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1768A - Composition comprising trifuhalol A or its physiologically acceptable salt, and use thereof - Google Patents

Composition comprising trifuhalol A or its physiologically acceptable salt, and use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1768A
KR20220081768A KR1020200171621A KR20200171621A KR20220081768A KR 20220081768 A KR20220081768 A KR 20220081768A KR 1020200171621 A KR1020200171621 A KR 1020200171621A KR 20200171621 A KR20200171621 A KR 20200171621A KR 20220081768 A KR20220081768 A KR 20220081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puharol
composition
extract
group
acceptable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6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46705B1 (en
Inventor
김수남
김준기
정상훈
봉심규
박노준
이진우
이상헌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71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705B1/en
Publication of KR20220081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7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7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75Ethers or acetals
    • A61K31/085Ethers or acetals having an ether linkage to aromatic ring nuclear carbon
    • A61K31/09Ethers or acetals having an ether linkage to aromatic ring nuclear carbon having two or more such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14Decongestants or antiallerg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8Preparations for oily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트리푸하롤 A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용도를 제공한다.Provided are a composition comprising tripuharol A or a physiolog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and uses thereof.

Description

트리푸하롤 A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용도{Composition comprising trifuhalol A or its physiologically acceptable salt, and use thereof}Composition comprising trifuhalol A or its physiologically acceptable salt, and use thereof

트리푸하롤 A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용도에 대한 것이다.A composition comprising tripuharol A or a physiolog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and uses thereof.

인체에 외부 항원이 침입하면 침입한 부분을 보호하려고 하는 면역반응과 달리 과민반응은 우리 몸에 해롭지 않은 것에 대한 비정상적인 면역반응을 지칭하며 오히려 조직을 파괴하는 면역질환(immune disorder)의 일종이다. 면역질환은 면역계의 기능이상에 의해 발생하며, 자가면역질환, 면역결핍증, 알러지 질환 등을 포함하며, 이중 알러지 질환은 유전적, 환경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Unlike the immune response that tries to protect the invading part when a foreign antigen invades the body, hypersensitivity refers to an abnormal immune response to something that is not harmful to our body, and is a type of immune disorder that destroys tissues. Immune diseases are caused by dysfunction of the immune system, and include autoimmune diseases, immunodeficiency disorders, and allergic diseases.

알러지성 질환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2000년대에는 5%이상으로 급증했으며, 잠재적인 환자까지 포함하면 10%가 넘는 것으로 추정된다. 알러지는 과민반응 유도의 원인이 되는 알러젠이라는 항원과 이에 대응하는 항체반응의 결과로 나타나는 생체의 병적과정이며, 가장 흔한 알러지 반응은 기관지 천식, 알러지성 비염, 화분증 및 아토피 피부염 등을 일으키는 즉시형 과민반응인 제1형 반응과 만성염증반응과 같은 제4형 반응이 있다. Allergic diseases are increasing every year, and in the 2000s, it increased to more than 5%, and it is estimated to exceed 10% if you include potential patients. Allergy is a pathological process in the living body that appears as a result of an antibody reaction with an antigen called allergen that causes hypersensitivity reaction, and the most common allergic reaction is immediate type hypersensitivity that causes bronchial asthma, allergic rhinitis, hay fever, and atopic dermatitis. There is a type 1 reaction, which is a reaction, and a type 4 reaction, such as a chronic inflammatory response.

아낙필라시스와 같은 알러지 반응은 비만세포 등의 Fc 수용체에 대한 항원, 항-IgE 항체, 렉틴 등의 결합, 아나필로톡신 등의 자극, 칼슘 이오노포어, 컴파운드 48/80, 코데인 등 합성피질 자극 호르몬과 같은 약물에 의해 일어난다. 외부 항원에 의해 비정상적 면역반응이 일어나 혈관이 확장되게 되면, 혈액이 잘 흘러 들어오지만, 그 대신 혈압이 낮아지게 되며, 즉각적으로 과도할 정도로 특정 물질에 알러지 반응이 극심하게 나타나는 사람은 히스타민이 광범위하게 다량으로 동시에 분비되면서 일부분만이 아닌 온몸의 혈관이 확장하게 되고, 그러면 갑자기 혈압이 떨어지게 되고, 쇼크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히스타민이 온 몸에 분비되면서 기도 또한 비대해지므로 산소-이산화탄소 교환의 유일한 통로가 차단되어 질식할 수 있다. 상기 기도는 혀, 기도 및 기관지를 포함한다. 천식은 발작적인 호흡곤란, 지속적인 기침, 천명음, 기관지 과민반응 및 가역적인 기류 제한을 특징으로 하는 기도의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현대사회에 흔히 일어나는 알러지성 호흡기계 질환이다. 천식의 병리적인 특성은 기도 평활근의 수축, 기도 과민성에 의한 기도 폐쇄증, 기도 점액의 과다분비, 부종과 세포 침윤으로 인하여 점막 비후와 기도 내강에 비정상적으로 농도가 짙고 끈적끈적한 농축된 점액의 축적, 만성 기도 염증, 면역글로불린 E 항체 형성 등이 있으며, 상기의 병리적 특성으로 인하여 기도 저항이 증가되어 반복적이고 간헐적인 기침, 호흡곤란, 흉부 압박감과 천명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Allergic reactions such as anaphylaxis include binding of antigens to Fc receptors such as mast cells, anti-IgE antibodies, lectins, etc., stimulation of anaphylotoxins, etc., stimulation of the synthetic cortex such as calcium ionophore, compound 48/80, codeine, etc. It is caused by drugs such as hormones. When blood vessels are dilated due to an abnormal immune response caused by a foreign antigen, blood flows in well, but instead, blood pressure is lowered. As it is secreted in large amounts at the same time, the blood vessels of the whole body, not just a part, expand, and then the blood pressure suddenly drops and shock can occur. In addition, as histamine is secreted throughout the body, the airways also become enlarged, blocking the only pathway for oxygen-carbon dioxide exchange, which can result in suffocation. The airways include the tongue, airways and bronchi. Asthma is a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of the airways characterized by paroxysmal dyspnea, persistent cough, wheezing,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and reversible airflow limitation. It is a common allergic respiratory disease in modern society. The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sthma include constriction of airway smooth muscle, airway atresia due to airway hypersensitivity, hypersecretion of airway mucus, mucosal thickening due to edema and cell infiltration, accumulation of abnormally thick and sticky mucus in the airway lumen, chronic There are airway inflammation, immunoglobulin E antibody formation, and the like, and it is known that airway resistance is increased due to the above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causing repeated and intermittent coughing, dyspnea, chest tightness, and wheezing.

알러지 비염은 알러젠에 대하여 코의 속살이 과민반응을 일으켜 발작적이고 반복적인 재채기, 맑은 콧물, 코막힘, 코 가려움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최근 환경 오염, 공해의 증가 등에 따라 세계적으로 알러지 비염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전 인구의 5~20% 정도가 이 질환을 앓고 있을 정도로 흔한 질환이다. 알러지 비염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요법은 항히스타민제 알약과 코 분무제, 류코트리엔 수용체 길항제, 스테로이드 코분무제, 비점막 수축제 등이다. Allergic rhinitis is a disease in which symptoms such as paroxysmal and repetitive sneezing, clear runny nose, stuffy nose, and itchy nose appear due to hypersensitivity of the inner part of the nose to allergens. Recently, with the increase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pollution, allergic rhinitis is increasing worldwide. This disease is so common that 5-20% of the total population suffers from it. Drug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allergic rhinitis includes antihistamine pills, nasal sprays, leukotriene receptor antagonists, steroid nasal sprays, and nasal mucosal constrictors.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은 가려움증을 동반하는 만성적이고 재발성인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건조하고 각질이 많은 피부, 염증, 증가된 피부 투과성과 일반적이고 무해한 인자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는 증상을 보이며, 표면 감염에 취약한 질환을 말한다. Atopic dermatitis is a chronic, recurrent inflammatory skin disease accompanied by itching, dry and flaky skin, inflammation, increased skin permeability, and sensitivity to common and innocuous factors. disease that is susceptible to

아토피 피부염 병변 내 림프구는 CD4:CD8의 비가 7:1 정도로 증가되어 있고 인터루킨-4(interleukin-4: IL-4)에 강한 반응성을 보여 Th2 도움 T세포(helper T cell)에 의한 면역반응이 우세하다. 조직학적으로 과각화증, 이상각화증, 극세포증과 세포간 부종 및 소혈관의 확장 현상과 진피 상부에 호산구, 임파구, 조직구 등의 혈관주위 세포 침윤이 나타난다. 최근에는 면역학적 이상 외에 피부 장벽기능 손상이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로 생각되고 있다. 장벽기능의 손상은 각질층 지질 중 세라마이드의 감소에 기인하며, 피부의 수분유지기능과 피부 장벽기능이 저하되어 알러젠이나 자극성 물질의 피부 투과성을 높여 피부의 염증반응을 유발 또는 악화시킬 수 있다.Lymphocytes in atopic dermatitis lesions have an increased CD4:CD8 ratio of about 7:1 and have strong reactivity to interleukin-4 (IL-4), so that the immune response by Th2 helper T cells is dominant. do. Histologically, hyperkeratosis, dyskeratosis, acanthosis, intercellular edema, dilatation of small blood vessels, and perivascular cell infiltration such as eosinophils, lymphocytes, and histiocytic cells appear in the upper dermis. Recently, in addition to immunological abnormalities, damage to the skin barrier function is considered a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he damage to the barrier function is due to a decrease in ceramide in the stratum corneum lipids, and the moisture retention and skin barrier function of the skin are lowered, which can increase the skin permeability of allergens or irritants and cause or aggravate the inflammatory reaction of the skin.

또한 CCL26은 CCL11/이오탁신(eotaxin)-1, CCL24/이오탁신-2, CCL26/이오탁신-3으로 구성된 이오탁신 서브 패밀리의 구성원으로, 호산구 및 호염기구에 대한 주요 화학 주성 역할로 잘 알려져 있다. 이오탁신은 아토피 환자의 피부병변에서 상향 조절되며 아토피 피부염의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In addition, CCL26 is a member of the eotaxin subfamily consisting of CCL11/eotaxin-1, CCL24/eotaxin-2, and CCL26/eotaxin-3, and is well known for its major chemotactic role on eosinophils and basophils. . Eotaxin is upregulated in skin lesions of atopic patient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genesis of atopic dermatitis.

현재까지 알려진 아토피 피부염의 주요 요인으로는 유전적 요인, 면역학적 요인, 환경적 요인이 있다. 예를 들어, 필라그린(filaggrin) 유전자 발현의 결핍으로 인해 피부 장벽에 결함을 일으키는 필라그린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한 요인, 항원에 의해 Th2 도움 T세포가 활성화되면서 생산되는 인터루킨-4, 인터루킨-5, 인터루킨-13이 B세포를 자극하여 면역글로불린 E(Immunoglobulin E: IgE)의 생성을 촉진시키고 비만 세포의 히스타민을 방출시켜 과민 반응을 유발하는 Th1/Th2 불균형에 의한 면역학적 요인, 피부에 자극을 주거나 항원과 세균에 노출되는 환경에 의한 요인 등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아토피 피부염이 발병되는 것이라고 알려져 있다. The major factors of atopic dermatitis known to date include genetic factors, immunological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For example, interleukin-4, interleukin-5, interleukin produced when Th2 helper T cells are activated by a factor caused by a filaggrin gene mutation that causes defects in the skin barrier due to a deficiency in filaggrin gene expression. -13 stimulates B cells to promote the production of Immunoglobulin E (IgE) and release histamine from mast cells to induce hypersensitivity reactions. Immunological factors caused by Th1/Th2 imbalance, stimulating skin or antigen It is known that atopic dermatitis develops due to complex interactions such as factors caused by the environment exposed to bacteria and bacteria.

과민성 면역반응에 의하여 비만세포가 활성화되면, 히스타민과 같은 가려움 유발물질(pruritogen)을 분비하게 되고, 이는 피부장벽을 붕괴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가려움 매개물질을 억제시킬 수 있는 물질을 발굴한다면, 아토피 피부염을 비롯한 각종 알러지성 질환을 제어하는데 효과적일 것이다.When mast cells are activated by an overactive immune response, pruritogens such as histamine are secreted, which causes the skin barrier to collapse. Therefore, if a substance that can minimize side effects and suppress itch mediators is discovered, it will be effective in controlling various allergic diseases including atopic dermatitis.

과민성 알러지 질환에 대한 치료법은 아직까지 확립되지 않은 상태이다. 일반적으로 주로 사용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법으로 중증도에 따라 보습제, 국소 스테로이드제, 국소 면역조절제, 항히스타민제 및 항생제가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과민성 알러지 치료제는 대부분 근본적인 치료가 아니기 때문에, 완치율이 낮고, 재발율이 높아, 장기간의 치료가 요구되는 만성 재발성 알러지 질환에 장기간 사용하기엔 위험이 있다. 따라서 이를 대체할 수 있고, 기존의 치료제의 사용을 줄일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해도 부작용이 없는 과민성 알러지 질환 치료제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A treatment for hypersensitivity allergic disease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atopic dermatitis, there are moisturizers, topical steroids, topical immunomodulators, antihistamines, and antibiotics. Since most of the currently used hypersensitivity allergy treatments are not fundamental treatments, the cure rate is low and the recurrence rate is high, so there is a risk for long-term use for chronic recurrent allergic diseases that require long-term treatment.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therapeutic agent for hypersensitivity allergy disease that can replace it, can reduce the use of existing therapeutic agents, and have no side effects even after long-term use.

일 양상은 트리푸하롤 A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알러지 질환 및 혈관확장과 연관된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사용하기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One aspect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use in preventing or treating allergic diseases and diseases associated with vasodilation, comprising tripuharol A or a physiolog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다른 양상은 트리푸하롤 A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알러지 질환 및 혈관확장과 연관된 질환을 개선하는데 사용하기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Another aspect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use in improving allergic diseases and diseases associated with vasodilation, comprising tripuharol A or a physiolog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다른 양상은 트리푸하롤 A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피부 수분 함량 유지 또는 개선을 위해 사용하기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Another aspect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use in maintaining or improving skin moisture content comprising tripuharol A or a physiolog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다른 양상은 상기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에서 알러지 질환 및 혈관확장과 연관된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Another aspect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allergic diseases and diseases associated with vasodilation in a subject, comprising administer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to the subject.

