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1723A - 전자 장치, 주문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주문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1723A
KR20220081723A KR1020200171532A KR20200171532A KR20220081723A KR 20220081723 A KR20220081723 A KR 20220081723A KR 1020200171532 A KR1020200171532 A KR 1020200171532A KR 20200171532 A KR20200171532 A KR 20200171532A KR 20220081723 A KR20220081723 A KR 20220081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creen
electronic device
touch
ident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연
이태영
한화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1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1723A/ko
Priority to PCT/KR2021/016783 priority patent/WO2022124615A1/ko
Publication of KR20220081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7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전자 장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터치 입력을 통해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터치 스크린 상의 일 영역의 터치 감지에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식별되면 식별된 영역에 오브젝트가 포함되어 있는지 식별하고, 오브젝트가 식별된 영역에 포함된 것으로 식별되면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가 변경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주문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ELECTRONIC APPARATUS, ORDER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주문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용자의 주문에 기초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매장에서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배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주문을 접수하는 방법이 상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전자 장치(예: 키오스크)는 터치 스크린의 일부에 기계적 고장이 발생하여 터치가 불가능한 경우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지 못하여 조작에 따른 인터랙션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게 되므로 터치 스크린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원활하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요구가 있었다.
본 개시는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적 고장이 발생한 터치 스크린에 대해 터치가 가능한 영역에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UI 화면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주문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터치 입력을 통해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일 영역의 터치 감지에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영역에 상기 오브젝트가 포함되어 있는지 식별하고,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식별된 영역에 포함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가 변경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스크린 내에서 터치 감지에 오류가 없는 영역에 상기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 정보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와 동일한 UI 화면을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영역에 터치 오류 상태를 가이드 하는 GUI(Guide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가 제1 위치로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된 후 임계 시간 이후에 상기 UI 화면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상기 제1 위치와 상이한 제2 위치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UI 화면에 포함된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입력 횟수를 카운팅하고, 상기 터치 입력 횟수가 임계 횟수 이상이면 상기 UI 화면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브젝트가 기 설정된 레이아웃 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레이아웃이 유지되도록 상기 레이아웃 내에 포함된 타 오브젝트의 위치를 함께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브젝트가 표시될 영역의 크기 또는 형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 또는 상기 오브젝트의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 장치는, 매장 내에 위치한 키오스크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서버를 포함하는 주문 관리 시스템은, 터치 입력을 통해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UI 화면을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일 영역의 터치 감지에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영역에 상기 오브젝트가 포함되어 있는지 식별하고,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식별된 영역에 포함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변경된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변경된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된 상기 UI 화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와 동일한 UI 화면을 제공하는 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터치 입력을 통해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터치 스크린 상의 일 영역의 터치 감지에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영역에 상기 오브젝트가 포함되어 있는지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식별된 영역에 포함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가 변경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스크린 내에서 터치 감지에 오류가 없는 영역에 상기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와 동일한 UI 화면을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된 영역에 터치 오류 상태를 가이드 하는 GUI(Guide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가 제1 위치로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된 후 임계 시간 이후에 상기 UI 화면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상기 제1 위치와 상이한 제2 위치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I 화면에 포함된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입력 횟수를 카운팅하고, 상기 터치 입력 횟수가 임계 횟수 이상이면 상기 UI 화면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가 기 설정된 레이아웃 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레이아웃이 유지되도록 상기 레이아웃 내에 포함된 타 오브젝트의 위치를 함께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가 표시될 영역의 크기 또는 형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 또는 상기 오브젝트의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 장치는, 매장 내에 위치한 키오스크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에 고장이 발생한 전자 장치를 수리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매장에서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3d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UI 변경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전자 장치가 동일한 UI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터치 오류 상태를 가이드하는 GUI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6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추가적인 UI 변경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문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문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라는 표현은 "A" 또는 "B" 또는 "A 및 B"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을 지칭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매장에서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40)의 주문에 기초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매장에서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복수의 키오스크(10, 20, 30)를 통해 사용자(40)의 주문을 접수할 수 있다.
복수의 키오스크(10, 20, 30)는 사용자(40)에게 동일한 UI를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사용자(40)는 대기 시간이 가장 짧을 것으로 예상되는 키오스크를 통해 서비스 관련 주문을 할 수 있다.
