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2322A - Apparatus for drawable partition and Desk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rawable partition and Desk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2322A
KR20220082322A KR1020200172115A KR20200172115A KR20220082322A KR 20220082322 A KR20220082322 A KR 20220082322A KR 1020200172115 A KR1020200172115 A KR 1020200172115A KR 20200172115 A KR20200172115 A KR 20200172115A KR 20220082322 A KR20220082322 A KR 20220082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desk
side plate
guide groove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1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31298B1 (en
Inventor
김태환
Original Assignee
김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환 filed Critical 김태환
Priority to KR1020200172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298B1/en
Publication of KR20220082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23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2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4Partitio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4Writing-tables with secret or fireproof compartments ; Trays or the like countersunk in the table top and obturable, e.g. by means of a roller or sliding shut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 A47B19/1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paper clamps, line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4Tables combined with other pieces of furniture
    • A47B83/045Tables combined with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5Linkable dependent elements with the same or similar cross-section, e.g. cabinets linked together, with a common separation wall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출식 칸막이 및 이를 포함하는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칸막이, 칸막이를 관통하며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홈 및 가이드홈에 수용되며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책상 사이에 형성된 간격부에 칸막이가 수용되는 수납동작 및 간격부로부터 칸막이가 인출되는 인출동작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가이드부재는 간격부에 구비되어 인접한 두 개의 책상을 칸막이의 두께보다 더 멀리 이격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식 칸막이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ll-out partition and a desk including the same. and a guide member formed to guide a receiving operation to be stored and a drawing operation with which the partition is drawn out from the spacer, wherein the guide member is provided in the spacer and is formed to separate two adjacent desks furth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artition A pull-out partition device is provided.

Description

인출식 칸막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책상{Apparatus for drawable partition and Desk including the same}Apparatus for drawable partition and Desk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출식 칸막이 및 이를 포함하는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칸막이를 수납하여 책상 간의 공간확보을 확보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로 인해 칸막이 시공 및 교체의 편의성이 높은 인출식 칸막이 및 이를 포함하는 책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ll-out partition and a desk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secure space between desks by accommodating the partition, and is highly convenient for partition construction and replacement due to a simple structure, and a desk including the same will be.

일반적으로 독서실 또는 북 카페는 여러 명이 동시에 공부하는 공간이며, 장시간 책을 보거나 집중하여 공부해야 하는 경우 등에 주로 이용된다. 독서실 또는 북 카페에 사용되는 책상과 책상 사이에는 이용자의 독립된 공간을 보장해주기 위해 칸막이가 설치된다.In general, a reading room or a book cafe is a space where several people study at the same time, and is mainly used when reading a book for a long time or studying with concentration. A parti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desk and the desk used in a reading room or book cafe to ensure an independent space for users.

기존의 책상과 책상 사이에 설치되는 칸막이는 고정형이어서 공간활용도가 낮았다. 이에 설치된 칸막이가 필요 없을 경우에 내부로 밀어넣어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책상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6882호에서 개시된 바 있다. The partition installed between the existing desk and the desk was of a fixed type, so space utilization was low. A desk that can be pushed inside to increase space utilization when there is no need for a partition installed therein has been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36882.

하지만, 등록된 실용신안은 슬라이드레일이 측면판과 칸막이에 동일 선상으로 설치되어야지만 원활하게 작동함으로 설치작업이 어려워 작업능률이 떨어짐에 따라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registered utility model, the slide rail should be installed on the same line as the side plate and the partition, but since it works smoothly, the installation work is difficult, and the work efficiency is lowered, so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work time.

또한, 칸막이가 나오고 들어갈 때, 칸막이의 슬라이드레일이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으며, 슬라이드레일이 휨 변형을 일으키는 등 고장이 잦아 슬라이드레일 교체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슬라이드레일을 고정시킨 스크류가 측면판과 칸막이에서 풀려 이탈됨으로 재조립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partitions come out and enter, the slide rails of the partitions are exposed and are not aesthetically pleasing. There was a cumbersome problem in that it had to be reassembled because it was released from the .

등록실용신안 제20-0336882호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36882

본 발명은 일 실시예를 통하여, 인출과 수납이 가능한 칸막이가 구비된 인출식 칸막이 및 이를 포함하는 책상을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ull-out partition equipped with a partition that can be pulled out and stored, and a desk including the same, through one embodiment.

또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를 통하여, 구성이 간단하여 칸막이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한 인출식 칸막이 및 이를 포함하는 책상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n embodiment, is to provide a pull-out partition that has a simple configuration and is easy to install and replace the partition and a desk includ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를 통하여, 칸막이 인출 시 레일과 같은 칸막이의 이동을 위한 부속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인출식 칸막이 및 이를 포함하는 책상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rough an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ull-out partition and a desk including the same in which accessories for moving the partition, such as a rail,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partition is pulled out.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칸막이; 상기 칸막이를 관통하며,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홈; 및 상기 가이드홈에 수용되며,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책상 사이에 형성된 간격부에 상기 칸막이가 수용되는 수납동작 및 상기 간격부로부터 상기 칸막이가 인출되는 인출동작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간격부에 구비되어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책상을 상기 칸막이의 두께보다 더 멀리 이격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식 칸막이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partition; a guide groove passing through the partition and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a guide member accommodated in the guide groove and configured to guide a receiving operation in which the partition is accommodated in a gap portion formed between two adjacent desks and an extraction operation in which the partition is drawn out from the gap portion; The guide member is provided in the spacer to provide a pull-out parti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separate the two adjacent desks furth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artition.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책상 중 제1책상의 측판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제1몸체;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책상 중 제2책상의 측판에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제2몸체; 및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를 상호 연결시키며,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이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member may include a first body formed to be fixed to a side plate of a first desk among the two adjacent desks; a second body formed to contact a side plate of a second desk among the two adjacent desks; and a spacer configured to connect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to each other, and to adjust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상기 제1몸체는 볼트가 관통하도록 형성된 체결공이 구비되며, 상기 이격부는 상기 체결공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1몸체의 단면적보다 더 작은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body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hole through which the bolt passes, and the spacer may have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body so that the fastening hole is exposed.