다른 양상은 상기한 화장료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를 화장하는 방법을 제공한다.Another aspect provides a method for making-up an individual, comprising administering the cosmetic composition to the individual.

일 양상은 트리푸하롤 A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알러지 질환 및 혈관확장과 연관된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사용하기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One aspect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use in preventing or treating allergic diseases and diseases associated with vasodilation, comprising tripuharol A or a physiolog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상기 알러지 질환은 과민성 알러지 질환일 수 있다. 상기 알러지 질환은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비염, 아나필락시스 쇼크, 및 가려움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The allergic disease may be a hypersensitivity allergic disease. The allergic disease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topic dermatitis, asthma, rhinitis, anaphylactic shock, and itch.

상기 혈관확장과 연관된 질환은 혈관확장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증상을 포함하는 질환일 수 있다. 상기 혈관확장과 연관된 질환은 안면홍조, 비충혈, 및 저혈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The disease associated with vasodilation may be a disease including symptoms caused by vasodilation. The disease associated with vasodilation may b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ot flashes, nasal congestion, and hypotension.

상기 트리푸하롤 A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확장된 혈관을 수축시켜 혈관으로부터 질병 유발 물질의 유출을 감소시키는 것, 피부로부터 수분이 손실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것, 피부 수분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 및 피부염 병변 부위에서 피부 또는 표피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 중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The tripuharol A or a physiolog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constricts dilated blood vessels to reduce the outflow of disease-causing substances from blood vessels, to reduce water loss from the skin, and to increase skin water content , and reducing the skin or epidermal thickness at the dermatitis lesion site.

상기 트리푸하롤 A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그를 포함하는 구멍쇠미역 추출물 또는 그 분획물의 형태일 수 있다. The tripuharol A or a physiolog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may be in the form of an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containing the same.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추출물은 조추출물, 분획물,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조추출물은 구멍쇠미역 식물체를 추출 용매와 접촉시켜 얻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분획물은 상기 조추출물에 대하여 특정 성분을 포함하는 물질을 분리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분리는 여과, 침지, 원심 분리,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는 다양한 조건 즉,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으로서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 HPLC, 고속유체크로마토그래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에 있어서, 추출에 사용된 저극성 용매는 추출 후 제거된 것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extract has the meaning commonly used as a crude extract in the art, but in a broad sense also includes a fraction obtained by additionally fractionating the extract. Accordingly, the extract may be a crude extract, a frac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crude extract may be one obtained by contacting a plant with fermented seaweed and an extraction solvent. The fraction may be obtained by separating a material containing a specific component with respect to the crude extract. The separation may be by filtration, immersion, centrifugation, chromatography,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chromatography is prepared for separation according to various conditions, ie, size, charge, hydrophobicity or affinity, and is ion exchange chromatography, affinity chromatography,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HPLC, high-performance flow chromatography, column chromatography, reversed phase column chromatography or a combination thereof. In the extract, the low-polarity solvent used for extraction may be removed after extraction.

상기 추출은 상기 식물체를 용매 중에 일정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교반 또는 교반 없이 수행되는 것일 수 있고, 또는 가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큐베이션은 실온 내지 환류 온도에서 교반 또는 교반 없이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인큐베이션 온도는 선택되는 용매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온 내지 환류 온도, 30℃ 내지 환류 온도, 40℃ 내지 환류 온도일 수 있다. 상기 가열은 50℃, 60℃, 70℃, 80℃, 또는 환류 온도까지 가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은 50℃ 내지 환류 온도, 60℃ 내지 환류 온도, 70℃ 내지 환류 온도, 80℃ 내지 환류 온도, 또는 환류 온도까지 가열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 시간은 선택된 온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1 시간 내지 2개월, 예를 들면, 1 시간 내지 1개월, 1 시간 내지 15일, 1 시간 내지 10일, 1 시간 내지 5일, 1 시간 내지 3일, 1 시간 내지 2일, 1 시간 내지 1일, 5 시간 내지 1개월, 5 시간 내지 15일, 5 시간 내지 10일, 5 시간 내지 5일, 5 시간 내지 3일, 5 시간 내지 2일, 5 시간 내지 1일, 10 시간 내지 1개월, 10 시간 내지 15일, 10 시간 내지 10일, 10 시간 내지 5일, 10 시간 내지 3일, 또는 10 시간 내지 2일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은 상기 식물체를 용매 중에서 환류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상기 식물체 중량에 대하여 1 배, 2 배, 5 배, 10 배 또는 15배 이상의 부피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상기 식물체 중량에 대하여 1배 내지 15배, 2배 내지 15배, 5배 내지 15배, 10배 내지 15배 또는 약 15배의 부피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식물체는 음지에 건조한 것일 수 있다. The extraction may include incubating the plant in a solvent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extraction may be performed without stirring or stirring, or may include heating. The incubation may be carried out without stirring or stirring at room temperature to reflux temperature. The incubation temperature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selected solvent. For example, it may be room temperature to reflux temperature, 30 °C to reflux temperature, 40 °C to reflux temperature. The heating may include heating to 50°C, 60°C, 70°C, 80°C, or reflux temperature. The heating may be 50°C to reflux temperature, 60°C to reflux temperature, 70°C to reflux temperature, 80°C to reflux temperature, or heating to reflux temperature. The extraction time may vary depending on the selected temperature, for example, from 1 hour to 2 months, for example, from 1 hour to 1 month, from 1 hour to 15 days, from 1 hour to 10 days, from 1 hour to 5 days, from 1 hour to 3 days. , 1 hour to 2 days, 1 hour to 1 day, 5 hours to 1 month, 5 hours to 15 days, 5 hours to 10 days, 5 hours to 5 days, 5 hours to 3 days, 5 hours to 2 days, 5 hours to 1 day, 10 hours to 1 month, 10 hours to 15 days, 10 hours to 10 days, 10 hours to 5 days, 10 hours to 3 days, or 10 hours to 2 days. The extraction may be reflux extraction of the plant in a solvent. The solvent may have a volume of 1 times, 2 times, 5 times, 10 times, or 15 times or more with respect to the weight of the plant. The solvent may have a volume of 1 to 15 times, 2 to 15 times, 5 to 15 times, 10 to 15 times, or about 15 times the weight of the plant. The plant may be dried in the shade.

상기 추출 방법으로는 여과법, 열수 추출, 침지 추출, 냉침법, 마이크로웨이브 추출, 환류냉각 추출, 가압 추출, 아임계 추출, 초임계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침지 추출 방법일 수 있다. 침지 추출은 온침 또는 상온에서 침지하는 것일 수 있고, 1회 내지 5회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멍쇠미역 식물체는 0.1 내지 10배 또는 1 내지 6배의 추출 용매에 접촉되는 것일 수 있다. 냉침 추출온도는 20℃ 내지 40℃ 인 것일 수 있다. 온침 또는 가열 추출 온도는 40℃ 내지 100℃일 수 있다. 냉침 추출 시간은 24 내지 120시간일 수 있으며, 온침 또는 가열 추출 온도는 0.5시간 내지 48시간일 수 있다.As the extraction method, conventional methods in the art, such as filtration, hot water extraction, immersion extraction, immersion extraction, microwave extraction, reflux cooling extraction, pressure extraction, subcritical extraction, supercritical extraction, and ultrasonic extraction, may be used. For example, it may be an immersion extraction method. Immersion extraction may be immersion at room temperature or warm immersion, and may be extracted 1 to 5 times. The seaweed plant may be in contact with 0.1 to 10 times or 1 to 6 times the extraction solvent. The cold extraction temperature may be in the range of 20°C to 40°C. The hot extraction or heat extraction temperature may be 40 °C to 100 °C. The cold extraction time may be 24 to 120 hours, and the hot or heated extraction temperature may be 0.5 to 48 hours.

상기 추출은 또한 얻어진 추출액으로부터 감압 농축과 같은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용매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또한 얻어진 추출물을 동결건조와 같은 건조에 의하여 건조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압농축은 진공 감압농축기 또는 진공 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하는 것일 수 있다.The extraction may also include removing the solvent from the obtained extract by a known method such as concentration under reduced pressure. The extraction may also include preparing a dry extract by drying the obtained extract, such as freeze-drying. The reduced pressure concentration may be using a vacuum reduced pressure concentrator or a vacuum rotary evaporator. In addition, drying may be vacuum drying, vacuum drying, boiling drying, spray drying or freeze drying.

상기 구멍쇠미역 추출물은 구멍쇠미역 식물체를 저극성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저극성 용매는 아세톤,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n-부틸아세테이트, t-부틸메틸에테르, 디메틸설폭시드, 디에틸에테르, 헵탄, 펜탄,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산, 석유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1,2-디클로로에텐, 디클로로메탄, 헥산, 또는 이들의 조합, 또는 이들의 수용액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수용액은 물과 혼합되는 용매의함량이, 50% 이상, 60% 이상, 70% 이상, 80% 이상, 85% 이상, 90% 이상, 또는 95% 이상인 수용일 수 있다. The extract may be obtained by extracting the seaweed extract with a low-polarity solvent. The low polar solvent is acetone,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n-butyl acetate, t-butyl methyl ether, dimethyl sulfoxide, diethyl ether, heptane, pentane, methyl ethyl ketone, methyl isobutyl ketone, cyclohexane, petroleum ether , dichloromethane, dichloroethane, 1,2-dichloroethene, dichloromethane, hexane, or a combination thereof, or an aqueous solution thereof. The aqueous solution may be an aqueous solution in which the content of the solvent mixed with water is 50% or more, 60% or more, 70% or more, 80% or more, 85% or more, 90% or more, or 95% or more.

상기 분획물은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에탄, 또는 물 분획물일 수 있다.The fraction may be a fraction of hexane, ethyl acetate, dichloroethane, or water.

상기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일 수 있다. The physiologically acceptable salt may b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상기 트리푸하롤 A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구멍쇠미역 추출물과 같은 복합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아닌 단일성분으로 분리된 것일 수 있다. The tripuharol A or a physiolog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may be isolated as a single component, rather than including a complex component, such as an extract of fermented seaweed.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담체일 수 있다. 상기 담체는 예를 들면, 희석제, 윤활제, 점증제, 붕해제, 버퍼, 보존제, 방향제, 또는 결합제일 수 있다.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includ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The carrier may be any carrier known in the art. The carrier may be, for example, a diluent, lubricant, thickener, disintegrant, buffer, preservative, flavoring agent, or binder.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제형일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제형은 정제, 환자, 산제, 과립제, 캡슐제, 또는 트로키제일 수 있다. 상기 비경구 투여 제형은 액제일 수 있다.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in an oral or parenteral dosage form. The oral dosage form may be a tablet, patient, powder, granule, capsule, or troche. The parenteral dosage form may be a liquid formulation.

다른 양상은 트리푸하롤 A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알러지 질환 및 혈관확장과 연관된 질환을 개선하는데 사용하기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Another aspect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use in improving allergic diseases and diseases associated with vasodilation, comprising tripuharol A or a physiolog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상기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트리푸하롤 A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알러지 질환" 및 "혈관확장과 연관된 질환"에 대하여 달이 언급이 없으면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일 수 있다. In the food composition, if there is no mention of "triphuharol A or a physiolog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llergic disease" and "disease associated with vasodilation", it is the same as described f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 The physiologically acceptable salt may be a food acceptable salt.

상기 식품 조성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담체일 수 있다. 상기 담체는 예를 들면, 희석제, 윤활제, 점증제, 붕해제, 버퍼, 보존제, 방향제, 또는 결합제일 수 있다. The food composition may include a foo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The carrier may be any carrier known in the art. The carrier may be, for example, a diluent, lubricant, thickener, disintegrant, buffer, preservative, flavoring agent, or binder.

다른 양상은 트리푸하롤 A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피부 수분 함량 유지 또는 개선을 위해 사용하기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Another aspect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use in maintaining or improving skin moisture content comprising tripuharol A or a physiolog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상기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트리푸하롤 A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알러지 질환" 및 "혈관확장과 연관된 질환"에 대하여 달이 언급이 없으면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일 수 있다. In the food composition, if there is no mention of "triphuharol A or a physiolog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llergic disease" and "disease associated with vasodilation", it is the same as described f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 The physiologically acceptable salt may be a cosmetically acceptable salt.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담체일 수 있다. 상기 담체는 예를 들면, 희석제, 윤활제, 점증제, 붕해제, 버퍼, 보존제, 방향제, 또는 결합제일 수 있다.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include a cosmetically acceptable carrier. The carrier may be any carrier known in the art. The carrier may be, for example, a diluent, lubricant, thickener, disintegrant, buffer, preservative, flavoring agent, or binder.

다른 양상은 상기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에서 알러지 질환 및 혈관확장과 연관된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Another aspect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allergic diseases and diseases associated with vasodilation in a subject, comprising administer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to the subject.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개체는 포유동물, 예를 들면, 사람, 소, 말, 돼지, 개, 양, 염소, 또는 고양이일 수 있다. In the method, the subject may be a mammal, for example, a human, cow, horse, pig, dog, sheep, goat, or cat.

상기 방법에 있어서, 투여량은 알러지 질환 및 혈관확장과 연관된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에 유효한 양일 수 있다. 상기 투여량은 선택되는 개체, 개체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In the method, the dosage may be an amount effective for preventing or treating allergic diseases and diseases associated with vasodilation. The dosage may vary depending on the selected subject, the subject's age, weight, sex, dosage form, health status, and disease severity.

상기 투여는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일 수 있다. 상기 투여는 예를 들면, 정맥, 복강, 피내, 피하, 상피 또는 근육투여일 수 있다. The administration may be oral administration or parenteral administration. The administration may be, for example, intravenous, intraperitoneal, intradermal, subcutaneous, epithelial or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상기 알러지 질환은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비염, 아나필락시스 쇼크, 및 가려움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혈관확장과 연관된 질환은 안면홍조, 비충혈, 및 저혈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The allergic disease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topic dermatitis, asthma, rhinitis, anaphylactic shock, and itch. The disease associated with vasodilation may b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ot flashes, nasal congestion, and hypotension.

다른 양상은 상기한 화장료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를 화장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피부 수분 함량을 유지 또는 개선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Another aspect provides a method for making-up an individual, comprising administering the cosmetic composition to the individual. The method may be for maintaining or improving skin moisture content.

