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2865A -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홀더 - Google Patents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2865A
KR20220082865A KR1020227015646A KR20227015646A KR20220082865A KR 20220082865 A KR20220082865 A KR 20220082865A KR 1020227015646 A KR1020227015646 A KR 1020227015646A KR 20227015646 A KR20227015646 A KR 20227015646A KR 20220082865 A KR20220082865 A KR 20220082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generating device
holder
retainer
dock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5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은 최
Original Assignee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220082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28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9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 A24F40/95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cas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7/00Smokers' requisit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70Manufacture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Nozzles (AREA)

Abstract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홀더(201). 홀더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220)와 체결하도록 구성된 도킹 배열을 갖는다. 도킹 배열은, 제1 단부(206) 및 제1 단부로부터 이격되고 그에 고정된, 대향하는 제2 단부(207) 사이에 정의된 도킹 공간(205)을 포함한다. 도킹 공간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 방향 치수를 수용한다. 홀더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단부와 체결하기 위한 리테이너(280)를 포함하여 도킹 공간 내에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한다. 리테이너는 제1 단부에 대해 고정된 제1 표면(282), 및 제1 단부로부터 도킹 공간 내로 돌출하는 제2 표면(284)을 갖는다. 제2 표면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단부와 체결할 시 제1 단부에 대해 편향 가능하되, 리테이너의 제2 표면은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탄성 또는 탄성중합체 재료를 포함하거나 그로부터 형성되며,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탄성 또는 탄성중합체 재료의 탄성 변형은, 리테이너의 제2 표면이 제1 단부에 대해 편향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홀더
본 발명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 홀더는 리테이너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형성 기재 및 분무기를 포함하며, 분무기는 사용자가 흡입하기 위한 에어로졸을 형성하기 위해 에어로졸 형성 기재 내의 휘발성 화합물을 분무하도록 작동 가능하다. 통상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또한 분무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포함한다. 분무기는 전기 작동식 가열 수단, 예를 들어 전기 히터일 수 있다.
몇몇 시스템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 예를 들어 균질화 담배를 포함한 기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장치는, 통상적으로 물품이 장치 내에 수용될 때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도록 배열되는 분무기를 포함한다. 물품은 종래의 담배와 유사한 로드 형태로 된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함께 감싸져 있는 필터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시스템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분무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액체 또는 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함유하는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시스템에서, 장치는 분무기 및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 둘 모두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카트리지는 종종 카토마이저로 지칭된다. 카토마이저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유형의 분무기는,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침지된 세장형 심지 둘레에 권선된 히터 와이어 코일을 포함한다.
일부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사용 중이지 않은 경우에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홀더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홀더는 또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대한 어느 정도의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헐더는 또한,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데이터-로깅하고 재충진하는 것과 같은 추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통상적으로, 제2 및 제3 폭 치수보다 크기가 큰 제1, 길이 방향 치수를 갖는, 높은 종횡비를 갖는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홀더는 종종 사용자가 장치를 삽입할 필요가 있는 좁은 개구를 정의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다. 좁은 개구는, 통상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폭과 유사한 폭을 가진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이들 케이스에 삽입하는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좁은 개구와 밀접하게 정렬하여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홀더에 삽입한 다음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홀더 내로 길이 방향으로 미끄러지게 할 것이 요구된다. 이는 특히 낮은 조명에 있거나 사용자가 이동 중인 경우에 사용자에게 곤란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일부 홀더는 홀더에 의해 유지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체결하기 위한 래칭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WO2019037881A1은 래치 공동 내의 스프링 요소 상에 장착된 작동 가능한 래칭 부재를 포함한 래칭 메커니즘을 설명한다. 스프링 요소는 공동 내에서 래칭 부재를 철회하기 위해 편향된다. 슬라이딩 버튼은 스프링 요소와 체결하도록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수동으로 작동 가능하고 개구를 통해 래칭 부재를 압박하여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래칭한다. 슬라이딩 버튼을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다시 이동시키는 것은 래칭 부재로 하여금 래칭 공동 내로 다시 철회시킨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단단히 유지할 수 있는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홀더 내에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사용자 조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단단하게 유지할 수 있는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한 손으로 작동할 수 있는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원에서 아래 사용되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상호 작용해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지칭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또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여 기재로부터 휘발성 화합물의 방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형성하는 전기 히터와 같은 분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아래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는 휘발성 화합물을 방출할 수 있는 기재를 지칭할 수 있다. 휘발성 화합물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거나 연소시킴으로써 방출될 수 있다. 가열이나 연소의 대안으로서, 일부 경우에 휘발성 화합물들은 화학 반응에 의하거나 초음파와 같은 기계적 자극에 의해 방출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고체 또는 액체일 수 있거나, 고체 성분과 액체 성분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아래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물품을 지칭한다. 일부 예시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가열 즉시 휘발성 화합물을 방출할 수 있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 휘발성 화합물은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다.