상기 제1몸체를 관통하며, 상기 제1책상을 상기 제1몸체측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제1가압부; 및 상기 제2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제1가압부와 결합하며, 상기 제2책상을 상기 제2몸체측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제2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first pressing part penetrating through the first body and formed to press the first desk toward the first body; and a second pressing unit coupled to the first pressing unit through the second body and configured to press the second desk toward the second body.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가이드부재의 이동을 간섭하도록, 상방으로 함입 형성되는 상방홈이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The guide groove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upper grooves recessed upwardly to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guide member.

상기 가이드부재는 제1돌기부; 및 상기 제1돌기부로부터 상기 수납동작의 방향을 따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는 제2돌기부;를 포함하며,The guide member includes a first protrusion; and a second protrus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rotrus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operation.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복수개의 상방홈이 구비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영역과 연결되며, 상기 제2돌기를 상방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제1영역보다 더 높이 구비되는 제2영역;를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groove may include: a first area in which the plurality of upper grooves are provided; and a second region connected to the first region and provided higher than the first region to press the second protrusion upward.

또한, 본 발명은 상호 인접하여 틈새공간을 형성하는 두 개 이상의 책상; 상기 틈새공간에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칸막이; 상기 칸막이에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홈; 및 상기 가이드홈에 수용되어 상기 칸막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책상 중 제1책상의 측판에 고정되는 제1몸체; 및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wo or more desks adjacent to each other to form a niche space; a partition provided to be drawn out in the gap space; a guide groove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on the partition; and a guide member accommodated in the guide groove to guide movement of the partition, wherein the guide member includes: a first body fixed to a side plate of a first desk among the two adjacent desks; and

상기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책상 중 제2책상의 측판에 접촉하며, 상기 제1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몸체; 및 상기 가이드홈에 수용되며, 상기 칸막이의 두께 값보다 보다 더 큰 값의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이격부;를 포함하는 인출식 칸막이가 구비된 책상을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a second body contacting a side plate of a second desk among the two adjacent desks and remov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and spaced portions accommodated in the guide groove and extending to have a length greater than the thickness value of the partition.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칸막이가 책상에 고정되지 않고 인출과 수납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Fir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tion is not fixed to the desk, and provides an effect that can be pulled out and stored.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구성이 간단하여 칸막이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Seco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is simple and provides an effect of easy installation and replacement of the partition.

셋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칸막이 인출 시 레일과 같은 칸막이의 이동을 위한 부속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효과를 제공한다.Thi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provides an effect that the accessory for the movement of the partition, such as rail,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partition is drawn ou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가 구비된 책상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칸막이의 수납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된 칸막이의 인출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서 도시된 가이드부재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책상과 책상 사이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에 의해 칸막이가 지지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책상과 책상 사이에 설치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에 의해 칸막이가 지지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의 수납된 상태에서의 가이드홈과 가이드부재의 상호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의 인출된 상태에서의 가이드홈과 가이드부재의 상호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esk provided with a part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orage state of the partition shown in FIG. 1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rawing-out state of the partition shown in FIG. 1 .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guide member shown in FIG. 1 .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artition is supported by a guide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desk and the de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artition is supported by a guide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desk and the des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guide groove and the guide member in the received state of the part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guide groove and the guide member in the drawn-out state of the part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illustratively shown to aid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However,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mponen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illustra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in order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but dimensions of som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first and second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rights.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consists of" or "consisting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existence of further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30) 장치가 구비된 책상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식 칸막이 장치는 제1책상(10)과 제2책상(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인 수납부(S)에 인출 및 수납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수납부(S)는 제1책상(10)과 제2책상(20) 사이에 형성된 틈새공간(S)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esk equipped with a partition 30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 a pull-out parti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be drawn out and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S, which is a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desk 10 and the second desk 20 . is formed Here, the receiving part (S) is a gap space (S) formed between the first desk (10) and the second desk (20).

제1책상(10)은 제1측판(11)과 제1측판(11)으로부터 이격되는 제2측판(12), 제1측판(11)과 제2측판(12)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판(13), 제1측판(11)과 제2측판(12)의 중간지점을 연결하는 중간횡단판(14)을 포함한다. The first desk 10 includes a first side plate 11 and a second side plate 12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ide plate 11, a top plate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first side plate 11 and the second side plate 12 ( 13), and an intermediate transverse plate 14 connecting the midpoint of the first side plate 11 and the second side plate 12 .

제2책상(20) 역시 제3측판(21)과 제3측판(21)으로부터 이격되는 제4측판(22), 제3측판(21)과 제4측판(22)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판(23), 제3측판(21)과 제4측판(22)의 중간지점을 연결하는 중간횡단판(24)을 포함한다. 이러한 책상의 구조는 공지기술이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second desk 20 is also a third side plate 21 and a fourth side plate 22 spaced apart from the third side plate 21, a top plate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third side plate 21 and the fourth side plate 22 ( 23), and an intermediate transverse plate 24 connecting the middle point of the third side plate 21 and the fourth side plate 22. The structure of such a desk is a well-known technology,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면 상에서는 제1책상(10)과 제2책상(20)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수의 책상이 나란히 정렬되어 하나의 열을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책상과 책상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부(S)는 다수 개 형성되며, 각각의 수납부(S)에는 인출식 칸막이 장치가 구비된다. 다만 열의 말단에 각각 위치하며 다른 책상의 측판을 마주하지 않는 측판에는 인출식 칸막이 장치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In the drawings, only the first desk 10 and the second desk 20 are show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Multiple desks can be arranged side by side to form a single row. In this case,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units (S) formed between the desk and the desk are formed, and a pull-out partition device is provided in each accommodating unit (S). However, the pull-out partition device may not be provided on the side plates that are respectively located at the ends of the rows and do not face the side plates of other desks.

