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2427A - Automatic Visualiz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eterogeneous Hologram-Like Systems - Google Patents

Automatic Visualiz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eterogeneous Hologram-Like System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2427A
KR20220082427A KR1020200172324A KR20200172324A KR20220082427A KR 20220082427 A KR20220082427 A KR 20220082427A KR 1020200172324 A KR1020200172324 A KR 1020200172324A KR 20200172324 A KR20200172324 A KR 20200172324A KR 20220082427 A KR20220082427 A KR 20220082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hologram
pseudo
systems
reflective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3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동식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72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2427A/en
Publication of KR20220082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242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3/00Optical components
    • G03H2223/24Reflector; Mirr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lo 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기종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간 콘텐츠 자동 가시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타입, 반사거울 면수, 각 반사거울의 높이 및 폭 정보를 포함하는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속성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콘텐츠를 상기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속성 정보에 따라 변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변환된 콘텐츠를 상기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에 출력하여 투영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기종의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에 동일한 콘텐츠를 실행하더라도 이종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간의 자연스럽게 콘텐츠가 가시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콘텐츠 제작자는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의 구성을 고려하지 않고 콘텐츠만 제작하면 되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visualizing content between heterogeneous similar hologram systems, and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type of a similar hologram system, the number of reflective mirrors, and height and width of each reflective mirror. The method includes receiving information, convert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roperty information of the pseudo-hologram system, and outputting and projecting the converted content to the pseudo-hologram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same content is executed in heterogeneous similar hologram system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content can be naturally visualized between heterogeneous similar hologram systems.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ontent creator only needs to produce the content without consider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seudo-hologram system.

Description

이기종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간 콘텐츠 자동 가시화 방법 및 장치{Automatic Visualiz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eterogeneous Hologram-Like Systems}Automatic Visualiz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eterogeneous Hologram-Like Systems

본 발명은 이기종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간 콘텐츠 자동 가시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content visualization between heterogeneous pseudo-hologram systems.

