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0242A - A Expanding Device for Correcting a Snoring - Google Patents

A Expanding Device for Correcting a Sno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0242A
KR20220080242A KR1020200169136A KR20200169136A KR20220080242A KR 20220080242 A KR20220080242 A KR 20220080242A KR 1020200169136 A KR1020200169136 A KR 1020200169136A KR 20200169136 A KR20200169136 A KR 20200169136A KR 20220080242 A KR20220080242 A KR 20220080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ring
expansion
nose
pair
nas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1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화목
Original Assignee
임화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화목 filed Critical 임화목
Priority to KR1020200169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0242A/en
Publication of KR20220080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0242A/en
Priority to KR1020230083637A priority patent/KR2023010715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8Devices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nose ; Devices for enlarging the nostril, e.g. for breathing improv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골이 방지용 비강 확장기에 관한 것이다. 코골이 방지용 비강 확장기는 코의 서로 다른 구멍으로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 몸체(11a, 11b); 삽입 몸체(11a, 11b)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 블록(12); 및 한 쌍의 삽입 몸체(11a, 11b)의 각각의 한쪽 끝에 형성된 확장 날개(13a, 13b)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sal dilator for preventing snoring. The nasal dilator for preventing snoring includes a pair of insertion bodies that are inserted into different holes of the nose (11a, 11b); a connection block 12 for connecting the insertion bodies 11a and 11b to each other; and expansion wings 13a and 13b formed at one end of each of the pair of insertion bodies 11a and 11b.

Description

코골이 방지용 비강 확장기{A Expanding Device for Correcting a Snoring}A nasal expander for preventing snoring {A Expanding Device for Correcting a Snoring}

본 발명은 코골이 방지용 비강 확장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코의 내부로 삽입되어 비강을 확장시켜 수면 과정에서 코골이 또는 수면 무호흡이 방지되도록 하는 코골이 방지용 비강 확장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sal dilator for preventing snor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nasal dilator for preventing snoring, which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nose to expand the nasal cavity to prevent snoring or sleep apnea during sleep.

기도 주변 근육의 약화 또는 비강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하여 발생하는 코골이는 대부분의 경우 수면 무호흡증을 동반한다. 이로 인하여 코골이는 주변에 소음을 발생시키면서 이와 동시에 수면 과정에서 산소가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하여 건강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코골이는 수면 중에 발생하므로 조절이 되지 못하므로 강제적으로 방지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특허등록번호 10-0893945는 코의 비강 내에 삽입하여 코골이를 방지하도록 한 코골이 방지 기구에 대하여 개시한다. 특허등록번호 10-2010191은 코골이 방지용 비장 확장구에 대하여 개시한다. 코골이 다양한 방법으로 방지되거나, 치료될 수 있지만 강제적으로 비강을 확장키는 것이 간단하면서 효율적인 치료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확장기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Snoring caused by weakness of the muscles around the airways or structural problems in the nasal passages accompanies sleep apnea in most cases. Due to this, snoring may cause health problems by not being able to smoothly supply oxygen during sleep while generating noise around the snoring. And since such snoring occurs during sleep, it cannot be controlled, so it is necessary to forcibly prevent it. Patent Registration No. 10-0893945 discloses a snoring prevention device inserted into the nasal cavity of the nose to prevent snoring. Patent Registration No. 10-2010191 discloses a spleen expansion 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Although snoring can be prevented or treated in various ways, forcibly dilating the nasal passages can be a simple and effective treatment method. However, the prior art does not disclose a dilator having such a structure.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has the following objects.