칸막이(30) 수납동작의 방향은 도 2 및 7에서의 화살표 방향이며, 후방으로 지칭한다. 칸막이(30) 인출동작의 방향은 도 3 및 8에서의 화살표 방향이며, 상방으로 지칭한다. The direction of the storage operation of the partition 30 is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S. 2 and 7, and is referred to as rearward. The direction of the drawing operation of the partition 30 is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S. 3 and 8, and is referred to as upward.

하나의 부재의 여러 지점을 지칭하는 경우, 부재 중심으로부터 상술한 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한 부분을 전단부로 지칭하며, 전단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술한 후방에 위치한 부분 또는 부재 중심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한 부분을 후단부로 지칭한다. When referring to several points of one member, the portion located forwardly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member is referred to as the front end, and the portion located rearward relative to the front end or the portion located rearwardly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member is referred to as the rear end.

이러한 인출식 칸막이 장치는 칸막이(30), 가이드홈(31, 32) 및 가이드부재(100, 200)를 포함한다.This pull-out partition device includes a partition 30, guide grooves 31 and 32, and guide members 100 and 200.

칸막이(30)는 평면 형상의 플레이트로 형성되며, 목재, 수지 등 다양한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상에서는 직사각형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partition 30 is formed of a flat plate, and may include various materials such as wood and resin. Although it is expressed as a rectangle in the drawings,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formed in various shapes as needed.

가이드홈(31, 32)은 칸막이(30)를 관통하며,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가이드홈(31, 32)은 단수 개 또는 복수 개를 이룰 수 있으며 인출 및 수납이 되도록 칸막이(30)가 이동하는 방향 즉 인출동작이나 수납동작의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The guide grooves 31 and 32 pass through the partition 30 and exten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 guide grooves 31 and 32 may be single or plural, and are formed to exten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rtition 30 moves, that is, the direction of the withdrawing operation or the receiving operation to be withdrawn and accommodated.

가이드홈(31, 32)은 기존에 칸막이(30)에 사용되던 레일을 대체하는 구성이다. 가이드홈(31, 32)은 레일에 비해 제작은 비교적 간단하여 칸막이(30) 제작비용을 낮출 수 있다. The guide grooves 31 and 32 are configured to replace the rail used in the existing partition 30 . The guide grooves 31 and 32 are relatively simple to manufacture compared to the rail,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partition 30 can be reduced.

이러한 가이드홈(31, 32)은 상부가이드홈(31) 및 상부가이드홈(31)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하부가이드홈(32)을 포함한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guide grooves 31 and 32 include an upper guide groove 31 and a lower guide groove 32 positioned below the upper guide groove 31 .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later.

가이드부재(100, 200)는 가이드홈(31, 32)에 수용되어 칸막이(30)의 하중을 지지한다. 또한 가이드부재(100, 200)는 책상의 측판에 돌출 형성됨에 따라 틈새공간(S) 즉, 수납부(S)에 수용된다. The guide members 100 and 200 are accommodated in the guide grooves 31 and 32 to support the load of the partition 30 . In addition, the guide members 100 and 200 are accommodated in the gap space S, that is, the receiving part S, as they protrude from the side plate of the desk.

가이드부재(100, 200)는 수납부(S)에 칸막이(30)가 수용되는 수납동작 및 수납부(S)로부터 칸막이(30)가 인출되는 인출동작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된다. 가이드홈(31, 32)의 내측면이 가이드부재(100, 200)에 대해 미끄럼운동을 함에 따라, 칸막이(30)의 인출 및 수납동작이 가이드된다. The guide members 100 and 200 are formed to guide the receiving operation in which the partition 30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S and the withdrawing operation in which the partition 30 is drawn out from the accommodating part S. As the inner surfaces of the guide grooves 31 and 32 slide with respect to the guide members 100 and 200, the drawing-out and receiving operations of the partition 30 are guided.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식 칸막이 장치를 칸막이(30)의 인출동작 및 수납동작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칸막이(30)의 수납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서 도시된 칸막이(30)의 인출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칸막이(30)의 인출동작 및 수납동작의 설명을 돕기 위해 도 1에서 도시된 제2책상(20)이 생략되었다. Hereinafter, a pull-out parti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along with a pull-out operation and a storage operation of the partition 30. FIG.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orage state of the partition 30 shown in FIG. 1 , and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rawing-out state of the partition 30 shown in FIG. 1 . In FIGS. 2 and 3 , the second desk 20 shown in FIG. 1 is omitted to help explain the drawing operation and the receiving operation of the partition 30 .

수납이 완료된 칸막이(30)는 도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칸막이(30)를 파지할 수 있도록 칸막이(30)의 전단부(30F)가 제1측판(11)의 전단부(11F)보다 전방으로 돌출된다. 사용자는 돌출된 칸막이(30)의 전단부(30F)를 파지하고 칸막이(30)를 인출할 수 있다. 인출이 완료된 칸막이(30)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 상 우측으로 이동한 상태이다. As shown in FIG. 2, in the partition 30 that has been stored, the front end 30F of the partition 30 is greater than the front end 11F of the first side plate 11 so that the user can hold the partition 30. protruding forward The user can take out the partition 30 by holding the front end 30F of the protruding partition 30 . As shown in FIG. 3 , the partition 30 that has been drawn out has moved to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이 경우 칸막이(30)의 가이드홈(31, 32) 및 칸막이(30)의 후단부(30B)는 인출 및 수납동작 시에 수납부(S)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며, 제1측판(11)의 후단부(11B)보다 항상 전방에 위치한다. In this case, the guide grooves 31 and 32 of the partition 30 and the rear end 30B of the partition 30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as they remain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art S during withdrawal and storage operations, It is always located in front of the rear end 11B of the first side plate 11 .

