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1785A - 보급형 앰부(ambu) 및 이를 이용한 수동식 인공호흡시스템 - Google Patents

보급형 앰부(ambu) 및 이를 이용한 수동식 인공호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1785A
KR20220081785A KR1020200171659A KR20200171659A KR20220081785A KR 20220081785 A KR20220081785 A KR 20220081785A KR 1020200171659 A KR1020200171659 A KR 1020200171659A KR 20200171659 A KR20200171659 A KR 20200171659A KR 20220081785 A KR20220081785 A KR 20220081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mbu
display information
monitoring unit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4628B1 (ko
Inventor
김명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오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오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오시스
Priority to KR1020200171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628B1/ko
Publication of KR20220081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57Pumps therefor
    • A61M16/0084Pumps therefor self-reinflatable by elasticity, e.g. resuscitation squeeze 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51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with alarm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8Bellows; Connecting tubes ; Water traps; Patient circuits
    • A61M16/0816Joints or conn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2016/0027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pressure 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2016/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with a flow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61M2205/3584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using modem, internet or bluetoo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1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audibl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40Respiratory characteristics
    • A61M2230/43Composition of exhalation
    • A61M2230/432Composition of exhalation partial CO2 pressure (P-CO2)

Abstract

본 발명은 보급형 앰부(AMBU) 및 그것을 이용한 수동식 인공호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마스크, 연결부, 공기주머니로 이루어고, 연결부에는 모니터링 유닛(50)을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모니터링 유닛(50)은 센서부, 센서부의 계측정보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음성 안내멘트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어부, 디스플레이 정보를 화면에 띄워주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의 기록장치, 그리고 음성 안내멘트 저장부 및 근거리무선통신 설비(57)가 포함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문기술이 부족한 일반사용자들도 응급상황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잘못된 인공호흡으로 인한 의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음성안내에 따라 공기 주머니를 더 가압하거나 덜 가압하여 필요 환기량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에게 적절한 호흡량의 제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소비전력이 적은 블루투스 기술을 채택하여 소형배터리로도 장시간 보관이 가능하고, 기록장치에 저장된 환자상태 및 주입공기의 모니터링 정보를 전문의에게 전달하여 정확한 후속진료를 지원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급형 앰부(AMBU) 및 이를 이용한 수동식 인공호흡시스템{Ordinary Air Mask Bag Unit and Manual Ventilation System Using it}