키오스크에 기계적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40)에게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렵게 된다. 키오스크의 기계적 고장에는 다양한 유형이 있으나, 대표적인 고장 유형으로는 키오스크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에 고장(이하, 터치 오류)이 발생한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터치 오류는 물리적인 외부 충격, 전자기장의 영향 및 잦은 터치 입력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잦은 터치 입력에 의해 터치 오류가 발생한 경우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에 발생한 터치 오류로 인해 키오스크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따라 대응되는 인터렉션을 수행할 수 없으므로, 매장의 관리자는 고장이 발생한 키오스크를 수리해야만 하며, 수리 과정에서 해당 키오스크는 사용 불가 상태가 되므로 사용자에게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는 전자 장치가 터치가 가능한 영역에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UI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QLED(Quantum dot light-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 내에는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10)는 터치 센서와 결합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0)의 각 구성과 연결되어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110)와 연결되어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NPU(Neural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등 다양한 이름으로 명명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프로세서(120)로 기재한다.
프로세서(120)는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S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터치 입력을 통해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UI(User Interface)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란 UI 내에 포함된 개별적인 아이콘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UI 내에 포함된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기초하여 해당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인터렉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UI는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제공되는 시각적 UI 화면일 수 있다. UI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UI에 복수의 오브젝트가 포함되는 경우, 복수의 오브젝트는 기 설정된 레이아웃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터치 스크린 상의 일 영역에 터치 감지에 오류가 발생된 것을 식별할 수 있다. 터치 감지에 오류는 하드웨어 상의 오류 및 소프트웨어 상의 오류 두 가지가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터치 스크린에 하드웨어(터치 센서) 상의 오류가 발생한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
터치 감지에 오류가 발생된 터치 스크린 상의 일 영역에 대응되는 좌표는 장치의 고장 이력에 관한 히스토리가 저장된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터치 오류 식별을 위한 테스트 모드에서 획득된 출력 값에 기초하여 프로세서(120)에 의해 식별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터치 스크린 상의 일 영역의 터치 감지에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식별되면 식별된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포함되어 있는지 식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오브젝트가 UI 화면 상에서 차지하는 영역 전부가 식별된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오브젝트가 차지하는 영역 중 일부가 식별된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역시 '포함'된다는 용어로써 표현하도록 한다. 또한 오브젝트가 차지하는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가 식별된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오브젝트가 식별된 영역에 포함된다'고 표현하도록 한다.
일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식별된 영역에 포함된 것으로 식별되면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가 변경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터치 스크린 내에서 터치 감지에 오류가 없는 영역에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식별된 영역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없으므로, 해당 영역에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해당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으므로, 일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식별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한 UI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며, 일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가 변경되면 변경된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 정보를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전자 장치(100)와 동일한 UI 화면을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식별된 영역에 터치 오류 상태를 가이드하는 GUI(Guide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가 제1 위치로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된 후 임계 시간 이후에 UI 화면이 제공되는 경우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제1 위치와 상이한 제2 위치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UI 화면에 포함된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입력 횟수를 카운팅하고, 터치 입력 횟수가 임계 횟수 이상이면 UI 화면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UI 화면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빈번하게 선택된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되는 터치 스크린 상의 영역에 대한 터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해당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오브젝트의 위치를 변경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기 설정된 시간동안 UI 화면에 포함된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입력 횟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입력 횟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오브젝트의 위치가 변경된 시점을 기준으로 해당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입력 횟수를 카운팅하여, 터치 입력 횟수가 임계 횟수 이상이 되는 경우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오브젝트가 기 설정된 레이아웃 내에 포함되는 경우 기 설정된 레이아웃이 유지되도록 레이아웃 내에 포함된 타 오브젝트의 위치를 함께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오브젝트가 표시될 영역의 크기 또는 형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의 크기 또는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일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오브젝트의 크기와 함께 오브젝트가 포함된 UI 화면의 크기를 전체적으로 확대 내지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오브젝트가 포함된 기 설정된 레이아웃의 형상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매장 내에 위치한 키오스크일 수 있다.
