat or light, more preferably, UV,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rough the step (e), the polyfunctional monomer included in the monomer solution may be cross-linked to gel (harden) the integrated first and second layers 21 and 22.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제1 및 제2 이형 필름(11, 12)을 제거하여 상기 다공성 지지체(30); 및 상기 다공성 지지체(30)의 기공(30)에 충진된 전해액 팽윤성 고분자 가교체(20)를 포함하는 분리막을 얻을 수 있다.In the step (f), the porous support 30 by removing the first and second release films 11 and 12; and an electrolyte-swellable polymer crosslinked body 20 filled in the pores 30 of the porous support 30 can be obtained.

이 때, 상기 제1 및 제2 이형 필름(11, 12)이 박리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층(21, 22)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상기 이형 필름이 박리될 때, 상기 이형 필름과 접촉하고 있던 상기 제1 및/또는 제2 층 중 일부까지 함께 박리되는 경우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에 충진된 전해액 팽윤성 고분자 가교체에 의한 작용효과를 적절히 구현할 수 없기 때문이다.At this time, it is necessary to minimize damage to th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layers 21 and 22 as the first and second release films 11 and 12 are peeled off. When the release film is peeled off, when some of the first and/or second layers that have been in contact with the release film are peeled off together, the effect of the crosslinked electrolyte swellable polymer filled in the pores of the porous support is appropriately evaluated. Because it cannot be implemented.

이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층(21, 22)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상기 제1 및 제2 이형 필름(11, 12)만 선택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및 제2 이형 필름(11, 12)으로 두께가 상이한 것을 사용하되, 상기 (f) 단계에서 이 중 두께가 얇은 이형 필름을 먼저 제거한 다음, 두꺼운 이형 필름을 나중에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이형 필름(11, 12)의 두께는 각각 1~100㎛, 바람직하게는, 10~10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such, in order to selectively remove only the first and second release films 11 and 12 without damaging th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layers 21 and 22, the first and second release films 11 , 12), but with different thicknesses, it is preferable to first remove the thin release film among them in step (f), and then remove the thick release film later.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lease films 11 and 12 may have a thickness of 1 to 100 μm, preferably, 10 to 100 μm,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이형 필름(11)의 두께는 25~100㎛일 수 있고, 상기 제2 이형 필름(12)의 두께는 1~24㎛일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제2 이형 필름(12)을 제거한 다음 상기 제1 이형 필름(11)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층(21, 22)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필요한 수준의 평활도를 확보할 수 있다.Within the above range, the thickness of the first release film 11 may be 25 to 100 μm,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release film 12 may be 1 to 24 μm, and in this case, step (f) By removing the first release film 11 after removing the second release film 12 from the hav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실시예 1Example 1

(1) 모노머 용액의 제조(1) Preparation of monomer solution

에탄올 90g,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디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400 Diacrylate, PEG(400)DA) 10g, 트리메틸벤조일 페닐포스피네이트(Trimethylbenzoyl Phenylphosphinate, TPO) 1g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모노머 용액을 제조하였다.A monomer solution was prepared by uniformly mixing 90 g of ethanol, 10 g of polyethylene glycol 400 diacrylate (PEG(400) DA), and 1 g of trimethylbenzoyl phenylphosphinate (TPO).

(2) 분리막의 제조(2) Preparation of separation membrane

두께가 50㎛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이형 필름의 일 면에 상기 모노머 용액을 도포한 다음, 폴리에틸렌 다공막(통기도: 150초/100ml, 두께: 14㎛, 기공률: 45부피%)을 적층하였다. 상기 폴리에틸렌 다공막 상에 상기 모노머 용액을 도포한 다음, 두께가 23㎛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이형 필름을 적층하였고, 상기 이형 필름과 상기 폴리에틸렌 다공막을 롤 압착하여 상기 이형 필름을 상기 폴리에틸렌 다공막의 양 면과 접촉시키되, 상기 이형 필름 사이에 개재된 상기 폴리에틸렌 다공막이 상기 모노머 용액에 완전히 함침된 구조체를 얻었다.The monomer solution was applied to one side of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release film having a thickness of 50 μm, and then a polyethylene porous membrane (permeability: 150 sec/100 ml, thickness: 14 μm, porosity: 45 vol%) was laminated. . After applying the monomer solution on the polyethylene porous film,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release film having a thickness of 23 μm was laminated, and the release film and the polyethylene porous film were roll-pressed to form the release film with the polyethylene porous film. A structure in which the polyethylene porous membrane interposed between the release films was completely impregnated in the monomer solution was obtained.