본 발명은 급성 심정지나 호흡부전 등과 같은 응급상황에서 환자에게 인공호흡을 수행할 때 사용하는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주머니, 밸브, 마스크로 이루어진 AMBU(Air Mask Bag Unit)에 스마트 기능을 부여하여 적절한 인공호흡이 가능하도록 하고, 응급상황에서 환자상태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전문적인 의료지식이 없는 일반인들도 응급상황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보급형 앰부(AMBU) 및 그 앰부(AMBU)를 이용한 수동식 인공호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노령 인구의 증가로 응급 의료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긴급 상황에서 신속하게 조치할 수 있는 수동식 인공호흡기에 대한 수요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수동식 인공호흡기는 심폐소생술이나 급성 호흡부전 등과 같은 응급상황 또는 전신마취가 필요한 수술 환경에서 환자에게 인공호흡을 시행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호흡 보조기구이다. 그 대표적인 것이 앰부(AMBU)인데, 일반적으로 앰부(AMBU)는 공기주머니, 연결부, 마스크로 이루어져 있으며, 환자의 의식저하나 기도폐쇄로 인한 호흡수 감소 또는 환자 스스로 호흡을 하기 어려운 응급 상황에서 외부로부터 공기를 환자의 폐에 인위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교육과 훈련을 받지 못한 사람이 예상치 못한 위급환자를 맞이하여 앰부(AMBU)를 사용해야만 할 상황에 직면했을 때, 환자의 호흡량과 기도압력을 앰부(AMBU)를 통해 유지하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었다. 즉, 적절한 공기량을 초과하여 주입하거나 과도한 압력으로 공기량을 주입할 때 질식 혹은 폐기관 손상이 유발되어 더욱 더 위급한 상황이 초래될 수 있으며, 특히 너무 적게 공기를 공급할 경우 환자의 생존율이 낮아지고, 너무 많은 공기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공기가 식도를 통해 위장으로 유입되어 복부팽만 또는 구토를 유발하거나 구토물이 폐로 흡인되어 환자상태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앰부(AMBU)를 이용한 인공호흡은 주입공기를 일정한 압력과 유량으로 조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앰부(AMBU)를 통한 인공호흡 방법은 사용자(인공호흡 시행자)가 손으로 공기주머니를 가압하는 정도에 따라 주입공기의 압력과 유량(Volume)이 정해지므로 손가락 길이나 악력 등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따라 가압의 정도가 달라질 수밖에 없고, 그 때문에 주입공기의 유량(Volume)과 압력을 사용자의 경험에만 의존하게 되어, 결국은 환자의 상태가 위급상황으로 치달을 수 있는 가능성이 항상 잠재되어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는 앰부(AMBU)를 통한 주입공기의 유량과 압력을 계측하여 사용자(인공호흡 시행자)에게 알려줌으로써, 환자상태에 맞춰 주입공기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공개특허 10-2020-113682(선행특허 1)에는 환자의 날숨(호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 또는 산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1 센서부, 환자에게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과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제 2센서부 및 주입되는 공기의 압력과 유량을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환기부를 구비하고, 제1, 2센서부의 측정정보를 기초하여 제어부에서 생성한 모니터링 정보를 출력부(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 선행특허 1은 주입공기의 적절한 압력과 유량을 계측하여 사용자가 적절하게 조절하도록 유도할 수 있지만, 앰부(AMBU)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시선이 텍스트나 이미지 또는 그래프로 표시되는 출력부의 화면에만 집중될 수밖에 없는 구조여서, 정작 인공호흡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시되어야 하는 환자의 상태, 즉 기도폐쇄, 구토, 청색증 발현, 자발호흡 징후와 같은 환자의 상태 변화를 세심하게 살피기 어렵다는 사용상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또한, 특허 10-1456876(선행특허 2)에는 폐기능 평가를 지원하는 수동식 인공호흡기(AMBU)가 예시되어 있는데, 응급환자 또는 중환자의 폐내 환기를 유지하기 위해 1회 호흡량(Tidal Volume, 압력 포함), 인공호흡수, 호기말 가스분압(End Tidal PCO2&PO2)을 계측할 수 있는 센서가 구비되고,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측정한 데이터의 평가결과를 보여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환자의 병적상태에 따라 안정적인 1회 호흡량을 투여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 선행기술 또한 다수의 센서를 통해 계측한 데이터를 평가하고 그 평가결과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를 통해 알려준다는 점에서 사용자가 주입공기의 적절한 압력과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선행특허 1과 마찬가지로 인공호흡 중 사용자(인공호흡 시행자)의 시선이 디스플레이의 화면에만 집중될 수밖에 없는 구조여서, 사용자가 인공호흡 중 환자의 상태변화를 세심하게 살피기 어렵고, 더욱이 사용경험과 전문성이 부족한 일반인이 디스플레이의 평가결과를 이해하고 그에 맞는 적절한 호흡량으로 조절하는 것을 충분히 기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20-113682호 등록특허 제10-1456876호
