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2622A - 진단키트용 바이러스 검체 채취봉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진단키트용 바이러스 검체 채취봉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2622A
KR20220082622A KR1020200172686A KR20200172686A KR20220082622A KR 20220082622 A KR20220082622 A KR 20220082622A KR 1020200172686 A KR1020200172686 A KR 1020200172686A KR 20200172686 A KR20200172686 A KR 20200172686A KR 20220082622 A KR20220082622 A KR 20220082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collection
collection rod
sample
diagnostic kit
lifting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5778B1 (ko
Inventor
최기범
최영
Original Assignee
최기범
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기범, 최영 filed Critical 최기범
Priority to KR1020200172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778B1/ko
Publication of KR20220082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2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38Swabs having a stick-type handle, e.g. cotton tips
    • A61F13/385Apparatu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5/00Auxiliary appliances for wound dressings; Dispensing containers for dressings or bandages
    • A61F15/001Packages or dispensers for bandages, cotton balls, drapes, dressings, gauze, gowns, sheets, sponges, swabsticks or tow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2010/009Various features of diagnostic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2010/0216Sampling brus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단키트용 바이러스 검체 채취봉의 선단에 형성되는 검체부에 미세모를 부착시켜 식모함에 있어, 미세모 부착실 내벽부 양측에 음극망체와 양극 망체를 세워 설치하고, 이들간 사이의 상부측에서 승강 작동되는 덮개판에는 랙과 피니언에 의하여 정, 역회전 작동되는 회전작동구에 설치되는 집게부에 사출금형에서 여러개가 한조로 사출되어 나온 검체 채취봉 모듈을 선단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거꾸로 매어달아 장착하고, 하강시켜 상부 덮개를 닫은 상태에서 압축공기 노즐에 의하여 압축공기를 미세모 성형실 내부로 불어넣어 내부에 투입된 미세 나일론 섬유사 칩으로된 미세모를 정전기와 함께 비산시킴으로서 미세모가 날아서 부착될 때, 상향 경사각으로 골고루 잘 부착되어 경사각을 갖는 상태로 검체 채취봉의 검체부가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진단키트용 바이러스 검체 채취봉 제조장치{Virus sample collection rod manufacturing device for diagnostic kit}
본 발명은 진단키트용 바이러스 검체 채취봉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채취봉 선단의 검체부에 부착되는 미세모를 식모함에있어 삽입 방향으로 경사각을 갖도록 식모되게함으로써 삽입은 쉽고 끌어낼 때는 긁어내는 효과가 크게 향상되어 검체를 보다 용이하게 채취하기에 적합하도록한 바이러스 검체 채취봉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전염에 의하여 전염속도가 빠르고 치사율이 매우 높은 신종 인플루엔자가 전 세계적으로 크게 유행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많은 수의 감염자가 발생되고 있는 것은 물론, 신종 플루에 의한 다수의 사망자가 보고됨에 따라 신종 플루의 감염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가 전국의 병원이나 보건소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코로나바이러스(coronavirus)-19가 국내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전염되고 있는 추세이며, 코로나바이러스는 유행성 질환으로 호흡기를 통해 감염되며 증상이 거의 없는 감염 초기에 전염성이 강한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감염 후에는 인후통, 고열, 기침,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거쳐 폐렴으로 발전하여 심한 중증의 경우에는 사망에 이르기 까지 한다.
이에 따라, 코로나바이러스 확진환자가 거쳐간 공간에 있었던 모든 사람들의 감염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코로나바이러스 확진검사가 필수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확진속도가 빠른 코로나바이러스의 N차 감염을 방지하여 코로나바이러스의 확산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확진검사를 위해서는 피검사자로부터 검체를 채취하여야 하는 바, 코로나바이러스의 경우 호흡기 질환이기 때문에 실제 감염이 이루어지는 비강(鼻腔)이나 구강(口腔)의 내부에 검체 채취봉을 삽입한 후 비강이나 구강내벽의 점막으로부터 분비물을 채취하여 확진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예를 들어 비강으로부터 검체를 채취하는 경우에는 분비물이 가장 많이 나오는 부분인 비강의 내부벽에 닿도록 검체 채취봉을 삽입한 상태에서 검체 채취봉을 회전시키면서 분비물이 눈에 보일 정도로 충분한 양의 검체를 채취한다.
