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3532A - Air purifier device - Google Patents

Air purifie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3532A
KR20220083532A KR1020210000536A KR20210000536A KR20220083532A KR 20220083532 A KR20220083532 A KR 20220083532A KR 1020210000536 A KR1020210000536 A KR 1020210000536A KR 20210000536 A KR20210000536 A KR 20210000536A KR 20220083532 A KR20220083532 A KR 20220083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ing
housing
unit
ai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05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상진
곽두영
박내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083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353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58Filt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arrangement in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화된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으면서도, 내부에 구성들을 연결하는 하네스의 단선이 방지되는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ying device capable of changing the discharge direction of purified air and preventing disconnection of a harness connecting components therein.

Description

공기정화장치{Air purifier device}Air purifier device

본 발명은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정화된 공기를 다양한 각도로 토출 시키면서도 하네스에 단선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토출유닛을 포함하는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n air purifying device including a discharging unit that discharges purified air at various angles and prevents disconnection of a harness.

공기정화장치는 현대 생활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기로서, 먼지,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등의 물리적 입자, 냄새입자, 유해가스 등의 화학물질, 세균 및 바이러스 등의 미생물체를 걸러서 공기를 정화시키는 장치이다.An air purifier is a device widely used in modern life, and it purifies the air by filtering physical particles such as dust,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chemical substances such as odor particles and harmful gases, and microorganisms such as bacteria and viruses. .

공기정화장치는 도시화, 산업화 및 국제화 등의 영향으로 일반 가정에서도 중요한 기기로 자리 잡고 있다. 또한, 미세먼지의 증가, 알레르기 환자의 증가 및 생활 수준의 향상 등의 영향으로 그 수요도 급격히 늘고 있다.Air purifiers are becoming an important device in general households due to the effects of urbanization, industri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In addition, the demand for it is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influence of the increase in fine dust, the increase in allergy sufferers, and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공기정화장치가 일반 가정과 같이 100㎡ 이상을 넘어서는 환경을 대상으로 할 때에는, 기기의 크기가 충분히 클 필요가 있다. 이러한 기기에는 먼지 등의 물리적 입자를 걸러주는 필터, 가스 등의 화학물질을 걸러주는 필터 및 세균 바이러스 등의 미생물을 걸러주는 필터가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보다 넓은 공간에서는 여러 가지 필터를 복합적 있도록 충분히 큰 공기정화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When the air purifier targets an environment exceeding 100 m2, such as a general home, the size of the device needs to be large enough. A filter that filters out physical particles such as dust, a filter that filters chemicals such as gas, and a filter that filters microorganisms such as bacteria and viruses may be used in combination in these devices. That is, in a wider space, a sufficiently large air purifier can be used to combine various filters.

그러나, 원룸, 차량 내부와 같은 좁은 공간이나 공공 도서관 등과 같이 보다 넓은 공간 또는 실외에서 큰 크기의 공기정화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공간의 활용성, 이동성, 에너지 소모의 효율성 등을 고려할 때 비효율적이다. 또한, 이동이 잦은 사용자에게는 큰 크기의 공기정화기보다는 크기가 작으면서 휴대가 가능한 공기정화장치가 보다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개인이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 공기정화장치가 개발되고 있다.However, it is inefficient to use a large-sized air purifier in a narrow space such as a studio room or inside a vehicle, or in a wider space such as a public library or outdoors in consideration of space utilization, mobility, and efficiency of energy consumption.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an air purifier that is small and portable is more suitable for users who move frequently than a large-sized air purifier. Under this background, portable air purifiers that can be carried by individuals are being developed.

휴대용 공기정화장치는 휴대가 쉽도록 작고 가벼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공기정화장치는 사용자가 쉽게 휴대하면서 원하는 장소에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휴대용 공기정화장치는 일 공간에 설치되어 공간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정화된 공기를 제공하기 보다는, 외출이 잦거나 여러 장소를 이동하는 생활 패턴을 갖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기기라고 볼 수 있다.The portable air purifier may be provided in a small and light form for easy portability. Such a portable air purifier ha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easily carry it and use it in a desired place. That is, the portable air purifier is installed in a work space to provide purified air to the user located in the space, but it can be viewed as a device suitable for a user having a life pattern of going out frequently or moving to various places.

한편, 대한민국 공개공보 제10-2010-0063548호 (이하, 선행문헌으로 약칭함.)은 사류형 팬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를 개시한다. 상기 선행문헌에 개시된 공기 청정기는, 사류형 블레이드를 구비하여 그 회전에 의해 유입부로부터 유출부로 유로를 형성하는 사류형 팬, 상기 사류형 팬의 유출부 측에 배치되어 상기 사류형 팬으로부터 나오는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를 구비한 토출 커버, 상기 사류형 팬의 유입부 측에 배치되어 상기 사류형 팬으로 들어가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및 상기 필터의 상류 측에 배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그릴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그릴(520)로 흡입되는 공기의 방향과 상기 토출 커버(54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일치시킨다.On the other hand, Republic of Korea Publication No. 10-2010-0063548 (hereinafter abbreviated as prior literature.) discloses an air purifier having a four-flow fan. The air purifier disclosed in the prior literature includes a quadruple fan having a quadratic blade and forming a flow path from an inlet to an outlet by rotation thereof, and is disposed on the outlet side of the quadrilateral fan and air coming out of the fan. A discharge cover having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o the outside, a filter disposed on the inlet side of the quadruple fan to purify air entering the quadruple fan, and a filter dispos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filter to suck in external air A suction grill is included, and the direction of the air sucked into the suction grill 520 matches th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cover 540 .

그러나, 휴대용 공기정화장치의 경우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는 공기정화장치보다 정화효율이 다소 낮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공기정화장치가 포함할 수 있는 필터의 종류도 제한적 뿐더러 기류를 형성하는 팬의 용량 또한 제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휴대용 공기정화장치는 휴대용 공기정화장치가 위치한 공간의 공기를 전반적으로 정화하기보다, 휴대용 공기정화장치와 인접하게 위치한 사용자에게 정화된 공기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고 볼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portable air purifier, the purification efficiency may be somewhat lower than that of an air purifier used in a general home. This is because, as described above, the type of filter that the portable air purifier can include is limited and the capacity of the fan that forms the airflow may also be limited.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portable air purifier aims to provide purified air to a user located adjacent to the portable air purifier rather than purify the air in the space in which the portable air purifier is located.

따라서, 휴대용 공기정화장치의 경우 그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 방향보다는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정화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구성이 요구된다. 예컨대, 휴대용 공기정화장치는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에 정화된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공기의 토출구를 변경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case of a portable air purifier, a configuration for discharging purified air directly to the user rather than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flowing therein is required. For example, the portable air purifier may include a configuration that can change the air outlet so that the purified air is discharged to the space where the user is located.

더하여, 휴대용 공기정화장치의 경우라도 사용자로부터 조작을 입력 받는 입력부가 요구된다.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조작을 입력 받아 입력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이 때, 입력부가 상기 공기의 토출구를 변경시키는 구성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입력부에 연결된 하네스의 단선이 문제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a portable air purifier,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n operation input from a user is required. The input unit may receive a manipulation input from the user and process the inputted information. In this case, when the input unit is provided in a configuration for changing the air outlet, disconnection of the harness connected to the input unit may be a problem.

결국, 휴대용 공기정화장치의 경우, 공기의 토출구를 변경시키는 구성에 더하여, 공기의 토출구가 변경되더라도 하네스의 단선이 방지되는 구성이 요구된다.After all, in the case of a portable air purifier,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for changing the air outlet, a configuration in which disconnection of the harness is prevented even when the air outlet is changed is required.

대한민국 공개공보 제10-2010-0063548호Republic of Korea Publication No. 10-2010-0063548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에 정화된 공기를 직접 토출하는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n air purifying device that directly discharges purified air to a space in which a user is loc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기토출구가 변경되더라도 하네스의 단선을 방지하는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purifying device that prevents disconnection of a harness even when an air outlet is chang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여유분의 하네스를 배치될 수 있는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n air purifying device in which a spare harness can be arrang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필터를 교체할 때에도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는 하네스를 포함하는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n air purifying device including a harness that is not exposed to a user even when a filter is replac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 가능한 동작구조를 가지는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n air purifying device having an operation structure capable of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in a desired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송풍구에 버튼을 적용하기 위해 중앙부에 하네스 통과 구조가 구비된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n air purifying device provided with a harness passage structure in the central portion in order to apply a button to the air outle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네스의 단선을 방지하기 위해 위치가 변경되되 수직방향으로 회전이 방지되는 토출구를 가지는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n air purifier having a discharge port that is changed in position to prevent disconnection of the harness and is prevented from rot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기유입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구비되며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토출유닛, 상기 토출유닛의 하부에서 상하방향의 제1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공기유입부에서 상기 공기토출구로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팬어셈블리 및 상기 팬어셈블리의 하부 및 상기 공기유입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유닛은, 정보를 표시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는 버튼, 상기 버튼에 고정되는 토출하우징, 상기 팬어셈블리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토출하우징을 회전시키는 틸팅부, 상기 버튼의 하부 및 상기 틸팅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버튼에 입력된 정보를 제어하는 버튼PCB, 상기 틸팅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버튼에 표시되는 정보를 제어하는 표시PCB 및 상기 버튼PCB와 상기 표시PCB를 연결하는 하네스를 포함하며, 상기 틸팅부는 상기 제1축에서 수평방향으로 기울어진 제2축을 기준으로 상기 토출하우징을 회전시키는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housing having an air inlet portion is formed, a discharge unit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and having an air discharge port formed therein, and rotated based on a first axi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unit. , a fan assembly that forms a flow of air from the air inlet to the air outlet, and a filter uni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an assembly and an upper portion of the air inlet to purify air, wherein the discharge unit displays information or a button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a discharge housing fixed to the button, a tilting part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fan assembly to rotate the discharge housing, a lower part of the button and an upper part of the tilting part provided on the button to input to the button a button PCB for controlling the displayed information, a display PCB provided under the tilting unit to control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button, and a harness for connecting the button PCB and the display PCB, wherein the tilting unit is located in the first axis An air purifying device for rotating the discharge housing with respect to a second axis incli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provided.

여기에서,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은 서로 수직하게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first axis and the second axis may be provid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더하여, 상기 토출하우징은 상기 제1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housing may be prevented from rotating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s.

상기 하네스는 상기 제1축의 연장선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버튼PCB와 연결될 수 있다.The harness may be connected to the button PCB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extension line of the first shaft.

또는, 상기 하네스는 상기 제1축의 연장선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표시PCB와 연결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harness may be connected to the display PCB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extension line of the first axis.

상기 토출유닛은 상기 팬어셈블리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틸팅부를 상기 팬어셈블리와 이격시키는 이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may further include a spacer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fan assembly to separate the tilting unit from the fan assembly.

상기 틸팅부는, 상기 제2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틸팅부재, 상기 틸팅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틸팅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틸팅브라켓 및 상기 틸팅부재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버튼PCB와 체결되는 틸팅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tilting unit includes a tilting member rotating about the second axis, a tilting bracket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tilting member at a lower portion of the tilting member, and a tilting plate provided on the tilting member and fastened to the button PCB. may include

상기 틸팅부재는, 틸팅바디, 상기 틸팅바디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축을 형성하는 틸팅축 및 상기 틸팅바디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틸팅플레이트와 연결되는 틸팅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tilting member may include a tilting body, a tilting shaft protruding from the tilting body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form the second axis, and a tilting extension extending upwardly from the tilting body and connected to the tilting plate.

상기 틸팅브라켓은, 상기 틸팅부재를 수용하는 틸팅브라켓바디 및 상기 틸팅브라켓바디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틸팅축을 수용하는 틸팅축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tilting bracket may include a tilting bracket body accommodating the tilting member, and a tilting shaft accommodating part formed through the tilting bracket body to accommodate the tilting shaft.

상기 토출유닛은 상기 틸팅부를 상하방향으로 고정시키는 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ating part for fixing the tilting 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안착부는, 상기 틸팅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안착하우징 및 상기 안착하우징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틸팅부재와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돌출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ating portion may include a seating housing provid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tilting member, and a protruding rib formed to protrude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seating housing and provided to contact the tilting member.

상기 돌출리브는 상기 안착하우징의 내면에서 돌출될수록 테이퍼드(tapered) 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protruding rib may have a tapered shape as it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ating housing.

상기 안착부는, 상기 안착하우징의 상면이 개구되어 상기 틸팅바디가 삽입되는 안착개구부 및 상기 안착개구부에서 상기 안착하우징을 향해 절개되어 상기 틸팅축이 삽입되는 틸팅축통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at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seating opening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housing is opened to insert the tilting body, and a tilting shaft passing part in which the tilting shaft is inserted by being cut from the seating opening toward the seating housing.

상기 이격부는, 상기 팬어셈블리의 상단에 체결되며 상기 표시PCB를 수용하는 PCB수용하우징 및 상기 PCB수용하우징의 상단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틸팅브라켓과 체결되는 이격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The spacer may include a PCB accommodating housing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fan assembly and accommodating the display PCB, and a spaced housing extending upwardly from the top of the PCB accommodating housing and fastened to the tilting bracket.

상기 PCB수용하우징은 상기 팬어셈블리의 상단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작게 구비될 수 있다.The PCB accommodating housing may have a smaller diameter as it moves away from the top of the fan assembly.

상기 하네스는 상기 표시PCB에서 상기 틸팅브라켓, 상기 틸팅부재, 상기 틸팅연장부 및 상기 틸팅플레이트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버튼PCB와 연결될 수 있다.The harness may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tilting bracket, the tilting member, the tilting extension and the tilting plate in the display PCB to be connected to the button PCB.