본원에서 아래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에어로졸"은 가스에서 고체 입자 또는 액체 액적 또는 고체 입자 및 액체 액적의 조합의 분산액을 지칭한다. 에어로졸은 가시적일 수도 있고 또는 비가시적일 수도 있다. 에어로졸은, 실온에서 통상 액체 또는 고체인 물질들의 증기, 및 고체 입자들 또는 액적들 또는 고체 입자들과 액적들의 결합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원에서 아래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또는 물품)를 참조하여, 용어 "길이 방향"은 장치(또는 물품)의 하류, 근위 또는 마우스 단부와 장치(또는 물품)의 대향하는 상류 또는 원위 단부 사이의 방향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본원에서 아래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 또는 물품을 참조하여, 용어 "가로 방향"은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본원에서 아래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또는 물품)를 참조하여, 용어 "길이"는 장치(또는 물품)의 원위 또는 상류 단부와 장치(또는 물품)의 근위 또는 하류 단부 사이의 최대 길이 방향 치수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본원에서 아래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직경'은 구성 요소,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최대 가로 방향 치수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본원에서 아래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노출된'은 특징부 또는 구성 요소의 일부가 외부 환경에 개방되고 둘러싸거나 덮이지 않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본 개시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홀더가 제공된다. 홀더는 도킹 배열을 가질 수 있다. 도킹 배열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체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킹 배열은 도킹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도킹 공간은, 제1 단부와 대향하는 제2 단부 사이에 정의될 수 있다. 제2 단부는 제1 단부로부터 이격되고 제1 단부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도킹 공간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 방향 치수를 수용하기에 적합하거나, 이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홀더는 리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리테이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단부와 체결해서 도킹 공간 내에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리테이너는 제1 단부에 대해 고정된 제1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리테이너는 제1 단부로부터 멀리 돌출하는 제2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표면은 도킹 공간 내로 돌출할 수 있다. 제2 표면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단부와 체결할 시 제1 단부에 대해 편향될 수 있다.
일례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홀더가 제공된다. 홀더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체결하도록 구성되는 도킹 배열을 가지며, 도킹 배열은, 제1 단부와 제1 단부로부터 이격되고 제1 단부에 대해 고정된 대향하는 제2 단부 사이에 정의된 도킹 공간을 포함한다. 도킹 공간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 방향 치수를 수용하기에 적합하거나, 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홀더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단부와 체결해서 도킹 공간 내에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기에 적합하다. 리테이너는 제1 단부에 대해 고정된 제1 표면, 및 제1 단부로부터 도킹 공간 내로 멀리 돌출하는 제2 표면을 가지며, 제2 표면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단부와 체결할 시 제1 단부에 대해 편향 가능하다.
유리하게는, 홀더는 사용자로 하여금 신속하고 쉽게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홀더 내에 삽입하고, 홀더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회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사용자는 한 손으로 그리고 한 번에 홀더 내에서 장치를 단단히 위치시킬 수 있다. 유리하게는, 리테이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단부와 체결할 시 제1 단부에 대해 편향 가능하다.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버튼을 누를 필요 없이 또는 달리 다른 고정 수단을 작동시키지 않고도 홀더가 장치를 단단히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리테이너는 탄성적으로 편향 가능하거나 변형 가능한 탄성 또는 탄성중합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리테이너는 비-금속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리테이너는 전체적으로 비-금속성일 수 있다. 리테이너는 탄성적으로 편향가능하거나 변형 가능한 중합체와 같은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테이너는 탄성 중합체, 예를 들어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 예를 들어 니트릴, 또는 실리콘, 또는 부타디엔, 또는 부틸 중합체로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리테이너는 발포체 또는 발포체 유사 재료, 예컨대 탄성적으로 편향 가능하거나 변형 가능한 발포체 또는 발포체 유사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발포체 또는 발포체 유사 재료는 탄성 중합체, 예를 들어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 예를 들어 니트릴, 또는 실리콘, 또는 부타디엔, 또는 부틸 중합체로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리테이너는 니트릴 고무와 같은 니트릴을 포함하거나 이로 형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테이너의 제1 표면 및/또는 리테이너의 제2 표면은 니트릴 고무와 같은 니트릴 고무를 포함하거나 이로 형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는 장치가 도킹 공간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리테이너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접촉할 시 편향되거나 변형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탄성 편향 또는 변형은, 유리하게는 홀더에 수용된 장치에 힘을 가하도록 작용할 수도 있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힘은 홀더가 장치를 홀더의 도킹 공간 내에 단단히 고정하게 할 수 있다.
리테이너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탄성 또는 탄성중합체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리테이너의 제1 표면은,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탄성 또는 탄성중합체 재료의 제1 표면일 수 있다. 리테이너의 제2 표면은,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탄성 또는 탄성중합체 재료의 제2 표면일 수 있다.
유리하게는,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또는 탄성중합체 재료의 탄성 변형은, 리테이너의 제2 표면이 제1 단부에 대해 편향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리테이너의 제2 표면은 힘, 예를 들어 리테이너와 체결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단부로부터의 힘에 반응하여,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홀더에 장치를 수용하려고 시도할 시, 힘이 리테이너에 인가될 수 있다. 이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단부가 리테이너와 체결할 시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힘에 반응하여, 제2 표면, 또는 제2 표면 상의 지점은 홀더의 제1 단부에 대해, 또는 리테이너의 제1 표면에 대해 적어도 1 또는 2 mm만큼 편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테이너는 도킹 공간에 고정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힘을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힘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를 향해 압박하도록 작용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는 홀더가 장치를 홀더의 도킹 공간 내에 단단히 고정하게 할 수 있다.
리테이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단부에 정의된 개구 또는 오목부와 체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구 또는 오목부는 림 또는 립에 의해 경계를 이룰 수 있고, 리테이너는 림 또는 립과 체결한다.
