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0515A - Apparatus for purifying and deodorizing ai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urifying and deodorizing 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0515A
KR20220080515A KR1020200169716A KR20200169716A KR20220080515A KR 20220080515 A KR20220080515 A KR 20220080515A KR 1020200169716 A KR1020200169716 A KR 1020200169716A KR 20200169716 A KR20200169716 A KR 20200169716A KR 20220080515 A KR20220080515 A KR 20220080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ine dioxide
storage tank
air
water
dioxid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7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47023B1 (en
Inventor
허승욱
Original Assignee
허승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승욱 filed Critical 허승욱
Priority to KR1020200169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7023B1/en
Publication of KR20220080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05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0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이산화염소 안개층을 형성하여 오염 공기와 이산화염소 접촉 면적을 극대화함으로써 공기 정화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이산화염소수가 저장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 설치되고 외부 오염 공기를 저장탱크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관, 상기 저장탱크 상단에 연통 설치되어 저장탱크로 유입된 오염 공기가 흐르며 내부에는 이산화염소수에 의한 안개층을 형성하여 내부를 지나는 오염 공기를 정화하고 사용된 이산화염소수는 상기 저장탱크로 떨어져 회수되도록 한 필터부,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이산화염소수를 상기 필터부로 공급하기 위한 순환펌프, 상기 필터부 상단에 연결 설치되어 필터부를 거친 공기 중의 이산화염소수 입자를 분리 제거하는 미스트캐처, 상기 미스트캐처에 연결되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관을 통한 외부 공기 흡입력을 제공하는 구동팬을 포함하는 공기 탈취 및 정화 장치를 제공한다.A storage tank in which chlorine dioxide water is stored,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and sucking external polluted air into the storage tank so as to increase the air purification efficiency by maximiz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polluted air and chlorine dioxide by forming a chlorine dioxide mist layer A suction pipe for communication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storage tank, the contaminated air flowing into the storage tank flows, and a mist layer with chlorine dioxide water is formed inside to purify the polluted air passing through, and the used chlorine dioxide water goes to the storage tank A filter unit to be recovered apart, a circulation pump for supplying the chlorine dioxid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to the filter unit, a mist catcher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filter unit to separate and remove chlorine dioxide water particles in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it, the It provides an air deodor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including a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mist catcher, a driving fan installed on the discharge pipe to provide external air suction force through the suction pipe.

Figure P1020200169716
Figure P1020200169716

Description

공기 탈취 및 정화 장치{APPARATUS FOR PURIFYING AND DEODORIZING AIR}Air deodor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APPARATUS FOR PURIFYING AND DEODORIZING AIR}

본 개시 내용은 오염된 공기를 탈취하고 살균 처리하는 공기 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air purification device for deodorizing and sterilizing polluted air.

일반적으로, 하수처리장이나 소각장, 매립장 등의 쓰레기 처리시설, 축산 시설, 분뇨를 비료로 재처리하는 자원화시설 등의 사업장은 대기 오염물질과 더불어 악취를 많이 발생한다.In general, workplaces such as waste treatment facilities such as sewage treatment plants, incinerators, and landfills, livestock facilities, and recycling facilities that reprocess excrement as fertilizers generate a lot of odors along with air pollutants.

이러한 시설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나 오염물질, 균 등으로 인해 주변 환경 오염은 물론 인근 지역 주민의 정신적 육체적 피해와 불편함이 증가하고 있다. 사업장이나 인근 지역의 쾌적한 환경과 주민들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 처리할 필요가 있다.Bad odors, pollutants, and germs generated from these facilities not only pollut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ut also increase the mental and physical damage and inconvenience of local residents. It is necessary to purify and treat polluted air in order to reduce damage to residents and a pleasant environment in the workplace or nearby areas.

이산화염소는 높은 산화력으로 인해 공기의 살균, 소독 및 탈취를 위한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정화 장치의 경우, 통상적으로 이산화염소수를 오염 공기 중에 분무하여 이산화염소수 및 분무시 발생하는 이산화염소 가스와 강제 접촉시킴으로써, 공기 중의 오염물을 살균하거나 악취 물질을 분해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이산화염소수를 이용하는 경우 이산화염소의 소모가 적긴 하나 공기 정화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Chlorine dioxide is widely used for sterilization, disinfection and deodorization of air due to its high oxidizing power. In the case of a purification device using chlorine dioxide, chlorine dioxide water is usually sprayed into polluted air and forcibly brought into contact with chlorine dioxide water and chlorine dioxide gas generated during spraying, thereby sterilizing pollutants in the air or decomposing odorous substances. However, in the conventional case, when chlorine dioxide water is used, although the consumption of chlorine dioxide is small,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ir purification effect is deteriorated.

최근 들어, 생활 환경이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고 법적 규제 강도가 높아지고 있어, 오염 공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도록 기술을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많은 장점을 제공한다.Recently, as interest in living environment or health is increasing and legal regulations are increasing, developing and providing technology to more effectively purify polluted air provides many advantages to users.

본 과제는 이산화염소 안개층을 형성하여 오염 공기와 이산화염소 접촉 면적을 극대화함으로써 공기 정화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된 공기 탈취 및 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ive of this task is to provide an air deodor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capable of increasing air purification efficiency by maximizing the contact area between polluted air and chlorine dioxide by forming a chlorine dioxide mist layer.

본 과제는 공기 오염도 또는 오염 면적 등에 따라 설비의 확장이나 축소가 용이한 공기 탈취 및 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deodor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that facilitates expansion or reduction of faciliti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air pollution or the area of contamination.

본 과제는 오염물 찌꺼기 등에 의한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공기 탈취 및 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deodorizing and purifying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clogging caused by contaminants and the like.

본 구현예의 공기 탈취 및 정화 장치, 이산화염소수가 저장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 설치되고 외부 오염 공기를 저장탱크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관, 상기 저장탱크 상단에 연통 설치되어 저장탱크로 유입된 오염 공기가 흐르며 내부에는 이산화염소수 입자와 이산화염소 가스에 의한 안개층을 형성하여 내부를 지나는 오염 공기를 정화하고 사용된 이산화염소수는 상기 저장탱크로 떨어져 회수되도록 한 필터부,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이산화염소수를 상기 필터부로 공급하기 위한 순환펌프, 상기 필터부 상단에 연결 설치되어 필터부를 거친 공기 중의 이산화염소수 입자를 분리 제거하는 미스트캐처, 상기 미스트캐처에 연결되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관을 통한 외부 공기 흡입력을 제공하는 구동팬을 포함할 수 있다.The air deodor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of this embodiment, a storage tank in which chlorine dioxide water is stored, a suction pipe installed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and for sucking external polluted air into the storage tank, a communication installed at the top of the storage tank and introduced into the storage tank A filter unit in which polluted air flows and a mist layer is formed by chlorine dioxide water particles and chlorine dioxide gas to purify the polluted air passing through the inside, and the used chlorine dioxide water falls to the storage tank and is recovered. A circulation pump for supplying the stored chlorine dioxide water to the filter unit, a mist catcher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filter unit to separate and remove chlorine dioxide water particles in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it, a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mist catcher, installed in the discharge pipe It may include a driving fan that provides external air suction force through the suction pipe.

상기 공기 탈취 및 정화 장치, 상기 저장탱크 내의 이산화염소수 농도를 유지하기 위한 농도유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deodor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ncentration maintaining unit for maintaining the concentration of chlorine dioxide in the storage tank.

