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4625A -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누설전류 탐지 방법 - Google Patents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누설전류 탐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4625A
KR20220084625A KR1020200174278A KR20200174278A KR20220084625A KR 20220084625 A KR20220084625 A KR 20220084625A KR 1020200174278 A KR1020200174278 A KR 1020200174278A KR 20200174278 A KR20200174278 A KR 20200174278A KR 20220084625 A KR20220084625 A KR 20220084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leakage current
sensor
electrode
magnitu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4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9428B1 (ko
Inventor
강영재
하정억
이진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센스
Priority to KR1020200174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9428B1/ko
Priority to EP21906778.2A priority patent/EP4242678A1/en
Priority to US18/265,161 priority patent/US20240019500A1/en
Priority to PCT/KR2021/009799 priority patent/WO2022131473A1/ko
Publication of KR20220084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4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6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03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invasive, e.g. introduced into the body by a catheter or needle or using implanted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07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ther than blood
    • A61B5/1451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ther than blood for interstitial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86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enzyme electrodes, e.g. with immobilised oxidase
    • A61B5/1486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enzyme electrodes, e.g. with immobilised oxidase invasive, e.g. introduced into the body by a catheter or needle or using implanted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95Calibrating or testing of in-vivo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961Means for the detection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module, a component or an abnormal condition; detection of lea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2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s
    • A61B5/6833Adhesive patch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3/00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 G01R13/02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for displaying measured electric variables in digital fo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92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measuring current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66Operational features for monitoring or limiting apparatus function
    • A61B2560/0276Determining malfun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정보의 측정장치의 사용 중 누설 전류를 탐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생체정보의 측정장치를 구성하는 센서의 일측 단자로 인가되는 인가전류와 센서의 타측 단자로 출력되는 출력전류의 크기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센서 일부를 사용자 피부에 삽입하여 생체 정보를 측정 중인 상태에서 센서로 인가되는 전류에 누설이 발생하는지 탐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누설전류 탐지 방법{Method for detecting leakage current at biometrics meters}
본 발명은 생체정보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생체정보를 측정 중 누설 전류를 탐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피부에 삽입된 센서의 일측 단자로 인가되는 인가전류와 센서의 타측 단자로 출력되는 출력전류의 크기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센서 일부를 사용자 피부에 삽입하여 생체 정보를 측정 중인 상태에서 센서에 전류 누설가 발생하는지 탐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당뇨병은 전 세계적으로 주요 사망 원인 및 신체장애를 유발하는 요인이며, 그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당뇨병으로 인해 건강상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당뇨병은, 심장 및 신장 질병, 실명, 신경손상 및 고혈압을 유발하는 심각한 질병이다. 장기간의 임상연구를 볼 때, 혈당치를 적당히 조절하는 것에 의해 합병증이 유발하는 것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당뇨병은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한데, 중요한 요인은 혈당치를 자가 모니터링하는 것이다.
이러한 요구에 의해 사용자가 직접 사용자의 혈당을 검사할 수 있는 자가 바이오 측정기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된다. 일반적인 혈당 측정기는 검사지인 센서 스트립에 사용자의 혈액을 묻혀 사용자의 혈당치를 측정한다. 즉, 혈액을 묻힌 센서 스트립을 혈당 측정기에 삽입하여 센서 스트립을 통해 측정된 혈당치를 혈당 측정기에서 표시한다.
이때, 채취된 혈액과 센서 스트립 내의 반응물질이 전기 화학적 반응에 의해 발생된 전기적 신호를 혈당 측정기가 수신하여, 혈당치를 측정한다. 이러한 채혈식 혈당기(finger prick method)는, 당뇨병 환자의 혈당 관리에 도움을 주지만, 측정 당시의 결과만 나타내기 때문에 자주 변화하는 혈당 수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당뇨병 환자는, 일반적으로 고혈당 및 저혈당 상태를 오가는데, 응급상황은 저혈당 상태에서 발생하고, 당분 공급이 오랫동안 지속되지 않으면, 의식을 잃거나 최악의 경우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따라서 저혈당 상태를 즉각적으로 발견하는 것은 당뇨병 환자에게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간헐적으로 혈당을 측정하는 채혈식 혈당 측정기는 분명한 한계가 있다.
