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2870A - 광대역 채널에서 단일 송신기에 의한 공간 다중화 - Google Patents

광대역 채널에서 단일 송신기에 의한 공간 다중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2870A
KR20220082870A KR1020227015843A KR20227015843A KR20220082870A KR 20220082870 A KR20220082870 A KR 20220082870A KR 1020227015843 A KR1020227015843 A KR 1020227015843A KR 20227015843 A KR20227015843 A KR 20227015843A KR 20220082870 A KR20220082870 A KR 20220082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ceiver
precoded
delay
off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5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하우스테인
라스 티엘
마르틴 쿠라스
바리스 괵테페
코넬리우스 헬지
토마스 페렌바흐
빌헬름 쿠스겐
한광 부
Original Assignee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filed Critical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Publication of KR20220082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28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9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pati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the mobile station comprising multiple antennas, e.g. to provide uplink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6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delay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71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delay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different delays between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6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delay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7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delay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 H04B7/082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with delay elements in antenna pa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91Space-time diversity
    • H04B7/0894Space-time diversity using different delays between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91Space-time diversity
    • H04B7/0897Space-time diversity using beamforming per multi-path, e.g. to cope with different directions of arrival [DOA] at different multi-pa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3Satellite systems for providing telephony service to a mobile station, i.e. mobile satellite service
    • H04B7/18545Arrangements for managing station mobility, i.e. for station registration or localisation
    • H04B7/18547Arrangements for managing station mobility, i.e. for station registration or localisation for geolocalisation of a station
    • H04B7/1855Arrangements for managing station mobility, i.e. for station registration or localisation for geolocalisation of a station using a telephonic control signal, e.g. propagation delay variation, Doppler frequency variation, power variation, beam ident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장치는 신호를 수신기에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인터페이스; 및 전송될 제 1 데이터 신호 및 전송될 제 2 데이터 신호를 획득하고; 제 1 프리코딩된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장치와 수신기 사이의 제 1 경로 세트에 따라 제 1 데이터 신호의 제 1 다중경로 프리코딩을 수행하고; 제 2 프리코딩된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장치와 수신기 사이의 제 2 경로 세트에 따라 제 2 데이터 신호의 제 2 다중경로 프리코딩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프리코더 유닛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코더 유닛은 제 2 프리코딩된 신호가 수신기에서 제 1 프리코딩된 신호에 대한 지연/도플러 도메인의 오프셋을 포함하도록 제 1 프리코딩된 신호 및 제 2 프리코딩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장치는 무선 인터페이스의 동일한 송신 방사 특성을 갖는 제 1 프리코딩된 신호 및 제 2 프리코딩된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광대역 채널에서 단일 송신기에 의한 공간 다중화
본 출원은 무선 통신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엔티티 간의 통신 향상 및 광대역 채널에서 단일 송신기에 의한 공간 다중화를 위한 송수신기 개념에 대한 것이다.
도 1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네트워크(102) 및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1, RAN2, …RANN)를 포함하는, 지상 무선 네트워크(100)의 예의 개략도이다. 도 1(b)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 gNB1 내지 gNB5를 포함할 수 있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RANn의 예시의 개략도이고, 이들 각각은 각각의 셀(1061 내지 1065)에 의해 개략적으로 표현되는 기지국을 둘러싼 특정 영역을 서비스한다. 기지국은 셀 내에서 사용자에게 서비스하기 위해 제공된다. 하나 이상의 기지국은 허가 및/또는 비허가 대역에서 사용자를 서비스한다. 기지국(BS)이라는 용어는 5G 네트워크에서 gNB, UMTS/LTE/LTE-A/LTE-A Pro에서 eNB, 또는 다른 이동 통신 표준에서는 단순히 BS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고정 장치 또는 모바일 장치일 수 있다. 기지국은 고정 장치 또는 모바일 장치, 예를 들어, 드론, 차량, 벌룬, 릴레이 (어딘가 위치한 기지국의 가상 안테나) 또는 (LEO) 위성에 장착된 기지국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또한 기지국 또는 사용자에 연결되는 모바일 또는 고정 IoT 장치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 또는 IoT 장치는 물리적 장치, 로봇 또는 자동차와 같은 지상 기반 차량, 유인 또는 무인 항공기(UAV)와 같은 항공기를 포함할 수 있고, 후자는 또한 드론, 건물 및 전자 장치, 소프트웨어, 센서, 액추에이터 등이 내장된 기타 아이템 또는 장치를 말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장치가 기존 네트워크 인프라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연결을 말한다. 도 1(b)은 5 개의 셀을 예시하고 있지만; RANn은 다소간의 셀을 포함하고 RANn은 또한 하나의 기지국만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b)는 셀(1062) 내에 있으며 기지국 gNB2에 의해 서비스되는 두 사용자 UE1 및 UE2(사용자 장치(UE)라고도 함)를 도시한다. 다른 사용자 UE3는 기지국 gNB4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1064)에 표시된다. 화살표 1081, 1082 및 1083은 사용자 UE1, UE2 및 UE3에서 기지국 gNB2, gNB4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기지국 gNB2, gNB4에서 사용자 UE1, UE2, 및 UE3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업링크/다운링크 연결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이것은 허가 대역 또는 비허가 대역에서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b)는 고정 또는 모바일 장치일 수 있는 셀(1064)에 있는 두 개의 IoT 장치(1101 및 1102)를 도시한다. IoT 장치(1101)는 기지국 gNB4를 통해 무선 통신 시스템에 액세스하여 화살표(1121)로 개략적으로 표시된 데이터를 수신 및 전송한다. IoT 장치(1102)는 화살표(1122)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UE3를 통해 무선 통신 시스템에 액세스한다. 각각의 기지국 gNB1 내지 gNB5은 예를 들어,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도 1(b)에서 "코어"를 가리키는 화살표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각각의 백홀 링크(1141 내지 1145)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102)에 연결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102)는 하나 이상의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지국 gNB1 내지 gNB5의 일부 또는 전부가 예를 들어, NR의 S1 또는 X2 인터페이스 또는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gNB"를 가리키는 화살표로 도 1(b)에 개략적으로 표시된, 각각의 백홀 링크(1161 내지 1165)를 통해 서로간에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전송을 위해 물리적 자원 그리드가 사용될 수 있다. 물리적 자원 그리드는 다양한 물리적 채널 및 물리적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 요소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리적 채널은 사용자 특정 데이터(다운링크 및 업링크 및 사이드링크 페이로드 데이터라고도 함)를 유니캐스트로 운반하는 물리적 다운링크, 업링크 및 사이드채널 공유 채널(PDSCH, PUSCH, PSSCH) 을 포함할 수 있고,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은 예를 들어 마스터 정보 블록(MIB) 및 시스템 정보 블록(SIB)을 운반하고, 물리적 다운링크, 업링크 및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PDCCH, PUCCH, PSCCH)은 예를 들어,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업링크 제어 정보(UCI) 및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CI)를 전달한다. 업링크의 경우, 물리적 채널은 UE가 MIB 및 SIB를 동기화하고 획득한 후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해 UE가 사용하는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또는 RACH)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리적 신호는 참조 신호 또는 심볼(RS), 동기화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원 그리드는 시간 도메인에서 특정 기간을 갖고 주파수 도메인에서 주어진 대역폭을 갖는 프레임 또는 무선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은 미리 정의된 길이, 예를 들어, 1ms를 갖는 특정 수의 서브 프레임을 가질 수 있다. 각 서브 프레임은 주기적 프리픽스(CP) 길이에 따라 12 또는 14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은 또한, 단축된 전송 시간 간격(sTTI) 또는 몇 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된 미니 슬롯/비 슬롯 기반의 프레임 구조를 사용할 때, 더 적은 수의 OFDM 심볼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시스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시스템, 또는 CP가 있거나 없는 기타 IFFT 기반 신호(예를 들어, DFT-s-OFDM)과 같이, 주파수 분할 다중화를 사용하는 단일 톤 또는 다중 반송파 시스템일 수 있다. 다중 액세스를 위한 비 직교 파형과 같은 기타 파형, 예를 들어, 필터-뱅크 다중 반송파(FBMC), 일반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GFDM) 또는 범용 필터링된 다중 반송파(UFMC)가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예를 들어 LTE-어드밴스드 프로 표준 또는 5G 또는 NR(뉴 라디오) 표준, 또는 NR-U, 뉴 라디오 비허가 표준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무선 네트워크 또는 통신 시스템은 별개의 중첩되는 네트워크를 갖는 이종 네트워크, 예를 들어, 기지국 gNB1 내지 gNB5와 같은 매크로 기지국 및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과 같은 소형 셀 기지국 네트워크(도 1에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는 각각의 매크로 셀을 갖는 매크로 셀 네트워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지상 무선 네트워크에 더하여, 위성과 같은 우주 송수신기 및/또는 무인 항공기 시스템과 같은 공중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비 지상 무선 통신 네트워크도 존재한다. 비 지상 무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시스템은 예를 들어 LTE-어드밴스드 프로 표준 또는 5G 또는 NR(뉴 라디오) 표준에 따라, 도 1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지상 시스템과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섹션에서 정보는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선행 기술을 형성하지 않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로부터 출발하여, 데이터 전송의 개선, 즉,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데이터 처리량의 증가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송신기 및 하나 이상의 수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3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b는 도 3a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수행되는 통신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a는 다중 사용자(MU)-단일 입력 다중 출력(SIMO) 구성에서 다중 사용자 매체 액세스 제어의 개략도를 보여준다.
도 4b는 다중 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MAC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5a는 MU-MISO(다중 입력 단일 출력) 브로드캐스트에서 다중 사용자 방송 채널의 개략도를 보여준다;
도 5b는 MU-MIMO 브로드캐스트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6a-f는 시선(LOS) 및 비 LOS 경로에서 에너지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채널에 이상적으로 매칭되는 신호의 정규화된 전력의 개략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2개의 지연된 성분을 갖는 신호의 정규화된 전력의 개략도이다;
도 9는 실시 예에 따라 적용된 채널 임펄스 응답을 단축하기 위한 송신기측 윈도잉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9의 기술에 기초한 원래의 단축된 채널 임펄스 응답의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접근법에 따라 설명된 방법의 단계 뿐만 아니라 유닛 또는 모듈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다;
도 12a는 장치가 채널 조건 또는 다른 수신기에 대한 경로 세트에 따라 신호를 프리코딩하는 통신 네트워크의 적어도 일부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2b는 수신기가 두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 둘 이상의 장치가 신호의 송신기 역할을 하는 통신 네트워크의 적어도 일부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및
도 12c는 도 12a 및 도 12b의 실시 예가 결합되는 통신 네트워크의 적어도 일부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제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가 동일한 참조 부호를 갖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이동 단말기 또는 IoT 장치와 같은 기지국 및 사용자를 포함한다. 도 2는 기지국과 같은 송신기(400) 및 사용자 장치(UE)와 같은 하나 이상의 수신기(4021 내지 402n)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송신기(400) 및 수신기(402)는 라디오 링크와 같이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링크 또는 채널(404a, 404b, 404c)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송신기(40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ANTT) 또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포함하는 안테나 어레이, 신호 처리기(400a) 및 송수신기(400b)가 서로 결합되어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402)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ANTR) 또는 복수의 안테나를 갖는 안테나 어레이, 신호 프로세서(402a1, 402an), 및 송수신기(402b1, 402bn)가 서로 결합되어 포함한다. 기지국(400) 및 UE(402)는 Uu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무선 링크와 같이 각각의 제 1 무선 통신 링크(404a 및 404b)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반면, UE(402)는 PC5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무선 링크와 같이 제 2 무선 통신 링크(404c)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UE가 기지국에 의해 서비스를 받지 않고 기지국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그들은 RRC 연결 상태에 있지 않거나, 더 일반적으로, 기지국에 의해 SL 자원 할당 구성 또는 지원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 UE는 사이드링크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시스템, 하나 이상의 UE(402) 및 기지국(400)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본 발명의 교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은 알려진 기술이다. 빔포밍은 안테나 구조, 안테나 패널, 안테나 어레이 등의 세트를 사용하여 각각의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로브 및/또는 널을 형성하고 지시하는 것과 관련된다. 빔포밍을 사용하여 별도의 데이터 신호가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전송될 수 있으므로 하나 이상의 수신기로의 다중 경로 전파의 이점을 활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상이한 다중경로 성분에 따라 동시에 전송될 상이한 신호를 프리코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 예는 신호가 수신기에서 지연된 시간에 도착하도록 지연 도메인의 지연 또는 시간의 오프셋을 달성하기 위해 프리코딩을 구현하는 것으로 설명적인 이유로 설명된다. 그러나, 실시 예는 지연을 구현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대안적으로 또는 지연에 추가하여 구현될 수 있는 도플러 도메인의 오프셋에 관한 것이다. 즉, 실시 예는 수신기에서 지연/도플러 도메인의 오프셋을 포함하도록 상이한 신호를 상이하게 프리코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또한, 송신기와 수신기 간의 상대 이동의 경우, 다중 경로 전파를 위해 고려되는 경로 중 일부가 (거의) 변경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채널 상태를 평가할 때, 지연 및/또는 도플러 편이에 기반하는 평가는 위상 편이 등에 비해 시간이 더 안정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는 빔 또는 방사선 패턴의 형상의 구조를 변경할 필요 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이점의 이점에 관한 것이다. 실시 예는 데이터 신호 사이의 지연/도플러 도메인에서 오프셋을 구현함으로써 서로 다른 데이터 신호의 다중 경로 전파를 시뮬레이션하거나 에뮬레이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신호의 수신기에서, 송신기가 동적 빔포밍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동일하거나 적어도 유사한 결과가 얻어질 수 있다.
