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1955A - 진공 캡을 구비하는 치료용 핸드피스 - Google Patents

진공 캡을 구비하는 치료용 핸드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1955A
KR20220081955A KR1020220063533A KR20220063533A KR20220081955A KR 20220081955 A KR20220081955 A KR 20220081955A KR 1020220063533 A KR1020220063533 A KR 1020220063533A KR 20220063533 A KR20220063533 A KR 20220063533A KR 20220081955 A KR20220081955 A KR 20220081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vacuum cap
cap
sound pressure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3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1536B1 (ko
Inventor
박원희
Original Assignee
박원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원희 filed Critical 박원희
Priority to KR1020220063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536B1/ko
Publication of KR20220081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0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 A61N1/403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for thermotherapy, e.g. hyper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e.g. facial toning or wrinkl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273Anchoring means for temporary attachment of a device to tissue
    • A61B2018/00291Anchoring means for temporary attachment of a device to tissue using 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52Skin
    • A61B2018/00458Deeper parts of the skin, e.g. treatment of vascular disorders or port wine stains
    • A61B2018/00464Subcutaneous fat, e.g. liposuction, lipo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2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at least partly surrounding the target, e.g. concave, curved or in the form of a ca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67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using more than two electrodes on a single pro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8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for particular medical treatments or effects
    • A61F2007/029Fat cell removal or destruction by non-ablative heat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2005/002Coo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4Handheld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9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using suction to fix the applicator to the tissue

Abstract

본 발명은 시술부위에 따라 진공 캡의 각도 조절을 자유롭게 할 수 있고, 진공 캡을 핸드피스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내구성, 안정성, 편리성 및 위생 기능이 개선된 치료용 핸드피스(300)를 제공한다.
핸드피스(300)는, 하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동부를 구비하는 진공 캡(310)과, 피부의 표적 부위가 상기 진공 캡의 공동부(315) 쪽으로 흡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진공 캡에 기준음압을 제공하는 진공장치(350)와, 상기 진공 캡의 공동부가 음압을 유지하는 조건에서 상기 기준음압을 펄스 형태로 가변시키는 기준음압 가변장치(360)와, 상기 피부의 표적 부위를 치료하는 복수의 RF 전극 쌍(320a,320b)(321a,321b)과, 상기 진공장치, 상기 기준음압 가변장치, 상기 복수의 RF 전극 쌍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380)와,
상기 진공 캡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1 몸체부(410)와, 각도조절수단을 개재하여 상기 제1 몸체부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제2 몸체부(420)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몸체부(410)에는 상기 진공장치 및 상기 기준음압 가변장치와 연결된 진공튜브(431)와, 상기 RF 전극 쌍(320a,320b),(321a,321b)의 구동을 위한 전원공급용 커넥터(433,434)가 구성되고,
상기 진공 캡(310)에는 상기 진공튜브(431)와 탈부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튜브 커넥터(311)와, 상기 튜브 커넥터의 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필터(388)가 구성된다.