유리하게는, 이는 장치의 개구 또는 오목부에 진입하는 것으로부터 먼지 또는 부스러기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림 또는 립은 개구 또는 오목부에 경계를 이루는 연속적인 림 또는 립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도킹 공간 내에 고정될 경우에, 밀봉부는 리테이너의 제2 표면과 림 또는 립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개구 또는 오목부를 밀봉할 수 있다. 리테이너의 제2 표면은 개구 또는 오목부에 경계를 이루는 연속적인 림 또는 립과의 연속적인 원주 방향의 접촉 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개구 또는 오목부를 밀봉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밀봉부는 장치의 개구 또는 오목부에 진입하는 것으로부터 먼지 또는 부스러기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개구 또는 오목부를 통해 접근 가능한 챔버 내에 위치한 히터 요소를 갖는 장치에 대해 특히 중요할 수 있다. 밀봉부는 장치의 개구 또는 오목부에 진입하는 것으로부터 먼지 또는 부스러기의 양을 실질적으로 제로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밀봉부는 먼지 또는 부스러기가 장치의 개구 또는 오목부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리테이너의 제2 표면은 실질적으로 반구 형상일 수 있다. 실질적으로 반구 형상의 일부는, 장치가 도킹 공간에 수용될 경우에 장치의 개구 또는 오목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실질적으로 반구 형상은, 사용자가 장치를 도킹 공간 내에 삽입할 수 있도록, 충분한 편향 또는 변형을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이러한 형상이 장치의 개구 또는 오목부의 형상과 일치하는 경우에 도킹 공간에 장치를 단단히 고정하기에 적합할 수도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세장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일 수 있다. 세장형 장치는 길이 방향 치수를 정의할 수 있다. 도킹 공간은 세장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 방향 치수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킹 공간에서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수용 또는 고정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 방향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도킹 공간의 상대 이동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유리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이동을 사용함으로써, 장치가 도킹 공간 내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될 경우에,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수용하는 홀더에서보다 도킹 공간 내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수용하기 위해 더 적은 거리를 이동할 필요가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 방향 치수에 수직인 방향으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도킹 공간의 상대적인 이동은, 리테이너의 탄성 변형 또는 편향을 야기할 수 있다. 리테이너는 변형되지 않은 형상을 재개하도록 작용할 수 있다. 이는, 리테이너의 탄성으로 인한 것일 수 있다. 이는, 도킹 공간에 수용된 장치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는 홀더가 장치를 홀더의 도킹 공간 내에 단단히 고정하게 할 수 있다.
리테이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도킹 공간에 고정되지 않을 경우에 제1 상태, 예를 들어 변형되지 않은 제1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리테이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도킹 공간에 고정될 경우에 제2 상태, 예를 들어 변형된 제2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리테이너는 변형되지 않은 형상을 재개하도록 작용할 수 있다. 이는, 리테이너의 탄성으로 인한 것일 수 있다. 이는, 도킹 공간에 수용된 장치에 힘을 가할 수 있다. 리테이너는, 도킹 공간에 수용된 장치를 제1 단부로부터 이격되게, 및/또는 제2 단부를 향해 압박을 가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는 홀더가 장치를 홀더의 도킹 공간 내에 단단히 고정하게 할 수 있다.
리테이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도킹 공간에 고정되지 않을 경우에 제1 상태, 예를 들어 변형되지 않은 제1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리테이너는, 장치가 도킹 공간에 삽입될 시 변형되거나 편향될 수 있다. 그 다음, 리테이너는 장치의 개구 또는 오목부에서 제1 상태를 재개할 수 있다.
도킹 공간의 제2 단부, 또는 도킹 공간의 제2 단부에 또는 이를 향해 위치한 구성 요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체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은 장치를 도킹 공간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킹 공간의 제2 단부, 또는 도킹 공간의 제2 단부에 또는 이를 향해 위치한 구성 요소는, 리테이너와 체결하도록 구성된 단부에 대향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단부와 체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테이너와 도킹 공간의 제2 단부, 또는 도킹 공간의 제2 단부에 또는 이를 향해 위치한 구성 요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체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테이너는 장치의 제1 단부와 체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도킹 공간의 제2 단부 또는 도킹 공간의 제2 단부에 또는 이를 향해 위치된 구성 요소는, 장치의 제2 단부와 체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가 세장형 장치인 경우, 장치의 길이는 장치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걸칠 수 있다.
홀더는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의 제2 단부는,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예를 들어 개구 또는 오목부를 갖는 단부에 대향하는 단부에서와 같이, 장치의 단부에 대응하는 전기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접촉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도킹 공간에 고정될 경우에 전원으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대응하는 전기 접촉부와 체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는 홀더가 도킹 공간에 수용된 장치를 충전하거나 재충전할 수 있게 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도킹 공간 내에 고정될 경우에, 리테이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홀더의 전기 접촉부를 향해 압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테이너가 변형되거나 편향된 형상일 경우에 리테이너는 변형되지 않거나 편향되지 않은 형상을 재개하도록 작용할 수 있다. 이는, 힘을 장치에 작용시킬 수 있다. 이는, 리테이너의 탄성으로 인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힘은 장치를 홀더의 제1 단부로부터 멀리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힘은 장치를 홀더의 제2 단부를 향해 가압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는, 홀더의 전기 접촉부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대응하는 전기 접촉부 사이에 안전한 전기적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 연장된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도킹 공간에 수용될 경우에, 몸체의 제1 측 부분은 홀더와 마주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도킹 공간에 수용될 경우에, 몸체의 제2 측 부분은 홀더로부터 등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도킹 공간에 수용될 경우에, 제2 면은 노출될 수 있다.