이러한 채혈식 혈당 측정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인체 내에 삽입하여 수분 간격으로 혈당을 측정하는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CGMS,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이 개발되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당뇨병 환자의 관리와 응급 상황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은, 인체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체액과 같은, 검사 물질을 채취하여 혈당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장치와, 측정 장치와 통신하여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혈당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리시버를 포함한다. 한편 측정 장치는 통상적으로 센서와 트랜스미터로 이루어지는데, 측정 장치가 피부에 부착시 센서의 일부는 피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혈당을 측정하며 측정한 혈당 정보를 트랜스미터로 제공한다.
측정 장치는 일정기간의 수명, 예를 들어 15일 또는 1달 등의 사용기간을 가지고 있어 사용기간 동안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혈당 정보를 연속하여 측정하거나 측정한 혈당 정보를 주기적으로 또는 리시버의 요청이 있는 경우 리시버로 송신한다.
리시버는 측정 장치로부터 수신한 혈당 정보를 사용자에 출력할 뿐만 아니라 혈당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고혈당이거나 저혈당인 경우 사용자에 알람을 제공하거나 측정 장치의 사용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사용자에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생체 정보의 측정 장치는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제품으로 사용자에 제공되기 전 미리 제조공정에서 다수의 안전 테스트를 수행한다. 안전 테스트 중 측정 장치에 누설 전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테스트한다. 해당 누설 전류의 테스트는 측정 장치 자체에서 누설 전류가 발생하는지에 대한 테스트이다.
그러나 사용자에 제공되기 전 제조 공정에서 누설 전류의 존재 여부에 대한 테스트를 통과한 측정 장치라고 하더라도 실제 측정 장치가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사용 중, 피부에 일부 삽입된 센서에 누설 전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곤란한다. 즉 제조 공정에서는 측정 장치의 사용 중 피부에 삽입된 센서에 누설 전류가 발생하는지 판단하기 곤란하며, 이로 인하여 측정 장치의 사용 중 누설 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에 위험을 가하거나 정확한 혈당 측정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생체 정보의 측정 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생체 정보의 측정 장치를 구성하는 센서 일부를 사용자 피부에 삽입하여 생체 정보를 측정 중인 상태에서 센서에 누설 전류가 발생하는지 탐지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생체 정보의 측정 장치를 사용자 신체에 부착하여 사용 중 발생하는 노이즈와 누설 전류를 구분하여 누설 전류의 상태를 사용자에 알려줄 수 있는 누설 전류의 탐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생체 정보의 측정 장치를 사용 중 피부에 삽입된 센서에 누설 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뿐만 아니라 제조사에게 누설 전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고 정확하게 생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누설 전류의 탐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생체 정보의 측정 장치의 사용 중 피부에 삽입된 센서에 누설 전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탐지하는 방법은 트랜스미터로부터 센서의 일측 전극으로 인가되는 인가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와, 센서의 타측 전극으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와, 인가 전류의 크기와 출력 전류의 크기에 기초하여 센서에 누설 전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누설 전류의 탐지 방법에서 센서의 일측 전극과 센서의 타측 전극은 측정 장치를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시 피부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며, 피부에 삽입된 센서의 일측 전극으로 인가 전류가 인가되고 피부에 삽입된 센서의 타측 전극으로부터 출력 전류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센서의 일측 전극과 타측 전극은 서로 절연되어 있으며, 센서의 일측 전극은 작동 전극으로 동작하고 센서의 타측 전극은 카운터 전극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누설 전류의 탐지 방법은 인가 전류의 크기와 출력 전류의 크기가 서로 동일한 경우 센서에 누설 전류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누설 전류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인가 전류와 출력 전류의 크기 차이가 제1 임계 범위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인가 전류와 출력 전류의 크기 차이가 제2 임계 범위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제2 임계 범위는 제1 임계범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누설 전류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인가 전류와 출력 전류의 차이가 제1 임계 범위 이내인 경우, 인가 전류와 출력 전류가 서로 동일한 것으로 판단하여 누설 전류의 상태를 정상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 전류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인가 전류와 출력 전류의 차이가 제1 임계 범위보다 크고 제2 임계 범위보다 작은 경우 누설 전류의 상태를 주의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 