최근, 사용자들에게 몰입감 높은 실감 콘텐츠를 이용하여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혼합현실(MR) 등 기술이 크게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콘텐츠를 가시화하기 위한 HMD(Head-mounted display)와 같은 몰입형 장치의 경우 사용자가 착용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 아니라 좁은 시야각(Field of view)만을 제공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착용형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다수의 사용자가 한꺼번에 동일한 콘텐츠를 보는 협업환경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시스템 구성 및 콘텐츠 제작 방법이 보다 복잡해진다. 이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별도의 착용형 장치가 필요없는 홀로그램 시스템의 개발이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홀로그램은 빛의 간섭 효과를 기반으로 허공에 가상의 콘텐츠가 투영되는 효과를 제공하는 기법이지만 현재 천연색의 콘텐츠를 가시화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고,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객체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콘텐츠를 표현하기에는 아직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허공에 가상의 콘텐츠를 실물 크기(life-size)로 가시화하는 유사홀로그램(hologram-like) 시스템이 몰입 경험기회를 제공하고, 협업을 위한 콘텐츠 경험을 제공하는데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즉,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은 가상의 콘텐츠가 허공에 띄워져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플로팅(floating) 효과를 제공하여 기존의 디스플레이보다 대규모의 사용자에게 실감적인 체험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은 먼저 효과적인 체험 제공을 위해 설치 현장의 특성에 맞추어 하드웨어(H/W)를 설정한다. 그리고 체험하는 콘텐츠의 속성에 맞게 대형 단일 스크린(2m 이상) 형태의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피라미드 형태(3면 혹은 4면)의 시스템까지 다양한 형태도 구성할 수가 있다. 이 때 여러 가지 형태의 하드웨어 구성을 가지는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은 객체가 투영되는 면의 개수, 면의 각도, 디스플레이 사이즈, 콘텐츠의 위치, 인터페이스 위치 등 다양한 시각화 요소가 고려되어야 하고,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내부의 적절하게 가시화되는 가상 객체(virtual object)가 배치되어야 한다. 하지만, 동일한 가상 객체를 가시화하기 위해 콘텐츠를 실행하더라도 여러 가지 모양을 가진 하드웨어 특성을 가지는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에 적용할 때마다 시각화 요소들(가상 카메라 각도, 시야각, 개수 등)을 고려하여 콘텐츠 설정을 변경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즉,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에 따라 콘텐츠를 변형하고, 재구성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Recently, technologies such as virtual reality (VR), augmented reality (AR), and mixed reality (MR) for providing users with experiences using immersive, realistic content have been greatly developed. However, in the case of an immersive device such as a head-mounted display (HMD) for visualizing content, there is a limitation in providing only a narrow field of view as well as inconvenience in having to wear it. In addition, when a wearable device is used and a collaborative environment in which multiple users view the same content at once is configured, the system configuration and content creation method become more complicated. As a way to overcome this, the development of a hologram system that provides convenience to users and does not require a separate wearable device is being actively developed in recent years. Hologram is a technique that provides the effect of projecting virtual content into the air based on the interference effect of light, but it currently has limitations in visualizing natural-colored content. There are still difficulties. Therefore, a hologram-like system that visualizes virtual content in the air in life-size is actively used to provide an immersive experience opportunity and to provide a content experience for collaboration. That is, the pseudo-hologram system provides a floating effect that makes virtual content appear to be floating in the air, and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realistic experience to large-scale users compared to conventional displays. In this pseudo-hologram system, hardware (H/W) is se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allation site in order to provide an effective experienc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the content to be experienced, various types can be configured, from a large single screen (more than 2m) type pseudo-hologram system to a pyramid type system (3 or 4 sides). At this time, for the pseudo hologram system having various types of hardware configuration, various visualization factors such as the number of surfaces on which the object is projected, the angle of the surface, the display size, the location of the content, and the interface location should be considered,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inside of the pseudo hologram system should be considered. A virtual object that can be clearly visualized should be placed. However, even if the content is executed to visualize the same virtual object, the content setting is ch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visualization elements (virtual camera angle, viewing angle, number, etc.) I have a problem that needs to be done. That is, it is cumbersome to deform and reconfigure content according to the hardware configuration of the pseudo-hologram system.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형태의 하드웨어를 가지는 이종의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간에 동일한 콘텐츠를 자동으로 가시화하기 위한 이기종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간 콘텐츠 자동 가시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visualizing content between heterogeneous similar hologram systems for automatically visualizing the same content between heterogeneous similar hologram systems having various types of hardware.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반사거울로 이루어진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간 콘텐츠 자동 가시화 방법은,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타입, 반사거울 면수, 각 반사거울의 높이 및 폭 정보를 포함하는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속성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콘텐츠를 상기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속성 정보에 따라 변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변환된 콘텐츠를 상기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에 출력하여 투영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for automatically visualizing content between similar hologram systems comprising one or more reflective mirr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the display type of the holographic-like system, the number of reflective mirrors, and height and width information of each reflective mirror The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the pseudo-hologram system property information, convert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seudo-hologram system property information, and outputting and projecting the converted content to the pseudo-hologram system.

상기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반사거울 각각에 대응하는 가상 카메라의 시야각 및 위치를 결정하여 대응하는 반사거울에 상기 콘텐츠가 투영되도록 변환할 수 있다.The viewing angle and position of a virtual camera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one or more reflective mirrors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pseudo-hologram system property information, and the content may be converted to be projected on the corresponding reflective mirror.

상기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속성 정보는 상기 콘텐츠가 상기 반사거울에 투영되는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위치 조정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imilar hologram system property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position adjustment information for adjusting a position at which the content is projected on the reflective mirror.