이러한 가이드홈(31, 32)은 칸막이(30)의 상단부에 인출동작 및 수납동작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방가이드홈(31) 및 칸막이(3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방가이드홈(31)과 평행을 이루는 하방가이드홈(51)을 포함한다.These guide grooves (31, 32) ar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guide groove (31) and the partition (30) extending along the direction of the withdrawing operation and the receiving operation at the upper end of the partition (30), the upper guide groove (31) and It includes a parallel downward guide groove (51).

상방가이드홈(31)과 하방가이드홈(51)은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이 동일하므로 하방가이드홈(51)에 대한 설명은 상방가이드홈(31)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한다.Since the upper guide groove 31 and the lower guide groove 51 have the same configuration except for positions, the description of the lower guide groove 51 is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 of the upper guide groove 31 .

상술한 바와 같이 상방가이드홈(31)은 심미성을 위해 칸막이(30)가 인출되어도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이를 위해 상방가이드홈(31)의 전단부와 칸막이(30)의 전단부(30F) 간의 이격거리가 상방가이드홈(31)의 후단부와 칸막이(30)의 후단부(30B) 간의 이격거리보다 더 크다.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guide groove 31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even when the partition 30 is drawn out for aesthetics. For thi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upper guide groove 31 and the front end 30F of the partition 30 is great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rear end of the upper guide groove 31 and the rear end 30B of the partition 30. bigger

한편, 가이드부재(100, 200)는 상방가이드홈(31)에 수용되는 상방가이드부재(100) 및 하방가이드홈(51)에 수용되는 하방가이드부재(200)을 포함한다. 상방가이드부재(100)는 칸막이(30)의 인출동작 및 수납동작의 방향을 따라 일렬로 정렬되며, 상호 이격되어 복수 개를 이루며, 하방가이드부재(200) 역시 복수 개를 이룬다.Meanwhile, the guide members 100 and 200 include an upper guide member 100 accommodated in the upper guide groove 31 and a lower guide member 200 accommodated in the lower guide groove 51 . The upper guide member 100 is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direction of the withdrawing operation and the receiving operation of the partition 30, an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plurality, and the lower guide member 200 also forms a plurality.

이하 가이드부재(100, 200)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서 도시된 가이드부재(100, 200)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책상과 책상 사이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100, 200)에 의해 칸막이(30)가 지지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Hereinafter, the guide members 100 and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guide members 100 and 200 shown in FIG. 1 , and FIG. 5 is a partition by the guide members 100 and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between the desk and the desk 3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upported state.

상방가이드부재(100)와 하방가이드부재(200)는 구성이 동일하므로 하방가이드부재(200)에 대한 설명은 상방가이드부재(100)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한다.Since the upper guide member 100 and the lower guide member 200 have the same configuration, the description of the lower guide member 200 is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 of the upper guide member 100 .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방가이드부재(100)는 제1몸체(110), 제2몸체(120) 및 이격부(130)를 포함한다. 제1몸체(110)는 인접한 두 개의 책상 중 제1책상(10)의 측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1몸체(110)는 체결구(41)가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1체결공(113)이 구비될 수 있다. 제1체결공(113)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체결구(41)는 볼트를 포함한다. 4 and 5 , the upper guide member 100 includes a first body 110 , a second body 120 , and a spacer 130 . The first body 110 is formed to be fixed to the side of the first desk 10 among two adjacent desks. For example, the first body 110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fastening hole 113 formed so that the fastener 41 passes therethrough. The first fastening hole 113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the fastener 41 includes a bolt.

제2몸체(120)는 이격부(130)를 통해 제1몸체(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러한 제2몸체(120)는 제2책상(20)의 측면에 고정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가압부에 의해 일측이 제2책상(20)에 접촉하게 된다. The second body 1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110 through the spacer 130 . The second body 120 is not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desk 20 , and one sid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desk 20 by a pressing part to be described later.

이격부(130)는 제1몸체(110) 및 제2몸체(120)를 상호 연결시키며, 제1몸체(110) 및 제2몸체(120)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도록 형성된다. 이격부(130)는 제1몸체(110)의 내측면에 돌출 구비되는 제1이격부(140) 및 제2몸체(120)의 내측면에 돌출 구비되는 제2이격부(150)를 포함한다. 일 예로, 제1이격부(140)는 중공의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제2이격부(150)는 제1이격부(140)내에 삽입 가능하도록 제1이격부(140)보다 단면이 작은 중공의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paration unit 130 interconnects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 and is formed to adjus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 The spacer 130 includes a first spacer 140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ody 110 and a second spacer 150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120 . . For example, the first spacer 140 is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the second spacer 150 is hollow having a smaller cross section than the first spacer 140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spacer 140 .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f

제1이격부(140)와 제2이격부(150)는 제1몸체(110) 및 제2몸체(120) 간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도록 제2이격부(150)가 제1이격부(140)내에 삽입되는 깊이가 단계적으로 조절되는 등 상호 결합하는 위치가 조절된다. 이를 위해 제1이격부(140)와 제2이격부(150)는 나사결합, 스냅핏 결합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spacer 140 and the second spacer 150 include the second spacer 150 so that the spaced distance between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is adjusted. The position of mutual coupling is controlled, such as the depth of the insertion is adjusted step by step. To this end, the first spacer 140 and the second spacer 150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such as screw coupling and snap-fit coupling.

