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0506A - 체결 구조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체결 구조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0506A
KR20220080506A KR1020200169690A KR20200169690A KR20220080506A KR 20220080506 A KR20220080506 A KR 20220080506A KR 1020200169690 A KR1020200169690 A KR 1020200169690A KR 20200169690 A KR20200169690 A KR 20200169690A KR 20220080506 A KR20220080506 A KR 20220080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strap
coupling part
electronic device
wearable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공진
조익현
한기욱
강대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9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0506A/ko
Priority to PCT/KR2021/016382 priority patent/WO2022124602A1/ko
Publication of KR20220080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0506A/ko
Priority to US18/298,683 priority patent/US2023025532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14Suspending devices, supports or stands for time-pieces insofar as they form part of the case
    • G04B37/1486Arrangements for fixing to a bracele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4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fastening to a wrist-watch or the like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14Suspending devices, supports or stands for time-pieces insofar as they form part of the case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064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in which functions not related to time can be display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전면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둘러싸면서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외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착용을 보조하는 스트랩이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스트랩의 체결 구조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홈, 및 상기 스트랩의 체결 구조가 고정될 수 있는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스트랩의 체결 구조가 고정될 수 있는 제4 홈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의 체결 구조는, 적어도 상기 제1 홈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2 홈 및 상기 제4 홈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프레임부에 존재하는 체결부에 가이드 홈이 존재함으로써 사용자가 정확한 위치를 판단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스트랩을 체결할 수 있고,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존재하는 홀의 정확한 위치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웨어러블 장치 또는 스트랩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체결 구조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WEAR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ONNECTING STRUCTURES}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서 스트랩의 체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전자 장치의 휴대성을 보다 증가시키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웨어러블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웨어러블 장치의 휴대성을 위해 웨어러블 장치의 휴대를 보조하거나 착용을 보조하는 다양한 보조 기구들도 존재한다.
특히 워치 타입의 웨어러블 장치 관련하여 착용을 보조하는 스트랩이 존재함으로써 휴대성 및 착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핀 스프링 구조의 스트랩을 웨어러블 장치에 체결하는 경우, 사용자가 핀을 당긴 후에 웨어러블 장치의 홀에 정확하게 맞추어 핀을 놓아주어야 하므로 정확한 위치를 판단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핀 스프링 구조의 스트랩을 웨어러블 장치에 체결하는 경우, 사용자가 작은 핀을 당기는 과정과 정확한 홈의 위치를 찾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에 존재하는 홀의 정확한 위치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웨어러블 장치 또는 스트랩의 체결 구조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전면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둘러싸면서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외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착용을 보조하는 스트랩이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스트랩의 체결 구조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홈, 및 상기 스트랩의 체결 구조가 고정될 수 있는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스트랩의 체결 구조가 고정될 수 있는 제3 홈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의 체결 구조는, 적어도 상기 제1 홈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2 홈 및 상기 제3 홈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프레임부에 존재하는 체결부에 가이드 홈이 존재함으로써, 사용자가 정확한 위치를 판단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스트랩을 체결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존재하는 홀의 정확한 위치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웨어러블 장치 또는 스트랩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기초하여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스트랩이 체결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체결되는 스트랩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스트랩이 체결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일 실시 예를 측면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스트랩을 체결하는 과정의 일 실시 예를 측면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스트랩을 체결하는 과정의 일 실시 예를 후면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프레임부에 존재하는 체결부의 가이드 홈에 스트랩의 체결 구조가 삽입되는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프레임부에 존재하는 체결부의 가이드 홈에 스트랩의 체결 구조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과정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프레임부에 존재하는 체결부의 가이드 홈에 스트랩의 체결 구조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과정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스트랩이 체결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도 1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는 스트랩(140-1, 140-2)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하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에 대한 설명을 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상 개념적으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에 스트랩(140-1, 140-2)이 포함될 수 있으나, 스트랩(140-1, 140-2)이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프레임부(120)에 포함되는 체결부(130-1, 130-2)에 스트랩(140-1, 140-2)이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함에 있어서는 스트랩(140-1, 140-2)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에 포함되지 않음을 전제로 설명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체결부(130-1, 130-2)에 스트랩(140-1, 140-2)이 결합된 구조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스트랩(140-1, 140-2)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에 포함됨을 전제로 설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프레임부(120), 프레임부(120)에 포함되는 체결부(130-1, 130-2), 및 스트랩(140-1, 140-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1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10)는 프레임부(120) 상에 배치됨으로써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전면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120)가 