상기 토출유닛은 상기 틸팅부를 관통하여 상기 하네스의 경로를 제공하는 하네스통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scharg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harness passing part that passes through the tilting part to provide a path of the harness.

상기 하네스통과부는, 상기 틸팅브라켓을 관통하는 브라켓통과부, 상기 틸팅바디를 관통하는 바디통과부, 상기 틸팅연장부를 관통하는 연장통과부 및 상기 틸팅플레이트를 관통하는 플레이트통과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arness passing part may include a bracket passing part penetrating the tilting bracket, a body passing part penetrating the tilting body, an extension passing part penetrating the tilting extension part, and a plate passing part penetrating the tilting plate.

상기 브라켓통과부와 상기 바디통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하는 길이는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A length formed by at least one of the bracket passing portion and the body passing portion may be formed to be greater than the width.

상기 연장통과부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연장통과부 및 상기 제1연장통과부의 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통과부와 연통되는 제2연장통과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nded passage portion may include a first extended passage portion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second extension passage portion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an end of the first extension passage portion and communicated with the plate passage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는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에 정화된 공기를 직접 토출할 수 있다.The ai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irectly discharge purified air to a space in which a user is loc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는 공기토출구가 변경되더라도 하네스의 단선이 방지될 수 있다.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onnection of the harness can be prevented even if the air outlet is chang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는 여유분의 하네스를 수용할 수 있다.The air purif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ommodate an extra harnes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네스는 사용자가 필터를 교체하더라도 사용자게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The harn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be exposed to the user even if the user replaces the fil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된 도면,
도 2는 상기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및 하우징에 수용되는 부품이 도시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유닛이 도시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어셈블리가 도시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유닛이 도시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유닛이 도시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장유닛이 도시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에서 공기의 흐름이 도시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네스의 연결이 도시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유닛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격부와 틸팅부가 도시된 도면,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가 도시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브라켓이 도시된 도면,
도 1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부재와 틸팅플레이트가 도시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하우징의 회전이 도시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네스의 연결이 도시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air purif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front;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housing and part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fa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fa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dischar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eriliz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 electric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air in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of a harn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char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 spaced part and a tilt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showing a seat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showing a tilt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howing a tilting member and a tilt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view showing the rotation of the discharge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of a harn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provid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devices, and/or systems described herein.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terminology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and should in no way be limiting. Unless explicitly used otherwise, expressions in the singular include the meaning of the plural. In this description, expressions such as “comprising” or “comprising” are intended to indicate certain features, numbers, steps, acts, elements, some or a combination thereof, one or more other than those described. It should not be construed to exclude the presence or possibility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acts, elements, or any part or combination thereof.

이하,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10)의 전반적인 구성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air purifi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10)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2는 상기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10)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n air purify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front,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 and FIG. 3 is an air purify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urification device 10 .

공기정화장치(10)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기류를 형성하는 팬유닛(200), 하우징(10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부(300) 및 정화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유닛(400)을 포함한다.The air purifier 10 includes a housing 100 , a fan unit 200 for forming an airflow inside the housing 100 , a filter unit 300 for purifying air flowing inside the housing 100 , and purification and a discharge unit 400 for discharging the used air.

공기정화장치(10)는 하우징(10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 등을 제거하는 살균유닛(500),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장유닛(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ir purifier 10 includes a sterilization unit 500 that removes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flowing inside the housing 100 , and an electric unit 600 that supplies power to a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housing 100 . )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1개 이상의 PCB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구성 별로 상세히 후술한다.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PCB, and specific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for each configuration in detail.

하우징(100)은 구성들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며, 공기정화장치(10)의 외관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하우징(100)의 형상에 관해서는 전술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형상이면 족하며 큰 제한은 없다. 일 예로, 하우징(100)은 속이 빈 원기둥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100 provides a space for accommodating components, and forms at least a part of the exterior of the air purifier 10 . Regarding the shape of the housing 100 , any shape capable of providing the above-described space is sufficient and there is no major limitation. For example, the housing 100 may include a hollow cylindrical shape.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팬유닛(200), 필터부(300), 토출유닛(400), 살균유닛(500), 전장유닛(600)이 위치할 수 있다.The fan unit 200 , the filter unit 300 , the discharge unit 400 , the sterilization unit 500 , and the electric unit 600 may be located inside the housing 100 .

하우징(100)은 하우징(100)의 외부와 내부를 연통시키는 공기유입부(130)를 포함한다. 공기유입부(130)는 하우징(100)에 관통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100)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각각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100 includes an air inlet 130 that communicates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 The air inlet 130 may be formed through the housing 100 , and may be form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100 , respectively.

토출유닛(400)은 하우징(100)의 상측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토출유닛(400))을 이동시키는 구체적 구성은 도 11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한다.The discharge unit 400 is movably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100 . A specific configuration for moving the discharge unit 4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11 .

토출유닛(40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위치한 공기를 하우징(100)의 외부로 안내하는 공기토출부(415)를 포함한다.The discharge unit 400 includes an air discharge unit 415 for guiding air located inside the housing 100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

토출유닛(400)은 공기유입부(130)보다 상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팬유닛(200)이 기류를 형성하면, 하우징(100)의 외부에 위치한 공기는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된 후 공기토출부(415)를 통해 하우징(100)의 외부로 토출된다.The discharge unit 400 is located above the air inlet 130 . Accordingly, when the fan unit 200 forms an airflow, the air located outside the housing 100 flows into the housing 100 and the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through the air discharge unit 415 . .

필터부(300)는 필터(310) 및 필터(310)를 수용하는 필터케이스(3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unit 300 may include a filter 310 and a filter case 320 accommodating the filter 310 .

필터(310)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을 제거할 수 있는 구성으로, 제거 대상이 되는 이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필터(310)는 공기 중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필터, 공기 중 진드기 등과 같은 생물체를 제거하는 생화학필터 및 악취를 유발하는 물질(예컨대, 황화수소, 메틸메르캅탄, 트리메틸아민 등)을 제거하는 탈취필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lter 310 is configur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and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type of foreign substances to be removed. For example, the filter 310 is a dust filter that removes dust in the air, a biochemical filter that removes organisms such as mites in the air, and a deodorization that removes substances that cause odor (eg, hydrogen sulfide, methyl mercaptan, trimethylamine, etc.) At least one of the filters may be provided.

필터케이스(320)는 필터(31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하우징(10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필터부(3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The filter case 320 may be provid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lter 310 and may be detachably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00 . Accordingly, the filter unit 300 may be detachab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

별도의 필터케이스(320)가 없는 경우, 필터(310)가 하우징(10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If there is no separate filter case 320 , the filter 310 may be detachably provided in the housing 100 .

필터부(300)는 공기유입부(130)보다 상부에 위치하되, 토출유닛(400)의 하부에 위치한다. 이로써, 공기유입부(130)에서 공기토출부(415)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는 필터부(300)에 의해 정화될 수 있다.The filter unit 300 is located above the air inlet unit 130 , but is located below the discharge unit 400 . Accordingly, the air flowing from the air inlet 130 toward the air outlet 415 may be purified by the filter unit 300 .

바람직하게, 필터부(300)는 공기유입부(130)의 상부에 위치하되, 팬유닛(20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필터부(300)가 팬유닛(200)의 상부에 위치할 경우, 팬유닛(200)이 형성하는 기류가 필터부(300)에 의해 약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Preferably, the filter unit 300 is located above the air inlet 130 , but may be located below the fan unit 200 . This is because, when the filter unit 300 is positioned above the fan unit 200 , the air flow formed by the fan unit 200 may be weakened by the filter unit 300 .

살균유닛(500)은 공기 중에 포함된 미생물을 사멸시키는 구성으로, 필터부(300)의 하부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공기 중에 포함된 미생물이 필터부(300)로 유동하기 전에 사멸될 뿐만 아니라, 살균유닛(500)에 의해 필터부(300)에 위치한 미생물들이 사멸될 수 있기 때문이다.The sterilization unit 500 is configured to kill microorganisms contained in the air, and is preferably located below the filter unit 300 . This is because not only the microorganisms included in the air are killed before flowing to the filter unit 300 , but also the microorganisms located in the filter unit 300 by the sterilization unit 500 may be killed.

살균유닛(500)은 공기유입부(130)와 중첩되는 높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유입부(130)를 통해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동한 공기에 포함된 미생물은 가장 먼저 멸살될 수 있다.The sterilization unit 500 may be provided at a height overlapping the air inlet 130 . In this case, microorganisms included in the air flowing into the housing 100 through the air inlet 130 may be the first to be annihilated.

전장유닛(600)은 팬유닛(200), 필터부(300), 토출유닛(400) 및 살균유닛(500) 보다 하부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달리 말해, 전장유닛(600)은 하우징(100)의 내부 중 하단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The electric unit 600 is preferably located below the fan unit 200 , the filter unit 300 , the discharge unit 400 , and the sterilization unit 500 . In other words, the electric unit 600 is preferably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00 .

이는, 일반적으로 전장유닛(600)이 동일 부피 대비 형성하는 무게가 크기 때문에(밀도가 크기 때문에) 비롯된 것으로, 공기정화장치(10)를 이동시킨 후 특정 장소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This is generally due to the large weight (dense density) that the electric unit 600 forms relative to the same volume, and it is possible to stably seat the air purifier 10 in a specific place after moving it. .

더하여, 전장유닛(600)은 공기유입부(130)보다 하부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공기유입부(130)를 통해 유동한 공기는 토출유닛(400)을 향해 상부로 이동하게 되어 전장유닛(600)을 거치지 않을 수 있다. 공기정화장치(10)가 휴대 가능한 경우, 팬유닛(200)이 형성하는 기류의 세기는 제한적이라고 볼 수 있는데, 전장유닛(600)이 공기유입부(130)보다 하부에 위치됨에 따라 팬유닛(200)이 컨트롤하는 공간의 부피가 작아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ic unit 600 is preferably located lower than the air inlet (130). In this case, the air flowing through the air inlet 130 moves upward toward the discharge unit 400 so that it may not pass through the electric unit 600 . When the air purifier 10 is portable, the strength of the airflow formed by the fan unit 200 can be seen to be limited. As the electric unit 600 is located below the air inlet 130, the fan unit ( 200), the volume of the controlled space may be reduced.

이로써, 공기유입부(130)를 통해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동한 공기는 살균유닛(500)에 의해 살균된 후, 필터부(300)로 유동할 수 있다. 필터부(300)를 거쳐 정화된 공기는 팬유닛(200)을 지나 공기토출부(415)를 통해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외부로 유동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ir flowing into the housing 100 through the air inlet 130 may flow to the filter unit 300 after being sterilized by the sterilization unit 500 . The air purified through the filter unit 300 passes through the fan unit 200 and may flow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discharge unit 415 .

이하, 도 1 내지 도 4 그리고 도 8을 참조하여, 하우징(10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housing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and FIG. 8 .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케이스(110)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케이스(120)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케이스(120)와 살균유닛(500)이 도시된 도면이다.4 (a) is a view showing the outer case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b) is a view showing the inner case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the inner case 120 and the sterilization unit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하우징(100)은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케이스(110)와 아우터케이스(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이너케이스(120)를 포함한다.The housing 100 includes an outer case 110 forming an exterior and an inner case 120 provided inside the outer case 110 .

아우터케이스(110)는 전장유닛(600), 살균유닛(500), 필터부(300) 및 이너케이스(120)를 수용하는 제1아우터케이스(111)와 제1아우터케이스(111)의 상부에 위치하여 팬유닛(200)과 토출유닛(400)을 수용하는 제2아우터케이스(113)를 포함한다.The outer case 110 is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outer case 111 and the first outer case 111 for accommodating the electric unit 600, the sterilization unit 500, the filter unit 300, and the inner case 120. and a second outer case 113 positioned to accommodate the fan unit 200 and the discharge unit 400 .

제1아우터케이스(111)는 제2아우터케이스(113)를 기준으로 이동하거나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필터부(300)를 주기적으로 교체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제1아우터케이스(111)와 제2아우터케이스(113)가 분리될 때, 필터부(300)는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The first outer case 111 may be moved or detachab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outer case 113 . Accordingly, the user may periodically replace the filter unit 300 . In other words, when the first outer case 111 and the second outer case 113 are separated, the filter unit 300 may be exposed to the user.

제1아우터케이스(111)는 속이 빈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공기유입부(130)는 제1아우터케이스(111)의 하단에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공기정화장치(10)가 차 안에 배치되는 경우를 상정한 것으로, 컵 홀더와 같은 구성에 공기정화장치(10)가 직립할 때 보다 원활한 공기의 흐름을 야기할 수 있다.The first outer case 111 may have a hollow cylindrical shape. The air inlet 130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outer case 111 . This is assuming that the air purifier 10 is disposed in a vehicle, and when the air purifier 10 is upright in a configuration such as a cup holder, a smoother air flow may be caused.

달리 말해, 공기유입부(130)는 제1아우터케이스(111)의 하단에서 이격된 위치에 관통 형성되는 아우터공기유입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air inlet 130 may include an outer air inlet 131 that is formed penetratingly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outer case 111 .

아우터공기유입부(131)는 제1아우터케이스(111)의 외부와 내부를 연통시키는 형상이면 족하나, 도면들은 아우터공기유입부(131)이 복수 개의 관통홀로 구비된 일 예를 도시한다. 이 때, 복수 개의 관통홀 각각은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outer air inlet 131 may have a shape that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first outer case 111 , but the drawings show an example in which the outer air inlet 13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In this case, each of the plurality of through-holes may be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제2아우터케이스(113)는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토출유닛(400)을 수용하므로, 토출유닛(400)의 이동에 따라 간섭되지 않는 형상임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2아우터케이스(113)는 제1아우터케이스(111)의 상단과 연결되며 속이 빈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유로유지부(1131)와, 유로유지부(1131)에서 상부로 연장되되 직경이 점차 커지는 유로확장부(1133)를 포함할 수 있다.Since the second outer case 113 accommodates the discharging unit 400 that is movably provided, it is preferable to have a shap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discharging unit 400 . To this end, the second outer case 113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outer case 111 and includes a channel holding part 1131 having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extending upward from the channel holding part 1131 but having a diameter. It may include a passage expansion part 1133 that gradually increases.