일 양상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에 의하면, 개체에서 알러지 질환 및 혈관확장과 연관된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an aspect, it can be used to prevent or treat allergic diseases and diseases associated with vasodilation in a subject.

일 양상에 따른 식품 조성물에 의하면, 개체에서 알러지 질환 및 혈관확장과 연관된 질환을 개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ood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it can be used to improve allergic diseases and diseases associated with vasodilation in a subject.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면, 개체에서 피부 수분 함량 유지 또는 개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an aspect, it can be used to maintain or improve skin moisture content in an individual.

일 양상에 따른 개체에서 알러지 질환 및 혈관확장과 연관된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에 의하면, 개체에서 알러지 질환 및 혈관확장과 연관된 질환을 효율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allergic diseases and diseases associated with vasodilation in an individual according to an aspec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or treat allergic diseases and diseases associated with vasodilation in an individual.

일 양상에 따른 개체를 화장하는 방법에 의하면, 개체를 효율적으로 화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putting on makeup on an object according to an aspect,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ut on makeup on the object.

도 1은 RBL-2H3 세포에서 구멍쇠미역 처리 후 탈과립 정도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2는 HaCaT 세포에서 구멍쇠미역 처리 후 CCL26 정도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3은 RBL-2H3 세포에서 트리푸하롤 A 처리 후 탈과립 정도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4는 HaCaT 세포에서 트리푸하롤 A 처리 후 CCL26 정도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5는 ICR 마우스에서 구멍쇠미역 처리 후 컴파운드 48/80으로 아나필락시스 쇼크를 유도한 후 과민반응 억제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ICR 마우스에서 트리푸하롤 A 처리 후 컴파운드 48/80으로 아나필락시스 쇼크를 유도한 후 과민반응 억제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ICR 마우스에서 구멍쇠미역 처리 후 컴파운드 48/80으로 가려움증을 유도한 후 가려움증의 억제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ICR 마우스에서 트리푸하롤 A 처리 후 컴파운드 48/80으로 가려움증을 유도한 후 가려움증의 억제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수정란에 구멍쇠미역 추출물과 그 분획물을 처리하여 혈관의 차이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0은 수정란에 구멍쇠미역 추출물과 그 분획물을 처리하여 미세혈관의 감소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수정란에 구멍쇠미역 추출물과 그 분획물을 처리하여 혈관의 직경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수정란에 미녹시딜을 처리하여 혈관을 확장시킨 후 구멍쇠미역 추출물과 그 분획물을 처리하여 미세혈관의 감소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수정란에 미녹시딜을 처리하여 혈관을 확장시킨 후 구멍쇠미역 추출물과 그 분획물을 처리하여 혈관의 직경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는 집먼지 진드기 유도 아토피 피부염 NC/Nga 마우스에서 트리푸하롤 A 처리 후 시간 경과에 따른 마우스 등 표현형에 대한 사진이다.
도 15는 집먼지 진드기 유도 아토피 피부염 NC/Nga 마우스에서 트리푸하롤 A 처리 후 가려움증의 억제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6은 집먼지 진드기 유도 아토피 피부염 NC/Nga 마우스에서 트리푸하롤 A 처리 후 피부염 증상의 육안적 개선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7은 집먼지 진드기 유도 아토피 피부염 NC/Nga 마우스에서 트리푸하롤 A 처리 후 시간 경과에 따른 경피 수분 손실량(TEWL)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18은 집먼지 진드기 유도 아토피 피부염 NC/Nga 마우스에서 트리푸하롤 A 처리 후 시간 경과에 따른 피부의 수분 함유량(hydration)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19는 집먼지 진드기 유도 아토피 피부염 NC/Nga 마우스에서 트리푸하롤 A 처리 후 혈장 내 IL-4 양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20은 집먼지 진드기 유도 아토피 피부염 NC/Nga 마우스에서 트리푸하롤 A 처리 후 혈장 내 IgE 양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21은 집먼지 진드기 유도 아토피 피부염 NC/Nga 마우스에서 트리푸하롤 A 처리 후 피부 조직을 헤마톡실린과 에오신으로 염색한 사진이다.
도 22는 집먼지 진드기 유도 아토피 피부염 NC/Nga 마우스에서 트리푸하롤 A 처리 후 표피 두께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23은 집먼지 진드기 유도 아토피 피부염 NC/Nga 마우스에서 트리푸하롤 A 처리 후 피부 조직을 톨루이딘 블루로 염색한 사진이다.
도 24는 집먼지 진드기 유도 아토피 피부염 NC/Nga 마우스에서 트리푸하롤 A 처리 후 비만세포의 수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1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 of measuring the degree of degranulation after treatment with seaweed in RBL-2H3 cells.
Figure 2 is a graph of the result of measuring the degree of CCL26 after treatment with seaweed in HaCaT cells.
3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degree of degranulation after tripuharol A treatment in RBL-2H3 cells.
4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 of measuring the degree of CCL26 after tripuharol A treatment in HaCaT cells.
5 is a graph showing the hypersensitivity reaction inhibitory effect after induction of anaphylactic shock with compound 48/80 after treatment with seaweed in ICR mice.
6 is a graph showing the hypersensitivity reaction inhibitory effect after induction of anaphylactic shock with compound 48/80 after tripuharol A treatment in ICR mice.
7 is a graph showing the inhibitory effect of itch after inducing itch with compound 48/80 after treatment with fern seaweed in ICR mice.
8 is a graph showing the inhibitory effect of itch after induction of itch with compound 48/80 after treatment with tripuharol A in ICR mice.
9 is a photograph showing the difference in blood vessels by treating the fertilized egg with an extract and its fractions from fertilized egg.
10 is a graph showing the reduction rate of microvessels by treating the fertilized egg with an extract and its fractions from fertilized egg.
11 is a graph showing the diameter of blood vessels by treating a fertilized egg with an extract and a fraction thereof.
12 is a graph showing the reduction rate of microvessels by treating fertilized eggs with minoxidil to dilate blood vessels, and then treating the fertilized egg with an extract and its fractions.
13 is a graph showing the diameter of blood vessels by treating the fertilized egg with minoxidil to dilate the blood vessels, and then treating the fertilized egg with an extract and its fractions.
14 is a photograph showing the phenotype of mice and the like over time after tripuharol A treatment in NC/Nga mice with house dust mite-induced atopic dermatitis.
15 is a graph showing the inhibitory effect of itch after tripuharol A treatment in NC/Nga mice with house dust mite-induced atopic dermatitis.
16 is a graph showing the degree of visual improvement of dermatitis symptoms after tripuharol A treatment in NC/Nga mice with house dust mite-induced atopic dermatitis.
17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amount of transdermal water loss (TEWL) over time after tripuharol A treatment in NC/Nga mice with house dust mite-induced atopic dermatitis.
18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moisture content (hydration) of the skin over time after tripuharol A treatment in NC/Nga mice with house dust mite-induced atopic dermatitis.
19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amount of IL-4 in plasma after tripuharol A treatment in NC/Nga mice with house dust mite-induced atopic dermatitis.
20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amount of IgE in plasma after tripuharol A treatment in NC/Nga mice with house dust mite-induced atopic dermatitis.
FIG. 21 is a photograph in which the skin tissue was stained with hematoxylin and eosin after tripuharol A treatment in NC/Nga mice with house dust mite-induced atopic dermatitis.
22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epidermal thickness after tripuharol A treatment in NC/Nga mice with house dust mite-induced atopic dermatitis.
23 is a photograph showing toluidine blue staining of skin tissue after tripuharol A treatment in NC/Nga mice with house dust mite-induced atopic dermatitis.
24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 of measuring the number of mast cells after tripuharol A treatment in NC/Nga mice with house dust mite-induced atopic dermatitis.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However, these example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f one or more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실시예 1. 구멍쇠미역 아세톤 추출물의 제조Example 1. Preparation of Acetone Extract

본 발명에서 사용된 구멍쇠미역은 대한민국 강원도 강릉 해안에서 2015년 12월에 직접 채집하여 사용하였다. 채집 후 모래와 소금은 수도물로 수차례 세척하여 제거한 후 정제수로 헹군 후 실온의 어두운 곳에서 5일 동안 건조하였다. 건조된 구멍쇠미역을 분쇄한 후 구멍쇠미역 1g에 대하여 70% 아세톤 35mL의 비율로 70% 아세톤에 첨가하고 5.75시간 동안 초음파 기기(Flexonic-500, 미래초음파기술, 한국)를 사용하여 30℃에서 초음파를 조사하여 추출하였다. 초음파 조사 조건은 35 kHz 및 56.58 W/cm2이었다. 이렇게 얻은 추출액을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수율: 9.9%)The seawee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as directly collected and used in December 2015 from the coast of Gangneung, Gangwon-do, Republic of Korea. After collection, sand and salt were washed several times with tap water to remove them, rinsed with purified water, and then dried in a dark place at room temperature for 5 days. After grinding the dried seaweed, it was added to 70% acetone at a ratio of 35mL of 70% acetone to 1 g of seaweed and was heated at 30℃ using an ultrasonic device (Flexonic-500, Mirae Ultrasound Technology, Korea) for 5.75 hours. The extraction was conducted by irradiating ultrasonic waves. Ultrasonic irradiation conditions were 35 kHz and 56.58 W/cm 2 . The extract thus obtained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then lyophilized to be used as a sample. (Yield: 9.9%)

실시예 2. 구멍쇠미역 분획의 제조Example 2. Preparation of fractions from fermented wakame seaweed

실시예 1의 70% 아세톤 추출물을 동량의 물에 현탁한 후 n-헥산, 디클로로에탄(DCE),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EA) 순으로 분획화(consecutive solute fractionation)를 진행하여 4개의 분획을 얻었다. 즉, 같은 양의 정제수에 현탁시킨 추출물 + 분획용매 n-헥산을 넣고 세게 수십 번 흔든 후 가라앉혀 n-헥산층을 얻었다. 이 과정은 총 3번을 진행하였다. 나머지 DCE 및 EA 분획도 같은 방법으로 얻었다. 남는 분획은 농축하여 물 분획으로 하였다. 각 분획의 수율은 아세톤 추출물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 10.9%, 23.9%, 11.7%, 및 53.4%였다. After suspending the 70% acetone extract of Example 1 in the same amount of water, n-hexane, dichloroethane (DCE), and ethyl acetate (ethyl acetate, EA) were performed in the order of fractionation (consecutive solute fractionation) to obtain four fractions. got it That is, the extract suspended in the same amount of purified water + n-hexane as a fractionation solvent was added, shaken vigorously several dozen times, and then submerged to obtain an n-hexane layer. This process was performed three times in total. The remaining DCE and EA fractions were obtained in the same manner. The remaining fraction was concentrated to obtain a water fraction. The yield of each fraction was 10.9%, 23.9%, 11.7%, and 53.4%, respectively, based on the acetone extract.

실시예 3. 트리푸하롤 A의 분리Example 3. Isolation of tripuharol A

실시예 2의 구멍쇠미역 EA 분획을 화합물 분리에 사용하였다. 용매를 물/메탄올(1/1 -> 1/3 -> 0/1), 메탄올/아세톤 (5/1 -> 3/1 -> 1/1)을 단계적 구배로 흘려주면서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총 6가지의 서브분획을 얻었다. 이 중 서브분획 5와 6을 모아서 감압농축/동결건조를 실시하였고, HPLC/MS, 및 1H NMR, 13C NMR을 통하여 주요 성분이 트리푸하롤 A임을 확인하였다.The EA fraction of fermented seaweed of Example 2 was used for compound isolation. Sephadex LH-20 Column while flowing the solvent in a stepwise gradient of water/methanol (1/1 -> 1/3 -> 0/1) and methanol/acetone (5/1 -> 3/1 -> 1/1) A total of 6 sub-fractions were obtained by chromatography. Among them, subfractions 5 and 6 were collected an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lyophiliz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main component was tripuharol A through HPLC/MS, 1 H NMR, and 13 C NMR.

H NMR (600 MHz, CD3OD): 5.89 (d, 2H, J = 2.6 Hz, Ph-H), 5.90(s, 2H, Ph-H), 5.92 (s, 2H, Ph-H). 13C NMR (150 MHz, CD3OD): 95.54 (2C, CH), 95.54 (2C, CH), 98.11 (2C, CH), 125.13 (1C, C), 125.78 (1C, C), 147.99 (1C, C),152.48 (2C, C), 152.62 (2C, C), 152.71 (2C, C), 158.77 (1C, C),158.78 (1C, C), 160.75 (1C, C).HPLC-DAD-QMS m/z: 413.1 (M+Na+).H NMR (600 MHz, CD 3 OD): 5.89 (d, 2H, J = 2.6 Hz, Ph-H), 5.90 (s, 2H, Ph-H), 5.92 (s, 2H, Ph-H). 13 C NMR (150 MHz, CD 3 OD): 95.54 (2C, CH), 95.54 (2C, CH), 98.11 (2C, CH), 125.13 (1C, C), 125.78 (1C, C), 147.99 (1C) , C), 152.48 (2C, C), 152.62 (2C, C), 152.71 (2C, C), 158.77 (1C, C), 158.78 (1C, C), 160.75 (1C, C). HPLC-DAD- QMS m/z : 413.1 (M+Na + ).

실시예 4. 구멍쇠미역 및 트리푸하롤 A의 면역세포 탈과립화 억제 여부 확인Example 4. Confirmation of suppression of immune cell degranulation of seaweed and tripuharol A

구멍쇠미역이 면역세포가 염증성 물질을 방출하는 탈과립화(degranulation)를 억제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베타-헥소스아미니다제(β-hexosaminidase) 활성을 측정하였다.In order to confirm whether the fermented seaweed inhibits the degranulation of immune cells to release inflammatory substances, beta-hexosaminidase activity was measured.

