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0577A - 에너지 감각을 활용한 명상 가이드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너지 감각을 활용한 명상 가이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0577A
KR20220080577A KR1020200169815A KR20200169815A KR20220080577A KR 20220080577 A KR20220080577 A KR 20220080577A KR 1020200169815 A KR1020200169815 A KR 1020200169815A KR 20200169815 A KR20200169815 A KR 20200169815A KR 20220080577 A KR20220080577 A KR 20220080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tation
maintenance
time
unit
en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8283B1 (ko
Inventor
고민경
김범진
이태호
Original Assignee
고민경
김범진
이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민경, 김범진, 이태호 filed Critical 고민경
Priority to KR1020200169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283B1/ko
Publication of KR20220080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0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syc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감각을 활용한 명상 가이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존의 명상 방법과 다르게 호흡이나 가라앉힘을 통해 마음을 고요하게 하는 명상이 아닌 에너지 감각을 활용한 명상으로 의식에 초점을 두고, 에너지 감각을 유지함으로써 일상생활에서도 명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명상 클래스 카테고리를 통해 에너지 명상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면서 에너지 명상에 대한 이해를 돕고, 명상 카테고리를 통해 명상을 여러 가지 방식으로 직접 경험할 수 있게 해주는데 있다.
일례로, 에너지 감각을 활용한 명상 콘텐츠를 통해 명상에 대한 개념 정보를 제공하는 명상 클래스 실행부; 에너지 감각을 활용한 명상 콘텐츠의 제공을 통해 명상 실습을 위한 명상 실습 실행부; 일상생활에서 사용자의 명상 유지에 대한 일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명상 유지 기록부; 및 상기 명상 유지 기록부를 통해 기록된 일시 정보에 대한 명상 메모를 기록하기 위한 명상 메모 기록부를 포함하는 에너지 감각을 활용한 명상 가이드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에너지 감각을 활용한 명상 가이드 시스템{MEDITATION GUIDE SYSTEM USING ENERGY SENS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에너지 감각을 활용한 명상 가이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명상은 개인이 마음을 운영하거나 훈련 시키거나 정신이 평화로운 생각에 참여할 수 있도록 의식 모드를 유도하는 활동이다. 명상은 종종 마음을 깨끗이 하고, 스트레스를 줄이며, 휴식을 촉진 시키거나, 마음을 훈련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기존의 명상 방법 또는 명상을 가이드 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은 단순하게 생각을 없애거나 통제하는 방식의 적용이 대부분이고, 이는 명상을 하는 사람에게 정확한 효과와 피드백을 주기 어렵다. 
또한, 기존의 명상 방법 또는 명상을 가이드 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은 명상 시간 동안 고요해지거나 생각이 사라지는 등 명상의 효과를 잠깐 동안 경험할지라도 일상생활에서는 그 효과를 계속 지속하기가 어렵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01159호(공개일자: 2020년08월27일) 등록특허공보 제10-1987124호(등록일자: 2019년06월03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존의 명상 방법과 다르게 호흡이나 가라앉힘을 통해 마음을 고요하게 하는 명상이 아닌 에너지 감각을 활용한 명상으로 의식에 초점을 두고, 에너지 감각을 유지함으로써 일상생활에서도 명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명상 클래스 카테고리를 통해 에너지 명상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면서 에너지 명상에 대한 이해를 돕고, 명상 카테고리를 통해 명상을 여러 가지 방식으로 직접 경험할 수 있게 해주는 에너지 감각을 활용한 명상 가이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감각을 활용한 명상 가이드 시스템은, 에너지 감각을 활용한 명상 콘텐츠를 통해 명상에 대한 개념 정보를 제공하는 명상 클래스 실행부; 에너지 감각을 활용한 명상 콘텐츠의 제공을 통해 명상 실습을 위한 명상 실습 실행부; 일상생활에서 사용자의 명상 유지에 대한 일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명상 유지 기록부; 및 상기 명상 유지 기록부를 통해 기록된 일시 정보에 대한 명상 메모를 기록하기 위한 명상 메모 기록부를 포함한다.
