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1014A - 산업용 공기 호흡기 - Google Patents

산업용 공기 호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1014A
KR20220081014A KR1020200170415A KR20200170415A KR20220081014A KR 20220081014 A KR20220081014 A KR 20220081014A KR 1020200170415 A KR1020200170415 A KR 1020200170415A KR 20200170415 A KR20200170415 A KR 20200170415A KR 20220081014 A KR20220081014 A KR 20220081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nector
compressed air
respirato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0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3151B1 (ko
Inventor
최대근
정문성
Original Assignee
최대근
정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대근, 정문성 filed Critical 최대근
Priority to KR1020200170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151B1/ko
Publication of KR20220081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02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03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having means for creating a fresh air curtai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2Respiratory apparatus with fresh-air ho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2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4Couplings; Supporting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7/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from pressure vessel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38Pressure reg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1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공구와 연결된 압축공기저장탱크의 압축된 공기가 호흡기로 분기되며 안내되도록 하여, 가스, 증기, 분진이 발생하는 장소에서 일을 하는 작업자가 각종 유해물질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호흡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산업용 공기 호흡기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압축공기커넥터가 구비된 압축공기이송관이 단부에 구비된 압축공기저장탱크; 상기 압축공기커넥터와 탈착 결합되는 제1커넥터가 단부에 구비된 제1분기이송관이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1분기이송관과 대향되는 타단에는 제2분기이송관이 구비되며, 상면에는 제2커넥터가 구비된 분기관; 상기 제2커넥터에 탈착 결합되는 분무커넥터가 단부에 구비된 에어이송관과, 상기 에어이송관과 연결되어 상기 압축공기저장탱크의 압축된 공기를 공급받는 분사기로 구성된 에어공구; 상기 제2분기이송관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분기관을 통하여 분기되는 압축공기저장탱크의 압축된 공기를 공급받아 감압시키는 정압기; 상기 정압기의 일단에 호흡관으로 연결되어 상기 정압기를 통하여 감압이 이루어진 공기를 공급받는 호흡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산업용 공기 호흡기{Industrial Breat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산업용 공기 호흡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공구와 연결된 압축공기저장탱크의 압축된 공기가 호흡기로 분기되며 안내되도록 하여, 가스, 증기, 분진이 발생하는 장소에서 일을 하는 작업자가 각종 유해물질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호흡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산업용 공기 호흡기에 관한 것이다.
호흡기란, 공기통 속에 들어 있는 고압의 공기를 사용자가 숨을 쉴 수 있도록 외부의 압력과 같이 조절하며 입까지 보내주는 장비로 흔히 조절기라고도 부른다.
이러한 호흡기는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 공급되는 산소의 양을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으나, 스포츠 용품, 병원, 각종 산업현장 등에서도 고압의 공기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방식은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이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장비를 산소호흡기라고 하며, 이러한 산소호흡기는 유해한 가스, 증기, 분진이 존재하는 곳에서 작업자의 신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방식에 따라, 개방식, 순환식, 산소발생식으로 나누어져 있다.