리테이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단부와 체결하도록 구성되어 장치의 단부의 상대적인 배향에 상관없이 도킹 공간 내에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테이너는 실질적으로 반구 형상일 수 있고, 장치는 그의 근위 단부에 실질적으로 원형인 개구 또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근위 단부의 배향에 관계없이, 장치의 근위 단부는 리테이너와 체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홀더는 일차 전원을 고정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한다. 일차 전원은, 예를 들어 홀더의 하우징에 의해 또는 그 내부에 고정된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도킹 공간에 의해 수용될 경우에 홀더와 에어로졸 발생 장치 사이의 체결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이차 전원이 홀더의 일차 전원에 의해 충전되게 한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 상에 위치한 전기 접촉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도킹 구조와 체결할 경우에 홀더 상에 위치한 대응 전기 접촉부와 체결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부터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세장형일 수 있고 실질적으로 담배 또는 시가와 같이 형상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장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제2 및 제3 폭 치수 보다 크기가 더 큰 제1 길이 방향 또는 길이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제2 및 제3 치수는 폭과 두께로 표시될 수 있지만, 제2 및 제3 치수는 선택적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따라서 둘 모두가 폭으로 지칭될 수 있다. 세장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다. 길이 방향 치수는 길이 방향 축을 정의한다. 폭 치수는 길이 방향 축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세장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가지며,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 정의된 세장형 몸체를 갖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몸체는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킹 공간은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로 연장되는 후방 부분에 의해 추가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도킹 공간은 제1 단부, 제2 단부, 및 후방 부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후방 부분은 후방 벽일 수 있다. 후방 부분은 홀더의 하우징의 일부일 수 있다. 후방 부분은 홀더의 하우징의 외부 벽의 일부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 방향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도킹 공간 내로의 이동, 즉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도킹 배열과 쉽게 체결하고 분리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 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도킹 공간 내로 이동함으로써 도킹 배열과 쉽게 체결하고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근위 단부 또는 원위 단부는 도킹 공간 내의 홀더와 체결하여 삽입될 수 있다. 그 다음, 대향 단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홀더와 완전히 체결하도록 도킹 공간 내로 피봇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원위 단부는 도킹 공간 내의 홀더와 체결하여 삽입될 수 있다. 그 다음, 근위 단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홀더와 완전히 체결하도록 도킹 공간 내로 피봇될 수 있다. 이러한 피봇팅 이동은 리테이너의 편향 또는 변형을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피봇팅 이동은 장치의 단부로 하여금 홀더의 제1 단부에 대해 리테이너의 제2 표면의 편향 또는 변형을 야기시킬 수 있다. 일단 장치가 충분한 양만큼 피봇되었다면, 리테이너의 일부는 장치의 근위 단부에 위치한 개구 또는 오목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리테이너의 일부는 또한 개구 또는 오목부 내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는 개구 또는 오목부 위에 위치할 수 있거나, 개구 또는 오목부에 인접할 수 있다. 장치가 도킹 공간 내에 수용될 경우에, 리테이너는 장치의 근위 단부와 체결되어 도킹 공간 내에 장치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수직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이동을 사용함으로써, 홀더 내로 길이 방향으로 삽입될 경우에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수용하는 전형적인 시스템의 경우보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홀더와 체결하도록 이동하는 데 더 적은 거리가 필요하다. 홀더의 도킹 공간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 방향 치수를 수용한다. 도킹 공간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 방향 치수를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킹 공간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가로 방향 치수만을 수용하도록 치수 설정된 경우보다 도킹 공간 내에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위치시키는 것이 더 쉬울 수 있다.
도킹 공간은 홀더의 하우징 내에 개방 홈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킹 공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측벽, 제2 측벽, 후방 벽, 및 제1 및 제2 단부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개방 홈은 홀더의 하우징에 의해 정의된 세장형 오목부 또는 슬롯일 수 있다. 세장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어떤 부분도 홀더의 주변 경계를 지나 연장되지 않도록 개방 홈 내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세장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개방 홈 내에 부분적으로만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노출된 부분으로 명명될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부분은 홀더의 주변 경계를 넘어서 연장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홀더와 체결할 경우에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일부분이 노출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홀더와 체결될 경우에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몸체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시스템의 외부 표면을 형성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노출된 부분을 파지하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홀더로부터 분리하는 것만을 필요로 하는 사용자에 의해 쉽게 회수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는 리테이너의 적어도 일부를 변형시키거나 편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분리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단부로 하여금 리테이너로부터 분리될 시 리테이너의 제2 표면이 홀더의 제1 단부에 대해 편향시키거나 변형시킬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노출된 부분은 홀더의 하우징의 형상에 맞추거나 대응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홀더는 형상화 또는 윤곽이 있는 하우징을 가질 수 있고, 에어로졸 발생은 또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홀더와 체결되는 경우에 홀더 하우징의 형상 또는 윤곽에 맞도록 구성되는 하우징 또는 외부 표면을 갖는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홀더 내의 개방 홈을 폐쇄하거나 덮도록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개방 홈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표시기, 접촉부 또는 버튼과 같은 홀더 특징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홀더와 체결하는 경우에 외부 환경으로부터 차폐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표시기, 접촉부 또는 버튼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홀더와 체결될 경우에, 예를 들어 이송 중에 보호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홀더의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 예를 들어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및 제2 돌출부에 위치한다. 돌출부는 러그라고 지칭될 수 있다. 따라서, 도킹 공간의 길이 방향 치수는 제1 및 제2 돌출부 상에 위치한 대향하는 제1 및 제2 단부 사이에 정의될 수 있다. 도킹 공간은 임의의 다른 치수로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도킹 공간과 체결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단지, 제1 및 제2 단부와 접촉할 것이고, 체결되는 경우에 돌출부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것이다. 대안적으로, 도킹 공간은 제1 및 제2 돌출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후방 벽에 의해 더 제한될 수 있다. 도킹 공간은 제1 및 제2 돌출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측벽에 의해 여전히 더 제한될 수 있다.
