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3119A - 하수관용 채움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하수관용 채움재 - Google Patents

하수관용 채움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하수관용 채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3119A
KR20220083119A KR1020200173019A KR20200173019A KR20220083119A KR 20220083119 A KR20220083119 A KR 20220083119A KR 1020200173019 A KR1020200173019 A KR 1020200173019A KR 20200173019 A KR20200173019 A KR 20200173019A KR 20220083119 A KR20220083119 A KR 20220083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iller
powder
composition
sew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3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6952B1 (ko
Inventor
김선중
박은서
Original Assignee
청양종합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양종합건설(주) filed Critical 청양종합건설(주)
Priority to KR1020200173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952B1/ko
Publication of KR20220083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3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9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02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compounds only
    • C09K17/06Calcium compounds, e.g. lim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08Flue dust, i.e. fly as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8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 C04B18/24Vegetable refuse, e.g. rice husks, maize-ear refuse; Cellulosic materials, e.g. paper, cork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6Oxides, Hydroxides
    • C04B22/062Oxides, Hydroxides of the alkali or alkaline-earth metals
    • C04B22/064Oxides, Hydroxides of the alkali or alkaline-earth metals of the alkaline-earth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14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calcium sulfate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C04B38/1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by using foaming agents or by using mechanical means, e.g. adding preformed foa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20Retar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663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as filling material for caviti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관용 채움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하수관용 채움재에 관한 것으로서, 유동성 및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차수성 또한 우수한 하수관용 채움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하수관용 채움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수관용 채움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하수관용 채움재{filler composition for sewer pipe and filler for sewer pip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하수관용 채움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하수관용 채움재에 관한 것으로서, 유동성 및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차수성 또한 우수한 하수관용 채움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하수관용 채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심 내 하수관은 내구연한이 다하거나, 관로 주변의 충격 및 압밀 하중 등으로 교체 공사가 요구되게 된다. 현재 국내의 하수관은 30년 이상의 노후된 관이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상태로 하수관 교체를 위한 관련 기술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수관 교체시 가장 큰 문제가 되는 것 중 하나는 하수관의 주변부 흙을 굴착하고, 하수관을 교체한 뒤 흙을 되메우기 하는 과정에서 원형의 하수관을 매립하는 경우, 하수관 주변의 흙이 온전히 채워지지 못하고 빈 공간을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하수관 상부에서 토압 및 고중량의 이동 수단 등이 지나감으로 인해 압력 등이 발생하면, 압력이 하수관으로 전달되게 되는데, 이로 인한 하중을 원형의 하수관에 고르게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주변부 흙과 온전히 밀착되어 있어야 한다. 만일, 주변부 흙과 온전히 밀착되지 않아 빈 공간을 갖는 하수관은 외부의 압력에 의해 파괴되는 현상이 나타나거나, 되메우기에 의하여 메워지지 못한 흙의 우수 등에 의하여 하부로 침하되는 소성침하 현상으로 이로 인한 도로의 가라앉음 현상이 유도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하수관의 시공 하자는 장기적으로 하부 지반부의 지하수에 대한 취약성, 내부 토양 유실 등의 문제점을 일으키게 되며, 도심 내 싱크홀 현상의 적접적인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하수관 교체시 발생하는 빈 공간의 제어 및 차수를 위하여 일반 시멘트 그라우트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경화 후 강도가 10MPa이상을 상회하는 고강도로 향후 하수관 교체시 굴착이 거의 불가능한 정도의 강도를 갖게 되어, 장기적인 관리 차원에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높은 pH로 인해 주변부 토양 및 지하수의 고알칼리성 피해를 유발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해외에서는 일반 시멘트에 과량의 플라이애시를 혼입한 유동성 채움재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재품은 재령 56일에 약 0.5 ~ 1MPa 정도의 저강도 제품으로 고유동성을 갖으며, 채움재의 밀도는 약 1,455.3kg/m3정도의 낮은 밀도를 갖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시멘트를 사용함에 따른 높은 pH의 문제점과 반취성 재료라는 특성으로 인해 균열 발생시 주변부로의 하수관내 오염수 및 고알칼리에 의한 토양 오염 우려는 불식시키지 못하는 소재이다.