예컨대, 종래에는 유해한 환경을 이는 각종 산업현장에서는 문헌(1)에서와 같이, 공기통에 수용된 산소가 마스크로 공급되도록 구성하여, 마스크를 착용한 사용자가 호흡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공기호흡기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문헌(1)과 같은 종래의 공기호흡기는 산소가 수용된 공기통을 작업자가 매거나, 사용을 이루고자 하는 장소에 따라 지속적으로 운반하며 사용해야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공기통에 수용되는 압축공기를 사용한 후에는 별도의 비용을 소비하여 공기통에 압축공기를 재충전하거나, 재구입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 될 수 있어 비용에 비하여 높은 경제적 효과를 이루기는 어렵고, 지속적인 호흡을 유지하기 힘이 들어 이에 따른, 안전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공기통을 작업자가 매거나, 사용을 이루고자 하는 장소에 따라 지속적으로 운반하며 사용해야 함으로써, 유해한 가스, 증기, 분진이 이루어지는 장소에서는 용이한 사용이 어렵고, 호흡기로 인하여 작업자의 신체 움직임이 제한을 받게 됨으로써, 작업시간과 작업비용을 증대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위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작업을 이루는 작업자가 작업의 편의를 위하여 마스크와 메인탱크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작업자의 안정적인 호흡을 유지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107181호(2020.09.1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스, 증기, 분진이 발생하는 장소에서 일을 하는 작업자가 용이한 호흡을 이루며 작업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둘째, 가스, 증기, 분진이 발생하는 장소에서 일을 하는 작업자가 압축공기저장탱크의 공기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용이한 호흡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압축공기저장탱크의 공기가 에어공구와, 작업자가 착용하는 마스크로 분기되게 구성되어 용이한 작업을 이루면서도 작업자의 호흡이 안정적인 유지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넷째, 압축공기저장탱크와 호흡기의 사이에 연결되는 공기저장탱크와 정압기의 구성을 통하여 압축공기저장탱크와 호흡기가 분리되는 경우에도 작업자가 공기저장탱크를 이용하여 지속적인 호흡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압축공기저장탱크와 호흡기의 사이에 연결되는 공기저장탱크와 정압기의 구성을 통하여 압축공기저장탱크와 호흡기를 분리하는 경우에도 용이한 사용을 이룰 수 있어, 작업자의 신체 움직임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작업을 이룰 수 있고, 호흡기 사용으로 인하여 불필요한 작업시간과 작업비용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여섯째, 분리, 결합이 가능한 구성을 통하여 사용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손상된 부위만을 교체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고, 이에 따른 사용상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어, 높은 경제적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압축공기커넥터가 구비된 압축공기이송관이 단부에 구비된 압축공기저장탱크; 상기 압축공기커넥터와 탈착 결합되는 제1커넥터가 단부에 구비된 제1분기이송관이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1분기이송관과 대향되는 타단에는 제2분기이송관이 구비되며, 상면에는 제2커넥터가 구비된 분기관; 상기 제2커넥터에 탈착 결합되는 분무커넥터가 단부에 구비된 에어이송관과, 상기 에어이송관과 연결되어 상기 압축공기저장탱크의 압축된 공기를 공급받는 분사기로 구성된 에어공구; 상기 제2분기이송관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분기관을 통하여 분기되는 압축공기저장탱크의 압축된 공기를 공급받아 감압시키는 정압기; 상기 정압기의 일단에 호흡관으로 연결되어 상기 정압기를 통하여 감압이 이루어진 공기를 공급받는 호흡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분기이송관에는 상기 분기관을 통하여 정압기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압축공기저장탱크의 압축된 공기를 저장하는 공기저장탱크가 더 설치되고, 상기 공기저장탱크는 상기 제2분기이송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정압기와 연결되는 정압관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분기이송관과 정압관의 공기 흐름을 조절하는 조절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공기커넥터와 제1커넥터 간 결합 시, 상기 압축공기이송관에서 제1분기이송관의 방향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압축공기커넥터와 제1커넥터의 결합시에만 이송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1분기이송관의 방향으로 공급된 공기는 압축공기이송관의 방향으로 재이동이 방지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커넥터와 분무커넥터 간 결합 시, 상기 제2커넥터에서 에어이송관의 방향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제2커넥터와 분무커넥터의 결합시에만 이송이 이루어지고, 상기 분무커넥터의 방향으로 공급된 공기는 제2커넥터의 방향으로 재이동이 방지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호흡기는 상기 호흡관이 연결되는 연결공과, 상면 테두리 부위에 복수개 구비되는 배기공과, 상기 배기공의 외측을 감싸도록 일단이 상기 호흡기에 결합되어 상기 배기공을 통하여 이송되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배기공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복수개의 차단판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공은 호흡기의 상부 방향으로 호흡기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공에는 상기 호흡기 내측의 공기를 작업자의 눈 방향으로 안내하는 공기안내구가 더 결합되며, 상기 공기안내구는 상기 배기공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관이 하단에 구비되고, 상면에는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삽입몸체와, 상기 체결공에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흡기의 내측면에는 작업자의 얼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연결공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작업자의 얼굴 테두리 부위로 분사하는 공기분사마스크가 더 설치되며, 상기 공기분사마스크는 상기 연결공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측 중심 부위에는 호흡공이 형성되고, 상기 호흡공을 중심으로 한 테두리 부위에는 배출공이 형성된 끼움구와, 작업자의 얼굴을 감싸도록 상기 끼움구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상기 호흡공과 연통 되는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에는 복수개의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배기공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마스크와, 상기 호흡공의 내측에 탈착 결합되는 걸림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가스, 증기, 분진이 발생하는 장소에서 일을 하는 작업자가 용이한 호흡을 이루며 작업을 이룰 수 있다.