본 발명은 위 배경기술이 안고 있는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공호흡 중에 사용자(인공호흡 시행자)가 환자의 상태변화를 우선적으로 살필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헤드셋과 근거리 무선통신기술을 채택한 새로운 구조의 보급형 앰부(AMBU)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헤드셋을 통해 주입공기의 유량과 압력정보의 적절성을 음성안내 방식으로 알려줌으로써, 사용자의 시선이 디스플레이 화면에만 집중되는 것을 피하면서도 전문성과 경험이 부족한 일반인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음성안내 중심의 수동식 인공호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정보를 저장매체에 저장하여 응급실의 전문의에게 환자를 인계하는 과정에서 관련 기록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응급상황에서 인공호흡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수동식 인공호흡 시스템의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급형 앰부(AMBU)는 마스크, 연결부, 공기주머니로 이루어고, 상기 연결부에는 모니터링 유닛(50)을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모니터링 유닛(50)은 호흡공기의 유량(Volume)과 압력 및 호기말 이산화탄소(EtCO2)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계측정보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음성 안내멘트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어부,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화면에 띄워주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저장하는 기록장치, 응급상황에 맞는 안내음성을 저장하고 있는 음성 안내멘트 저장부 및 근거리무선통신 설비(57)가 포함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보급형 앰부(AMBU)에서 모니터링 유닛에 구비된 기록장치는 탈부착이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로 이루어져 저장된 정보를 전문의에게 쉽게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보급형 앰부(AMBU)에서 모니터링 유닛에 구비된 음성 안내멘트 저장부는 룩 업 테이블(Look Up Table) 방식의 데이터베이스(DB)로 구성되고, 상기 근거리무선통신 설비는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Zigbee) 중 어느 하나를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인공호흡 시스템은 마스크, 연결부, 공기주머니 및 모니터링 유닛(50)을 구비하되, 상기 모니터링 유닛(50)은 호흡공기의 유량(Volume)과 압력 및 호기말 이산화탄소(EtCO2)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계측정보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음성 안내멘트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어부,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화면에 띄워주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저장하는 기록장치, 응급상황에 맞는 안내음성을 저장하고 있는 음성 안내멘트 저장부 및 근거리무선통신 설비(57)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에서 선택한 음성 안내멘트를 근거리무선통신(NFC) 설비에서 헤드셋 또는 이어폰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동식 인공호흡기 시스템에 구비된 근거리무선통신(NFC) 설비는 동글이(Dongle)를 결합할 수 있는 접속단자로 이루어지고, 근거리무선통신(NFC) 설비는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Zigbee) 중 어느 하나를 지원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동식 인공호흡기 시스템에 이용하는 보급형 앰부(AMBU)의 마스크는 실리콘 재질의 투명 또는 반투명의 상태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문기술이 없는 일반사용자들도 응급상황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잘못된 인공호흡으로 인한 의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음성안내에 따라 공기 주머니를 더 가압하거나 덜 가압하여 필요 환기량을 조절할 수 있고, 공기 주머니를 가압하는 주기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에게 적절한 호흡량의 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소비전력이 적은 블루투스 기술 등을 채택하여 소형배터리로도 장시간 보관이 가능하고, 기록장치에 저장된 환자상태 및 주입공기의 모니터링 정보를 전문의에게 전달하여 정확한 후속진료가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앰부(AMBU)를 통한 인공호흡 시행시 사용자의 시선 및 양손의 자유도가 높아져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능력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앰부(AMBU)를 이용한 인공호흡의 실제 시행모습 사진이다.