또한, 회원 가입 절차를 진행하고, 회원 가입된 사용자에 대한 로그인 정보를 입력 받아 로그인을 관리하는 로그인 관리부; 및 확대 및 축소 가능한 3차원의 지구본 그래픽으로 표현되는 세계지도 상에 상기 로그인 관리부를 통해 로그인되어 명상 유지 중으로 체크된 사용자를 점등된 도트(dot) 형태로 표시하여 실시간 전세계 명상 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글로벌 명상 현황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글로벌 명상 현황 정보 제공부는, 국가 별로 명상을 수행 중인 접속자들의 명상 평균 유지 시간을 실시간 계산하고, 계산된 국가 별 실시간 명상 평균 유지 시간에 따라 국가 별로 상기 도트의 밝기, 점멸주기, 채도를 차등적으로 조절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명상 클래스 실행부 및 상기 명상 실습 실행부는, 동영상, 오디오, 이미지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명상 콘텐츠 리스트를 카테고리 별로 제공하고, 즐겨찾기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명상 콘텐츠를 별도의 리스트로 저장 및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실제 명상 유지 시간을 체크하기 위하여 일정 시간 간격으로 알람 신호를 출력하되, 방해 금지 일시 설정하여 설정된 방해 금지 일시를 제외한 시간 동안 상기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명상 유지 체크 알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명상 유지 기록부는, 사용자로부터 명상을 유지한 일자 및 미리 설정된 시간 범위로 구분된 시간대를 각각 선택 받는 명상 일시 정보 체크부; 상기 명상 일시 정보 체크부를 통해 선택된 시간대 체크 항목에 대한 명상 유지 시간을 기록하되, 미리 설정된 분 범위 단위의 시간정보를 업/다운 설정하는 기록하는 명상 유지 시간 기록부; 상기 명상 일시 정보 체크부를 통해 선택된 시간대 체크 항목에 대한 명상 콘텐츠 카테고리를 기록하는 명상 실습 카테고리 기록부; 상기 명상 일시 정보 체크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시간 범위 내 상기 명상 유지 시간 기록부를 통해 기록된 명상 유지 시간이 차지하는 비율과, 상기 명상 실습 카테고리 기록부를 통해 기록된 명상 콘텐츠 카테고리 정보를 각각 표시하는 명상 유지 정보 표시부; 및 상기 명상 일시 정보 체크부를 통해 선택된 일자 또는 시간대 체크 항목에 대한 명상 유지 방해 요인을 선택 받아 기록하는 명상 유지 방해 요인 기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너지 감각을 활용한 명상 가이드 시스템은, 상기 명상 유지 시간 기록부를 통해 기록된 명상 유지 시간을 수집하고, 수집된 명상 유지 시간을 기초로 일정 기간 단위로 통계 분석하여 명상 일일 유지 비율 정보를 제공하는 명상 유지 기록 통계부; 및 상기 명상 유지 방해 요인 기록부를 통해 기록된 명상 유지 방해 요인을 수집하고, 수집된 명상 유지 방해 요인에 대한 순위와 비중 정보를 계산하여 제공하는 명상 유지 방해 요인 통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통신단말에 위젯 형태로 설치되고, 위젯 실행 선택 시 현재 일시를 기준으로 명상 유지 시간을 카운팅하고, 위젯 종료 선택 시 카운팅 된 명상 유지 시간을 상기 명상 유지 기록부에 자동으로 기록하는 명상 유지 시간 자동 기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명상 유지 시간 자동 기록부의 실행 시 휴대통신단말의 녹음 기능을 활성화 시켜 명상 유지 시간 동안 입력되는 소리를 녹음하여 녹음 파일을 생성하는 명상 녹음 기능 실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명상 녹음 기능 실행부를 통해 생성되는 녹음 파일을 기초로 데시벨(decibel)을 측정하고, 측정된 데시벨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데시벨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명상 유지 시간 자동 기록부를 통한 명상 유지 시간의 카운팅을 일시 중지한 후 사용자의 계속 진행 요청 시에만 명상 유지 시간의 카운팅을 재개하는 명상 소음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명상 유지 시간 자동 기록부의 실행 중 휴대통신단말의 통신기능을 차단하여 사용자의 명상 집중을 돕기 위한 명상 매너 모드 실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명상 방법과 다르게 호흡이나 가라앉힘을 통해 마음을 고요하게 하는 명상이 아닌 에너지 감각을 활용한 명상으로 의식에 초점을 두고, 에너지 감각을 유지함으로써 일상생활에서도 명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명상 클래스 카테고리를 통해 에너지 명상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면서 에너지 명상에 대한 이해를 돕고, 명상 카테고리를 통해 명상을 여러 가지 방식으로 직접 경험할 수 있게 해주는 에너지 감각을 활용한 명상 가이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감각을 활용한 명상 가이드 시스템에 대한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감각을 활용한 명상 가이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그인 관리부의 실행 화면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명상 클래스 실행부의 실행 화면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명상 실습 실행부의 실행 화면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명상 유지 기록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명상 유지 기록부의 실행 화면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명상 메모 기록부의 실행 화면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명상 현황 제공부의 실행 화면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명상 유지 체크 알람부의 실행 화면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명상 유지 기록 통계부와 명상 방해 요인 통계부의 실행 화면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명상 유지 시간 자동 기록부와 명상 녹음 기능 실행부의 실행 화면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명상 소음 관리부의 실행 화면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명상 매너 모드 실행부의 실행 화면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감각을 