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9913A - 용기용 캐리어 - Google Patents

용기용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9913A
KR20220079913A KR1020227015170A KR20227015170A KR20220079913A KR 20220079913 A KR20220079913 A KR 20220079913A KR 1020227015170 A KR1020227015170 A KR 1020227015170A KR 20227015170 A KR20227015170 A KR 20227015170A KR 20220079913 A KR20220079913 A KR 20220079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erimeter
attachment
openings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5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라이언 스몰리
Original Assignee
그래픽 팩키징 인터내셔날,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6/598,282 external-priority patent/US11261013B2/en
Application filed by 그래픽 팩키징 인터내셔날, 엘엘씨 filed Critical 그래픽 팩키징 인터내셔날,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20079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99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4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 B65D71/42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into a single lay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085Packaging elements adhered to the articles, e.g. a carton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4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 B65D71/46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into a tubula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5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otherwise than by folding a blank
    • B65D71/504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otherwise than by folding a blank the element being formed from a flexible sheet provided with slits or apertures intended to be stretched over the articles and adapt to the shape of the art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복수의 용기를 유지하기 위한 캐리어이며, 캐리어는 상단 패널,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 및 복수의 용기 중 하나 이상의 용기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부착 패널을 포함하는 복수의 패널로서,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은 복수의 용기 중 인접한 용기 사이에 위치되고 그 용기에 부착되기 위한 것이다. 캐리어는 복수의 용기 중 적어도 하나의 용기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도록 위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접근 특징부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접근 특징부는 상단 패널의 주변부 및 적어도 하나의 부착 패널의 주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용기용 캐리어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12월 14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779,689호, 2018년 12월 21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783,752호, 2019년 1월 25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796,830호, 2019년 1월 28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797,585호, 2019년 2월 25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810,015호, 2019년 3월 6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814,412호, 2019년 3월 12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817,120호, 및 2019년 5월 1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841,449호 각각의 이익을 주장하는, 2019년 5월 30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6/426,066호의 일부 계속 출원이다.
참조에 의한 통합
2018년 12월 14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779,689호, 2018년 12월 21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783,752호, 2019년 1월 25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796,830호, 2019년 1월 28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797,585호, 2019년 2월 25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810,015호, 2019년 3월 6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814,412호, 2019년 3월 12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817,120호, 2019년 5월 1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841,449호, 2019년 5월 30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6/426,050호, 2019년 5월 30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6/426,057호, 2019년 5월 30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6/426,060호, 2019년 5월 30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6/426,063호, 2019년 5월 30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6/426,066호, 2019년 5월 30일에 출원된 미국 디자인 특허 출원 제29/692,992호, 2019년 5월 30일에 출원된 미국 디자인 특허 출원 제29/692,993호, 2019년 5월 30일에 출원된 미국 디자인 특허 출원 제29/692,994호, 2019년 5월 30일에 출원된 미국 디자인 특허 출원 제29/692,996호, 및 미국 디자인 특허 출원 제29/692,997호 각각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제공된 것처럼 모든 목적을 위해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개시 내용은 일반적으로 용기를 보유, 디스플레이, 및/또는 운송하기 위한 카턴 또는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복수의 용기를 보유하기 위한 캐리어는 상단 패널,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 및 복수의 용기 중 하나 이상의 용기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부착 패널을 포함하는 복수의 패널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은 복수의 용기 중 인접한 용기 사이에 위치되고 그 용기에 부착되기 위한 것이다. 캐리어는 복수의 용기 중 적어도 하나의 용기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도록 위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접근 특징부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접근 특징부는 상단 패널의 주변부 및 적어도 하나의 부착 패널의 주변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 내용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복수의 용기를 보유하기 위한 캐리어를 형성하는 블랭크는, 상단 패널,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 및 적어도 하나의 부착 패널을 포함하는 복수의 패널, 및 상단 패널의 주변부 및 적어도 하나의 부착 패널의 주변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근 특징부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접근 특징부는 캐리어가 블랭크로부터 형성될 때 복수의 용기 중 적어도 하나의 용기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도록 위치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은 캐리어가 블랭크로부터 형성될 때, 복수의 용기 중 인접한 용기 사이에 위치되고 그 용기에 부착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 내용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복수의 용기를 보유하기 위한 캐리어를 형성하는 방법은 상단 패널,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 및 적어도 하나의 부착 패널을 포함하는 복수의 패널, 및 상단 패널의 주변부 및 적어도 하나의 부착 패널의 주변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근 특징부를 포함하는 블랭크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캐리어 형성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이 복수의 용기 중 인접한 용기 사이에 위치되도록 복수의 패널을 절첩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에 복수의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용기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접근 특징부는 복수의 용기 중 적어도 하나의 용기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패키지는 복수의 용기 및 복수의 용기를 보유하기 위한 캐리어를 포함한다. 캐리어는 상단 패널,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 및 복수의 용기 중 하나 이상의 용기의 일부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착 패널을 포함하는 복수의 패널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은 복수의 용기 중 인접한 용기 사이에 위치되어 그에 부착된다. 캐리어는 복수의 용기 중 적어도 하나의 용기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도록 위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접근 특징부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접근 특징부는 상단 패널의 주변부 및 적어도 하나의 부착 패널의 주변부를 포함한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아래에 나열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으면 전술한 장점 및 다양한 추가 실시예의 다른 장점 및 이점을 이해할 것이다. 전술한 양태가 개별적으로 그리고 다양한 조합 모두로 제공된다는 것은 본 개시 내용의 범위 내에 있다.
통상적인 관행에 따르면, 아래에서 설명되는 도면의 다양한 특징은 반드시 축척에 맞춰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도면의 다양한 특징 및 요소의 치수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를 더욱 명확하게 예시하기 위해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 내용의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및 패키지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의 외부 표면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블랭크로부터 형성된 캐리어의 부분적으로 절첩된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블랭크로부터 형성된 캐리어의 또 다른 부분적으로 절첩된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블랭크로부터 형성되고 용기가 제거된 캐리어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용기가 제거된 도 4의 캐리어의 배면도이다.
도 6은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블랭크로부터 형성된 또 다른 부분적으로 절첩된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블랭크로부터 형성되고 제1 구성의 접근 특징부를 갖는 패키지 및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제2 구성의 접근 특징부를 갖는 도 7의 패키지 및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제2 구성의 1개의 접근 특징부를 갖는 도 7의 패키지 및 캐리어의 또 다른 사시도이다.
도 10은 용기가 제거된 도 9의 패키지 및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 내용의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및 패키지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의 외부 표면의 평면도이다.
대응하는 부분은 도면 전체에 걸쳐 대응하는 참조 번호로 지정된다.