상기 위치 조정 정보는, 미리 정해진 프리미티브 데이터를 상기 하나 이상의 반사거울에 투영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반사거울 상에서 콘텐츠 위치 조정을 위해 입력되는 값으로 정해질 수 있다.The position adjustment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as a value input by a user for content position adjustment on a reflective mirror in a state in which predetermined primitive data is projected onto the one or more reflective mirrors.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반사거울로 이루어진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간 콘텐츠 자동 가시화 장치는,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타입, 반사거울 면수, 각 반사거울의 높이 및 폭 정보를 포함하는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속성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콘텐츠를 상기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속성 정보에 따라 변환하는 변환부, 그리고 상기 변환된 콘텐츠를 상기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에 출력하여 투영시키는 출력부를 포함한다.An apparatus for automatic content visualization between similar hologram systems comprising one or more reflective mirr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display type of the holographic similar system, the number of reflective mirrors, and height and width information of each reflective mirror. It includ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the pseudo-hologram system property information, a converting unit for converting content according to the similar hologram system property information,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converted content to the pseudo-hologram system and projecting it.

본 발명에 의하면 이기종의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에 동일한 콘텐츠를 실행하더라도 이종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간의 자연스럽게 콘텐츠가 가시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콘텐츠 제작자는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의 구성을 고려하지 않고 콘텐츠만 제작하면 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same content is executed in heterogeneous similar hologram system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content can be naturally visualized between heterogeneous similar hologram systems.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ontent creator only needs to produce the content without consider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seudo-hologram system.

도 1은 대형 단일 스크린을 이용 프로젝션 방식의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의 구성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3면 피라미드형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을 예시한 것이다.
도 3은 4면 피라미드형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을 예시한 것이다.
도 4는 3면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에서 물리적인 디스플레이에 표현된 가상 객체를 가시화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간 콘텐츠 자동 가시화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속성 정보 입력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속성 정보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1 show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projection-type pseudo-hologram system using a large single screen.
2 illustrates a three-sided pyramid-like hologram system.
3 illustrates a four-sided pyramid-like hologram system.
4 shows an example of visualizing a virtual object expressed on a physical display in a three-sided pseudo-hologram system.
5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automatic content visualization between heterogeneous similar hologram syste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ample of a pseudo-hologram system attribute information input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seudo-hologram system attribut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tent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The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대형 단일 스크린을 이용 프로젝션 방식의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의 구성 예를 나타낸 것이다. 1 show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projection-type pseudo-hologram system using a large single screen.

도 1을 참고하면 실제 무대에 위치한 사람(4)과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에 의해 투영될 가상 객체(3)는 실제로는 같은 공간에 위치하고 있지 않지만 빔프로젝터(1)에서 투영된 빛이 반투명 스크린(2)에 반사되어 사용자(5)는 투영된 객체와 실제 객체가 실제로 같이 있다고 느껴진다.Referring to FIG. 1 , the person 4 located on the actual stage and the virtual object 3 to be projected by the pseudo-hologram system are not actually located in the same space, but the light projected from the beam projector 1 is reflected on the translucent screen 2 The user 5 feels that the projected object and the real object are actually together.

도 2는 3면 피라미드형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을 예시한 것이고, 도 3은 4면 피라미드형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을 예시한 것이다.2 illustrates a three-sided pyramid-like hologram system, and FIG. 3 illustrates a four-sided pyramid-like hologram system.

도 2에서 예시한 3면 피라미드형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은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모니터, 정면/좌면/우면을 가시화하기 위한 3개의 반투명 스크린으로 구성이 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예시한 4면 피라미드형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은 4면의 디스플레이 형태가 있다. 4면의 피라미드형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은 3면의 시스템에 후면까지 포함된 형태라고 할 수 있다.The hardware configuration of the three-sided pyramid-like hologram system illustrated in FIG. 2 is composed of a monitor for displaying content, and three translucent screens for visualizing the front/left/right side. And the four-sided pyramid-like hologram system illustrated in FIG. 3 has a display form of four sides. The four-sided pyramid-like hologram system can be said to include the back side of the three-sided system.

