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1186A -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유해가스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유해가스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1186A
KR20220081186A KR1020200170794A KR20200170794A KR20220081186A KR 20220081186 A KR20220081186 A KR 20220081186A KR 1020200170794 A KR1020200170794 A KR 1020200170794A KR 20200170794 A KR20200170794 A KR 20200170794A KR 20220081186 A KR20220081186 A KR 20220081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harmful gas
gas
gas detection
det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0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병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정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정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정테크
Priority to KR1020200170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1186A/ko
Publication of KR20220081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1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4Toxic ga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산업현장에서 가스 누출사고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는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 및 유해가스 감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감지홀이 형성된 감지기 본체와, 수용공간 내부에 설치되어 휘발성 유기 화합물, 이산화탄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해가스를 감지하는 가스센서와, 감지기 본체 외부에 노출되어 가스센서의 동작 상황을 표시하는 표시램프와, 유해가스의 농도가 기준 농도 이상일 때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유해가스 감지 시스템{Portable toxic gas detection device and toxic gas detection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 및 유해가스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업현장에서 가스 누출사고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는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 및 유해가스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직접 작업하는 산업현장에서는 매해 인명피해가 끊이지 않고 있다. 예를 들어, 산업현장에서는 화재나 추락 등의 사고 혹은 가스 누설에 의한 사고 등 다양한 사건사고가 발생한다. 이 중에서도, 가스 누설에 의한 사고는 무색 무취의 가스가 누설되면 작업자가 이를 파악하기 매우 어려워, 작업자의 질식 혹은 폭발과 같은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실내나 지하실과 같이 밀폐된 장소에서 진행되는 산업현장은 환기가 이루어지지 못해 유해가스 누설사고에 취약하다. 또한, 밀폐된 산업현장은 산업현장의 상황에 대한 파악을 하기가 어려워, 가스 누설시 작업자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유해가스의 누설을 조기에 감지하고 작업자에게 그 사실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유해가스를 취급하거나 유해가스가 발생될 수 있는 작업장에는 가스누설여부를 조기에 감지할 수 있는 감지장치들을 배치하여, 유해가스의 누설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보호한다.
종래의 유해가스 감지 장치는 가스의 누설 정도를 측정하는 장치를 통해 유해가스의 농도를 측정하고, 단순 가스 농도의 값만을 이용하여 작업자에게 가스 누설 경보를 전달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유해가스 감지 장치는 단순 가스농도 값에만 의존하여 위험상황을 판단한 것으로서, 잦은 경보가 울려 작업이 자주 중단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98434호(2011. 12. 19)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산업현장에서 가스 누출사고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는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산업현장에서 가스 누출사고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는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를 포함하는 유해가스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감지홀이 형성된 감지기 본체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설치되어 휘발성 유기 화합물, 이산화탄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해가스를 감지하는 가스센서와, 상기 감지기 본체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가스센서의 동작 상황을 표시하는 표시램프와, 상기 유해가스의 농도가 기준 농도 이상일 때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부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며 스마트폰과 무선통신하여 주기적으로 상기 가스센서로부터 입력 받은 센서값을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해가스 감지 시스템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감지홀이 형성된 감지기 본체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설치되어 휘발성 유기 화합물, 이산화탄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해가스를 감지하는 가스센서와, 상기 감지기 본체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가스센서의 동작 상황을 표시하는 표시램프와, 상기 유해가스의 농도가 기준 농도 이상일 때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부와, 상기 