본 개시 내용은 일반적으로 통(jar), 병, 캔 등과 같은 용기를 보유하고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캐리어, 패키지, 구조체, 슬리브, 카턴 등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용기는 식품 및 음료 제품을 포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용기는 조성이 특정 식품 또는 음료 품목을 포장하는 데 적절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재료는 유리; PET, LDPE, LLDPE, HDPE, PP, PS, PVC, EVOH, 및 나일론 등과 같은 플라스틱; 알루미늄 및/또는 기타 금속;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 내용에 따른 캐리어는 다수의 상이한 형상의 용기를 수용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예시의 목적으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캐리어 실시예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음료 용기(예를 들어, 알루미늄 캔)를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하부", "저부", "상부", "상단", "전방", 및 "후방"이라는 용어는 완전히 조립된 캐리어와 관련하여 결정된 배향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캐리어는 다수의 중첩 패널, 단부 플랩, 및/또는 블랭크의 다른 부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패널, 단부 플랩, 및/또는 블랭크의 다른 부분은, 본 개시 내용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순차적 또는 비순차적 기준으로 서로에 대해 상대적인 용어, 예를 들어 "제1", "제2", "제3" 등으로 지정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 내용의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105)(도 7)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블랭크(103)의 외부면(101)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캐리어(105)는 6개의 용기를 수용하거나 지지하도록 크기 설정될 수 있는데, 3개의 용기(CA1, CA2, CA3)는 캐리어(105)의 전방부(106)에 부착되고, 3개의 용기(CB1, CB2, CB3)는 캐리어(105)의 후방부(108)에 부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용기(CA1, CA2, CA3, CB1, CB2, CB3)는 음료 캔일 수 있거나, 본 개시 내용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유형 및 크기의 용기일 수 있다. 캐리어(105)는 6개보다 많거나 적은 용기를 보유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형상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캐리어(105)의 전방부(106) 및 후방부(108)는 각각 3개의 용기를 가지고, 다른 실시예에서, 캐리어(105)의 전방부(106) 및 후방부(108)는 본 개시 내용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3개보다 많거나 적은 용기를 운반할 수 있다. 캐리어(105)는 패키지(110)(도 7)로서 하나 이상의 용기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랭크(103)는 길이방향 축(L1) 및 측방향 축(L2)을 갖는다. 블랭크(103)는 캐리어(105)의 전방부(106)를 형성하기 위한 전방부(107), 및 캐리어(105)의 후방부(108)를 형성하기 위한 후방부(109)를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랭크(103)의 전방부(107) 및 후방부(109)는 블랭크(103)의 측방향 중심선(CL)을 형성하는 측방향 절첩선(112)에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블랭크(103)의 전방부(107) 및 후방부(109)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면 접촉으로 중첩되도록, 블랭크(103)는 중심선(CL)을 따라서 절첩선(112)에서 블랭크(103)를 절첩시킴으로써 캐리어(105)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블랭크(103)의 전방부(107)는 측방향으로 이격된 접착제 또는 글루 개구(127a)의 제1 전방 열(RF1), 및 측방향으로 이격된 접착제 또는 글루 개구(127a)의 제2 전방 열(RF2)을 갖는 전방 중앙 패널(125a)를 포함한다. 제1 열(RF1)의 개별 글루 개구(127a)의 상단 에지는 절첩선(112)으로부터 길이방향 거리(D1)만큼 이격되고, 길이 방향 거리(D1)는 제2 열(RF2)의 개별 글루 개구(127a)의 상단 에지가 절첩선(112)으로부터 이격되는 길이방향 거리(D2)보다 작다.
전방 용기 보유 패널 또는 전방 부착 패널(131a)은 측방향 절첩선(133a)에서 전방 중앙 패널(125a)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고, 한 쌍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측방향 절첩선(137a, 139a)(대략적으로, 각각의 "제2 절첩선")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용기 보유 부분(135a)을 포함하고, 이들 절첩선들은 하나 이상의 만곡된 및/또는 각진 부분을 각각 포함할 수 있는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절단부(141a)의 각각의 쌍에 의해 각각 중단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절단부(141a)는 용기 보유 부분(135a)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는 용기 보유 탭(148a)을 형성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경사 절단부(143a, 145a)는 개별 용기 보유 탭(148a)에 대면하는 전방 부착 패널(131a)의 복수의 재구성 가능한 에지를 형성하도록 각각의 개별 절단부(141a)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패널(131a)의 내부 주변부(136a)는 절첩선(137a, 133a) 사이에 형성되고, 부착 패널(131a)의 외부 주변부(138a)는 절첩선(139a) 및 측방향 절첩선(171a) 사이에 형성된다.
블랭크(103)는, 절첩선(133a)을 중단시키고 전방 중앙 패널(125a)의 일부로부터 전방 부착 패널(131a)의 일부 내로 연장하는 한 쌍의 핸들 개구(130a)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개구(130a)는 길이방향 축(L1)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길이방향 섹션(132a) 및 측방향 축(L2)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관계로 길이방향 섹션(132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교하여 분기하고 교차하는 한 쌍의 측방향 섹션(134a)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핸들 개구(130a)의 분기 섹션(132a, 134a)은 서로 연통한다. 본 명세서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핸들 개구(130a)의 섹션(132a, 134a)은 소비자가 상이한 배향으로 캐리어(105)를 파지할 수 있는 다수의 결합 표면을 제공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플랩(136a)은 개별 만곡 절첩선(140a)에서 개별 부착 패널(131a)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고, 개별 길이방향 섹션(132a) 내로 연장한다. 캐리어(105)는 본 개시 내용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핸들 특징부의 상이한 배열을 가질 수 있거나, 핸들 특징부가 없을 수 있다.
블랭크(103)는 측방향 절첩선(171a)에서 전방 부착 패널(131a)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사면(bevel) 또는 전방 측면 패널(169a), 및 측방향 절첩선(175a)에서 전방 측면 패널(169a)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단 패널(173)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패널(173)은 한 쌍의 핸들 플랩(183, 185)을 형성하기 위해 한 쌍의 대향 만곡 절단부(177, 179), 및 만곡 절단부(177)로부터 만곡 절단부(179)로 연장하는 길이방향 절단부(181)를 각각 포함하는 추가적인 핸들 특징부(대략적으로는 "제1 핸들 특징부" 및 "제2 핸들 특징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길이방향 약화선(187, 189) 및 한 쌍의 측방향 약화선(190, 191)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재구성 가능한 배열을 제공하기 위해 각각의 플랩(183, 185)의 일부를 따라 연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약화선(187, 189, 190, 191) 중 하나 이상은 엠보스(emboss) 또는 디보스(deboss) 특징부와 같은 표면 특징부일 수 있다. 캐리어(205)의 핸들 특징부는 상단 패널(173) 내의 핸들 특징부를 포함하고, 또한 핸들 개구(130a, 130b)를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105)는 본 개시 내용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핸들 특징부의 상이한 배열을 가질 수 있거나, 핸들 특징부가 없을 수 있다.