Description

진공 캡을 구비하는 치료용 핸드피스{Treatment handpiece with vacuum cap}
본 발명은 진공 캡을 구비하는 치료용 핸드피스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피부를 효과적으로 치료하거나 피하 지방 조직을 효과적으로 분해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안전성, 시술의 편리성, 위생 기능이 개선되는 치료용 핸드피스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가 2020년 8월 10일자 출원한 특허출원 제10-2020-0100073호에는 하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동부를 구비하는 진공 캡과, 상기 진공 캡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1 몸체부와, 각도조절수단을 개재하여 상기 제1 몸체부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제2 몸체부와, 피부의 표적 부위가 상기 진공 캡의 공동부 쪽으로 흡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진공 캡에 기준음압을 제공하는 진공장치와, 상기 진공 캡의 공동부가 음압을 유지하는 조건에서 상기 기준음압을 펄스 형태로 가변시키는 기준음압 가변장치와, 상기 피부의 표적 부위를 치료하는 치료유닛과, 상기 진공장치, 상기 기준음압 가변장치, 상기 치료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핸드피스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치료유닛은, 전자파를 이용한 치료유닛, 냉,온열을 이용한 치료유닛, 광선을 이용한 치료유닛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자파를 이용한 치료유닛은, 상기 진공 캡의 공동부 쪽으로 노출되는 RF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피부의 표적 부위가 상기 진공 캡의 공동부 쪽으로 흡착되었을 때 그 피부의 표적 부위 일부가 상기 RF 전극과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핸드피스는 치료유닛으로 기능하는 RF(Radio Frequency) 전극이 1쌍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방분해 효율 및 치료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RF 전극의 전도성을 높이거나 치료 효능의 개선을 위해 치료 부위의 피부 표면에 젤 또는 치료제를 도포할 경우 진공 캡의 진공 과정에서 치료제나 수분 또는 이물질이 진공장치 쪽으로 흡수되어 진공장치의 수명이 단축되고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 일단 진공 캡에 음압이 가해져 치료가 시작되면 RF 전극의 배치 위치나 고주파 전류의 흐름 방향 즉, RF 전극의 위치나 극성을 바꾸기가 어렵기 때문에 진공 상태를 해제한 후 진공 캡의 위치 또는 방향을 틀어 그 진공 캡의 위치를 재조정하고 다시 진공 캡에 음압을 가하여 치료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소정 부위의 치료를 위해 기준음압을 가하고 해제하는 과정이 빈번하게 일어날 수 있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20-0100073호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1055334호 미국 특허등록번호 US9,168,09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피부를 효과적으로 치료하거나 피하 지방 조직을 효과적으로 분해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안전성, 시술의 편리성, 위생 기능이 개선되는 착탈형 진공 캡을 구비한 치료용 핸드피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공 캡에 치료 부위의 피부가 흡착된 위치에서 진공 캡의 위치 즉, 핸드피스의 위치를 바꾸지 않고 RF(Radio Frequency) 고주파의 흐름 방향이나 RF 전극의 위치를 바꾸어 복수의 방향에서 RF 고주파를 선택적으로 피부에 조사하여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진공 캡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공 캡에 진공용 필터와 2쌍의 RF 전극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전극 쌍을 구성하여 지방 제거 등의 시술 치료의 효율을 개선하고 진공장치의 내구성을 개선하는 치료용 핸드피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공 캡 내에서 그 진공 캡의 중심선 방향과 대략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피부를 반복적으로 수축 이완 시킬 수 있도록 기준음압을 소정 시간에 소정 사이클로 소정 폭만큼 변화시키는 펄스형 변동 음압을 선택적으로 부여할 수 있는 기준음압 가변장치가 구성된 치료용 핸드피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진공 캡이 구비된 치료용 핸드피스는,
하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동부를 구비하는 진공 캡과,
피부의 표적 부위가 상기 진공 캡의 공동부 쪽으로 흡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진공 캡에 기준음압을 제공하는 진공장치와,
상기 진공 캡의 공동부가 음압을 유지하는 조건에서 상기 기준음압을 펄스 형태로 가변시키는 기준음압 가변장치와,
상기 피부의 표적 부위를 치료하는 복수의 RF 전극 쌍과,
