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4766A - 광학 기기 - Google Patents

광학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4766A
KR20220084766A KR1020200174577A KR20200174577A KR20220084766A KR 20220084766 A KR20220084766 A KR 20220084766A KR 1020200174577 A KR1020200174577 A KR 1020200174577A KR 20200174577 A KR20200174577 A KR 20200174577A KR 20220084766 A KR20220084766 A KR 20220084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ed
optical device
present
receiver
trans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4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74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4766A/ko
Publication of KR20220084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47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81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 G01S7/4811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common to transmitter and receiv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7/08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02B27/28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used for beam splitting or combin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학 기기는, 광축이 일치하는 송신부 및 수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학 기기는, 기존 광센서와 달리 최소 센싱 거리가 이론상 제로가 되기 때문에 근접 센싱이 가능하다. 특히 서비스 로봇, 작업 로봇 팔 등은 가능한 짧은 최소 센싱 거리를 요구하는데, 본 발명의 광학 기기는 이러한 기기에 장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광학 기기{OPTICAL INSTRUMENT}
본 발명은 송신부와 수신부를 가지는 라이다와 같은 광학 기기에서 광을 출사하는 송신부와 광을 받아들이는 수신부가 동축 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광학 기기가 센싱할 수 있는 물체의 거리를 최근접으로 할 수 있는 광학 기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광학 기기는 광송신부와 광수신부로 구성되어 있는 모든 경우에 해당한다.
종래, 광을 출사하고 출사광이 반사되어 수신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모든 종류의 광학 기기에서는, 송신부와 수신부의 따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송부부의 광학 축과 수신부의 광학축이 일치하지 않고 이에 따라 광 수신의 경우 거리의 제한이 있었다. 대표적인 예로서는, 레이저 빔을 출사하고 출사된 광이 객체에 반사되어 동아오는 광을 수신하는 라이다 센서의 경우가 있다.
도 1은 송신부와 수신부로 이루진 종래의 광학기기로서, 라이다를 예로 들면, 송신부에서 직진하는 레이저를 출사하고, 일정 거리의 객체에서 반사된 레이저 빔을 수광부에서 수신하는 광학 기기를 나타낸다.
송광부에서 출사된 빔이 물체에 부딪힌 후 수광부로 반사되어 들어가기 위해서는 반사 지점이 수신각 (amgle of view)내에 들러가 있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사빔과 수신각이 만나는 지점 D2 이상의 거리에서 반사가 일어 날 때 수광부로 반사빔이 입사될 수가 있고, D2보다 짧은 임의의 거리 D1에서 반사된 빔은 수광부에서 수신될 수가 없다.
광학 기기 중 하나인 라이다의 경우 물체 감지 가능한 최소 거리 D2는 송수광부 사이의 거리 d와 수광부의 수신각(AoF) 값에 따라 달라지지만, 상용 제품의 경우 통상 1 미터를 초과하고 있다.
광학 기기 중 하나인 라이다의 응용 분야에 따라 최소감지 거리 D2는 수 십 cm 이내의 짧은 거리를 요구하는데, 예로 서비스 로봇, 근접 작업을 하는 로봇 팔 등의 경우에는 가능한 짧은 D2 값을 요구하여, 새로운 구조의 광학 기기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KR 2018-0003234 A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광학 기기는 송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진 광학기기에서 송광부 광학축과 수광부 광학축이 일치시킨다. 송/수광부 동축 (co-axis)에 의해 아무리 가까운데 위치한 물체에서 반사된 송광빔도 수신부에서 감지 가능하게 한다.
대부분의 광센서는 광 또는 레이저를 조사하고 물체에 부딪혀 반사된 빔에 들어 있는 정보를 이용해 센싱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원거리의 물체를 센싱할 경우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아주 근거리의 물체를 센싱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송신부와 수신부의 광학계가 일치하고 있어 송신빔이 물체에 반사되어 되는 경우 수신부의 수신각과 관계없이 수신부에 입사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를 통해 근접 물체도 센싱할 수 있는 센서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학 기기는, 광축이 일치하는 송신부 및 수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학 기기는, 송신부 광과 수신부 광을 합치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는 빔 스플리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학 기기에서, 상기 빔 스플리터는 평판형, 프리즘 형태 또는 큐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학 기기에서 상기 빔 스플리터는 무편광형 또는 편광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학 기기에서 상기 송신부 광은 상기 빔 스플리터에 의해 반사가 일어날 수 있도록 편광처리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학 기기는, 기존 광센서와 달리 최소 센싱 거리가 이론상 제로가 되기 때문에 근접 센싱이 가능하다. 특히 서비스 로봇, 작업 로봇 팔 등은 가능한 짧은 최소 센싱 거리를 요구하는데, 본 발명의 광학 기기는 이러한 기기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광학 기기의 구조 개략도; 및
도 2 내지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학 기기의 구조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일면", "타면"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송신부에서 출사된 빔이 물체에 반사되어 수신기로 입사할 때 센서에서 감지하지 못하는 거리가 센싱 음영 거리를 없애주는 센서의 광학계 구조에 관한 기술이다.
본 발명의 개략 구조는 도 2에서처럼 송신부와 수신부가 광축 차원에서 일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학 기기는, 광축이 일치하는 송신부 및 수신부를 포함한다.
도 2에서 보듯이 송수광부의 광학축이 일치할 경우 출사빔에서 아무리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물체라도, 이 물체에서 반사된 빔은 수신각 내에 있으므로 수신부에서 센싱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학 기기는, 송신부 광과 수신부 광을 합치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는 빔 스플리터를 더 포함한다.
현실적으로 송신부와 수신부가 일체화되도록 만든다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매우 어려우므로, 1차적으로 출사되는 빔의 광축과 반사되어 돌아와 수신되는 수신부의 광축은 일치시키고, 2차적으로 출사빔과 반사빔을 분리시킬 경우 위의 그림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설명을 구현시키는 구조는 도 3에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보면, 송신부에서 출사된 빔 또는 레이저가 빔 스플리터에서 반사되고, 이 빔은 다시 전반사 미러에 의해 반사되어 센서 또는 광학기기 외부로 출사된다. 출사빔이 물체에 의해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빔은 출사빔과 같은 광축을 가지고 되돌아오게 되고, 전반사 미러를 거쳐 빔스플리터에서 수신부로 입사하게 된다.
도 3에서 빔 스플리터는 평판형 또는 프리즘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학 기기에서, 상기 빔 스플리터는 평판형, 프리즘 형태 또는 큐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학 기기에서 상기 빔 스플리터는 무편광형 또는 편광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학 기기에서 상기 송신부 광은 상기 빔 스플리터에 의해 반사가 일어날 수 있도록 편광처리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Claims (5)

