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3490A - Non-combustible sound-absorbing metal ceiling panel with a structure that is advantageous for complying with KS standards - Google Patents

Non-combustible sound-absorbing metal ceiling panel with a structure that is advantageous for complying with KS standard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3490A
KR20220083490A KR1020200173786A KR20200173786A KR20220083490A KR 20220083490 A KR20220083490 A KR 20220083490A KR 1020200173786 A KR1020200173786 A KR 1020200173786A KR 20200173786 A KR20200173786 A KR 20200173786A KR 20220083490 A KR20220083490 A KR 20220083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material
perforated
area
absorbing metal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37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80668B1 (en
Inventor
권영철
최성희
윤창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젠픽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젠픽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젠픽스
Priority to KR1020200173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668B1/en
Publication of KR20220083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34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6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1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35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connection means at the 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78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of the tray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의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는 인접하는 천장재들과 모여 하나의 체결구를 형성하기 위한 슬릿부를 포함한다. 본 기술에 따르면, 다양한 규격의 체결나사와 호환될 수 있고 작업간 공차를 수용하는 새로운 구조의 천장재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technology relates to a non-combustible sound-absorbing metal ceiling material. The non-combustible sound-absorbing metal ceiling material of the present technology includes a slit portion for forming a fastener together with adjacent ceiling materials. According to the present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eiling material structure of a new structure that is compatible with fastening screws of various standards and accommodates tolerances between operations.

Description

KS규격 준수에 유리한 구조의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Non-combustible sound-absorbing metal ceiling panel with a structure that is advantageous for complying with KS standards}Non-combustible sound-absorbing metal ceiling panel with a structure that is advantageous for complying with KS standards}

본 발명은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KS 규격을 준수하는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combustible sound-absorbing metal ceiling materi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n-combustible sound-absorbing metal ceiling material complying with KS standards.

천장재는 천장을 마감하기 위해 사용된다. 건물의 실내 또는 실외에 적용된다. Ceiling materials are used to finish the ceiling. It is applied indoors or outdoors of the building.

과거에는 석고보드가 주를 이루었고, 최근에는 아연도금강판이나 알루미늄으로 제조되는 금속천장재가 널리 쓰이고 있다. 준불연 성능을 위해서는 아연도금강판이, 불연 성능을 위해서는 갈바륨이 적용될 수 있다. 갈바륨은 알루미늄 아연 합금도금강판으로서, 아연의 장점과 알루미늄의 장점을 이상적으로 결합시킨 고내식 합금용융도금강판이다.In the past, gypsum board was mainly used, and recently, metal ceiling materials made of galvanized steel sheet or aluminum are widely used. Galvalume can be applied for non-combustible performance, galvanized steel sheet for non-combustible performance. Galvalume is an aluminum zinc alloy plated steel sheet, and it is a high corrosion resistance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that ideally combines the advantages of zinc and aluminum.

흡음 성능이 요구되는 경우 타공홀이 배치될 수 있다. 수mm 크기의 작은 홀들을 천장재 전면에 촘촘히 배치함으로써 천장재가 실내의 잔향과 반사음을 흡수하여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If sound absorption performance is required, a perforated hole may be arranged. By arranging small holes several millimeters in size on the front of the ceiling material, the ceiling material absorbs reverberation and reflections in the room to reduce noise.

위와 같은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를 천장에 설치하기 위해 경량철골 자재들이 사용된다. 알려진 바와 같이, 클립바, 캐링, 마이너찬넬, 행거볼트 및 너트, 와이어 클립, 행거 핀, 클립바조인트, 마이너찬넬크립, 앙카, 판스프링 등을 이용한다. Light-weight steel frame materials are used to install the non-combustible sound-absorbing metal ceiling material on the ceiling. As is known, clip bars, carrying rings, minor channels, hanger bolts and nuts, wire clips, hanger pins, clip bar joints, minor channel clips, anchors, leaf springs, and the like are used.

예를 들어, 여러 장의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들을 클립바에 단단히 결착시킴으로써 천장 마감 시공이 가능하다.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finish the ceiling construction by firmly binding several sheets of non-combustible sound-absorbing metal ceiling materials to the clip bar.

보다 견고한 고정을 위해 마감캡이 적용되기도 한다. 본 출원인이 출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738564호(발명명칭: 금속 천장재 마감구)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금속 천장재들이 모이는 곳에서 금속 천장재 마감구가 그 위에 배치된 클립바로 삽입 고정되는 체결나사를 통해 천장재들에 밀착 고정됨으로써, 천장재들을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특히, 건물의 실외에 설치되는 천장재들의 경우 가혹한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 더욱 견고한 설치가 요구되므로, 마감캡의 적용은 필수적이다.Closing caps are sometimes applied for more robust fixation.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38564 (Invention Name: Metal Ceiling Material Finisher) applied by the present applicant, the metal ceiling material finish piece is inserted and fixed with a clip bar disposed thereon at the place where the metal ceiling materials are gathered.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ceiling materials through, it is possible to firmly fix the ceiling materials. In particular, since ceiling materials installed outdoors of a building are exposed to harsh external environments and require more robust installation, application of a finishing cap is essential.

천장재들의 견고한 설치를 위해 적용되는 것인만큼 마감캡과 체결나사의 안정적인 고정력이 보장되어야 한다. As it is applied for the strong installation of ceiling materials, the stable fixing force of the finishing cap and the fastening screw must be ensured.

이를 위해 체결나사는 일정한 규격 이상의 제품으로 설치 관리될 필요가 있다. 체결나사의 길이와 몸통의 두께가 모두 고정력에 중요하게 작용한다. 적절한 길이를 갖고서 상부의 클립바까지 진입할 것이 요구되고, 적절한 두께를 갖고서 천장재들의 자중을 지지할 것이 요구된다. 특히 몸통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견고한 지지는 가능하지만, 설치 과정에서 천장재들의 정해진 배열 간격을 깨트릴 수 있는 바, 적정 두께의 체결나사가 요구된다.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install and manage the fastening screws with products exceeding a certain standard. The length of the fastening screw and the thickness of the body both play an important role in fixing force. It is required to have an appropriate length and to enter the upper clip bar, and it is required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ceiling materials with an appropriate thickness. In particular, the thicker the body, the stronger the support is possible, but since it is possible to break the predetermined arrangement interval of the ceiling materials during the installation process, a fastening screw of an appropriate thickness is required.