상기 진공장치, 상기 기준음압 가변장치, 상기 복수의 RF 전극 쌍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RF 전극 쌍은 상기 피부의 표적 부위가 상기 진공 캡의 공동부 쪽으로 흡착되었을 때 그 피부의 표적 부위 일부와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복수의 RF 전극 쌍은 전원이 1쌍씩 선택적으로 공급되고, 상기 전원이 공급된 RF 전극 쌍의 극성은 선택적으로 바뀔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진공 캡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1 몸체부와,
각도조절수단을 개재하여 상기 제1 몸체부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제2 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몸체부에는 상기 진공장치 및 상기 기준음압 가변장치와 연결된 진공튜브와, 상기 RF 전극 쌍의 구동을 위한 전원공급용 커넥터가 구성되고,
상기 진공 캡에는 상기 진공튜브와 탈부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튜브 커넥터와, 상기 튜브 커넥터의 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필터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기준음압 가변장치와, 상기 피부의 표적 부위를 치료하는 RF 전극 쌍의 구동은 단독 구동, 동시 구동, 교대 구동 중 어느 하나의 구동을 선택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기준음압 가변장치에 의한 기준음압 가변 펄스의 주기는 1초당 0.5~50회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진공 캡에는 그 진공 캡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진공 캡이 구비된 치료용 핸드피스는(300)는,
하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동부를 구비하는 진공 캡(310)과,
피부의 표적 부위가 상기 진공 캡의 공동부(315) 쪽으로 흡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진공 캡에 기준음압을 제공하는 진공장치(350)와,
상기 진공 캡의 공동부가 음압을 유지하는 조건에서 상기 기준음압을 펄스 형태로 가변시키는 기준음압 가변장치(360)와,
상기 피부의 표적 부위를 치료하는 복수의 RF 전극 쌍(320a,320b)(321a,321b)과,
상기 진공장치, 상기 기준음압 가변장치, 상기 복수의 RF 전극 쌍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380)와,
상기 진공 캡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1 몸체부(410)와,
각도조절수단을 개재하여 상기 제1 몸체부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제2 몸체부(420)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몸체부(410)에는 상기 진공장치 및 상기 기준음압 가변장치와 연결된 진공튜브(431)와, 상기 RF 전극 쌍(320a,320b),(321a,321b)의 구동을 위한 전원공급용 커넥터(433,434)가 구성되고,
상기 진공 캡(310)에는 상기 진공튜브(431)와 탈부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튜브 커넥터(311)와, 상기 튜브 커넥터의 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필터(388)가 구성됨으로써, 진공 캡(310)에 치료 부위의 피부가 흡착된 위치에서 진공 캡의 위치를 바꾸지 않고 RF 고주파의 흐름 방향이나 RF 전극의 위치를 바꾸어 복수의 방향에서 RF 고주파를 피부에 선택적으로 조사하여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진공 캡(310)에 음압이 가해져 치료가 시작되면 진공 캡의 위치 변동을 위하여 양압을 걸어 기준음압 해제를 반복하지 않고도 그 위치에서 RF 전극의 배치 위치나 고주파 전류의 흐름 방향을 바꾸어 줄 수 있는 구조이므로 치료 과정에서 핸드피스의 이동 및 움직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진공 캡(310)을 1회용으로 착탈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할 때마다 진공 캡을 소독할 필요가 없어 안정성, 시술의 편리성 및 위생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진공 캡의 튜브 커넥터에 필터를 구성하여 진공장치의 내구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치료용 핸드피스를 사용할 경우 진공 캡 내에서 피부의 지방층에 대한 이완 수축 간격을 충분히 크게하여 반복시키므로 치료 부위의 지방 조직 사이의 상하 이완을 촉진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복수의 RF 전극 쌍(320a,320b,321a,321b)을 이용하여 RF 고주파를 양 방향에서 선택적으로 피부에 조사하므로 피하 지방 조직의 분해 효과를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핸드피스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입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핸드피스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진공 캡이 분리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핸드피스의 단면도이다.