면역세포는, 랫드 호염기성 백혈병 세포(rat basophilic leukemia cell)인 RBL-2H3 세포를 한국세포주은행(Korea Cell Line Bank, 서울, 대한민국)에서 분양받아서 사용하였다. RBL-2H3 세포를 10% FBS가 포함된 DMEM (Cat. No. sh30284.01, HYCLONE, USA)에 현탁시킨 후 24-웰 플레이트에 5x105 cells/well의 밀도로 분주하여 37℃, 5% CO2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16시간 후 항-DNP-IgE 항체(Cat. No. D8406, Sigma, USA)를 100 ng/ml 농도로 웰에 첨가한 후 37℃, 5% CO2의 조건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시라가니안 버퍼(siraganian buffer; 119 mM NaCl, 5 mM KCl, 0.4 mM MgCl2, 25 mM PIPES, 40 mM NaOH, 5.6 mM 글루코스, 1 mM CaCl2, 및 0.1% BSA)로 2회 세포를 세척하고, 50 μM의 케토티펜, 10 μg/mL 또는 30 μg/mL 또는 100 μg/mL의 실시예1에서 얻어진 70% 아세톤 구멍쇠미역 추출물 또는 EA 분획물, 또는 10 μM 또는 30 μM 또는 100 μM의 트리푸하롤 A를 함유하는 시라가니안 버퍼 각 200 μl를 첨가하고 1시간 동안 37℃, 5% CO2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PIPES는 피페라진-N,N'-비스(2-에탄술폰산)을 나타낸다. 이후 항원으로서 DNP-BSA를 100ng/ml의 농도로 첨가하여 1시간 반응시키고 얼음(ice bath)에서 10분간 방치하여 반응을 종결시켰다. DNP는 디니틀로페닐을 나타낸다. 이후, 각 반응액을 수득하여 2,000 rpm에서 원심분리한 상등액에 베타-헥소스아미니다제의 기질인 4-니트로페닐 N-아세틸-β-D-글루코사미니드(4-Nitrophenyl N-acetyl-β-D-glucosaminide)를 1 mM로 첨가하여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0.1M NaCO3/NaHCO3 용액을 넣어 반응을 정지시켰다. 마이크로플레이트 스펙트로포토미터(BioTek, 미국)로 405 nm 파장에서 각 반응액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각 처리군의 베타-헥소스아미니다제 활성을 무처리군의 활성에 대한 백분율로 계산하여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Immune cells, rat basophilic leukemia cells (rat basophilic leukemia cells), RBL-2H3 cells were purchased from Korea Cell Line Bank (Korea Cell Line Bank, Seoul, Korea) was used. After suspending RBL-2H3 cells in DMEM (Cat. No. sh30284.01, HYCLONE, USA) containing 10% FBS, aliquots at a density of 5x10 5 cells/well in a 24-well plate at 37°C, 5% CO It was cultured under the conditions of 2 . After 16 hours of incubation, an anti-DNP-IgE antibody (Cat. No. D8406, Sigma, USA) was added to the wells at a concentration of 100 ng/ml, followed by incubation at 37° C. and 5% CO 2 conditions for 4 hours. Cells were then washed twice with siraganian buffer (119 mM NaCl, 5 mM KCl, 0.4 mM MgCl 2 , 25 mM PIPES, 40 mM NaOH, 5.6 mM glucose, 1 mM CaCl 2 , and 0.1% BSA). and 50 µM of ketotifen, 10 µg/mL or 30 µg/mL or 100 µg/mL of 70% acetone obtained in Example 1 or EA fraction, or 10 µM or 30 µM or 100 µM of Each 200 μl of ciraganian buffer containing tripuharol A was added and cultured at 37° C., 5% CO 2 for 1 hour. PIPES stands for piperazine-N,N'-bis(2-ethanesulfonic acid). Thereafter, DNP-BSA as an antigen was added at a concentration of 100 ng/ml, reacted for 1 hour, and left in an ice bath for 10 minutes to terminate the reaction. DNP stands for dinitrophenyl. Then, each reaction solution was obtained and centrifuged at 2,000 rpm in the supernatant to be beta-hexosaminidase substrate 4-nitrophenyl N-acetyl-β-D-glucosaminide (4-Nitrophenyl N-acetyl-β -D-glucosaminide) was added at 1 mM, reacted at 37° C. for 1 hour, and 0.1M NaCO 3 /NaHCO 3 solution was added to stop the reaction. The absorbance of each reaction solution was measured with a microplate spectrophotometer (BioTek, USA) at a wavelength of 405 nm, and the beta-hexosaminidase activity of each treated group was calculated as a percentage of the activity of the untreated group. Table 1 and FIG. 1 .

시료sample 베타-헥소스아미니다제 활성( %)Beta-hexosaminidase activity (%) 무처리군untreated group 100.00100.00 IgE + DNP-BSAIgE + DNP-BSA 297.13297.13 IgE + DNP-BSA + 케토티펜 50 uMIgE + DNP-BSA + Ketotifen 50 uM 183.11183.11 IgE + DNP-BSA + 구멍쇠미역 추출물 10 uMIgE + DNP-BSA + 10 µM 177.61177.61 IgE + DNP-BSA + 구멍쇠미역 추출물 30 uMIgE + DNP-BSA + 30 μM 162.69162.69 IgE + DNP-BSA + 구멍쇠미역 추출물 100 uM100 uM of IgE + DNP-BSA + Seaweed extract 160.12160.12 IgE + DNP-BSA + 구멍쇠미역 EA 분획물 10 uM10 uM of IgE + DNP-BSA + EA fraction 202.06202.06 IgE + DNP-BSA + 구멍쇠미역 EA 분획물 30 uM30 uM of IgE + DNP-BSA + EA fraction 177.93177.93 IgE + DNP-BSA + 구멍쇠미역 EA 분획물 100 uM100 uM of IgE + DNP-BSA + EA fraction 166.46166.46

도 1은 RBL-2H3 세포에서 구멍쇠미역 처리 후 탈과립 정도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1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degree of degranulation after treatment with seaweed in RBL-2H3 cells.

그 결과, 표 1 및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멍쇠미역 추출물 및 EA 분획물은 RBL-2H3 세포에서 탈과립을 현저히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면역세포 탈과립에 의한 급격한 알러지 반응이나 가려움증 등 아토피 증상 완화에 구멍쇠미역이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As a result, as shown in Table 1 and Fig. 1, it was confirmed that the extract and the EA fraction significantly inhibited degranulation in RBL-2H3 cells. This means that seaweed can be helpful in alleviating symptoms of atopic dermatitis, such as itching or a rapid allergic reaction caused by immune cell degranulation.

또한 구멍쇠미역에서 분리한 트리푸하롤 A에 대해서도 같은 활성을 측정하여 확인하였다.In addition, the same activity was measured and confirmed for tripuharol A isolated from seaweed.

시료sample 베타-헥소스아미니다제 활성( %)Beta-hexosaminidase activity (%) 무처리군untreated group 100.00100.00 IgE + DNP-BSAIgE + DNP-BSA 333.46333.46 IgE + DNP-BSA + 케토티펜 50 uMIgE + DNP-BSA + Ketotifen 50 uM 255.51255.51 IgE + DNP-BSA + 트리푸하롤 A 10 uMIgE + DNP-BSA + tripuharol A 10 uM 245.59245.59 IgE + DNP-BSA + 트리푸하롤 A 30 uMIgE + DNP-BSA + Tripuharol A 30 uM 229.39229.39 IgE + DNP-BSA + 트리푸하롤 A 100 uMIgE + DNP-BSA + Tripuharol A 100 uM 171.09171.09

도 3은 RBL-2H3 세포에서 트리푸하롤 A 처리 후 탈과립 정도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3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degree of degranulation after tripuharol A treatment in RBL-2H3 cells.

그 결과, 표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리푸하롤 A는 RBL-2H3 세포에서 탈과립을 현저히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면역세포 탈과립에 의한 급격한 알러지 반응이나 가려움증 등 아토피 증상 완화에 트리푸하롤 A가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As a result, as shown in Table 2 and FIG. 3, it was confirmed that tripuharol A significantly inhibited degranulation in RBL-2H3 cells. This means that tripuharol A can be helpful in alleviating symptoms of atopic dermatitis, such as itching or a rapid allergic reaction caused by immune cell degranulation.

실시예 5. 구멍쇠미역 및 트리푸하롤 A의 CCL26 발현 억제 여부 확인Example 5. Confirmation of suppression of CCL26 expression of seaweed and tripuharol A

CCL26은 호산구에 대한 주요 화학 주성 역할을 한다. 또한 과민성 알러지 질환 환자의 병변에서 CCL26의 발현은 상향조절되며 과민성 알러지 질환의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구멍쇠미역이 CCL26의 발현을 억제하는지 확인하였다.CCL26 plays a major chemotactic role for eosinophils. In addition, the expression of CCL26 is up-regulated in the lesions of hypersensitivity allergic disease patient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genesis of hypersensitivity allergic disease. It was confirmed whether or not seaweed inhibits the expression of CCL26.

구체적으로, 인간 HaCaT 각질세포(keratinocyte)를 Accegen biotechnology(Cat. No. ABC-TC536S, New Jersey, USA)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HaCaT 세포를 10% FBS가 포함된 DMEM에 현탁시킨 후 6-웰 플레이트에 5x105 cells/well의 밀도로 분주하여 37℃, 5% CO2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16시간 후 1% 숯-덱스트란-처리된(charcoal-dextran-treated, CDT) FBS가 포함된 DMEM에 시료를 10ug/ml, 30ug/ml 또는 100ug/ml의 농도로 1시간 동안 전처리한 뒤, IL-4 (Cat. No. SRP4137, Sigma, USA)를 20 ng/ml 농도로 웰에 첨가한 후 37℃, 5% CO2의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시료는 실시예 1의 70% 아세톤 추출물 및 실시예 2의 EA 분획물 및 실시예 3의 트리푸하롤 A이다. 세포는 RNeasy mini kit (Qiagen)을 사용하여 QIAsymphony 또는 QIAQube (Qiagen) 기기에 장착하여 RNA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RNA는 Agilent 2100 BioAnalyzer (Agilent Technologies, SantaClara, CA, USA)를 사용하여 인테그리티를 확인하였다. cDNA는 ImProm-II Reverse Transcription System (Promega, Madison, WI, USA)을 이용하여 1ug의 RNA를 cDNA로 합성하였다. PCR은 GeneAmp PCR System 9700 (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CA, USA)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0.02 μl Ex taq 폴리머라제 (TAKARA, Otsu, Shiga, Japan), 2 μl Ex taq 폴리머라제 버퍼, 1.6 μl dNTP (10 mM), 2 μl 포워드 프라이머(20 μM), 2 μl 리버스 프라이머 (20 μM), 11.38 μl 뉴클레아제-프리 물과 1 μl의 합성한 제1 가닥 cDNA를 잘 섞어 총 20 μl 용량으로 PCR를 수행하였다. 각 처리군의 CCL26의 발현을 무처리군의 활성에 대한 비율로 계산하여 표 3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Specifically, human HaCaT keratinocytes were purchased from Accegen biotechnology (Cat. No. ABC-TC536S, New Jersey, USA) and used. HaCaT cells were suspended in DMEM containing 10% FBS and then aliquoted at a density of 5x10 5 cells/well in a 6-well plate and cultured at 37° C. and 5% CO 2 conditions. After 16 hours of incubation, the sample was pretreated in DMEM containing 1% charcoal-dextran-treated (CDT) FBS at a concentration of 10ug/ml, 30ug/ml, or 100ug/ml for 1 hour. , IL-4 (Cat. No. SRP4137, Sigma, USA) was added to the wells at a concentration of 20 ng/ml, followed by incubation at 37° C. and 5% CO 2 conditions for 24 hours. The samples are the 70% acetone extract of Example 1, the EA fraction of Example 2, and tripuharol A of Example 3. Cells were mounted on a QIAsymphony or QIAQube (Qiagen) instrument using RNeasy mini kit (Qiagen) to extract RNA. The extracted RNA was checked for integrity using an Agilent 2100 BioAnalyzer (Agilent Technologies, SantaClara, CA, USA). cDNA was synthesized from 1 ug RNA as cDNA using the ImProm-II Reverse Transcription System (Promega, Madison, WI, USA). PCR was performed using the GeneAmp PCR System 9700 (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CA, USA). 0.02 μl Ex taq polymerase (TAKARA, Otsu, Shiga, Japan), 2 μl Ex taq polymerase buffer, 1.6 μl dNTP (10 mM), 2 μl forward primer (20 μM), 2 μl reverse primer (20 μM), 11.38 μl of nuclease-free water and 1 μl of synthesized first-strand cDNA were well mixed and PCR was performed in a total volume of 20 μl. The expression of CCL26 in each treatment group was calculated as a ratio to the activity of the untreated group, and is shown in Table 3 and FIG. 2 .

시료sample CCL26 mRNA 발현CCL26 mRNA expression 무처리군untreated group 1One IL-4IL-4 28.6528.65 IL-4 + 구멍쇠미역 추출물 10 uMIL-4 + 10 uM fermented seaweed extract 18.6518.65 IL-4 + 구멍쇠미역 추출물 30 uMIL-4 + Seaweed extract 30 uM 21.3521.35 IL-4 + 구멍쇠미역 추출물 100 uMIL-4 + Seaweed extract 100 uM 19.6619.66 IL-4 + 구멍쇠미역 EA 분획물 10 uMIL-4 + seaweed EA fraction 10 uM 22.4322.43 IL-4 + 구멍쇠미역 EA 분획물 30 uMIL-4 + Seaweed EA fraction 30 uM 21.7721.77 IL-4 + 구멍쇠미역 EA 분획물 100 uMIL-4 + Seaweed EA fraction 100 uM 17.6517.65

도 2는 HaCaT 세포에서 구멍쇠미역 처리 후 CCL26 정도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Figure 2 is a graph of the result of measuring the degree of CCL26 after treatment with seaweed in HaCaT cells.

그 결과, 표 3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멍쇠미역은 HaCaT 세포에서 CCL26을 현저히 억제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가려움증과 아토피 증상 완화에 구멍쇠미역이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As a result, as shown in Table 3 and FIG. 2 , it was confirmed that the seaweed remarkably inhibited CCL26 in HaCaT cells, which means that it could be helpful in alleviating symptoms of itch and atopic dermatitis.

또한 구멍쇠미역에서 분리한 트리푸하롤 A가 CCL26의 발현을 억제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In addition, it was confirmed whether tripuharol A isolated from fermented seaweed inhibits the expression of CCL26.

시료sample CCL26 mRNA 발현CCL26 mRNA expression 무처리군untreated group 1One IL-4IL-4 35.7235.72 IL-4 + 트리푸하롤 A 10 uMIL-4 + Tripuharol A 10 uM 23.6623.66 IL-4 + 트리푸하롤 A 30 uMIL-4 + Tripuharol A 30 uM 20.8720.87 IL-4 + 트리푸하롤 A 100 uMIL-4 + Tripuharol A 100 uM 15.6415.64

도 4는 HaCaT 세포에서 트리푸하롤 A 처리 후 CCL26 정도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4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 of measuring the degree of CCL26 after tripuharol A treatment in HaCaT cells.