실시 예들은 제 1 프리코딩된 신호 및 제 2 프리코딩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동일한 송신 방사 특성을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동일한 투과 방사 특성으로, 복사 특성의 동일하거나 적어도 유사한 방향성 및/또는 동일하거나 적어도 유사한 편광을 이해할 수 있다. 유사한 방향성은 수신기를 덮거나 가리키는 로브를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것은 예를 들어 무지향성 방사 패턴의 경우 그렇다. 또한, 예를 들어, 수신기가 로브 내에 남아 있는 동안 공간에서 이동하면서 최대 복사 전력이 약간 변할 때, 이것은 형성된 로브의 방향이나 위치를 약간 변경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것은 동일한 전송 빔 및/또는 전송 편광을 사용하면서 그 내에서 사소한 변경을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3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300)는,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에서 사용되는 장치, 예를 들어, UE, 기지국, IoT 장치 등일 수 있는 장치(302)를 포함한다.
장치(302)는 예를 들어 수신기(304)와 통신하기 위해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300) 내에서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신기(304)는 개별 산란 및/또는 채널 지연을 허용하는 상이한 클러스터(3061 내지 306i)에 의해 획득될 수 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300)에서 다중 경로 전파를 이용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장치(304)는 수신 장치, 예를 들어, 공간 데이터 스트림을 분리하거나 빔포밍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장치, 예를 들어, UE 또는 기지국 등일 수 있다.
장치(302)는 무선 인터페이스(308)를 포함한다. 무선 인터페이스(308)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 안테나 요소, 패널, 구성, 안테나 그룹 및/또는 패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302)는 도 3b와 관련하여 더 상세히 설명되는 프리코더 유닛(312)을 포함한다.
도 3b는 도 3a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300)에서 수행되는 통신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특히, 프리코더 유닛(312)이 참조된다. 프리코더 유닛(312)은 데이터 신호(3141 및 3142)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데이터 신호(3141 및 3142)는 예를 들어 데이터 신호(3141)의 주파수 도메인 표현을 시간 도메인 표현으로 변환하도록 각각 구성된 변환기 유닛(3161, 3162)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리코더 유닛(312)은 주파수 도메인 표현을 수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변환기 유닛(3161 및/또는 3162)은 프리코더 유닛(312)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프리코더 엔티티(3181, 3182)를 각각 사용함으로써, 데이터 신호(3141 및 3142)는 프리코딩된 데이터 신호(3221 및 3222)를 획득하기 위해 프리코딩될 수 있다. 프리코더 엔티티(3181 및 3182)는 장치(302)와 장치(306) 사이의 경로(324)의 각각의 세트에 따라 각각의 데이터 신호(3141 및 3142)를 프리코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리코더 유닛(3181, 3182)은, 예를 들어, 매칭된 필터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구별 가능한 경로, 예를 들어, 적어도 2개, 적어도 3개, 적어도 5개, 적어도 10개 또는 그 이상의 제 1 및 제 2 서브세트가 선택되거나 선택될 수 있으며, 각각의 서브세트는 다수의 적어도 2개의 경로(324)를 갖는다. 즉, 각각의 프리코더 엔티티(318)는 각각의 데이터 신호(3141, 3142)의 다중 경로 프리코딩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신호(3221, 3222)는 동일하거나 적어도 연관된 주파수 범위에서, 즉 다중경로 또는 다중빔 전송을 에뮬레이트하는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선택된 경로의 집합은 동일할 수 있지만 경로 집합이 분리되도록 선택될 때까지 적어도 하나의 경로에 대해 달라질 수도 있다. 신호(3221, 3222)가 적은 양으로 또는 심지어 최소량으로 서로 간섭하도록 상이한 경로 세트가 선택될 수 있다.
프리코더 유닛(312)은 제 1 매칭된 필터(3181), 예를 들어 제 1 경로 세트의 다중 경로 성분에 매칭된 필터에 기초하여, 프리코딩된 신호(3221)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리코더 유닛(312)은 제 2 경로 세트의 다중 경로 성분에 매칭되는 추가 필터(3182)에 기초하여 프리코딩된 신호(3222)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프리코더 엔티티(3181, 3182)는 매칭된 필터로 구현될 수 있다.
장치(302)는 경로들의 제 1 세트의 다중 경로 성분들 및 제 2 경로들의 세트의 다중 경로 성분들을 표시하는 채널 임펄스 응답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는 명명된 모든 정보를 제공하는 채널 임펄스 응답을 수신하거나 결정할 수 있다. 장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방향에서 이전에 송신된 파일럿/참조 심볼들에 기초하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장치는 무선 채널의 표현을 나타내는 정보, 예를 들어 복소 계수를 무선 채널을 나타내기 위한 적절한 도메인, 예를 들어, 시간 도메인, 주파수 도메인, 시간 주파수 도메인, 지연/도플러 도메인 및/또는 각도 송신 및/또는 수신 스펙트럼이 예를 들어, 도착 방향(DoA) 또는 출발 방향(DoD)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공간 도메인으로의 변환에 기초하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장치는 수신기의 보고에 기초하여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즉, 수신기는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시불변 채널을 가질 때 또는 그러한 채널을 가정할 때, 장치는 채널 임펄스 응답 정보에 대한 선험적 지식을 가질 수 있다.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보고는 무손실 또는 손실 압축 해제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보고는 예를 들어 MPC(다중 경로 구성 요소)의 형태의 무선 전파 환경 및/또는 특정 프리코더를 사용하여 송신기에서 적용될 필터 계수/전송 전략의 설명에 대해 보고할 수 있다. 후자는 코드북 기반 프리코딩과 유사할 수 있으며, 여기서 프리코딩 유닛은 코드북 엔트리의 의미가 사전에 합의되는 적절한 프리코딩 기술을 적용하도록 지시된다.
프리코더 유닛(312)은 프리코딩된 신호(3222)가 프리코딩된 신호(3221)에 대해 지연/도플러 도메인에서 오프셋되도록 프리코딩된 신호(3221 및 3222)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프리코더 유닛(312)은 지연/도플러 도메인에서 프리코더 엔티티(3182)의 출력을 오프셋하기 위한 오프셋 유닛(326)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시간 지연 또는 주파수/도플러 편이를 구현함으로써 출력은 신호 3222'로 표시된다. 지연 유닛(326)은 프리코더 유닛(312)의 일부인 것으로 표현되지만, 오프셋 유닛(326)은 또한 별도의 엔티티일 수 있고/있거나 프리코더 엔티티(3182)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프셋을 구현하기 위해 ZAK 변환이 사용될 수 있다.
프리코딩된 신호(3222)에서 획득된 지연은 장치(304)에서 인지할 수 있거나 유효한 지연과 관련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리코딩 유닛은 지연이 예를 들어 최대 30%, 최대 20% 또는 10% 미만의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심볼 기간의 분수 또는 대수적 분수, 예를 들어 OFDM 심볼 길이의 a/b 중 하나에 해당하도록 프리코딩된 신호(3221)에 대해 지연된 프리코딩된 신호(3222)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지연 e는 언급된 허용 범위 내에서 보호 구간 길이의 일부일 수 있다. 정수 비율은 지연이 아날로그/디지털/변환(ADC)의 샘플링 거리 또는 디지털 도메인의 등가 표현이 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등가 표현은 중간 샘플링 또는 편이된 샘플링을 사용하지만 수신기 유닛의 디지털 신호 처리를 향해 특정 효과적인 샘플링을 제공하는 ADC 유닛의 필터링 단계의 결과일 수 있다. 분수 또는 대수적 분수는 제 1 실수 값을 제 2 실수 값으로 나누는 연산으로 이해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구현될 지연은 다음과 같은 허용 범위 내에서 대응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 심볼 기간의 대수적 분수
- 보호 구간의 길이의 대수적 분수
- 장치와 수신기 사이의 채널 임펄스 응답의 관련 또는 유효 길이의 대수적 분수 또는 배수; 및
- 프리코더 유닛의 샘플링 속도의 배수;
실시 예에 따르면, 구현될 도플러 도메인의 오프셋은 다음과 같은 허용 범위 내에서 대응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 관련 도플러 스펙트럼에서 유효 도플러 이동의 대수적 분수
- 관련 채널 임펄스 응답 길이의 대수적 분수
- 장치가 동작하는 무선 네트워크의 부반송파 간격의 대수적 분수 또는 배수; 및
- 장치가 작동하는 무선 네트워크의 시스템 대역폭의 대수적 분수
도플러 도메인의 오프셋은 부반송파 간격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변조된 시스템 대역폭 또는 최대 도플러 확산일 수 있다.
관련 도플러 스펙트럼에서 유효 도플러 이동의 일부는 유효 채널 임펄스 응답과 동일할 수 있다.
즉, 프리코딩된 신호(3221)에 대해 신호(3222)를 시간적으로 지연시키는 것으로, 장치(304)는 신호(3221, 3222)가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빔을 통해 전송된 것처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308)에 프리코딩된 신호(3221, 3222)를 결합하여 결합 신호(332)를 얻는 채널(328)은 신호가 수신기(304)에 도달하기 전에 가산 백색 가우스 잡음(AWGN)으로 표현되는 외부 교란(334) 뿐만 아니라 신호에 더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장치(302)는 무선 인터페이스(308)의 동일한 송신 방사 특성을 갖는 프리코딩된 신호들(3221 및 3222)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즉, 장치(302)가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동일한 빔 또는 빔포밍 구성을 사용하여 프리코딩된 신호(3221 및 3222)를 전송한다. 장치(302)가 빔포밍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구현된 방사 특성 및/또는 투과 특성이 사용된다.
이에 의해, 장치(302)는 무선 인터페이스(308)의 송신 방사 특성을 갖는 장치로 형성가능한 빔들의 세트의 서브세트 또는 단일 빔을 사용하여 신호(3221 및 3222)의 다중 빔 송신을 에뮬레이트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요소들의 순서는 실시 예들의 관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프리코더에 대한 입력을 생성하기 위해 IFFT를 수행하는 대신에, IFFT는 프리코딩 후에 구현되거나 예를 들어, 신호 X1 및/또는 X2가 시간 도메인에서 제공되는 경우 건너뛸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오프셋 유닛(326)은 프리코더(3182) 이전에 및/또는 변환 유닛(3162) 이전에 구현될 수 있다.
무선 송신기에서 무선 수신기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채널 사용당 스펙트럼 효율성 향상은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높은 코드 속도, 고차 변조(예를 들어, QPSK, M-QAM), 제한된 거리에 대한 각도 오비탈 모멘텀(AOM), 시스템 SINR >10dB에서의 공간 다중화(MIMO)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MIMO(MUX) 다중 안테나를 사용한 공간 다중화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채널을 생성하는 송신기 및 수신기 측에서 사용된다. 5G 무선 시스템은 밀리미터파 대역, 예를 들어, 무선 링크에 대한 충분한 커버리지 범위를 달성하기 위해 송신기 및 수신기 측에서 소위 빔포밍으로 필요로 하는 FR2(24-52GHz)에서의 전송을 고려한다. 일반적으로 이것은 안테나 패널에 통합된 다중 어레이 안테나로 수행되므로, 안테나 요소 또는 안테나 요소 그룹당 위상 시프터 및/또는 감쇠기가 있는 결합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패널의 여러 안테나 요소 또는 모든 안테나 요소의 일관된 여기 또는 수신에 의해 송신 또는 수신된 에너지를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최종 사용자 장치(UE)의 공간 및 에너지 제한으로 인해 Rel-15에 대한 3GPP 표준화에서 UE가 한 번에 하나의 빔으로만 전송하고 한 번에 하나의 UE에서 전송되는 다중 공간 데이터 스트림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합의로 이어졌다. 본 발명의 개시 내용에서 제안된 솔루션은 송신기의 위치와 수신기의 위치를 연결하는 전파 채널의 고유한 지연 서명에 매핑하여 하나의 공간 빔을 갖는 UE/전송 장치가 여러 공간 스트림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게 한다. 이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특정 사용자/UE 또는 UE 그룹에 대해 채널 사용당 스펙트럼 효율성이 증가될 수 있다.
제안된 솔루션은 전송에 사용되는 큰 신호 대역폭, 예를 들어, Nx100MHz 또는 1GHz 이상에 의한 다중 경로 해상도의 활용을 허용하는 모든 종류의 통신 시스템, 또는 전파 채널의 MPC의 표적 여기 또는 매칭, 예를 들어, 적어도 양호한 시간 경로 분해능을 얻을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높은 Nx 100MHz의 샘플링으로 100MHz 전송 대역폭을 허용하는 충분히 높은 신호 샘플링 속도를 갖는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제안된 솔루션은 특히 다음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와 관련이 있다:
(1) 단일 Tx 및 다중 Rx - 협대역 MIMO와 유사:
단일 송신 안테나를 구비한 송신기와 다중 안테나를 구비한 수신기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 여기서 송신기는 수신기가 공간 및/또는 시간 서명에 의해 신호를 분리할 수 있도록 전파 채널의 다중경로 구성요소에 매칭된 시간 지연 프리코더에 의해 다중 스트림을 프리코딩한다.