도 1을 계속 참조하면, 상단 패널(173)은, 그 사이에 중앙부(197)를 형성하고 절첩선(175a, 193) 사이에 형성되는 상단 패널(173)의 제1 주변부(199), 및 절첩선(195)과 상단 패널(173)의 측방향 자유 에지 사이에 형성된 상단 패널(173)의 제2 주변부(201)를 더 형성하는 한 쌍의 측방향으로 이격된 길이방향 절첩선(193, 195)(대략적으로는, 각각 "제1 절첩선" 및 "제2 절첩선")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상단 패널(173)의 제1 주변부(199)는 절첩선(193)과 전방 측면 패널(169a) 사이에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캐리어(105)의 형성 시, 상단 패널(173)의 중앙부(197)는 전방 부착 패널(131a)의 용기 보유 부분(135a) 및 후방 부착 패널(131b)의 용기 보유 부분(135b)의 각각의 부분과 대체로 중첩하고 정렬하도록 위치되고, 상단 패널(173)의 제1 주변부(199)는 후방 부착 패널(131b)의 외부 주변부(138b)와 대체로 정렬하도록 위치되고, 상단 패널(173)의 제2 주변부(201)는 전방 부착 패널(131a)의 외부 주변부(138a)와 대체로 정렬하도록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블랭크(103)의 후방부(109)는 후방 중앙 패널(125b), 및 블랭크(103)의 전방부(107)의 대응하는 패널 및 플랩의 대체로 거울상인 관련 특징부를 갖는 후방 용기 보유 패널 또는 후방 부착 패널(131b)을 포함한다. 대응하는 컴포넌트(예를 들어, 패널, 플랩, 절첩선, 절단부 등)는 "a" 또는 "b" 접미사로 구분되는 대응하는 참조 번호로 지정되었으며, "a" 컴포넌트는 블랭크(103)의 전방부(107)에 대응하고, "b" 컴포넌트는 블랭크(103)의 후방부(109)에 대응한다. 블랭크(103)의 후방부(109)는 측방향 절첩선(171b)에서 후방 부착 패널(131b)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후방 측면 패널(169b), 및 측방향 절첩선(175b)에서 후방 측면 패널(169b)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부착 플랩(203)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대체로 U자 형상 절단부(157)는 중심선(CL)으로부터 연장하고, 측방향으로 이격된 글루 개구(127b)의 제1 후방 측방향 열(RB1)의 개별 글루 개구(127b)의 상단 에지를 형성하는 각각의 측방향 부분을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글루 개구(127b)의 제1 측방향 열(RB1)의 개별 글루 개구(127b)의 상단 에지는 길이방향 거리(D3)만큼 절첩선(112)으로부터 이격되고, 길이방향 길이(D3)는 글루 개구(127b)의 제2 후방 측방향 열(RB2)의 각각의 글루 개구(127b)의 상단 에지가 절첩선(112)으로부터 이격되는 길이방향 거리(D4)보다 작다.
이와 관련하여, 블랭크(103)는 중심선(CL)으로부터 각각의 길이방향 거리(D1, D2)만큼 이격되는 측방향으로 이격된 전방 글루 개구(127a)의 전방 열(RF1 및 RF2), 및 중심선(CL)으로부터 각각의 길이방향 거리(D3, D4)만큼 이격되는 측방향으로 이격된 후방 글루 개구(127b)의 후방 열(RB1 및 RB2)을 구비한다. 글루 개구(127a, 127b)는 D2 > D4 > D1 > D3 이도록 길이방향으로 엇갈린 배열을 갖는다. 블랭크(103)로부터 캐리어(105)의 형성 시, 길이방향 중심선(CL)/절첩선(112)은 중앙 패널(125a, 125b)의 저부 에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글루 개구(127a, 127b)의 배열은, 캐리어(105)의 조립(erection) 시에, 글루 개구(127a, 127b)가 개별 중앙 패널(125b, 125a)의 각각의 복수의 표면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도록 되어 있으며, 개별 중앙 패널(125b, 125a) 상에 개별 용기(CA1, CA2, CA3, CB1, CB2, CB3)가 캐리어(105)에 의한 용기(CA1, CA2, CA3, CB1, CB2, CB3)의 보유 및 지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부착될 수 있다.
임의의 패널, 플랩, 절첩선, 절단부, 또는 다른 특징부는, 본 개시 내용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른 방식으로 형상화되고, 배열되고, 및/또는 블랭크(103)로부터 생략될 수 있다. 블랭크(103)는 본 개시 내용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4개보다 많거나 적은 용기를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 및/또는 형상화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부착 패널(131a)의 용기 보유 부분(135a)이 용기(CA1, CA2, CA3) 위에 놓이고, 후방 부착 패널(131b)의 용기 보유 부분(135b)이 용기(CB1, CB2, CB3) 위에 놓이도록, 블랭크(103)의 내부 표면 또는 밑면이 용기(CA1, CA2, CA3, CB1, CB2, CB3)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용기(CA1, CA2, CA3, CB1, CB2, CB3) 위에서 부착 패널(131a, 131b)을 추가로 하향 위치시킴으로써, 개별 용기와 결합하도록 개별 용기 보유 부분(135a, 135b)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 부착 패널(131a)이 용기(CA1, CA2, CA3) 상으로 하강 또는 하향 압박됨에 따라 용기 보유 부분(135a)은 절단부(141a)에서 전방 부착 패널(131a)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에서, 용기 보유 탭(148a)이 예를 들어 개별 용기(CA1, CA2, CA3)의 림 또는 다른 상단 구조의 오목 부분과 결합할 수 있도록, 그리고 주변부(136a, 138a)의 복수의 재구성 가능한 에지가 예를 들어 개별 용기(CA1, CA2, CA3)의 롤형 림 에지 또는 다른 상단 구조와 결합할 수 있도록, 개별 용기(CA1, CA2, CA3)의 상부 또는 상단 부분(T)은 개별 절단부(141a)에 의해 형성된 각각의 개구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후방 부착 패널(131b)의 대응하는 부분의 이러한 재구성은 후방 부착 패널(131b)이 용기(CB1, CB2, CB3) 상으로 하강되거나 하향 압박될 때 발생할 수 있다. 개별 용기 보유 부분(135a, 135b)과 개별 용기의 전술된 결합 중에, 이러한 구성에서 부착 패널(131a)의 주변부(136a, 138a)는 개별 절첩선(137a, 139a)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향 절첩될 수 있고, 유사하게, 부착 패널(131b)의 주변부(136b, 138b)는 개별 절첩선(137b, 139b)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향 절첩될 수 있다.
도 3을 추가로 참조하면, 전방 중앙 패널(125a) 및 후방 중앙 패널(125b)은 절첩선(112)에서 절첩될 수 있어서, 전방 중앙 패널(125a) 및 후방 중앙 패널(125b)은 각각의 인접한 용기들 사이에 위치되도록 화살표(A1, A2)의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면 접촉되고, 개별 글루 개구(127a, 127b)는 측방향으로는 정렬되지만 전술된 바와 같이 전방 글루 개구(127a)의 개별 열(RF1, RF2)과 후방 글루 개구(127b)의 개별 열(RB1, RB2)의 절첩선(11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상이한 상대적 간격으로 인해 길이방향으로는 오프셋되도록 위치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중앙 패널(125a, 125b)은, 개별 용기(CA1, CA2, CA3, CB1, CB2, CB3)가 접착되거나 또는 달리 부착될 수 있는 각각의 표면과 중앙 패널(125a, 125b) 사이의 연통을 제공하기 위해, 전방 중앙 패널(125a)의 일부가 글루 개구(127b)의 각각과 중첩하고, 후방 중앙 패널(125b)의 일부가 글루 개구(127a)의 각각과 중첩하도록 배열된다. 중앙 패널(125a, 125b)의 이러한 재배열은 또한 개별 중앙 패널(125a, 125b)이 개별 절첩선(133a, 133b)에서 개별 부착 패널(131a, 131b)에 대해 하향으로 절첩되게 할 수 있다.