그 결과, 표 4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리푸하롤 A는 HaCaT 세포에서 CCL26의 발현을 현저히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가려움증과 아토피 증상 완화에 트리푸하롤 A가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As a result, as shown in Table 4 and Figure 4, it was confirmed that tripuharol A significantly inhibited the expression of CCL26 in HaCaT cells. This means that tripuharol A may help relieve itching and atopic symptoms.

실시예 6. 구멍쇠미역 및 트리푸하롤 A의 컴파운드 48/80 유도 과민반응 ICR 마우스에서 아낙필락시스 쇼크 억제 효과 확인Example 6. Confirmation of anaphylactic shock inhibitory effect in compound 48/80 induced hypersensitivity ICR mouse of fermented seaweed and tripuharol A

컴파운드 48/80을 이용한 아낙필락시스 과민반응에 관하여 추출물, 분획물, 및 화합물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실험을 진행하였다.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s of extracts, fractions, and compounds on anaphylaxis hypersensitivity reaction using compound 48/80,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s follows.

8주령 ICR 마우스 (오리엔트바이오, 대한민국)를 5개군 9마리씩 군 분리하였다. 구멍쇠미역 70% 아세톤 추출물, EA 분획물, 및 트리푸하롤 A를 PBS에 각 200mg/kg로 녹여 경구투여 후 1시간 후에 컴파운드 48/80(sigma-aldrich, USA)를 10mg/kg로 PBS에 녹여 복강투여하여 아나필락시스 반응을 유도하고 마우스의 사망률을 5분 단위로 총 1시간 동안 측정하여 결과를 나타내었다.8-week-old ICR mice (Orient Bio, Korea) were separated into 5 groups of 9 mice each. After oral administration, 70% acetone extract, EA fraction, and tripuharol A were dissolved in PBS at 200 mg/kg and 1 hour after oral administration, compound 48/80 (sigma-aldrich, USA) was dissolved in PBS at 10 mg/kg. By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an anaphylactic reaction was induced, and the mouse mortality was measured in units of 5 minutes for a total of 1 hour, and the results were shown.

시료sample 생존률 (%)Survival (%) 무처리군untreated group 100100 컴파운드 48/80 10mg/kgCompound 48/80 10mg/kg 33.333.3 구멍쇠미역 추출물 200mg/kgSeaweed extract 200mg/kg 77.777.7 구멍쇠미역 EA 분획물 200mg/kgSeaweed EA fraction 200mg/kg 66.666.6

도 5는 ICR 마우스에서 구멍쇠미역 처리 후 컴파운드 48/80으로 아나필락시스 쇼크를 유도한 후 과민반응 억제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5 is a graph showing the hypersensitivity reaction inhibitory effect after induction of anaphylactic shock with compound 48/80 after treatment with seaweed in ICR mice.

그 결과, 표 5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멍쇠미역 아세톤 추출물과 EA 분획물을 처리한 군에서 컴파운드 48/80으로 아나필락시스를 유도한 군에 비해 생존률이 증가하였다. 이 결과로 구멍쇠미역 추출물 및 분획물이 아나필락시스 쇼크에 대해 보호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멍쇠미역에서 분리한 As a result, as shown in Table 5 and Figure 5, the survival rate was increased in the group treated with the acetone extract and EA fraction of the seaweed seaweed compared to the group induced by anaphylaxis with the compound 48/80.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extracts and fractions of the seaweed extract have a protective effect against anaphylactic shock. In addition, isolated from the seaweed

트리푸하롤 A 200mg/kg을 경구 투여하여 컴파운드 48/80으로 유도한 아나필락시스 쇼크에 대한 생존률을 확인하였다. 도 5에서, ACAE는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나타내고, ACEAF는 구멍쇠미역 추출물의 EA 분획을 나타낸다.The survival rate for anaphylactic shock induced by compound 48/80 by oral administration of tripuharol A 200mg/kg was confirmed. In FIG. 5 , ACAE indicates an extract of fermented seaweed, and ACEAF indicates an EA fraction of the extract of fermented seaweed.

시료sample 생존률 (%)Survival (%) 무처리군untreated group 100100 컴파운드 48/80 10mg/kgCompound 48/80 10mg/kg 33.333.3 트리푸하롤 A 200mg/kgTripuharol A 200mg/kg 66.666.6

도 6은 ICR 마우스에서 트리푸하롤 A 처리 후 컴파운드 48/80으로 아나필락시스 쇼크를 유도한 후 과민반응 억제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6 is a graph showing the hypersensitivity reaction inhibitory effect after induction of anaphylactic shock with compound 48/80 after tripuharol A treatment in ICR mice.

그 결과, 표 6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리푸하롤 A 투여군에서 컴파운드 48/80으로 아나필락시스를 유도한 군에 비해 생존률이 증가하였다. 이 결과로 트리푸하롤 A가 아나필라틱 쇼크에 대해 보효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As a result, as shown in Table 6 and FIG. 6 , the survival rate was increased in the tripuharol A-administered group compared to the group induced by anaphylaxis with compound 48/80.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ripuharol A had a synergistic effect on anaphylactic shock.

실시예 7. 구멍쇠미역 및 트리푸하롤 A의 컴파운드 48/80 유도 가려움증 ICR 마우스에서 가려움증 억제 효과 확인Example 7. Confirmation of itch inhibitory effect in compound 48/80 induced itch ICR mice of seaweed and tripuharol A

컴파운드 48/80을 이용한 히스타민 매개 가려움증에 관한 구멍쇠미역 추출물, 화합물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실험을 진행하였다.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as follows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extract and the compound of the compound 48/80 on histamine-mediated itchiness.

5주령 ICR 마우스 (오리엔트바이오, 대한민국)를 5개군 3마리씩 군 분리하였다. 양성 대조군(terfenadine; sigma-aldrich, 4mg/kg), PBS, 및 구멍쇠미역 추출물(20mg/kg)을 경구 투여하였고, 한 시간 후 컴파운드 48/80을 50ug/kg로 PBS에 녹인 후 무처리군을 제외한 테르페나딘, PBS, 및 구멍쇠미역 추출물 군 마우스의 목뒤에 피하 투여하였다. 가려움 유도 후 1시간 동안 긁는 행위를 관찰하였으며 마우스가 뒷발을 이용하여 3~4회 긁는 것을 측정하여 결과를 나타내었다.Five-week-old ICR mice (Orient Bio, Korea) were separated into three groups in five groups. A positive control group (terfenadine; sigma-aldrich, 4mg/kg), PBS, and a seaweed extract (20mg/kg) were orally administered, and after one hour, the compound 48/80 was dissolved in PBS at 50ug/kg and then the untreated group Except for terfenadine, PBS, and the extract group of fermented seaweed extract group, it was subcutaneously administered to the back of the neck. Scratching was observed for 1 hour after itch induction, and the results were shown by measuring the mouse scratching 3 to 4 times using its hind paws.

시료sample 긁는 행위(scratching) 수Number of scratching 무처리군untreated group 1818 PBS + 컴파운드 48/80 처리군PBS + Compound 48/80 treatment group 81.6681.66 테르페나딘 + 컴파운드 48/80 처리군Terfenadine + Compound 48/80 treatment group 28.6628.66 구멍쇠미역 추출물 20mg/kg + 컴파운드 48/80 처리군 Seaweed extract 20mg/kg + Compound 48/80 treatment group 39.3339.33

도 7은 ICR 마우스에서 구멍쇠미역 추출물 처리 후 컴파운드 48/80으로 가려움증을 유도한 후 가려움증의 억제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7 is a graph showing the inhibitory effect of itching after inducing itching with compound 48/80 after treatment with the extract of fermented seaweed in ICR mice.

그 결과, 표 7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멍쇠미역 추출물 군은 컴파운드 48/80으로 유도한 마우스 대비 긁는 행위가 감소한 것으로 보아 구멍쇠미역 추출물이 가려움증을 개선한 것을 확인하였다. As a result, as shown in Table 7 and FIG. 7, it was confirmed that the itchiness was improved by the pruritus extract group as the scratching behavior was reduced compared to the mouse induced with the compound 48/80.

또한 구멍쇠미역에서 분리한 트리푸하롤 A(20mg/kg)를 경구 투여하여 컴파운드 48/80으로 유도한 가려움증의 개선효과를 확인하였다.In addition, the effect of improving the itchiness induced by compound 48/80 was confirmed by oral administration of tripuharol A (20 mg/kg) isolated from seaweed.

시료sample 긁는 행위scratching 무처리군untreated group 1818 PBS + 컴파운드 48/80 처리군PBS + Compound 48/80 treatment group 81.6681.66 테르페나딘 + 테르페나딘 처리군Terfenadine + Terfenadine treatment group 28.6628.66 트리푸하롤 A 20mg/kg + 컴파운드 48/80 처리군Tripuharol A 20mg/kg + Compound 48/80 treatment group 51.3351.33

도 8은 ICR 마우스에서 트리푸하롤 A 처리 후 컴파운드 48/80으로 가려움증을 유도한 후 가려움증의 억제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8 is a graph showing the inhibitory effect of itch after induction of itch with compound 48/80 after treatment with tripuharol A in ICR mice.

그 결과, 표 8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리푸하롤 A 투여군에서 컴파운드 48/80 유도군 대비 긁는 행위가 감소한 것으로 보아 트리푸하롤 A가 가려움증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As a result, as shown in Table 8 and FIG. 8, it was confirmed that the tripuharol A administration group showed a decrease in scratching compared to the compound 48/80 induction group, so that tripuharol A could help improve itching.

실시예 8. 구멍쇠미역 및 트리푸하롤 A의 수정란 장뇨막 혈관 수축 효과 확인Example 8. Confirmation of fertilized egg serous vasoconstrictor effect of fertilized oviduct seaweed and tripuharol A

구멍쇠미역 추출물과 그 분획물이 혈관 수축과 미세혈관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부화 10일 째 계란 수정란의 융모요막에 존재하는 혈관들의 거시적인 변화를 측정였다. 수정란을 37.5±0.5℃, 55±5%의 조건에서 10 일간 배양 후 기실을 관찰하여 장뇨막이 잘 발달된 종란만을 선별하였다. 선별된 종란을 이용하여 기실을 열어 0.9% 염화나트륨 용액을 넣고 30분 동안 37℃에서 내막과 장뇨막을 분리시켰다. 분리된 장뇨막에 구멍쇠미역 추출물 및 그 분획물을 0.9% 염화나트륨 용액에 1%와 2%의 농도로 현탁하여 300 ㎕의 시료를 적용한 후 30초간 반응시키고, 0.9%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장뇨막에 자극이 되지 않게 세척하였다. 세척 후 30초, 60초, 120초, 및 300초에 혈관 수축 정도를 평가하였다.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fermented seaweed extract and its fractions on vasoconstriction and microvessels, macroscopic changes in blood vessels in the chorionic allantoic membrane of fertilized eggs were measured on the 10th day of hatching. After culturing the fertilized eggs at 37.5±0.5°C and 55±5% for 10 days, air chambers were observed to select only those with well-developed ileus. Using the selected eggs, the air chamber was opened, 0.9% sodium chloride solution was put in, and the inner membrane and the intestinal membrane were separated at 37°C for 30 minutes. The serous seaweed extract and its fractions were suspended in 0.9% sodium chloride solution at concentrations of 1% and 2% in the separated enteric membrane, 300 μl of the sample was applied, and reacted for 30 seconds, and stimulation of the urinary membrane with 0.9% sodium chloride solution washed so as not to The degree of vasoconstriction was evaluated at 30 sec, 60 sec, 120 sec, and 300 sec after washing.

시료 처리 전과 시료처리 후 장뇨막 사진을 촬영하여 HKBASIC 프로그램(KOPTIC, korea)을 이용하여 미세혈관 수를 측정하고, 미세혈관 변화율은 시료처리 전 장뇨막의 미세 혈관과 시료처리 후 장뇨막의 미세혈관의 수를 백분율로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계산식1: 100 x 시료처리 후 미세혈관 수 / 시료처리 전 미세혈관 수). The number of microvessels was measured using the HKBASIC program (KOPTIC, korea) by taking pictures of the serous membrane before and after sample processing, and the rate of microvascular change was the number of microvessels in the serous membrane before sample processing and the number of microvessels in the serous membrane after sample processing. was compared as a percentage. (Equation 1: 100 x number of microvessels after sample processing / number of microvessels before sample processing).

혈관 직경은 HKBASIC 프로그램(KOPTIC, korea)을 이용하여 장뇨막의 가장 굵은 혈관 직경을 측정하였고, 시료처리 전 혈관의 직경과 시료처리 후 혈관의 직경을 측정하여, 처리 전 직경을 기준으로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계산식2: 100 x 시료처리 후 혈관 직경 / 시료처리 전 혈관 직경). 표 9 및 표 10은 300초 후에 각 처리군의 미세혈관 변화 및 직경 변화를 처리 전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미세혈관 변화율 및 혈관직경 변화율은 상기 계산식 1 및 2에 따라 계산하였다. The blood vessel diameter was measured using the HKBASIC program (KOPTIC, korea) to measure the diameter of the largest blood vessel in the serous membrane, and the diameter of the blood vessel before and after sample treatment was measured and expressed as a percentage based on the diameter before treatment. . (Equation 2: 100 x vessel diameter after sample treatment / vessel diameter before sample treatment). Tables 9 and 10 show the changes in microvessels and diameters of each treatment group after 300 seconds as a percentage of those before treatment. The microvascular change rate and the blood vessel diameter change rate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Equations 1 and 2 above.

시료sample 미세혈관 변화율 (%)Microvascular change rate (%) 무처리군untreated group 100100 구멍쇠미역 추출물 1%1% seaweed extract 59.659.6 구멍쇠미역 추출물 2%Seaweed extract 2% 32.032.0 구멍쇠미역 EA 분획물 1%Seaweed EA fraction 1% 22.222.2 구멍쇠미역 EA 분획물 2%Seaweed EA fraction 2% 48.448.4

시료sample 혈관직경 변화율 (%)Blood vessel diameter change rate (%) 무처리군untreated group 100100 구멍쇠미역 추출물 1%1% seaweed extract 69.6169.61 구멍쇠미역 추출물 2%Seaweed extract 2% 75.0675.06 구멍쇠미역 EA 분획물 1%Seaweed EA fraction 1% 84.4184.41 구멍쇠미역 EA 분획물 2%Seaweed EA fraction 2% 96.8296.82

도 9는 수정란에 구멍쇠미역 추출물과 분획물을 처리하여 혈관의 차이를 나타낸 사진이다.9 is a photograph showing the difference in blood vessels by treating the fertilized egg with the extract and fractions of fertilized egg.