감지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가스센서로부터 입력 받은 센서값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 및 상기 무선통신모듈로부터 상기 센서값을 입력 받아 주기적으로 서버로 전송하는 스마트폰을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폰은, 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속도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소지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동작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센서값과 시간에 대하여 동기화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 받은 상기 센서값과 상기 동작데이터를 시계열적으로 저장하며, 상기 스마트폰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상기 센서값과 상기 동작데이터를 시계열적으로 그래프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센서값이 설정 농도 이상에서 상기 동작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일정시간 동안 기준이하로 나타나면 상기 경보부 및 관제센터에 경보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해가스의 누설 정도를 조기에 파악하여 유해가스 누설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유해가스의 누설 정도와 작업자의 움직임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작업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작업자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 있어, 별도의 움직임 감지 센서를 구비하지 않고 스마트폰을 통해 작업자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벼워 휴대가 용이하여, 작업자에게 방해되지 않으며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의 A-A'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해가스 감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가스센서의 센서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의 A-A'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1)는 작업현장의 가스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로, 휴대가 가능한 사이즈와 무게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쉽게 휴대하고 작업을 할 수 있다.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1)는 대기 중의 가스 농도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가스 농도가 위험수치에 근접하는 경우 경보부(24)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다. 즉,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1)는 작업자의 주변 가스 농도를 분석하여 가스 누설 등과 같이 위험 상황을 감지하고 작업자에게 위험을 경고할 수 있다. 즉,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1)는,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는 장치로, 예를 들어, 무색, 무취의 유해가스가 누설되는 경우 작업자가 이를 인지 못한 채 작업을 진행하여 질식하는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1)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1)는 내부에 수용공간(12)이 형성되고 수용공간(12)과 외부를 연통하는 감지홀(11)이 형성된 감지기 본체(10)와, 수용공간(12) 내부에 설치되어 휘발성 유기 화합물, 이산화탄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해가스를 감지하는 가스센서(21)와, 감지기 본체(10) 외부에 노출되어 가스센서(21)의 동작 상황을 표시하는 표시램프(23)와, 유해가스의 농도가 기준 농도 이상일 때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부(24)를 포함한다.
감지기 본체(10)는 제1 본체(10a)와 제2 본체(10b)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로,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1)의 외부지지구조를 형성한다. 제1 본체(10a)와 제2 본체(10b)는 복수 개의 결합부(14)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감지기 본체(10)는 정면에 관통 형성된 복수 개의 감지홀(11)을 통해 감지기 본체(10) 주변의 가스를 감지기 본체(10) 내부로 유입할 수 있다. 감지기 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되는 가스센서(21)는 이러한 유입된 가스의 농도를 측정한다. 또한, 감지기 본체(10)의 내부에는 무선통신모듈(25)이 수용되어 가스센서(21)에 의해 측정된 센서값을 스마트폰(30)으로 전송한다.
가스센서(21)는 감지홀(11)과 중첩되도록 위치하여, 감지홀(11)을 통해 유입되는 유해가스를 감지한다. 가스센서(21)는 제2 본체(10b)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메인보드(20)에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측정되는 센서값을 다른 기기들과 공유할 수 있다. 가스센서(21)가 측정하는 유해가스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이산화탄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일산화탄소, 메탄, 프로판, 에탄알코올, 아세트알데히드, 메탈에틸케논, 톨루엔 등 일 수 있다. 가스센서(21)는 이러한 유해가스를 감지하고 농도를 측정하여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1)의 주변 공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측정된 센서값은 무선통신모듈(25)에 의해 스마트폰(30)으로 전송이 가능하다.
무선통신모듈(25)은 가스센서(21) 및 표시램프(23)와 마찬가지로 메인보드(20)에 결합 설치되어, 가스센서(21)로부터 받는 센서값을 스마트폰(3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마트폰(30)을 사용하여 작업 환경의 유해가스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가스센서(21)에 의해 측정되는 유해가스의 농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경보부(24)는 경보를 발생시켜 작업자에게 위험 상황을 인지시킬 수도 있다.