활용한 명상 가이드 시스템에 대한 개요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감각을 활용한 명상 가이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그인 관리부의 실행 화면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명상 클래스 실행부의 실행 화면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명상 실습 실행부의 실행 화면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명상 유지 기록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명상 유지 기록부의 실행 화면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명상 메모 기록부의 실행 화면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명상 현황 제공부의 실행 화면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명상 유지 체크 알람부의 실행 화면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명상 유지 기록 통계부와 명상 방해 요인 통계부의 실행 화면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명상 유지 시간 자동 기록부와 명상 녹음 기능 실행부의 실행 화면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명상 소음 관리부의 실행 화면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명상 매너 모드 실행부의 실행 화면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감각을 활용한 명상 가이드 시스템(1000)은 로그인 관리부(101), 명상 클래스 실행부(102), 명상 실습 실행부(103), 명상 유지 기록부(104), 명상 메모 기록부(105), 글로벌 명상 현황 제공부(106), 명상 유지 체크 알람부(107), 명상 유지 기록 통계부(108), 명상 방해 요인 통계부(109), 명상 유지 시간 자동 기록부(110), 명상 녹음 기능 실행부(111), 명상 소음 관리부(112) 및 명상 매너 모드 실행부(11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감각을 활용한 명상 가이드 시스템(1000)은 사용자의 휴대통신단말(10)에 설치되는 명상 가이드 어플리케이션과 관리서버(20)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통신단말(1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전자북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네비게이션(Navigation) 디바이스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휴대통신단말(10)과 관리서버(20) 간은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넷 네트워크의 유선 통신망의 일 예로는,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한다. 또한, 무선 통신망의 일 예로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관리서버(20)는, 하드웨어적으로 통상적인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동작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로그인 관리부(101)는, 회원 가입 절차를 진행하고, 회원 가입된 사용자에 대한 로그인 정보를 입력 받아 로그인을 관리하며, 로그아웃 또한 관리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명상 가이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한 후 최초 실행 시 로그인, 회원가입, 비밀번호찾기 등을 위한 첫 화면이 표시될 수 있고, 이때, 로그인 버튼을 선택하면, 이메일 주소(ID로 사용됨)와 비밀번호를 입력 받을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으며, 회원가입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닉네임, 이메일, 비밀번호 등의 로그인 정보를 인증(이메일 형식 파악 및 중복 체크) 및 등록하여 회원으로 가입할 수 있다. 회원가입 후 로그인 정보는 자동 저장되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으며, 자동 저장 또는 자동 실행 기능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 로그인 정보를 직접 입력하여 로그인 할 수 있다. 비밀번호 재설정 시 회원가입 시 등록된 이메일을 입력한 후 해당 이메일에서 새로운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로그인 관리부(101)를 통한 로그인 후에는 가입한 닉네임과 간단한 문구가 표시되며, 해당 문구는 관리서버(20)에서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여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명상 클래스 실행부(102)는, 에너지 감각을 활용한 명상 콘텐츠를 통해 명상에 대한 개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명상 클래스 실행부(10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 오디오, 이미지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명상 콘텐츠 리스트를 카테고리 별로 제공하고, 즐겨찾기 기능('좋아요'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명상 콘텐츠를 별도의 리스트로 저장 및 제공할 수 있으며, 명상 클래스를 위한 콘텐츠는 주 단위로 업로드되며, 업로드된 콘텐츠에 대하여 "NEW" 아이콘이 표시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사라질 수 있다.
상기 명상 실습 실행부(103)는, 에너지 감각을 활용한 명상 콘텐츠의 제공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명상을 실습할 수 있도록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명상 실습 실행부(10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 오디오, 이미지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명상 콘텐츠 리스트를 카테고리 별로 제공하고, 즐겨찾기 기능('좋아요'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명상 콘텐츠를 별도의 리스트로 저장 및 제공할 수 있으며, 명상 클래스를 위한 콘텐츠는 주 단위로 업로드되며, 업로드된 콘텐츠에 대하여 "NEW" 아이콘이 표시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사라질 수 있다.