디스플레이(110)를 둘러싸면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외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110)는 프레임부(120) 상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외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레임부(12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측면 및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부(12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전면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110)를 둘러싸는 구조일 수 있고, 둘러싸면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측면 및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프레임부(120)는 체결부(130-1, 130-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외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프레임부(120)는 스트랩(140-1, 140-2)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130-1, 130-2)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130-1, 130-2)는 프레임부(120)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고, 스트랩(140-1, 140-2)과 결합부들(예: 제1 결합부(131), 제2 결합부(132), 제3 결합부(133), 제4 결합부(134)) 사이의 체결을 위한 부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부(130-1)는 제1 결합부(131) 및 제2 결합부(132)를 포함할 수 있고, 체결부(130-2)는 제3 결합부(133) 및 제4 결합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결합부(131) 및 제2 결합부(132)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결합부(133) 및 제4 결합부(134)도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일정 거리는 스트랩(140-1, 140-2)의 폭에 대응하는 거리일 수 있고, 스트랩(140-1, 140-2)의 폭보다 길이가 길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스트렙(140-1)에는 잠금 장치(150-1)의 핀을 삽입하기 위한 홀(예: 홀(15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트렙(140-1)에는 복수의 홀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고, 사용자는 신체에 맞게 잠금 장치(150-1)의 핀을 복수의 홀들 중 하나의 홀(예: 홀(150))에 삽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스트렙(140-2)에는 스트랩들(예: 제1 스트렙(140-1), 제2 스트렙(140-2)) 사이의 잠금을 위한 잠금 장치(150-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트렙(140-2)의 잠금 장치(150-1)에는, 제1 스트렙(140-1)에 형성된 복수의 홀들 중 하나의 홀(예: 홀(150))에 삽입하기 위한 핀이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잠금 장치(150-1)가 제1 스트렙(140-1)에 형성될 수도 있고, 잠금 장치의 핀을 삽입하기 위한 복수의 홀들이 제2 스트렙(140-2)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결합부(131) 및 제2 결합부(132)는 제1 스트렙(140-1)과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3 결합부(133) 및 제4 결합부(134)는 제2 스트렙(140-2)과 체결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31) 및 제2 결합부(132)와 제1 스트렙(140-1)이 체결되는 과정 및 구조에 관한 설명은, 제3 결합부(133) 및 제4 결합부(134)와 제2 스트렙(140-2)이 체결되는 과정 및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체결되는 스트랩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210은 전면에서 보았을 때의 제1 스트렙(140-1)의 일부를 도시하고, 220은 후면에서 보았을 때의 제1 스트렙(140-1)의 일부를 도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230은 체결 구조(142)에 포함되는 체결 핀(143)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240은 체결 구조(142)에 체결 핀(143)이 배치된 측면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스트렙(140-1)은, 체결 구조(142)를 제외한 밴드(141) 및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 구조(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스트렙(140)은 제1 스트랩(140-1)인 경우, 제2 스트랩(140-2)의 잠금 장치(예: 잠금 장치(150-1))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스트렙(140-1)의 체결 구조(142)는 핀 스프링 타입의 구조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 구조(142)는 체결 핀(143)을 포함할 수 있고, 체결 핀(143)은 커버 구조(143-6)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구조(142)는 밴드(141)에 내부에 홀 형태의 빈 공간이 커버 구조(143-6)로서 형성될 수 있고, 체결 핀(143)은 홀 형태의 빈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구조(143-6)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 핀(143)은 돌출 핀(143-1),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43-2), 중심 핀(143-3), 조작 핀(143-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돌출 핀(143-1)은 중심 핀(143-3)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심 핀(143-3)의 양 측에 밴드(141)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돌출 핀(143)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심 핀(143-3)에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43-2)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심 핀(143-3)의 적어도 일부 구조는 스프링(143-2)과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고, 스프링(143-2)은 상기 일부 구조에 결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143-2)은, 밴드(141)의 외부로 돌출된 돌출 핀(143-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돌출 핀(143-1)의 사이에는 중심 핀(143-3)이 형성될 수 있고, 중심 핀(143-3)과 스프링(143-2)의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구조(예: 브라켓, 체결 핀(143)의 스프링 연결 구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심 핀(143-3)과 스프링(143-2)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밴드(141)의 소재는 고무와 같은 신축성 있는 소재일 수도 있고, 가죽과 같은 신축성이 없는 소재일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밴드(141)의 일단에 체결 핀(143)의 적어도 일부가 가려지면서 배치될 수 있는 빈 공간(예: 커버 구조(143-6))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43-2)은 체결 핀(143)의 외관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프링(143-2)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체결 핀(143)의 돌출 핀(143-1), 중심 핀(143-3), 조작 핀(143-4)의 적어도 일부가 밴드(141)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 구조(142)의 밴드(141) 에는 원통 형태의 빈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구조(14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체결 구조(142)의 체결 핀(143)은 커버 구조(143-6)에 위치할 수 있고, 밴드(141)는 원통 형태의 홀을 형성하는 커버 구조(143-6)를 감쌀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밴드(141)에는 조작 핀(143-4)의 적어도 일부(예: 조작 핀(143-4)의 노출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조작 홀(143-7)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 구조(143-6)는 조작 핀(143-4)를 위한 조작 홀(143-7)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고, 커버 구조(143-6)는 조작 홀(143-7)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 핀(143)에는 조작 핀(143-4)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홀(143-5)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핀(143)의 하우징은 중심 핀(143-3)의 외관일 수 있으며, 금속 또는 비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에 조작 핀(143-4)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는 홀(143-5)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홀(143-5)의 형태는 조작 핀(143)의 형태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홀(143-5)의 크기는 적어도 조작 핀(143)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프링(143-2)은 외력(예: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수축 및 이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밴드(141)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핀(143-1)의 