도킹 공간은 선택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 방향 치수에 실질적인 수직 방향으로 도킹 공간 내로 압박되거나 이동할 경우에,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홀더와 체결되는 경우에,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 방향 치수는 홀더의 측면 또는 에지에 평행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원위 단부에 또는 그 근처에, 또는 근위 단부에 또는 그 근처에 위치한 충전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고, 홀더는 도킹 배열의 제1 단부에 또는 그 근처에, 또는 도킹 배열의 제2 단부에 또는 그 근처에 위치한 대응 충전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충전 접촉부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단부 면에서,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원위 단부 면에서 동심 링으로서 구성되면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원위 단부 면은 동심으로 배열된 제1 및 제2 동심 전기 접촉부, 예를 들어 동심 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전기 접촉부는 양극 접촉부이고 제2 전기 접촉부는 음극 접촉부이다. 하나의 접촉부는 점 접촉부일 수 있고 다른 접촉부는 점 접촉부를 둘러싸는 링일 수 있다. 동심 링의 형태일 수 있고 아닐 수 있는 대응 접촉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홀더 사이의 전기적 결합을 허용하기 위해 홀더의 제1 단부 또는 제2 단부에 정의될 수 있다. 홀더의 제1 단부 또는 제2 단부는 동심 링으로서 배열된 제1 및 제2 동심 전기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전기 접촉부는 양의 접촉부이고 제2 전기 접촉부는 음의 접촉부이다. 그 다음, 동심 링의 형태일 수 있고 아닐 수 있는 대응 접촉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홀더 사이의 전기적 결합을 허용하기 위해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원위 단부 또는 근위 단부에 정의될 수 있다. 링 또는 링들의 형태인 접촉부의 사용은, 홀더와 체결될 경우에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임의의 반경 방향으로 배향되게 한다. 즉, 접촉부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이 링의 형태이기 때문에, 홀더의 도킹 배열에 제공될 경우에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반경 방향 방위와 관계 없이 접촉부가 항상 만들어지도록 대응 접촉부가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반경 방향 방위를 우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각각의 장치의 체결과 분리를 더욱 단순화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충전 접촉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나 이상의 몸체 부분,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원위 단부에 가까운 원주를 실질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원주 방향 링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몸체는 제1 및 제2 길이 방향 이격 원주 전기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전기 접촉부는 양의 접촉부이고 제2 전기 접촉부는 음의 접촉부이다. 대응하는 접촉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홀더 사이의 전기적 결합을 허용하기 위해 홀더 상에 정의될 수 있다.
충전 접촉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몸체 상에 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충전 접촉부는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몸체의 중간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홀더와 체결되는 길이 방향 방위와 무관하게, 추가 접촉부는, 추가 접촉부 중 하나가 홀더 상의 대응하는 접촉부와 정렬하도록 원위 및 근위에 등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충전 접촉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몸체 상에 대칭적으로 배열되어 그들 중 하나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홀더와 체결되는 길이 방향 방향에 무관하게 에어로졸 발생 장치 상의 대응하는 접촉부와 정렬하도록 한다.
충전 접촉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홀더 사이의 데이터 전달을 허용할 뿐만 아니라 이차 전원의 충전을 허용한다.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전용 데이터 전달 접촉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홀더에 정의되어 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달을 허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적어도 일부분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홀더와 체결되는 경우에 노출 상태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외부 측벽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홀더와 체결되는 경우에 외부 환경에 대해 노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외부 측벽은 선택적으로 임의의 사용자 조작 버튼, 디스플레이 및 접촉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사용자는 홀더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외측 벽의 노출된 표면을 더 쉽게 잡을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장치의 단부를 홀더의 리테이너로부터 분리함으로써, 노출된 표면을 파지하고 압력을 인가하여 홀더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홀더와의 체결로부터 쉽게 회수될 수 있다.
홀더는 약 50 mm 내지 약 200 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홀더는 약 10 mm 내지 약 50 mm의 외경 또는 최대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홀더는 임의의 적합한 형상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는 실질적으로 원형, 타원형, 삼각형, 정사각형, 마름모꼴, 사다리꼴, 오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홀더는 그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한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홀더는 그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홀더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직육면체일 수 있다.
홀더의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직육면체일 수 있다. 하우징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 또는 재료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재료의 예는 금속, 합금, 플라스틱 또는 이들 재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합 재료, 또는 식품이나 약제학적 적용에 적합한 열가소성 수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및 폴리에틸렌을 포함하고 있다. 일부 예시에서, 재료는 가볍고 비취성이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핸드헬드 장치일 수 있다. 즉,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사용자의 손에 들기에 적합한 임의의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통상의 궐련 또는 엽궐련과 비슷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휴대용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임의의 적합한 형상의 가로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실질적으로 원형, 타원형, 삼각형, 정사각형, 마름모꼴, 사다리꼴, 오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의 가로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실질적으로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그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한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그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원형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장치는 그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해 회전 대칭을 가질 수 있다. 장치는 그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해 하나보다 큰 순서의 회전 대칭을 가질 수 있다. 장치는 그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축대칭일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실질적으로 둥근 원통형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임의의 적합한 직경(최대 횡단면) 및 임의의 적합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세장형일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종래의 궐련 또는 엽궐련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형상, 직경 및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약 30 mm 내지 약 150 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약 5 mm 내지 약 30 mm의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카트리지, 분무기 및 에어로졸 발생 물품 중 하나 이상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근위 단부에서 카트리지, 분무기, 및 에어로졸 발생 물품 중 하나 이상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는 카트리지, 분무기 및 에어로졸 발생 물품 중 하나 이상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분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분무기를 포함하는 경우, 장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 또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물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분무기 또는 분무기와 물품 또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의 조합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가 카트리지 및 에어로졸 발생 물품 중 하나 이상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하는 경우, 분무기는 공동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원형의 원통형일 수 있다. 하우징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 또는 재료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재료의 예는 금속, 합금, 플라스틱 또는 이들 재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합 재료, 또는 식품이나 약제학적 적용에 적합한 열가소성 수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및 폴리에틸렌을 포함하고 있다. 일부 예시에서, 재료는 가볍고 비취성이다.