둘째, 가스, 증기, 분진이 발생하는 장소에서 일을 하는 작업자가 압축공기저장탱크의 공기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용이한 호흡을 이룰 수 있다.
셋째, 압축공기저장탱크의 공기가 에어공구와, 작업자가 착용하는 마스크로 분기되게 구성되어 용이한 작업을 이루면서도 작업자의 호흡이 안정적인 유지를 이룰 수 있다.
넷째, 압축공기저장탱크와 호흡기의 사이에 연결되는 공기저장탱크와 정압기의 구성을 통하여 압축공기저장탱크와 호흡기가 분리되는 경우에도 작업자가 공기저장탱크를 이용하여 지속적인 호흡을 이룰 수 있다.
다섯째, 압축공기저장탱크와 호흡기의 사이에 연결되는 공기저장탱크와 정압기의 구성을 통하여 압축공기저장탱크와 호흡기를 분리하는 경우에도 용이한 사용을 이룰 수 있어, 작업자의 신체 움직임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작업을 이룰 수 있고, 호흡기 사용으로 인하여 불필요한 작업시간과 작업비용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여섯째, 분리, 결합이 가능한 구성을 통하여 사용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손상된 부위만을 교체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고, 이에 따른 사용상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어, 높은 경제적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공기 호흡기가 결합 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공기 호흡기가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산업용 공기 호흡기의 호흡기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산업용 공기 호흡기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산업용 공기 호흡기의 호흡기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공기 호흡기의 분기관에서 압축공기저장탱크와 에어공구가 분리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호흡기의 배기공에 공기안내구가 결합되어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압축공기커넥터(11a)가 구비된 압축공기이송관(11)이 단부에 구비된 압축공기저장탱크(10); 상기 압축공기커넥터(11a)와 탈착 결합되는 제1커넥터(21a)가 단부에 구비된 제1분기이송관(21)이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1분기이송관(21)과 대향되는 타단에는 제2분기이송관(22)이 구비되며, 상면에는 제2커넥터(23)가 구비된 분기관(20); 상기 제2커넥터(23)에 탈착 결합되는 분무커넥터(31a)가 단부에 구비된 에어이송관(31)과, 상기 에어이송관(31)과 연결되어 상기 압축공기저장탱크(10)의 압축된 공기를 공급받는 분사기(32)로 구성된 에어공구(30); 상기 제2분기이송관(22)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분기관(20)을 통하여 분기되는 압축공기저장탱크(10)의 압축된 공기를 공급받아 감압시키는 정압기(40); 상기 정압기(40)의 일단에 호흡관(51)으로 연결되어 상기 정압기(40)를 통하여 감압이 이루어진 공기를 공급받는 호흡기(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압축공기저장탱크(10)는 에어콤프레셔(미도시)와 연결되어 에어콤프레셔의 공기를 일정 압력으로 저장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또한, 이러한 압축공기저장탱크(10)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압축공기이송관(11)이 단부에 구비되어,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분기관(20)과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기관(20)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공기저장탱크(10)의 압축공기이송관(11)과 연결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압축공기이송관(11)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에어공구(30)와 정압기(40)의 방향으로 분기되어 안내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분기관(20)은 구비된 제1커넥터(21a)를 통하여 상기 압축공기커넥터(11a)와 탈착 결합되는 것으로, 이러한 구성은, 도 1 및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압축공기커넥터(11a)와 제1커넥터(21a)가 결합을 이루는 경우, 상기 압축공기관(11)에서 상기 제1커넥터(21a)와 연결된 제1분기이송관(21)의 방향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압축공기커넥터(11a)와 제1커넥터(21a)의 결합시에만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압축공기커넥터(11a)와 제1커넥터(21a)를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제1분기이송관(21)의 방향에서 압축공기송관(11)의 방향으로는 공기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는 즉,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분기관(20)의 제1커넥터(21a)와 압축공기저장탱크(10)의 압축공기커넥터(11a)를 분리시키는 경우에도, 상기 제1분기이송관(21)의 방향에서 압축공기이송관(11)의 방향으로 공기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압축공기저장탱크(10)와 분기관(20)을 분리한 상태에서도 용이한 사용을 이룰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분기이송관(21)은 상기 제1커넥터(21a)가 단부에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제1분기이송관(21)과 대향 되는 타단에는 제2분기이송관(22)이 구비되어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정압기(40)가 상기 제2분기이송관(22)과 연결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분기관(20)의 상면에 구비된 제2커넥터(23)는 도 1, 도 