경보부(24)는 감지기 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유해가스의 농도가 기준치보다 높을 경우, 경보음을 출력하여 작업자에게 위험 상황을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경보부(24)는 스피커 등과 같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다. 경보부(24)는, 예를 들어, 가스센서(21)에 의해 측정된 유해가스 농도값이 높은 경우 혹은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1)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등에서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1 본체(10a)에는 복수 개의 램프홀(13)이 관통 형성되며, 각각의 램프홀(13)의 연장선상에는 제2 본체(10b)에 결합되는 표시램프(23)가 위치한다. 표시램프(23)는 제1 본체(10a)와 제2 본체(10b)의 결합시, 끝단부가 램프홀(13)에 삽입되어 발광할 수 있다. 표시램프(23)는 가스센서(21)에 의해 측정된 유해가스의 종류를 표시하는 가스표시램프(23)와, 충전단자(27)를 통해 충전의 유무를 나타내는 충전표시램프(23)와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1)의 오류 상황을 표시하는 에러표시램프(23)를 포함한다. 표시램프(23)는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1)의 상태 및 주변 유해가스 상황 등을 작업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불빛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발광하는 불빛의 색 및 밝기 등은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해가스 감지 시스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해가스 감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4는 가스센서의 센서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 및 도 1을 참조하면, 유해가스 감지 시스템(2)은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1)와 스마트폰(30)과 서버(40)를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작업현장의 유해가스 농도 및 작업자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유해가스 감지 시스템(2)은 작업현장의 유해가스 농도와 작업자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비교 분석하여, 위험 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서버(40)를 통해 이를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1) 및 관제센터(50) 등으로 위험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특히, 작업자는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1)와 스마트폰(30)을 소지한 상태로 작업을 진행하여, 작업환경과 작업자의 실시간 정보를 서버(4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유해가스 감지 시스템(2)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해가스 감지 시스템(2)은, 내부에 수용공간(12)이 형성되고 수용공간(12)과 외부를 연통하는 감지홀(11)이 형성된 감지기 본체(10)와, 수용공간(12) 내부에 설치되어 휘발성 유기 화합물, 이산화탄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해가스를 감지하는 가스센서(21)와, 감지기 본체(10) 외부에 노출되어 가스센서(21)의 동작 상황을 표시하는 표시램프(23)와, 유해가스의 농도가 기준 농도 이상일 때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부(24)와, 감지기 본체(10) 내부에 수용되며 가스센서(21)로부터 입력 받은 센서값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25)을 포함하는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1), 및 무선통신모듈(25)로부터 센서값을 입력 받아 주기적으로 서버(40)로 전송하는 스마트폰(30)을 포함한다.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1)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스센서(21)를 통해 작업현장의 유해가스를 감지하고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작업자는 작업현장에서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1)를 소지한 상태로 이동하며 작업할 수 있다. 즉,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1)는 작업자의 이동에 따라 측정하는 공간도 이동하여 작업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작업환경의 유해가스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1)의 측정 방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니터링 하고자 하는 작업현장에 설치하여 고정된 구간의 유해가스 농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1)는 스마트폰(30)과 연동되어, 측정한 유해가스의 종류 및 농도 등의 센서값을 스마트폰(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스마트폰(30)은 이러한 센서값을 서버(40) 및 관제센터(50)으로도 전송할 수 있다. 그 밖에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1)의 구조 및 기능은 도1 및 도2에서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스마트폰(30)은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1)로부터 받은 센서값을 동작데이터와 함께 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폰(30)은 가속도센서(도시되지 않음)를 내장하여 작업자의 동작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작업자의 작업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동작데이터는 스마트폰(30)에 내장된 가속도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데이터로, 스마트폰(30)을 소지한 작업자의 움지임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며, 스마트폰(30)은 이러한 동작데이터를 서버(4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스마트폰(30)은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1)와 서버(40)를 매개하는 기능을 하고 작업자의 동작데이터를 측정하여 서버(40)에 전달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폰(30)은 센서값과 동작데이터값을 실시간으로 서버(40)에 전달할 수 있다. 스마트폰(30)은 기본적으로 가속도센서나 GPS, 기울기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속도센서에 의한 작업자의 움직임을 파악하는 것 외에도 작업자의 위치 및 작업현장의 상황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서버(4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서버(40)는 스마트폰(30)과 무선 통신하며 실시간 데이터를 전달받아, 작업현장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특히, 서버(40)는 스마트폰(30)으로부터 받은 센서값과 동작데이터값을 시계열적으로 저장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여, 분석한 결과값을 스마트폰(30)으로 재전송 하거나 관제센터(50)에 제공할 수 있다. 서버(40)는 센서값을 통해 작업현장의 유해가스 위험도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작업자의 움직임을 분석할 수 있다. 분석결과, 위험한 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서버(40)는 경보부(24)에 긴급 경보 등을 출력하도록 하여 작업자에게 위험 상황을 알리거나 관제센터(50) 등에 상황을 전달할 수 있다.