또한, 구강으로부터 검체를 채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피검사자가 입을 크게 벌리도록 한 다음 설압자(舌壓子)를 이용하여 혀를 누른 상태에서 분비물이 가장 많이 나오는 부분인 목구멍 내부벽의 편도선 표면이나 인후두 안쪽에 닿도록 검체 채취봉을 삽입하고 검체 채취봉을 회전시키면서 검체를 충분히 채취한다.
이와 같이 피검사자로부터 검체를 채취하기 위해 사용되는 채취봉은 대략 15∼20cm의 길이를 갖는 동일한 직경의 손잡이부와, 손잡이부 윗쪽 끝부분에 둥글게 감겨진 상태로 결합되며 감촉이 부드럽고 비강이나 구강내부의 분비물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미세섬유로된 미세모가 부착 식모된 채취부로 구성되며, 손잡이부를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검체 채취부를 피검자가의 비강 또는 구강 내부로 깊이 삽입한 후 손잡이를 돌려주는 동작에 의해 검체 채취부가 돌려지도록 하여 비강 또는 구강 내부벽의 분비물을 채취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바이러스 검체 채취봉 채취부에 식모되는 미세 섬유사로된 미세모를 식모함에 있어서는 종래의 경우 먼저 채취봉의 선단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미세섬유 칩으로된 미세모를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를 통과시켜 전정기를 발생시켜 정전기에 의하여 달라붙도록 하여 제조하게 되는 바, 채취봉의 검체 채취부를 양 전극판 사이를 수평으로 통과시켜 부착되게하므로써 미세모가 채취봉에 대하여 직각으로 수평되게 식모되어 구강이나 비강에 삽입하여 채취할 때, 미세모가 쉽게 젖혀지게되어 검체 시료가 충분히 잘 달라붙지 못하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공개실용 20-2011-0006452호인 검체 채취용 면봉은 부드러우면서 검체가 충분히 스며들 수 있도록 을 흡수성갖는 솜이나 천으로 이루어진 면봉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정해진 길이와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 선단부에 둥글게 감져진 형태로 결합되는 검체 채취부로 이루어지는 검체 채취용 면봉에 있어서, 상기 검체 채취부와 연결되는 손잡이부의 앞부분이 설계에 따라 정해진 길이범위에 걸쳐 손잡부의 직경의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도록 가늘게 형성된 굽힘부가 마련되고, 상기 손잡이부 외측 둘레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검체 채취를 위한 회전동작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다수의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둘레면상에는 배지용기에 수용되는 길이로 절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단일 또는 복수개의 절단선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검체 채취부와 연결되는 손잡이부의 앞부분이 쉽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하여 피검사자의 비강 또는 구강 내부의 점막이나 피부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피검사자에게 고통을 주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검체 채취부는 흡수성갖는 솜이나 천으로 이루져있기 때문에 비강등이 건조한 경우에는 잘 스며들지 않게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미세 나일론섬유 칩을 검체봉에 부착시켜 식모하는 통상적인 방법으로서, 도 1에서 도시된바와 같이 음극 철판(P101)과 양극 망체(P102) 사이에서 정전기를 발생시키는 상태에서 검체봉(101)을 수평으로 통과시키게되면, 도 2에서와 같이 검체봉(101)의 수직방향에 대하여 검체 채취부(102)에 정전기에 의하여 미세모(103)가 90°가되게 부착되어 식모가 이루어지게됨으로써, 비강이나 구강 내벽을 긁어 내릴때 미세모(103)가 쉽게 눕혀지게되어 검체 시료의 흡착률이 떨어지게되는 결점이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등록특허 10-1885871호(2018.07.31. 등록) 특허문헌 2 : 대한민국등록실용 20-0461928호(2012.08.08. 등록)
