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2754A - Indoor hydroponic apparatus - Google Patents

Indoor hydroponic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2754A
KR20220082754A KR1020210173184A KR20210173184A KR20220082754A KR 20220082754 A KR20220082754 A KR 20220082754A KR 1020210173184 A KR1020210173184 A KR 1020210173184A KR 20210173184 A KR20210173184 A KR 20210173184A KR 20220082754 A KR20220082754 A KR 20220082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door
bed
lighting uni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31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선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밋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밋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밋
Publication of KR20220082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275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07Metering or regulat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용 수경재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실내 공간에 구비되는 레일부와, 레일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부와, 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작물의 식재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베드부와, 베드부에 식재된 작물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조사부 및 조사부와 연결되고, 베드부에 식재된 작물의 성장 상태에 따라 조사부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hydroponics apparatus, and includes a rail part provided in an indoor space, a frame part slidably installed on the rail part, and a bed mounted on the frame part and providing a space for planting crop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unit and the irradiation unit and the irradiation unit for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crops planted in the bed, and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irradiation unit according to the growth state of the crops planted in the bed unit.

Description

실내용 수경재배 장치{INDOOR HYDROPONIC APPARATUS}Indoor hydroponics {INDOOR HYDROPONIC APPARATUS}

본 발명은 실내용 수경재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토양이 아닌 양액을 이용하여 실내에서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실내용 수경재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door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capable of growing crops indoors using a nutrient solution rather than soil.

일반적으로 수경재배(Hydroponic)란 작물에 필요한 양분을 물에 녹여 작물의 뿌리에 직접 닿게 하거나, 뿌리 지지체 역할을 하는 불활성 매체, 예를 들면 암면과 같은 물질을 배양액에 적셔 이를 작물의 뿌리에 닿게 하는 방법으로 배양약을 작물에 공급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재배의 한 방법이다.In general, hydroponics is a method of dissolving nutrients required for crops in water and making them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roots of plants, or soaking an inert medium that serves as a root support, for example, a material such as rock wool, in a culture medium and bringing it into contact with the roots of plants. It is a method of cultivation in which crops are grown by supplying a culture agent to the crops.

이러한 수경재배는 토양이 필요 없으므로 일반적인 토양재배에 비해 비용이 매우 저렴하고, 실내에서 재배가 이루어져 날씨에 대한 영향을 비교적 적게 받으며, 인위적으로 환경을 조성해주기 때문에 각종 병충해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Since hydroponics does not require soil, the cost is very low compared to general soil cultivation, and since it is grown indoors, it is relatively less affected by the weather, and since it artificially creates an environment, the occurrence of various diseases and pests can be reduced.

또한, 작업환경이 상대적으로 쾌적하여 동일한 노동력으로 토양재배에 비해 더 큰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작물의 생리에 맞는 적절한 양액을 지속적으로 공급해 줄 수 있어 작물이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이에 따라 사계절 내내 지속적인 수확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working environment is relatively pleasant, a greater effect can be seen compared to soil cultivation with the same labor force, and an appropriate nutrient solution suitable for the physiology of the crop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so that the crop can grow stably, and thus, Harvest is possible.

그러나 종래의 수경재배 장치는 작물에 빛을 공급하는 조명 장치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음에 따라, 작물의 성장에 따른 잎의 위치 변화로 인해 빛이 작물 전체에 결쳐 균일하게 공급되지 못하여 작물의 광합성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hydroponics device, as the location of the lighting device that supplies light to the crop is fixed, the light is not uniformly supplied to the entire crop due to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leaf according to the growth of the crop, so the photosynthetic efficiency of the crop There is a problem with this falling off.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873148호(2018.06.25 등록, 발명의 명칭: 수경재배기)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73148 (registered on June 25, 2018, title of the invention: hydroponics).

본 발명은 작물의 성장 상태에 따라 빛의 조사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실내용 수경재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hydroponics apparatus capable of varying the irradiation position of light according to the growth state of crops.

또한, 본 발명은 작업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실내용 수경재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that can easily secure a working spac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수경재배 장치는: 실내 공간에 구비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작물의 식재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베드부; 상기 베드부에 식재된 상기 작물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조사부; 및 상기 조사부와 연결되고, 상기 베드부에 식재된 상기 작물의 성장 상태에 따라 상기 조사부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조절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indoor hydroponics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il unit provided in an indoor space; a frame part slidably installed on the rail part; a bed part mounted on the frame part and providing a space for planting crops; an irradiation unit for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crop planted in the bed unit;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irradiation unit and varying the position of the irradiation unit according to the growth state of the crop planted in the bed unit.

또한, 상기 조사부는, 상기 베드부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고정되는 제1조명유닛; 및 상기 가이드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조명유닛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조명유닛;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irradiation unit, a guide unit disposed to face the bed unit; a first lighting unit fixed to the guide part; and a second lighting unit that is slidably installed on the guide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ighting unit.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이 하향 연장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guide portion extend downward based on the central portion.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소정 곡률로 만곡지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guide part is formed to be curved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또한, 상기 제1조명유닛은 상기 가이드부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조명유닛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제1조명유닛의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다.In addition, the first lighting unit is dispos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the second lighting unit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at least one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lighting unit.