상기 명상 유지 기록부(104)는, 일상생활에서 사용자의 명상 유지에 대한 일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술한 명상 실습 실행부(103)를 통한 명상 실습 후 일상생활에서도 명상을 실시할 수 있으며, 명상 유지와 관련된 정보들을 다이어리와 같은 형식으로 매일 매일 기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명상 유지 기록부(10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상 일시 정보 체크부(104a), 명상 유지 시간 기록부(104b), 명상 실습 카테고리 기록부(104c), 명상 유지 정보 표시부(104d) 및 명상 유지 방해 요인 기록부(104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상 일시 정보 체크부(104a)는, 사용자로부터 명상을 유지한 일자 및 미리 설정된 시간 범위로 구분된 시간대를 각각 선택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20.03.13(금)'에 대한 24시간을 1시간 단위로 구분한 시간대가 일렬로 표시되고, 화면 상부 우측에 시계 표시를 선택하면 각 시간대에 대하여 체크할 수 있는 항목이 표시되는데, 각 시간대를 선택하면 명상을 유지 시간으로서 제외한 시간이 선택될 수 있으며, 각 시간대 설정(명상 유지 제외 시간 설정)이 완료되면 다시 수정하기 전 디폴트 값이 적용된 화면으로 돌아간다. 물론, 시간대 체크 항목이 명상 유지 시간으로서 선택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시간대 체크 항목이 명상 유지 시간으로서 선택되는 방식을 적용하여 설명한다.
상기 명상 유지 시간 기록부(104b)는, 명상 일시 정보 체크부(104a)를 통해 선택된 시간대 체크 항목에 대한 명상 유지 시간을 기록하되, 미리 설정된 분 범위 단위의 시간정보를 업/다운 설정하는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20.03.13(금)', "am 08:00"의 시간대에 명상을 하였다면, 해당 시간영역 아이콘을 선택한 후 0 내지 60분 사이 중 어느 정도로 명상을 유지하였는지 "+5분"버튼과 "-5분"버튼을 선택하여 시간을 더하거나 빼서 적절한 시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가령, "+5"분을 6번 선택한 후 "-5분"을 1번 선택하면 '2020.03.13(금)', "am 08:00"의 시간대에서 총 "25분"의 명상 유지 시간이 기록될 수 있다. 한편, 명상 유지 기록을 위한 날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캘린더를 이용하여 선택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방법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법으로 명상 유지 기록을 위한 날짜, 시간 등을 선택하여 기록할 수 있다.
상기 명상 실습 카테고리 기록부(104c)는, 명상 일시 정보 체크부(104a)를 통해 선택된 시간대 체크 항목에 대한 명상 콘텐츠 카테고리를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기록의 카테고리에서 "am 08:00" 시간대 말단 부분에 동그라미 점이 표시될 수 있으며, 해당 시간대에 동그라미 점이 표시된 것은 명상 카테고리를 기입했다는 표시가 되며, 반대로 특정 시간대에 동그라미 점이 표시되지 않은 경우 해당 시간대에 명상 카테고리를 기입하지 않았다는 것이 된다.
상기 명상 유지 정보 표시부(104d)는, 명상 일시 정보 체크부(104a)를 통해 미리 설정된 시간 범위 내 명상 유지 시간 기록부(104b)를 통해 기록된 명상 유지 시간이 차지하는 비율과, 명상 실습 카테고리 기록부(104c)를 통해 기록된 명상 콘텐츠 카테고리 정보를 각각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상 유지 시간이 차지하는 비율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20.03.13(금)', "am 08:00"의 시간대에서 총 "25분"의 명상 유지 시간이 기록되는 경우, 기록된 명상 유지 시간은 해당 시간대 아이콘에서 "60분" 중 "25분"이 차지하는 막대그래프 또는 게이지로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명상 콘텐츠 카테고리 정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기록의 카테고리에서 "am 08:00" 시간대 말단 부분에 동그라미 점이 표시될 수 있으며, 해당 시간대에 동그라미 점이 표시된 것은 명상 카테고리를 기입했다는 표시가 되며, 반대로 특정 시간대에 동그라미 점이 표시되지 않은 경우 해당 시간대에 명상 카테고리를 기입하지 않았다는 것이 된다.
상기 명상 유지 방해 요인 기록부(104e)는, 명상 일시 정보 체크부(104a)를 통해 선택된 일자 또는 시간대 체크 항목에 대한 명상 유지 방해 요인을 선택 받아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일자와 시간대 명상 유지가 잘 되지 않았다면, 명상 유지가 잘 안된 이유 즉 방해요인이 무엇인지, 제시된 다양한 방해요인 아이콘을 선택하여 기록할 수 있으며, 직접 입력도 가능하다.