최근에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는 지오폴리머 기술을 사용한 고유동성 채움재가 나오기는 하지만 반응성을 위한 자극제의 pH는 12이상으로 시멘트보다 알칼리 독성이 높은 소재를 사용함에 따라 문제점을 해결하는 대안이 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하수관용 채움재가 가져야 하는 다양한 물성을 만족할 수 있는 하수관용 채움재의 개발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10-2032966호(공개일자 : 2019.05.22)
본 발명은 하수관용 채움재를 구성하는 구성성분의 비중이 낮아 하수관 주변의 압력을 저감시킬 수 있으면서도, 하수관 파열시 주변 토양을 오염시킬 수 있는 오염성을 저감시킬 수 있는 하수관용 채움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하수관용 채움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량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유동성, 내구성 및 차수성이 우수한 하수관용 채움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하수관용 채움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채움재 분말을 포함하는 하수관용 채움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채움재 분말은 탈황석고, 고칼슘 플라이애시, 고로슬래그, 폐소석회 및 왕겨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채움재 분말은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탈황석고 45 ~ 65 중량%, 고칼슘 플라이애시 5 ~ 25 중량%, 고로슬래그 15 ~ 35 중량%, 폐소석회 2 ~ 5 중량% 및 왕겨 분말 5 ~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하수관용 채움재 조성물은 기포제, 지연제 및 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하수관용 채움재 조성물은 채움재 분말 및 물을 1 : 0.8 ~ 1.3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하수관용 채움재 조성물은 채움재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기포제 0.05 ~ 0.2 중량부 및 지연제 0.1 ~ 0.3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탈황석고는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42 ~ 48 중량%의 삼산화황(SO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고칼슘 플라이애시는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31 ~ 42 중량%의 산화칼슘(CaO) 및 8 ~ 12 중량%의 삼산화황(SO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왕겨 분말은 300 ~ 820㎛의 입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하수관용 채움재에 관한 것으로서, 앞서 언급한 하수관용 채움재 조성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하수관용 채움재는 KS L 5105 규정에 의해 측정시, 28일 재령에서 0.5 ~ 1.2 MPa의 압축강도를 가지고, KS L 2476-'02 규정에 의해 측정시, 240mm 이상의 유동성을 가지며, KS L 2322 규정에 의해 측정시, 1×10-8 sec/mm 이하의 투수계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수관용 채움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하수관용 채움재는 경량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유동성, 내구성 및 차수성 등의 하수관용 채움재로서 사용할 수 있는 적합한 물성을 만족한다.
이하, 본 발명은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하수관용 채움재 조성물은 채움재 분말을 포함한다.