상기 구조체의 양 면에 100W UV를 5초 간 조사하여 상기 폴리에틸렌 다공막의 기공에 함침되고, 그 표면에 도포된 상기 모노머 용액을 경화시킨 다음, 상기 구조체의 양 면에 합지된 두께가 23㎛인 이형 필름과 두께가 50㎛인 이형 필름을 순차적으로 제거하여 전구 필름(precursor film)을 얻었다. 상기 전구 필름을 90℃로 예열된 오븐에 방치하여 상기 전구 필름에 잔류하는 에탄올을 제거하여 분리막을 제조하였다.100W UV is irradiated to both sides of the structure for 5 seconds to impregnate the pores of the polyethylene porous membrane, and to cure the monomer solution applied to the surface, and then laminated on both sides of the structure to have a thickness of 23 μm The release film and the release film having a thickness of 50 μm were sequentially removed to obtain a precursor film. The precursor film was left in an oven preheated to 90° C. to remove ethanol remaining in the precursor film to prepare a separator.

실시예 2Example 2

(1) 모노머 용액의 제조(1) Preparation of monomer solution

에탄올 80g,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디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400 Diacrylate, PEG(400)DA) 20g, 트리메틸벤조일 페닐포스피네이트(Trimethylbenzoyl Phenylphosphinate, TPO) 1g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모노머 용액을 제조하였다.Ethanol 80g, polyethylene glycol 400 diacrylate (Polyethylene Glycol 400 Diacrylate, PEG(400)DA) 20g, trimethylbenzoyl phenylphosphinate (Trimethylbenzoyl Phenylphosphinate, TPO) 1g was uniformly mixed to prepare a monomer solution.

(2) 분리막의 제조(2) Preparation of separation membrane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막을 제조하였다.A separation membran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실시예 3Example 3

(1) 모노머 용액의 제조(1) Preparation of monomer solution

상기 실시예 2외 동일한 방법으로 모노머 용액을 제조하였다.A monomer solu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above.

(2) 분리막의 제조(2) Preparation of separation membrane

폴리에틸렌 다공막(통기도: 150초/100ml, 두께: 14㎛, 기공률: 45부피%) 대신 폴리에틸렌 다공막(통기도: 100초/100ml, 두께: 5.5㎛, 기공률: 32부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막을 제조하였다.Except for using a polyethylene porous membrane (permeability: 100 sec/100ml, thickness: 5.5㎛, porosity: 32 vol%) instead of a polyethylene porous membrane (permeability: 150 sec/100ml, thickness: 14㎛, porosity: 45 vol%) A separation membran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실시예 4Example 4

(1) 모노머 용액의 제조(1) Preparation of monomer solution

에탄올 70g,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디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400 Diacrylate, PEG(400)DA) 30g, 트리메틸벤조일 페닐포스피네이트(Trimethylbenzoyl Phenylphosphinate, TPO) 1g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모노머 용액을 제조하였다.Ethanol 70g, polyethylene glycol 400 diacrylate (Polyethylene Glycol 400 Diacrylate, PEG(400)DA) 30g, trimethylbenzoyl phenylphosphinate (Trimethylbenzoyl Phenylphosphinate, TPO) 1g was uniformly mixed to prepare a monomer solution.