상기 명상 메모 기록부(105)는, 명상 유지 기록부(104)를 통해 기록된 일시 정보에 대한 명상 메모를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하는 날짜 영역을 선택하면 메모 작성 페이지가 열리게 되는데, 해당 메모 작성 페이지를 통해 명상과 관련된 사용자의 메모 내용을 자유롭게 기입할 수 있으며, 기입 완료 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날짜에 명상에 관한 메모가 다이어리 방식으로 기록될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난 후에도 해당 날짜 별 메모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된 명상 메모(명상 기록)들은 pdf 또는 텍스트 파일 등의 형태로 관리서버(20)로 보내어 외부에서 동일하게 저장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외부에 저장된 명상 메모 기록들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접속 시 언제든지 확인 가능하다.
상기 글로벌 명상 현황 제공부(106)는, 확대 및 축소 가능한 3차원의 지구본 그래픽으로 표현되는 세계지도 상에 로그인 관리부(101)를 통해 로그인되어 명상 유지 중으로 체크된 사용자를 점등된 도트(dot) 형태로 표시하여 실시간 전세계 명상 현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전세계인을 참가자로 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일정 시간을 정해 놓고 다 같이 명상을 하여 에너지적인 공명을 하고자 하는 구성요소로 명상을 위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한 참가자가 지구본 형태의 그래픽 상에 표시함으로써 전세계적으로 함께하는 명상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글로벌 명상 현황 정보 제공부(106)는, 국가 별로 명상을 수행 중인 접속자들의 명상 평균 유지 시간을 실시간으로 계산하고, 계산된 국가 별 실시간 명상 평균 유지 시간에 따라 국가 별로 상기 도트의 밝기, 점멸주기, 채도를 차등적으로 조절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일자, 특정시간에 명상을 시작한다고 공지한 후, 한국, 미국, 독일, 브라질이 글로벌 명상에 참가하게 되는 경우, 각 국의 참가 인원수를 파악하고, 각 국가 별 참가자가 명상을 유지한 시간을 실시간 취합해 평균을 계산하고, 그 결과 값이 다른 국가보다 상대적으로 점차 증가하는 경우 참가자를 나타내는 도트의 색상 밝기를 점차 밝게 조절하고, 다른 국가보다 상대적으로 점차 감소하는 경우 참가자를 나타내는 도트의 색상 밝기를 점차 어둡게 조절할 수 있으며, 점멸주기의 경우 결과 값이 상대적으로 커질수록 빠르게 점멸하도록 조절하고, 채도의 경우 결과 값이 상대적으로 커질수록 점차 진해지도록 조절하여 국가 별 평균 명상 시간에 대한 차등적 표시를 통해 전세계적으로 함께하는 명상뿐만 아니라, 명상에 대한 집중도도 파악해 볼 수 있다.
상기 명상 유지 체크 알람부(107)는, 사용자의 실제 명상 유지 시간을 체크하기 위하여 일정 시간 간격으로 알람 신호를 출력하되, 방해 금지 일시 설정하여 설정된 방해 금지 일시를 제외한 시간 동안 해당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상생활 속에서 명상 유지를 잊지 않도록 방해금지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에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알람 신호를 주어 사용자가 얼마나 명상 유지를 하는지 체크하기 위한 기능으로, 명상 유지 체크 알람 온/오프 버튼을 "ON"시키면, 알람 방식(진동, 벨)과 유지체크 시간 간격에 대한 다양한 설정이 가능하며, 설정된 시간 즉 방해금지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에는 알람을 받을 수 있다.
상기 명상 유지 기록 통계부(108)는, 명상 유지 시간 기록부(104)를 통해 기록된 명상 유지 시간을 수집하고, 수집된 명상 유지 시간을 기초로 일정 기간 단위로 통계 분석하여 명상 일일 유지 비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 별로 명상 유지 비율을 계산하여 막대 그래프로 제공할 수 있으며, 여기서 명상 유지 비율(%)은 (명상 유지 총 시간(분)/60)*(명상 유지 입력 시간 개수)의 수식을 통해 계산될 수 있다. 이러한 명상 유지 비율은 일자 별로 제공함으로써 과거의 명상 유지 비율에 대한 정보도 함께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기간 설정을 통해 설정된 기간 동안 사용자가 평균적으로 명상을 얼마나 유지했는지에 대한 비율(%)도 제공 받을 수 있다.