이러한 피라미드형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에서 실제 가상객체가 비춰지는 모니터를 상단이나 하단에 배치한 후 모니터에서 나오는 가상객체를 기울어진 반투명 스크린에 비춰 가상객체가 반투명 스크린에 비춰지도록 하고, 영상이 투영될 면의 개수와 위치에 맞게 모니터에 배치시켜야 한다. 이를 통해 피라미드형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을 관찰하는 사용자는 반투명 스크린에 비춰진 가상객체를 관찰함으로써 다양한 방향에서 가상객체가 공간감을 느낄 수가 있다. 이때 콘텐츠 제작자는 반투명 스크린의 크기, 각도, 면의 수 등 고려하여 가상객체의 위치를 설정하고, 콘텐츠를 제작하여야 한다. In such a pyramid-like hologram system, after placing the monitor on which the real virtual object is projected on the top or the bottom, the virtual object coming out of the monitor is projected on the inclined semi-transparent screen so that the virtual object is reflected on the semi-transparent screen, It should be placed on the monitor according to the number and position. Through this, the user observing the pyramid-like hologram system can feel the spatial sense of the virtual object from various directions by observing the virtual object projected on the translucent screen. In this case, the content creator should set the location of the virtual object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angle, and number of sides of the translucent screen, and then create the content.

도 4는 3면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에서 물리적 디스플레이에 표현된 가상 객체를 가시화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4 shows an example in which a virtual object expressed on a physical display is visualized in a three-sided pseudo-hologram system.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은 설치될 장소의 특성 및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하드웨어 구성이 가능하다. 단일 프로젝션 방식, 피라미드형 방식처럼 투영면 개수의 차이에서부터 디스플레이(혹은 모니터)의 각도, 영상표현을 위한 가시화 콘텐츠의 배치 위치, 반투명 디스플레이와 영상 재생 디스플레이의 크기 및 방향 등 다양한 요소에서의 차이점이 발생할 수가 있다.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하드웨어 구성특성에 맞춰 콘텐츠를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의 시각화 구성요소에 대한 보정 작업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같은 입력 콘텐츠(혹은 영상)라고 하더라도 서로 다른 형태의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에 적용하고자 할 때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의 하드웨어 특성을 파악하여 해당 콘텐츠를 몇 개의 면으로 분할하여야 하는지 고려되어야 하고, 타겟 유사홀로그램 시스템과 입력 콘텐츠간의 상관관계를 사전에 정의하고, 이를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보정하여야 한다. 즉,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의 특성에 따라 별도로 콘텐츠를 다시 설계하고 재조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된다.As already mentioned, the pseudo-hologram system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to be installed and the purpose of use. Differences may occur in various factors, such as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rojection surfaces, the angle of the display (or monitor),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visualization content for image expression, the size and direction of the translucent display and the image reproduction display, like the single projection method and the pyramid method. have. In order to optimize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se various types of hardware configuration characteristics, it is necessary to correct the visualization components of various pseudo-hologram systems. For example, when applying the same input content (or video) to different types of similar hologram system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hardware characteristics of the similar hologram system and consider how many sides the corresponding content should be divided into, and target similarit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ologram system and the input content should be defined in advance and corrected based on the parameters. That 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redesign and readjust the contents separate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seudo-hologram system occur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간 콘텐츠 자동 가시화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속성 정보 입력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속성 정보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다.5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visualizing contents between heterogeneous hologram-like syste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exemplifies a hologram-like system property information input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seudo-hologram system attribut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tent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입력부(510), 변환부(530) 및 출력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put unit 510 , a conversion unit 530 , and an output unit 550 .

입력부(510)는 도 6에 예시한 것과 같은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속성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The input unit 510 may display a screen as illustrated in FIG. 6 and receive similar hologram system property information from a user.

도 6의 윗 부분은 3면 피라미드형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의 속성 정보 입력 화면을 예시한 것으로,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 타입을 '피라미드(Pyramid)'로 선택받고, 반사거울 면수를 '3-Side'로 선택받은 것을 예시하고 있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전면 반사거울(10F), 좌측 반사거울(10L) 및 우측 반사거울(10R)의 높이(Height)와 폭(Width)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The upper part of FIG. 6 exemplifies the attribute information input screen of the three-sided pyramid-like hologram system, in which the user selects the display type as 'Pyramid' and the number of reflective mirror surfaces as '3-Side' exemplifies that In addition, height and width information of the front reflective mirror 10F, the left reflective mirror 10L, and the right reflective mirror 10R may be input from the user.