상기 농도유지부는 이산화염소를 물에 용해하여 이산화염소수를 생성하는 발생기, 상기 발생기로 공급할 보충수을 저장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와 상기 발생기 사이의 관로 상에 설치되어 보충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펌프, 상기 발생기와 상기 저장탱크 사이에 설치되어 이산화염소수를 저장탱크로 공급하는 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centration maintaining unit is installed on a generator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water by dissolving chlorine dioxide in water, a water tank for storing make-up water to be supplied to the generator, and a supply for supplying make-up water It may include a pump, a supply pipe installed between the generator and the storage tank for supplying chlorine dioxide water to the storage tank.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고 상기 저장탱크 내측 상부에 배치되는 분사관, 상기 분사관에 설치되어 이산화염소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저장탱크 내부에서 오염 공기가 상기 필터부로 유입되기 전에 이산화염소수를 오염 공기에 분사하여 정화 처리할 수 있다.The injection pipe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and disposed on the inner upper part of the storage tank, further comprising an injection nozzle installed on the injection pipe to spray chlorine dioxide water, before the polluted air in the storage tank flows into the filter part It can be purified by spraying chlorine water into the polluted air.

상기 분사관에서 이격 배치되어 상기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이안화염소수를 충돌시켜 이산화염소수를 미입자로 분해하고 이산화염소 가스를 발생시키는 충돌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collision plate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injection pipe to collide the chlorine dioxide water sprayed from the injection nozzle to decompose the chlorine dioxide water into fine particles and generate chlorine dioxide gas.

상기 흡입관은 상기 저장탱크 내부로 연장되고 하단은 막혀 있고, 외주면에는 오염공기가 배출되도록 구멍이 전체적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타공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ction pipe may further include a perforated pipe extending into the storage tank and having a closed lower end, and hol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hroughou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discharge contaminated air.

상기 흡입관에 연결되고 상기 저장탱크 바닥에 배치되어 오염공기를 저장탱크 내부의 이산화염소수로 배출하는 폭기관을 더 포함하여, 오염공기를 이산화염소수로 폭기하여 정화 처리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n aeration pipe connected to the suction pipe and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storage tank for discharging the contaminated air to the chlorine dioxide water inside the storage tank, it can be purified by aeration of the contaminated air with chlorine dioxide water.

상기 필터부는 상하단이 관통 형성되고 하단은 상기 저장탱크에 설치되어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단은 상기 미스트캐처에 연통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파이프, 상기 외부파이프 내면에서 이격되어 내부 중심에 배치되고 축방향으로 연장 설치되고 상기 순환펌프에 연결되어 이산화염소수가 공급되는 내부관, 상기 내부관에 설치되고 이산화염소수를 외부파이프 내부로 분사하여 이산화염소수 입자와 이산화염소 가스에 의한 안개층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스트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part has upper and lower ends formed through, the lower end is installed in the storage tank to extend vertically, and the upper end is at least one external pipe that is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mist catcher,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ipe and is disposed in the inner center and axially At least one extended installed inner tube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pump to supply chlorine dioxide water, and at least one installed in the inner tube and spraying chlorine dioxide water into the outer pipe to form a fog layer by chlorine dioxide water particles and chlorine dioxide gas It may include more than one mist nozzle.

상기 내부관에 설치되고 상기 미스트노즐로 연장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미스트노즐 외측에 배치되고 미스트노즐에서 분사되는 이산화염소수와 충돌되어 이산화염소수를 미립자로 분해하는 충돌봉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support installed in the inner tube and extending to the mist nozzle, a collision rod installed at the tip of the support, disposed outside the mist nozzle and collided with chlorine dioxide water sprayed from the mist nozzle to decompose the chlorine dioxide water into fine particles. may include

상기 충돌봉은 상기 미스트노즐을 향하는 면이 반구 형태를 이룰 수 있다. The collision rod may have a hemispherical shape with a surface facing the mist nozzle.

상기 외부파이프와 상기 내부관 사이 간격은 30mm 내지 350mm로 형성될 수 있다.A distance between the outer pipe and the inner tube may be formed in a range of 30 mm to 350 mm.

상기 미스트노즐은 분사홀 내면에서 외측을 향해 내경이 점차적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되어 이산화염소수를 퍼트리기 위한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 외측에 단이 지도록 내주면이 파여져 형성되어 분사되는 이산화염소수를 미립자로 분해하는 단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ist nozzle is formed so that the inner diameter gradually expand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injection hole toward the outside, and an inclined surface for spreading chlorine dioxide water,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is dug so as to be stepped outside the inclined surface. Decomposes the sprayed chlorine dioxide water into fine particles It may include a stepped portion.

상기 미스트노즐은 상기 내부관 외주면에 분사홀을 지나도록 파여져 형성되고 외부파이프의 축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이산화염소수를 수평방향으로 퍼트리기 위한 수평슬롯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ist nozzle is formed by being dug through the injection hol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pipe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outer pipe may further include a horizontal slot for spreading chlorine dioxide water in a horizontal direction.

이와 같이 본 구현예에 의하면, 수직의 필터관 내부에서 이산화염소를 보다 미세하게 입자화해 이산화염소 입자와 이산화염소 가스를 포함하는 안개층을 형성함으로서, 오염 공기가 안개층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이산화염소의 접촉 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hlorine dioxide is finely granulated inside the vertical filter tube to form a fog layer containing chlorine dioxide particles and chlorine dioxide gas, so that in the process of passing the polluted air through the fog layer, chlorine dioxide is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contact area of

이에, 오염 공기의 정화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purification efficiency of the polluted air.

필터관의 개수나 필터관 내부 이산화염소 분사 노즐의 개수를 조절하는 것으로 오염 공기 처리 용량에 맞춰 설비를 용이하게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By adjusting the number of filter tubes or the number of chlorine dioxide injection nozzles inside the filter tube, the facility can be easily expanded or reduced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the polluted air treatment.

오염 공기 처리 과정에서 오염물 찌꺼기의 발생을 방지하여 노즐 등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오염물 찌꺼기 처리를 위한 폐수정화 작업이 불필요하여 설비가 간단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It prevents the clogging of nozzles by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pollutant residues in the process of treating polluted air, and since waste purification work for pollutant residue treatment is unnecessary, the facility is simple and maintenance is easy.

오염 공기 흡입구를 정화 공기 배출구로, 정화 공기 배출구를 오염 공기 흡입구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It becomes possible to freely change the polluted air inlet to the purified air outlet and the purified air outlet to the polluted air inlet.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탈취 및 정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탈취 및 정화 장치의 저장탱크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의 미스트노즐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deodoriz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2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torage tank of the air deodoriz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4 and 5 are schematic views showing the mist nozzle of the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provided as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ver possible, identical or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below is for the purpose of referring to specific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lso include the plural forms unless the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opposite. The meaning of "comprising," as used herein, specifies a particular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or component, and other specific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component, and/or group. It does not ex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preferr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탈취 및 정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1 shows the configuration of an air deodoriz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공기 탈취 및 정화 장치는 이산화염소수가 저장되는 저장탱크(10), 저장탱크(10)로 오염공기를 유입하는 흡입관(12), 저장탱크(10)로 유입된 오염공기를 정화 처리하는 필터부(20), 저장탱크(10)에 수용된 이산화염소를 필터부(20)로 공급하는 순환펌프(30), 필터부(20) 출측에 설치되는 미스트캐처(40), 미스트캐처(40)에 설치되는 배출관(14) 및 배출관(14)에 설치되는 구동팬(16)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air deodor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storage tank 10 in which chlorine dioxide water is stored, a suction pipe 12 that introduces contaminated air into the storage tank 10, and a storage tank 10. A filter unit 20 for purifying the incoming polluted air, a circulation pump 30 for supplying chlorine dioxide contained in the storage tank 10 to the filter unit 20, and a mist catcher installed on the exit side of the filter unit 20 ( 40), a discharge pipe 14 installed in the mist catcher 40, and a driving fan 16 installed in the discharge pipe 14 may be included.