본 발명은 검체봉의 검체부를 형성하기위한 미세모 부착실 내부 양측에 수직 설치되어 정전기를 발생시키는 음극 망체와 양극 망체 사이에서 검체봉 모듈을 수직 승강시키는 것과 함께 정, 역회전시키고 동시에 압축공기를 불어넣어 미세모를 비산시켜 부착되게 함으로써 검체봉 선단의 검체부에 미세모가 부착될 때, 경사각을 갖는 상태로 부착되어 식모되게 하므로써 바이러스 검체 시료 채취시 비강이나 구강에 삽입할 때는 순결로써 용이하게 삽입이 이루어지고 긁어 낼때는 역결이되어 용이하게 시료가 잘 부착될 수 있도록 한 진단키트용 바이러스 검체 채취봉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진단키트용 바이러스 검체 채취봉 제조장치는, 검체봉의 선단에 형성되는 검체부에 미세모를 부착시켜 식모함에 있어, 미세모 성형실 내벽부 양측에 음극망체와 양극 망체를 세워 설치하고, 이들간 사이의 상부측에서 승강 작동되는 덮개판에는 랙과 피니언에 의하여 정, 역회전 작동되는 회전축에 설치되는 집게부에 사출금형에서 여러개가 한조로 사출되어 나온 검체 채취봉 모듈을 선단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거꾸로 매어달아 장착하고, 하강시켜 상부 덮개를 닫은 상태에서 압축공기 노즐에 의하여 압축공기를 미세모 성형실 내부로 불어넣어 내부에 투입된 미세 나일론 섬유사 칩으로된 미세모를 정전기와 함께 비산시킴으로서 미세모가 날아서 부착될 때, 상향 경사각으로 골고루 잘 부착되어 경사각을 갖는 상태로 검체 채취봉의 검체부가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진단키트용 바이러스 검체 채취봉을 제조함에 있어 채취봉의 선단에 검체부에 부착 식모되는 미세모의 식모 방향을 비강이나 구강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하여 순결이되게 경사지게 부착되도록 제조함으로써 삽입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검체 시료를 긁어 내어 끌어낼때는 역결이되어 검체 시료가 흡착이 충분히 잘 이루어져 검사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진단키트용 바이러스 검체 채취봉 제조방식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종래 제조방식에 의하여 제조된 검체 채취봉의 검체부 확대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 진단키트용 바이러스 검체 채취봉 제조방법의 공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 진단키트용 바이러스 검체 채취봉 제조방법의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 진단키트용 바이러스 검체 채취봉의 검체부 확대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접착제 도포공정에서 접착제에 함침시켜 도포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접착제 도포공정에서 접착제 함침 후 흔들어 털어내기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접착제 도포공정에서 접착제가 도포된 검체 채취봉 모듈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미세모 부착 식모장치의 승강 작동판 상승 개방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접착제 도포공정에서 접착제가 도포된 검체 채취봉 모듈을 미세모 부착 식모장치에 장착하는 상태를 보인 부분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미세모 부착 식모장치의 승강 작동판 하강 차단상태에서 미세모 부착 식모공정을 보인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미세모 부착 식모장치의 집게부 정, 역회전 구동장치를 보인 부분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의 검체 채취봉 모듈 배출공정에서 건조 및 이송공정으로의 건조실 투입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건조 및 이송공정의 건조로 외부 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의 검체 채취봉 개별 분리 포장공정에서의 포장작업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검체 채취봉 개별 분리 포장공정에서의 포장상태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키트용 바이러스 검체 채취봉 제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진단키트용 바이러스 검체 채취봉을 제조함에있어서는 순차 제조 공정에 의하여 제조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접착제 도포공정(S1), 검체 채취봉 모듈 장착공정(S2), 검체 채취봉 모듈 미세모 부착 식모공정(S3), 검체 채취봉 모듈 배출공정(S4), 건조 및 이송공정(S5), 및 검체 채취봉 개별 분리 포장공정(S6)이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상기 접착제 도포공정(S1)은, 접착제 회수통(5)의 상부측에 접착제통(4)이 횡으로 설치되며, 검체 채취봉 모듈(M)을 거꾸로 함침시켰을 때, 검체 채취봉(1)들의 각 선단부에 형성되는 검체부(2)가 담겨지는 높이로 접착제(B)가 담겨진 접착제통(4)에 도 6에서와 같이 검체 채취봉 모듈(M)을 거꾸로 잡고 접착제(B)에 함침시켜 선단부의 검체부(2)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하부측 접착제 회수통(5)에서 흔들어 과잉 도포된 접착제를 털어내 필요량 만큼만 검체부(2)에 얇게 도포되도록 한다.