도 3a 내지 3d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UI 변경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3d에서는 하나의 전자 장치(100)가 기존의 UI 화면(310)을 디스플레이하는 도중 디스플레이(110) 상의 일 영역의 터치 감지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오브젝트의 위치가 변경된 UI 화면(320)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도시하였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오브젝트(311)를 포함하는 UI 화면(3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상의 일 영역(200)의 터치 감지에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UI 화면(310)에 포함된 오브젝트(311)의 일부가 터치 감지에 오류가 발생된 영역(200)에 포함된 경우, 일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오브젝트(311)가 식별된 영역(200)에 포함된 것으로 식별하고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가 기존 위치(311)와 상이한 위치(321)로 변경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일 예에 따른 상이한 위치(321)는 디스플레이(110) 상의 영역 중에서 식별된 영역(200)을 제외한 영역 중 일 영역일 수 있다.
사용자는 드래그 동작과 같이 다양한 제스처에 기초한 터치 입력을 할 수 있으므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110) 상의 영역 중에서 식별된 영역(200)과 임계 거리 이상 이격된 영역에 위치가 변경된 오브젝트(321)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터치 감지에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식별된 영역(200) 외에 정상적으로 터치가 가능한 영역에 오브젝트(321)가 위치하는 UI 화면(320)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터치 감지에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식별된 영역(200)에 포함된 오브젝트가 기 설정된 레이아웃(312) 내에 포함되는 경우 기 설정된 레이아웃이 유지되도록 레이아웃 내에 포함된 타 오브젝트의 위치를 함께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레이아웃(312)은 3개의 오브젝트가 가로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레이아웃일 수 있다. 레이아웃(312)에 포함된 오브젝트 중 가장 오른쪽에 위치한 오브젝트만이 식별된 영역(200)에 포함되는 경우에도, 전자 장치(100)는 레이아웃(312)이 유지되도록 레이아웃(312) 내에 포함된 세 개의 오브젝트의 위치를 함께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변경된 오브젝트들의 위치(322)가 식별된 영역(200)에 포함되지 않는 UI 화면(32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기 설정된 레이아웃을 유지하면서 UI 화면(320)에 포함된 각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오브젝트가 표시될 영역의 크기 또는 형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110) 상의 영역 중 터치 감지에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식별된 영역(20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크기 또는 형상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UI 화면(310)의 크기를 유지하면서 각 오브젝트의 크기만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나, 도 3c에서와 같이 오브젝트뿐만 아니라 오브젝트가 포함된 UI 화면 자체의 크기를 변경하여(320)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일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식별된 영역(200)이 디스플레이(110) 상의 영역 중 오른쪽에 치우쳐 있는 점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10) 상의 영역 중 좌측 영역 상에 기존 UI 화면(310)을 일정 비율로 축소한 UI 화면(32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c에 도시한 바와 달리, 일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변경 후 UI 화면에 포함된 오브젝트가 식별된 영역(200)에 포함되지 않도록 기존의 UI 화면(310)을 일정 비율로 확대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일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기존 UI 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의 배열을 유지하면서 변경된 UI 화면(320)에 포함된 각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 d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오브젝트가 표시될 영역의 크기 또는 형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의 형상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d에서는 오브젝트가 UI 화면 상에서 차지하는 영역의 형상을 변경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복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레이아웃의 변경하는 경우 역시 '오브젝트의 형상을 변경'한다는 용어로써 표현하도록 한다.
일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110) 상의 영역 중 터치 감지에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식별된 영역(20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크기 또는 형상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의 형상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식별된 영역(200)이 디스플레이(110) 상의 영역 중 오른쪽에 치우쳐 있는 점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10) 상의 영역 중 좌측 영역 상에 기존 UI 화면(310)에 대응되는 레이아웃을 변경한 UI 화면(32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일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기존 UI 화면(310)에 대응되는 가로 배열 레이아웃과 상이한 세로 배열 레이아웃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배열한 UI 화면(32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변경된 UI 화면(320)에 따르면, 식별된 영역(20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 되므로 일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두 전자 장치(100-1, 100-2) 간의 통신을 통해 두 전자 장치(100-1, 100-2)가 동일한 UI 화면을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1)는 디스플레이(110-1) 상의 영역 중 터치 감지에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식별된 영역(200)에 포함된 것으로 식별된 오브젝트가 기존의 위치(410)와 상이한 위치(420)로 변경되어 표시되는 UI 화면(401)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10-2) 상의 영역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타 전자 장치(100-2)가 기존의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두 전자 장치(100-1, 100-2)가 디스플레이하는 UI 화면이 서로 상이하게 된다.