개별 용기(CA3, CB1)가 도시의 명확성을 위해 제거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접착성 글루(G)가 용기(CA1, CA2, CA3)를 개별 글루 개구(127a)를 통해 노출된 중앙 패널(125b)의 각각의 부분에 접착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고, 글루(G)는 용기(CB1, CB2, CB3)를 개별 글루 개구(127b)를 통해 노출된 중앙 패널(125a)의 각각의 부분에 접착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개별 글루 개구(127a, 127b)의 다수 열의 배열은 대향하는 개별 중앙 패널(125a, 125b)에 대한 각각의 개별 용기의 다수의 부착 지점을 제공하여, 각각의 용기에 개별 중앙 패널(125a, 125b)에 대한 강건한 부착을 제공한다. 용기(CA1, CA2, CA3) 및 용기(CB1, CB2, CB3)의 개별 중앙 패널(125a, 125b)에 대한 부착은, 예를 들어 개별 용기 보유 부분(135a, 135b)에 의해 제공된 용기 보유 및 지지에 더하여 또는 그 대신에, 용기가 그 자체의 중량 하에서 캐리어(105)로부터 탈착되지 않도록, 개별 용기의 보유 및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용기(CA1, CA2, CA3, CB1, CB2, CB3) 중 하나 이상이 전술된 바와 같이, 용기 보유 부분에 의해 제공된 추가적인 보유 및 지지 없이, 글루(G)에 의해 개별 중앙 패널(125a, 125b)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글루(G)는, 예를 들어 핫 멜트 접착제, 하이 택 글루(high tack glue), 에폭시, 폴리머 시멘트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글루(G)는 본 개시 내용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상이한 배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글루(G)는 블랭크(103)/캐리어(105)의 외부 표면의 하나 이상의 부분에 도포될 수 있다.
글루(G)에 의한 개별 중앙 패널(125a, 125b)에 대한 개별 용기의 이러한 향상된 부착은, 예를 들어 중앙 패널(125a, 125b)이 그 사이에서 압축되도록 개별 중앙 패널(125a, 125b) 상에 대향하는 접착력을 제공함으로써, 캐리어(105)에 대한 향상된 무결성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캐리어(105)가 들어올려지면, 용기(CA1, CA2, CA3)는 용기가 개별 글루 개구(127a)를 통해 부착되는 후방 중앙 패널(125b)의 부분을 용기(CA1, CA2, CA3)의 적어도 부분 중량 하에 전방 중앙 패널(125a)을 향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당길 수 있다. 전방 중앙 패널(125a)의 각각의 부분은 유사한 방식으로 용기(CB1, CB2, CB3)에 의해 개별 글루 개구(127b)를 통해 후방 중앙 패널(125b)을 향해 당겨질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전방 측면 패널(169a)은, 예를 들어 용기(CA1, CA2, CB1, CB2, CB3)에 대해 경사진 배열이 되도록 절첩선(171a)에서 상향으로 절첩될 수 있고, 상단 패널(173)은 부착 패널(131a, 131b)의 적어도 일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면 접촉하도록 대체로 화살표(A3)의 방향으로 절첩선(175a)에서 절첩될 수 있다. 유사하게, 후방 측면 패널(169b)은 용기(CA1, CA2, CA3, CB1, CB2, CB3)와 경사진 배열로 절첩선(171b)에서 상향으로 절첩될 수 있고, 부착 플랩(203)은 상단 패널(173) 및/또는 부착 패널(131b)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면 접촉하도록 대체로 화살표(A4)의 방향으로 절첩선(175b)에서 절첩될 수 있다. 그러한 배열은 글루와 같은 접착제로 유지될 수 있다.
개별 핸들 플랩(183, 185)은 개별 절단부(177, 179)에서 상단 패널(173)로부터, 그리고 개별 절단부(181)에서 서로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될 수 있고, 캐리어(105)/패키지(110)의 내부 부분으로 하향 절첩되거나 굽혀질 수 있다. 핸들 개구(130a, 130b)는 핸들 플랩(183, 185)이 이러한 배열로 하향으로 연장하게 하기 위한 간극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핸들 플랩(183, 185) 중 하나 또는 둘 다에는, 예를 들어 개별 핸들 플랩(183, 185)의 적어도 중앙부가 인접한 용기 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개별 용기(CA1, CA2, CA3, CB1, CB2, CB3) 중 하나 이상에 대해 윤곽 또는 각을 형성하기 위해, 재구성 가능한 배열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별 핸들 플랩(183, 185)의 주변부는, 예를 들어 캐리어(105)/패키지(110) 및/또는 개별 용기의 에지 또는 코너와 소비자의 손가락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하기 위해, 소비자의 손가락 주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거나 둘러쌀 수 있다. 게다가, 전술된 바와 같이, 개별 핸들 개구(130a, 130b)의 개별 길이방향 섹션(132a, 132b) 및 개별 측방향 섹션(134a, 134b)의 분기 특성은, 소비자가 다수의 배향, 예를 들어 측방향 배향 또는 길이방향 배향, 또는 이들 사이 배향으로부터 캐리어를 결합할 수 있도록, 소비자가 캐리어(105)를 결합하고 캐리어(105)를 들어올릴 수 있는 다수의 에지 및 표면을 허용한다.
핸들 개구(130a, 130b)가 개별 길이방향 섹션(132a, 132b)의 에지에서 결합한다면, 개별 보강 플랩(136a, 136b)은 개별 만곡 절첩선(138a, 138b)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향 절첩될 수 있어서, 예를 들어 3겹 구성으로 소비자의 손가락 및 개별 부착 패널(131a, 131b) 사이에 추가적인 보강 구조를 제공한다.
도 8 내지 도 10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용기(CA1, CA2, CA3, CB1, CB2, CB3)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캐리어(105)의 적어도 부분적인 재구성이 본 개시 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설명될 것이다.
도 7 및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패널(173)의 제1 주변부(199) 및 제2 주변부(201) 중 하나 또는 둘 다는, 개별 절첩선(193, 195)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향으로 절첩될 수 있다. 제1 주변부(199)의 상향 이동은 전방 패널(169a) 및 전방 부착 패널(131a)의 외부 주변부(138a)를 함께 운반할 수 있어, 제1 주변부(199), 전방 패널(169a), 및 외부 주변부(138a)가 캐리어(105)의 전방부(106) 내의 용기(CA1, CA2, CA3)에 대한 적어도 부분적인 접근을 제공하는 관절식 접근 특징부(205)(대략적으로, "제1 접근 특징부")를 함께 형성할 수 있다. 유사하게, 상단 패널(173)의 제2 주변부(201), 상기 주변부(201) 아래에 중첩되는 부착 플랩(203), 후방 패널(169b), 및 외부 주변부(138a)는 캐리어(105)의 후방부(108) 내의 용기(CB1, CB2, CB3)에 대한 적어도 부분적인 접근을 제공하는 관절식 접근 특징부(207)(대략적으로는, "제2 접근 특징부")를 함께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근 특징부(205)는 예를 들어 상단 패널(173)의 제1 주변부(199), 전방 패널(169a), 및/또는 부착 패널(131a)의 외부 주변부(138a)의 부분 주위에 소비자의 손가락을 감아서 소비자에게 파지될 수 있으며, 상향으로 들어올려짐으로써 이러한 패널/부분은 개별 상단 패널(173) 및 부착 패널(131a) 내의 정렬된 절첩선(193, 139a)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절첩되도록 관절 운동한다. 일 실시예에서, 절첩선(193, 139a)은 오프셋 관계로 위치될 수 있다.