도 2는 종래 앰부(AMBU)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종래 다른 예의 앰부(AMBU)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앰부(AMBU)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앰부(AMBU)를 이용한 수동식 인공호흡시스템을 설명하게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앰부(AMBU) 및 그것을 이용한 수동식 인공호흡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당연하지만,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하지는 말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인 앰부(AMBU)를 이용한 인공호흡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 1에서 보듯, 앰부(AMBU)를 이용한 인공호흡 방법은 사용자(인공호흡 시행자)는 왼손으로 마우스를 환자의 구강을 감싸도록 안면에 밀착시키고, 오른손으로는 공기주머니를 가압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때 가압의 정도에 따라 주입공기의 유량과 압력이 결정되게 되는데, 심폐소생술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는 미국 심장협회(American Heart Association, AHA)는 분당 인공호흡수(ventilation rate)를 8 내지 10회/분, 일회호흡량을 환자의 단위체중당 호흡량인 6 내지 7ml/kg으로 권고하고 있다. 특히 적절한 인공호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환자의 기도를 확보하고 마스크를 안면에 밀착시켜 주입공기의 누출이 없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공기주머니를 가압할 때는 적절한 유량과 압력의 공급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고, 공기주입시 환자의 흉곽이 팽창되는 것을 세심하게 관찰해야 하며, 주기적으로 환자가 날숨(호기)을 쉬도록 여유시간을 주는 것에도 소홀할 수 없다. 이러한 인공호흡을 시행하면서 환자의 상태변화를 면밀히 살피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앰부(AMBU)를 이용한 인공호흡은 사용자가 양손을 모두 이용해야 하고, 디스플레이의 모니터링 정보와 환자의 상태변화를 동시에 살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양손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면서 사용자의 시선은 환자의 상태변화를 세심하게 살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인식에 기초하여 주입공기의 적절한 유량과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다양한 변형기술이 등장하고 있는데 도 2는 주입공기의 유량과 압력을 모니터링하면서 적절한 주입공기량으로 조절하는 기술이 나타나 있다. 그러나 도 2에 예시된 앰부(AMBU)를 이용하여 인공호흡을 시행할 경우, 주입공기의 유량 및 압력이나 EtCO2를 모니터링하여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사용자의 시선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에만 집중된 나머지, 환자의 상태변화를 관찰하는 것에 소홀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정보를 이해할 수 있는 전문지식이 필요하여 응급상황에서 일반인이 쉽게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특히 응급현장이나 병원 이송 중 측정한 수치를 전문의에게 정확히 전달해 주는 것만으로도 큰 도움이 될 수 있는데 도 2의 장치는 응급조치에 대한 기록수단이 없어 전문의에게 환자를 인계할 때, 정확한 응급조치 이력을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 3에 예시된 앰부(AMBU)를 이용하여 인공호흡을 시행할 경우에도 주입공기의 유량과 압력을 계측하여 가압주기 등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시선이 출력부(디스플레이)에 집중될 수밖에 없는 구조여서 환자의 상태변화를 면밀히 관찰하는 데는 미흡했고, 통신망을 통해 병원응급실이나 휴대단말기와 환자정보를 교환할 수는 있으나, 통신수단의 조작을 위한 전문지식이 필요하여 전문적인 교육을 받지 못한 일반인이 응급상황에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위 선행기술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기존의 AMBU 구조를 최대한 활용하면서 AMBU의 연결부에 결합되는 모니터링 유닛에는 블루투스나 지그비(Zigbee)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기술(NFC)을 지원할 수 있는 수단과 응급조치의 전 과정을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는 기록장치 및 음성 안내멘트의 저장장치가 구비되고, 제어부에는 응급상황에 맞는 적절한 음성 안내멘트를 선택할 수 있는 제어기능이 부가된 앰부(AMBU)를 제안하고, 그 앰부(AMBU)와 사용자의 헤드셋이나 이어폰을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하여 인공호흡이 헤드셋이나 이어폰을 통해 음성으로 안내되도록 하여 전문지식이나 사용경험이 부족한 일반인들도 응급상황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인공호흡 시스템의 제공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4,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급형 앰부(AMBU)의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앰부(AMBU)는 공기주머니(30), 밸브(40), 마스크(10) 및 모니터링 유닛(50)을 포함하고, 위 모니터링 유닛(50)은 주입공기의 유량과 압력을 계측하기 위한 센서부(51)와 그 센서부의 계측값을 분석하여 디스플레이 정보를 생성하고 표시하기 위한 제어부(52) 및 디스플레이(80), 그리고 디스플레이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기록장치(54)와 NFC 설비(57)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기록장치(54)는 반도체 메모리 칩을 이용하여 탈부착이 용이하게 구성되고, 근거리무선통신(NFC) 설비(57)는 모니터링 유닛(50)의 내부에 실장하거나 외부접속단자를 통해 동글이(Dongle)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 유닛(50)의 센서부, 즉, 주입공기의 유량, 압력, 산소포화도 및 호기말 이산화탄소(EtCO2) 등을 계측하기 위한 센서는 이 분야에서 잘 알려진 공지의 센서가 이용된다. 다만, 산소포화도 센서는 저산소증을 감별할 수 있는 좋은 도구이기는 하나, 과환기(Hyperventilation)를 감별할 수 없기 때문에 본 발명은 가급적 EtCO2 센서만을 이용하는 구조를 채택하여 모니터링 유닛(50)의 부피가 지나치게 커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때 EtCO2 센서는 Main Stream방식, side Stream 방식, Micro Stream 방식 중 어느 것을 선택해도 무방하다.