  1. 출사빔을 송출하는 송신부;
    상기 출사빔을 반사시키는 빔스플리터;
    상기 빔스플리터에서 반사된 상기 출사빔을 반사시켜 외부로 출사되도록 하는 전반사미러; 및
    외부로 출사된 상기 출사빔이 물체에 반사되어 상기 출사빔과 동일한 광축으로 입사되는 반사빔이 상기 전반사미러에 반사되고,
    상기 전반사미러에 반사된 상기 반사빔을 상기 빔스플리터를 통해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사빔은 상기 빔스플리터를 통과하여 상기 수신부에 수신되는 광학기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빔스플리터는 편광형 도는 무편광형 형태로 형성되는 광학기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빔스플리터는 평판형, 프리즘형태 또는 큐브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는 광학기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빔스플리터는
    상기 송신부에 의한 상기 출사빔을 반사시키고,
    상기 수신부로 입사되는 반사빔을 통과시키도록 편광처리된 광학기기.
KR1020200174577A 2020-12-14 2020-12-14 광학 기기 KR202200847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577A KR20220084766A (ko) 2020-12-14 2020-12-14 광학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577A KR20220084766A (ko) 2020-12-14 2020-12-14 광학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766A true KR20220084766A (ko) 2022-06-21

Family

ID=82221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577A KR20220084766A (ko) 2020-12-14 2020-12-14 광학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476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234A (ko) 2016-06-30 2018-01-09 광주과학기술원 라이다 장비의 광학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234A (ko) 2016-06-30 2018-01-09 광주과학기술원 라이다 장비의 광학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4770B2 (en) Optical systems for remote sensing receivers
US10557943B2 (en) Optical systems
US11709240B2 (en) Descan compensation in scanning LIDAR
US8537376B2 (en) Enhanced position detector in laser tracker
US20210223369A1 (en) Light detection and ranging device
JP2023160825A (ja) 固体スペクトル走査を備えたlidarシステム
CN108761424A (zh) 激光雷达及激光雷达控制方法
US7064817B1 (en) Method to determine and adjust the alignment of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fields of view of a LIDAR system
US10126415B2 (en) Probe that cooperates with a laser tracker to measure six degrees of freedom
US8068215B2 (en) Laser distance meter
CN113841062B (zh) 具有模场扩展器的lidar系统
US20200333441A1 (en) Optical circulator
US20150160344A1 (en) Laser tracker that uses a fiber-optic coupler and an achromatic launch to align and collimate two wavelengths of light
US5422645A (en) Delayed laser retroreflector pulse technique and system
US20150377604A1 (en) Zoom camera assembly having integrated illuminator
KR20220084766A (ko) 광학 기기
US11346988B2 (en) Miniaturized optical circulator
CN113508310B (zh) 一种探测方法及装置
CN111929700B (zh) 一种光探测系统及方法
CN208520991U (zh) 激光雷达
EP4053588A1 (en) Optical sensing system
CN213482452U (zh) 镜头、镜头系统、激光雷达发射、接收和收发系统
KR100501082B1 (ko) 펄스형 레이저 다이오드를 채용한 광학계
CN112683175B (zh) 读数头和位移测量系统及位移测量方法
RU2620768C1 (ru) Лазерный дальномер с оптическим сумматором излучени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