또한, 상기 제2조명유닛은 상기 조절부의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제1조명유닛을 향해 모아지거나 펼쳐진다.In addition, the second lighting unit is collected or unfolded toward the first lighting unit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또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가이드부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에 연동되어 상기 제2조명유닛을 상기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driving unit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uide unit and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to generate a driving force;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linked to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to slide and move the second lighting un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unit.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로드부; 및 양측이 각각 상기 로드부 및 상기 제2조명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로드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로드부에 감기거나 풀리며 상기 제2조명유닛에 장력을 전달하는 와이어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may include: a rod unit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and rotated by receiving a driving force from the driving unit; and a wire part having both sides connected to the rod part and the second lighting unit, respectively, and wound or unwound on the rod part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d part to transmit tension to the second lighting unit.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와이어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와이어부를 통한 장력의 전달 방향을 전환하는 롤러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movably supporting the wire unit, and a roller unit for changing the transmission direction of the tension through the wire unit; further includes.

또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베드부에 식재된 상기 작물의 성장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부; 및 상기 모니터부로부터 모니터링된 상기 작물의 성장 상태를 바탕으로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a monitor unit for monitoring the growth state of the crop planted in the bed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based on the growth state of the crop monitored by the monitor unit.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레일부 상에서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frame parts ar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e provided to be independently movable on the rail part.

또한, 상기 베드부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적층된다.In addition, the bed portion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is stacked in multiple stages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rame portion.

또한, 상기 실내 공간 내부의 공기 상태를 조절하는 공조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n air conditioning unit for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 inside the indoor space.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수경재배 장치는 조절부에 의해 작물의 성장 상태에 따라 조사부에 의해 발생되는 빛이 작물의 면적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도달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작물의 광합성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indoor hydroponics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photosynthetic efficiency of crops by inducing the light generated by the irradiation unit to reach uniformly over the entire area of the crop according to the growth state of the crop by the control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수경재배 장치는 복수개의 프레임부가 레일부상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됨에 따라 작업자에게 보다 넓은 작업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indoor hydroponics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rame parts to be movabl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n the rail uni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ider working space to the operator,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work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수경재배 장치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치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수경재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수경재배 장치의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1 is an installation state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n indoor hydroponics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door hydroponics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rradi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djust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wer transmiss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wer transmiss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operational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indoor hydroponics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수경재배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n indoor hydroponics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또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part is "connected (or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but also "with anoth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In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is included.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or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but further "includes (or includes)" other components. means you can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특정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그 부호들은 다른 도면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도면에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은 부분이 있더라도, 그 부분은 다른 도면들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도면들에 포함된 세부 구성요소들의 개수, 형상, 크기 및 크기의 상대적인 차이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설정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을 제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Also, like reference numerals may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Even if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signs are not mentioned or described in a particular drawing, the reference signs may be described based on different drawings. Also, even if there are parts to which reference signs are not indicated in specific drawings, those parts may be described based on other drawings. In addition, the relative differences in the number, shape, size, and size of detailed components included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set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do not limit the embodiments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수경재배 장치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치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수경재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n installation state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n indoor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door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수경재배 장치(1)는 레일부(100), 프레임부(200), 베드부(300), 조사부(400), 조절부(500), 공조부(600)를 포함한다.1 and 2, the indoor hydroponics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ail unit 100, a frame unit 200, a bed unit 300, an irradiation unit 400, and an adjustment. It includes a unit 500 and an air conditioning unit 600 .

이하에서 서술되는 실내 공간은 온실의 내부 등 작물의 재배가 이루어질 수 있는 다양한 공간으로 예시될 수 있으며, 작물은 딸기 등 수경재배가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작물로 예시될 수 있다.The indoor space described below may be exemplified as various spaces in which crops can be grown, such as inside a greenhouse, and the crops may be exemplified by various types of crops that can be grown hydroponically, such as strawberries.

레일부(100)는 실내 공간에 구비되어 후술하는 프레임부(200)의 이동을 안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부(100)는 대략 막대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실내 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레일부(100)의 길이는 후술하는 프레임부(200)의 크기, 개수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레일부(100)의 양단부에는 후술하는 프레임부(2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프레임부(20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별도의 스토퍼(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레일부(10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실내 공간의 바닥면 상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레일부(10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rail unit 100 is provided in the indoor space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frame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The rail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bar shape and installed on the floor surface of an indoor space. The length of the rail part 100 can be variously changed in design according to the size, number, etc. of the frame part 200 to be described later. Separate stoppers (not shown) for limiting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frame unit 200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rail unit 100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frame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A plurality of rail units 100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floor surface of the indoor space.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rail units 100 may b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프레임부(200)는 레일부(10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후술하는 베드부(300)를 지지한다. 프레임부(20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레일부(100) 상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프레임부(200)는 레일부(100) 상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프레임부(200)는 작업자의 작업 위치에 따라 상호간의 간격이 조절됨으로써 작업자에게 보다 넓은 작업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frame part 200 is slidably installed on the rail part 100 and supports the bed part 300 to be described later. A plurality of frame units 200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rail unit 100 . The plurality of frame units 200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n the rail unit 100 .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frame units 200 can provide a wider working space to the worker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each other according to the worker's work position, thereby improving work efficienc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200)는 프레임본체(210), 이동부재(220)를 포함한다.The frame uni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body 210 and a moving member 220 .