상기 검체 채취봉 모듈 장착공정(S2)은, 상기 접착제 도포공정(S1)에서 검체부(2)에 접착제(B)가 도포된 검체 채취봉 모듈(M)을 미세모 부착 식모장치(6)에 거꾸로 매달리게 장착시킨 상태에서 미세모를 검체 채취봉 모듈(M)의 선단 검체부(2)에 미세 나일론 섬유사 칩으로 된 미세모(3)를 정전기와 압축공기에 의하여 비산시키면서 검체 채취봉 모듈(M)을 정, 역회전시켜 부착 식모하게된다.
이와 같은 작동에 의하여 미세모를 부착 식모하게되는 상기 미세모 부착 식모장치(6)는 하부측에 함체로된 미세모 부착실(7)이 구비되는데, 그 내부에는 미세 나일론 섬유사 칩으로된 미세모(3)가 충입되고 내측 전, 후에는 정전기 발생용 음극 망체(P1)와 양극 망체(P2)가 간격을 두고 세워 설치되고, 공기압축펌프(미도시)로부터 분기된 3개의 압축공기 공급관(8)과 분사노즐(9)에 의하여 상기 미세모 부착실(7) 내부로 압축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덮개판(10)에는 중앙에 횡으로 개구부(11)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11)를 상부측에서 승강 개폐하는 승강 작동판(12)은 덮개판(10)과 상부고정판(13) 사이의 사방 네개의 지주(14)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태로 상부 양측의 승강실린더(15)가 승강 작동판(12)을 승강 작동시키는 것에 따라 사방 네개의 지주(14)를 타고 승하강 작동하여 상기 덮개판(10)의 개구부(11)를 승강하면서 개폐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승강 작동판(12)의 하부측에 회동 가능토록 장착되는 3개의 집게(16)는 회전축(17)에 의해 승강 작동판(12)의 상부측에서 실린더(18)에 의하여 수평작동되는 랙크기어(19)와 치합되어 회전 되는 피니언(20)과 연결되어 정, 역회전이 가능토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미세모 부착 식모장치(6)에 의하여 미세모가 경사각을 갖도록 식모가 이루어지게되는데, 먼저 접착제가 도포된 검체 채취봉 모듈(M)을 랙크기어(19)와 치합되어 회전 되는 피니언(20)과 연결된 승강 작동판(12) 하부측에 장착된 집게(16)들에 각각 검체 채취봉 모듈(M)들을 거꾸로 장착시킨 다음 전원을 인가하여 승강실린더(15)를 작동 시키게되면 도 11에서와 같이 승강 작동판(12)이 하강하여 덮개판(10)과 겹쳐져 개구부(11)을 차폐하게되고, 동시에 압축펌프가 작동하여 압축공기 공급관(8)과 분사노즐(9)을 통하여 압축공기가 미세모 부착실(7)로 주입되면서 내부에 있던 미세모(3)들을 비산시키게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미세모 부착실(7)의 내벽부 양측에 설치된 음극망체(P1)과 양극 망체(P2)로부터는 정전기가 발생되어 미세모(3)가 검체 채취봉(1)의 접착제가 도포된 검체부(2)에 잘 달라붙도록하게되는데, 이때, 압축공기와 정전기 및 검체 채취봉 모듈(M)의 정, 역회전 작동에 의하여 접착 식모되는 미세모(3)는 상향 경사각으로 60~70°경사지게 달라붙게되어 도 5의 개념도에서와 같이 검체 채취봉(1)을 사용하기위하여 세웠을 때, 상향 경사각으로 식모가 이루어지게된다.