도 10은 수정란에 구멍쇠미역 추출물과 분획물을 처리하여 미세혈관의 감소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10 is a graph showing the reduction rate of microvessels by treating the fertilized egg with an extract and fractions from fertilized egg.

도 11은 수정란에 구멍쇠미역 추출물과 분획물을 처리하여 혈관의 직경을 나타낸 그래프이다.11 is a graph showing the diameter of blood vessels by treating the fertilized egg with an extract and fractions of fertilized egg.

그 결과, 표 9,10 및 도 9,10,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멍쇠미역 추출물 및 그 분획물은 미세혈관의 수를 감소시키고, 큰 혈관의 직경을 감소시켰다. 이는 과민성반응에서 히스타민 분비 등에 의하여 혈관 확장을 수반하는 다른 알러지 이차반응을 억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구멍쇠미역 추출물 및 그 분획물이 혈관 확장과 연관된 질병을 예방, 지연,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혈관 확장과 연관된 질병은 모세혈관 확장증, 홍반 및/또는 홍조, 비충혈, 및 저혈압일 수 있다. 상기 혈관 확장과 연관된 질병은 염증 유도 혈관확장과 관련된 것 또는 관련되지 않은 것일 수 있다. As a result, as shown in Tables 9 and 10 and FIGS. 9, 10 and 11 , the extract and its fractions from porphyria reduced the number of microvessels and reduced the diameter of large blood vessels. This means that other allergic secondary reactions accompanying vasodilation by histamine secretion in hypersensitivity reactions can be suppressed. In addition, It indicates that the extract and fractions thereof can prevent, delay, ameliorate or treat diseases associated with vasodilation. The disease associated with vasodilation may be telangiectasia, erythema and/or flushing, nasal congestion, and hypotension. The disease associated with vasodilation may or may not be associated with inflammation-induced vasodilation.

도 9는 수정란에 구멍쇠미역 추출물과 그 분획물을 처리하여 혈관의 차이를 나타낸 사진이다.9 is a photograph showing the difference in blood vessels by treating the fertilized egg with an extract and its fractions from fertilized egg.

또한 미녹시딜(Sigma-aldrich, USA)로 혈관을 확장시킨 모델에서 구멍쇠미역 추출물과 그 분획물이 미녹시딜에 의해 확장된 혈관에 미치는 정도를 평가하였다. In addition, in a model in which blood vessels were dilated with minoxidil (Sigma-aldrich, USA), the degree of effect of the extract and its fractions on the blood vessels dilated by minoxidil was evaluated.

구체적으로, 미녹시딜을 처리하고 3분 후에 시료를 처리하여 혈관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시료 처리 전과 시료처리 후 장뇨막 사진을 촬영하여 HKBASIC 프로그램(KOPTIC, korea)을 이용하여 미세혈관 수를 측정하고 미세혈관 비율은 시료처리 전 장뇨막의 미세 혈관과 시료처리 후 장뇨막의 미세혈관의 수를 백분율로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미세혈관 변화율은 아래 계산식 1에 따라 계산하였다.Specifically, the effect on blood vessels was measured by processing the sample 3 minutes after treatment with minoxidil. The number of microvessels was measured using the HKBASIC program (KOPTIC, korea) by taking pictures of the serous membrane before and after sample processing. It is expressed as a percentage by comparison. The microvascular change rate was calculated according to Equation 1 below.

계산식1: 100 x 시료처리 후 미세혈관 수 / 시료처리 전 미세혈관 수Equation 1: 100 x number of microvessels after sample processing / number of microvessels before sample processing

혈관 직경은 HKBASIC 프로그램(KOPTIC, korea)을 이용하여 장뇨막의 가장 굵은 혈관 직경을 측정하였고, 시료처리 전 혈관의 직경과 시료처리 후 혈관의 직경을 측정하여, 처리 전 직경을 기준으로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The blood vessel diameter was measured using the HKBASIC program (KOPTIC, korea) to measure the diameter of the largest blood vessel in the serous membrane, and the diameter of the blood vessel before and after sample treatment was measured and expressed as a percentage based on the diameter before treatment. .

계산식2: 100 x 시료처리 후 혈관 직경 / 시료처리 전 혈관 직경Equation 2: 100 x vessel diameter after sample processing / vessel diameter before sample processing

표 11 및 표 12는 시료처리 300초 후에 각 처리군의 미세혈관 변화 및 직경 변화를 처리 전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미세혈관 변화율 및 혈관직경 변화율은 상기 계산식 1 및 2에 따라 계산하였다. Tables 11 and 12 show the changes in microvessels and diameters of each treatment group after 300 seconds of sample treatment as a percentage of those before treatment. The microvascular change rate and the blood vessel diameter change rate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Equations 1 and 2 above.

시료sample 미세혈관 변화율 (%)Microvascular change rate (%) 미녹시딜 1% + 증류수 처리군Minoxidil 1% + distilled water treatment group 130130 미녹시딜 1% + 구멍쇠미역 추출물 1%1% minoxidil + 1% seaweed extract 72.4172.41 미녹시딜 1% + 구멍쇠미역 추출물 2%1% minoxidil + 2% seaweed extract 18.18 18.18 미녹시딜 1% + 구멍쇠미역 EA 분획물 1%1% minoxidil + 1% seaweed EA fraction 6262 미녹시딜 1% + 구멍쇠미역 EA 분획물 2%Minoxidil 1% + Seaweed EA fraction 2% 84.484.4

시료sample 혈관직경 변화율 (%)Blood vessel diameter change rate (%) 미녹시딜 1% + 증류수 처리군Minoxidil 1% + distilled water treatment group 98.6098.60 미녹시딜 1% + 구멍쇠미역 추출물 1%1% minoxidil + 1% seaweed extract 80.3480.34 미녹시딜 1% + 구멍쇠미역 추출물 2%1% minoxidil + 2% seaweed extract 85.6585.65 미녹시딜 1% + 구멍쇠미역 EA 분획물 1%1% minoxidil + 1% seaweed EA fraction 91.6591.65 미녹시딜 1% + 구멍쇠미역 EA 분획물 2%Minoxidil 1% + Seaweed EA fraction 2% 87.6487.64

도 12는 닭 수정란에 미녹시딜을 처리하여 혈관을 확장시킨 후 구멍쇠미역 추출물과 그 분획물을 처리하여 미세혈관의 감소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미녹시딜로 3분간 혈관확장 시킨 후에 시료처리 하여 300초 후 측정하였습니다. Figure 12 is a graph showing the reduction rate of microvessels by treating fertilized chicken eggs with minoxidil to dilate blood vessels, and then treating the extract and its fractions from fertilized fertilized chicken. After dilating the blood vessels with minoxidil for 3 minutes, the sample was processed and measured after 300 seconds.

도 13은 닭 수정란에 미녹시딜을 처리하여 혈관을 확장시킨 후 구멍쇠미역 추출물과 그 분획물을 처리하여 혈관의 직경을 나타낸 그래프이다.13 is a graph showing the diameter of blood vessels by treating fertilized chicken eggs with minoxidil to dilate blood vessels, and then processing the extract and its fractions from fertilized fertilized chicken.

그 결과, 표 11, 12 및 도 12,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멍쇠미역 추출물 및 그 분획물은 미녹시딜에 의해 증가된 미세혈관 수를 감소시키고, 큰 혈관의 직경을 감소시켰다. 이는 과민성반응에서 히스타민 분비 등에 의한 혈관 확장을 통한 수반하는 다른 알러지 이차반응을 억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As a result, as shown in Tables 11 and 12 and FIGS. 12 and 13 , the extract and its fractions from porcini seaweed reduced the number of microvessels increased by minoxidil and reduced the diameter of large blood vessels. This means that in hypersensitivity reac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other secondary allergic reactions accompanied by vasodilation by histamine secretion.

또한, 과민성 알러지와 같은 염증 유도 혈관확장과 관련되지 않은 다른 혈관이 확장되어 일어나는 질환인, 안면홍조, 비충혈, 저혈압 등도 개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In addition, it means that hot flashes, nasal congestion, hypotension, etc., which are diseases caused by the expansion of other blood vessels not related to inflammation-induced vasodilation, such as hypersensitivity allergy, can be improved.

실시예 9. 집먼지 진드기 유도 아토피 피부염 NC/Nga 마우스에서 트리푸하롤 A의 과민성 알러지 질환 개선 효과 확인 Example 9. Confirmation of hypersensitivity allergy disease improvement effect of tripuharol A in NC/Nga mice with house dust mite-induced atopic dermatitis

아토피 피부염 NC/Nga 마우스에 구멍쇠미역에서 분리한 화합물인 트리푸하롤 A의 과민성 알러지 질환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improvement of hypersensitivity and allergic diseases of tripuharol A, a compound isolated from seaweed in atopic dermatitis NC/Nga mice.

9-1. 집먼지 진드기 유도 아토피 피부염 NC/Nga 마우스 모델 제작 및 약물 투여9-1. House dust mite-induced atopic dermatitis NC/Nga mouse model production and drug administration

6 주령(암컷, 23-27g) NC/Nga 마우스(오리엔트바이오, 대한민국)를 하기의 3개의 군으로 분리하였다: 무처리군, 집먼지 진드기 + 비히클 처리군, 및 집먼지 진드기 + 트리푸하롤 A 처리군(20 mg/kg). 집먼지 진드기 + 비히클 처리군은 털이 제거된 마우스 등에 집먼지 진드기를 도포한 후 비히클을 처리한 것이고, 집먼지 진드기 + 트리푸하롤 A 처리군은 털이 제거된 마우스 등에 집먼지 진드기를 도포한 후 트리푸하롤 A를 도포한 것이다. 상기 비히클은 2% 카르복실셀룰로스(CMC)와 증류수를 1:3으로 섞은 용액이다. 상기 집먼지 진드기는 집먼지 진드기(house dust mite, HDM) 중 주요 알러젠 소스 종인 더마토파고이데스 파리내(Dermatophagoides farinae)의 동결체를 포함하는 크림 형태 제품인 AD Biostir (Cat. No. AD001, 중앙실험동물, 서울, 대한민국)이다. 상기 트리푸하롤 A는 2% 카르복실셀룰로스(CMC)와 증류수를 1:3으로 섞은 용액에 20mg/kg/10ml이 되도록 용해시킨 것이다. 무처리군은 털이 제거된 마우스 등에 아무 것도 처리하지 않은 것이다.6-week-old (female, 23-27 g) NC/Nga mice (Orient Bio, Korea) were separated into three groups: untreated group, house dust mite + vehicle treated group, and house dust mite + tripuharol A treated group (20 mg/kg). In the house dust mite + vehicle treatment group, house dust mites were applied to the hair-removed mice and then the vehicle was treated. it will be spread The vehicle is a solution of 2% carboxyl cellulose (CMC) and distilled water in a ratio of 1:3. The house dust mite is an AD Biostir (Cat. No. AD001, Central Experimental Animal, Seoul, Korea). The tripuharol A was dissolved in a solution of 2% carboxyl cellulose (CMC) and distilled water in a ratio of 1:3 to 20mg/kg/10ml. The untreated group was not treated with anything such as mice with hair removed.

구체적으로, 군 분리 후 7일 동안 순치시킨 뒤 집먼지 진드기 연고 100mg을 마우스 등에 도포하였다. 1차 연고 도포 후 4일 후 두번째 집먼지 진드기 연고를 도포할 때는 4% SDS 수용액을 도포한 후 집먼지 진드기 연고 100mg을 주 2회씩 총 6번 도포하였다. 4% SDS 수용액은 집먼지 진드기의 피부 투과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Specifically, after group separation, after acclimatization for 7 days, 100 mg of house dust mite ointment was applied to the back of the mouse. When applying the second house dust mite ointment 4 days after the first application of the ointment, 4% SDS aqueous solution was applied and then 100 mg of house dust mite ointment was applied twice a week for a total of 6 times. The 4% SDS aqueous solution is to increase the skin permeability of house dust mites.

트리푸하롤 A 20mg/kg/10ml 용액은 20mg/kg 마우스의 양으로 마지막 집먼지 진드기 도포 후 1일째부터 1일 1회 23일까지 마우스 경구 투여하였다. Tripuharol A 20mg/kg/10ml solution was orally administered to mice from the 1st day after the last house dust mite application to the 23rd day once a day in an amount of 20 mg/kg mice.

도 14는 집먼지 진드기 유도 아토피 피부염 NC/Nga 마우스에서 트리푸하롤 A 처리 후 시간 경과에 따른 마우스 등 표현형에 대한 사진이다. 도 14에서, non, HDM+vehichle, 및 HDM+TriA는 각각 무처리군, 집먼지 진드기+ 비히클 처리군, 및 집먼지 진드기 + 트리푸하롤 A 처리군을 나타낸다. 도 14에서, 가로축은 털이 제거된 마우스 등에 집먼지 진드기를 도포한 날을 1일로 하고 그로부터 경과일 수를 나타낸다. 도 14에서, 0일은 집먼지 진드기 도포 직전을 나타낸다.14 is a photograph showing the phenotype of mice and the like over time after tripuharol A treatment in NC/Nga mice with house dust mite-induced atopic dermatitis. In FIG. 14 , non, HDM+vehichle, and HDM+TriA represent an untreated group, a house dust mite + vehicle treated group, and a house dust mite + tripuharol A treated group, respectively. In FIG. 14 ,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number of days elapsed from the day the house dust mite was applied to the hair-removed mouse and the like. In FIG. 14 , day 0 represents just before application of house dust mites.

그 결과,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집먼지 진드기+ 비히클 처리군에 비해 집먼지 진드기 + 트리푸하롤 A 처리군에서 마우스의 피부가 각질의 양이 감소하였고, 습진이나 출현이 없어졌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14 , compared to the house dust mite + vehicle treatment group, the amount of keratin on the skin of the mice was reduced in the house dust mite + tripuharol A treatment group, and eczema or appearance was eliminated.