(2) 분리막의 제조(2) Preparation of separation membrane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막을 제조하였다.A separation membran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실시예 5Example 5

(1) 모노머 용액의 제조(1) Preparation of monomer solution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모노머 용액을 제조하였다.A monomer solu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2) 분리막의 제조(2) Preparation of separation membrane

중량평균분자량(Mw)이 350,000, 분자량분포(Mw/Mn)가 5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29.5중량부, 실란 변성 고밀도 폴리에틸렌 0.5중량부, 및 40℃에서의 동점도가 70cSt인 파라핀오일 70중량부를 혼합하여 2축 압출기(내경 58mm, L/D=56, Twin screw extruder)에 투입하였다. 가교 촉매인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를 상기 파라핀오일 중 일부에 사전 분산시키고, 상기 2축 압출기를 통과하는 물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중량%가 되도록 상기 2축 압출기의 사이드인젝터를 통해 투입하였다. 200℃, 스크류 회전속도 40rpm의 조건으로 상기 2축 압출기에서 폭이 300mm인 T다이로 토출시킨 후 온도가 40℃인 캐스팅 롤을 통과시켜 두께가 800μm인 베이스 시트를 제조하였다.29.5 parts by weight of high-density polyethylene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 w ) of 350,000,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M w /M n ) of 5, 0.5 parts by weight of silane-modified high-density polyethylene, and 70 parts by weight of paraffin oil having a kinematic viscosity of 70 cSt at 40°C The mixture was mixed and put into a twin screw extruder (inner diameter 58mm, L/D=56, twin screw extruder). Dibutyltin dilaurate, a crosslinking catalyst, was pre-dispersed in a part of the paraffin oil, and added through the side injector of the twin-screw extruder so as to be 0.5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material passing through the twin-screw extruder. After discharging from the twin-screw extruder to a T-die having a width of 300 mm under the conditions of 200° C. and a screw rotation speed of 40 rpm, a base sheet having a thickness of 800 μm was prepared by passing it through a casting roll having a temperature of 40° C.

상기 베이스 시트를 110℃인 롤 연신기에서 세로방향(MD) 6배 연신하고, 125℃인 텐터 연신기에서 가로방향(TD)으로 7배 연신하여 연신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연신 필름을 25℃인 디클로로메탄 침출조에 함침하여 1분간 파라핀오일을 추출, 제거하였다. 파라핀오일이 제거된 필름을 5분간 50℃의 조건에서 건조하였다.A stretched film was prepared by stretching the base sheet 6 tim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in a roll stretching machine at 110° C., and stretching 7 tim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D) in a tenter stretching machine at 125° C. The stretched film was impregnated in a dichloromethane leaching tank at 25° C. to extract and remove paraffin oil for 1 minute. The film from which the paraffin oil was removed was dried at 50° C. for 5 minutes.

이 후, 텐터 연신기에서 125℃로 가열한 후, 가로방향(TD)으로 1.45배 연신 후 이완시켜 연신 전 대비 1.25배가 되도록 열고정시켰다. 상기 필름을 85℃, 습도 85%인 항온항습조에서 72시간 동안 가교시켜 가교 폴리에틸렌 다공막(통기도: 129초/100ml, 두께: 9.6㎛, 기공률: 52부피%, 멜트다운온도: 210℃)을 제조하였다.Thereafter, after heating to 125° C. in a tenter stretching machine, it was stretched 1.45 tim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D) and then relaxed and heat-set so as to be 1.25 times compared to before stretching. The film was cross-linked in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bath at 85 ° C. and humidity of 85% for 72 hours to form a cross-linked polyethylene porous membrane (permeability: 129 sec/100 ml, thickness: 9.6 μm, porosity: 52 vol%, meltdown temperature: 210 ° C). prepared.