서버(40)의 위험 상황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값(A)은 고정된 기준 센서값(A1) 및 한계 센서값(A2)을 갖는다. 기준 센서값(A1)은 적정량의 유해가스 농도를 나타내는 수치이다. 센서값(A)이 기준 센서값(A1)을 초과할 경우, 작업현장에는 소량의 유해가스가 누출된 상황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한계 센서값(A2)은 작업자가 위험할 수 있는 수준의 유해가스 농도를 나타내는 수치로, 센서값(A)이 한계 센서값(A2)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작업을 중단해야 하는 상황으로 판단될 수 있다. 즉, 센서값(A)이 기준 센서값(A1)보다 낮은 경우에는 가스누출이 되지 않은 상태이고, 기준 센서값(A1)과 한계 센서값(A2) 사이에 위치할 경우 작업자 및 작업현장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상태이며, 한계 센서값(A2)을 초과할 경우 즉시 작업을 중단하고 작업현장을 점검해야 하는 상태로 인식될 수 있다. 특히, 센서값(A)이 기준 센서값(A1)과 한계 센서값(A2)의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작업자의 동작데이터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특히, 작업자의 동작데이터는 센서값(A)과 함께 시계열적으로 서버(40)에 저장되어, 해당하는 시간대에 대응하는 데이터값을 쉽게 찾아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 작업은 서버(40) 자체에서 행해질 수 있으며, 서버(40)는 분석하는 데이터 값을 실시간으로 관제센터(5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40)는 동작데이터를 독립적으로 분석하여, 작업자의 움직임이 일정시간 동안 기준이하로 나타나면 위험 상황으로 판단하여 경보부(24) 및 관제센터(50)에 위험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즉, 센서값(A)이 기준 센서값(A1) 이하일 경우에도, 동작데이터값이 기준치 이하로 측정되면 위험 상항으로 판단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예를 들어, 작업자가 가스 사고에 의해 질식하는 사고가 아닌, 물리적으로 사고를 당하는 경우 및 건강상의 문제로 쓰러지는 사고 등의 상황일 수 있다.
한편, 도 4의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이 0 과 t1 사이일 경우, 센서값(A)는 기준 센서값(A1)을 넘지 않아 작업 환경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시간이 t1 과 t2 사이일 경우, 센서값(A)이 기준 센서값(A1)을 초과하여, 동작데이터를 함께 모니터링하고 분석할 수 있다. 시간이 t3 에 도달했을 때에는, 센서값(A)이 한계 센서값(A2)에 도달한 상황으로, 위험 신호를 관제센터(50) 및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1)에 전달하여 즉시 작업자를 작업현장으로부터 빠져나오도록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30)은, 도 4와 같은, 센서값(A) 혹은 동작데이터의 시계열적인 그래프를 디스플레이부(31)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디스플레이부(31)에 표시되는 각종 그래프 정보를 통해 실시간으로 작업 현장의 유해가스 농도 및 작업자의 움직임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 2: 유해가스 감지 시스템
10: 감지기 본체 10a: 제1 본체
10b: 제2 본체 11: 감지홀
12: 수용공간 13: 램프홀
14: 결합부 20: 메인보드
21: 가스센서 23: 표시램프
23a: 가스표시램프 23b: 충전표시램프
23c: 에러표시램프 24: 경보부
25: 무선통신모듈 26: 전원부
27: 충전단자 30: 스마트폰
31: 디스플레이부 40: 서버
50: 관제센터 A: 센서값
A1: 기준 센서값 A2: 한계 센서값

Claims (6)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감지홀이 형성된 감지기 본체;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설치되어 휘발성 유기 화합물, 이산화탄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해가스를 감지하는 가스센서;
    상기 감지기 본체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가스센서의 동작 상황을 표시하는 표시램프;
    상기 유해가스의 농도가 기준 농도 이상일 때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며 스마트폰과 무선통신하여 주기적으로 상기 가스센서로부터 입력 받은 센서값을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
  3.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감지홀이 형성된 감지기 본체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설치되어 휘발성 유기 화합물, 이산화탄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해가스를 감지하는 가스센서와,
    상기 감지기 본체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가스센서의 동작 상황을 표시하는 표시램프와,
    상기 유해가스의 농도가 기준 농도 이상일 때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부와,
    상기 감지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가스센서로부터 입력 받은 센서값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 및