이러한 이격부(130)는 제1체결공(113)이 노출되도록 제1몸체(110)의 단면적보다 더 작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이격부(130)의 간섭 없이 체결구(41)를 제1체결공(113)에 삽입하여 체결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된다.The spacer 130 is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al area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body 110 so that the first fastening hole 113 is exposed. Accordingly, since the user can insert and fasten the fastener 41 into the first fastening hole 113 without interference from the spacer 130 , the user's convenience is improved.

한편, 상방가이드부재(100)는 가압부에 의해 제1책상(10) 및 제2책상(20)에 고정될 수 있다. 가압부는 제1몸체(110)를 관통하며 제1책상(10)을 제1몸체(110)측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제1가압부(91)와, 제2몸체(120)를 관통하여 제1가압부(91)와 결합하며 제2책상(20)을 제2몸체(120)측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제2가압부(92)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guide member 100 may be fixed to the first desk 10 and the second desk 20 by the pressing unit. The pressing part penetrates the first body 110 and penetrates the first pressing part 91 formed to press the first desk 10 toward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to the first pressing part. It combines with the part 91 and includes a second pressing part 92 formed to press the second desk 20 toward the second body 120 side.

제1가압부(91)는 일 예로 헤드가 형성된 볼트를 포함하며, 제1가압부(91)가 관통하도록 제1몸체(110)에는 제2체결공이 관통 형성된다. 제1가압부(91)의 헤드와 제1몸체(110) 사이에는 제1측판(11)이 위치하게 된다.The first pressing part 91 includes, for example, a bolt having a head formed therein, and a second fastening hole is formed in the first body 110 so that the first pressing part 91 passes therethrough. A first side plate 11 is positioned between the head of the first pressing part 91 and the first body 110 .

제2가압부(92)는 일 예로 헤드가 형성된 중공의 암사나를 포함한다. 제2가압부(92)는 중공의 내측면에 제1가압부(91)가 삽입되어 나사 결합하도록 나사선이 구비된다. 제2가압부(92)가 관통하도록 제2몸체(120)에는 제3체결공이 관통 형성된다. 제2가압부(92)의 헤드와 제2몸체(120) 사이에는 제4측판(22)이 위치하게 된다.The second pressing unit 92 includes, for example, a hollow female sana having a head formed therein. The second pressing part 92 is provided with a screw thread so that the first pressing part 91 is inserted into the hollow inner surface to be screwed. A third fastening hole is formed through the second body 120 so that the second pressing part 92 passes therethrough. A fourth side plate 22 is positioned between the head of the second pressing unit 92 and the second body 120 .

이하 칸막이(30) 시공방법에 대해 도 4 및 도 5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artition 30 construc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

우선, 제1측판(11)에 제1몸체(110)를 위치시킨 후 체결구(41)를 제1체결공(113)에 삽입시켜 제1몸체(110)를 제1측판(11)에 고정시킨다. First, after positioning the first body 110 on the first side plate 11 , the fastener 41 is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hole 113 to fix the first body 110 to the first side plate 11 . make it

제1몸체(110)가 제1측판(11)에 고정되면, 제1몸체(110)에 제2몸체(120)를 결합시킨다.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의 결합은 제1이격부(140)와 제2이격부(150) 간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When the first body 110 is fixed to the first side plate 11 , the second body 120 is coupled to the first body 110 . The coupling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is made by coupling between the first spacer 140 and the second spacer 150 .

제1이격부(140)와 제2이격부(150)가 상호 결합하는 위치가 조절되면, 제1측판(11)과 제4측판(22)사이의 거리 값은 칸막이(30)의 두께 값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가이드부재(100, 200)의 설치가 완료된다.When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spacer 140 and the second spacer 150 are coupled to each other is adjusted, the distance value between the first side plate 11 and the fourth side plate 22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value of the partition 30 . formed larger. Accordingly, the installation of the guide members 100 and 200 is finally completed.

이후 가이드홈(31, 32)에 가이드부재(100, 200)가 수용되도록 칸막이(30)를 세워서 제1측판(11)에 나란히 위치시킨다.Thereafter, the partition 30 is erected so that the guide members 100 and 200 are accommodated in the guide grooves 31 and 32 and positioned side by side on the first side plate 11 .

칸막이(30)를 위치시킨 이후, 제4측판(22)이 제2몸체(120)에 접하도록 2책상을 이동시킨다. After positioning the partition 30 , the second desk is moved so that the fourth side plate 22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body 120 .

제1책상(10), 칸막이(30), 제2책상(20)이 나란히 순차적으로 정렬되면, 제1가압부(91)를 제1측판(11)과 제1몸체(110)를 관통하도록 위치시키고, 제2가압부(92)를 제4측판(22)과 제2몸체(120)를 관통하도록 위치시킨 후 제1가압부(91)와 제2가압부(92)를 상호 결합시킨다.When the first desk 10, the partition 30, and the second desk 20 are sequentially aligned side by side, the first pressing part 91 is positioned to penetrate the first side plate 11 and the first body 110 After positioning the second pressing part 92 to pass through the fourth side plate 22 and the second body 120 , the first pressing part 91 and the second pressing part 92 are coupled to each other.

제1가압부(91)와 제2가압부(92)의 결합에 따라, 제1측판(11)이 제1몸체(110)측으로 가압되고, 제4측판(22)이 제2몸체(120)측으로 가압된다. 이에 따라 제1측판(11), 제4측판(22) 및 가이드부재(100, 200)는 압축력을 받게 된다.According to the coupling of the first pressing part 91 and the second pressing part 92, the first side plate 11 is pressed toward the first body 110, and the fourth side plate 22 is the second body 120. pressed to the side. Accordingly, the first side plate 11, the fourth side plate 22, and the guide members 100 and 200 receive a compressive force.