상기 폴리에틸렌 다공막(통기도: 150초/100ml, 두께: 14㎛, 기공률: 45부피%) 대신 가교 폴리에틸렌 다공막(통기도: 129초/100ml, 두께: 9.6㎛, 기공률: 52부피%, 멜트다운온도: 210℃)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막을 제조하였다.The polyethylene porous membrane (permeability: 150 sec/100ml, thickness: 14㎛, porosity: 45 vol%) instead of a cross-linked polyethylene porous membrane (permeability: 129 sec/100ml, thickness: 9.6㎛, porosity: 52 vol%, meltdown temperature : 210° C.), a separation membran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it was used.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1) 모노머 용액의 제조(1) Preparation of monomer solution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모노머 용액을 제조하였다.A monomer solu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2) 분리막의 제조(2) Preparation of separation membrane

폴리에틸렌 다공막(통기도: 150초/100ml, 두께: 14㎛, 기공률: 45부피%)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면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막을 제조하였다.A separator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 polyethylene porous membrane (permeability: 150 sec/100ml, thickness: 14 μm, porosity: 45 vol%) was not used.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상기 실시예 1 등에서 사용한 폴리에틸렌 다공막(통기도: 150초/100ml, 두께: 14㎛, 기공률: 45부피%)을 분리막으로 적용하였다.The polyethylene porous membrane used in Example 1 and the like (permeability: 150 sec/100ml, thickness: 14㎛, porosity: 45% by volume) was applied as a separator.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1) 모노머 용액의 제조(1) Preparation of monomer solution

에탄올 92g,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디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400 Diacrylate, PEG(400)DA) 8g, 트리메틸벤조일 페닐포스피네이트(Trimethylbenzoyl Phenylphosphinate, TPO) 1g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모노머 용액을 제조하였다.Ethanol 92g, polyethylene glycol 400 diacrylate (Polyethylene Glycol 400 Diacrylate, PEG(400)DA) 8g, trimethylbenzoyl phenylphosphinate (Trimethylbenzoyl Phenylphosphinate, TPO) 1g was uniformly mixed to prepare a monomer solution.

(2) 분리막의 제조(2) Preparation of separation membrane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막을 제조하였다.A separation membran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1) 모노머 용액의 제조(1) Preparation of monomer solution

에탄올 68g,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디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400 Diacrylate, PEG(400)DA) 32g, 트리메틸벤조일 페닐포스피네이트(Trimethylbenzoyl Phenylphosphinate, TPO) 1g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모노머 용액을 제조하였다.Ethanol 68g, polyethylene glycol 400 diacrylate (Polyethylene Glycol 400 Diacrylate, PEG(400)DA) 32g, trimethylbenzoyl phenylphosphinate (Trimethylbenzoyl Phenylphosphinate, TPO) 1g was uniformly mixed to prepare a monomer solution.

(2) 분리막의 제조(2) Preparation of separation membrane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막을 제조하였다.A separation membran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실험예 1Experimental Example 1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분리막의 물성을 다음과 같은 방법에 따라 측정,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온도에 대한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상온(25℃)에서 측정하였다.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eparation membranes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measured and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metho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s 1 and 2 below. Unless otherwise stated, measurements were made at room temperature (25° C.).

-두께(㎛): 미세 두께 측정기를 이용하여 분리막 시편의 두께를 측정하였다.-Thickness (㎛): The thickness of the separator specimen was measured using a micro-thickness meter.

-기공률(%): ASTM F316-03에 의거하여, PMI 社의 Capillary Porometer를 사용하여 반경이 25mm인 분리막 시편의 기공률을 측정하였다.- Porosity (%): Based on ASTM F316-03, the porosity of the separator having a radius of 25 mm was measured using a capillary porometer manufactured by PMI.

-천공강도(gf): KATO TECH 社의 천공강도 측정기 KES-G5 모델을 이용하여 크기가 100×50mm인 분리막 시편에 지름 0.5mm의 스틱(Stick)으로 0.05cm/sec의 속도로 힘을 가하여 상기 시편이 뚫리는 시점에 가해진 힘을 측정하였다.-Puncture strength (gf): Using KATO TECH's KES-G5 puncture strength measuring instrument model, apply force to a separator sample with a size of 100 × 50 mm with a stick with a diameter of 0.5 mm at a rate of 0.05 cm/sec. The force applied when the specimen was pierced was measured.