접근 특징부(205)의 이러한 이동은, 예를 들어 개별 부착 패널(131a)을 따라 개별 절단부(141a)에 의해 형성된 개구를 통해 개별 용기의 상단 부분(T)을 인출함으로써, 부착 패널(131a)로부터 용기(CA1, CA2, CA3) 중 하나 이상의 적어도 부분적인 결합해제를 유발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접근 특징부(207)는 상단 패널(173)의 제2 주변부(201), 후방 패널(169b), 및/또는 외부 주변부(138a)의 부분 주위에 소비자의 손가락을 감아서 소비자에게 파지될 수 있으며, 개별 상단 패널(173) 및 부착 패널(131a) 내의 정렬된 절첩선(195, 139b)에서 상향으로 들어올려져서 캐리어(105)의 후방부(108) 내의 용기(CB1, CB2, CB3)에 대한 접근을 제공한다. 접근 특징부(207)의 이러한 이동은 용기(CA1, CA2, CA3)에 대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부착 패널(131b)로부터 하나 이상의 용기(CB1, CB2, CB3)의 적어도 부분적인 결합해제를 유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절첩선(195, 139b)은 오프셋 관계로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접근 특징부(205, 207)는, 상단 패널(173)의 주변부(199, 201) 중 하나 또는 둘 다가 대체로 중앙 패널(125a, 125b)에 대해 수직인 제1 구성/위치와, 예를 들어 용기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기 위해 예를 들어 주변부(199, 201)가 중앙 패널(125a, 125b)에 대해 평행하거나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상단 패널(173)의 주변부(199, 201) 중 하나 또는 둘 다가 대체로 중앙 패널(125a, 125b)에 대해 상승되거나 또는 직립하는 제2 구성/위치 사이에서 각각 재구성 가능/위치 가능하다. 접근 특징부(205, 207)의 제2 구성에서, 개별 부착 패널(135a, 135b)의 적어도 개별 주변부(138a, 138b)는 또한 중앙 패널(125a, 125b)에 대해 대체로 상승되거나 직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별 부착 패널(135a, 135b)의 각각의 주변부(138a, 138b)는, 접근 특징부(205, 207)가 제1 구성/위치에 있을 때, 중앙 패널(125a, 125b)에 대해 대체로 수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접근 특징부(205, 207)는 전술된 접근 특징부(205, 207)의 이동을 반전시킴으로써 제2 구성/위치로부터 각각 재구성/위치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접근 특징부(205, 207)는 개별 절첩선(193, 139a) 및 절첩선(195, 139b)에서 중앙 패널(125a, 125b)에 대해 대체로 수직인 배열을 향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향으로 절첩될 수 있다. 접근 특징부(205, 207)의 이러한 이동은 전술된 바와 같이 용기(CA1, CA2, CA3 및 CB1, CB2, CB3) 중 하나 이상과 개별 부착 패널(131a, 131b)과의 적어도 부분적인 재결합을 유발할 수 있다.
제2 접근 특징부(207)만이 제2 구성/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된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용기(CA1, CA2, CA3, CB1, CB2, CB3)는 개별 중앙 패널(125a, 125b)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개별 용기를 벗겨냄으로써 캐리어(105)로부터 더 제거될 수 있다. 개별 중앙 패널(125a, 125b)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용기(CA1, CA2, CA3, CB1, CB2, CB3)를 벗겨내거나 또는 당기는 것은, 글루(G)에 의해 제공되는 개별 용기 및 개별 중앙 패널(125a, 125b)의 접착제 접합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힘으로 개별 용기를 당기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제거 시 용기 상에 글루(G)가 실질적으로 거의 또는 전혀 남지 않도록, 글루(G)는 개별 중앙 패널(125a, 125b) 상에 남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용기(CA1, CA2, CA3, CB1, CB2, CB3) 중 하나 이상은 글루(G)의 각각의 영역에 대해 용기를 가압함으로써 그 이후에 개별 중앙 패널(125a, 125b)에 재부착될 수 있다.
상이한 수의 열 또는 배열의 글루 개구가 본 개시 내용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공될 수 있고, 중앙 패널이 이러한 배열을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 및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개별 용기(CA1, CA2, CA3 및 CB1, CB2, CB3)가 개별 중앙 패널(125a, 125b)에만 접착되도록, 중앙 패널(125a, 125b)은 글루 개구가 없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글루(G)는 개별 글루 개구(127a, 127b)를 통해 노출된 개별 중앙 패널(125a, 125b)의 부분뿐만 아니라, 개별 글루 개구(127a, 127b)에 인접한 개별 중앙 패널(125a, 125b)의 부분 모두에 제공될 수 있어, 각 용기(CA1, CA2, CA3, CB1, CB2, CB3)는 양 중앙 패널(125a, 125b) 부분에 접착될 수 있다.
전술된 캐리어(105)/패키지(110)는 예를 들어, 재료 절감 및 폐기물 감소를 제공할 수 있는 밀집된 구조를 갖는다. 추가로, 용기(CA1, CA2, CA3, CB1, CB2, CB3)뿐만 아니라 중앙 패널(125a, 125b) 사이 글루(G)의 배열은 용기(CA1, CA2, CA3, CB1, CB2, CB3)를 보유 및 운반하기 위한 강건한 구조를 초래하는 다수의 부착 지점을 제공한다. 게다가, 캐리어(105)/패키지(110)의 외부 부분 상의 용기(CA1, CA2, CA3, CB1, CB2, CB3) 중 하나 이상의 부분의 노출로 인해, 소비자는 용기(CA1, CA2, CA3, CB1, CB2, CB3)와 관련된 라벨링 또는 표면 그래픽을 명확하게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캐리어(105)/패키지(110)로부터 용기(CA1, CA2, CA3, CB1, CB2, CB3) 중 하나 이상을 제거하기 위해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다.