도 4는 각도 조절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핸드피스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입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진공 캡에 피부의 표적 부위가 흡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기준음압 가변 펄스를 예시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진공 캡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예의 진공 캡에 피부가 흡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입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진공 캡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진공 캡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2쌍의 RF 전극으로 이루어진 전극 쌍들의 출력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12, 도 13은 RF 전극 쌍들의 출력제어에 의해 RF 고주파의 흐름 방향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선출원발명인 특허출원 제10-2020-0100073호에 기재된 일부 기술구성은 본 발명에서도 그대로 인용되므로 선출원발명과 기술 구성이 동일한 분분은 설명이 중복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이하, 본 발명의 진공 캡을 구비하는 치료용 핸드피스(300)의 기술 구성 및 작용은 도 1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핸드피스(300)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제1 몸체부(410)와, 손잡이 기능을 하는 제2 몸체부(420)와, 하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동부를 구비하는 진공 캡(310)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몸체부(410)와, 손잡이 기능을 하는 제2 몸체부(420)는 각도조절수단을 개재하여 상기 제1 몸체부(410)와 상기 제2 몸체부(4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제1 몸체부(410)와 상기 제2 몸체부(420)의 일단부를 결합하는 회전축(415)으로 구성하거나 상기 회전축 대신에 관절구를 이용하여 제1 몸체부(410)를 기준으로 제2 몸체부(420)를 어느 방향으로나 구부려 꺽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 상기 제1 몸체부(410)의 타단부에는 상기 진공 캡(310)을 착탈식으로 고정할 수 있는 진공 캡 접속유닛(430)이 구성된다.
상기 진공 캡 접속유닛(430)은 진공장치(350) 및 기준음압 가변장치(360)와 연결된 진공튜브(431)와, 상기 진공 캡(310)과 탈부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진공튜브의 단부에 결합되는 진공튜브 결속구(432)와, RF 전극(320a,320b) 등의 치료유닛 구동을 위한 전원공급용 커넥터(433,434)와, 상기 진공 캡(310)을 착탈하기 위한 클립(43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진공장치(350) 및 기준음압 가변장치(360)와 연결된 진공튜브(431)는 제1 몸체부(410)로부터 제2 몸체부(420)가 꺽여 각도 조정이 이루어졌을 때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랙시블한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 신축성을 갖도록 일부분(각도조절수단이 위치하는 영역)이 곡선 또는 나선형 튜브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 전원공급용 커넥터(433,434)와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도 일부분을 나선형으로 구성하여 각도 조정시 신축성을 갖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1 몸체부(410)와 손잡이 기능을 하는 제2 몸체부(420)의 각도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진공 캡(310)을 제1 몸체부(410)로부터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굴곡이 있는 신체 부위에도 진공 캡(310)을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핸드피스의 손잡이 부분을 구성하는 제2 몸체부(420)의 각도를 임으로 쉽게 조정하여 시술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
또, 상기 진공 캡(310)은 그 진공 캡의 공동부(315) 쪽으로 노출되어 치료유닛으로 기능하는 RF 전극(320a,320b)이 설치되고, 그 RF 전극은 진공 캡을 제1 몸체부(410)에 결합하였을 때 전원공급용 커넥터(433,434)에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진공 캡(310)의 상단 중앙에는 진공튜브(431)과 연통되는 홀이 형성되고, 그 홀의 상단에는 진공 캡을 제1 몸체부(410)에 결합하였을 때 진공튜브 결속구(432)와 기밀 상태로 접속할 수 있도록 튜브 커넥터(311)가 구성된다.
상기 튜브 커넥터(311)의 단부에는 공지의 청동 소결체나, 스테인레스 소결체 등으로 이루어진 필터(388)가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필터(388)는 치료 효능의 개선을 위해 치료 부위의 피부 표면에 젤 또는 치료제를 도포할 경우 진공 캡에 음압을 가하는 과정에서 젤 물질이나 치료제에 포함된 수분이나 이물질 등이 진공장치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모터와 배기펌프 등으로 구성되는 상기 진공장치(350)는 도 5와 같이 표피(241)와 지방 조직(242) 등으로 된 피부(245)의 표적 부위를 상기 진공 캡의 공동부(315) 쪽으로 흡착시켜 치료유닛으로 기능하는 상기 RF 전극(320a,320b)에 접촉되도록 상기 진공 캡 내에 기준음압을 제공한다.