그리고 전면 반사거울(10F), 좌측 반사거울(10L) 및 우측 반사거울(10R) 각각에서의 콘텐츠 위치 미세 조정을 위한 위치 정보(Position X, Position Y)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Position X는 각 반사거울의 중심(Center)으로부터 콘텐츠를 좌우로 위치 조정하여 표시되게 하는 값이고, Position Y는 각 반사거울의 밑변으로부터 높이를 상하로 위치 조정하여 표시되게 하는 값이다.In addition, position information (Position X, Position Y) information for fine adjustment of content positions in each of the front reflective mirror 10F, the left reflective mirror 10L, and the right reflective mirror 10R may be received. Position X is a value for displaying content by adjusting the position left and right from the center of each reflective mirror, and Position Y is a value for displaying by adjusting the height from the base of each reflective mirror up and down.

미리 정해진 패턴(예컨대 삼각형 등)을 가지는 프리미티브 데이터를 출력부(550)를 통해 출력하여 반사거울에 투영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를 보면서 반사거울 상에서 콘텐츠 위치를 미세 조정하고, 이에 대응하는 Position X과 Position Y이 위치 조정값으로 입력될 수 있다. In a state in which primitive data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eg, triangle, etc.)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550 and projected on the reflective mirror, the user watches it and finely adjusts the position of the content on the reflective mirror, and the corresponding Position X and Position Y may be input as a position adjustment value.

도 6의 아랫 부분 4면 피라미드형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의 속성 정보 입력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 6의 아랫 부분에서는 후면 반사거울(Back)에 대한 높이, 폭, 미세조정 위치 정보를 입력받는 란이 추가로 표시되어 있다.The lower part of FIG. 6 exemplifies the attribute information input screen of the four-sided pyramid-like hologram system. In the lower part of FIG. 6 , a column for inputting height, width, and fine adjustment position information for the rear reflection mirror (Back) is additionally displayed.

변환부(530)는 입력된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속성 정보에 따라 콘텐츠를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변환부(530)는 하나 이상의 반사거울 각각에 대응하는 가상 카메라의 시야각 및 위치를 결정하여 대응하는 반사거울에 상기 콘텐츠가 투영되도록 변환할 수 있다.The conversion unit 530 may convert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input pseudo-hologram system property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conversion unit 530 may determine the viewing angle and position of a virtual camera corresponding to each of one or more reflective mirrors, and may convert the content to be projected on the corresponding reflective mirror.

도 7에서 좌측은 3면 피라미드형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의 3개의 반사 거울(10F, 10L, 10R) 각각을 나타낸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사 홀로그램 시스템의 반사거울은 도 7에 예시한 것과 같이 대부분의 경우 대칭 구조이다.The left side in FIG. 7 shows each of the three reflection mirrors 10F, 10L, and 10R of the three-sided pyramid-like hologram system. In general, the reflective mirror of the pseudo hologram system has a symmetrical structure in most cases as illustrated in FIG. 7 .

한편 도 7에서 우측은 출력부(550)에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출력부(550)는 스마트폰의 LED 모듈, LCD 모듈, OLED 모듈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현할 수 있다.Meanwhile, the right side in FIG. 7 illustrates a screen displayed on the output unit 550 . The output unit 550 may be implemented as a display module such as an LED module, an LCD module, or an OLED module of a smartphone.

출력부(550)에는 3개의 반사 거울(Front, Left, Right) 각각에 대응하는 전면 영역(20F), 좌측 영역(20L) 및 우측 영역(20R)으로 화면이 분할되고, 각 분할된 영역에 해당하도록 변환된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다.In the output unit 550, the screen is divided into a front area 20F, a left area 20L, and a right area 20R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three reflection mirrors (Front, Left, Right), and corresponding to each divided area. The converted content may be output.

출력부(550)에서 각각의 영역(20F, 20L, 20R)에 출력되는 콘텐츠는 각각의 대응하는 반사 거울(10F, 10L, 10R)에 투영되어 가상 객체를 가시화할 수 있다.The content output from the output unit 550 to each of the regions 20F, 20L, and 20R may be projected onto the corresponding reflective mirrors 10F, 10L, and 10R to visualize the virtual object.