다만 현장 작업자들에게 일정 규격의 체결나사만을 쓰도록 하는 것은 자원과 시간이 소요되는 일이다. 작업간 공차가 존재하기도 한다. 어느 정도의 공차를 수용할 수 있고, 다양한 규격의 체결나사와 호환될 수 있는 천장재 시스템이 요구된다. However, requiring field workers to use only fastening screws of a certain standard is resource-consuming and time-consuming. There are also tolerances between tasks. A ceiling material system that can accommodate a certain degree of tolerance and is compatible with fastening screws of various standards is required.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after long research and trial and error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규격의 체결나사와 호환될 수 있고 작업간 공차를 수용하는 새로운 구조의 천장재 구조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eiling material structure of a new structure that is compatible with fastening screws of various standards and accommodates tolerances between operations.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other objects not specifi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dditionally considered within the range that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effects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는 인접하는 천장재들과 모여 하나의 체결구를 형성하기 위한 슬릿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non-combustible sound-absorbing metal ceil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lit portion for forming a single fastener by gathering with the adjacent ceiling materials.

흡음을 위한 복수의 타공홀들이 배치된 타공 영역; 및 상기 타공 영역으로부터 사방으로 연장되며 외부 경량철골 자재로의 결합을 위한 삽입부가 배치된 연장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타공 영역은 상기 천장재의 전면을 형성하는 제1 타공 영역 및 상기 천장재의 경사진 빗면들을 형성하는 제2 타공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a perforated area in which a plurality of perforated holes for sound absorption are disposed; and an extension area extending in all directions from the perforated area and in which an insertion part for coupling to an external lightweight steel frame material is disposed; It may include a second perforated area forming beveled surfaces.

상기 제2 타공 영역의 경사진 빗면은 상기 전면으로부터 둔각인 제1 각도를 갖고, 상기 연장 영역은 상기 제2 타공 영역으로부터 둔각인 제2 각도를 갖고서 연장할 수 있다.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econd perforated area may have an obtuse first angle from the front surface, and the extended area may extend from the second perforated area at an obtuse second angle.

상기 슬릿부는 상기 제1 타공 영역을 제외한 상기 제2 타공 영역 및 상기 연장 영역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The slit portion may be formed over the second perforated area and the extended area except for the first perforated area.

상기 슬릿부는 상기 제2 타공 영역에 배치된 타공홀들과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slit portion may be form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perforated holes disposed in the second perforated area.

상기 슬릿부는 상기 천장재의 네 모서리들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슬릿부는 내측으로 각진 형상의 함몰부를 가질 수 있다. The slit part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four corners of the ceiling material, and the slit part may have an inwardly angled depression.

상기 함몰부의 내측으로 각진 형상은 80~100도의 각을 가질 수 있다. The angled shape to the inside of the depression may have an angle of 80 to 100 degrees.

상기 체결구를 관통하는 체결부재를 통하여 상기 천장재를 인접하는 천장재들과 외부 경량철골 자재에 고정시키는 고정캡이 상기 천장재들의 상기 제2 타공 영역들에 의해 형성되는 천장재들 사이 공간으로 밀착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타공 영역은 상기 절곡부의 안착을 가이드하는 그루브 형상의 트렌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xing cap for fixing the ceiling material to the adjacent ceiling materials and the external lightweight steel frame through the fastening member passing through the fastener is a bent portion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pace between the ceiling materials formed by the second perforated areas of the ceiling materials However, the second perforated area may include a trench portion having a groove shape for guiding the seating of the bent portion.

상기 트렌치부는 이웃하는 상기 제2 타공 영역들에 의해 형성되는 에지부와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trench portion may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an edge portion formed by the adjacent second perforated regions.

본 기술은 다양한 규격의 체결나사와 호환될 수 있고 작업간 공차를 수용하는 새로운 구조의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를 제공할 수 있다.This technology can provide a non-combustible sound-absorbing metal ceiling material with a new structure that is compatible with fastening screws of various standards and accommodates tolerances between oper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를 위한 천장재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를 위한 천장재 시스템을 구성하는 천장재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재들에 의해 형성되는 체결구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재들이 고정캡에 의해 고정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재들에 마련되는 가이드부의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재들에 마련되는 가이드부를 통해 고정캡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재의 제조 과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도시한 순서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1 is a view showing a ceiling material system for a non-combustible sound-absorbing metal ceil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eiling material constituting the ceiling material system for the non-combustible sound-absorbing metal ceil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fastener formed by the ceiling materi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a faste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eiling materials are fixed by a fixing c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structure of the guide unit provided on the ceiling materi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cap is seated through the guide part provided on the ceiling materi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ceil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ver time.
It is reveal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emplified by reference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면에 있어서, 두께와 간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현된 것이며, 실제 물리적 두께에 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공지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In the following,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the drawings, thickness and spacing are expres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may be exaggerated compared to the actual physical thicknes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ell-known componen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mitted. In adding reference number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only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number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를 위한 천장재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eiling material system for a non-combustible sound-absorbing metal ceil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를 위한 천장재 시스템(1)(이하, 간단히 '천장재 시스템'이라 함)은 천장재들(100A, 100B), 제1 방향(I)으로 연장하는 클립바들(10A, 10B),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II)으로 연장하는 캐링들(20), 제1 및 제2 방향에 교차하는 제3 방향(III)으로 연장하는 행거들(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마이너찬넬, 와이어 클립, 앙카 등의 경량철골 자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1, the ceiling material system (1) for a non-combustible sound-absorbing metal ceiling material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ceiling material system') is the ceiling materials 100A, 100B, clip bars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I) (10A, 10B), carrying carriages 20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II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and hangers 30 extending in a third direction III intersecting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may includ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t may further include lightweight steel materials such as minor channels, wire clips, and anchors.