압력가변 밸브(361) 등으로 구성되는 상기 기준음압 가변장치(360)는 진공 캡(310)에 가해진 기준음압을 진공 캡의 공동부(315)가 음압을 유지하는 조건에서 펄스 형태 즉, 소정 시간에 소정 사이클로 소정 폭만큼 변화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치료유닛으로 기능하는 RF 전극(320a,320b)과 상기 진공장치(350)와 상기 기준음압 가변장치(360)의 구동제어는 컨트롤러(380)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기준음압에 변동 음압을 제공하는 장치로써 압력가변 밸브(361)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진공 캡(310)의 내벽에 압력가변 밸브(361)를 직접 구성하여 기준음압을 기준으로 펄스 형태로 압력을 가변시키거나 진공 캡(310)의 일부 내벽에 공동부(315)의 체적을 펄스형태로 가변 시킬 수 있는 공기 주머니 등을 설치하여 구성하여도 된다.
상기 진공 캡(310) 내로 피부(245)를 흡인하기 위한 진공장치(350)의 기준음압은 한예로 -100mbar 내지 -800mbar의 범위 내에서 제공된다.
또, 기준음압 가변장치(360)는 진공장치(350)에 의하여 형성된 기준음압에 대하여 한예로 ±50mbar의 펄스 형태 변화를 주어 진공 캡(310) 내로 흡인된 피부(245)가 반복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수축 이완되도록 할 수 있다.
기준음압 가변장치(360)는 도 6과 같이 기준음압을 기준으로 펄스음압 형태를 이루고, 이 펄스의 진폭과 파장은 기준음압 가변장치(360)의 제어에 의하여 적절히 제어될 수 있다.
기준음압 가변장치(360)에 구성된 압력가변 밸브(361)를 이용하여 한 예로 공동부(315) 내에 50mbar의 양압을 가할 경우 진공 캡의 공동부(315)의 진공압이 떨어지므로 도 5와 같이 표피(241)와 지방 조직(242)을 구성하는 피부(245)가 A 위치에서 B 위치로 하강한다.
반대로 압력가변 밸브(361)를 이용하여 공동부(315) 내에 -50mbar의 음압을 가할 경우 진공 캡의 공동부(315)의 진공압이 올라가므로 표피(241)와 지방 조직(242)을 구성하는 피부(245)가 B 위치에서 A 위치로 상승한다.
상기와 같이 압력가변 밸브(361)를 이용하여 공동부(315) 내에 소정의 양압 또는 음압을 교대로 가함으로써 피부가 일정 간격만큼 펄스파 형태로 반복적으로 수축 이완되도록 할 수 있다.
표적 부위 피부의 상단 표면을 기준으로 피부가 상하 방향으로 수축 이완하는 간격은 한예로 0.1mm이상 5mm이하의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고, 상기 기준음압 가변장치(360)를 구성하는 압력가변 밸브(361)에 의한 기준음압의 가변 펄스의 주기는 1초당 0.5~50회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치료유닛을 구성하는 RF 전극(320a,320b)은 진공 캡(310)의 마주보는 양측 내벽에 각각 양(+),음(-) 전극으로 장착되며, 고주파 발생부(미도시)로부터의 RF 고주파를 발생시켜 진공 캡의 공동부 내측으로 흡인된 피부의 표적 부위에 RF 고주파를 인가할 경우 지방 조직을 구성하는 세포 분자들의 이온들은 RF 전극의 교류 전류에 의하여 양(+) 전하는 음극으로 음(-) 전하는 양극으로 끌려가 분극 현상(polarization phenomenon)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분극 작용으로 지방 세포 조직 내에 줄(Joul) 열이 집중적으로 발생하게 되면 지방 세포가 분해되므로 비만 등의 치료로 이어진다.