복수의 전자 장치 모두가 사용자에게 통일된 UI 화면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해 일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1)는 통신 인터페이스(미도시)를 더 포함하며, 변경된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 정보(400)를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타 전자 장치(100-2)로 전송할 수 잇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위치 정보(400)는 통닭 요리에 대응되는 오브젝트가 변경된 UI 화면(401)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위치(420)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일 실시 예에 따른 타 전자 장치(100-2)는 일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1)와 동일한 스펙을 갖는 장치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타 전자 장치(100-2)는 통신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타 전자 장치(100-2)는 전자 장치(100-1)로부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한 표시 위치 정보(400)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1)가 제공하는 UI 화면(401)과 동일한 UI 화면(402)을 디스플레이(110-2)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1) 및 타 전자 장치(100-2)는 전자 장치(100-1)에 발생한 터치 오류에 대응하여 서로 동일한 UI 화면(401, 402)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 전자 장치(100-2)에도 터치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타 전자 장치(100-2)는 디스플레이(110-2) 상에서 변경된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 정보를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자 장치(100-1)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1) 및 타 전자 장치(100-2)는 각 장치가 다른 장치로 전송한 정보 및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서로 동일한 UI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장치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110-1) 및 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110-2) 상에 터치 오류가 발생한 영역에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기존 UI 화면을 변경한 UI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터치 오류 상태를 가이드하는 GUI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110) 상의 영역 중 터치 감지에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식별된 영역(200)에 터치 오류를 가이드하는 GUI(Guide User Interface, 50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일 예에 따른 GUI(500)은 도 5에서 도시한 것 외에도 텍스트 내지 이미지를 포함하는 시각적인 UI 일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식별된 영역(200)에 정확히 대응되는 형상의 GUI(500)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나, 식별된 영역(200)에 포함되는 오브젝트가 차지하는 영역에 대응되는 형상의 GUI(500)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화면은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움직이는 슬라이드 UI 화면일 수 있다. 식별된 영역(200)에 대해 UI의 슬라이드 동작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일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하는 UI 화면을 제공할 수 없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가 식별된 영역(200)에 터치 오류를 가이드하는 G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함에 따라 사용자는 식별된 영역(200)을 제외한 디스플레이(110) 상의 영역에 대해 터치 입력을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로부터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도 6a 및 6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추가적인 UI 변경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상의 영역 중 터치 감지에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식별된 영역(200)에 포함된 것으로 식별된 오브젝트가 기존의 위치(611)와 상이한 제1 위치(621)로 변경되어 표시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가 제1 위치(621)로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된 후 임계 시간 이후에 UI 화면이 제공되는 경우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제1 위치(621)과 상이한 제2 위치(631)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식별된 영역(200)에 포함된 오브젝트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선택된 빈도가 높은 오브젝트일 수 있다. 따라서 식별된 영역(200)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위치가 제1 위치(621)로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된 후에도 해당 오브젝트에 대한 잦은 터치 입력으로 인해 제1 위치(621)에는 추가적인 터치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위치(621)에 발생할 수 있는 터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제1 위치(621)에 위치한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제1 위치(621)와 상이한 제2 위치(631)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기 설정된 레이아웃에 기초하여 오브젝트가 배열된 UI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상의 영역 중 터치 감지에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식별된 영역(200)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식별된 영역(200)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레이아웃이 유지되도록 레이아웃 내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의 위치가 기존의 위치(612)와 상이한 제1 위치(622)로 변경되어 표시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레이아웃 내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가 제1 위치(622)로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된 후 임계 시간 이후에 UI 화면이 제공되는 경우 복수의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제1 위치(622)과 상이한 제2 위치(632)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a 및 6b에서 설명한 것 이외에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UI 화면에 포함된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입력 횟수를 카운팅하고, 터치 입력 횟수가 임계 횟수 이상이면 UI 화면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빈번하게 선택되는 오브젝트가 차지하는 디스플레이(110) 상의 영역에 추가적인 터치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프로세서(120), 통신 인터페이스(130), 스피커(140) 및 결제 모듈(150)을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구성 중 도 2에 도시된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30)는 다양한 타입의 데이터를 입력 및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130)는 AP 기반의 Wi-Fi(와이파이, Wireless LAN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유/무선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이더넷(Ethernet), IEEE 1394,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AES/EBU(Audio Engineering Society/ European Broadcasting Union), 옵티컬(Optical), 코액셜(Coaxial) 등과 같은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 장치(예를 들어, 소스 장치), 외부 저장 매체(예를 들어, USB 메모리), 외부 서버(예를 들어 웹 하드)와 다양한 타입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스피커(140)는 전자 장치(100) 전기음향신호를 음파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스피커(140)는 영구자석과 코일 및 진동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영구자석과 코일 사이에서 일어나는 전자기 상호작용에 의해 진동판을 진동시킴으로써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140)는 전자 장치(100)가 제공하는 서비스와 관련한 사용자의 주문에 대응되는 안내 음성을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제공되는 UI 화면에 대응되는 청각 UI를 제공할 수도 있다.