이 때, 채움재 분말은 탈황석고, 고칼슘 플라이애시, 고로슬래그, 폐소석회 및 왕겨 분말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탈황석고, 고칼슘 플라이애시, 고로슬래그, 폐소석회 및 왕겨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탈황석고는 페트로코크스나 중유를 보일러 연료로 사용하는 화력발전소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황산화물을 배연탈황 장치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과정에서 산출되는 석고를 일컬으며 산화칼슘과 이산화황이 반응하여 석고를 형성하게 되면서 발생되는 부산물이다. 화학적으로 결합에 의해 생성된 석고는 채광되는 천연 무수석고보다 많은 삼산화황(SO3)을 포함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탈황석고는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42 ~ 48 중량%, 바람직하게는 43 ~ 47 중량%의 삼산화황(SO3)을 포함할 수 있다. 만일, 탈황석고가 삼산화황(SO3)을 42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면 석고 함량의 부족으로 인해 반응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48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면 과량의 삼산화황으로 인해 알칼리도가 저하되어 강도 증진의 문제와 과팽창으로 인한 체적 균열 및 내수성 저하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채움재 분말은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탈황석고를 45 ~ 65 중량%, 바람직하게는 55 ~ 65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만일 탈황석고를 45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면, 강도 상승을 유인하는 고로슬래그의 양이 증가되거나 강도와 유동성을 저하시키는 고칼슘 플라이애시의 양이 과다해짐에 따라 적정한 강도를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6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하면, 너무 낮은 강도로 인해 적절한 지반 강도를 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플라이애시는 미분쇄된 석탄이 연소로에서 연소된 후 집진설비에 의해 포집되는 것으로, 보일러 저부에서 채집되는 버텀애시와 구분된다. 플라이애시의 특징은 자체적인 수경성을 갖고 있지는 않으나 알칼리성 물질의 존재 하에서 물과 반응하여 경화하는 성질 즉, 포졸란 반응성을 갖는다. 이러한 플라이애시는 시멘트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초기 반응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응결 지연과 초기강도 감소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칼슘 플라이애시는 열병합 발전소 및/또는 화력 발전소에서 연료소각시 발생되는 부산물인 플라이애쉬로서, 열병합 발전소 및/또는 화력 발전소에서는 SOx와 NOx를 제어하기 위한 탈황설비를 갖추고 일반 연소 과정보다 낮은 850℃정도의 낮은 온도를 유지하는 설비를 갖추고 있어, 이와 같은 설비에서 발생하는 플라이애쉬는 다량의 석고 성분과 칼슘이온을 함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고칼슘 플라이애시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산화칼슘(CaO)의 함량이 3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31 ~ 42 중량%의 산화칼슘(CaO), 8 ~ 12 중량%의 삼산화황(SO3)을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 42 중량%의 산화칼슘(CaO), 10 ~ 12 중량%의 삼산화황(SO3)을 포함할 수 있다. 만일, 본 발명의 고칼슘 플라이애시가 산화칼슘을 3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한다면 수분 흡수와 급결성을 제어하는 산화칼슘의 양이 부족하여 내수성 저하의 문제가 있을 수 있고, 42 중량%를 초과한다면 과량의 산화칼슘 공급으로 인한 발열로 플라스틱 계열의 관 손상을 초래하거나 과도한 pH상승으로 인한 주변부 토양의 오염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고칼슘 플라이애시가 삼산화황을 8 중량% 미만으로 포함한다면 석고화되지 못한 산화칼슘의 양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산화칼슘 증가로 인한 발열량 및 pH상승이 유발될 수 있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2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한다면 생성된 석고의 양이 과다하여 과팽창으로 인한 내수성 저하 및 알칼리 자극제로서 산화칼슘의 양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채움재 분말은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고칼슘 플라이애시를 5 ~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5 ~ 15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만일 고칼슘 플라이애시를 5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높은 단위수량을 갖는 채움재의 안정성이 저하되어 타설 후 재료 분리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25 중량%를 초과하면, 점도가 과도하게 상승함에 따라 단위수량이 증가하게 되어 경화 후 잉여수가 외부로 빠져 나간 뒤 경화물의 변형되거나 너무 높은 강도를 나타내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로슬래그는 용광로에서 철광석으로부터 선철을 만들 때 생기는 슬래그[鑛滓]로서 철 이외의 불순물이 모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고로슬래그는 미분말 형태로서, 본 발명의 하수관용 채움재 조성물에 포함되어 압축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고로수쇄슬래그를 건조 및 분쇄하여 제조하며, 급냉시켜 유리화한 것이기 때문에 반응성이 높다. 또한 고로글래그는 품질규격 KS F 2563에 의거하여 고로글래그 미분말 1종, 고로글래그 미분말 2종, 고로글래그 미분말 3종으로 나눌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고로글래그는 고로글래그 미분말 1종, 2종 및 3종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3 종을 포함할 수 있다. 3종의 고로글래그는 4,000 ~ 6,000cm3/g의 분말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채움재 분말은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고로슬래그를 15 ~ 35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 25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만일 고로슬래그를 15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 강도 발현의 문제가 있을 수 있고, 3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 강도 증가 및 경제성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폐소석회는 칼슘카바이드 공정 부산물로 생성된 것으로 칼슘카바이드에 물을 가수하는 경우, 가수반응에 의한 에틸렌 가스가 방출되고 소석회가 물에 용해된 상태로 제조되게 되는데 이를 탈수하여 건조한 상태의 것을 폐소석회라고 한다. 