도 11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205)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203)가 도시된다. 블랭크(203) 및 캐리어(205)는 제1 예시적인 실시예의 블랭크(103) 및 캐리어(105)의 특징과 유사한 하나 이상의 특징부를 가질 수 있고, 같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는 같거나 유사한 특징부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랭크(203)의 부착 패널(131a, 131b)에는 각각의 3개의 측방향으로 이격된 절단부(141a, 141b)가 각각 제공될 수 있어, 캐리어(205)가 6개의 용기를 지지 및 보유할 수 있도록 크기 설정 및 구성되고, 여기서 3개의 용기(CA1, CA2, CA3)는 캐리어(205)의 전방부(206) 내에 있고, 3개의 용기(CB1, CB2, CB3)는 캐리어(205)의 후방부(208) 내에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U자 형상 절단부(157)는 중심선(CL)으로부터 멀리 연장하는 각각의 탭(159)을 형성하도록 절첩선(112)을 중단시킨다. 블랭크(203)로부터 캐리어를 형성할 때, 탭(159)은 제1 후방 열(RB1)의 한 쌍의 글루 개구(127b)를 노출시키도록 개별 절단부(157)에서 중앙 패널(125b)의 주변 재료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블랭크 및 캐리어는 본 개시 내용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상이한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랭크는 캘리퍼를 갖는 판지로 구성될 수 있어, 보통 종이보다 무겁고 강성이다. 블랭크는 또한 예를 들어 판지, 또는 캐리어가 적어도 대체로 전술된 바와 같이 기능할 수 있게 하기에 적합한 특성을 갖는 임의의 다른 재료와 같은 다른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블랭크는 예를 들어, 클레이 코팅으로 코팅될 수 있다. 그 후 클레이 코팅 위에는 제품, 광고, 및 다른 정보 또는 이미지가 인쇄될 수 있다. 그 후, 블랭크는 블랭크 상에 인쇄된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바니시로 코팅될 수 있다. 블랭크는 또한 블랭크의 한쪽 또는 양쪽에, 예를 들어 습기 차폐층이 코팅될 수 있다. 블랭크는 또한 선택된 패널 또는 패널 섹션에서 하나 이상의 시트형 재료에 적층되거나 그러한 시트형 재료로 코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약화선이 하나 이상의 파열선, 절단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파열선은, 원하는 약화선을 따라 재료 내로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슬릿, 및/또는 원하는 약화선을 따라 재료 내로 부분적으로 및/또는 재료를 완전히 관통하여 연장되는 일련의 이격된 슬릿, 또는 이러한 특징부들의 다양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예로서, 일 유형의 파열선은 재료를 완전히 관통하여 연장되는 일련의 이격된 슬릿의 형태이며, 여기서 인접한 슬릿들은 새긴 자국(nick)(예를 들어, 다소 브리지와 같은 작은 재료 피스)이 통상적으로 파열선을 가로질러 재료를 일시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인접한 슬릿 사이에 형성되도록 약간 이격된다. 새긴 자국은 파열선을 따르는 파열 중 끊어진다. 새긴 자국은 통상적으로 파열선의 상대적으로 작은 비율이며, 대안적으로 새긴 자국은 파열선이 연속적인 절단선이 되도록 파열선으로부터 생략되거나 파열선 내에서 파열될 수 있다. 즉, 각각의 파열선이 연속적인 슬릿 등으로 대체되는 것이 본 개시 내용의 범위 내에 있다. 예를 들어, 절단선은 본 개시 내용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연속적인 슬릿일 수 있거나 슬릿보다 더 넓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절첩선은, 반드시 직선은 아니지만, 그를 따른 절첩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실질적으로 선형인 약화 형태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그러나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좁히지 아니할 목적으로, 절첩선은, 원하는 약화선을 따라 재료에 압착되거나 눌린 부분을 생성하는 뭉툭한 스코어링 나이프 등으로 형성된 선과 같은 스코어 라인; 원하는 약화선을 따라 재료 내로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절단부, 및/또는 원하는 약화선을 따라 재료 내로 부분적으로 및/또는 재료를 완전히 관통하여 연장되는 일련의 이격된 절단부; 및 그러한 특징부의 다양한 조합을 포함한다. 절단이 절첩선을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상황에서, 통상적으로 절단은, 합리적인 사용자가 절첩선을 파열선인 것으로 잘못 간주하게 할 수 있는 방식으로 과도하게 광범위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캐리어 실시예의 조립 동안 글루에 의해 함께 접착된 하나 이상의 패널을 갖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용어 "글루"는 캐리어 패널을 제자리에 고정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방식의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개시 내용의 전술한 설명은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하고 설명한다. 본 개시 내용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예시적인 실시예에 다양한 추가, 수정, 변경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설명에 포함되거나 첨부 도면에 도시된 모든 주제는 제한적인 의미가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추가로, 본 개시 내용은 본 개시 내용의 선택된 실시예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지만, 본 개시 내용은 다양한 다른 조합, 수정, 및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교시와 어울리는 본 명세서에 표현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의 범위 내에서, 및/또는 관련 분야의 기술 또는 지식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다. 더욱이, 각각의 실시예의 특정한 특징 및 특성은 선택적으로 상호 교환되고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예시된 및 예시되지 않은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51)

  1. 복수의 용기를 보유하기 위한 캐리어이며, 캐리어는
    상단 패널,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 및 복수의 용기 중 하나 이상의 용기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부착 패널을 포함하는 복수의 패널로서,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은 복수의 용기 중 인접한 용기 사이에 위치되고 그 용기에 부착되기 위한 것인, 복수의 패널; 및
    복수의 용기 중 적어도 하나의 용기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도록 위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접근 특징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접근 특징부는 상단 패널의 주변부 및 적어도 하나의 부착 패널의 주변부를 포함하는,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은 복수의 용기 중 인접한 용기에 접착되기 위한 것인, 캐리어.
  3.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접근 특징부는 상단 패널의 주변부가 대체로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에 수직인 제1 구성과 상단 패널의 주변부 및 적어도 하나의 부착 패널의 주변부가 복수의 용기 중 적어도 하나의 용기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도록 상승되는 제2 구성 사이에서 재구성 가능한, 캐리어.
  4. 제3항에 있어서,
    접근 특징부는 상단 패널의 주변부 및 적어도 하나의 부착 패널의 주변부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측면 패널을 더 포함하는, 캐리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단 패널의 주변부가 적어도 하나의 부착 패널의 주변부와 중첩되는, 캐리어.
  6. 제4항에 있어서,
    상단 패널의 주변부는 상단 패널의 제1 주변부이고, 캐리어는 상단 패널의 제2 주변부를 더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부착 패널은 전방 부착 패널이고, 캐리어는 후방 부착 패널을 더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측면 패널은 전방 측면 패널이고, 캐리어는 후방 부착 패널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후방 측면 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단 패널은 중앙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접근 특징부는 제1 절첩선에서 상단 패널의 중앙부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접근 특징부이고, 캐리어는 상단 패널의 제2 주변부 및 후방 부착 패널의 주변부를 포함하는 제2 접근 특징부를 더 포함하며, 제2 접근 특징부는 제2 절첩선에서 상단 패널의 중앙부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캐리어.
  7. 제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은 전방 부착 패널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전방 중앙 패널이고, 캐리어는 전방 중앙 패널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면 접촉하고 후방 부착 패널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후방 중앙 패널을 더 포함하는, 캐리어.
  8.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은 복수의 개구를 포함하는, 캐리어.
  9. 제8항에 있어서,
    복수의 개구는 개구의 제1 열 및 개구의 제1 열로부터 이격된 개구의 제2 열을 포함하는, 캐리어.
  10. 제9항에 있어서,
    개구의 제1 열은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의 저부 에지로부터 제1 거리만큼 이격되고, 개구의 제2 열은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의 저부 에지로부터 제2 거리만큼 이격되며, 제2 거리는 제1 거리보다 큰, 캐리어.
  11. 제1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은 전방 중앙 패널이고, 복수의 패널은 전방 중앙 패널과 대면 접촉하는 후방 중앙 패널을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부착 패널은 전방 중앙 패널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전방 부착 패널이고, 복수의 패널은 후방 중앙 패널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후방 부착 패널을 더 포함하고, 복수의 개구는 전방 중앙 패널 내의 제1 복수의 개구이고, 후방 중앙 패널은 제2 복수의 개구를 포함하여, 제1 복수의 개구는 후방 중앙 패널과 연통하고 제2 복수의 개구는 전방 중앙 패널과 연통하는, 캐리어.
  1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 및 적어도 하나의 부착 패널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핸들 개구를 포함하는, 캐리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단 패널은 적어도 하나의 핸들 특징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핸들 특징부는 적어도 하나의 핸들 개구와 정렬되는, 캐리어.