전류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인가 전류와 출력 전류의 차이가 제2 임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누설 전류의 상태를 경고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누설 전류의 탐지 방법은 누설 전류의 상태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누설 전류의 탐지 방법은 누설 전류의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누설 전류의 탐지 방법에서 알림 메시지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관리 서버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정보 측정 장치에서 피부에 삽입된 센서에 누설 전류가 존재하는지 탐지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누설 전류의 측정 방법은 생체 정보의 측정 장치를 구성하는 센서의 일측 단자로 인가되는 인가전류와 센서의 타측 단자로 출력되는 출력전류의 크기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센서 일부를 사용자 피부에 삽입하여 생체 정보를 측정 중인 상태에서 센서에 누설 전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탐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누설 전류의 측정 방법은 센서의 일측 단자로 인가되는 인가전류와 센서의 타측 단자로 출력되는 출력전류의 크기 차이를 계산하며 크기 차이를 제1 임계범위 또는 제2 임계범위와 비교함으로써, 생체 정보의 측정 장치를 사용자 신체에 부착하여 사용 중 센서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와 누설 전류를 구분하여 누설 전류의 상태를 사용자에 알려줄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누설 전류의 측정 방법은 생체 정보의 측정 장치를 사용 중 센서에 누설 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뿐만 아니라 제조사에게 누설 전류의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알림 메시지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안전하고 정확하게 생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신체에 장착된 측정 장치(10)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측정 장치에서 혈당값을 측정하는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피부에 삽입된 센서의 작동 전극과 카운터 전극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누설 여부를 탐지하는 장치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누설 전류의 탐지 회로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누설 전류의 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누설 전류를 탐지하는 단계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경고 알림 메시지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정보 측정 장치의 전류 누설을 탐지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생체 정보의 일 예로 혈당 정보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측정 장치는 다양한 생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측정 장치(10)는 신체에 부착되는데 측정 장치(10)는 인체의 체액을 주기적으로 추출하여 혈당을 측정한다. 측정 장치(10)가 신체에 부착시 일단이 피부에 삽입되는 센서와 센서에서 측정한 혈당 정보를 처리하는 트랜스미터를 구비한다. 트랜스미터는 센서를 통해 측정한 혈당 정보를 교정 정보를 이용하여 교정하거나 교정한 혈당 정보를 저장하거나 통신 단말기로 송신한다.
통신 단말기(30)는 측정 장치(10)로부터 혈당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혈당 정보를 사용자에 표시할 수 있는 단말기로,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노트북 등과 같이 측정 장치(10)와 통신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가 이용될 수 있다. 물론, 통신 단말기(3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신 기능을 포함하고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는 단말기이면 어떤 종류의 단말기일 수 있다.
측정 장치(10)는 통신 단말기(30)의 요청에 의해 또는 설정된 시각마다 주기적으로 측정된 혈당 정보를 통신 단말기(30)로 전송하는데, 측정 장치(10)와 통신 단말기(30)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해 측정 장치(10)와 통신 단말기(30)는 서로 USB 케이블 등에 의해 유선으로 통신 연결되거나 또는 적외선 통신, NFC 통신,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통신 단말기(30)는 측정장치(10)로부터 수신한 혈당 정보를 실시간으로 또는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50)를 통해 관리 서버(70)로 송신하거나, 측정장치(10)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측정장치(10)의 모니터링 결과를 네트워크(50)를 통해 관리 서버(7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 장치(10)는 어플리케이터(미도시)를 통해 신체 일부에 부착되는데, 어플리케이터는 측정 장치(10)를 내부에 구비하며 사용자의 조작으로 측정 장치(l0)를 외부로 토출하여 사용자의 특정 신체 부위에 부착시키도록 작동한다.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측정 장치(10)를 신체 일부에 부착시, 측정 장치(10)에 구비된 센서의 일단을 피부에 삽입하기 위해 어플리케이터는 센서의 일단을 내부에 감싸도록 형성된 니들(미도시), 니들과 센서 일단을 함께 피부로 밀어내는 제1 탄성 부재(미도시), 니들만을 인출하기 위한 제2 탄성 부재(미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도 2는 신체에 장착된 측정 장치(10)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고로 살펴보면, 측정 장치(10)는 어플리케이터를 통해 신체에 부착되는데 트랜스미터(11)의 하우징은 신체 표면에 부착되며 센서(13) 일부는 피부(1)에 삽입 배치된다.