9-2. 과민성 알러지 질환으로 인한 가려움증 개선 효과 측정9-2. Measurement of itch improvement effect due to hypersensitivity allergic disease

과민성 알러지 질환에 의한 가려움증에 대한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9-1에 기재된 집먼지 진드기+ 비히클 처리군, 및 집먼지 진드기 + 트리푸하롤 A 처리군에서 트리푸하롤 A 도포 후 실험의 마지막 날에 1시간 동안 긁는 행위를 관찰하였으며 마우스가 뒷발을 이용하여 3~4회 긁는 것을 1회로 측정하여 결과를 나타내었다.In order to confirm the improvement effect on itching caused by hypersensitivity allergic disease, in the house dust mite + vehicle treatment group described in 9-1, and the house dust mite + tripuharol A treatment group, after tripuharol A application, 1 hour on the last day of the experiment Scratching behavior was observed during the period, and the results were shown by measuring once when the mouse scratched 3 to 4 times using its hind paws.

긁는 행위 수number of scratching 무처리군untreated group 1616 집먼지 진드기+비히클house dust mite + vehicle 121121 집먼지 진드기+트리푸하롤 AHouse dust mite + triphuharol A 6161

그 결과, 표 13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집먼지 진드기 + 트리푸하롤 A 처리군은 집먼지 진드기+ 비히클 처리군 대비 긁는 행위가 감소한 것으로 보아 트리푸하롤 A가 가려움증을 개선한 것을 확인하였다. As a result, as shown in Tables 13 and 15, the house dust mite + tripuharol A treatment group showed a decrease in scratching compared to the house dust mite + vehicle treatment group, so it was confirmed that tripuharol A improved itching.

도 15는 집먼지 진드기 유도 아토피 피부염 NC/Nga 마우스에서 트리푸하롤 A 처리 후 가려움증의 억제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에서, non, vehichle, 및 TriA는 각각 무처리군, 집먼지 진드기+ 비히클 처리군, 및 집먼지 진드기+ 트리투하롤 A 처리군을 나타낸다. 15 is a graph showing the inhibitory effect of itch after tripuharol A treatment in NC/Nga mice with house dust mite-induced atopic dermatitis. In FIG. 15 , non, vehichle, and TriA indicate an untreated group, a house dust mite + vehicle treated group, and a house dust mite + Trituharol A treated group, respectively.

9-3. 과민성 알러지 질환의 증상 중 피부염 증상에 대한 육안적 개선효과 측정9-3. Measurement of gross improvement effect on dermatitis symptoms among symptoms of hypersensitivity allergic disease

아토피 피부염은 홍반, 출혈, 흉터, 부종 등의 증상을 나타내므로 9-1에 기재된 집먼지 진드기+ 비히클 처리군, 및 집먼지 진드기 + 트리푸하롤 A 처리군에서 집먼지 진드기 도포 후 23일 후에 집먼지 진드기 유도군의 등 피부를 하기와 같은 증상의 심한 정도를 기준으로 점수를 환산하였다. 마우스 등의 홍반, 출혈, 흉터, 부종, 짓무름 등을 피부염 점수로 환산하여 비교하였다. 피부염 점수는 아래 식 5에 따라 계산하였다. Since atopic dermatitis exhibits symptoms such as erythema, bleeding, scarring, and edema, the house dust mite induction group 23 days after application of the house dust mite in the house dust mite + vehicle treatment group described in 9-1, and the house dust mite + tripuharol A treatment group The score was converted based on the severity of the symptoms below. Erythema, bleeding, scarring, edema, erosion, etc. of mice were converted into dermatitis scores and compared. The dermatitis score was calculated according to Equation 5 below.

피부염 점수는 홍반/출혈 1~3점, 흉터 1~3점, 부종 1~3점, 찰과상/짓무름 1~3점을 가지고 각 항목에 맞는 점수를 더해 평균으로 나타내었다.The dermatitis score was expressed as an average of erythema/bleeding 1-3 points, scarring 1-3 points, edema 1-3 points, and abrasion/scorching 1-3 points, plus the scores for each item.

피부염 점수Dermatitis score 무처리군untreated group 0.330.33 집먼지 진드기+비히클house dust mite + vehicle 88 집먼지 진드기+트리푸하롤 AHouse dust mite + triphuharol A 0.330.33

도 16은 집먼지 진드기 유도 아토피 피부염 NC/Nga 마우스에서 트리푸하롤 A 처리 후 피부염 증상의 육안적 개선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6에서, non, vehichle, 및 TriA는 각각 무처리군, 집먼지 진드기+ 비히클 처리군, 및 집먼지 진드기+ 트리투하롤 A 처리군을 나타낸다. 16 is a graph showing the degree of visual improvement of dermatitis symptoms after tripuharol A treatment in NC/Nga mice with house dust mite-induced atopic dermatitis. In FIG. 16 , non, vehichle, and TriA represent an untreated group, a house dust mite + vehicle treated group, and a house dust mite + Trituharol A treated group, respectively.

그 결과, 표 14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집먼지 진드기+ 트리푸하롤 A 처리군은 집먼지 진드기+ 비히클 처리군에 비해 홍반, 출혈, 흉터, 부종 등과 같은 증상들이 현저하게 완화되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Tables 14 and 16, the house dust mite + tripuharol A treatment group significantly relieved symptoms such as erythema, bleeding, scarring, and edema compared to the house dust mite + vehicle treatment group.

9-4. 경피 수분 손실량 및 피부 수분 함유량 측정9-4. Measurement of transdermal water loss and skin water content

9-1에 기재된 집먼지 진드기+ 비히클 처리군, 및 집먼지 진드기 + 트리푸하롤 A 처리군에서 마우스 피부에 대하여, 경피 수분 손실량(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을 AquaFlux (Biox, 런던, 영국)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피부 수분 함유량(hydration)을 Skin-O-Mat (COSMOMEP, 베를린, 독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경피 수분 손실량 및 피부 수분 함유량은 처음 집먼지 진드기 크림에 의하여 과민성 알러지 질환인 아토피 피부염을 유도하기 전(day 0), 유도 후 7일 후, 14일 후 및 21일 후에 측정하였고, 21일차의 각 군별 경피 수분 손실량을 표 15 및 도 17에, 피부 수분 함유량을 표 16 및 도 18에 나타내었다.For the mouse skin in the house dust mite + vehicle treatment group described in 9-1, and the house dust mite + tripuharol A treatment group, 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 was measured using AquaFlux (Biox, London, UK). was measured, and skin hydration was measured using Skin-O-Mat (COSOMEP, Berlin, Germany). The percutaneous moisture loss and skin moisture content were measured before (day 0), 7 days, 14 days, and 21 days after induction of atopic dermatitis, a hypersensitivity allergic disease, by the house dust mite cream for the first time. The amount of percutaneous moisture loss by group is shown in Tables 15 and 17, and the skin moisture content is shown in Tables 16 and 18.

TEWL (g/m2/h)TEWL (g/m 2 /h) 무처리군untreated group 42.9942.99 집먼지 진드기+비히클house dust mite + vehicle 83.4883.48 집먼지 진드기+트리푸하롤 AHouse dust mite + triphuharol A 63.1663.16

수분 함유량 (%)Moisture content (%) 무처리군untreated group 32.832.8 집먼지 진드기+비히클house dust mite + vehicle 20.120.1 집먼지 진드기+트리푸하롤 A House dust mite + triphuharol A 27.627.6

도 17은 집먼지 진드기 유도 아토피 피부염 NC/Nga 마우스에서 트리푸하롤 A 처리 후 시간 경과에 따른 경피 수분 손실량(TEWL)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17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amount of transdermal water loss (TEWL) over time after tripuharol A treatment in NC/Nga mice with house dust mite-induced atopic dermatitis.

도 18은 집먼지 진드기 유도 아토피 피부염 NC/Nga 마우스에서 트리푸하롤 A 처리 후 시간 경과에 따른 피부의 수분 함유량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18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kin over time after tripuharol A treatment in NC/Nga mice with house dust mite-induced atopic dermatitis.

그 결과, 표 15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리푸하롤 A는 집먼지 진드기에 의해 과민성 알러지 질환인 아토피 피부염이 유도된 NC/Nga 마우스에서 대조군인 비히클에 비해 경피 수분 손실량을 24.3%까지 낮추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표 16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리푸하롤 A가 집먼지 진드기에 의해 과민성 알러지 질환인 아토피 피부염이 유도된 NC/Nga 마우스에서 대조군인 비히클에 비해 수분 함유량을 35% 이상 높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트리푸하롤 A가 과민성 알러지 질환인 아토피 피부염 NC/Nga 마우스 모델에서 비히클에 비해 피부장벽 기능을 강화시켜 피부의 수분 함유량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피부장벽을 강화시켜 알러젠의 침투를 막아주어 과민성 알러지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As a result, as shown in Tables 15 and 17, tripuharol A lowered the amount of transdermal water loss by 24.3% compared to the control vehicle in NC/Nga mice induced by atopic dermatitis, a hypersensitivity allergic disease, by house dust mites. Confirmed. In addition, as shown in Tables 16 and 18, tripuharol A increased the water content by 35% or more compared to the control vehicle in NC/Nga mice induced by atopic dermatitis, a hypersensitivity allergic disease, by house dust mites. .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ripuharol A could significantly increase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kin by strengthening the skin barrier function compared to the vehicle in the NC/Nga mouse model of atopic dermatitis, a hypersensitivity allergic disease. This means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or improve hypersensitivity allergic diseases by strengthening the skin barrier and preventing the penetration of allergens.

9-5. 혈장 내 IgE 및 IL-4 양 측정9-5. Measurement of IgE and IL-4 levels in plasma

실험이 끝난 후 즉 9-1에 기재된 집먼지 진드기+ 비히클 처리군, 및 집먼지 진드기 + 트리푸하롤 A 처리군에서 털이 제거된 마우스 등에 집먼지 진드기를 도포한 23일 경과 후 마우스 혈장에서 과민성 알러지 질환의 마커로서 인터루킨-4(IL-4) 및 면역글로불린 E (IgE)의 양을 측정하였다. Marker of hypersensitivity allergic disease in mouse plasma 23 days after the experiment was over, that is, 23 days after application of house dust mite to mice treated with house dust mite + vehicle, and hair-removed mice in the house dust mite + tripuharol A treatment group as described in 9-1 As a result, the amounts of interleukin-4 (IL-4) and immunoglobulin E (IgE) were measured.

구체적으로, 각 군별 마우스를 마취시킨 후, 0.18 M EDTA 30 ul가 들어 있는 주사기를 이용하여 복부대동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였다.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4℃, 8,000 rpm에서 15 분간 원심분리하여 분리한 혈장에 대하여 마우스 IL-4 ELISA 정량 키트(Bethyl Laboratories, 미국)와 IgE ELISA 정량 키트(Bethyl Laboratories, 미국)를 이용하여 IL-4 및 IgE 양을 측정하였고, IL-4 측정 결과를 표 17 및 도 19에, 총 IgE 측정 결과를 표 18 및 도 20에 나타내었다.Specifically, after anesthetizing mice in each group, blood was collected from the abdominal aorta using a syringe containing 30 ul of 0.18 M EDTA. For plasma separated by centrifugation at 4°C and 8,000 rpm for 15 minutes using a centrifuge, IL-4 ELISA quantification kit (Bethyl Laboratories, USA) and IgE ELISA quantification kit (Bethyl Laboratories, USA) were used to determine IL- 4 and the amount of IgE were measured, the IL-4 measurement results are shown in Tables 17 and 19, and the total IgE measurement results are shown in Tables 18 and 20.

IL-4 (pg/mL)IL-4 (pg/mL) 무처리군untreated group 13.1513.15 집먼지 진드기+비히클house dust mite + vehicle 71.5971.59 집먼지 진드기+트리푸하롤 A House dust mite + triphuharol A 38.6438.64

IgE (ng/mL)IgE (ng/mL) 무처리군untreated group 51.6551.65 집먼지 진드기+비히클house dust mite + vehicle 242.31242.31 집먼지 진드기+트리푸하롤 A House dust mite + triphuharol A 126.44126.44

도 19는 집먼지 진드기 유도 아토피 피부염 NC/Nga 마우스에서 트리푸하롤 A 처리 후 혈장 내 IL-4 양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19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amount of IL-4 in plasma after tripuharol A treatment in NC/Nga mice with house dust mite-induced atopic dermatitis.

도 20은 집먼지 진드기 유도 아토피 피부염 NC/Nga 마우스에서 트리푸하롤 A 처리 후 혈장 내 IgE 양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20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amount of IgE in plasma after tripuharol A treatment in NC/Nga mice with house dust mite-induced atopic dermatitis.

그 결과, 표 17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리푸하롤 A는 집먼지 진드기에 의해 과민성 알러지 질환인 아토피 피부염이 유도된 NC/NGA 마우스에서 대조군인 비히클에 비해 혈장 내 IL-4 양을 현저히 감소시켰고, 표 18 및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리푸하롤 A는 총 IgE 양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As a result, as shown in Table 17 and Figure 19, tripuharol A significantly reduced the amount of IL-4 in plasma compared to the control vehicle in NC/NGA mice induced by atopic dermatitis, a hypersensitivity allergic disease, by house dust mites. and as shown in Table 18 and FIG. 20, it was confirmed that tripuharol A also reduced the amount of total IgE.

9-6. 조직학적 변화 확인9-6. Confirm histological changes

마우스의 표피두께와 조직학적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약물 투여가 종료된 마우스 즉, 9-1에 기재된 집먼지 진드기+ 비히클 처리군, 및 집먼지 진드기 + 트리푸하롤 A 처리군에서 털이 제거된 마우스 등에 집먼지 진드기를 도포한 23일 경과 후의 마우스를 희생시켜, 등 피부 조직을 적출하고, 10% 포르말린으로 고정한 후 헤마톡실린과 에오신으로 염색하였다. 염색한 조직을 도립현미경(TE-2000U, Nikon, 일본)을 이용하여 촬영하여 도 21에 나타내었고, 프로그램(Leica application suite)을 이용하여 표피층의 두께를 측정하여 표 19 및 도 22에 나타내었다.In order to confirm the epidermal thickness and histological changes in mice, the mice whose drug administration has been completed, i.e., house dust mites + vehicle treatment group described in 9-1, and house dust mites + triphuharol A treatment group, have hair removed from mice, etc. After 23 days of application of the tick, the mice were sacrificed, the back skin tissue was excised, fixed with 10% formalin, and then stained with hematoxylin and eosin. The stained tissue was photographed using an inverted microscope (TE-2000U, Nikon, Japan) and shown in FIG. 21, and the thickness of the epidermal layer was measured using a program (Leica application suite) and shown in Tables 19 and 22.