3,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에어공구(30)의 분무커넥터(31a)와 연결되게 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은, 상기 압축공기저장탱크(10)를 통하여 분기관(20)의 방향으로 전달되는 공기가 상기 제2분기이송관(22)을 통하여, 정압기(40)의 방향으로 이송되고, 상기 제2커넥터(23)의 구성을 통하여 에어공구(30)의 방향으로 이송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에어공구(30)는 도 1, 도 3,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2커넥터(23)에 분무커넥터(31a)의 구성을 통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분무커넥터(31a)와 연결된 에어이송관(31)의 단부에는 분사기(32)가 구비되어 구성됨으로써, 작업자가 분사기(32)를 조절하여 에어이송관(31)으로 공급되는 압축된 공기를 분사할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에어공구는 공기를 사용하여 작동되는 그라인더, 에어 분무기, 폐인트 분사기 등과 같이, 작업시 분진과 유해물질을 다량 발생시키는 장비 등을 말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정압기(40)는 상기 제2분기이송관(22)의 단부에 연결되게 구성되어 상기 분기관(20)으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저장탱크(10)의 공기를 공급받아 감압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즉, 상기 압축공기저장탱크(10)의 압축된 공기가 분기관(20)을 통하여 정압기(40)의 방향으로 전달되는 경우, 이러한 공기를 정압기(40)의 내측에서 감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정압기(40)의 구성을 통하여 압축된 공기를 감압시킴으로써, 상기 정압기(40)의 일단에 호흡관(51)을 통하여 연결된 호흡기(50)로 공기를 전달하는 경우, 작업자가 감압된 공기를 안정적으로 흡입하며 호흡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커넥터(23)와 분무커넥터(31a)가 결합을 이루는 경우, 상기 제2커넥터(23)에서 에어이송관(31)의 방향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제2커넥터(23)와 분무커텍터(31a)의 결합시에만 이송이 이루어지고, 상기 분무커넥터(31a)의 방향으로 공급된 공기는 제2커넥터(23)의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구성됨으로써, 도 1,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가 에어공구(30)를 통하여 작업을 이룬 후에, 상기 압축공기저장탱크(10)와 분기관(20)을 분리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에어공구(30)의 방향에서 분기관(20)의 방향으로 공기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정압기(40)의 감압된 공기가 호흡기(50)의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작업자가 상기 에어공구(3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압축공기저장탱크(10)의 압축된 공기를 상기 분기관(20)을 통하여 전달받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압축공기저장탱크(10)의 압축된 공기가 분기관(20)을 통하여 정압기(40)의 방향으로 전달되는 경우에는 정압기(40)의 감압된 공기를 호흡기(50)의 방향으로 용이하게 전달하여 작업자의 호흡을 도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 도 3,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2분기이송관(22)에는 상기 분기관(20)을 통하여 정압기(40)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압축공기저장탱크(10)의 압축된 공기를 저장하는 공기저장탱크(60)가 더 설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공기저장탱크(60)는 상기 제2분기이송관(2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정압기(40)와 연결되는 정압관(61a)이 구비된 본체(61)와, 상기 본체(61)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분기이송관(22)과 정압관(61a)의 공기 흐름을 조절하는 조절밸브(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분기관(20)을 통하여 정압기(40)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압축된 공기를 상기 공기저장탱크(60)에 저장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도 6에서와 같이, 압축공기저장탱크(10)와 분기관(20)의 결합을 분리하는 경우에도 작업자가 공기저장탱크(60)에 저장된 공기를 이용하여 용이한 호흡을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압축공기저장탱크(10)를 작업을 이루고자 하는 장소로 운반하며 사용을 이루지 않고도 편리한 호흡을 유지할 수 있어, 호흡기의 사용으로 인하여 작업자의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호흡기(50)는 도 3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호흡관(51)이 연결되는 연결공(52)과, 상면 테두리 부위에 복수개 구비되는 배기공(53)과, 상기 배기공(53)의 외측을 감싸도록 일단이 상기 호흡기(50)에 결합되어 상기 배기공(53)을 통하여 이송되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배기공(53)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복수개의 차단판(5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배기공(53)은 호흡기(50)의 상부 방향으로 호흡기(5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게 형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은, 상기 정압기(40)에 연결되는 호흡관(51)이 상기 연결공(52)에 결합되게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연결공(52)으로 유입이 이루어지는 공기를 