센서(13)의 일단에는 절연층(13-3)을 사이에 두고 작동전극(13-1)과 카운터전극(13-5)이 형성되어 있는데, 센서(13)의 타단에는 작동전극과 연결된 작동전극 단자(미도시) 및 카운터전극과 연결된 카운터전극 단자(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작동전극 단자와 카운터전극 단자는 트랜스미터(11)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스미터(11)를 통해 작동전극(13-1)과 카운터전극(13-5)에 일정 전압이 가해지는 경우, 작동전극에 분포된 효소와 체액 내 글루코즈가 서로 화학반응하여 전자를 생성하며 작동전극(13-1)과 카운터전극(13-5)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게 된다. 트랜스미터(11)는 작동전극(13-1)과 카운터전극(13-5) 사이에 흐르는 전류 크기로부터 사용자의 혈당값을 측정한다.
도 3은 측정 장치에서 혈당값을 측정하는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인데, 도 3을 참고로 살펴보면 측정 장치를 신체에 부착 후, 측정 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면 피부에 삽입된 센서의 작동전극(WE)과 카운터전극(CE) 사이에 일정 전압이 가해지며 체액 내의 글루코스가 효소에 의해 산화되어 발생하는 전자를 작동전극으로 전달한다. 이를 통해 작동전극에서 카운터전극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 때 흐르는 전류 크기로부터 사용자의 혈당값을 측정하게 된다.
따라서 센서의 작동전극과 카운터전극이 피부에 삽입되어 혈당값을 측정시, 센서의 작동전극으로 인가되는 인가 전류(IS)의 크기와 카운터전극으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류(IC)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다.
그러나 측정 장치를 신체에 배치하여 사용 중 트랜스미터의 절연이 파괴되거나 작동전극 또는 카운터 전극에 손상이 일어나는 경우 피부에 삽입된 센서의 작동전극과 카운터전극 사이에 흐르는 전류가 누설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작동 전극으로 인가되는 인가 전류의 크기와 카운터 전극으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류의 크기는 서로 상이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피부에 삽입된 센서의 작동 전극과 카운터 전극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누설 여부를 탐지하는 장치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인가전류 측정부(110)는 피부에 삽입된 작동전극으로 인가되는 인가전류의 크기를 측정하며, 출력전류 측정부(130)는 피부에 삽입된 카운터전극으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전류 크기를 측정한다.
누설 판단부(150)는 동시에 측정한 인가전류와 출력전류의 크기 차이를 계산하며, 인가전류와 출력전류의 크기 차이로부터 작동전극과 카운터전극 사이를 흐르는 전류가 누설되는지 판단한다.
동작 제어부(160)는 작동전극과 카운터전극 사이를 흐르는 전류에 누설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누설 전류가 존재하는 경우 누설 전류를 알리기 위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부(19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거나 출력부(170)를 통해 사용자에 누설 전류가 존재함을 알릴 수 있다.
여기서 출력부(170)는 측정장치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에 누설 전류가 존재함을 알리기 위한 수단으로, 예를 들어 스피커, 진동자 또는 경고등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출력부(170)를 통해 알림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측정장치를 제거하여 누설 전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측정장치를 신체에 부착하여 사용자의 혈당값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누설 전류의 탐지 회로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누설 전류의 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센서의 작동전극으로 인가되는 인가전류의 크기와 센서의 카운터 전극으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전류의 크기를 동시에 측정한다(S110, 130).
동시에 측정한 인가전류와 출력전류의 크기 차이를 계산하여 작동전극과 카운터전극 사이에 흐르는 전류가 누설되고 있는지 탐지한다(S150).
작동전극과 카운터전극 사이에 흐르는 전류에 누설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누설 전류를 제어한다(S170).
누설 전류를 제어하는 일 예로, 작동전극과 카운터전극 사이에 흐르는 전류가 누설되는 경우 트랜스미터의 배터리에서 작동전극 또는 카운터전극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 제어한다. 이를 통해 작동전극과 카운터전극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 한다.