(2) 단일 Tx 및 단일 Rx - T0 및 T1에 국한된 스트림을 분리하기 위한 탭 지연 라인 필터:
단일 송신 안테나와 단일 수신 안테나를 구비한 송신기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 여기서 송신기는 전파 채널의 다중경로 성분에 매칭되는 시간 지연 프리코더에 의해 다중 스트림을 프리코딩하여 수신기가 시간적 서명으로 신호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3) 업링크의 다중 Tx에서 조정된 TD-MUX 필터를 사용하는 MU-MIMO
각각 하나의 송신 안테나를 구비한 다중 송신기와 단일 또는 다중 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수신기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 여기서 송신기는 확장된 MU-MIMO/MU-MISO 전파 채널의 다중경로 구성요소와 일치하는 시간 지연 프리코더에 의해 각각 단일 스트림 또는 다중 스트림을 프리코딩하고 있으므로 수신기가 시간적 및/또는 공간적 서명으로 신호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다중 UE의 지연 프리코더는 바람직하게 동기화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수신기와 송신 다중 UE 사이에 최적화된 지연 프리코더 조정을 위한 피드백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수신기에 효과적인 단일 수신 안테나(예: 옴니 또는 혼 안테나 또는 수신 빔을 형성하는 안테나 어레이) 또는 다중 수신 안테나 포트가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다중 스트림이 분리되어 예를 들어 시간 도메인만(단일 수신 안테나) 또는 시간 및/또는 공간 도메인(다중 수신 안테나)을 여러 스트림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연 프리코딩이 이루어져야 한다. 공간 도메인의 분리는 상이한 수신 안테나에서의 OFDM에서 동일한 탭 또는 주파수 등가 협대역 채널은 MIMO 신호 처리 기술의 적용을 허용하는 위상 및/또는 진폭 차이를 경험하는 것을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이것은 다운링크에서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구현될 수 있다.
(4) 단일 Rx 안테나가 있는 하나의 수신기에 대한 다운링크(DL)의 다중 TRP
다운링크(DL)의 UE에서 각각 단일 송신 안테나 및 단일 수신 안테나가 장착된 분산 송신기를 갖는 통신 시스템, 여기서 송신기는 각각 개별적으로 또는 공동으로 단일 또는 다중 스트림을 프리코딩한다 (공동으로 TRP 간의 시간 동기화뿐만 아니라 일관된 지연 프리코딩을 위한 위상 동기화를 필요로 함 - 이것은 DL의 일관된 조정된 다중 지점(CoMP)과 유사하거나 동등하다). DL에 일관된 CoMP를 적용할 때, 유효 채널은 최적으로 수행될 경우 평탄한 주파수 응답을 갖는 단일 탭 채널이 된다. OFDM 부반송파당 SNR은 전파 채널의 다중 경로 구성 요소와 일치하는 시간 지연 프리코더에 의해 협대역 MIMO 채널 품질에 따라 다르므로 수신기가 시간적 서명에 의해 다른 TRP에서 전송된 신호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전송 방식의 경우 프리코더는 적용되는 윈도잉과 관련하여 적어도 시간 동기화되어야 한다. 또한 공동 또는 분산 전원 할당은 MUX 성능을 최적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다중 TRP 또는 다른 MPC의 거시적 분리로 인해 또는 다른 액세스 지연에서, 잠재적으로 더 긴 유효 액세스 지연을 갖는 더 풍부한 다중 경로 채널이 지연 프리코딩 방식에서 이용될 수 있다.
(5) 단일 또는 다중 수신 안테나가 있는 다중 수신기에 대한 다운링크(DL)의 다중 TRP
각각 단일 송신 안테나를 구비한 분산 송신기 및 단일 또는 다중 수신 안테나를 갖는 다운링크(DL)의 UE 측 수신기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 여기서 송신기는 전파 채널의 다중 경로 구성요소와 매칭되는 시간 지연 프리코더에 의해 각각 개별적으로 또는 공동으로 단일 또는 다중 스트림을 사전 코딩하므로 (공동으로는 TRP 간의 시간 동기화뿐만 아니라 코히어런트 지연 사전 코딩을 위한 위상 동기화를 필요하고 - 이것은 DL의 코히어런트 CoMP와 유사하거나 동등함) 수신기는 시간적 및/또는 공간적(다중 수신기) 서명에 의해 다른 TRP에서 전송된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이 다중 사용자 DL 시나리오에서 각 수신기는 지연 프리코딩이 없는 것과 비교하여 개선된 SINR로 의도된 신호/스트림을 수신해야 한다. 이것은 각 UE 수신기에 대한 유효 채널 탭이 MIMO 신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UE당 다중 수신 안테나 사이의 충분한 위상차에 의해 시간 도메인 및/또는 공간 도메인에서 다른 UE에 대해 의도한 신호 탭과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각 UE 수신기에 대한 신호를 지연함으로써 달성된다.
이 전송 방식의 경우 프리코더는 적용되는 지연 윈도우와 관련하여 적어도 시간 동기화되어야 한다. 또한 공동 또는 분산 전원 할당은 MUX 성능을 최적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다중 TRP 또는 다른 MPC의 거시적 분리 또는 다른 액세스 지연으로 인해, 잠재적으로 더 긴 유효 액세스 지연을 갖는 더 풍부한 다중 경로 채널이 지연 프리코딩 방식에서 이용될 수 있다. 다중 TRP와 다중 UE 간의 전체 채널에 맞는 적절한 지연 분포는 DL에서 사용자 간의 전반적으로 효과적인 블록 단위 채널 직교화를, 적어도 교차 SIR이 공간 다중화를 정당화하는 > 10dB인 수준까지 허용할 수 있다.
이 문제는 지금까지 어떻게 해결되었는가?
지금까지 MIMO는 송신 및 수신 측에서 항상 다중 안테나를 필요로 했다. 고전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 다중 안테나 송신기와 다중 안테나 수신기 사이의 협대역 단일 사용자 MIMO(SU-MIMO), 모든 처리는 수신기 및/또는 송신기에서 수행됨
- 다중 사용자 MIMO(MU-MIMO)는 기지국(BS)이 다중 안테나를 가질 수 있고 단말/UE가 단일 안테나 또는 다중 안테나를 가질 수 있으며, 대부분의 처리는 다중 안테나가 장치된 수신기 및/또는 송신기 측에서 수행된다.
- 광대역 MIMO 또는 MIMO-OFDM, 위와 동일한 기술이 적용되고 OFDM은 채널간 간섭 없이 광대역 MIMO 채널을 많은 병렬 협대역 MIMO 채널로 분할하는 데 사용된다(CP-OFDM 부반송파는 전파 환경에서 Tx/Rx/반사 객체의 완만한 이동성/상대 속도에서도 직교성을 유지한다).
시간 반전(TR) 프리코딩은 검출기 측에서는 원-탭 필터만 필요하기 때문에, 특히 수신기 측에서 간단한 처리로 인해 동기 부여되었다. 시간 역전 프리코딩의 아이디어 예는 탭 지연 채널의 켤레 역이 프리코더로 사용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수신기가 관찰한 유효 채널은 켤레 역이 있는 채널의 컨볼루션으로 인해, 채널의 자기상관 함수가 된다. 그러나 프리코딩은 주파수 도메인에서도 수행될 수 있으므로, 이는 OFDM 시스템이 결과되고, 여기서 MRT 프리코딩[Lo99]과 유사하게 각 서브채널의 전력 스케일 켤레가 프리코더로 사용된다.
과학 문헌에서 TR 프리코딩:
- [EKPP10]에서 TR 프리코딩에 대한 실험적 조사가 표시되어, 측정에 대한 실용성을 보여준다. 주요 사실: 2.45GHz 중심 주파수에서 250MHz 대역폭. 임펄스 응답(CIR)에 대한 TR 프리코딩의 효과에 대해서는 도 6a-d를 참조한다. SU-MIMO, MU-MIMO
- [WWH+11]에서는 680MHz 중심 주파수(490MHz ~ 870MHz 범위)에서 380MHz 대역폭에 대한 실험 결과를 보여준다. 시간 역 분할 멀티플렉싱(TRDM)의 적용은 [HYW+11]을 기반으로 한 텍스트 단락이지만, 상관되지 않은 탭 지연 프로필 또는 채널 응답으로 구분할 수 있는 여러 사용자의 컨텍스트에서만 도입된다.
- [HYW+11]에서는 다중 경로 채널에서 시간 역전 분할 다중 액세스 방식이 도입되었다. 다시 말하지만, 단일 안테나의 경우 여러 사용자를 고려하므로 [HYW+11]과 명확하게 구분된다.
- [FTY12]에서 TR 프리코딩은 MISO 및 MIMO 시스템에 적용된다.
- [DHCG13] 및 [MHML15]에서 MISO/MIMO OFDM 프리코딩 방식이 고려된다.
- [TH15]에서는 SIMO 시스템이 고려된다. 다중 안테나 수신기의 수신 공분산 행렬을 기반으로 새로운 TR 프리코더를 제안한다. [TH15]의 수학식에 따르면,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스트림의 수는 수신 안테나의 수와 같다. [TH15]의 방식으로 정의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 안테나로 수신기에 둘 이상의 스트림을 전송할 수 없으므로, 본 발명은 [TH15]에 포함되지 않는다. TR 전송 방식은 [WWH+11]으로부터 가져온다.
특허 문헌의 TR 프리코딩:
- "병렬 간섭 제거 기능이 있는 다중 사용자 시간 역전 분할 다중 액세스 업링크 시스템"라는 제목의 [HL17]
- 제 1 청구항은 여러 사용자를 기반으로 하므로 제안된 아이디어와 충돌하지 않는다.
추가 참고 사항:
- "표준" LTE 구성으로 부반송파 대역폭 B(SC), 예를 들어, B(SC)=15kHz으로, T(SY)=1/B(SC) 의 심볼 속도/지속 시간을 갖게 된다. 심볼 속도 T(SY)가 CIR의 지연 τL보다 커서 T(SY)L이면, ISI는 회피된다. τL은 진폭이 특정 임계값, 예를 들어, 열적 + 수신기 잡음을 초과하는, 최대 지연이 있는 경로인, L번째 경로의 지연인 것에 유의한다. 문헌의 예에서, 심볼 속도는 T(SY)≫ τL이 5G OFDM 시스템에 대한 유효한 가정이도록 CIR보다 훨씬 크다.
속도 백오프 계수: 심볼 전송률은 대역폭에 의해 주어지는 심볼 속도와 다르며, 일반적으로 큰 대역폭 시스템에서, 심볼 전송 속도는 ISI를 피하기 위해 대역폭에 의해 주어진 심볼 속도보다 낮다.
목표: OFDM 시스템을 가정하면, CIR 내에서 다시 말해, 심볼 기간 T(SY) 내에서 두 개의 심볼을 전송함 -> 속도 백오프 계수 ½에 해당함.
이와 관련하여, 도 4a는 다중 사용자(MU) - 단일 입력 다중 출력(SIMO) 구성에서 다중 사용자 매체 액세스 제어를 보여주는 반면, 도 4b는 MU-MIMO MAC(중간 액세스 제어)를 보여준다. 또한, 도 5a는 MU - MISO(다중 입력 단일 출력) 브로드캐스트에서 다중 사용자 BROADCAST-CHANNEL을 보여주는 반면, 도 5b는 MU - MIMO 브로드캐스트를 보여준다.
또한, 도 6a는 원래의 CIR을 갖는 시선 경로(LOS)를 그리기 위해 μs의 지연에 대한 세로 좌표 상의 상대적 전력을 예시하는 예시적인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6b는 TR(시간 반전) 프리코딩을 갖는 LOS 등가 CIR을 나타낸다. 도 6c는 TR 프리코딩을 갖는 대응하는 비 LOS(NLOS) 등가 CIR을 도시하는 반면, 도 6d는 TR을 갖는 NLOS 등가 CIR을 보여준다. 도 6e는 예시의 사무실에서 취한 CIR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6f는 사전 이퀄라이제이션된 채널의 탭을 도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리코더 유닛(312)은 장치로부터 수신기로의 신호의 다중 경로 전파에 관한 채널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프리코더 유닛(312), 장치(302) 각각은 다중 경로 전파로부터 경로들의 각각의 세트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다중 경로 전파는 장치(302) 자체의 기준 신호(RS)로부터 또는 장치(302)에 채널 상태 정보(CSI)를 보고하는 다른 통신 링크(기지국)로부터의 피드백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즉, 장치(302)는 각자의 정보를 스스로 결정할 수도 있고, 이미 통신 파트너에서 결정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308)는 빔포밍 기술을 사용하여 빔들의 세트 중 적어도 하나의 빔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302)는 프리코딩된 신호(3221) 및 프리코딩된 신호(3222) 양자를 송신하기 위해 빔들의 세트의 단일 빔 또는 빔들의 세트의 서브세트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빔들의 집합을 사용하는 것은 빔들의 집합에 속하는 두 개의 빔들의 중첩인 빔을 사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송신 방사 특성은 새로운, 결합 또는 중첩된 빔을 형성하는 빔 또는 빔의 조합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단일 빔은 개별 빔 또는 빔의 중첩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코딩 유닛(312)은 2개 이상의 브랜치(3361, 3362)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브랜치(336)는 데이터 신호(3141, 3142)를 획득하고 각각의 프리코딩된 신호(3221, 3222'/3222)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경로(336)는 각각의 오프셋 유닛(326)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이한 브랜치(336)의 오프셋 유닛은 신호의 상이한 지연을 제공할 수 있다. 오프셋 유닛(326)은, 예를 들어, 지연 필터로 구현될 수 있다.