프레임본체(2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200)의 개략적인 외관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본체(210)는 막대형의 빔 등이 격자의 형태로 배열되는 골조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본체(210)는 하단부가 실내 공간의 바닥면, 보다 구체적으로 레일부(100)의 상단부와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프레임본체(210)는 길이 방향이 레일부(100)와 연장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된다. The frame body 210 forms a schematic appearance of the frame par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body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o have a frame shape in which bar-shaped beams and the like are arranged in the form of a lattice. The lower end of the frame body 210 is disposed to face the bottom surface of the indoor space, more specifically,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rail unit 100 . The frame body 210 is disposed so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erpendicular to the rail unit 100 and the extending direction.

이동부재(220)는 레일부(100)에 대해 프레임본체(21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220)는 프레임본체(21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퀴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동부재(220)는 레일부(100)의 상부에 안착됨과 동시에 레일부(100)에 구름 접촉된다. 이동부재(220)는 작업자로부터 프레임본체(210)에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레일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며 프레임본체(210)의 위치를 가변시킨다. 이와 달리 이동부재(220)는 별도의 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레일부(100)상을 자동으로 주행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moving member 220 movably supports the frame body 210 with respect to the rail part 100 . The moving member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wheel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rame body 210 . The moving member 220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ail unit 100 and i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rail unit 100 at the same time. The moving member 220 is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part 100 as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rame body 210 from the operator and changes the position of the frame body 210 . Alternatively, the moving member 220 may be connected to a separate motor (not shown) to automatically travel on the rail unit 100 .

베드부(300)는 프레임부(200)에 장착되고, 작물의 식재를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드부(300)는 상부면이 개구된 박스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프레임본체(210)의 내측에 장착된다. 베드부(300)는 용접 등에 의해 프레임부(200)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고, 볼팅 등에 의해 프레임본체(2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베드부(300)는 길이 방향이 프레임본체(2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된다. 이 경우, 베드부(300)는 별도의 격벽(미도시) 등에 의해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구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The bed unit 300 is mounted on the frame unit 200 and provides a space for planting crops. The bed uni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have a box shape with an open upper surface and is mounted inside the frame body 210 . The bed unit 300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frame unit 200 by welding or the like,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rame body 210 by bolting or the like. The bed portion 300 extend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body 210 . In this case, the bed unit 30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 separate partition wall (not shown).

베드부(300)는 내부에 작물의 뿌리를 지지하는 인공 토양이 구비되고, 이러한 인공 토양에는 작물의 뿌리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양액이 충진됨으로써 작물이 식재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베드부(300)는 별도의 양액공급모듈(미도시)와 연결됨에 따라 작물의 재배 과정에서 양액을 지속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 The bed unit 300 is provided with artificial soil for supporting the roots of crops therein, and the artificial soil is filled with a nutrient solution for supplying nutrients to the roots of crops, thereby cre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crops can be planted. As the bed unit 300 is connected to a separate nutrient solution supply module (not shown), the nutrient solution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during the cultivation of crops.

베드부(30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프레임부(2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베드부(300)는 기존 작물을 토양에서 재배하는 경우에 비해 동일 면적 대비 더 많은 수의 작물의 재배가 가능하다. 복수개의 베드부(300)는 프레임부(200)의 높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베드부(300)는 이웃하는 베드부(300)의 사이에 작물의 성장을 위한 충분한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The bed unit 300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may be stacked in multiple stages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rame unit 200 .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bed units 300 can grow a larger number of crops compared to the same area compared to the case of cultivating existing crops in soil. The plurality of bed units 30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rame unit 200 .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bed units 300 may secure sufficient free space for the growth of crops between adjacent bed units 300 .

조사부(400)는 베드부(300)에 식재된 작물을 향해 빛을 조사한다.The irradiation unit 400 irradiates light toward the crops planted in the bed unit 300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3 is an enlarg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rradi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사부(400)는 가이드부(410), 제1조명유닛(420), 제2조명유닛(4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 the irradiation uni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uide unit 410 , a first lighting unit 420 , and a second lighting unit 430 .

가이드부(410)는 베드부(300)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후술하는 제1조명유닛(420) 및 제2조명유닛(430)을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410)는 작물이 식재되는 베드부(300)의 상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가이드부(410)는 양단이 프레임본체(210)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가이드부(41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프레임부(200)의 내측에서 다단으로 적층된 각각의 베드부(300)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가이드부(410)는 길이 방향이 프레임본체(210)의 폭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가이드부(410)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이 하향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부(410)는 소정 곡률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호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410)는 후술하는 제2조명유닛(430)이 자중에 의해 가이드부(410)의 양단부를 향해 이동되도록 유도하여 후술하는 와이어부(522)를 팽팽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가이드부(41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베드부(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410)의 개수 및 간격은 베드부(300)의 길이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The guide part 410 is disposed to face the bed part 300 , and supports a first lighting unit 420 and a second lighting unit 430 to be described later. The guide part 4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part 300 on which crops are plan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oth ends of the guide part 410 may be coupled to and supported by the frame body 210 . The guide part 410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is disposed to face each of the bed parts 300 stacked in multiple stages inside the frame part 200 . The guide part 410 is arrang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body 210 . Both sides of the guide part 410 may extend downward based on the central part. In this case, the guide part 410 may be formed to have an arc shape that is curved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Accordingly, the guide part 410 induces a second lighting unit 430 to be described later to move toward both ends of the guide part 410 by its own weight to keep the wire part 522 to be described taut. A plurality of guide parts 410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d part 300 . The number and spacing of the guide part 410 can be variously changed in design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bed part 300 .