저장탱크(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한 용기 형태를 이룬다. 저장탱크(10)는 내부에 이산화염소수를 수용할 수 있다. 저장탱크(10)의 크기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The storage tank 10 has a container shape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The storage tank 10 may accommodate chlorine dioxide water therein. The size or shape of the storage tank 10 may be variously modified.

저장탱크(10) 저부에는 오염 공기를 정화 처리하고 남은 이산화염소수를 배출처리하기 위한 드레인관(18)이 마련될 수 있다. 드레인관(18)을 개방하여 저장탱크(10) 내부에 잔류하는 오염수를 제거할 수 있다.A drain pipe 18 for purifying contaminated air and discharging remaining chlorine dioxide water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tank 10 . By opening the drain pipe (18),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contaminated water remaining in the storage tank (10).

흡입관(12)은 오염 공기가 흐르는 관 구조물이다. 본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관(12)이 구비될 수 있다. 흡입관(12)의 크기나 설치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흡입관(12)은 저장탱크(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흡입관(12)의 외측 선단은 오염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를 이룬다. 흡입관(12)은 저장탱크(10)와 연통 설치되어, 흡입관(12)을 통해 유입된 오염 공기는 저장탱크(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The suction pipe 12 is a pipe structure through which the polluted air flows. The device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suction pipe 12 . The size or the number of installations of the suction pipe 12 may be variously modified. The suction pipe 12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tank 10 . The outer tip of the suction pipe 12 forms an inlet through which the polluted air is introduced. The suction pipe 12 is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storage tank 10 , and the contaminated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pipe 12 may be introduced into the storage tank 10 .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관(12)의 선단에는 타공관(13)이 설치되어 저장탱크(10)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타공관(13)은 흡입관(12)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a perforated pipe 13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suction pipe 12 to extend into the storage tank 10 . The perforated pipe 13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ction pipe 12 .

타공관(13)은 저장탱크(10) 내측 상부에 배치되며, 하단은 막혀 있고, 외주면에는 오염공기가 배출되도록 구멍(15)이 전체적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The perforated pipe 13 is disposed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tank 10, the lower end is blocked, and the hole 15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polluted air is discharged.

이에, 흡입관(12)을 통해 유입된 오염 공기는 타공관(13)의 표면에 형성된 구멍(15)을 통해 저장탱크(10) 내부로 배출된다. 타공관(13)의 외주면에 고르게 형성된 구멍(15)을 통해 오염공기가 타공관(13) 외주면 전면에서 배출됨으로써, 오염 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저장탱크(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aminated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pipe 12 is discharged into the storage tank 10 through the hole 15 formed in the surface of the perforated pipe 13 . Contaminated air is discharge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erforated pipe 13 through the holes 15 evenl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erforated pipe 13 , so that the polluted air can be more smoothly introduced into the storage tank 10 .

저장탱크(10) 상단에 필터부(20)가 설치된다. 이에, 저장탱크(10)로 유입된 오염공기는 저장탱크(10) 상부에 연결?? 필터부(20)를 거치면서 정화 처리된다. A filter unit 20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tank 10 . Accordingly, the contaminated air introduced into the storage tank 10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tank 10?? It is pur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20 .

순환펌프(30)은 필터부(20)와 저장탱크(10) 사이를 연결하는 순환관(32) 일측에 설치되어 순환관(32)을 통해 저장탱크(10)의 이산화염소수를 필터부(20)로 가압하여 공급할 수 있다. 순환펌프(30)이 구동되면 저장탱크(10)에 수용된 이산화염소수는 순환관(32)을 통해 필터부(20)로 공급된다. 이에, 필터부(20)는 공급된 이산화염소수로 오염 공기를 정화처리할 수 있다.The circulation pump 3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irculation pipe 32 connecting between the filter unit 20 and the storage tank 10 to filter the chlorine dioxide water in the storage tank 10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32. 20) can be supplied under pressure. When the circulation pump 30 is driven, the chlorine dioxide water accommodated in the storage tank 10 is supplied to the filter unit 20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32 . Accordingly, the filter unit 20 may purify the contaminated air with the supplied chlorine dioxide water.

필터부(20)는 저장탱크(10) 상단에 연통 설치되어 오염 공기가 지나는 통로를 이루며, 내부에는 이산화염소수와 이산화염소 가스에 의한 안개층을 형성하여 내부를 지나는 오염 공기를 정화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필터부(20)는 하단이 저장탱크(10)와 연통 설치되어 있어, 필터부(20)에서 오염공기를 정화처리한 이산화염소수는 필터부(20) 아래로 낙하되어 저장탱크(10)로 회수된다. 필터부(2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filter unit 20 is installed in communication at the top of the storage tank 10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the contaminated air passes, and a mist layer is formed inside by chlorine dioxide water and chlorine dioxide gas to purify the contaminated air passing through. has been The lower end of the filter unit 20 is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storage tank 10 , and the chlorine dioxide water purified from the polluted air in the filter unit 20 falls under the filter unit 20 and goes to the storage tank 10 . is recovered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filter unit 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안개층은 작게 분해된 이산화염소수 입자들과 이산화염소수가 작은 입자로 분해되면서 발생되는 이산화염소 가스가 혼합되어 안개와 같은 형태로 모여있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The fog layer may refer to an area in which small decomposed chlorine dioxide water particles and chlorine dioxide gas generated when chlorine dioxide water is decomposed into small particles are mixed and gathered in the form of a mist.

본 장치는 필터부(20)가 저장탱크(10 상단에 수직으로 연통 설치되어 있어서, 필터부(20)에서 오염공기를 처리한 이산화염소수는 필터부 아래로 흘러내려 바로 저장탱크로 회수된다. 이에, 오염공기 처리 과정에서 오염 찌꺼기 등의 이물질이 발생되지 않으며, 폐수 정화가 불필요하다.In this device, since the filter unit 20 is vert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tank 10, the chlorine dioxide water treated with the contaminated air in the filter unit 20 flows down the filter unit and is immediately recovered to the storage tank. Accordingly, foreign substances such as polluted residues are not generated in the process of treating polluted air, and wastewater purification is unnecessary.

필터부(20)의 상단 출측에는 미스트캐처(40)이 설치될 수 있다. 미스트캐처(40)은 필터부(20)를 통과한 오염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스트 형태의 이산화염소수 입자를 포집하여 분리 제거한다. 미스트캐처(40)에서 포집된 이산화염소수는 필터부(20)를 통해 저장탱크(10)로 회수될 수 있다. 미스트캐처(40)을 거침에 따라 이산화염소수는 모두 회수되고 정화처리된 공기만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 mist catcher 40 may be installed at the upper exit side of the filter unit 20 . The mist catcher 40 collects and removes particles of chlorine dioxide in the form of mist contained in the polluted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it 20 . The chlorine dioxide water collected in the mist catcher 40 may be recovered to the storage tank 10 through the filter unit 20 . By going through the mist catcher 40, all of the chlorine dioxide water is recovered, and only the purified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구동팬(16)은 미스트캐처(40) 출측에 연결된 배출관(14)에 설치되어 오염 공기 흡입력을 제공한다. 이에, 구동팬(16)이 작동되면 미스트캐처(40)과 필터부(20)를 통해 저장탱크(10)에 흡입압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저장탱크(10)에 연결된 흡입관(12)을 통해 외부 오염 공기가 저장탱크(10) 내부로 빨려 들어가게 된다. 구동팬(16)은 배출관(14) 외에 오염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인 흡입관(12)에 설치될 수 있다.The driving fan 16 is installed in the discharge pipe 14 connected to the exit side of the mist catcher 40 to provide suction power for polluted air. Accordingly, when the driving fan 16 is operated, suction pressure is applied to the storage tank 10 through the mist catcher 40 and the filter unit 20 . Accordingly, external polluted air is sucked into the storage tank 10 through the suction pipe 12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10 . The driving fan 16 may be installed in the suction pipe 12 , which is an inlet through which polluted air is introduced, in addition to the discharge pipe 14 .