토출유닛(400)의 적어도 일부는 유로확장부(1133)의 내부에 수용되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팬유닛(200)의 적어도 일부는 유로유지부(113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로써, 팬유닛(200)을 통과한 공기는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공기토출부(415)를 통해 하우징(10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discharge unit 4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flow path expansion unit 1133 to be movable. At least a portion of the fan unit 2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flow path maintaining unit 1131 . Accordingly,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an unit 20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through the air discharge unit 415 provided to be movable.

이너케이스(120)는 아우터케이스(110)보다 작은 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너케이스(120)는 제1아우터케이스(111)와 대응되는 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The inner case 120 may be provided with a height smaller than that of the outer case 110 . The inner case 120 may be provid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first outer case 111 .

이너케이스(120)의 내부에는 전장유닛(600), 살균유닛(500), 필터부(300)가 수용될 수 있다. 이 때, 이너케이스(120)의 상면에는 팬유닛(200)이 체결될 수 있다.The electric unit 600 , the sterilization unit 500 , and the filter unit 3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case 120 . At this time, the fan unit 200 may be faste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20 .

이너케이스(120)는 이너케이스(120)의 하측에 구비되어 전장유닛(600)을 수용하는 전장수용부(121)와 이너케이스(120)의 내부에 필터부(300)를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필터착탈부(123) 및 팬유닛(200)을 이너케이스(120)에 고정시키는 팬유닛체결부(125)와 필터착탈부(123)와 전장수용부(121)의 사이에 위치하여 살균유닛(500)을 수용하는 살균체결부(127)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case 120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ner case 120 to accommodate the electric length accommodating part 121 for accommodating the electric unit 600 and the filter part 300 in the inner case 120 to be detachably accommodated. The sterilization unit ( 500) and may include a sterilization fastening part 127 for accommodating it.

여기에서, 수용한다는 의미는 수용 대상이 되는 구성과 중첩되는 높이에 형성됨을 의미할 수 있다.Here, accommodating may mean being formed at a height that overlaps with the configuration to be accommodated.

전장수용부(121)는 이너케이스(12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팬유닛체결부(125)는 이너케이스(12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필터착탈부(123)는 전장수용부(121)와 팬유닛체결부(125)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electric length accommodating part 121 may be located below the inner case 120 . The fan unit fastening part 125 may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case 120 . The filter attachment/detachment part 123 may be located between the electric length accommodating part 121 and the fan unit fastening part 125 .

한편, 하우징(100)은 아우터케이스(110)를 기준으로 이너케이스(120)를 이동시키는 교체프레임(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housing 100 may further include a replacement frame 140 for moving the inner case 120 with respect to the outer case 110 .

교체프레임(140)은 아우터케이스(110)의 내주면에 고정되되, 이너케이스(120)의 외주면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교체프레임(140)은 제1아우터케이스(111)의 내주면에 고정되되 전장수용부(121)의 외주면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The replacement frame 140 is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ase 110 , and may be movably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case 120 . Specifically, the replacement frame 140 may be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outer case 111 and movably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ic length accommodating part 121 .

이로써, 이너케이스(120)는 제1아우터케이스(111)를 기준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필터부(300)를 교체하기 위해 제1아우터케이스(111)를 제2아우터케이스(113)와 분리시킨 후, 이너케이스(120)를 제1아우터케이스(111)를 기준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inner case 120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outer case 111 . Accordingly, after the user separates the first outer case 111 from the second outer case 113 to replace the filter unit 300 , the inner case 120 is moved based on the first outer case 111 . can do it

일 예로, 이너케이스(120)는 제1아우터케이스(111)를 기준으로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제1아우터케이스(111)는 이너케이스(120)를 기준으로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ner case 120 may move upward with respect to the first outer case 111 . In other words, the first outer case 111 may move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inner case 120 .

이로써, 제1아우터케이스(111)와 제2아우터케이스(113)가 상호 분리될 때, 필터부(300)는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ly, when the first outer case 111 and the second outer case 113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filter unit 300 can be exposed to the user.

공기유입부(130)는 이너케이스(120)에 관통되는 이너공기유입부(133)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이너공기유입부(133)는 살균체결부(127)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The air inlet 130 further includes an inner air inlet 133 penetrating through the inner case 120 . Specifically, the inner air inlet 133 may be formed through the sterilization fastening portion 127 .

이너공기유입부(133)는 아우터공기유입부(131)와 적어도 일부 높이에서 중첩될 수 있다. 아우터공기유입부(131)가 형성하는 소정의 높이는 이너공기유입부(133)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The inner air inlet 133 may overlap the outer air inlet 131 at least at a partial height. A predetermined height formed by the outer air inlet 131 may be greater than that of the inner air inlet 133 .

이로써, 아우터공기유입부(131)를 유동한 공기는 이너공기유입부(133)를 유동할 수 있고, 이너공기유입부(133)를 유동한 공기는 살균유닛(500)에 의해 살균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air flowing through the outer air inlet 131 may flow through the inner air inlet 133 , and the air flowing through the inner air inlet 133 may be sterilized by the sterilization unit 500 . .

이너공기유입부(133)는 이너케이스(12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형상이면 족하며, 도면들은 이너공기유입부(133)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며 복수 개로 구비되어 원주 방향으로 각각 이격된 일례를 도시한다.It is sufficient that the inner air inlet 133 has a shape that communicates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inner case 120, and the drawings show an example in which the inner air inlet 133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is provided in plurality, each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hows

한편 상세히 후술하겠지만, 전장유닛(600)은 전장수용부(121)의 내부에 고정되는 전장하우징(6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이너공기유입부(133)는 전장하우징(610)의 상부에 위치하거나, 전장하우징(610)의 상면과 적어도 일부의 높이가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the electric unit 600 may include the electric length housing 610 fixed to the inside of the electric length accommodating part 121 . At this time, the inner air inlet 133 may be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lectric housing 610 , or may be formed to overlap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ic housing 610 with at least a partial height.

전장수용부(121)는 내주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전장하우징(610)과 체결되는 전장체결부(12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전장하우징(610)에는 전장체결부(1211)와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electric length accommodating part 121 may include an electric length fastening part 1211 which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s fastened to the electric length housing 610 . In this case, a fastening groove to be fastened to the electric length fastening part 1211 may be formed in the electric housing 610 .

필터착탈부(123)는 이너공기유입부(133)의 상부에서 관통되거나 절개되어 필터부(300)가 착탈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필터개구부(1231)와, 필터개구부(1231)를 통해 필터착탈부(123)의 내부에 위치한 필터부(300)를 고정시키는 필터고정리브(1233)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detachable part 123 is penetrated or cut from the upper part of the inner air inlet 133 to provide a detachable space for the filter part 300, and a filter detachable part through the filter opening 1231. It may include a filter fixing rib 1233 for fixing the filter unit 300 located inside the 123 .

필터개구부(1231)는 필터부(30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관통 또는 절개 형성될 수 있다. 필터부(300)가 필터케이스(320)를 구비하는 경우, 필터개구부(1231)는 필터케이스(3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lter opening 1231 may be penetrated or cut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lter unit 300 . When the filter unit 300 includes the filter case 320 , the filter opening 1231 may b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lter case 320 .

이와 반대로, 필터부(300)가 별도의 필터케이스(320)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 필터개구부(1231)는 필터(3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Conversely, when the filter unit 300 does not include a separate filter case 320 , the filter opening 1231 may b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lter 310 .

필터고정리브(1233)는 이너케이스(120)의 내주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이너케이스(120)의 내부에 삽입된 필터부(3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고정리브(1233)는 필터개구부(1231)의 하단에서 이너케이스(120)의 내부를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filter fixing rib 1233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case 120 to fix the filter unit 300 inserted into the inner case 120 . Specifically, the filter fixing rib 1233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end of the filter opening 1231 toward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120 .

팬유닛체결부(125)는 이너케이스(120)의 상단에 구비되어 팬유닛(200)을 이너케이스(1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The fan unit fastening part 125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inner case 120 to fix the fan unit 200 to the inner case 120 .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유닛(200)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an uni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하우징(230)이 도시된 도면,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하우징(220)이 도시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어셈블리(210)가 도시된 도면이다. Figure 5 (a) is a view showing a fixed housing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b) is a view showing a fan housing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fan assembly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팬유닛(200)은 회전하여 기류를 형성하는 팬어셈블리(210), 팬어셈블리(210)를 수용하는 팬하우징(220)을 포함한다.The fan unit 200 includes a fan assembly 210 that rotates to form an airflow, and a fan housing 220 that accommodates the fan assembly 210 .

팬어셈블리(210)는 중공이 형성된 허브(211), 허브(211)와 이격되는 슈라우드(215), 허브(211)와 슈라우드(215)를 연결하는 블레이드(2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fan assembly 210 may include a hollow hub 211 , a shroud 215 spaced apart from the hub 211 , and a blade 213 connecting the hub 211 and the shroud 215 .

허브(211), 블레이드(213) 및 슈라우드(215)는 일체로 형성되어 같이 회전할 수 있다. 슈라우드(215)는 허브(211)의 하측에서 허브(211)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달리 말해, 허브(211)가 형성하는 직경은 슈라우드(215)가 형성하는 직경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The hub 211 , the blade 213 , and the shroud 215 are integrally formed and can rotate together. The shroud 215 may be provided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hub 211 under the hub 211 . In other words, a diameter formed by the hub 211 may be smaller than a diameter formed by the shroud 215 .

블레이드(213)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허브(211)의 외주면에서 슈라우드(215)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복수 개의 블레이드는 각각 허브(211)의 외주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이격 될 수 있다.A plurality of blades 213 may be provided to exten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ub 211 toward the shroud 215 .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blade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same distanc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ub 211 .

복수 개의 블레이드는 허브(211)의 외주면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슈라우드(215)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블레이드(213)는 상하 방향, 좌우방향, 전후방향 각각으로 위치가 변경되면서 연장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lades may extend radially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ub 211 to be connected to the shroud 215 . At this time, each of the blades 213 may be extended while changing posit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front-rear direction, respectively.

팬어셈블리(210)는 허브(211), 블레이드(213) 및 슈라우드(215)를 회전시키는 구동부(217)를 포함한다.The fan assembly 210 includes a hub 211 , a blade 213 , and a driving unit 217 for rotating the shroud 215 .

구동부(217)가 모터로 구비될 경우,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스테이터(2173), 스테이터(2173)가 형성한 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2171) 및 로터(2171)에 결합되는 샤프트(2175)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driving unit 217 is provided as a motor, the stator 2173 forming a rotating magnetic field, the rotor 2171 rotating by the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stator 2173, and the shaft 2175 coupled to the rotor 2171 are provided. may include

팬하우징(220)은 팬어셈블리(210)를 일측에서 수용하는 팬수용하우징(221) 및 팬어셈블리(210)를 타측에서 수용하는 팬베이스하우징(223)을 포함할 수 있다.The fan housing 220 may include a fan accommodating housing 221 accommodating the fan assembly 210 at one side and a fan base housing 223 accommodating the fan assembly 210 at the other side.

팬수용하우징(221)은 양단이 개구되어 팬어셈블리(21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팬수용바디(2211), 팬수용바디(2211)의 일단 개구부에 결합되는 구동체결프레임(2213)을 포함할 수 있다.The fan accommodating housing 221 includes a fan accommodating body 2211 having both ends open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an assembly 210, and a driving fastening frame 2213 coupled to an opening at one end of the fan accommodating body 2211. may include

구동체결프레임(2213)은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리브를 포함하여 팬수용개구부(2215)를 형성할 수 있다.The driving fastening frame 2213 may include a plurality of radially extending ribs to form the fan accommodating opening 2215 .

팬베이스하우징(223)은 팬수용하우징(221)의 타단에 결합되어 팬어셈블리(2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The fan base housing 223 may b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an accommodating housing 221 to rotatably support the fan assembly 210 .

한편, 구동부(217)는 팬하우징(220)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217)는 팬수용하우징(221) 및 팬베이스하우징(2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driving unit 217 may be provided in the fan housing 220 . Specifically, the driving unit 217 may be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fan accommodating housing 221 and the fan base housing 223 .

이로써, 팬어셈블리(210)는 팬하우징(2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an assembly 210 may be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fan housing 220 .

그러나, 팬하우징(220)이 이너케이스(120)에 직결될 경우, 팬어셈블리(210)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이 외부로 노출되기 쉬워진다. 팬어셈블리(210)에서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줄이기 위해, 팬하우징(220)은 별도의 구성에 의해 이너케이스(120)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However, when the fan housing 22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inner case 120 , vibration or noise generated by the fan assembly 210 is easily exposed to the outside. In order to reduce the exposure of vibration or noise generated in the fan assembly 210 to the outside, the fan housing 220 is preferably fixed to the inner case 120 by a separate configuration.

이를 위해, 팬유닛(200)은 팬하우징(220)을 이너케이스(120)에 고정시키는 고정하우징(230)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fan unit 200 may include a fixed housing 230 for fixing the fan housing 220 to the inner case 120 .