선행기술 1: 특허등록번호 10-0893945(민경일, 2009.04.22. 공고) 코골이 방지기구Prior Art 1: Patent Registration No. 10-0893945 (Min Kyung-il, 2009.04.22. Announcement) Snoring Prevention Device 선행기술 2: 특허등록번호 10-2010191(이형주, 2019.08.12. 공고) 코골이 방지용 비장 확장구Prior Art 2: Patent Registration No. 10-2010191 (Hyung-Joo Lee, Announcement on August 12, 2019) Spleen expansion 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본 발명의 목적은 비강 내부에 삽입되어 구조적으로 비강을 확장시키면서 이물 착용감이 감소되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하면서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증이 방지되도록 하는 코골이 방지용 비강 확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asal dilator for preventing snoring, which is inserted into the nasal cavity to structurally expand the nasal cavity, reduce foreign body wear, and improve ease of use while preventing snoring and sleep apnea.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코골이 방지용 비강 확장기는 코의 서로 다른 구멍으로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 몸체; 삽입 몸체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 블록; 및 한 쌍의 삽입 몸체의 각각의 한쪽 끝에 형성된 확장 날개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asal dilator for preventing snoring includes a pair of insertion bodies that are inserted into different holes of the nose; a connecting block connecting the inserting body to each other; and an expansion blade formed at one end of each of the pair of insertion bodies.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한 쌍의 삽입 몸체와 확장 날개를 연결하면서 확장 날개를 삽입 몸체에 대하여 비틀리도록 또는 경사지도록 연결하는 비틀림 조절 블록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ncludes a torsion control block for connecting the pair of insertion body and the expansion blade while twisting or obliquely connecting the expansion blade with respect to the insertion body.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확장 날개는 삽입 몸체의 연장 방향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유도하는 유도 부분; 및 유도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가지면서 코의 내부를 확장시키는 확장 부분으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nsion wing includes a guide portion guiding to exten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insertion body; and an expansion part that expands the inside of the nose while having a relatively large width compared to the induction part.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비강 확장기는 수면 과정에서 비강 내부로 삽입되어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증이 방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강 확장기는 비강 내부 굴곡 구조에 적응되면서 이물 착용감이 감소되도록 하는 구조에 의하여 착용에 따른 수면 장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강 확장기는 예를 들어 항균 실리콘과 같은 소재로 만들어져 비강 내부에서 마찰이 최소로 되도록 하면서 항균 기능이 나타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강 확장기는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착용 및 제거가 용이하고, 수면 과정을 비롯하여 일상 생활 과정에서 착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진다.The nasal dilator for preventing sn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nasal cavity during sleep to prevent snoring and sleep apnea. The nasal di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apted to the internal flexural structure of the nasal cavity and prevents sleep disturbance due to wearing by a structure that reduces wearing of foreign substances. The nasal di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for example, antibacterial silicone to minimize friction in the nasal cavity while exhibiting an antibacterial function. The nasal di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ructurally simple, so it is easy to wear and remove, and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worn in the course of daily life, including the sleep proces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비강 확장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비강 확장기의 구조적 특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 개의 코골이 방지용 비강 확장기로 이루어진 비강 확장기 세트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n embodiment of a nasal dilator for preventing sn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n embodiment of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nasal dilator for preventing sn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n embodiment of a nasal expander se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anti-snoring nasal expand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embodiments are for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different drawings have similar functions, so unless necessary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the description will not be repeated and well-known components will be briefly described or omit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excluded from the embodiment 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비강 확장기(10)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1 shows an embodiment of the nasal dilator 10 for preventing sn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코골이 방지용 비강 확장기(10)는 코의 서로 다른 구멍으로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 몸체(11a, 11b); 한 쌍의 삽입 몸체(11a, 11b)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블록(12); 및 한 쌍의 삽입 몸체(11a, 11b)의 각각의 한쪽 끝에 형성된 확장 날개(13a, 13b)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nasal dilator for preventing snoring (10) is a pair of insertion bodies (11a, 11b) inserted into different holes of the nose; a connection block 12 for connecting a pair of insertion bodies 11a and 11b to each other; and expansion wings 13a and 13b formed at one end of each of the pair of insertion bodies 11a and 11b.