또 다른 실시예로, 구동팬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본 장치에 대한 오염 공기의 흐름 방향을 반대로 전환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에, 구동팬 위치에서 발생된 오염 공기를 필터부쪽으로 유입시켜 정화 처리한 후 흡입관을 통해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오염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를 정화 처리된 공기의 배출구로 전환하고, 정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관을 오염 공기의 흡입구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장치는 간단하게 구동팬의 회전 방향을 전환하는 것으로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바꿔 어느 방향으로나 모두 오염 공기를 정화 처리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driving fan may be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o reverse the flow direction of the polluted air to the device. Accordingly, the polluted air generated at the driving fan position may be introduced into the filter unit to be purified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suction pip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freely change the inlet through which the polluted air is introduced into the outlet of the purified air and the outlet through which the purified air is discharged into the inlet of the polluted air.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apparatus can purify polluted air in either direction by changing the flow of air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by simply changi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riving fan.

본 실시예의 공기 탈취 및 정화 장치는, 저장탱크(10) 내의 이산화염소수 농도를 유지하기 위한 농도유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deodoriz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oncentration maintaining unit for maintaining the concentration of chlorine dioxide in the storage tank (10).

농도유지부는 이산화염소를 보충수에 희석하여 이산화염소수를 생성하는 발생기(50), 발생기(50)로 공급할 보충수를 저정하는 물탱크(52), 물탱크(52)와 발생기(50) 사이의 관로(53) 상에 설치되어 보충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펌프(54), 발생기(50)와 저장탱크(10) 사이에 설치되어 이산화염소수를 저장탱크(10)로 공급하는 공급관(56)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centration maintenance unit is a generator 50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water by diluting chlorine dioxide with make-up water, a water tank 52 for storing make-up water to be supplied to the generator 50, and between the water tank 52 and the generator 50 A supply pipe 56 installed between the supply pump 54 for supplying make-up water and the generator 50 and the storage tank 10 installed on the pipeline 53 of ) may be included.

발생기(50)는 예를 들어,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하여 공급된 보충수와 접촉시킴으로써 이산화염소수를 제조할 수 있다. 발생기(50) 내부에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하는 가스생성기(55)가 구비될 수 있다. The generator 50 may produce chlorine dioxide water by, for example, generating chlorine dioxide gas and contacting it with the supplied make-up water. A gas generator 55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gas may be provided inside the generator 50 .

공급펌프(54)는 필요시 구동되어 물탱크(52)에 수용된 보충수를 발생기(50)로 공급한다.The supply pump 54 is driven when necessary to supply the make-up water accommodated in the water tank 52 to the generator 50 .

발생기(50)에서 제조된 이산화염소수는 공급관(56)을 통해 저장탱크(10)로 공급되어 기존에 수용되어 있는 이산화염소수와 혼합된다. 이에, 저장탱크(10) 내에 수용된 이산화염소수의 농도를 적절한 값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The chlorine dioxide water produced in the generator 50 is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10 through the supply pipe 56 and mixed with the chlorine dioxide water contained in the existing.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the chlorine dioxide water accommodated in the storage tank 10 to an appropriate value.

따라서, 저장탱크(10) 내부의 이산화염소수 농도를 일정값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어, 농도 저하에 따른 오염 공기 정화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되나.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concentration of chlorine dioxide water in the storage tank 10 above a certain value, and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crease in the efficiency of purifying polluted air due to a decrease in the concentration.

또한, 농도유지부는 저장탱크(10) 내부로 공급되는 이산화염소수를 이용하여 필터부(20)에 앞서 오염 공기를 정화처리하는 구조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centration maintaining unit may have a structure for purifying polluted air prior to the filter unit 20 using chlorine dioxide water supplied into the storage tank 10 .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도유지부는 공급관(56)에 연결되고 저장탱크(10) 내측 상부에 배치되는 분사관(60), 분사관(60)에 설치되어 이산화염소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2, the concentration maintaining unit is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56 and installed in the injection pipe 60 and the injection pipe 60 disposed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tank 10 to spray chlorine dioxide water. It may further include a spray nozzle (62)

이에, 저장탱크(10) 내부에서 오염 공기가 필터부(20)로 유입되기 전에 이산화염소수를 오염 공기에 분사하여 정화 처리할 수 있다.Accordingly, before the contaminated air flows into the filter unit 20 from the inside of the storage tank 10, chlorine dioxide water may be sprayed onto the contaminated air for purification treatment.

분사관(60)은 예를 들어, 링 형태의 폐곡선을 이루어 필터부(20)의 입구 주위를 감싸며 배치될 수 있다. 분사노즐(62)은 복수개가 분사관(60)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분사노즐(62)은 분사관(60)의 향해 이산화염소수를 분사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저장탱크(10) 상부에서 필터부(20)로 유입되는 오염 공기에 효과적으로 이산화염소수를 분사할 수 있다.The injection pipe 60 may be disposed to form a closed curve in the form of a ring and wrap around the inlet of the filter unit 20 . 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62 may be installed at intervals along the injection pipe 60 . In this embodiment, the injection nozzle 62 may be installed to spray the chlorine dioxide water toward the injection pipe (60). Accordingly, chlorine dioxide water can be effectively sprayed into the contaminated air flowing into the filter unit 20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tank 10 .

농도유지부는 분사관(60)에서 이격 배치되어 상기 분사노즐(62)에서 분사되는 이안화염소수를 충돌시키기 위한 충돌판(64)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centration maintain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llision plate 64 for colliding the chlorine dianide water sprayed from the injection nozzle 62 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injection pipe 60 .

충돌판(64)은 분사노즐(62)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분사관(6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분사노즐(62)에서 분사된 이상화염소수는 충돌판(64)에 충돌되면서 미립자로 잘게 분해됨과 더불어 이산화염소 가스를 발생시키게 된다.The collision plate 64 may be fixedly installed in the injection pipe 60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injection nozzle 6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ideal chlorine water sprayed from the injection nozzle 62 collides with the collision plate 64 to be finely decomposed into fine particles and to generate chlorine dioxide gas.

공급관(56)을 통해 저장탱크(10)로 공급된 이산화염소수는 분사관(60)에 설치된 분사노즐(62)을 통해 저장탱크(10) 상부 공간으로 분사된다. 저장탱크(10) 상부로 유입된 오염 공기는 분사노즐(62)에서 분사되어 충돌판(64)에 의해 생성된 이산화염소 입자와 이산화염소 가스에 접촉되면서 1차적으로 정화 처리된 후 필터부(20)로 유입될 수 있다. The chlorine dioxide water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10 through the supply pipe 56 is injected into the upper space of the storage tank 10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62 installed in the injection pipe 60 . The polluted air introduced into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tank 10 is sprayed from the injection nozzle 62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hlorine dioxide particles and chlorine dioxide gas generated by the collision plate 64, and after primary purification treatment, the filter unit 20 ) can be introduced.