천장재들(100A, 100B)은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일 수 있다. 천장재들은 흡음 성능을 가지므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타공홀들(PH)을 포함한다. The ceiling materials 100A and 100B may be non-combustible sound-absorbing metal ceiling materials. Since the ceiling materials have sound absorption performance, they include perforated holes PH as described below.

천장재들은 클립바들(10A, 10B)에 결착되어 천장재 시스템을 구성한다. 후술하는 삽입부(122)를 통해 클립바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결착된다. The ceiling materials are bound to the clip bars 10A and 10B to constitute a ceiling material system. It is bound by being inserted and fixed to the clip bar through an insertion part 122 to be described later.

도면에서는 2개의 클립바들(10A, 10B)만이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시공 면적에 따라 많은 수의 클립바들이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도면부호 10A의 클립바를 제1 클립바로, 도면부호 10B의 클립바를 제2 클립바로 참조할 수 있다. 또한 제2 클립바 옆에 이들과 나란히 배열되는 클립바(미도시)를 제3 클립바로 참조할 수 있다. Although only the two clip bars 10A and 10B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large number of clip bars may be arranged in the second direction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area. The clip bar 10A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lip bar, and the clip bar 10B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lip bar. Also, a clip bar (not shown) arranged next to the second clip bar and side by side may be referred to as a third clip bar.

제1 클립바(10A) 및 제2 클립바(10B)에 클립바의 연장 방향(I)을 따라 일렬로 여러 개의 천장재들(100A)이 끼워져 결착될 수 있다. 이 천장재들을 제1 천장재로 참조한다. 제2 클립바(10B) 및 제3 클립바(미도시)에 클립바의 연장 방향(I)을 따라 일렬로 여러 개의 천장재들(100B)이 끼워져 결착될 수 있다. 이 천장재들을 제2 천장재로 참조한다. 제3 클립바(미도시)와 제4 클립바(미도시)에도 클립바의 연장 방향(I)을 따라 일렬로 여러 개의 천장재들이 끼워져 결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체 면적에 대한 천장 마감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A plurality of ceiling materials 100A may be fitted and bound to the first clip bar 10A and the second clip bar 10B in a line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I of the clip bar. These ceiling materials are referred to as first ceiling materials. A plurality of ceiling materials 100B may be fitted and bound to the second clip bar 10B and the third clip bar (not shown) in a line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I of the clip bar. These ceiling materials are referred to as second ceiling materials. In the third clip bar (not shown) and the fourth clip bar (not shown), a plurality of ceiling materials may be fitted in a line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I) of the clip bar and be bound, so that the ceiling finishing construction for the entire area is reduced. can be done

제1 천장재와 제2 천장재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천장재(100A)와 제2 천장재(100B)를 간단히 천장재(100)로 참조할 수 있다. The first ceiling material and the second ceiling material may have the same structure. The first ceiling material 100A and the second ceiling material 100B may be simply referred to as the ceiling material 100 .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를 위한 천장재 시스템을 구성하는 천장재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eiling material constituting the ceiling material system for the non-combustible sound-absorbing metal ceil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100)(이하, 간단히 '천장재'라 함)는 타공 영역(110)과 연장 영역(120)을 포함한다. 타공 영역은 시공시 노출되는 부위로서, 천장재의 전체적인 면을 형성한다. 연장 영역은 시공시 노출되지 않는 부위로서, 천장재의 클립바로의 결착, 천장재 제조 과정에서 공정간 이송을 위한 파지 등을 위한 역할을 한다. As shown in FIG. 2 , the non-combustible sound-absorbing metal ceiling material 100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ceiling material') includes a perforated area 110 and an extended area 120 . The perforated area is a portion exposed during construction and forms the entire surface of the ceiling material. The extended area is a part that is not exposed during construction, and serves for binding of the ceiling material to the clip bar and gripping for transfer between processe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eiling material.

타공 영역(110)에는 흡음을 위한 복수의 타공홀들(PH)이 배치된다. 천장재의 배면이 도시되는 도 1에서는 부직포와 같은 흡음재가 배치됨에 따라 타공홀들이 가려져 도시되지 않았을 뿐, 타공홀들은 천장재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perforated holes PH for sound absorption are disposed in the perforated area 110 . In FIG. 1 showing the rear surface of the ceiling material, as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such as nonwoven fabric is disposed, the perforated holes are not shown because they are covered, and the perforated holes may be formed through the base plate of the ceiling material.

한편, 도 2에서는 천장재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중심으로 도시하나, 천장재는 베이스 플레이트 외에 흡음을 위한 흡음재, 베이스 플레이트와 흡음재간 접착을 위한 접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although FIG. 2 shows the base plate of the ceiling material as the center, the ceiling material may further include a sound absorbing material for absorbing sound and an adhesive for bonding between the base plate and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in addition to the base plate.

베이스 플레이트는 천장재의 베이스가 되는 강판 및 위에 도금층, 코팅층 또는 도장층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일례로, 강판은 두께가 0.2 ~ 0.8 mm 일 수 있다. 타공홀은 직경(d1, 도 6)이 1.8 mm 일 수 있다. 타공홀간 간격(d2, 도 6)은 5 mm 일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base plate may be a steel plate serving as a base of the ceiling material and a plating layer, a coating layer, or a coating layer formed thereon. For example, the steel plate may have a thickness of 0.2 to 0.8 mm. The perforated hole may have a diameter (d1, FIG. 6 ) of 1.8 mm. The distance between the perforated holes (d2, FIG. 6 ) may be 5 m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연장 영역(120)은 타공 영역으로부터 사방으로 연장되어 클립바로의 결합을 위한 삽입부(122)가 배치된다. 연장 영역은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된 부분이 절곡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에는 결합홈(CH)이 구비될 수 있다. 결합홈은 결착시 클립바의 클립과 상호작용함으로써 결합을 견고히 한다. The extension area 120 extends in all directions from the perforated area, and the insertion part 122 for coupling to the clip bar is disposed. The extension region may be formed by bending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base plate. The insertion part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CH). The coupling groove strengthens the coupling by interacting with the clip of the clip bar during coupling.