비강 확장기(10)는 수면 과정에서 코에 삽입되어 코 내부의 공기 유동 경로를 강제적으로 확장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비강 확장기는 수면 과정을 비롯하여 필요한 경우 일상생활 과정에서 간단하게 코에 삽입되거나, 코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한 쌍의 삽입 몸체(11a, 11b)는 각각 서로 다른 코의 내부로 삽입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한 쌍의 삽입 몸체(11a, 11b)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가지면서 판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각각의 삽입 몸체(11a, 11b)는 상하 가장자리가 전체적으로 곡면 형상이 되면서 점차로 폭이 작아지는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서로 마주보면서 연장되는 한 쌍의 삽입 몸체(11a, 11b)는 서로 마주보는 간격이 감소되도록 연장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각각의 삽입 몸체(11a, 11b)는 끝 부분이 비틀리는 구조 또는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 몸체(11a, 11b)는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판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고, 끝 부분에서 위쪽 부분이 안쪽 방향으로 또는 아래쪽 부분이 바깥쪽 방향으로 비틀리거나, 경사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비틀림 구조 또는 경사 구조에 의하여 코의 내부 둘레 면에 가해지는 압력이 감소되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코 내부의 통로 구조에 적합하여 내부 유동 경로를 효과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한 쌍의 삽입 몸체(11a, 11b)는 연결 블록(12)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블록(12)은 한 쌍의 삽입 몸체(11a, 11b)의 한쪽 끝 부분을 서로 연결시키면서, 한 쌍의 삽입 몸체(11a, 11b)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연결 블록(12)은 전체적으로 중심 부분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는 평면 형상과 곡면 형상이 결합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판 형상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심 부분은 평면 형상이 되면서 양쪽 방향으로 평면 형상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삽입 몸체(11a, 11b)에 연결되도록 곡면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결 블록(12)은 한 쌍의 삽입 몸체(11a, 11b)를 연결하면서 삽입 몸체(11a, 11b)가 코의 내부로 너무 깊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각각의 삽입 몸체(11a, 11b)의 다른 끝 부분으로부터 비틀림 조절 블록(14a, 14b)이 연장될 수 있고, 각각의 비틀림 조절 블록(14a, 14b)에 의하여 비틀림 또는 경사가 조절되어 한 쌍의 확장 날개(13a, 13b)가 연장될 수 있다. 비틀림 조절 블록(14a, 14b)은 확장 날개(13a, 13b)를 삽입 몸체(11a, 11b)에 연결하면서 확장 날개(13a, 13b)의 비틀림 수준 또는 경사 수준을 조절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확장 날개(13a, 13b)는 삽입 몸체(11a, 11b)의 측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비틀림 조절 블록(14a, 14b)은 이와 같은 측면 연장을 유도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확장 날개(13a, 13b)에 의하여 코 내부의 유동 경로에서 막히는 부분이 확장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확장 날개(13a, 13b)는 경로의 위쪽 부분을 위쪽으로 들어 올리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이에 의하여 코에 가해지는 압박감이 감소되면서 효과적으로 경로 확장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확장 날개(13a, 13b)는 전체적으로 경사진 형상이 되면서 끝 부분이 연결 블록(12)을 향하는 구조를 가질 있다. 비틀림 조절 블록(14a, 14b)은 위쪽 부분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하도록 비틀린 구조 또는 경사진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도 1의 (가)에 도시된 것처럼, 전체적으로 확장 날개(13a, 13b)의 아래쪽 부분이 연결 블록(12)을 향하도록 경사질 수 있다. 확장 날개(13a, 13b)는 유동 경로의 확장을 위한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nasal dilator 10 is inserted into the nose during sleep to forcibly expand the air flow path inside the nose. The nasal dilator can be simply inserted into the nose or removed from the nose in the course of daily living if necessary, including during sleep. The pair of insertion bodies 11a and 11b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inserted into different noses, respectively. The pair of insertion bodies 11a and 11b may extend in a plate shape while having the same or similar structure. Each of the insertion bodies (11a, 11b) may extend in a form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edges