한편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이 4면 피라미드형이면, 출력부(550)에 표시되는 화면이 4개 영역으로 분할되고, 분할된 각 영역에 4개의 반사거울에 투영될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pseudo-hologram system is a four-sided pyramid, the screen displayed on the output unit 550 may be divided into four regions, and content to be projected on the four reflective mirrors may be output in each of the divided regions.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스마트폰과 같은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물론 모니터에 화면을 출력할 수 있는 컴퓨터 장치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마트폰 화면 위에 3면 또는 4면 피라미드형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을 위에 놓은 상태에서 콘텐츠를 출력하면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은 유사홀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와 같은 출력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며, 빔 프로젝터로 3면 또는 4면 피라미드형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에 본 발명에 따라 변환된 콘텐츠를 출력하여 유사홀로그램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devices such as smartphones.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it to a computer device that can output a screen to a monitor. If the content is output with the three- or four-sided pyramid-type pseudo-hologram system placed on top of the smartphone screen, the pseudo-hologram as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It is also applicable to an output device such as a monitor, and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the pseudo-hologram by outputting the content conver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 three- or four-sided pyramid-type pseudo-hologram system with a beam projector.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by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or a combination of a hardware component and a software component. For example, the apparatus, method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gate (FPGA) array),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a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A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lthough one processing device is sometimes described as being used,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can include For example,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parallel processors.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Software may compris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thereof, which configures a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is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processed You can command the device. The software and/or data may be any kind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apparatus, to be interpreted by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the processing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y in a transmitted signal wave.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i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such as floppy disks. - include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apply various technical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ased on the above.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and/or the described components of the system, structure, apparatus,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may achieve an appropriate result.

Claims (8)

하나 이상의 반사거울로 이루어진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간 콘텐츠 자동 가시화 방법에 있어서,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타입, 반사거울 면수, 각 반사거울의 높이 및 폭 정보를 포함하는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속성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콘텐츠를 상기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속성 정보에 따라 변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변환된 콘텐츠를 상기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에 출력하여 투영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간 콘텐츠 자동 가시화 방법.
In the automatic content visualization method between similar hologram systems consisting of one or more reflective mirrors,
Receiving an input of pseudo-hologram system property information including display type of the pseudo-hologram system, the number of reflective mirrors, and height and width information of each reflective mirror;
convert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seudo-hologram system property information; and
Projecting the converted content by outputting it to the pseudo-hologram system
A method for automatic content visualization between pseudo-hologram systems, including:
제 1 항에서,
상기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반사거울 각각에 대응하는 가상 카메라의 시야각 및 위치를 결정하여 대응하는 반사거울에 상기 콘텐츠가 투영되도록 변환하는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간 콘텐츠 자동 가시화 방법.
In claim 1,
A method for automatically visualizing content between similar hologram systems by determining a viewing angle and a position of a virtual camera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one or more reflective mirrors based on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hologram-like system and converting the content to be projected on the corresponding reflective mirror.
제 2 항에서,
상기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속성 정보는 상기 콘텐츠가 상기 반사거울에 투영되는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위치 조정 정보를 더 포함하는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간 콘텐츠 자동 가시화 방법.
In claim 2,
The similar hologram system property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position adjustment information for adjusting a position at which the content is projected on the reflective mirror.
제 3 항에서,
상기 위치 조정 정보는,
미리 정해진 프리미티브 데이터를 상기 하나 이상의 반사거울에 투영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반사거울 상에서 콘텐츠 위치 조정을 위해 입력되는 값으로 정해지는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간 콘텐츠 자동 가시화 방법.
In claim 3,
The position adjustment information,
A method for automatically visualizing content between pseudo-hologram systems, which is determined as a value input by a user for content position adjustment on a reflective mirror in a state in which predetermined primitive data is projected onto the one or more reflective mirrors.
하나 이상의 반사거울로 이루어진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간 콘텐츠 자동 가시화 장치에 있어서,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타입, 반사거울 면수, 각 반사거울의 높이 및 폭 정보를 포함하는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속성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콘텐츠를 상기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속성 정보에 따라 변환하는 변환부, 그리고
상기 변환된 콘텐츠를 상기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에 출력하여 투영시키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간 콘텐츠 자동 가시화 장치.
In the automatic content visualization device between similar hologram systems consisting of one or more reflective mirror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pseudo-hologram system property information including display type of the pseudo-hologram system, the number of reflective mirrors, and height and width information of each reflective mirror;
A conversion unit that converts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similar hologram system property information, and
An output unit for projecting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content to the pseudo-hologram system
A device for automatic content visualization between pseudo-hologram systems, including:
제 5 항에서,
상기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반사거울 각각에 대응하는 가상 카메라의 시야각 및 위치를 결정하여 대응하는 반사거울에 상기 콘텐츠가 투영되도록 변환하는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간 콘텐츠 자동 가시화 장치.
In claim 5,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visualizing content between similar hologram systems by determining a viewing angle and a position of a virtual camera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one or more reflective mirrors based on the property information of the hologram-like system and converting the content to be projected on the corresponding reflective mirror.
제 6 항에서,
상기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속성 정보는 상기 콘텐츠가 상기 반사거울에 투영되는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위치 조정 정보를 더 포함하는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간 콘텐츠 자동 가시화 장치.
In claim 6,
The similar hologram system property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position adjustment information for adjusting a position at which the content is projected on the reflective mirror.
제 7 항에서,
상기 위치 조정 정보는,
미리 정해진 프리미티브 데이터를 상기 하나 이상의 반사거울에 투영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반사거울 상에서 콘텐츠 위치 조정을 위해 입력되는 값으로 정해지는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간 콘텐츠 자동 가시화 장치.