표피 두께 (μm)Epidermal thickness (μm) 무처리군untreated group 9.329.32 집먼지 진드기+비히클house dust mite + vehicle 30.3330.33 집먼지 진드기+트리푸하롤 A House dust mite + triphuharol A 15.2915.29

도 21은 집먼지 진드기 유도 아토피 피부염 NC/Nga 마우스에서 트리푸하롤 A 처리 후 피부 조직을 헤마톡실린과 에오신으로 염색한 사진이다.FIG. 21 is a photograph in which the skin tissue was stained with hematoxylin and eosin after tripuharol A treatment in NC/Nga mice with house dust mite-induced atopic dermatitis.

도 22는 집먼지 진드기 유도 아토피 피부염 NC/Nga 마우스에서 트리푸하롤 A 처리 후 표피 두께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22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epidermal thickness after tripuharol A treatment in NC/Nga mice with house dust mite-induced atopic dermatitis.

그 결과, 표 19 및 도 21,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리푸하롤 A는 집먼지 진드기에 의해 과민성 알러지 질환인 아토피 피부염이 유도된 NC/Nga 마우스에서 대조군인 비히클에 비해 피부 두께 및 표피층의 두께를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이는 표피 세포 사이 간격을 촘촘히 해 줌으로써 외부 알러젠의 침범을 막아주어 과민성 알러지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As a result, as shown in Table 19 and FIGS. 21 and 22 , tripuharol A reduced the thickness of the skin and epidermal layer compared to the control vehicle in NC/Nga mice induced by atopic dermatitis, a hypersensitivity allergic disease, by house dust mites. It was confirmed to decrease. This means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or improve hypersensitivity allergic diseases by preventing the invasion of external allergens by tightening the gap between epidermal cells.

9-7. 병변 부위에서 침윤된 비만세포 수 확인9-7. Confirmation of the number of infiltrated mast cells in the lesion site

마우스 병변 부위의 비만세포가 침윤된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약물 투여가 종료된 마우스 즉, 9-1에 기재된 집먼지 진드기+ 비히클 처리군, 및 집먼지 진드기 + 트리푸하롤 A 처리군에서 털이 제거된 마우스 등에 집먼지 진드기를 도포한 23일 경과 후의 마우스를 희생시켜, 등 피부 조직을 적출하고 10% 포르말린으로 고정한 후 톨루이딘 블루로 염색하였다. 염색한 조직을 도립현미경(TE-2000U, Nikon)을 이용하여 촬영하여 도 23에 나타내었고, Image 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만세포의 수를 측정하여 표 20 및 도 24에 나타내었다.In order to determine the degree of mast cell infiltration in the mouse lesion site, mice whose drug administration has been completed, that is, mice with hair removed from the house dust mites + vehicle treatment group described in 9-1, and house dust mites + tripuharol A treatment group After 23 days of application of house dust mites on the back, the mice were sacrificed, the back skin tissue was extracted, fixed with 10% formalin, and then stained with toluidine blue. The stained tissue was photographed using an inverted microscope (TE-2000U, Nikon) and shown in FIG. 23, and the number of mast cells was measured using the Image J program and shown in Tables 20 and 24.

비만세포 수number of mast cells 무처리군untreated group 1313 집먼지 진드기+비히클house dust mite + vehicle 44.344.3 집먼지 진드기+트리푸하롤 AHouse dust mite + triphuharol A 22.322.3

도 23은 집먼지 진드기 유도 아토피 피부염 NC/Nga 마우스에서 트리푸하롤 A 처리 후 피부 조직을 톨루이딘 블루로 염색한 사진이다. 23 is a photograph of toluidine blue staining of skin tissue after tripuharol A treatment in NC/Nga mice with house dust mite-induced atopic dermatitis.

도 24는 집먼지 진드기 유도 아토피 피부염 NC/Nga 마우스에서 트리푸하롤 A 처리 후 비만세포의 수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24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number of mast cells after tripuharol A treatment in NC/Nga mice with house dust mite-induced atopic dermatitis.

그 결과, 표 20,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리푸하롤 A는 집먼지 진드기에 의해 과민성 알러지 질환인 아토피 피부염이 유도된 NC/Nga 마우스에서 대조군인 비히클에 비해 병변 부위에서 침윤된 비만세포 수를 현저히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이는 비만세포에 의한 과민성 알러지 질환의 증상들을 예방 또는 개선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As a result, as shown in Table 20, 23, and 24, tripuharol A was infiltrated at the lesion site compared to the control vehicle in NC/Nga mice, in which atopic dermatitis, a hypersensitivity allergic disease, was induced by house dust mites. It was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mast cells was significantly reduced. This means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or improve the symptoms of hypersensitivity allergic disease caused by mast cells.

Claims (20)

트리푸하롤 A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알러지 질환 및 혈관확장과 연관된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사용하기 약제학적 조성물.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use in preventing or treating allergic diseases and diseases associated with vasodilation, comprising tripuharol A or a physiolog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러지 질환은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비염, 아나필락시스 쇼크, 및 가려움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조성물.The composition of claim 1, wherein the allergic disease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topic dermatitis, asthma, rhinitis, anaphylactic shock, and itch.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혈관확장과 연관된 질환은 안면홍조, 비충혈, 및 저혈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조성물.The composition of claim 1, wherein the disease associated with vasodilatio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ot flashes, nasal congestion, and hypotension. 청구항 1에 있어서, 트리푸하롤 A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확장된 혈관을 수축시켜 혈관으로부터 질병 유발 물질의 유출을 감소시키는 것, 피부로부터 수분이 손실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것, 피부 수분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 및 피부염 병변 부위에서 피부 또는 표피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 중 하나 이상인 것인 조성물.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ripuharol A or a physiolog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constricts dilated blood vessels to reduce the outflow of disease-causing substances from blood vessels, reduce water loss from skin, and skin moisture content The composition is one or more of increasing the skin or epidermal thickness at the dermatitis lesion si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리푸하롤 A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그를 포함하는 구멍쇠미역 추출물 또는 그 분획물의 형태인 것인 조성물.Th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ipuharol A or a physiolog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is in the form of an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comprising the sam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구멍쇠미역 추출물은 구멍쇠미역 식물체를 저극성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인 조성물.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extract is a composition obtained by extracting the seaweed extract with a low-polarity solvent.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저극성 용매는 아세톤,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n-부틸아세테이트, t-부틸메틸에테르, 디메틸설폭시드, 디에틸에테르, 헵탄, 펜탄,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산, 석유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1,2-디클로로에텐, 디클로로메탄, 헥산, 또는 이들의 조합, 또는 이들의 수용액인 것인 조성물.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low-polarity solvent is acetone,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n-butyl acetate, t-butyl methyl ether, dimethyl sulfoxide, diethyl ether, heptane, pentane, methyl ethyl ketone, methyl isobutyl ketone, Cyclohexane, petroleum ether, dichloromethane, dichloroethane, 1,2-dichloroethene, dichloromethane, hexane, or a combination thereof, or an aqueous solution thereof.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에탄, 또는 물 분획물인 것인 조성물.The composition of claim 5, wherein the fraction is a hexane, ethyl acetate, dichloroethane, or water fraction. 트리푸하롤 A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알러지 질환 및 혈관확장과 연관된 질환을 개선하는데 사용하기 식품 조성물.A food composition for use in improving allergic diseases and diseases associated with vasodilation, comprising tripuharol A or a physiolog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알러지 질환은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비염, 아나필락시스 쇼크, 및 가려움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조성물.The composition of claim 9, wherein the allergic disease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topic dermatitis, asthma, rhinitis, anaphylactic shock, and itch.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혈관확장과 연관된 질환은 안면홍조, 비충혈, 및 저혈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조성물.The composition of claim 9, wherein the disease associated with vasodilatio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ot flashes, nasal congestion, and hypotension. 청구항 9에 있어서, 트리푸하롤 A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확장된 혈관을 수축시켜 혈관으로부터 질병 유발 물질의 유출을 감소시키는 것, 피부로부터 수분이 손실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것, 피부 수분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 및 피부염 병변 부위에서 피부 또는 표피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 중 하나 이상인 것인 조성물.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ripuharol A or a physiolog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constricts dilated blood vessels to reduce the outflow of disease-causing substances from blood vessels, reduce water loss from skin, and skin water content The composition is one or more of increasing the skin or epidermal thickness at the dermatitis lesion sit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트리푸하롤 A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그를 포함하는 구멍쇠미역 추출물 또는 그 분획물의 형태인 것인 조성물.Th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tripuharol A or a physiolog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is in the form of an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comprising the same.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구멍쇠미역 추출물은 구멍쇠미역 식물체를 저극성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인 조성물.Th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extract of the seaweed extract is obtained by extracting the plant with a low polarity solvent.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저극성 용매는 아세톤,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n-부틸아세테이트, t-부틸메틸에테르, 디메틸설폭시드, 디에틸에테르, 헵탄, 펜탄,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산, 석유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1,2-디클로로에텐, 디클로로메탄, 헥산, 또는 이들의 조합, 또는 이들의 수용액인 것인 조성물.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low-polarity solvent is acetone,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n-butyl acetate, t-butyl methyl ether, dimethyl sulfoxide, diethyl ether, heptane, pentane, methyl ethyl ketone, methyl isobutyl ketone, Cyclohexane, petroleum ether, dichloromethane, dichloroethane, 1,2-dichloroethene, dichloromethane, hexane, or a combination thereof, or an aqueous solution thereof.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에탄, 또는 물 분획물인 것인 조성물.The composition of claim 13, wherein the fraction is a hexane, ethyl acetate, dichloroethane, or water fraction. 트리푸하롤 A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피부 수분 함량 유지 또는 개선을 위해 사용하기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for use in maintaining or improving skin moisture content, comprising tripuharol A or a physiolog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청구항 1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에서 알러지 질환 및 혈관확장과 연관된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allergic diseases and diseases associated with vasodilation in a subject, comprising administer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claim 1 to the subject.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알러지 질환은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비염, 아나필락시스 쇼크, 및 가려움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고, 상기 혈관확장과 연관된 질환은 안면홍조, 비충혈, 및 저혈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8, wherein the allergic disease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topic dermatitis, asthma, rhinitis, anaphylactic shock, and pruritus, and the disease associated with vasodilatio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ot flashes, nasal congestion, and hypotension. how to be. 청구항 17의 화장료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를 화장하는 방법.

A method of making-up a subject, comprising administering the cosmetic composition of claim 17 to the subject.

KR1020200171621A 2020-12-09 2020-12-09 Composition comprising trifuhalol A or its physiologically acceptable salt, and use thereof KR1025467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621A KR102546705B1 (en) 2020-12-09 2020-12-09 Composition comprising trifuhalol A or its physiologically acceptable salt, and us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621A KR102546705B1 (en) 2020-12-09 2020-12-09 Composition comprising trifuhalol A or its physiologically acceptable salt, and use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768A true KR20220081768A (en) 2022-06-16
KR102546705B1 KR102546705B1 (en) 2023-06-23

Family

ID=82217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621A KR102546705B1 (en) 2020-12-09 2020-12-09 Composition comprising trifuhalol A or its physiologically acceptable salt, and use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670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98077A (en) * 2023-11-29 2023-12-29 山东海之宝海洋科技有限公司 Trifuhalol A application in improving muscular atrophy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atural Product Communications 1-8 (2019.5) 1부.*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98077A (en) * 2023-11-29 2023-12-29 山东海之宝海洋科技有限公司 Trifuhalol A application in improving muscular atrophy
CN117298077B (en) * 2023-11-29 2024-02-13 山东海之宝海洋科技有限公司 Trifuhalol A application in improving muscular atroph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6705B1 (en) 2023-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23139C2 (en) COMPOSITION CONTAINING Actinidia AND METHODS OF THEIR APPLICATION
Bezerra-Santos et al. Effectiveness of Cissampelos sympodialis and its isolated alkaloid warifteine in airway hyperreactivity and lung remodeling in a mouse model of asthma
JP6554181B2 (en) Herbal extract, method for producing and using the same
US8226988B2 (en) Compositions containing an active fraction isolated from Lycium barbarum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2019112405A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llergic dermatitis comprising gpcr19 agonist as an active ingredient
KR20190111870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anti allergy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llergic diseases
US20050281894A1 (en) Extract of Trapa nata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2546705B1 (en) Composition comprising trifuhalol A or its physiologically acceptable salt, and use thereof
KR101217181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atopyic dermatitis comprising tannic acid and quercetin as an active ingredient
JP5739881B2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chestnut skin extract
KR20120056290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combating thrombotic diseases and their preparation and uses
KR101051076B1 (en)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allergy comprising peac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Guo et al. Balanophora polyandra Griff. prevents dextran sulfate sodium-induced murine experimental colitis via the regulation of NF-κB and NLRP3 inflammasome
JP7277571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allergic diseases, containing an inotodiol compound as an active ingredient
KR101924054B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a novel compound stechamone isolated from Stellera chamaejasme extracts as active ingredient
KR102272237B1 (en) Composition for improved atopy skin and skin moisturizing comprising natural extract
EP2774617B1 (en) Medical composition containing stauntonia hexaphylla extract
Li et al. Xiangshao Granules reduce the aggressive behavior and hippocampal injury of premenstrual irritability in rats by regulating JIK/JNK/p38 signal pathway
JP2021176888A (en) Therapeutic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purple corn extract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skin disease
KR20200133629A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dermatitis containing dichotomines or beta-sitosterol-3-O-glycoside
US20050281903A1 (en) Extract of Stephaniae sinica Diel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20170027421A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complex medicinal herbs extract for skin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309982B1 (en) Skin external prepara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extract of Eriocaulon buergerianum
US20050037028A1 (en) Skin perparation for external use containing purpuricenus temminckii frass as the active ingredient
Kang et al. Mitigating effect of fermented Korean red ginseng extract with yeast and probiotics in 1-chloro-2, 4-dinitrobenzene-induced skin allergic inflam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