become curved as a whole and gradually decrease in width. As shown in Figure 1, a pair of insert bodies (11a, 11b) extending while facing each other can be extended so that the distance facing each other is reduced, and optionally each insert body (11a, 11b) has an end It may have a twisted structure or an inclined shape. Specifically, the insertion body (11a, 11b) may extend in the shape of a plate er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upper portion at the end in the inward direction or the lower portion in the outward direction may be twisted or inclined. The pressure appli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ose is reduced by such a torsion structure or an inclined structure, and at the same time, it is suitable for the passage structure inside the nose, so that the inner flow path can be effectively expanded. The pair of insertion bodies 11a and 11b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on block 12 . The connection block 12 connects one end of the pair of insertion bodies 11a and 11b to each other, and allows the pair of insertion bodies 11a and 11b to be integrally formed. The connection block 12 may have a shape in which a planar shape and a curved shape that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as a whole are combined, and may be a plate shape er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Specifically, the central portion may extend in a curved shape so as to be connected to a pair of insertion bodies 11a and 11b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ar shape in both directions while being in a planar shape. The connecting block 12 may have various shapes to prevent the insertion body 11a, 11b from being inserted too deeply into the inside of the nose while connecting the pair of insertion bodies 11a and 11b, and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 does not A torsion control block 14a, 14b may extend from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insertion bodies 11a, 11b, and the twist or inclination is adjusted by each torsion control block 14a, 14b to thereby extend a pair of extensions. The wings 13a and 13b may extend. The torsion control blocks 14a and 14b may have a function of adjusting the twist level or the inclination level of the expansion blades 13a and 13b while connecting the expansion blades 13a and 13b to the insertion body 11a and 11b. Specifically, the expansion wings 13a and 13b may exten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insertion body 11a and 11b, and the torsion control blocks 14a and 14b may have a function of inducing such lateral extension. The part blocked in the flow path inside the nose can be expanded by the expansion wings 13a and 13b, and for this purpose, it is advantageous that the expansion wings 13a and 13b have a structure that lifts the upper part of the path upward. As a result, the pressure applied to the nose can be reduced and the path can be effectively expanded. To this end, the expansion wings 13a and 13b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ends face the connection block 12 while being in an inclined shape as a whole. The torsion control blocks 14a and 14b may have a twisted structure or an inclined structure so that their upper portions face each other, and thereby, as shown in FIG. ) may be inclined to face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block (12). The expansion blades 13a and 13b may be made of various structures for expanding the flow path and are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