이와 같이, 농도유지부를 통해 오염 공기에 이산화염소수를 분사하여 일차 처리한 후 필터부(20)를 거쳐 정화 처리함에 따라 본 장치의 오염 공기 정화 처리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as the chlorine dioxide water is sprayed into the contaminated air through the concentration maintaining unit to perform the primary treatment and then the purified air is processed through the filter unit 20, the efficiency of the treatment of the contaminated air of the present apparatus can be further increased.

본 실시예에서, 분사노즐(62)을 통한 이산화염소수의 분사압력은 발생기(50)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펌프(54)의 공급압력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한 구조 외에, 이산화염소수가 공급되는 공급관(56) 일측에 펌프(도시되지 않음)가 더 설치될 수 있다. 펌프의 구동에 따라 이산화염소수를 분사노즐(62)을 통해 고압으로 분사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injection pressure of the chlorine dioxide water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62 may use the supply pressure of the supply pump 54 for supplying water to the generator (50). In another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above structure, a pump (not shown) may be furthe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pply pipe 56 to which chlorine dioxide water is supplie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pump, chlorine dioxide water may be injected at a high pressure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62 .

분사노즐을 통한 이산화염소수 분사는 분사관으로 공급되는 이산화염소 공급압력이 높은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다. 분사관에 대한 이산화염소 공급 압력이 낮은 경우에는 분사노즐을 통해 이산화염소가 저장탱크로 배출되어 공급만 이루어질 수 있다.The chlorine dioxide water injection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can be made when the chlorine dioxide supply pressure supplied to the injection pipe is high. When the chlorine dioxide supply pressure to the injection pipe is low, chlorine dioxide is discharged to the storage tank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and only supply can be made.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는, 흡입관(12)에 연결되고 저장탱크(10) 바닥에 배치되어 오염공기를 저장탱크(10) 내부의 이산화염소수로 배출하는 폭기관(65)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 the device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ipe 12 and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storage tank 10 to discharge the contaminated air into the chlorine dioxide water inside the storage tank 10. The aeration pipe 65 may further include.

폭기관(65)은 복수의 홀(67)을 형성한 구조로, 홀(67)을 통해 오염 공기가 이산화염소수 내에서 기포 형태로 배출된다. 오염 공기 기포들은 저장탱크(10) 바닥에서부터 상부로 상승하면서 이산화염소수에 접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오염 공기는 이산화염소수에 의해 정화 처리될 수 있다.The aeration pipe 65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67 are formed, and polluted air is discharged in the form of bubbles in the chlorine dioxide water through the holes 67 . Contaminated air bubbles come into contact with the chlorine dioxide water while rising from the bottom of the storage tank 10 to the top. In this process, the polluted air can be purified by chlorine dioxide water.

이와 같이, 폭기관(65)을 통해 오염공기를 먼저 저장탱크(10)에 수용되어 있는 이산화염소수 내에서 폭기하여 이산화염소수와 접촉시킴으로써, 정화 처리 효율을 보다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by first aeration in the chlorine dioxide water accommodated in the storage tank 10 through the aeration pipe 65 and contacting the contaminated air with the chlorine dioxide water, it is possible to further maximize the purification treatment efficiency.

폭기관(65)을 구비한 구조의 경우, 오염 공기의 흡입압을 높일 수 있도록 별도의 흡입팬(도시되지 않음)이 더 구비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tructure including the aeration pipe 65, a separate suction fan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to increase the suction pressure of the polluted air.

구동팬(16)의 작동에 따라 흡입관(12)을 통해 저장탱크(10) 내부로 유입된 오염 공기는 필터부(20)로 유입되어 정화 처리된다. 필터부(20)는 오염 공기를 이산화염소수에 의해 형성된 안개층을 지나도록 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정화 처리할 수 있다.Contaminated air introduced into the storage tank 10 through the suction pipe 12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fan 16 is introduced into the filter unit 20 to be purified. The filter unit 20 allows the polluted air to pass through the mist layer formed by the chlorine dioxide water, so that it can be purified more effectively.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다른 필터부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

필터부(20)는 상하단이 관통 형성되고 하단은 저장탱크(10)에 설치되어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단은 미스트캐처(40)에 연통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파이프(21), 외부파이프(21) 내면에서 이격되어 내부 중심에 배치되고 축방향으로 연장 설치되고 순환펌프(30)에 연결되어 이산화염소수가 공급되는 내부관(22), 내부관(22)에 설치되고 이산화염소수를 외부파이프(21) 내부로 분사하여 안개층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스트노즐(23)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unit 20 has at least one external pipe 21 , an external pipe 21 ,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formed penetratingly, the lower end is installed in the storage tank 10 to extend vertically, and the upper end is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mist catcher 40 . It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is disposed in the inner center, is installed to extend in the axial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pump 30, and is installed in the inner tube 22 and inner tube 22 to which chlorine dioxide water is supplied, and chlorine dioxide water is supplied to the outer pipe 21 ) It may include at least one mist nozzle 23 to form a mist layer by spraying it inside.

본 실시예에서, 필터부(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설비 사양이나 정화 처리 조건 등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개수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필터부(20)의 길이나 내부관(22)에 설치되는 미스트노즐(23)의 개수 역시 설비 사양이나 정화 처리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t least one filter unit 20 may be provided so as to be installed in an appropriate number according to equipment specifications or purification treatment conditions.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filter unit 20 or the number of mist nozzles 23 installed in the inner tube 22 may also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facility specifications or purification treatment conditions.

이에, 필터부(20)의 설치 개수나 길이 등을 달리하는 것으로 장치를 용이하게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필요한 정화 처리 용량에 맞춰 보다 간단하게 설비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device can be easily expanded or reduced by varying the number or length of the filter unit 20 to be installed.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construct a facility more simply according to the required purification processing capacity.

외부파이프(21)은 내부가 비고 상하단이 개방된 원통 형태의 구조물일 수 있다. 외부파이프(21)은 저장탱크(10)와 미스트캐처(40)에 각각 연통 설치된다. 외부파이프(21)의 하단과 상단에는 각각 저장탱크(10)와 미스트캐처(40)의 결합을 위한 플랜지(29)가 설치될 수 있다. The outer pipe 21 may be a cylindrical structure having an empty interior and an open upper and lower ends. The external pipe 21 is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storage tank 10 and the mist catcher 40, respectively. A flange 29 for coupling the storage tank 10 and the mist catcher 40 may be installed at the lower end and upper end of the outer pipe 21 , respectively.

본 실시예에서, 외부파이프(21)와 내부관(22) 사이 간격은 30mm 내지 350mm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pipe 21 and the inner tube 22 may be formed of 30mm to 350mm.

외부파이프(21)와 내부관(22) 사이 간격이 30mm보다 작은 경우에는 미스트노즐(23)과 외부파이프(21) 내면 사이 거리가 너무 짧아, 미스트노즐(23)에서 분사된 이산화염소수가 외부파이프(21) 내면에 충돌되면서 입자화가 안되고 액상을 유지하면서 안개층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는다. 이에, 오염 공기와 이산화염소의 접촉 면적이 줄고 정화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If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pipe 21 and the inner pipe 22 is less than 30 mm, the distance between the mist nozzle 23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ipe 21 is too short, so that chlorine dioxide sprayed from the mist nozzle 23 is (21) As it collides with the inner surface, it does not form particles and the mist layer is not properly formed while maintaining the liquid phase. Accordingly,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polluted air and chlorine dioxide is reduced, and the purification efficiency is reduced.