    상기 무선통신모듈로부터 상기 센서값을 입력 받아 주기적으로 서버로 전송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유해가스 감지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속도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소지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동작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센서값과 시간에 대하여 동기화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유해가스 감지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 받은 상기 센서값과 상기 동작데이터를 시계열적으로 저장하며,
    상기 스마트폰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상기 센서값과 상기 동작데이터를 시계열적으로 그래프화하여 표시하는 유해가스 감지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센서값이 설정 농도 이상에서 상기 동작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일정시간 동안 기준이하로 나타나면 상기 경보부 및 관제센터에 경보신호를 전달하는 유해가스 감지 시스템.
KR1020200170794A 2020-12-08 2020-12-08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유해가스 감지 시스템 KR202200811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794A KR20220081186A (ko) 2020-12-08 2020-12-08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유해가스 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794A KR20220081186A (ko) 2020-12-08 2020-12-08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유해가스 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186A true KR20220081186A (ko) 2022-06-15

Family

ID=81987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794A KR20220081186A (ko) 2020-12-08 2020-12-08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유해가스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118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434B1 (ko) 2004-07-15 2011-12-26 황존규 휴대용 가스누설 감지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434B1 (ko) 2004-07-15 2011-12-26 황존규 휴대용 가스누설 감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9617B1 (ko) 스마트 iot 인공지능 가스경보 시스템
US20140284222A1 (en) Detection Of Synergistic And Additive Trace Gases
KR100936265B1 (ko)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를 위한 휴대형센서
GB2430495A (en) Gas Measuring System Comprising Mobile Measuring Device and Base Station
KR20190068995A (ko) 과학실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36244B1 (ko) 무선 가스검지 시스템
KR20180125851A (ko) 스마트 안전관리 기기 및 이를 활용한 안전관리시스템
WO2010070360A1 (en) Personal detection device
US20020155622A1 (en) Toxic gas monitoring system
US20200191725A1 (en) Floating-type contaminant measuring apparatus
KR20230036738A (ko) 질식사고 예방시스템
KR100885305B1 (ko) 복합 가스 및 방사선 원격 측정이 가능한 이동 로봇 시스템
KR20220081186A (ko) 휴대용 유해가스 감지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유해가스 감지 시스템
KR102253851B1 (ko) 유해물질에 의한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밀폐공간 작업자의 사고를 예방하는 방법
KR102229620B1 (ko) 스마트 iot 인공지능 가스경보 시스템
EP3635700B1 (en) Method of monitoring health of protective cover of detection device
KR101756521B1 (ko) 가스 위험 감지 스마트 볼
KR102286665B1 (ko) 가스 및 지진 감지기, 이를 이용한 가스 및 지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253225B1 (ko) 유독가스 모니터링 휴대 장치
US20220163497A1 (en) Gas sensor testing apparatus and methods
KR20060068574A (ko) 통신모듈이 탑재된 휴대용 전기화학식 가스센서
KR20230168214A (ko) 가스 모니터링 및 경보 시스템
Mukhopadhyaya et al. Detection of Toxic Gases and Temperature Sensing for Miners using IoT Based Intelligent Helmet
KR101588415B1 (ko) 인체 유해현장용 탐색 장치
KR20230065607A (ko) IoT 기술을 적용한 선박용 휴대 가스 감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