도 1의 (가)를 참조하면, 비강 확장기(10)는 그룹 스트립(20)에 결합된 상태로 생산될 수 있고,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다수 개의 비강 확장기(10)의 하나의 그룹 스트립(10)에 결합될 수 있다. 사용을 위하여 각각의 비강 확장기(10)가 그룹 스트립(2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Referring to (a) of FIG. 1 , the nasal dilator 10 may be produced in a state coupled to the group strip 20, and one group strip 10 of a plurality of nasal dilators 10 having different sizes. ) can be combined with Each nasal dilator 10 may be separated from the group strip 20 for use.

도 1의 (나)를 참조하면, 연결 블록(12)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중심 부분을 포함하고, 중심 부분의 양쪽 방향으로 곡면 형상으로 연장되는 양쪽 연장 부분으로부터 삽입 몸체(11a, 11b)가 연장될 수 있다. 삽입 몸체(11a, 11b)는 점차로 높이 또는 폭이 좁아지면서 연장되고, 서로 마주보도록 연장되는 삽입 몸체(11a, 11b) 사이의 간격은 점차로 좁아질 수 있다. 삽입 몸체(11a, 11b)의 끝 부분으로부터 비틀림 조절 블록(14a, 14b)이 연장될 수 있고, 서로 마주보는 비틀림 조절 블록(14a, 14b)은 바깥쪽 방향으로 향하는 형상이 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위쪽 부분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아래쪽 부분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비틀림 구조 또는 경사진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비틀림 조절 블록(14a, 14b)은 볼록한 곡면 형상이 될 수 있고,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끝 부분이 연결 블록(12)의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비틀림 조절 블록(14a, 14b)으로부터 확장 날개(13a, 13b)가 연장될 수 있고, 확장 날개(13a, 13b)는 비틀린 형상으로 연장된 비틀림 조절 블록(14a, 14b)의 수직 방향에 대한 경사를 다시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는 형상이 되면서 연장될 수 있다. 확장 날개(13a, 13b)는 아래쪽 및 위쪽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이 되면서 연장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높이 또는 폭이 커지면서 연장된 이후 다시 폭이 작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확장 날개(13a, 13b)는 끝 부분이 연결 블록(12)의 방향을 향하는 볼록한 곡면 형상이 되면서 연장될 수 있고, 아래쪽 부분이 위쪽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볼록한 형상이 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높이 또는 폭 방향은 비틀린 방향을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는 형태가 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연결 블록(12)의 높이 또는 폭 방향과 유사하게 수직 방향이 되거나, 비틀림 조절 블록(14a, 14b)에 비하여 작은 경사를 가질 수 있다. 확장 날개(13a, 13b)의 확장시키는 코의 내부 구조에 적합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1 (b), the connection block 12 includes a plate-shaped central portion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insertion body 11a from both extension portions extending in a curved shape in both directions of the central portion. 11b) can be extended. The insertion body (11a, 11b) is extended as the height or width is gradually narrowed, the interval between the insertion body (11a, 11b) extending to face each other may be gradually narrowed. The torsion control blocks 14a and 14b may extend from the ends of the insertion bodies 11a and 11b, and the torsion control blocks 14a and 14b facing each other may have a shape facing outward, and at the same time The upper portion may be inclined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and the lower portion may have a torsional structure or an inclined structure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The torsion control blocks 14a and 14b may have a convex curved shape, and their ends may face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on block 12 while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extension blades 13a and 13b may extend from the torsion control blocks 14a and 14b having such a structure, and the extension blades 13a and 13b are vertical to the torsion control blocks 14a and 14b extending in a twisted shape. It can be extended with a shape that returns the inclination to the direction back to the original state. The extension wings 13a and 13b may extend in a convex shape in the downward and upward directions, and thereby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height or width increases and then decreases in width again. In addition, the extension wings 13a and 13b may extend while their end portions have a convex curved shape toward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on block 12 , and their lower portions may have a relatively more convex shape compared to their upper portions. At the same time, the height or width direction may be in the form of returning the twisted direction to its original state, and specifically, the height or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ion block 12 is simi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torsion control blocks 14a and 14b) It may have a small inclination compared to . The expansion wings 13a and 13b may have various shapes suitable for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expanding nos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비강 확장기의 구조적 특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2 shows an embodiment of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nasal dilator for preventing sn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의 (가)를 참조하면, 삽입 몸체(11a, 11b)는 연결 블록(12)으로부터 곡면 형상으로 연장되는 경계 부분(111); 경계 부분(111)으로부터 폭 또는 높이가 점차로 커지면서 연장되는 삽입 유도 부분(112); 및 삽입 유도 부분(112)의 끝 부분으로부터 다시 폭이 작아지면서 연장되는 목 부분(11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삽입 유도 부분(111)의 위쪽 및 아래쪽 테두리는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연장되면서 이와 동시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삽입 유도 부분(111)의 연장 구조는 코 내부의 형상에 따라 적절하게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Referring to Figure 2 (a), the insertion body (11a, 11b) is a boundary portion 111 extending in a curved shape from the connection block 12; an insertion guide portion 112 extending from the boundary portion 111 while gradually increasing in width or height; and a neck portion 113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insertion guide portion 112 while decreasing in width again.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insertion guide portion 111 may extend in a convex curved shape and at the same time extend in a convex shape as a whole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The extension structure of the insertion guide portion 111 may be appropriately mad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inside of the nose and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