비지연/비편이 버전 또는 덜 지연/편이된 버전, 프리코딩된 신호(3221, 3222) 사이의 시간/주파수 차이의 양과 관련하여 오프셋 유닛(326)에 의해 구현된 시간 지연/주파수 편이는 다른 고려 사항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시간 지연의 예를 고려하면, 지연은 기껏해야 장치(302)와 수신기(304) 사이의 최대 채널 지연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지연은 기껏해야 프리코딩된 신호(3221 및/또는 3222)의 심볼의 지속기간으로 설정될 수 있고, 심볼 지속 시간은 채널 지연보다 길 수 있다.
프리코딩된 신호(3221)에 대한 프리코딩된 신호(3222)의 지연은 수신기(304)에서의 기껏해야 심볼 샘플링 속도일 수 있다. 이러한 지연을 선택하는 배경은 수신기가 특정 샘플링 속도/대역폭으로 수신된 신호를 샘플링하고 ADC(아날로그-디지털-변환) 후 디지털 시간 도메인에서 효과적인 신호 표현이 디지털 시간 지연 구조를 생성하도록 허용하거나 허용해야 한다는 점에서 볼 수 있다. 이러한 지연 구조는 원칙적으로 아날로그 영역에서도 구현될 수 있지만 지연 및 신호 조합 값에 대한 결정은 일반적으로 디지털 도메인에서 수행될 수 있다. 수신기(304)에서의 심볼 샘플링 속도에 대한 값은 장치(302)에서 알려질 수 있다.
실시 예는 다음과 관련된다: 수신 안테나가 1개 이상이고 안테나가 협대역 코히어런스 거리를 넘어 분리된 경우, 수신기는 마치 송신기가 본 발명에 설명된 지연 프리코딩 기술을 사용하여 다른 빔의 다른 안테나로부터 다른 스트림을 전송했을 것처럼 효과적인 MIMO 채널을 생성하는 공간 서명에 의해 다중 스트림을 구별할 수 있다. 협대역 코히어런스 거리는 위상 차가 특정 임계차 이하이도록 파장에 관한 물리적 안테나 거리를 의미한다.
응용 시나리오 1.)과 관련하여, 장치(302)는 신호(332, 3222)를 각각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신호가 차지하는 대역폭이 달성 가능하거나 허용된 상상 가능한 대역폭과 비교할 때 더 낮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수신기(304)는 수신된 결합 데이터 신호를 샘플링하여 전송된 신호(3221, 3222)를 분해하여 달성 가능한 신호 대역폭보다 낮은 신호 대역폭을 갖는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을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고 해상도 지연 프리코딩은 예를 들어 100MHz 이하의 적당한 시스템 대역폭에서 구현될 수 있다.
적용 시나리오 4.) a.)와 관련하여, "탭"은 시간 지연 창 내에서 서로 다른 신호 탭의 집중으로 이해될 수 있다. 신호가 채널 지연에 이상적으로 매칭하고 예를 들어 도 7에서와 같이 주변 에코의 감쇠로 둘러싸인 거의 단일한 탭을 형성할 필요는 없다.
실시 예들은 시간 지연/도플러(DD) 프리코더 설계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지연/도플러 프리코더(DDP)의 설계는 다음 기준을 따를 수 있다:
공간 다중화를 위한 데이터 스트림은 다음에 효과적으로 매핑되도록 사전 코딩되어야 한다:
- 전파 환경의 특정 지연 클러스터(지연 클러스터는 특정 시간 창에서 유사한 지연 길이를 갖는 경로) 또는/및
- 전력 지연/도플러 프로파일에 상당한 전력이 표시되는 선택된 다중 경로 구성요소(MPC) 및/또는
- 유용한 전력이 집중되어야 하는 대상 수신 신호 창으로부터 모든 "DD 매칭되지 않는" 전력 구성요소를 충분히 잘 분리하여, 서로 적절한 (시간) 거리를 갖는 선택된 탭.
다음 단락에서 제안된 기술의 실행 가능성에 대한 실용적인 통찰력을 제공하기 위해 시간 지연 프리코더의 일부 잠재적 구현이 제공된다. 지연 구성요소 구현에 대한 예시가 자세히 설명된다. 송신기의 상대적인 움직임으로 인해 발생하는 도플러 구성 요소 구현에도 동일한 메커니즘이 적용될 수 있고, 전파 환경에서 수신기 또는 반사 물체는 반송파 주파수의 이동 및 이에 따라 OFDM 부반송파에서 인접한 부반송파로 에너지 유출을 초래한다. 경로별 도플러 보상을 적용하여, 수신기의 신호는 도플러가 없거나 적어도 도플러 확산이 감소된 것으로 효과적으로 감지된다.
예 1: 단일 송신 안테나 및 단일 수신 안테나, 프리코더 설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Tx)와 수신기(Rx)가 있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을 고려한다. Tx 및 Rx에는 각각 단일 안테나가 장착되어 있다. Tx에서, 데이터 스트림 X1=[x11,x12,..,x1N]T는 무선 광대역 채널
Figure pct00001
을 통한 전송을 위해 프리코더로 전달되고, 여기서 h는 L 채널 탭이 있는 채널 벡터이다. 제 2 데이터 스트림 X2=[x21,x22,..,x2N]T은 또한 제 1 데이터 스트림과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되지만 프리코딩 후 출력되는 신호는 전송을 위해 일정 시간 지연된다.
시스템 대역폭이 너무 넓어서 많은 무선 다중 경로 구성 요소가 해결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상술된 프리코더가 시스템의 유효 채널이 수신기 측에서 관찰되는 주요 피크/탭 근처에서 집계된 에너지의 대부분을 가지도록 적용되고 지연 창의 나머지 에너지 구성 요소는 이들을 시간 도메인 위에서 분산시켜 상당히 감소된다. 즉, 채널을 탭 지연선 모델로 기술하면, 프리코더를 적용한 후의 효과적인 채널은 다른 탭보다 훨씬 더 높은 전력으로 특정 지연의 주요 탭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프리코더는 채널 임펄스 응답(채널 임펄스 응답의 역시간 및 위상 공액 버전), 즉
Figure pct00002
에 대해 매칭 필터처럼 설계될 수 있다. 유효 채널은 채널 임펄스 응답과 프리코더의 콘볼루션, 즉,
Figure pct00003
에 의해 주어지고, 여기서 g는 최대 탭 전력 온 g1인 유효 채널이다. 결과적인 유효 채널의 예가 도 7에 도시되며, 여기서 주 탭 전력은 다른 탭보다 약 15dB 높다.
높은 SNR 조건에서, 모든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주어진 합계 전송 전력에 대해 더 높은 시스템 처리량을 달성하려면 단일 데이터 스트림보다 둘 이상의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에 유의한다. 이 경우 위의 방식을 통해 두 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으며, 각각은 기존 단일 스트림 전송 방식보다 높은 처리량을 달성하기 위해 절반의 전송 전력을 사용한다.
도 7은 [EKPP10]과 같이 채널 임펄스 응답에 매칭된 필터를 적용한 유효 채널의 예이다. 도 3b에서, 제 2 데이터 스트림(X2)은 제 1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일정 시간 지연된다. 지연은 또한 기능 블록으로 도 3b에 도시된 설계된 매개변수이다. 일반적으로 지연은 예를 들어 샘플링 기간보다 짧게 선택되므로, 제 2 데이터 스트림이 경험한 유효 채널의 피크 전력이 제 1 데이터 스트림보다 한 샘플링 기간보다 늦게 발생하도록 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간단하게 하기 위해 지연이 샘플링 기간의 절반으로 가정되는 도 8에서 도시된다. g1 q가 q번째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가장 높은 전력을 갖는 탭 g1을 나타낸다고 하고, 두 개의 연속적인 절반 샘플링 기간에서 수신된 신호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Figure pct00004
여기서,
Figure pct00005
는 각각 두 개의 연속적인 절반 샘플링 기간에 대한 수신 신호 및 잡음을 나타내고; gI1 및 gI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심볼간 간섭을 초래하는 제 1 및 제 2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유효 채널 계수이다. 그것에 의하여, 수신된 신호 y(채널을 통과한 후 신호(332)) 및 추정된 채널 탭이 주어지면, 데이터 스트림 x11 및 x21은 기존의 MMSE(최소 평균 제곱 오차) 수신기를 사용하여 직접 감지될 수 있다.
즉, 장치(302)는 시간 도메인에서 프리코딩된 신호들의 중첩인 신호로서 프리코딩된 신호들(3221 및 3222)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각각의 프리코딩된 신호(3221, 3222)의 적어도 일부는 상이한 슬롯, 시간 간격 등에서 상이한 프리코딩된 신호를 전송하는 것과 비교할 때 서로 다른 동일한 시점에 전송될 수 있다.
단일 송신 안테나와 단일 수신 안테나로부터, 실시 예는 또한 단일 송신 안테나 및 다중 수신 안테나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위의 방식에서 다중 수신 안테나로의 확장은 간단한다. 단순화를 위해, 두 개의 수신 안테나를 가정한다. 예 1의 표기법을 따르고 위 첨자(n)가 n번째 수신 안테나를 나타내도록 한다. 2개의 수신 안테나에 의한 2개의 샘플링 기간에서 수신된 신호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Figure pct00006
수신된 신호와 추정된 채널 탭이 주어지면, 전송된 데이터 스트림은 기존 MMSE 수신기를 사용하여 추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리코딩 유닛은 데이터 신호(3141 및/또는 3142)를 프리코딩하기 위한 윈도잉을 적용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계값 미만인 에너지 레벨을 포함하는 다른 부분을 필터링하면서 상당한 양의 에너지를 포함하는 탭 또는 전력 부분으로 프리코딩된 신호(3221 및/또는 3222)를 제한함으로써 계산 복잡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즉, 윈도잉을 이용한 프리코더 설계에 대한 예이다. 예 1에서, 프리코더는 채널 임펄스 응답에 대한 매칭된 필터가 되도록 설계되었다. 채널 임펄스 응답이 매우 길면 프리코더의 계산 복잡도가 매우 높아질 수 있다. 복잡성을 줄이기 위해서, 도 9와 같이 특정 임계값보다 높은 전력을 가진 탭에 윈도잉을 적용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프리코더는 윈도잉 후에 살아남은 채널 탭과 일치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고출력 탭이 향상되고 창 외부의 탭이 억제된다.
예 4: 채널 단축 필터를 사용한 프리코더 설계
채널 단축 필터의 목표는 채널 에너지를 Ls 샘플의 짧은 지속 시간으로 압축하는 것이다. 즉, 효과적인 채널, 즉 채널과 채널 단축 필터의 캐스케이드를 생성하는 것dl다. 이 필터는 대부분의 에너지를 더 적은 수의 인접 탭으로 압축한다. 채널 단축 필터의 성능 메트릭은 길이 Ls 샘플의 단축된 창 내부의 채널 에너지 대 창 외부의 채널 에너지의 비율로 설계할 수 있으며, 이를 단축 SNR(SSNR)이라고 한다.
유효 채널의 에너지는 신호 에너지와 간섭 에너지의 두 가지 구성 요소로 나눌 수 있다. 신호 에너지 구성 요소는 대상 단축 창 내 채널의 에너지이다.간섭 에너지는 대상 단축 창 외부의 채널 에너지이다.
Figure pct00007
이 유효 채널을 나타낸다고 한다. 채널
Figure pct00008
의 신호 에너지 성분과 채널
Figure pct00009
의 간섭 에너지 성분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
여기서 Δ는 이퀄라이제이션 지연이다. 유효 채널 응답의 출력 SSNR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Figure pct00012
SSNR 최대화 필터는 [MYR96] [CE10]으로 주어지는 일반화된 고유값 솔루션을 사용하여 풀 수 있다.