돌출 부분의 길이가 줄어들거나 늘어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 핀(143)은 밴드(141)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핀(143-1)의 돌출 부분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작 핀(143-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작 핀(143-4)은 중심 핀(143-3)과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작 핀(143-4)은 중심 핀(143-3)과 연결 부재를 통해서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작 핀(143-4)은 중심 핀(143-3)과 일체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작 핀(143-4)은 스프링(143-2)과 중심 핀(143-3)을 통해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작 핀(143-4)의 노출부는 사용자의 외력이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부분으로서, 외력을 스프링(143-2)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심 핀(143-3)은 스프링(143-2)과 연결 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고,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심 핀(143-3)과 스프링(143-2)은 각각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이 접착 부재 및/또는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를 이룰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중심 핀(143-3)과 스프링(143-2)은 일체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접착 부재 및/또는 연결 부재에 의하지 않아도 일체를 이룰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작 핀(143-4)에 가해지는 외력은 스프링(143-2)으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작 핀(143-4)에 외력을 가하게 되면, 조작 핀(143-4)과 연결된 중심 핀(143-3)에 외력이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심 핀(143-3)에 결합된 스프링(143-2)에 사용자가 가한 외력이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작 핀(143-4)은 사용감을 위해 노출부를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커버는 조작 핀(143-4)과 다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는 플라스틱, 가죽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조작 핀(143-4)의 노출부를 조절하면, 스프링(143-2)으로 인해 돌출 핀(143-1)의 돌출 부분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조작 핀(143-4)을 이용하여 스프링(143-2)을 수축시키면 돌출 핀(143-1)의 돌출 부분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고, 사용자가 조작 핀(143-4)을 이용하여 스프링(143-2)을 이완시키면 돌출 핀(143-1)의 돌출 부분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프링(143-2)에 별도의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를 제1 수축 상태, 스프링(143-2)에 사용자에 의한 외부의 힘이 가해지는 상태를 제2 수축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143-2)이 최대로 수축된 상태를 제3 수축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조작 핀(143-4)을 이용하여 제1 수축 상태의 스프링(143-2)을 수축시키면 돌출 핀(143-1)의 돌출 부분의 길이가 짧아지면서 제2 수축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추가적인 외력이 작용하여 스프링(143-2)이 최대로 수축시키면 제3 수축 상태가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2는 제1 스트렙(140-1)제1 스트렙(140-1)에 대한 설명은 제1 스트랩(140-1) 또는 제2 스트랩(140-2)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스트랩이 체결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일 실시 예를 측면에서 나타낸다. 도 3은 제1 스트랩(140-1) 및 제2 스트랩(140-2)이 각각 제1 결합부(131) 및 제3 결합부(133)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다른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측면의 반대 측면에서는 제1 스트랩(140-1) 및 제2 스트랩(140-2)이 각각 제2 결합부(132) 및 제4 결합부(134)에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확대 단면도(131-1)는 제1 결합부(131)와 제1 스트랩(140-1)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된 부분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결합부(131)의 내측에는 제1 홈(131a) 및 제2 홈(131b)을 포함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홈은 제1 스트랩(140-1)의 돌출 핀(143-1)이 삽입될 수 있는 제1 홈(131a) 및 제1 스트랩(140-1)의 돌출 핀(143-1)이 고정될 수 있는 제2 홈(131b)을 연결하는 구조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돌출 핀(143-1)이 제2 홈(131b)에 고정된다 함은, 체결 구조(142)의 스프링(143-2)이 이완된 상태 또는 일부 수축된 상태에서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이 제2 홈(131b)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트렙(140-1)의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이 제2 홈(131b)에 수용되어 있을 때 사용을 위한 움직임(예: 회전)이 가능할 수 있으나, 제2 홈(131b)의 밖으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스트렙(140-1)은 스프링(143-2)이 일정 길이 이상 수축되었을 때만 제2 홈(131b) 밖으로 이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결합부(131)의 가이드 홈에 제1 홈(131a) 및 제2 홈(131b)은 일정 거리 떨어져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홈(131a)과 제2 홈(131b)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돌출 핀(143-1)이 가이드 홈의 경로(A-A')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결합부(131)와 제1 스트렙(140-1)의 결합을 위해 돌출 핀(143-1)이 고정되는 제2 홈(131b)은, 제1 스트렙(140-1)의 핀이 삽입되는 제1 홈(131a)보다 홈의 깊이가 더 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홈의 깊이는, 결합부(예: 제1 결합부(131), 제2 결합부(132))의 내측 외곽에서 홈의 끝부분까지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홈의 깊이는, 스트랩(예: 제1 스트랩(140-1), 제2 스트랩(140-2))의 체결 과정에서 변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홈(131a)의 깊이는 체결 구조(142)의 스프링(143-2)을 수축시킴으로써 돌출 핀(143-1)의 돌출 부분의 줄어든 길이에 대응하는 깊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홈 깊이에 의하여, 제1 결합부(131)의 제1 홈(131a)와 제2 결합부(132)의 제3 홈(132a)의 간격이 결정될 수 있고, 상기 간격이 체결 핀(143)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체결부(130-1, 130-2)의 홈들의 간격에 대응하여 돌출 핀(143-1)에 외력이 전달될 수 있다. 스프링(143-2)을 수축시킴으로써 돌출 핀(143-1)의 돌출된 부분의 길이가 줄어들 수 있으며, 제1 홈(131a)의 깊이는 상기 줄어든 돌출된 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깊이일 수 있다. 또는, 제1 홈(131a)의 깊이는 체결 구조(142)의 스프링(143-2)이 외부의 힘에 의해 수축되지 않은 상태(예: 제1 수축 상태)에서 돌출 핀(143-1)을 수용할 수 있는 깊이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홈(131a)의 깊이는 제2 홈(131b)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홈(131b)의 깊이는 체결 구조(142)의 스프링(143-2)이 외부의 힘을 받지 않음에 따라 별도의 힘이 가해지지 않은(예: 제1 수축 상태) 길이에 대응하는 깊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143-2)이 제1 수축 상태에서 돌출 핀(143-1)의 돌출된 부분의 길이는 최대가 될 수 있으며, 제2 홈(131b)의 깊이는 돌출된 부분이 최대인 길이에 대응하는(예: 같거나 또는 더 깊은) 깊이일 수 있다. 또는 제2 홈(131b)의 깊이는 돌출 핀(143-1)에 일부 힘이 가해지는 상태 길이에 대응하는 깊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홈(131b)의 깊이는 돌출 핀(143-1)의 돌출된 부분의 길이가 최대인 길이보다는 짧으나, 제1 홈(131a) 또는 중간 홈(131c)에 위치한 경우의 돌출된 부분의 길이보다는 길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스프링(143-2)이 수축되었다 함은 스프링(143-2)이 사용자가 조작 핀(143-4)을 조작하는 힘 및/또는 결합부(131,132)적어도 일부(예: 제1 홈(131a), 제3 홈(132a), 중간 홈(131c 132c))에 의한 힘으로 인해 아무런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보다 더 수축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143-2)는 사용자가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아도 돌출 핀(143-1) 및/또는 조작 핀(143-4)과의 배치 구조에 의해 일부 수축된 상태일 수 있다. 