가이드부(410)에는 가이드부(410)의 상하면을 수직하게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홀부(411)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통홀부(411)는 가이드부(410)의 폭 방향 중심에 배치되고, 양단이 가이드부(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공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part 410 may be provided with a through-hole part 411 formed to vertically penetrat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guide part 410 . The through-hole part 4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guide part 410 , and both ends may be formed to have a long hole shape extending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guide part 410 . .

제1조명유닛(420)은 가이드부(410)에 고정되고, 베드부(300)에 식재된 작물을 향해 빛을 조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조명유닛(420)은 LED 등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생성하는 다양한 조명 장치로 예시될 수 있다. 제1조명유닛(420)은 길이 방향이 베드부(30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된다. 제1조명유닛(420)은 가이드부(410)의 중앙부 즉, 베드부(300)의 상부면과 수직하게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1조명유닛(420)은 상측면이 용접 또는 볼팅 결합등에 의해 가이드부(410)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1조명유닛(420)은 하측면을 통해 베드부(300)에 식재된 작물로 빛을 조사한다.The first lighting unit 420 is fixed to the guide unit 410 and irradiates light toward the crops planted in the bed unit 300 . The first lighting unit 4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emplified by various lighting devices that generate light by receiving power from an external source, such as an LED. The first lighting unit 420 extend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d unit 300 . The first lighting unit 420 is disposed in a position perpendicular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410 ,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portion 300 .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lighting unit 420 may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part 410 by welding or bolting. The first lighting unit 420 irradiates light to the crops planted in the bed unit 300 through the lower side.

제2조명유닛(430)은 가이드부(4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조명유닛(420)과 이격되게 배치되며, 베드부(300)에 식재된 작물을 향해 빛을 조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조명유닛(430)은 제1조명유닛(420)과 마찬가지로 LED 등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생성하는 다양한 조명 장치로 예시될 수 있다. 제2조명유닛(430)은 길이 방향이 베드부(30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된다. 제2조명유닛(430)은 하측면을 통해 베드부(300)에 식재된 작물로 빛을 조사한다. 제2조명유닛(430)은 상측면이 가이드부(410)의 내측면에 가이드부(4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2조명유닛(430)은 후술하는 조절부(500)에 의해 가이드부(4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며 작물로 빛을 조사하는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The second lighting unit 430 is slidably installed on the guide part 410 ,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ighting unit 420 , and irradiates light toward the crops planted in the bed part 300 . Like the first lighting unit 420 , the second lighting unit 4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emplified by various lighting devices that generate light by receiving power from an external source such as an LED. The second lighting unit 430 extend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d unit 300 . The second lighting unit 430 irradiates light to the crops planted in the bed unit 300 through the lower side. The second lighting unit 430 has an upper surface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part 410 to be slidably mov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part 410 . Accordingly, the second lighting unit 430 slide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unit 410 by a control unit 5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position at which light is irradiated to the crop may be changed.

제2조명유닛(430)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조명유닛(430)은 제1조명유닛(420)의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조명유닛(420)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2조명유닛(430)은 제1조명유닛(420)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2조명유닛(430)이 제1조명유닛(420)의 양측에 하나씩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제2조명유닛(430)의 개수는 이러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2개, 3개 등으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복수개의 제2조명유닛(430)은 후술하는 조절부(500)의 동작에 연동되어 제1조명유닛(420)을 향해 모아지거나 제1조명유닛(420)으로부터 가이드부(410)의 양단부를 향해 펼쳐짐으로써 작물로 빛이 조사되는 영역을 축소 또는 확장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부(410)의 양단부에는 후술하는 제2조명유닛(4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2조명유닛(43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별도의 스토퍼(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second lighting units 430 may be provide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lighting units 430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lighting unit 420 . In this case, the second lighting units 43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lighting unit 420 may be symmetrical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first lighting unit 420 . In FIG. 3 , the second lighting unit 430 is illustrated as being disposed one on each side of the first lighting unit 420 , but the number of second lighting units 430 is not limited to these matters, and 2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design to a dog, three, etc. The plurality of second lighting units 430 are interlocked with the operation of the adjusting unit 500 to be described later and are gathered toward the first lighting unit 420 or toward both ends of the guide unit 410 from the first lighting unit 420 . By unfolding, the area irradiated with light to the crop can be reduced or expanded. In this case, separate stoppers (not shown) for limiting the movement range of the second lighting unit 430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guide part 410 to prevent the second lighting unit 430 from being separated. can