Figure pct00013
원본 및 단축 채널 임펄스 응답의 예(유효 채널)는 원래 채널 임펄스 응답과 단축된 채널 임펄스 응답의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채널 정보 및/또는 다중 경로 구성요소에 대한 보고 외에, 실시 예는 송신기(302)와 수신기(304) 사이의 시그널링과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티티 중 하나는 채널이 하나 이상의 추가 신호가 도 3a 및 도 3b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지연/도플러 프리코딩을 통해 전송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양호하다고 (예를 들어, 특정 임계값, 예를 들어, 10db를 초과하는 SNR)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는 장치(302)가 무선 인터페이스(308)의 동일한 송신 방사 특성을 갖는 적어도 2개의 프리코딩된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되었음을 나타내는 능력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능력 정보는 CIR 보고의 일부일 수 있다. 장치(302)는 장치의 위치, 시나리오 및 이동성 클러스터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능력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장치(302)는 수신기가 프리코딩된 신호(3221, 3222) 및 가능하게는 추가적인 프리코딩된 신호의 조합을 디코딩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능력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302)는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프리코딩된 신호들의 조합을 송신하거나 송신하지 않도록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수신기가 프리코딩된 신호의 (적용된 지연 내에서) 동시 전송을 디코딩할 수 있음을 장치에 통지받는 경우, 및 채널이 적어도 품질 임계값인 품질을 포함하는 경우, 장치(302)는 설명된 프리코딩을 구현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장치(302)는 설명된 프리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수신기(304)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알릴 수 있다. 요청 또는 허용의 종류에 따라, 장치(302)는 설명된 프리코딩을 구현할 수 있다. 장치가 프리코딩된 신호를 전송하도록 요청되었음을 나타내는 요청 정보(322)를 수신하는 경우, 장치는 요청에 따라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요청 정보는 수신기(304) 및/또는 상이한 노드, 예를 들어 네트워크 조정자 등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장치는 채널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채널 정보는, 예를 들어, 장치와 수신기 사이의 하나 이상의 다중 경로 구성요소(MPC)의 존재를 나타내는 채널 상태 정보(CSI)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 정보는, 예를 들어, 채널 상태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채널들 각각 또는 적어도 일부와 관련하여 채널 품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 정보는 장치와 수신기 사이의 채널 품질을 나타낼 수 있다. 채널 정보는 채널 품질이 채널 품질 임계값보다 높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장치는 채널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인터페이스(308)의 동일한 송신 방사 특성으로 프리코딩된 신호(3221, 3222) 및 선택적으로 추가적인 프리코딩된 신호의 조합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CSI는 MPC에 매핑된 두 스트림이 성공적으로 전송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충분하거나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8을 다시 참조하면서, 2개 또는 그보다 더 많은 수의 프리코딩된 신호가 각각의 바람직하게는 다른 프리코딩된 신호에 대한 명확한 지연을 사용하는 동안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와 수신기 사이의 제3 경로에 기초하는 제3 프리코딩된 신호는 오프셋 유닛(326)에 적용된 지연과 상이한 시간 오프셋, 즉 지연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된 신호에서, 프리코딩된 신호에 기초하는 각각의 성분은 따라서 서로에 대해 지연될 수도 있다. 장치(302)는 프리코딩된 신호(3221)와 프리코딩된 신호(3222)의 적어도 심볼 사이의 시간 지연을 나타내는 지연 정보, 즉 오프셋 유닛(326)에 의해 구현되는 적용된 지연 Δt를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연 정보, 예를 들어, τ1,2는 수신기에서 표시되고, 그 위치에서 신호의 피크를 검색하거나 감지해야 하므로, 디코딩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향상은 특히 비허가 대역에서 많은 양의 간섭을 유발할 수 있는 채널에서 높은 부하 또는 트래픽이 발생하는 시나리오에서 특히 유리할 수 있다.
장치(302)는 다중 노드에서 무선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단일 전송 안테나, 단일 전송 어레이 또는 단일 유효 안테나 또는 안테나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단일 안테나만을 포함하지만, 장치(302)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중 입력 다중 출력 통신 모드/공간 데이터 스트림 다중화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실시 예는 필요 조건을 시그널링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1. 바람직하게는 시간(지연) 도메인에서 고해상도를 갖는 채널 임펄스 응답(CIR)이 상취되어야 하고 송신기 측에서 사용 가능해야 한다.
- 이것은 이전에 전송된 파일럿에서 얻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5G NR에서, 이것은 업링크의 SRS 또는 다운링크의 CSI-RS 또는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방향의 DM-RS일 수 있다.
- 5G NR 또는 기타 시스템에서 채널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예를 들어, OFDM 부반송파당 복소수 계수에서 추정될 수 있고, 채널 임펄스 응답은 예를 들어, FFT/DFT에 의해, 시간 도메인으로 변환하여 얻는다.
- 더 높은 대역폭은 추정된 CIR의 시간/지연 분해능을 증가시키므로 업링크/다운링크 파일럿은 가능한 한 많은 대역폭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 수신자는 CIR을 보고해야 하거나 송신기는 채널 속성, 예를 들어 채널 상호성 또는 주요 산란 탐지 또는 2차 통계와 같은 기타 재구성 및 추가 신호 처리 또는 고정 무선 액세스 또는 백홀과 같은 CIR의 선험적 지식을 활용하여 CIR을 추정한다.
- CIR 보고는 예를 들어 다른 채널 구성 요소(시간, 공간, 지연, 도플러, 주파수)에 대해 코드북을 사용하는 것과 같이, 무손실 또는 손실 방식으로 압축될 수 있다.
2. 지연 다중화 기능 - RX 및/또는 TX는 지연 다중화가 가능한지에 대해 서로 알릴 수 있다.
- 이 정보에 대해 새로운 신호가 필요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UE 성능을 테스트하거나 모니터링함으로써. 새로운 UE 능력에 의해 또는 간접적으로, 새로운 표시기에 의해 알릴 수 있다.
최적화된 CIR 보고서
CIR 보고(예를 들어, 지연 도플러 표현에 의해)는 UE를 CIR의 값 범위를 줄이기 위해 정렬된 위치, 시나리오 및 이동성 클러스터로 분류하여 최적화할 수 있다. 이것은 고정된 양자화 범위(오프셋, 빈 범위, 빈 너비)로 해상도를 높이거나 중요한 정보의 손실 없이 보고서 크기를 줄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 분류는 이전 또는 부가 정보를 기반으로 송신기에서 수행할 수 있다. 송신기는 수신기에 알려야 한다.
- 분류는 수신기 측에서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등급(예: 적절한 사분면 선택)을 사용하여 더 큰 전체 범위를 기록하고 압축할 수 있다. 수신기는 사용된 클래스에 신호를 보내야 한다.
- 범위의 동적 조정. 이것은 송신기에 의해 결정되거나 수신기에 의해 적응적으로 신호될 수 있다.
Rx에 필요한 정보
수신기에서 성공적인 심볼 검출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추가 정보가 종래의 예를 들어, LTE/5G 시스템에 대해 필요하다:
1. 지연 다중화된 심볼/계층의 수
- 이 정보에 대해 새로운 신호가 구현된다.
- 이것은 N비트 값일 수 있다. 몇 가지 예는 아래와 같다:
- 최대 지연 프리코딩 심볼 수는 2이다. 이에 의해 제안된 방식에 의한 기존의 1심볼이 또는 2심벌이 전송되는지를 나타내기에 1 비트면 충분한다.
- 지연 프리코딩된 심볼의 최대 수는 4 또는 2N이며, 이 때 각각 2 또는 N 비트가 필요한다.
- 다음 옵션이 가능하다:
- 수신기는 예를 들어 높은 수신 SNR 또는 적절한 CIR 조건 기반하여, 처리량을 늘리기 위해 제안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고 결정하고, 2개 이상의 심볼이 제안된 방식으로 지연 프리코딩되어야 한다는 신호를 송신기에 전송한다. BS는 수신기이고 UE는 송신기이다. 짧은 버전: 네트워크 제어됨.
- BS는 CIR이 수신기에서 특정 기준, 예를 들어 TDMux, 뚜렷한 산란, 짧은 임펄스 응답, 높은 도플러 확산 등에 대한 적합성을 충족할 때 트리거되는 CIR 측정 보고서를 구성한다.
- 송신기, 예를 들어 UE는 특정 메트릭, 예를 들어 채널 품질 측정을 기반으로, 2개 이상의 심볼이 제안된 방식으로 지연 프리코딩된다고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BS는 송신기이고 UE는 수신기이거나 그 반대이다. 이것은 네트워크 또는 UE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UE가 송신기인 경우, 네트워크는 정상적으로 결정한다.
- 동시에, 이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제안된 방식의 적용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잡성을 줄이기 위해 이를 추가 필드에 표시하는 것은 간단한 확장 방법이다.
2. 피크/탭/탭 클러스터의 시간 현지화
2개의 지연 사전 코딩된 심볼의 예를 사용하여, 심볼 1에 해당하는 제 1 피크와 심볼 2에 해당하는 제 2 피크 사이의 지연/분리는 τ1,2로 표시된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의미에서 선택적 신호이다. 이 신호가 없으면, 수신기는 2개의 가장 높은 피크를 감지하고 이들을 채널 등화 및 디코딩을 위한 적절한 신호 처리 수단에 의해 분리한다. 아래에 설명된 추가 시그널링으로, 추가적인 측면 제약이 부과된다. 예를 들어, 제 2 피크는 제 1 피크 주변의 특정 임계값에 τ1,2를 더한 값 내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 피드백은 수신기에서 성공적인 디코딩의 확률을 증가시킨다.
- 새로운 신호는 이 정보에 대해 구현된다.
- τ1,2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 또는 나노초로로 하나의 값으로 직접적으로 또는 예를 들어 심볼 지속 시간의 배수 또는 미리 정의된 시간 그리드의 인덱스로 간접적으로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장치, 예를 들어 수신기(304)는 송신기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 신호의 프리코딩된 심볼의 수를 나타내는 능력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능력 정보는 송신기에 의해 설명된 프리코딩으로 현재 또는 가능하게 송신되는 상이한 데이터 신호의 프리코딩된, 예를 들어, 시간 지연 및/또는 주파수 편이된 심볼의 최대 수를 나타낼 수 있다. 장치(304)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안테나 및/또는 패널, 이들의 조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304)는 결합된 데이터 신호, 예를 들어 결합된 데이터 신호의 샘플링된 표현을 획득하기 위해 채널을 통과한 신호(332)와 같은 결합된 데이터 신호를 샘플링하도록 구성된 디코더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디코더 유닛은 예를 들어 도 8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피크를 검출함으로써 샘플링된 표현의 오프셋 심볼의 수를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오프셋 신호의 수는 능력 정보에 기초할 수 있다. 즉, 수신기는 검색해야 하는 피크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이들 피크가 시간 및/또는 주파수에서 예상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코더 유닛은 결합된 데이터 신호(332)에 기초하여 적어도 제 1 데이터 스트림 및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획득하기 위해 오프셋 데이터 신호들의 수를 분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디코딩된 것은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장치(304)는 송신기, 예를 들어, 장치(302)에 대한 채널 품질이 품질 임계값보다 높다는 것을 표시하는 품질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304)는 무선 신호의 송신기에 대한 요청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요청 또는 명령은 다수의 시간 지연 버전의 심볼로서 송신기에 의해 전송된 추가 신호의 심볼을 전송하도록 요청한다.
추가 실시 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예를 들어 네트워크(300)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장치(302) 중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장치(304) 중 하나 이상이 배열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수신기(304)는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는 동일한 송신 방사 특성을 사용하여 송신기에 의해 송신된 다수의 시간 지연 프리코딩된 신호에 관한 것이다. 설명한바와 같이, 이렇게 하면 채널을 통해 처리량이 증가되게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추가 실시 예는 수신기, 예를 들어 장치(304)에 대한 낮은 요구사항을 허용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송신기에서 시간 지연 프리코딩된 신호에 추가하여, 네트워크는 상이한 장치 또는 상이한 안테나 패널의 신호 송신이 도 8과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동기화되지 않은 방식으로 도달하도록 스케줄링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즉, 동일한 장치에서 프리코딩된 신호를 생성하는 대신에, 다른 장치가 이러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안을 위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제 1 및 제 2 장치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조정자를 포함하므로, 제 1 장치 및 제 2 장치가 수신기에서 서로에 대해 시간-지연된 상태로 도달하도록 신호를 전송한다. 수신기는 동일한 안테나 수신 특성, 즉 동일한 수신 빔 또는 안테나 구성으로 상이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동일한 공간 분해능 단위로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장치를 조정하는 것은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 있지만 또한 그룹이 신호의 그룹 단위 시간 지연을 구현하게 제어되도록 그룹 단위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제어에 의해, 장치는 조정자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수신된 명령에 응답하여, 신호의 도착이 동기화된 스케줄에 대한 오프셋을 포함하도록 신호 전송에 의한 타이밍 어드밴스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따라서, 장치는 편차를 도플러 도메인에 적용함으로써 주파수 보정에서 벗어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조정자는 시간-지연과 관련하여 그리고 시간 앵커와 관련하여 제 1 및 제 2 장치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예를 들어, 주 지연 탭의 중심과 시간 도메인 및/또는 지연 탭 어드밴스에서의 주 전력 집중 주변 사이에서, 타겟 수신기 및/또는 지연 인스턴스에서 채널 임펄스 응답의 확산을 설명할 수 있는 소위 지연 확산 매개변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개별 사용자/장치의 프리코딩에 의해 특정 지연 확산이 달성되면, 지연 탭 진행은 장치에 그렇게 하도록 명령하여 한 수신기 지연을 다른 수신기 지연에 대해 이동시키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는 특정 시간 지연을 적용하도록 지시받을 수 있지만 특정 간격 내에서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만큼 이 명령에서 벗어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시간 지연을 약간 증가 또는 감소한다. 기지국의 일부로서 배치될 수 있지만 또한 상이하고 특히 개별적인 엔티티일 수 있는 조정자 유닛은, 제 1 장치 및/또는 제 2 장치에 적용될 지연의 매개변수를 나타내는 목표 값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장치 및/또는 제 2 장치는 목표 값에 따라 동작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통신에서 동기화된 동작에서 벗어나는 것과 관련된 이러한 동작은 동일한 장치에서 설명된 다중 신호의 프리코딩에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업링크, 둘 이상의 사용자는 기지국에서 수신된 신호가 지연에 의해 구별될 수 있도록 송신 신호의 프리코딩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매우 간단한 수신기 구조로 사용자를 구별할 수 있다. 수신기의 공간 해상도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수신기가 두 명 이상의 사용자를 공간적으로 분리할 수 없는 빔을 사용하는 경우, 통신이 향상될 수 있다. 실시 예는 예를 들어, 개인 또는 사용자 그룹에 걸쳐 수행되는 지연 도메인에서의 프리코딩에 관한 것이다. 실시 예는 또한 사용자 세트 및 기지국이 시간 앵커, 예를 들어, 특정 절대 또는 상대 시간, 및/또는 주파수 앵커에 대한 지연 제어, 예를 들어 특정 주파수에 대한 도플러 도메인의 시프트에 대한 도플러 제어를 공동으로 결정할 수 있게 하는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위의 설명과 관련하여, 효과적인 신호 확산과 같은 목표 값/KPI(핵심 성과 지표)는 표준에서 피드백 매개변수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나의 장치(UE)로부터 전체 수신된 신호 전력의 80% 또는 하나의 UE 또는 여러 UE로부터 전송된 MIMO 계층이 특정 지연 확산 내에 있어야 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여러 매개변수가 사용될 수 있다.