  14. 복수의 용기를 보유하기 위한 캐리어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이며, 블랭크는
    상단 패널,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 및 적어도 하나의 부착 패널을 포함하는 복수의 패널, 및
    상단 패널의 주변부 및 적어도 하나의 부착 패널의 주변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근 특징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접근 특징부는 캐리어가 블랭크로부터 형성될 때 복수의 용기 중 적어도 하나의 용기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도록 위치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은 캐리어가 블랭크로부터 형성될 때 복수의 용기 중 인접한 용기 사이에 위치되고 그 용기에 부착되기 위한 것인, 블랭크.
  15. 제1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은 복수의 용기 중 인접한 용기에 접착되기 위한 것인, 블랭크.
  16. 제14항에 있어서,
    캐리어가 블랭크로부터 형성될 때, 적어도 하나의 접근 특징부는 상단 패널의 주변부가 대체로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에 수직인 제1 구성과 상단 패널의 주변부 및 적어도 하나의 부착 패널의 주변부가 복수의 용기 중 적어도 하나의 용기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도록 상승되는 제2 구성 사이에서 재구성 가능한, 블랭크.
  17. 제16항에 있어서,
    접근 특징부는 상단 패널의 주변부 및 적어도 하나의 부착 패널의 주변부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측면 패널을 더 포함하는, 블랭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단 패널의 주변부는 상단 패널의 제1 주변부이고, 캐리어는 상단 패널의 제2 주변부를 더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부착 패널은 전방 부착 패널이고, 캐리어는 후방 부착 패널을 더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측면 패널은 전방 측면 패널이고, 캐리어는 후방 부착 패널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후방 측면 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단 패널은 중앙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접근 특징부는 제1 절첩선에서 상단 패널의 중앙부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접근 특징부이고, 캐리어는 상단 패널의 제2 주변부 및 후방 부착 패널의 주변부를 포함하는 제2 접근 특징부를 더 포함하며, 제2 접근 특징부는 제2 절첩선에서 상단 패널의 중앙부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블랭크.
  19. 제1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은 전방 부착 패널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전방 중앙 패널이고, 캐리어는 후방 부착 패널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후방 중앙 패널을 더 포함하는, 블랭크.
  20. 제1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은 복수의 개구를 포함하는, 블랭크.
  21. 제20항에 있어서,
    복수의 개구는 개구의 제1 열 및 개구의 제1 열로부터 이격된 개구의 제2 열을 포함하는, 블랭크.
  22. 제21항에 있어서,
    개구의 제1 열은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의 저부 에지로부터 제1 거리만큼 이격되고, 개구의 제2 열은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의 저부 에지로부터 제2 거리만큼 이격되며, 제2 거리는 제1 거리보다 큰, 블랭크.
  23. 제2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은 전방 중앙 패널이고, 복수의 패널은 후방 중앙 패널을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부착 패널은 전방 중앙 패널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전방 부착 패널이고, 복수의 패널은 후방 중앙 패널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후방 부착 패널을 더 포함하고, 복수의 개구는 전방 중앙 패널 내의 제1 복수의 개구이고, 후방 중앙 패널은 제2 복수의 개구를 포함하여, 캐리어가 블랭크로부터 형성될 때 제1 복수의 개구는 후방 중앙 패널과 연통하고 제2 복수의 개구는 전방 중앙 패널과 연통하는, 블랭크.
  24. 제1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 및 적어도 하나의 부착 패널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핸들 개구를 포함하는, 블랭크.
  25. 제24항에 있어서,
    상단 패널은 캐리어가 블랭크로부터 형성될 때 적어도 하나의 핸들 개구와 정렬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핸들 특징부를 포함하는, 블랭크.
  26. 복수의 용기를 보유하기 위한 캐리어 형성 방법이며, 상기 방법은
    상단 패널,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 및 적어도 하나의 부착 패널을 포함하는 복수의 패널, 및 상단 패널의 주변부 및 적어도 하나의 부착 패널의 주변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근 특징부를 포함하는 블랭크를 획득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이 복수의 용기 중 인접한 용기 사이에 위치되도록 복수의 패널을 절첩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에 복수의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용기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접근 특징부는 복수의 용기 중 적어도 하나의 용기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도록 위치될 수 있는, 캐리어 형성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은 복수의 용기 중 인접한 용기에 접착되기 위한 것인, 캐리어 형성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접근 특징부는 상단 패널의 주변부가 대체로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에 수직인 제1 구성과 상단 패널의 주변부 및 적어도 하나의 부착 패널의 주변부가 복수의 용기 중 적어도 하나의 용기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도록 상승되는 제2 구성 사이에서 재구성 가능한, 캐리어 형성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접근 특징부는 상단 패널의 주변부 및 적어도 하나의 부착 패널의 주변부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측면 패널을 더 포함하는, 캐리어 형성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단 패널의 주변부가 적어도 하나의 부착 패널의 주변부와 중첩되는, 캐리어 형성 방법.
  31. 제29항에 있어서,
    상단 패널의 주변부는 상단 패널의 제1 주변부이고, 캐리어는 상단 패널의 제2 주변부를 더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부착 패널은 전방 부착 패널이고, 캐리어는 후방 부착 패널을 더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측면 패널은 전방 측면 패널이고, 캐리어는 후방 부착 패널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후방 측면 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단 패널은 중앙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접근 특징부는 제1 절첩선에서 상단 패널의 중앙부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접근 특징부이고, 캐리어는 상단 패널의 제2 주변부 및 후방 부착 패널의 주변부를 포함하는 제2 접근 특징부를 더 포함하며, 제2 접근 특징부는 제2 절첩선에서 상단 패널의 중앙부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캐리어 형성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은 전방 부착 패널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전방 중앙 패널이고, 캐리어는 전방 중앙 패널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면 접촉하고 후방 부착 패널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후방 중앙 패널을 더 포함하는, 캐리어 형성 방법.
  33. 제2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은 복수의 개구를 포함하는, 캐리어 형성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복수의 개구는 개구의 제1 열 및 개구의 제1 열로부터 이격된 개구의 제2 열을 포함하는, 캐리어 형성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개구의 제1 열은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의 저부 에지로부터 제1 거리만큼 이격되고, 개구의 제2 열은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의 저부 에지로부터 제2 거리만큼 이격되며, 제2 거리는 제1 거리보다 큰, 캐리어 형성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은 전방 중앙 패널이고, 복수의 패널은 전방 중앙 패널과 대면 접촉하는 후방 중앙 패널을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부착 패널은 전방 중앙 패널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전방 부착 패널이고, 복수의 패널은 후방 중앙 패널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후방 부착 패널을 더 포함하고, 복수의 개구는 전방 중앙 패널 내의 제1 복수의 개구이고, 후방 중앙 패널은 제2 복수의 개구를 포함하여, 제1 복수의 개구는 후방 중앙 패널과 연통하고 제2 복수의 개구는 전방 중앙 패널과 연통하는, 캐리어 형성 방법.
  37. 제2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 및 적어도 하나의 부착 패널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핸들 개구를 포함하는, 캐리어 형성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단 패널은 적어도 하나의 핸들 특징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핸들 특징부는 적어도 하나의 핸들 개구와 정렬되는, 캐리어 형성 방법.
  39. 패키지이며,
    복수의 용기; 및
    복수의 용기를 보유하기 위한 캐리어를 포함하고, 캐리어는,
    상단 패널,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 및 복수의 용기 중 하나 이상의 용기의 일부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착 패널을 포함하는 복수의 패널로서,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은 복수의 용기 중 인접한 용기 사이에 위치되고 그 용기에 부착되는, 복수의 패널; 및
    복수의 용기 중 적어도 하나의 용기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도록 위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접근 특징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접근 특징부는 상단 패널의 주변부 및 적어도 하나의 부착 패널의 주변부를 포함하는, 패키지.