조절부(500)는 조사부(400)와 연결되고, 베드부(300)에 식재된 작물의 성장 상태에 따라 조사부(400), 보다 구체적으로, 제2조명유닛(430)의 위치를 가변시킨다. 이에 따라 조절부(500)는 작물의 성장 상태에 따라 조사부(400)에 의해 발생되는 빛이 작물의 면적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도달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작물의 광합성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control unit 500 is connected to the irradiation unit 400 , and changes the position of the irradiation unit 400 ,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lighting unit 430 according to the growth state of the crops planted in the bed unit 300 .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500 may improve the photosynthetic efficiency of the crop by inducing the light generated by the irradiation unit 400 to reach uniformly over the entire area of the crop according to the growth state of the crop.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djust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500)는 구동부(510), 동력전달부(520), 모니터부(530), 제어부(5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 the control unit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ing unit 510 , a power transmission unit 520 , a monitor unit 530 , and a control unit 540 .

구동부(510)는 가이드부(410)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력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51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정역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다양한 종류의 전동모터로 예시될 수 있다. 구동부(510)는 가이드부(410)의 상측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 경우, 구동부(510)는 프레임본체(210)와 직접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고, 프레임본체(210)와 결합되는 별도의 브라켓 등을 매개로 프레임본체(210)의 내측에서 지지될 수 있다. 구동부(51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각각의 가이드부(410)의 상측에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510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uide unit 410 and receives power from the outside to generate driving force. The driving unit 5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emplified by various types of electric motors that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and generat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al force. The driving unit 510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guide unit 4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is case, the driving unit 510 may be supported by being directly coupled to the frame body 210 , and may be supported inside the frame body 210 through a separate bracket coupled to the frame body 210 . A plurality of driving units 510 may be provided to be individual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each guide unit 410 .

동력전달부(520)는 구동부(510)의 구동력에 연동되어 제2조명유닛(430)을 가이드부(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킨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520 is linked to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510 to slide the second lighting unit 4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unit 410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5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wer transmiss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wer transmiss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는 로드부(521), 와이어부(522), 롤러부(523)를 포함한다.5 and 6 , the power transmiss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d part 521 , a wire part 522 , and a roller part 523 .

로드부(521)는 구동부(510)에 연결되고, 구동부(51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드부(521)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봉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로드부(521)는 일단부가 구동부(510)의 출력축과 연결되어 구동부(510)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이 경우, 로드부(521)의 일단부는 별도의 감속기를 매개로 구동부(510)의 출력축과 연결될 수 있다. 로드부(521)는 길이 방향이 베드부(30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된다. 로드부(521)의 중앙부 및 타단부는 프레임본체(210)에 고정되는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로드부(521)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각각의 구동부(510)에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rod unit 521 is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510 , and is rotated by receiving a driving force from the driving unit 510 . The rod part 52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o have a rod shape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The rod unit 521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driving unit 510 to receive rotational force generated from the driving unit 510 . In this case, one end of the rod unit 521 may be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driving unit 510 via a separate reduction gear. The rod part 521 extend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d part 300 . The central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rod portion 521 may be rotatably supported through a bearing fixed to the frame body 210 . A plurality of rod units 521 may be provided to be individu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driving units 510 .

와이어부(522)는 양측이 각각 로드부(521) 및 제2조명유닛(430)에 연결되고, 로드부(521)의 회전에 연동되어 제2조명유닛(430)을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부(522)는 형상 변형이 자유로우며 길이 방향을 따라 장력을 전달할 수 있는 와이어, 끈 등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부(522)의 상단부는 로드부(521)의 외주면에 일체로 연결되고, 하단부는 가이드부(410)에 구비된 관통홀부(411)를 관통하여 제2조명유닛(430)에 연결된다.Both sides of the wire part 522 are connected to the rod part 521 and the second lighting unit 430 , respectively, and are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of the rod part 521 to slide the second lighting unit 430 . The wire part 52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o have a shape such as a wire, a string, etc. that is freely deformable and can transmit tens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upper end of the wire unit 522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d unit 521 , and the lower end penetrates the through-hole unit 411 provided in the guide unit 410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lighting unit 430 .

와이어부(522)는 로드부(521)의 회전 방향에 따라 로드부(521)에 감기거나 풀리며 제2조명유닛(430)에 장력을 전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와이어부(522)는 로드부(521)가 일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로드부(521)에 감기며 제2조명유닛(430)에 장력을 부가함으로써 제2조명유닛(430)을 가이드부(410)의 중앙부 즉, 제1조명유닛(420)으로 향해 이동시킨다. 와이어부(522)는 로드부(521)가 타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로드부(521)로부터 풀리며 제2조명유닛(430)에 작용하는 장력의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제2조명유닛(430)이 자중에 의해 가이드부(410)의 양단부로 이동되도록 유도한다.The wire part 522 is wound or unwound around the rod part 521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d part 521 and transmits tension to the second lighting unit 430 . More specifically, the wire part 522 is wound around the rod part 521 as the rod part 521 is rotated to one side, and by applying tension to the second lighting unit 430, the second lighting unit 430 is formed. It moves toward the center of the guide part 410 , that is, the first lighting unit 420 . The wire part 522 is released from the rod part 521 as the rod part 521 is rotated to the other side, and by reducing the magnitude of the tension acting on the second lighting unit 430, the second lighting unit 430 loses its own weight. It is guided to move to both ends of the guide part 410 by the

와이어부(522)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복수개의 제2조명유닛(430)에 개별적으로 연결된다. 복수개의 와이어부(522) 중 어느 하나의 제2조명유닛(430)에 연결되는 와이어부(522)는 로드부(5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열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wire unit 522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is individu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lighting units 430 . The wire part 522 connected to any one of the second lighting units 430 among the plurality of wire parts 522 may b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rod part 521 .