본 발명의 폐소석회의 입도는 325 메쉬(mesh)의 체 통과율이 9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 95%일 수 있는데, 일반적인 소석회의 입도는 200 메쉬의 체 통과율이 80% 이상이며, 본 발명의 폐소석회는 일반적인 소석회보다 매우 작은 입경을 가지고 있어 초기 반응이 빠른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채움재 분말은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폐소석회를 1 ~ 5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 2.5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만일 폐소석회를 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폐소석회가 채움재 조성물의 황산염계 수화물의 과다 생성으로 인해 과팽창이 유도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5 중량%를 초과할 경우, 내수성이 저하되고, pH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왕겨 분말은 벼의 수확 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인 왕겨를 건조한 뒤 분쇄한 것으로서, 300 ~ 820㎛의 입도, 바람직하게는 400 ~ 800㎛의 입도를 가질 수 있으며, 만일 입도가 300㎛ 미만이면 과도한 미립분 제조에 따른 경제성의 문제가 있을 수 있고, 820㎛ 초과하면 왕겨 조립분의 부분적 과팽창으로 인해 균질한 복합체의 생성이 어렵고 내수성 및 강도에 대한 균질성을 얻기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채움재 분말은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왕겨 분말을 5 ~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6 ~ 9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 8.5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만일 왕겨 분말을 5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흡수성을 갖는 소재가 부족하여 내수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유동성을 저해하여 단위수량의 증가 및 작업성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하수관용 채움재 조성물은 기포제, 지연제 및 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기포제, 지연제 및 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하수관용 채움재 조성물은 채움재 분말 및 물을 1 : 0.8 ~ 1.3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1.0 ~ 1.2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고, 만일 중량비가 1 : 0.8 미만이면 유동성을 구현할 수 있는 수분의 양이 부족해짐에 따라 작업성 확보가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 : 1.3를 초과하면 과도한 단위수량에 의해 강도 저하 및 블리딩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포제는 분말형으로서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Sodium lauryl sulfate)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고, 채움재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 0.2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 ~ 0.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기포제를 채움재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한다면 내부의 미세한 기포를 생성하여 볼베어링 현상이 유도되는 기포의 생성이 거의 없어짐에 따라 유동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0.2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한다면, 과량의 기포가 서로 겹쳐져 배합과정에서 외부로 탈출되기 때문에 볼베어링에 대한 유효성이 없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연제는 구연산 및 타르타릭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채움재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0.3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5 ~ 0.2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지연제를 채움재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한다면 적절한 작업 시간 확보가 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0.3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한다면, 과도한 작업 시간 지연에 따라 경화시간이 느려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하수관용 채움재는 앞서 설명한 하수관용 채움재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수관용 채움재는 KS L 5105 규정에 의해 측정시, 28일 재령에서 0.5 ~ 1.2 MPa, 바람직하게는 0.7 ~ 1.0 MPa의 압축강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수관용 채움재는 KS L 2476-'02 규정에 의해 측정시, 240mm 이상, 바람직하게는 250mm ~ 30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255 ~ 280mm의 유동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수관용 채움재는 KS L 2322 규정에 의해 측정시, 1×10-8 sec/mm 이하, 바람직하게는 0.6×10-8 ~ 1×10-8 sec/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75×10-8 ~ 0.85×10-8 sec/mm 의 투수계수를 가질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 1 : 하수관용 채움재의 제조
전체 100 중량 %에 대하여,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탈황석고 60 중량%, 고칼슘 플라이애시 10 중량%, 고로슬래그(영진글로벌, 3종 고로슬래그 : 분말도 : 5,000cm3/g) 20 중량%, 폐소석회 2 중량% 및 왕겨 분말 8 중량%가 균일하게 혼합된 채움재 분말을 준비하였다.