고정하우징(230)은 내부에 팬하우징(220)을 고정하고, 이너케이스(120)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즉, 고정하우징(230)은 팬유닛체결부(125)에 고정될 수 있다.The fixed housing 230 may fix the fan housing 220 therein and be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inner case 120 . That is, the fixed housing 230 may be fixed to the fan unit fastening part 125 .

고정하우징(230)은 팬하우징(220)이 형성하는 상하방향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내부에 팬하우징(220)이 고정되더라도 팬하우징(220)의 하부에 여유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여유공간에는 USB와 연결 가능한 PCB가 배치될 수 있다.The fixed housing 23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med by the fan housing 220 , so that even if the fan housing 220 is fixed therein, an extra space may be provided under the fan housing 220 . In this case, a PCB connectable to the USB may be disposed in the free space.

고정하우징(230)의 내부에 팬하우징(220)을 고정시키기 위해, 팬하우징(220)은 하우징고정프레임(2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고정프레임(225)은 팬수용하우징(221)의 상단에 고정되되, 함몰 형성된 리세스(2251)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fix the fan housing 220 to the inside of the fixed housing 230 , the fan housing 220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fixing frame 225 . The housing fixing frame 225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fan accommodating housing 221 , and may include a recessed recess 2251 .

고정하우징(230)은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고정하우징바디(231), 고정하우징바디(213)의 상단에서 돌출된 제1후크(233) 및 고정하우징바디(231)의 내주면에서 돌출 형성된 제2후크(2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후크(235)는 상기 리세스(2251)에 체결될 수 있다.The fixed housing 230 is a fixed housing body 231 having a hollow cylindrical shape, a first hook 233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fixed housing body 213, and a second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ed housing body 231 A hook 235 may be included. In this case, the second hook 235 may be fastened to the recess 2251 .

이로써, 고정하우징(230)의 내부에는 팬하우징(220)이 고정될 수 있다. 고정하우징(230)이 이너케이스(120)에 고정됨에 따라, 팬하우징(220)이 이너케이스(120)에 고정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an housing 220 may be fixed inside the fixed housing 230 . As the fixed housing 230 is fixed to the inner case 120 , the fan housing 220 may be fixed to the inner case 120 .

이로써, 팬어셈블리(210)에서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은 이너케이스(120)에 바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결국, 팬어셈블리(210)에서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 중 외부로 누설되는 양이 적어질 수 있다.Accordingly, vibration or noise generated in the fan assembly 210 may not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inner case 120 . As a result, the amount of vibration or noise generated in the fan assembly 210 that is leaked to the outside may be reduced.

팬유닛(200)은 팬유닛(200)의 상부에 토출유닛(400)을 결합하기 위해 토출체결프레임(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an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fastening frame 240 to couple the discharge unit 40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an unit 200 .

토출체결프레임(240)은 팬하우징(220)의 상단에 고정되어 토출유닛(400)을 팬유닛(200)의 상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The discharge fastening frame 240 may be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fan housing 220 to position the discharge unit 400 above the fan unit 200 .

토출체결프레임(240)은 토출유닛(400)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토출프레임바디(241), 토출프레임바디(241)에 개구 또는 관통 형성되는 토출프레임개구부(243) 및 토출프레임바디(241)의 측면에 개구 또는 관통 형성되는 토출프레임리세스(245)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charge fastening frame 240 includes a discharge frame body 241 that provides a space for the discharge unit 400 to be seated, a discharge frame opening 243 formed through or through the discharge frame body 241, and the discharge frame body 241 . ) may include an opening or a discharge frame recess 245 formed through the side.

토출프레임개구부(243)는 토출프레임바디(241)의 하면에서 팬수용개구부(2215)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discharge frame opening 243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an receiving opening 2215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ischarge frame body 241 .

토출프레임리세스(245)는 제1후크(233)와 체결될 수 있다.The discharge frame recess 245 may be coupled to the first hook 233 .

이로써, 팬어셈블리(210)는 팬하우징(220)의 내부에 고정되고, 팬하우징(220)은 고정하우징(23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하우징(230)이 이너케이스(120)의 내부에 고정되어 팬어셈블리(210)는 이너케이스(12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토출유닛(400)은 팬유닛(200)의 상단에 체결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an assembly 210 may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fan housing 220 , and the fan housing 220 may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fixed housing 230 . The fixing housing 230 may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120 so that the fan assembly 210 may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120 . In addition, the discharge unit 400 may be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fan unit 200 .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유닛(400)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ischarge uni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유닛(400)의 사시도이며,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하우징(410)이 투명하게 도시된 도면이다.7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charge uni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B is a view showing the discharge housing 4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transparent manner.

토출유닛(400)은 토출하우징(410), 토출하우징(410)을 회전시키는 틸팅부(420), 틸팅부(420)를 팬유닛(200)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격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400 may include a discharge housing 410 , a tilting unit 420 for rotating the discharge housing 410 , and a spacer 430 for separating the tilting unit 420 from the fan unit 200 . .

이격부(430)는 토출체결프레임(240)에 구비되어 토출하우징(420)과 팬유닛(200)을 이격시킬 수 있다. 따라서, 토출하우징(420)이 회전하는 경우에도 토출하우징(420)이 팬유닛(200)과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spacer 430 may be provided in the discharge fastening frame 240 to separate the discharge housing 420 and the fan unit 200 from each other. Accordingly, even when the discharge housing 420 is rota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charge housing 420 from interfering with the fan unit 200 .

틸팅부(420)는 이격부(430)에 고정되어 토출하우징(4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틸팅부(420)는 토출하우징(410)을 회전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예컨대 볼과 볼조인트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토출하우징(410)은 틸팅부(420)를 기준으로 다양한 각도로 회전하거나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tilting part 420 may be fixed to the separation part 430 to rotate the discharge housing 410 . The tilting unit 420 is a means for rotating the discharge housing 410 , for example, a ball and a ball joint may be used. In this case, the discharge housing 410 can be rotated or moved at various angles based on the tilting part 420 .

토출유닛(400)에 관한 구체적 구성은 도 11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한다.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discharge unit 40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1 .

이하,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유닛(500) 및 전장유닛(600)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erilization unit 500 and the electric unit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9 .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유닛(500)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유닛(500)과 전장유닛(600)이 도시된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the sterilization unit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view showing the sterilization unit 500 and the electric unit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살균유닛(500)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살균하우징(510) 및 살균하우징(510)의 내부에 구비되어 멸균하는 살균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rilization unit 500 may include a sterilization housing 510 forming a space therein and a sterilization unit 520 provided in the sterilization housing 510 to sterilize.

살균하우징(510)은 살균부(52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측면(511), 살균부(520)의 상부에 위치하며 측면(511)과 연결되는 상면(513), 살균부(520)의 하부에 위치하되 개구된 하면(515)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erilization housing 510 includes a side surface 511 provid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terilization unit 520 , an upper surface 513 located above the sterilization unit 520 and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511 , and a sterilization unit 520 . ), but may include an open lower surface 515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측면(511)의 적어도 일부는 전장하우징(610)과 이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측면(511)은 그 하단에서 돌출 형성된 측면이격부(5111)를 포함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511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electric housing 610 . To this end, the side surface 511 may include a side separation portion 5111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thereof.

측면이격부(5111)는 복수 개로 형성되어 측면(511)의 하단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측면(511)은 측면이격부(5111)에 의해 형성되는 측면개구부(5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plurality of side spaced portions 5111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wer periphery of the side surface 511 . In this case, the side surface 511 may further include a side opening 5113 formed by the side spacer 5111 .

측면개구부(5113)는 공기유입부(130)와 적어도 일부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해, 측면개구부(5113)의 높이는 공기유입부(130)의 높이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될 수 있다.The side opening 5113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air inlet 130 . In other words, the height of the side opening 5113 may at least partially overlap the height of the air inlet 130 .

이로써, 공기유입부(130)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살균부(520)로 유동이 가능하며, 살균부(520)의 냉각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130 can flow to the sterilizing unit 520 , and cooling of the sterilizing unit 520 can be performed.

상면(513)은 측면(511)의 상단 둘레에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면(513)은 측면(511)의 상단 둘레에서 전장하우징(610)을 향해 연장될수록 직경이 작게 구비되는 상면바디(5131), 상면바디(5131)에 개구되거나 관통되는 상면연통홀(5133), 상면(513)의 연장 단부가 개구되어 형성되는 중앙개구부(5135)를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513 may be provided to be inclined downwardly around the upper end of the side surface 511 . Specifically, the upper surface 513 has an upper surface body 5131 having a smaller diameter as it extends from the upper periphery of the side surface 511 toward the full length housing 610, and an upper surface communication hole that is opened or penetrated through the upper surface body 5131 ( 5133), and a central opening 5135 formed by opening the extended end of the upper surface 513 may be included.

중앙개구부(5135)는 측면(511)의 중앙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상면연통홀(5133)은 복수 개로 구비되되 중앙개구부(5135)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The central opening 5135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side surface 511 , and a plurality of upper surface communication holes 5133 may be provided but located above the central opening 5135 .

이로써, 살균부(520)를 거친 공기는 상면연통홀(5133)을 통해 상부로 유동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terilization unit 520 may flow upward through the upper surface communication hole 5133 .

살균부(520)는 살균PCB(740) 및 살균PCB(740)에 장착되는 조사부(521)를 포함할 수 있다. 조사부(521)는 UVC LED로 구비될 수 있다.The sterilization unit 520 may include a sterilization PCB 740 and an irradiation unit 521 mounted on the sterilization PCB 740 . The irradiation unit 521 may be provided as a UVC LED.

조사부(521)는 살균PCB(740)에 장착되되, 중앙개구부(5135)를 통과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조사부(521)는 중앙개구부(5135)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irradiation unit 521 is mounted on the sterilization PCB 740 , and may pass through the central opening 5135 . In other words, the irradiation part 521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entral opening 5135 .

조사부(521)는 공기유입부(130)와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해, 조사부(521)는 공기유입부(130)와 적어도 일부의 높이가 중첩될 수 있다.The irradiation unit 521 may be form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air inlet 130 . In other words, the irradiating unit 521 may overlap the air inlet 130 at least partially in height.

조사부(521)는 중앙개구부(5135)에서 상부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The irradiator 521 may irradiate light from the central opening 5135 upward.

측면(511)은 조사부(521)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side surface 511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irradiation part 521 .

이로써, 조사부(521)는 유동하는 공기에 효율적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고, 특히 공기유입부(130)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살균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조사부(521)가 측면(511)에 의해 둘러 쌓임에 따라 사용자에게 유해할 수 있는 빛이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irradiator 521 can efficiently irradiate light to the flowing air, and in particular, can sterilize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130 . Furthermore, as the irradiation unit 521 is surrounded by the side surface 511 , light that may be harmful to the user may b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user.

전장하우징(610)은 살균하우징(510)과 체결되는 상면프레임(611), 상면프레임(611)의 둘레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측면프레임(613) 및 측면프레임(613)의 하단과 연결되며 상면프레임(611)과 마주보는 하면프레임(615)을 포함할 수 있다.The full-length housing 61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frame 611 fastened to the sterilization housing 510, the side frame 613 and the side frame 613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frame 611, and the upper frame It may include a lower frame 615 facing the 611.

측면프레임(613)은 일부가 개구된 개구부(613a)를 포함할 수 있다.The side frame 613 may include an opening 613a partially opened.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장유닛(600)은 전장하우징(610)을 포함하며, 전장하우징(6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620) 및 공기의 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센싱부(6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lectric unit 600 includes the electric housing 610, and a battery 620 provided inside the electric housing 610 to supply power and a sensing unit 630 for detecting the dust concentration of the air. ) may be further included.

센싱부(630)는 센싱부(630)의 외관을 형성하는 센싱하우징(631), 센싱하우징(631)의 내부에 구비되어 먼지의 농도를 측정하는 먼지센서(미도시), 센싱하우징(631)에 형성되어 먼지센서(미도시)와 외부를 연통하는 유로(미도시), 상기 유로(미도시)에 기류를 형성하는 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630 includes a sensing housing 631 forming the exterior of the sensing unit 630, a dust sensor provided inside the sensing housing 631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dust (not shown), and the sensing housing 631 It may include a flow path (not shown) that is formed in the dust sensor (not shown) and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and a fan (not shown) that forms an airflow in the flow path (not shown).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전반적인 기류의 방향 및 PCB들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verall direction of air flow and PCB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

도 10(a)는 토출유닛(400)이 회전하지 않은 상태에서 기류가 도시된 도면, 도 10(b)는 토출유닛(400)이 회전한 상태에서 기류가 도시된 도면이다.FIG. 10(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irflow in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unit 400 is not rotated, and FIG. 10(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irflow in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unit 400 is rotated.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유입부(130)는 하우징(100)의 하단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00)의 외부에 위치한 공기는 공기유입부(130)를 통해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동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ir inlet 130 may be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100 . Accordingly, air located outside the housing 100 may flow into the housing 100 through the air inlet 130 .

공기유입부(130)를 통해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동한 공기는 살균유닛(500)에 의해 멸균될 수 있다. 이 때, 살균유닛(500)을 유동하는 공기는 살균PCB(740)를 냉각하고 상부로 유동할 수 있다. 멸균 된 공기는 팬유닛(200)을 향해 상부로 유동할 수 있다. 팬유닛(200)을 향해 이동하는 공기는 필터부(300)에 의해 먼지 등의 이물이 제거될 수 있다.The air flowing into the housing 100 through the air inlet 130 may be sterilized by the sterilization unit 500 . At this time, the air flowing through the sterilization unit 500 may cool the sterilization PCB 740 and flow upward. The sterilized air may flow upward toward the fan unit 200 . In the air moving toward the fan unit 200 ,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may be removed by the filter unit 300 .