롤러부(523)는 와이어부(522)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와이어부(522)를 통한 장력의 전달 방향을 전환한다. 즉, 롤러부(523)는 제2조명유닛(430)과 연결되는 와이어부(522)의 하단부의 연장 방향을 전환시켜줌으로써 와이어부(522)를 따라 전달되는 장력의 방향이 제2조명유닛(43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전달되도록 유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523)는 중심축을 축으로 회전 가능한 롤러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가이드부(410)의 상부면에 설치될 수 있다. 롤러부(523)는 외주면이 와이어부(522)에 구름 접촉된다. 로드부(521)와 연결되는 와이어부(522)의 상단부는 롤러부(523)를 기준으로 로드부(521)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상태로 유지된다. 제2조명유닛(430)과 연결되는 와이어부(522)의 하단부는 롤러부(523)를 기준으로 제2조명유닛(430)을 향해 절곡되어 연장된다. 롤러부(523)는 로드부(521)의 회전에 의해 와이어부(522)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와이어부(522)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중심축을 축으로 회전된다.The roller unit 523 movably supports the wire unit 522 and switches the direction of transmission of tension through the wire unit 522 . That is, the roller unit 523 changes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lower end of the wire unit 522 connected to the second lighting unit 430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tension transmitted along the wire unit 522 is changed to the second lighting unit ( 430) to be transmitt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lide movement direction. The roller unit 52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roller rotatable about a central axis and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unit 410 . The roller portion 523 has an outer peripheral surfac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wire portion 522 . The upper end of the wire part 522 connected to the rod part 521 is maintained in a state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rod part 521 with respect to the roller part 523 . The lower end of the wire part 522 connected to the second lighting unit 430 is bent and extended toward the second lighting unit 430 with respect to the roller part 523 . The roller part 523 maintains a state in contact with the wire part 522 as the wire part 522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rotation of the rod part 521 and is rotated about the central axis.

모니터부(530)는 베드부(300)에 식재된 상기 작물의 성장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부(530)는 베드부(300)에 식재된 작물의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촬영모듈과, 촬영모듈로부터 획득된 영상 정보를 통해 작물의 성장에 따른 잎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센싱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nitor unit 530 monitors the growth state of the crop planted in the bed unit 300 . The monitor unit 5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otographing module for obtaining image information of a crop planted in the bed unit 300, and a position of leaves according to the growth of a crop through the imag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photographing module It may include a sensing module for detecting a change.

제어부(540)는 모니터부(530)로부터 모니터링된 작물의 성장 상태를 바탕으로 구동부(510)의 동작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40)는 작물의 성장에 따라 잎의 위치가 변화되는 경우, 구동부(510)의 동작을 제어하여 제2조명유닛(430)이 해당 위치에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제2조명유닛(430)의 위치를 가변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540)는 모니터부(530)로부터 모니터링된 작물의 성장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받는 통신모듈과, 모니터부(530)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구동부(5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54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510 based on the growth state of the crop monitored by the monitor unit 530 . More specifically, when the position of the leaf is changed according to the growth of the crop, the control unit 54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510 so that the second lighting unit 430 can irradiate light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The position of the lighting unit 430 is changed. The control unit 5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that receives data on the growth state of a crop monitored from the monitor unit 530 by wire or wirelessly, and based on the data received from the monitor unit 530 . to include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510 .

공조부(600)는 실내 공간 내부의 공기 상태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부(600)는 실내 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의 공기와 순환시키는 유동팬(610)과, 실내 공간 내부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CO2공급기(6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조부(600)는 실내 공간 내부에 공기가 정체됨에 따라 작물의 잎의 기공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작물의 활발한 광합성을 유도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600 adjusts the air condition inside the indoor space. The air conditioning unit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low fan 610 for circulating air inside the indoor space with external air, and a CO 2 supplier 620 for supplying carbon dioxide into the indoor space. can Accordingly, the air conditioning unit 600 may prevent clogging of the pores of the leaves of the crop as air stagnates inside the indoor space, and may induce active photosynthesis of the crop.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수경재배 장치(1)의 작동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indoor hydroponics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7,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수경재배 장치의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작동도이다.7 and 8 are operational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indoor hydroponics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작물의 성장 초기의 경우, 작물의 잎은 가이드부(410)의 중앙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집중적으로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7 , in the initial stage of growth of the crop, the leaves of the crop are intensively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guide part 410 .