일차 전원 및 이차 전원은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전력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차 전원 및 이차 전원은 하나 이상의 배터리 및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차 전원 및 이차 전원은 리튬 이온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차 전원 및 이차 전원은 재충전식 전력 공급부일 수 있다. 일차 전원 및 이차 전원은 동일할 수 있다. 일차 전원 및 이차 전원은 상이할 수 있다. 일차 전원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이차 전원보다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라,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시스템은 홀더, 예를 들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은 또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예를 들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은 또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 예를 들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홀더와 관련하여 설명된 임의의 특징부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홀더에 적용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 예를 들어 홀더와 체결하기 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관련하여 설명된 임의의 특징부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가로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도 1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홀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홀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홀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220), 에어로졸 발생 물품(230), 및 홀더(201)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홀더(201)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220)와 체결하도록 구성된 도킹 배열을 갖는다. 도킹 배열은, 제1 단부(206) 및 제1 단부(206)로부터 이격되고 그에 고정된, 대향하는 제2 단부(207) 사이에 정의된 도킹 공간(205)을 포함한다. 도킹 공간(205)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220)의 길이 방향 치수를 수용하기에 적합하다. 홀더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220)의 단부와 체결하기 위한 리테이너(280)를 포함하여 도킹 공간(205) 내에 에어로졸 발생 장치(220)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한다. 리테이너는 제1 단부(206)에 대해 고정된 제1 표면(282), 및 제1 단부(206)로부터 도킹 공간(205) 내로 멀리 돌출하는 제2 표면(284)을 가지며, 제2 표면(284)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220)의 단부와 체결할 시 제1 단부(206)에 대해 편향 가능하다.
홀더(201)는 담배의 종래의 패킷과 대략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인 하우징(202)을 포함한다. 하우징(202)은 리튬-이온 배터리(203)를 위치시켜 유지한다. 이러한 배터리(203)는 시스템의 일차 전원 또는 일차 배터리라고 명명될 수 있다. 일차 배터리(203)는 충전 포트(2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일차 배터리(203)가 주 전원과 같은 외부 전원으로부터 재충전되게 한다.
도킹 공간은 후방 벽(208) 그리고 제1 및 제2 측벽에 의해 추가로 정의되어서 제1 단부(206)와 제2 단부(207)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 방향 축을 갖는 세장형 도킹 공간(205)을 형성한다. 제1 단부(206), 제2 단부(207), 후방 벽(208) 그리고 제1 및 제2 측벽은 하우징(202)의 일부분이다. 도킹 공간(205)은 커버 또는 리드에 의해 폐쇄되지 않고 홀더(201)의 하우징(202) 내에 개방 홈을 형성한다. 제1 및 제2 전기 접촉부(217, 218)는 제2 단부(207)에 의해 위치하고 도킹 공간(205) 내로 향한다. 제1 및 제2 전기 접촉부는 일차 배터리(20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홀더(201)는 일차 배터리(203)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전기 회로를 추가로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근위 단부(223), 원위 단부(224), 및 근위 단부(223)와 원위 단부(224) 사이에서 연장되는 몸체(225)를 갖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세장형 하우징(222)을 갖는다.
장치(220)의 길이는 도킹 공간(205)의 길이 방향 치수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1 및 제2 장치 접촉부(227, 228)는 원위 단부(224)에 의해 위치하고 원위 단부로부터 등진다. 제1 및 제2 장치 접촉부는 장치 배터리(22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장치 배터리(226)가 재충전되게 한다. 이차 전원 또는 이차 배터리라고 명명될 수 있는 장치 배터리(226)는 임의의 적합한 배터리, 예를 들어 리튬-이온 배터리 또는 리튬 철 인산염 배터리일 수 있다.