타공 영역과 연장 영역은 모두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Both the perforated area and the extended area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공 영역(110)은 천장재의 전면을 형성하는 제1 타공 영역(112) 및 천장재의 경사진 빗면들을 형성하는 제2 타공 영역(114)을 포함한다. 제2 타공 영역은 타공 영역의 일부를 절곡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경사진 빗면에도 타공홀들이 형성됨을 주목한다. 이는 정해진 면적 내에서 타공홀 배치 효율을 크게 증가시킨다. KS규격과 같은 산업규격에 따른 타공홀 배치 면적을 준수하기에 보다 효율적인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제2 타공 영역에까지 타공홀을 배치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슬릿부와의 간섭 문제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해소된다. The perforated area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erforated area 112 forming the front surface of the ceiling material and a second perforated area 114 forming inclined slopes of the ceiling material. The second perforated area may be formed by bending a portion of the perforated area. Note that perforated holes are also formed on the inclined slope. This greatly increases the perforated hole arrangement efficiency within a given area. It provides more efficient space to comply with perforated hole layout area according to industrial standards such as KS standards. In addition, the problem of interference with the slit that may occur while arranging the perforated hole up to the second perforated area is solved as described below.

제1 타공 영역의 테두리를 따라 제2 타공 영역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타공 영역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 영역이 위치할 수 있다. The second perforated area may be positioned along the edge of the first perforated area. The extension area may be located along the edge of the second perforated area.

제2 타공 영역(114)은 천장재의 전면으로부터 둔각인 제1 각도를 갖고서 연장한다. 연장 영역(120)은 제2 타공 영역으로부터 둔각인 제2 각도를 갖고서 연장한다. 제1 각도와 제2 각도는 대체로 동일할 수 있다. 일례로, 경사진 빗면이 45도의 경사를 가질 수 있도록, 제1 각도와 제2 각도는 135도일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second perforated area 114 extends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ceiling material with a first angle that is an obtuse angle. The extension area 120 extends from the second perforated area at a second angle that is an obtuse angle. The first angle and the second angle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For example, the first angle and the second angle may be 135 degrees so that the inclined inclined plane may have an inclination of 45 degre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천장재(100)는 코너에 마련되는 슬릿부(SL)를 포함한다. 슬릿부는 인접하는 천장재들과 모여 하나의 체결구(FH, 도 3)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천장재는 사각형상일 수 있으므로, 슬릿부도 각 코너마다 총 네 개가 마련될 수 있다. The ceiling material 100 includes a slit portion SL provided at a corner. The slit part is gathered with adjacent ceiling materials to form one fastener (FH, FIG. 3 ). For example, since the ceiling material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a total of four slits may be provided for each corner.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재들에 의해 형성되는 체결구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Figure 3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fastener formed by the ceiling materi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And, Figure 4 is a view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faste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네 개의 천장재들(100A, 100A, 100B, 100B)이 모인 코너에 하나의 체결구(FH)가 형성된다.First, referring to FIG. 3 , one fastener FH is formed at a corner where four ceiling materials 100A, 100A, 100B, and 100B are gathered.

하나의 슬릿(SL)은 체결구(FH)의 1/4에 해당하는 개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One slit SL may provide an open space corresponding to 1/4 of the fastener FH.

즉, 도면상 좌측에 도시된 제1 천장재(100A)의 슬릿(SL)과 제2 천장재(100B)의 슬릿(SL), 및 도면상 우측에 도시된 제1 천장재(100A)의 슬릿(SL)과 제2 천장재(100B)의 슬릿(SL)이 모여 하나의 체결구(FH)를 형성한다. That is, the slit SL of the first ceiling member 100A and the slit SL of the second ceiling member 100B shown on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and the slit SL of the first ceiling member 100A shown on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And the slits SL of the second ceiling member 100B are gathered to form one fastener FH.

체결구(FH)는 후술하는 체결부재(50)(일례로, 체결나사일 수 있다)의 진입을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체결구는 체결나사의 몸통(52)의 두께 이상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astener FH provides a space for entry of the fastening member 50 (for example, it may be a fastening screw) to be described later. The fastener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diameter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ody 52 of the fastening screw.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릿부(SL)는 타공 영역 및 연장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천장재에 대해서 제2 타공 영역(114) 및 연장 영역(120)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타공 영역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The slit part S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ver the second perforated area 114 and the extended area 120 for the ceiling material including the perforated area and the extended area. That is, it is not formed in the first perforated area.

또한, 슬릿부는 제2 타공 영역에 배치된 타공홀들과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슬릿부는 타공홀을 삭제하지 않는다. Also, the slit portion may be form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perforated holes disposed in the second perforated area. That is, the slit part does not delete the perforated hole.