  40. 제3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은 복수의 용기 중 인접한 용기에 접착되는, 패키지.
  41. 제3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접근 특징부는 상단 패널의 주변부가 대체로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에 수직인 제1 구성과 상단 패널의 주변부 및 적어도 하나의 부착 패널의 주변부가 복수의 용기 중 적어도 하나의 용기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도록 상승되는 제2 구성 사이에서 재구성 가능한, 패키지.
  42. 제41항에 있어서,
    접근 특징부는 상단 패널의 주변부 및 적어도 하나의 부착 패널의 주변부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측면 패널을 더 포함하는, 패키지.
  43. 제42항에 있어서,
    상단 패널의 주변부가 적어도 하나의 부착 패널의 주변부와 중첩되는, 패키지.
  44. 제42항에 있어서,
    상단 패널의 주변부는 상단 패널의 제1 주변부이고, 캐리어는 상단 패널의 제2 주변부를 더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부착 패널은 전방 부착 패널이고, 캐리어는 후방 부착 패널을 더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측면 패널은 전방 측면 패널이고, 캐리어는 후방 부착 패널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후방 측면 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단 패널은 중앙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접근 특징부는 제1 절첩선에서 상단 패널의 중앙부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접근 특징부이고, 캐리어는 상단 패널의 제2 주변부 및 후방 부착 패널의 주변부를 포함하는 제2 접근 특징부를 더 포함하며, 제2 접근 특징부는 제2 절첩선에서 상단 패널의 중앙부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패키지.
  45. 제4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은 전방 부착 패널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전방 중앙 패널이고, 캐리어는 전방 중앙 패널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면 접촉하고 후방 부착 패널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후방 중앙 패널을 더 포함하는, 패키지.
  46. 제3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은 복수의 개구를 포함하는, 패키지.
  47. 제46항에 있어서,
    복수의 개구는 개구의 제1 열 및 개구의 제1 열로부터 이격된 개구의 제2 열을 포함하는, 패키지.
  48. 제47항에 있어서,
    개구의 제1 열은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의 저부 에지로부터 제1 거리만큼 이격되고, 개구의 제2 열은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의 저부 에지로부터 제2 거리만큼 이격되며, 제2 거리는 제1 거리보다 큰, 패키지.
  49. 제4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은 전방 중앙 패널이고, 복수의 패널은 전방 중앙 패널과 대면 접촉하는 후방 중앙 패널을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부착 패널은 전방 중앙 패널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전방 부착 패널이고, 복수의 패널은 후방 중앙 패널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후방 부착 패널을 더 포함하고, 복수의 개구는 전방 중앙 패널 내의 제1 복수의 개구이고, 후방 중앙 패널은 제2 복수의 개구를 포함하여, 제1 복수의 개구는 후방 중앙 패널과 연통하고 제2 복수의 개구는 전방 중앙 패널과 연통하는, 패키지.
  50. 제3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중앙 패널 및 적어도 하나의 부착 패널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핸들 개구를 포함하는, 패키지.
  51. 제51항에 있어서,
    상단 패널은 적어도 하나의 핸들 특징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핸들 특징부는 적어도 하나의 핸들 개구와 정렬되는, 패키지.
KR1020227015170A 2019-10-10 2020-10-05 용기용 캐리어 KR202200799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598,282 US11261013B2 (en) 2018-12-14 2019-10-10 Carrier for containers
US16/598,282 2019-10-10
PCT/US2020/054205 WO2021071764A1 (en) 2019-10-10 2020-10-05 Carrier for contain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9913A true KR20220079913A (ko) 2022-06-14

Family

ID=72801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5170A KR20220079913A (ko) 2019-10-10 2020-10-05 용기용 캐리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3808677A1 (ko)
JP (1) JP2022551866A (ko)
KR (1) KR20220079913A (ko)
CN (1) CN114502481B (ko)
AU (1) AU2020364363B2 (ko)
BR (1) BR112022005754A2 (ko)
CA (1) CA3156282C (ko)
MX (1) MX2022004256A (ko)
WO (1) WO2021071764A1 (ko)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01647A (en) * 1958-10-22 1961-09-26 Liss Jack Package
US3245711A (en) * 1964-01-16 1966-04-12 Kenneth R Dantoin Paperboard can carrier
US3281180A (en) * 1964-03-24 1966-10-25 Joseph C Spery Container carrier
CH503622A (de) * 1969-02-21 1971-02-28 Steiger Ag Tragvorrichtung für Flaschen
US3701416A (en) * 1969-05-30 1972-10-31 Frank D Lawrence Holders for containers
US3653503A (en) * 1970-01-13 1972-04-04 Federal Paper Board Co Inc Carrier package
US4339032A (en) * 1980-11-10 1982-07-13 The Mead Corporation Bottle carrier with peripheral skirt
IT1136923B (it) * 1981-03-12 1986-09-03 Gabriella Sommariva Imballaggio per confezione multipla e procedimento per realizzare tale confezione multipla
EP0398835B1 (en) * 1989-04-01 1996-10-30 Riverwood Espana, S.A. Carrier for a group of containers, formed from a cardboard blank
US5282348A (en) * 1992-06-16 1994-02-01 Riverwood International Corporation Clip-type article carrier and method of manufacture
US5503267A (en) * 1995-04-11 1996-04-02 Riverwood International Corporation Can clip carrier with glue flaps
GB0120132D0 (en) * 2001-08-17 2001-10-10 Mead Corp Article carrier and blank therefor
MX343570B (es) * 2009-12-18 2016-11-09 Graphic Packaging Int Inc Empaque para recipientes.
CA2875398C (en) * 2010-05-19 2017-02-07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Inc. Package for containers
WO2012016029A2 (en) * 2010-07-30 2012-02-02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Inc. Carrier for bottles
WO2012075374A2 (en) * 2010-12-03 2012-06-07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Inc. Package for containers
JP6275977B2 (ja) * 2013-08-30 2018-02-07 キリン株式会社 容器保持具及び包装製品
US11261013B2 (en) * 2018-12-14 2022-03-01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Carrier for contain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0364363B2 (en) 2023-10-26
JP2022551866A (ja) 2022-12-14
MX2022004256A (es) 2022-05-06
BR112022005754A2 (pt) 2022-10-25
CA3156282C (en) 2024-04-23
CA3156282A1 (en) 2021-04-15
EP3808677A1 (en) 2021-04-21
CN114502481B (zh) 2024-02-13
WO2021071764A1 (en) 2021-04-15
AU2020364363A1 (en) 2022-04-21
CN114502481A (zh) 2022-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2618B2 (en) Carrier for containers
US11261013B2 (en) Carrier for containers
US11919692B2 (en) Carrier for containers
US11027904B2 (en) Carrier for containers
CA3108080C (en) Package for containers
CA2719917C (en) Package with handle
CA2751482C (en) Package for containers
WO2021221722A1 (en) Carrier for containers
KR20220079913A (ko) 용기용 캐리어
CN113165780B (zh) 用于保持多个容器的载体、形成载体的坯件及方法以及包括载体的包装
AU2010218150B2 (en) Package for contai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