-열수축률(%): 140℃ 및 150℃의 오븐에서 1시간 동안 크기가 200×200mm인 분리막 시편을 A4 종이 사이에 넣어 방치한 후, 상온 냉각시켜 시편의 세로방향(MD)의 수축된 길이를 측정하고 하기 계산식을 사용하여 열수축률을 계산하였다.-Heat shrinkage rate (%): After placing a 200 × 200 mm separator sample in an oven at 140° C. and 150° C. for 1 hour and leaving it in between A4 paper, it is cooled to room temperature to shrink the length of the specime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was measured and the heat shrinkage rate was calculated using the following formula.

열수축률(%)=(l3-l4)/l3*100Heat shrinkage (%)=(l 3 -l 4 )/l 3 *100

(상기 계산식에서, l3은 수축 전 시편의 세로방향 길이이고, l4는 수축 후 시편의 세로방향 길이이다.)(In the above formula, l 3 is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specimen before contraction, and l 4 is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specimen after contraction.)

-멜트다운온도(MDT, ℃): 열기계분석기(Thermomechanical analysis, TMA)를 이용하여 분리막 시편에 0.01N의 힘을 가한 후 5℃/분의 속도로 승온시켜 분리막 시편의 변형 정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시편이 파단되는 온도를 멜트다운온도로 하였다.-Meltdown temperature (MDT, ℃): Using a thermomechanical analysis (TMA), a force of 0.01N was applied to the separator specimen, and then the temperature was raised at a rate of 5°C/min to measure the degree of deformation of the separator specimen.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specimen was fractured was taken as the meltdown temperature.

구분division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4Example 4 실시예 5Example 5 지지체 두께support thickness 1414 1414 5.55.5 1414 9.69.6 분리막 두께Separator thickness 1414 1414 5.55.5 1414 9.69.6 분리막 기공률Membrane Porosity ≤1.0≤1.0 ≤0.5≤0.5 ≤0.5≤0.5 ≤0.1≤0.1 ≤0.5≤0.5 천공강도punching strength 684684 792792 402402 804804 828828 열수축률 (MD, 140℃)Heat shrinkage (MD, 140℃) 4242 4040 4040 3939 3737 열수축률 (MD, 150℃)Thermal shrinkage (MD, 150℃) 4949 4545 5555 4444 4141 멜트다운온도Meltdown temperature 205205 210210 203203 214214 225225

구분division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지지체 두께support thickness 지지체 없음no support 1414 1414 1414 분리막 두께Separator thickness 2020 1414 1414 1414 분리막 기공률Membrane Porosity 00 5050 ≤1.0≤1.0 ≤0.1≤0.1 천공강도punching strength 측정 불가Measurable 634634 651651 833833 열수축률 (MD, 140℃)Heat shrinkage (MD, 140℃) 측정 불가Measurable 6565 4646 3838 열수축률 (MD, 150℃)Thermal shrinkage (MD, 150℃) 측정 불가Measurable 6868 5757 4343 멜트다운온도Meltdown temperature 측정 불가Measurable 145145 187187 231231

실험예 2Experimental Example 2

두께가 1mm인 서스(SUS) 전극 사이에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분리막을 삽입하여 코인 셀을 제조하였다. 전해액으로는 에틸렌카보네이트 및 메틸렌카보네이트가 각각 30 : 70의 부피비로 혼합된 용매에 LiPF6가 1.15M의 농도로 용해된 것을 사용하였다.A coin cell was manufactured by inserting the separator prepared according to the abov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between the SUS electrodes having a thickness of 1 mm. As the electrolyte solution, LiPF 6 dissolved in a concentration of 1.15M in a solvent in which ethylene carbonate and methylene carbonate were mixed in a volume ratio of 30:70, respectively, was used.