외부파이프(21)와 내부관(22) 사이 간격이 350mm보다 큰 경우에는 외부파이프(21) 내부 공간의 크기가 너무 커져 이산화염소수의 분사 압력을 높이기 어려우며, 외부파이프와 내부관 사이 거리가 멀어 충돌력이 약해 안개층을 형성하기 어렵다. 이에, 외부파이프(21) 내부에 안개층을 치밀하게 형성하기 어렵고 오염 공기가 이산화염소수 안개층과 효과적으로 접촉되지 않아 정화 효율이 저하된다.If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pipe 21 and the inner tube 22 is greater than 350 mm, the size of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pipe 21 becomes too large, so it is difficult to increase the injection pressure of the chlorine dioxide wate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pipe and the inner tube is long. It is difficult to form a fog layer due to the weak collision force. Accordingly, it is difficult to densely form the fog layer inside the outer pipe 21, and the polluted air does not effectively contact the chlorine dioxide fog layer, so that the purification efficiency is lowered.

내부관(22)은 외부파이프(21) 내면에서 이격되어 내부 중심에 배치되고 축방향으로 연장 설치된다. 내부관(22)의 하단은 순환관(32)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내부관(22)은 외부파이프(21) 하단을 지나 저장탱크(10) 내부로 연장되어 순환관(32)과 연결될 수 있다. The inner tube 22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ipe 21, is disposed at the inner center, and extends in the axial direction. The lower end of the inner tube 22 is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tube 32 . In this embodiment, the inner tube 22 may extend into the storage tank 10 past the lower end of the outer pipe 21 and be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tube 32 .

내부관(22)을 따라 복수개의 미스트노즐(23)이 형성된다. 미스트노즐(23)은 내부관(22)으로 공급된 이산화염소수를 미세한 입자 형태로 분사하여 이산화염소수 입자와 이산화염소 가스에 의한 안개층을 형성한다.A plurality of mist nozzles 23 are formed along the inner tube 22 . The mist nozzle 23 sprays the chlorine dioxide water supplied to the inner tube 22 in the form of fine particles to form a mist layer by the chlorine dioxide water particles and chlorine dioxide gas.

이에, 필터부(20)로 유입된 오염 공기는 외부파이프(21)의 이산화염소수 안개층을 지나면서 이산화염소와 최대한 접촉되어 정화 처리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ntaminated air introduced into the filter unit 20 can be in contact with chlorine dioxide as much as possible while passing through the chlorine dioxide water mist layer of the outer pipe 21 to be purified.

미스트노즐(23)은 예를 들어, 내부관(22)의 축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미스트노즐(23)은 내부관(22)의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각 미스트노즐(23)은 축방향을 따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거나 또는 어긋난 위치에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mist nozzle 23 may be formed at intervals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2 , for example. In addition, the mist nozzle 23 may be formed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2). Each of the mist nozzles 23 may be formed in the same position along the axial direction or formed in a zigzag form at a position shifted.

외부파이프(21) 내부에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배치된 미스트노즐(23)을 통해 이산화염소수를 분사할 수 있다. 이에, 외부파이프(21) 내부 공간 내에 전체적으로 안개층을 균일한 분포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외부파이프(21) 내 어느 곳에서나 오염공기가 이산화염소 안개층과 균일하게 접촉되면서 지나게 되어, 정화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Chlorine dioxide water can be sprayed through the mist nozzle 23 uniformly arranged as a whole inside the outer pipe 21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form the fog layer in a uniform distribution as a whole in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pipe 21 . Accordingly, polluted air passes through while in uniform contact with the chlorine dioxide mist layer anywhere in the outer pipe 21, thereby increasing the purification treatment efficiency.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스트노즐(23)은 이산화염소수를 수평방향으로 넓게 분사하기 위한 수평슬롯(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평슬롯(27)은 내부관(22) 외주면에 분사홀(24)을 지나도록 파여져 형성되고 외부파이프(21)의 축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이산화염소수를 수평방향으로 퍼트리는 구조로 되어 있다.4, the mist nozzle 23 may further include a horizontal slot 27 for widely spraying chlorine dioxide wat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horizontal slot 27 is formed by being dug through the injection hole 24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22 and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outer pipe 21 to spread chlorine diox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has been

여기서, 수평방향이라 함은 수직 방향에 대해 직각인 방향을 의미한다. 즉, 수직으로 배치된 외부파이프(21)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외부파이프(21)을 지나는 공기의 진행방향에 대해 직각인 방향을 의미한다.Here, the horizontal direction mean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in a direction forming a right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ly arranged outer pipe 21, it mean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outer pipe (21).

수평슬롯(27)은 트랜치 홈 형태로 외부파이프(21)에 직선으로 파여져 형성될 수 있다. 수평슬롯(27)의 깊이나 폭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미스트노즐(23)의 분사홀(24)에서 분사되는 이산화염소수 입자는 수평슬롯(27)에 의해 수평방향쪽으로 확산될 수 있다. The horizontal slot 27 may be formed by cutting a straight line into the outer pipe 21 in the form of a trench groove. The depth or width of the horizontal slot 27 may be variously modified. The chlorine dioxide water particles injected from the injection hole 24 of the mist nozzle 23 may be diffu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horizontal slot 27 .

따라서, 미스트노즐(23)은 이산화염소수를 오염 공기의 진행방향에 대해 직각인 방향으로 넓게 퍼지도록 분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외부파이프(21)을 따라 수직으로 상승하는 오염 공기가 수평방향으로 퍼진 이산화염소수 입자를 지나게 되어 보다 넓은 면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mist nozzle 23 can spray the chlorine dioxide water so as to spread widel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polluted air. Accordingly, the contaminated air that rises vertically along the outer pipe 21 passes the chlorine dioxide water particles sprea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it can be in contact with a larger area.

또한, 미스트노즐(23)을 통해 오염 공기의 진행방향에 직각방향으로 이산화염소수가 퍼지면서 분무되어 이산화염소수가 오염 공기를 막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에, 오염 공기는 위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외부파이프(21) 내에서 수평으로 퍼진 이산화염소수 입자층을 관통하여 지나야 한다. 따라서, 외부파이프(21) 내에서 오염공기를 빈틈없이 이산화염소수와 접촉시킴으로써, 정화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chlorine dioxide water is sprayed while sprea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ntaminated air through the mist nozzle 23, so that the chlorine dioxide water is blocking the contaminated air. Accordingly, the contaminated air must pass through the chlorine dioxide water particle layer horizontally spread in the outer pipe 21 in the process of moving upward. Therefore, by making the polluted air in contact with chlorine dioxide water in the outer pipe 21 seamlessly, it becomes possible to increase the purification treatment efficiency.

본 실시예의 미스트노즐(23)은 이산화염소수를 보다 미세하게 입자화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The mist nozzle 23 of this embodiment has a structure that can make chlorine dioxide water into fine particles.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스트노즐(23)은 분사홀(24) 내면에서 외측을 향해 내경이 점차적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되어 이산화염소수를 퍼트리기 위한 경사면(25)과, 경사면(25) 외측에 단이 지도록 내주면이 파여져 형성되어 분사되는 이산화염소수를 미립자로 잘게 쪼개는 단턱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5, the mist nozzle 23 is formed so that the inner diameter gradually expand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injection hole 24 toward the outside, the inclined surface 25 for spreading chlorine dioxide water, and the inclined surface 25 outside It may include a stepped portion 26 for finely splitting the injected chlorine dioxide water into fine particles that are formed by digg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be stepped on.