본 발명의 핸드피스(300)에는 RF 전극 구동시 발생되는 열을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331)가 설치될 수 있다.
또, 온도센서(331)의 온도 감지신호에 따라 RF 전극과 접촉되는 피부, 진공 캡(310) 또는 진공 캡의 공동부(315)를 냉각시키기 위한 다양한 냉각장치(도시 생략)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진공 캡(310)의 다른 예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다른 예의 진공 캡(1310)은 진공 캡의 공동부 내벽에 2조의 RF 전극 쌍(320a,320b),(321a,321b)으로된 복수의 전극 쌍을 서로 교차시켜 배치한다.
RF 전극 쌍을 구성하는 RF 전극(320a)과 RF 전극(320b)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다른 RF 전극 쌍을 구성하는 RF 전극(321a)과 RF 전극(321b) 역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RF 전극 쌍(320a,320b)과 RF 전극 쌍(321a,321b)이 서로 교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RF 전극 쌍은 필요에 따라 3조 이상 구성하여도 된다.
상기 2조의 RF 전극 쌍(320a,320b),(321a,321b)은 전원공급용 커넥터(433,434)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2조의 RF 전극 쌍(320a,320b),(321a,321b)은 도 11의 회로도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컨트롤러(380)와 연결되는 출력제어부(460) 및 트랜지스터 등을 이용한 개폐 회로나 전자식 스위치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스위칭소자(461,462,463,464)를 개재하여 선택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전방의 스위칭소자(461,462)는 각 RF 전극 쌍의 극성을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하고, 후방의 스위칭소자(463,464)는 각 RF 전극 쌍 즉, RF 전극 쌍(320a,320b)과 RF 전극 쌍(321a,321b)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RF 전극 쌍(320a,320b)에 스위칭소자(463,464)를 통하여 전원을 인가하면 도 12a와 같이 진공 캡 내로 당겨 올라 온 피부(245)를 관통하여 상측 방향으로 RF 고주파가 흐르게 되고, 스위칭소자(461,462)를 통하여 RF 전극 쌍(320a,320b)의 극성을 바꾸어 주면 도 12b와 같이 RF 고주파가 흐르는 방향이 하측으로 바뀌게 된다.
또, RF 전극 쌍(321a,321b)에 스위칭소자(463,464)를 통하여 전원을 인가하면 도 13a와 같이 진공 캡 내로 당겨 올라 온 피부(245)를 관통하여 우측 방향으로 RF 고주파가 흐르게 되고, 스위칭소자(461,462)를 통하여 RF 전극 쌍(321a,321b)의 극성을 바꾸어 주면 도 13b와 같이 RF 고주파가 흐르는 방향이 좌측으로 바뀌게 된다.
즉, 상기 스위칭소자(463,464)는 각 RF 전극 쌍(320a,320b)(321a,321b)에 전원을 1쌍 씩 선택적으로 공급하고, 상기 전원이 공급된 RF 전극 쌍의 극성을 선택적으로 바꾸어 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2조의 RF 전극 쌍(320a,320b),(321a,321b)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RF 전극 쌍을 서로 교차되게 배치한 후 그 RF 전극 쌍에 교대로 전극을 인가하고, 필요에 따라 각 RF 전극 쌍의 전극의 극성을 바꾸어 줌으로써 진공 캡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도 치료 부위에 다양한 각도 및 방향에서 RF 고주파를 피부의 치료 부위에 조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필터(388)가 끼워져 결합되고는 튜브 커넥터(311)는 음압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양쪽에 2개 배치되어 있다. 물론 튜브 커넥터(311)가 2개 구성되는 경우 도 2 등에 기재된 진공튜브(431)와 결합되어야 하므로 진공튜브(431)을 2개 구성하거나 진공튜브(431)에 분기로를 추가 구성하여 튜브 커넥터(311)와 결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치료 유닛으로 기능하는 RF 전극 쌍과 기준음압 가변장치는 각각 단독으로 구동하거나, 동시 구동, 교대 구동 중 어느 하나의 구동을 선택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핸드피스(300)는 상기 예시된 도면 구조 및 설명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청구범위와 목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진공 캡을 구비하는 치료용 핸드피스는 피부 미용, 피부 질환, 비만 치료에 이용되는 의료기기에 사용된다.