한편, 제어부(52)에는 디스플레이(53) 화면에 띄워 줄 디스플레이 정보를 생성하고, 그 디스플레이 정보에서 분석한 상황에 맞는 안내음성을 음성 안내멘트 저장장치(55)로부터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며, 그 안내멘트는 앰부(AMBU)의 사용과정에서 예측되는 돌발상황(이상상태)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여 작성하고, 그 안내멘트를 사전에 룩 업 테이블(Look Up Table) 방식의 데이터베이스(DB)로 저장한 후, 특정 상황에 맞는 음성 안내멘트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예컨대, 음성 안내멘트로는 사용자(인공호흡 시행자)가 당황하지 않도록 ‘침착하세요!’라는 음성을 반복적으로 들려주거나 ‘마스크에 공기누설이 있습니다. 마스크를 밀착시켜 주세요!’또는 ‘과호흡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주의하세요!’‘환자의 기도확보가 필요합니다!’‘환자의 흉부움직임을 확인하세요!’‘공기주머니의 가압주기가 너무 빠릅니다!’‘주입공기의 유량이 과도합니다!’‘외부의 산소공급기와 연결하세요!’등의 음성멘트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때 음성 안내멘트에는 주입공기의 유량을 분석하여 적절한 주기로 사용자가 공기주머니(30)를 가압할 수 있도록 가압시점을 알려주는 신호음을 포함시키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제어부는 앰부(AMBU)를 이용한 인공호흡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정상적 상황을 통상의 정상적 카프노그래프(Capnograph)와 비교하여 분석한 후, 그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대응방법을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음성멘트가 선택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앰부(AMBU)를 이용한 수동식 인공호흡시스템을 예시하고 있다. 도 5의 시스템은 별도의 헤드셋(Headset, 90)을 이용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보급형 앰부(AMBU)에 구비된 모니터링 유닛(50)과 헤드셋(90)을 블루투스로 연결한 시스템을 보여주고 있다.
블루투스 설비는 모니터링 유닛(50)에 내장되거나 별도의 접속부에 동글이(Dongle)를 장착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최초 1회의 페어링(Pairing) 절차만 거치면 그 다음부터는 전원연결과 동시에 헤드셋(90)과 자동으로 무선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이때 음성 안내멘트는 모니터링 유닛(50)에 설치된 스피커(60)를 통해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응급상황에서 고도의 긴장상태인 사용자를 심리적으로 안정시키고 주변소음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는 별도의 헤드셋(90)이나 이어폰을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AMBU의 모니터링 유닛(50)과 헤드셋(90)이 유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완전히 배제하지는 않지만, 앰부(AMBU)의 부피를 줄이고 보관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배터리의 소모가 적은 블루투스나 지그비(Zigbee)와 같은 근거리무선통신(NFC) 기술에 의한 무선연결 방식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
도 5의 수동식 인공호흡시스템에 의하면, 헤드셋(90)이나 이어폰을 통해 음성 안내멘트를 제공받기 때문에 인공호흡 과정에서 사용자(인공호흡 시행자)의 시선이 디스플레이에만 집중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전문지식이나 사용경험이 부족한 일반인들도 음성 안내멘트에 따라 침착한 응급대처를 할 수 있으며, 공기주머니(30)의 가압주기를 음성멘트로 안내받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경험적 감각에만 의존하지 않고 적절한 주기의 인공호흡을 일반인도 쉽게 시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앰부(AMBU)의 모니터링 유닛(50)에 구비된 기록장치(54)에 의해 시간대 별로 인공호흡의 시행과정이 모두 기록되기 때문에 그 기록정보가 담긴 반도체 메모리를 분리하여 병원 응급실에 전달함으로써, 병원에서의 전문의에 의한 후속진료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공기주머니(30)와 마스크(10)는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재질로 형성하고, 특히 마스크(10)는 환자의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우발적 실수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마스크(10)와 공기주머니(30)의 연결부(20)에는 과도한 압력방지 밸브(릴리프 밸브)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통해 특별한 교육을 받지 않은 일반인들도 과도한 불안감 없이 인공호흡을 시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유닛(50)은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하여 현재 비치하고 있는 앰부(AMBU)와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공급하면, 다양한 변형제품이 존재하는 기존 앰부(AMBU)와의 호환성이 향상된다는 점에서 유리한 효과가 발현되게 될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는지 여부는 오로지 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진다는 사실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10 : 마스크 20 : 연결부 30 : 공기주머니
40 : 외부 공기흡입부 50 : 모니터링 유닛 51 : 센서부
52 : 제어부 53 : 디스플레이부 54 : 기록장치