이에, 분사홀(24)을 통해 분사되는 이산화염소수는 경사면(25)에 의해 넓게 퍼져나가면서 일차적으로 입자화된다. 그리고, 이산화염소수 입자들은 경사면(25) 외측의 단턱부(26)를 지나면서 입자들이 보다 잘게 쪼개져 더 작은 입자로 생성되고, 이 때 이산화염소수에 용해되어 있는 이산화염소 가스가 생성된다.Accordingly, the chlorine dioxide water sprayed through the injection hole 24 is primarily granulated while being widely spread by the inclined surface 25 . And, chlorine dioxide water particles pass through the stepped portion 26 on the outside of the inclined surface 25, the particles are more finely split and generated into smaller particles, at this time chlorine dioxide gas dissolved in the chlorine dioxide water is generated.

즉, 넓게 펴져나가는 이산화염소수 입자들은 급격하게 절곡된 단턱부(26)를 지나면서 단턱부(26)에 충돌되고 이 과정에서 입자들이 단턱부(26)와의 충격에 의해 쪼개지면서 입자의 크기가 보다 작아지고 가스화가 이루어진다.That is, the chlorine dioxide water particles that spread widely collide with the stepped portion 26 while passing through the sharply bent stepped portion 26. smaller and gasification occurs.

따라서, 미스트노즐(23)은 이산화염소수를 미립자 형태로 쪼개고 가스를 발생하게 된다. 이에, 외부파이프(21) 내부에 미립자 형태의 이산화염소수와 이산화염소 가스가 부유하는 안개층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mist nozzle 23 splits the chlorine dioxide water into fine particles and generates ga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form a mist layer in which chlorine dioxide water and chlorine dioxide gas in particulate form are suspended inside the outer pipe 21 .

또한, 본 실시예의 필터부(20)는 안개층을 극대화하기 위해, 내부관(22)에 설치되고 미스트노즐(23)로 연장되는 지지체(35), 지지체(35) 선단에 설치되어 미스트노즐(23) 외측에 배치되고 미스트노즐(23)에서 분사되는 이산화염소수와 충돌되어 이산화염소수를 미립자로 분해하는 충돌봉(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maximize the mist layer, the filter unit 20 of this embodiment is installed on the inner tube 22 and extended to the mist nozzle 23, the support 35, the support 35 is installed at the tip of the mist nozzle ( 23) It may further include a collision rod 37 disposed on the outside and collided with the chlorine dioxide water sprayed from the mist nozzle 23 to decompose the chlorine dioxide water into fine particles.

충돌봉(37)은 미스트노즐(23)의 분사홀(24) 중심에 맞춰 배치될 수 있다. The collision rod 37 may be arranged in alignment with the center of the injection hole 24 of the mist nozzle 23 .

이에, 미스트노즐(23)에서 분사되는 이산화염소수는 충돌봉(37)에 충돌되면서 1차적으로 작은 입자로 분해되고 이산화염소 가스가 생성된다. 또한, 충돌봉(37)에 충돌되면서 이산화염소수는 분사각이 꺽여 단턱부(26) 및 외부파이프(21) 내벽에도 용이하게 충돌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산화염소수를 작은 입자와 가스 형태의 안개층으로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chlorine dioxide water sprayed from the mist nozzle 23 is primarily decomposed into small particles while colliding with the collision rod 37 to generate chlorine dioxide gas. In addition, the chlorine dioxide water can easily collide with the inner wall of the stepped portion 26 and the outer pipe 21 as the injection angle is bent as it collides with the collision rod 37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form the chlorine dioxide water into a mist layer in the form of small particles and gas.

본 실시예에서, 충돌봉(37)은 미스트노즐을 향하는 면이 반구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에, 미스트노즐의 분사홀(24)에서 분사되는 이산화염소수는 충돌봉(37)에 충돌되어 보다 넓은 각도로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이산화염소수를 단턱부(26)는 물론 외부파이프(21)에 효과적으로 충돌시켜 미립자와 가스 발생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collision rod 37 may have a hemispherical shape with a surface facing the mist nozzle. Accordingly, the chlorine dioxide water sprayed from the injection hole 24 of the mist nozzle collides with the collision rod 37 and can be dispersed at a wider angl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generation of particulates and gases by effectively colliding the chlorine dioxide water with the stepped portion 26 as well as the external pipe 21 .

이와 같이, 본 장치는 필터부(20) 내부에 이산화염소수에 의한 안개층을 형성하고 오염 공기를 안개층으로 통과시키면서 정화 처리함으로써, 오염 공기와 이산화염소의 접촉 면적을 극대화하여 오염공기를 효과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is device forms a fog layer by chlorine dioxide water inside the filter unit 20 and purifies the polluted air while passing it through the fog layer, thereby maximizing the contact area between polluted air and chlorine dioxide to effectively remove polluted air. can be purifi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mbodiment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ll such modifications and other embodiments are intended to be contemplated and included in the appended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ru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저장탱크 12 : 흡입관
13 : 타공관 14 : 배출관
15 : 구멍 16 : 구동팬
20 : 필터부 21 : 외부파이프
22 : 내부관 23 : 미스트노즐
24 : 분사홀 25 : 경사면
26 : 단턱부 27 : 수평슬롯
30 : 순환펌프 35 : 지지체
37 : 충돌봉 40 : 미스트캐처
50 : 발생기 52 : 물탱크
54 : 공급펌프 56 : 공급관
60 : 분사관 62 : 분사노즐
64 : 충돌판 65 : 폭기관
67 : 홀
10: storage tank 12: suction pipe
13: perforated pipe 14: exhaust pipe
15: hole 16: drive fan
20: filter unit 21: external pipe
22: inner tube 23: mist nozzle
24: injection hole 25: inclined surface
26: step 27: horizontal slot
30: circulation pump 35: support
37: collision rod 40: mist catcher
50: generator 52: water tank
54: supply pump 56: supply pipe
60: injection pipe 62: injection nozzle
64: collision plate 65: aeration pipe
67: Hall

Claims (7)