315 - 공동부
320a,320b,321a,321b - RF 전극
245 - 피부
310,1310 - 진공 캡
241 - 표피
242 - 지방 조직
300 - 핸드피스
311 - 튜브 커넥터
331 - 온도센서
350 - 진공장치
360 - 기준음압 가변장치
361 - 압력가변 밸브
380 - 컨트롤러
388 - 필터
410 - 제1 몸체부
415 - 회전축
420 - 제2 몸체부
430 - 진공 캡 접속유닛
431 - 진공튜브
432 - 진공튜브 결속구
433,434 - 전원공급용 커넥터
435 - 클립
460 - 출력제어부
461,462,463,464 - 스위칭소자

Claims (3)

  1. 하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동부를 구비하는 진공 캡과,
    피부의 표적 부위가 상기 진공 캡의 공동부 쪽으로 흡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진공 캡에 기준음압을 제공하는 진공장치와,
    상하 좌우로 배치되어 상기 피부의 표적 부위가 상기 진공 캡의 공동부 쪽으로 흡착되었을 때 그 흡착된 피부가 상기 진공 캡의 공동부 내에서 접촉되도록 상기 진공 캡의 내측벽에 노출되어 구성되는 복수의 알에프 전극 쌍과,
    상기 각 알에프 전극 쌍을 교대로 온/오프하여 전원을 인가하는 스위칭소자와,
    상기 진공장치, 상기 스위칭소자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진공 캡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와 상기 진공 캡의 탈부착은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 구성되는 진공튜브 결속구와, 전원공급용 커넥터와, 클립으로 이루어진 진공 캡 접속유닛의 동시 결합 및 동시 분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진공 캡의 탈부착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핸드피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소자는 상기 전원이 인가된 알에프 전극 쌍의 극성을 바꾸어 주도록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진공 캡이 구비된 치료용 핸드피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진공 캡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1 몸체부와,
    각도조절수단을 개재하여 상기 제1 몸체부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결
    합되는 제2 몸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몸체부에는 상기 진공장치와 연결된 진공튜브와, 상기 알에프 전극 쌍의 구동을 위한 전원공급용 커넥터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캡이 구비된 치료용 핸드피스.
KR1020220063533A 2020-12-08 2022-05-24 진공 캡의 탈부착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핸드피스 KR102521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533A KR102521536B1 (ko) 2020-12-08 2022-05-24 진공 캡의 탈부착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핸드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684A KR102407711B1 (ko) 2020-12-08 2020-12-08 진공 캡을 구비하는 치료용 핸드피스
KR1020220063533A KR102521536B1 (ko) 2020-12-08 2022-05-24 진공 캡의 탈부착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핸드피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684A Division KR102407711B1 (ko) 2020-12-08 2020-12-08 진공 캡을 구비하는 치료용 핸드피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955A true KR20220081955A (ko) 2022-06-16
KR102521536B1 KR102521536B1 (ko) 2023-04-13

Family

ID=8198624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684A KR102407711B1 (ko) 2020-12-08 2020-12-08 진공 캡을 구비하는 치료용 핸드피스
KR1020220063533A KR102521536B1 (ko) 2020-12-08 2022-05-24 진공 캡의 탈부착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핸드피스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684A KR102407711B1 (ko) 2020-12-08 2020-12-08 진공 캡을 구비하는 치료용 핸드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0771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334B1 (ko) 2011-04-04 2011-08-08 주식회사 하이로닉 지방 조직의 분해 효과가 우수한 지방분해장치