이 때, 스프링(143-2)은 돌출 핀(143-1) 및/또는 조작 핀(143-4)과 함께 배치된 상태에서 더 이완될 수 없으므로 설명의 편의상 완전히 이완되었다고 칭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스트랩(140-1)의 돌출 핀(143-1)은 제1 홈(131a)으로 삽입될 수 있고, 제2 홈(131b)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이 제1 홈(131a)을 통해 가이드 홈에 삽입될 수 있으며,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이 제2 홈(131b)에 고정됨으로써, 제1 스트랩(140-1)이 제1 결합부(131)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스트랩(140-1)의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은 제2 체결부(132)에 형성된 홈(예: 후술하는 도 7의 제3 홈(132a))으로 삽입될 수 있고, 제2 체결부(132)에 존재하는 홈(예: 후술하는 도 7의 제4 홈(132b))에 고정될 수 있다.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이 홈(예: 후술하는 도 7의 제4 홈(132b))에 고정됨으로써, 제1 스트랩(140-1)이 제1 결합부(131)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결합부(131)에는 제1 홈(131a)과 제2 홈(131b)을 연결하는 중간 홈(131c)을 포함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트렙(140-1)의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은 제1 홈(131a)에 삽입되고 제2 홈(131b)에 고정되는 일련의 체결 과정(A-A' 라인을 따르는 체결 과정)에서 중간 홈(131c)을 지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간 홈(131c)의 적어도 일부의 깊이는 제2 홈(131b)의 깊이보다 깊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 핀(143-1)이 중간 홈(131c)의 일 부분에 위치할 때는 스프링(143-2)이 수축된 상태일 수 있고, 돌출 핀(143-1)이 제2 홈(131b)에 위치하게 되는 순간 스프링(143-2)의 수축 상태가 이완되면서 돌출 핀(143-1)의 돌출 부분이 최대가 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2 홈(131b)의 깊이가 중간 홈(131c)의 깊이보다 깊음으로써, 돌출 핀(143-1)의 최대로 돌출된 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간 홈(131c)의 깊이는 제1 홈(131a)의 깊이와 동일하거나 얕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 홈(131c)은 제1 홈(131a)에서 제2 홈(131b)로 매끄럽게 연결될 수 있고, 돌출 핀(143-1)이 중간 홈(131c)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할 때 스프링(143-2)이 수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중간 홈(131c)의 깊이가 제1 홈(131a)의 깊이와 동일하거나 얕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간 홈(131c)의 깊이는 제1 홈(131a)에서 제2 홈(131b)으로 갈수록 얕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홈의 구조는 제1 홈(131a)의 적어도 일부분으로부터 중간 홈(131c)을 거쳐 제2 홈(131b)까지 경사를 이루는 구조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3에는 중간 홈(131c)의 형태가 곡선의 형태로 되어 있으나, 직선의 형태로 이루어진 홈일 수도 있고, 형태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결합부(131)와 제1 스트랩(140-1)의 결합 구조에 대한 설명은, 제2 결합부(132)와 제1 스트랩(140-1), 제3 결합부(133) 및 제4 결합부(134)와 제2 스트랩(140-2)의 결합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스트랩을 체결하는 과정의 일 실시 예를 측면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스트랩을 체결하는 과정의 일 실시 예를 후면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에 제1 스트렙(140-1)이 결합되는 과정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제1 결합부(131) 및 제2 결합부(132)에 형성된 삽입을 위한 홈(예: 제1 홈(131a), 제3 홈(132a))에 제1 스트렙(140-1)의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을 삽입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서, 삽입을 위한 홈(예: 제1 홈(131a), 제3 홈(132a))은 후면에서 바라볼 때 제1 결합부(131) 및 제2 결합부(132)의 외면에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스트렙(140-1)의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삽입을 위한 홈(예: 제1 홈(131a), 제3 홈(132a))으로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홈(131a) 및 제3 홈(132a)에 돌출 핀(143-1)을 삽입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제1 홈(131a) 및 제3 홈(132a)에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제1 스트렙(140-1)의 밴드(141)를 제1 방향으로 당길 수 있고, 사용자가 밴드(141)를 당기는 힘에 의해 돌출 핀(143-1)은 중간 홈(131c, 132c)을 따라 제2 홈(131b) 및 제4 홈(132b)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의 방향으로 진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제1 스트렙(140-1)의 밴드(141)를 계속 제1 방향으로 당김에 따라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이 중간 홈(131c, 132c)을 지나서 제2 홈(131b) 및 제4 홈(132b)에 고정되면, 웨어러블 장치(100)에 제1 스트랩(140-1)이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410 및 510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에 제1 스트랩(140-1)이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결합부(131)에 제1 홈(131a)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결합부(132)에 제3 홈(132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131a)과 제3 홈(132a)은 일정 거리를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거리는 제1 스트랩(140-1)의 체결 구조(142)의 위치에 대응하는 체결 핀(143)의 의 폭에 대응하는 거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정 거리는 제1 스트렙(140-1)의 체결 구조(142)의 스프링(143-2)이 적어도 일부 수축된 상태에서의 체결 핀(143)의 폭 및 돌출 핀(143-1)의 돌출 부분의 길이의 합에 대응하는 거리일 수 있다. 다만,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상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제1 결합부(131)에 제1 홈(131a), 제2 홈(131b) 및 중간 홈(131c)을 포함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결합부(132)에는 제3 홈(132a), 제4 홈(예: 후술하는 도 7의 제4 홈(132b)), 및 중간 홈(예: 후술하는 도 7의 중간 홈(132c))을 포함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결합부(131)의 가이드 홈은 제1 스트랩(140-1)의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이 삽입될 수 있는 제1 홈(131a), 제1 스트랩(140-1)의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이 고정될 수 있는 제2 홈(131b), 및 제1 홈(131a)과 제2 홈(131b)을 연결하는 중간 홈(131c)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결합부(132)의 가이드 홈은 제1 스트랩(140-1)의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이 삽입될 수 있는 제3 홈(132a), 제1 스트랩(140-1)의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이 고정될 수 있는 제4 홈(예: 후술하는 도 7의 제4 홈(132b)), 및 제3 홈(132a)과 제4 홈(132b)을 연결하는 중간 홈(132c)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홈(131a)과 제2 홈(131b) 은 일정 거리 떨어져서 형성될 수 있고, 제3 홈(132a)과 제4 홈(예: 후술하는 도 7의 제4 홈(132b))도 일정 거리 떨어져서 형성될 수 있고 일정 거리만큼 중간 홈(131c, 132c)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일정 거리는 결합부(예: 제1 결합부(131), 제2 결합부(132))의 구조에 포함되는 한 제한이 없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홈(131a)과 제2 홈(131b) 의 간격은 일정 거리로 형성될 수 있고, 제3 홈(132a)과 제4 홈(예: 후술하는 도 7의 제4 홈(132b))의 간격도 일정 거리로 형성될 수 있고, 일정 거리만큼 중간 홈(131c, 132c)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결합부(131)와 제1 스트랩(140-1)의 결합을 위해 제1 스트랩(140-1)의 돌출 핀(143-1)이 고정되는 제2 홈(131b)은, 제1 스트랩(140-1)의 돌출 핀(143-1)이 삽입되는 제1 홈(131a)보다 홈의 깊이가 더 깊을 수 있다. 