모니터부(530)는 촬영모듈을 통해 작물의 영상정보를 획득하고, 센싱모듈을 통해 작물의 잎의 위치 상태를 감지한다.The monitor unit 530 acquires image information of the crop through the photographing module, and detects the positional state of the leaf of the crop through the sensing module.

제어부(540)는 모니터부(530)로부터 모니터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구동부(510)에 제어신호를 전달한다.The control unit 540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driving unit 510 based on the monitored data from the monitor unit 530 .

구동부(510)는 제어부(540)의 제어신호에 의해 일측(도 7 기준 반시계 방향)으로 향하는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로드부(521)는 이러한 회전력에 연동되어 일측으로 회전된다.The driving unit 510 generates a rotational force directed to one side (counterclockwise direction based on FIG. 7 )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540 , and the rod unit 521 is rotated to one side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al force.

로드부(521)가 일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와이어부(522)는 로드부(521)의 외주면에 감기며 제2조명유닛(430)에 장력을 부가한다.As the rod part 521 is rotated to one side, the wire part 522 i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d part 521 to apply tension to the second lighting unit 430 .

제2조명유닛(430)은 와이어부(522)를 통해 전달되는 장력에 의해 가이드부(410)의 중앙부 즉, 제1조명유닛(420)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된다.The second lighting unit 430 slides toward the center of the guide part 410 , that is, the first lighting unit 420 by the tension transmitted through the wire part 522 .

이에 따라 제2조명유닛(430)은 제1조명유닛(420)과 함께 작물의 잎이 집중적으로 배치된 가이드부(410)의 중앙부 위치에서 작물로 향해 빛을 조사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lighting unit 430 and the first lighting unit 420 may radiate light toward the crop from the central position of the guide part 410 in which the leaves of the crop are intensively disposed.

도 8을 참조하면, 작물의 성장 후기의 경우, 작물은 줄기의 성장과 착과에 의해 잎의 위치가 베드부(300)의 폭 방향 양측으로 확장된다.Referring to FIG. 8 , in the case of the late growth phase of the crop, the position of the leaf is extended to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ed part 300 due to the growth and fruiting of the stem of the crop.

모니터부(530)는 촬영모듈을 통해 작물의 영상정보를 획득하고, 센싱모듈을 통해 작물의 잎의 위치 변화를 감지한다.The monitor unit 530 acquires image information of the crop through the photographing module, and detects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leaf of the crop through the sensing module.

제어부(540)는 모니터부(530)로부터 모니터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구동부(510)에 제어신호를 전달한다.The control unit 540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driving unit 510 based on the monitored data from the monitor unit 530 .

구동부(510)는 제어부(540)의 제어신호에 의해 타측(도 8 기준 시계 방향)으로 향하는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로드부(521)는 이러한 회전력에 연동되어 타측으로 회전된다.The driving unit 510 generates a rotational force toward the other side (clockwise based on FIG. 8 )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540 , and the rod unit 521 is rotated to the other side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al force.

와이어부(522)는 로드부(521)로부터 풀리며 제2조명유닛(430)에 작용하는 장력의 크기를 감소시킨다.The wire part 522 is released from the rod part 521 and reduces the magnitude of the tension acting on the second lighting unit 430 .

제2조명유닛(430)은 와이어부(522)로부터 전달받는 장력이 크기가 감소됨에 따라 자중에 의해 가이드부(410)의 양단부로 이동된다.The second lighting unit 430 is moved to both ends of the guide part 410 by its own weight as the magnitude of the tension received from the wire part 522 is reduced.

이에 따라 제2조명유닛(430)은 베드부(300)의 폭 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작물의 잎을 향해 빛을 조사함으로써 빛이 작물 면적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도달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lighting unit 430 may induce light to reach uniformly over the entire crop area by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leaves of the crop extending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ed unit 300 .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is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 : 실내용 수경재배 장치 100 : 레일부
200 : 프레임부 210 : 프레임본체
220 : 이동부재 300 : 베드부
400 : 조사부 410 : 가이드부
420 : 제1조명유닛 430 : 제2조명유닛
500 : 조절부 510 : 구동부
520 : 동력전달부 521 : 로드부
522 : 와이어부 523 : 롤러부
530 : 모니터부 540 : 제어부
600 : 공조부
1: indoor hydroponics 100: rail part
200: frame part 210: frame body
220: moving member 300: bed part
400: irradiation unit 410: guide unit
420: first lighting unit 430: second lighting unit
500: control unit 510: drive unit
520: power transmission unit 521: rod unit
522: wire part 523: roller part
530: monitor unit 540: control unit
600: air conditioning unit

Claims (13)