US9168096B2 (en) 2013-09-09 2015-10-27 Invasix Corp. System and method for tissue treatment using non-symmetric radio-frequency energy waveform
KR20190001336A (ko) * 2017-06-27 2019-01-04 (주)메드로메디칼디비젼 피부치료용 핸드피스
KR20190061187A (ko) * 2017-11-27 2019-06-05 김기태 인체 골격의 접촉성을 향상시킨 고주파 치료기
KR20200100073A (ko) 2017-12-22 2020-08-25 레노보 (싱가포르) 피티이. 엘티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보조 정보 구성
KR20200101170A (ko) * 2019-02-19 2020-08-27 (주)휴레브 고주파 온열자극기 및 이를 이용한 온열자극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662B1 (ko) * 2017-03-23 2019-01-14 (주)제이월드 냉각지방분해 장치 및 이를 활용한 지방 분해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334B1 (ko) 2011-04-04 2011-08-08 주식회사 하이로닉 지방 조직의 분해 효과가 우수한 지방분해장치
US9168096B2 (en) 2013-09-09 2015-10-27 Invasix Corp. System and method for tissue treatment using non-symmetric radio-frequency energy waveform
KR20190001336A (ko) * 2017-06-27 2019-01-04 (주)메드로메디칼디비젼 피부치료용 핸드피스
KR20190061187A (ko) * 2017-11-27 2019-06-05 김기태 인체 골격의 접촉성을 향상시킨 고주파 치료기
KR20200100073A (ko) 2017-12-22 2020-08-25 레노보 (싱가포르) 피티이. 엘티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보조 정보 구성
KR20200101170A (ko) * 2019-02-19 2020-08-27 (주)휴레브 고주파 온열자극기 및 이를 이용한 온열자극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1536B1 (ko) 2023-04-13
KR102407711B1 (ko) 202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69062A1 (en) Apparatus, tip and method for treating tissue
KR101686783B1 (ko) 저온 플라즈마를 이용한 휴대용 피부 미용기
KR101451891B1 (ko) 금속 냉온 감압 피부 관리 장치
KR101406275B1 (ko) 감압 피부 관리 장치
CN106473907B (zh) 用于匹配型复合刺激的皮肤功能的立体负压复合刺激器模块
EP2614807B1 (en) Large area body shaping applicator
KR101687854B1 (ko) 피부 및 피하의 비침습적 미용 치료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N211097114U (zh) 用于身体部位的美容/医疗治疗的多功能设备
EP2802306A2 (en) Large area body shaping applicator
WO2014097288A2 (en) Large area body shaping applicator
KR102595419B1 (ko) 알에프전극의 극성 스위칭수단과 진공캡을 구비한 핸드피스
KR102409168B1 (ko) 석션형 고주파 미용기기
KR102220101B1 (ko) 진공 캡의 탈부착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핸드피스
KR102407711B1 (ko) 진공 캡을 구비하는 치료용 핸드피스
KR102234202B1 (ko) 진공 캡의 탈부착이 가능한 핸드피스
KR101310867B1 (ko) 감압 피부 관리 장치
EP3320951B1 (en) Apparatus for therapeutic and/or cosmetic treatments
KR20190139434A (ko) 고주파 온열 치료장치
KR20210027725A (ko) 초음파 및 저주파 치료기
CN203724209U (zh) 超声波皮肤组织再铺平去眼袋去皱抗衰装置
KR20210147811A (ko) 진공컵을 이용한 치료장치
JP2023537382A (ja) 真空キャップの着脱及び角度調節が可能なハンドピース
KR102417653B1 (ko) 냉온열 치료 시스템
KR200392997Y1 (ko) 광화학적 치료용 레이저 엘이디 소자가 구비된 수동식마사지 장치
KR20180003503A (ko) 초음파 트랜스듀서 작동용 피봇 운동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