결제 모듈(150)은 전자 장치(100)가 서비스를 제공받기를 희망하는 사용자로부터 서비스에 대응되는 금액을 지불받기 위한 구성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제 모듈(150)은 현금, 카드 및 핀테크(FinTech)를 이용한 결제 수단에 대응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제 모듈(150)은 NFC 안테나, 바코드 스캐너 및 자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문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문 관리 시스템은 전자 장치(100-1), 타 전자 장치(100-2) 및 서버(10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1)는 터치 입력을 통해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UI 화면을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811).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 전자 장치(100-2) 역시 전자 장치(100-1)과 동일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812).
일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1)는 터치 스크린 상의 일 영역의 터치 감지에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식별되면(S820) 식별된 영역에 오브젝트가 포함되어 있는지 식별할 수 있다(S830).
이어서 전자 장치(100-1)는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고(S840), 오브젝트의 변경된 표시 위치 정보를 서버(1000)로 전송할 수 있다(S850).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100)는 전자 장치(100-1) 및 타 전자 장치(100-2)와 전기적으로 통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일 예에 따른 서버(1000)는 전자 장치(100-1)로부터 수신한 오브젝트의 변경된 표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된 UI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S860). 또한, 서버(1000)는 생성된 UI 화면에 대한 정보를 타 전자 장치(100-2)로 전송할 수 있다(S870).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 전자 장치(100-2)는 일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1)와 동일한 스펙을 갖는 장치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타 전자 장치(100-2)는 서버(10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1)와 동일한 UI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S880).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문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1)는 터치 입력을 통해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UI 화면을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911). 또한,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타 전자 장치(100-2) 역시 전자 장치(100-1)과 동일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912).
다른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1)는 터치 스크린 상의 일 영역의 터치 감지에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식별되면(S920) 서버(1000)로 오류가 발생된 영역의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930).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버(1000)는 전자 장치(100-1)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오류가 발생된 영역에 오브젝트가 포함되어 있는지 식별할 수 있다(S940). 또한, 서버(1000)는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가 변경된 UI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S950).
다른 예에 따른 서버(1000)는 전자 장치(100-1) 및 타 전자 장치(100-2)로 생성된 UI 화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960). 전자 장치(100-1) 및 타 전자 장치(100-2)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된 UI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S971, S972).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터치 입력을 통해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1010). 이어서 터치 스크린 상의 일 영역의 터치 감지에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식별되면 식별된 영역에 오브젝트가 포함되어 있는지 식별한다(S1020). 마지막으로, 오브젝트가 식별된 영역에 포함된 것으로 식별되면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가 변경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1030).
여기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030)는 터치 스크린 내에서 터치 감지에 오류가 없는 영역에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가 변경되면 오브젝트의 변경된 표시 위치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외부 장치는 전자 장치와 동일한 UI 화면을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한편, 식별된 영역에 터치 오류 상태를 가이드 하는 GUI(Guide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가 제1 위치로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된 후 임계 시간 이후에 UI 화면이 제공되는 경우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제1 위치와 상이한 제2 위치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UI 화면에 포함된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입력 횟수를 카운팅하고, 터치 입력 횟수가 임계 횟수 이상이면 UI 화면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030)는 오브젝트가 기 설정된 레이아웃 내에 포함되는 경우 기 설정된 레이아웃이 유지되도록 레이아웃 내에 포함된 타 오브젝트의 위치를 함께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030)는 오브젝트가 표시될 영역의 크기 또는 형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의 크기 또는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는 매장 내에 위치한 키오스크 장치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전자 장치에 설치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전자 장치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또는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만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에 구비된 임베디드 서버 또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프로세서(12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싱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는 특정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서의 처리 동작을 특정 기기가 수행하도록 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전자 장치 110: 디스플레이
120: 프로세서

Claims (19)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터치 입력을 통해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일 영역의 터치 감지에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영역에 상기 오브젝트가 포함되어 있는지 식별하고,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식별된 영역에 포함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가 변경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스크린 내에서 터치 감지에 오류가 없는 영역에 상기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 정보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와 동일한 UI 화면을 제공하는 장치인,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영역에 터치 오류 상태를 가이드 하는 GUI(Guide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가 제1 위치로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된 후 임계 시간 이후에 상기 UI 화면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상기 제1 위치와 상이한 제2 위치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UI 화면에 포함된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입력 횟수를 카운팅하고, 상기 터치 입력 횟수가 임계 횟수 이상이면 상기 UI 화면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브젝트가 기 설정된 레이아웃 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레이아웃이 유지되도록 상기 레이아웃 내에 포함된 타 오브젝트의 위치를 함께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브젝트가 표시될 영역의 크기 또는 형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 또는 상기 오브젝트의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매장 내에 위치한 키오스크인, 전자 장치.