상기 명상 방해 요인 통계부(109)는, 명상 유지 방해 요인 기록부(104e)를 통해 기록된 명상 유지 방해 요인을 수집하고, 수집된 명상 유지 방해 요인에 대한 순위와 비중 정보를 계산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편, 각 카테고리에 입력된 사항들을 바탕으로 명상의 방해 요인으로 등록된 정보들을 취합하고, 그 순위와 각 방해 요인 별 비중을 산출하여 특정 순위(예를 들어 5위)까지의 정보를 테이블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하루 동안의 유지시간에 대한 평균 값을 계산하여 막대 그래프로 제시할 수 있다.
상기 명상 유지 시간 자동 기록부(110)는, 휴대통신단말(10)에 위젯 형태로 설치되고, 위젯 실행 선택 시 현재 일시를 기준으로 명상 유지 시간을 카운팅하고, 위젯 종료 선택 시 카운팅 된 명상 유지 시간을 명상 유지 기록부(104)에 자동으로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통신단말(10)의 바탕화면에 "ENERGITATION"이라는 위젯 아이콘을 선택하면, 현재 사용자가 명상을 시작함을 알리게 되어, 명상 유지 시간을 자동으로 카운팅하게 되는데, 이때 명상 유지 일자와 시간 정보를 명상 유지 기록부(104)에 함께 기록하여 사용자가 일일이 명상 유지 기록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및 설정하지 않아도 간편하게 필요한 정보들이 입력 및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명상 유지 시간 자동 기록부(110)는 명상 유지 시간 종료 시 해당 위젯을 드래그 아웃, 위젯 종료 버튼 선택, 휴대통신단말(10)을 특정 횟수 흔들기 등 명상 종료를 명령할 수 있는 조작 방법을 설정하여 종료할 수 있다.
상기 명상 녹음 기능 실행부(111)는, 명상 유지 시간 자동 기록부(110)의 실행 시 휴대통신단말(10)의 녹음 기능을 활성화시켜 명상 유지 시간 동안 입력되는 소리를 녹음하여 녹음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녹음 파일은 추후 사용자가 명상에 방해되는 요인을 판단하기 어려울 경우 확인 자료로서 블랙박스와 같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관리 서버(20)에 전송하는 기능을 설정해 놓으면, 해당 녹음 파일에 저장된 사운드 데이터를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분석하여 어떠한 요인인지를 대략적으로 분석해 제공해 줄 수 있다.
상기 명상 소음 관리부(112)는, 명상 녹음 기능 실행부(111)를 통해 생성되는 녹음 파일을 기초로 데시벨(decibel)을 측정하고, 측정된 데시벨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데시벨 값을 초과하는 경우 명상 유지 시간 자동 기록부(110)를 통한 명상 유지 시간의 카운팅을 일시 중지한 후 사용자의 계속 진행 요청 시에만 명상 유지 시간의 카운팅을 재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상 녹음 기능 실행부(111)를 통해 생성되는 녹음 파일을 기초로 데시벨(decibel)을 측정하고, 측정된 데시벨 값이 일정치를 넘어가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 소음이 큽니다 좀 더 조용한 환경에서 명상을 유지하세요"라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때 "계속" 또는 "중지" 버튼을 선택하여 주변 소음에 관계 없이 명상을 계속 유지할 것인지 즉 명상 유지 시간이 계속 카운팅되도록 할 것인지, 아니면 현 시점에서 명상을 중지할 것인지 즉 명상 유지 시간의 카운팅을 중지시킬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다만, 명상 유지 자동 중지 알림 메시지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내 미리 설정된 횟수로 계속해서 출력되는 경우, 명상 유지 시간 카운팅을 강제 종료하고, 명상 유지 시간관 관련된 정보는 사용자 개인이 수동으로 직접 입력하여 기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명상 매너 모드 실행부(113)는, 명상 유지 시간 자동 기록부(110)의 실행 중 휴대통신단말(10)의 통신기능을 차단하여 사용자의 명상 집중을 도울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상 이전 또는 명상 유지 시간 중 통화, 문자, SNS 등에서 알림 메시지 또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명상 유지 시간 중에 외부에서 유입되는 메시지, 콜 신호 등이 일시 차단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명상 유지 시간 자동 기록부(110)를 통해 해당 위젯을 드래그 아웃, 위젯 종료 버튼 선택, 휴대통신단말(10)을 특정 횟수 흔들기 등 명상 종료를 명령할 수 있는 조작 방법을 통해 명상 유지 시간을 종료할 수 있으며, 이때 명상 매너 모드가 자동으로 해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명상 가이드 시스템(1000)은 타 명상과 다르게 호흡이나 가라앉힘을 통해 마음을 고요하게 하는 명상이 아닌 에너지 감각을 활용한 명상으로 의식에 초점을 두는 독특한 명상을 적용하며, 에너지 감각을 유지함으로써 일상생활에서도 명상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또한, 클래스 카테고리를 통해 에너지명상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면서 에너지 명상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도록 하고, 명상 카테고리를 통해 직접 명상을 다양한 