누설 전류를 제어하는 다른 예로, 작동전극과 카운터전극 사이에 흐르는 전류가 누설되는 경우 누설 전류가 탐지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한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한다. 사용자는 알림 메시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신체에 부착된 측정 장치를 제거할 수 있다.
누설 전류를 제어하는 또 다른 예로, 작동전극과 카운터전극 사이에 흐르는 전류가 누설되는 경우 출력부를 통해 알림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알림신호는 누설 전류가 탐지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신호로 알림신호의 종류에 따라 스피커, 경고등, 진동자를 통해 출력된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누설 전류를 탐지하는 단계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작동전극으로 인가되는 인가전류의 크기와 카운터전극으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전류의 크기를 동시에 측정하여 인가전류와 출력전류의 크기 차이가 제1 임계범위 이내인지 판단한다(S231).
인가전류와 출력전류의 크기 차이가 동일하거나 제1 임계범위 이내인 경우 누설전류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인가전류와 출력전류의 크기 차이가 제1 임계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인가전류와 출력전류의 크기 차이가 제2 임계범위를 초과하는지 판단한다(S233). 여기서 제2 임계 범위는 제1 임계범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가전류와 출력전류의 크기 차이가 제1 임계범위와 제2 임계범위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 주의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거나 주의 알림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S237).
그러나 인가전류와 출력전류의 크기 차이가 제2 임계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경고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거나 경고 알림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S235).
즉, 인가전류와 출력전류의 크기 차이가 제1 임계범위와 제2 임계범위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 등으로 인해 센서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로 인해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노이즈로 판단하거나 작동전극과 카운터전극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누설 정도가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순히 주의 알림 메시지 또는 주의 알림 신호를 사용자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스스로 누설 전류의 존재 여부나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인가전류와 출력전류의 크기 차이가 제2 임계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작동전극과 카운터전극 사이에 흐르는 전류가 상당부분 누설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경고 알림 메시지 또는 경고 신호를 사용자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즉시 측정 장치를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경고 알림 메시지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a)를 참고로 살펴보면, 경고 알림 메시지는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데 사용자는 경고 알림 메시지에 기초하여 측정장치를 즉시 제거할 수 있다.
도 8(b)를 참고로 살펴보면, 사용자는 누설전류 경고가 발생한 경우 관리 서버로 누설전류 경고 이력을 전송할 수 있다. 누설전류 경고 이력을 관리 서버로 송신시 사용자 단말기는 인가전류와 출력전류의 크기 차이, 측정장치의 식별자, 누설 전류가 탐지된 시각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누설전류 경고 이력 메시지를 생성하여 관리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를 들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측정 장치 30: 사용자 단말기
50: 네트워크 70: 관리 서버
11: 트랜스미터 13: 센서
110: 인가전류 측정부 130: 출력전류 측정부
150: 누설 판단부 160: 동작 제어부
170: 출력부 190: 통신부

Claims (11)

  1. 센서와 트랜스미터로 이루어진 측정 장치에서 피부에 삽입된 센서에 누설 전류가 존재하는지 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미터로부터 센서의 일측 전극으로 인가되는 인가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
    센서의 타측 전극으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인가 전류의 크기와 상기 출력 전류의 크기에 기초하여 피부에 삽입된 센서에 누설 전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전류의 탐지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 전류의 탐지 방법에서
    상기 센서의 일측 전극과 상기 센서의 타측 전극은 상기 측정 장치를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시 피부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며,
    피부에 삽입된 상기 센서의 일측 전극으로 인가 전류가 인가되고 피부에 삽입된 상기 센서의 타측 전극으로부터 출력 전류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전류의 탐지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의 일측 전극과 상기 타측 전극은 서로 절연되어 있으며,
    상기 센서의 일측 전극은 작동 전극으로 동작하고 상기 센서의 타측 전극은 카운터 전극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전류의 탐지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 전류의 탐지 방법은
    상기 인가 전류의 크기와 상기 출력 전류의 크기가 서로 동일한 경우 상기 센서를 통해 신체에 인가 전류가 누설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전류의 탐지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 전류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인가 전류와 상기 출력 전류의 크기 차이가 제1 임계 범위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인가 전류와 상기 출력 전류의 크기 차이가 제2 임계 범위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임계 범위는 상기 제1 임계범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전류의 탐지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 전류위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인가 전류와 상기 출력 전류의 차이가 제1 임계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인가 전류와 상기 출력 전류가 서로 동일한 것으로 판단하여 누설 전류의 상태를 정상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전류의 탐지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 전류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인가 전류와 상기 출력 전류의 차이가 제1 임계 범위보다 크고 제2 임계 범위보다 작은 경우 누설 전류의 상태를 주의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전류의 탐지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 전류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인가 전류와 상기 출력 전류의 차이가 제2 임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누설 전류의 상태를 경고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전류의 탐지 방법.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 전류의 탐지 방법은
    상기 누설 전류의 상태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전류의 탐지 방법.