KS규격에 따르면 타공홀은 전체 면적당 형성되어야 할 면적이 정해져 있으므로(현재 기준으로는 전체 면적의 20% 이상임), 슬릿부의 형성에 의해 타공홀이 삭제되지 않도록 한다. 이는 정해진 KS규격에 따라 설계된 타공홀 면적을 보장하는 슬릿부의 마련을 가능하게 한다. KS규격이 변경되어 또는 다른 산업규격에 따라 전체 면적의 25% 이상을 요구하는 경우에도 슬릿부는 타공홀을 삭제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KS standard, the area to be formed per the total area of the perforated hole is determined (at the present time, it is more than 20% of the total area), so the perforated hole is not deleted by the formation of the slit part. This makes it possible to provide a slit portion that guarantees the area of the perforated hole designed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KS standard. Even when the KS standard is changed or other industrial standards require 25% or more of the total area, the slit part can be formed within the range that does not delete the perforated hole.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릿부(SL)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재의 내측 방향(DI)으로 함몰된 구조를 갖는다. 각진 형상의 함몰부(AS)를 갖는다. 이로써 체결구의 네 모퉁이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체결나사의 몸통(52)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체결구가 형성된다.To this end, the slit portion S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is depressed in the inner direction DI of the ceiling member, as shown in FIG. 4 . It has an angled recessed part AS. The four corners of the fastener can thereby be formed. That is, a fastener having a siz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body 52 of the fastening screw is formed.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슬릿부는 각진 형상의 함몰부를 가짐에 따라, 사각 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사각 기둥의 슬릿부가 하나의 체결구를 위한 1/4의 공간을 제공한다. 원기둥이 아님을 주목한다.Referring to FIG. 2 together, the slit portion may have a rectangular prism shape as the slit portion has an angled recessed portion. That is, the slit portion of the square pillar provides 1/4 space for one fastener. Note that it is not a cylinder.

도 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릿부의 함몰부(AS)의 각진 형상의 각도(α1)를 도시한다. 도 4b는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슬릿부의 함몰부(AS)의 각진 형상의 각도(α2 및 α3)를 도시한다. α1일 때 형성되는 체결구가 FH1, α2일 때 형성되는 체결구가 FH2, 그리고 α3일 때 형성되는 체결구가 FH3로 각각 도시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구(FH1, FH2 또는 FH3)는 다각형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4A shows the angle α1 of the angled shape of the recessed portion AS of the sl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B shows the angles α2 and α3 of the angled shape of the recessed portion AS of the slit portion according to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A fastener formed when α1 is FH1, a fastener formed when α2 is FH2, and a fastener formed when α3 is FH3, respectively.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asteners FH1 , FH2 or FH3 may have a polygonal structure.

슬릿부의 함몰부의 각진 형상의 각도는 80도~100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90도일 수 있다. 80도인 실시예가 도면에서 α2로, 100도인 실시예가 도면에서 α3로, 그리고 90도인 실시예가 도면에서 α1으로 도시된다. The angle of the angular shape of the depression of the slit may be 80 degrees to 100 degrees. Preferably, it may be 90 degrees. The embodiment at 80 degrees is shown by α2 in the figure, the embodiment at 100 degrees by α3 in the figure, and the embodiment at 90 degrees by α1 in the figure.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릿부는 천장재의 설계된 타공홀의 면적과 간섭하지 않는다. 이는 KS규격에 따라 설계된 타공홀의 면적을 보장한다. 또한, 제2 타공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타공 영역의 일부를 절곡하는 과정에서 이웃하는 제2 타공 영역들이 만나는 에지부(ED, 도 3)가 보다 손쉽고 자연스럽게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천장재의 지지 구조를 확보할 수 있도록 체결나사의 몸통(52) 두께를 최적의 크기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The sl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nterfere with the area of the designed perforated hole of the ceiling material. This guarantees the area of the perforated hole designed according to the KS standard.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bending a part of the perforated area to form the second perforated area, the edge portion ED ( FIG. 3 ) where the adjacent second perforated areas meet is more easily and naturally formed.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body 52 of the fastening screw can be accommodated in an optimal size so as to secure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ceiling material.

만약 80도 미만인 경우에는 타공홀들 중 일부를 삭제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100도 초과인 경우에는 절곡과정에서 에지부를 형성하는 작업이 어려워진다. 180도에 가까워질수록 체결구가 체결나사의 몸통에 가까운 크기로 수렴함으로써 설계상 또는 작업간 발생할 수 있는 공차를 수용하기 어려워진다. If it is less than 80 degrees, the possibility of deleting some of the perforated holes increases. In the case of more than 100 degrees, it becomes difficult to form the edge portion in the bending process. As it approaches 180 degrees, the fastener converges to a size close to the body of the fastening screw, making it difficult to accommodate tolerances that may occur in design or between operation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타공홀 설계와 간섭하지 않고, 공차를 반영한 적정 두께의 체결나사를 수용할 수 있는 최적의 크기의 체결구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astener of an optimal size that can accommodate a fastening screw of an appropriate thickness reflecting the tolerance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design of the perforated hol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재들이 고정캡에 의해 고정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eiling materials are fixed by a fixing c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재들에 마련되는 가이드부의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6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structure of the guide unit provided on the ceiling materi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재들에 마련되는 가이드부를 통해 고정캡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And,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cap is seated through the guide part provided on the ceiling materi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고정캡(40)은 네 개의 천장재들(100A, 100A, 100B, 100B)이 모인 코너에서 체결부재(50)를 통해 천장재들에 밀착되어 이들을 상부 클립바에 단단히 고정시킨다. First, referring to FIG. 5 , the fixing cap 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eiling materials through the fastening member 50 at the corner where the four ceiling materials 100A, 100A, 100B, and 100B are gathered to firmly fix them to the upper clip bar. .

체결부재(50)는 피스못과 같은 나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체결나사로 참조할 수 있다. 체결나사(50)는 머리(51)와 몸통(52)을 가질 수 있다. The fastening member 50 may have a screw structure such as a piece nail. It may be referred to as a fastening screw. The fastening screw 50 may have a head 51 and a body 52 .

고정캡을 관통한 체결부재(50)는 체결구(FH)를 통하여 상부에 클립바로 진입하며, 체결부재가 클립바로 삽입 고정됨으로써 천장재들의 안정적인 고정을 가능하도록 한다. The fastening member 50 passing through the fixing cap enters the clip bar at the upper part through the fastener FH, and the fastening member is inserted and fixed with the clip bar to enable stable fixing of the ceiling materials.