한편, 이격부(130)의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칸막이(30)와 제1측판(11)간의 이격거리(d1) 및 칸막이(30)와 제4측판(22)간의 이격거리(d2)가 발생한다. 따라서, 제1가압부(91)와 제2가압부(92)가 제1측판(11) 및 제4측판(22)을 가이드부재(100, 200)를 향하여 가압하여도, 칸막이(30)는 압축되지 않으며, 제1측판(11) 및 제4측판(22)과 접촉 등에 의한 간섭 없이 인출동작 및 수납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length of the separation portion 130 is adjusted, the separation distance d1 between the partition 30 and the first side plate 11 and the separation distance d2 between the partition 30 and the fourth side plate 22 occur. do. Therefore, even when the first pressing unit 91 and the second pressing unit 92 press the first side plate 11 and the fourth side plate 22 toward the guide members 100 and 200, the partition 30 is It is not compressed, and the withdrawing operation and the receiv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interference due to contact with the first side plate 11 and the fourth side plate 22 .

이하 가이드부재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책상과 책상 사이에 설치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300)에 의해 칸막이(30)가 지지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guide memb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artition 30 is supported by the guide member 300 installed between the desk and the des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가이드부재(300)는 몸체(310)가 분리되지 않으며 일체로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6 , in the guide member 300 of another embodiment, the body 310 is not separated and is integrally formed.

몸체(310)는 체결구(41)에 의해 제1측판(11)에 고정되며, 체결구(41)의 헤드가 매립되도록 매립홈이 형성된다. 몸체는 제1가압부(91)와 제2가압부(92)가 관통하여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The body 310 is fixed to the first side plate 11 by a fastener 41 , and a buried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head of the fastener 41 is embedded. The body is formed so that the first pressing part 91 and the second pressing part 92 can be coupled therethrough.

몸체(310)는 칸막이(30)의 두께 값보다 더 큰 값의 길이를 가진다. 이에 따라 칸막이(30)와 제1측판(11)간의 이격거리(d1) 및 칸막이(30)와 제4측판(22)간의 이격거리(d2)가 발생한다. 제1가압부(91)와 제2가압부(92)가 상호 결합하여 제1측판(11)과 제4측판(22)을 몸체 측으로 가압하여도, 칸막이(30)와 제1측판(11)간의 이격거리(d1) 및 칸막이(30)와 제4측판(22)간의 이격거리(d2)로 인해 칸막이(30)는 압축되거나 제1측판(11) 및 제4측판(22)에 의해 간섭되지 않는다.The body 310 has a length greater than the thickness value of the partition 30 . Accordingly, the separation distance d1 between the partition 30 and the first side plate 11 and the separation distance d2 between the partition 30 and the fourth side plate 22 occur. Even when the first pressing unit 91 and the second pressing unit 92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press the first side plate 11 and the fourth side plate 22 toward the body, the partition 30 and the first side plate 11 Due to the separation distance d1 between the partitions 30 and the separation distance d2 between the partition 30 and the fourth side plate 22, the partition 30 is not compressed or interfered by the first side plate 11 and the fourth side plate 22. does not

다른 실시예의 가이드부재(300)를 이용한 칸막이(30) 시공과 상술한 일 실시예의 가이드부재(100, 200)를 이용한 시공은 제1몸체(110) 및 제2몸체(120)간의 결합하는 단계를 제외하고 동일하다. The construction of the partition 30 using the guide member 300 of another embodiment and the construction using the guide members 100 and 20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clude the steps of coupling between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same except

이하 다른 실시예의 가이드홈(41, 51)에 대해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60)의 수납된 상태에서의 가이드홈(41, 51)과 가이드부재(100, 200)의 상호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60)의 인출된 상태에서의 가이드홈(41, 51)과 가이드부재(100, 200)의 상호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는 상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사용하며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the guide grooves 41 and 51 of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guide grooves 41 and 51 and the guide members 100 and 200 in the received state of the partition 6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guide grooves 41 and 51 and the guide members 100 and 200 in a state in which the partition 60 is drawn o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structure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방가이드부재(100)는 제1돌기부(100a) 및 제1돌기부(100a)로부터 수납동작의 방향을 따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는 제2돌기부(100b)를 포함한다. 7 and 8 , the upper guide member 100 includes a first protrusion 100a and a second protrusion 100b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rotrusion 100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operation. do.

가이드홈(41, 51)은 상방가이드홈(41) 및 하방가이드홈(51)을 포함하며, 상방가이드홈(41)과 하방가이드홈(51)의 구조가 동일하므로 하방가이드홈(51)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guide grooves (41, 51) include an upper guide groove (41) and a lower guide groove (51), and since the structures of the upper guide groove (41) and the lower guide groove (51) are the same, they are inserted into the lower guide groove (51).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방가이드홈(41)은 제1영역(42), 제1영역(42)과 연통되며, 제1영역(42)보다 상부에 위치한 제2영역(43) 및 제1영역(42)과 제2영역(43)을 연통시키는 제3영역(44)을 포함한다.The upper guide groove 41 communicates with the first area 42 and the first area 42 , and includes a second area 43 , a first area 42 , and a second area located above the first area 42 . and a third region 44 connecting the region 43 .