통하여 작업자가 호흡을 이루는 경우에도 작업자가 내뱉는 공기가 상기 배기공(53)을 통하여 호흡기(50)의 외부로 배출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배기공(53)을 통하여 호흡기(51)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배기공(53)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복수개의 차단판(54) 구성을 통하여, 개폐되게 구성됨으로써, 작업자가 숨을 내뱉는 경우에는 상기 배기공(53)을 통하여 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지고, 작업자가 숨을 내뱉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배기공(53)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전한 사용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가스, 증기, 분진이 발생하는 장소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이루는 경우에도 작업자의 호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면서도, 호흡기(50)의 내측으로 작업장의 가스, 증기, 분진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전한 사용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기공(53)에는 상기 호흡기(50) 내측의 공기를 작업자의 눈 방향으로 안내하는 공기안내구(70)가 더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공기안내구(70)는 상기 배기공(53)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관(71a)이 하단에 구비되고, 상면에는 복수개의 체결공(71b)이 형성된 삽입몸체(71)와, 상기 체결공(71b)에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배출관(7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호흡기(50) 내측의 공기가 상기 배기공(53)을 통하여 배출되는 경우, 상기 공기안내구(70)를 통하여 작업자의 눈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는, 호흡기(50) 내측의 공기가 배기공(53)을 통하여 배출되는 경우, 상기 삽입몸체(71)의 삽입관(71a)을 통하여 배출관(72)으로 안내됨으로써, 상기 배출관(72)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작업자의 눈 방향으로 배출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가스, 증기, 분진 등이 발생 되는 장소에서 작업을 이루는 작업자가 보호경(미도시)을 착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호흡기(50)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보호경(미도시)의 방향으로 분사되게 구성되어, 보호경(미도시)의 렌즈(미도시)가 오염물질로 뒤덮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출관(72)은 상기 삽입몸체(71)에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작업을 이루고자 하는 작업장의 환경에 따라 작업자가 상기 배출관(72)의 방향을 조절하며 용이한 사용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더하여, 도시한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호흡기(50)의 내측면에는 작업자의 얼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연결공(52)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작업자의 얼굴 테두리 부위로 분사하는 공기분사마스크(80)가 더 설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공기분사마스크(80)는 상기 연결공(5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측 중심 부위에는 호흡공(81a)이 형성되고, 상기 호흡공(81a)을 중심으로 한 테두리 부위에는 배출공(81b)이 형성된 끼움구(81)와, 작업자의 얼굴을 감싸도록 상기 끼움구(81)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상기 호흡공(81a)과 연통 되는 가이드공(82a)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82a)에는 복수개의 배출공(82a-1)이 형성되며, 상기 배기공(53)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복수개의 통공(82b)이 형성된 마스크(82)와, 상기 호흡공(81a)의 내측에 탈착 결합되는 걸림망(8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호흡기(50)의 내측으로 공기분사마스크(80)를 더 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호흡기(50)를 통하여 작업자가 호흡을 이루는 경우에도, 상기 호흡기(50)의 연결공(52)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끼움구(81)의 배출공(81b)으로 안내된 후, 마스크(82)의 가이드공(82a)으로 안내되며 배출공(82a-1)으로 분사됨으로써, 호흡기(50)를 통하여 작업자가 용이한 호흡을 이루면서도, 상기 연결공(52)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작업자의 얼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마스크(82)의 외측 테두리 부위에서 배출되어, 작업자가 착용한 호흡기의 내측으로 작업장의 가스, 증기, 분진 등이 유입되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끼움구(81)의 호흡공(81a) 내측으로 걸림망(83)이 더 구비되어 구성됨으로써, 호흡기(50)의 연결공(52a)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에 불순물이 있는 경우에도 상기 걸림망(83)의 구성을 통하여 호흡기(5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작업자의 호흡을 더욱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압축공기저장탱크 11: 압축공기이송관
11a: 압축공기커넥터 20: 분기관
21: 제1분기이송관 21a: 제1커넥터