55 : 음성 안내멘트 저장장치 57 : NFC 설비 60 : 스피커
70 : 전원스위치 80 : 디스플레이부 90 : 헤드셋

Claims (10)

  1. 마스크, 연결부, 공기주머니로 이루어진 보급형 앰부(AMBU)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모니터링 유닛(50)을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모니터링 유닛(50)은 호흡공기의 유량(Volume)과 압력 및 호기말 이산화탄소(EtCO2)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계측정보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음성 안내멘트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어부,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화면에 띄워주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저장하는 기록장치, 응급상황에 맞는 안내음성을 저장하고 있는 음성 안내멘트 저장부 및 근거리무선통신 설비(57)가 포함되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인 보급형 앰부(AMBU)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장치는 상기 모니터링 유닛에 탈부착이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하는 것이 특징인 보급형 앰부(AMBU)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와 공기주머니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스크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상태로 제작되는 것이 특징인 보급형 앰부(AMBU)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안내멘트 저장부는 룩 업 테이블(Look Up Table) 방식의 데이터베이스(DB)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보급형 앰부(AMBU)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무선통신 설비는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Zigbee) 중 어느 하나를 지원하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인 보급형 앰부(AMBU)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유닛(50)에는 음성 안내멘트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를 더 구비한 것이 특징인 보급형 앰부(AMBU)
  7. 마스크, 연결부, 공기주머니로 이루어진 보급형 앰부(AMBU)와 헤드셋을 연결하여 작동되는 수동식 인공호흡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모니터링 유닛(50)을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모니터링 유닛(50)은 호흡공기의 유량(Volume)과 압력 및 호기말 이산화탄소(EtCO2)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계측정보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음성 안내멘트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어부,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화면에 띄워주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저장하는 기록장치, 응급상황에 맞는 안내음성을 저장하고 있는 음성 안내멘트 저장부 및 근거리무선통신 설비(57)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선택한 음성 안내멘트를 근거리무선통신(NFC) 설비를 통해 헤드셋 또는 이어폰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인 수동식 인공호흡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무선통신(NFC) 설비는 동글이(Dongle)를 결합할 수 있는 접속단자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수동식 인공호흡기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무선통신(NFC) 설비는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Zigbee) 중 어느 하나를 지원하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인 수동식 인공호흡기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장치는 상기 모니터링 유닛(50)에 탈부착이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하는 것이 특징인 수동식 인공호흡기 시스템
KR1020200171659A 2020-12-09 2020-12-09 보급형 앰부(ambu) 및 앰부용 모니터링 유닛 KR102634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659A KR102634628B1 (ko) 2020-12-09 2020-12-09 보급형 앰부(ambu) 및 앰부용 모니터링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659A KR102634628B1 (ko) 2020-12-09 2020-12-09 보급형 앰부(ambu) 및 앰부용 모니터링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785A true KR20220081785A (ko) 2022-06-16
KR102634628B1 KR102634628B1 (ko) 2024-02-08

Family

ID=82217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659A KR102634628B1 (ko) 2020-12-09 2020-12-09 보급형 앰부(ambu) 및 앰부용 모니터링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62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876B1 (ko) 2012-09-27 2014-10-3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폐기능 평가가 가능한 수동식 공기호흡기