팬유닛(200)을 유동한 공기는 토출유닛(400)을 향해 상부로 유동할 수 있다. 이 때, 토출유닛(400)의 이동 여부에 따라 공기토출부(415)의 위치는 변경되고, 팬유닛(200)을 거친 공기는 변경된 공기토출부(415)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로써, 공기유입부(130)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상향 이동하여 공기토출부(415)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The air flowing through the fan unit 200 may flow upward toward the discharge unit 400 .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air discharge unit 415 is changed according to whether the discharge unit 400 moves, and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an unit 200 may move toward the changed air discharge unit 415 . Accordingly,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130 may move upward and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outlet 415 .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의 기류는 공기유입부(130)를 통해 유입되어 상향 이동하기 때문에 전장유닛(600)을 거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휴대용 공기정화장치(10)에서 제한된 팬유닛(200)의 기류 형성력에 의해서도 효율적으로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ir flow is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130 and moves upward, it does not pass through the electric unit 600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urify air even by the airflow forming force of the fan unit 200 limited in the portable air purifier 10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10)는 복수 개의 PCB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air purifi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PCBs.

상세히 후술하겠지만, 토출유닛(400)의 상단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버튼(450)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버튼(450)의 하부에 위치하여 버튼(450)에 입력된 정보를 처리하는 버튼PCB(710)가 요구된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a button 450 that receives input from a user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unit 400 . In this case, a button PCB positioned below the button 450 to process information input to the button 450 . 710 is required.

또한, 버튼(450)에 정보를 표시하거나 조명과 같은 기능이 추가되는 경우,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PCB(720)가 요구된다.In addition, when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button 450 or a function such as lighting is added, a display PCB 720 for controlling the display is required.

또한, 도 5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USB가 공기정화장치(10)에 삽입 될 경우, USB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처리하는 유틸PCB(730)가 요구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n FIG. 5 , when the USB is inserted into the air purifier 10 , a utility PCB 730 that processes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B is required.

또한, 도 8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살균PCB(740)가 요구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n FIG. 8 , a sterile PCB 740 is required.

또한, 전장유닛(600)은 배터리(620)의 하부에 위치하며 전술한 PCB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장PCB(750)를 포함해야 한다.In addition, the electric unit 600 is located under the battery 620 and must include an electric PCB 750 for supplying power to the above-described PCBs.

버튼PCB(710), 표시PCB(720), 유틸PCB(730), 살균PCB(740) 및 전장PCB(750)는 기술한 순서대로 상부에서 하부로 배치될 수 있다.The button PCB 710 , the display PCB 720 , the utility PCB 730 , the sterilization PCB 740 and the full-length PCB 750 may be disposed from top to bottom in the order described.

배터리(620)는 전술한 PCB들(710, 720, 730, 740, 7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battery 62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PCBs 710 , 720 , 730 , 740 , and 750 to supply power.

예컨대, 배터리(620)는 전술한 PCB들 각각에 직접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620)는 하우징(100)의 하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전원을 연결하는 하네스(w)가 복잡하게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battery 62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f the above-described PCBs to supply power. Howev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battery 620 is located under the housing 100, the harness w for connecting the power may be arranged in a complicated manner.

특히, 토출유닛(400)의 상단에 위치하는 버튼PCB(710)는 토출유닛(400)의 이동에 따라 그 위치가 변경될 수 밖에 없으므로, 버튼PCB(710)와 연결되는 하네스(w)에 단선이 문제될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position of the button PCB 710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unit 400 is inevitably chang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ischarge unit 400, the harness w connected to the button PCB 710 is disconnected. This could be a problem.

달리 말해, 표시PCB(720), 유틸PCB(730), 살균PCB(740), 전장PCB(750)의 경우 배터리(620)와 직접 연결되어도 하네스의 단선이 문제되지 않으나, 버튼PCB(710)의 경우 배터리(620)와 직접 연결되는 경우는 지양됨이 바람직하다.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the display PCB 720 , the utility PCB 730 , the sterilization PCB 740 , and the electric PCB 750 , disconnection of the harness is not a problem even if i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battery 620 , but the button PCB 710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avoid direct connection with the battery 620 .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표시PCB(720)에 전원을 공급하고, 버튼PCB(710)가 표시PCB(7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방식을 채택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ower is supplied to the display PCB 720 , and a method in which the button PCB 710 receives power from the display PCB 710 is adopted.

이하, 도 1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토출유닛(400)의 상세한 구조 및 하네스(w) 단선 방지를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detailed structure of the discharge unit 400 and a configuration for preventing disconnection of the harness w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8 .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네스의 연결이 도시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유닛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격부와 틸팅부가 도시된 도면,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가 도시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브라켓이 도시된 도면, 도 1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부재와 틸팅플레이트가 도시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하우징의 회전이 도시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네스의 연결이 도시된 도면이다.1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of a harn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char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view showing a seat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view showing a tilt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view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showing a tilting member and a tilt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view showing the rotation of the discharge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connection of a harn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the drawing shown.

먼저, 도 11 내지 도 14, 도 17을 참조하여 토출유닛(400)의 회전 구조를 설명한다.First, a rotational structure of the discharge unit 4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4 and 17 .

토출유닛(400)은 토출하우징(410), 토출하우징(410)을 회전시키는 틸팅부(420), 틸팅부(420)를 팬유닛(200)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격부(430), 토출하우징(410)에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버튼(450)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400 includes a discharge housing 410, a tilting part 420 for rotating the discharge housing 410, a spacer 430 for separating the tilting part 420 from the fan unit 200, a discharge housing 410 ) and may include a button 450 for receiving input from the user.

토출하우징(410)은 공기정화장치(10) 내부의 공기를 공기정화장치(10)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공기토출부(415)를 포함한다.The discharge housing 410 includes an air discharge unit 415 for communicating the air inside the air purifier 10 with the outside of the air purifier 10 .

공기토출부(415)는 토출하우징(410)을 관통 또는 절개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air discharge unit 415 may be formed by penetrating or cutting the discharge housing 410 .

토출하우징(410)은 버튼(450)이 고정되는 제1토출하우징(411)과 제1토출하우징(411)과 체결되는 제2토출하우징(4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공기토출부(415)는 제1토출하우징(413)에 형성되는 제1토출그릴(415a)과 제2토출하우징(413)에 형성되는 제2토출그릴(415b)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charge housing 410 may include a first discharge housing 411 to which the button 450 is fixed and a second discharge housing 413 to be fastened to the first discharge housing 411 . In this case, the air discharge unit 415 may include a first discharge grill 415a formed in the first discharge housing 413 and a second discharge grill 415b formed in the second discharge housing 413 . .

제1토출그릴(415a)의 형상과 제2토출그릴(415b)의 형상은 서로 대응될 수 있다. 이로써, 공기유입부(130)를 통해 공기정화장치(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제2토출그릴(415b) 및 제1토출그릴(415a)을 순차적으로 거쳐 공기정화장치(1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The shape of the first discharge grill 415a and the shape of the second discharge grill 415b may correspond to each other. Accordingly,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purifier 10 through the air inlet 130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grill 415b and the first discharge grill 415a to the outside of the air purifier 10 . can be discharged with

제1토출하우징(411)은 제2토출하우징(413)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고, 상호 체결되는 방식에는 크게 제한이 없다. 다만, 전술한 도면들에는 제1토출하우징(411)과 제2토출하우징(413) 중 어느 하나에는 체결리세스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체결후크가 형성된 일 예를 도시한다.The first discharge housing 411 may be located above the second discharge housing 413 , and there is no restriction on a method of mutually fastening the first discharge housing 411 . However, the above drawings show an example in which a fastening recess is formed in one of the first discharge housing 411 and the second discharge housing 413 and a fastening hook is formed in the other one.

이와 달리, 제1토출하우징(411)과 제2토출하우징(413)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first discharge housing 411 and the second discharge housing 413 may be integrally formed.

제1토출하우징(411)은 중앙이 개구되어 형성된 제1하우징개구부(4111), 제1하우징개구부(4111)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제1내측프레임(4113), 제1내측프레임(4133)과 이격되되 제1내측프레임(4133)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제1외측프레임(4115)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discharge housing 411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housing opening 4111 formed by opening the center, the first inner frame 4113 provided to surround the first housing opening 4111, and the first inner frame 4133 However, it may include a first outer frame 4115 provided to surround the first inner frame (4133).

이 때, 제1토출그릴(415a)는 제1내측프레임(4133)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제1외측프레임(4115)과 연결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discharge grill 415a may extend radially from the first inner frame 4133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outer frame 4115 .

제2토출하우징(413)는 중앙이 개구되어 형성된 제2하우징개구부(4131), 제2하우징개구부(4131)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제2내측프레임(4133), 제2내측프레임(4133)과 이격되되 제2내측프레임(4133)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제2외측프레임(4135)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discharge housing 413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housing opening 4131 formed by opening the center, the second inner frame 4133 provided to surround the second housing opening 4131, and the second inner frame 4133 However, it may include a second outer frame 4135 provided to surround the second inner frame (4133).

이 때, 제2토출그릴(415b)는 제2내측프레임(4133)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제2외측프레임(4135)와 연결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discharge grill 415b may extend radially from the second inner frame 4133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outer frame 4135 .

제1토출하우징(411)과 제2토출하우징(413)이 각각 별개로 형성되어 상호 체결되는 경우, 제1토출하우징(411)과 제2토출하우징(413)은 체결을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first discharge housing 411 and the second discharge housing 413 are formed separately and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first discharge housing 411 and the second discharge housing 413 may further include a configuration for fastening. can

구체적으로, 제1토출하우징(411)은 제2토출하우징(413)과 체결되기 위한 제1체결부(4117)를 포함할 수 있고, 제2토출하우징(413)은 제1토출하우징(411)과 체결되기 위한 제2체결부(4137)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discharge housing 411 may include a first fastening portion 4117 for being fastened to the second discharge housing 413 , and the second discharge housing 413 includes the first discharge housing 411 . It may include a second fastening portion 4137 for fastening with the.

제1체결부(4117)는 제1토출하우징(411)와 제2토출하우징(413)을 내측에서 체결하는 제1내측체결부(4117a) 및 제2토출하우징(411)와 제2토출하우징(413)을 외측에서 체결하는 제1외측체결부(4117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fastening part 4117 includes a first inner fastening part 4117a for fastening the first discharge housing 411 and the second discharge housing 413 from the inside, and the second discharge housing 411 and the second discharge housing ( It may include a first outer fastening portion 4117b for fastening the 413 from the outside.

제2체결부는 제1내측체결부(4117a)와 상호 체결되는 제2내측체결부(4137a) 및 제1외측체결부(4117b)와 상호 체결되는 제2외측체결부(4137b)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fastening part may include a second inner fastening part 4137a that is mutually fastened to the first inner fastening part 4117a and a second outer fastening part 4137b that is mutually fastened with the first outer fastening part 4117b. .

한편, 전술한 내측은 개구부들(4111, 4131)과 인접한 부분을 칭하며, 외측은 상기 내측보다 개구부들(4111, 4131)과 이격된 부분을 칭할 수 있다.Meanwhile, the aforementioned inner side may refer to a portion adjacent to the openings 4111 and 4131 , and the outer side may refer to a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openings 4111 and 4131 from the inner side.

이격부(430)는 팬유닛(200)의 상단 및 토출하우징(410) 각각에 체결되어 토출하우징(410)을 팬유닛(200)으로부터 이격 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격부(430)는 토출체결프레임(240) 중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The spacer 430 may be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fan unit 200 and the discharge housing 410 to separate the discharge housing 410 from the fan unit 200 . Specifically, the spacer 43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charge fastening frame 240 .

이격부(430)는 전술한 PCB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용하는 PCB수용하우징(431), PCB수용하우징(431)의 상단에 체결되거나 상단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이격하우징(433)을 포함할 수 있다.The spacer 430 may include a spaced housing 433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PCB accommodation housing 431 and the PCB accommodation housing 431 for accommodating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PCBs or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to the upper portion. have.

버튼(450)이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의 역할도 수행하는 경우, PCB수용하우징(431)에는 표시PCB(720)가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button 450 also serves as a display that can be displayed to the user, the PCB accommodating housing 431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PCB 720 .

PCB수용하우징(431)은 팬유닛(200)과 멀어질수록 직경이 작게 구비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형상은, 하네스(w)의 여유분을 두어 하네스(w)의 단선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에 있다.The PCB accommodating housing 431 may have a shape provided with a smaller diameter as the distance from the fan unit 200 increases. The above-described shape is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disconnection of the harness w by providing an extra portion of the harness w.

구체적으로, PCB수용하우징(431)은 토출체결프레임(240)의 상면에 접촉하여 토출체결프레임(240)에 고정되는 체결부(4311) 및 체결부(4311)에서 상부로 향할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되는 경사부(4313)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CB accommodating housing 431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discharge fastening frame 240 and is fixed to the discharge fastening frame 240 in the fastening part 4311 and the fastening part 4311 toward the upper part, th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It may include an inclined portion 4313 that is.

달리 말해, PCB수용하우징(431)의 형상은 원뿔 형상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shape of the PCB accommodating housing 431 may include a portion of the conical shape.

이격하우징(433)은 경사부(4313)의 상단에서 직경이 유지되며 상부로 연장되는 제1이격하우징(4331) 및 제1이격하우징(4331)의 상단에 위치하며 틸팅부(420)와 체결되는 제2이격하우징(4333)을 포함할 수 있다.The spaced housing 433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spaced housing 4331 and the first spaced housing 4331 extending upward and having a diameter maintained at the upper end of the inclined portion 4313 and fastened with the tilting unit 420. It may include a second spaced apart housing (4333).