고정캡(40)은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절곡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절곡부는 천장재들 사이 공간으로 밀착되어 체결력을 높인다. 또한 체결부재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천장재들 사이 공간에서 회전에 대한 걸림턱 역할을 함으로써 나사를 조이는 작업의 효율을 높인다. The fixing cap 40 may include a bent portion 42 formed at an edge thereof. The bent part is closely attached to the space between the ceiling materials to increase the fastening force.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fastening the fastening member, it serves as a stumbling block for rotation in the space between the ceiling materials,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screw tightening oper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캡의 절곡부가 작용하는 천장재들 사이 공간은 상술한 제2 타공 영역(114)에 의해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8개의 제2 타공 영역들에 의해 형성된다. 즉, 도면상 좌측에 도시된 제1 천장재(100A)의 이웃하는 두 개의 제2 타공 영역들과 제2 천장재(100B)의 이웃하는 두 개의 제2 타공 영역들, 그리고, 도면상 우측에 도시된 제1 천장재(100A)의 이웃하는 두 개의 제2 타공 영역들과 제2 천장재(100B)의 이웃하는 두 개의 제2 타공 영역들이 고정캡의 절곡부와 상호작용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e between the ceiling materials in which the bent portion of the fixing cap acts is formed by the above-described second perforated area 114 . As shown in the figure, it is formed by a total of eight second perforated areas. That is, two adjacent second perforated areas of the first ceiling material 100A shown on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and two adjacent second perforated areas of the second ceiling material 100B shown on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and shown on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Two adjacent second perforated areas of the first ceiling material 100A and two adjacent second perforated areas of the second ceiling material 100B interact with the bent portion of the fixing cap.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재의 제2 타공 영역은 트렌치부(G)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확대도를 도시하기 위해, 각 천장재에서 이웃하는 제2 타공 영역들에 각각 마련되는 트렌치부(G)들만이 도시되나, 각 천장재는 총 8개의 트렌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 the second perforated area of the ceiling material may include a trench portion (G). In the drawing, in order to show an enlarged view, only the trench portions G provided in the second perforated areas adjacent to each ceiling material are shown, but each ceiling material may include a total of eight trench portions.

트렌치부(G)는 그루브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타공 영역의 경사진 빗면으로부터 하부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trench portion G may have a groove shape. It may have a concave shape downward from the inclined bevel surface of the second perforated area.

트렌치부는 상술한 연장 영역의 결합홈(CH)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함께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과 트렌치부는 모두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마련되는 요철 구조이기 때문이다. 일례로 프레스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The trench portion may be formed together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coupling groove CH of the above-described extended region. This is because both the coupling groove and the trench portion are concave-convex structures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base plate. For example, it may be formed by a press process.

트렌치부는 소정의 경사를 갖고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술한 에지부와 거울대칭인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상술한 고정캡의 절곡부가 천장재들 사이 공간으로 더욱 밀착되는 것을 가이드한다. 즉, 트렌치부는 절곡부와 대체로 일치하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절곡부가 트렌치부로 바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The trench portion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s an example, it may have a mirror-symmetrical slope with the above-described edge portion. This guides the bent portion of the above-described fixing cap to be more closely attached to the space between the ceiling materials. That is, the trench portion may have a slope substantially coincident with the bent portion. This allows the bent portion to be seated directly into the trench portion.

전체적으로 보면, 트렌치부들은 네 개의 천장재들이 모인 코너에서 고정캡의 안착을 가이드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8개의 트렌치부들에 의해 고정캡의 안착이 가이드될 수 있다. 도면상 좌측에 도시된 제1 천장재(100A)와 제2 천장재(100B)의 트렌치부들이 도면상 고정캡의 좌측 절곡부의 안착을 가이드한다. 도면상 우측에 도시된 제1 천장재(100A)와 제2 천장재(100B)의 트렌치부들이 도면상 고정캡의 우측 절곡부의 안착을 가이드한다. 도면상 상측에 도시된 제1 천장재(100A)들의 트렌치부들이 도면상 고정캡 상측 절곡부의 안착을 가이드한다. 도면상 하측에 도시된 제2 천장재(100B)들의 트렌치부들이 도면상 고정캡 하측 절곡부의 안착을 가이드한다. In general, the trench portions guide the seating of the fixing cap at the corner where the four ceiling materials are gathered. That is, as shown in FIG. 7 , the seating of the fixing cap may be guided by a total of eight trench portions. The trench portions of the first ceiling material 100A and the second ceiling material 100B shown on the left side in the drawing guide the seating of the left bent portion of the fixing cap in the drawing. The trench portions of the first ceiling material 100A and the second ceiling material 100B shown on the right side in the drawing guide the seating of the right bent portion of the fixing cap in the drawing. The trench portions of the first ceiling materials 100A shown on the upper side in the drawing guide the seating of the upper bent portion of the fixing cap in the drawing. The trench portions of the second ceiling materials 100B shown on the lower side in the drawing guide the seating of the lower bent portion of the fixing cap in the draw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렌치부들은 제2 타공 영역들의 역할을 보다 상승시킨다. 고정캡의 절곡부가 작용하는 천장재들 사이 공간이 제2 타공 영역에 의해 형성되되, 트렌치부는 절곡부가 천장재들 사이 공간으로 더욱 밀착되도록 하여 체결력을 높이고, 또한 체결부재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회전에 대한 걸림턱 역할을 함으로써 나사를 조이는 작업의 효율을 더욱 높인다. The trench por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rease the role of the second perforated areas. The space between the ceiling materials where the bent part of the fixing cap acts is formed by the second perforated area, and the trench part increases the fastening force by making the bent part more closely contact the space between the ceiling materials, and also locks in rotation in the process of fastening the fastening member. By acting as a jaw, the efficiency of tightening the screw is further increased.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재의 제조 과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도시한 순서도이다.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ceil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ver tim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재 제조 과정은 베이스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단계(S110), 타공홀들을 형성하는 단계(S120), 재단하는 단계(S130), 슬릿부 형성 부위를 삭제하는 단계(S140) 및 벤딩하는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 the ceiling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of providing a base plate ( S110 ), a step of forming perforated holes ( S120 ), a step of cutting ( S130 ), and a slit portion forming site. It may include deleting (S140) and bending (S150).