또한 제4 홈(예: 후술하는 도 7의 제4 홈(132b))은, 제3 홈(132a)보다 홈의 깊이가 더 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홈(131b) 및 제4 홈(132b)는 스프링(143-2)이 이완된 상태의 돌출 핀(143-1)의 돌출 부분보다 긴 길이의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420 및 520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에 제1 스트랩(140-1)이 제1 방향으로 당겨져서 결합되는 중의 모습을 나타내며, 430 및 530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에 제1 스트렙(140-1)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530-1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에 제1 스트랩(140-1)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스트랩(140-1)의 돌출 핀(143-1)이 제1 결합부(131) 및 제2 결합부(132)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스트랩(140-1)의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은 중간 홈(예: 중간 홈(131c, 132c))을 지나서 체결 구조(142)가 고정되는 홈(예: 제2 홈(131b), 제4 홈(132b))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의 돌출 부분은 제2 홈(131b) 및 제4 홈(132b)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스트랩(140-1)의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은 제1 홈(131a) 및 제3 홈(132a)으로 삽입될 수 있고, 중간 홈(예: 중간 홈(131c, 132c))을 거쳐서 제2 홈(131b) 및 제4 홈(예: 후술하는 도 7의 제4 홈(132b))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이 제1 홈(131a) 및 제3 홈(132a)을 통해 가이드 홈에 삽입될 수 있고,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이 제2 홈(131b) 및 제4 홈(예: 후술하는 도 7의 제4 홈(132b))에 고정됨으로써, 제1 스트렙(140-1)이 제1 결합부(131) 및 제2 결합부(132)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이 체결 과정에서 중간 홈(예: 중간 홈(131c, 132c))을 지나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 내지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술한 실시 예들에 따른 결합 과정에 대한 설명은, 제2 결합부(132)와 제1 스트랩(140-1), 제3 결합부(133) 및 제4 결합부(134)와 제2 스트랩(140-2)의 결합 과정에 대한 설명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프레임부에 존재하는 체결부의 가이드 홈에 스트랩의 체결 구조가 삽입되는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예를 들어, 삽입을 위한 홈(예: 제1 홈(131a), 제3 홈(132a))이 제1 결합부(131) 및 제2 결합부(132)에 모두 존재하는 경우, 및 삽입을 위한 홈(예: 제1 홈(131a), 제3 홈(132a))이 하나의 결합부(예: 제1 결합부(131))에만 존재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간략한 개념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면 610 및 도면 620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를 하면에서 보았을 때, 프레임부(120) 및 결합부(예: 제1 결합부(131), 제2 결합부(132))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제1 결합부(131) 및 제2 결합부(132)에 스트랩(140)의 돌출 핀(143-1)이 삽입되는 시점을 나타낼 수 있다. 도면 610은 삽입을 위한 복수의 홈이 존재하는 경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고, 도면 620은 삽입을 위한 홈이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면 610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서술한 제1 결합부(131) 및 제1 스트랩(140-1)에 관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면 620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서술한 제1 결합부(131) 및 제1 스트랩(140-1)에 관한 설명과 비교했을 때, 제2 결합부(132)에 삽입을 위한 홈 및 가이드 홈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과 이에 따른 체결 과정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 610 및 도면 620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고, 관련 구조 및 체결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일 실시 예에서, 도면 610은, 제1 홈(131a)을 포함하는 제1 결합부(131) 및 제3 홈(132a)을 포함하는 제2 결합부(132)에 제1 스트랩(140-1)의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이 삽입되는 실시 예를 나타낸다. 제1 스트랩(140-1)의 돌출 핀(143-1)은 제1 결합부(131) 및 제2 결합부(132)와의 결합을 위해, 제1 결합부(131)에 형성된 제1 홈(131a) 및 제2 결합부(132)에 형성된 제3 홈(132a)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스트랩(140-1)의 돌출 핀(143-1)이 제1 결합부(131)에 형성된 제1 홈(131a) 및 제2 결합부(132)에 형성된 제3 홈(132a)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하였다.
다른 실시 예에서, 도면 620은, 제1 홈(131a)이 형성된 제1 결합부(131) 및 홈이 형성되지 않은 제2 결합부(132)에 제1 스트랩(140-1)의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이 삽입되는 실시 예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131)에는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이 삽입될 수 있는 제1 홈(131a)이 형성되나, 제2 결합부(132)에는 삽입을 위한 홈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스트랩(140-1)의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 중 하나의 핀이 제1 결합부(131)에 형성된 제1 홈(131a)에 삽입될 수 있고, 돌출 핀(143-1) 중 다른 하나의 핀은 스프링(143-2)의 수축에 의해 길이가 짧아진 상태에서 삽입을 위한 홈을 거치지 않고 제2 결합부(132)에 형성된 제 4 홈(예: 제4 홈(132b))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스트렙(140-1)의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이 제1 결합부(131)의 가이드 홈에 삽입된 이후에는, 제1 결합부(131)에 형성된 제2 홈(예: 제2 홈(131b)) 및 제2 결합부(132)에 형성된 제4 홈(예: 후술하는 도 7의 제4 홈(132b))에 동시에 고정될 수 있다.
도 7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프레임부에 존재하는 체결부의 가이드 홈에 스트랩의 체결 구조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과정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제1 결합부(131) 및 제2 결합부(132)는 제1 결합부(131) 및 제2 결합부(132)를 삽입되는 홈(131a, 132a)에서부터 중간홈(131c, 132c)을 따라 고정되는 홈(131b, 132b)을 지나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스트렙(140-1)의 체결 구조(142)는 상태 710 내지 상태 750을 거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프레임부(예: 프레임부(120))에 존재하는 결합부(예: 제1 결합부(131), 제2 결합부(132))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태 710에서의 스프링(143-2)은 제1 수축 상태, 상태 720 내지 730에서의 스프링(143-2)은 제2 수축 상태, 상태 740에서의 스프링(143-2)은 제3 수축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태 750에서의 스프링(143-2)은 제1 수축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태 710에서는, 제1 스트렙(140-1)의 체결 구조(142)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결합부(131)에는 체결 구조(142)의 하나의 핀(142-1)이 삽입될 수 있는 제1 홈(131a)이, 제2 결합부(132)에는 체결 구조(142)의 다른 하나의 핀(142-2)이 삽입될 수 있는 제3 홈(132a)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제1 결합부(131)에는 제1 홈(131a) 및 제2 홈(131b)을 포함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 또한 가이드 홈은 제1 홈(131a) 및 제2 홈(131b)을 연결하는 중간 구조인 중간 홈(131c)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제2 결합부(132)에는 제3 홈(132a) 및 제4 홈(132b)을 포함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홈은 제3 홈(132a) 및 제4 홈(132b)을 연결하는 중간 구조인 중간 홈(132c)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 구조(142)가 삽입되는 홈(예: 제1 홈(131a), 제3 홈(132a))의 깊이보다, 체결 구조(142)가 고정되는 홈(예: 제2 홈(131b), 제4 홈(132b))의 깊이가 더 깊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았으나, 체결 구조(142)가 삽입되는 삽입되는 홈(예: 제1 홈(131a), 제3 홈(132a))의 깊이가 체결 구조(142)가 고정되는 홈(예: 제2 홈(131b), 제4 홈(132b))의 깊이와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더 깊을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홈(131c, 132c)은 체결 구조(142)가 삽입되는 홈(예: 제1 홈(131a), 제3 홈(132a))에서 체결 구조(142)가 고정되는 홈(예: 제2 홈(131b), 제4 홈(132b))으로 갈수록 깊이가 얕아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 구조(142)가 삽입되는 홈(예: 제1 홈(131a), 제3 홈(132a))과 체결 구조(142)가 고정되는 홈(예: 제2 홈(131b), 제4 홈(132b))을 연결하는 중간 홈(131c, 132c)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이 없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중간 홈(131c, 132c)은 직선으로 이어지는 형태로 홈(예: 제1 홈(131a), 제3 홈(132a))과 홈(예: 제2 홈(131b), 제4 홈(132b))을 연결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중간 홈(131c, 132c)은 곡선으로 이어지는 형태로 홈(예: 제1 홈(131a), 제3 홈(132a))과 홈(예: 제2 홈(131b), 제4 홈(132b))을 연결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태 720은, 제1 스트렙(140-1)의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이 결합부(예: 제1 결합부(131), 제2 결합부(132))에 삽입되는 시점의 상태를 나타낸다.