제2이격하우징(4333)은 후술할 틸팅부재(421)를 수용하는 이격축수용부(4333a) 및 후술할 틸팅브라켓(423)과 체결되는 틸팅체결부(4333b)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paced housing 4333 may include a spaced shaft accommodating part 4333a for accommodating a tilting member 421 to be described later and a tilting fastening part 4333b to be fastened to a tilting bracket 423 to be described later.

이격축수용부(4333a)는 제2이격하우징(4333)의 상단에서 하부로 절개 형성될 수 있고, 틸팅체결부(4333b)는 제2이격하우징(4333)의 상단에서 하부로 절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격축수용부(4333a)가 제2이격하우징(4333)의 상단으로부터 하부로 절개된 정도는 틸팅체결부(4333b)가 제2이격하우징(4333)의 상단으로부터 하부로 절개된 정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spacing shaft accommodating portion 4333a may be cut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second spacing housing 4333, and the tilting fastening portion 4333b may be cut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second spacing housing 4333. . However, the degree to which the spaced shaft accommodating part 4333a is cut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paced housing 4333 to the lower part is greater than the degree to which the tilting fastening part 4333b is cut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paced housing 4333 to the lower part. can be formed.

틸팅부(420)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틸팅부재(421), 틸팅부재(421)의 상단에 위치하여 버튼(450)과 체결되는 틸팅플레이트(425) 및 틸팅부재(42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틸팅브라켓(423)을 포함할 수 있다.The tilting unit 420 rotatably supports the tilting member 421 provided rotatably, the tilting plate 425 and the tilting member 421 positioned on the upper end of the tilting member 421 and fastened to the button 450 . It may include a tilting bracket 423 that is.

일 예로, 틸팅부재(421)는 볼(ball)로 구비될 수 있고, 틸팅브라켓(423)은 볼조인트(ball joint)로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ilting member 421 may be provided as a ball, and the tilting bracket 423 may be provided as a ball joint.

틸팅부재(421)는 대략 속이 빈 반구 형상의 틸팅바디(4211), 틸팅바디(4211)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틸팅부(420)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틸팅축(4213) 및 틸팅바디(4211)와 틸팅플레이트(425)를 연결하는 틸팅연장부(4215)를 포함할 수 있다.The tilting member 421 has an approximately hollow hemispherical tilting body 4211, a tilting shaft 4213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lting body 4211 to form a rotation center of the tilting part 420, and the tilting body 4211 ) and a tilting extension 4215 connecting the tilting plate 425 may be included.

틸팅축(4213)은 틸팅바디(4211)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틸팅축(4213a) 및 제1틸팅축(4213a)과 마주보는 위치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틸팅축(4213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틸팅축(4213a)과 제2틸팅축(4213b)는 동일한 축을 형성할 수 있다.The tilting shaft 4213 may include a first tilting shaft 4213a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lting body 4211 and a second tilting shaft 4213b protruding from a position facing the first tilting shaft 4213a. can In this case, the first tilting axis 4213a and the second tilting axis 4213b may form the same axis.

틸팅연장부(4215)는 틸팅바디(4211)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틸팅바디(4211)와 틸팅플레이트(425)를 연결할 수 있다. 이로써, 틸팅바디(4211)와 틸팅플레이트(425)는 상하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The tilting extension 4215 may extend upward from the tilting body 4211 to connect the tilting body 4211 and the tilting plate 425 . Accordingly, the tilting body 4211 and the tilting plate 425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틸팅브라켓(423)은 대략 속이 빈 반구 형상을 가지는 틸팅브라켓바디(4231), 틸팅브라켓바디(4231)에 절개 형성되어 틸팅축(4213)을 수용하는 틸팅축수용부(4233) 및 토출하우징(410)과 체결되는 안착체결부(4235)를 포함할 수 있다.The tilting bracket 423 is a tilting bracket body 4231 having a substantially hollow hemispherical shape, a tilting shaft accommodating part 4233 and a discharge housing 410 that are cut and formed in the tilting bracket body 4231 to accommodate the tilting shaft 4213 ) and may include a seating and fastening portion 4235 to be fastened.

틸팅브라켓바디(4231)은 속이 비어 틸팅부재(42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틸팅브라켓바디(4231)의 내부에는 틸팅부재(421)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할 수 있다.The tilting bracket body 4231 is hollow and can accommod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tilting member 421 . Accordingly, at least a portion of the tilting member 421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tilting bracket body 4231 .

틸팅축수용부(4233)은 틸팅브라켓바디(4231)의 외주면을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절개 또는 관통 형성 될 수 있다. 따라서, 틸팅축(4213)이 틸팅축수용부(4233)에 위치할 경우, 틸팅축(4213)은 상하부로의 이동은 가능하나 회전하는 것은 제한될 수 있다. 달리 말해, 틸팅축수용부(4233)는 틸팅부(420)의 운동을 틸팅(tilting)하게 하나,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방지할 수 있다.The tilting shaft accommodating part 4233 may be cut or penetrat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lting bracket body 4231 . Accordingly, when the tilting shaft 4213 is located in the tilting shaft receiving part 4233, the tilting shaft 4213 can move up and down, but rotation can be limited. In other words, the tilting shaft accommodating part 4233 may tilt the motion of the tilting part 420, but may prevent rot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보다 구체적으로, 도 12는 토출유닛(400)이 회전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며, 버튼(450)이 수평방향과 나란하게 구비된다. 이 때, 팬어셈블리(210)는 상하 방향 또는 수직방향의 제1축(X1)을 기준으로 회전한다고 볼 수 있다. 여기에서 제1축(X1)은 일 구성일 수도 있으나, 가상의 기준 선인 경우도 상정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FIG. 12 shows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unit 400 is not rotated, and the button 450 is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fan assembly 210 can be considered to rotate based on the first axis X1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Here, the first axis X1 may have one configuration, but may also be a virtual reference line.

팬어셈블리(210)가 제1축(X1)을 기준으로 회전할 경우, 토출하우징(410) 또는 틸팅부재(4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1축(X1)보다 수평방향으로 기울어진 제2축(X2)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축(X2)은 틸팅축(4213)이 형성하는 축과 동일한 축일 수 있으며, 틸팅축(4213)과 이격되되 나란한 축을 의미할 수 있다.When the fan assembly 210 rotates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s X1, at least one of the discharge housing 410 and the tilting member 421 is incli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n the first axis X1. It may be provided to rotate with respect to (X2). Here, the second axis X2 may be the same axis as the axis formed by the tilting axis 4213 , and may mean an axis spaced apart from the tilting axis 4213 and parallel to each other.

따라서, 틸팅부(420)는 제1축(X1)에서 수평방향으로 기울어진 제2축(X2)을 기준으로 토출하우징(4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달리 말해, 토출하우징(410)은 제2축(X2)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tilting unit 420 may rotate the discharge housing 410 based on the second axis X2 incli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first axis X1. In other words, the discharge housing 410 may rotate based on the second axis X2.

도면에 표기된 x-y-z 선상에서 살펴보면, 제1축(X1)은 z축과 나란한 축을 의미할 수 있고, 제2축(X2)은 xy평면상의 직선과 나란한 축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제1축(X1)과 제2축(X2)은 서로 수직하게 구비될 수 있다.Looking at the x-y-z line indicated in the drawings, the first axis X1 may mean an axis parallel to the z axis, and the second axis X2 may mean an axis parallel to a straight line on the xy plane. In this case, the first axis X1 and the second axis X2 may be provid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따라서, 토출하우징(410)은 제2축(X2)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은 가능하더라도, 제1축(X1)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은 방지될 수 있다. 이로써, 버튼PCB(710)와 나머지 PCB들(720, 730, 740, 750) 중 어느 하나가 하네스(w)로 연결되더라도 토출하우징(410))의 회전 방향이 제한되어, 토출하우징(410)의 회전에 따른 부하가 하네스(w)에 적용되는 것이 최소화 될 수 있다.Accordingly, although it is possible for the discharge housing 410 to rotate based on the second axis X2 , it can be prevented from rotating based on the first axis X1 . Accordingly, even if any one of the button PCB 710 and the remaining PCBs 720, 730, 740, and 750 is connected by the harness w,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ischarge housing 410) is limited, and the It can be minimized that the load according to the rotation is applied to the harness (w).

틸팅플레이트(425)는 틸팅부재(421)의 상부에 위치하여 버튼PCB(710)를 지지할 수 있다. 틸팅플레이트(425)는 틸팅부재(421)와 별개의 구성으로 구비되어 틸팅부재(421)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고, 틸팅부재(421)와 일체로 형성되어 틸팅부재(421)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The tilting plate 425 may be positioned on the tilting member 421 to support the button PCB 710 . The tilting plate 425 is provided as a separate configuration from the tilting member 421 and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tilting member 421 ,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tilting member 421 and is located on the tilting member 421 . can do.

틸팅플레이트(425)는 버튼(450) 및 버튼PCB(7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tilting plate 425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button 450 and the button PCB 710 .

한편, 버튼(450)은 버튼바디(451)와 버튼바디(451)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제1토출하우징(410)과 체결되는 입력체결부(453)을 포함할 수 있는데, 틸팅플레이트(425)는 틸팅플레이트(425)의 둘레에서 내측으로 절개 형성되어 입력체결부(453)가 통과 가능한 입력절개부(4251)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utton 450 may include a button body 451 and an input fastening part 453 tha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button body 451 and is fastened to the first discharge housing 410, and a tilting plate 425. may include an input cutout 4251 through which the input fastening part 453 can pass by being cut inwardly around the tilting plate 425 .

더하여, 틸팅플레이트(425)는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되 둘레와 이격되어 공기의 경로를 형성하는 플레이트관통홀(42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6참조)In addition, the tilting plate 425 may further include a plate through hole 4253 that is formed through the vertical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circumference to form an air path. (See Fig. 16)

틸팅플레이트(425)의 상면에는 버튼PCB(710)가 고정될 수 있고, 버튼PCB(710)의 상면에는 버튼(450)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틸팅부재(421)가 제2축(X2)을 기준으로 회전하면, 틸팅플레이트(425)는 제2축(X2)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틸팅플레이트(425)가 제2축(X2)를 기준으로 회전하면, 버튼PCB(710) 및 버튼(450)은 제2축(X2)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버튼PCB(710) 및 버튼(450)이 제2축(X2)을 기준으로 회전하면, 토출하우징(410)이 제2축(X2)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결국, 틸팅부재(421)의 회전은 공기토출부(415)의 회전을 야기할 수 있다.A button PCB 710 may be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tilting plate 425 , and a button 450 may be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button PCB 710 . Accordingly, when the tilting member 421 rotates based on the second axis X2 , the tilting plate 425 may rotate based on the second axis X2 . When the tilting plate 425 rotates based on the second axis X2, the button PCB 710 and the button 450 may rotate based on the second axis X2. When the button PCB 710 and the button 450 rotate based on the second axis X2 , the discharge housing 410 may rotate based on the second axis X2 . As a result, rotation of the tilting member 421 may cause rotation of the air discharge unit 415 .

이로써, 틸팅부(420)는 토출하우징(410) 및 공기토출부(415)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공기정화장치(10)를 원하는 장소에 배치시킨 후, 공기토출부(415)가 향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정화장치(10)가 휴대용으로 구비되는 경우, 정화 또는 청정된 공기가 사용자를 향해 토출되어 사용자는 보다 쾌적한 환경을 누리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tilting unit 420 may change the positions of the discharge housing 410 and the air discharge unit 415 . Accordingly, the user can adjust the direction in which the air discharge unit 415 faces after disposing the air purifier 10 at a desired loca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ir purifying device 10 is provided as a portable device, purified or purified air is discharged toward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enjoy a more comfortable environment.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틸팅부재(421)는 상하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틸팅부재(421)가 상하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지나치게 움직일 경우, 틸팅부재(421)가 틸팅브라켓(423)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tilting member 421 may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in the vertical direction. If the tilting member 421 moves excessively in the vertical or vertical direction, a problem may occur in which the tilting member 421 is separated from the tilting bracket 423 .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토출유닛(400)은 틸팅부재(421)를 틸팅브라켓(423)에 안착시키는 안착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discharge unit 400 may further include a seating part 440 for seating the tilting member 421 on the tilting bracket 423 .

안착부(440)는 틸팅부(220)에 결합되어 틸팅부(420)가 상하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The seating part 440 may be coupled to the tilting part 220 to limit movement of the tilting part 420 in the vertical or vertical direction.

구체적으로, 안착부(440)는 틸팅부재(421)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안착하우징(441), 안착하우징(441)의 양면에 개구 또는 관통 형성되는 안착개구부(443), 안착하우징(441)에서 틸팅부재(421)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돌출리브(445) 및 안착하우징(441)에 관통 또는 절개 형성되어 틸팅축(4213)이 통과하는 틸팅축통과부(447)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ating portion 440 includes a seating housing 441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tilting member 421 , a seating opening 443 formed through openings or penetrating both surfaces of the seating housing 441 , the seating housing 441 . It may include a protruding rib 445 protruding toward the tilting member 421 and a tilting shaft passing portion 447 through which the tilting shaft 4213 passes through or cut through the seating housing 441 .

안착하우징(441)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소정의 공간에는 틸팅부재(421)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할 수 있다.A predetermined space is provided inside the seating housing 441 ,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tilting member 421 may be position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안착개구부(443)는 틸팅부재(421)가 통과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안착부(440)의 내부에 틸팅부재(421)를 위치시키는 것이 보다 쉬울 수 있다.The seating opening 443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size so that the tilting member 421 can pass therethrough. Accordingly, it may be easier to position the tilting member 421 in the seating portion 440 .