기재 수용 공동(221)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장치(220)의 근위 부분에 정의된다. 공동(221)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고 장치의 근위 단부에 정의된 개구(272)를 갖는다. 개구(272)는 림(270)에 의해 경계를 이룬다. 기재 수용 공동(221)의 내벽(229) 주위에 위치한 가열 요소는, 장치 배터리(22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공동을 가열하도록 작용한다. 대안적인 예시에서, 가열 요소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내로 삽입하기 위해 공동 내에 위치한 핀 또는 블레이드와 같은 가열 부재에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유도 코일은 공동(221)의 벽(229) 주위에 위치하여 공동(221) 내에 있는 또는 공동 내에 삽입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 내에 있는 서셉터를 유도 가열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 전자 장치는 장치 배터리(226)의 충전 및 가열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포함된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230)은 담배 종이(233) 내에 조립된, 에어로졸 형성 기재(231) 및 마우스피스 필터(232)를 포함한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원통형 물품이다. 물품(230)은 원위 단부(234) 및 원위 단부(234)의 하류에 위치한 근위 단부(235) 또는 마우스 단부를 갖는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231)는 선택적으로, 균질화 담배 재료의 주름진 시트의 형태이고 물품(230)의 원위 단부(234)에 또는 그 근처에 위치한다. 에어로졸 냉각 요소, 향미 요소 및 간격 요소 등의 추가 구성 요소들은 물품(230) 내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231)와 마우스피스 필터(23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220)는 도킹 공간(205)의 길이 방향 치수와 대략 동일한 길이 방향 치수를 갖는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220)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220)의 길이 방향 축을 도킹 공간(205)의 길이 방향 축, 도킹 배열의 제1 단부(206)에 인접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220)의 근위 단부(223), 및 도킹 배열의 제2 단부(207)에 인접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220)의 원위 단부(224)와 정렬시킴으로써 홀더(210)와 체결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병진 이동, 즉 에어로졸 발생 장치(220)의 길이 방향 축에 수직인 이동에 의한 체결로 도킹 공간(205) 내로 이동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220)의 근위 단부(223)는 제1 단부(206)와 체결하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224)의 원위 단부는 제2 단부(207)와 체결한다. 제1 및 제2 접촉부(217, 218)는 제1 및 제2 장치 접촉부(227, 228)와 정렬되고 이들과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간섭, 또는 마찰, 체결에 의해 체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기계식 래칭 수단은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작동되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홀더와 체결하는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자기 래칭 수단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홀더와의 체결 상태를 고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홀더(210)와 체결되는 경우에, 에어로졸 발생 장치(220)의 몸체(225)의 일부분은 외부 환경에 대해 노출 상태를 유지한다. 일부 예시에서, 도킹 공간은 둘러싸이지 않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220)의 몸체(225) 대부분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220)가 홀더(201)와 체결되는 경우에 노출된다.
장치 배터리의 충전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220)와 홀더(201) 사이의 체결에 자동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충전은 수동 작동, 예를 들어 버튼 조작을 요구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220)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노출된 부분을 잡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가로 방향 이동으로 도킹 공간 밖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홀더(201)와의 체결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기계적 래치의 해제가 필요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추출 도구 또는 추출 수단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체결되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도킹 공간 밖으로 밀어낼 수 있다. 추출 도구는 단순히 에어로졸 발생 장치(220)를 도킹 공간(205)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밀어내는 부재일 수 있다.
장치 배터리(226)가 충전되면,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소모성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소비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홀더와의 체결로부터 제거되고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기재 수용 공동(221) 내로 삽입된다. 장치(220)의 히터가 작동되어 물품(230)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231)가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데 충분한 온도로 가열된다. 물품(230)의 근위 단부(235) 상에서 흡인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입 및 폐 안으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물품이 소비되면, 장치(220)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220)는 장치 배터리(226)의 재충전을 위해 홀더(201)와 체결하도록 복귀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데이터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홀더 사이에서 전달될 수 있다. 데이터는 충전(217, 218, 227, 228)에 사용되는 동일한 접촉부를 사용하여 전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별도의 데이터 접촉부가 제공될 수 있다. 홀더(201)와 에어로졸 발생 장치(220) 사이의 데이터 전달은 무선으로, 예를 들어 블루투스 연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제1 및 제2 충전 접촉부(217, 218)는 동심 링의 형태일 수 있다. 장치 충전 접촉부(227, 228)는 대응하는 동심 링일 수 있거나, 각각의 동심 링과 정렬되도록 구성된 점 접촉부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장점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임의의 반경 방향 방위로 홀더와 체결될 수 있다는 점이다.
리테이너(280)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탄성중합체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리테이너(280)는 니트릴과 같이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합성 고무로 형성된다. 리테이너는 임의의 적절한 탄성 재료, 예를 들어 천연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 리테이너(280)는 변형되지 않거나 편향되지 않은 상태로 나타나 있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변형되지 않거나 편향되지 않은 상태에서, 리테이너(280)는 실질적으로 반구 형상이다.
도 2는 도 1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홀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킹 공간(205)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220)의 고정은 장치(220)의 길이 방향 치수에 수직인 방향으로 장치(220) 및 도킹 공간(205)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도 2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220)는 홀더(201)의 도킹 공간(205)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장치(220)의 근위 단부(223)는 리테이너(280)와 접촉한다. 이러한 접촉은 리테이너(280)의 제2 표면(284)이 제1 단부(206)에 대해 편향되게 한다.
도 3은 도 2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홀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220)는 홀더(201)의 도킹 공간(205)에 수용된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장치(220)의 근위 단부(223)는 리테이너(280)와 체결된다. 이 위치에서, 리테이너(280)는 도킹 공간(205)에서 장치(220)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작용한다.
도 3에 나타낸 위치에서, 밀봉부는 리테이너(280)의 제2 표면(284)과 장치(220)의 림(270)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해 형성된다. 이는 장치(220)의 근위 단부(223)에서 개구(272)를 밀봉한다. 도 3에 나타낸 예시에서, 리테이너(280)의 제2 표면(284)은, 장치의 근위 단부(223)에서 개구(272)를 경계 지는 연속 림(270)과의 연속 원주 방향의 접촉 링을 형성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220)가 도킹 공간(205)에 수용될 경우에, 리테이너(280)는 변형되거나 편향된 상태에 있다. 도 3에 나타낸 위치에서, 제2 표면(284)은 제1 단부(206)에 대해 편향되어 있다. 이는, 리테이너(280)의 일부가 장치(220)의 개구(272) 내에 수용되었기 때문이다. 리테이너(280)의 다른 부분은 개구(272) 내에 수용되지 않지만 개구(272) 위에 위치한다. 리테이너(280)는, 장치(220)가 도킹 공간(205)에 수용될 경우에 효과적으로 눌러지거나 변형된다. 리테이너(280)의 탄성으로 인해, 리테이너(280)는 도킹 공간(205)에 수용된 장치(220)에 힘을 인가한다. 이러한 힘은 장치(220)를 제1 단부(206)로부터 제2 단부(207) 쪽으로 가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리테이너(280)는 도킹 공간(205)에서 장치(220)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작용하고, 또한 장치 충전 접촉부(227, 228)를 홀더의 제1 및 제2 충전 접촉부(217, 218)를 향해 가압하도록 작용한다. 이는, 장치 충전 접촉부(227)와 제1 충전 접촉부(217) 사이, 및 장치 충전 접촉부(228)와 제2 충전 접촉부(218) 사이의 양호한 전기적 연결을 보장한다.