상기 코인 셀에 삽입된 상기 분리막의 임피던스 및 이온전도도를 EIS(Electrochemical mpedance Spectroscopy)를 사용하여 진동수 104~106Hz, 전류 10.0mV, 전압 범위 ±10V, 온도 25℃ 조건에서 5회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구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The impedance and ionic conductivity of the separator inserted into the coin cell were measured 5 times using EIS (Electrochemical Mpedance Spectroscopy) at a frequency of 10 4 to 10 6 Hz, a current of 10.0 mV, a voltage range of ±10V, and a temperature of 25°C. The average value was obtain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below.

구분division 임피던스 (mΩ)Impedance (mΩ) 이온전도도 (S/cm)Ion Conductivity (S/cm) 실시예 1Example 1 128128 4.9 E-044.9 E-04 실시예 2Example 2 120120 5.2 E-045.2 E-04 실시예 3Example 3 116116 2.1 E-042.1 E-04 실시예 4Example 4 115115 5.4 E-045.4 E-04 실시예 5Example 5 118118 3.6 E-043.6 E-04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207207 4.3 E-044.3 E-04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7070 8.9 E-048.9 E-04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측정 불가(미경화)Measurable (uncured) 측정 불가(미경화)Measurable (uncured)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702702 8.9 E-058.9 E-05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 제1 이형 필름
12: 제2 이형 필름
20: 전해액 팽윤성 고분자 가교체
21: 제1 층
22: 제2 층
30: 다공성 지지체
31: 기공
11: first release film
12: second release film
20: electrolyte swellable polymer crosslinked product
21: first floor
22: second floor
30: porous support
31: Qigong

Claims (10)

다공성 지지체; 및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에 충진된 전해액 팽윤성 고분자 가교체를 포함하고,
이온전도도가 1.0*10-4S/cm 이상이고, 천공강도가 300gf 이상인, 분리막.
porous support; and
Including an electrolyte swellable polymer crosslinked body filled in the pores of the porous support,
The ionic conductivity is 1.0*10 -4 S/cm or more, and the puncture strength is 300gf or more, the separation membra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팽윤성 고분자 가교체의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에 대한 충진율은 90% 이상인, 분리막.
According to claim 1,
The filling ratio of the electrolyte swellable polymer crosslinked body with respect to the pores of the porous support is 90% or more, the separation membra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의 기공률은 10% 이하인, 분리막.
According to claim 1,
The porosity of the separation membrane is 10% or less, the separation membra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 또는 공중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분리막.
According to claim 1,
The porous support is a separator comprising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polypropylene, ethylene vinyl acetate, ethylene butyl acrylate, ethylene ethyl acrylate, and combinations or copolymers of two or more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률은 30~90%이고, 평균 기공크기는 20~100nm이고, 두께는 5㎛ 이상인, 분리막.
According to claim 1,
The porosity of the porous support is 30 ~ 90%, the average pore size is 20 ~ 100nm, the thickness is 5㎛ or more, the separation membran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무기 필러를 더 포함하는, 분리막.
4. The method of claim 3,
The porous support further comprises an inorganic filler, the separation membra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팽윤성 고분자 가교체는 개시제에 의해 활성화된 다관능성 모노머의 가교 반응에 의해 생성된 것인, 분리막.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lyte swellable polymer crosslinked product is a separator that is generated by a crosslinking reaction of a polyfunctional monomer activated by an initi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하기 (i) 내지 (iii)의 조건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분리막:
(i) 멜트다운온도 200℃ 이상;
(ii) 150℃에서 세로방향 열수축률 60% 이하;
(iii) 막 저항 150mΩ 이하.
According to claim 1,
The separation membrane satisfie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conditions (i) to (iii), a separation membrane:
(i) a meltdown temperature of 200°C or higher;
(ii) 60% or less of longitudinal heat shrinkage at 150°C;
(iii) Membrane resistance 150 mΩ or less.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분리막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제1 이형 필름의 일 면에 다관능성 모노머, 개시제 및 끓는점이 150℃ 이하인 용매를 포함하는 모노머 용액을 도포하여 제1 층을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제1 층 상에 다공성 지지체를 적층하는 단계;
(c) 상기 다공성 지지체 상에 상기 모노머 용액을 도포하여 제2 층을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제2 층 상에 제2 이형 필름을 적층한 다음, 상기 제1 및 제2 이형 필름이 상기 다공성 지지체와 접촉하도록 가압하여 상기 제1 및 제2 층을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 내부로 침투시키고 일체화시키는 단계;
(e) 일체화된 상기 제1 및 제2 층에 에너지를 인가하여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를 가교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제1 및 제2 이형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리막의 제조방법.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eparation membran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a) forming a first layer by applying a monomer solution containing a polyfunctional monomer, an initiator, and a solvent having a boiling point of 150° C. or less on one surface of the first release film;
(b) laminating a porous support on the first layer;
(c) forming a second layer by applying the monomer solution on the porous support;
(d) laminating a second release film on the second layer, and then pressing the first and second release films to contact the porous support to move the first and second layers into the pores of the porous support penetrating and integrating;
(e) applying energy to the integrated first and second layers to crosslink the polyfunctional monomer; and
(f) removing the first and second release films; compris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parato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머 용액 중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의 함량은 10~30중량%인, 분리막의 제조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ent of the polyfunctional monomer in the monomer solution is 10 to 30% by weight,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eparation membrane.
KR1020200174553A 2020-12-14 2020-12-14 A separato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097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553A KR102509773B1 (en) 2020-12-14 2020-12-14 A separato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230030385A KR102534680B1 (en) 2020-12-14 2023-03-08 A separato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553A KR102509773B1 (en) 2020-12-14 2020-12-14 A separato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0385A Division KR102534680B1 (en) 2020-12-14 2023-03-08 A separato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098A true KR20220085098A (en) 2022-06-22
KR102509773B1 KR102509773B1 (en) 2023-03-15