안착개구부(443)는 안착하우징(441)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안착개구부(443)를 통해 틸팅부재(421)가 안착하우징(44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틸팅부재(421)가 안착하우징(441)의 내부에서 외부로 위치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The seating opening 443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housing 441 . Accordingly, the tilting member 421 may be located inside the seating housing 441 through the seating opening 443, and it may be possible for the tilting member 421 to be positioned from the inside of the seating housing 441 to the outside. .

돌출리브(445)는 안착하우징(441)의 내주면에서 틸팅부재(421)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돌출리브(445)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고,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서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돌출리브(445)는 2개로 구비될 수 있고,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ding rib 445 may protrude toward the tilting member 421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ing housing 441 . The protrusion ribs 445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when provided in plurality, may be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wo protruding ribs 445 may be provided, and may be formed to protrude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돌출리브(445)는 틸팅부재(421)가 상하방향으로 과도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틸팅부재(421)가 안착하우징(441)의 내부에 위치할 경우, 돌출리브(445)의 적어도 일부는 틸팅부재(421)와 접촉될 수 있다.The protruding rib 445 serves to prevent the tilting member 421 from excessively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ly, when the tilting member 421 is positioned inside the seating housing 441 , at least a portion of the protruding rib 445 may contact the tilting member 421 .

다만, 틸팅부재(421)를 안착하우징(441)의 내부에 보다 쉽게 위치시키기 위해, 돌출리브(445)는 소정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달리 말해, 돌출리브(445)는 고무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However, in order to more easily position the tilting member 421 inside the seating housing 441, the protruding rib 445 preferably has a predetermined elastic restoring force. In other words, the protruding ribs 445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to enable deformation and restoration.

이로써, 틸팅부재(421)를 안착하우징(441)의 내부에 위치할 때, 돌출리브(445)는 틸팅부재(421)가 상하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여 틸팅부재(421)가 안착하우징(441)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tilting member 421 is positioned inside the seating housing 441, the protruding rib 445 restricts the tilting member 421 from moving in the vertical or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tilting member 421 is mounted on the seating housing. It can be prevented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of (441).

바람직하게, 틸팅부재(421)는 돌출될수록 형성하는 폭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해, 돌출리브(445)가 안착하우징(441)의 내주면과 멀어질수록 반경방향으로 형성하는 소정의 길이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리브(445)는 테이퍼드(tapered) 형상을 가질 수 있다.Preferably, the tilting member 421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width as it protrudes. In other words, as the protrusion rib 445 moves away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ing housing 441 , the predetermined length 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may be reduced. That is, the protrusion rib 445 may have a tapered shape.

전술한 바와 같이, 틸팅부재(421)가 속이 빈 반구 형상을 포함하는 경우, 테이퍼드된 돌출리브(445)는 틸팅부재(421)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수록 이동을 제한하는 힘을 틸팅부재(421)에 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tilting member 421 includes a hollow hemispherical shape, the tapered protruding rib 445 exerts a force limiting the movement as the tilting member 421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 can be added to

틸팅축통과부(447)는 안착하우징(441)의 상면 또는 내주면에 절개 형성되어 틸팅축(4213) 통과를 위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틸팅축통과부(447)는 안착개구부(443)를 확장시킬 수 있다.The tilting shaft passing part 447 may be incised on the upper surface o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ing housing 441 to create a path for passing the tilting shaft 4213 . In addition, the tilting shaft passing portion 447 may expand the seating opening 443 .

이로써, 틸팅부재(421)가 틸팅축(4213)을 포함하더라도, 안착하우징(441)의 내부에 틸팅부재(421)를 위치시키는 것이 수월할 수 있다.Accordingly, even if the tilting member 421 includes the tilting shaft 4213 , it may be easy to position the tilting member 421 in the seating housing 441 .

한편, 팬유닛(200)은 토출유닛(400)의 하부에 위치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달리 말하면, 팬유닛(200)이 형성하는 기류는 팬유닛(200)에서 토출유닛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fan unit 200 is positioned below the discharge unit 400 as described above. In other words, the air flow formed by the fan unit 200 may be formed from the fan unit 200 to the discharge unit, and from the bottom to the top.

이 때, 안착부(440)는 팬유닛(200)에서 형성하는 기류의 세기가 감소되지 않도록 안착관통홀(449)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ating part 440 may further include a seating through hole 449 so that the intensity of the airflow formed by the fan unit 200 is not reduced.

안착관통홀(449)은 안착하우징(441)에 관통 형성되어 기류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착관통홀(449)은 안착하우징(441)의 측면에 관통 형성되어 공기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The seating through hole 449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seating housing 441 to form a flow path for airflow. Specifically, the seating through hole 449 may be formed through a side surface of the seating housing 441 to form an air flow path.

이 때, 안착관통홀(449)에는 하네스(w)가 통과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t this tim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harness w may pass through the seating through hole 449 .

이로써, 안착부(440)는 틸팅부재(421)가 상하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과도하게 이동하여 틸팅브라켓(423)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안착부(440)가 틸팅부재(421)의 상부에 결합되더라도, 팬유닛(200)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가 효율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ating portion 440 can prevent the tilting member 421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tilting bracket 423 by excessive movement in the vertical or vertical direction. Furthermore, even if the seating portion 44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ilting member 421 , the airflow formed by the fan unit 200 may be efficiently maintained.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토출하우징(410)의 회전방향을 팬어셈블리(210)의 회전방향과 달리 두는 것은 하네스(w)의 단선을 방지하기 위함이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sett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ischarge housing 410 to be different from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an assembly 210 is to prevent disconnection of the harness w.

이하, 도 12, 15 내지 16, 18을 참조하여 하네스(w)의 단선 방지를 위한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structure for preventing disconnection of the harness w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2, 15 to 16 and 18 .

전술한 바와 같이, 하네스(w)는 PCB들(710, 720, 730, 740, 750)들 중 적어도 2개의 PCB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배터리(6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PCB들에 전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arness w is configured to connect at least two PCBs among the PCBs 710 , 720 , 730 , 740 , and 750 , and may receive power from the battery 620 and transmit it to the PCBs. .

또한, 버튼(450)이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는 수단에 더 나아가 사용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 토출유닛(400)은 버튼PCB(710) 및 표시PCB(720)를 포함해야 한다.In addition, when the button 450 serves a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to the user in addition to the means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user, the discharging unit 400 includes the button PCB 710 and the display PCB 720 . should include

버튼PCB(710)는 버튼(450)에 입력된 정보를 전장PCB(75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표시PCB(720)는 버튼(450)에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button PCB 710 may serve to transmit information input to the button 450 to the electric PCB 750 , and the display PCB 720 serves to display predetermined information on the button 450 . can do.

이 때, 표시PCB(720)는 이격부(430)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고 버튼PCB(710)는 버튼(45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표시PCB(720)는 버튼PCB(710)보다 하부에 위치할 수 있고, 하네스(w)는 표시PCB(720)와 버튼PCB(710)를 연결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splay PCB 720 may be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spacer 430 , and the button PCB 710 may be located below the button 450 . That is, the display PCB 720 may be located below the button PCB 710 , and the harness w may connect the display PCB 720 and the button PCB 710 .

버튼PCB(710)와 표시PCB(720) 사이의 하네스(w) 연결을 위해, 토출유닛(400)은 하네스통과부(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connect the harness w between the button PCB 710 and the display PCB 720 , the discharge unit 400 may further include a harness passing unit 460 .

하네스통과부(460)는 틸팅브라켓(423)에 구비되는 브라켓통과부(461), 틸팅부재(421)에 구비되는 바디통과부(463)와 연장통과부(465), 틸팅플레이트(425)에 구비되는 플레이트통과부(467)를 포함할 수 있다.The harness passing part 460 is provided in the bracket passing part 461 provided in the tilting bracket 423, the body passing part 463 and the extension passing part 465 provided in the tilting member 421, and the tilting plate 425. It may include a plate passing portion 467 that is.

버튼PCB(710)와 표시PCB(720)를 연결하는 하네스(w)의 적어도 일부가 상하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도록, 브라켓통과부(461), 바디통과부(463), 연장통과부(465) 및 플레이트통과부(467) 각각은 제1축(X1)과 동일축에 위치하거나, 제1축(X1)과 나란한 축에 위치할 수 있다.A bracket passing portion 461, a body passing portion 463, an extension passing portion ( 465 ) and the plate passing part 467 may be located on the same axis as the first axis X1 , or may be located on an axis parallel to the first axis X1 .

브라켓통과부(461)는 틸팅바디(4211)에 관통 형성되어 하네스(w)의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라켓통과부(461)는 대략 반구 형상의 틸팅바디(4211) 중 하측에 관통 또는 절개 형성되어 하네스(w)가 통과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The bracket passing portion 461 may be formed through the tilting body 4211 to form a path of the harness w. Specifically, the bracket passing portion 461 may be penetrated or incised at the lower side of the approximately hemispherical tilting body 4211 to provide a path through which the harness w passes.

이 때, 틸팅축수용부(4233)의 사이에 브라켓통과부(461)가 위치하되, 브라켓통과부(461)는 틸팅축수용부(4233)와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racket passing part 461 is positioned between the tilting shaft accommodating parts 4233, but the bracket passing part 461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tilting shaft accommodating part 4233.

또한, 브라켓통과부(461)가 형성하는 소정의 폭(L1)은 소정의 길이(L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width L1 formed by the bracket passing portion 461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length L2.

이로써, 하네스(w)는 토출체결프레임(240)의 상면에 위치하며 PCB수용하우징(431)의 내부에 위치한 표시PCB(720)로부터 브라켓통과부(461)를 지나 틸팅브라켓(423)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harness w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charge fastening frame 240 and passes from the display PCB 720 located inside the PCB accommodation housing 431 to the bracket passing part 461 to the inside of the tilting bracket 423 . can be located

바디통과부(463)은 틸팅바디(4211)에 관통 또는 절개 형성되어 하네스(w)의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바디통과부(463)는 브라켓통과부(46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되, 브라켓통과부(461)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바디통과부(463)와 브라켓통과부(461)는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passing portion 463 may be penetrated or cut in the tilting body 4211 to form a path of the harness w. At this time, the body passing part 463 is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racket passing part 461, and may be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bracket passing part 461 . Preferably, the body passing portion 463 and the bracket passing portion 461 may be form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 때, 바디통과부(463)가 형성하는 소정의 폭(L3)은 소정의 길이(L4)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edetermined width L3 formed by the body passing portion 463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length L4 .

이로써, 틸팅브라켓(423)의 내부에 위치한 하네스(w)는 바디통과부(463)를 거쳐 틸팅바디(4211)의 상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harness w located inside the tilting bracket 423 may exten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ilting body 4211 through the body passing portion 463 .

연장통과부(465)는 틸팅연장부(4215)에 관통 형성되어 하네스(w)의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The extension passing portion 465 may be formed through the tilting extension portion 4215 to provide a path for the harness w.

이로써, 틸팅바디(4211)의 상부에 위치한 하네스(w)는 틸팅바디(4211)에서 틸팅플레이트(425)로 연장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harness w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ilting body 4211 may extend from the tilting body 4211 to the tilting plate 425 .

플레이트통과부(467)는 틸팅플레이트(425)의 일부에 관통 형성되어 틸팅바디(4211)의 상부로 연장된 하네스(w)를 버튼PCB(710)와 연결시킬 수 있다.The plate passing portion 467 is formed through a portion of the tilting plate 425 to connect the harness w exte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ilting body 4211 with the button PCB 710 .

이로써, 표시PCB(720)에서 연장된 하네스(w)는 틸팅브라켓(423), 틸팅바디(4211) 및 틸팅플레이트(425)를 순차적으로 거쳐 버튼PCB(710)와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harness w extending from the display PCB 720 may be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button PCB 710 through the tilting bracket 423 , the tilting body 4211 , and the tilting plate 425 .

더불어, 버튼PCB(710)와 표시PCB(720)를 연결하는 하네스(w)는 이격부(430), 틸팅부(420), 안착부(440)를 모두 관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하네스(w)는 이격부(430), 틸팅부(420) 및 안착부(440)의 중심부를 관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격부(430)의 중심부, 틸팅부(420)의 중심부 및 안착부(440)의 중심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은 제1축(X1)과 동일하거나 제1축(X1)과 나란한 축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harness w connecting the button PCB 710 and the display PCB 720 may pass through all of the separation part 430 , the tilting part 420 , and the seating part 440 . Preferably, the harness w may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separation portion 430 , the tilting portion 420 , and the seating portion 440 . Here, an imaginary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separation unit 430, the center of the tilting unit 420, and the center of the seating unit 440 is the same as the first axis X1 or an axis parallel to the first axis X1. can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토출하우징(410)과 버튼(450)은 제2축(X2) 또는 틸팅축(4213)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버튼PCB(710)와 표시PCB(720)를 연결하는 하네스(w)에는 인장력이 발생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discharge housing 410 and the button 450 are rotatably provided based on the second axis X2 or the tilting axis 4213 . Accordingly, a tensile force may be generated in the harness w connecting the button PCB 710 and the display PCB 720 .

하네스(w)에 발생하는 인장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PCB수용하우징(431)은 경사부(4313)를 포함할 수 있고, 경사부(4313)에는 여유분의 하네스(w)가 위치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In order to minimize the tensile force generated in the harness (w), the PCB accommodating housing 431 may include an inclined portion 4313, and the inclination portion 4313 may have an extra harness (w) positioned above. It's like a bar.

그러나, 하네스(w) 중 버튼PCB(710)와 인접하게 구비되는 부분에 인장력이 발생하는 것은 경사부(4313)에 여유분의 하네스(w)를 위치시킴으로써 해결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한다.However, the occurrence of a tensile force in the portion provided adjacent to the button PCB 710 of the harness w is difficult to solve by locating the excess harness w on the inclined portion 4313 .