먼저, 단계(S110)에서 베이스 플레이트는 강판 및 그 위에 형성된 도금층, 코팅층 또는 도장층을 포함한다. 도금층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과 인산아연의 혼합층일 수 있다. 도장층은 폴리에스터 수지일 수 있다. 코팅층은 세라믹 코팅일 수 있다. First, in step S110, the base plate includes a steel plate and a plating layer, a coating layer, or a coating layer formed thereon. The plating layer may be aluminum or a mixed layer of aluminum and zinc phosphate. The coating layer may be a polyester resin. The coating layer may be a ceramic coating.

다음으로, 단계(S120)에서 타공홀들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정해진 타공 면적을 만족하는 소정의 타공홀의 직경 및 타공홀들간 간격을 갖고서 지그지그로 형성될 수 있다. Next, in step S120 , the perforated holes may be formed in a jig jig with a predetermined perforated hole diameter and a spacing between the perforated holes that satisfy a perforated area determined for the base plate.

타공홀들이 형성되는 영역은 상술한 타공 영역이 된다. 그리고, 타공 영역의 일부가 절곡됨으로써 제1 타공 영역과 제2 타공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타공 영역과 제2 타공 영역 모두에 타공홀들이 형성됨을 주목한다.The area in which the perforated holes are formed becomes the above-described perforated area. In addition, the first perforated area and the second perforated area may be defined by bending a portion of the perforated area. Note that the perforated holes are formed in both the first perforated area and the second perforated area.

이어서, 단계(S130)에서는 상기 단계들(S110, S120)을 통해 제조된 타공 플레이트를 요구되는 천장재의 크기에 맞게 재단한다. Next, in step S130, the perforated plate manufactured through the steps S110 and S120 is cut to fit the required size of the ceiling material.

상술한 타공 영역과 연장 영역 외의 부분을 잘라내는 과정에 해당한다. It corresponds to the process of cutting out part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perforated area and extension area.

계속하여, 단계(S140)에서는 상기 단계(S130)에서 재딘된 타공 플레이트에 대해 슬릿부 형성 부위를 삭제한다. Subsequently, in step (S140), the slit portion forming portion is deleted with respect to the perforated plate cut in step (S130).

단계(S140)에서 제2 타공 영역과 연장 영역의 일부가 삭제된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이, 슬릿부는 제2 타공 영역 및 연장 영역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In step S140, a portion of the second perforated area and the extended area is deleted. 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the slit portion may be formed over the second perforated area and the extended area.

슬릿부 형성 부위는 슬릿부가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으로 각진 형상의 함몰부를 갖도록 삭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lit portion forming portion is deleted so that the slit portion has an inwardly angled depression as described above.

마지막으로, 단계(S150)에서는 상기 단계들(S110 내지 S140)을 마친 타공 플레이트를 정해진 형상을 갖도록 벤딩한다. Finally, in step S150, the perforated plate after the steps S110 to S140 is bent to have a predetermined shape.

여기서, 제2 타공 영역이 천장재의 전면을 형성하는 제1 타공 영역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갖고서 천장재의 경사진 빗면을 갖도록 가공된다. 또한 연장 영역이 제2 타공 영역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가공된다. 전자의 각도와 후자의 각도의 대체로 일치할 수 있다. Here, the second perforated area has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perforated area forming the front surface of the ceiling material is processed to have an inclined bevel surface of the ceiling material. In addition, the extension area is machin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second perforated area. The former angle and the latter angle may generally coincide.

단계(S150)를 통해 연장 영역이 천장재의 전면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가공되며, 이에 클립바로의 삽입 고정을 위한 삽입부가 마련되게 된다.Through step S150, the extension area is process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eiling material, and an insertion part for insertion and fixation of the clip bar is provided.

또한 단계(S150)에서는 연장 영역에 대해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과정이 더욱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결합홈과 트렌치부가 형성될 수 있다. 프레스 공정이 가능한 결합홈과 트렌치부를 같은 단계(S150)에서 수행함으로써 제조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step S150, a process of forming a concave-convex structure in the extended region may be further performed. The above-described coupling groove and trench portion may be formed.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by performing the coupling groove and the trench part capable of the press process in the same step (S15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etc.,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have been described, but these are only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se descriptions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all those with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o the claims will be said to belong to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1 :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를 위한 천장재 시스템
10A, 10B : 클립바
20 : 캐링
30 : 행거
40 : 고정캡
42 : 절곡부
50 : 체결부재
51, 52 : 체결부재의 머리, 몸통
100, 100A, 100B :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
110 : 타공 영역
112 : 제1 타공 영역
114 : 제2 타공 영역
120 : 연장 영역
122 : 삽입부
CH : 결합옴
SL : 슬릿부
PH : 타공홀
FH, FH1, FH2, FH3 : 체결구
ED : 에지부
AS : 각진 형상의 함몰부
G : 트렌치부
1: Ceiling material system for non-combustible sound-absorbing metal ceiling material
10A, 10B : Clip bar
20 : Carrying
30 : hanger
40: fixed cap
42: bend
50: fastening member
51, 52: head, body of the fastening member
100, 100A, 100B: Non-combustible sound-absorbing metal ceiling material
110: perforated area
112: first perforated area
114: second perforated area
120: extended area
122: insertion part
CH : bonding ohm
SL: slit
PH: perforated hole
FH, FH1, FH2, FH3 : fasteners
ED: Edge
AS : Rectangular shaped depression
G: trench

Claims (9)