본 발명의 상기 검체 채취봉 모듈 배출공정(S4)은 도 13에서와 같이 미세모(3)의 식모가 이루어진 검체 채취봉 모듈(M)을 체인 컨베이어(21)에 장착된 고정지그(22)들에 맞추어 세워서 끼워 넣게되면, 건조실(23)로 이송되어 배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검체 채취봉 모듈 건조 및 이송공정(S5)은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형의 건조실(23)내부로 이송되면서 송풍 및 건조장치(24)에 의하여 건조가 이루어지는 상태로 완성 포장실로 이송된다.
본 발명의 상기 검체 채취봉 개별 분리 포장공정(S6)은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건조실(23)로부터 건조되어 배출되어 나오는 검체 채취용 모듈(M)로부터 개별 분리하여 검체 채취봉(1)을 소 포장단위로 도 16과 같이 비닐 조장지에 포장하여 포장작업을 완료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검체 채취봉 2 : 검체부
3 : 미세모 4 : 접착제통
5 : 접착제 회수통 6 : 미세모 부착 식모장치
7 : 미세모 부착실 8 : 압축공기 공급관
9 : 분사노즐 10 : 덮개판
11 : 개구부 12 : 승강작동판
13 : 상부 고정판 14 : 지주
15 : 승강실린더 16 : 집게
17 : 회전축 18 : 실린더
19 : 랙크기어 20 : 피니언
21 : 체인 컨베이어 22 : 지그
23 : 건조실 24 : 송풍 및 건조장치

Claims (1)

  1. 접착제 도포공정(S1), 검체 채취봉 모듈 장착공정(S2), 검체 채취봉 모듈 미세모 부착 식모공정(S3), 검체 채취봉 모듈 배출공정(S4), 건조 및 이송공정(S5), 및 검체 채취봉 개별 분리 포장공정(S4)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제조되는 진단키트용 바이러스 검체 채취봉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체 채취봉 모듈 미세모 부착 식모공정(S3)에서의 미세모 부착 식모장치(6)를 구성함에있어, 하부측에 함체로된 미세모 부착실(7)과 연결되게 외부측에서 공기압축펌프로부터 분기된 3개의 압축공기 공급관(8)과 분사노즐(9)에 의하여 상기 미세모 부착실(7) 내부로 압축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덮개판(10)에는 중앙에 횡으로 개구부(11)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11)를 상부측에서 승강 개폐하는 승강 작동판(12)은 덮개판(10)과 상부고정판(13) 사이의 사방 네개의 지주(14)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태로 상부 양측의 승강실린더(15)가 승강 작동판(12)을 승강 작동시키는 것에 따라 사방 네개의 지주(14)를 타고 승하강 작동하여 상기 덮개판(10)의 개구부(11)를 승강하면서 개폐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승강 작동판(12)의 하부측에 회동 가능토록 장착되는 3개의 집게(16)는 회전축(17)에 의해 승강 작동판(12)의 상부측에서 실린더(18)에 의하여 수평작동되는 랙크기어(19)와 치합되어 회전 되는 피니언(20)과 연결되어 정, 역회전이 가능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키트용 바이러스 검체 채취봉 제조장치.