일 실시 예에서, 돌출 핀(143-1)은 결합부(예: 제1 결합부(131), 제2 결합부(132))에 형성된 삽입을 위한 홈(예: 제1 홈(131a), 제3 홈(132a)))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돌출 핀(143-1)의 돌출 부분이 제1 결합부(131) 및 제2 결합부(132)의 삽입되는 홈(예: 제1 홈(131a), 제3 홈(132a))에 돌출 핀(143-1)을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 핀(143-1)의 돌출 부분 삽입되는 홈(예: 제1 홈(131a), 제3 홈(132a))의 입구에서 사용자가 제1 스트랩(140-1) 제1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돌출 핀(143-1)이 제1 홈(131a) 및/또는 제3 홈(132a)에 삽입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조작 핀(143-4)을 통해 스프링(143-2)을 수축시킴으로써 돌출 핀(143-1)의 돌출 부분의 길이를 짧아지게 하여, 돌출 부분이 짧아진 상태에서 제1 결합부(131) 및 제2 결합부(132)의 삽입되는 홈(예: 제1 홈(131a), 제3 홈(132a))에 돌출 핀(143-1)을 삽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 730 내지 740에서, 제1 스트렙(140-1)의 돌출 핀(143-1)의 돌출 부분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하여 중간 홈(예: 중간 홈(131c, 132c))을 따라서 체결 구조(142)가 고정되는 홈(예: 제2 홈(131b), 제4 홈(132b))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스트렙(140-1)의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은 결합부(예: 제1 결합부(131), 제2 결합부(132))에 형성된 홈(예: 제1 홈(131a), 제3 홈(132a))을 통해 결합부(예: 제1 결합부(131), 제2 결합부(132))의 가이드 홈에 진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 구조(142)의 고정을 위한 홈(예: 제2 홈(131b), 제4 홈(132b))에 접근할수록, 사용자가 핀 조작부(143)를 조작하지 않아도 중간 홈(예: 중간 홈(131c, 132c)) 사이의 폭이 좁아지게 됨에 따라 스프링(143-2)이 수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구조(142)의 고정을 위한 홈으로 갈수록 중간 홈(131c)과 중간 홈(132c) 사이의 폭(또는 길이)은 좁아질 수 있다. 체결 구조(142)에 내장된 스프링(143-2)이 수축 또는 이완됨에 따라 돌출 핀(143-1)의 돌출 부분의 길이는 줄어들거나 늘어날 수 있으며, 중간 홈(131c)과 중간 홈(132c) 사이의 길이가 줄어들수록 체결 구조(142)의 스프링(143-2)이 수축되어 돌출 핀(143-1)의 돌출 부분의 길이가 줄어들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이 중간 홈(131c, 132c)과 고정을 위한 홈(예: 제2 홈(131b), 제4 홈(132b))의 경계를 지나면 돌출 핀(143-1)의 돌출 부분의 길이가 늘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을 위한 홈(예: 제2 홈(131b), 제4 홈(132b))은 중간 홈(131c, 132c)보다 깊이가 깊게 형성되므로 깊이 차이가 존재할 수 있으며, 체결 구조(142) 내부의 스프링(143-2)은 중간 홈(131c, 132c)에서 점점 수축되다가 고정을 위한 홈(예: 제2 홈(131b), 제4 홈(132b))에서 이완될 수 있다. 중간 홈(131c, 132c)으로부터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에 작용하던 외력이 고정을 위한 홈(예: 제2 홈(131b), 제4 홈(132b))에서 깊이 차이로 인해 작용하지 않거나 보다 약하게 작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스프링(143-2)이 이완됨으로써 돌출 핀(143-1)의 돌출 부분의 길이가 늘어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 750에서, 제1 스트렙(140-1)의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은 중간 홈(예: 중간 홈(131c, 132c))을 지나서 체결 구조(142)가 고정되는 홈(예: 제2 홈(131b), 제4 홈(132b))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은 스프링(143-2)의 이완으로 인해 돌출 핀(143-1)의 돌출 부분의 길이가 늘어날 수 있고, 늘어난 돌출 핀(143-1)의 돌출 부분은 제2 홈(131b) 및 제4 홈(132b)에 고정될 수 있다.
도 8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프레임부에 존재하는 체결부의 가이드 홈에 스트랩의 체결 구조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과정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제1 결합부(131) 및 제2 결합부(132)는 제1 결합부(131) 및 제2 결합부(132)를 삽입되는 홈(제1 홈(131a), 제2 홈(132a))에서부터 중간홈(131c, 132c)을 따라 고정되는 홈(제2 홈(131b), 제4 홈(132b))을 지나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스트렙(140-1)의 체결 구조(142)는 상태 810 내지 850을 거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프레임부(예: 프레임부(120))에 존재하는 결합부(예: 제1 결합부(131), 제2 결합부(132))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태 810에서의 스프링(143-2)은 제1 수축 상태, 상태 820 내지 830에서의 스프링(143-2)은 제2 수축 상태, 상태 840에서의 스프링(143-2)은 제3 수축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태 850에서의 스프링(143-2)은 제1 수축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태 810에서, 제1 스트렙(140-1)의 체결 구조(142)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결합부(131)에는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이 삽입될 수 있는 제1 홈(131a)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결합부(132)에는 삽입을 위한 홈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제1 결합부(131)에는 제1 홈(131a) 및 제2 홈(131b)을 포함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홈은 제1 홈(131a) 및 제2 홈(131b)을 연결하는 중간 구조인 중간 홈(131c)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제2 결합부(132)에는 삽입을 위한 홈(예: 도 7의 제3 홈(132a))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이 삽입되는 홈(예: 제1 홈(131a))의 깊이보다, 체결 구조(142)가 고정되는 홈(예: 제2 홈(131b), 제4 홈(132b))의 깊이가 더 깊을 수 있다. 또한 중간 홈(131c)은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이 삽입되는 홈(예: 제1 홈(131a))에서 체결 구조(142)가 고정되는 홈(예: 제2 홈(131b), 제4 홈(132b))으로 갈수록 깊이가 얕아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이 삽입되는 홈(예: 제1 홈(131a))과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이 고정되는 홈(예: 제2 홈(131b))을 연결하는 중간 홈(131c)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이 없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중간 홈(131c)은 직선으로 이어지는 형태로 홈(예: 제1 홈(131a))과 홈(예: 제2 홈(131b))을 연결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중간 홈(131c)은 곡선으로 이어지는 형태로 홈(예: 제1 홈(131a))과 홈(예: 제2 홈(131b))을 연결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태 820은, 돌출 핀(143-1)은 결합부(예: 제1 결합부(131), 제2 결합부(132))에 삽입되는 시점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 중 일 측은 제1 홈(131a)에 안착될 수 있고, 돌출 핀(143-1)의 다른 일 측은 제4 홈(132b)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태 830 내지 840에서, 제1 스트렙(140-1)의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의 다른 일 측은 중간 홈(예: 중간 홈(131c))을 따라서 체결 구조(142)가 고정되는 홈(예: 제2 홈(131b), 제4 홈(132b))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스트렙(140-1)의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 중 일 측은 제2 결합부(132)에 형성된 제4 홈(132b)에 바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결합부(132)에는 삽입을 위한 홈 및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 중 일 측은 가이드 홈을 거치지 않고 직접 제4 홈(132b)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스트렙(140-1)의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의 