22: 제2분기이송관 23: 제2커넥터
30: 에어공구 31: 에어이송관
31a: 분무커넥터 32: 분사기
40: 정압기 50: 호흡기
51: 호흡관 52: 연결공
53: 배기공 54: 차단판
60: 공기저장탱크 61: 본체
61a: 정압관 62: 조절밸브
70: 공기안내구 71: 삽입몸체
71a: 삽입관 71b: 체결공
72: 배출관 80: 공기분사마스크
81: 끼움구 81a: 호흡공
81b: 배출공 82: 마스크
82a: 가이드공 82a-1: 배출공
82b: 통공 83: 걸림망

Claims (7)

  1. 압축공기커넥터(11a)가 구비된 압축공기이송관(11)이 단부에 구비된 압축공기저장탱크(10);
    상기 압축공기커넥터(11a)와 탈착 결합되는 제1커넥터(21a)가 단부에 구비된 제1분기이송관(21)이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1분기이송관(21)과 대향되는 타단에는 제2분기이송관(22)이 구비되며, 상면에는 제2커넥터(23)가 구비된 분기관(20);
    상기 제2커넥터(23)에 탈착 결합되는 분무커넥터(31a)가 단부에 구비된 에어이송관(31)과, 상기 에어이송관(31)과 연결되어 상기 압축공기저장탱크(10)의 압축된 공기를 공급받는 분사기(32)로 구성된 에어공구(30);
    상기 제2분기이송관(22)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분기관(20)을 통하여 분기되는 압축공기저장탱크(10)의 압축된 공기를 공급받아 감압시키는 정압기(40);
    상기 정압기(40)의 일단에 호흡관(51)으로 연결되어 상기 정압기(40)를 통하여 감압이 이루어진 공기를 공급받는 호흡기(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공기 호흡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기이송관(22)에는
    상기 분기관(20)을 통하여 정압기(40)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압축공기저장탱크(10)의 압축된 공기를 저장하는 공기저장탱크(60)가 더 설치되고,
    상기 공기저장탱크(60)는
    상기 제2분기이송관(2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정압기(40)와 연결되는 정압관(61a)이 구비된 본체(61)와, 상기 본체(61)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분기이송관(22)과 정압관(61a)의 공기 흐름을 조절하는 조절밸브(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공기 호흡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커넥터(11a)와 제1커넥터(21a) 간 결합 시,
    상기 압축공기이송관(11)에서 제1분기이송관(21)의 방향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압축공기커넥터(11a)와 제1커넥터(21a)의 결합시에만 이송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1분기이송관(21)의 방향으로 공급된 공기는 압축공기이송관(11)의 방향으로 재이동이 방지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공기 호흡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23)와 분무커넥터(31a) 간 결합 시,
    상기 제2커넥터(23)에서 에어이송관(31)의 방향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제2커넥터(23)와 분무커넥터(31a)의 결합시에만 이송이 이루어지고, 상기 분무커넥터(31a)의 방향으로 공급된 공기는 제2커넥터(23)의 방향으로 재이동이 방지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공기 호흡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기(50)는
    상기 호흡관(51)이 연결되는 연결공(52)과,
    상면 테두리 부위에 복수개 구비되는 배기공(53)과,
    상기 배기공(53)의 외측을 감싸도록 일단이 상기 호흡기(50)에 결합되어 상기 배기공(53)을 통하여 이송되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배기공(53)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복수개의 차단판(54)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공(53)은 호흡기(50)의 상부 방향으로 호흡기(5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공기 호흡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공(53)에는
    상기 호흡기(50) 내측의 공기를 작업자의 눈 방향으로 안내하는 공기안내구(70)가 더 결합되며,
    상기 공기안내구(70)는
    상기 배기공(53)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관(71a)이 하단에 구비되고, 상면에는 복수개의 체결공(71b)이 형성된 삽입몸체(71)와,
    상기 체결공(71b)에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배출관(7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공기 호흡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기(50)의 내측면에는 작업자의 얼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연결공(52)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작업자의 얼굴 테두리 부위로 분사하는 공기분사마스크(80)가 더 설치되며,
    상기 공기분사마스크(80)는
    상기 연결공(5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측 중심 부위에는 호흡공(81a)이 형성되고, 상기 호흡공(81a)을 중심으로 한 테두리 부위에는 배출공(81b)이 형성된 끼움구(81)와,
    작업자의 얼굴을 감싸도록 상기 끼움구(81)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상기 호흡공(81a)과 연통 되는 가이드공(82a)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82a)에는 복수개의 배출공(82a-1)이 형성되며, 상기 배기공(53)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복수개의 통공(82b)이 형성된 마스크(82)와,
    상기 호흡공(81a)의 내측에 탈착 결합되는 걸림망(8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공기 호흡기.