KR1020200172686A 2020-12-10 2020-12-10 진단키트용 바이러스 검체 채취봉 제조장치 KR102445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686A KR102445778B1 (ko) 2020-12-10 2020-12-10 진단키트용 바이러스 검체 채취봉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686A KR102445778B1 (ko) 2020-12-10 2020-12-10 진단키트용 바이러스 검체 채취봉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622A true KR20220082622A (ko) 2022-06-17
KR102445778B1 KR102445778B1 (ko) 2022-09-20

Family

ID=82269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686A KR102445778B1 (ko) 2020-12-10 2020-12-10 진단키트용 바이러스 검체 채취봉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577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3663A (ja) * 2003-04-01 2007-08-23 コパン イノヴェイション リミテッド 生物学的検体の採取用スワブ
US20100249649A1 (en) * 2006-06-01 2010-09-30 Daniel Larki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collecting exocervical and endocervical samples
US20110282243A1 (en) * 2010-05-10 2011-11-17 Sanyo Co., Ltd. Swab
JP2012021953A (ja) * 2010-07-16 2012-02-02 Mk Medical Co Ltd 植毛ブラシ検査キ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拭き取り検査方法
KR200461928Y1 (ko) 2012-03-20 2012-08-14 손홍열 금형의 냉각유체 확인장치
JP2014083386A (ja) * 2012-10-26 2014-05-12 Shin Corporation Co Ltd 生体物質試料を採取及び移動させるための器具並びにその使用方法
WO2014207598A1 (en) * 2013-06-28 2014-12-31 Copan Italia S.P.A. A flocked swab and a method for collection and transfer of samples of biological material
KR101885871B1 (ko) 2016-04-18 2018-08-06 장영현 금형 냉각수 흐름 확인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3663A (ja) * 2003-04-01 2007-08-23 コパン イノヴェイション リミテッド 生物学的検体の採取用スワブ
US20100249649A1 (en) * 2006-06-01 2010-09-30 Daniel Larki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collecting exocervical and endocervical samples
US20110282243A1 (en) * 2010-05-10 2011-11-17 Sanyo Co., Ltd. Swab
JP2012021953A (ja) * 2010-07-16 2012-02-02 Mk Medical Co Ltd 植毛ブラシ検査キ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拭き取り検査方法
KR200461928Y1 (ko) 2012-03-20 2012-08-14 손홍열 금형의 냉각유체 확인장치
JP2014083386A (ja) * 2012-10-26 2014-05-12 Shin Corporation Co Ltd 生体物質試料を採取及び移動させるための器具並びにその使用方法
WO2014207598A1 (en) * 2013-06-28 2014-12-31 Copan Italia S.P.A. A flocked swab and a method for collection and transfer of samples of biological material
KR101885871B1 (ko) 2016-04-18 2018-08-06 장영현 금형 냉각수 흐름 확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5778B1 (ko) 202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47898B (zh) 一种医疗垃圾的处理方法
CN109010875A (zh) 一种便携式医用消毒盒
KR102445778B1 (ko) 진단키트용 바이러스 검체 채취봉 제조장치
KR102445776B1 (ko) 진단키트용 바이러스 검체 채취봉 제조방법
CN202453209U (zh) 一种生物检材采集、保存套管
CN204085944U (zh) 粪便样本采集器和粪便样本采集套件及马桶
CN203969001U (zh) 一种电动吸虫器
CN108377995A (zh) 一种小型昆虫用的分吸捕捉装置及使用方法
CN107738808A (zh) 一种检验科用样品保存箱
CN217336369U (zh) 一种朱顶红种植用种球消毒装置
CN217116881U (zh) 扦插式川芎苓种种植机的栽种器
CN206009011U (zh) 一种采血管适配器
CN212913246U (zh) 新冠病毒肺炎防护采样装置
CN204443835U (zh) 一种口吸式小型昆虫吸虫器
CN212212451U (zh) 跳虫捕获装置
CN213430241U (zh) 一种新型咽拭子采样器
CN108950700A (zh) 一种制备蓬松态纳米纤维的静电纺丝装置及方法
CN208402990U (zh) 一种小型昆虫用的分吸捕捉装置
CN207477581U (zh) 一种用于软骨移植微创手术的材料植入器
CN204579617U (zh) 一种吸虫器
CN206745381U (zh) 一种儿童口腔取样装置
CN219397345U (zh) 采样拭子及采样装置
CN207056630U (zh) 一种血样试管放置盒
CN217304466U (zh) 一种痰液涂片检测用竹签折断装置
CN209778837U (zh) 一种猪卵捡卵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