인접하는 천장재들과 모여 하나의 체결구를 형성하기 위한 슬릿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 Non-combustible sound-absorbing metal ceiling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lit for forming a single fastener by gathering with the adjacent ceiling materials. 제1항에 있어서,
흡음을 위한 복수의 타공홀들이 배치된 타공 영역; 및
상기 타공 영역으로부터 사방으로 연장되며 외부 경량철골 자재로의 결합을 위한 삽입부가 배치된 연장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타공 영역은 상기 천장재의 전면을 형성하는 제1 타공 영역 및 상기 천장재의 경사진 빗면들을 형성하는 제2 타공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
According to claim 1,
a perforated area in which a plurality of perforated holes for sound absorption are disposed; and
An extension area extending in all directions from the perforated area and in which an insertion part for coupling to an external lightweight steel frame material is disposed;
The perforated area is a non-combustible sound-absorbing metal ceiling material comprising a first perforated area forming the front surface of the ceiling material and a second perforated area forming inclined slopes of the ceiling materi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공 영역의 경사진 빗면은 상기 전면으로부터 둔각인 제1 각도를 갖고,
상기 연장 영역은 상기 제2 타공 영역으로부터 둔각인 제2 각도를 갖고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inclined inclined plane of the second perforated area has a first angle that is an obtuse angle from the front surface,
The extended area is non-combustible sound-absorbing metal ceiling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it extends with a second angle that is an obtuse angle from the second perforated are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부는 상기 제1 타공 영역을 제외한 상기 제2 타공 영역 및 상기 연장 영역에 걸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lit portion is a non-combustible sound-absorbing metal ceiling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ver the second perforated area and the extended area excluding the first perforated are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부는 상기 제2 타공 영역에 배치된 타공홀들과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
5. The method of claim 4,
The non-combustible sound-absorbing metal ceiling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t portion is form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perforated holes disposed in the second perforated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부는 상기 천장재의 네 모서리들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슬릿부는 내측으로 각진 형상의 함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
The method of claim 1,
The slit portion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four corners of the ceiling material, and the slit portion is a non-combustible sound-absorbing metal ceiling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inwardly angled recessed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내측으로 각진 형상은 80~100도의 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
7. The method of claim 6,
The non-combustible sound-absorbing metal ceiling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d shape to the inside of the depression has an angle of 80 to 100 degre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를 관통하는 체결부재를 통하여 상기 천장재를 인접하는 천장재들과 외부 경량철골 자재에 고정시키는 고정캡이 상기 천장재들의 상기 제2 타공 영역들에 의해 형성되는 천장재들 사이 공간으로 밀착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타공 영역은 상기 절곡부의 안착을 가이드하는 그루브 형상의 트렌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xing cap for fixing the ceiling material to the adjacent ceiling materials and the external lightweight steel frame through the fastening member passing through the fastener is a bent portion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pace between the ceiling materials formed by the second perforated areas of the ceiling materials including,
The second perforated area non-combustible sound-absorbing metal ceiling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roove-shaped trench for guiding the seating of the bent por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부는 이웃하는 상기 제2 타공 영역들에 의해 형성되는 에지부와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
9. The method of claim 8,
The non-combustible sound-absorbing metal ceiling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trench portion is formed symmetrically with the edge portion formed by the adjacent second perforated regions.
KR1020200173786A 2020-12-11 2020-12-11 Non-combustible sound-absorbing metal ceiling panel with a structure that is advantageous for complying with KS standards KR1025806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786A KR102580668B1 (en) 2020-12-11 2020-12-11 Non-combustible sound-absorbing metal ceiling panel with a structure that is advantageous for complying with KS standar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786A KR102580668B1 (en) 2020-12-11 2020-12-11 Non-combustible sound-absorbing metal ceiling panel with a structure that is advantageous for complying with KS standar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490A true KR20220083490A (en) 2022-06-20
KR102580668B1 KR102580668B1 (en) 2023-09-20

Family

ID=82257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3786A KR102580668B1 (en) 2020-12-11 2020-12-11 Non-combustible sound-absorbing metal ceiling panel with a structure that is advantageous for complying with KS standard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66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801B1 (en) * 2012-06-11 2013-02-20 주식회사 조은이노텍 Finishing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t
KR20160071671A (en) * 2014-12-12 2016-06-22 주식회사 조은데코 Fixture of finish panel
KR20180002124U (en) * 2016-12-30 2018-07-10 한근중 Fixing device for clamping ceiling pannel
KR20190093989A (en) * 2018-02-02 2019-08-12 성기인 A improved sound absorption panel for construc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801B1 (en) * 2012-06-11 2013-02-20 주식회사 조은이노텍 Finishing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t
KR20160071671A (en) * 2014-12-12 2016-06-22 주식회사 조은데코 Fixture of finish panel
KR20180002124U (en) * 2016-12-30 2018-07-10 한근중 Fixing device for clamping ceiling pannel
KR20190093989A (en) * 2018-02-02 2019-08-12 성기인 A improved sound absorption panel for constr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0668B1 (en) 2023-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8589B1 (en) Clip for attachment to flanges of structural steel
KR102417604B1 (en) Seismic reinforcement type ceiling finishing apparatus
KR102284610B1 (en) Ceiling panel system for non-combustible sound-absorbing metal ceilings
KR20220083490A (en) Non-combustible sound-absorbing metal ceiling panel with a structure that is advantageous for complying with KS standards
KR20220083491A (en) Method of manufacturing non-combustible sound-absorbing metal ceiling panel that reduces manufacturing cost
JP7209271B2 (en) ceiling panel
KR20210136300A (en) interior and exterior finishing panel assemblies with easy construc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s
JPH08232386A (en) Ceiling damping structure
JP2603046Y2 (en) Screw fastening structure
CA1231218A (en) Wall panel attachment hook
JP2594827Y2 (en) Mounting structure of metal cladding for middle-rise buildings
JP3754764B2 (en) Eave ceiling structure
CN113498446B (en) Ceiling panel
JPS5911521Y2 (en) Architectural board fasteners
JPS6136691Y2 (en)
JPH04203141A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partition panel
JPH0449313Y2 (en)
KR200264102Y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wall to floor
JP4033640B2 (en) Ceiling structure
JP2580333B2 (en) Construction method for forming partition walls
JPS628261Y2 (en)
JPS60195248A (en) Construction of ceiling
JPS6040459A (en) Ceiling attaching structure
JP3597278B2 (en) Roofing material
JPH08246584A (en) External wall panel and fixing structur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