  10. 전자 장치 및 서버를 포함하는 주문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터치 입력을 통해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UI 화면을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일 영역의 터치 감지에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영역에 상기 오브젝트가 포함되어 있는지 식별하고,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식별된 영역에 포함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변경된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변경된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된 상기 UI 화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와 동일한 UI 화면을 제공하는 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주문 관리 시스템.
  11.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터치 입력을 통해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터치 스크린 상의 일 영역의 터치 감지에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영역에 상기 오브젝트가 포함되어 있는지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식별된 영역에 포함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가 변경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스크린 내에서 터치 감지에 오류가 없는 영역에 상기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와 동일한 UI 화면을 제공하는 장치인,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영역에 터치 오류 상태를 가이드 하는 GUI(Guide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가 제1 위치로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된 후 임계 시간 이후에 상기 UI 화면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상기 제1 위치와 상이한 제2 위치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UI 화면에 포함된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입력 횟수를 카운팅하고, 상기 터치 입력 횟수가 임계 횟수 이상이면 상기 UI 화면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가 기 설정된 레이아웃 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레이아웃이 유지되도록 상기 레이아웃 내에 포함된 타 오브젝트의 위치를 함께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어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가 표시될 영역의 크기 또는 형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 또는 상기 오브젝트의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어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매장 내에 위치한 키오스크인, 제어 방법.
KR1020200171532A 2020-12-09 2020-12-09 전자 장치, 주문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8172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532A KR20220081723A (ko) 2020-12-09 2020-12-09 전자 장치, 주문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21/016783 WO2022124615A1 (ko) 2020-12-09 2021-11-16 전자 장치, 주문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532A KR20220081723A (ko) 2020-12-09 2020-12-09 전자 장치, 주문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723A true KR20220081723A (ko) 2022-06-16

Family

ID=81974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532A KR20220081723A (ko) 2020-12-09 2020-12-09 전자 장치, 주문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81723A (ko)
WO (1) WO2022124615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2037A (ko) * 2007-08-29 2009-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터치스크린 보호방법
KR102037415B1 (ko) * 2012-04-07 2019-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 매체
KR101917071B1 (ko) * 2012-08-02 2018-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23168A (ko) * 2013-04-11 2014-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081523A (ko) * 2014-01-06 2015-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24615A1 (ko) 202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7289B1 (ko)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210240428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haring screen
KR102397602B1 (ko)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US20160269671A1 (en)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of display apparatus
US10067666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4007893A (zh) 用于在便携式终端中提供用户界面的方法和装置
US10427910B2 (en) Display language arrangement
KR20150104985A (ko) 사용자 단말 및 오디오 시스템, 그리고 이의 스피커 제어 방법
US20160170709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output
KR101546407B1 (ko) 어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50095437A1 (en) Method for providing notification information selectively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90065030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733884B2 (en)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
KR20180098056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1098643A1 (zh) 直播间道具配置方法、装置、可读介质及电子设备
US8698835B1 (en) Mobile device user interface having enhanced visual characteristics
CN102902450A (zh) 终端及其显示数据的方法
US20180260784A1 (en) Electronic device and schedule ui providing method thereof
KR20130093725A (ko) 어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40085219A1 (en) Controlling display device with display portions through touch-sensitive display
KR20220081723A (ko) 전자 장치, 주문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9535648B2 (en)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3353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08047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2176681B1 (ko) 객체 표시를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