In claim 7,
The position adjustment information,
An apparatus for automatic content visualization between pseudo-hologram systems, which is determined as a value input by a user for content position adjustment on a reflective mirror in a state in which predetermined primitive data is projected onto the one or more reflective mirrors.




KR1020200172324A 2020-12-10 2020-12-10 Automatic Visualiz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eterogeneous Hologram-Like Systems KR2022008242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324A KR20220082427A (en) 2020-12-10 2020-12-10 Automatic Visualiz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eterogeneous Hologram-Like Syste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324A KR20220082427A (en) 2020-12-10 2020-12-10 Automatic Visualiz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eterogeneous Hologram-Like System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427A true KR20220082427A (en) 2022-06-17

Family

ID=82269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324A KR20220082427A (en) 2020-12-10 2020-12-10 Automatic Visualiz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eterogeneous Hologram-Like System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242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won et al. A study of layout, rendering, and interaction methods for immersive graph visualization
US9977493B2 (en) Hybrid display system
US9858711B2 (en) Efficient computation of shadows for circular light sources
Manjrekar et al. CAVE: an emerging immersive technology--a review
US10719912B2 (en) Scaling and feature retention in graphical elements defined based on functions
US10628995B2 (en) Anti-aliasing of graphical elements defined based on functions
JP2016018560A (en) Device and method to display object with visual effect
US1102426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for simulating a display installation
US10825234B2 (en) Previewing 3D content using incomplete original model data
US11082673B2 (en) Projecting images and videos onto engineered curved surfaces
TW202040222A (en) Multi-projector display architecture
US11887208B2 (en) Camera intrinsic calibration
US20230251710A1 (en) Virtual, augmented, and mixed reality systems and methods
KR20220082427A (en) Automatic Visualiz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eterogeneous Hologram-Like Systems
US11818325B2 (en) Blended mode three dimensional display systems and methods
CN106560864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 illumination
KR102087914B1 (en) Hologram screen segmentation optimization device and method with 3d data
US10339722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235679B1 (en) Device and method to display object with visual effect
KR20170104255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3-Demension Display And Method Of Thereof
US20050270287A1 (en) Image processing
EP3525458A1 (en) Projecting images and videos onto curved fabricated surfaces
Nahon Building Immersive VR Experiences for the General Public: Technical, Economic and Ergonomic Cho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