예컨대, 틸팅부(420)가 토출하우징(410) 및 버튼(450)을 제2축(X2)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면, 버튼PCB(710) 또한 제2축(X2)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버튼PCB(710)와 인접한 하네스(w)는 버튼PCB(710)의 회전에 따라 이동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For example, when the tilting unit 420 rotates the discharge housing 410 and the button 450 based on the second axis X2, the button PCB 710 also rotates based on the second axis X2, and the button This is because the harness w adjacent to the PCB 710 has no choice but to mov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utton PCB 710 .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여유분의 하네스(w)를 위치시키기 위한 구성을 표시PCB(720)와 인접한 부분 및 버튼PCB(710)와 인접한 부분 각각에 배치시켜 하네스(w)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To this en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figuration for locating the excess harness w is arranged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display PCB 720 and adjacent to the button PCB 710 to prevent disconnection of the harness (w). can be prevented

구체적으로, 연장통과부(465)는 틸팅연장부(4215)에서 상하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연장통과부(4651) 및 틸팅연장부(4215)에서 수평방향 또는 반경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2연장통과부(4653)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extension passage 465 includes a first extension passage 4651 penetrating in the vertical or vertical direction in the tilting extension 4215 and a second extension passage in the horizontal or radial direction in the tilting extension 4215. may include a widow 4653 .

제2연장통과부(4653)는 제1연장통과부(4651)의 단부에서 수평방향 또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플레이트통과부(467)와 연통될 수 있다.The second extended passage portion 4653 may extend in a horizontal or radial direction from an end of the first extension passage portion 4651 to communicate with the plate passage portion 467 .

도 11은 제2연장통과부(4653)가 생략된 연장통과부(465)를 도시하며, 도 18은 제2연장통과부(4653)가 구비된 연장통과부(465)를 도시하는데, 제2연장통과부(4653)가 추가로 구비됨에 따라 하네스(w)의 단선이 보다 방지될 수 있다.11 shows the extended passage part 465 in which the second extended passage part 4653 is omitted, and FIG. 18 shows the extension passage part 465 provided with the second extension passage part 4653, the second extended passage part 4653 ) as additionally provided, disconnection of the harness (w) can be more prevented.

구체적으로, 하네스(w)는 상하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제1연장통과부(4651)를 지나게 되나, 하네스(w)가 수평방향 또는 반경방향으로 제2연장통과부(4653)를 지나게 된다.Specifically, the harness w passes the first extension passage portion 4651 in the vertical or vertical direction, but the harness w passes the second extension passage portion 4653 in the horizontal or radial direction.

따라서, 제2연장통과부(4635)와 플레이트통과부(467) 사이에 여유분의 하네스(w)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arrange the harness w of excess between the second extended passage portion 4635 and the plate passage portion 467 .

달리 말해, 하네스(w)는 제1축(X1)의 연장선과 이격된 위치에서 버튼PCB(710)와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며, 하네스(w)는 제1축(X1)의 연장선과 이격된 위치에서 표시PCB(720)와 연결되는 것이 가능해 질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harness w can be connected to the button PCB 710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extension line of the first axis X1, and the harness w is spaced apart from the extension line of the first axis X1. It may be possible to be connected to the display PCB 720 in the .

결국, 하네스(w)는 표시PCB(720) 중 제1축(X1)의 연장선과 중첩되는 위치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부로 연장되고, 제1축(X1)의 연장선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된 후, 제1축(X1)의 연장선과 중첩되는 위치와 이격된 위치에서 버튼PCB(710)완 연결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harness w extends upwar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a position overlapping the extension line of the first axis X1 of the display PCB 720 , and extends upward along the extension line of the first axis X1 . , the button PCB 710 at a position that overlaps with the extension line of the first axis X1 an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이로써, 버튼PCB(710)와 표시PCB(720)를 연결하는 하네스(w)는 버튼PCB(710)와 표시PCB(720)를 상하방향으로 연결하는 소정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되, 일 여유분은 표시PCB(720)와 인접한 부분에 배치되고 타 여유분은 버튼PCB(710)와 인접한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harness w for connecting the button PCB 710 and the display PCB 720 is formed to be longer than a predetermined length connecting the button PCB 710 and the display PCB 720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one surplus is displayed It is disposed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PCB 720 , and the other spare portion may be disposed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button PCB 710 .

더하여, 여유분을 제외한 하네스(w)의 부분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노출되지 않고 기류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tion of the harness (w) excluding the extra portion is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it is not exposed and can be minimally affected by the airflow.

이로써, 본 발명의 공기정화장치(10)가 휴대용으로 구비되더라도, 사용자는 정화된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을 직접 설정할 수 있고,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을 설정하더라도 내부에 구비된 하네스(w)의 단선이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ly, even if the air purifying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s a portable, the user can directly set the direction in which the purified air is discharged, and even if the direction in which the air is discharged is set, disconnection of the harness w provided inside This can be prevent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represent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limi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공기정화장치 : 10 하우징 : 100
아우터케이스 : 110 이너케이스 : 120
공기유입부 : 130 팬유닛 : 200
팬어셈블리 : 220 고정하우징 : 230
토출체결프레임 : 240 필터부 : 300
필터 : 310 필터케이스 : 320
토출유닛 : 400 토출하우징 : 410
틸팅부 : 420 이격부 : 430
안착부 : 440 버튼 : 450
하네스통과부 : 460 살균유닛 : 500
전장유닛 : 600 버튼PCB : 710
표시PCB : 720
Air purifier: 10 Housing: 100
Outer case: 110 Inner case: 120
Air inlet: 130 Fan unit: 200
Fan assembly: 220 Fixed housing: 230
Discharge fastening frame: 240 Filter part: 300
Filter : 310 Filter Case : 320
Discharge unit: 400 Discharge housing: 410
Tilt part: 420 Separation part: 430
Seating part: 440 Button: 450
Harness passage: 460 Sterilization unit: 500
Electric unit: 600 Button PCB: 710
Display PCB: 720

Claims (20)

공기유입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구비되며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토출유닛;
상기 토출유닛의 하부에서 상하방향의 제1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공기유입부에서 상기 공기토출구로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팬어셈블리; 및
상기 팬어셈블리의 하부 및 상기 공기유입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유닛은,
정보를 표시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는 버튼;
상기 버튼에 고정되는 토출하우징;
상기 팬어셈블리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토출하우징을 회전시키는 틸팅부;
상기 버튼의 하부 및 상기 틸팅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버튼에 입력된 정보를 제어하는 버튼PCB;
상기 틸팅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버튼에 표시되는 정보를 제어하는 표시PCB; 및
상기 버튼PCB와 상기 표시PCB를 연결하는 하네스;를 포함하며,
상기 틸팅부는 상기 제1축에서 수평방향으로 기울어진 제2축을 기준으로 상기 토출하우징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a housing in which an air inlet is formed;
a discharge unit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and having an air discharge port;
a fan assembly rotating from a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unit with respect to a first shaft in a vertical direction to form a flow of air from the air inlet to the air outlet; and
and a filter uni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an assembly and an upper portion of the air inlet to purify air;
The discharge unit is
a button for displaying information or receiving information input from a user;
a discharge housing fixed to the button;
a tilting part provided on the fan assembly to rotate the discharge housing;
a button PCB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utton and an upper portion of the tilting unit to control information input to the button;
a display PCB provided under the tilting unit to control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button; and
Including; a harness for connecting the button PCB and the display PCB;
The tilting unit rotates the discharge housing based on a second axis inclined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first axi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은 서로 수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xis and the second axis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하우징은 상기 제1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housing is prevented from rotating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네스는 상기 제1축의 연장선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버튼PCB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
The harness is an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button PCB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extension line of the first shaf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네스는 상기 제1축의 연장선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표시PCB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
and the harness is connected to the display PCB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extension line of the first shaf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유닛은 상기 팬어셈블리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틸팅부를 상기 팬어셈블리와 이격시키는 이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
The air purify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charging unit further includes a spacer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fan assembly to separate the tilting part from the fan assembl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부는,
상기 제2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틸팅부재;
상기 틸팅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틸팅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틸팅브라켓; 및
상기 틸팅부재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버튼PCB와 체결되는 틸팅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tilting unit,
a tilting member rotating about the second axis;
a tilting bracket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tilting member under the tilting member; and
and a tilting plate provided on the tilting member and fastened to the button PCB.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부재는,
틸팅바디;
상기 틸팅바디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축을 형성하는 틸팅축; 및
상기 틸팅바디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틸팅플레이트와 연결되는 틸팅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tilting member is
tilting body;
a tilting shaft protruding from the tilting body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form the second shaft; and
and a tilting extension part extending upwardly from the tilting body and connected to the tilting pla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브라켓은,
상기 틸팅부재를 수용하는 틸팅브라켓바디; 및
상기 틸팅브라켓바디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틸팅축을 수용하는 틸팅축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tilting bracket is
a tilting bracket body accommodating the tilting member; and
and a tilting shaft accommodating part formed through the tilting bracket body to accommodate the tilting shaf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유닛은 상기 틸팅부를 상하방향으로 고정시키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charge unit further includes a seating part for fixing the tilting 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틸팅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안착하우징; 및
상기 안착하우징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틸팅부재와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돌출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ating part,
a seating housing provid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tilting member; and
and a protruding rib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ating housing and provided to contact the tilting memb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리브는 상기 안착하우징의 내면에서 돌출될수록 테이퍼드(tapered)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air purify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rib is tapered (tapered) as it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ating housing.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안착하우징의 상면이 개구되어 상기 틸팅바디가 삽입되는 안착개구부; 및
상기 안착개구부에서 상기 안착하우징을 향해 절개되어 상기 틸팅축이 삽입되는 틸팅축통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eating part,
a seating opening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housing is opened and the tilting body is inserted; and
The air purify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a tilting shaft passing portion that is cut from the seating opening toward the seating housing and into which the tilting shaft is insert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는,
상기 팬어셈블리의 상단에 체결되며 상기 표시PCB를 수용하는 PCB수용하우징; 및
상기 PCB수용하우징의 상단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틸팅브라켓과 체결되는 이격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eparation part,
a PCB accommodating housing fastened to an upper end of the fan assembly and accommodating the display PCB; and
and a spaced-apart housing extending upwardly from the upper end of the PCB accommodation housing and fastened to the tilting bracke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PCB수용하우징은 상기 팬어셈블리의 상단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작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CB housing housing is provided with a smaller diameter as the distance from the top of the fan assembly increase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네스는 상기 표시PCB에서 상기 틸팅브라켓, 상기 틸팅부재, 상기 틸팅연장부 및 상기 틸팅플레이트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버튼PCB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arness is connected to the button PCB by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tilting bracket, the tilting member, the tilting extension and the tilting plate in the display PCB.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유닛은 상기 틸팅부를 관통하여 상기 하네스의 경로를 제공하는 하네스통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air purify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charge unit further includes a harness passing part that passes through the tilting part and provides a path of the harness.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하네스통과부는,
상기 틸팅브라켓을 관통하는 브라켓통과부;
상기 틸팅바디를 관통하는 바디통과부;
상기 틸팅연장부를 관통하는 연장통과부; 및
상기 틸팅플레이트를 관통하는 플레이트통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harness passing unit,
a bracket passing through the tilting bracket;
a body passing part passing through the tilting body;
an extension passing through the tilting extension; and
The air purifying device comprising a; plate passing through the tilting plate.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통과부와 상기 바디통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하는 길이는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formed by at least one of the bracket passing part and the body passing part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통과부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연장통과부; 및
상기 제1연장통과부의 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통과부와 연통되는 제2연장통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extension passage portion,
A first extension passag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nd a second extended passage portion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an end of the first extension passage portion and communicated with the plate passage portion.
KR1020210000536A 2020-12-11 2021-01-04 Air purifier device KR20220083532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607 2020-12-11
KR20200173607 2020-12-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532A true KR20220083532A (en) 2022-06-20

Family

ID=82257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0536A KR20220083532A (en) 2020-12-11 2021-01-04 Air purifier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353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06035A (en) * 2022-09-02 2022-11-29 武汉创新特科技有限公司 Air purification and disinfection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3548A (en) 2008-12-03 2010-06-1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Aircleaner having mixed flow type fa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3548A (en) 2008-12-03 2010-06-1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Aircleaner having mixed flow type fa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06035A (en) * 2022-09-02 2022-11-29 武汉创新特科技有限公司 Air purification and disinfec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945256A1 (en) Portable air caring apparatus
KR20160028292A (en) Air washer
KR20100056797A (en) Air conditioner
EP3945261A1 (en) Portable air caring apparatus
US11898777B2 (en) Air cleaner
KR20220084951A (en) Air Cleaner
KR20220083532A (en) Air purifier device
CN114623543A (en) Portable air purifier
CN107355899B (en) Air humidifying purifier
EP4012279A1 (en) Air cleaner
KR20220083531A (en) Air purifier device
KR20220083530A (en) Air Cleaner
KR102654527B1 (en) Sterillizing module for inner side of cicular filter and the air clea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128648B1 (en) MULTICHANNEL AROMA and AIRCLEANING APPARATUS
KR20220084968A (en) Air Cleaner
KR102536072B1 (en) Portable air caring apparatus
KR20220013879A (en) Portable air caring apparatus
CN217301007U (en) Small wind wheel for air circulation, air duct assembly and small air purifier
KR102600644B1 (en) Rotation device for cylindrical filter and air cleaner using the same
KR102422310B1 (en) Air Cleaner Device
JP2020002944A (en) Air blowing means and air cleaning device
KR102172414B1 (en) Portable air cleaner holder for vehicle
JP7267892B2 (en) electric deodorizer
CN211737491U (en) Flow generating device
CN202734063U (en) Air conditioner with air purifying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