실내 공간에 구비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작물의 식재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베드부;
상기 베드부에 식재된 상기 작물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조사부; 및
상기 조사부와 연결되고, 상기 베드부에 식재된 상기 작물의 성장 상태에 따라 상기 조사부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수경재배 장치.
a rail unit provided in an indoor space;
a frame part slidably installed on the rail part;
a bed part mounted on the frame part and providing a space for planting crops;
an irradiation unit for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crop planted in the bed unit; and
The indoor hydroponics apparatus comprising a; connected to the irradiation unit, and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irradiation unit according to the growth state of the crop planted in the bed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부는,
상기 베드부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고정되는 제1조명유닛; 및
상기 가이드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조명유닛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조명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수경재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nvestigation unit,
a guide part disposed to face the bed part;
a first lighting unit fixed to the guide part; and
Indoor hydroponics apparatus comprising a; a second lighting unit that is slidably installed in the guide unit and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ighting uni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이 하향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수경재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guide portion for indoor hydroponics, characterized in that both sides extend downward relative to the central portion.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소정 곡률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수경재배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guide portion for indoor hydroponic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be curved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명유닛은 상기 가이드부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조명유닛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제1조명유닛의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수경재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lighting unit is dispos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guide, and the second lighting unit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at least one indoor hydroponics apparatus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lighting unit.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명유닛은 상기 조절부의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제1조명유닛을 향해 모아지거나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수경재배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lighting unit is an indoor hydroponics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llected or unfolded toward the first lighting unit in associa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가이드부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에 연동되어 상기 제2조명유닛을 상기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수경재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a driving unit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uide unit and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to generate a driving force; and
The indoor hydroponics apparatus comprising a; a power transmission unit linked to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to slide and move the second lighting un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unit.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로드부;
양측이 각각 상기 로드부 및 상기 제2조명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로드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로드부에 감기거나 풀리며 상기 제2조명유닛에 장력을 전달하는 와이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수경재배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ower transmission unit,
a rod part connected to the driving part and rotating by receiving a driving force from the driving part;
and a wire part having both sides connected to the rod part and the second lighting unit, respectively, and wound or unwound on the rod part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d part to transmit tension to the second lighting unit. Indoor hydroponics equipment.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와이어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와이어부를 통한 장력의 전달 방향을 전환하는 롤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수경재배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ndoor hydroponics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roller part for movably supporting the wire part and changing the direction of transmission of tension through the wire part.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베드부에 식재된 상기 작물의 성장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부; 및
상기 모니터부로부터 모니터링된 상기 작물의 성장 상태를 바탕으로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수경재배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rol unit,
a monitor unit for monitoring the growth state of the crop planted in the bed unit; and
The indoor hydroponics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based on the growth state of the crop monitored by the monitor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레일부 상에서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수경재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rame portion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indoor hydroponics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be movable independently on the rail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부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수경재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ed portion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is an indoor hydroponics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tacked in multiple stages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rame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간 내부의 공기 상태를 조절하는 공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수경재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door hydroponics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n air conditioning unit for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 inside the indoor space.
KR1020210173184A 2020-12-10 2021-12-06 Indoor hydroponic apparatus KR20220082754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71972 2020-12-10
KR1020200171972 2020-12-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754A true KR20220082754A (en) 2022-06-17

Family

ID=82268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3184A KR20220082754A (en) 2020-12-10 2021-12-06 Indoor hydroponic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2754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0385B1 (en) 2022-09-27 2022-12-26 주식회사 소셜텍 Small Hydroponic cultivation system with closed structure
KR102606046B1 (en) 2023-07-27 2023-11-29 주식회사 소셜텍 Vertical hydroponic culitivation apparatus of closed structure with sound wave genera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0385B1 (en) 2022-09-27 2022-12-26 주식회사 소셜텍 Small Hydroponic cultivation system with closed structure
KR102606046B1 (en) 2023-07-27 2023-11-29 주식회사 소셜텍 Vertical hydroponic culitivation apparatus of closed structure with sound wave gener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82754A (en) Indoor hydroponic apparatus
US1193074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plant training
JP4139744B2 (en) Plant cultivation equipment and plant cultivation facility
AU20232015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Hydroponic Plant Growth
KR101925432B1 (en) Swing Working Type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KR101916640B1 (en) Portable watering device for seedling port
JPWO2018037577A1 (en) Plant cultivation equipment in plant factories
JP2019115287A (en) Plant cultivation device and plant cultivation method
KR20140132195A (en) Machinery and management systems for water culture of fruit tree(2)
KR101809043B1 (en) Moving apparatus of high-position cultivating bed for space utilization
KR102152011B1 (en) A cable robot for a vinylhouse crop management
JP3919614B2 (en) Plant cultivation equipment
RU2391812C2 (en) Method for growing plants in conditions of protected ground, device for growth of plants in conditions of protected ground and collapsible multi-tier rack for growing plants in conditions of protected ground
KR102539624B1 (en) Height adjustable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KR20110081693A (en) Stem training device for vine plants
JP2003245016A (en) Plant cultivation device and plant cultivation bed
JP2023006344A (en)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to control microenvironment of plants
DK2599381T3 (en) Table greenhouse and method of plant cultivation in a greenhouse comprising a greenhouse corresponding table
KR20120079352A (en) Plant cultivating unit for window of a building
JP3661152B2 (en) Plant cultivation equipment
KR102660332B1 (en) Smart Farm Cultivator
NL1014378C2 (en) Horticultural greenhouse has at least first and second cultivation areas separated by path, with support devices in each area for supporting cultivation channels
JP2019037201A (en) Plant cultivation facility
JP4422368B2 (en) Greenhouse cultivation equipment
KR20140115866A (en) Bench system for greenh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