방식으로 직접 경험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에너지 명상을 이해하고, 에너지 명상을 직접 경험하면서 실제 느껴지는 감각을 통해 스스로 명상이 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시간대 별 알람과 기록을 통해 명상 시간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지속적으로 명상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는 일정기간 동안의 통계 기록도 가능하기 때문에 시간대 별, 기간 별로 스스로를 피드백 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에너지 감각을 활용한 명상 가이드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에너지 감각을 활용한 명상 가이드 시스템
101: 로그인 관리부
102: 명상 클래스 실행부
103: 명상 실습 실행부
104: 명상 유지 기록부
104a: 명상 일시 정보 체크부
104b: 명상 유지 시간 기록부
104c: 명상 실습 카테고리 기록부
104d: 명상 유지 정보 표시부
104e: 명상 유지 방해 요인 기록부
105: 명상 메모 기록부
106: 글로벌 명상 현황 제공부
107: 명상 유지 체크 알람부
108: 명상 유지 기록 통계부
109: 명상 방해 요인 통계부
110: 명상 유지 시간 자동 기록부
111: 명상 녹음 기능 실행부
112: 명상 소음 관리부
113: 명상 매너 모드 실행부

Claims (6)

  1. 에너지 감각을 활용한 명상 콘텐츠를 통해 명상에 대한 개념 정보를 제공하는 명상 클래스 실행부;
    에너지 감각을 활용한 명상 콘텐츠의 제공을 통해 명상 실습을 위한 명상 실습 실행부;
    일상생활에서 사용자의 명상 유지에 대한 일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명상 유지 기록부; 및
    상기 명상 유지 기록부를 통해 기록된 일시 정보에 대한 명상 메모를 기록하기 위한 명상 메모 기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감각을 활용한 명상 가이드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회원 가입 절차를 진행하고, 회원 가입된 사용자에 대한 로그인 정보를 입력 받아 로그인을 관리하는 로그인 관리부; 및
    확대 및 축소 가능한 3차원의 지구본 그래픽으로 표현되는 세계지도 상에 상기 로그인 관리부를 통해 로그인되어 명상 유지 중으로 체크된 사용자를 점등된 도트(dot) 형태로 표시하여 실시간 전세계 명상 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글로벌 명상 현황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감각을 활용한 명상 가이드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명상 클래스 실행부 및 상기 명상 실습 실행부는,
    동영상, 오디오, 이미지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명상 콘텐츠 리스트를 카테고리 별로 제공하고, 즐겨찾기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명상 콘텐츠를 별도의 리스트로 저장 및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감각을 활용한 명상 가이드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실제 명상 유지 시간을 체크하기 위하여 일정 시간 간격으로 알람 신호를 출력하되, 방해 금지 일시 설정하여 설정된 방해 금지 일시를 제외한 시간 동안 상기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명상 유지 체크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감각을 활용한 명상 가이드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명상 유지 기록부는,
    사용자로부터 명상을 유지한 일자 및 미리 설정된 시간 범위로 구분된 시간대를 각각 선택 받는 명상 일시 정보 체크부;
    상기 명상 일시 정보 체크부를 통해 선택된 시간대 체크 항목에 대한 명상 유지 시간을 기록하되, 미리 설정된 분 범위 단위의 시간정보를 업/다운 설정하는 기록하는 명상 유지 시간 기록부;
    상기 명상 일시 정보 체크부를 통해 선택된 시간대 체크 항목에 대한 명상 콘텐츠 카테고리를 기록하는 명상 실습 카테고리 기록부;
    상기 명상 일시 정보 체크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시간 범위 내 상기 명상 유지 시간 기록부를 통해 기록된 명상 유지 시간이 차지하는 비율과, 상기 명상 실습 카테고리 기록부를 통해 기록된 명상 콘텐츠 카테고리 정보를 각각 표시하는 명상 유지 정보 표시부; 및
    상기 명상 일시 정보 체크부를 통해 선택된 일자 또는 시간대 체크 항목에 대한 명상 유지 방해 요인을 선택 받아 기록하는 명상 유지 방해 요인 기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감각을 활용한 명상 가이드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감각을 활용한 명상 가이드 시스템은,
    상기 명상 유지 시간 기록부를 통해 기록된 명상 유지 시간을 수집하고, 수집된 명상 유지 시간을 기초로 일정 기간 단위로 통계 분석하여 명상 일일 유지 비율 정보를 제공하는 명상 유지 기록 통계부; 및
    상기 명상 유지 방해 요인 기록부를 통해 기록된 명상 유지 방해 요인을 수집하고, 수집된 명상 유지 방해 요인에 대한 순위와 비중 정보를 계산하여 제공하는 명상 유지 방해 요인 통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감각을 활용한 명상 가이드 시스템.