이산화염소수가 저장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 설치되고 외부 오염 공기를 저장탱크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관,
상기 저장탱크 상단에 연통 설치되어 저장탱크로 유입된 오염 공기가 흐르며 내부에는 이산화염소수 입자와 이산화염소 가스에 의한 안개층을 형성하여 내부를 지나는 오염 공기를 정화하고 사용된 이산화염소수는 상기 저장탱크로 떨어져 회수되도록 한 필터부,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이산화염소수를 상기 필터부로 공급하기 위한 순환펌프,
상기 필터부 상단에 연결 설치되어 필터부를 거친 공기 중의 이산화염소수 입자를 분리 제거하는 미스트캐처,
상기 미스트캐처에 연결되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관을 통한 외부 공기 흡입력을 제공하는 구동팬
을 포함하는 공기 탈취 및 정화 장치.
A storage tank in which chlorine dioxide water is stored,
a suction pipe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and installed to suck external polluted air into the storage tank;
It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storage tank and the contaminated air introduced into the storage tank flows, and a mist layer is formed inside by chlorine dioxide water particles and chlorine dioxide gas to purify the contaminated air passing through, and the used chlorine dioxide water is stored in the storage tank. A filter unit that falls into the tank and is recovered;
a circulation pump for supplying the chlorine dioxid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to the filter unit;
A mist catcher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filter unit to separate and remove chlorine dioxide particles in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it;
a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mist catcher; and
A driving fan installed in the discharge pipe to provide external air suction power through the suction pipe
Air deodor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 내의 이산화염소수 농도를 유지하기 위한 농도유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농도유지부는 이산화염소를 물에 용해하여 이산화염소수를 생성하는 발생기, 상기 발생기로 공급할 보충수을 저장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와 상기 발생기 사이의 관로 상에 설치되어 보충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펌프, 및 상기 발생기와 상기 저장탱크 사이에 설치되어 이산화염소수를 저장탱크로 공급하는 공급관을 포함하는 공기 탈취 및 정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centration maintaining unit for maintaining the concentration of chlorine dioxide in the storage tank,
The concentration maintenance unit is installed on a generator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water by dissolving chlorine dioxide in water, a water tank for storing make-up water to be supplied to the generator, and a supply for supplying make-up water Air deodoriz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comprising a pump, and a supply pipe installed between the generator and the storage tank to supply chlorine dioxide water to the storage tank.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고 상기 저장탱크 내측 상부에 배치되는 분사관, 상기 분사관에 설치되어 이산화염소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저장탱크 내부에서 오염 공기가 상기 필터부로 유입되기 전에 이산화염소수를 오염 공기에 분사하여 정화 처리하는 공기 탈취 및 정화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injection pipe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and disposed on the inner upper part of the storage tank, further comprising an injection nozzle installed in the injection pipe to spray chlorine dioxide water, before the polluted air from inside the storage tank flows into the filter unit. An air deodor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that purifies the polluted air by spraying chlorine water.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하단이 관통 형성되고 하단은 상기 저장탱크에 설치되어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단은 상기 미스트캐처에 연통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파이프, 상기 외부파이프 내면에서 이격되어 내부 중심에 배치되고 축방향으로 연장 설치되고 상기 순환펌프에 연결되어 이산화염소수가 공급되는 내부관, 및 상기 내부관에 설치되고 이산화염소수를 외부파이프 내부로 분사하여 이산화염소수 입자와 이산화염소 가스에 의한 안개층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스트노즐을 포함하는 공기 탈취 및 정화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t least one outer pip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lter unit are formed through, the lower end is installed in the storage tank, the vertical extension, and the upper end is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mist catcher An inner tube that is extended and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pump to supply chlorine dioxide water, and at least that is installed in the inner tube and sprays chlorine dioxide water into the outer pipe to form a fog layer by chlorine dioxide water particles and chlorine dioxide gas An air deodor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comprising one or more mist nozzle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노즐은 분사홀 내면에서 외측을 향해 내경이 점차적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되어 이산화염소수를 퍼트리기 위한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 외측에 단이 지도록 내주면이 파여져 형성되어 분사되는 이산화염소수를 미립자로 분해하는 단턱부를 포함하는 공기 탈취 및 정화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mist nozzle is formed so that the inner diameter gradually expand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injection hole to the outside, an inclined surface for spreading chlorine dioxide water,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is dug so as to be stepped outside the inclined surface. Decomposes the sprayed chlorine dioxide water into fine particles Air deodor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comprising a stepped por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노즐은 상기 내부관 외주면에 분사홀을 지나도록 파여져 형성되고 외부파이프의 축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이산화염소수를 수평방향으로 퍼트리기 위한 수평슬롯을 더 포함하는 공기 탈취 및 정화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mist nozzle is formed by being dug through the injection hol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pipe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outer pipe to further include a horizontal slot for spreading chlorine dioxide water in a horizontal direction. Air deodor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에 설치되고 상기 미스트노즐로 연장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미스트노즐 외측에 배치되고 미스트노즐에서 분사되는 이산화염소수와 충돌되어 이산화염소수를 미립자로 분해하는 충돌봉을 더 포함하는 공기 탈취 및 정화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 support installed in the inner tube and extending to the mist nozzle, a collision rod installed at the tip of the support, disposed outside the mist nozzle, and collided with chlorine dioxide water sprayed from the mist nozzle to decompose the chlorine dioxide water into fine particles. Including air deodor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KR1020200169716A 2020-12-07 2020-12-07 Apparatus for purifying and deodorizing air KR1025470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716A KR102547023B1 (en) 2020-12-07 2020-12-07 Apparatus for purifying and deodorizing 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716A KR102547023B1 (en) 2020-12-07 2020-12-07 Apparatus for purifying and deodorizing ai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515A true KR20220080515A (en) 2022-06-14
KR102547023B1 KR102547023B1 (en) 2023-06-23

Family

ID=81980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716A KR102547023B1 (en) 2020-12-07 2020-12-07 Apparatus for purifying and deodorizing 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702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7444A (en) * 2003-09-15 2005-03-21 한국식품연구원 Clean air supplying apparatus with an aqua anion
JP2010142560A (en) * 2008-12-22 2010-07-01 Tokyo Reito Kucho Jigyo Kyodo Kumiai Spray device
KR101695946B1 (en) * 2015-10-28 2017-01-23 주식회사 이노푸스 Circulation apparatus of chlorine dioxide gas for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KR20170127271A (en) * 2016-05-11 2017-11-21 (주)시샘테크 Generator for Chlorine Dioxide
KR20200071207A (en) * 2018-12-10 2020-06-19 주식회사 첨단환경 Air purifi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7444A (en) * 2003-09-15 2005-03-21 한국식품연구원 Clean air supplying apparatus with an aqua anion
JP2010142560A (en) * 2008-12-22 2010-07-01 Tokyo Reito Kucho Jigyo Kyodo Kumiai Spray device
KR101695946B1 (en) * 2015-10-28 2017-01-23 주식회사 이노푸스 Circulation apparatus of chlorine dioxide gas for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KR20170127271A (en) * 2016-05-11 2017-11-21 (주)시샘테크 Generator for Chlorine Dioxide
KR20200071207A (en) * 2018-12-10 2020-06-19 주식회사 첨단환경 Air pur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7023B1 (en) 2023-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3635B1 (en) Deodorization equipment doing self-rotation by a pressured deodorizing agent
KR101653368B1 (en) Deodorizing device
KR102022476B1 (en) Apparatus for dust and water-soluble odor removal and method thereof
KR101396537B1 (en) Droplet separator system for odor gas removal
JP5106982B2 (en) Odor treatment method, malodor treatment system and breeding system
KR101708598B1 (en) Air Atomizing Deodorize System
KR102032801B1 (en) 3-Stage Chemical Wet Scrubber
KR101999165B1 (en) Chemical solution cleaning device using advanced oxidation process
KR101443157B1 (en) Apparatus for purification of pollution gas
KR102076856B1 (en) Micro Bubble Generator and Cleaning device for Chemical Material Using Micro Bubble
KR101997185B1 (en) Liquid Cleaning Deodorant Device Using Catalyst Oxidation Water
KR101591849B1 (en) Washer type deodorizing apparatus
KR101965612B1 (en) Deodorizer for odor removal with fine bubble generator
JP33722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rifying harmful gases containing harmful substances such as dioxin
KR101874952B1 (en) Multistage Cleaning Deodorizing Device using Circulating Contact Flow Path
KR20180131723A (en) Pollution gas scrubber
KR102077324B1 (en) Malicious odor gas deodorization system
KR102001359B1 (en) Treatment apparatus for offensive gas
KR101963765B1 (en) Liquid Cleaning Deodorant Device Equipped with Cleaning Device Using Generating Device of Catalyst Oxidation Water
KR100691729B1 (en) Apparatus for cleaning air using water
KR101823139B1 (en) Tunnel type ozone water odor remving facilities
KR101774172B1 (en) An odor abatement device using micro organisms and micro bubbles
KR102297416B1 (en) Deodorization device of multi-stage treatment method
KR101675148B1 (en) Wet cylone deodorizer
KR101896065B1 (en) odor treatmen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