다른 일 측은 제1 결합부(131)에 형성된 제1 홈(131a)을 통해 제1 결합부(131)의 가이드 홈에 진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의 다른 일 측은 고정을 위한 제2 홈(131b)에 접근할수록, 체결 구조(142)의 스프링(143-2)은 사용자가 조작 핀(143-4)을 조작하지 않아도 중간 홈(예: 중간 홈(131c)) 사이의 폭이 좁아지게 됨에 따라 수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의 다른 일 측이 고정을 위한 홈으로 갈수록 중간 홈(131c)의 깊이가 얕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 핀(143-1)의 다른 일 측이 고정을 위한 홈으로 갈수록 외력에 의해 체결 구조(142)의 스프링(143-2)이 수축되어 돌출 핀(143-1)의 돌출 부분의 길이가 줄어들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결합부(예: 제1 결합부(131), 제2 결합부(132))에 형성된 제2 홈(131b) 및 제4 홈(132b)은 홈의 깊이가, 삽입을 위한 제1 홈(131a)의 홈 또는 중간 홈(131c) 적어도 일부의 깊이보다 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부(예: 제1 결합부(131), 제2 결합부(132))에 형성된 제2 홈(131b) 및 제4 홈(132b)은 홈의 깊이가, 삽입을 위한 제1 홈(131a)의 홈의 깊이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간 홈(131c)과 고정을 위한 홈(예: 제2 홈(131b))의 경계를 지나면 돌출 핀(143-1)의 돌출 부분의 길이가 늘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을 위한 홈(예: 제2 홈(131b))은 중간 홈(131c)과 고정을 위한 홈(예: 제2 홈(131b))의 경계보다 깊이가 깊게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른 깊이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체결 구조(142) 내부의 스프링(143-2)은 중간 홈(131c)을 지나면서 점점 수축되다가 고정을 위한 홈(예: 제2 홈(131b))의 위치에서 이완될 수 있다. 중간 홈(131c)으로부터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에 작용하던 외력이 고정을 위한 홈(예: 제2 홈(131b))에서 깊이 차이로 인해 작용하지 않거나 약하게 작용하게 될 수 있고, 스프링(143-2)이 이완됨으로써 돌출 핀(143-1)의 돌출 부분의 길이가 늘어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태 850에서, 제1 스트렙(140-1)의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은 중간 홈(예: 중간 홈(131c))을 지나서 돌출 핀(143-1)이 고정되는 홈(예: 제2 홈(131b), 제4 홈(132b))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구조(142)의 돌출 핀(143-1)은 스프링(143-2)의 이완으로 인해 돌출 부분의 길이가 늘어날 수 있고, 늘어난 돌출 핀(143-1)의 돌출 부분은 제2 홈(131b) 및 제4 홈(132b)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는,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전면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예: 디스플레이(110)), 상기 디스플레이(예: 디스플레이(110))를 둘러싸면서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외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프레임부(예: 프레임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예: 프레임부(120))는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착용을 보조하는 스트랩(예: 140-1, 140-2)이 결합되는 체결부(예: 130-1, 130-2)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예: 130-1, 130-2)는, 제1 결합부(예: 제1 결합부(131)), 및 상기 제1 결합부(예: 제1 결합부(131))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결합부(예: 제2 결합부(13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예: 제1 결합부(131))는, 상기 스트랩(예: 140-1, 140-2)의 체결 구조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홈(예: 제1 홈(131a)), 및 상기 스트랩(예: 140-1, 140-2)의 체결 구조가 고정될 수 있는 제2 홈(예: 제2 홈(131b))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예: 제2 결합부(132))는, 상기 스트랩(예: 140-1, 140-2)의 체결 구조가 고정될 수 있는 제4 홈(예: 제4 홈(132b))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예: 140-1, 140-2)의 체결 구조는 돌출 핀(예: 돌출 핀(143-1))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 핀(예: 돌출 핀(143-1))은 적어도 상기 제1 홈(예: 제1 홈(131a))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2 홈(예: 제2 홈(131b)) 및 상기 제4 홈(예: 제4 홈(132b))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예: 140-1, 140-2)의 체결 구조는 핀 스프링 타입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제1 홈(예: 제1 홈(131a))과 상기 제2 홈(예: 제2 홈(131b)) 사이에는 상기 스트랩(예: 140-1, 140-2)의 체결 구조가 통과할 수 있는 제1 중간 홈(예: 중간 홈(131c))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제1 홈(예: 제1 홈(131a)), 상기 제2 홈(예: 제2 홈(131b)), 및 상기 제1 중간 홈(예: 중간 홈(131c))이 일체의 구조로서 제1 가이드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간 홈(예: 중간 홈(131c))은, 곡선의 형태로 상기 제1 홈(예: 제1 홈(131a)) 및 제2 홈(예: 제2 홈(131b))을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간 홈(예: 중간 홈(131c))은, 직선 또는 곡선의 형태로 상기 제1 홈(예: 제1 홈(131a)) 및 제2 홈(예: 제2 홈(131b))을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제2 홈(예: 제2 홈(131b)) 및 상기 제4 홈(예: 제4 홈(132b))은 각각 상기 제1 결합부(예: 제1 결합부(131)) 및 상기 제2 결합부(예: 제2 결합부(132))에 서로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제4 홈(예: 제4 홈(132b))의 깊이는, 상기 제1 홈(예: 제1 홈(131a)) 또는 상기 제2 홈(예: 제2 홈(131b))보다 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예: 제2 결합부(132))는, 상기 스트랩(예: 140-1, 140-2)의 체결 구조가 삽입될 수 있는 제3 홈(예: 제3 홈(132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제3 홈(예: 제3 홈(132a))과 상기 제4 홈(예: 제4 홈(132b)) 사이에는 상기 스트랩(예: 140-1, 140-2)의 체결 구조가 통과할 수 있는 제2 중간 홈(예: 중간 홈(132c))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제3 홈(예: 제3 홈(132a)), 상기 제4 홈(예: 제4 홈(132b)), 및 상기 제2 중간 홈(예: 중간 홈(132c))이 일체의 구조로서 제2 가이드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제2 홈(예: 제2 홈(131b)) 및 상기 제4 홈(예: 제4 홈(132b))은 각각 상기 제1 결합부(예: 제1 결합부(131)) 및 상기 제2 결합부(예: 제2 결합부(132))에 서로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제3 홈(예: 제3 홈(132a)) 및 상기 제4 홈(예: 제4 홈(132b))의 깊이는, 상기 제1 홈(예: 제1 홈(131a)) 및 상기 제2 홈(예: 제2 홈(131b))보다 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간 홈(예: 중간 홈(132c))은, 곡선의 형태로 상기 제1 홈(예: 제1 홈(131a)) 및 제2 홈(예: 제2 홈(131b))을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중간 홈은, 직선의 형태로 상기 제1 홈(예: 제1 홈(131a)) 및 제2 홈(예: 제2 홈(131b))을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제2 홈(예: 제2 홈(131b))이 상기 제1 홈(예: 제1 홈(131a)) 보다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외곽에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예: 제1 결합부(131))에는, 상기 제1 홈(예: 제1 홈(131a)) 및 상기 제2 홈(예: 제2 홈(131b))을 포함하는 제1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예: 제2 결합부(132))에는, 상기 스트랩(예: 140-1, 140-2)의 체결 구조가 삽입될 수 있는 제3 홈(예: 제3 홈(132a)) 상기 제4 홈(예: 제4 홈(132b))을 포함하는 제2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홈 및 상기 제2 가이드 홈은 이격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Claims (18)