이 때, 탈황석고는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45중량%의 삼산화황(SO3)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였고, 고칼슘 플라이애시는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35중량%의 산화칼슘(CaO) 및 10중량%의 삼산화황(SO3)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였으며, 폐소석회는 325 메쉬(mesh)의 체 통과율이 90% 이상의 입도를 가지는 것을 사용하였고, 왕겨 분말은 400㎛의 입도를 가지는 것을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준비한 채움재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분말형 기포제 0.1 중량부 및 지연제 0.2 중량부를 혼합하였으며, 준비한 채움재 분말과 물을 1 : 1.1 중량비로 혼합하여 하수관용 채움재를 제조하였다.
이 때, 분말형 기포제로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Sodium lauryl sulfate)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였고, 지연제로 구연산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 9,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수관용 채움재를 제조하였다. 다만,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채움재 분말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함량을 달리하여 실시예 2 ~ 9 및 비교예 1의 하수관용 채움재를 각각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1
실험예 1 : 하수관용 채움재의 물성 측정
실시예 1 ~ 9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하수관용 채움재의 압축강도, 유동성 및 투수계수를 각각 하기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 압축강도 측정(MPa)
제조된 하수관용 채움재에 대해 KS L 5105 규정에 의해 압축강도(28일 재령)를 측정하였다.
2) 유동성 측정(mm)
제조된 하수관용 채움재에 대해 KS L 2476-'02 규정에 의해 유동성을 측정하였다.
3) 투수계수 측정(sec/mm)
제조된 하수관용 채움재에 대해 KS L 2322 규정에 의해 투수계수를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2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하수관용 채움재는 압축강도가 우수하고, 고유동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투수계수 또한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이나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0)

  1. 채움재 분말을 포함하는 하수관용 채움재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채움재 분말은 탈황석고, 고칼슘 플라이애시, 고로슬래그, 폐소석회 및 왕겨 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용 채움재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움재 분말은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탈황석고 45 ~ 65 중량%, 고칼슘 플라이애시 5 ~ 25 중량%, 고로슬래그 15 ~ 35 중량%, 폐소석회 2 ~ 5 중량% 및 왕겨 분말 5 ~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용 채움재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용 채움재 조성물은 기포제, 지연제 및 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용 채움재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용 채움재 조성물은 채움재 분말 및 물을 1 : 0.8 ~ 1.3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용 채움재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용 채움재 조성물은 채움재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기포제 0.05 ~ 0.2 중량부 및 지연제 0.1 ~ 0.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용 채움재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황석고는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42 ~ 48 중량%의 삼산화황(SO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용 채움재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칼슘 플라이애시는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31 ~ 42 중량%의 산화칼슘(CaO) 및 8 ~ 12 중량%의 삼산화황(SO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용 채움재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왕겨 분말은 300 ~ 820㎛의 입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용 채움재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수관용 채움재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용 채움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용 채움재는
    KS L 5105 규정에 의해 측정시, 28일 재령에서 0.5 ~ 1.2 MPa의 압축강도를 가지고,
    KS L 2476-'02 규정에 의해 측정시, 240mm 이상의 유동성을 가지며,
    KS L 2322 규정에 의해 측정시, 1×10-8 sec/mm 이하의 투수계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용 채움재.