Claims (15)

  1.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홀더로서, 상기 홀더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체결하도록 구성된 도킹 배열을 가지며, 상기 도킹 배열은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1 단부에 대해 고정된 대향하는 제2 단부 사이에 정의된 도킹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도킹 공간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 방향 치수를 수용하되,
    상기 홀더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단부와 체결하여 상기 도킹 공간 내에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리테이너를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제1 단부에 대해 고정된 제1 표면, 및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도킹 공간 내로 멀리 돌출되는 제2 표면을 갖되, 상기 제2 표면은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단부와 체결시 상기 제1 단부에 대해 편향될 수 있고,
    상기 리테이너의 제2 표면은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탄성 또는 탄성중합체 재료를 포함하거나 그로부터 형성되며,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탄성 또는 탄성중합체 재료의 탄성 변형은, 상기 리테이너의 제2 표면이 상기 제1 단부에 대해 편향 가능하도록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탄성 또는 탄성중합체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리테이너의 제1 표면은 상기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탄성 또는 탄성중합체 재료의 제1 표면인,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홀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탄성 또는 탄성중합체 재료는 니트릴이거나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홀더.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도킹 공간에 고정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힘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힘은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단부를 향해 가압하도록 작용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홀더.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단부에 정의된 개구 또는 오목부와 체결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홀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또는 오목부는 림(rim) 또는 립(lip)에 의해 경계를 이루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림 또는 립과 체결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홀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림 또는 립은 상기 개구 또는 오목부를 경계지는 연속적인 림 또는 립이고,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상기 도킹 공간에 고정될 경우에, 상기 리테이너의 제2 표면과 상기 림 또는 립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밀봉부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 또는 오목부를 밀봉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홀더.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의 제2 표면은 실질적으로 반구 형상인,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홀더.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길이 방향 치수를 정의하는 세장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이고, 상기 도킹 공간은 상기 세장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 방향 치수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홀더.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공간 내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고정은,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 방향 치수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상기 도킹 공간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영향을 받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홀더.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 방향 치수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상기 도킹 공간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상기 도킹 공간 내에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리테이너의 탄성 변형을 유발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홀더.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상기 도킹 공간에 고정되지 않을 경우, 상기 리테이너는 제1 상태에 있고,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상기 도킹 공간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리테이너는 변형된 제2 상태에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홀더.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전원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의 제2 단부는 상기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 접촉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기 접촉부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상기 도킹 공간에 고정될 경우에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대응하는 전기 접촉부와 체결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홀더.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상기 도킹 공간 내에 고정되는 경우에,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상기 홀더의 전기 접촉부를 향해 가압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홀더.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된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상기 도킹 공간에 수용되는 경우에, 상기 몸체의 제1 측 부분은 상기 홀더와 마주하고 상기 몸체의 제2 측 부분은 상기 홀더와 등지고 노출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홀더.
KR1020227015646A 2019-10-17 2020-10-16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홀더 KR202200828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203865.1 2019-10-17
EP19203865 2019-10-17
PCT/EP2020/079272 WO2021089304A1 (en) 2019-10-17 2020-10-16 Holder comprising re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865A true KR20220082865A (ko) 2022-06-17

Family

ID=68295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5646A KR20220082865A (ko) 2019-10-17 2020-10-16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홀더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395031A1 (ko)
EP (1) EP4044854A1 (ko)
JP (1) JP2022552658A (ko)
KR (1) KR20220082865A (ko)
CN (1) CN114554892A (ko)
BR (1) BR112022006990A2 (ko)
IL (1) IL292096A (ko)
WO (1) WO202108930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3394A1 (zh) * 2013-07-12 2015-01-15 瑞吉高新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烟盒
US20150305464A1 (en) * 2014-04-25 2015-10-29 John R. NELSON, JR. Handheld electronic device protective case for holding an e-vaping article
CN205512351U (zh) * 2016-01-25 2016-08-31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电子烟盒
IL272202B2 (en) 2017-08-23 2023-09-01 Philip Morris Products Sa A system for creating a spray with a charging device
CN110279154A (zh) * 2019-06-21 2019-09-27 深圳欧玛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烟收纳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2006990A2 (pt) 2022-07-05
CN114554892A (zh) 2022-05-27
EP4044854A1 (en) 2022-08-24
JP2022552658A (ja) 2022-12-19
WO2021089304A1 (en) 2021-05-14
US20220395031A1 (en) 2022-12-15
IL292096A (en) 202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72479B (zh) 带充电装置和气溶胶生成装置的气溶胶生成系统
US11837897B2 (en) Aerosol-generating system with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operating button protection
US20220192277A1 (en) Aerosol-generating system with charging device
RU2756887C2 (ru) Генерирующая аэрозоль система с заряд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и генерирующим аэрозоль устройством с боковым соединением
US20220395031A1 (en) Smoking device with main unit having a resilient latching member
RU2816302C1 (ru) Держатель, содержащий фиксатор
US20230120059A1 (en) Smoking device with main unit having a removable cover element
RU2816301C1 (ru) Держател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