도 2의 (나)를 참조하면, 확장 날개(13a, 13b)는 삽입 몸체(11a, 11b)의 연장 방향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유도하는 유도 부분(131); 및 유도 부분(13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가지면서 코의 내부를 확장시키는 확장 부분(132)으로 이루어진다. 확장 날개(13a, 13b)는 코의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되는 유동 경로를 확장시켜 유지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유도 부분(131)에 의하여 확장 날개(13a, 13b)가 비틀림 조절 블록(14a, 14b)과 연결되면서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유도 부분(131)은 바깥쪽으로 볼록한 곡면 형상이 될 수 있다. 확장 부분(132)은 전체적으로 바깥쪽으로 볼록한 곡면 형상이 되면서 자유로운 끝 부분을 형성하는 바깥쪽 끝 부분의 테두리는 아래쪽 방향으로 경사진 곡면 형상이 될 수 있다. 확장 부분(132)의 아래쪽 테두리는 위쪽 테두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곡률 반지름을 가진 곡면 형상이 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확장 부분(132)은 전체적으로 연장 방향을 따라 아래쪽 방향으로 경사진 구조가 될 수 있다. 확장 날개(13a, 13b)는 비틀림 조절 블록(14a, 14b)에 의하여 삽입 몸체(11a, 11b)와 연결될 수 있고, 비틀림 조절 블록(14a, 14b)은 삽입 몸체(11a, 11b)와 연결되는 유도 경계 부분(141) 및 유도 경계 부분(141)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볼록하도록 연장되는 비틀림 부분(14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비틀림 부분(142)의 위쪽 테두리는 아래쪽 테두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긴 연장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비틀림 조절 블록(14a, 14b)이 전체적으로 비틀림 구조 또는 경사 구조가 될 수 있다. 비틀림 조절 블록(14a, 14b)의 비틀림 또는 경사 수준은 코의 내부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Referring to (b) of Figure 2, the expansion blades (13a, 13b) is a guide portion 131 for guiding to exten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insertion body (11a, 11b); and an extension portion 132 that expands the inside of the nose while having a relatively greater width than that of the induction portion 131 . The expansion wings 13a and 13b may have a function of expanding and maintaining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flows inside the nose. The direction may be adjusted while the extension blades 13a and 13b are connected to the torsion control blocks 14a and 14b by the guide portion 131 . The guide portion 131 may have an outwardly convex curved shape. The extended portion 132 may have an outwardly convex curved surface as a whole, and an edge of an outer end forming a free end may have a downwardly inclined curved surface. The lower rim of the extended portion 132 may have a curved shape having a relatively small radius of curvature compared to the upper rim, whereby the extended portion 132 may have a structure inclined downwar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as a whole. . Expansion blades 13a, 13b may be connected to the insertion body 11a, 11b by torsion control blocks 14a, 14b, and torsion control blocks 14a, 14b are induction connected to the insertion body 11a, 11b The boundary portion 141 and the induction boundary portion 141 may be formed of a torsion portion 142 extending outwardly convex. The upper edge of the twisted portion 142 may have a relatively longer extension than the lower edge, whereby the torsion control blocks 14a and 14b may have a twisted structure or an inclined structure as a whole. The torsion or inclination level of the torsion control blocks 14a and 14b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nos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 개의 코골이 방지용 비강 확장기로 이루어진 비강 확장기 세트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3 shows an embodiment of a nasal expander se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anti-snoring nasal expand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다수 개의 비강 확장기(10a 내지 10k)가 원형 또는 반원형의 그룹 스트립(20a, 20b)에 결합되어 하나의 비강 확장기 세트를 형성할 수 있다. 각각의 비강 확장기(10a 내지 10k)는 분리 탭(21)을 떼어 내는 것에 의하여 그룹 스트립(20a, 20b)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하나의 세트를 형성하는 비강 확장기(10a 내지 10k)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면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비강 확장기(10a 내지 10k)는 실리콘, 항균 실리콘, 엘라스토머 또는 이와 유사한 신축성 또는 연성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쉽게 휘어질 수 있는 휨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소재 또는 물리적 특성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3 , a plurality of nasal dilators 10a to 10k may be coupled to a circular or semicircular group strip 20a, 20b to form one nasal dilator set. Each nasal dilator 10a - 10k may be separated from the group strips 20a, 20b by peeling off the separation tab 21 . The nasal dilators 10a to 10k forming one set may have the same or similar structure while having different sizes. The nasal dilators 10a to 10k may be made of silicone, antibacterial silicone, elastomer, or similar elastic or soft material, and may have flexural properties that can be easily b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such materials or physical properties.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ed embodimen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ed embodiment.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ut only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10: 비강 확장기 11a, 11b: 삽입 몸체
12: 연결 블록 13a, 13b: 확장 날개
14a, 14b: 비틀림 조절 블록
111: 경계 부분 112: 삽입 유도 부분
131: 유도 부분 132: 확장 부분
10: nasal dilators 11a, 11b: insertion body
12: connecting blocks 13a, 13b: expansion blades
14a, 14b: torsion control block
111: border portion 112: insertion guide portion
131: induction part 132: expansion part

Claims (3)