- 주어진 전송 대역폭에서, γk(tr), 예를 들어 γ(tr)=10dB이도록 임계값 γ(tr) 이상의 γk로 표시되는, 수신기 k에서의 높은 시스템 SINR에서, 변조 및 코딩 방식의 증가 대신 공간 다중화로 전환하는 것이 스펙트럼 효율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 무선으로 동시에 전송되는 데이터 스트림을 분리하기 위해서, 유효 채널은 랭크(공간 자유도) >1이어야 하고, 일반적으로 이것은 다중 Tx 및 다중 Rx 안테나로 달성되며, 이것은 협대역 채널에서도 작동하여, 안테나가 충분히 분리되어 있는 경우 임의의 위상 및 진폭을 갖는 수신 안테나에서 풍부한 다중 경로 및 신호 중첩을 활용한다.
- 광대역 및 전송된 광대역 신호의 결과의 고 시간적 해상도로 인해, 시간 또는 지연 도메인에서 경로 및/또는 경로 그룹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 이러한 MPC(다중 경로 구성 요소) 그룹에 매핑된 서로 다른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기 측에서 분리 가능하게 만드는 방식으로, Tx 위치와 Rx 위치를 연결하는 관련 경로 그룹의 지연 구조와 일치하는 전송 필터 설계 개념을 제안한다.
- 이에 의해 하나의 송신기 안테나를 사용하여 공간 다중화를 활용할 수 있다. 목표는 물리 계층에서 전송 처리량을 높이는 것이다. 즉, 공간 다중 전송의 합계 속도는 단일 스트림 전송 속도보다 커야 한다. 결정은 측정된 단일 스트림 SNR 또는 SINR, 또는 참조 신호, 예를 들어 CSI-RS, SRS, 또는 RSRP 등과 같은 다른 측정 보고에 기초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예를 들어 지연 구성 요소의 구조에 의해서, 예측된 SINR 또는 다중화된 전송의 합 속도 또는 채널의 공간 구조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 FR2에서, 예를 들어, UE UL과 관련됨
1. 실시 예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허용한다: 단일 송신 안테나가 있는 송신기는 SOTA MIMO 전송 방식에서 필요로 하는 다중 전송 안테나를 사용하지 않고 공간 서명과 같은 MIMO를 생성할 수 있다.
2. 제안된 방식은 넓은 시스템 대역폭, 예를 들어, Nx 100MHz 또는 몇 GHz인 무선 전송 시스템 뿐만 아니라 시스템 대역폭이 더 좁은 시스템에도 적용되지만, 신호 생성과 관련하여 동작되므로 사용되는 송신기 샘플링 속도는 훨씬 높지만 시간 도메인에서 경로 입력을 분리할 수 있도록 최소한 나이퀴스트(Nyquist) 샘플링 속도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100 또는 400MHz의 샘플링 속도를 사용하여 20MHz 너비의 전송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5 또는 20배 오버샘플링 속도와 동일하므로 나이퀴스트 속도에서 20MHz 신호를 샘플링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시간 해상도보다 지연 프리코딩에서 훨씬 더 나은 채널 매칭을 가능하게 한다. 즉, 장치는 프리코딩 유닛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에 의해 지원되는 주어진 샘플링 속도에서 달성 가능한 신호 대역폭보다 더 낮은 유효 신호 대역폭으로 전송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송신기에서 특정 대역폭에 대한 나이퀴스트 기준을 충족하는 데 실제로 필요한 것보다 더 높은 샘플링 속도는 시간 도메인에서 채널 임펄스 응답에 프리코딩 필터를 더 잘 일치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수신기에서, 무선 채널을 통한 프리코딩 및 전송 후 효과적인 채널 임펄스 응답의 일부를 형성하는 MPC를 더 잘 해결하기 위해 나이퀴스트 보다 더 높은 샘플링 속도가 사용될 수 있다.
3. 제안된 솔루션은 다중 송신 안테나 또는 다중 빔이 동시에 하나 또는 다중 안테나 어레이에 의해 형성될 필요 없이 공간 다중화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4. 단일 빔/단일 안테나 송신기는 트랜시버 체인과 같은 추가 하드웨어 없이 단지 제안된 다중화 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처리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5. 제안된 방법은 적절한 송신기 샘플링 속도로 지연/도플러 프리코더를 구현하는 것으로 기존 UE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은 장치(304)와 같은 수신기와 통신하는 장치(302)와 같은 무선 장치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실시 예들은 신호의 그룹별 시간 지연/도플러 오프셋을 구현하도록 그룹이 제어되도록 장치 그룹을 조정하는 것과 관련하여 표시된 지점 간 통신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및 다음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트랜시버 또는 장치는 업링크 시나리오에서 둘 이상의 수신기를 처리하기 위해 신호를 프리코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들 2개의 수신기는 수신된 신호의 공동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수신기는 상이한 송신기로부터 프리코딩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송신기는 둘 이상의 수신기를 어드레싱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도 12a는 장치(302)가 채널 조건 또는 상이한 수신기(3041 및 3042)에 대한 경로 세트에 따라 신호(3221 및 3222)를 프리코딩하는, 통신 네트워크(12001)의 적어도 일부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장치(302)는 2개보다 많은 신호를 프리코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프리코딩된 신호는 수신기(3041 또는 3042)로의 채널 조건에 따라 또는 도시되지 않은 장치(302)와 다른 수신기 사이의 채널 조건에 따라 프리코딩될 수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장치(302)는 공동으로 전송되는 프리코딩된 신호(3221 및 3222)를 획득하기 위해 다중경로 컴포넌트의 상이한, 가능하게는 분리된 세트를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수신기(3041 및 3042)는 신호(344)를 교환하여 수신한 신호의 카피를 교환할 수 있다. 신호(344)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활성화할 수 있다.
a. 디코딩 결과의 교환
b. 중간 신호 처리 결과, 예를 들어 I/Q 값, 소프트 비트, 전처리된 수신 신호 등의 교환
c. 예를 들어, 중앙 기저대역 처리 장치를 향한 분산 안테나 시스템(DAS)과 같은, 모든 수신된 신호의 전달.
d. 각 수신기 및 교환기에 의해 수신/처리되도록 의도된 스트림/데이터의 로컬 처리는 헬퍼 피드백과 같이 다른 기지국이 의도한 메시지를 디코딩하는 데 도움이 되는 부가 정보의 적어도 일부일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다른 BS가 연속적 간섭 제거(SIC)에 의해 다른 BS/수신기를 위해 의도된 메시지에서 간섭을 더 잘 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다른 BS에 대해 의되된 메시지에 대한 추측이거나 올바르게 디코딩된 메시지를 공유하는 것일 수 있다.
실시 예는 교환 없이도 작동할 수 있지만 공동 감지를 허용하도록 교환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
즉, 수신기(3041)는 수신한 신호의 사본을 수신기(3042)에 전송할 수 있고/있거나 수신기(3042)는 수신한 신호의 사본을 수신기(3041)에 전송할 수 있다. 이것은 신호의 디코딩을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다.
즉, 실시 예는 하나의 UE에서 업링크(UL), 이중 연결(DC) 또는 다중 연결(MC)에서의 여러 BS로의 다중화와 관련된다. 프리코딩은 UE(302)와 BS1(3041) 사이 및 UE(302)와 BS2(3042) 사이의 채널 임펄스 응답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특히, 특정 프리코딩, 예를 들어 지연 프리코딩은 타겟 BS와 연관된 채널과 매칭해야 하는 반면, BS 수신기에서 수신된 신호가 예를 들어 지연 도메인에서 분리되도록 다른 기지국과 관련하여 이동되어야 한다. UE와 다른 BS 사이의 다른 지연 확산 및 탭 (MPC) 수 및 탭 위치로 인해, 예를 들어, 지연 도메인에 집중되지 않기 때문에, 다른 BS에 대한 프리코딩된 데이터는 지연 도메인에서 확산될 것이고 지연 차이/편이의 선택은 예를 들어 다른 스트림의 지연 도메인에서 수신된 전력 밀도가 상당히 또는 가능한 경우 최대 거리 이동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최대" 및 "상당한"이라는 용어는 적어도 UE와 BS1 및 UE와 BS2 사이에서 매우 상이하거나 매우 유사할 수 있는 채널 임펄스 응답 구조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실시 예는 2개(또는 이상) 스트림(3221 및 3222)의 프리코딩이 수행되어 스트림이 다중 BS에서 독립적인 경로를 통해 수신 지연 도메인에서 MIMO 처리에 의해 분리될 수 있을 때, 업링크(UL)에서 2개 이상의 BS에서의 공동 처리에 관한 것이다.
도 12b는 2개 이상의 장치(3021, 3022)가 신호의 송신기로서 작용하고, 수신기(304)가 두 신호를 모두 수신하는, 통신 네트워크(12002)의 적어도 일부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따라서 다운링크 유형 시나리오가 구현된다. 송신기들(3021 및 3022)은 예를 들어, 조정 노드(342)에 의해 제공되는 동기화 또는 조정에 기초하여 가상 단일 송신기로서 동작할 수 있다. 조정 노드는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고 조정, 동기 또는 동기화된 작동을 위해 두 장치(3021 및 3022) 모두를 제공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이것은 타이밍이 밀접하게 동기화되거나, 대략적으로 동기화되거나, 느슨하게 동기화되거나 동기화되지 않거나(시간 및/또는 주파수에서) 전혀 동기화되지 않을 수 있지만 여전히 조정되는, 공동 처리와 관련되거나 이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동기화는 시간/지연 및/또는 주파수/도플러 도메인을 개별적으로 또는 공동으로 처리할 수 있다.
즉, 도 12a의 업링크 시나리오와 동일한 방식으로, 둘 이상의 BS가 신호를 동일한 UE에 사전 코딩하여 스트림의 중첩이 지연 도메인과 다른 테이프 지연 라인 필터를 이용하여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2c는 동기화된 (밀접하게 동기화된, 대략적으로 동기화된, 느슨하게 동기화된, 또는 전혀 동기화되지 않은) 송신기(3021 및 3022) 및 둘 이상의 수신기(3041 및 3042)를 구현함으로써, 도 12a 및 도 12b의 부호가 결합된 통신 네트워크(12003)의 적어도 일부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하고, 여기서 수신기(3041 및 3042)는 각각의 장치(3021 및 3022)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장치(3021)의 및 장치(32221 및 32222)의 신호들(32211 및 32212)은 지연/도플러 도메인에서 오프셋을 포함하도록 프리코딩될 수 있다. 장치(3041 및 3042) 및/또는 장치(3021 및 3022)는 도 12a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수신된 각각의 신호에 대해 신호(3441 및/또는 3442)를 교환할 수 있다. 네트워크(12003)의 개념은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장치(3041 및/또는 3042)로부터 장치(3021 및/또는 3022)로의 통신 방향에서 구현될 수 있다. 경로들의 세트의 선택은 상이하게 프리코딩된 신호들 사이의 적은 양 또는 심지어 최소량의 간섭이 예상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도 12a-c의 실시 예와 같은 설명된 실시 예에서, 일부 장치는 하나의 안테나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고 다른 장치는 2개의 안테나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는 예시된 안테나 수에 제한되지 않는다. 각각의 장치는 (장치 그룹에 대해) 개별적으로 또는 그룹 방식으로 다수의 안테나, 안테나 요소, 안테나 배열, 안테나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모든 송신기 및 모든 수신기는 하나 이상의 송신 및/또는 수신 안테나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즉, 다중 UE의 경우, 2개의 BS는 각 UE에 대한 신호를 개별적으로 (하나의 BS가 하나의 UE에 전송하고 있음, 즉, 도 3a의 다중 인스턴스) 또는 공동으로 (2개의 BS가 2개의 UE에 전송할 신호를 준비하고 있음. 이것이 완벽하거나 충분하게 이루어지면, DL에서의 CoMP 조인트 전송과 거의 동등함) 프리코딩한다. 설명된 실시 예의 맥락에서, 예를 들어, 지연 도메인에서 개별적으로 또는 공동으로 사전 코딩된 신호는 두 스트림 사이의 지연 이동과 함께 송신 안테나와 의도된 수신 안테나 사이의 채널 임펄스 응답에 의해 제공되는 MPC의 일부에만 일치해야 하므로 UE 수신기에서 수신되는 주 전력이 서로에 대해 시프트되고 분산되어 효율적인 신호 분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프리코딩에 사용할 다중경로 성분의 선택은 간섭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들(3221, 3222)이 서로에 대한 간섭의 양을 낮추거나 최소화하도록 상이한 경로 세트들이 선택될 수 있다.