제1영역(42)은 수납동작 및 인출동작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복수개의 상방홈이 구비된다. 일 예로 복수 개의 상방홈은 제1돌기부(100a)를 수용하는 제1상방홈(41a) 및 제2돌기부(100b)를 수용하는 제2상방홈(41b)을 포함한다. 제1상방홈(41a) 및 제2상방홈(41b)은 상방가이드홈(41)을 이루는 상면 및 하면 중 상면의 일측이 상방으로 함입되어 형성된다.The first region 42 is formed to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operation and the withdrawing operation, a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upper grooves.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upper grooves includes a first upper groove 41a for accommodating the first protrusion 100a and a second upper groove 41b for accommodating the second protrusion 100b. The first upper groove 41a and the second upper groove 41b are formed by recessing on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forming the upper guide groove 41 upward.

가이드부재(100, 200)가 칸막이(60)의 하중을 지지함에 따라 제1돌기부(100a) 및 제2돌기부(100b)는 제1상방홈(41a) 및 제2상방홈(41b)에 각각 수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용 동작은 사용자에게 칸막이(60)가 걸리는 느낌을 전달하여 칸막이(60)의 이동 동작이 완료됨을 알린다. 또한 수용이 완료되면 작은 외부 충격에도 칸막이(60)가 쉽게 위치를 이탈하지 않는다. 후술하는 하방홈(41c) 역시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As the guide members 100 and 200 support the load of the partition 60, the first protrusion 100a and the second protrusion 100b are accommodated in the first upper groove 41a and the second upper groove 41b, respectively. This acceptance operation conveys a feeling that the partition 60 is caught to the user to notify that the movement operation of the partition 60 is completed. In addition, when the accommodation is completed, the partition 60 does not easily deviate from the position even with a small external impact. The lower groove 41c to be described later also performs the same role.

제2영역(43)은 제1영역(42)으로부터 수납동작의 방향으로 이격된다. 또한, 제2영역(43)은 제1영역(42)으로부터 중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격된다. 따라서 제2영역(43)은 제1영역(42)보다 칸막이(60)의 하단부로부터 중력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더 멀리 이격된다. The second region 43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egion 42 in the direction of the storage operation. In addition, the second region 43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egion 42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gravity. Accordingly, the second region 43 is further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of the partition 6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gravity than the first region 42 .

제2영역(43)에는 제2돌기부(100b)를 수용하는 하방홈(41c)이 구비될 수 있다. 하방홈(41c)은 상방가이드홈(41)을 이루는 상면 및 하면 중 하면의 일측이 상방으로 함입되어 형성된다. 하방홈(41c)의 높이는 제1영역(42)의 하면보다 높다. A lower groove 41c for accommodating the second protrusion 100b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region 43 . The lower groove (41c) is formed by recessing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forming the upper guide groove (41) upward. The height of the lower groove 41c is higher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region 42 .

제3영역(44)은 수납동작의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일단부는 제1영역(42)과 연통하고 일단부의 반대편에 위치한 타단부는 제2영역(43)과 연통한다.The third region 44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in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operation, one end communicates with the first region 42 , and the other end opposite to one end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region 43 .

상방가이드홈(41)의 위치 설계 또는 공차 등에 의해 인출된 칸막이(60)는 전단부(60F) 처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방가이드홈(41)의 구조는 전단부(60F)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ront end portion 60F of the partition 60 drawn out by the design or tolerance of the upper guide groove 41 may sag, and the structure of the upper guide groove 41 prevents the front end portion 60F from sagging. can do.

도 8에서와 같이 칸막이(60) 인출동작이 완료되어 칸막이(60)의 전단부(60F) 처짐이 발생하는 경우, 칸막이(60)는 전단부(60F) 처짐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고, 칸막이(60)의 후단부(60B)가 상방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따라서 제3영역(44)이 제2돌기부(100b)를 상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제3영역(44)이 제1돌기부(100a)가 위치한 제1영역(42)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면, 이러한 칸막이(60)의 전단부(60F) 처짐이 예방된다. As shown in FIG. 8, when the partition 60 withdrawing operation is completed and sagging of the front end 60F of the partition 60 occurs, the partition 60 tries to rotate clockwise due to the deflection of the front end 60F, The rear end 60B of the partition 60 tends to move upward. Accordingly, the third region 44 may press the second protrusion 100b upward. When the third region 44 is positioned at a higher point than the first region 42 where the first protrusion 100a is located, the sagging of the front end portion 60F of the partition 60 is preven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llowing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10: 제1책상
20: 제2책상
30: 칸막이
31, 32: 가이드홈
100, 200: 가이드부재
110: 제1몸체
120: 제2몸체
130: 이격부
10: first desk
20: second desk
30: partition
31, 32: guide home
100, 200: guide member
110: first body
120: second body
130: separation part

Claims (7)