Family

ID=822165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553A KR102509773B1 (en) 2020-12-14 2020-12-14 A separato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230030385A KR102534680B1 (en) 2020-12-14 2023-03-08 A separato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0385A KR102534680B1 (en) 2020-12-14 2023-03-08 A separato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0977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2015B2 (en) * 2000-03-31 2011-02-16 株式会社Gsユアサ Battery separator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KR20150141403A (en) * 2014-06-10 2015-12-1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Complex fibrous separato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2015B2 (en) * 2000-03-31 2011-02-16 株式会社Gsユアサ Battery separator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KR20150141403A (en) * 2014-06-10 2015-12-1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Complex fibrous separato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9773B1 (en) 2023-03-15
KR102534680B1 (en) 2023-05-30
KR20230037025A (en) 2023-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6129B1 (en) Separator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ntaining the same
KR101666045B1 (en) A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KR102219691B1 (en) Ceramic coated separator having excellent thermal property and electro-chemical stability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it
KR100727247B1 (en) Organic/inorganic composite separator having morphology gradi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ntaining the same
RU2470700C2 (en) Microporous polymer membrane modified by water-soluble polymer, methods of its production and application
US20190386274A1 (en) Laminable, dimensionally-stable microporous webs
KR101943502B1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parator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the separator fabricated by the same
KR102308942B1 (en) Separator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ntaining the same
KR20210109478A (en) Separator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WO2018164056A1 (en)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EP3832758A1 (en) Separator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200050439A (en) Separator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ntaining the same
KR101915345B1 (en) A method of manufacturing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and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manufactured thereby
EP3832756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KR20200021435A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parator and Separator manufactured by the same method
KR20150030102A (en) A method of manufacturing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and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manufactured thereby
KR102534680B1 (en) A separato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00085233A (en) Separator,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eparator
KR20120054883A (en) Preparation method of separator, separator formed therefrom, and electrochemical device having the same
JP7391201B2 (en) Crosslinked separation membran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containing crosslinked polyolefi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2524443B1 (en) A separato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822592B1 (en) A method of making the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and a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manufactured thereby
KR101816764B1 (en) A method of manufacturing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and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manufactured thereby
KR20240046344A (en) A separato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00085671A (en) Electrode assembly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ntain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