수신기 또는 장치(304)를 기지국으로 표시하지만, 장치(304)는 다중경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장치,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 기지국, 중계기일 수 있음에 유의한다. 장치(302)를 UE로 표시하지만, 장치(302)는 다중경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장치,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 기지국, 중계기일 수 있음에 유의한다. 장치(302 및/또는 304)는 고정적일 수 있지만 지상 또는 비지상 네트워크의 모바일 엔티티일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각각의 실시 예와 측면들이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실시 예나 측면 중 둘 이상이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대해 상기 기재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다만, gNB나 UE와 같은 송신기와 UE와 gNB와 같은 수신기 사이에 통신이 이루어지는 환경에서 설명하였음에 유의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통신에 제한되지 않으며, 오히려 위에서 설명된 원리는 D2D, V2V, V2X 통신과 같은, 장치 간 통신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통신은 각 장치 간의 사이드 링크를 통해 이루어진다. 송신기는 제 1 UE이고 수신기는 사이드링크 자원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제 2 UE이다.
이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은 지상 네트워크, 또는 비지상 네트워크, 또는 수신기로서 항공 차량 또는 우주선 차량,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의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장치(UE)는 이동 단말 또는 고정 단말, 또는 셀룰러 IoT-UE, 또는 차량용 UE, 또는 차량용 그룹 리더(GL) UE, 또는 IoT, 또는 협대역 IoT, NB-IoT, 장치, 또는 WiFi 비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 비 AP STA, 예를 들어 802.11ax 또는 802.11be, 또는 지상 기반 차량, 또는 공중 차량, 또는 드론, 또는 이동 기지국, 또는 도로변 유닛 또는 건물,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게 하는 네트워크 연결이 제공되는 기타 항목 또는 장치, 예를 들어, 센서 또는 액추에이터 중 하나 이상일 수 있고/있거나, 기지국(BS)는 이동 또는 고정 기지국으로 구현될 수 있고 매크로 셀 기지국, 또는 소형 셀 기지국, 또는 기지국의 중앙 장치, 또는 기지국의 분산 유닛, 또는 노로변 유닛, UE, 또는 그룹 리더(GL), 또는 릴레이, 또는 원격 무선 헤드, 또는 AMF, 또는 SMF, 또는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 또는 모바일 에지 컴퓨팅 엔티티, 또는 NR 또는 5G 코어 컨텍스트에서와 같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또는 WiFi AP STA, 예를 들어 802.11ax, 802.11ad/ay 또는 802.11be, 또는 항목 또는 장치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전송/수신 지점(TRP) 중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항목 또는 장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해 네트워크 연결이 제공된다.
설명된 개념의 일부 측면이 장치의 맥락에서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측면은 또한 블록 또는 장치가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기능에 해당하는 해당 방법의 설명을 나타내는 것이 분명하다. 유사하게, 방법 단계의 맥락에서 설명된 측면은 또한 대응하는 블록 또는 대응하는 장치의 항목 또는 특징의 설명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양한 요소 및 특징은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회로를 사용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하나 이상의 범용 또는 특수 목적 프로세서에 의한 명령 실행을 통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컴퓨터 시스템 또는 다른 처리 시스템의 환경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1은 컴퓨터 시스템(500)의 예를 도시한다. 유닛들 또는 모듈들뿐만 아니라 이들 유닛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들의 단계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들(500)에서 실행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500)은 특수 목적 또는 범용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502)를 포함한다. 프로세서(502)는 버스 또는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 인프라(504)에 연결된다. 컴퓨터 시스템(500)은 주 메모리(506),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 보조 메모리(508),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및/또는 이동식 저장 드라이브를 포함한다. 보조 메모리(508)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다른 명령이 컴퓨터 시스템(500)에 로드되도록 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500)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가 컴퓨터 시스템(500)과 외부 장치 사이에서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은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전자, 전자기, 광학 또는 기타 신호의 형태일 수 있다. 통신은 유선 또는 케이블, 광섬유, 전화선, 휴대폰 링크, RF 링크 및 기타 통신 채널(512)을 사용할 수 있다.
용어 "컴퓨터 프로그램 매체"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일반적으로 이동식 저장 장치 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설치된 하드 디스크와 같은 유형의 저장 매체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시스템(500)에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다. 컴퓨터 제어 로직이라고도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주 메모리(506) 및/또는 보조 메모리(508)에 저장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510)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실행시 컴퓨터 시스템(500)이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컴퓨터 프로그램은 실행시 프로세서(502)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방법과 같은 본 발명의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시스템(500)의 컨트롤러를 나타낼 수 있다. 본 개시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되는 경우,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저장되고 착탈식 저장 드라이브, 즉 통신 인터페이스(510)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컴퓨터 시스템(500)에 로드될 수 있다.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은 각각의 방법이 수행되도록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과 협력하는(또는 협력할 수 있는) 전자적으로 판독 가능한 제어 신호가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저장 매체, 예를 들어 클라우드 스토리지, 플로피 디스크, DVD, Blue-Ray, CD, ROM, PROM, EPROM, EEPROM 또는 FLASH 메모리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실시 예는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과 협력할 수 있는 전자적으로 판독 가능한 제어 신호를 갖는 데이터 캐리어를 포함하므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중 하나가 수행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해 작동한다. 프로그램 코드는 예를 들어 기계 판독 가능 캐리어에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는 기계 판독 가능 캐리어에 저장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 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의 추가 실시 예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데이터 캐리어(또는 디지털 저장 매체,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의 추가 실시 예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 시퀀스이다.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 시퀀스는 예를 들어 데이터 통신 연결을 통해,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해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 실시 예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거나 적응된 처리 수단, 예를 들어 컴퓨터,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논리 장치를 포함한다. 추가 실시 예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의 일부 또는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협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수행된다.
전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원리에 대한 예시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배열 및 세부 사항의 수정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의 설명에 의해 제시되는 특정 세부 사항이 아니라 계류중인 특허 청구항의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것이다.
약어의 목록
AOM 각도 궤도 운동량
CIR 채널 임펄스 응답
CSI-RS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
DL 다운링크
FR2 주파수 범위 2
MIMO 다중 입력 다중 출력
MMSE 최소 평균 제곱 오류
MPC 다중 경로 구성요소
MU 다중 사용자
MUX 다중화
OFDM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QAM 직교 진폭 변조
QPSK 직교 위상 편이 키잉
Rx 수신기
SINR 신호 대 잡음 비
SRS 사운딩 기준 신호
SU 단일 사용자
TR 시간 반전
Tx 송신기
UE 사용자 장치
UL 업링크
w.r.t. 에 대한
참조 문헌
[CE10] A. Chopra 및 B.L.Evans, "채널 단축을 위한 희소 필터 설계", 음향, 음성 및 신호 처리에 관한 IEEE 국제 회의,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2010년 3월
[DHCG13] Dubois, T.; Helard, M.; Crussiere, M 및 Germond, C., "MISO-OFDM 시스템을 위한 시간 역전 프리코딩 기술의 성능", 무선 통신 및 네트워킹에 관한 EURASIP 저널, Nature Publishing Group, 2013
[EKPP10] 엘살라비, H.; Kyritsi, P.; Paulraj, A.및 Papanicolaou, G., "무선 통신에서 시공간 초점을 위한 시간 반전 프리코딩에 대한 실험적 조사", 계측 및 측정에 대한 IEEE 트랜잭션, 59, 1537-1543
[FTY12] Fouda, A.E.; Teixeira, F. L. 및 Yavuz, M. E., "MISO 및 MIMO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시간 반전 기술" Radio Science, vol. 47
[HL17] Han, F. 및 Liu, K. J. R., "병렬 간섭 제거 기능이 있는 다중 사용자 시간 역전 분할 다중 액세스 업링크 시스템", Google Patents, 2017
[HYW+11] Han. F.; Y.; Wang, B.; Wu, Y. 및 Liu, K. J. R., "다중 경로 채널의 시간 역전 분할 다중 액세스", IEEE 글로벌 통신 컨퍼런스 - GLOBECOM, 2011
[Lo99] Lo, T., "최대 비율 전송", 통신에 대한 IEEE 트랜잭션, 47, 1458-1461
[MHML15] Maaz, M.; Helard. M.; Mary, .P 및 Liu, M., "MISO-OFDM 시스템에서 시간 역전 기반 프리코딩 방식의 성능 분석", IEEE 81st Vehicular Technology Conference(VTC Spring), 2015, 1-6
[MYR96] P. J. W. Melsa, R. C. Younce 및 C. E. Rohrs, “이산 멀티톤 트랜시버를 위한 임펄스 응답 단축,”통신에 관한 IEEE 트랜잭션 vol. 44 , no. 12, pp. 1662-1672, 1996년 12월.
[TH15] Tran-Ha, V. & Hong, E.-K., "상관 채널을 통한 SIMO 시스템을 위한 고급 시간 역전 프리코딩", 2015
[WWH+11] Wang. B.; Wu, Y.; Han. F.; Yang, Y. 및 Liu, K. J. R., "녹색 무선 통신: 시간 역전 패러다임", 통신의 선택 영역에 대한 IEEE 저널, vol. 29, p. 1698-1710

Claims (43)

  1. 장치(302)에 있어서,
    신호를 수신기에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인터페이스(308);
    전송될 제 1 데이터 신호 및 전송될 제 2 데이터 신호를 획득하고;
    제 1 프리코딩된 신호(3221)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장치와 상기 수신기 사이의 제 1 경로 세트에 따라 상기 제 1 데이터 신호의 제 1 다중경로 프리코딩을 수행하고;
    제 2 프리코딩된 신호(3222)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장치와 상기 수신기 사이의 제 2 경로 세트에 따라 상기 제 2 데이터 신호의 제 2 다중경로 프리코딩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프리코더 유닛(312)
    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코더 유닛은 상기 제 2 프리코딩된 신호(3222)가 상기 수신기에서 상기 제 1 프리코딩된 신호(3221)에 대한 지연/도플러 도메인의 오프셋을 포함하도록 상기 제 1 프리코딩된 신호(3221) 및 상기 제 2 프리코딩된 신호(3222)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장치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308)의 동일한 송신 방사 특성을 갖는 상기 제 1 프리코딩된 신호(3221) 및 상기 제 2 프리코딩된 신호(3222)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은 상기 시간 도메인에서의 지연 및 상기 도플러 영역에서의 주파수 편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송신 방사 특성을 갖는 단일 빔을 사용하여 상기 수신기로의 상기 신호의 다중빔 송신을 에뮬레이트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일 빔은 상기 제 1 프리코딩된 신호(3221) 및 제 2 프리코딩된 신호(3222)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단일 빔은 개별 빔 또는 빔의 중첩인, 장치.
  4. 선행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코더 유닛은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기로의 신호의 다중경로 전파에 관한 채널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다중경로 전파로부터 상기 제 1 경로 및 상기 제 2 경로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5. 선행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는 빔포밍 기술을 사용하여 빔 세트 중 적어도 하나의 빔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제 1 프리코딩된 신호(3221) 및 상기 제 2 프리코딩된 신호(3222)를 전송하기 위해 단일 빔 또는 상기 빔 세트의 서브세트를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6. 선행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코딩 유닛(312)은 상기 제 1 데이터 신호 또는 그로부터 유도된 신호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 1 프리코더(3181)를 갖는 제 1 브랜치(3361)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브랜치(3361)는 상기 제 1 프리코더(3181)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프리코딩된 신호(3221)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리코딩 유닛은 제 2 프리코더(3182) 및 상기 지연/도플러 도메인의 상기 오프셋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오프셋 필터(326)를 갖는 제 2 브랜치(3362)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브랜치(3362)는 제 2 데이터 신호 또는 그로부터 유도된 신호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브랜치는 상기 제 2 프리코더(3182) 및 상기 오프셋 필터(326)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프리코딩된 신호(3222)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7. 선행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코딩 유닛(312)은 상기 장치와 상기 수신기 사이의 최대 채널 지연인 상기 제 1 프리코딩된 신호(3221)에 대한 상기 지연 도메인의 지연(Δt)으로서 상기 오프셋을 갖는 상기 제 2 프리코딩된 신호(3222)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상기 프리코딩 유닛(312)은 상기 장치가 작동하는 무선 네트워크의 최대 도플러 스프레드인 상기 제 1 프리코딩된 신호(3221)에 대해 상기 도플러 도메인의 주파수 편이로서 상기 오프셋을 갖는 상기 제 2 프리코딩된 신호(3222)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코딩 유닛(312)은 최대 상기 제 1 또는 제 2 프리코딩된 신호(3221; 3222)의 심볼의 지속기간인 상기 제 1 프리코딩된 신호(3221)에 대한 상기 지연 도메인의 지연(Δt)으로서 상기 오프셋을 갖는 상기 제 2 프리코딩된 신호(3222)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9. 선행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코딩 유닛(312)은 상기 수신기에서 최대 심볼 샘플링 속도인 상기 제 1 프리코딩된 신호(3221)에 대한 상기 지연 도메인의 지연(Δt)으로서 오프셋을 갖는 상기 제 2 프리코딩된 신호(3222)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0. 선행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코딩 유닛(312)은, 상기 제 1 프리코딩된 신호(3221)에 대한 지연(Δt)이 허용 범위 내에서:
    심볼 기간의 대수적 분수
    보호 구간 길이의 대수적 분수
    상기 장치와 상기 수신기 사이의 채널 임펄스 응답의 관련 또는 유효 길이의 대수적 분수 또는 배수; 및
    상기 프리코더 유닛의 샘플링 속도의 배수
    중 하나에 해당함에 따라 상기 오프셋을 갖는 상기 제 2 프리코딩된 신호(3222)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상기 프리코딩 유닛(312)은, 상기 제 1 프리코딩된 신호(3221)에 대한 상기 도플러 도메인의 주파수 편이가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상기 관련 도플러 스펙트럼에서 유효 도플러 편이의 대수적 분수
    관련 채널 임펄스 응답 길이의 대수적 분수
    상기 장치가 동작하는 무선 네트워크의 부반송파 간격의 대수적 분수 또는 배수; 다른
    상기 장치가 작동하는 무선 네트워크의 시스템 대역폭의 대수적 분수
    중 하나에 해당함에 따라 상기 오프셋을 갖는 상기 제 2 프리코딩된 신호(3222)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1. 선행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시간 도메인의 중첩으로서 상기 제 1 프리코딩된 신호(3221) 및 상기 제 2 프리코딩된 신호(3222)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2. 선행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코더 유닛은 상기 제 1 경로 세트의 다중경로 성분에 매칭된 제 1 필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프리코딩된 신호(3221)를 획득하고; 상기 제 2 경로 세트의 다중경로 성분에 매칭된 제 2 필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프리코딩된 신호(3222)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방향으로 이전에 전송된 파일럿/기준 심볼;
    상기 무선 채널의 표현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수신기의 보고; 및
    상기 채널 임펄스 응답 정보에 대한 사전 지식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경로 세트의 상기 다중경로 성분 및 상기 제 2 경로 세트의 상기 다중경로 성분을 표시하는 채널 임펄스 응답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수신기(304)의 보고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채널 임펄스 응답 및 상기 제 2 채널 임펄스 응답을 나타내는 채널 임펄스 응답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고는 무손실 또는 손실 압축에 의해 압축되는, 장치.