KR1020200170415A 2020-12-08 2020-12-08 산업용 공기 호흡기 KR102563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415A KR102563151B1 (ko) 2020-12-08 2020-12-08 산업용 공기 호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415A KR102563151B1 (ko) 2020-12-08 2020-12-08 산업용 공기 호흡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014A true KR20220081014A (ko) 2022-06-15
KR102563151B1 KR102563151B1 (ko) 2023-08-04

Family

ID=81987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415A KR102563151B1 (ko) 2020-12-08 2020-12-08 산업용 공기 호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15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61258A1 (en) * 1995-08-23 1997-03-12 Draeger Limited Breathing apparatus
KR200241356Y1 (ko) * 2001-04-23 2001-10-12 이정문 호흡용과 작업용으로 사용되는 에어 분배구.
KR20020022218A (ko) * 2000-09-19 2002-03-27 정동빈 휴대용 호흡장치
KR101968591B1 (ko) * 2017-10-26 2019-04-15 최정일 고성능 공기정화 마스크
KR20200107181A (ko) 2019-03-06 2020-09-16 미노언 주식회사 공기호흡기의 필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61258A1 (en) * 1995-08-23 1997-03-12 Draeger Limited Breathing apparatus
KR20020022218A (ko) * 2000-09-19 2002-03-27 정동빈 휴대용 호흡장치
KR200241356Y1 (ko) * 2001-04-23 2001-10-12 이정문 호흡용과 작업용으로 사용되는 에어 분배구.
KR101968591B1 (ko) * 2017-10-26 2019-04-15 최정일 고성능 공기정화 마스크
KR20200107181A (ko) 2019-03-06 2020-09-16 미노언 주식회사 공기호흡기의 필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3151B1 (ko) 2023-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10242A1 (en) Mask-nebulizer-metered-dose-inhaler assembly
EP2961490B1 (en) Breathing apparatus equipment
US7077126B2 (en) Inhalation therapy mask and device for animals
US4452240A (en) Respiratory protection apparatus
DE60105189T2 (de) Atmungsgerät
US20080053450A1 (en) Patient interface assembly for a breathing assistance system
US20070283951A1 (en) Mask-nebulizer assembly
KR200466807Y1 (ko) 휴대용 산소호흡기
US20080245370A1 (en) Oxygen mask with rebreather bag for use with pulse oxygen delivery system
CN109152900B (zh) 吸气设备
US11324914B2 (en) Percussive ventilation breathing head and accessories
US20210121649A1 (en) Portable rebreathing system with staged addition of oxygen enrichment
KR20220081014A (ko) 산업용 공기 호흡기
CN111617397B (zh) 一种独立便捷更换滤芯自救器
WO2021123168A1 (de) Mundschutzvorrichtung für ein atemschutzsystem
EP1364671B1 (en) Breathing device with nebuliser
EP0631795A1 (en) Regulator for self 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KR101028785B1 (ko) 조임튜브가 구비된 산소호흡기
KR102651183B1 (ko) 소방용 공기 호흡기
EP1611006B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breathing gas to a diver
KR200241356Y1 (ko) 호흡용과 작업용으로 사용되는 에어 분배구.
KR19980043002U (ko) 휴대용 송기마스크
KR100419840B1 (ko) 공기 소모가 없는 공기 호흡기용 레귤레이터의 경보음장치
US20230001241A1 (en) SCBA with Enhanced Emergency Breathing Support System
SU5396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апсюл ции вредных процессов при пульверизационной окраске издел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