  1.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전면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둘러싸면서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외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착용을 보조하는 스트랩이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스트랩의 체결 구조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홈, 및 상기 스트랩의 체결 구조가 고정될 수 있는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스트랩의 체결 구조가 고정될 수 있는 제4 홈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의 체결 구조는 돌출 핀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 핀은 적어도 상기 제1 홈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2 홈 및 상기 제4 홈에 고정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의 체결 구조는 핀 스프링 타입인, 웨어러블 전자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 사이에는 상기 스트랩의 체결 구조가 통과할 수 있는 제1 중간 홈이 형성되어 있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홈, 상기 제2 홈, 및 상기 제1 중간 홈이 일체의 구조로서 제1 가이드 홈을 형성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간 홈은, 곡선의 형태로 상기 제1 홈 및 제2 홈을 연결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간 홈은, 직선 또는 곡선의 형태로 상기 제1 홈 및 제2 홈을 연결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홈 및 상기 제4 홈은 각각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에 서로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4 홈의 깊이는, 상기 제1 홈 또는 상기 제2 홈보다 깊은,
    전자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스트랩의 체결 구조가 삽입될 수 있는 제3 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3 홈과 상기 제4 홈 사이에는 상기 스트랩의 체결 구조가 통과할 수 있는 제2 중간 홈이 형성되어 있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3 홈, 상기 제4 홈, 및 상기 제2 중간 홈이 일체의 구조로서 제2 가이드 홈을 형성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 홈 및 상기 제4 홈은 각각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에 서로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3 홈 및 상기 제4 홈의 깊이는,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보다 깊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간 홈은, 곡선의 형태로 상기 제1 홈 및 제2 홈을 연결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중간 홈은, 직선의 형태로 상기 제1 홈 및 제2 홈을 연결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홈이 상기 제1 홈 보다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외곽에 존재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에는,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을 포함하는 제1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에는, 상기 스트랩의 체결 구조가 삽입될 수 있는 제3 홈 상기 제4 홈을 포함하는 제2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홈 및 상기 제2 가이드 홈은 이격적으로 배치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1020200169690A 2020-12-07 2020-12-07 체결 구조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2022008050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690A KR20220080506A (ko) 2020-12-07 2020-12-07 체결 구조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PCT/KR2021/016382 WO2022124602A1 (ko) 2020-12-07 2021-11-11 체결 구조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US18/298,683 US20230255326A1 (en) 2020-12-07 2023-04-11 Wear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astening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690A KR20220080506A (ko) 2020-12-07 2020-12-07 체결 구조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506A true KR20220080506A (ko) 2022-06-14

Family

ID=81974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690A KR20220080506A (ko) 2020-12-07 2020-12-07 체결 구조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255326A1 (ko)
KR (1) KR20220080506A (ko)
WO (1) WO202212460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1802A (ja) * 1993-12-27 1995-09-05 Citizen Watch Co Ltd 腕時計における連結構造
EP1220060A1 (fr) * 2000-12-22 2002-07-03 Vaucher Outillage Horloger Dispositif pour le montage d'un brin souple notamment sur une boíte de montre et boíte de montre et procédé de montage d'un tel brin souple
KR20170111474A (ko) * 2016-03-28 2017-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워치
KR101884683B1 (ko) * 2016-11-07 2018-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신체 장착형 장치
KR102534554B1 (ko) * 2017-01-03 2023-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밴드 체결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55326A1 (en) 2023-08-17
WO2022124602A1 (ko) 202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49495A1 (en) Interposed goggle frame snap assembly
KR101481746B1 (ko)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
US10646007B2 (en) Band latch mechanism
EP1008369A1 (en) Swimming goggles
TW200938111A (en) Buckle
US7296306B2 (en) Length-adjusting device for head strap of swimming/diving goggles
EP3510980B1 (en) Goggles with interchangeable locking strap
KR20070012677A (ko) 고글
EP0891789A1 (en) Swimming goggle structure
KR100393882B1 (ko) 수중 안경
KR20220080506A (ko) 체결 구조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US20090205115A1 (en) Strap Adjusting Device for Swimming Goggles
KR101504821B1 (ko) 광 커넥터
EP3756502A1 (en) Watch strap assembly and wearable apparatus
CN111744162B (zh) 护目镜带保持系统和方法
EP2823865B1 (en) Goggles comprising adjustable nose bridge
US7200876B2 (en) Swimming goggles for swimming pool purposes
JP4727622B2 (ja) シャッター
CN110973780A (zh) 腕戴设备的快拆机构以及腕戴设备
TWI630945B (zh) 蛙鞋
US20230028543A1 (en) Combined goggle and face mask
US8353433B2 (en) Two-part structural support member for a harness for breathing apparatus
US5918351A (en) Strap connectors for swimming goggles
US20020138898A1 (en) Dual single-eye swimming goggles system
KR102512220B1 (ko) 고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