  15. 선행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코딩 유닛은 상기 제 1 데이터 신호 및 상기 제 2 데이터 신호를 프리코딩하기 위한 윈도잉을 적용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6. 선행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코딩 유닛은 상기 수신기에서 상기 제 1 프리코딩된 신호(3221) 및 상기 제 2 프리코딩된 신호(3222)에 대한 시간 오프셋을 포함하도록 제3 프리코딩된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장치와 상기 수신기 사이의 적어도 제3 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를 프리코딩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7. 선행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 1 프리코딩된 신호(3221)에 기초하는 제 1 성분 및 상기 제 2 프리코딩된 신호(3222)에 기초하는 제 2 성분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리코딩 유닛(312)은 상기 제 1 성분 및 상기 제 2 성분은 상기 수신기에서 서로에 대한 상기 지연/도플러 도메인의 오프셋을 포함하도록 상기 제 1 프리코딩된 신호(3221) 및 상기 제 2 프리코딩된 신호(3222)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8. 선행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의 동일한 송신 방사 특성을 갖는 상기 제 1 프리코딩된 신호(3221) 및 상기 제 2 프리코딩된 신호(3222)를 송신하도록 장치가 구성된 것을 나타내는 능력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장치의 위치, 시나리오 및 이동성 클러스터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상기 능력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0. 선행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수신기가 상기 제 1 프리코딩된 신호(3221)와 상기 제 2 프리코딩된 신호(3222)의 조합을 디코딩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능력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장치는 상기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의 동일한 송신 방사 특성을 갖는 상기 제 1 프리코딩된 신호(3221) 및 상기 제 2 프리코딩된 신호(3222)를 송신하거나 하지 않도록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1. 선행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장치가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의 동일한 송신 방사 특성을 갖는 상기 제 1 프리코딩된 신호(3221) 및 상기 제 2 프리코딩된 신호(3222)를 송신하도록 요청된 것을 나타내는 요청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요청에 따라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2. 선행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장치(302)와 상기 수신기(304) 사이의 채널을 표시하는 채널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채널 정보는 채널 품질이 채널 품질 임계값 보다 큰 것을 표시함―; 상기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의 동일한 송신 방사 특성을 갖는 상기 제 1 프리코딩된 신호(3221) 및 상기 제 2 프리코딩된 신호(3222)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3. 선행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 1 프리코딩된 신호(3221)와 상기 제 2 프리코딩된 신호(3222)의 적어도 심볼 사이의 시간 지연을 나타내는 지연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4. 선행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다중 모드에서 상기 무선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단일 전송 안테나/안테나 어레이/유효 안테나/안테나 포트를 포함하는, 장치.
  25. 선행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정자로부터 수신된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기 측에서 타이밍 어드밴스 및/또는 주파수 수정에 대하여 신호의 전송을 벗어나도록 적응되어 상기 신호의 도착이 조정되거나 동기화된 스케줄에 대한 오프셋을 포함하도록 하는, 장치.
  26. 선행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프리코딩 유닛(312)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에 의해 지원되는 주어진 샘플링 속도에서 달성 가능한 신호 대역폭보다 더 낮은 유효 신호 대역폭을 갖는 전송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7. 송신기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 신호의 오프셋 심볼의 수를 나타내는 능력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장치(304)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인터페이스; 및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로 수신된 결합된 데이터 신호를 샘플링하여 상기 결합된 데이터 신호의 샘플링된 표현을 획득하고; 상기 샘플링된 표현에서 오프셋 심볼의 수를 식별하도록 구성된 디코더 유닛 - 상기 오프셋 심볼의 수는 상기 능력 정보를 기반으로 함 - ;
    을 포함하고,
    상기 디코더 유닛은 상기 결합된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적어도 제 1 데이터 스트림 및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획득하기 위해 오프셋 데이터 신호의 수를 분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신호는 지연/도플러 도메인에서 오프셋되는,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무선 신호의 송신기에 대한 채널 품질이 품질 임계값보다 높다는 것을 표시하는 품질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무선 신호의 송신기에 요청을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요청/명령은 상기 심볼의 여러 시간 지연 버전의 수로 상기 송신기에 의해 전송된 추가 신호의 심볼을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장치.
  29. 제 27 항 또는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결합된 데이터 신호를 샘플링하여 달성 가능한 신호 대역폭보다 낮은 신호 대역폭, 즉 나이퀴스트(Nyquist) 기준을 충족하는 데 필요한 것보다 더 높은 샘플링 속도로 전송된 신호를 해결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30. 무선 이동 통신 네트워크(300)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장치; 및
    상기 수신기
    를 포함하는, 무선 이동 통신망.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제 27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인, 무선 이동 통신망.
  32. 무선 이동 통신망에 있어서,
    적어도 제 1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 1 장치 및 제 2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 2 장치;
    상기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및
    상기 제 1 장치 및 상기 제 2 장치가 상기 수신기에서 서로에 대해 상기 지연/도플러 도메인의 오프셋을 가지고 도달하기 위해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제 1 장치 및 상기 제 2 장치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조정자
    를 포함하는, 무선 이동 통신망.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동일한 안테나 수신 특성을 갖는 상기 제 1 신호 및 상기 제 2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이동 통신망.
  34. 제 32 항 또는 제 33 항에 있어서, 신호를 전송하도록 적응된 복수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자는 이들의 신호의 상기 지연/도플러 도메인의 그룹별 오프셋과 관련하여 상기 복수의 장치를 그룹별로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이동 통신망.
  35. 제 32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자는 시간 및/또는 주파수 앵커에 대해 상기 제 1 장치 및 상기 제 2 장치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이동 통신망.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자는 적용될 상기 오프셋의 매개변수를 나타내는 목표 값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 1 장치 및/또는 상기 제 2 장치에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장치 및/또는 상기 제 2 장치는 상기 목표 값에 따라 동작하도록 적응되는, 무선 이동 통신망..
  37. 제 32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치 및/또는 상기 제 2 장치는 제 1항 내지 제 2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구현되는, 무선 이동 통신망.
  38.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조정자로부터 수신된 명령에 응답하여, 타이밍 어드밴스 및/또는 주파수 오프셋과 관련하여 신호의 전송을 벗어나도록 적응되어 상기 신호의 도착이 동기화된 스케줄에 대한 오프셋을 포함하도록 하는, 무선 이동 통신망.
  39.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송신될 제 1 데이터 신호 및 송신될 제 2 데이터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제 1 프리코딩된 신호(3221)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장치와 상기 수신기 사이의 제 1 경로 세트에 따라 상기 제 1 데이터 신호의 제 1 다중경로 프리코딩을 수행하는 단계;
    제 2 프리코딩된 신호(3222)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장치와 상기 수신기 사이의 제 2 경로 세트에 따라 상기 제 2 데이터 신호의 제 2 다중경로 프리코딩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 2 프리코딩된 신호(3222)가 상기 수신기에서 상기 제 1 프리코딩된 신호(3221)에 대한 상기 지연/도플러 도메인의 오프셋을 포함하도록 상기 제 1 프리코딩된 신호(3221) 및 상기 제 2 프리코딩된 신호(3222)를 생성하는 단계; 및
    무선 인터페이스의 동일한 송신 방사 특성으로 상기 제 1 프리코딩된 신호(3221) 및 상기 제 2 프리코딩된 신호(3222)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40.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송신기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 신호의 오프셋 심볼의 수를 나타내는 능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심볼은 지연/도플러 도메인의 오프셋임 - ;
    무선으로 결합된 수신 데이터 신호를 샘플링하여 상기 결합된 데이터 신호의 샘플링된 표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샘플링된 표현에서 오프셋 심볼의 수를 식별하는 단계 - 상기 오프셋 데이터 신호의 수는 상기 능력 정보를 기반으로 함 - ; 및
    상기 결합된 심볼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적어도 제 1 데이터 스트림 및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획득하기 위해 오프셋 데이터 신호의 수를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41. 무선 이동 통신망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 1 장치 및 제 2 장치가 수신기에서 서로에 대해 지연/도플러 도메인에서 오프셋을 가지고 도달하도록 그들의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제 1 장치 및 상기 제 2 장치를 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신호를 상기 제 1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제 2 신호를 상기 제 2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기로 상기 제 1 신호 및 상기 제 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42.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 타이밍 어드밴스 및/또는 주파수 오프셋에 대한 신호의 전송을 벗어나도록 지시하여 상기 신호의 도달이 동기화된 스케줄에 대한 오프셋을 포함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43. 컴퓨터에서 실행할 때, 제 39 항 내지 제 4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디지털 저장 매체.
KR1020227015843A 2019-10-11 2020-10-08 광대역 채널에서 단일 송신기에 의한 공간 다중화 KR202200828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202795.1 2019-10-11
EP19202795 2019-10-11
PCT/EP2020/078245 WO2021074000A1 (en) 2019-10-11 2020-10-08 Spatial multiplexing with single transmitter on wideband channe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870A true KR20220082870A (ko) 2022-06-17

Family

ID=68280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5843A KR20220082870A (ko) 2019-10-11 2020-10-08 광대역 채널에서 단일 송신기에 의한 공간 다중화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231738A1 (ko)
EP (1) EP4042586A1 (ko)
KR (1) KR20220082870A (ko)
CN (1) CN115004570A (ko)
WO (1) WO20210740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77566B2 (en) * 2022-01-31 2023-10-03 Qualcomm Incorporated Orthogonal time frequency space precoding of sounding reference signal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25135B2 (en) * 2001-04-26 2019-09-24 Genghiscomm Holdings, LLC Coordinated multipoint systems
US9559874B2 (en) * 2013-08-16 2017-01-31 Origin Wireless, Inc. Multiuser time-reversal division multiple access uplink system with parallel interference cancellation
KR102364258B1 (ko) * 2017-03-23 2022-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8203461A1 (ja) * 2017-05-03 2018-11-08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JP2018191272A (ja) * 2017-05-03 2018-11-29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EP3474459A1 (en) * 2017-10-18 2019-04-24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Receiver, transmitter, system and method employing space-delay precoding
US11165540B2 (en) * 2018-01-08 2021-11-02 Csub Auxiliary For Sponsored Programs Administration Space-time coded mass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wireless systems and methods of making using the same
WO2019170215A1 (en) * 2018-03-05 2019-09-12 Huawei Technologies Co., Ltd. Devic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interference mitig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004570A (zh) 2022-09-02
WO2021074000A1 (en) 2021-04-22
EP4042586A1 (en) 2022-08-17
US20220231738A1 (en) 2022-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703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도플러 코드북-기반 프리코딩 및 csi 보고
JP7246414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のためのドップラー遅延コードブックベースのプリコーディングおよびcsiレポート
US11742909B2 (en) Reciprocal geometric precoding
US20240048317A1 (e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channel estimation
US20220224464A1 (en) Fractional cooperative multipoint network operation
US20220311489A1 (en) Spectral sharing wireless systems
JP6577057B2 (ja) 通信コントローラを動作させるための方法及び通信コントローラ
US20220190879A1 (en) Massive cooperative multipoint network operation
EP3832901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sub-space selection
US9125074B2 (en)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and multi-user MIMO
CN111344999A (zh) 关于频率选择性srs传输和pusch预编码的系统和方法
AU2021316062B2 (en) Localization and auto-calibration in a wireless network
WO2022027625A1 (en) Frequency domain precoding for fdd reciprocity
US20220231738A1 (en) Spatial multiplexing with single transmitter on wideband channels
AU2021293186A1 (en) Spectral sharing wireless systems
CN112753132B (zh) 用于无线通信的波束报告的波束对应指示和位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