KR1020200169815A 2020-12-07 2020-12-07 에너지 감각을 활용한 명상 가이드 시스템 KR102528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815A KR102528283B1 (ko) 2020-12-07 2020-12-07 에너지 감각을 활용한 명상 가이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815A KR102528283B1 (ko) 2020-12-07 2020-12-07 에너지 감각을 활용한 명상 가이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577A true KR20220080577A (ko) 2022-06-14
KR102528283B1 KR102528283B1 (ko) 2023-05-03

Family

ID=81980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815A KR102528283B1 (ko) 2020-12-07 2020-12-07 에너지 감각을 활용한 명상 가이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28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7617A (ko) * 2011-05-27 2012-12-24 김재림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치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14533401A (ja) * 2011-11-15 2014-12-11 株式会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Amorepacific Corporation ダイエット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50047158A (ko) * 2013-10-24 201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트레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87124B1 (ko) 2018-12-10 2019-06-10 김병전 미술 작품이 배경으로 표출되는 인공지능 기반의 명상 보조 시스템
KR20200101159A (ko) 2019-02-19 2020-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명상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7617A (ko) * 2011-05-27 2012-12-24 김재림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치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14533401A (ja) * 2011-11-15 2014-12-11 株式会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Amorepacific Corporation ダイエット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50047158A (ko) * 2013-10-24 201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트레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87124B1 (ko) 2018-12-10 2019-06-10 김병전 미술 작품이 배경으로 표출되는 인공지능 기반의 명상 보조 시스템
KR20200101159A (ko) 2019-02-19 2020-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명상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8283B1 (ko) 202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yrek et al. Being an accountant, cook, entertainer and teacher—all at the same time: Changes in employees' work and work‐related well‐being during the coronavirus (COVID‐19) pandemic
Harrington et al. Eliciting tech futures among Black young adults: A case study of remote speculative co-design
US8838077B2 (en) Mobile services access management methods and systems
US8472862B2 (en) Method for improving student retention rates
McDevitt-Murphy et al. Use of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and intervention in treatment with adults
Mark et al. Capturing the mood: facebook and face-to-face encounters in the workplace
US20210366298A1 (en) System, method, and applications for monitoring online usage of minors
US20130090949A1 (en) Therapy management,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system
US201301594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able communications
Labhart et al. Capturing drinking and nightlife behaviours and their social and physical context with a smartphone application–investigation of users’ experience and reactivity
Lenstra Yoga at the public library: an exploratory survey of Canadian and American librarians
Deng Laptops and mobile phones at self-study time: Examining the mechanism behind interruption and multitasking
Goodwin et al. Easy Information about research: getting the message out to people with learning disabilities
Oehme et al. Online Virtual Supervised Visita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One State's Experience
KR20220080577A (ko) 에너지 감각을 활용한 명상 가이드 시스템
Stephens et al. Online-computer-mediated interviews and observations: Overcoming challenges and establishing best practices in a human-AI teaming context
US20110300525A1 (en) Workload Management System
Collins Healthy libraries develop healthy communities: Public libraries and their tremendous efforts to support the Affordable Care Act
Oja Unplugging for Inner Peace: Fostering Digital Wellness in an Overconnected World
Lopardo Guardian Perceptions of Cyberbullying at the Junior High Level
Thackara Mobile Phone Use in a Pennsylvania Public High School: Does Policy Inform Practice?
Demaray et al. Prevent cyberbullying: Suggestions for parents
Rozsa et al. Parkland again faces tragedy after two apparent suicides:'Trauma doesn't just go away'
Rozsa et al. Parkland again faces tragedy after two apparent suicides
Labrador The Empty Museum: A Southeast Asian Perspect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