칸막이;
상기 칸막이를 관통하며,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홈; 및
상기 가이드홈에 수용되며,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책상 사이에 형성된 간격부에 상기 칸막이가 수용되는 수납동작 및 상기 간격부로부터 상기 칸막이가 인출되는 인출동작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간격부에 구비되어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책상을 상기 칸막이의 두께보다 더 멀리 이격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식 칸막이 장치.
bulkhead;
a guide groove passing through the partition and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and a guide member accommodated in the guide groove and formed to guide a receiving operation in which the partition is accommodated in a gap portion formed between two adjacent desks and a withdrawal operation in which the partition is drawn out from the gap portion; and
The guide member is provided in the spacer, and the pull-out parti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adjacent desks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urth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art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책상 중 제1책상의 측판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제1몸체;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책상 중 제2책상의 측판에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제2몸체; 및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를 상호 연결시키며,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이격부;를 포함하는 인출식 칸막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member
a first body formed to be fixed to a side plate of a first desk among the two adjacent desks;
a second body formed to contact a side plate of a second desk among the two adjacent desks; and
A pull-out partition device comprising a; a spacer configured to interconnect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는 볼트가 관통하도록 형성된 체결공이 구비되며,
상기 이격부는 상기 체결공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1몸체의 단면적보다 더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식 칸막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body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hole formed through the bolt,
The spacer part is a pull-out parti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body so that the fastening hole is expos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를 관통하며, 상기 제1책상을 상기 제1몸체측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제1가압부; 및
상기 제2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제1가압부와 결합하며, 상기 제2책상을 상기 제2몸체측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제2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인출식 칸막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 first pressing part penetrating through the first body and formed to press the first desk toward the first body; and
The pull-out type parti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a second pressing unit coupled to the first pressing unit through the second body and configured to press the second desk toward the second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가이드부재의 이동을 간섭하도록, 상방으로 함입 형성되는 상방홈이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식 칸막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groove is a pull-out type parti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upper grooves recessed in the upper direction are provided so as to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guide memb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제1돌기부; 및
상기 제1돌기부로부터 상기 수납동작의 방향을 따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는 제2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복수개의 상방홈이 구비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영역과 연결되며, 상기 제2돌기를 상방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제1영역보다 더 높이 구비되는 제2영역;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식 칸막이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guide member
a first protrusion; and
and a second protrus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rotrus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operation.
The guide groove is
a first region provided with the plurality of upper grooves; and
and a second region connected to the first region and provided higher than the first region so as to press the second protrusion upward.
상호 인접하여 틈새공간을 형성하는 두 개 이상의 책상;
상기 틈새공간에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칸막이;
상기 칸막이에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홈; 및
상기 가이드홈에 수용되어 상기 칸막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책상 중 제1책상의 측판에 고정되는 제1몸체; 및
상기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책상 중 제2책상의 측판에 접촉하며, 상기 제1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몸체; 및
상기 가이드홈에 수용되며, 상기 칸막이의 두께 값보다 보다 더 큰 값의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이격부;를 포함하는 인출식 칸막이가 구비된 책상.
two or more desks adjacent to each other to form a niche space;
a partition provided to be drawn out in the gap space;
a guide groove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on the partition; and
and a guide member accommodated in the guide groove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partition.
The guide member
a first body fixed to a side plate of a first desk among the two adjacent desks; and
a second body contacting a side plate of a second desk among the two adjacent desks and remov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and
A desk provided with a pull-out partition comprising a; spaced part accommodated in the guide groove and extending to have a length greater than the thickness value of the partition.
KR1020200172115A 2020-12-10 2020-12-10 Apparatus for drawable partition and Desk including the same KR1024312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115A KR102431298B1 (en) 2020-12-10 2020-12-10 Apparatus for drawable partition and Desk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115A KR102431298B1 (en) 2020-12-10 2020-12-10 Apparatus for drawable partition and Desk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322A true KR20220082322A (en) 2022-06-17
KR102431298B1 KR102431298B1 (en) 2022-08-10

Family

ID=82268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115A KR102431298B1 (en) 2020-12-10 2020-12-10 Apparatus for drawable partition and Desk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1298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882Y1 (en) 2003-10-07 2003-12-24 엄재호 Desk
KR200368571Y1 (en) * 2004-09-10 2004-11-26 주식회사 지엔아이이십일 Partition for Desk
KR20100002272U (en) * 2008-08-24 2010-03-05 조성진 desk
KR101141267B1 (en) * 2011-10-11 2012-05-04 엄옥순 Device for partition of reading room desk
KR101207364B1 (en) * 2012-06-29 2012-12-04 (주)에스케이엘엠스 Desk having extension board
KR101467276B1 (en) * 2013-11-08 2014-12-01 신상순 The polyfunctional variable detachable partition for a desk
KR102027987B1 (en) * 2019-06-26 2019-10-04 주식회사 이노프 A reading desk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882Y1 (en) 2003-10-07 2003-12-24 엄재호 Desk
KR200368571Y1 (en) * 2004-09-10 2004-11-26 주식회사 지엔아이이십일 Partition for Desk
KR20100002272U (en) * 2008-08-24 2010-03-05 조성진 desk
KR101141267B1 (en) * 2011-10-11 2012-05-04 엄옥순 Device for partition of reading room desk
KR101207364B1 (en) * 2012-06-29 2012-12-04 (주)에스케이엘엠스 Desk having extension board
KR101467276B1 (en) * 2013-11-08 2014-12-01 신상순 The polyfunctional variable detachable partition for a desk
KR102027987B1 (en) * 2019-06-26 2019-10-04 주식회사 이노프 A reading des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1298B1 (en) 2022-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1200B2 (en) Sliding rails for mounting shelf
US8147011B2 (en) Slide assembly
US20150147113A1 (en) Frameless furniture system
KR20070119001A (en) Slide rail unit with holding function
CN202354869U (en) Slide rail for furniture drawer
US6216397B1 (en) Modular partition
CN110801117A (en) Sliding rail for portable installation of sliding rail drawer
KR102431298B1 (en) Apparatus for drawable partition and Desk including the same
CN102396900B (en) Drawer slide rail for furniture
EP0058535A2 (en) Improvements in desks
JP3140208U (en) Slide rail automatic storage device
JP2002017486A (en) Slide structure of drawer
KR101500674B1 (en) A bookshelf including a means for pulling out a book
US20220196067A1 (en) Steel ball concealable three-section slide rail structure and cabinet comprising the same
CN210276483U (en) Movable drawer cabinet and combined furniture
WO2011013424A1 (en) Storage device
JP5412014B2 (en) Slide rail mounting device
CN105054598A (en) Cantilever type storage rack
CN210282632U (en) Furniture board connecting mechanism
JPH09238764A (en) Holder for drawer member
CA2932280C (en) Sliding rails for mounting shelf
CN214760052U (en) Seat step storage cabinet
CN220157792U (en) Table plate clamping structure
CN220734853U (en) Combined drawer
JP3063321U (en) Slide ra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