코의 서로 다른 구멍으로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 몸체(11a, 11b);
삽입 몸체(11a, 11b)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 블록(12); 및
한 쌍의 삽입 몸체(11a, 11b)의 각각의 한쪽 끝에 형성된 확장 날개(13a, 13b)를 포함하는 코골이 방지용 비강 확장기.
A pair of insertion bodies inserted into different holes of the nose (11a, 11b);
a connection block 12 for connecting the insertion bodies 11a and 11b to each other; and
A nasal dilator for preventing snoring comprising an expansion wing (13a, 13b) formed at one end of each of a pair of insertion bodies (11a, 11b).
청구항 1에 있어서, 한 쌍의 삽입 몸체(11a, 11b)와 확장 날개(13a, 13b)를 연결하면서 확장 날개(13a, 13b)를 삽입 몸체(11a, 11b)에 대하여 비틀리도록 또는 경사지도록 연결하는 비틀림 조절 블록(14a, 14b)을 포함하는 코골이 방지용 비강 확장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ir of insertion bodies (11a, 11b) and the expansion blades (13a, 13b) while connecting the expansion blades (13a, 13b) to be twisted or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insertion body (11a, 11b) connected to Anti-snoring nasal dilator comprising torsion control block (14a, 14b). 청구항 1에 있어서, 확장 날개(13a, 13b)는 삽입 몸체(11a, 11b)의 연장 방향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유도하는 유도 부분(131); 및 유도 부분(13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가지면서 코의 내부를 확장시키는 확장 부분(13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용 비강 확장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pansion wings (13a, 13b) is a guide portion (131) for guiding to exten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insertion body (11a, 11b); and an expansion part 132 that expands the inside of the nose while having a relatively large width compared to the induction part 131 .
KR1020200169136A 2020-12-07 2020-12-07 A Expanding Device for Correcting a Snoring KR20220080242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136A KR20220080242A (en) 2020-12-07 2020-12-07 A Expanding Device for Correcting a Snoring
KR1020230083637A KR20230107158A (en) 2020-12-07 2023-06-28 A Expanding Device for Correcting a Sno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136A KR20220080242A (en) 2020-12-07 2020-12-07 A Expanding Device for Correcting a Snoring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3637A Division KR20230107158A (en) 2020-12-07 2023-06-28 A Expanding Device for Correcting a Sno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242A true KR20220080242A (en) 2022-06-14

Family

ID=8198046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136A KR20220080242A (en) 2020-12-07 2020-12-07 A Expanding Device for Correcting a Snoring
KR1020230083637A KR20230107158A (en) 2020-12-07 2023-06-28 A Expanding Device for Correcting a Snoring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3637A KR20230107158A (en) 2020-12-07 2023-06-28 A Expanding Device for Correcting a Sno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080242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945B1 (en) 2008-09-10 2009-04-22 민경일 Snoring prevention apparatus
KR102010191B1 (en) 2018-10-19 2019-08-12 이형주 Extension for snoring preven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945B1 (en) 2008-09-10 2009-04-22 민경일 Snoring prevention apparatus
KR102010191B1 (en) 2018-10-19 2019-08-12 이형주 Extension for snoring preven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7158A (en) 2023-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4495B2 (en) Nasal strip with variable spring rate
US20110224717A1 (en) Nasal dilator with variable spring rate
JP3616101B2 (en) Dilator for outer structure of human anatomy
CN100349560C (en) Nasal appliance
JP2010509949A (en) Nasal dilator
EP3000500B1 (en) Mask cushion for a full face mask
JP2017500158A5 (en)
CN108348350B (en) Nasal dilator
AU2021201983B2 (en) A nasal splint
KR20220080242A (en) A Expanding Device for Correcting a Snoring
US6328754B1 (en) Nasal dilator
CN113727683A (en) 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JP2019097904A (en) Sleep respiration securing tube
KR20240067847A (en) A Expanding Device for Correcting a Snoring
US20060266360A1 (en) Nasal dilator
ES2787209T3 (en) Nasal dilator
CN101252903B (en) Improved bunion cushion
JP3157028U (en) Respiratory aid
US20160235577A1 (en) Nasal dilator
WO2000066048A1 (en) Device for improving respiration and for eliminating snoring
JP5507723B1 (en) Nostril dilator
CN105999522A (en) Nasal dilator convenient to use
US20050197697A1 (en) Corrective element for presbyopia
US2131344A (en) Bathing cap
EP4226900A1 (en) Nasal dila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