KR20160028793A (ko) * 2014-09-04 2016-03-14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 주입 압력 조절을 위한 수동형 인공호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호흡 주입 방법
KR20170055693A (ko) * 2015-11-12 2017-05-22 원형석 수동식 인공호흡기용 공기공급량 측정장치
KR20180041535A (ko) * 2016-10-14 2018-04-24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드백을 통한 유량 조절이 가능한 수동식 인공호흡기 및 이를 이용한 인공호흡 주입 방법
KR20180065413A (ko) * 2016-12-07 2018-06-1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수동형 인공 호흡 장치
US20200222647A1 (en) * 2017-07-07 2020-07-16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Barotrauma and volutrauma prevention device
KR20200113682A (ko) 2019-03-26 2020-10-07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백 밸브 마스크의 제어를 위한 피드백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876B1 (ko) 2012-09-27 2014-10-3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폐기능 평가가 가능한 수동식 공기호흡기
KR20160028793A (ko) * 2014-09-04 2016-03-14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 주입 압력 조절을 위한 수동형 인공호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호흡 주입 방법
KR20170055693A (ko) * 2015-11-12 2017-05-22 원형석 수동식 인공호흡기용 공기공급량 측정장치
KR20180041535A (ko) * 2016-10-14 2018-04-24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드백을 통한 유량 조절이 가능한 수동식 인공호흡기 및 이를 이용한 인공호흡 주입 방법
KR20180065413A (ko) * 2016-12-07 2018-06-1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수동형 인공 호흡 장치
US20200222647A1 (en) * 2017-07-07 2020-07-16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Barotrauma and volutrauma prevention device
KR20200113682A (ko) 2019-03-26 2020-10-07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백 밸브 마스크의 제어를 위한 피드백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4628B1 (ko) 2024-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22408B (zh) 具有辅助按压的自动呼吸机
JP7063805B2 (ja) 呼吸の訓練、観察及び/又は補助装置
US11351418B2 (en) Breathing training, monitoring and/or assistance device
US2019022443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isting patient airway management
JP6843850B2 (ja) 呼吸の訓練、観察及び/又は補助装置
CN103619390B (zh) 具有通气质量反馈单元的医疗通气系统
JP2018533412A5 (ko)
RU2668067C9 (ru) Доставка кислорода, инициируемая потоком в импульсном режиме, для медицинских применений
JP2018535728A5 (ko)
CN202859821U (zh) 呼吸应急系统
KR20130037636A (ko) 응급구호 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응급구호방법
CN109847280A (zh) 一种智能腹式呼吸理疗训练仪
JP2017532129A (ja) 有効な人工呼吸を教授、演習及び遂行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220040428A1 (en) Ventilation Devices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ame
Comisso et al. Nursing in critical care setting: an overview from basic to sensitive outcomes
US20170095630A1 (en) Oxygen Port Nasal Cannula
KR20140040935A (ko) 폐기능 평가가 가능한 수동식 공기호흡기
KR102634628B1 (ko) 보급형 앰부(ambu) 및 앰부용 모니터링 유닛
Higginson Respiratory assessment in critically ill patients: airway and breathing
KR20170055693A (ko) 수동식 인공호흡기용 공기공급량 측정장치
Goldsworthy et al. Compact clinical guide to mechanical ventilation: foundations of practice for critical care nurses
KR20210083864A (ko) 자폐성향과 adhd 증상 개선용 호흡 훈련시스템의 호흡 훈련용 단말기
KR102663808B1 (ko) 디지털 흡배기 호흡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수동식 인공호흡기
KR102665056B1 (ko) 기관 삽관용 튜브에 연결되는 이산화탄소 측정 디바이스, 그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11626034B2 (en) Thorax and manikin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with delivery of gaseous CO2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