KR1020200173019A 2020-12-11 2020-12-11 하수관용 채움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하수관용 채움재 KR102486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019A KR102486952B1 (ko) 2020-12-11 2020-12-11 하수관용 채움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하수관용 채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019A KR102486952B1 (ko) 2020-12-11 2020-12-11 하수관용 채움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하수관용 채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119A true KR20220083119A (ko) 2022-06-20
KR102486952B1 KR102486952B1 (ko) 2023-01-10

Family

ID=82257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3019A KR102486952B1 (ko) 2020-12-11 2020-12-11 하수관용 채움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하수관용 채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69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871B1 (ko) * 2012-06-22 2012-10-25 에스아이 주식회사 활성화 슬래그 및 포졸란 반응을 이용한 연약지반 개량용 지반 고화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3035701A (ja) * 2011-08-04 2013-02-21 Kizai Tecto Corp 気泡モルタル混練物および中詰め工法
KR101564560B1 (ko) * 2014-11-18 2015-10-30 주식회사 에프원테크 친환경 중성 지반 개량용 고화제 및 그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KR102032966B1 (ko) 2017-11-13 2019-10-16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폐기물을 활용하는 유동성 경량 하수관용 채움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35701A (ja) * 2011-08-04 2013-02-21 Kizai Tecto Corp 気泡モルタル混練物および中詰め工法
KR101194871B1 (ko) * 2012-06-22 2012-10-25 에스아이 주식회사 활성화 슬래그 및 포졸란 반응을 이용한 연약지반 개량용 지반 고화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64560B1 (ko) * 2014-11-18 2015-10-30 주식회사 에프원테크 친환경 중성 지반 개량용 고화제 및 그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KR102032966B1 (ko) 2017-11-13 2019-10-16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폐기물을 활용하는 유동성 경량 하수관용 채움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6952B1 (ko) 202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2603B1 (ko) 페로니켈 슬래그 미분말을 이용한 3성분계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KR101840470B1 (ko) 중금속 용출이 없는 친환경 지반 그라우트재 및 이를 이용한 지반 그라우팅 공법
KR100855686B1 (ko) 무시멘트 알카리 활성 결합재
KR101410797B1 (ko) 비소성 무기결합재를 활용한 바닥용 모르타르 조성물
KR20150037175A (ko) 레드머드를 이용한 성토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rhi et al. A comprehensive study on controlled low strength material
KR101600840B1 (ko) 버텀애쉬를 골재로 활용한 콤팩션 그라우팅(Compaction Grouting) 공법용 속경형 모르타르 조성물
KR20180027888A (ko) 중금속 용출이 없는 친환경 연약지반 표층혼합처리 및 흙포장 공법
KR101416005B1 (ko) 비소성 무기결합제를 활용한 친환경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18991A (ko) 순환유동층보일러 고칼슘연소재를 이용한 토양안정재
KR20180134811A (ko) 중금속 용출이 없는 친환경 연약지반 표층혼합처리 및 흙포장 공법
KR101425829B1 (ko) 친환경고화재를 활용한 방초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80028048A (ko) 중금속 용출이 없는 친환경 지반 그라우팅 공법
JP4908072B2 (ja) セメント添加材及びセメント組成物
KR102486952B1 (ko) 하수관용 채움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하수관용 채움재
KR101640160B1 (ko) 심층혼합공법용 고화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심층혼합공법용 고화 조성물
Adnan et al. Recycled aggregate as coarse aggregate replacement in concrete mixes
KR102478241B1 (ko) 산업부산물을 활용한 구조물 되메우기용 고유동 채움재 조성물
CN108975783A (zh) 一种固硫灰基充填胶结材料及其料浆的制备
KR101602130B1 (ko) 비소성 무기결합재 및 버텀애쉬를 활용한 콤팩션 그라우팅(Compaction Grouting) 공법용 모르타르 조성물
JP6306973B2 (ja) 高流動保持型低発熱性グラウト組成物
KR102522763B1 (ko) 중금속 용출이 없고 내화학성이 향상된 콘크리트 2차제품용 결합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2차제품 제조방법
KR101447267B1 (ko) 심층혼합공법용 고화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심층혼합공법용 고화 조성물
KR20170104702A (ko)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는 심층혼합처리공법
KR20180096441A (ko) 광산 차수재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