  10.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 전류의 탐지 방법은
    상기 누설 전류의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전류의 탐지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 전류의 탐지 방법에서
    상기 알림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관리 서버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전류의 탐지 방법.
KR1020200174278A 2020-12-14 2020-12-14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누설전류 탐지 방법 KR102459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278A KR102459428B1 (ko) 2020-12-14 2020-12-14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누설전류 탐지 방법
EP21906778.2A EP4242678A1 (en) 2020-12-14 2021-07-28 Method for detecting leakage current of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US18/265,161 US20240019500A1 (en) 2020-12-14 2021-07-28 Method for detecting leakage current of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PCT/KR2021/009799 WO2022131473A1 (ko) 2020-12-14 2021-07-28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누설전류 탐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278A KR102459428B1 (ko) 2020-12-14 2020-12-14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누설전류 탐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625A true KR20220084625A (ko) 2022-06-21
KR102459428B1 KR102459428B1 (ko) 2022-10-27

Family

ID=82057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278A KR102459428B1 (ko) 2020-12-14 2020-12-14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누설전류 탐지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019500A1 (ko)
EP (1) EP4242678A1 (ko)
KR (1) KR102459428B1 (ko)
WO (1) WO2022131473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171B1 (ko) * 2010-09-13 2011-12-13 한국전력공사 누설 전류 측정 장치 및 누설 전류 측정 방법
KR20170058828A (ko) * 2015-11-19 2017-05-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체 신호 측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12240B2 (en) * 2005-04-29 2012-02-07 Abbott Diabetes Car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eak detection in data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s
KR101878449B1 (ko) * 2017-02-27 2018-07-13 주식회사 세화 누설 전류 및 절연 저항 측정 장치
EP3723606A1 (en) * 2017-12-13 2020-10-21 Medtronic MiniMed,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KR102200142B1 (ko) * 2018-09-27 2021-01-11 주식회사 아이센스 연속 혈당 측정용 신체 부착 유닛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171B1 (ko) * 2010-09-13 2011-12-13 한국전력공사 누설 전류 측정 장치 및 누설 전류 측정 방법
KR20170058828A (ko) * 2015-11-19 2017-05-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체 신호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9428B1 (ko) 2022-10-27
EP4242678A1 (en) 2023-09-13
US20240019500A1 (en) 2024-01-18
WO2022131473A1 (ko)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4894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alibration of an analyte sensor in an analyte monitoring system
KR102025060B1 (ko) 의료 모니터링에서의 배터리 상태 검출 및 저장 방법 및 시스템
US6275717B1 (en) Device and method of calibrating and testing a sensor for in vivo measurement of an analyte
US8594760B2 (en) In vivo analyte monitor with malfunction detection
JP5738838B2 (ja) 分析装置、分析方法及び分析システム
TWI629478B (zh) 分析儀、數位電路及操作分析儀之方法
KR102248614B1 (ko)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에서 생체 정보를 분실없이 송수신하는 방법
KR102475913B1 (ko)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에서 교정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KR20220130647A (ko)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의 안정화 방법
KR20140070486A (ko)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혈당측정시스템 및 방법
KR102459428B1 (ko)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누설전류 탐지 방법
AU2020324822B2 (en) Notification method of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KR102569413B1 (ko) 생체 정보를 연속하여 측정하는 신체 부착 장치
US20210068723A1 (en) Intelligent prediction-based glucose alarm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20210068764A1 (en) Intelligent prediction-based glucose alarm devices, system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